KR20190077746A - 크레인 후크 - Google Patents

크레인 후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77746A
KR20190077746A KR1020170179185A KR20170179185A KR20190077746A KR 20190077746 A KR20190077746 A KR 20190077746A KR 1020170179185 A KR1020170179185 A KR 1020170179185A KR 20170179185 A KR20170179185 A KR 20170179185A KR 20190077746 A KR20190077746 A KR 201900777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k
hole
coupling rod
coupling
coupl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91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24621B1 (ko
Inventor
김종윤
김단효
정학영
김현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701791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4621B1/ko
Publication of KR201900777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77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46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46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22Rigid members, e.g. L-shaped members, with parts engaging the under surface of the loads; Crane hooks
    • B66C1/34Crane hoo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 후크는 크레인과 연결되는 제1 후크; 및 상기 제1 후크의 하부에 연결되는 제2 후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후크는 상기 제1 후크에 결합되는 제1 결합 로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크레인 후크{CRANE HOOK}
본 발명은 크레인 후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운반 대상체를 이동 시킬 수 있는 크레인 후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크레인에는 운반 대상체를 들어 올려 이동시킬 수 있는 후크가 구비된다.
후크에는 운반 대상체에 연결된 와이어가 걸릴 수 있는 걸이부가 구비된다.
걸이부는 곡면으로 형상 구비되어, 운반 대상체를 이동 시 발생하는 와이어의 하중을 분산시킬 수 있다.
와이어를 걸이부에 거는 줄걸이 작업은 후쿠의 형태에 따라 작업 효율이 달라 질 수 있다.
특히, 일 방향 후크를 이용하여 복수 개의 운반 대상체를 동시에 줄걸이를 할 경우, 걸이부에 줄걸이된 와이어가 서로 꼬이게 되어 와이어의 파손이 유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일 방향 후크의 경우에는 저 중량의 운반 대상체 또는 하나의 운반 대상체 만을 이송하여 와이어 꼬임에 의한 안전사고를 방지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법은 하나의 운반 대상체만을 이송할 수 있어 작업 현장에서 작업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양측에 걸이부가 구비되는 양방향 후크를 이용하여, 복수 개의 운반 대상체를 동시에 이동 시킬 경우에는 크레인에서 후크를 교체해야 함에 따라 후크의 교체 작업에 따른 작업 시간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공개 실용신안 20-2014-0000267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복수 개의 운반 대상체를 동시에 이동시키기 위해, 별도의 후크 교체가 필요 없는 크레인 후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 후크는 크레인과 연결되는 제1 후크; 및 상기 제1 후크의 하부에 연결되는 제2 후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후크는 상기 제1 후크에 결합되는 제1 결합 로드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후크의 일영역에는 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제1 결합 로드는 상기 관통홀을 관통하고, 상기 제1 결합 로드에는 결합 유닛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통홀은 상기 제1 후크의 걸이부 하부 중심에서 관통되며, 상기 걸이부의 외측면에서 내측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통홀은 상기 제1 결합 로드가 관통하는 제1 관통홀; 및
상기 제1 관통홀의 직경보다 크게 구비되어, 상기 결합 유닛이 안착되는 제2 관통홀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관통홀의 최소 높이는 상기 결합 유닛의 높이 보다 높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후크는 한 쌍의 걸이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1 결합 로드의 일영역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결합 유닛과 나사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 유닛은 다각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 관통홀은 상기 결합 유닛과 동일한 다각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통홀을 형성하는 제1 후크의 양측면에는 보강 리브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후크는 한 쌍의 걸이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1 후크에 중심부에는 삽입홀이 형성되어, 상기 제2 후크가 삽입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후크는 일영역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삽입홀에 삽입되는 제2 결합 로드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삽입홀의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제2 후크의 제2 결합 로드가 나사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후크와 상기 제2 결합 로드는 상기 삽입홀의 일영역을 관통하는 결합핀을 통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결합 로드는 다각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삽입홀은 상기 제2 결합 로드가 삽입될 수 있게 다각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제1 후크에 제2 후크가 결합되어, 와이어를 걸이부에 줄걸이 시 보다 안전하게 줄걸이가 가능하여, 운반 대상체의 이동 시 발생하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후크와 제2 후크가 구비되어, 복수 개의 운반 대상체를 이동시키기 위해 별도의 후크의 교체가 필요 없어 후크 교체에 따른 작업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후크에 제2 후크를 결합하여, 복수 개의 운반 대상체를 동시에 이동 시킬 수 있어 작업 현장에서 작업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하면서도 유익한 장점과 효과는 상술한 내용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보다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 후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 후크의 분해도이다.
도 3은 도 1의 평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도 3의 제1 후크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 후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 후크의 정면의 제1 분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 후크의 측면의 제2 분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2, 제1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실시 예의 설명에 있어서, 어느 한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의 "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에 형성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에 있어,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는 두 개의 구성요소가 서로 직접(directly)접촉되거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가 상기 두 구성요소 사이에 배치되어(indirectly)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구성요소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 후크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 후크의 분해도이며, 도 3은 도 1의 평면도이고, 도 4 및 도 5는 도 3의 제1 후크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인 크레인 후크(1)는 연결부(100), 제1 후크(200), 제2 후크(300) 및 결합 유닛(40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후크(200)는 연결부(100)를 통해 크레인(미도시)과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연결부(100)는 크레인과 연결되는 와이어(110)가 연결될 수 있는 도르레(120)가 구비될 수 있다.
제1 후크(200)는 연결부(100)의 하부와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제1 후크(200)는 일측에 걸이부(210)가 구비되는 일 방향 후크로 이루어 질 수 있다. 걸이부(210)는 운반 대상체(미도시)를 연결한 와이어(미도시)가 걸릴 수 있게 곡면으로 형상 구비될 수 있다.
실시예로, 제1 후크(200)의 일영역에는 관통홀(220)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관통홀(220)은 걸이부(210)의 하부 중심에서 관통되며, 걸이부(210)의 외측면에서 내측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관통홀(220)은 제1 관통홀(221)과 제2 관통홀(22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관통홀(221)은 제2 후크(300)가 관통될 수 있다. 제2 관통홀(222)은 제1 관통홀(221)의 직경(D1)보다 크게 구비되어, 결합 유닛(400)이 안착될 수 있다. 제2 관통홀(222)은 걸이부(210)의 곡면 형상에 따라, 제2 관통홀(222)의 입구 측에서 높이가 변화될 수 있다.
결합 유닛(400)은 제2 관통홀(220)에 안착될 수 있다. 이때, 결합 유닛(400)은 걸이부(210)에서 노출되지 않도록 제2 관통홀(220)의 최소 높이(h1)는 결합 유닛(400)의 높이(h2) 보다 높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결합 유닛(400)은 관통홀(220)의 내부에 안착되어, 걸이부(210)에 줄걸이된 와이어에 의한 파손이 방지될 수 있다.
제2 후크(300)는 제1 후크(200)의 하부에 연결될 수 있다. 실시예로, 제2 후크(300)는 관통홀(220)을 관통하고, 제2 후크(300)의 단부에는 결합 유닛(400)이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제2 후크(300)는 한 쌍의 걸이부(310)가 구비되는 양 방향 후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후크(300)는 일영역에 나사산(SC)이 형성되어, 결합 유닛(400)과 나사 결합되는 제1 결합 로드(320)가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제1 결합 로드(320)는 제1 관통홀(221)을 관통할 수 있게 제1 관통홀(221)의 직경(D1) 보다 작은 직경(D2)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결합 로드(320)는 제1 관통홀(221)과 제2 관통홀(222)에 관통되고, 단부에는 결합 유닛(400)이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결합 로드(320)는 결합 유닛(400)을 결합한 상태로 관통홀(220)에서 하강되어, 결합 유닛(400)을 제2 관통홀(222)에 안착시킬 수 있다.
결합 유닛(400)의 다각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로 결합 유닛(400)은 결합 너트로 이루어 질 수 있다.
그리고 제2 관통홀(222)은 결합 유닛(400)이 안착될 수 있게 다각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제2 관통홀(222)에 안착된 결합 유닛(400)의 다각 형상으로 제2 관통홀(222)의 내측면과 접촉되어 유동이 방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결합 유닛(400)은 제1 후크(200)와 풀림이 방지될 수 있다.
관통홀(220)을 형성하는 제1 후크(200)의 양측면에는 관통홀(220)을 통해 강성이 약해진 제1 후크(200)를 보강할 수 있는 보강 리브(23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크레인 후크(1)는 관통홀(220)을 관통하는 제1 결합 로드(320)에 결합 유닛(400)이 결합된 후 제2 관통홀(222)에 안착되어 손쉽게 제1 후크(200)와 제2 후크(300)를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제1 후크(200)에 제2 후크(300)가 결합되어, 와이어가 걸이부(210)에 줄걸이 시 보다 안전하게 줄걸이가 가능하여, 운반 대상체를 이동 시 발생하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후크(200)에 제2 후크(300)를 결합하여, 복수 개의 운반 대상체를 동시에 이동 시킬 수 있어 작업 현장에서 작업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 후크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 후크의 정면의 제1 분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 후크의 측면의 제2 분해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크레인 후크(1)는 연결부(100)의 하부에 제1 후크(200)가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제1 후크(200)는 한 쌍의 걸이부(210)가 구비되며, 양 방향 후크로 이루어 질 수 있다.
실시예로, 제1 후크(200)에 중심부에는 삽입홀(240)이 형성되어, 제2 후크(300)가 삽입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제2 후크(300)는 일측에 걸이부(310)가 구비되는 일 방향 후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실시예로, 제2 후크(300)의 일영역에는 나사산(SC)이 형성되어, 삽입홀(240)에 삽입 결합되는 제2 결합 로드(330)를 구비할 수 있다.
실시예로, 삽입홀(240)의 내주면에는 나사산(SC)이 형성되어 제2 후크(300)의 제2 결합 로드(330)가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제1 후크(200)와 제2 결합 로드(330)는 삽입홀(240)의 일영역을 관통하는 결합핀(500)을 통해 고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삽입홀(240)에는 제3 관통홀(241)이 구비되며, 제2 결합 로드(330)에는 제4 관통홀(331)이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결합핀(500)은 제3 관통홀(241)과 제4 관통홀(331)을 관통하여, 제1 후크(200)와 제2 결합 로드(330)를 상호 고정 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제2 결합 로드(330)와 삽입홀(240)은 나사 결합을 통하지 않고 결합핀(500)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제2 결합 로드(330)는 삽입홀(240)에서 회전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2 결합 로드(330)는 다각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삽입홀(240)은 제2 결합 로드(330)가 삽입될 수 있게 다각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일 실시예의 구성을 통해서, 제2 결합 로드(330)의 외측면은 삽입홀(240)의 내측면에 접촉되어 제1 후크(200)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크레인 후크(1)는 삽입홀(240)을 통해 제2 결합 로드(330)가 제1 후크(200)에 삽입 결합되어 손쉽게 제1 후크(200)와 제2 후크(300)를 결합 할 수 있다.
또한, 제1 후크(200)에 제2 후크(300)를 결합하여, 복수 개의 운반 대상체를 동시에 이동 시킬 수 있어 작업 현장에서 작업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크레인 후크(1)는 제1 후크(200)에 제2 후크(300)가 구비되어, 와이어가 걸이부(210)(310)에 줄걸이 시 보다 안전하게 줄걸이가 가능하여, 운반 대상체를 이동 시 발생하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후크(200)와 제2 후크(300)가 구비되어, 복수 개의 운반 대상체를 이동시키기 위해 별도의 후크의 교체가 필요 없어 후크 교체에 따른 작업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후크(200)에 제2 후크(300)를 결합하여, 복수 개의 운반 대상체를 동시에 이동 시킬 수 있어 작업 현장에서 작업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수정과 변경에 관계된 차이점들을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크레인 후크 100: 연결부
110: 와이어 120: 도르레
200: 제1 후크 210: 걸이부
220: 관통홀 221: 제1 관통홀
222: 제2 관통홀 230: 보강 리브
240: 삽입홀 241: 제3 관통홀
300: 제2 후크 310: 걸이부
320: 제1 결합 로드 330: 제2 결합 로드
331: 제4 관통홀 400: 결합 유닛
500: 결합핀 SC: 나사산

Claims (13)

  1. 크레인과 연결되는 제1 후크; 및
    상기 제1 후크의 하부에 연결되는 제2 후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후크는 상기 제1 후크에 결합되는 제1 결합 로드를 포함하는 크레인 후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후크의 일영역에는 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제1 결합 로드는 상기 관통홀을 관통하고,
    상기 제1 결합 로드에는 결합 유닛이 결합되는 크레인 후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은
    상기 제1 후크의 걸이부 하부 중심에서 관통되며,
    상기 걸이부의 외측면에서 내측으로 이격 배치되는 크레인 후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은
    상기 제1 결합 로드가 관통하는 제1 관통홀; 및
    상기 제1 관통홀의 직경보다 크게 구비되어, 상기 결합 유닛이 안착되는 제2 관통홀을 포함하는 크레인 후크.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관통홀의 최소 높이는
    상기 결합 유닛의 높이 보다 높게 형성되는 크레인 후크.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후크는 한 쌍의 걸이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1 결합 로드의 일영역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결합 유닛과 나사 결합되는 크레인 후크.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유닛은 다각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 관통홀은 상기 결합 유닛과 동일한 다각 형상으로 구비되는 크레인 후크.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을 형성하는 제1 후크의 양측면에는 보강 리브가 구비되는 크레인 후크.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후크는 한 쌍의 걸이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1 후크에 중심부에는 삽입홀이 형성되어, 상기 제2 후크가 삽입 결합되는 크레인 후크.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후크는
    일영역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삽입홀에 삽입되는 제2 결합 로드를 구비하는 크레인 후크.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홀의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제2 후크의 제2 결합 로드가 나사 결합되는 크레인 후크.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후크와 상기 제2 결합 로드는 상기 삽입홀의 일영역을 관통하는 결합핀을 통해 고정되는 크레인 후크.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결합 로드는 다각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삽입홀은 상기 제2 결합 로드가 삽입될 수 있게 다각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크레인 후크.
KR1020170179185A 2017-12-26 2017-12-26 크레인 후크 KR1020246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9185A KR102024621B1 (ko) 2017-12-26 2017-12-26 크레인 후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9185A KR102024621B1 (ko) 2017-12-26 2017-12-26 크레인 후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7746A true KR20190077746A (ko) 2019-07-04
KR102024621B1 KR102024621B1 (ko) 2019-09-24

Family

ID=672595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9185A KR102024621B1 (ko) 2017-12-26 2017-12-26 크레인 후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462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11346A1 (ko) * 2021-03-30 2022-10-06 엘에스일렉트릭(주) 리프트 후크 수납형 진공 차단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102064U (ko) * 1974-01-24 1975-08-23
JPS606790U (ja) * 1983-06-27 1985-01-18 三菱重工業株式会社 吊ビ−ム付天井クレ−ン
KR20140000267U (ko) 2012-07-03 2014-01-14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후크해제 레버를 갖는 크레인용 후크
KR20140011082A (ko) * 2012-07-17 2014-01-28 유니텍 주식회사 툴박스가 구비된 호이스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102064U (ko) * 1974-01-24 1975-08-23
JPS606790U (ja) * 1983-06-27 1985-01-18 三菱重工業株式会社 吊ビ−ム付天井クレ−ン
KR20140000267U (ko) 2012-07-03 2014-01-14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후크해제 레버를 갖는 크레인용 후크
KR20140011082A (ko) * 2012-07-17 2014-01-28 유니텍 주식회사 툴박스가 구비된 호이스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11346A1 (ko) * 2021-03-30 2022-10-06 엘에스일렉트릭(주) 리프트 후크 수납형 진공 차단기
KR20220135404A (ko) * 2021-03-30 2022-10-07 엘에스일렉트릭(주) 리프트 후크 수납형 진공 차단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4621B1 (ko) 2019-09-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44912B1 (en) Lifting sling assembly
KR102202866B1 (ko) 산형강 철탑용 추락방지 와이어 클램프
KR200476243Y1 (ko) 타워크레인용 앵커프레임
KR20190077746A (ko) 크레인 후크
CN103115109B (zh) 用于电工登杆作业的防脱传递绳
KR101895306B1 (ko) 띠 철근 풀림 방지장치
US10038313B2 (en) Lineman's hoist
EP3181921A1 (en) Structure for preventing falling of fastening nut of portable power working machine, and method for attaching fastening nut to cover
US10060508B2 (en) Chain shackle
CN205503837U (zh) 一种拉伸限位挂钩弹簧
CN204967195U (zh) 螺栓型防振锤防松动装置
EP2851571A1 (en) Carabiner with key-lock system
KR101278828B1 (ko) 알루미늄 프로파일의 연결구 구조
JP4965110B2 (ja) アイ補強金具
KR20200000648U (ko) 샤클 조립체
KR20140004796U (ko) 플랜지용 리프팅 기구
KR102446240B1 (ko) 엘리베이터용 와이어로프 연결장치
CN219795143U (zh) 一种输变电施工用绝缘梯
CN213292301U (zh) 一种矿井下用煤矿车防脱装置
CN109563908B (zh) 绳索吊索钩环体
CN211594738U (zh) 一种吊点装置
CN103459862B (zh) 用于将负载紧固在支承构件上的承载紧固套筒
CN107035817A (zh) 一种可调节绳套大小的钢丝绳
KR102489583B1 (ko) 변압기 안전장치 및 이의 설치방법
CN209324136U (zh) 一种快速安拆的防护栏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