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77483A - 댁내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방법 및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댁내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방법 및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77483A
KR20190077483A KR1020197015646A KR20197015646A KR20190077483A KR 20190077483 A KR20190077483 A KR 20190077483A KR 1020197015646 A KR1020197015646 A KR 1020197015646A KR 20197015646 A KR20197015646 A KR 20197015646A KR 20190077483 A KR20190077483 A KR 201900774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per
error rate
packet error
transmit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156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90829B1 (ko
Inventor
흐리스토 페트코브
토마스 라우텐바허
토마스 카우퍼트
클라우스 고트샬크
Original Assignee
디일 메터링 시스템즈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디일 메터링 시스템즈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디일 메터링 시스템즈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900774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74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08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08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8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repeating transmission, e.g. Verdan system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13/00Coding, decoding or code conversion, for error detection or error correction; Coding theory basic assumptions; Coding bounds; Error probability evaluation methods; Channel models; Simulation or testing of codes
    • H03M13/35Unequal or adaptive error protection, e.g. by providing a different level of protection according to significance of source information or by adapting the coding according to the change of transmission channel characteristics
    • H03M13/353Adaptation to the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09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by adapting the channel coding
    • H04L1/0013Rate matching, e.g. puncturing or repetition of code symb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2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using signal quality detector
    • H04L1/203Details of error rate determination, e.g. BER, FER or W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2Arrangements for remote connection or disconnection of substations or of equipment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robability & Statistics with Application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Detection And Prevention Of Errors In Transmission (AREA)

Abstract

댁내 데이터가 데이터 텔레그램(telegram; 14)의 형식으로 데이터 소스(10)로부터 저장 유닛(20)으로, 자유롭게 액세스가능하고 상응하여 점유되는 송신 채널(17)을 통하여 비동기 방식으로 타임 슬롯 내에서 송신된다. 결과적으로 발생하며 롱 데이터 텔레그램(14)에 영향을 주는 간섭 때문에, 데이터 텔레그램은 데이터 텔레그램(14m)이 간섭이 없이 수신될 때까지 여러 번(n) 송신되어야 한다. 알려진 시간 기간 동안 간섭이 없이 수신된 데이터 텔레그램의 개수(m) 대 동일한 시간동안 실제로 송신된 데이터 텔레그램의 개수(n)의 비율(14m/14n)로부터 패킷 에러율(PER)을 결정하기 위하여 비교기(21)가 사용된다. 송신 반복 횟수를 시간 단위마다 변경함으로써(n => n'), 규정된 패킷 에러율(PER)이 송신 조건이 변동함에도 불구하고 적응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Description

댁내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방법 및 디바이스
본 발명은 댁내 데이터(domestic data)를 반복적으로 송신하는 방법 및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는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EP 2 953 275 A1은, 데이터 소스가 측정된 소비 값의 시퀀스를 센서를 이용하여 캡쳐하는 무선 송신 시스템을 기술한다. 측정된 값, 소스 식별자 및 송신 애드온을 포함하는 각각의 디지털화된 측정된 값 또는 계측 데이터 레코드는, 이러한 데이터 소스로부터 원격으로 작동되는 메모리로, 기원(origin)-관련 방식으로 코딩된 데이터 메시지의 형태로, 양방향성 근거리 데이터 무선 다운링크를 사용하여 송신된다. 데이터 메시지는 패킷 또는 데이터 패킷이라고도 불리고, 메모리는 데이터 처리 기능과 함께 집중기(concentrator)라고도 불린다. 반대로, 요금 변동 사양과 같은 업링크 정보는 메모리로부터 데이터 소스로 송신될 수 있고, 그곳에서 평가될 수 있다. 복수 개의 데이터 소스로부터 오는 데이터 메시지는 선택적으로 버퍼링되고 전처리될 수 있으며, 장거리 라디오를 사용하여, 예를 들면 모바일 무선 표준으로 취출될 수 있고, 메모리로부터, 무선으로 직접적으로 또는 저장 매체를 이용하여, 데이터가, 예를 들어 소비 요금표를 생성하기 위하여 평가되는 중앙 포인트로 송신될 수 있다.
양방향 방식으로 송신될 수 있는 측정된 값 또는 데이터는, 예를 들어 냉수 및 온수, 가스, 난방 또는 전기의 소비량일 수 있는데, 이것은 보통 계량기를 기초로 현장에 있는 센서에 의해 결정된다. 더욱이, 양방향 방식으로 송신될 수 있는 데이터는 다른 댁내 및 원격 제어 변수(특히 소망되는 값 및 실제 값), 예컨대 실내 온도 또는 환기 덮개의 각도 위치일 수도 있다.
데이터 메시지는 온전하게 또는 어떤 방식으로 부분 메시지 또는 부분 데이터 패킷으로 분할되어 송신될 수 있고, 분할되는 경우에는 수용단에서 온전한 데이터 메시지를 형성하도록 다시 조합될 수 있다. 이러한 데이터 송신은 비동기 방식으로 소위 타임 슬롯 내에, 예를 들어 VHF 스펙트럼 내의, 바람직하게는 구체적으로 라이센스되지 않아서 사전에 알려지지 않고 변하는 순시 채널 할당이 되는 UHF 스펙트럼의 ISM(Industrial, Scientific and Medical) 및/또는 SRD(Short Range Device) 대역 내에서 반송파의 주파수 변조로서 수행된다. 따라서, 메모리 내에 수신된 데이터 메시지가 그 송신 중에 간섭을 겪어서 메모리 내에서 평가될 수 없는 결과가 생길 것으로 예상될 수 있기 때문에, 데이터 메시지는 무간섭 수신이 적어도 한 번 기대될 수 있는 방식으로 특정 간격으로 데이터 소스의 송수신기 내의 송신기로부터 메모리의 송수신기 내의 수신기로 반복적으로 송신된다.
따라서, 계량(metering) 기술에서는, 성공적으로 수신된 데이터 메시지 또는 부분 메시지의 개수 대 이러한 기간 동안 실제로 송신된 데이터 메시지 또는 부분 메시지의 개수의 비율이고 반복된 송신에 의해 결과적으로 극복되는 어느 정도의 소위 패킷 에러율(PER)이 수용되어야 한다. 반면에, 데이터 콘텐츠에 따라서 분 또는 시간 단위로부터 일 단위일 수 있는 어느 정도의 최신성(up-to-dateness)이 데이터 메시지(패킷)에 대해서 요구된다; 그 때까지는, 송신 채널 내의 간섭의 영향에도 불구하고, 현재의 반복적으로 송신되는 데이터 메시지가 충분한 확률의 정도로 최종적으로는 메모리 내에 정확하게 캡쳐되어 있어야 한다. 이러한 프로시저에 따르면, 송신된 데이터 메시지가 빈번하게 반복하는 것이 바람직해 보인다. 그러나, 그러면 송신 채널에 불필요한 부하가 초래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데이터 소스의 송수신기의 송신기 내의, 자신의 미리 정의된 동작 수명을 가지는 배터리가 불필요하게 사용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반복된 송신은 가능한 최소 횟수를 목표로 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배터리 동작 수명의 시작 시에는 송신기의 제어자의 경험에 따라 어떠한 경우에도 충분한 데이터 메시지의 반복된 송신의 최소 횟수를 엄격하게 규정하는 것이 여전히 타당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 데이터 메시지의 정확한 송신을 초래하기 위해 통계적으로 요구되는 것보다 많은 반복된 송신은, 계산된 배터리 동작 수명의 끝에 갈수록 수행되어서는 안 된다.
이러한 상황에 대한 지식을 가지고, 본 발명은 현재 데이터 메시지가 간섭이 없이 메모리 내에 존재할 때까지의 반복된 송신의 횟수를 최적화하는 기술적 문제에 기초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두 개의 독립 청구항에 각각 진술된 특징들을 조합함으로써 달성된다. 따라서, 현재 패킷 에러율(성공적으로 수신된 데이터 메시지 대 해당 시간 내에 현재 실제로 송신된 데이터 메시지의 비율을 가리킴)은 메모리 내에서 준-불연속적 또는 불연속적 방식으로 결정된다. 패킷 에러율은, 반복된 송신의 횟수 또는 빈도를 현재의 송신 상황(간섭이 없이 수신된 데이터 메시지의 개수에 의하여 표현됨)에 대하여 변경함으로써 소망되는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반복 사양이 메모리로부터 각각의 데이터 소스로 업링크에서 송신되고, 현재 패킷 에러율의 후속 결정을 위하여 메모리 내에 이용가능한 상태로 유지된다. 그러므로, 실제 송신 상황은 반복된 송신을 목표가 되는 패킷 에러율에 대해서 적응적으로 적응시킴으로써 일정하게 유지된다.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메시지를 메모리 또는 데이터 수집기 내에 가능한 빨리 간섭이 없이 수신하기 위하여, 상대적으로 긴 데이터 메시지 각각은 편의상, 연속적으로 송신되고 메모리 내에서 다시 그룹화되거나 조합되어 전체 데이터 메시지를 형성하는, 대응하여 개별화된 부분 메시지의 형태로, 공지된 방식으로 송신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특정 데이터 메시지가 간섭을 가진다는 것이 밝혀지면, 이러한 간섭은 일반적으로 이러한 데이터 메시지 중 특정한 짧은 부분 메시지에만 실제로 관련된다. 구체적으로는 이러한 부분 메시지는 반복된 데이터 메시지의 후속 수신 동안에는 간섭을 가지지 않을 것이고, 따라서 이러한 부분 메시지가 간섭과 함께 수신된 선행하는 데이터 메시지 내에 채용되면, 앞서 규정된 바에 따르면 0과 1 사이의 값들 사이에서 변하는 패킷 에러율의 값이 대응하여 증가하게 될, 간섭이 없이 온전하게 수신된 반복된 데이터 메시지를 대기할 필요가 있는 경우보다, 간섭이 없는 온전한 데이터 메시지가 더 신속하게 이용가능해진다.
본 발명에 따른 해결책은 도면을 참조하여 더 상세히 후술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사용한 데이터 메시지 송신의 단순화된 개략적 예시도 이고, 및
도 2는 데이터 메시지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사용하여 송신되는 통신 시스템의 단순화된 개략적 예시도이다.
도 1에서, 센서(11)에 의하여 제공되는 아날로그 데이터는 보통 복수 개의 데이터 소스(10i)에 의하여 A/D 컨버터(12) 내에서 A/D 변환을 거치고, 온전한 데이터 메시지(14)가 작성되는 방식으로 코더(13)로부터의 추가 정보, 예컨대 기원 식별자, 타임 스탬프, 패리티 비트 및/또는 기타 등등과 조합된다. 데이터 메시지(14)는 특정 기간 동안에 소스측 송수신기(16) 내의 송신기(15)로부터 중앙 메모리(20)의 송수신기(19)의 수신기(18)로, 송신 채널(17), 예를 들어 확률적 간섭이 있는 송신 채널을 사용하여 반복적으로, 즉 n 번 송신된다. 간섭 영향 때문에, 오직 반복적으로 송신된 데이터 메시지(14n) 중 m 개(m<n)만이 에러가 없이, 즉, 예를 들어 평가될 수 있는 방식으로 수신될 수 있다. 메모리(20) 내에서, 비교기(21)는, 사용되는 송신 채널(17)에서 현재 만나는 송신 상황에 대한 패킷 에러율(PER)을, 에러가 없이 수신된 데이터 메시지(14m) 대 해당 기간 동안에 실제로 반복 송신된 시스템-공지 개수 n의 비율(m/n)로부터 결정한다. 최적이란 패킷 에러율 PER=1일 것인데, 실제로는 m=n 이기 때문에 달성할 수 없는 것이다. 편의상, 비교기(21)는 메모리(20) 내의 장치의 형태일 수 있고 및/또는 순수 소프트웨어 솔루션 또는 소프트웨어 구현형태의 형태일 수도 있다.
패킷 에러율(PER)에 영향을 주기 위하여, 비교기(21)는 장래 소스측 방출의 횟수를 n'으로 변경할 수 있다. 변경이 의도되는 부호와 크기는 프로그램-제어식, 원격 제어식 또는 직접적 방식으로 핸들(22)의 형태인 액츄에이터를 사용하여 메모리(20) 내에서 영향받거나 규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드웨어 제어기 또는 순수 소프트웨어 구현형태가 핸들(22)로서 제공될 수 있다. 실무상, 변동하는 송신 상황에도 불구하고 가능 한 일정한 패킷 에러율(PER)의 값은 송신된 데이터 메시지의 목표가 되는 요구되는 최신성에 따라서 규정될 수 있다. 이것은, 예를 들어 반복 회수 n을 변경함으로써 달성되거나 결정될 수 있다.
미리 정의된 기간 내에 n'>n인 경우, 데이터 메시지(14)를 방출하기 위한 반복 빈도가 증가될 수 있고, 다시 말해서 패킷 에러율이 감소되며, 그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그러나, 어떠한 경우에도, 방출의 반복 빈도는, 송수신기(16) 용 배터리(23)의 동작 기간의 끝에 가까울수록 배터리(23)를 보호하기 위하여 n'<n로 감소되어야 한다. 장래의 반복 송신의 횟수 n'는 메모리측 송수신기(19)의 송신기(24)로부터 소스측 송신기(15)의 제어기로 업링크에서 송신되고, 또한 패킷 에러율(PER)의 다음 결정을 위하여 비교기(21) 내에 홀딩된다.
자유롭게 액세스가능하고 따라서 많이 사용되는 송신 채널(17)에서는, 간섭 영향이 일반적으로 발생하고, 특히, 비동기 방식으로 타임 슬롯에서 데이터 소스(10)로부터 예를 들어 메모리(20)로 송신되는 데이터 메시지(14n)에 영향을 준다. 결과적으로, 각각의 데이터 메시지(14)는 데이터 메시지(14m)가 간섭이 없이 적어도 한 번 수신될 때까지 여러 번 반복적으로 송신되어야 한다. 비교기(21)는 어떤 기간 동안의 패킷 에러율(PER)을 간섭이 없이 수신된 데이터 메시지의 개수 m 대 해당 시간 내에 실제로 송신된 데이터 메시지의 개수 n의 비율(14m/14n)로부터 결정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간섭이 없고 메모리(20)에 대해 이용가능한 데이터 메시지(14m)의 최적화된 데이터 최신성을 위하여, 단위 시간 동안의 장래의 반복 송신의 횟수 n'는 예를 들어 증가되고, 다시 말해서 이러한 정의에 따라서 패킷 에러율(PER)이 감소되며, 그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현재 송신 상황에서 특정한 미리 정의된 패킷 에러율(PER)을 획득하기 위한 장래의 반복 송신의 횟수가 n => n'로 변하는 것은, 프로그램-제어식 또는 원격 제어식 또는 현장에서 수동으로 영향받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따라서 패킷 에러율(PER)은 반복된 송신의 횟수 n'를 현재 송신 상황에 맞게 적응시킴으로써 적응적으로 최적화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송신 상황이 변함에도 불구하고 요구되는 패킷 에러율(PER)에 따르기 위해서, 반복의 대응하는 횟수 n'가 메모리(20)로부터 데이터 소스(10)에 맞게 규정될 수 있기 때문이다.
도 2는 복수 개의 데이터 소스(10) 및 메모리(20)를 포함하는 무선 송신 시스템 또는 통신 시스템을 도시한다. 데이터 소스(10)는, 현재 소비를 캡쳐하고 소비 데이터의 형태로 메모리(20)로 송신하는 소비 계량기의 형태, 예를 들어 수도, 가스, 열 또는 전기 계량기의 형태이다. 데이터 소스(10)는 소비 데이터를 캡쳐하기 위한 센서(11), 예를 들어 소비 매질(예를 들어 물 또는 가스)의 유량을 결정하기 위한 초음파 센서, 및 데이터 메시지 또는 부분 메시지를 송신 채널(17), 다시 말해서 양방향성 송신 채널을 통해서 송신 및/또는 수신하기 위한 송신기(15)를 가지는 송수신기(16)를 각각 포함한다. 메모리(20)는 송수신기(19)를 가지는 데이터 수집기 또는 데이터 집중기의 형태이고, 데이터 또는 소비 데이터를 수신, 수집 및/또는 전달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댁내 데이터, 예를 들어 소비 데이터를 반복적으로 송신하기 위한 디바이스는 특히, 데이터 소스(10)의 센서(11) 및 송수신기(16) 및 메모리(20)의 송수신기(19)를 각각 포함한다.
소비 계량기는 데이터를 무선 방식으로, 예를 들어 무선으로, 라이센스되지 않은 주파수 대역, 예컨대 ISM 및/또는 SRD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여 데이터 수집기로 송신한다. 소비 계량기는, 에너지 소비 또는 이용가능한 에너지와 관련하여 송신 시간 및 송신 기간의 경우의 제한에 따라야 하고, 다시 말해서 예를 들어 배터리(23)의 충전 상태에 의존하는 송신기(15)를 각각 포함한다. 송수신기(16)에 에너지를 공급하는 것에 추가하여, 배터리(23)는 이러한 경우에 센서(11)에 에너지를 공급하기 위해서도 제공될 수 있다. 소비 계량기는 그들의 데이터 메시지를 정규 간격으로 송신하고, 데이터 수집기는 수신 범위 내에 있는 소비 계량기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한다.
라이센스되지 않은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여 송신하기 때문에, 채널 할당은 일반적으로 최초에 알려지지 않으며, 변할 수도 있다. 채널 할당이 알려지지 않는다는 사실의 결과로서, 얻어질 수 있는 데이터 최신성을 예측하기가 어렵다. 송신하기 위하여, 예를 들어 데이터 메시지가 시간 휴지기(puase)를 가지고 송신되는 복수 개의 부분 메시지로 하위분할되는(텔레그램 분할) 방법이 사용된다. 그러면, 부분 메시지는 수신기에서, 다시 말해서 특히 데이터 수집기에서 다시 조합된다.
이러한 방법에서, 데이터가 채널 내의 다른 신호와의 중첩에 의해 야기되는 간섭을 결과로서 부정확하게 송신될 확률은, 수신기, 다시 말해서 메모리(20) 또는 데이터 수집기에 의해 성공적으로 수신된 데이터 메시지 및/또는 부분 메시지의 개수 m 대 송신기, 다시 말해서 데이터 소스(10) 또는 각각의 소비 계량기에 의해 송신되는 데이터 메시지 및/또는 부분 메시지의 개수 n으로부터 형성되는 패킷 에러율(PER)을 이용하여 계산된다(PER = m/n). 이러한 경우에, 확률 p1은 부분 메시지가 간섭을 가지고 있으며 정확하게 송신될 수 없을 확률을 기술한다:
PER = p1n
패킷 에러율(PER)은, 예를 들어 특정 기간 t(interferer)의 간섭원(interferer)이 기간 t(slot)의 슬롯 내에 존재한다면, 해당 슬롯 또는 주파수 채널을 완전히 배제함으로써 이론적으로 유도될 수 있다. 다음 수학식이 슬롯이 간섭을 가질 확률 p(slot)에 적용한다:
p(slot) = 1 - e - [(t(slot)+ t(interferer)) / t(interferer)] · channel assignment
따라서, 모든 슬롯이 점유되는 확률 p(all)은 슬롯의 개수 n(slots)를 사용하여 다음 수학식으로 계산된다
p(all) = PER = p(slot)n(slots).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서, 각각의 현재 패킷 에러율 PER(actual)이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신 시스템 내의 소비 계량기의 송신 간격이 알려지고, 따라서 특정 기간 n(tx) 내에 송신된 데이터 메시지의 개수도 역시 알려진다. 이러한 경우에, 현재 패킷 에러율 PER(actual)은 실제로 수신된 데이터 메시지의 개수 n(Rx), 다시 말해서 데이터 수집기에서 성공적으로 수신된 데이터 메시지의 개수, 및 송신된 데이터 메시지의 알려진 개수로부터 결정된다:
PER(actual) = n(Rx) / n(tx)
더욱이, 현재 송신된 부분 메시지의 개수 n(actual)도 통신 시스템 내에서 알려지고, 그 결과 채널 할당 또는 채널 간섭의 현재 확률 p(actual)이 PER(actual) 및 n(actual)의 지식으로부터 계산될 수 있다:
p(actual) = n(actual)√PER(actual)
그러므로, 요구되는 PER 또는 최적 PER(desired)이 편리하게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최적 PER(desired)을 위한, 부분 메시지의 방출의 요구된 횟수 n(desired)가 계산될 수 있다:
n(desired) = log(p(actual)) · PER(desired)
그러면, 방출의 요구된 횟수 n(desired)가 데이터 소스(10) 또는 소비 계량기로 복귀 채널을 통해, 다시 말해서 수집기(20)로부터 데이터 소스(10)로, 특히 개수 n(desired) 내의 데이터 메시지 또는 부분 메시지를 데이터 소스(10)의 송수신기(16)의 수신기(25)로 송신하라는 명령과 함께 통신될 수 있다. 그러면 요구되는 패킷 에러율 PER(desired)를 결정하거나 설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요약하자면, 따라서 현재 패킷 에러율 PER(actual)이 미리 정의된 방출의 지식으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사용하여 결정될 수 있다. 데이터 메시지의 성공적인 송신(실질적으로 간섭이 없음)을 위해 요구되는 부분 메시지 또는 부분적인 패킷의 송신의 횟수가 그로부터 결정될 수 있고 송신의 횟수를 적응시키기 위하여 데이터 소스(10)로 통신된다. 결과적으로, 패킷 에러율(PER)이 송신된 데이터 메시지 또는 부분 메시지의 개수를 적응시키거나 개수에 영향을 줌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이용하여 적응적으로 제어된다. 따라서, 현재 데이터 메시지가 송신 채널 내의 피할 수 없는 가변적인 간섭 영향 에도 불구하고 간섭이 없이 메모리(20) 또는 데이터 수집기 내에 각각 존재할 때까지의 반복된 송신의 횟수가 유익한 방식으로 최적화될 수 있다.
참조 번호들의 목록
10 데이터 소스
11 센서
12 A/D 컨버터
13 코더
14 데이터 메시지
15 송신기(10 내의 16의 송신기)
16 송수신기
17 송신 채널
18 수신기(20 내의 19의 수신기)
29 송수신기
20 메모리
21 비교기
22 핸들
23 배터리(15의 배터리)
24 송신기(20 내의 19의 송신기)
25 수신기(10 내의 16의 수신기)
PER 패킷 에러율
n 개수
p 확률
t 기간

Claims (13)

  1. 댁내 데이터를 데이터 메시지(14n)의 형태로 데이터 소스(10)로부터 송신 채널(17)을 통하여 메모리(20)에 반복적으로 송신하는 방법으로서,
    비교기(21)에서, 소정 기간 동안 수신된 데이터 메시지(14m)에 대한 패킷 에러율(PER)이, 간섭이 없이 수신된 데이터 메시지 대 해당 시간 내에 송신된 데이터 메시지의 비율(14m/14n)로서 결정되고,
    장래의 반복 송신의 횟수(n')는 상기 패킷 에러율(PER)에 영향을 주기 위하여, 그리고 특히 상기 패킷 에러율(PER)을 규정하기 위하여 변경되는, 댁내 데이터 송신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채널(17)을 통한 장래의 반복 송신의 횟수(n')는, 비교기(21)에 저장되고 데이터 소스(10)의 송수신기(16)로 송신되는, 댁내 데이터 송신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데이터 소스(10)의 송신기(15) 및/또는 센서(11)를 작동시키기 위하여 배터리(23)가 제공되고,
    장래의 반복 송신의 횟수(n') 또는 빈도는 상기 배터리(23)의 동작 기간의 종료에 가까워질수록 감소되는, 댁내 데이터 송신 방법.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장래의 반복 송신의 횟수(n')는 프로그램-제어 방식, 원격 제어 방식 또는 수동 방식으로 영향받는, 댁내 데이터 송신 방법.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연속하는 데이터 메시지들(14n)이, 부정확한 부분 메시지가 이미 반복적으로 송신되고 수신된 데이터 메시지들(14n) 중 하나로부터의 정확한 데이터 메시지로 대체되면서 부분 메시지로서 각각 송신되고 수신되는, 댁내 데이터 송신 방법.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패킷 에러율(PER)은 최적 패킷 에러율(PER(desired))에 기초하여 규정되고,
    상기 최적 패킷 에러율(PER(desired))은 상기 데이터 메시지 또는 부분 메시지의 방출의 요구된 횟수(n(desired))를 결정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댁내 데이터 송신 방법.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현재 패킷 에러율(PER(actual))이, 특정 기간 내의 송신된 데이터 메시지의 개수(n(tx)) 및 실제로 수신된 데이터 메시지의 개수(n(Rx))로부터 결정되고,
    장래의 반복 송신의 횟수(n')는 상기 현재 패킷 에러율(PER(actual))에 기초하여 변경되는, 댁내 데이터 송신 방법.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메모리(20) 및/또는 소프트웨어 솔루션 내의 장치가 비교기(21)로서 제공되는, 댁내 데이터 송신 방법.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채널(17)은 양방향성 송신 채널인, 댁내 데이터 송신 방법.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소스(10)는 공급 매질(supply medium)의 소비를 결정하기 위한 소비 계량기이고, 및/또는
    상기 메모리(20)는 데이터 수집기(data collector) 또는 데이터 집중기(data concentrator)인, 댁내 데이터 송신 방법.
  11. 댁내 데이터를 송신 채널(17)을 통하여 반복적으로 송신하는 디바이스로서,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 중 하나를 수행하도록 설계되고,
    데이터 소스(10) 내의 센서(11) 및 송수신기(16) 및 메모리(20) 내의 송수신기(19)가 장착되며,
    비교기(21)가, 상기 메모리(20) 내에 제공되고, 간섭이 없이 수신된 데이터 메시지의 개수(m) 대 해당 시간 내에 송신된 데이터 메시지의 개수(n)의 비율(14m/14n)로부터 패킷 에러율(PER)을 결정하도록 설정되며,
    장래의 반복 송신의 횟수(n')는 상기 패킷 에러율(PER)로부터 유도되고,
    장래의 반복 송신의 횟수(n')는 상기 메모리(20)의 송수신기(19)로부터 상기 데이터 소스(10)의 송수신기(16)로 송신되는, 댁내 데이터 송신 디바이스.
  12. 제 11 항에 있어서,
    장래의 반복 송신의 횟수(n')에 영향을 주기 위한 핸들(22)이 상기 메모리(20) 내에 제공되는, 댁내 데이터 송신 디바이스.
  13. 제 11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22)은 수동으로 작동될 수 있고, 원격으로 제어될 수 있으며, 및/또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제어될 수 있는(프로그램-제어식), 댁내 데이터 송신 디바이스.
KR1020197015646A 2016-11-16 2017-10-24 댁내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방법 및 디바이스 KR10249082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6013653.7 2016-11-16
DE102016013653.7A DE102016013653B4 (de) 2016-11-16 2016-11-16 Verfahren und Einrichtung zum Senden haustechnischer Daten
PCT/EP2017/001245 WO2018091126A1 (de) 2016-11-16 2017-10-24 Verfahren und einrichtung zum senden haustechnischer date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7483A true KR20190077483A (ko) 2019-07-03
KR102490829B1 KR102490829B1 (ko) 2023-01-19

Family

ID=601825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5646A KR102490829B1 (ko) 2016-11-16 2017-10-24 댁내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방법 및 디바이스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11070319B2 (ko)
EP (1) EP3542479B1 (ko)
JP (1) JP6994033B2 (ko)
KR (1) KR102490829B1 (ko)
CN (1) CN109964429B (ko)
CA (1) CA3043104A1 (ko)
DE (1) DE102016013653B4 (ko)
DK (1) DK3542479T3 (ko)
PL (1) PL3542479T3 (ko)
WO (1) WO201809112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23691B (zh) * 2016-11-03 2020-02-21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信息传输方法及相关装置
DE102017206236A1 (de) * 2017-04-11 2018-10-11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Spezifische hoppingmuster für telegram-splitting
DE102017220061A1 (de) * 2017-11-10 2019-05-16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Datensender und Datenempfänger mit geringer Latenz für das Telegram-Splitting-Übertragungsverfahr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52854B1 (en) * 1996-06-17 2001-06-2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Rate selection in adaptive data rate systems
US20060221847A1 (en) * 2005-03-29 2006-10-05 Dacosta Behram M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ng transmission modulation rates in wireless devices for A/V streaming applications
US20110044276A1 (en) * 2005-04-22 2011-02-24 Axiometric, Llc System and Method for Routing in a Wireless Mesh Network
US20130225922A1 (en) * 2010-07-12 2013-08-29 Therasyn Sensors, Inc. Device and Methods for in vivo Monitoring of an Individual
US20140176341A1 (en) * 2011-09-02 2014-06-26 Fraunhofer-Gesellschaft Zur Foe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Battery-operated stationary sensor arrangement with un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05234A (en) * 1987-06-03 1990-02-27 General Electric Company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digital data over a radio communications channel
JPH09508249A (ja) * 1994-04-18 1997-08-19 インターナシヨ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ーシヨン 適応データ速度及び/又は適応光パワーレベルを有するワイヤレス光通信システム
US6246693B1 (en) * 1998-12-30 2001-06-12 Virginia Tech Intellectual Properties, Inc. One-way packet communication channel with retransmissions
DE10035041B4 (de) * 2000-07-19 2006-07-13 Robert Bosch Gmbh Verfahren zur Einstellung von Sendeparametern von einem Sender für digitale Rundfunksignale
US8199696B2 (en) * 2001-03-29 2012-06-12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power control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3815344B2 (ja) * 2002-02-21 2006-08-3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多値変調に適した符号語マッピング方法
JP2005057366A (ja) * 2003-08-07 2005-03-03 Hitachi Kokusai Electric Inc デジタル無線通信システム
JP2007135128A (ja) * 2005-11-14 2007-05-31 Kddi Corp パケット損失率に基づく複数のコピーパケットの送受信方法、通信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100736082B1 (ko) * 2005-11-16 2007-07-06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패킷 전송 장치 및 방법
CN101064708B (zh) * 2006-04-30 2010-04-21 华为技术有限公司 多载波系统频率资源映射方法及装置
CN101296054A (zh) * 2007-04-27 2008-10-29 华忆科技(深圳)有限公司 实时网络纠错方法
CN101136722B (zh) * 2007-10-15 2010-08-11 北京交通大学 一种适用于高速移动终端的数据发送方法及传输设备
FR2929063B1 (fr) * 2008-03-20 2010-06-11 Canon Kk Procede et dispositif d'allocation de chemins de transmission de donnees dans un reseau de communication synchrone, produit programme d'ordinateur et moyen de stockage correspondants
CN101656603A (zh) * 2009-09-15 2010-02-24 中国人民解放军国防科学技术大学 采用重传和编码协商实现数据传输的方法、装置及系统
CN102045764B (zh) * 2009-10-20 2014-02-19 华为技术有限公司 高速上行分组接入自适应重传方法及装置
DE102010028991B4 (de) * 2009-12-03 2014-12-24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Passiver Transponder für ein RFID-System und Verfahren zum Übertragen von Daten von/zu einer Datenquelle eines solchen passiven Transponders
US20120263141A1 (en) * 2011-04-15 2012-10-18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range extension of wireless communication in sub gigahertz bands
JP2013005139A (ja) * 2011-06-15 2013-01-07 Sharp Corp 受信装置、周波数割当方法、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集積回路
EP2575282B1 (de) * 2011-09-28 2014-09-17 Siemens Aktiengesellschaft Vorrichtung sowie Verfahren zum Empfangen eines sicheren Telegramms
EP3937570B1 (en) * 2011-12-22 2024-01-31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Resource grant cancellation
US20140045507A1 (en) * 2012-08-07 2014-02-13 Chandra Sekhar Bontu Code rate adapt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US20140355410A1 (en) * 2013-06-04 2014-12-04 Tencent Technology (Shenzhen) Company Limited Systems and Methods for Data Transmission
WO2015113664A1 (en) * 2014-01-30 2015-08-06 Sony Corporation Identification of downlink messages using repeated transmission
DE102014008255A1 (de) 2014-06-05 2015-12-17 Diehl Metering Systems Gmbh Funkübertragungssystem für Daten in lokalisierten Systemen und Verfahren zu seinem Betrieb
US10285163B2 (en) * 2014-06-24 2019-05-07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anagement of wireless devices in limited radio coverage
CN104184568B (zh) * 2014-09-05 2017-09-29 中国电子科技集团公司第七研究所 通信系统的数据传输方法及系统
US10595280B2 (en) * 2015-03-06 2020-03-17 Qualcomm Incorporated Repetition level coverage enhancement techniques for 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 transmission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52854B1 (en) * 1996-06-17 2001-06-2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Rate selection in adaptive data rate systems
US20060221847A1 (en) * 2005-03-29 2006-10-05 Dacosta Behram M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ng transmission modulation rates in wireless devices for A/V streaming applications
US20110044276A1 (en) * 2005-04-22 2011-02-24 Axiometric, Llc System and Method for Routing in a Wireless Mesh Network
US20130225922A1 (en) * 2010-07-12 2013-08-29 Therasyn Sensors, Inc. Device and Methods for in vivo Monitoring of an Individual
US20140176341A1 (en) * 2011-09-02 2014-06-26 Fraunhofer-Gesellschaft Zur Foe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Battery-operated stationary sensor arrangement with un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PL3542479T3 (pl) 2022-03-21
DE102016013653A1 (de) 2018-05-30
EP3542479B1 (de) 2021-12-01
DE102016013653B4 (de) 2021-06-17
KR102490829B1 (ko) 2023-01-19
DK3542479T3 (da) 2022-02-21
EP3542479A1 (de) 2019-09-25
US20190273580A1 (en) 2019-09-05
JP2019537908A (ja) 2019-12-26
US11070319B2 (en) 2021-07-20
CA3043104A1 (en) 2018-05-24
JP6994033B2 (ja) 2022-01-14
CN109964429A (zh) 2019-07-02
CN109964429B (zh) 2022-07-01
WO2018091126A1 (de) 2018-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77483A (ko) 댁내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방법 및 디바이스
US20070083294A1 (en) Wireless data acquisition system
JP2003258697A5 (ko)
US10820070B2 (en) Method for transmitting data
EP3169980B1 (en) A method and a system for test and calibration of wireless consumption meters
JP6866483B2 (ja) データコレクタと、複数の自律型の測定ユニットと、の間の送信品質を改善する方法、および、通信システム
TW200731692A (en) Radio communication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
US11206464B2 (en) Method and device for operating a battery-operated smart metering meter
EP2391866A1 (en) Time-divided communications in a metering system
KR102482419B1 (ko) 주파수 채널 선택 방법
CN114175766A (zh) 用于上报上行链路传输的功率余量的方法、装置和系统
CN110383909A (zh) 用于具有链路管理的公用设施网络的耗量表和远程读取方法
US10064132B2 (en) Bidirectional wireless data transmission method
KR102498542B1 (ko) 데이터 배포 방법
DK2360484T3 (en) Bidirectional radio data transfer method
JP5480708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
Liu et al. Frame counter: Achieving accurate and real-time link estimation in low power wireless sensor networks
JP2011250023A (ja) 無線通信システム
JP5513988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
JP2017143481A (ja) 通信装置
JP2009049828A (ja) 無線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