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76873A - 커넥터 연결구 - Google Patents

커넥터 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76873A
KR20190076873A KR1020180165046A KR20180165046A KR20190076873A KR 20190076873 A KR20190076873 A KR 20190076873A KR 1020180165046 A KR1020180165046 A KR 1020180165046A KR 20180165046 A KR20180165046 A KR 20180165046A KR 20190076873 A KR20190076873 A KR 201900768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wiring
circuit element
packaged circuit
termina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50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19116B1 (ko
Inventor
씨. 호켄 필립
이. 피어슨 제임스
Original Assignee
로버트쇼오콘트롤스컴퍼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버트쇼오콘트롤스컴퍼니 filed Critical 로버트쇼오콘트롤스컴퍼니
Publication of KR201900768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68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91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91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22Bases, e.g. strip, block, panel
    • H01R9/24Terminal blocks
    • H01R9/2491Terminal block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plugs or sock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00Contacts
    • H01H1/58Electric connections to or between contacts; Terminals
    • H01H1/5805Connections to printed circui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7/00Thermally-actuated switches
    • H01H37/02Deta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9/00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fferent basic types of 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and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not covered by any single one of the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H01H89/04Combination of a thermally actuated switch with a manually operated switc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33Bases, cases made for use in extreme conditions, e.g. high temperature, radiation, vibration, corrosive environment, press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1/00Coupling parts supported only by co-operation with counterpart
    • H01R31/06Intermediate parts for linking two coupling parts, e.g. adapt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22Bases, e.g. strip, block, panel
    • H01R9/24Terminal blocks
    • H01R9/2416Means for guiding or retaining wires or cables connected to terminal blo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22Bases, e.g. strip, block, panel
    • H01R9/24Terminal blocks
    • H01R9/2475Means facilitating correct wiring, e.g. marking plates, identification ta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4/00Circuit arrangements for mains or distribution networks not specified as ac or dc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10Tops, e.g. hot plates; Rings
    • F24C15/102Tops, e.g. hot plates; Rings electrically heated
    • F24C15/104Arrangements of connectors, grounding, supply wir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패키징된 회로소자의 커넥터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커넥터 연결구는 장착 축을 구비하는 커넥터 연결구 본체를 포함한다. 커넥터 연결구는 제 1 지점에 제 1 복수의 단자 수용부를 가지고 제 2 지점에 제 2 복수의 단자 수용부를 가진다. 복수의 단자 수용부는 제 1 배선 배향으로 패키징된 회로소자의 단자를 수용하여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장착 축보다 커넥터 연결구 본체의 측면에 더 근접하게 배열된다. 커넥터 연결구는 제 3 지점에 있는 배선 커넥터를 포함한다. 배선 커넥터는 패키징된 회로소자의 반경방향 최외곽 측면에 의해 형성된 최외각 둘레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된다. 제 1, 제 2 및 제 3 지점은 상이한 위치이다. 배선 커넥터는 적어도 제 1 및 제 2 단자 수용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 2 배선 배향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커넥터 연결구{Connector Bridge}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전기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패키징된 전자소자용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에너지 조정기로 지칭되는, 전자 제어기 및 무한(infinite) 스위치와 같은 패키징된 회로소자(Packaged circuit elements)는 매우 다양한 장치에 사용된다. 좀더 구체적으로, 무한 스위치는 오븐, 난로, 그릴, 히터, 및 저항식 히터 부하를 비례 제어하는 것이 필요한 조리기구와 같은 장치에서 이용된다. 이러한 장치 내에서 제어 전자부품을 위한 공간은 일반적으로 매우 제한적이다. 따라서, 무한 스위치는 장치 내에서 매우 한정된 위치에서 사용되곤 한다.
예를 들어 전기 난로를 고려해 보자. 종종 각각의 개별 버너에 대한 온도 제어기가 무한 스위치에 직접 연결된다. 비록, 온도 조절 다이얼에 대한 접근은 인체공학적으로 사용자에게 매우 간단하지만, 사용자 제어 다이얼이 부착된 무한 스위치에 대한 접근은 매우 제한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난로 전면에 있는 인체공학적인 패널에서 편리하게 사용자를 대향하는 다이얼을 쉽게 찾아 회전할 수 있다. 다이얼을 돌리면 난로의 패널 구멍을 통해 연장되는 샤프트가 회전한다. 그래서 샤프트는 난로 전면 패널 뒤쪽에 있는 무한 스위치의 일부를 구성한다.
난로 전면 패널의 뒤쪽 내부에 있는 작은 구획은, 무한 스위치를 수리 또는 교체해야 하는 경우에 사용자 또는 기술자에게 문제가 되는데, 이는 무한 스위치에 접근하려면 일반적으로 후면 패널을 탈거해야 하기 때문이다. 일단 접근하게 되면, 난로 내부의 전기적 연결이 무한 스위치로부터 분리되고 스위치가 수리 또는 교체된다.
시중에서 판매되는 대부분의 전류 무한 스위치에서는 배선이 장착 표면에서 수직 방향으로 무한 스위치를 빠져나간다. 다시 말해, 상기 배선은 무한 스위치의 중앙 축과 샤프트에 평행하게 무한 스위치를 빠져나간다. 이러한 배선은 일반적으로 개별 전선 및 단자 형태로 행해지거나 또는 무한 스위치의 모든 단자에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블록을 필요로 하는 블록 커넥터 방식으로 행해진다. 즉, 패키징된 회로소자에 대해 현재 알려진 배선 방법을 사용하면, 특히 난로의 무한 스위치 경우, 기구(appliance)와 무한 스위치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다수의 (연결)지점이 존재한다.
안타깝게도, 교체용 무한 스위치에 대해 난로 전선을 재배선하는 재부착 작업은 시간이 많이 걸리고 생각보다 어렵다. 이는 복수의 지점을 무한 스위치에 다시 연결해야 하는 복수의 배선작업으로 인해 실수를 유발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배선에 필요한 공간의 크기와 패널 후면에 있는 다른 소자의 위치 및 구조 때문이기도 하다.
전선은 샤프트에 거의 평행하게 그리고 그 장착 표면에 수직으로 무한 스위치를 빠져나가야만 하기 때문에, 제조 시에 제공된 공간에서 무한 스위치를 교체할 수 없다면, 배선 높이는 교체를 어렵게 한다. 따라서, 점 대 점 연결되거나 또는 블록 커넥터를 통한 배선이 기구의 후면에서 적절하게 공간을 차지하지 않는다면, 무한 스위치는 원래 차지했던 공간에 맞지 않게 된다.
기구 제조 시, 정밀하게 제어되는 환경에서는 기구 후면에 무한 스위치를 정확하게 배치할 수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현장에서 수리/교체 시 무한 스위치를 제거하면 전기적으로 연결한 무한 스위치를 좁은 공간에 다시 장착하는 것이 쉽지 않다. 또한 난로/장치에서 무한 스위치까지 다수의 개별 배선이 필요한 경우, 전선을 적절한 단자에 연결하는데 너무 많은 시간이 소요되며 이들이 연결되는 제어기의 오배선 및 고장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장치의 무한 스위치를 수리하거나 교체하기 위해서는 많은 시간 손실을 초래하는데, 이는 전기적 연결을 다시 해야만 하고 원 위치에 무한 스위치를 꼭 맞도록 장착하는데 걸리는 시간 때문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패키징된 회로소자용 커넥터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패키징된 회로소자의 전기적 연결을 유리하게 재배치할 수 있도록 한다. 이는 결국 배선 연결부를 가지는 패키징된 회로소자가 예를 들어 무한 스위치를 이용하는 장치에서 이러한 커넥터 연결구가 없는 패키징된 회로소자보다 더 적은 공간을 차지하도록 한다. 또한 이러한 실시예는 패키징된 회로소자를 교체하는 데 필요한 시간을 크게 감소시킨다. 본 발명 실시예의 이러한 장점 및 기타 이점 뿐만 아니라 추가적인 발명의 특징은 본 명세서에 제공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으로부터 자명해질 것이다.
하나의 양태에 있어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장치의 전선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패키징된 회로소자용 커넥터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패키징된 회로소자는 전면 및 후면 그리고 상기 면들 사이를 연장하는 복수의 측면을 구비한다. 패키징된 회로소자는 전면 및 후면 사이를 연장하는 중앙 축을 가지며, 패키징된 회로소자의 제 1 지점에 제 1 복수의 단자를 가지고 패키징된 회로소자의 제 2 지점에 제 2 복수의 단자를 가진다. 제 1 및 제 2 지점은 중앙 축보다 패키징된 회로소자의 측면에 더 가깝다. 제 1 및 제 2 복수의 단자는 제 1 배선 배향(orientation)을 가진다. 커넥터 연결구는 장착 축을 구비하는 커넥터 연결구 본체를 포함한다.
커넥터 연결구는 커넥터 연결구 본체의 제 1 지점에 있는 제 1 복수의 단자 수용부 및 커넥터 연결구 본체의 제 2 지점에 있는 제 2 복수의 단자 수용부를 포함한다. 제 1 및 제 2 복수의 단자 수용부는 제 1 배선 방향으로 제 1 및 제 2 복수의 단자를 수용하여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장착 축보다 커넥터 연결구의 측면에 더 가까운 커넥터 연결구 본체 상에 배열된다.
커넥터 연결구 본체는 커넥터 연결구 본체 상의 제 3 지점에 위치하는 배선 커넥터를 포함한다. 배선 커넥터는 패키징된 회로소자의 반경방향 최외곽면에 의해 형성된 최외곽 둘레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된다. 제 1, 제 2 및 제 3 지점은 커넥터 연결구 본체 상에서 상이한 위치이다. 배선 커넥터는 적어도 제 1 및 제 2 복수의 단자 수용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 2 배선 배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실시예에 있어서, 제 2 배선 배향은 제 1 배선 배향과 상이하다.
실시예에 있어서, 제 2 배선 배향은 제 1 배선 배향과 동일하여 전선이 장착 축 및 중앙 축에 평행하게 배선 커넥터를 빠져나가도록 한다.
실시예에 있어서, 제 2 배선 배향은 제 1 배선 배향에 횡방향 그리고 중앙 축 및 장착 축에 횡방향이어서 전선이 장착 축 및 중앙 축에 횡방향으로 배선 커넥터를 빠져나가도록 한다.
실시예에 있어서, 배선 커넥터는 RAST 5 커넥터이다.
실시예에 있어서, 배선 커넥터는 2 × 3 커넥터이다.
실시예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복수의 단자 수용부는 2 내지 10 개의 단자 수용부로 구성된다.
실시예에 있어서, 커넥터 본체는 제 1 및 제 2 복수의 단자 수용부의 각각의 하나와 배선 커넥터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형성하는 복수의 도전성 금속 블레이드를 포함하며, 도전성 금속 블레이드는 절연재로 덮혀 몰딩되어(over-molded) 커넥터 본체를 형성한다.
실시예에 있어서, 커넥터 연결구 본체는 상부면과 하부면을 포함하고, 제 1 및 제 2 복수의 단자 수용부는 패키징된 회로소자의 단자를 수용하도록 상부면 및 하부면 중 적어도 하나 위에 배열된다.
실시예에 있어서, 커넥터 연결구는 패키징된 회로소자에 장착될 때 패키징된 회로소자에 의해 발생되는 열이 통기되도록 배치된 중앙 개구를 구비한다. 제 1 및 제 2 복수의 단자 수용부 및 배선 커넥터가 중앙 개구 주위에 분포된다.
실시예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복수의 단자 수용부는 패키징된 회로소자에 장착될 때 패키징된 회로소자쪽으로 연장되는 장착 보스(mounting bosses)이다.
실시예에 있어서, 커넥터 본체는 상부면 및 하부면 사이를 연장하는 복수의 측면을 포함하고, 4 개의 측면 주변의 최외각 둘레는 패키징된 회로소자의 복수 측면 주변의 최외각 둘레보다 더 크다.
실시예에 있어서, 장착 보스는 패키징된 회로소자와 커넥터 연결구 사이에 공극(gap)을 제공하도록 배열되어, 커넥터 연결구 본체에 장착될 때, 패키징된 회로소자를 통기시킨다.
실시예에 있어서, 커넥터 연결구 본체가 패키징된 회로소자에 장착될 때, 커넥터 연결구 본체는 패키징된 회로소자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통기하도록 배치된 절개부(cut out)를 구비한다.
실시예에 있어서, 배선 커넥터는 오배선을 방지하기 위한 키잉(keying)을 제공하도록 배치된다.
실시예에 있어서, 배선 커넥터는 장치의 전선에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단독 연결 지점(sole connection location)을 제공한다.
실시예에 있어서, 패키징된 회로소자는 무한 스위치이다.
실시예에 있어서, 커넥터 연결구는 제 3 커넥터 연결구 본체 지점에 제 3 복수의 단자 수용부를 구비하여, 패키징된 회로소자 상의 제 3 지점에 있는 제 3 복수의 단자와 결합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다른 양태에 있어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기구의 무한 스위치용 커넥터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무한 스위치는 전면 및 후면, 그리고 전면 및 후면 사이를 연장하는 복수의 측면을 가진다. 무한 스위치는 중앙 개구를 구비한다. 복수의 단자는 제 1 배선 배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고 중앙 축 주위의 복수의 지점에 위치하는 복수의 단자를 구비한다. 커넥터 연결구는 장착 축을 구비하는 커넥터 연결구 본체를 포함한다. 복수의 단자 수용부가 커넥터 연결구 본체의 장착 축 주변에 분포되고 제 1 배선 배향으로 적어도 제1 및 제 2 단자를 수용하고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커넥터 연결구 본체 상에 배열된다.
또 다른 양태에 있어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기구용 커넥터 연결구 패키징된 회로소자 장치(a connector bridge packaged circuit element arrangement)에 관한 것으로, 커넥터 연결구 패키징된 회로소자 장치는 전면 및 후면, 전면 및 후면 사이를 연장하는 복수의 측면, 전면과 후면 사이를 연장하는 중앙 축 및 제 1 배선 배향을 갖는 복수의 단자를 구비하는 패키징된 회로소자를 포함한다. 커넥터 연결구 패키징된 회로소자 장치는 장착 축 그리고 상부면과 후면 사이를 연장하는 복수의 측면을 갖춘 상부면 및 하부면을 구비한 커넥터 연결구 본체를 포함하는 커넥터 연결구를 포함한다. 복수의 단자 수용부는 제 1 배선 방향으로 패키징된 회로소자의 복수의 단자를 수용하도록 배열된다. 커넥터 연결구 패키징된 회로소자 장치는 복수의 단자 수용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배선 커넥터를 포함한다. 커넥터 연결구 본체의 하부면은 패키징된 회로소자의 후면을 향하고, 패키징된 회로소자의 중앙 축과 커넥터 연결구의 장착 축을 따라 패키징된 회로소자로 압입되어, 단자, 복수의 단자 수용부 및 배선 커넥터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실시예에 있어서, 배선 커넥터는 기구의 전선이 중앙 축 및 장착 축에 대해 횡방향으로 또는 평행하게 빠져나갈 수 있도록 배열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른 양태, 목적 및 이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는 아래에서 상세 설명으로부터 자명해질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 연결구를 가지는 패키징된 회로소자는 이러한 커넥터 연결구가 없는 패키징된 회로소자보다 더 적은 공간을 차지한다. 또한 패키징된 회로소자를 교체하기 위해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부를 형성하는 첨부 도면은 본 발명의 여러 가지 양태를 도시하며, 본 명세서와 함께, 본 발명 실시예의 원리를 설명하는 역할을 한다.
도 1은 커넥터 연결구에 대한 일 실시예의 정면 우측 사시도이며, 제 1 패키징된 회로소자에 대한 분해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 2는 도 1의 커넥터 연결구를 나타내며, 제 1 패키징된 회로소자와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 3은 커넥터 연결구에 대한 제 2 실시예의 정면 좌측 사시도이며, 제 1 패키징된 회로소자에 대한 분해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 4는 도 3의 커넥터 연결구에 대한 정면 우측 사시도이며, 제 1 패키징된 회로소자와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 5는 커넥터 연결구에 대한 제 3 실시예의 정면 우측 사시도이며, 제 2 패키징된 회로소자와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 6은 커넥터 연결구에 대한 제 4 실시예의 정면 우측 사시도이며, 제 2 패키징된 회로소자와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 7은 커넥터 연결구에 대한 제 5 실시예의 정면 좌측 사시도이며, 제 2 패키징된 회로소자와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특정한 바람직한 실시예들과 연관하여 설명될 것이지만, 이러한 실시예로 제한하고자 하는 의도는 없다. 반대로, 본 발명은 모든 대안을 포함하며,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 정의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 포함되는 변형 및 균등물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패키징된 회로소자(102)용 커넥터 연결구(100)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다. 패키징된 회로소자(102)는, 예를 들어, 당업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유형으로, 스위치, 무한 스위치, 제어기 등을 포함한다. 도 1에서, 커넥터 연결구(100)는 회로소자(102) 상에 탑재되어 있지 않지만, 도 2에는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 연결구(100)가, 프레스의 장착 공정에 의해, 패키징된 회로소자(102) 상에 탑재되어, 기구(appliance) 또는 장치(device)로 설치되고 배선되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커넥터 연결구(100)에 의해 제공되는 장점들은 본 기술의 당업자에게는 즉시 자명하다. 커넥터 연결구(100)는 기구의 전기적 배선을 위한 단일 장착 지점(a single mounting location)을 제공한다. 커넥터 연결구(100)는 단자(118, 120, 122)에 대한 연결 방향을 재배향(reorientation)하는데, 패키징된 회로소자(102)에 의해 형성된 중앙 축(116)에 대략 평행한 방향으로부터 중앙 축(116)에 대략 수직한 방향의 배선 커넥터(142)로 재배향한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중앙 축(116)에 평행하게 재배향하거나 또는 다른 실시예들에서는 중앙 축(116)에 대해 횡방향으로 재배향할 수 있다. 이러한 재배향은 기구들의 OEM(original equipment manufacture)을 가능하게 하는데, 패키징된 회로소자(102)가 기구 내에 배치되어 추가적인 배선 및 공간 옵션을 제공하여 기구의 제조 비용이 감소될 수 있다. 또한, 재배향은 기존의 기구들에서 커넥터 연결구(100)를 갖는 패키징된 회로소자(100)의 사용을 가능하게 하여 오배선 없이 더 빠르고 더 신뢰할 수 있는 교체를 가능하게 한다. 이에 따라, 배선 커넥터(142)는 기구에서 나오는 전선에 키가 있는 연결(keyed connection)을 제공하여, 전선의 키가 있는 연결과 단일 장착 지점은 패키징된 회로소자를 기구에 오배선할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패키징된 회로소자(102)는 전면(104), 후면(110), 측면(106)을 가지며, 전면(104)과 후면(110) 사이에 상단부(112) 및 하단부(108)를 가진다. 패키징된 회로소자(102)가 6 개의 측부/면을 갖지만, 커넥터 연결구(100)의 실시예를 6 면 패키징된 회로소자(102)와 호환가능한 커넥터 연결구로 제한할 의도는 없다. 후속하는 실시로부터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는 바와 같이, 커넥터 연결구(100)의 실시예는 6 개 이상 또는 이하의 측면을 갖는 패키징된 회로소자(102)와 결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패키징된 회로소자(102)는 기구(미도시)의 버너 온도를 제어하기 위해 무한 스위치의 저항을 돌려서 제어하는 무한 스위치다. 무한 스위치(102)는 일반적으로 기구의 전면 뒤에 제한된 공간의 기구 내부에서 발견된다. 이러한 무한 스위치의 사용자는, 무한 스위치의 샤프트를 회전시킬 수 있는 기구 전면의 회전 다이얼을 이용하여 사용자 설정 조정치를 바탕으로 기구의 전기 가열 소자에 대한 에너지 양을 결정하고 제어한다. 따라서, 무한 스위치(102)는 전면(104)로부터 나와서 연장되는 샤프트(115)를 갖는다. 다른 패키징된 회로소자에는 샤프트(115)가 없을 수 있지만, 커넥터 연결구(100)를 쉽게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샤프트(115)가 있는 경우에만 발명의 구현 효과를 제한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대략 평행하고 대략 수직하다는 것은 5도 이내라는 것을 의미한다.
패키징된 회로소자(102)는 중앙 축(116)을 구비한다. 패키징된 회로소자(102)의 중앙 축(116) 주위에 분산되어 단자(118, 120, 122)들이 배열된다. 단자(118, 120, 122)는 1/4 인치의 신속 연결 단자일 수 있다. 다양한 치수의 단자(118, 120, 122)를 제공할 수 있으므로, 단자를 1/4인치 신속 연결 단자로 제한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보다 구체적으로, 단자(118)는 측면(106)에 대략 평행하게 제 1 패키징된 회로소자(102)에 위치하고 중앙 축(116)으로부터 측면(106)을 향하는 패키징된 회로소자(102)의 제 1 지점으로 연장되는 제 1 방사상 방향(124)에 위치한다. 여기서, 패키징된 회로소자(102)의 제 1 지점에 3 개의 단자(118)가 존재한다. 그러나, 패키징된 회로소자(102)의 제 1 지점의 단자(118)를 3 개로 제한하려는 의도는 없다. 패키징된 회로소자(102)의 제 1 지점에 3 개 이상 또는 3 개 이하의 단자(118)가 있을 수 있다.
또한, 패키징된 회로소자(102)의 제 1 지점은 중앙 축(116)에서 측면(106)까지 방사상 방향(124)으로 전체 거리(full distance)로 연장될 필요는 없지만 측면(106)의 소정 부분까지 방사상 방향(124)을 따라 일부 거리로 연장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1 개의 단자(118)는 패키징된 회로소자(102)의 단일 버스 또는 노드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2 개의 단자(118)는 패키징된 회로소자(102)의 다른 버스 또는 노드에 연결될 수 있다. 하지만, 연결의 다양한 조합이 가능한 한 단일 버스 또는 노드에만 접속하도록 단자(118)를 제한할 의도는 없다. 예를 들어, 3 개의 단자(118)의 각각은 패키징된 회로소자(102)의 상이한 노드에 연결될 수 있다.
단자(120)는 측면(112) 근처의 패키징된 회로소자(102)의 제 2 지점에 위치하는데, 이는 측면(106)의 반대편이고, 제 1 방사상 방향(124)의 반대편인 제 2 방사상 방향(125)이다. 여기서, 패키징된 회로소자(102)의 제 2 지점에 서로 떨어져 있는 3 개의 단자(120)가 있다. 그러나, 패키징된 회로(102)의 제 2 지점에 단자(120)를 3 개로 제한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제 2 패키징된 회로소자(102) 지점에 3 개 이상 또는 3 개 이하의 단자(120)가 있을 수 있다. 실제로, 전술한 바와 같이, 8 개의 단자(118, 120, 122)가 있을 수 있지만, 실시예에서는 8 개 이상 또는 이하의 개별 단자(118, 120, 122)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패키징된 회로소자(102)의 제 2 지점은 중앙 축(116)에서 측면(112)까지 방사상 방향(125)으로 전체 거리로 확장될 필요는 없지만 측면(112)의 어떤 부분까지 방사상 방향(125)을 따라 일부 거리로 연장된다. 여기서, 단자(120)는 패키징된 회로소자(102)의 분할(separate) 버스 또는 노드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패키징된 회로소자(102)의 노드에 대한 단자(120) 연결의 다양한 조합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3 개의 단자(120) 각각은 패키징된 회로소자(102)의 다른 노드에 연결할 수 있다.
단자(122)는 상단부(114) 근처의 패키징된 회로소자(102)의 제 3 지점에 위치하며, 중앙 축(116)으로부터 상단부(114)를 향해 패키징된 회로소자(102)의 제 3 지점으로 연장되는 제 3 방사성 방향(127)에 위치한다. 여기서, 패키징된 회로소자(102)의 제 3 지점에 2 개의 단자(122)가 존재한다. 하지만, 단자(122)를 패키징된 회로(102)의 제 3 지점에 2 개로 제한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패키징된 회로소자(102)의 제 3 지점에 2 개 이상 또는 2 개 이하의 단자(120)가 있을 수 있다.
패키징된 회로소자(102)의 제 3 지점은 제 1 방사상 방향(124) 및 제 2 방사상 방향(125)에 대하여 대략 수직인 제 3 방사상 방향(127)으로 연장될 수 있다. 하지만, 중앙 축(116)으로부터 상단부(114)까지의 전체 거리 사이의 제 3 방사상 방향(127)을 따른 어느 곳에나 위치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는 패키징된 회로소자(102)의 제 3 지점이 제 1 방사상 방향(124) 및 제 2 방사상 방향(125)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를 횡단하는 중앙 축으로부터 제 3 방사상 방향(127)을 따라 어느 곳에나 위치될 수 있다. 단자(118, 120)와 마찬가지로, 상기 단자(122)는 단일 버스 또는 노드에만 연결될 수 있거나, 또는 각각의 단자(122)가 패키징된 회로소자(102)의 분할 버스 또는 노드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패키징된 회로소자(102)의 노드에 단자(122)의 접속이 다양한 조합으로 가능하다. 하단부(108) 근처에 단자가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패키징된 회로소자(102)의 회로 및 전력 요구를 수용하도록 소정의 단자가 구비된 제 4 단자 지점이 제공될 수 있다.
기구 또는 장치로부터 패키징된 회로소자(102)로의 전기 배선을 위해, 단자(118, 120, 122)는 전기적 연결을 위한 제 1 배향(orientation)을 갖는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단자(118, 120, 122)는 평평한 금속 탭(tabs)으로, 오직 오직 제 1 배향으로만 대응되는 전기적 수용부의 수용을 가능하게 한다. 배향에 있어서, 연결 전선의 대응되는 전기적 수용부는 중앙 축(116)에 대략 평행인 방향으로 단자(118)에 장착된다.
배경 기술에서 논의한 바와 같이, 중앙 축(116)에 거의 평행인 제 1 배향으로 단자(118, 120, 122)에 전기적 연결을 하는 것은 수직 방향으로 너무 많은 공간을 차지할 수 있어 불리하다. 여기서, 수직방향은 전면(104)에서 후면(110)까지 연장된 방향을 의미하며, 결국 전선이 구불어질 수 있는 곳을 벗어난 방향을 의미한다. 하지만, 이러한 굽음은 상당히 많은 수직 거리가 지날 때까지 발생하지 않아서 기구 내에 전선 및 패키징된 회로소자(102)를 장착하는 것을 어렵게 한다.
후속되는 개시로부터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커넥터 연결구(100)의 실시예는 단자(118, 120, 122)가 중앙 축(116)에 대해 다양한 수와 지점으로 분산되어 있는 패키징된 회로소자와 결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커넥터 연결구(100)에 연결되는 단자(118, 120, 122)를 갖는 패키징된 회로소자(102)에 기구 또는 장치의 전선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커넥터 연결구(100)는 제 2 배향을 유리하게 제공한다, 제 2 배향에 의해, 중앙 축(116)에 대략 수직인 방향으로 기구 또는 장치의 전선이 커넥터 연결구(100)의 배선 커넥터(142)에 연결됨을 의미하며, 따라서 단자(118, 120, 122)에 대한 기구의 직접 연결이 대략 수직으로 된다는 의미이다. 상기 직접이라는 의미는 커넥터 연결구(100)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를 의미한다. 따라서 커넥터 연결구(100)에 의해 제공되는 제 2 배향은, 기구의 전선과 연결될 때, 패키징된 회로소자(102) 및 커넥터 연결구(100)의 수직 치수를 유리하게 감소시킨다.
따라서, 전선은 중앙 축(116)에 대략 수직인 방향으로 패키징된 회로소자(102)에 연결되고 분리된다(도 2 참조). 상기 대략의 의미는 어느 방향으로든 5 도 이내 인 것을 의미한다. 커넥터 연결구(100)에 대해 이어지는 설명에서 명백하게 되는 바와 같이, 수직 방향으로 제한하려는 의도는 아니며, 기구나 장치 내에 더 잘 장착할 수 있도록 중앙 축(116)에 평형하거나(도 7 참조) 또는 횡방향으로(도 2 참조) 전선이 패키징된 회로소자(102)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제 2 배향을 제공할 수 있다.
그러므로, 발명의 실시예는 패키징된 회로소자가 배치되는 기구나 장치에 근거하여 소망하는 대로 유리하게 커넥터 연결구를 배치할 수 있다. 실제로, 커넥터 연결구의 제조업체 또는 설치업자는 사용될 장치 또는 기구에 최적 맞춤이 되는 패키징된 회로소자(102)를 사용할 수 있도록 여러 개의 다른 커넥터 연결구를 가질 수 있다.
커넥터 연결구(100)는 커넥터 연결구 본체(126)를 포함한다. 커넥터 연결구 본체(126)는 상부면(128) 및 하부면(129)을 포함하며, 커넥터 연결구 본체(126) 최외곽 둘레 주위의 4 개의 측부(130, 131, 132, 133)를 구비한다. 커넥터 연결구 본체(126)를 4 개의 측부로 제한할 의도는 없다. 커넥터 연결구 본체(126)는 사용될 패키징된 회로소자(102)와 연결/교합하도록 4 개 이상 또는 4 개 이하의 측부를 가질 수 있다.
측부(130, 131, 132, 133)는 상부면(128)과 하부면(129) 사이에서 연장되어 재료의 두께(150)를 형성한다. 커넥터 연결구 본체(126)의 상부면(128)은 패키징된 회로소자(102)의 후면(110)과 결합하기 위해 유리하게 평평하여서, 도 2에 도시된 결합 형태로 조립할 때 패키징된 회로소자(102)와 커넥터 연결구(100)의 수직 치수를 최소화한다. 다시 말해,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키징된 회로소자(102)와 커넥터 연결구(100)의 결합시 수직 치수는 패키징된 회로소자(102)의 전면(104)으로부터 커넥터 연결구 본체(128)의 상부면(128)까지로 측정되는 거리를 의미한다.
따라서, 평평한 상부면(128)은 결합시 수직 방향에서 유리하게 공간을 적게 차지하여서 기구 또는 장치의 제한된 공간에 설치를 대단히 용이하게 한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의 관점에서 기구 또는 장치의 제조시에 기구에 제공되는 공간을 제조업자가 줄일 수 있다. 또한 패키징된 회로소자의 교체 또는 수리 중에 커넥터 연결구(100)를 사용하면 이전에 별도의 배선 또는 복수의 블록 커넥터가 기구 또는 장치를 패키징된 회로소자에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필요한 수직 크기가 줄어들어 기구 또는 장치에 쉽게 다시 장착할 수 있다.
커넥터 연결구 본체(126)는 중앙 개구(134)를 구비한다. 중앙 개구(134)는 패키징된 회로소자(102)의 통기를 유리하게 제공한다. 명확히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중앙 개구(134)는 커넥터 연결구(100)가 사용되려는 패키징된 회로소자에 제공되는 특정한 통기에 적합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중앙 개구(134)를 연결구 본체(126)를 통해 연장되는 단일의 중앙 개구로 한정할 의도는 없으며, 복수의 중앙 개구(134)가 다른 실시예들에서 제공될 수 있다.
단자 수용부(136, 138, 140)는 커넥터 연결구 본체(126)의 하부면(129)으로부터 연장되며 상부면(128)으로부터 멀어진다. 커넥터 연결구 본체(126)의 상부면 (128)은 이 상부면(128)을 넘어 연장되는 단자(118, 120, 122)를 허용하지 않는다. 그러나, 예를 들어 도 6과 같은 특정 실시예들에서, 상부면(128)을 통과해서 연장되는 패키징된 회로소자의 단자(118, 120, 122)가 허용되어, 원하는 추가 전기/전력 연결을 용이하게 한다.
패키징된 회로소자(102)에 고정될 때 평평한 상부면(128)은 패키징된 회로소자로부터 단자가 돌출하는 것을 허용하지 않기 때문에(도 2 참조), 패키징된 회로소자(102)의 전면(104)부터 커넥터 연결구 본체의 상부면(128)까지로 측정되는 수직 높이(152)가 유리하게 최소화된다. 단자 수용부(136, 138, 140)는, 패키징된 회로소자(102)의 단자(118, 120, 122)의 제 1 배향과 동일한 배향으로 결합하고, 단자(118, 120, 122)를 수용해서 이들 간의 전기적 연결을 형성할 수 있도록 커넥터 몸체(126)에 분산 배치된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제 1 지점에 3 개의 단자 수용부(136)가 있을 수 있다. 그러나, 제 1 지점에 단자 수용부(136)를 3 개로 제한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3 개 이상 또는 3 개 이하의 단자 수용부(136)가 제 1 지점에 존재할 수 있다. 실제로, 커넥터 연결구 본체(126)는 임의의 갯수의 단자 수용부(136, 138, 140)를 다수의 위치에 가질 수 있어서, 패키징된 회로소자(102)의 단자들을 결합/수용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3 개의 단자 수용부(138)가 커넥터 연결구 본체(126)의 제 2 지점에 위치될 수 있으며, 2 개의 단자 수용부(140)가 커넥터 연결구 본체(126)의 제 3 지점에 위치될 수 있다. 하지만, 방금 논의된 바와 같이, 실시예들은 제 2 지점 및 제 3 지점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단자 수용부(138, 140)의 수에 대하여 제한하려는 의도는 아니며, 도시된 형태보다 더 많거나 더 적은 단자 수용부(138, 140)가 제공될 수 있다.
커넥터 연결구(100)는 커넥터 연결구 본체(126)를 중앙 축(116) 및 커넥터 연결구(100) 장착 축(117)과 평행한 방향으로 가압하여 패키징된 회로소자(102)에 장착된다. 단자 수용부(136, 138, 140)는 단자(118, 120, 122)를 각각 수용한다. 단자 수용부(136, 138, 140)는 커넥터 연결구 본체(126)의 절연물에 의해 둘러싸인 금속 도전체로 구성되고, 역시 금속 도전체인 단자(118, 120, 12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단자(118, 120, 122)와 단자 수용부(136, 138, 140) 사이에 전기적인 연결이 형성된다.
각각의 단자(118, 120, 122)가 단자 수용부(136, 138, 140)에 수용될 필요는 없는데, 예를 들어, 패키징된 회로소자(102)의 단자(118) 중 2 개는 패키징된 회로소자(102)의 단일 노드 또는 버스에 접속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서, 노드/버스와 접촉하는 단자(118) 중 하나만 수용부(136)로 수용되면 된다.
커넥터 연결구 본체(126)는 커넥터 연결구 본체(126)의 하부면(129)으로부터 연장되고 커넥터 연결구 본체(126)의 상부면(128)으로부터 멀어지되는 배선 커넥터(142)를 구비한다. 배선 커넥터(142)는 커넥터 연결구 본체(126)의 일부일 수 있어서, 배선 커넥터(142) 및 커넥터 연결구 본체(126)가 함께 성형되고 모놀리식 (monolithic)으로 간주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배선 커넥터(142)는 단지 커넥터 연결구 본체(126)에 적층 통합될 수 있다. 배선 커넥터(142)는, 기구를 패키징된 회로소자(102)와 커넥터 연결구(100)의 조립체에 단일 지점에서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선(139) 단부 상의 키 구조체(146)를 수용하도록 키가 형성(keyed)된 수용부분(145)에 캐비티(cavity)를 구비한다.
배선 커넥터(142)는 RAST 5.0 표준 배선 커넥터를 이용할 수 있다. RAST 5 표준은 16 amp 연결, 5 mm 핀 간격 및 키잉(keying) 기능을 허용한다. 키잉 기능은 오배선을 방지한다. 더 구체적으로 말하면, 별개의 배선을 사용하여, 기구의 전선을 패키징된 회로소자(102)의 단자(118, 120, 122)에 전기적으로 연결하려는 경우에 기구의 전선이 패키징된 회로소자(102)의 잘못된 단자에 연결될 수가 있고 상술한 것처럼 배선 배향 때문에 기구 내에서 많은 공간을 차지할 수 있다. 그러나 배선 커넥터(142)를 구비한 커넥터 연결구 본체(126)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오배선이 유리하게 방지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배선 커넥터(142)는 기구의 모든 회로를 커넥터 연결구(100)에 연결하기 위한 단일 지점에 배열되어서 패키징된 회로소자(102)에 전기적 연결을 제공한다. 이 단일 지점은 패키징된 회로소자(102)의 각 단자(118, 120, 122)에 대한 다중 전기적 연결 지점에 비해 유리한데, 이는 상술한 바와 같은 오배선 방지 및 공간 절약 때문이다.
배선 커넥터(142)는 전선 하네스(harness), 복수의 채널을 갖는 기구에 설치되며, 패키징된 회로소자(102)로 연결을 원하는 기구 또는 장치의 전선 단부가 특정한 채널(143)의 배선 커넥터(142)에만 맞아 들어갈 수 있도록 설치된다. 이는 오직 단일 지점과 단일 배향으로 자물쇠에 맞게 들어갈 수 있는 키에 비유된다.
단일 지점에서의 단일 배선 커넥터(142)를 제공하는 것이 유리하지만, 하나 이상의 배선 커넥터(142)를 제공하는 실시예도 가능하다. 이러한 배선 커넥터(142)는 커넥터 본체(126)의 여러 측부 및 단부에 제공될 수 있어서, 소망하는 배선, 전기 및 전력 요구를 수용하고, 패키징된 회로소자(102)에 대한 기구 내의 가용 공간을 제공한다.
또한, 라인 커넥터에 관한 표준 RAST 5.0으로 개시된 실시예들로 배선 커넥터(142)를 제한할 의도는 없다. 실제로, 여러 실시예에서 배선 커넥터(142, 242, 342, 442)는 도 7에 도시된 배선 커넥터(542)와 같은 임의의 배선 커넥터 형태일 수 있다. 도 7은 배선 커넥터를 통해 기구로부터 커넥터 연결구(102, 202, 302, 402, 402, 502)에 회로선 및 전선 하네스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수용할 수 있는 2곱하기 3 (2 x 3) 옵션을 도시하고 있다. 실시예를 2 x 3 옵션으로만 한정할 의도는 없으며, 3 x 3 또는 더 넓은 단자 간격을 갖는 단일 열과 같이 다른 경우도 고려될 수 있다. 이러한 유형의 배선 커넥터(542)의 이점은 기구 배선에서 점퍼(jumper) 하네스를 제거할 수 있다는 점이다. 또한, 배선 커넥터(142, 242, 342, 442)는 주문형(custom) 커넥터일 수 있어, 기구 자체 내의 커넥터와 유리하게 결합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선 커넥터(142)는 장치 또는 기구의 전선(139)에서 배선 커넥터로 삽입하여 전기적 연결을 위한 단부가 되도록 구성되며, 단부는 중앙 축(116)에 대략 수직인 배선 커넥터(142)로부터 빠져나오는 것으로 고려될 수 있다. 따라서, 배선 커넥터(142)는 상술된 중앙 축(116)과 평행한 제 1 배향과는 상이한 제 2 배향으로 고려될 수 있다.
도 2는 기구 또는 장치의 전선(139) 단부를 연결하는 결합 연결소자(146)를 도시한다. 따라서, 결합 연결소자(146)는 중앙 축(116)에 대략 수직인 방향으로, 즉 제 2 배향으로, 배선 커넥터(142) 내로 수용된다. 특히 배선 커넥터(142)에 연결하는 지점에서 전선(139)이 중앙 축(116)에 수직으로 연장되도록 배선 커넥터(142)의 제 2 배향을 기구나 장치의 전선(139)을 정렬하는 방향으로 제한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배선 커넥터(142)는 그로부터 연장되는 전선를 수용하기 위해 제 1 배선 배향과 동일하거나 상이한 임의의 배선 배향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는, 배선 커넥터(142)를 횡방향으로 나오는 전선(139)일 수 있으며, 중앙 축(116)에 대해 평행하거나 또는 수직하거나 또는 수직과 평행 사이의 임의의 각도일 수 있다. 이런 점에서, 배선 커넥터(142)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탈출 각도(156)를 가지며, 이는 배선 커넥터(142)에 연결되어 배선 커넥터(142)로부터 나오는 전선의 배향을 결정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선 커넥터(142)의 탈출 각도(156)는, 중앙 축 (116)과 배선 커넥터(142)로부터 나오는 전선의 연장 방향 사이의 각도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도 2와 같이, 탈출 각도(156)는 중앙 축(116)에 대략 수직이다. 하지만, 커넥터 연결구(100)의 실시예는 중앙 축(116)에 대해 수직보다 크거나 더 작은 탈출 각도(156)을 가질 수 있으며, 따라서 중앙 축(116)을 횡단할 수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구의 전선은 중앙 축(116)에 평행하게 배선 커넥터(542)를 빠져나올 수 있다. 따라서, 단자(518, 520)에 의해 제공되는 배선 배향은 배선 커넥터(542)를 경유하는 커넥터 연결구(500)에 의해 제공되는 제 2 배선 배향(중앙 축에 모두 평행한)과 동일하다. 이는 기구의 공간 가용성에 따라 유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2 개의 패키징된 회로소자들이 나란히 배열되는 경우, 중앙 축에 평행하게 뻗어나오는 전선은 중앙 축(516)에 대해 수직으로 나오는 전선과 비교할 때 유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커넥터 연결구(100)는 단일 위치, 배선 커넥터 (142)를 유리하게 제공한다. 방금 논의된 바와 같이, 커넥터 연결구(100)는 중앙 축(116)에 대한 임의의 소망 출구 각도(배선 배향)(156)로 커넥터 연결구(100)로부터 빠져나가기 위해 전선이 기구의 배선 커넥터(142)를 경유하도록 하여, 패키징된 회로소자(102)가 연결된 커넥터 연결구(100)가 배치되는 기구에 제공되는 공간의 이점을 유리하게 취할 수 있다.
따라서, 탈출 각도(156)가 다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커넥터 연결구(100)와 패키징된 회로소자(102)가 사용되는 기구에서의 허용된 공간에 따라 배선 커넥터(142)의 위치도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여기서 전선은 측면(106)에서 나오지만, 커넥터 연결구(100)의 실시예는 반대 측면(112) 또는 상단부(114) 또는 하단부(108) 또는 후면(110)에서 전선이 나올 수 있는 점도 명확하다. 후면(110)에서 전선이 나오는 실시예의 경우, 수직 거리의 최소화가 이루어 질 수 없더라도, 커넥터 연결구(100)가 제공하는 장점은 전기적 연결이 단일 지점에서 이루어지는 점이고 배선 커넥터(142)가 제공하는 연결 지점에는 키(key)가 형성되어 오배선을 방지할 수 있는 점이다.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은 또 다른 실시예들에 있어서, 배선 커넥터(342, 542)가 하단부(308)를 따라 위치할 수 있으며, 기구의 전선 또는 전선 하네스와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채널 개구(343, 543)는 소망하는 임의의 방향으로 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의 채널 개구(343)은 전면(304)을 향하고 있지만, 채널 개구(343)은 사용되는 기구의 공간에 따라 임의의 방향으로 향할 수 있으며, 실제로, 비-제한적인 예로서, 도 7은 후면을 향하는 채널 개구(543)를 도시하며, 채널 개구(343)와는 반대 형태이다.
단일 지점이 전기적 연결을 위해 배선 커넥터(142)에 의해 제공되는 것으로 도시되지만, 원하는 경우 배선 커넥터(142)에 의해 제공되는 다양한 위치 및 탈출 각도로 더 많은 배선 위치가 가능하다는 것을 용이하게 알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 연결구(100)가 패키징된 회로소자(102)에 압입되면, 배선 커넥터(142)는 패키징된 회로소자(102)의 후면(110)과 전면(104) 사이에 유리하게 위치한다. 이러한 배열은 배선 커넥터(142)로 하여금 패키징된 회로소자(102)의 중앙 축(116)에 대략 수직으로 배선 커넥터(142)를 나오는 전선(139)을 구비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배향은 결합된 커넥터 연결구(100)와 패키징된 회로소자(102)가 전면(104)과 상부면(128) 사이의 수직 거리(152)를 넘어서는 추가적인 수직 공간을 차지하지 못하게 한다. 이는 전선(139)이 중앙 축(116)에 평행하게 연장되도록 단자(118, 120, 122)에 연결되어야 하고, 그래서 전면(104)과 상부면(128) 사이에 위치한 배선 커넥터(142)로 방금 설명한 배열보다 훨씬 더 많은 수직 거리를 차지하는 경우와 같은 커넥터 연결구(100)가 없는 경우가 아니다. 커넥터(142)의 위치 및 패키징된 회로소자(102)로부터 나오는 전선(139)의 재배향은 기구 또는 장치 내의 패키징된 회로소자(102)에 대해 제공되는 제한된 공간에 쉽게 장착할 수 있도록 한다.
배선 커넥터(142)는 커넥터 연결구 본체(126)의 단자 수용부(136, 138, 1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더 상세히 말하면, 도시된 실시예의 각 단자 수용부(136, 138, 140)는 커넥터 연결구 본체(126)와 단일 유닛을 형성하도록 오버 몰딩(over molding)되는 평평한 황동 블레이드(164)에 연결된다. 오버 몰딩은 절연 전기 커넥터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이해되는 바와 같은 플라스틱 절연 물질로 될 수 있으며, 또한 평평한 황동 블레이드는 이들이 연결될 패키징된 회로소자(102)의 회로들에 의해 요구되는 두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커넥터 연결구 본체(126)는 단자 수용부(136, 138, 140)를 배선 커넥터(142)에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도전성 블레이드를 감싸는 플라스틱 절연 재료로 이루어진다. 전기 단자(118, 120, 122)는 커넥터 연결구(100) 및 전기 단자(118, 120, 122)를 수용하는 단자 수용부(136, 138, 140)를 통해 연결 지점 및 배향이 재배치되는 점을 쉽게 알 수 있다. 여기에서, 커넥터 연결구 본체(126)의 전도성 블레이드는 횡방향으로 수용부(136, 138, 140)로 연장되어 전기적으로 수용부(136, 138, 140)를 배선 커넥터(142)에 연결한다. 모든 수용부(136, 138, 140)는 커넥터 연결구(100) 그리고 결국 패키징된 회로소자(102)에 전기적 연결을 위한 단일 지점을 제공한다.
따라서, 연결구 본체(126)의 평평한 황동 블레이드는 다양한 치수 및 균등한 도전성 특성을 가질 수 있으며, 이들이 연결되는 패키징된 단자 수용부의 전기 회로를 수용하기 위해, 예를 들어, 황동 이외의 금속일 수 있다. 패키징된 회로소자(102)에 커넥터 연결구(100)를 가압 장착하면, 기구 또는 장치의 전선(139) 또는 전선(139), 배선 커넥터(142), 커넥터 본체(126)의 내부에 있는 평평한 금속 블레이드, 연결구 본체(126)에 구비된 단자 수용부(136, 138, 140) 및 평평한 금속 블레이드, 그리고 패키징된 회로소자(102)의 단자(118, 120, 122) 사이의 전기적 연결이 형성된다.
단자 수용부(136, 138, 140)는 커넥터 연결구 본체의 상부면(128)으로부터 멀어지며 하부면(130)으로부터 연장되는 보스(boss) 구조체이다. 내부적으로 단자 수용부는 금속 전도성 물질을 가지며, 외측은 커넥터 연결구 본체(126)의 절연체에 의해 둘러싸여 있다. 도전성 금속이며 절연되지 않은 연장부(160)가 단자 수용부(136, 138, 140)로부터 연장된다. 연장부(160)는 하부면(130)과 상부면(128)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연장부(160)는 패키징된 회로소자(102)의 후면 (110)과 커넥터 연결구 본체(126)의 하부면(129) 사이의 공극(gap)을 제공한다. , 이 공극은 중앙 개구(134)와 협력하여 패키징된 회로소자(102)의 통기를 위한 공기 흐름을 용이하게 한다.
도 3 및 도 4는 패키징된 회로소자(202)에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 연결구 (200)의 제 2 실시예를 도시한다. 커넥터 연결구(200)는 상술된 커넥터 연결구 (100)와 많은 부분에서 유사하며, 차이점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될 것이다.
커넥터 연결구(200)는 패키징된 회로소자(202)의 외측을 둘러싸는 커넥터 연결구 본체(226)를 포함하며, 커넥터 연결구(200)가 중앙 축(216)을 따르면서 커넥터 연결구(200) 장착 축(217)에 평행하게 패키징된 회로소자(202)에 압입된다.
따라서, 커넥터 연결구 본체(226)에 형성된 중앙 개구(234)는 중앙 개구(134) 보다 크게 되어, 패키징된 회로소자(202)의 외측 둘레에 끼워맞춤을 용이하게 한다. 외측은 측면(206, 208, 212, 214)을 구비하는 패키징된 회로소자(102)의 최외각 둘레를 의미한다. 따라서, 커넥터 연결구(200)와 패키징된 회로소자(102)가 압입되면, 조립체의 최외각 둘레는 커넥터 연결구 본체(226)의 측부(230, 231, 232, 233)에 의해 한정된다.
커넥터 연결구 본체(226)는 노치(notches, 266)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는 커넥터 연결구 본체(226)와 패키징된 회로소자(202) 사이의 압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패키징된 회로소자(202)의 설부(tongues, 267)를 수용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단자 수용부(236, 238, 240)는 연결구(100)의 확장부(160)와 같은 확장부들을 갖지 않는다. 따라서, 커넥터 연결구(200)가 패키징된 회로소자(202)에 압입되면, 패키징된 회로소자(202)의 전면(204)의 배면(211)과 커넥터 연결구(200)의 하부면(229) 사이에는 훨씬 감소된 공극이 제공된다. 연장부(160)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그리고 보다 큰 중앙 개구(234) 때문에, 커넥터 연결구 본체(226)는 패키징된 회로소자(202)의 전면(204) 및 패키징된 회로소자(202)의 후면(110)에 의해 생성된 평면 표면들 사이에 둘러싸이고 수직으로 놓일 수 있다. 따라서, 패키징된 회로소자의 후면(210)은 커넥터 연결구(200)에 의해 완전히 커버되지 않아서, 후면(210) 냉각을 위한 공기 흐름이 커넥터 본체(100) 보다 더 크다.
또한, 연장부(160)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둘이 서로 압입된 경우, 배선 커넥터(242)는 패키징된 회로소자(102)의 후면(210) 위로 연장되지 않는다. 따라서, 전체 커넥터 연결구 본체(226) 및 배선 커넥터(242)는 패키징된 회로소자(202)의 전면(204)과 후면(210)에 의해 생성된 평면들 사이에 또는 적어도 동일 평면에 놓인다. 따라서, 이 실시예는 패키징된 회로소자(202)와 커넥터 연결구(200)가 조립된 것보다 더 적은 수직 거리(262)를 생성하여, 공간이 제한되는 기구 또는 장치에 좀 더 용이하게 장착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커넥터 연결구 (300)를 도시한다. 본 커넥터 연결구(300)는 상술한 커넥터 연결구(100)와 대부분의 관점에서 유사하고, 이들 차이들만이 논의될 것이다.
커넥터 연결구(300)는 커넥터 연결구 본체(126)와 달리 패키징된 회로소자(302)의 전체 후면(310)을 덮지 않는 커넥터 연결구 본체(326)를 갖는다. 커넥터 연결구 본체(326)는 측면(306), 하단부(308) 및 상단부(314)를 덮고, 측면(312)은 커넥터 연결구 본체 (3316) 에 의해 덮이지 않고 남아 있다. 측면(312)은 커넥터 연결구 본체(326)에 의해 덮이지 않는다. 측면(312)은 커넥터 연결구 본체(326)가 절개부(cut out)(334)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덮혀지지 않은 상태로 유지된다. 절개부(334)는 패키징된 회로소자(302)의 후면(310)으로부터 유리하게 열의 통기를 허용한다.
커넥터 연결구(300)는 패키징된 회로소자(302)의 제 1 지점 및 패키징된 회로소자(302)의 제 2 지점에서 단자(318)에 압입되도록 구성되며, 2 개의 단자 (318)만이 제 1 지점에 존재하지만, 실시예는 제 1 지점에 2 개 이상의 단자(318) 또는 2 개 이하의 단자(318)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3 개의 단자(320) 가 제 2 지점에 존재하지만, 실시예는 패키징된 회로소자(302)에 의해 정의된 중심 축(316) 주위에 분포되는 3 개 이상의 단자(320) 또는 3개 이하의 단자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는 또한 중앙 축(316) 주위의 다중 위치에 단자를 제공할 수 있다.
커넥터 연결구 본체(326)는 단자 수용부(336, 338)를 구비한다. 단자 수용부(336, 338)는 보스(boss) 구조이다. 이들은 패키징된 회로소자(302)로부터 멀어지게 연장된다. 단자 수용부(336, 338)는 상부면(328) 및 하부면(330)을 완전히 관통해서 연장되는 개구를 구비한다. 커넥터 연결구(300)가 패키징된 회로소자(302)에 압입(press fit)될 때, 단자(318, 320)는 단자(318, 320)로부터 먼 끝단을 제외하고 단자 수용부(336, 338)에 완전히 수용되어 둘러싸이기에, 필요에 따라 추가적인 전기적 연결을 수용할 수 있다. 따라서, 패키징된 회로소자(302)와 정합하는 모든 단자(316, 318)를 수용하기 위해 커넥터 연결구(300) 장착 축(317) 주위에 다수의 단자 수용부(336, 338)가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패키징된 회로소자(302)가 9 개의 회로에 대해 9 개의 단자를 갖는 경우, 커넥터 연결구(300)는 9 개의 단자 수용부(336, 338)를 가질 수 있다.
커넥터 본체(326)는 전기적 접속을 위한 단일 지점을 제공하는 배선 커넥터(342)를 구비한다. 따라서, 커넥터 연결구 본체(126)와 마찬가지로, 커넥터 연결구 본체(326)는 제 1 배향으로 단자(318, 320)를 수용하고, 중앙 축(316)에 평행하지만 전선 연결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단자(318, 320)와는 반대 방향으로 기구의 전선를 수용하는 제 2 배향으로 커넥터(342)를 통해 배향을 변경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커넥터(342)는 패키징된 회로소자(302)의 후면(310)과 전면(304) 사이에서 하단부(308)를 따라 형성된다. 그러나,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는 커넥터(342)가 측면(306) 또는 상단부(314)를 따라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배선 커넥터(342)는 조립된 커넥터 연결구(300)가 단일 지점 및 방향으로 패키징된 회로소자(302)에 압입되어 연결하기 위한 기구의 전선을 제공하며, 제 2 배향은 전선이 중앙 축(316)에 수직인 방향으로 연결되도록 하며, 기구 또는 장치의 제한된 공간에서 결합이 더 용이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커넥터 연결구(400)를 도시한다. 커넥터 연결구(400)는 상술한 커넥터 연결구(300)와 대부분의 관점에서 유사하고, 이들 차이만이 논의될 것이다. 커넥터 연결구 본체(426)는 단자 수용부(336, 340)와 다르게 보스 구조가 아닌 단자 수용부(436, 440)를 구비한다. 단자 수용부(436, 440)는 하부면(429) 및 상부면(428)을 완전히 관통하여 연장되는 개구를 구비하고, 상부면(428) 위 또는 하부면(429) 아래에 추가적인 구조는 없다.
따라서, 커넥터 연결구(400)가 패키징된 회로소자(402)에 압입될 때, 패키징된 회로소자(402)의 단자(418, 420)는 하부면(429) 및 상부면(428)을 완전히 관통하여 연장되며, 절연되지 않고 유리하게 남아서 상부면(428) 위로 연장되는 부분을 가지며 유리하게는 그곳으로 추가적인 전기적 연결을 허용한다. 또한, 배선 커넥터(442)는 패키징된 회로소자(402)의 측면(406)을 따라 위치되고, 중앙 축(416) 및 커넥터 연결구(400) 장착 축(417)에 수직인 방향으로 그리고 단일 지점에서 전기적 연결을 제공한다. 따라서, 배선 커넥터(442)는 중앙 축(416)에 평행한 제 1 배향으로부터 중앙 축(416)에 수직인 제 2 배향으로 단자(318, 320)의 전기적 연결을 재배향시킨다.
도 7은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커넥터 연결구(500)를 도시한다. 커넥터 연결구(500)는 상술한 커넥터 연결구(300)와 대부분의 관점에서 유사하고, 이들 차이만이 논의될 것이다. 커넥터 연결구 본체(526)는 단자 수용부(536, 538)를 구비하며, 단자 수용부는 패키징된 회로소자(502)의 단자(518, 520)에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전도성 금속을 둘러싸는 절연 물질로 된 보스 구조를 갖는다. 배선 커넥터(542)는 패키징된 회로소자(502)의 하단부로부터 약간 떨어져 이웃하게 위치한다. 기구로부터 전선를 수용하도록 배선 커넥터(542)는 단일 지점에서 그리고 중앙 축(516) 및 커넥터 연결구(500) 장착 축(517)에 평행한 배향으로 전기적 연결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단자(518, 520)의 배선 커넥터 배향은 동일하여, 중앙 축(516)에 평행하다. 하지만, 커넥터 연결구(500)는 5 개의 단자(518, 520)에 의해 제공되는 다수의 전기 접속 지점을 가지고 단일 전기 연결 지점이 배선 커넥터(542)에서 제공된다. 배선 커넥터(542)가 하단부(508) 너머로 연장된다는 관점에서 상단부(514)와 하단부(508) 사이의 거리가 연장되는 반면에, 배선 커넥터(542)는 후면(510)과 전면/장착면(504) 사이 및 하단부(508)의 옆에 위치하도록 오프셋되어 전면(504)과 후면(510) 사이에서 패키징된 회로소자(502)와 커넥터 연결구(500)가 결합하여 차지하는 수직 높이를 감소시킨다. 하지만, 전술한 바와 같이, 배선 커넥터는 기구의 전선이 희망되는 임의의 탈출 각도로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전선은 중앙 축(516)을 가로질러서, 중앙 축(516)과 평행하게 또는 평행과 수직 사이의 임의의 각도로 배선 커넥터에 수용되어서, 커넥터 연결구(500)가 사용되는 기구의 요구사항을 만족할 수 있다.
배선 커넥터(542)는 패키징된 회로소자의 수용되는 5 개 단자(518, 520)를 허용하여 결국 배선 커넥터(54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커넥터 연결구(500)의 단자 수용부(536, 538)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배선 커넥터(142, 242, 342, 442)와 마찬가지로, 기구의 복수 전기 전선이 단일 지점에서 그리고 커넥터 연결구(500)의 단일 방향으로 패키징된 회로소자(50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한다. 5 개의 단자(518, 520)가 도시되어 있지만, 실시예들은 기구의 연결을 위해 패키징된 회로소자(502)의 배선들에 대한 회로 수에 따라 5 개의 단자(518, 520) 이하이거나 또는 5개 단자 이상일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들에서, 커넥터 연결구(500)는 5 개 이상 또는 이하의 단자 수용부(536, 538)를 가질 수 있어서 패키징된 회로소자(502)에 의해 제공되는 다수의 단자(516, 518)를 수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인용된 간행물, 특허 출원 및 특허를 포함한 모든 참고문헌은 이에 각 참조가 개별적으로 그리고 특별히 참조에 의해 통합되고 여기에 전체적으로 명시되는 것과 동일한 정도로 통합된다.
발명을 기술하는 맥락(특히 후속되는 청구항의 맥락)에서 "a"와 "an"과 "the" 및 이와 유사한 지시대상의 사용은 여기에서 달리 명시되지 않거나 문맥에 의해 명확하게 모순되지 않는 한 단수와 복수 모두를 포괄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구성하는(comprising)", "구비하는(having)", "포함하는(including)", 및 "포함하는(containing)"이라는 용어는 달리 명시되지 않은 한 개방형 용어(즉, "제한은 없지만 포함"을 의미)로 해석해야 한다. 본 명세에 포함된 값의 범위를 인용하는 것은 달리 명시되지 않은 한, 범위에 속하는 각각의 개별 가치를 개별적으로 언급하는 속기 방법으로 사용되며, 각각의 개별 값은 본 명세서에 개별적으로 반영된 것처럼 통합된다. 여기에 기술된 모든 방법은 여기에 달리 명시되지 않거나 문맥에 의해 명확하게 모순되지 않는 한 적절한 순서로 수행될 수 있다. 여기에 제공된 모든 예 또는 예시적인 언어(예: "such as")의 사용은 단지 발명을 더 잘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달리 주장되지 않는 한 발명의 범위를 제한할 의도는 아니다. 명세서에 포함된 어떤 언어도 발명의 실시에 필수적인 비-청구(non-claimed) 소자를 나타내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발명자들에게 알려진 최상의 모드를 포함하여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다. 이러한 바람직한 실시예들의 변형은 전술한 설명을 읽은 당업자에게 명백할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당업자가 이러한 변형을 적절하게 사용할 것으로 생각하고,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이 구체적으로 설명된 것과 다르게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적용 가능한 법에 의해 허용되는 첨부된 청구항에 기재된 주제(subject matter)의 모든 변형 및 균등물을 포함한다. 또한, 모든 가능한 변형에 있어서 전술한 구성소자들의 임의의 조합은 여기에서 달리 명시되지 않거나 문맥에 의해 명확하게 모순되지 않는 한 본 발명에 포함된다.

Claims (21)

  1. 장치의 전선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패키징된 회로소자용 커넥터 연결구에 있어서,
    패키징된 회로소자는 전면 및 후면 그리고 상기 면들 사이를 연장하는 복수의 측면을 구비하고, 패키징된 회로소자는 전면 및 후면 사이를 연장하는 중앙 축을 가지며, 패키징된 회로소자의 제 1 지점에 제 1 복수의 단자를 가지고 패키징된 회로소자의 제 2 지점에 제 2 복수의 단자를 가지며, 제 1 및 제 2 지점은 중앙 축보다 패키징된 회로소자의 측면에 더 가깝고, 제 1 및 제 2 복수의 단자는 제 1 배선 배향을 가지며, 커넥터 연결구는,
    장착 축을 구비하는 커넥터 연결구 본체;
    커넥터 연결구 본체의 제 1 지점에 있는 제 1 복수의 단자 수용부 및 커넥터 연결구 본체의 제 2 지점에 있는 제 2 복수의 단자 수용부로서, 제 1 배선 방향으로 제 1 및 제 2 복수의 단자를 수용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해 장착 축보다 커넥터 연결구의 측면에 더 가까운 커넥터 연결구 본체 상에 배열되는 상기 제 1 및 제 2 복수의 단자 수용부;
    커넥터 연결구 본체 상의 제 3 지점에 위치하며, 패키징된 회로소자의 반경방향 최외곽면에 의해 형성된 최외곽 둘레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배선 커넥터;를 포함하고,
    제 1, 제 2 및 제 3 지점은 커넥터 연결구 본체 상에서 상이한 위치이며, 배선 커넥터는 제 1 및 제 2 복수의 단자 수용부 각각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 2 배선 배향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점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연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제 2 배선 배향은 제 1 배선 배향과 상이한 점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연결구.
  3. 제 1 항에 있어서, 제 2 배선 배향은 제 1 배선 배향과 동일하여 전선이 장착 축 및 중앙 축에 평행하게 배선 커넥터를 빠져나갈 수 있도록 하는 점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연결구.
  4. 제 1 항에 있어서, 제 2 배선 배향은 제 1 배선 배향에 횡방향 그리고 중앙 축 및 장착 축에 횡방향이어서 전선이 장착 축 및 중앙 축에 횡방향으로 배선 커넥터를 빠져나갈 수 있도록 하는 점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연결구.
  5. 제 1 항에 있어서, 배선 커넥터는 RAST 5 커넥터인 점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연결구.
  6. 제 1 항에 있어서, 배선 커넥터는 2 × 3 커넥터인 점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연결구.
  7.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복수의 단자 수용부는 2 내지 10 개의 단자 수용부를 포함하는 점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연결구.
  8. 제 1 항에 있어서, 커넥터 본체는 제 1 및 제 2 복수의 단자 수용부의 각각의 하나와 배선 커넥터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형성하는 복수의 도전성 금속 블레이드를 포함하며, 도전성 금속 블레이드는 절연재로 덮혀 몰딩되어 커넥터 본체를 형성하는 점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연결구.
  9. 제 8 항에 있어서, 커넥터 연결구 본체는 상부면과 하부면을 포함하고, 제 1 및 제 2 복수의 단자 수용부는 패키징된 회로소자의 단자를 수용하도록 상부면 및 하부면 중 적어도 하나 위에 배열되는 점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연결구.
  10. 제 9 항에 있어서, 커넥터 연결구는 패키징된 회로소자에 장착될 때 패키징된 회로소자에 의해 발생되는 열이 통기되도록 배치된 중앙 개구를 구비하고, 제 1 및 제 2 복수의 단자 수용부 및 배선 커넥터가 중앙 개구 주위에 분포되는 점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연결구.
  11. 제 9 항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복수의 단자 수용부는 패키징된 회로소자에 장착될 때 패키징된 회로소자쪽으로 연장되는 장착 보스 (mounting bosses)인 점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연결구.
  12. 제 10 항에 있어서, 커넥터 본체는 상부면 및 하부면 사이를 연장하는 복수의 측면을 포함하고, 4 개의 측면 주변의 최외각 둘레는 패키징된 회로소자의 복수 측면 주변의 최외각 둘레보다 더 크다는 점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연결구.
  13. 제 10 항에 있어서, 장착 보스는 패키징된 회로소자와 커넥터 연결구 사이에 공극(gap)을 제공하도록 배열되어, 커넥터 연결구 본체에 장착될 때, 패키징된 회로소자를 통기시키는 점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연결구.
  14. 제 1 항에 있어서, 커넥터 연결구 본체가 패키징된 회로소자에 장착될 때, 커넥터 연결구 본체는 패키징된 회로소자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통기하도록 배치된 절개부(cut out)를 구비하는 점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연결구.
  15. 제 1 항에 있어서, 배선 커넥터는 오배선을 방지하기 위한 키잉(keying)을 제공하도록 배치되는 점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연결구.
  16. 제 1 항에 있어서, 배선 커넥터는 장치의 전선에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단독 연결 지점을 제공하는 점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연결구.
  17. 제 1 항에 있어서, 패키징된 회로소자는 무한 스위치인 점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연결구.
  18. 제 1 항에 있어서, 커넥터 연결구는 커넥터 연결구 본체의 제 3 지점에 제 3 복수의 단자 수용부를 구비하여, 패키징된 회로소자 상의 제 3 지점에 있는 제 3 복수의 단자와 결합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점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연결구.
  19. 기구의 무한 스위치용 커넥터 연결구에 있어서,
    무한 스위치는 전면 및 후면, 그리고 전면 및 후면 사이를 연장하는 복수의 측면을 가지며, 무한 스위치는 중앙 개구, 제 1 배선 배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며 중앙 축 주위의 복수의 장소에 위치하는 복수의 단자를 구비하며, 커넥터 연결구는,
    장착 축을 구비하는 커넥터 연결구 본체;
    커넥터 연결구 본체의 장착 축 주변에 분포되어 제 1 배선 배향으로 적어도 제1 및 제 2 단자를 수용하고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단자 수용부;
    커넥터 연결구가 패키징된 회로소자에 장착될 때, 패키징된 회로소자의 반경방향 최외측면으로 한정되는 최외측 둘레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커넥터 연결구 본체 상의 배선 커넥터;를 포함하고
    배선 커넥터는 복수의 단자 수용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 2 배선 배향을 제공하는 점을 특징으로 하는 무한 스위치용 커넥터 연결구.
  20. 기구용 커넥터 연결구 패키징된 회로소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전면 및 후면, 전면 및 후면 사이를 연장하는 복수의 측면, 전면과 후면 사이를 연장하는 중앙 축 및 제 1 배선 배향을 갖는 복수의 단자를 구비하는 패키징된 회로소자;
    장착 축 그리고 상부면과 후면 사이를 연장하는 복수의 측면을 갖춘 상부면 및 하부면을 구비한 커넥터 연결구 본체를 포함하는 커넥터 연결구;
    커넥터 연결구 본체에 구비되고, 제 1 배선 방향으로 패키징된 회로소자의 복수의 단자를 수용하도록 배열된 복수의 단자 수용부;
    복수의 단자 수용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커넥터 연결구 본체의 배선 커넥터; 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커넥터 연결구 본체의 하부면은 패키징된 회로소자의 후면을 향하고, 패키징된 회로소자의 중앙 축과 커넥터 연결구의 장착 축을 따라 패키징된 회로소자로 압입되어서, 단자, 복수의 단자 수용부 및 배선 커넥터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점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연결구 패키징된 회로소자 장치.
  21. 제 20 항에 있어서, 배선 커넥터는 기구의 전선이 중앙 축 및 장착 축에 대해 횡방향으로 또는 평행하게 빠져나갈 수 있도록 배열되는 점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연결구 패키징된 회로소자 장치.
KR1020180165046A 2017-12-22 2018-12-19 커넥터 연결구 KR10261911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5/852,066 2017-12-22
US15/852,066 US10374338B2 (en) 2017-12-22 2017-12-22 Connector bridg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6873A true KR20190076873A (ko) 2019-07-02
KR102619116B1 KR102619116B1 (ko) 2023-12-29

Family

ID=669507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5046A KR102619116B1 (ko) 2017-12-22 2018-12-19 커넥터 연결구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374338B2 (ko)
KR (1) KR102619116B1 (ko)
CN (1) CN109961968B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10914B1 (en) * 2004-08-11 2005-06-28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Shielded cable end connector assembly
US20080207062A1 (en) * 2006-06-12 2008-08-28 Byrne Norman R Ac/dc raceway assembly
US20080254661A1 (en) * 2005-04-29 2008-10-16 Byrne Norman R Center Connect Single-Sided Junction Block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03713A (en) * 1989-08-16 1993-04-20 Amp Incorporated Power distribution system for modular furniture unit
US5067952A (en) * 1990-04-02 1991-11-26 Gudov Vasily F Method and apparatus for treating malignant tumors by local hyperpyrexia
US5203712A (en) * 1992-01-17 1993-04-20 Amp Incorporated Circuit wiring device
US5595495A (en) * 1994-05-19 1997-01-21 Haworth, Inc. Electrified interior space-dividing members with low-voltage switching system
US6478602B1 (en) * 2000-11-01 2002-11-12 Pent Products, Inc. Retainer clip for an electrical distribution assembly
US6543940B2 (en) * 2001-04-05 2003-04-08 Max Chu Fiber converter faceplate outlet
JP4348059B2 (ja) * 2002-08-30 2009-10-21 矢崎総業株式会社 布線シートおよび電気接続箱ならびに電線の切断方法
ITTO20050089A1 (it) * 2005-02-16 2006-08-17 Fci Italia S P A Connettore elettrico
JP4903630B2 (ja) * 2007-05-21 2012-03-28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コネクタ及び電気的接続装置
EP2462607B1 (en) * 2009-08-04 2012-10-31 Abb Ab A switching device
US8845364B2 (en) * 2013-02-27 2014-09-30 Molex Incorporated High speed bypass cable for use with backplanes
US9805995B2 (en) * 2014-01-24 2017-10-31 Kyocera Corporation Element-accommodating package and mounting structure
US9653860B2 (en) * 2015-05-06 2017-05-16 Mark Hestrin Ultrabox receptacle box
JP6568723B2 (ja) * 2015-06-01 2019-08-28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防水コネクタ
TWM517441U (zh) * 2015-09-22 2016-02-11 Well Shin Technology Co Ltd 電源插座及具有該電源插座的插座總成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10914B1 (en) * 2004-08-11 2005-06-28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Shielded cable end connector assembly
US20080254661A1 (en) * 2005-04-29 2008-10-16 Byrne Norman R Center Connect Single-Sided Junction Block
US20080207062A1 (en) * 2006-06-12 2008-08-28 Byrne Norman R Ac/dc raceway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961968A (zh) 2019-07-02
KR102619116B1 (ko) 2023-12-29
US20190199015A1 (en) 2019-06-27
CN109961968B (zh) 2023-06-30
US10374338B2 (en) 2019-08-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17257B2 (en) Connection device for an electrical machine
US20060262442A1 (en) Stator for an electric motor
WO2015180956A1 (en) Induction coil assembly and induction hob comprising an induction coil assembly
KR20160010478A (ko) 지지 요소에 수용된 온도 센서를 포함하는 전기장치
US10249414B2 (en) Connecting electrical equipment through wiring harnesses
US9705308B2 (en) Power strip, power plug, and power outlet
EP3093926B1 (en) Power plug including temperature sensors
US4650969A (en) Electric hotplate
EP2553350B1 (en) Electric air heater, in particular for electrical domestic appliances
EP0029328A1 (en) Electric motor construction
AU2020247076B2 (en) Circuit board for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KR20190076873A (ko) 커넥터 연결구
US9825411B2 (en) Power cable connector assembly
US9680269B2 (en) Electrical contactor with header connectors
US9960563B2 (en) Connecting electrical equipment through wiring harnesses
US3197617A (en) Electric heating unit and connector assembly therefor
US6172303B1 (en) Electrical terminal with integral PTC element
US6457981B1 (en) Wiring unit and electric junction box
CN108448823B (zh) 一种泵机组
KR20120116721A (ko) 콘센트
US1100505A (en) Electric outlet-fitting.
KR20180092343A (ko) 더미 플러그를 갖는 콘센트 직접 고정형 멀티탭
JP2023096729A (ja) 固定部材及びそれを備えた給湯機
EP2365587B1 (en) Electric power distribution box feeding the circuits of an electrical appliance
WO2021007850A1 (en) Adapter unit for an electrical component and assembly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