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76860A - 텐셔너 - Google Patents

텐셔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76860A
KR20190076860A KR1020180159983A KR20180159983A KR20190076860A KR 20190076860 A KR20190076860 A KR 20190076860A KR 1020180159983 A KR1020180159983 A KR 1020180159983A KR 20180159983 A KR20180159983 A KR 20180159983A KR 20190076860 A KR20190076860 A KR 201900768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nger
relief
oil
cap member
valv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99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26376B1 (ko
Inventor
요시타카 이와사키
마사노리 와타나베
오사무 요시다
유지 쿠레마츠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쯔바기모도체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쯔바기모도체인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쯔바기모도체인
Publication of KR201900768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68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63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63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16H7/084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with means for impeding reverse mo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16H2007/0802Actuators for final output members
    • F16H2007/0806Compression coil sp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16H2007/0802Actuators for final output members
    • F16H2007/0812Fluid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16H7/084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with means for impeding reverse motion
    • F16H2007/0859Check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16H2007/0876Control or adjustment of actuators
    • F16H2007/0878Disabling during transpo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Conveying Motion By Means Of Endless Flexible Members (AREA)
  • Safety Valves (AREA)

Abstract

[과제] 구조가 간단하고, 조립도 용이하고, 또한, 유로 저항도 적고 리크 시의 압력 개방을 원활히 하여 압유실 내의 오일압을 양호하게 안정시키는 것이 가능한 텐셔너를 제공하는 것이다. [해결 수단] 릴리프 밸브 유닛(151)이, 시트 부재(152)에 감합하여 시트 부재(152) 내부에 스토퍼 부재(155)를 보관 유지하는 캡 부재(156)를 갖고, 플런저혈(122)의 릴리프측 공간(126)과 플런저(120)의 외부를 연통시키는 외부 릴리프공(123)이, 플런저(120)의 지름 방향의 외주면 측으로 개구되고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텐셔너{TENSIONER}
본 발명은, 주행하는 체인이나 벨트 등에 적정 장력을 부여하는 텐셔너에 관한 것이다.
종래, 체인 등의 장력을 적정하게 보관 유지하기 위해서 텐셔너를 이용하는 것이 관용되고 있고, 예를 들면, 엔진룸 내의 크랭크축과 캠축의 각각에 설치한 스프로켓(sprocket) 간에 무단으로 걸린 롤러 체인 등의 전동 체인을 텐셔너 레버에 의해서 접동 안내를 실시하는 체인 가이드 기구에서, 체인 등의 장력을 적정하게 보관 유지하기 위해서, 텐셔너에 의해서 텐셔너 레버를 부세하는 것이 공지이다.
이러한 체인 가이드 기구에 이용되는 공지의 텐셔너로서, 도 18에 나타내듯이, 후방 측으로 개구된 플런저혈(522)을 갖는 플런저(520)와, 플런저(520)를 수용하는 전방 측으로 개구된 플런저 수용혈(531)을 갖는 하우징(530)과, 압유실(511) 내의 오일압이 높아졌을 때에 압유실(511)의 오일을 플런저(520) 밖으로 릴리프 하는 릴리프 기구(550)와, 플런저(520) 및 플런저 수용혈(531) 사이에 형성되는 압유실(511)에 신축 자재로 수납되어 플런저(520)를 전방 측을 향하여 부세하는 메인 스프링(560)을 구비하는 텐셔너(510)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을 참조).
이 특허문헌 1에 기재의 텐셔너(510)에서는, 플런저(520)의 저부에, 압유실(511)에 연통하는 압력 통로(pressure passage)(524)와, 압력 통로(524)와 플런저(520)의 외부를 연통하는 유출구(523)와, 압력 통로(524)의 전방 측에 형성된 용수철 수용실(525)이 형성되고, 또, 릴리프 기구(relief valve mechanism)(550)가, 압력 통로(524)에 접동 자재로 감삽되는 밸브 본체(551)와, 용수철 수용실(525) 내에 배치되어 밸브 본체(551)를 압유실(511) 측을 향하여 부세하는 릴리프 스프링(552)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텐셔너(510)에서는, 압유실(511) 내의 오일압이 높아졌을 때에, 릴리프 스프링(552)의 부세력에 저항하여 밸브 본체(551)가 전방 측을 향하여 이동하고, 압력 통로(524)가 유출구(523)와 연통하고, 유출구(523)로부터 오일이 릴리프 된다.
이러한 텐셔너(510)에서는, 플런저(520)의 구조가 복잡하고, 가공 정밀도가 요구되어, 조립도 복잡하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거기서, 릴리프 밸브(relief valve)를 유닛화 하여 플런저 내에 삽입하도록 하고, 플런저에는 릴리프 된 오일을 외부로 배출하는 외부 릴리프공을 설치함으로써, 플런저의 구조를 간소화하여, 조립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 공지이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2 등 참조.).
이 특허문헌 2 기재의 텐셔너(610)에서는, 도 19(특허문헌 2의 FIG.1의 일부)에 나타내듯이, 플런저(620)(16)의 전방 측에 릴리프 밸브 유닛(651)(48)이 삽입되고, 릴리프 밸브 유닛(651)(48)의 캡 부재(656)에 설치된 오일 리크부(671)와, 플런저(620)(16)의 전방 측으로 개구된 외부 릴리프공(623)(16b)이 직접 접속되고, 릴리프 된 오일이 플런저(620)(16) 전방에서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 특개2001-12569호 공보 국제 특허공개 제2016/109165호 공보
그런데, 특허문헌 2에 기재의 텐셔너(610)에서는, 플런저(620)(16)의 전방 측으로 개구된 외부 릴리프공(623)(16b)이 중심축 상에 설치되고, 그와 직접 접속하는 오일 리크부(oil leak part)(671)도 중심축 상에 설치되고 있다.
또, 밸브 볼(653)(48)의 이동 범위를 규제하는 스토퍼 부재(655)도 중심축 상에 설치되고 있기 때문에, 밸브 볼(653)(48)이 시트 부재(652)로부터 멀어져 릴리프 된 오일을 외부 릴리프공(623)(16b)으로부터 배출하기 위해서는, 스토퍼 부재(655)의 측방으로부터 중심으로 향하는 오일 경로를 확보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스토퍼 부재(655)의 캡 부재(656) 측은, 측면에서 중앙을 향해서 오일을 통과할 수 있는 복잡한 형상이 됨과 동시에, 유로 저항이 커져서, 릴리프 시의 압력 개방의 방해가 되는 우려가 있었다.
또, 외부 릴리프공(623)(16b)은, 플런저(620)(16)의 전방 측으로 개구되고 있기 때문에, 플런저(620)(16)에 의해서 압압되는 가이드 레버 등의 압압면이 직접 외부 릴리프공(623)(16b)에 당접하게 되어, 그것도 유로 저항을 크게 하여, 릴리프 시의 압력 개방의 방해가 되는 우려가 있었다.
거기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으로, 구조가 간단하고, 조립도 용이하고, 또한, 유로 저항도 적고 리크 시의 압력 개방을 원활히 하여 압유실 내의 오일압을 양호하게 안정시키는 것이 가능한 텐셔너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후방 측으로 개구된 플런저혈을 갖는 플런저와, 상기 플런저를 수용하는 전방 측으로 개구된 플런저 수용혈을 갖는 하우징과, 상기 플런저 및 상기 플런저 수용혈의 사이에 형성되는 압유실에 신축 자재로 수납되어 상기 플런저를 전방 측을 향하여 부세하는 메인 부세 수단과, 상기 압유실 내의 오일압이 높아졌을 때에 상기 압유실 내의 오일을 상기 플런저 밖으로 릴리프 하는 릴리프 기구를 구비하는 텐셔너이며, 상기 릴리프 기구는, 상기 플런저혈의 전방 측에 삽입되는 릴리프 밸브 유닛과, 상기 플런저혈의 상기 릴리프 밸브 유닛의 릴리프측 공간과 상기 플런저의 외부를 연통시키는 외부 릴리프공을 구비하고, 상기 릴리프 밸브 유닛이, 시트 부재와, 상기 시트 부재의 내부에 수용되는 밸브 볼과, 상기 밸브 볼을 부세하는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을 보관 유지함과 동시에 상기 밸브 볼의 이동 범위를 규제하는 스토퍼 부재와, 상기 시트 부재에 감합하여 시트 부재 내부에 상기 스토퍼 부재를 보관 유지하는 캡 부재를 갖고, 상기 외부 릴리프공이, 상기 플런저의 지름 방향의 외주면 측으로 개구되어 있는 것으로,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본 청구항 1에 따른 발명에 의하면, 압유실 내의 오일압이 상승했을 때에, 오일압에 의해서 밸브 부재를 압유실측으로부터 이간할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밸브 부재와 구획부 사이를 통해서, 압유실로부터 릴리프 공간을 향해서 오일을 릴리프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하에 기재한 효과를 상주한다.
즉, 본 청구항 1에 따른 발명에서는, 캡 부재가, 릴리프 된 오일을 릴리프측 공간으로 배출하는 오일 리크부를 갖고, 플런저의 외부 릴리프공이, 플런저의 지름 방향의 외주면 측으로 개구되어 있으므로, 오일 리크부는 플런저의 외부 릴리프공에 연결되는 공간과 연통하고 있으면 좋고 중심축 상에 설치할 필요가 없다.
이것으로, 릴리프 된 오일을 중심으로 향하게 하기 위한 오일 경로를 확보할 필요가 없고, 스토퍼 부재의 구조를 단순화 가능하고, 구조가 간단하고, 조립도 용이하며, 한편, 유로 저항도 적고 리크 시의 압력 개방을 원활히 실시할 수 있다.
또, 플런저의 외부 릴리프공이 플런저의 지름 방향의 외주면 측으로 개구되어 있으므로, 외부 릴리프공의 전방에 가이드 레버 등의 차폐물이 없고, 오일을 배출하는 경로의 유로 저항을 줄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청구항 2에 따른 구성에 의하면, 오일 리크부가, 릴리프 된 오일을 직접 지름 방향으로 배출하는 측방 개방부를 가지므로, 플런저의 외부 릴리프공에 연결되는 공간을 전방 측에 설치할 필요가 없고, 더 유로 저항이 적고 리크 시의 압력 개방을 원활히 실시할 수 있다.
또, 플런저의 선단 판 두께를 얇게 가능하고, 플런저가 경량화됨과 동시에, 스프링 스페이스를 길게 하거나, 전체 길이를 단축할 수 있다.
본 청구항 3에 따른 구성에 의하면, 오일 리크부는, 측방 개방부의 중간부에서 둘레 방향으로 횡단하는 연결부를 가지므로, 오일을 측방으로 리크되는 오일 리크부의 상방과, 캡 부재를 시트 부재에 감합시킬 때의 휨 슬릿으로 작용하는 오일 리크부의 하방을 기능 분리할 수 있다.
이것으로, 오일 리크부의 둘레 방향의 폭을 넓게 해도, 감합시켰을 때의 보관 유지력을 강화하는 것이 가능해져서, 강한 충격을 받았을 때에도 캡 부재가 이탈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본 청구항 4에 따른 구성에 의하면, 천면 개방부가, 연결부보다 상방의 측방 개방부의 둘레 방향의 폭보다 큰 폭으로 형성되고 있으므로, 천면 개방부를 외주 측에 밀접하게 배치하는 것이 가능해져서, 천면 측을 향하는 릴리프 된 오일의 유로 면적을 확보하여 원활한 오일 리크를 가능하게 함과 동시에, 스토퍼 부재에 대한 수압면적도 확보하는 최적인 구멍 형상으로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청구항 5에 따른 구성에 의하면, 오일 리크부의 사이의 외주면에 설치된 정류 철부(整流凸部, flow adjusting protrusion)를 가지므로, 릴리프 된 오일의 외주 방향의 흐름을 억제하고, 난류를 막아 원활한 오일 리크를 가능하게 함과 동시에, 릴리프 밸브 유닛을 플런저 내부에 삽입 시의 가이드 성이 향상되고, 조립이 용이해진다.
본 청구항 6에 따른 구성에 의하면, 캡 부재가, 상기 시트 부재에 대한 감합을 보관 유지하는 계합 돌기부(engagement protrusion)를 갖고, 시트 부재가, 계합 돌기부와 계합하여 캡 부재의 감합을 보관 유지하기 위한 계합 요부를 가지므로, 텐셔너의 조립 시에, 릴리프 밸브 유닛을 조립한 후에 플런저혈의 내부에 삽입할 수 있어 조립이 용이해진다.
본 청구항 7에 따른 구성에 의하면, 계합 요부는, 플런저의 돌출 방향의 복수의 위치에서 캡 부재를 보관 유지 가능하게 설치되고 있으므로, 텐셔너의 조립 시에, 밸브용의 강한 스프링을 크게 압축하지 않고 캡 부재를 얕게 감합시켜서, 릴리프 밸브 유닛을 일체화한 후에, 플런저혈의 내부에 삽입하여 깊게 감합시키는 것이 가능해져서, 더 조립이 용이해진다.
또, 돌출측의 캡 부재를 얕게 감합시키는 계합 요부의 깊이를, 깊게 감합시키는 계합 요부의 깊이보다 깊게 함으로써, 플런저혈의 내부에 삽입할 때, 계합 요부가 깊기 때문에, 캡 부재의 외경이 작은 상태가 되어 안쪽(奧)까지 원활히 삽입 가능하고, 깊게 감합시키는 계합 요부에 감합시켰을 때에는, 계합 요부가 얕기 때문에, 캡 부재의 외경을 플런저혈의 내부에서 플런저에 대해서 경압입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외경으로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청구항 8에 따른 구성에 의하면, 캡 부재가, 플런저 내부에 수용되었을 때에 플런저혈의 내벽과 당접하는 외면 돌출부를 가지므로, 시트 부재의 계합 요부와 캡 부재의 계합 돌기부의 계합 구조가 얕은 경우에서도, 플런저 내부에서 어긋나는 것이 방지되기 때문에, 조립 시의 시트 부재의 계합 요부와 캡 부재의 계합 돌기부의 계합 작업이 용이해진다.
또, 릴리프 밸브 유닛을 외면 돌출부의 경압입 상태로 플런저 내부에 고정하도록 구성하고, 외면 돌출부를 둘레 방향으로 단속적으로 설치함으로써, 시동 시의 압유실의 에어 누락성(air bleeding performance)이 향상된다.
본 청구항 9에 따른 구성에 의하면, 캡 부재의 외면 돌출부가, 릴리프 밸브 유닛을 플런저혈 내에 삽입했을 때에 릴리프 밸브 유닛을 경압입 상태로 보관 유지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있으므로, 릴리프 밸브 유닛이 플런저혈 내에 삽입된 상태로 어긋나지 않고 유지되기 때문에, 다른 부재의 조립하는 작업 시에 낙하하는 것이 방지되어, 텐셔너 전체의 조립이 용이해진다.
본 청구항 10에 따른 구성에 의하면, 캡 부재가, 스토퍼 부재와 감합하는 보관 유지 요부를 가지므로, 릴리프 된 오일의 스토퍼 부재의 측방의 경로를 확실히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고, 유로 저항도 적고 리크 시의 압력 개방을 원활히 실시할 수 있다.
또, 캡 부재와 스토퍼 부재를 감합시킨 상태로 조립하는 작업을 실시함으로써, 릴리프 밸브 유닛의 조립이 용이해진다.
본 청구항 11에 따른 구성에 의하면, 캡 부재가, 스토퍼 부재와 1개의 부재로 일체로 형성되고 있으므로, 부품 점수가 적어짐과 동시에, 릴리프 밸브 유닛의 조립이 더 용이해진다.
본 청구항 12에 따른 구성에 의하면, 캡 부재가 수지 재료로 이루어지므로, 형상의 자유도가 향상됨과 동시에, 경량화되어, 릴리프 밸브 유닛의 조립이 더 용이해짐과 동시에, 최적인 오일 경로로 설계하는 것이 가능하고, 더 유로 저항이 적고 리크 시의 압력 개방을 원활히 실시할 수 있다.
또, 플런저혈에 압입했을 때에 플런저에 주는 힘이 약해지기 때문에, 플런저의 변형이 방지되어, 플런저를 얇게 하는 것이 가능하고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음과 동시에, 형상 정밀도를 확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텐셔너의 단면도.
[도 2]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텐셔너의 플런저의 단면도.
[도 3]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텐셔너의 릴리프 밸브 유닛의 단면도.
[도 4]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텐셔너의 릴리프 밸브 유닛의 사시도.
[도 5]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텐셔너의 플런저의 단면도.
[도 6]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텐셔너의 릴리프 밸브 유닛의 단면도.
[도 7]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텐셔너의 릴리프 밸브 유닛의 사시도.
[도 8]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텐셔너의 제1 변형예에 따른 릴리프 밸브 유닛의 사시도.
[도 9]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텐셔너의 제2 변형예에 따른 릴리프 밸브 유닛의 단면도.
[도 10]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텐셔너의 제3 변형예에 따른 릴리프 밸브 유닛의 단면도.
[도 11]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텐셔너의 제4 변형예에 따른 릴리프 밸브 유닛의 단면도.
[도 12]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텐셔너의 제4 변형예에 따른 릴리프 밸브 유닛의 경감합시의 단면도.
[도 13]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텐셔너의 플런저의 단면도.
[도 14]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텐셔너의 릴리프 밸브 유닛의 단면도.
[도 15]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텐셔너의 릴리프 밸브 유닛의 사시도.
[도 16]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텐셔너의 릴리프 밸브 유닛의 캡 부재의 사시도.
[도 17]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텐셔너의 변형예에 따른 플런저의 단면도.
[도 18] 종래의 텐셔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9] 종래의 다른 텐셔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0] 텐셔너를 짜넣은 타이밍 시스템을 나타내는 설명도.
이하에,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텐셔너에 대해서, 도면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우선, 텐셔너(110)는, 자동차 엔진의 타이밍 시스템 등에 이용되는 체인 전동장치에 짜넣어지는 것으로, 도 20에 나타내듯이, 엔진 블록(도시하지 않음)에 장착되어, 복수의 스프로켓(sprocket)(S1~S3)에 걸어 돌려진 전동 체인(CH)의 이완 측에 텐셔너 레버(G)를 통해 적정한 장력을 부여하여, 주행 시에 생기는 진동을 억제하는 것이다.
텐셔너(110)는, 도 1에 나타내듯이, 후방 측으로 개구된 플런저혈(122)을 갖는 플런저(120)와, 플런저(120)를 수용하는 전방 측으로 개구된 플런저 수용혈(131)을 갖는 하우징(130)과, 하우징(130)의 저부 측에 배치되는 체크 밸브(140)와, 압유실(111) 내의 오일압이 높아졌을 때에 압유실(111) 내의 오일을 플런저(120) 밖으로 릴리프 하는 릴리프 기구(150)와, 플런저(120) 및 플런저 수용혈(131)의 사이에 형성되는 압유실(111)에 신축 자재로 수납되어 플런저(120)를 전방 측을 향하여 부세하는 메인 스프링(메인 부세 수단)(160)을 구비하고 있다.
체크 밸브(140)는, 오일 공급공(133)을 통해서 외부로부터 압유실(111)로 오일의 유입을 허용함과 동시에, 오일 공급공(133)으로부터의 오일의 유출을 방지함으로써, 플런저 수용혈(131)의 저부에 밀착해서 배치된 볼 시트(141)와, 볼 시트(141)에 밀착 가능하게 착석하는 구상(球狀)의 체크 볼(142)과, 체크 볼(142)의 전방에 배치되어 체크 볼(142)의 이동을 규제하는 리테이너(143)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체크 볼(142)을 볼 시트(141) 측을 향하여 부세하는 볼 스프링을 체크 볼(142)과 리테이너(143) 사이에 배치해도 좋다.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텐셔너(110)의 플런저(120)는, 도 2에 나타내듯이, 릴리프 기구로서, 플런저혈(122)의 전방 측에 삽입되는 릴리프 밸브 유닛(relief valve unit)(151)과 릴리프 밸브 유닛(151)의 릴리프측 공간(126)과 플런저(120)의 외부를 연통시키는 외부 릴리프공(123)을 구비하고 있다.
외부 릴리프공(123)은, 플런저(120)의 지름 방향의 외주면 측으로 개구되고 있다.
릴리프 밸브 유닛(151)은, 도 2나 도 3에 나타내듯이, 시트 부재(152)와, 시트 부재(152)의 내부에 수용되는 밸브 볼(153)과, 밸브 볼(153)을 부세하는 스프링(154)과, 스프링(154)을 보관 유지함과 동시에 밸브 볼(153)의 이동 범위를 규제하는 스토퍼 부재(155)와, 시트 부재(152)에 감합하여 시트 부재(152) 내부에 스토퍼 부재(155)를 보관 유지하는 캡 부재(156)를 가지고 있다.
캡 부재(156)는, 도 2 내지 도 4에 나타내듯이, 릴리프 된 오일을 릴리프측 공간(126)으로 배출하는 오일 리크부(171)를 가지고 있고,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오일 리크부(171)가, 릴리프 된 오일을 직접 지름 방향으로 배출하는 측방 개방부(172)를 가지고 있다.
또, 캡 부재(156)는, 시트 부재(152)에 대한 감합을 보관 유지하는 계합 돌기부(173)를 갖고, 시트 부재(152)는, 계합 돌기부(173)와 계합하여 캡 부재(156)의 감합을 보관 유지하기 위한 계합 요부(174)를 가지고 있다.
캡 부재(156)는, 플런저(120) 내부에 수용되었을 때에 플런저혈(122)의 내벽과 당접하는 외면 돌출부(175)를 가지고 있다.
외면 돌출부(175)는, 릴리프 밸브 유닛(151)을 플런저혈(122) 내에 삽입했을 때에, 릴리프 밸브 유닛(151)을 경압입 상태로 보관 유지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시트 부재(152)의 최대 지름 부분에, 오리피스 효과로 압유실(111) 내의 오일압을 개방 가능한 리크홈(177)이 설치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의 텐셔너(110)의 조립 시에는, 시트 부재(152)에 밸브 볼(153), 스프링(154) 및 스토퍼 부재(155)를 세트하여, 캡 부재(156)를 시트 부재(152)에 감합하고, 시트 부재(152)는, 캡 부재(156)의 계합 돌기부(173)를 시트 부재(152)의 계합 요부(174)와 계합함으로써, 릴리프 밸브 유닛(151)을 일체화하여 핸들링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릴리프 밸브 유닛(151)을 플런저(120) 내부에 수용할 때, 캡 부재(156)의 외면 돌출부(175)가, 플런저혈(122)의 내벽과 당접하여, 릴리프 밸브 유닛(151)을 경압입 상태로 보관 유지하는 형상의 외면 돌출부(175)를 가지고 있으므로, 가벼운 힘으로 플런저(120) 내부에 수용 가능하고, 누락되지 않는다.
또한, 캡 부재(156)를 수지로 형성함으로써, 압입력에 의한 플런저혈(122)의 내벽에 대한 압압력을 더 작게 가능하고, 플런저(120)를 얇게 하는 것이 가능하여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의 텐셔너(110)의 사용 시에, 압유실(111)의 압력이 소정 상으로 높아졌을 때에는, 밸브 볼(153)이 스프링(154)의 압압력에 저항하여 시트 부재(152)로부터 멀어지고, 릴리프 밸브 유닛(151) 내의 스토퍼 부재(155)의 외주 공간, 캡 부재(156)의 오일 리크부(171), 플런저혈(122) 내의 릴리프측 공간(126), 플런저(120)의 외부 릴리프공(123)을 통해 압력이 해방된다.
이 때, 오일 리크부(171)이, 릴리프 된 오일을 직접 지름 방향으로 배출하는 측방 개방부(172)를 가지고 있으므로, 외주면 측으로 개구된 외부 릴리프공(123)까지의 유로 저항이 작아져서, 압력 개방을 원활히 실시할 수 있다.
또, 플런저혈(122)의 저부의 캡 부재(156)이 당접하는 부분에 공간을 설치할 필요가 없고, 플런저(120)의 선단 판두께를 얇게 가능하고, 플런저(120)가 경량화됨과 동시에, 스프링 스페이스를 길게 하거나, 전체 길이를 단축할 수 있다.
또한, 플런저혈(122)의 저부와 캡 부재(156)의 당접면을 넓게 취할 수 있기 때문에, 캡 부재(156)를 얇게 하거나 수지제라도, 메인 스프링(메인 부세 수단)(160)에 의한 강한 압압력에서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릴리프 밸브 유닛(151)은, 둘레 방향으로 단속적으로 설치된 외면 돌출부(175)의 경압입 상태로 플런저 내부에 고정되고, 플런저혈(122) 내면과 시트 부재(152) 사이에는 간극이 있고, 또한, 리크홈(177)이 설치되고 있으므로, 오일 공급의 개시 후, 압유실(111)에 잔류하고 있던 에어를 외부 릴리프공(123)을 통해 빠르게 배출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텐셔너에 대해서, 도면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부분은 생략한다.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텐셔너의 플런저(120b)는, 도 5에 나타내듯이, 릴리프 기구(150)로서, 플런저혈(122)의 전방 측에 삽입되는 릴리프 밸브 유닛(151b)과, 플런저혈(122)의 저부에 오목한 상태에 설치된 릴리프측 공간(126b)과, 릴리프측 공간(126b)과 플런저(120b)의 외부를 연통시키는 외부 릴리프공(123b)을 구비하고 있다.
외부 릴리프공(123b)은, 플런저(120)의 지름 방향의 외주면 측으로 개구되고 있다.
릴리프 밸브 유닛(151b)은, 도 5나 도 6에 나타내듯이, 시트 부재(152)와, 시트 부재(152)의 내부에 수용되는 밸브 볼(153)과, 밸브 볼(153)을 부세하는 스프링(154)과, 스프링(154)을 보관 유지함과 동시에 밸브 볼(153)의 이동 범위를 규제하는 스토퍼 부재(155)와, 시트 부재(152)에 감합하여 시트 부재(152) 내부에 스토퍼 부재(155)를 보관 유지하는 캡 부재(156b)를 가지고 있다.
캡 부재(156b)는, 도 5 내지 도 7에 나타내듯이, 릴리프 된 오일을 릴리프측 공간(126b)으로 배출하는 오일 리크부(171b)를 가지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오일 리크부(171b)는, 캡 부재(156b)의 플런저혈(122)의 저부와의 당접면 측에 설치된 3개의 구멍 부분이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시트 부재(152)의 최대 지름 부분에, 오리피스 효과로 압유실(111) 내의 오일압을 개방 가능한 리크홈(177)이 설치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의 텐셔너(110)의 조립 시에는, 시트 부재(152)에 밸브 볼(153), 스프링(154) 및 스토퍼 부재(155)를 세트하여, 캡 부재(156b)를 시트 부재(152)에 감합하고, 릴리프 밸브 유닛(151)을 일체화하여 핸들링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시트 부재(152)를 수지로 형성함으로써, 릴리프 밸브 유닛(151)을 플런저(120b) 내부에 수용할 때의 압입력에 의한 플런저혈(122)의 내벽에 대한 압압력을 작게 가능하고, 플런저(120b)를 얇게 하는 것이 가능하여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의 텐셔너의 사용 시에, 압유실(111)의 압력이 소정 상으로 높아졌을 때에는, 밸브 볼(153)이 스프링(154)의 압압력에 저항하여 시트 부재(152)로부터 멀어지고, 릴리프 밸브 유닛(151) 내의 스토퍼 부재(155)의 외주 공간, 캡 부재(156b)의 오일 리크부(171b), 플런저혈(122) 내의 릴리프측 공간(126b), 플런저(120)의 외부 릴리프공(123b)을 통해 압력이 해방된다.
이 때, 릴리프측 공간(126b)이 소정의 넓이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스토퍼 부재(155)의 외주 공간으로부터 오일 리크부(171b)를 통해 릴리프측 공간(126b)에 이를 때까지의 유로 저항이 작아져서, 압력 개방을 원활히 실시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텐셔너(110)의 릴리프 밸브 유닛(151)의 변형예에 대해 설명한다.
제1 변형예에 따른 릴리프 밸브 유닛(151c)은, 도 8에 나타내듯이, 캡 부재(156c)는, 오일 리크부(171c)의 릴리프 된 오일을 직접 지름 방향으로 배출하는 측방 개방부(172c)의 선단 측이 닫힌 형상을 하고 있다.
이것으로, 시트 부재(152)와 캡 부재(156c)의 감합이 강해져서, 스프링(154)의 압압력이 큰 경우에도, 일체화된 릴리프 밸브 유닛(151c)이 조립 시나 반송 시의 진동이나 충격으로 분해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제2 변형예에 따른 릴리프 밸브 유닛(151d)은, 도 9에 나타내듯이, 캡 부재(156d)의 스토퍼 부재(155)와 당접하는 면에, 스토퍼 부재(155)와 감합하는 보관 유지 요부를 형성하는 플랜지(178d)를 설치한 것이다.
이것에 의해, 릴리프 밸브 유닛(151d)의 조립이 보다 용이해진다.
또한, 플랜지(178d)를 설치하지 않고, 캡 부재(156d)의 스토퍼 부재(155)와 당접하는 면에, 직접 스토퍼 부재(155)와 감합하는 보관 유지 요부를 설치해도 좋다.
제3 변형예에 따른 릴리프 밸브 유닛(151e)은, 도 10에 나타내듯이, 캡 부재(156e)가 스토퍼 부재와 일체로 형성되고 있는 것이다.
캡 부재(156e)를 수지로 형성하면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음과 동시에, 부품 점수가 줄어 들어, 릴리프 밸브 유닛(151e)의 조립이 보다 용이해진다.
제4 변형예에 따른 릴리프 밸브 유닛(151f)은, 도 11에 나타내듯이, 시트 부재(152f)는, 캡 부재(156)의 계합 돌기부(173)와 계합하여 캡 부재(156)의 감합을 보관 유지하기 위한 계합 요부(174)를 갖고, 또한, 도 12에 나타내듯이, 시트 부재(152f)는, 플런저의 돌출 방향의 앞의 위치에서 계합 돌기부(173)와 계합하는 제2 계합 요부(176f)가 설치되고 있다.
텐셔너(110)의 조립 시에는, 스프링(154)의 압압이 커서, 우선은, 도 12에 나타내듯이, 계합 돌기부(173)와 제2 계합 요부(176f)를 계합시킨 상태로 릴리프 밸브 유닛(151f)을 임시로 일체화해 두고, 플런저(120)의 플런저혈(122) 내에 삽입한 후에, 더 밀어넣어 계합 돌기부(173)와 계합 요부(174)를 계합시키고, 본래의 릴리프 밸브 유닛(151f)을 완성시킴으로써 조립이 보다 용이해진다.
또, 릴리프 밸브 유닛(151f)이, 플런저혈(122) 내에 경압입 상태로 보관 유지하는 형상의 외면 돌출부(175)를 가지고 있는 경우, 제2 계합 요부(176f)를 계합 요부(174)보다 깊은 요부로 함으로써, 릴리프 밸브 유닛(151f)을 플런저혈(122)의 내부에 삽입할 때, 캡 부재(156)의 외경이 작은 상태가 되어 안쪽(奧)까지 원활히 삽입하는 것이 가능하고, 더 밀어넣어 계합 돌기부(173)와 계합 요부(174)를 계합시켰을 때에는, 캡 부재(156)의 외경을 플런저혈(122)의 내부에서 경압입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외경으로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텐셔너(110g)의 플런저(120g)는, 도 13에 나타내듯이, 릴리프 기구로서, 플런저혈(122g)의 전방 측에 삽입되는 릴리프 밸브 유닛(151g)과, 릴리프 밸브 유닛(151g)의 릴리프측 공간(126g)과 플런저(120g)의 외부를 연통시키는 외부 릴리프공(123g)을 구비하고 있다.
외부 릴리프공(123g)은, 플런저(120g)의 지름 방향의 외주면 측으로 개구되고 있다.
릴리프 밸브 유닛(151g)은, 도 13 내지 도 15에 나타내듯이, 시트 부재(152g)와, 시트 부재(152g)의 내부에 수용되는 밸브 볼(153g)과, 밸브 볼(153g)을 부세하는 스프링(154g)과, 스프링(154g)을 보관 유지함과 동시에 밸브 볼(153g)의 이동 범위를 규제하는 스토퍼 부재(155g)와, 시트 부재(152g)에 감합하여 시트 부재(152g) 내부에 스토퍼 부재(155g)를 보관 유지하는 캡 부재(156g)를 가지고 있다.
캡 부재(156g)는, 도 13 내지 도 16에 나타내듯이, 릴리프 된 오일을 릴리프측 공간(126g)으로 배출하는 오일 리크부(171g)를 가지고 있고,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오일 리크부(171g)가, 릴리프 된 오일을 천면 방향으로 배출하는 천면 개방부(180g), 릴리프 된 오일을 지름 방향으로 배출하는 측방 개방부(172gu, 172gd)를 가지고 있다.
측방 개방부(172gu, 172gd)는 그 중간부에서 둘레 방향으로 횡단하는 연결부(179g)를 갖고, 천면측의 측방 개방부(172gu)와, 개방단측의 측방 개방부(172gd)로 구분되어 있다.
천면측의 측방 개방부(172gu)는, 주로 릴리프 된 오일을 지름 방향으로 배출하는 기능을 갖고, 개방단측의 측방 개방부(172gd)는 주로 캡 부재(156g)를 시트 부재(152g)에 감합시킬 때의 휨 슬릿으로 작용한다.
또, 캡 부재(156g)는, 시트 부재(152g)에 대한 감합을 보관 유지하는 계합 돌기부(173g)를 갖고, 시트 부재(152g)는, 계합 돌기부(173g)와 계합하여 캡 부재(156g)의 감합을 보관 유지하기 위한 계합 요부(174g)를 가지고 있다.
캡 부재(156g)는, 연결부(179g)를 가지므로, 휨 슬릿으로 작용하는 개방단 측의 측방 개방부(172gd)를 변형시키려면 큰 힘이 필요하기 때문에, 시트 부재(152g)에 감합시켰을 때의 보관 유지력을 강화하는 것이 가능해져서, 강한 충격을 받았을 때에도 캡 부재(156g)가 이탈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캡 부재(156g)에는, 둘레 방향으로 3개소의 오일 리크부(171g)가 설치되고, 오일 리크부(171g) 사이의 정류 철부(整流凸部)(181g)가 설치되고 있다.
이것으로, 릴리프 된 오일의 캡 부재(156g)의 외주 방향의 흐름을 억제하고, 난류를 막아 원활한 오일 리크를 가능하게 함과 동시에, 릴리프 밸브 유닛(151g)을 플런저(120g) 내부에 삽입할 때의 때의 가이드성이 향상되어, 조립이 용이해진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시트 부재(152g)의 최대 지름 부분에, 오리피스 효과로 압유실 내의 오일압을 개방 가능한 리크홈(177g)이 설치되고 있다.
또, 오일 리크부(171g)의 천면 개방부(180g)가, 연결부(179g)보다 상방의 천면 측의 측방 개방부(172gu)의 둘레 방향의 폭보다 큰 폭으로 형성되고 있다.
이것으로, 천면 개방부(180g)를 외주 측에 밀접하게 배치하는 것이 가능해져서, 천면 측을 향하는 릴리프 된 오일의 유로 면적을 확보하여 원활한 오일 리크를 가능하게 함과 동시에, 스프링(154g)에 의해 압압되는 스토퍼 부재(155g)에 대한 수압면적도 확보하는 최적인 구멍 형상으로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릴리프 밸브 유닛(151g)은, 천면 개방부(180g)의 형상에 의해, 천면측으로의 오일 리크량을 충분히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예를 들면, 도 17에 나타내는 변형 예와 같이, 외부 릴리프공(123h)이 천면 측에 설치된 플런저(120h)에 이용되어도 좋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상술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을 일탈하지 않고 여러 가지의 설계 변경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텐셔너(110)가 자동차 엔진용의 타이밍 시스템에 짜넣어지는 것으로서 설명했지만, 텐셔너(110)의 구체적 용도는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텐셔너(110)가 텐셔너 레버(G)를 통해 전동 체인(CH)에 장력을 부여하는 것으로서 설명했지만, 플런저(120)의 선단에 직접적으로 전동 체인(CH)의 접동 안내를 실시하고, 전동 체인(CH)에 장력을 부여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전동 체인(CH)에 의한 전동 기구에 한정하지 않고, 벨트, 로프 등의 유사한 전동 기구에 적용되어도 좋고, 장척물에 장력을 부여하는 것이 요구될 수 있는 용도이면, 여러 가지의 산업분야에서 이용 가능하다.
또,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플런저(120)를 수용하는 하우징(130)이, 엔진 블록 등에 장착되는 소위 텐셔너 바디인 것으로서 설명했지만, 하우징(130)의 구체적 태양은, 상기로 한정되지 않고, 텐셔너 바디에 형성된 바디혈 내에 삽입되는 원통형의 소위 슬리브여도 좋다.
110, 510, 610 ···텐셔너
111, 511 ···압유실
120, 520, 620 ···플런저
122, 522, 622 ···플런저혈
123, 623 ···외부 릴리프공
523 ···유출구
524 ···압력 통로
525 ···용수철 수용실
126 ···릴리프측 공간
130, 530, 630 ···하우징
131, 531, 631 ···플런저 수용혈
133 ···오일 공급공
140 ···체크 밸브
141 ···볼 시트
142 ···체크 볼
143 ···리테이너
150, 550 ···릴리프 기구
151, 651 ···릴리프 밸브 유닛
152, 652 ···시트 부재
153, 653 ···밸브 볼
154 ···스프링(밸브용 부세 수단)
155, 655 ···스토퍼 부재
156, 656 ···캡 부재
551 ···밸브 본체
552 ···릴리프 스프링
160, 560, 660 ···스프링(메인 부세 수단)
171, 671 ···오일 리크부
172 ···측방 개방부
173 ···계합 돌기부
174 ···계합 요부
175 ···외면 돌출부
176 ···제2 계합 요부
177 ···리크홈
178 ···플랜지
179 ···연결부
180 ···천면 개방부
181 ···정류 철부
S1~S3 ···스프로켓
CH ···전동 체인
G ···텐셔너 레버

Claims (12)

  1. 후방 측으로 개구된 플런저혈을 갖는 플런저와, 상기 플런저를 수용하는 전방 측으로 개구된 플런저 수용혈을 갖는 하우징과, 상기 플런저 및 상기 플런저 수용혈의 사이에 형성되는 압유실에 신축 자재로 수납되어 상기 플런저를 전방 측을 향하여 부세하는 메인 부세 수단과, 상기 압유실 내의 오일압이 높아졌을 때 상기 압유실 내의 오일을 상기 플런저 밖으로 릴리프하는 릴리프 기구를 구비하는 텐셔너이며,
    상기 릴리프 기구는, 상기 플런저혈의 전방 측에 삽입되는 릴리프 밸브 유닛과, 상기 플런저혈의 상기 릴리프 밸브 유닛의 릴리프측 공간과 상기 플런저의 외부를 연통시키는 외부 릴리프공을 구비하고,
    상기 릴리프 밸브 유닛이, 시트 부재와, 상기 시트 부재의 내부에 수용되는 밸브 볼과, 상기 밸브 볼을 부세하는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을 보관 유지함과 동시에 상기 밸브 볼의 이동 범위를 규제하는 스토퍼 부재와, 상기 시트 부재에 감합하여 시트 부재 내부에 상기 스토퍼 부재를 보관 유지하는 캡 부재를 갖고,
    상기 캡 부재가, 릴리프 된 오일을 상기 릴리프측 공간으로 배출하는 오일 리크부를 갖고,
    상기 외부 릴리프공이, 상기 플런저의 지름 방향의 외주면 측으로 개구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셔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 리크부가, 릴리프 된 오일을 직접 지름 방향으로 배출하는 측방 개방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셔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 리크부는, 상기 측방 개방부의 중간부에서 둘레 방향으로 횡단하는 연결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셔너.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 리크부는, 전방 측으로 개방되는 천면 개방부를 갖고,
    상기 천면 개방부가, 상기 연결부보다 상방의 상기 측방 개방부의 둘레 방향의 폭보다 큰 폭으로 형성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셔너.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캡 부재는, 복수의 상기 오일 리크부와, 상기 오일 리크부 사이의 외주면에 설치된 정류 철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셔너.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 부재가, 상기 시트 부재에 대한 감합을 보관 유지하는 계합 돌기부를 갖고,
    상기 시트 부재가, 상기 계합 돌기부와 계합하여 상기 캡 부재의 감합을 보관 유지하기 위한 계합 요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셔너.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계합 요부는, 상기 플런저의 돌출 방향의 복수의 위치에서 상기 캡 부재를 보관 유지 가능하게 설치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셔너.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 부재가, 상기 플런저 내부에 수용되었을 때에 상기 플런저혈의 내벽과 당접하는 외면 돌출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셔너.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캡 부재의 외면 돌출부가, 상기 릴리프 밸브 유닛을 상기 플런저혈 내에 삽입했을 때에 상기 릴리프 밸브 유닛을 경압입 상태로 보관 유지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셔너.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 부재가, 상기 스토퍼 부재와 감합하는 보관 유지 요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셔너.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 부재가, 상기 스토퍼 부재와 1개의 부재로 일체로 형성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셔너.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캡 부재가, 수지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셔너.
KR1020180159983A 2017-12-22 2018-12-12 텐셔너 KR10222637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246098 2017-12-22
JP2017246098 2017-12-22
JP2018199055A JP7177345B2 (ja) 2017-12-22 2018-10-23 テンショナ
JPJP-P-2018-199055 2018-10-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6860A true KR20190076860A (ko) 2019-07-02
KR102226376B1 KR102226376B1 (ko) 2021-03-11

Family

ID=672213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9983A KR102226376B1 (ko) 2017-12-22 2018-12-12 텐셔너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7177345B2 (ko)
KR (1) KR10222637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4008134A (ja) 2022-07-07 2024-01-19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チェックバルブユニット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12569A (ja) 1999-06-30 2001-01-16 Tsubakimoto Chain Co リリーフバルブ付油圧式テンショナ
KR20030078759A (ko) * 2002-03-28 2003-10-08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유압식 텐셔너 리프터
JP2016035207A (ja) * 2014-08-01 2016-03-17 光精工株式会社 オイルジェット
KR20160109165A (ko) 2015-03-10 2016-09-21 우영산업(주) 중량 조절이 가능한 중량 부여 구조체를 구비한 원형 톱 절삭 장치
JP2017025980A (ja) * 2015-07-18 2017-02-02 ボーグワーナー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一体型チェック・リリーフバルブ
KR20170102890A (ko) * 2014-12-29 2017-09-12 보르그워너 인코퍼레이티드 캔틸레버 시핑 스프링을 구비한 유압 텐셔너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80023B2 (ja) * 2004-10-26 2007-09-19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リリーフバルブ付き油圧式テンショナ
JP2009191863A (ja) * 2008-02-12 2009-08-27 Ntn Corp 油圧式オートテンショナ
JP2009275756A (ja) * 2008-05-13 2009-11-26 Ntn Corp チェーンテンショナ
JP5561584B2 (ja) * 2010-01-20 2014-07-30 Ntn株式会社 チェーンテンショナ
JP5364127B2 (ja) * 2011-05-26 2013-12-1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タイミングトレーン機構の潤滑構造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12569A (ja) 1999-06-30 2001-01-16 Tsubakimoto Chain Co リリーフバルブ付油圧式テンショナ
KR20030078759A (ko) * 2002-03-28 2003-10-08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유압식 텐셔너 리프터
JP2016035207A (ja) * 2014-08-01 2016-03-17 光精工株式会社 オイルジェット
KR20170102890A (ko) * 2014-12-29 2017-09-12 보르그워너 인코퍼레이티드 캔틸레버 시핑 스프링을 구비한 유압 텐셔너
KR20160109165A (ko) 2015-03-10 2016-09-21 우영산업(주) 중량 조절이 가능한 중량 부여 구조체를 구비한 원형 톱 절삭 장치
JP2017025980A (ja) * 2015-07-18 2017-02-02 ボーグワーナー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一体型チェック・リリーフバルブ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177345B2 (ja) 2022-11-24
KR102226376B1 (ko) 2021-03-11
JP2019113178A (ja) 2019-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75924B2 (en) Hydraulic tensioning device for a traction mechanism drive
CN110005770B (zh) 张紧装置
KR101835207B1 (ko) 체인 텐셔너 및 릴리프 밸브 유닛
US10767740B2 (en) Tensioner
JP6940772B2 (ja) チェーンテンショナ
US10801589B2 (en) Chain tensioner
US7244204B2 (en) Hydraulic tensioner
KR101927588B1 (ko) 텐셔너
US20190277370A1 (en) Tensioner
KR101895671B1 (ko) 텐셔너
KR20180034241A (ko) 텐셔너
US11326670B2 (en) Tensioner with piston containing an internal check valve
CN110541915B (zh) 张紧装置
KR20190076860A (ko) 텐셔너
JP2012017824A (ja) チェーンテンショナ
JP2021067359A (ja) 内部リザーバ付き油圧テンショナのピストン側のホールの位置合わせ
CN110388425B (zh) 张紧装置
JP4991490B2 (ja) チェーンテンショナ
JP2009275756A (ja) チェーンテンショナ
US20170108093A1 (en) Tensioner
JPH11201245A (ja) チェーンテンショナ
JP2007321899A (ja) チェーンテンショナ
JP2013142405A (ja) 油圧式オートテンショナ
JP2002286103A (ja) 油圧式テンショナ用のチェックバルブおよび油圧式テンショナ
JP2008281056A (ja) チェーンテンショ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