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76694A - 냉간압조용 선재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냉간압조용 선재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76694A
KR20190076694A KR1020170178711A KR20170178711A KR20190076694A KR 20190076694 A KR20190076694 A KR 20190076694A KR 1020170178711 A KR1020170178711 A KR 1020170178711A KR 20170178711 A KR20170178711 A KR 20170178711A KR 20190076694 A KR20190076694 A KR 201900766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ss
cooling
ferrite
cooling step
cont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87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42062B1 (ko
Inventor
문동준
민세홍
이기호
임현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701787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2062B1/ko
Priority to CN201810795127.5A priority patent/CN109957724B/zh
Publication of KR201900766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66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20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2062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6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rods or wire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6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rods or wires
    • C21D8/065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rods or wires of ferrous alloy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silico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manganese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6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alumi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titanium or zirco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2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titanium or zirco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2201/00Treatment for obtaining particular effects
    • C21D2201/05Grain orient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2211/00Microstructure comprising significant phases
    • C21D2211/005Ferrite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2211/00Microstructure comprising significant phases
    • C21D2211/009Pearli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Heat Treatment Of Stee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상화 소둔 열처리를 생략하여도 우수한 냉간가공성을 확보할 수 있는 선재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간압조용 선재는 중량%로, C: 0.01 내지 0.15%미만, Si: 0.3% 이하, Mn: 0.2 내지 0.75%, P: 0.03% 이하, S: 0.03% 이하, sol. Al: 0.01 내지 0.05%, Cr: 0.5% 이하, Ti: 0.005 내지 0.05%, N: 0.01% 이하, 나머지는 Fe 및 기타 불순물을 포함하고, 하기 식 (1)을 만족하고, 결정 방위차가 15°이상의 페라이트입계로 둘러싸인 페라이트의 평균 입경이 15 내지 40㎛이다.
{(A/4) +[(Bx30) / (2A+40)]} x (C/3) ≥ 700......식(1)
여기서, A는 결정 방위차가 15°이상의 페라이트 입계 평균원상당 지름(㎛)이며, B는 결정 방위차가 15°이상의 페라이트 입계 결정립이 페라이트상 전체에 대해 차지하는 면적분율(면적%)이며, C는 페라이트상의 평균 경도(Hv)를 의미한다.

Description

냉간압조용 선재 및 이의 제조방법{STEEL WIRE ROD FOR COLD FORGING AND METHODS FOR MANUFACTURING THEREOF}
본 발명은 냉간압조용 선재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용 소재 또는 기계 부품용 소재로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냉간압조용 선재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선재 제품은 열간압연 선재, 냉간 신선, 구상화 열처리, 냉간 신선, 냉간 압조, 급냉 및 소려를 진행하여 최종 제품으로 제조된다.
냉간 가공 방법은 열간 가공 방법이나 기계 절삭 가공 방법과 비교하여 생산성이 우수하며, 열처치 비용 절감의 효과가 크기 때문에 자동차용 소재 또는 볼트, 너트 등 기계 부품용 소재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다만, 냉간 가공을 통해 기계 부품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냉간 가공 시 변형 저항이 낮으며, 연성이 우수할 필요가 있다. 강의 변형 저항이 높을 경우 냉간 가공 시 사용하는 공구의 수명이 저하되며, 강의 연성이 낮을 경우 냉간 가공시 분열이 발생하기 쉬워 불량품 발생의 원인이 되기 때문이다.
이에 냉간 가공용 선재의 경우 냉간 가공 전 구상화 소둔 열처리를 진행한다. 구상화 소둔 열처리의 경우 강이 연화되어 변형 저항이 감소하고, 연성이 향상되어 냉간 가공성이 향상될 수 있다. 다만, 구상화 소둔 열처리를 진행하는 경우 추가 비용이 발생하고, 제조 효율이 저하되기 때문에 추가적인 구상화 소둔 열처리 없이도 우수한 냉간 가공성을 확보할 수 있는 선재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구상화 소둔 열처리를 생략하여도 우수한 냉간가공성을 확보할 수 있는 선재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간압조용 선재는 중량%로, C: 0.01 내지 0.15%미만, Si: 0.3% 이하, Mn: 0.2 내지 0.75%, P: 0.03% 이하, S: 0.03% 이하, sol. Al: 0.01 내지 0.05%, Cr: 0.5% 이하, Ti: 0.005 내지 0.05%, N: 0.01% 이하, 나머지는 Fe 및 기타 불순물을 포함하고, 하기 식 (1)을 만족하고, 결정 방위차가 15°이상의 페라이트입계로 둘러싸인 페라이트의 평균 입경이 15 내지 40㎛이다.
{(A/4) +[(Bx30) / (2A+40)]} x (C/3) ≥ 700......(1)
여기서, A는 결정 방위차가 15°이상의 페라이트 입계 평균원상당 지름(㎛)이며, B는 결정 방위차가 15°이상의 페라이트 입계 결정립이 페라이트상 전체에 대해 차지하는 면적분율(면적%)이며, C는 페라이트상의 평균 경도(Hv)를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B: 0.006% 이하를 더 포함하며, 하기 식(2)를 만족할 수 있다.
0≤[0.31Ti + 1.4B-N]≤0.004......(2)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기 식(3)을 만족할 수 있다.
0.8≤[(Si + Mn + Cr)/10C + Ti/C]≤2.3 .......식(3)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미세조직은 펄라이트와 페라이트로 구성되며, 면적분율로 페라이트가 차지하는 분율이 80%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냉간압조용 선재의 제조방법은 중량%로, C: 0.01 내지 0.15%미만, Si: 0.3% 이하, Mn: 0.2 내지 0.75%, P: 0.03% 이하, S: 0.03% 이하, sol.Al: 0.01 내지 0.05%, Cr: 0.5% 이하, Ti: 0.005 내지 0.05%, B: 0.006% 이하, N: 0.01% 이하, 나머지는 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고, 상기 성분의 함량은 하기 식(1) 및 식(2)를 만족하는 빌렛을 가열하는 단계, 상기 가열된 빌렛을 마무리 압연온도 920 내지 1020℃에서 열간압연하는 단계, 상기 열간압연된 선재를 귄취하고, 냉각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0.8≤[(Si + Mn + Cr)/10C + Ti/C]≤2.3 ......식(1)
0≤[0.31Ti + 1.4B-N]≤0.004......식(2)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냉각단계는 상기 열간 압연에서 마무리 압연 온도 이하에서 권취 온도 미만의 온도범위까지 5℃/s 내지 20℃/s 미만의 냉각속도로 냉각하는 제1냉각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냉각단계는 상기 제1냉각단계 이후 상기 권취온도부터 750℃ 미만까지 2℃/s 내지 5℃/s 미만의 냉각속도로 냉각하는 제2냉각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냉각단계는 제2냉각단계 이후 750℃ 부터 650℃ 미만까지 1℃/S 내지 2℃/s 미만의 냉각속도로 냉각하는 제3냉각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냉각단계는 제3냉각단계 이후 650℃ 부터 400℃ 미만까지 0.8℃/s 미만(0℃/s는 제외)의 냉각속도로 냉각하는 제4냉각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빌렛을 가열하는 단계에서 가열 온도는 1000 내지 1150℃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권취 단계에서 권취 온도는 800 내지 880℃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재 및 이의 제조방법은 구상화 소둔 열처리를 생략하여도 냉간 가공시의 변형 저항을 억제할 수 있는 선재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전달하기 위해 제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여기서 제시한 실시 예만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도면은 본 발명을 명확히 하기 위해 설명과 관계 없는 부분의 도시를 생략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구성요소의 크기를 다소 과장하여 표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간압조용 선재는, 중량%로, C: 0.01 내지 0.15%미만, Si: 0.3% 이하, Mn: 0.2 내지 0.75%, P: 0.03% 이하, S: 0.03% 이하, sol. Al: 0.01 내지 0.05%, Cr: 0.5% 이하, Ti: 0.005 내지 0.05%, N: 0.01% 이하, 나머지는 Fe 및 기타 불순물을 포함하고, 하기 식(1)을 만족한다.
{(A/4) +[(Bx30) / (2A+40)]} x (C/3) ≥ 700......식(1)
여기서, A는 결정 방위차가 15°이상의 페라이트 입계 평균원상당 지름(㎛)이며, B는 결정 방위차가 15°이상의 페라이트 입계 결정립이 페라이트상 전체에 대해 차지하는 면적분율(면적%)이며, C는 페라이트상의 평균 경도(Hv)를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간압조용 선재는 추가적으로 B: 0.006% 이하를 더 포함하며, 하기 식(2)를 만족할 수 있다.
0≤[0.31Ti + 1.4B-N]≤0.004......식(2)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간압조용 선재는 추가적으로 하기 식(3)을 만족할 수 있다.
0.8≤[(Si + Mn + Cr)/10C + Ti/C]≤2.3 .......식(3)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냉간압조용 선재에 포함되는 각 성분의 역할 및 그 함량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 성분에 대한 %는 중량%를 의미한다.
C(탄소)의 함량은 0.01 내지 0.15%미만이다.
C는 선재의 강도를 향상시키는 원소이다. 선재의 강도를 향상시키는 위해 C는 0.01% 이상 포함되어야 하며, 0.03% 이상 포함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다만, 그 함량이 과다한 경우, 강의 변형 저항이 급증하며, 이로 인해 냉간단조성이 악화된다. 이에 C 함량의 상한은 0.14%로 한다. C 함량의 상한이 0.12%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Si(실리콘)의 함량은 0.3% 이하이다.
Si은 탈산제로서 유용한 원소이다. 다만, 그 함량이 과다한 경우 고용강화에 의해 강의 변형 저항이 급증하며, 이로 인해 냉간단조성이 악화된다. 이에 따라, Si 함량의 상한은 0.3%로 한다. 보다 바람직하게 Si 함량의 상한은 0.2%로 할 수 있다.
Mn(망간)의 함량은 0.2 내지 0.75%이다.
Mn은 탈산제 및 탈황제로서 유용한 원소이다. 이러한 효과를 위하여 Mn은 0.2% 이상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0.3% 이상 포함될 수 있다. 다만, Mn의 함량이 과다한 경우, 강 자체의 강도가 지나치게 높아셔 강의 변형 저항이 급증하며, 이로 인해 냉간단조성이 악화될 수 있다. 이에 Mn 함량의 상한은 0.75% 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Mn 함량의 상한은 0.7%일 수 있다.
P(인)의 함량은 0.03%이하이다.
P은 불가피하게 함유되는 불순물이며, 결정립게에 편석되어 강의 인성을 저하시키고, 지연 파괴 저항성을 감소하는 주요 원인이 되는 원소이다. 이에 그 함량을 가능한 낮게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론상 P의 함량은 0%로 제어하는 것이 유리하나, 제조공정상 필연적으로 함유될 수 밖에 없다. 따라서 상한을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며, 본 발명에서는 P의 함량의 상한을 0.03%로 한다.
S(황)의 함량은 0.03% 이하이다.
S는 불가피하게 함유되는 불순물로서, 결정립계에 편석되어 강의 연성을 저하시키고, 강 중 유화물을 형성하여 지연 파괴 저항성 및 응력 이완 특성을 악화시키는 원소이다. 이에 그 함량을 가능한 낮게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론상 S의 함량을 0%로 제어하는 것이 유리하나, 제조공정 상 필연적으로 함유될 수 밖에 없다. 따라서, 상한을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며, 본 발명에서는 S의 함량의 상한을 0.03%로 한다.
Sol. Al(가용 알루미늄)의 함량은 0.01 내지 0.05%이하이다.
Al은 탈산제로서 유용한 원소이다. 본 발명에서 이러한 효과를 가지기 위해서는 Al은 0.01% 이상 포함되어야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Al은 0.015% 이상 포함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Al은 0.02% 이상 포함될 수 있다. 다만, 그 함량이 과다할 경우 AlN 형성에 의해 오스테나이트 결정립 미세화 효과가 커지게 되어 냉간단조성이 저하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Al 함량의 상한을 0.05%로 한다.
Cr(크롬)의 함량은 0.5% 이하이다.
Cr은 열간압연시 페라이트 및 펄라이트 변태를 촉진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강 자체의 강도를 필요 이상으로 높이지 않으면서, 강 중 탄화물을 석출시켜 고용 탄소량을 저감시켜, 고용 탄소에 의한 동적 변형 시효의 감소에 기여한다. 다만, 그 함량이 과다할 경우, 강 자체의 강도가 지나치게 높아져 강의 변형 저항이 급증하며, 이로 인해 냉간단조성이 악화될 수 있다. 따라서, Cr 함량의 상한은 0.5%로 한다. Cr의 함량은 바람직하게는 0.4% 이하일 수 있다.
Ti(티타늄)의 함량은 0.005 내지 0.05%이다.
Ti는 탄질화물 형성원소로 강 중 Ti가 포함될 경우 C 및 N의 고정에 유리하게 작용하여 냉간단조성에 유리하게 작용할 수 있다. 다만, 미세한 Ti(C, N) 석출물이 다량 석출될 경우 석출 강화에 의한 매트릭스 강도가 급격히 상승하여 냉간단조성을 악화시킬 수 있다. 이에 그 함량, 크기 및 분포를 적절히 제어하여야 한다. Ti 함량이 0.005% 미만이면 C, N 고정효과가 미비하다. 이와 반대로, Ti 함량이 0.05%를 초과하면 Ti 석출물이 다량 형성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Ti의 함량을 0.005 내지 0.05%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Ti의 함량이 0.005 내지 0.03%일 수 있다.
N(질소)의 함량은 0.01% 이하이다.
N은 불가피하게 함유되는 불순물로, 그 함량이 과다할 경우 고용 질소량이 증가하여 강의 변형 저항이 급증하며, 이로 인해 냉간단조성이 악화될 수 있다. 이론상 N의 함량은 0%로 제어하는 것이 유리하나, 제조공정상 필연적으로 함유될 수 밖에 없다. 따라서, 상한을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며, 본 발명에서 N의 함량의 상한은 0.01%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N의 함량의 상한은 0.008%일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N의 함량의 상한은 0.007%일 수 있다.
B(보론)의 함량은 0.006% 이하이다.
B는 질화물 형성원소로 강 중 B가 포함될 경우 고용 N의 고정에 유리하게 작용하여 냉간단조성에 유리하게 작용할 수 있다. 다만, Ti와 복합으로 사용할 경우 그 효과가 사라질 수 있기 때문에 적절히 조합하여 사용해야 한다. 또한, B의 함량이 과다한 경우 입계 BN 석출물 형성에 의해 강의 연성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그 상한을 제어하여야 한다. B 함량의 상한은 0.006%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B 함량의 상한은 0.005%일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B 함량의 상한은 0.004%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Ti, B, N의 함량은 아래의 식(2)를 만족할 수 있다.
0≤[0.31Ti + 1.4B-N]≤0.004......식(2)
식(2)의 값이 0 미만인 경우에는 강의 변형 저항이 급증하여 냉간단조성이 악화될 수 있다. 식(2)의 함량이 0.004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석출물이 과다하게 석출되어 강의 연성이 약해질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식(2)의 값은 0 내지 0.04 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Si, Mn, Cr, C, Ti의 함량은 아래의 식(3)을 만족한다.
0.8≤[(Si + Mn + Cr)/10C + Ti/C]≤2.3 ......식(3)
식(3)의 값이 0.8 미만인 경우에는 C의 함량이 과다하여 냉간단조성이 악화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식(3)의 값이 2.3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강의 변형 저항이 급증하여 냉간단조성이 악화될 수 있다. 이에 식(3)의 값은 0.8 내지 2.3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재는 미세조직으로 페라이트(ferrite)와 펄라이트(pearlite)를 포함할 수 있다. 면적분율로 페라이트가 차지하는 분율은 80%이상(100% 제외)일 수 있다. 펄라이트는 면적분율로 20%이하(0% 제외)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조직은 우수한 냉간가공성 확보와 더불어 신선 가공 후 강도를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페라이트의 평균 입경은 15 내지 40㎛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페라이트의 평균 입경은 20 내지 35㎛일 수 있다. 페라이트의 평균 입경이 15㎛ 미만인 경우에는 입계 미세화에 의해 강도가 증가하여 냉간단조성이 감소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페라이트의 평균 입경이 40㎛를 초과하는 경우에도 강도가 감소할 수 있다.
상술한 평균 입경은, 선재의 길이 방향 일 단면을 관찰하여 검출한 입자들의 평균 원 상당 직경(equivalent circular diameter)를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재의 미세조직은 하기 식(3)을 만족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추가적인 실험을 통하여 결정 방위차가 15° 이상의 페라이트 입계 평균 원상당 지름(A), 결정 방위차가 15° 이상의 페라이트 입계 결정립의 비율(B) 및 페라이트 상의 평균 경도(C)가 하기 식(3)을 만족할 경우 냉간단조성이 개선되는 것이 판명되었다.
{(A/4) +[(Bx30) / (2A+40)]} x (C/3) ≥ 700......식(3)
식(3)의 값이 700미만인 경우에는 냉간단조성이 감소할 수 있다.
평균 경도값 C는 (Hv, 1/2d +Hv, 1/4d)/2를 의미하며, Hv, 1/2d 및 Hv, 1/4d 각각은 선재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단면에서 선재의 표면으로부터 선재의 직경(d) 방향 1/2d 위치 및 1/4d 위치에서 측정한 선재의 경도를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냉간압조용 선재의 제조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상술한 성분계를 만족하는 강편을 가열한다. 이 때, 가열 온도는 1000 내지 1150℃일 수 있다. 가열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1030 내지 1130℃일 수 있다. 가열 온도가 1000℃ 미만인 경우에는 열간 변형 저항이 증가하여 생산성의 저하를 가져올 수 있다. 이와 반대로, 가열 온도가 115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페라이트 결정립이 조대해져 연성이 저하될 수 있다.
이후, 선재를 얻기 위하여 열간압연을 진행한다. 이 때, 마무리 압연 온도는 920 내지 1020℃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마무리 압연 온도는 930 내지 1000℃일 수 있다. 마무리 압연 온도가 920℃ 미만인 경우에는 페라이트 결정립 미세화에 의한 강도 상승으로 변형 저항이 증가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마무리 압연 온도가 102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페라이트 결정립이 지나치게 조대해져 연성이 저하될 수 있다.
이후, 선재를 권취하고, 냉각한다. 이 때 선재의 권취 온도는 800 내지 880℃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선재의 권취 온도는 820 내지 860℃일 수 있다. 권취온도가 800℃ 미만인 경우에는 냉각시 발생한 표층부의 마르텐사이트가 복열에 의해 회복되지 않고, 소려 마르텐사이트가 생성되어 딱딱하고 무른 강이 생성되어 냉간단조성이 저하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권취온도가 88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표면에 스케일이 두껍게 형성되어 탈스케일시 문제가 생길 수 있으며, 냉각시간이 길어져 생산성이 저하될 수 있다.
냉각은 아래와 같이 순차적으로 냉각될 수 있다.
냉각단계는 열간압연에서 마무리 압연 온도에서 권취 온도 미만의 온도범위까지 5℃/s 내지 20℃/s 미만의 냉각속도로 냉각하는 제1냉각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냉각단계는 권취와 함께 진행될 수 있다.
제1냉각단계 이후 권취온도에서 750℃미만까지 2℃/s 내지 5℃/s 미만의 냉각속도로 냉각하는 제2냉각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제2냉각단계 이후 750℃에서 650℃미만까지 1℃/s 내지 2℃/s 미만의 냉각속도로 냉각하는 제3냉각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제3냉각단계 이후 600℃에서 400℃ 미만까지 0.8℃/s 미만(0℃/s 는 제외)의 냉각속도로 냉각하는 제4냉각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들을 통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들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하기 [표 1]의 조성을 가지는 강편을 1100℃에서 3시간 가열한 후, Φ25mm로 열간압연하여 선재를 제조하였다. 이 때, 마무리 압연온도는 950℃로, 압연비는 80%로 일정하게 하였다. 이후, 제1냉각단계(CR1)로 850℃까지 냉각하고 권취하고, 제2냉각단계(CR2), 제3냉각단계(CR3), 제4냉각단계(CR4)에 걸쳐 냉각을 진행하여 선재를 제조하였다. 냉각 진행 공정은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강종 합금 조성(중량%)
C Si Mn P S Cr Al Ti B N 식(1) 식(2)
발명강1 0.04 0.08 0.53 0.009 0.007 - 0.025 0.025 - 0.0055 2.15 0.0022
발명강2 0.07 0.10 0.65 0.010 0.008 - 0.036 0.014 0.0015 0.0048 1.27 0.0016
발명강3 0.11 0.11 0.74 0.011 0.005 0.31 0.033 0.022 - 0.0037 1.25 0.0031
발명강4 0.14 0.12 0.68 0.012 0.006 0.48 0.042 0.007 0.0023 0.0042 0.96 0.0011
비교강1 0.08 0.10 0.37 0.010 0.004 - 0.028 0.018 - 0.0058 0.81 -0.0002
비교강2 0.12 0.07 0.49 0.008 0.007 - 0.033 0.005 0.0012 0.0047 0.51 -0.0015
비교강3 0.15 0.14 0.56 0.011 0.005 0.22 0.039 0.014 - 0.0062 0.71 -0.0019
비교강4 0.20 0.16 0.72 0.010 0.006 0.54 0.046 0.011 0.0020 0.0058 0.77 0.0004
여기서, 식(1)=([Si]+[Mn]+[Cr]/10[C])+[Ti]/[C] 이고, 식(2)=0.31[Ti]+1.4[B]-[N] 이고,
상기 [C],[Si],[Mn],[Cr],[Ti],[B] 및 [N]은 해당 원소의 함량(중량%)을 의미함
종냉각속도(℃/s) 미세조직
종류
Ferrite 분율 Ferrite 평균입경(㎛) A
(㎛)
B
(%)
C
(Hv)
식(3) 비고
CR1 CR2 CR3 CR4
7.4 2.6 1.3 0.6 F+P 91 33.2 34.8 68 90.3 775 발명예1
6.2 3.8 1.6 0.4 F+P 88 30.5 32.9 62.5 95.6 778 발명예2
5.8 4.3 1.2 0.5 F+P 85 23.7 22.5 57.3 98.7 780 발명예3
8.5 3.1 1.8 0.7 F+P 81 17.6 18.6 48.7 104.6 746 발명예4
5.3 2.3 0.7 0.6 F+P 86 25.7 21.7 42.3 99.5 630 비교예1
4.2 1.6 0.5 0.8 F+P 84 13.5 14.3 31.2 106.7 550 비교예2
6.7 1.2 1.1 0.9 F+P 79 22.4 26.1 27.6 109.3 532 비교예3
3.8 2.7 1.3 1.0 F+P 74 14.3 12.1 20.1 124.5 462 비교예4
여기서, 미세조직 종류 중 F는 페라이트(ferrite)를 의미하고, P는 펄라이트(pearlite)를 의미함.
또한, 식(3)={(A/4)+[(Bx30)/(2A+40)]}x(C/3)을 의미하고,평균경도값 C는 (Hv,1/2d+Hv,1/4d)/2을 의미함.
(여기서, Hv,1/2d 및 Hv,1/4d 각각은 선재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단면에서 선재의 표면으로부터 선재의 직경(D) 방향 1/2D 위치 및 1/4D 위치에서 측정한 선재의 경도를 의미함)
이후 냉각된 선재에 각각 10%, 20%, 30%의 신선 가공량을 인가하여 강선을 제조하였으며, 냉간단조성을 평가하여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냉간단조성 평가는 노치압축시편을 진변형 0.85의 압축 시험을 실시하여 균열 발생 유무로 평가하였으며, 균열이 발생하지 않은 경우 "GO", 균열이 발생한 경우 "NG"로 평가하였다.
강종 인장강도(Mpa) 냉간 가공성 비고
0% 10% 20% 30% 0% 10% 20% 30%
발명강1 343 389 432 476 GO GO GO GO 발명예 1
발명강2 366 402 455 491 GO GO GO GO 발명예 2
발명강3 395 428 472 507 GO GO GO GO 발명예 3
발명강4 418 443 484 516 GO GO GO GO 발명예 4
비교강1 374 418 465 505 GO GO GO NG 비교예 1
비교강2 402 442 481 514 GO GO GO NG 비교예 2
비교강3 436 480 522 568 GO GO NG NG 비교예 3
비교강4 468 503 554 597 GO GO NG NG 비교예 4
[표 3]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합금 조성 및 제조조건을 만족하는 발명예 1 내지 발명예 4의 경우 미세조직, 결정방위차가 15° 이상의 입계로 둘러싸인 페라이트 입계 평균 사이즈, 페라이트 분율, 페라이트상의 평균 경도가 본 발명의 범위를 만족하며 냉간단조성이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비교예 1의 경우 제3냉각단계의 냉각속도가 0.7℃/s로 본 발명의 범위를 만족하지 못하고, 식(3)의 값이 700이하로 본 발명의 범위를 만족하지 못하여 신선가공량 30%에서 크랙이 발생되어 냉간가공성이 열위한 것을 알 수 있다.
비교예 2의 경우 식(1)과 식(2)의 값을 만족하지 못하며, 제1냉각단계, 제2냉각단계, 제3냉각단계의 냉각속도가 본 발명의 범위를 만족하지 못하며, 식(3)의 값 또한 본 발명의 범위를 만족하지 못하며, 페라이트 결정립의 사이즈 또한 본 발명의 범위를 만족하지 못하여 신선가공량 30%에서 크랙이 발생되어 냉간가공성이 열위한 것을 알 수 있다.
비교예 3의 경우 C의 함량이 본원 발명의 범위를 만족하지 못하며, 식(1)과 식(2)의 값을 만족하지 못하며, 제2냉각단계, 제4냉각단계의 냉각속도가 본 발명의 범위를 만족하지 못하며, 이에 페라이트 분율 또한 80%가 되지 못하며, 식(3)의 값 또한 본 발명의 범위를 만족하지 못한다. 이에 신선가공량 20, 30%에서 크랙이 발생되어 냉간가공성이 열위한 것을 알 수 있다.
비교예 4의 경우 C의 함량이 본원 발명의 범위를 만족하지 못하며, 식(1)과 식(2)의 값을 만족하지 못하며, 제1냉각단계, 제4냉각단계의 냉각속도가 본 발명의 범위를 만족하지 못하며, 페라이트 결정립 사이즈 또한 본원 발명의 범위를 만족하지 못하며, 이에 페라이트 분율 또한 80%가 되지 못하며, 식(3)의 값 또한 본 발명의 범위를 만족하지 못한다. 이에 신선가공량 20, 30%에서 크랙이 발생되어 냉간가공성이 열위한 것을 알 수 있다.
상술한 바에 있어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다음에 기재하는 청구범위의 개념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1)

  1. 중량%로, C: 0.01 내지 0.15%미만, Si: 0.3% 이하, Mn: 0.2 내지 0.75%, P: 0.03% 이하, S: 0.03% 이하, sol. Al: 0.01 내지 0.05%, Cr: 0.5% 이하, Ti: 0.005 내지 0.05%, N: 0.01% 이하, 나머지는 Fe 및 기타 불순물을 포함하고,
    결정 방위차가 15°이상의 페라이트 입계로 둘러싸인 페라이트의 평균 입경이 15 내지 40㎛이며, 하기 식(1)을 만족하는 냉간압조용 선재.
    {(A/4) +[(Bx30) / (2A+40)]} x (C/3) ≥ 700......식(1)
    여기서, A는 결정 방위차가 15°이상의 페라이트 입계 평균원상당 지름(㎛)이며, B는 결정 방위차가 15°이상의 페라이트 입계 결정립이 페라이트상 전체에 대해 차지하는 면적분율(면적%)이며, C는 페라이트상의 평균 경도(Hv)를 의미한다.
  2. 제1항에 있어서,
    B: 0.006% 이하를 더 포함하며,
    하기 식(2)를 만족하는 냉간압조용 선재.
    0≤[0.31Ti + 1.4B-N]≤0.004......식(2)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하기 식(3)을 만족하는 냉간압조용 선재.
    0.8≤[(Si + Mn + Cr)/10C + Ti/C]≤2.3......식(3)
  4. 제1항에 있어서,
    미세조직은 펄라이트와 페라이트로 구성되며, 면적분율로 페라이트가 차지하는 분율이 80% 이상인 냉간압조용 선재.
  5. 중량%로, C: 0.01 내지 0.15%미만, Si: 0.3% 이하, Mn: 0.2 내지 0.75%, P: 0.03% 이하, S: 0.03% 이하, sol.Al: 0.01 내지 0.05%, Cr: 0.5% 이하, Ti: 0.005 내지 0.05%, B: 0.006% 이하, N: 0.01% 이하, 나머지는 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고, 상기 성분의 함량은 하기 식(1) 및 식(2)를 만족하는 빌렛을 가열하는 단계;
    상기 가열된 빌렛을 마무리 압연온도 920 내지 1020℃에서 열간압연하는 단계;
    상기 열간압연된 선재를 귄취하고, 냉각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냉간압조용 선재의 제조방법.
    0.8≤[(Si + Mn + Cr)/10C + Ti/C]≤2.3 ......식(1)
    0≤[0.31Ti + 1.4B-N]≤0.004......식(2)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단계는 상기 열간 압연에서 마무리 압연 온도에서 권취 온도 미만의 온도범위까지 5℃/s 내지 20℃/s 미만의 냉각속도로 냉각하는 제1냉각단계를 포함하는 냉간압조용 선재의 제조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단계는 상기 제1냉각단계 이후 상기 권취온도부터 750℃ 미만까지 2℃/s 내지 5℃/s 미만의 냉각속도로 냉각하는 제2냉각단계를 더 포함하는 냉간압조용 선재의 제조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단계는 제2냉각단계 이후 750℃부터 650℃까지 1℃/S 내지 2℃/s 미만의 냉각속도로 냉각하는 제3냉각단계를 더 포함하는 냉간압조용 선재의 제조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단계는 제3냉각단계 이후 650℃ 부터 400℃ 미만까지 0.8℃/s 미만(0℃/s는 제외)의 냉각속도로 냉각하는 제4냉각단계를 더 포함하는 냉간압조용 선재의 제조방법.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빌렛을 가열하는 단계에서 가열 온도는 1000 내지 1150℃인 냉간압조용 선재의 제조방법.
  11.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권취 단계에서 권취 온도는 800 내지 880℃인 냉간압조용 선재의 제조방법.
KR1020170178711A 2017-12-22 2017-12-22 냉간압조용 선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420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8711A KR102042062B1 (ko) 2017-12-22 2017-12-22 냉간압조용 선재 및 이의 제조방법
CN201810795127.5A CN109957724B (zh) 2017-12-22 2018-07-19 冷镦用线材及其制造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8711A KR102042062B1 (ko) 2017-12-22 2017-12-22 냉간압조용 선재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6694A true KR20190076694A (ko) 2019-07-02
KR102042062B1 KR102042062B1 (ko) 2019-11-08

Family

ID=670231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8711A KR102042062B1 (ko) 2017-12-22 2017-12-22 냉간압조용 선재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42062B1 (ko)
CN (1) CN109957724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737099A (zh) * 2021-09-09 2021-12-03 广东韶钢松山股份有限公司 可适应大变形量冷加工成型用工具钢及其制备方法和套筒及其制备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647794B (zh) * 2020-04-17 2021-09-24 江阴兴澄特种钢铁有限公司 一种钢棒线材打包钢丝及制造方法
CN113025908B (zh) * 2021-03-09 2022-04-26 马鞍山钢铁股份有限公司 一种汽车安全带扭力杆用冷镦钢热轧盘条及其生产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07089A (ja) * 2011-06-23 2013-01-10 Kobe Steel Ltd 冷間加工用機械構造用鋼およ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機械構造用部品
KR101714916B1 (ko) * 2015-11-12 2017-03-10 주식회사 포스코 냉간단조성이 우수한 선재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73169A (en) * 1980-10-24 1982-05-07 Central Glass Co Ltd Sealed metallic wire rod for reinforcing glass
JPS60245722A (ja) * 1984-05-21 1985-12-05 Kawasaki Steel Corp 高張力線材の製造方法
JPH0759738B2 (ja) * 1988-10-17 1995-06-28 新日本製鐵株式会社 均一伸びの優れた超高張力pc鋼線或は鋼棒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8232046A (ja) * 1995-02-23 1996-09-10 Nippon Steel Corp 耐捻回割れ性に優れた高強度鋼線
JP3844443B2 (ja) * 2002-04-12 2006-11-15 新日本製鐵株式会社 海底光ファイバーケーブル補強用異形線
JP2007327084A (ja) * 2006-06-06 2007-12-20 Kobe Steel Ltd 伸線加工性に優れた線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WO2011062012A1 (ja) * 2009-11-17 2011-05-26 新日本製鐵株式会社 低温焼鈍用鋼線及びその製造方法
MX344834B (es) * 2010-08-30 2017-01-09 Kobe Steel Ltd Alambron de acero para resorte de alta resistencia de excelente aptitud para el estirado de alambre, metodo de fabricacion para el mismo, y resorte de alta resistencia.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07089A (ja) * 2011-06-23 2013-01-10 Kobe Steel Ltd 冷間加工用機械構造用鋼およ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機械構造用部品
KR101714916B1 (ko) * 2015-11-12 2017-03-10 주식회사 포스코 냉간단조성이 우수한 선재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737099A (zh) * 2021-09-09 2021-12-03 广东韶钢松山股份有限公司 可适应大变形量冷加工成型用工具钢及其制备方法和套筒及其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957724A (zh) 2019-07-02
KR102042062B1 (ko) 2019-11-08
CN109957724B (zh) 2021-04-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4916B1 (ko) 냉간단조성이 우수한 선재 및 그 제조방법
CN108350549B (zh) 具有优异的冷加工性的非淬火和回火的线材及其制造方法
KR101965520B1 (ko) 냉간 단조 부품용 압연 봉강 또는 압연 선재
KR102178711B1 (ko) 강도 및 충격인성이 우수한 비조질 선재 및 그 제조방법
JP2019178405A (ja) 鋼線材の製造方法
KR102042062B1 (ko) 냉간압조용 선재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8061101A1 (ja)
JP2024060017A (ja) 超高強度ばね用線材、鋼線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630978B1 (ko) 냉간가공성이 우수한 비조질 선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977467B1 (ko) 강도 및 냉간가공성이 우수한 중탄소 선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19431B1 (ko) 냉간압조용 고탄소강 선재, 이를 이용한 가공품 및 이들의 제조방법
WO2015005311A1 (ja) コイルばね、およびその製造方法
EP4079907A1 (en) Wire rod for high strength cold head quality steel with excellent resistance to hydrogen embrittlemen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797381B1 (ko) 내식성이 우수한 스프링용 강선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797349B1 (ko) 구상화 열처리 생략이 가능한 냉간압조용 고탄소강 선재, 이를 이용한 가공품 및 이들의 제조방법
KR20160078844A (ko) 수소유기균열 저항성이 우수한 후판 강재 및 그 제조방법
KR102448753B1 (ko) 절삭성 및 충격인성이 향상된 중탄소 비조질 선재 및 그 제조방법
CN114207168B (zh) 用于高强度弹簧的线材和钢丝及其制造方法
JPWO2018168618A1 (ja) 高強度冷延鋼板とその製造方法
KR102348549B1 (ko) 가공성이 우수한 강재 및 그 제조방법
WO2020203445A1 (ja) 中炭素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977502B1 (ko) 변형능 및 냉간압조 후 인장강도가 우수한 냉간압조용 선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839240B1 (ko) 냉간 가공성이 우수한 고성형 저탄소 선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70110773A (ko) 냉간압조용 고탄소강 선재, 이를 이용한 가공품 및 이들의 제조방법
CN118318058A (zh) 具有改善的抗延迟断裂性的冷锻线材和钢部件以及用于制造其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