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76383A - 방향족 폴리이미드 개질 탄소나노튜브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방향족 폴리이미드 개질 탄소나노튜브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76383A
KR20190076383A KR1020170178143A KR20170178143A KR20190076383A KR 20190076383 A KR20190076383 A KR 20190076383A KR 1020170178143 A KR1020170178143 A KR 1020170178143A KR 20170178143 A KR20170178143 A KR 20170178143A KR 20190076383 A KR20190076383 A KR 201900763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omatic
carbon nanotube
polyimide
acid anhydrid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81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79310B1 (ko
Inventor
채한기
황상하
박종찬
Original Assignee
울산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울산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울산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701781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9310B1/ko
Publication of KR201900763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63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93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93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2/00Carbon; Compounds thereof
    • C01B32/15Nano-sized carbon materials
    • C01B32/158Carbon nanotubes
    • C01B32/168After-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7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nitrogen with or without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G12/00 - C08G71/00
    • C08G73/06Polycondensates having nitrogen-containing heterocyclic rings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73/10Polyimides; Polyester-imides; Polyamide-imides; Polyamide acids or similar polyimide precursors
    • C08G73/1067Wholly aromatic polyimides, i.e. having both tetracarboxylic and diamino moieties aromatically boun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Nano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Forming Nitrogen-Containing Linkag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방향족 아민 및 방향족 산무수물이 중합된 방향족 폴리이미드를 포함하는, 개질 탄소나노튜브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방향족 폴리이미드 개질 탄소나노튜브 및 이의 제조방법{AROMATIC POLYIMIDE MODIFIED CARBON NANOTUBE AND MEHTOD FOR PREPARING THE SAME}
본 발명은 방향족 폴리이미드 개질 탄소나노튜브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탄소나노튜브는 수 내지 수십 나노미터의 직경과 높은 종횡비의 기하학적 특징을 가지고, 탄소 원자 간 sp2 결합만으로 이루어져 우수한 기계적 강도, 전기전도성, 및 열전도성을 나타내는 소재로 다양한 분야에서 응용되고 있다.
탄소나노튜브의 응용 분야로는 크게 강도/경량화 분야, 전기전도성/열전도성 응용 분야, 환경/에너지 분야로 구분될 수 있다. 이들 중 전기전도성/열전도성 응용 분야로는 반도체 트레이, 전도성 도료, 투명전극, 전자회로, 방열부품, 면상발열체, 테이프 릴, 전자파 차폐재, 타이어 등을 예시할 수 있다.
한편, 방향족 이민과 방향족 산무수물 간의 중합체 형태를 갖는 방향족 폴리이미드(PI; polyimide)는 뛰어난 전기전도성, 기계적 성질, 높은 열안정성 및 우수한 내화학성, 방사선 저항성 등으로 인해 각종 전자기기, 항공우주 산업, 고성능 복합재에 사용된다.
폴리이미드는 분자 간 상호작용을 통해 전하 이동 착물을 형성함으로써, 다수의 유기용매에 대해 불용성이면서 녹지 않는 특성을 가진다. 이에 따라, 통상적으로 2단계 합성을 통해 폴리이미드를 제조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전구체인 폴리아믹산(PAA)을 합성한 다음, 폴리아믹산을 화학적 내지 열적으로 이미드화(imidization)함으로써 폴리이미드를 제조할 수 있다.
최근 탄소나노튜브의 표면을 개질함으로써 전기전도성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일례로 전도성을 나타내는 작용기를 도입함으로써 탄소나노튜브의 전기전도성을 향상시키는 방법이 알려진 바 있다.
이러한 연구 방향을 기초로, 본 발명자들은 이미드 작용기를 갖는 화합물로 탄소나노튜브의 표면을 개질함으로써 기존 탄소나노튜브에 비해 전기전도성이 월등히 향상된 탄소나노튜브를 개발하였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전기전도성이 우수한 개질 탄소나노튜브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방향족 아민 및 방향족 산무수물이 중합된 방향족 폴리이미드를 포함하는, 개질 탄소나노튜브가 제공된다.
일 측에 따르면, 상기 방향족 아민은 4,4'-옥시아닐린(ODA; 4,4'-oxyaniline)일 수 있다.
일 측에 따르면, 상기 방향족 산무수물은 피로멜리틱 디언하이드라이드(PMDA; pyromellitic dianhydride)일 수 있다.
일 측에 따르면, 상기 방향족 아민 및 상기 방향족 산무수물은 1 : 1~1.05의 몰 비(molar ratio)로 중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a) 탄소나노튜브를 방향족 아민으로 개질하는 단계; (b) 상기 방향족 아민 및 방향족 산무수물을 중합하여 폴리아믹산(polyamic acid)을 합성하는 단계; 및 (c) 상기 폴리아믹산을 가열하여 폴리이미드(polyimide)로 변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개질 탄소나노튜브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일 측에 따르면, 상기 방향족 아민은 4,4'-옥시아닐린(ODA; 4,4'-oxyaniline)일 수 있다.
일 측에 따르면, 상기 방향족 산무수물은 피로멜리틱 디언하이드라이드(PMDA; pyromellitic dianhydride)일 수 있다.
일 측에 따르면,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방향족 아민 및 상기 방향족 산무수물을 1 : 1~1.05의 몰 비(molar ratio)로 중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개질 탄소나노튜브는 방향족 폴리이미드 작용기를 지니고 있어 우수한 전기전도성을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질 탄소나노튜브의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리아믹산 및 폴리이미드의 인장강도 측정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폴리아믹산 및 폴리이미드의 주사전자현미경(SEM) 이미지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리아믹산 및 폴리이미드의 FT-IR 분석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리아믹산 및 폴리이미드의 DSC 분석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아래 설명하는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다. 아래 설명하는 실시예들은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이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실시예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방향족 폴리이미드 개질 탄소나노튜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방향족 아민 및 방향족 산무수물이 중합된 방향족 폴리이미드를 포함하는, 개질 탄소나노튜브가 제공된다. 상기 탄소나노튜브는 그 자체로 우수한 전기전도성을 나타내어 반도체 소자, 전자파 차폐재 등 전기전도성이 요구되는 분야에 우수한 필러로 적용될 수 있다.
상기 탄소나노튜브의 표면을 개질하는 상기 방향족 폴리이미드는 방향족 아민과 방향족 산무수물이 중합된 형태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상기 방향족 아민은 4,4'-옥시아닐린(ODA; 4,4'-oxyaniline)일 수 있고, 상기 방향족 산무수물은 피로멜리틱 디언하이드라이드(PMDA; pyromellitic dianhydride)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방향족 아민 및 상기 방향족 산무수물은 1 : 1~1.05의 몰 비(molar ratio)로 중합될 수 있다. 상기 방향족 아민의 몰 비 1을 기준으로, 상기 방향족 산무수물의 몰 비가 1 미만이거나 1.05 초과이면 중합체 형성을 위한 단량체 혼합물의 점도가 과도하게 높거나 과도하게 낮아, 중합체 형성 자체가 어려울 수 있다.
방향족 폴리이미드 개질 탄소나노튜브의 제조방법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a) 탄소나노튜브를 방향족 아민으로 개질하는 단계; (b) 상기 방향족 아민 및 방향족 산무수물을 중합하여 폴리아믹산(polyamic acid)을 합성하는 단계; 및 (c) 상기 폴리아믹산을 가열하여 폴리이미드(polyimide)로 변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개질 탄소나노튜브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탄소나노튜브는 그 자체로 우수한 전기전도성을 나타내지만 분산성이 낮기 ?문에, 단순히 탄소나노튜브를 폴리이미드 용액에 침지시키는 것으로는 충분한 개질이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a) 단계에서는 폴리이미드 중합을 위한 일 단량체인 방향족 아민으로 탄소나노튜브를 개질한 뒤, 중합반응을 진행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탄소나노튜브를 산(acid) 용액, 구체적으로 황산과 질산의 혼합 용액, 바람직하게는 황산과 질산이 3 : 1의 부피비로 혼합된 용액에 침지시킴으로써, 상기 탄소나노튜브가 표면에 카르복시기 및 하이드록시기 작용기를 함유하도록 개질할 수 있다.
그 다음, 산 용액으로 표면 개질된 탄소나노튜브를 방향족 아민, 구체적으로 4,4'-옥시아닐린(ODA; 4,4'-oxyaniline)을 포함하는 용액에 침지시킴으로써 방향족 아민으로 표면 개질된 탄소나노튜브를 합성할 수 있다. 이 때, 디메틸포름아마이드(DMF), N,N'-디클로로헥실카보디이미드(DCC)와 같은 탈수제 및 4-디메틸아미노피리딘(DMAP)와 같은 촉매를 첨가함으로써 반응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b) 단계에서는 탄소나노튜브의 표면에 존재하는 방향족 아민에 방향족 산무수물을 첨가함으로써 이들 간 중합반응을 유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방향족 산무수물은 피로멜리틱 디언하이드라이드(PMDA; pyromellitic dianhydride)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에 따라 합성되는 물질은 폴리아믹산(polyamic acid)일 수 있으며, 상기 (b) 단계가 완료된 후 수득되는 생성물은 폴리아믹산에 의해 표면 개질된 탄소나노튜브일 수 있다.
한편,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방향족 아민 및 상기 방향족 산무수물을 1 : 1~1.05의 몰 비(molar ratio)로 중합할 수 있다. 몰 비 한정에 따른 중합체 제조 용액의 점도 등에 관해서는 전술한 것과 같다.
상기 (c) 단계에서는 폴리아믹산을 가열함으로써 고리형 이미드를 합성할 수 있고, 이에 따른 최종 생성물은 방향족 폴리이미드(polyimide)로 표면 개질된 탄소나노튜브일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기술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방향족 폴리이미드의 합성
4,4'-옥시아닐린(ODA) 16.442g을 디메틸아세트아마이드(DMAc) 용매 230.497g 에 용해시켰다. 수득된 용액에 피로멜리틱 디언하이드라이드(PMDA)의 몰 비를 조절하면서 첨가한 다음, 4시간 동안 기계적으로 교반하였다.
구체적인 화합물의 함량은 아래 표 1과 같으며, 각각의 몰 비에 따른 점도를 측정하여 함께 나타내었다.
PMDA : ODA
몰 비(molar ratio)
점도(cP) PMDA 함량(g) ODA 함량(g)
100 : 100 430,000 17.910 16.442
100.5 : 100 330,000 18.000 16.442
101.3 : 100 54,000 18.143 16.442
이후, 직경 250㎛의 홀이 5개 구비된 방사구가 구비된 장치를 이용한 건조 제트 습식 스피닝(Dry-jet wet spinning) 공정을 통해 상기 용액으로부터 폴리아믹산(PAA)을 제조하였다. 이 때, 연신비(draw ratio)를 3, 6, 9로 각각 조절하면서 스피닝 공정을 수행하였고, 각각의 연신비에 따른 샘플을 DR3, DR6, DR9로 명명하였다.
다음으로, 제조된 폴리아믹산을 100℃, 200℃, 300℃ 마다 1시간씩 등온으로 유지하면서, 420℃까지 5℃/min의 가열 속도(heating rate)로 승온함으로써 폴리이미드(PI)를 제조하였다.
각각의 샘플(DR3, DR6, DR9)을 이용하여 제조된 폴리아믹산(PAA)과 폴리이미드(PI)에 대해 인장시험을 수행하였고, 그 결과를 아래 표 2 및 도 2에 나타내었다.
종류 샘플 신율
(%)
직경
(㎛)
인성
(J/g)
인장강도
(MPa)
모듈러스
(GPa)
PAA DR3 11.4±2.7 15.5±2.5 34.9±1.5 18.0±3.3 136.9±4.5
DR6 15.5±2.5 34.9±1.5 18.0±3.3 136.9±4.5 6.4±0.2
DR9 14.0±2.4 29.0±1.4 16.0±3.3 136.9±5.8 6.3±0.2
PI DR3 33.0±5.4 40.4±1.6 32.4±7.0 172.2±14.7 5.0±0.4
DR6 28.2±5.6 30.0±1.2 27.2±6.4 163.7±8.1 5.6±0.3
DR9 30.9±3.5 24.4±1.8 30.7±5.5 170.8±16.4 5.5±0.5
실시예 2: 폴리아믹산 및 폴리이미드의 물성 측정
상기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각각의 폴리아믹산 및 폴리이미드에 대해 주사전자현미경(SEM) 이미지를 관찰하고 FT-IR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폴리이미드에 대해서는 DSC 분석을 추가로 실시하였다. 각각의 결과는 도 3 내지 5에 나타내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8)

  1. 방향족 아민 및 방향족 산무수물이 중합된 방향족 폴리이미드를 포함하는, 개질 탄소나노튜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족 아민은 4,4'-옥시아닐린(ODA; 4,4'-oxyaniline)인, 개질 탄소나노튜브.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족 산무수물은 피로멜리틱 디언하이드라이드(PMDA; pyromellitic dianhydride)인, 개질 탄소나노튜브.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족 아민 및 상기 방향족 산무수물은 1 : 1~1.05의 몰 비(molar ratio)로 중합된, 개질 탄소나노튜브.
  5. (a) 탄소나노튜브를 방향족 아민으로 개질하는 단계;
    (b) 상기 방향족 아민 및 방향족 산무수물을 중합하여 폴리아믹산(polyamic acid)을 합성하는 단계; 및
    (c) 상기 폴리아믹산을 가열하여 폴리이미드(polyimide)로 변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개질 탄소나노튜브의 제조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족 아민은 4,4'-옥시아닐린(ODA; 4,4'-oxyaniline)인, 개질 탄소나노튜브의 제조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족 산무수물은 피로멜리틱 디언하이드라이드(PMDA; pyromellitic dianhydride)인, 개질 탄소나노튜브의 제조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방향족 아민 및 상기 방향족 산무수물을 1 : 1~1.05의 몰 비(molar ratio)로 중합하는, 개질 탄소나노튜브의 제조방법.
KR1020170178143A 2017-12-22 2017-12-22 방향족 폴리이미드 개질 탄소나노튜브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793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8143A KR102179310B1 (ko) 2017-12-22 2017-12-22 방향족 폴리이미드 개질 탄소나노튜브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8143A KR102179310B1 (ko) 2017-12-22 2017-12-22 방향족 폴리이미드 개질 탄소나노튜브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6383A true KR20190076383A (ko) 2019-07-02
KR102179310B1 KR102179310B1 (ko) 2020-11-16

Family

ID=672583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8143A KR102179310B1 (ko) 2017-12-22 2017-12-22 방향족 폴리이미드 개질 탄소나노튜브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931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1837B1 (ko) * 2006-02-03 2007-03-12 한국화학연구원 탄소 나노 섬유 및 폴리이미드 복합물 및 그 제조 방법
KR101535915B1 (ko) * 2013-08-08 2015-07-10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환원 및 기능화된 그래핀 옥사이드를 포함하는 고분자 복합재료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1837B1 (ko) * 2006-02-03 2007-03-12 한국화학연구원 탄소 나노 섬유 및 폴리이미드 복합물 및 그 제조 방법
KR101535915B1 (ko) * 2013-08-08 2015-07-10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환원 및 기능화된 그래핀 옥사이드를 포함하는 고분자 복합재료 및 그 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Tribol Lett, 2015, Vol.58, No.7, pp.1-12*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9310B1 (ko) 2020-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28476B2 (en) Polyimide nanocomposite and method for preparing same
JP5480400B2 (ja) 帯電防止特性または電気伝導特性を有する全芳香族ポリイミド粉末の製造方法
KR101718489B1 (ko) 그래핀 옥사이드-폴리이미드 복합재료 및 이의 제조 방법
Govindaraj et al. Microwave‐assisted synthesis of nanocomposites from polyimides chemically cross‐linked with functionalized carbon nanotubes for aerospace applications
KR20130068436A (ko) 탄소나노입자가 도입된 에폭시수지기반 전기 발열 복합필름 및 그 제조방법
Bazzar et al. 1, 2, 4-Triazole and quinoxaline based polyimide reinforced with neat and epoxide-end capped modified SiC nanoparticles: Study thermal, mechanical and photophysical properties
KR20170001340A (ko) 전기전도성 폴리에테르이미드 나노섬유 및 그 제조방법
KR20140081997A (ko) 개질화된 탄소나노튜브를 포함하는 기계적 물성과 전기 전도성이 우수한 고분자 나노복합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00124356A (ko) 탄소-벤조옥사진 복합체 제조방법 및 그 복합재료의 제조방법
KR20170032910A (ko) 유전성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소자
US9576698B2 (en) Methods for forming polyimide-carbon nanotube composite film, and polyimide-carbon nanotube composite films formed thereof
KR20160094660A (ko) 가압 조건 하에서 수행되는 폴리이미드 복합체 제조방법
CN111925540A (zh) 高介电常数的纳米钙钛矿CsPbX3/聚酰亚胺复合膜及其制备方法
KR20110047404A (ko) 화학적 처리된 탄소나노튜브/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나노복합재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179310B1 (ko) 방향족 폴리이미드 개질 탄소나노튜브 및 이의 제조방법
US11242443B2 (en) Dark-color polymer composite films
US20220064406A1 (en) Manufacturing process for dark-color polymer composite films
CN114230791A (zh) 本征型低介电含氟聚酰亚胺薄膜及其制备方法
KR101912459B1 (ko) 폴리이미드 나노복합체,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복합막
US7081491B2 (en) Method for fabricating polybenzoxazole/clay nanocomposite materials
KR101535915B1 (ko) 환원 및 기능화된 그래핀 옥사이드를 포함하는 고분자 복합재료 및 그 제조방법
CN113072700B (zh) 具有改善的机械性能的本征黑色聚酰亚胺薄膜及其制备方法
KR102230494B1 (ko)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폴리이미드 필름의 제조방법
KR20170121131A (ko)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폴리이미드 필름 제조방법
CN116253880B (zh) 一种聚酰胺酸树脂及其制备方法、黑色聚酰亚胺膜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