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75311A -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75311A
KR20190075311A KR1020170176789A KR20170176789A KR20190075311A KR 20190075311 A KR20190075311 A KR 20190075311A KR 1020170176789 A KR1020170176789 A KR 1020170176789A KR 20170176789 A KR20170176789 A KR 20170176789A KR 20190075311 A KR20190075311 A KR 201900753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vertisement content
electronic device
display
image corresponding
status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67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04752B1 (ko
Inventor
신지항
김광수
김재욱
임호건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767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4752B1/ko
Priority to US16/956,254 priority patent/US20200349609A1/en
Priority to PCT/KR2018/009695 priority patent/WO2019124672A1/ko
Publication of KR201900753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53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47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47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4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upon schedu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06Monitoring of events, devices or parameters that trigger a change in power modality
    • G06F1/3215Monitoring of peripheral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06Monitoring of events, devices or parameters that trigger a change in power modality
    • G06F1/3231Monitoring the presence, absence or movement of u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5Power saving in peripheral device
    • G06F1/3265Power saving in display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52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events or environment, e.g. weather or festiv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2Targeted advertisements during computer stand-by mod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9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user profile or attribut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10/00Energy efficient computing, e.g. low power processors, power management or thermal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전자 장치가 개시된다. 본 전자 장치는 디스플레이, 통신부,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를 저장하는 메모리 및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를 실행함으로써,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가 전송한 상태 정보를 통신부를 통해 획득하고 획득된 상태 정보를 기초로 결정된 광고 컨텐츠에 대응되는 영상을 전자 장치가 대기 모드로 동작하는 동안 제공하도록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
본 개시는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광고 컨텐츠를 적절한 시점에 제공할 수 있는 전자 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자 기술이 발달하면서, 다양한 방식으로 광고 컨텐츠가 소비자들에게 제공되었다. TV를 예로 들자면, TV 프로그램 시청 중 프로그램과 연관된 광고가 팝업 형태로 제공되기도 하였다. 그런데 사용자가 원하지 않는 시점에 노출되는 광고는 반감을 일으키며, 해당 광고 상품의 구매로 이어지는 확률 또한 매우 낮아지게 된다.
또 다른 예로, 특정 채널에서 항시 광고 컨텐츠가 제공되는 방식이 이용되었는데, 이 방식에선 사용자가 해당 채널을 선택하지 않는 이상은 광고가 전달되지 않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따라, 사용자에게 반감을 일으키지 않으면서도 광고 효과를 높일 수 있는 광고 방식에 대한 요구가 있었다.
본 개시는 상술한 요구에 따라 고안된 것으로, 본 개시의 목적은 광고 컨텐츠를 적절한 시점에 제공할 수 있는 전자 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상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디스플레이, 통신부,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computer executable instructions)를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를 실행함으로써,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가 전송한 상태 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상태 정보를 기초로 결정된 광고 컨텐츠에 대응되는 영상을 상기 전자 장치가 대기 모드로 동작하는 동안 제공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대기 모드는 일반 모드보다 저전력을 소모하는 상태로, 디스플레이는 동작하지 않고, 통신부는 동작하는 상태일 수 있고, 대기 모드로 동작 중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일반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일반 모드로 전환되면 디스플레이를 동작시키고, 전자장치가 대기 모드로 진입 전에 실행했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대기 모드는 지정된 어플리케이션 또는 위젯이 동작하는 상태일 수 있고, 광고 컨텐츠에 대응하는 영상을 상기 어플리케이션 또는 위젯에 의한 이미지와 함께 표시하거나, 광고 컨텐츠에 대응하는 영상을 상기 어플리케이션 또는 위젯에 의한 이미지 대신 표시할 수 있다. 대기 모드로 동작 중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일반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일반 모드로 전환되면 디스플레이를 동작시키고, 전자장치가 대기 모드로 진입 전에 실행했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획득된 상태 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외부 서버로 제공하고, 상기 획득된 상태 정보를 기초로 결정된 광고 컨텐츠가 상기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광고 컨텐츠에 대응되는 영상을 제공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광고 컨텐츠에 대응되는 영상은, 상기 획득된 상태 정보를 기초로 상기 외부 서버에 의해 결정된 시점에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광고 컨텐츠는, 상기 외부 서버에서 상기 획득된 상태 정보를 분석하여 결정된 사용자 컨텍스트에 대응되는 광고 컨텐츠일 수 있다.
한편,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대기 모드에서 상기 광고 컨텐츠에 대응하는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제공하는 동안 기설정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전자 장치를 일반 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광고 컨텐츠에 대응하는 다른 영상을 제공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대기 모드는 상기 일반 모드보다 저전력으로 상기 광고 컨텐츠에 대응하는 영상을 제공하는 모드일 수 있다.
한편, 상기 대기 모드에서 제공되는 상기 광고 컨텐츠에 대응하는 영상은 상기 광고 컨텐츠에 대한 간략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일반 모드에서 제공되는 상기 광고 컨텐츠에 대응하는 다른 영상은 상기 광고 컨텐츠에 대한 상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대기 모드에서 제공되는 상기 광고 컨텐츠에 대응하는 영상은 아이콘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아이콘이 선택되면 상기 전자 장치를 일반 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광고 컨텐츠에 대응하는 상기 다른 영상을 제공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는, 도어 센서, 모션 센서, 온도 센서, 조도 센서, 습도 센서, 커튼 센서, 가스 센서, 조명 장치, 호텔 서비스 요청 장치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광고 컨텐츠는, 상기 전자 장치의 사용자의 개인 정보를 기초로 결정된 것일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어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가 전송한 상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획득된 상태 정보를 기초로 결정된 광고 컨텐츠에 대응되는 영상을 상기 전자 장치가 대기 모드로 동작하는 동안 제공하도록 상기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경우, 본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어방법은, 상기 획득된 상태 정보를 외부 서버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획득된 상태 정보를 기초로 결정된 광고 컨텐츠가 상기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광고 컨텐츠에 대응되는 영상을 제공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광고 컨텐츠에 대응되는 영상은, 상기 획득된 상태 정보를 기초로 상기 외부 서버에 의해 결정된 시점에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광고 컨텐츠는, 상기 외부 서버에서 상기 획득된 상태 정보를 분석하여 결정된 사용자 컨텍스트에 대응되는 광고 컨텐츠일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어방법은, 상기 대기 모드에서 상기 광고 컨텐츠에 대응하는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제공하는 동안 기설정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전자 장치를 일반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및 상기 일반 모드에서 상기 광고 컨텐츠에 대응하는 다른 영상을 제공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대기 모드는 상기 일반 모드보다 저전력으로 상기 광고 컨텐츠에 대응하는 영상을 제공하는 모드일 수 있다.
한편, 상기 대기 모드에서 제공되는 상기 광고 컨텐츠에 대응하는 영상은 상기 광고 컨텐츠에 대한 간략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일반 모드에서 제공되는 상기 광고 컨텐츠에 대응하는 다른 영상은 상기 광고 컨텐츠에 대한 상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대기 모드에서 제공되는 상기 광고 컨텐츠에 대응하는 영상은 아이콘을 포함하고, 상기 전환하는 단계는, 상기 아이콘이 선택되면 상기 전자 장치를 일반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는, 도어 센서, 모션 센서, 온도 센서, 조도 센서, 습도 센서, 커튼 센서, 가스 센서, 조명 장치, 호텔 서비스 요청 장치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광고 컨텐츠는, 상기 전자 장치의 사용자의 개인 정보를 기초로 결정된 것일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대기 모드 및 일반 모드에서의 광고 컨텐츠 제공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개시의 따른 시스템이 댁내에 적용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버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
도 7 내지 도 8은 본 개시의 따른 시스템이 호텔에 적용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그리고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 의해 제공되는 UI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문서의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s), 균등물(equivalents),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s)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가진다," "가질 수 있다,"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해당 특징(예: 수치, 기능, 동작, 또는 부품 등의 구성요소)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특징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또는/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및 B 중 하나 또는 그 이상"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는, (1) 적어도 하나의 A를 포함, (2) 적어도 하나의 B를 포함, 또는 (3) 적어도 하나의 A 및 적어도 하나의 B 모두를 포함하는 경우를 모두 지칭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제 1," "제 2," "첫째," 또는 "둘째," 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 1 사용자 기기와 제 2 사용자 기기는, 순서 또는 중요도와 무관하게, 서로 다른 사용자 기기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문서에 기재된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바꾸어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 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되어((operatively or communicatively) coupled with/to)" 있다거나 "접속되어(connected to)"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예: 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 2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예: 제 3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표현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configured to)"은 상황에 따라, 예를 들면, "~에 적합한(suitable for)," "~하는 능력을 가지는(having the capacity to)," "~하도록 설계된(designed to)," "~하도록 변경된(adapted to)," "~하도록 만들어진(made to)," 또는 "~를 할 수 있는(capable of)"과 바꾸어 사용될 수 있다. 용어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은 하드웨어적으로 "특별히 설계된(specifically designed to)" 것만을 반드시 의미하지 않을 수 있다. 대신, 어떤 상황에서는, "~하도록 구성된 장치"라는 표현은, 그 장치가 다른 장치 또는 부품들과 함께 "~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문구 "A, B, 및 C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 프로세서"는 해당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전용 프로세서(예: 임베디드 프로세서), 또는 메모리 장치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해당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범용 프로세서(generic-purpose processor)(예: CPU 또는 application processor)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문서에 사용된 용어들 중 일반적인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문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문서의 실시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스마트폰(smartphone), 태블릿 PC(tablet personal computer), 이동 전화기(mobile phone), 영상 전화기, 전자책 리더기(e-book reader), 데스크탑 PC(desktop personal computer), 랩탑 PC(laptop personal computer), 넷북 컴퓨터(netbook computer), 워크스테이션(workstation), 서버,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 플레이어, 모바일 의료기기, 카메라(camera), 또는 웨어러블 장치(wearable devic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웨어러블 장치는 액세서리형(예: 시계, 반지, 팔찌, 발찌, 목걸이, 안경, 콘택트 렌즈, 또는 머리 착용형 장치(head-mounted-device(HMD)), 직물 또는 의류 일체형(예: 전자 의복), 신체 부착형(예: 스킨 패드(skin pad) 또는 문신), 또는 생체 이식형(예: implantable circui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들에서, 전자 장치는 가전 제품(home appliance)일 수 있다. 가전 제품은, 예를 들면, 텔레비전, DVD(digital video disk) 플레이어, 오디오, 냉장고, 에어컨, 청소기, 오븐, 전자레인지, 세탁기, 공기 청정기, 셋톱 박스(set-top box), 홈 오토매이션 컨트롤 패널(home automation control panel), 보안 컨트롤 패널(security control panel), TV 박스(예: 삼성 HomeSync™, 애플TV™, 또는 구글 TV™), 게임 콘솔(예: Xbox™, PlayStation™), 전자 사전, 전자 키, 캠코더(camcorder), 또는 전자 액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는, 각종 의료기기(예: 각종 휴대용 의료측정기기(혈당 측정기, 심박 측정기, 혈압 측정기, 또는 체온 측정기 등), MRA(magnetic resonance angiography), MRI(magnetic resonance imaging), CT(computed tomography), 촬영기, 또는 초음파기 등), 네비게이션(navigation) 장치, 위성 항법 시스템(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EDR(event data recorder), FDR(flight data recorder), 자동차 인포테인먼트(infotainment) 장치, 선박용 전자 장비(예: 선박용 항법 장치, 자이로 콤파스 등), 항공 전자기기(avionics), 보안 기기, 차량용 헤드 유닛(head unit), 산업용 또는 가정용 로봇, 금융 기관의 ATM(automatic teller's machine), 상점의 POS(point of sales), 또는 사물 인터넷 장치(internet of things)(예: 전구, 각종 센서, 전기 또는 가스 미터기, 스프링클러 장치, 화재경보기, 온도조절기(thermostat), 가로등, 토스터(toaster), 운동기구, 온수탱크, 히터, 보일러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가구(furniture) 또는 건물/구조물의 일부, 전자 보드(electronic board), 전자 사인 수신 장치(electronic signature receiving device), 프로젝터(projector), 또는 각종 계측 기기(예: 수도, 전기, 가스, 또는 전파 계측 기기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는 전술한 다양한 장치들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플렉서블 전자 장치일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기술 발전에 따른 새로운 전자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설명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 서버(200), 복수의 장치(310, 320, 330)가 도시되어 있다. 예시로서 3개의 장치를 도시하였으나 시스템 내 장치의 개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하나 또는 2 이상의 장치가 포함될 수 있다.
복수의 장치(310, 320, 330)는 통신부를 포함하며 이벤트가 발생함에 따라 상태 정보를 전자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 복수의 장치(310, 320, 330)는 사물 인터넷(IoT) 디바이스일 수 있으며, 사용자 조작에 의해 동작하거나 또는 주어진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자동으로 동작할 수 있다. 복수의 장치(310, 320, 330)는 가정, 호텔, 회사, 공장 등과 같은 곳에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장치(310, 320, 330)는 여러 종류의 센서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복수의 장치(310, 320, 330)는 도어 센서(각종 문의 여닫힘을 감지하는 센서, 예컨대 현관문의 여닫힘을 감지하는 센서, 냉장고 문의 여닫힘을 감지하는 센서 등), 커튼 센서(커튼의 걷힘 및 닫힘을 감지하는 센서), 모션 센서, 온도 센서, 조도 센서, 습도 센서, 전원 감지 센서, 가스 센서, 연기 센서, 수분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센서는 사람의 동작을 감지하거나 또는 외부 환경의 특정 변화를 감지하고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데이터는 장치의 상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어 센서는 사용자가 문을 여는 것을 감지하는 경우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모션 센서는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경우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온도 센서는 외부 환경이 기 설정된 온도에 근접하는 경우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전원 감지 센서는 전원 콘센트에 연결될 수 있으며 콘센트에 연결된 디바이스의 전원이 켜지는 경우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방에 조도 센서가 부착된 경우 조도 센서에서 출력되는 데이터를 기초로 방의 조명이 켜졌는지 꺼졌는지를 알 수 있다.
복수의 장치(310, 320, 330)는 호텔 객실 내에 배치될 수 있고, 예컨대 객실 내에 비치된 서비스 요청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서비스 요청 장치를 조작함으로써 청소를 요청하거나 방해금지를 요청할 수 있다. 서비스요청장치는 서비스를 요청하기 위한 사용자 조작을 입력받을 수 있고, 사용자가 요청한 서비스에 대한 내용을 호텔 시스템에 통지하여 호텔 직원으로 하여금 확인할 수 있게 한다. 서비스요청장치는 객실 내 배치된 리모컨, 태블릿 PC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는 서비스요청장치는 "Make Up Room" 또는 "Do Not Disturb"와 같은 글자가 나타나는 사인 디바이스일 수 있고, 이러한 장치는 방문 밖에 배치되어 호텔 직원이 확인할 수 있게끔 한다. 서비스요청장치를 이용해 사용자가 서비스를 요청하면 서비스 요청 장치는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데이터는 서비스요청장치의 상태 정보, 즉 요청된 서비스가 무엇인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장치(310, 320, 330)는 조명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조명장치가 턴온되거나 턴오프되면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출력된 데이터는 조명장치가 턴온 상태인지 턴오프 상태인지를 알 수 있게 하는 상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예들 이외에도 복수의 장치(310, 320, 330)는 통신 기능을 갖추고 있는 장치라면 어떠한 장치로도 구현될 수 있다.
복수의 장치(310, 320, 330)는 통신부를 포함하며 장치(310, 320, 330)가 전송한 상태 정보는 전자 장치(100)가 수신할 수 있다. 상태 정보에는 장치 고유 ID가 포함될 수 있다. 장치 고유 ID는 장치 제조시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통신부를 통해 복수의 장치(310, 320, 330)가 전송한 상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복수의 장치(310, 320, 330)로부터 수신된 상태 정보를 통신부를 통해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00)는 복수의 장치(310, 320, 330)로부터 수신한 상태 정보뿐만 아니라, 자신의 상태 정보도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예컨대, 전자 장치(100)의 현재 동작 모드에 관련한 정보를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상태 정보와 함께 부가 정보를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예컨대, 상태 정보를 수신한 시간에 대한 정보, 상태 정보를 전송한 장치의 위치에 대한 정보 등을 부가하여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복수의 장치(310, 320, 330)와 통신을 하는 경우에는 제1 방식의 통신을 사용하고 서버(200)와 통신을 하는 경우에는 제2 방식의 통신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0)와 복수의 장치(310, 320, 330) 간의 통신에는 직비(Zigbee)를 이용하고, 전자장치(100)와 서버(200) 간의 통신에는 이더넷(Ethernet)를 이용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복수의 장치(310, 320, 330)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를 수집해서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서버(200)는 여러 광고 컨텐츠를 저장하며, 광고 컨텐츠를 전자 장치(100)로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서버(200)는 전자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기초로 광고 컨텐츠가 제공되기에 적절한 상황인지 판단할 수 있다. 광고 컨텐츠가 제공되기에 적절한 상황이란, 예컨대 사용자가 잠에서 깨어난 상황이 있을 수 있다. 반대로, 광고 컨텐츠가 제공되기에 적절하지 않은 상황이란, 예컨대 사용자가 자고 있는 상황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상황들이 복수의 장치(310, 320, 330)에서 출력되는 상태 정보를 기초로 판단될 수 있다. 예컨대, 아침에 커튼이 걷히는 이벤트 발생에 대응하여 장치(310, 320, 330) 중 커튼 센서가 상태 정보를 전자 장치(100)로 전송하고, 전자 장치(100)가 상태 정보를 서버(200)로 전송하는 경우, 서버(200)는 수신된 상태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가 잠에서 깨어난 상황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저녁 시간에 복수의 장치(310, 320, 330) 중 침실에 배치된 모션 센서에서 모션이 감지되고, 복수의 장치(310, 320, 330) 중 침실에 배치된 조명 장치의 불이 꺼지는 이벤트가 발생하면, 이벤트 발생에 대응하여 모션 센서 및 조명 장치는 상태 정보를 전자 장치(100)로 전송하고, 전자 장치(100)는 상태 정보들을 서버(200)로 전달하며, 서버(200)는 전자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상태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가 자고 있는 상황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서버(200)는 광고 컨텐츠가 제공되기에 적절한 상황이라고 판단되면 광고 컨텐츠를 전자 장치(100)로 제공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로 제공되는 광고 컨텐츠는 서버(200)가 전자 장치(100)로부터 수신한 상태 정보를 기초로 결정한 광고 컨텐츠일 수 있다. 예컨대, 전자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상태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가 잠에서 깨어난 상황인 것으로 판단되면, 서버(200)는 전자 장치(100)에 제공할 광고 컨텐츠로서 아침 식사 메뉴와 관련한 광고 컨텐츠를 결정할 수 있다.
또는, 서버(200)는 전자 장치(100)의 사용자의 개인 정보를 기초로 광고 컨텐츠를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서버(200)는 전자 장치(100)의 사용자의 직업, 국적, 관심사 등에 관한 개인 정보를 저장할 수 있으며, 이러한 개인 정보를 기초로 전자 장치(100)로 제공할 광고 컨텐츠를 결정할 수 있다.
또는, 서버(200)는 전자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상태 정보 및 전자 장치(100)의 사용자의 개인 정보를 함께 고려하여 광고 컨텐츠를 결정할 수 있다.
서버(200)는 결정된 광고 컨텐츠를 전자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수신된 광고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서버(200)로부터 제공된 광고 컨텐츠는 전자 장치(100)가 대기 모드인 동안에 제공될 수 있다.
도 1에선 서버(200)가 한 개인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는 일 예일 뿐, 복수의 서버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에선 서버(200)가 전자 장치(100)의 외부 장치인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일 예일 뿐, 또 다른 예에 따르면 서버(200)는 전자 장치(100)에 내장될 수 있다. 이 경우, 전자 장치(100)가 서버(200)로 데이터를 전송하고 광고 컨텐츠를 수신하는 등의 동작은 생략되고 전자 장치(100) 자체적으로 상술한 서버(200)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고하면 전자 장치(100)는 통신부(110), 메모리(120) 및 디스플레이(13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이다. 통신부(110)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310, 320, 330)와 통신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서버(200)와 통신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예를 들면 무선 통신 또는 유선 통신을 통해서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310, 320, 330) 또는 서버(200)와 통신할 수 있다. 무선 통신은, 예를 들면, 셀룰러 통신 프로토콜로서, 예를 들면, LTE(long-term evolution), LTE-A(LTE Advance),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DMA),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WiBro(Wireless Broadband), 또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등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은, 예를 들면, 근거리 통신을 포함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은, 예를 들면, WiFi 다이렉트(wireless fidelity direct), 블루투스(Bluetooth),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직비(Zigbe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유선 통신은, 예를 들면, USB(universal serial bus),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RS-232(recommended standard232), 또는 POTS(plain old telephone service)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는 통신 네트워크(telecommunications network), 예를 들면, 컴퓨터 네트워크(computer network)(예: LAN 또는 WAN), 인터넷, 또는 전화 망(telephone network)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예를 들면, 셀룰러 모듈, WiFi 모듈, 블루투스 모듈, GNSS 모듈(예: GPS 모듈, Glonass 모듈, Beidou 모듈, 또는 Galileo 모듈), NFC 모듈 및 RF(radio frequency) 모듈를 포함할 수 있다.
셀룰러 모듈은, 예를 들면, 통신망을 통해서 음성 통화, 영상 통화, 문자 서비스, 또는 인터넷 서비스 등을 제공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셀룰러 모듈은 가입자 식별 모듈(예: SIM 카드)을 이용하여 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전자 장치의 구별 및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셀룰러 모듈은 프로세서가 제공할 수 있는 기능 중 적어도 일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셀룰러 모듈은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CP: communication processor)를 포함할 수 있다.
WiFi 모듈, 블루투스 모듈, GNSS 모듈 또는 NFC 모듈 각각은, 예를 들면, 해당하는 모듈을 통해서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 따르면, 셀룰러 모듈, WiFi 모듈, 블루투스 모듈, GNSS 모듈 또는 NFC 모듈 중 적어도 일부(예: 두 개 이상)는 하나의 integrated chip(IC) 또는 IC 패키지 내에 포함될 수 있다.
RF 모듈은, 예를 들면, 통신 신호(예: RF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RF 모듈은, 예를 들면, 트랜시버(transceiver), PAM(power amp module), 주파수 필터(frequency filter), LNA(low noise amplifier), 또는 안테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셀룰러 모듈, WiFi 모듈, 블루투스 모듈, GNSS 모듈 또는 NFC 모듈 중 적어도 하나는 별개의 RF 모듈을 통하여 RF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메모리(120)는, 예를 들면, 내장 메모리 또는 외장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내장 메모리는, 예를 들면, 휘발성 메모리(예: DRAM(dynamic RAM), SRAM(static RAM), 또는 SDRAM(synchronous dynamic RAM) 등), 비휘발성 메모리(non-volatile Memory)(예: OTPROM(one time programmable ROM), PROM(programmable ROM), EPROM(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mask ROM, flash ROM, 플래시 메모리(예: NAND flash 또는 NOR flash 등), 하드 드라이브, 또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olid state drive(SS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외장 메모리는 플래시 드라이브(flash drive), 예를 들면, CF(compact flash), SD(secure digital), Micro-SD(micro secure digital), Mini-SD(mini secure digital), xD(extreme digital), MMC(multi-media card) 또는 메모리 스틱(memory stick)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외장 메모리는 다양한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전자 장치(100)와 기능적으로 및/또는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메모리(120)는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computer executable instructions)를 저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30)는, 예를 들면,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LCD)), 발광 다이오드(light-emitting diode(LED)) 디스플레이,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OLED)) 디스플레이(예컨대 AMOLED(active-matrix organic light-emitting diode), PMOLED(passive-matrix OLED)), 또는 마이크로 전자기계 시스템(microelectromechanical systems(MEMS)) 디스플레이, 또는 전자종이(electronic paper)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30)는 다양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텍스트, 이미지, 비디오, 아이콘, 또는 심볼 등을 포함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130)는 UI 오브젝트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30)는 터치 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전자 펜 또는 사용자의 신체의 일부를 이용한 터치, 제스쳐, 근접, 또는 호버링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다양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 조작을 수신하기 위한 버튼, 사용자 음성 명령을 수신하기 위한 마이크, 사용자 제스처 명령을 수신하기 위한 모션 센서 또는 카메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외부 장치로부터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예컨대, 블루투스, IR 통신 등을 이용하여 외부 장치(예컨대, 리모컨, 스마트폰 등)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전자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구성이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40)는 운영 체제 또는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여 프로세서(140)에 연결된 다수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을 제어할 수 있고, 각종 데이터 처리 및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예를 들면, SoC(system on chip) 로 구현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40)는 GPU(graphic processing unit) 및/또는 이미지 신호 프로세서(image signal processo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메모리(120)에 저장된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를 실행함으로써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서버(200)로부터 제공받은 광고 컨텐츠에 대응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130)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40)는 전자 장치(100)의 동작 모드와 상관없이 서버(200)로부터 제공받은 광고 컨텐츠에 대응하는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40)는 전자 장치(100)의 동작 모드가 대기 모드인 경우에만 광고 컨텐츠에 대응하는 영상을 제공하고, 대기 모드가 아닌 경우에는 제공하지 않을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일반 모드 및 대기 모드를 포함하는 복수의 동작 모드로 동작할 수 있으며, 각 모드는 전력 소비 정도에 따라 구분될 수 있다. 대기 모드는 일반 모드에 비하여 전력 소모가 낮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대기 모드는 일반 모드보다 저전력을 소모하는 상태로, 디스플레이(130)는 동작하지 않고, 통신부(110)는 동작하는 상태일 수 있다. 대기 모드로 동작하는 동안 통신부(110)는 통해 광고 컨텐츠가 수신되면 프로세서(140)는 저전력으로 광고 컨텐츠에 대응하는 영상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130)를 제어할 수 있다.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130)는 능동형 OLED(AMOLED) 디스플레이로 구현될 수 있다. 능동형 OLED 디스플레이는 백라이트 없이 픽셀 하나하나가 스스로 빛을 낼 수 있다. 능동형 OLED 방식에선 검은색을 표현하는데 있어서 LED에 전류를 끊어 아무 색도 표현하지 않은 방식을 이용한다. 따라서 능동형 OLED는 예컨대 영상 대부분이 검은색인 경우에 다른 디스플레이 방식과 비교하여 전력 소모가 줄어들 수 있다.
디스플레이(130)가 능동형 OLED 디스플레이인 경우,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대기 모드는 검은색 배경을 가진 영상을 표시하는 모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반 모드에서 대기 모드로 전환되면, 대기 모드에서는 표시하고자 하는 특정 정보(예컨대 시간)가 표현되는 부분의 픽셀에만 전류가 공급되고 나머지 픽셀은 전류를 공급하지 않아 검은색 배경을 표현할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상술한 바와 같이 검은색 배경을 갖는 광고 컨텐츠에 대응하는 영상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130)를 제어함으로써 저전력으로 광고 컨텐츠에 대응하는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일반 모드와 대기 모드는 디스플레이(130)를 통해 영상을 제공하는 경우의 프레임 주파수로 구분될 수 있다. 대기 모드의 프레임 주파수는 일반 모드의 프레임 주파수보다 상대적으로 낮게 설정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일반 모드에서는 영상의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영상 데이터의 노이즈를 제거하고, 명암비를 최적화하고, 색감을 증가시키고 화질을 개선시키는 등의 다양한 이미지 처리를 수행하는 반면, 대기 모드에서는 일반 모드에서 수행되는 이미지 처리들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일반 모드에 비하여 대기 모드의 디스플레이 영역이 작을 수 있다. 즉, 대기 모드에서는 영상이 디스플레이(130)의 일부 영역에서만 표시되어 나머지 영역을 사용하지 않는 만큼 전력 소모가 줄어들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일반 모드로 전환되면 디스플레이(130)를 동작시키고, 전자 장치(100)가 대기 모드로 진입 전에 실행했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대기 모드는 지정된 어플리케이션 또는 위젯이 동작하는 상태일 수 있고, 프로세서(140)는 광고 컨텐츠에 대응하는 영상을 상기 어플리케이션 또는 위젯에 의한 이미지와 함께 표시하거나, 광고 컨텐츠에 대응하는 영상을 상기 어플리케이션 또는 위젯에 의한 이미지 대신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130)를 제어할 수 있다. 대기 모드로 동작 중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일반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일반 모드로 전환되면 프로세서(140)는 디스플레이(130)를 동작시키고, 전자 장치(100)가 대기 모드로 진입 전에 실행했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대기 모드에서 실행할 어플리케이션 또는 위젯에 대한 정보는 메모리(120)에 저장되어 있고, 이러한 정보는 사용자에 의해 변경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140)는 대기 모드에서 실행할 어플리케이션 또는 위젯을 선택 받을 수 있는 UI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130)를 제어할 수 있고, 사용자는 UI를 통해 원하는 어플리케이션 또는 위젯을 선택할 수 있다. 도 10에 상기 UI의 일 예를 도시하였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100)에서 제공되는 UI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고하면, 대기 모드에서 화면 표시와 관련한 설정을 위한 UI(1010)가 제공될 수 있다. UI(1010)는 대기 모드에서 화면 표시 기능을 이용할 것인지 여부를 선택할 수 있는 메뉴(1011)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사용'에 대응하는 메뉴 아이템(11)을 선택하여 설정하면 대기 모드에서 화면에 특정 정보가 표시될 수 있고, 사용자가 '미사용'에 대응하는 메뉴 아이템(13)을 선택하여 설정하면 대기 모드에서 화면에 아무런 정보도 표시되지 않는다.
그리고 UI(1010)는 대기 모드에서 실행할 어플리케이션 또는 위젯을 선택할 수 있는 메뉴(2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메뉴(20)에서 선택된 항목에 대응하는 위젯, 예컨대 디지털 시계 위젯, 아날로그 시계 위젯, 온도계 위젯, 사진 위젯, 캘린더 위젯, 광고 위젯 등에 대응하는 이미지가 대기 모드에서 표시될 수 있다. 특히, 광고에 대응하는 메뉴 아이템(21)이 선택되어 설정되면 상술한 바와 같이 광고 컨텐츠에 대응하는 이미지가 대기 모드에서 제공될 수 있다.
사용자가 UI(1010)통해 선택을 완료하고 적용 버튼(1015)을 선택하면, UI(1010)통해 설정된 정보가 메모리(120)에 저장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기 설정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전자 장치(100)의 동작 모드를 일반 모드에서 대기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예컨대, 전자 장치(100)에 마련된 특정 버튼(하드웨어 버튼 또는 터치 스크린 상의 버튼)을 사용자가 선택하면 일반 모드에서 대기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전자 장치(100)와 무선으로 연결된 외부 장치(예컨대 리모컨, 스마트폰 등)에 마련된 특정 버튼(하드웨어 버튼 또는 터치 스크린 상의 버튼)을 사용자가 선택하여 그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가 출력되어 전자 장치(100)로 수신되면 일반 모드에서 대기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예컨대 리모컨에 마련된 전원 버튼이 선택되면 전자 장치(100)는 일반 모드에서 대기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버튼을 조작하는 방식 이외에도 모션, 음성 등의 다양한 형태의 제어 방법으로 일반 모드에서 대기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대기 모드에서 일반 모드로 전환되는 것도 가능하다.
일반 모드 및 대기 모드에 관해 정의한 상술한 예시들 이외에도 전력 소비 관점에서 복수의 모드를 구분할 수 있는 경우라면 본 개시에 포함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사용된 일반 모드, 대기 모드라는 용어는 서로 다른 동작 모드를 구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일 뿐, 용어의 사전적 의미로 본 개시가 제한되지 않는다. 일반 모드, 대기 모드라는 용어 대신에 제1 모드, 제2 모드 또는 제1 상태, 제2 상태라고 표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30)는 서버(200)로부터 광고 컨텐츠가 제공된 경우, 전자 장치(100)가 동작 모드가 대기 모드인 경우에만 광고 컨텐츠에 대응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130)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 즉, 본 실시 예에 따르면, 광고 컨텐츠에 대응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130)를 통해 제공할 것인지 여부에 대한 결정 권한이 전자 장치(100)에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가 자신의 동작 모드를 나타내는 상태 정보를 서버(200)로 전송하여, 서버(200) 측에서 전자 장치(100)의 동작 모드가 대기 모드인지를 판단하고, 대기 모드인 경우에만 광고 컨텐츠를 전자 장치(100)로 제공할 수 있다. 즉, 본 실시 예에 따르면 광고 컨텐츠에 대응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130)를 통해 제공할 것인지 여부에 대한 결정 권한이 서버(200)에 있고, 전자 장치(100)는 단순히 서버(200)로부터 제공받은 광고 컨텐츠에 대한 영상을 표시할 뿐이다.
상술한 것과 같이 일반 모드와 대기 모드를 구분하여 광고 컨텐츠를 제공하는 실시 예들에 따르면, 사용자가 원하는 컨텐츠, 예컨대 드라마, 영화 등을 일반 모드에서 시청하는 동안은 광고 컨텐츠가 제공되지 않으므로 원하는 컨텐츠의 시청을 방해받지 않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40)는 대기 모드에서 광고 컨텐츠에 대응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130)를 통해 제공하는 동안 기설정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전자 장치(100)를 일반 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광고 컨텐츠에 대응하는 다른 영상을 제공하도록 디스플레이(130)를 제어할 수 있다.
일반 모드에서는 대기 모드보다 더 상세한 광고 내용이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를 참고하면, 대기 모드에서 제공되는 스키 예약에 대한 광고 컨텐츠에 대응하는 영상은 스키 예약에 대한 간략 정보만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일반 모드로 전환되면 스키 예약에 대한 광고 컨텐츠에 대응하는 영상은 스키 예약에 대한 상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간략 정보와 상세 정보를 구분하는 기준은, 정보의 표시량을 기준으로 구분하거나, 정보의 종류로 구분할 수 있다. 정보의 종류에는 텍스트 정보, 영상(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 정보, 사운드 정보 등이 있을 수 있다. 예컨대 간략 정보는 텍스트만 포함하는 정보이고 상세 정보는 텍스트 정보 및 영상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간략 정보는 텍스트, 영상 등과 같은 시각적 정보를 포함하고, 상세 정보는 시각적 정보 및 사운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대기 모드에서 광고 컨텐츠에 대응하는 영상이 제공되는 동안 기 설정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일반 모드로 전환될 수 있는데, 이때 기 설정된 사용자 입력은 예컨대 대기 모드에서 제공되는 광고 컨텐츠에 대응하는 영상에 포함된 아이콘을 선택하는 것일 수 있다. 예컨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기 모드에서 제공되는 광고 컨텐츠에 대응하는 영상은 아이콘(41)을 포함하고, 아이콘(41)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일반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아이콘(41)의 선택 방식은 전자 장치(100)의 구현 방식에 따라 다를 수 있다. 예컨대, 디스플레이(130)가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된 경우 아이콘(41)을 터치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면 일반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전자 장치(100)가 음성에 따라 제어될 수 있는 장치인 경우 전자 장치(100)에 구비된 마이크를 통해 "자세히 보기"라는 음성이 입력되고 이에 대응하는 음성 명령이 전자 장치(100)로 수신되면 일반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리모컨 등과 같은 외부 장치를 사용자가 조작해서 아이콘(41)을 선택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술한 실시 예처럼 대기 모드와 일반 모드에서 다른 내용의 광고가 제공될 수 있고,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대기 모드와 일반 모드에서 제공되는 광고 내용은 동일하되, 영상의 품질이 다르거나, 영상이 제공되는 프레임 레이트가 다르거나, 영상의 크기가 다를 수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가 대기 모드이면서 동시에 특정한 상황이 만족된 경우에만 광고 컨텐츠가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광고에 관심이 있을 것이라고 예상되는 상황에만 광고 컨텐츠가 제공될 수 있다. 즉, 사용자 컨텍스트에 따라 광고 컨텐츠의 제공 시점이 결정될 수 있다. 사용자 컨텍스트는 복수의 장치(310, 320, 330)의 상태 정보를 기초로 판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집 밖에서 집 안으로 들어와 거실로 이동한 상황이 판단되고 전자 장치(100)가 대기 모드이면 전자 장치(100)를 통해 광고 컨텐츠가 제공될 수 있다.
도 5는 댁내 배치된 전자 장치(100) 및 복수의 장치(310, 320, 330)가 배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에서 원(310, 320, 330)은 댁내에 배치된 장치의 실제 위치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원 내부의 숫자는 장치의 고유 ID일 수 있다. 장치 고유 ID 는 장치 제조 시 부여될 수 있다. 복수의 장치(310, 320, 330)는 사람 또는 사물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이며, 움직임이 감지되면, 복수의 장치(310, 320, 330)는 상태 정보를 전자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상태 정보는 센서가 센싱한 상황, 센서의 ID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장치가 모션 센서인 경우 모션이 감지되면, 상태 정보가 전자 장치(100)로 전송될 수 있다. 그리고 장치가 도어 센서인 경우 문이 열리면 상태 정보가 전자 장치(100)로 전송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복수의 장치(310, 320, 330)로부터 상태 정보를 수신하여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서버(200)는 데이터를 분석하여 댁내에서의 사용자 컨텍스트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현관문을 열면 장치(310)가 상태 정보를 전자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가 현관문을 닫고 댁내로 들어오면 장치(320)에서 상태 정보가 전송되고 사용자가 거실로 이동하면 장치(330)에서 상태 정보가 전송될 수 있다. 서버(200)는 장치들(310, 320, 330)이 전송한 상태 정보의 순서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댁내로 들어와서 거실로 이동하였음을 판단할 수 있다. 서버(200)는 이와 같이 판단된 사용자 컨텍스트가 광고 제공에 적합한 컨텍스트이면 광고 컨텐츠를 전자 장치(100)로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제공되는 광고 컨텐츠도 사용자 컨텍스트를 기초로 결정될 수 있다. 예컨대, 서버(200)는 "바깥에 날씨가 상당히 추우셨죠. A 백화점에서 초경량 점퍼를 할인 판매 합니다."라는 문구를 포함하는 광고 컨텐츠를 전자 장치(100)로 제공할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대기 모드로 동작하는 상태에서 해당 광고 컨텐츠에 대응하는 영상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130)를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저녁 시간대에 거실에 있는 센서(330)를 통해 모션이 감지되는 경우이고 전자 장치(100)가 대기 모드이면 광고 제공에 적합한 컨텍스트라고 판단하여 광고 컨텐츠가 제공될 수 있다. 예컨대 저녁 식사를 제공하는 음식점에 대한 광고 컨텐츠가 제공될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버(200)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고하면 서버(200)는 통신부(210), 메모리(220) 및 프로세서(230)를 포함한다.
통신부(210)는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이다. 통신부(210)는 전자 장치(100)와 통신할 수 있다.
통신부(210)는 예를 들면 무선 통신 또는 유선 통신을 통해서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전자 장치(100)와 통신할 수 있다. 무선 통신은, 예를 들면, 셀룰러 통신 프로토콜로서, 예를 들면, LTE(long-term evolution), LTE-A(LTE Advance),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DMA),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WiBro(Wireless Broadband), 또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등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은, 예를 들면, 근거리 통신을 포함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은, 예를 들면, WiFi 다이렉트(wireless fidelity direct), 블루투스(Bluetooth),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직비(Zigbe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유선 통신은, 예를 들면, USB(universal serial bus),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RS-232(recommended standard232), 또는 POTS(plain old telephone service)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는 통신 네트워크(telecommunications network), 예를 들면, 컴퓨터 네트워크(computer network)(예: LAN 또는 WAN), 인터넷, 또는 전화 망(telephone network)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210)는 예를 들면, 셀룰러 모듈, WiFi 모듈, 블루투스 모듈, GNSS 모듈(예: GPS 모듈, Glonass 모듈, Beidou 모듈, 또는 Galileo 모듈), NFC 모듈 및 RF(radio frequency) 모듈를 포함할 수 있다.
셀룰러 모듈은, 예를 들면, 통신망을 통해서 음성 통화, 영상 통화, 문자 서비스, 또는 인터넷 서비스 등을 제공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셀룰러 모듈은 가입자 식별 모듈(예: SIM 카드)을 이용하여 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전자 장치의 구별 및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셀룰러 모듈은 프로세서가 제공할 수 있는 기능 중 적어도 일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셀룰러 모듈은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CP: communication processor)를 포함할 수 있다.
WiFi 모듈, 블루투스 모듈, GNSS 모듈 또는 NFC 모듈 각각은, 예를 들면, 해당하는 모듈을 통해서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 따르면, 셀룰러 모듈, WiFi 모듈, 블루투스 모듈, GNSS 모듈 또는 NFC 모듈 중 적어도 일부(예: 두 개 이상)는 하나의 integrated chip(IC) 또는 IC 패키지 내에 포함될 수 있다.
RF 모듈은, 예를 들면, 통신 신호(예: RF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RF 모듈은, 예를 들면, 트랜시버(transceiver), PAM(power amp module), 주파수 필터(frequency filter), LNA(low noise amplifier), 또는 안테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셀룰러 모듈, WiFi 모듈, 블루투스 모듈, GNSS 모듈 또는 NFC 모듈 중 적어도 하나는 별개의 RF 모듈을 통하여 RF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메모리(220)는, 예를 들면, 내장 메모리 또는 외장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내장 메모리는, 예를 들면, 휘발성 메모리(예: DRAM(dynamic RAM), SRAM(static RAM), 또는 SDRAM(synchronous dynamic RAM) 등), 비휘발성 메모리(non-volatile Memory)(예: OTPROM(one time programmable ROM), PROM(programmable ROM), EPROM(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mask ROM, flash ROM, 플래시 메모리(예: NAND flash 또는 NOR flash 등), 하드 드라이브, 또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olid state drive(SS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외장 메모리는 플래시 드라이브(flash drive), 예를 들면, CF(compact flash), SD(secure digital), Micro-SD(micro secure digital), Mini-SD(mini secure digital), xD(extreme digital), MMC(multi-media card) 또는 메모리 스틱(memory stick)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외장 메모리는 다양한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서버(200)와 기능적으로 및/또는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메모리(220)는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computer executable instructions)를 저장할 수 있다.
프로세서(230)는 서버(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구성이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230)는 운영 체제 또는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여 프로세서(230)에 연결된 다수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을 제어할 수 있고, 각종 데이터 처리 및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230)는, 예를 들면, SoC(system on chip) 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230)는 메모리(220)에 저장된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를 실행함으로써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서버(200)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메모리(220)는 광고 컨텐츠를 저장할 수 있다. 프로세서(230)는 메모리(220)에 저장된 광고 컨텐츠의 특성을 분석하여 특성 정보를 메모리(220)에 저장할 수 있다. 광고 컨텐츠의 특성 정보는 사용자 컨텍스트에 따른 맞춤 광고 제공에 사용될 수 있다.
프로세서(230)는 통신부(210)를 통해 전자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장치(310, 320, 330)의 상태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 컨텍스트를 판단하고, 광고 컨텐츠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220)는 전자 장치(100)의 사용자의 나이, 학력, 직업, 관심사 등과 같은 개인 정보를 저장할 수 있고, 프로세서(230)는 사용자의 개인 정보를 토대로 광고 컨텐츠를 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230)는 전자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장치(310, 320, 330)의 상태 정보 및 전자 장치(100)의 상태 정보를 기초로, 상기 결정된 광고 컨텐츠의 제공 시점을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서버(200)는 통신부(210)를 통해 장치(310, 320, 330)의 상태 정보 및 전자 장치(100)의 상태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신할 수 있으며, 수신된 상태 정보를 기초로 분석된 사용자 컨텍스트가 광고 컨텐츠 제공이 가능한 컨텍스트이고 전자 장치(100)가 대기 모드이면 광고 컨텐츠를 전자 장치(100)로 제공할 수 있다.
메모리(220)는 대기 모드에서 제공될 광고 컨텐츠와 일반 모드에서 제공될 광고 컨텐츠를 저장할 수 있다. 예컨대, 메모리(220)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기 모드에서 제공될 간략한 정보를 포함한 광고 컨텐츠와 일반 모드에서 제공될 상세한 정보를 포함한 광고 컨텐츠를 저장할 수 있다. 프로세서(230)는 대기 모드에서 제공될 광고 컨텐츠를 통신부(210)를 통해 전자 장치(100)로 제공하고, 전자 장치(100)로부터 요청이 있으면 일반 모드에서 제공될 광고 컨텐츠를 통신부(210)를 통해 전자 장치(100)로 제공할 수 있다. 또는 일반 모드용 광고 컨텐츠와 대기 모드용 광고 컨텐츠를 함께 전자 장치(100)로 제공하고, 전자 장치(100) 측에서 모드 변경에 따라 해당되는 광고 컨텐츠에 대응하는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도 7은 본 개시의 시스템이 호텔에서 구현되는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고하면, PMS 서버(400), CMS 서버(200'), HMS 서버(500), TV(100'), IoT 디바이스(300)가 도시되어 있다. TV(100') 및 IoT 디바이스(300)가 호텔 내 객실 내 비치된다.
CMS 서버(200')는 상술한 서버(200)일 수 있다. 또는, CMS 서버(200') 및 PMS 서버(400)가 상술한 서버(200)일 수 있다. 또는, PMS 서버(400) 및 CMS 서버(200')가 상술한 서버(200)일 수 있다. 또는, PMS 서버(400), CMS 서버(200') 및 HMS 서버(500)가 상술한 서버(200)일 수 있다. TV(100')는 상술한 전자 장치(100)일 수 있다.
PMS(Property Management System) 서버(400)는 호텔 내부 정보 관리를 담당할 수 있다. PMS 서버(400)에는 호텔 객실 및 자재물품 정보와 투숙객의 성별/국적 및 체크인, 체크 아웃과 결제정보 등이 관리될 수 있다.
IoT 디바이스(300)의 연동 및 동작을 담당하는 HMS (Hospitality Management Solution)는 HMS 서버(500), HMS Gateway(102), IoT 디바이스(300)로 이루어진다.
IoT 디바이스(300)는 TV(100')에 설치된 HMS Gateway(102)를 통해 실시간으로 상태 정보를 HMS 서버(500)로 전송한다. TV(100')도 자신의 상태 정보를 HMS 서버(500)로 전송한다. HMS 서버(500)는 TV(100') 및 IoT 디바이스(300)의 등록정보와 상태 정보를 저장하며, 또한 디바이스 동작을 제어하고 모니터링도 담당할 수 있다. IoT 디바이스(300)는 예컨대, 조명 장치(light), 커튼 센서(drapery), 서비스 요청장치(DND(DoNotDisturb) 사인 디바이스, MUR(MakeUpRoom) 사인 디바이스) 등을 포함한다.
광고 컨텐츠 관리 시스템인 CMS(Content Management System)은 CMS 서버(200')와 CMS 애플리케이션(101)으로 구현된다. 호텔 관리자는 CMS 서버(200')에 접속하여 광고 컨텐츠를 등록할 수 있다. CMS 서버(200')는 HMS 서버(500) 및 PMS 서버(400)와 통신이 가능하다. CMS 서버(200')는 HMS 서버(500)로부터 IoT 디바이스(300)의 상태 정보를 수집하고, PMS 서버(400)로부터 투숙객 관련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정보들을 분석하여 광고 컨텐츠를 결정하고, 광고 컨텐츠의 제공 시점을 결정할 수 있다. 이렇게 결정된 투숙객 맞춤 광고 컨텐츠는 TV(100')에서 구동되는 CMS 애플리케이션(101)으로 전송되어, 투숙객의 투숙 경험을 저해하지 않는 최적의 시점에 노출될 수 있다.
TV(100')는 CMS 애플리케이션(101)과 HMS Gateway (102) 설치를 위해, 애플리케이션이 설치 가능한 스마트 TV일 수 있다. 그리고 TV(100')는 대기 모드에서 컨텐츠 재생 기능이 있는 디바이스일 수 있다. IoT 디바이스(300)와 동일하게 TV(100')의 동작 모드에 대한 상태 정보도 HMS 서버(500)로 전송된다. 객실 내 TV(100') 이외에 TV 기능을 대체 가능한 디바이스가 있다면, 해당 디바이스를 통해서도 광고 컨텐츠 제공이 가능하다. 예컨대, 스마트 미러를 통해 광고 컨텐츠가 제공될 수 있다.
CMS 서버(200')는 PMS 서버(400)의 투숙객 관련 데이터와 HMS 서버(500)의 IoT 디바이스(300) 관련 데이터가 CMS 서버(200')에 저장되어 있는지 확인한다. 만약 없다면, 필요 데이터를 PMS 서버(400)와 HMS 서버(500)에 요청한다. 이렇게 취합된 데이터는 CMS 서버(200')에서 광고 컨텐츠를 결정하는 것과 광고 컨텐츠의 제공 시점을 결정하는데 사용된다. 광고 컨텐츠가 결정되면, CMS 서버(200')는 실시간으로 투숙객의 컨텍스트를 분석하여 광고 컨텐츠가 제공되어도 되는 시점인지 확인할 수 있다.
PMS 서버(400)는 예컨대, 투숙객 정보(예컨대, 성별, 국적, 일행 수 등)와 호텔 관련 정보(예컨대 호텔 종류, 객실 종류, 호텔 위치 등)에 대한 정보를 CMS 서버(200')로 제공할 수 있다.
HMS 서버(500)는 TV(100') 및 IoT 디바이스(300)의 상태 정보를 CMS 서버(200')로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HMS 서버(500)는 TV(100')가 일반 모드인지, 대기 모드인지에 관련한 상태 정보와, IoT 디바이스(300) 중 커튼 센서의 상태 정보, 조명 센서의 상태 정보, DND(Do Not Disturb) 사인 디바이스가 켜진 상태인지, MUR(Make Up Room) 사인 디바이스가 켜진 상태인지에 대한 상태 정보를 CMS 서버(200')로 제공할 수 있다.
CMS 서버(200')는 PMS 서버(400)와 HMS 서버(500)로부터 제공받은 데이터를 기반으로 광고 컨텐츠를 결정하고, 광고 컨텐츠 제공 시점을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CMS 서버(200')는 1) 광고 컨텐츠 제공 가능 시간대, 2) 광고 컨텐츠 필수 제공 시점 및 3) 광고 컨텐츠 제공 금지 시점으로 구분하여 광고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광고 컨텐츠 제공 가능 시간대는 광고 컨텐츠 제공 금지 시점이 아닌 이상 호텔 관리자가 원하는 시점에 광고 컨텐츠 제공이 가능하다. 예컨대, 광고 컨텐츠 제공 가능 시간대는 투숙객이 기상한 시점부터 취침하는 시점까지가 될 수 있다. CMS 서버(200')는 TV(100)가 대기 모드이고, 조명 장치가 켜져 있거나 커튼이 걷혀져 있고, 현재 시간이 5am ~ 11am 사이이면, 사용자 컨텍스트가 아침 기상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CMS 서버(200')는 TV(100)가 대기 모드이고, 조명 장치가 꺼져 있고, 현재 시간이 8pm ~ 5am 사이이면, 사용자 컨텍스트가 취침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광고 컨텐츠 필수 제공 시점은 예컨대, 투숙객이 외출 직전인 상황일 수 있다. CMS 서버(200')는 TV(100)가 대기 모드이고, MUR(Make Up Room) 사인 디바이스가 켜진 상태이면 사용자 컨텍스트가 외출 직전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광고 컨텐츠 제공 금지 시점은 예컨대, 투숙객이 휴식을 취하고 싶은 상황일 수 있다. CMS 서버(200')는 DND(Do Not Disturb) 사인 디바이스가 켜진 상태이면 사용자 컨텍스트가 방해 금지 상황이라고 판단할 수 있고, 이러한 상황에선 광고 컨텐츠를 TV(100')로 제공하지 않는다.
상술한 것과 같은 광고 제공 시점은 시점은 호텔 관리자에 의해 변경 가능하다. 예컨대, 호텔 관리지가 원한다면 광고 컨텐츠 제공 금지 시점일지라도 광고 컨텐츠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추후, 투숙객 컨텍스트를 분석할 수 있는 데이터가 많아지게 되면 광고 컨텐츠 제공 시점에 특정 컨텍스트가 추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객실 문 센서가 IoT 디바이스(300)에 포함되어 신규 장치로서 HMS시스템에 등록됨에 따라, 투숙객의 입실 및 객실복귀 시점을 파악이 가능해지고, 광고 컨텐츠 필수 제공 시점에 객실 복귀 직후라는 컨텍스트가 추가될 수 있다.
도 8은 투숙객의 행동에 따라 광고 컨텐츠의 제공 시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을 참고하면 투숙객이 아침에 기상하여 조명을 켜고 커튼을 걷으면, CMS 서버(200')는 사용자 컨텍스트가 기상인 것으로 판단하여 TV(100')로 호텔 식당 아침 식사 광고 컨텐츠를 제공하여 TV(100')는 해당 광고 컨텐츠에 대응하는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이후, 투숙객이 외출 직전에 방청소를 요청하기 위해 MUR(Make Up Room) 사인 디바이스를 켜면, CMS 서버(200')는 사용자 컨텍스트가 외출 직전인 것으로 판단하여 호텔 주변의 투어와 관련한 광고 컨텐츠를 제공하여 TV(100')는 해당 광고 컨텐츠에 대응하는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CMS 서버(200')는 사용자의 개인 정보를 기초로 광고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예컨대, 사용자 개인 정보에 사용자가 과거에 본 호텔을 방문하였을 때 서핑을 즐긴 이력이 있다면 CMS 서버(200')는 서핑에 관련한 광고 컨텐츠를 TV(100')로 제공할 수 있다. 투숙객이 투어를 마치고 객실로 복귀한 후 DND(Do Not Disturb) 사인 디바이스를 켜면, CMS 서버(200')는 사용자 컨텍스트가 방해 금지인 것으로 판단하여 TV(100')로 광고 컨텐츠를 제공하지 않는다. 그리고 투숙객이 저녁 시간 대에 조명을 끄면 CMS 서버(200')는 사용자 컨텍스트가 취침인 것으로 판단하여 TV(100')로 광고 컨텐츠를 제공하지 않는다.
상술한 실시 예에 따르면 호텔 투숙객은 투숙 경험을 방해 받지 않으면서도 현 시점에 필요한 정보를 획득하여 혜택을 받을 수 있으며, 호텔은 투숙객 상태 판단을 통해, 원하는 시점에 투숙객 맞춤 광고를 제공하여 매출 증대를 기대할 수 있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9에 도시된 흐름도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전자장치(100) 또는 TV(100')에서 처리되는 동작들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 생략된 내용이라 하더라도 전자장치(100) 또는 TV(100')에 관하여 기술된 내용은 도 9에 도시된 흐름도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9를 참고하면,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가 전송한 상태 정보를 획득한다(S910).
그리고 상기 획득된 상태 정보를 기초로 결정된 광고 컨텐츠에 대응되는 영상을 전자 장치가 대기 모드로 동작하는 동안 제공하도록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를 제어한다(S920).
광고 컨텐츠는 전자 장치에 기 저장된 것이거나, 또는 외부 서버로부터 제공받은 것일 수 있다. 외부 서버로부터 광고 컨텐츠를 제공받기 위해 상기 제어 방법은 상기 획득된 상태 정보를 외부 서버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획득된 상태 정보를 기초로 결정된 광고 컨텐츠가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되면, 수신된 광고 컨텐츠에 대응되는 영상을 제공하도록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광고 컨텐츠에 대응되는 영상은, 상기 획득된 상태 정보를 기초로 외부 서버에 의해 결정된 시점에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광고 컨텐츠는 외부 서버에서 상기 획득된 상태 정보를 분석하여 결정된 사용자 컨텍스트에 대응되는 광고 컨텐츠일 수 있다. 또는, 광고 컨텐츠는 상기 획득된 상태 정보 및 전자 장치의 사용자의 개인 정보를 기초로 결정된 것일 수 있다.
대기 모드에서 전자 장치가 광고 컨텐츠에 대응하는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제공하는 동안 기설정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전자 장치를 일반 모드로 전환할 수 있고, 일반 모드에서 상기 광고 컨텐츠에 대응하는 다른 영상을 제공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대기 모드는 상기 일반 모드보다 저전력으로 상기 광고 컨텐츠에 대응하는 영상을 제공하는 모드일 수 있다.
또는, 상기 대기 모드에서 제공되는 상기 광고 컨텐츠에 대응하는 영상은 상기 광고 컨텐츠에 대한 간략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일반 모드에서 제공되는 상기 광고 컨텐츠에 대응하는 다른 영상은 상기 광고 컨텐츠에 대한 상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가 대기 모드에서 제공하는 광고 컨텐츠에 대응하는 영상은 아이콘을 포함하고, 아이콘이 선택됨으로써 대기 모드에서 일반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전자 장치와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는, 도어 센서, 모션 센서, 온도 센서, 조도 센서, 습도 센서, 커튼 센서, 가스 센서, 조명 장치, 호텔 서비스 요청 장치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개시의 실시 예들에 따르면 사용자가 원치 않는 시간에 광고가 제공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현 시점에 필요한 광고 정보를 획득하여 혜택을 받을 수 있다. 이에 따라, 광고주는 매출 증대를 기대할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 설명된 다양한 실시 예들은 소프트웨어(software), 하드웨어(hardware)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computer)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개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은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unit)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절차 및 기능과 같은 실시 예들은 별도의 소프트웨어 모듈들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모듈들 각각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0)에서의 처리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명령어(computer instructions)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um)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명령어는 특정 장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었을 때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에서의 처리 동작을 상기 특정 장치가 수행하도록 한다.
예컨대, 특정 장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었을 때, 상기 특정 장치로 하여금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가 전송한 상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상태 정보를 기초로 결정된 광고 컨텐츠에 대응되는 영상을 상기 전자 장치가 대기 모드로 동작하는 동안 제공하도록 상기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동작을 수행하게 하는 컴퓨터 명령을 저장하는 비 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가 제공될 수 있다.
상술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서버(200)에서의 처리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명령어(computer instructions)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um)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명령어는 특정 장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었을 때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서버(200)에서의 처리 동작을 상기 특정 장치가 수행하도록 한다.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의 구체적인 예로는,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카드, ROM 등이 있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의 형태로, 또는 애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를 통해 온라인으로 배포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개시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개시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개시에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00: 전자 장치
110: 통신부
120: 메모리
130: 프로세서

Claims (20)

  1. 전자 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통신부;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computer executable instructions)를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를 실행함으로써,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가 전송한 상태 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상태 정보를 기초로 결정된 광고 컨텐츠에 대응되는 영상을 상기 전자 장치가 대기 모드로 동작하는 동안 제공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획득된 상태 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외부 서버로 제공하고,
    상기 획득된 상태 정보를 기초로 결정된 광고 컨텐츠가 상기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광고 컨텐츠에 대응되는 영상을 제공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 컨텐츠에 대응되는 영상은,
    상기 획득된 상태 정보를 기초로 상기 외부 서버에 의해 결정된 시점에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제공되는 전자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 컨텐츠는,
    상기 외부 서버에서 상기 획득된 상태 정보를 분석하여 결정된 사용자 컨텍스트에 대응되는 광고 컨텐츠인 전자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대기 모드에서 상기 광고 컨텐츠에 대응하는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제공하는 동안 기설정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전자 장치를 일반 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광고 컨텐츠에 대응하는 다른 영상을 제공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 모드는 상기 일반 모드보다 저전력으로 상기 광고 컨텐츠에 대응하는 영상을 제공하는 모드인 전자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 모드에서 제공되는 상기 광고 컨텐츠에 대응하는 영상은 상기 광고 컨텐츠에 대한 간략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일반 모드에서 제공되는 상기 광고 컨텐츠에 대응하는 다른 영상은 상기 광고 컨텐츠에 대한 상세 정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 모드에서 제공되는 상기 광고 컨텐츠에 대응하는 영상은 아이콘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아이콘이 선택되면 상기 전자 장치를 일반 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광고 컨텐츠에 대응하는 상기 다른 영상을 제공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는,
    도어 센서, 모션 센서, 온도 센서, 조도 센서, 습도 센서, 커튼 센서, 가스 센서, 조명 장치, 호텔 서비스 요청 장치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 컨텐츠는,
    상기 전자 장치의 사용자의 개인 정보를 기초로 결정된 것인 전자 장치.
  11. 전자 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가 전송한 상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획득된 상태 정보를 기초로 결정된 광고 컨텐츠에 대응되는 영상을 상기 전자 장치가 대기 모드로 동작하는 동안 제공하도록 상기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된 상태 정보를 외부 서버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획득된 상태 정보를 기초로 결정된 광고 컨텐츠가 상기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광고 컨텐츠에 대응되는 영상을 제공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 컨텐츠에 대응되는 영상은,
    상기 획득된 상태 정보를 기초로 상기 외부 서버에 의해 결정된 시점에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제공되는 전자 장치의 제어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 컨텐츠는,
    상기 외부 서버에서 상기 획득된 상태 정보를 분석하여 결정된 사용자 컨텍스트에 대응되는 광고 컨텐츠인 전자 장치의 제어방법.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 모드에서 상기 광고 컨텐츠에 대응하는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제공하는 동안 기설정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전자 장치를 일반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및
    상기 일반 모드에서 상기 광고 컨텐츠에 대응하는 다른 영상을 제공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 모드는 상기 일반 모드보다 저전력으로 상기 광고 컨텐츠에 대응하는 영상을 제공하는 모드인 전자 장치의 제어방법.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 모드에서 제공되는 상기 광고 컨텐츠에 대응하는 영상은 상기 광고 컨텐츠에 대한 간략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일반 모드에서 제공되는 상기 광고 컨텐츠에 대응하는 다른 영상은 상기 광고 컨텐츠에 대한 상세 정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방법.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 모드에서 제공되는 상기 광고 컨텐츠에 대응하는 영상은 아이콘을 포함하고,
    상기 전환하는 단계는,
    상기 아이콘이 선택되면 상기 전자 장치를 일반 모드로 전환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방법.
  19.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는,
    도어 센서, 모션 센서, 온도 센서, 조도 센서, 습도 센서, 커튼 센서, 가스 센서, 조명 장치, 호텔 서비스 요청 장치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방법.
  20.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 컨텐츠는,
    상기 전자 장치의 사용자의 개인 정보를 기초로 결정된 것인 전자 장치의 제어방법.
KR1020170176789A 2017-12-21 2017-12-21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25047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6789A KR102504752B1 (ko) 2017-12-21 2017-12-21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US16/956,254 US20200349609A1 (en) 2017-12-21 2018-08-23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PCT/KR2018/009695 WO2019124672A1 (ko) 2017-12-21 2018-08-23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6789A KR102504752B1 (ko) 2017-12-21 2017-12-21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5311A true KR20190075311A (ko) 2019-07-01
KR102504752B1 KR102504752B1 (ko) 2023-03-02

Family

ID=669948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6789A KR102504752B1 (ko) 2017-12-21 2017-12-21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00349609A1 (ko)
KR (1) KR102504752B1 (ko)
WO (1) WO201912467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77738A1 (ko) * 2020-03-06 2021-09-10 삼성전자 주식회사 광고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9006064A1 (de) * 2019-08-28 2021-03-04 Oliver M. Röttcher Wandspiegel mit adaptiver Benutzeroberfläche
KR20240002060A (ko) * 2022-06-28 2024-01-04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처리를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37695A (ko) * 1999-10-19 2001-05-15 유은영 사용자의 휴지상태를 감지한 웹브라우저의 광고 표시방법
KR200360663Y1 (ko) * 2004-06-01 2004-09-03 이창진 대기 전력이 흐르는 상태의 영상표시수단의 화면에영상을 표시하는 장치
KR20080000381A (ko) * 2006-06-27 2008-01-02 오티엔 주식회사 객실 관리 및 정보 제공 서비스 시스템 및 제어방법
KR20160136555A (ko) * 2015-05-20 2016-11-30 주식회사 스마트올웨이즈온 멀티모달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정보를 획득하는 셋톱박스, 셋톱박스로부터 획득한 사용자의 정보를 관리하는 관리 서버, 그리고 이를 이용한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47215A (ko) * 2012-10-09 2014-04-22 김영창 객실관리의 원격 광고 메시지 관리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37695A (ko) * 1999-10-19 2001-05-15 유은영 사용자의 휴지상태를 감지한 웹브라우저의 광고 표시방법
KR200360663Y1 (ko) * 2004-06-01 2004-09-03 이창진 대기 전력이 흐르는 상태의 영상표시수단의 화면에영상을 표시하는 장치
KR20080000381A (ko) * 2006-06-27 2008-01-02 오티엔 주식회사 객실 관리 및 정보 제공 서비스 시스템 및 제어방법
KR20160136555A (ko) * 2015-05-20 2016-11-30 주식회사 스마트올웨이즈온 멀티모달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정보를 획득하는 셋톱박스, 셋톱박스로부터 획득한 사용자의 정보를 관리하는 관리 서버, 그리고 이를 이용한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77738A1 (ko) * 2020-03-06 2021-09-10 삼성전자 주식회사 광고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124672A1 (ko) 2019-06-27
US20200349609A1 (en) 2020-11-05
KR102504752B1 (ko) 2023-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95781B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IoT device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2354943B1 (ko) 전자 장치가 외부 기기를 제어하는 방법 및 상기 전자 장치
US11356512B2 (en)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home device
KR102326154B1 (ko) 저전력 모드의 표시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US10009429B2 (en) Method and system for communication in a pre-determined location
KR102335925B1 (ko) 네트워크 서비스를 위한 전자장치와 게이트웨이, 및 이를 위한 동작 방법
CN108351697A (zh) 包括多个显示器的电子设备和用于操作其的方法
KR102354055B1 (ko) 광학사물인식 기반 전자 장치 및 그 전자 장치의 운용 방법
KR102630114B1 (ko) 서비스 제공을 위한 웨어 시스템 및 방법
KR20170059201A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컨텐츠 출력 방법
KR102401645B1 (ko) 전자 장치 및 게이트웨이와 그 제어 방법
KR102504752B1 (ko)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180137913A (ko) 컨텐츠를 재생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180055140A (ko) 전자 장치의 위치 이동 방법 및 이를 사용하는 전자 장치
KR20160103364A (ko) 다수의 프로세서들을 가지는 전자장치에서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2366289B1 (ko)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20170126698A (ko) 콘텐트 제공을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JP2013196041A (ja) 健康アドバイスシステム、同プログラム
KR20170060567A (ko)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108141382B (zh) 电子装置及其控制物联网设备的方法
KR20160063536A (ko) 광고 제공 방법, 전자 장치 및 서버
EP3314874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web service
KR102362868B1 (ko) 사용자의 선호도에 따라 사용자에게 컨텐트들을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전자 장치
KR102449543B1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 사용자의 정보를 획득하는 방법
KR102369319B1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핸드오프 기능 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