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74715A - 정수기용 중공사막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여과방법 - Google Patents

정수기용 중공사막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여과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74715A
KR20190074715A KR1020170176281A KR20170176281A KR20190074715A KR 20190074715 A KR20190074715 A KR 20190074715A KR 1020170176281 A KR1020170176281 A KR 1020170176281A KR 20170176281 A KR20170176281 A KR 20170176281A KR 20190074715 A KR20190074715 A KR 201900747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
hollow fiber
water
fiber membrane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62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훈
Original Assignee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762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74715A/ko
Publication of KR201900747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471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3/00Apparatu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3/02Hollow fibre modules
    • B01D63/04Hollow fibre modules comprising multiple hollow fibre assembl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9/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structure or properties;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9/08Hollow fibre memb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5/00Details relating to the membrane module operation
    • B01D2315/08Fully permeating type; Dead-end filtra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전량 여과 방식이 채택됨에도 불구하고 중공사막들간의 접촉이 방지됨으로써 중공사막들의 모든 영역이 여과 기능을 수행할 수 있어 우수한 여과 효율 및 여과 성능을 갖는 정수기용 중공사막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여과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정수기용 중공사막 모듈은, 내부 공간이 순환 공간과 투과수 공간으로 분할된 모듈 하우징; 상기 모듈 하우징 내의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 공간을 제1 공간, 제2 공간 및 제3 공간을 분할하는 제1 및 제2 고정층들; 및 상기 제2 공간 내에 배치되되 상기 제1 및 제3 공간들과 유체연통할 수 있도록 일단이 상기 제1 고정층에 포팅되어 있고 타단이 상기 제2 고정층에 포팅되어 있는 중공사막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및 제3 공간들은 상기 순환 공간과 각각 유체연통하고, 상기 제2 공간은 상기 투과수 공간과 유체연통한다.

Description

정수기용 중공사막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여과방법{Hollow Fiber Membrane Module for Water Purifier and Filtration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상수(수돗물)을 여과하기 위한 정수기용 중공사막 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전량 여과 방식이 채택됨에도 불구하고 중공사막들간의 접촉이 방지됨으로써 중공사막들의 모든 영역이 여과 기능을 수행할 수 있어 우수한 여과 효율 및 여과 성능을 갖는 정수기용 중공사막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여과방법에 관한 것이다.
산업이 발달함에 따라 환경오염 문제, 특히 수질 오염 문제가 심각해지고 있다. 그 중에서도, 가정으로 제공되는 상수는 식수로 사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오염문제의 심각성이 크다.
상수 공급 통로인 배관의 노후 및 정수지 물탱크의 오염 등으로 인해 상수 내에서 대장균, 콜레라, 장티푸스 및 이질 등과 같은 각종 미생물, 세균 및 박테리아 등이 증식하게 된다. 오염된 상수는 인체에 해를 끼칠 뿐만 아니라, 악취를 풍겨 불쾌감을 준다.
따라서, 가정에 공급되는 상수로부터 각종 오염물질들을 효율적으로 제거하기 위하여, 이온교환수지, 흡착필터소재, 분리막 모듈 등을 이용한 정수기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분리막 모듈은 그 용도가 매우 다양하여 광범위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분리막은 그 형태에 따라 평막 및 중공사막으로 분류될 수 있다. 중공사막은 중공을 갖는 튜브 형태의 막으로서, 그 표면적이 넓어 단위 공간에서의 여과 처리 능력이 탁월하다는 장점을 갖는다. 따라서, 이러한 중공사막을 포함하는 모듈이 정수기에 많이 적용되고 있다.
도 1에 예시된 바와 같이, 통상의 정수기용 중공사막 모듈(100)은 상수 유입구(111) 및 투과수 배출구(112)를 갖는 하우징(110)을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110) 내에는 고정층(120)이 존재한다. 상기 고정층(120)은 상기 하우징(110) 내부 공간을 상수 공간(WS) 및 투과수 공간(PS)으로 나눈다. 상기 상수 공간(WS) 내에 U자형 중공사막(130) 다발이 배치되며, 각각의 상기 중공사막(130)의 양 말단들이 상기 고정층(120)에 포팅됨으로써 상기 중공사막들(130)이 상기 투과수 공간(PS)과 유체연통한다.
상기 상수 유입구(111)를 통해 상기 상수 공간(WS) 내에 상수가 유입되고, 상기 중공사막들(130)에 의해 'out-in 여과'가 수행되며, 상기 'out-in 여과'를 통해 생산된 투과수가 상기 투과수 공간(S2)으로 공급된 후 상기 투과수 배출구(112)를 통해 중공사막 모듈(100)로부터 배출된다.
위와 같은 정수기용 중공사막 모듈(100)에 의하면, 모듈(100) 내로 유입되는 상수 전량이 투과수 생산에 사용되는 전량 여과(dead-end filtration)가 수행되기 때문에 농축수(retentate) 배출을 수반하는 크로스-플로우 여과(cross-flow filtration)에 비해 여과 효율이 높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 중공사막 모듈(100)에서는 U자형 중공사막들(130)간의 접촉을 피할 수 없는데, 중공사막들(130)의 접촉 부위는 여과 기능을 수행할 수 없다. 또한, U자형 중공사막들(130)의 굽은 부위에서 유로가 좁아져 투과수 유량 저하를 야기한다.
결과적으로, 전량 여과 방식에 따른 장점이 U자형 중공사막들(130)의 채택으로 인해 퇴색되는 문제가 있다(즉, 전량 여과 방식을 채택함에도 불구하고 그에 따른 여과 효율 상승을 온전히 기대할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은 위와 같은 관련 기술의 제한 및 단점들에 기인한 문제점들을 방지할 수 있는 정수기용 중공사막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여과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관점은, 전량 여과 방식이 채택됨에도 불구하고 중공사막들간의 접촉이 방지됨으로써 중공사막들의 모든 영역이 여과 기능을 수행할 수 있어 우수한 여과 효율 및 여과 성능을 갖는 전량 여과 방식의 정수기용 중공사막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은, 전량 여과 방식이 채택됨에도 불구하고 중공사막들간의 접촉이 방지됨으로써 중공사막들의 모든 영역이 여과 기능을 수행할 수 있어 우수한 여과 효율 및 여과 성능을 구현할 수 있는 전량 여과 방식의 여과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위에서 언급된 본 발명의 관점들 외에도,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이점들이 이하에서 설명되거나, 그러한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위와 같은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라, 제1 상수 유입구(water inlet) 및 투과수 배출구(permeate outlet)을 갖는 모듈 하우징 - 상기 모듈 하우징의 내부 공간은 상기 제1 상수 유입구에 대응하는 순환 공간과 상기 투과수 배출구에 대응하는 투과수 공간으로 분할되어 있음 -; 상기 모듈 하우징 내의 케이스 - 상기 케이스는 상기 제1 상수 유입구에 연결된 제2 상수 유입구를 가짐 -; 상기 케이스의 내부 공간을 상기 제2 상수 유입구에 대응하는 제1 공간, 제2 공간 및 제3 공간을 분할하는 제1 및 제2 고정층들; 및 상기 제2 공간 내에 배치되되, 상기 제1 및 제3 공간들과 유체연통할 수 있도록 일단이 상기 제1 고정층에 포팅되어 있고 타단이 상기 제2 고정층에 포팅되어 있는 중공사막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3 공간들은 상기 순환 공간과 각각 유체연통하고, 상기 제2 공간은 상기 투과수 공간과 유체연통하는, 정수기용 중공사막 모듈이 제공된다.
상기 모듈 하우징은 상기 제1 상수 유입구 및 상기 투과수 배출구만을 통하여 외부와 유체연통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는, 상기 제1 공간과 상기 순환 공간을 유체연통시키기 위한 제1 홀; 및 상기 제3 공간과 상기 순환 공간을 유체연통시키기 위한 농축수 배출구를 더 가질 수 있다.
상기 정수기용 중공사막 모듈은 상기 케이스와 함께 상기 모듈 하우징의 내부 공간을 상기 순환 공간 및 상기 투과수 공간으로 분할하는 격벽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케이스는 상기 제2 공간과 상기 투과수 공간을 유체연통시키기 위한 제2 홀을 더 가질 수 있다.
상기 정수기용 중공사막 모듈은, 상기 모듈 하우징의 내부 공간을 상기 순환 공간 및 상기 투과수 공간으로 분할하는 격벽; 및 상기 케이스의 상기 제2 공간과 상기 투과수 공간을 유체연통시키는 파이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따라, 상기 제1 상수 유입구 및 상기 제2 상수 유입구를 통해 상기 제1 공간으로 상수를 공급하는 단계; 상기 제1 공간에 유입된 상기 상수를 상기 중공사막의 중공(lumen) 내로 공급함으로써 in-out 여과를 수행하는 단계; 상기 in-out 여과를 통해 상기 제2 공간에 집수된 투과수를 상기 투과수 공간으로 공급하는 단계; 상기 투과수 공간으로 유입된 상기 투과수를 상기 투과수 배출구를 통해 상기 정수기용 중공사막 모듈로부터 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중공사막으로부터 상기 제3 공간으로 방출된 농축수(retentate)를 상기 순환 공간을 통해 상기 제1 공간으로 돌려보내는 단계를 포함하는, 여과방법이 제공된다.
위와 같은 본 발명에 대한 일반적 서술은 본 발명을 예시하거나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으로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 의하면, 중공사막 모듈 내로 유입되는 상수의 전량이 투과수 생산에 사용되는 전량 여과(dead-end filtration) 방식에 따라 정수 처리가 수행되기 때문에 농축수 배출을 수반하는 크로스-플로우 여과 방식에 비해 높은 여과 효율로 정수 처리가 수행될 수 있다.
더욱이, 모듈 내에서 중공사막 다발이 U자형이 아닌 직선 형태로 배열되기 때문에 중공사막들간의 접촉이 방지될 수 있다. dead zone으로 작용하는 접촉 영역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중공사막의 전체 영역이 여과 작업에 이용될 수 있고, 따라서, 정수기용 중공사막 모듈중공사막의 유효 여과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 의하면, 전량 여과 방식을 채용하면서도 중공사막들 간의 접촉을 방지함으로써 여과 효율 및 여과 성능을 극대화할 수 있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고 본 명세서의 일부를 구성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예시하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원리들을 설명한다.
도 1은 통상의 정수기용 중공사막 모듈의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용 중공사막 모듈의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용 중공사막 모듈의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의 다양한 변경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은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 및 그 균등물의 범위 내에 드는 변경 및 변형을 모두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out-in 여과'라는 용어는 투과수가 중공사막의 외부로부터 내부(즉, 중공)로 막을 투과함으로써 수행되는 여과를 지칭한다. 반면, 'in-out 여과'는 투과수가 중공사막의 내부로부터 외부로 막을 투과함으로써 수행되는 여과를 지칭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용 중공사막 모듈의 단면도이다.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정수기용 중공사막 모듈(200)은 모듈 하우징(210), 상기 모듈 하우징(210) 내의 케이스(220), 상기 케이스(220)의 내부 공간을 제1 공간(S1), 제2 공간(S2) 및 제3 공간(S3)으로 분할하는 제1 및 제2 고정층들(231, 232), 및 상기 제2 공간 내에 배치된 중공사막들(240)을 포함한다.
상기 모듈 하우징(210)은 제1 상수 유입구(water inlet)(211) 및 투과수 배출구(permeate outlet)(212)를 갖는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제1 상수 유입구(211)를 통해 상기 모듈 하우징(210) 내로 유입된 상수 전량이 투과수 생산에 이용되는 전량 여과 방식이 적용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모듈 하우징(210)에는 농축수 배출을 위한 별도의 배출구가 제공되어 있지 않으며, 상기 모듈 하우징(210)은 상기 제1 상수 유입구(211) 및 상기 투과수 배출구(212)만을 통하여 외부와 유체연통할 수 있다.
상기 모듈 하우징(210)의 내부 공간은 상기 제1 상수 유입구(211)에 대응하는 순환 공간(CS)과 상기 투과수 배출구(212)에 대응하는 투과수 공간(PS)으로 분할되어 있다.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용 중공사막 모듈(200)은 격벽(2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격벽(250)은 상기 케이스(220)와 함께 상기 모듈 하우징(210)의 내부 공간을 상기 순환 공간(CS) 및 상기 투과수 공간(PS)으로 분할한다.
상기 케이스(220)는 상기 모듈 하우징(210)의 제1 상수 유입구(211)에 연결된 제2 상수 유입구(221)를 가지며, 상기 케이스(220)의 제1 공간(S1)은 상기 제2 상수 유입구(221)에 대응한다. 즉, 여과 처리되어야 할 상수가 상기 모듈 하우징(210)의 제1 상수 유입구(211) 및 상기 케이스(220)의 제2 상수 유입구(220)를 순차적으로 통과한 후 상기 케이스(220)의 제1 공간(S1)으로 유입된다.
상기 중공사막들(240) 각각의 일단(개방단: open end)이 상기 제1 고정층(231)에 포팅되고 그 타단(개방단)이 상기 제2 고정층(232)에 포팅됨으로써, 상기 중공사막들(240)은 상기 케이스(220)의 제1 및 제3 공간들(S1, S3)과 유체연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중공사막들(240) 각각의 양 말단들이 상기 제1 및 제2 고정층들(231, 232)에 각각 포팅됨으로써 U자형이 아닌 직선 형태로 상기 케이스(220)의 제2 공간(S2) 내에 배열되어 있다. 따라서, 중공사막들(240)간의 접촉으로 인한 dead zone 발생이 방지될 수 있고, 중공사막의 전체 영역이 여과 작업에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중공사막(240)은 (i) 단일막 또는 (ii) 관형 편물 상에 고분자막이 코팅된 복합막일 수 있다.
상기 중공사막(240)이 단일막일 경우, 상기 중공사막(240)은 폴리설폰, 폴리에테르설폰, 설폰화폴리설폰,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 폴리아크릴로니트릴, 폴리이미드, 폴리아미드이미드, 및 폴리에테르이미드 중 적어도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중공사막(240)이 복합막일 경우, 관형 편물은 폴리올레핀사(polyolefin yarn), 폴리에스테르사(polyester yarn)(예를 들어, PET사, PEN사, PBT사 등) 및 폴리아미드사(polyamide yarn) 중 적어도 하나로 제조될 수 있고, 상기 관형 편물 상에 코팅된 고분자막은 폴리설폰, 폴리에테르설폰, 설폰화폴리설폰,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 폴리아크릴로니트릴, 폴리이미드, 폴리아미드이미드, 및 폴리에테르이미드 중 적어도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케이스(220)의 제1 및 제3 공간들(S1, S3)은 상기 모듈 하우징(210)의 순환 공간(CS)과 각각 유체연통한다. 따라서, 제2 공간(S2)을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되어 있는 상기 케이스(220)의 제1 및 제3 공간들(S1, S3)은 상기 모듈 하우징(210)의 순환 공간(CS)을 통해 서로 유체연통할 수 있다. 반면, 상기 케이스(220)의 제2 공간(S2)은 상기 모듈 하우징(210)의 투과수 공간(S1)과 유체연통한다.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케이스(220)는, 상기 제1 공간(S1)과 상기 순환 공간(CS)을 유체연통시키기 위한 제1 홀(H1) 및 상기 제3 공간(S3)과 상기 순환 공간(CS)을 유체연통시키기 위한 농축수 배출구(222)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도 2에 예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격벽(250)과 함께 상기 모듈 하우징(210)의 내부 공간을 상기 순환 공간(CS) 및 상기 투과수 공간(PS)으로 분할하는 상기 케이스(220)는 상기 제2 공간(S2)과 상기 투과수 공간(PS)을 유체연통시키기 위한 제2 홀(H2)을 더 가질 수 있다.
대안적으로,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모듈 하우징(210)의 내부 공간이 격벽(260)만으로 순환 공간(CS)과 투과수 공간(PS)으로 분할될 수 있다. 즉, 케이스(220)가 격벽(250)과 함께 모듈 하우징(210)의 내부 공간을 순환 공간(CS)과 투과수 공간(PS)으로 분할하는 도 2의 실시예와 달리, 도 3에 예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모듈 하우징(210)의 내부 공간이 격벽(260)에 의해 순환 공간(CS)과 투과수 공간(PS)으로 분할되고, 케이스(220) 전체가 순환 공간(CS) 내에 배치되며, 상기 케이스(220)의 제2 공간(S2)은 파이프(270)라는 별도의 구성을 통해 상기 투과수 공간(PS)과 유체연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케이스(220)의 제1 공간(S1)으로 유입된 상수가 상기 중공사막들(240)의 중공을 따라 흐르면서 in-out 여과가 수행되고, 상기 in-out 여과를 통해 생산된 투과수는 상기 케이스(220)의 제2 공간(S2) 및 상기 모듈 하우징(210)의 투과수 공간(PS)을 순차적으로 통과한 후 상기 모듈 하우징(210)의 투과수 배출구(212)를 통해 모듈(200)로부터 배출되며, 상기 중공사막들(240)로부터 상기 케이스(220)의 제3 공간(S3)으로 유입된 농축수(retentate)는 상기 모듈 하우징(210)의 순환 공간(CS)을 통해 상기 케이스(220)의 제1 공간(S1)으로 재유입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중공사막 모듈(200) 내로 유입되는 상수의 전량이 투과수 생산에 사용되는 전량 여과 방식에 따라 정수 처리가 수행될 수 있고, 따라서, 농축수 배출을 수반하는 크로스-플로우 여과 방식에 비해 높은 여과 효율로 정수 처리가 수행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위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정수기용 중공사막 모듈(200)을 이용한 여과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모듈 하우징(210)의 제1 상수 유입구(211) 및 케이스(220)의 제2 상수 유입구(221)를 통해 상기 케이스(220) 제1 공간(S1)으로 상수를 공급한다.
이어서, 상기 케이스(220)의 제1 공간(S1)에 유입된 상기 상수를 중공사막들(240)의 중공(lumen) 내로 공급함으로써 in-out 여과를 수행한다.
이어서, 상기 in-out 여과를 통해 상기 케이스(220)의 제2 공간(S2)에 집수된 투과수를 상기 모듈 하우징(210)의 투과수 공간(PS)으로 공급한다.
이어서, 상기 투과수 공간(PS)으로 유입된 투과수를 상기 모듈 하우징(210)의 투과수 배출구(222)를 통해 상기 중공사막 모듈(200)로부터 배출한다.
한편, 상기 중공사막들(240)으로부터 상기 케이스(220) 제3 공간(S3)으로 방출된 농축수(retentate)를 상기 모듈 하우징(210)의 순환 공간(CS)을 통해 상기 케이스(220)의 제1 공간(S1)으로 돌려보낸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량 여과 방식을 채용하면서도 중공사막들(240) 간의 접촉을 방지함으로써 중공사막 모듈의 여과 효율 및 여과 성능을 극대화할 수 있다.
200: 중공사막 모듈 210: 모듈 하우징
211: 제1 상수 유입구 212: 투과수 배출구
220: 케이스 221: 제2 상수 유입구
222: 농축수 배출구 231: 제1 고정층
232: 제2 고정층 240: 중공사막
250, 260: 격벽 270: 파이프

Claims (6)

  1. 제1 상수 유입구(water inlet) 및 투과수 배출구(permeate outlet)를 갖는 모듈 하우징 - 상기 모듈 하우징의 내부 공간은 상기 제1 상수 유입구에 대응하는 순환 공간과 상기 투과수 배출구에 대응하는 투과수 공간으로 분할되어 있음 -;
    상기 모듈 하우징 내의 케이스 - 상기 케이스는 상기 제1 상수 유입구에 연결된 제2 상수 유입구를 가짐 -;
    상기 케이스의 내부 공간을 상기 제2 상수 유입구에 대응하는 제1 공간, 제2 공간 및 제3 공간을 분할하는 제1 및 제2 고정층들; 및
    상기 제2 공간 내에 배치되되, 상기 제1 및 제3 공간들과 유체연통할 수 있도록 일단이 상기 제1 고정층에 포팅되어 있고 타단이 상기 제2 고정층에 포팅되어 있는 중공사막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3 공간들은 상기 순환 공간과 각각 유체연통하고,
    상기 제2 공간은 상기 투과수 공간과 유체연통하는,
    정수기용 중공사막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 하우징은 상기 제1 상수 유입구 및 상기 투과수 배출구만을 통하여 외부와 유체연통하는,
    정수기용 중공사막 모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제1 공간과 상기 순환 공간을 유체연통시키기 위한 제1 홀; 및
    상기 제3 공간과 상기 순환 공간을 유체연통시키기 위한 농축수 배출구를 더 갖는,
    정수기용 중공사막 모듈.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와 함께 상기 모듈 하우징의 내부 공간을 상기 순환 공간 및 상기 투과수 공간으로 분할하는 격벽을 더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는 상기 제2 공간과 상기 투과수 공간을 유체연통시키기 위한 제2 홀을 더 갖는,
    정수기용 중공사막 모듈.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 하우징의 내부 공간을 상기 순환 공간 및 상기 투과수 공간으로 분할하는 격벽; 및
    상기 케이스의 상기 제2 공간과 상기 투과수 공간을 유체연통시키는 파이프를 더 포함하는,
    정수기용 중공사막 모듈.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의 정수기용 중공사막 모듈을 이용한 여과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상수 유입구 및 상기 제2 상수 유입구를 통해 상기 제1 공간으로 상수를 공급하는 단계;
    상기 제1 공간에 유입된 상기 상수를 상기 중공사막의 중공(lumen) 내로 공급함으로써 in-out 여과를 수행하는 단계;
    상기 in-out 여과를 통해 상기 제2 공간에 집수된 투과수를 상기 투과수 공간으로 공급하는 단계;
    상기 투과수 공간으로 유입된 상기 투과수를 상기 투과수 배출구를 통해 상기 정수기용 중공사막 모듈로부터 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중공사막으로부터 상기 제3 공간으로 방출된 농축수(retentate)를 상기 순환 공간을 통해 상기 제1 공간으로 돌려보내는 단계를 포함하는,
    여과방법.
KR1020170176281A 2017-12-20 2017-12-20 정수기용 중공사막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여과방법 KR2019007471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6281A KR20190074715A (ko) 2017-12-20 2017-12-20 정수기용 중공사막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여과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6281A KR20190074715A (ko) 2017-12-20 2017-12-20 정수기용 중공사막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여과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4715A true KR20190074715A (ko) 2019-06-28

Family

ID=670658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6281A KR20190074715A (ko) 2017-12-20 2017-12-20 정수기용 중공사막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여과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7471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102476A (ko) 2022-12-26 2024-07-03 서경대학교 산학협력단 정수필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102476A (ko) 2022-12-26 2024-07-03 서경대학교 산학협력단 정수필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12486B2 (ja) 中空糸膜モジュールおよびそのモジュール配列群
JP3008886B2 (ja) 中空糸型選択透過膜モジュール
US20160346739A1 (en) Filtration apparatus
JP2001269546A (ja) ラック式濾過装置
JP2009525846A (ja) モジュール型逆浸透水処理システム
EP3107643B1 (en) Filtration element
WO2017059568A1 (en)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including concentrate distributor
KR100566362B1 (ko) 여과 방법
KR101364344B1 (ko) 여과장치
JP2019510623A (ja) バイオリアクターアセンブリ
KR20190074715A (ko) 정수기용 중공사막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여과방법
JP2020093233A (ja) 分離膜モジュール及び分離膜システム
KR20160080010A (ko) 가압식 중공사막 모듈
US11904280B2 (en) Filtration system and method for filtering water
JP2013212456A (ja) 中空糸膜モジュール
KR20100051947A (ko) 정수용 필터 하우징
KR20140087416A (ko) 중공사막 모듈
JP5389885B2 (ja) 浄水装置
CN221422119U (zh) 供水系统
KR20170023626A (ko) 수처리용 트리코트 여과수로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용 역삼투압 필터 모듈
KR20200064718A (ko) 수처리용 역삼투 분리막 모듈
CN215782742U (zh) 一种纳滤膜组件
WO2017013200A1 (en) Filtration apparatus
JP2009028600A (ja) 精製水製造装置
KR20070000566A (ko) 탈기 기능이 부가된 정수기용 중공사막 모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