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74263A - 분류 기계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분류 기계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74263A
KR20190074263A KR1020180165016A KR20180165016A KR20190074263A KR 20190074263 A KR20190074263 A KR 20190074263A KR 1020180165016 A KR1020180165016 A KR 1020180165016A KR 20180165016 A KR20180165016 A KR 20180165016A KR 20190074263 A KR20190074263 A KR 201900742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ading
carriage
digital signal
unloading
electronic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50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86618B1 (ko
Inventor
마테오 푸마갈리
로렌조 치레고
리카르도 마치
Original Assignee
파이브스 인트라로지스틱스 에스.피.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이브스 인트라로지스틱스 에스.피.에이. filed Critical 파이브스 인트라로지스틱스 에스.피.에이.
Publication of KR201900742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42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66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66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3/00Sorting according to destination
    • B07C3/02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eans used for distribu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36Sort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eans used for distribu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02Measures preceding sorting, e.g. arranging articles in a stream orient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34Sorting according to other particular properties
    • B07C5/344Sorting according to other particular properties according to electric or electromagnetic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36Sort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eans used for distribution
    • B07C5/361Processing or control devices therefor, e.g. escort memory
    • B07C5/362Separating or distributor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36Sort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eans used for distribution
    • B07C5/38Collecting or arranging articles in grou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3/00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 B65G43/08Control devices operated by article or material being fed, conveyed or discharg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34Devices for discharging articles or materials from conveyor 
    • B65G47/46Devices for discharging articles or materials from conveyor  and distributing, e.g. automatically, to desired p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94Devices for flexing or tilting travelling structures; Throw-off carriages
    • B65G47/96Devices for tilting links or platf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ischarge Of Articles From Conveyors (AREA)
  • Branching, Merging, And Special Transfer Between Conveyors (AREA)
  • Control Of Conveyors (AREA)
  • 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Moving Bodies (AREA)

Abstract

복수의 캐리지(2)를 포함하는 분류 기계(1)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이 지개되어 있고, 각 캐리지(2)는, 캐리지(2)로부터 물건(O)의 로딩-언로딩을 위해 선택적으로 활성화될 수 있는 로딩-언로딩 장치(3) 및 디지털 신호(20)를 받아 분석하도록 구성된 전자 유닛(4)을 포함하고, 본 방법은, 각기 각각의 인덕터(11)를 포함하는 복수의 로딩 스테이션(9) 및 복수의 언로딩 스테이션(10)을 갖는 분류 방향(X)을 따라 캐리지(2)를 이동시키는 단계; 복수의 작업 모드에서 선택되는 작업 모드와 고유적으로 관련되어 있고 비트 스트링을 포함하는 디지털 신호(20)를 변조하는 가변 주파수를 갖는 자기장을 인덕터(11)를 통해 발생시키는 단계; 전자기 유도에 의해 디지털 신호(20)를 캐리지(2)의 전자 유닛(4)에 전송하는 단계; 및 전자 유닛(4)에서 디지털 신호(20)를 받고 또한 전자 유닛(4)으로부터 받은 디지털 신호(20)와 고유적으로 관련된 작업 모드에 따라 로딩-언로딩 장치(3)를 활성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분류 기계 제어 방법{METHOD FOR CONTROLLING SORTING MACHINE}
본 발명은 분류 시스템의 기술 분야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분류 기계를 위한 제어 방법 및 상대적인 분류 기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크로스 벨트"형 분류 시스템, 즉 로딩 단계 및 목적지에서의 언로딩 중에 필요한 다양한 기능에 따라 주로 시스템의 이송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위의 물체를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컨베이어 벨트가 각 캐리지에 구비되어 있는 시스템에서 실행되기에 특히 적합하다.
더 상세히 말하면, 크로스 벨트형 분류 기계는, 분류될 물건을 캐리지에 로딩하도록 설계된 로딩 스테이션 및 작업자의 일을 효율적으로 하기 위해 물건이 언로딩되고 일반적으로 적재되는 언로딩 스테이션과 나란히 있는 폐쇄 회로를 차지하고 이를 따라 이동하는 캐리지의 트레인으로 이루어지며, 작업자는 이렇게 분류된 재료를 분배하고 목적지에 배송하는 것과 관련된 작업을 수행한다.
이러한 특별한 종류의 분류 기계에서, 캐리지에는 컨베이어 벨트가 구비되고, 이 컨베이어 벨트는 물건을 받아 분류하기 위해 기계의 운동 방향에 직각인 방향으로 전기 모터로 작동될 수 있다.
로딩 스테이션의 목적은, 물건이 정확한 시간과 속도로 전달될 수 있도록, 물건을 이를 받도록 설계된 분류 기계의 캐리지의 운동과 동기화시키기 위해 로딩되는 물건의 궤적을 결정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한편 언로딩 스테이션은 집결 및 저장 슈트(chute) 또는 롤러 저장 컨베이어로 이루어지고, 저장 기능은, 분류된 포장물을 컨테이너, 캐리지, 또는 운송의 경우에 배송 수단 안으로 직접 전달하는 작업자의 작업을 효율적으로 하기 위해 필요하다.
벨트의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종류의 명령은 분류 기계의 제어 시스템으로 발생되고, 제어 시스템은 각 캐리지의 경로를 따르는 위치를 언제 든지 알고 있다.
분류 기계의 제어 시스템에는, 인코더를 구성하는 일 군의 센서가 구비되어 있고, 이 센서를 이용하여 경로를 따르는 분류 기계의 기본적인 전진 운동을 측정한다.
그러므로, 로딩-언로딩 스테이션과 개별 캐리지 사이의 정확한 동기화를 가능하게 하고 그래서 각 캐리지의 컨베이어 벨트를 적절한 시기에 활성화시켜 분류 대상 물건이 정확히 로딩/언로딩되게 보장하기 위해 특히 시스템 내에서의 정보 통신에 대해 이러한 종류의 기계와 시스템이 높은 정밀도 수준을 어떻게 요구하는지 명백하다.
다양한 종류의 작업 모드가 만족해야 하는 요건을 규정한 후에, 분류 기계의 크로스 벨트형의 캐리지의 벨트의 활성화를 제어하기 위해 자동 분류 부분에 적용되는 다양한 기술적 방안에 대해 간단히 설명한다.
분류 기계를 제어하기 위한 제 1 기술적 방안은 조절된 적외선 광의 방출을 통한 비접촉 통신에 근거하고, 요구되는 기능, 예컨대 로딩-언로딩을 실행하라는 명령을 온-보드 제어 유닛이 모터에 줄 수 있게 해주는 파라미터의 값을 갖는 메시지가 전달되기에 충분한 시간 동안, 제어될 캐리지에 위치하는 적절한 전자 유닛과의 광학적 정렬이 가능하도록 제어 장치가 분류 기계의 슬라이딩 트랙에 위치된다.
상기 방안에 의해, 광학적 정렬의 짧은 시간 내의 큰 데이타 전송 용량 덕분에 충분한 유연성이 가능하고 또한 개별 서보 모터의 직접적인 명령이 가능하고, 그래서 상기 방안은 단순성을 갖게 되지만, 광 펄스에 의한 전송은 태양 광 또는 인공 빛과 같은 환경 유형의 교란을 쉽게 받으므로, 예방적이고 정확한 유지 보수를 필요로 한다.
상기 제어 방법은 또한 먼지, 종이 조각 및 습기로 인해 모호하게 될 수 있고 또한 적외선 방출기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노화 현상을 크게 받게 되는데, 이는 효율 수준에 심지어 상당히 부정적으로 영향을 줄 수 있다.
제 2 기술적 방안은, 슬롯형 동축 케이블을 통한 무선 전송, 특히 단거리 전송에 근거하고, 그 동축 케이블은 대략 백 미터 길이의 부분으로 분할되는 분류 기계의 전체 길이를 커버하고, 각 부분에는 통신 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방안은, 산업 자동화 분야에서 이동형 작동 유닛에서 필드 버스 통신 표준의 연장을 가능케 하기 위해 상업적 표준으로 이용 가능하다.
이 경우, 실용적이고 경제적인 이유로, 분류 기계의 캐리지는 캐리지의 트레인으로 분할되고, 각 트레인을 위한 캐리지에는, 처리 및 캐리지에 대응하는 케이블의 부분의 통신 장치와의 통신을 위한 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받은 명령은 디코딩되어, 트레인을 구성하는 개별 캐리지에 장착되어 있는 모터의 다양한 서보 구동기에 분배된다.
상기 방안은, 제어 시스템과 캐리지의 각 트레인 사이의 실제로 연속적인 통신 가능성 덕분에 큰 유연성을 가능하게 하며, 캐리지의 위치와 관련된 어떤 구속요건도 없이 로딩 또는 언로딩 궤적을 동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어 요구되는 작업 속도에 쉽게 적응될 수 있고 또한 개별 캐리지의 벨트의 활성화를 결정하는 다양한 파라미터의 값을 쉽게 변화시킬 수 있다.
그러나, 시스템의 특성이 주어지면, 이 방안은 분류 기계에 적용되기에 특히 복잡하고 비용이 많이 든다.
더욱이, 캐리지의 처리 및 통신 장치의 결함으로 인해, 캐리지의 전체 대응하는 트레인이 손실되고 그래서 비상 유지 보수 작업을 수행할 필요가 있고 이 때문에 전체 시간을 긴 시간 동안 가동 중단시킬 필요가 있다.
캐리지와의 연속적인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다른 기술적 방안은, 분류 기계의 전체 경로를 따라 위치하는 컨덕터 바아에서 슬라이딩하는 픽업을 통한 메시지의 전송에 근거하는데, 이 방안은, 이미 오랫동안 사용되고 있고 마모를 야기하고 접촉부의 정기적인 교체를 필요로 하지만, 여전히 충분히 실용적이고 경제적이다.
이들 경우, 서보 모터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필요한 전기를 주기 위해 컨덕터 바아 및 슬라이딩 픽업이 또한 사용된다.
상기 방안은 실제로 유연성 면에서 이전 방안과 동일한 이점을 가지며, 분류 기계에 대한 적용성에 대해 더 낮은 비용을 들게 하지만, 복잡성 및 결함이 있는 경우에는 캐리지의 전체 트레인을 상실할 수 있는 가능성 때문에 동일한 단점을 갖는다.
더욱이, 슬라이딩 픽업은, 현재 분류 기계의 높은 작동 속도 때문에 특히 마모 및 고장을 받는다.
그러므로 상기 방안은 슬라이딩 픽업의 교체를 위한 연속적인 예방적 제어 유지 보수와 정확한 유지 보수를 필요로 한다.
마지막으로, 2개의 가능한 주파수 중의 하나를 갖는 변조된 자기장을 방출할 수 있는 분류 기계의 슬라이딩 트랙에 설치되어 있는 명령 인덕터를 사용하여 기초적인 활성화 접촉 명령 없이 전송하기 위해 자기적 유도의 원리를 사용하는 EP 1216938에 근거한 종래 기술의 방안이 있고, 그 주파수의 값은 모터의 회전 방향 및 캐리지의 이송 방향에 대한 캐리지의 로딩-언로딩 방향을 규정한다.
상기 방안의 단순성으로 인해, 높은 정도의 신뢰성 및 용이한 유지 보수가 가능하지만, 명령의 기본적인 전송은 파라미터 값을 허용하지 않으므로, 유연성의 결여로 인해 용도가 제한된다.
그러나, 이 방안은, 특히 포장물 분류 분야, 우편 분야 및 물류 유통 분야에서 매우 높은 성능 레벨을 갖지 않으며, 이러한 분야에서는, 일반적으로 매우 제한된 공간에서 매우 많은 수의 분류 목적지가 있고, 출력부에서 제품을 쌓기 위해 또는 어떤 제품의 특징에 적합하게 하기 위해 분류 궤적을 변화시킬 필요가 종종 있다.
많은 경우에, 일반적으로, 분류 기계는 적어도 2개의 다른 작업 속도로 작동할 수 있을 필요가 있다.
이들 경우에, 이전의 요건은 부분적으로만 만족될 수 있고, 그래서 시스템의 구조적 복잡성과 비용이 증가된다.
이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기초가 되는 기술적 목적은, 종래 기술의 위에서 언급된 단점 중의 적어도 일부를 극복하는 분류 기게용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목표는, 더 큰 유연성과 다용도성을 제공할 수 있어 분류 시스템의 다른 적용 상황에 쉽게 적응되게 쉽게 조절 가능한 다른 작동 파라미터로 복수의 기능이 실행될 수 있게 해주는, 분류 기계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언급된 기술적 목적 및 특정된 목표는, 실질적으로, 첨부된 청구 범위 중의 하나 이상에 기재되어 있는 기술적 특징을 포함하는 분류 기계용 제어 방법으로 달성된다.
본 발명은 복수의 캐리지를 포함하는 분류 기계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며, 각 캐리지는, 캐리지로부터 물건의 로딩-언로딩을 위해 선택적으로 활성화될 수 있는 로딩-언로딩 장치 및 디지털 신호를 받아 분석하도록 구성된 전자 유닛을 포함한다.
본 방법은 다음과 같은 단계,
- 각기 각각의 인덕터를 포함하는 복수의 로딩 스테이션 및 복수의 언로딩 스테이션을 갖는 분류 방향을 따라 캐리지를 이동시키는 단계;
- 복수의 작업 모드에서 선택되는 작업 모드와 고유적으로 관련되어 있고 비트 스트링을 포함하는 디지털 신호를 변조하는 가변 주파수를 갖는 자기장을 인덕터를 통해 발생시키는 단계;
- 전자기 유도에 의해 디지털 신호를 캐리지의 전자 유닛에 전송하는 단계; 및
- 전자 유닛에서 디지털 신호를 받고 또한 전자 유닛으로부터 받은 디지털 신호와 고유적으로 관련된 작업 모드에 따라 로딩-언로딩 장치를 활성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대상은, 복수의 캐리지를 포함하는 분류 기계이며, 각 캐리지는, 캐리지로부터 물건의 로딩-언로딩을 위해 선택적으로 활성화될 수 있는 로딩-언로딩 장치, 및 비트 스트링을 포함하는 디지털 신호를 받아 분석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전자 유닛을 포함하고, 전자 유닛은, 디지탈 신호에 의해 스트링 비트와 고유적으로 관련된 작업 모드에 따라 상기 로딩-언로딩 장치를 작동시킨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이점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분류 기계를 위한 제어 방법의 바람직한 비제한적인 실시 형태를 참조하여 아래의 설명에서 더 명확하게 된다
도 1은 분류 기계를 나타낸다.
도 2는 분류 기계의 캐리지를 상세히 나타내는 도 1의 상세도이다.
도 3은 분류 기계의 로딩 스테이션을 상세히 나타내는 도 1의 상세도이다.
도 4는 분류 기계의 언로딩 스테이션을 상세히 나타내는 도 1의 상세도이다.
도 5는 캐리지에 장착되어 있는 전자 유닛 및 그와 연결된 로딩 또는 언로딩 스테이션의 인덕터를 나타낸다.
도 6은 자기장을 변조하기 위한 디지털 신호를 발생시키는 예를 나타낸다.
도 7a는 로딩 기능에 대응하는 가능한 실행 모드를 나타낸다.
도 7b는 언로딩 기능에 대응하는 가능한 실행 모드를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참조 번호 "1"은 분류 기계를 전체적으로 나타내고, 이 분류 기계는 로딩-언로딩 장치(3) 및 전자 유닛(4)을 구비하는 복수의 캐리지(2)를 포함하고, 그 로딩-언로딩 장치는 캐리지(2)에 장착되는 모터(8)로 작동될 수 있다.
도 2에 상세히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각 캐리지(2)는 바퀴(6)를 구비하는 프레임(5)을 포함하고, 이 프레임은, 폐쇄된 경로(7)에 위치하는 연속적인 열을 형성하도록 인접 캐리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그 경로는 주 분류 방향(X)을 규정하고, 캐리지(2)의 연속적인 열은 그 주 분류 방향을 따라 이동된다.
일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로딩-언로딩 장치(2)는 분류 방향에 수직인 로딩-언로딩 방향(Y)으로 위치하는 컨베이어 밸트의 형태로 있다.
대안적으로, 로딩-언로딩 장치(3)는 예컨대 경사 가능한 평면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도 5에 상세히 나타나 있는 전자 유닛(4)은, 인쇄 회로에 형성되는 권선(4a) 및 전자 카드(4b)로 이루어지는 수용 요소를 포함하고, 권선은 바람직하게는 분류 방향(X)을 따르는 캐리지(2)의 크기 보다 약간 작은 길이, 특히, 분류 방향(X)을 따르는 캐리지(2)의 크기의 45% 내지 55%의 길이를 가지며, 전자 카드는 디지털 신호(20)를 받아 처리하고 필요하다면 발생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각 캐리지(2)는 700 mm 내지 900 mm의 길이를 가질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각 캐리지(2)는 800 mm의 길이를 가지며, 권선(4a)은 350 mm 내지 400 mm의 최대 길이, 바람직하게는 380 mm의 최대 길이를 갖는다.
분류 기계(1)는 도 3 및 4에 상세히 나타나 있는 복수의 로딩 스테이션(9) 및 복수의 언로딩 스테이션(10)을 또한 포함하고, 캐리지(2)의 로딩-언로딩 장치(3)의 활성화에 의해 물건(O)이 로딩 스테이션(9)에서 캐리지(2)에 로딩되고 또한 물건(O)이 캐리지로부터 언로딩 스테인션(10)에 언로딩될 수 있도록 로딩 스테이션 및 언로딩 스테이션은 분류 방향(X)을 따라 특히 폐쇄 경로(6)의 옆에 위치되어 있다.
각 스테이션(9, 10)은 가변 주파수, 바람직하게는 3 kHz 내지 55 kHz의 주파수를 가지는 자기장을 발생시키도록 설계되어 있는 인덕터(11)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인덕터는 3 kHz 내지 8 kHz, 바람직하게는 5 kHz의 주파수를 갖는 제 1 자기장(21a) 및 47 kHz 내지 53 kHz, 바람직하게는 50 kHz의 주파수를 갖는 제 2 자기장(21b)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자기장 유도에 대한 페러데이(Faraday) 법칙에 따르면, 폐쇄 라인에서 자기장에 의해 유도되는 기전력은 페쇄 라인에 의해 한정되는 표면을 통과하는 자기력 선속의 단위 시간 당 변화의 반대와 같다.
인덕터(11a)가 발생된 자기장의 주파수를 한 값으로부터 다른 값으로 변조할 때, 전기 신호가 전자 유닛(4)의 권선(4a)에 발생되고, 그 전기 신호는 자기장의 동일한 주파수 변조로 변하게 되며 전자 카드(4b)에 의해 판독, 해석 및 작동된다.
유도에 의한 자기적 커플링을 통한 통신에 의해 분류 기계의 모든 이용에 요구되는 작동 모드를 얻기 위해 필요한 파라미터의 값을 인코딩하는 제어 메시지가 전송될 수 있어, 필요한 유연성이 제공되고, 견고성, 신뢰성의 특징 및 비용의 저렴성 및 유도 자기적 커플링을 통한 통신의 용이한 유지 보수 특징이 동시에 보장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인덕터(11)와 캐리지(2)의 모터(8)를 제어하는 제어 유닛(4) 사이의 유도 자기적 커플링을 통해 전송되는 명령은 미리 정해진 길이와 구조를 갖는 디지털 신호(20)로 이루어지고, 도 6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메시지의 개별 비트의 2개의 가능한 논리 상태는 미리 정해진 2개의 주파수 중의 하나에서 인덕터(11)에 의해 변조된 자기장에 의해 발생되는 신호(21)의 방출을 통해 코딩된다.
여기서 비제한적인 예로 설명되는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주파수는 3 kHz 내지 8 kHz, 바람직하게는 5 kHz이고, 또한 47 kHz 내지 53 kHz, 바람직하게는 50 kHz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바람직하게는 전술한 바와 같이 만들어지는 분류 기계(1)에 대한 제어 방법은, 캐리지(2)의 연속적인 열을 분류 방향(X)을 따라 이동시키는 것을 포함하고, 그 연속적인 열의 옆에는, 각각의 인덕터(11)를 구비하는 복수의 로딩 스테이션(9)와 언로딩 스테이션(10)가 있다.
다시 말해, 분류 기계(1)의 사용 구성에서, 각 캐리지(2)는 분류 방향(X)을 규정하는 폐쇄 경로(7)를 따라 이동되고, 로딩 스테이션으로부터 오는 물건의 흐름을 받고 이를 연속적으로 언로딩 스테이션에 전달할 수 있도록 로딩 스테이션(9)과 언로딩 스테이션(10)의 옆을 지나게 된다.
본 방법은, 작동 모드와 고유적으로 관련된 디지털 신호(20)를 변조하기 위해 가변 주파수를 갖는 자기장을 인덕터(11)에 의해 발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작동 모드는, 캐리지(2)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가능한 기능 및 이들 기능을 특성화하는 파라미터에 관계된 복수의 작동 모드로부터 선택된다.
따라서, 복수의 작동 모드의 각 작동 모드는 실행될 기능 및 일 기능을 작동시키기 위해 따르는 일 세트의 파라미터를 포함하고 규정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캐리지(2)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가능한 기능이 예를 들면, 캐리지(2)의 로딩, 캐리지(2)의 언로딩, 로딩-언로딩 장치(3)에서 운반되는 물건(O의 중심 맞춤이 있다.
일련의 특별한 작업이 또한 실행될 수 있는데, 즉, 이 작업은 엄격하게 로딩-언로딩 작업에 관계되지 않지만 효율을 개선하기 위해 유용한 것으로, 예를 들면, 분류 기계(1)의 작업 파라미터의 전송, 캐리지(2)와 관련될 수 있는 구성 요소 및 주변 장치를 활성화-비활성화하기 위한 명령의 전송, 사용자에 의해 고정되고 사전에 설정될 수 있는 파라미터 세트에 의해 특성화되는 특별한 기능의 실행이 있다.
개별 기능을 수정하고 특성화하기 위해 선택할 수 있는 파라미터 세트는, 로딩-언로딩 장치(3)의 회전 방향, 로딩-언로딩 장치(3)의 회전 속도, 로딩-언로딩 장치(3)의 가속도 및/또는 감속도, 선택된 기능의 실행 시작 전의 시간 지연, 기능의 기간과 같은 파라미터를 포함한다.
도 7a 및 7b는 본 발명에 따른 제어 방법으로 실행될 수 있는 가능한 작업 모드 중의 2개와 관련된 속도 프로파일을 더 상세히 나타낸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7a는 캐리지(2)에 대한 로딩을 위한 기능(12)을 나타내고, 여기서 물건(O)을 로딩하기 위해 캐리지(2)의 로딩-언로딩 장치(3)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명령은 가속 단계(13)를 필요로 하고, 이때 가속도 값은 수용을 촉진하도록 되어 있고, 이어서, 안정성을 최대화하기 위해, 물건(O)을 로딩-언로딩 장치(3)의 중심 쪽으로 보내기 위해 속도 값은 일정한 값(14)으로 유지된다.
마지막으로, 물건(O)의 운동의 양을 점진적으로 줄여 미끄러짐을 방지하고 그래서 로딩-언로딩 장치(3)에서 떨어지는 위험을 없애기 위해 감속 단계(15)가 있다.
더욱이, 분류 기계(1)가 다른 속도로 작동할 수 있는 용례를 달성하도록 로딩 스테이션(9)에 대해 입력 궤적을 효율적으로 조절할 수 있기 위해 명령의 수신과 그 명령의 실제 실행 사이에 가변적인 지연을 입력할 수 있는 것이 유용하다.
한편, 도 7b에 나타나 있는, 캐리지(2)에 대한 언로딩을 위한 기능(16)의 경우에, 물건(O)을 언로딩하기 위해 캐리지(2)의 로딩-언로딩 장치(3)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명령은 가속 단계(17)를 필요로 하고, 이때 가속도 값은 물건(O)의 미끄러짐이 일어나지 않도록 되어 있고, 그래서, 반복 가능하고 중량에 독립적인 출력 궤적을 분류된 물건(O)에 주기 위해 속도는 일정한 값(18)으로 유지되며, 마지막으로, 로딩-언로딩 장치(3)는 미리 정해진 디폴트 감속 값(19)을 적용하여 정지된다.
더욱이, 이 경우에도, 분류 기계(1)가 다른 속도로 작동할 수 있는 용례를 달성하도록 언로딩 스테이션(10)에 대해 출력 궤적을 효율적으로 조절할 수 있기 위해 명령의 수신과 그 명령의 실제 실행 사이에 가변적인 지연을 입력할 수 있는 것이 유용하다.
위에서 언급된 예는 분류 기계(1)의 작동 및 본 발명에 따른 제어 방법을 더 잘 명료하게 하기 위해 실행되고 도시될 수 있는 가능한 작업 모드의 일부만 나타내고, 그래서 포괄적이고 실행될 수 있는 기능 및 이의 작동을 위한 파라미터 세트 면에서 리스트를 제한하는 것으로 생각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방법은, 캐리지(2), 특히 디지털 신호(20)를 발생시킨 인덕터(11)를 포함하는 로딩 스테이션(9) 또는 언로딩 스테이션(10)에 인접하는 캐리지(2)의 전자 유닛에 디지털 신호(20)를 자기 유도로 전송하는 것을 포함한다. 디지털 신호(20)는 캐리지(2)의 전자 유닛(4)에 수신되어, 수신된 디지털 신호(20)와 고유하게 관련된 작업 모드에 따라 로딩-언로딩 장치(3)가 활성화된다.
원하는 작업 모드의 실행에 필요한 모든 정보를 정확히 전송하기 위해, 디지털 신호(20)는 비트 스트링, 바람직하게는 24 비트의 스트링을 포함하고, 이에 의해 모든 정보가 기능 및 이 기능이 실행될 때 따라야 하는 작동 파라미터의 선택에 대해 코딩된다.
스트링을 구성하는 개별 비트의 논리 상태를 규정하기 위해, 인덕터는 논리 상태 "0"과 관련된 3 kHz 내지 8 kHz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5 kHz 및 논리 상태 "1"과 관련된 47 kHz 내지 53 kHz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50 kHz에서 자기장을 변조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전송되는 "메시지"의 24 비트는, 실제로, 영 또는 휴지(pause)에 의해 서로 분리된 유닛으로 이루어져 있다는 사실에 근거하여 5 또는 50 kHz의 24개 변조 펄스의 "트레인"으로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자기장의 주파수 변조에 의해 발생된 디지털 신호(20)는 2 ms 내지 3 ms, 바람직하게는 2.4 ms의 지속 시간(신호 타임 23이라고 함)의 직사각형 펄스(22)의 트레인으로 이루어지며, 각 펄스는 1 ms 내지 2 ms, 바람직하게는 1.5 ms의 휴지 시간(24)으로 인접 펄스로부터 분리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디지털 신호(20)의 유효성에 대한 제어가 있고, 이 제어는, 에러를 갖거나 정확하게 전송/수신되지 않은 디지털 신호(20)는 실행되지 않도록 해준다.
한 비트의 정확한 수신을 확인하기 위해, 특정한 비트에 대한 자기장의 변조는 정확한 미리 정해진 지속 기간을 가져야 하고, 예컨대 2 ms 보다 커야 한다.
동일한 방식으로, 휴지 시간(24)의 정확한 획득을 보장하기 위해, 이는 정확한 미리 정해진 지속 기간을 가져야 하고, 예컨대 1 ms 보다 커야 한다.
휴지 시간이 충분히 긴 시간 동안, 예컨대 2 ms 이상 연장되면, 이는 전송(25)의 종료를 나타내는 것으로 해석되고, 이는 디지털 신호(20)가 완성되었고 완전히 전송되었으며 그래서 그에 들어 있는 정보의 실행을 시작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전송이 완료되면, 에러를 피하기 위해 디지털 신호(20)의 무결성을 검사하여, 스트링에 포함되어 있는 비트의 수가 계획된 수(여기서 예로 주어진 경우에는 24 비트)와 일치하는 지를 확인하는 것이 또한 필요하다.
수신된 그리고 스트링에 포함되어 있는 비트의 수가 24 보다 크거나 작은 것으로 나타난 경우에 디지털 신호(20)는 무시되는 것이 분명하다.
특히 원점에서 에러가 발생되면, 즉 이미 디지털 신호(20)의 전송 중에 에러, 예컨대 부정확한 논리 값을 갖는 비트가 검출되면, 인덕터(11)는 스트링을 위에서 언급된 유효성 판단 기준과 맞지 않도록 하는 추가 비트를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유리하게는, 디지털 신호가 전자 유닛(4)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시기에 캐리지(2)에 인접하는 스테이션(9, 10)의 인덕터(11) 쪽으로 전송되도록 디지털 신호(20)의 전송 방향을 반대로 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데이타/정보를 각 스테이션(9, 10)으로부터 각 캐리지(2)에 또한 그 반대 방향으로 전송할 수 있고, 그래서 분류 기계(1)의 다용도성이 증가하고 또한 예컨대 전자 유닛(4)의 펌웨어의 업데이트와 같은 심지어 복잡한 작업을 실행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으로, 전자 유닛(4)은 디지털 신호를 변조하는 가변 주파수를 갖는 자기장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되어 있고, 각 로딩 스테이션(9)과 언로딩 스테이션(10)은 비트 스트링을 포함하는 디지털 신호(20)를 받아 분석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유리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제어 방법은 종래 기술의 위에서 언급된 문제를 극복할 수 있다.
사실, 다비트 제어 신호의 도입으로, 분류 기계(1)는 더 다용도적으로 되고 또한 다수의 상황 및 가능한 다른 용도에 적합하게 될 수 있다.
다수의 정보를 개별 캐리지에 또한 그로부터 전송할 수 있어, 다양한 기능을 실행할 수 있고, 이를 위한 일 세트의 작동 파라미터가 선택될 수 있다.
이렇게 해서, 전달될 물건(O)의 특성, 예컨대 중량 또는 크기를 변화시킬 필요가 있거나 분류 기계(1) 또는 이 분류 기계가 작동하는 시스템을 확장, 수정 또는 갱신시키기 위한 작업이 수행되어야 한다면, 기계 자체에 대한 복잡하고 비용이 많이 드는 구조적 작업이 필요 없이, 항상 최대 효율을 보장하기 위해 디지털 신호(20)의 내용을 수정하는 것으로 충분할 것이다.

Claims (15)

  1. 복수의 캐리지(2)를 포함하는 분류 기계(1)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각 캐리지(2)는, 캐리지(2)로부터의 물건(O)의 로딩-언로딩을 위해 선택적으로 활성화될 수 있는 로딩-언로딩 장치(3) 및 디지털 신호(20)를 받아 분석하도록 구성된 전자 유닛(4)을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각기 각각의 인덕터(11)를 포함하는 복수의 로딩 스테이션(9) 및 복수의 언로딩 스테이션(10)을 갖는 분류 방향(X)을 따라 상기 캐리지(2)를 이동시키는 단계;
    복수의 작업 모드에서 선택되는 작업 모드와 고유적으로 관련되어 있고 비트 스트링을 포함하는 디지털 신호(20)를 변조하는 가변 주파수를 갖는 자기장을 상기 인덕터(11)를 통해 발생시키는 단계;
    전자기 유도에 의해 상기 디지털 신호(20)를 상기 캐리지(2)의 전자 유닛(4)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전자 유닛(4)에서 디지털 신호(20)를 받고 또한 상기 전자 유닛(4)으로부터 받은 디지털 신호(20)와 고유적으로 관련된 작업 모드에 따라 상기 로딩-언로딩 장치(3)를 활성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분류 기계 제어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작업 모드의 각 작업 모드는 실행될 기능 및 파라미터 세트를 포함하는, 분류 기계 제어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실행될 기능은, 상기 캐리지(2)의 로딩, 캐리지(2)의 언로딩, 캐리지(2)에 위치하는 물건(O)의 중심 맞춤, 및 특별한 기능에서 선택되고, 상기 특별한 기능은 파라미터의 전송, 상기 캐리지(2)와 관련될 수 있는 구성 요소 및 주변 장치의 활성화-비활성화를 위한 명령의 전송, 사용자에 의해 고정되고 사전에 설정될 수 있는 파라미터 세트에 의해 특성화되는 상기 특별한 기능의 실행 중의 하나를 포함하는, 분류 기계 제어 방법.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파라미터 세트는 상기 로딩-언로딩 장치(3)의 로딩-언로딩 방향(Y)에 대한 로딩-언로딩 방향, 상기 로딩-언로딩 장치(3)의 활성화 속도, 상기 로딩-언로딩 장치(3)의 가속도 및/또는 감속도, 선택된 기능의 실행 시작 전의 시간 지연, 기능의 기간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분류 기계 제어 방법.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비트 스트링은 24 개의 비트를 포함하는, 분류 기계 제어 방법.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신호(20)의 비트의 논리 상태를 결정하기 위해 자기장의 주파수를 변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분류 기계 제어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논리 상태 "0"과 관련된 자기장의 주파수는 3 kHz 내지 8 kHz, 바람직하게는 5 kHz이고, 논리 상태 "1"과 관련된 자기장의 주파수는 47 kHz 내지 53 kHz, 바람직하게는 50 kHz인, 분류 기계 제어 방법.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신호(20)는, 2 ms 내지 3 ms, 바람직하게는 2.4 ms의 지속 시간의 직사각형 펄스(22)의 트레인으로 이루어지며, 각 펄스는 1 ms 내지 2 ms, 바람직하게는 1.5 ms의 휴지(pause) 시간으로 인접 펄스로부터 분리되어 있는, 분류 기계 제어 방법.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신호를 상기 캐리지(2)의 상기 전자 유닛(4)으로부터 복수의 로딩 스테이션(9) 또는 언로딩 스테이션(10)에 전송하기 위해 신호의 전송 방향을 반대로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분류 기계 제어 방법.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신호(20)는 주파수 변이 키잉(keying) 변조 다이어그램를 이용하여 변조되는, 분류 기계 제어 방법.
  11. 복수의 캐리지를 포함하는 분류 기계로서, 각 캐리지(2)는,
    상기 캐리지(2)로부터 물건(O)의 로딩-언로딩을 위해 선택적으로 활성화될 수 있는 로딩-언로딩 장치(3);
    비트 스트링을 포함하는 디지털 신호(20)를 받아 분석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전자 유닛(4)을 포함하고,
    상기 전자 유닛은, 복수의 작업 모드에서 선택되고 상기 비트 스트링과 고유적으로 관련된 작업 모드에 따라 상기 로딩-언로딩 장치(3)를 작동시키는, 분류 기계.
  12. 제 11 항에 있어서,
    분류 방향(X)을 따라 위치하는 복수의 로딩 스테이션(9) 및 복수의 언로딩 스테이션(10)을 포함하고, 각 스테이션(9, 10)은 상기 디지털 신호(20)를 변조하는 가변 주파수를 갖는 자기장을 발생시키도록 설계된 각각의 인덕터(11)를 포함하는, 분류 기계.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인덕터(11)는 3 kHz 내지 55 kHz의 주파수를 갖는 자기장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된, 분류 기계.
  14. 제 1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로딩-언로딩 장치(3)는 컨베이어 벨트를 포함하는, 분류 기계.
  15. 제 1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유닛(4)은, 상기 디지털 신호(20)를 변조하는 가변 주파수를 갖는 자기장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되어 있고, 각 로딩 스테이션(9) 또는 언로딩 스테이션(10)은 비트 스트링을 포함하는 디지털 신호(20)를 받아 분석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분류 기계.
KR1020180165016A 2017-12-19 2018-12-19 분류 기계 제어 방법 KR10238661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T102017000146244 2017-12-19
IT201700146244 2017-12-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4263A true KR20190074263A (ko) 2019-06-27
KR102386618B1 KR102386618B1 (ko) 2022-04-13

Family

ID=618006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5016A KR102386618B1 (ko) 2017-12-19 2018-12-19 분류 기계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11224898B2 (ko)
EP (1) EP3502019B1 (ko)
JP (1) JP6999536B2 (ko)
KR (1) KR102386618B1 (ko)
CN (1) CN110013970B (ko)
AU (1) AU2018271375B2 (ko)
BR (1) BR102018076395A2 (ko)
CA (1) CA3025365A1 (ko)
CO (1) CO2018013578A1 (ko)
MX (1) MX2018016182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956887B (zh) * 2017-05-05 2022-09-30 北京京东乾石科技有限公司 立式分拣机
EP4034308B1 (de) * 2019-09-23 2024-04-10 Polysecure GmbH Sortierverfahren
CN110419759B (zh) * 2019-09-29 2020-01-14 征图新视(江苏)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双通道大叶农作物高速分选定级装置
JP7276163B2 (ja) * 2020-01-08 2023-05-18 株式会社ダイフク 仕分け設備
JP7276164B2 (ja) * 2020-01-08 2023-05-18 株式会社ダイフク 仕分け設備
CN112499140B (zh) * 2020-11-30 2023-04-07 北京京东乾石科技有限公司 分拣小车、磁力齿条及分拣机
CN112756275B (zh) * 2020-12-30 2023-04-11 运易通科技有限公司 航空物流运输地勤分类器和使用方法
CN112758390A (zh) * 2021-01-14 2021-05-07 胡坚 一种食品包装加工生产线的称重装置
US11590849B1 (en) * 2021-08-17 2023-02-28 Amazon Technologies, Inc. Wireless powering and control of conveyors on shuttles
CN113877830B (zh) * 2021-10-13 2023-04-25 广东顺力智能物流装备股份有限公司 基于红外成像图像识别的智能物流分拣系统及分拣方法
CN114535114B (zh) * 2022-01-19 2023-11-21 湖南视比特机器人有限公司 输送线上工件随动分拣系统
FR3140783A1 (fr) * 2022-10-14 2024-04-19 Solystic Installation de tri de colis équipée d’un convoyeur d’alimentation multifonction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09922A (en) * 1982-10-26 1986-09-02 Inventio Ag Apparatus for controlling and for signal transmission in conveyor installations
EP0481341B1 (en) * 1990-10-17 1994-08-24 Francesco Canziani Method for the control of a sorting apparatus
JP3833734B2 (ja) * 1994-09-06 2006-10-18 ジーメンス・アクチェンゲゼルシャフト 小包搬送方法およびクロスベルト分類装置
JP4108972B2 (ja) * 2000-12-20 2008-06-25 サンドビック インテレクチュアル プロパティー アクティエボラーグ 仕分けユニット起動方法および仕分け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1319599B1 (it) 2000-12-20 2003-10-20 Rosaldo Fare Testa di melt-blown e procedimento ad alimentazione controllata per laproduzione di fibrille di materiale polimerico
WO2004011351A2 (en) 2002-07-26 2004-02-05 Crisplant A/S A conveyor and a method of providing a driving force to a conveyor
CN103143510B (zh) 2013-04-10 2014-07-30 民航成都物流技术有限公司 翻盘式行李高速自动分拣机
US10730078B2 (en) 2015-12-04 2020-08-04 Berkshire Grey, Inc. Systems and methods for dynamic sortation of objects
EP3502020B1 (en) * 2017-12-19 2020-06-10 Fives Intralogistics S.p.A. Con Socio Unico Sorting machin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09922A (en) * 1982-10-26 1986-09-02 Inventio Ag Apparatus for controlling and for signal transmission in conveyor installations
EP0481341B1 (en) * 1990-10-17 1994-08-24 Francesco Canziani Method for the control of a sorting apparatus
JP3833734B2 (ja) * 1994-09-06 2006-10-18 ジーメンス・アクチェンゲゼルシャフト 小包搬送方法およびクロスベルト分類装置
JP4108972B2 (ja) * 2000-12-20 2008-06-25 サンドビック インテレクチュアル プロパティー アクティエボラーグ 仕分けユニット起動方法および仕分け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102018076395A2 (pt) 2019-06-25
CO2018013578A1 (es) 2019-04-30
US20190184430A1 (en) 2019-06-20
EP3502019B1 (en) 2020-06-10
KR102386618B1 (ko) 2022-04-13
US11224898B2 (en) 2022-01-18
MX2018016182A (es) 2019-06-20
JP2019108227A (ja) 2019-07-04
CN110013970B (zh) 2022-02-01
CN110013970A (zh) 2019-07-16
CA3025365A1 (en) 2019-06-19
EP3502019A1 (en) 2019-06-26
AU2018271375A1 (en) 2019-07-04
JP6999536B2 (ja) 2022-01-18
AU2018271375B2 (en) 2023-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74263A (ko) 분류 기계 제어 방법
CN108698089B (zh) 一种自动分拣系统及自动分拣机器人
US10618742B2 (en) Autonomous conveyor system
KR101863282B1 (ko) 물품분류기용 다단 슈트장치, 그의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EP2477760B1 (en) Method for sorting wastes
KR102386619B1 (ko) 분류 기계
KR101986342B1 (ko) 픽킹로봇을 이용한 물품 분류 시스템
US20040176872A1 (en) RFID control system
ITMI20002760A1 (it) Apparecchiatura e metodo per l'attivazione ed il controllo delle unita' di smistamento in una macchina smistatrice
CN104401633A (zh) 一种托盘盘存检测控制系统及其控制方法
AU2005274250A1 (en) Sorting and distributing system and method for transmitting power and data
CN111344235A (zh) 具有无线电系统的输送设备
KR20220069802A (ko) 정보 제공 방법 및 이의 전자 장치
KR20170037357A (ko) 초고속 물품 자동분류장치용 듀얼형 캐리어 시스템
US11273467B2 (en) Article conveying equipment
CN213494996U (zh) 输送装置、分拣设备及分拣系统
JP2019172438A (ja) 仕分けシステム
JPS6164616A (ja) コンベヤに於ける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