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73998A - 보조 배터리 - Google Patents

보조 배터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73998A
KR20190073998A KR1020170175318A KR20170175318A KR20190073998A KR 20190073998 A KR20190073998 A KR 20190073998A KR 1020170175318 A KR1020170175318 A KR 1020170175318A KR 20170175318 A KR20170175318 A KR 20170175318A KR 20190073998 A KR20190073998 A KR 201900739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der
connector
battery body
battery
charging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53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91648B1 (ko
Inventor
김진욱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753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1648B1/ko
Priority to US16/215,146 priority patent/US11159026B2/en
Priority to EP18212774.6A priority patent/EP3503248B1/en
Publication of KR201900739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39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16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16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2/1022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 H01M50/102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 H01M50/103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prismatic or rectangula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6Accumulators structurally combined with charging apparatus
    • H01M2/1005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56Carrying devices, e.g. bel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5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concerning the insertion or the connection of the batter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L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BEING PORTABLE OR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ATION
    • F21L13/00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built-in electric gen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L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BEING PORTABLE OR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ATION
    • F21L4/00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2Deta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30Batteries in portable systems, e.g. mobile phone, laptop
    • H02J2007/006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Abstract

본 발명에는 충전이 편리한 보조 배터리가 개시된다. 개시된 보조 배터리는 제1방향으로 향하는 제1면과, 제1방향의 반대 방향인 제2방향으로 향하는 제2면을 가지며, 상기 제1,2면 사이의 적어도 일부분에 형성된 개구를 포함하는 배터리 몸체;충전 콘넥터 케이블이 착탈가능하게 고정된, 상기 개구에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는 홀더; 및 상기 홀더와 배터리 몸체 사이에 장착되어서, 닫힌 상태에서 상기 홀더를 배터리 몸체에 고정시키고, 상기 홀더의 제1거리 이동에 따라 홀더의 고정 상태를 해제시키는 로킹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보조 배터리{SUB BATTERY}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전자 장치의 휴대가능한 보조 배터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저는 스마트 폰과 같은 전자 장치를 충전하기 위해서 보조 배터리를 휴대하며, 특히 배터리 일체형 스마트 폰을 사용하는 유저들은 필수적으로 보조 배터리를 휴대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휴대하는 보조 배터리는 여러 타입의 배터리가 있으며, 예컨대 USB 충전 콘넥터 케이블이 배터리 몸체에 일체형으로 구성되어 사용되거나, 분리형으로 구성되어 사용될 수 있다.
하지만, USB 충전 콘넥터가 배터리 몸체에 일체형으로 구성되면, USB 충전 콘넥터 케이블의 단선 우려가 있고, 특히 보조 배터리의 낙하 시에 USB 충전 콘넥터가 손상되는 경우가 많다.
또한, USB 충전 콘넥터 케이블이 배터리 몸체에 분리형으로 구성되면, 즉, 별도 구배가능한 제품이라면, 항시 USB 충전 콘넥터 케이블을 휴대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분실 위험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충전 케이블 단선 위험을 줄인 보조 배터리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USB 충전 콘넥터 케이블이 배터리 몸체와 분리형으로 구성되지만, 홀더에 결합가능하게 구성되어서, USB 충전 콘넥터 케이블의 분실 위험이 적은 보조 배터리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USB 충전 콘넥터 케이블의 별도 구매가 가능한 보조 배터리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보조 배터리는 USB 충전 콘넥터 케이블을 스트랩으로 사용할 수 있어서, 휴대가 편리한 보조 배터리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보조 배터리는 제1방향으로 향하는 제1면과, 제1방향의 반대 방향인 제2방향으로 향하는 제2면을 가지며, 상기 제1,2면 사이의 적어도 일부분에 형성된 개구를 포함하는 배터리 몸체; 충전 콘넥터 케이블이 착탈가능하게 고정된, 상기 개구에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는 홀더; 및 상기 홀더와 배터리 몸체 사이에 장착되어서, 닫힌 상태에서 상기 홀더를 배터리 몸체에 고정시키고, 상기 홀더의 제1거리 이동에 따라 홀더의 고정 상태를 해제시키는 로킹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보조 배터리는 개구를 포함하는 배터리 몸체; 및 충전 콘넥터 케이블이 착탈가능한 지지 구조물을 가지며, 상기 개구로부터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되, 상기 배터리 몸체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제1거리 슬라이딩하여 홀더의 로킹 상태를 해제하고, 상기 배터리 몸체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제2거리 슬라이딩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충전 콘넥터가 개구를 통해 노출되게 하며, 상기 제2거리 슬라이딩 이동 후에 회전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충전 콘넥터가 배터리 몸체 외부로 인출가능한 상태가 되게 하는 홀더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보조 배터리는 USB 충전 케이블 단선 및 분실 위험을 줄일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보조 별도 구매가 가능하며, 스트랩으로 사용할 수 있어서, 휴대가 편리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보조 배터리의 홀더가 닫힌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보조 배터리의 홀더가 슬라이딩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보조 배터리의 홀더가 슬라이딩한 후 회전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보조 배터리의 홀더에 결합되는 충전 콘넥터 케이블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보조 배터리의 홀더가 슬라이딩한 후 회전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홀더의 내외부 홀더의 결합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홀더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이다.
도 6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홀더가 배터리 몸체에 결합된 상태의 내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c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 로커의 배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d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텐션부와 슬라이딩 가이드 회전축이 연동하여 이동 로커에 힘을 가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e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홀더가 슬라이딩하여 회전가능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f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텐션부와 슬라이딩 가이드 회전축의 결합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1,2충전 콘넥터가 외부 홀더에 결합된 상태의 일부를 절개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1,2충전 콘넥터가 외부 홀더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홀더가 배터리 몸체에 고정된 보조 배터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홀더가 배터리 몸체에 고정된 보조 배터리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1충전 콘넥터가 배터리 몸체에서 인출되는 과정을 단계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a)는 제1,2충전 콘넥터가 홀더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고, (b)는 제1충전 콘넥터가 배터리 몸체에서 인출된 상태를 나타내고, (c)는 제1충전 콘넥터가 배터리 몸체에서 인출되어 미도시된 전자 장치에 충전하기 이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2충전 콘넥터가 배터리 몸체에 접속되는 과정을 단계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도 11a는 제1,2충전 콘넥터가 홀더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고, 도 11b는 제2충전 콘넥터가 배터리 몸체에 접속된 상태를 나타내고, 도 11c는 제2충전 콘넥터가 배터리 몸체에 접속되고, 제1충전 콘넥터는 배터리 몸체에서 인출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홀더가 배터리 몸체에 고정된 보조 배터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홀더가 배터리 몸체로부터 분리된 보조 배터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홀더를 배터리 몸체에서 착탈하는 과정을 각각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몸체의 전면에 가압 버튼이 배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몸체의 후면에 가압 버튼이 배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개시를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개시의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 균등물(equivalent),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가진다," "가질 수 있다,""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해당 특징(예:수치, 기능, 동작, 또는 부품 등의 구성요소)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특징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A 또는/및 B 중 적어도 하나,"또는 "A 또는/및 B 중 하나 또는 그 이상" 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또는 "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는, (1) 적어도 하나의 A를 포함, (2) 적어도 하나의 B를 포함, 또는 (3) 적어도 하나의 A 및 적어도 하나의 B 모두를 포함하는 경우를 모두 지칭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사용된 "제 1,""제 2,""첫째,"또는"둘째,"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표현들은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사용자 기기와 제2사용자 기기는, 순서 또는 중요도와 무관하게, 서로 다른 사용자 기기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개시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바꾸어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 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되어 ((operatively or communicatively) coupled with/to)" 있다거나, "접속되어 (connected to)"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예: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 (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예: 제 2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예: 제 3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표현 "~하도록 구성된 (또는 설정된)(configured to)"은 상황에 따라, 예를 들면, "~에 적합한 (suitable for)," "하는 능력을 가지는 (having the capacity to)," "하도록 설계된 (designed to)," "하도록 변경된 (adapted to)," "~하도록 만들어진 (made to)," 또는 "~를 할 수 있는(capable of)"과 바꾸어 사용될 수 있다. 용어 "~하도록 구성 (또는 설정)된"은 하드웨어적으로 "특별히 설계된(specifically designed to) 것만 반드시 의미하지 않을 수 있다. 대신, 어떤 상황에서는, "~하도록 구성된 장치" 라는 표현은, 그 장치가 다른 장치 또는 부품들과 함께 "~할 수 있는"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문구 A, B, 및 C를 수행하도록 구성(또는 설정)된 프로세서"는 해당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전용 프로세서(예: 임베디드 프로세서), 또는 메모리 장치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해당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범용 프로세서(generic-purpose processor)(예: CPU 또는 application processor)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개시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문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개시의 실시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전자 장치는 스마트폰(smartphone), 태블릿 PC(tablet personal computer), 이동 전화기(mobile phone), 화상 전화기, 전자북 리더기(e-book reader), 데스크탑 PC(desktop personal computer), 랩탑 PC(laptop personal computer), 넷북 컴퓨터(netbook computer), 워크스테이션(workstation), 서버,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 플레이어, 모바일 의료기기, 카메라(camera), 또는 웨어러블 장치(wearable device)(예: 스마트 안경, 머리 착용형 장치(head-mounted-device(HMD)), 전자 의복, 전자 팔찌, 전자 목걸이, 전자 앱세서리(appcessory), 전자 문신, 스마트 미러, 또는 스마트 와치(smart watch))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들에서, 전자 장치는 스마트 가전 제품(smart home appliance)일 수 있다. 스마트 가전 제품은, 예를 들면, 텔레비전, DVD(digital video disk) 플레이어, 오디오, 냉장고, 에어컨, 청소기, 오븐, 전자레인지, 세탁기, 공기 청정기, 셋톱 박스(set-top box), 홈 오토매이션 컨트롤 패널(home automation control panel), 보안 컨트롤 패널(security control panel), TV 박스(예: 삼성 HomeSync™, 애플TVTM 또는 구글 TVTM, 게임 콘솔 (예:Xbox™, PlayStation™), 전자 사전, 전자 키, 캠코더(camcorder), 또는 전자 액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는, 각종 의료기기(예:각종 휴대용 의료측정기기 (혈당 측정기, 심박 측정기, 혈압 측정기, 또는 체온 측정기 등), MRA(magnetic resonance angiography), MRI(magnetic resonance imaging), CT(computed tomography), 촬영기, 또는 초음파기 등), 네비게이션(navigation) 장치, GPS 수신기(global positioning system receiver), EDR(event data recorder), FDR(flight data recorder), 자동차 인포테인먼트(infotainment) 장치, 선박용 전자 장비(예: 선박용 항법 장치, 자이로 콤파스 등), 항공 전자기기(avionics), 보안 기기, 차량용 헤드 유닛(head unit), 산업용 또는 가정용 로봇, 금융 기관의 ATM(automatic teller's machine), 상점의 POS(point of sales), 또는 사물 인터넷 장치 (internet of things)(예:전구, 각종 센서, 전기 또는 가스 미터기, 스프링클러 장치, 화재경보기, 온도조절기(thermostat), 가로등, 토스터(toaster), 운동기구, 온수탱크, 히터, 보일러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가구(furniture) 또는 건물/구조물의 일부, 전자 보드(electronic board), 전자 사인 수신 장치(electronic signature receiving device), 프로젝터(projector), 또는 각종 계측 기기(예:수도, 전기, 가스, 또는 전파 계측 기기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는 전술한 다양한 장치들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플렉서블 전자 장치일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기술 발전에 따른 새로운 전자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보조 배터리의 홀더가 닫힌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보조 배터리의 홀더가 슬라이딩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보조 배터리의 홀더가 슬라이딩한 후 회전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보조 배터리(100)는 스마트 폰과 같은 전자 장치의 보조 전원 공급 장치로 사용되는 휴대가능한 소형 배터리일 수 있다. 예컨대 보조 배터리(100)는 제1장치를 충전하는데 사용될 수 있고, 제2장치로부터 충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장치는 스마트 폰과 같은 전자 장치일 수 있고, 제2장치는 전원 공급 장치 또는 다른 배터리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보조 배터리(100)는 배터리 몸체(110)와, 홀더(120) 및 충전 콘넥터 케이블(130)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몸체(110)는 제1방향으로 향하는 제1면(110a)과, 제1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향하는 제2방향으로 향하는 제2면(예 ; 310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방향은 제1면(110a)의 수직 상방을 말하고, 제2방향은 제1면의 수직 하방, 즉, 제2면의 수직 상방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면(110a)은 전면일 수 있고, 제2면은 후면일 수 있다. 또한, 제1면(110a)은 상면일 수 있고, 제2면은 하면일 수 있다. 제1,2면 사이는 측면이 구비되거나, 구비되지 않을 수 있다. 제1,2면 사이의 측면은 제1,2방향과 대략적으로 수직인 제3방향으로 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몸체(110)는 홀더(120)를 수용하는데 충분한 정도의 볼륨을 가지는 개구(112)를 포함할 수 있다. 개구(112)는 배터리 몸체(110)의 제1위치, 예를 들어 상단 중앙 영역에 형성될 수 있지만, 이 위치에 한정될 필요는 없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개구(112)는 제1방향으로 개방되고, 제2방향으로 개방되며, 제3방향으로 개방된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형상의 개구(112)에서 홀더(120)가 이동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홀더(120)의 이동은 적어도 한번 이상의 슬라이딩 이동과, 회전축을 중심으로 전후 회전 이동을 포함할 수 있다. 홀더(120)는 개구(112)에서 배터리 몸체(110)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을 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홀더(120)가 개구(112)에 장착될 경우(도 1과 같은 상태), 배터리 몸체(110)와 홀더(120) 사이에 케이블 관통 개구(113; 도 1에 도시)가 존재할 수 있다. 예컨대, 케이블 관통 개구(113)는 하나의 충전 콘넥터(131)를 배터리 몸체(110)로부터 인출될 경우, 충전 콘넥터(131)의 연결 케이블(133)이 위치할 수 있는 구멍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홀더(120)는 개구(112)에서 슬라이딩 이동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홀더(120)의 슬라이딩 이동은 선형(linear)으로 배터리 몸체(11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배터리 몸체의 개구(112)에서 슬라이딩한 홀더(120)가 도 2에 도시되었다. 홀더(120)의 슬라이딩 이동 후에 회전하면, 홀더(120)에 결합된 제1,2충전 콘넥터(131,132)가 외부에 노출되어서, 배터리 몸체(110) 외부로 인출가능한 상태일 수 있다. 이러한 제1,2충전 콘넥터(131,132)의 인출 가능한 상태가 도 3에 도시되었다. 도 3와 같이 제1,2충전 콘넥터(131,132)가 인출가능한 상태가 되면, 유저는 하나의 충전 콘넥터를 홀더(120)에서 인출하여 전자 장치게 접속하고, 다른 하나의 충전 콘넥터는 배터리 몸체(110)에 접속시킴으로서, 보조 배터리를 이용하여 전자 장치를 충전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충전 콘넥터 케이블(130)의 연결 케이블(133)은 홀더(120)에서 인출된 상태여서, 보조 배터리(100)의 스트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보조 배터리의 홀더에 결합되는 충전 콘넥터 케이블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충전 콘넥터 케이블(230)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충전 콘넥터 케이블(130)과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충전 콘넥터 케이블(230)은 제1충전 콘넥터(231)와, 제2충전 콘넥터(232) 및 연결 케이블(233)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충전 콘넥터 케이블(230)은 별도 구매가 가능한 제품으로서, 자신에게 필요한 케이블 길이를 구매해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충전 콘넥터(231)는 USB-C 콘넥터를 포함할 수 있고, 제2충전 콘넥터(232)는 USB 콘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1충전 콘넥터(231)는 연결 케이블(233) 일단에 연결되고, 제2충전 콘넥터(232)는 연결 케이블(233)의 타단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 케이블(233) 길이는 30cm, 50cm 또는 1m 이상의 길이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자신의 필요에 따라서 충전 콘넥터 케이블(230)을 선택적으로 구매할 수 있다.
도 5a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보조 배터리의 홀더가 슬라이딩한 후 회전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홀더의 내외부 홀더의 결합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a, 도 5b를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보조 배터리(300)의 홀더(32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홀더(110)와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홀더(320)는 내부 홀더(322)와, 외부 홀더(321)를 포함할 수 있다. 홀더(320)는 제1,2충전 콘넥터(331,332) 및 연결 케이블(333)을 고정하는 지지 부재일 수 있다. 따라서, 홀더(320)는 제1,2충전 콘넥터(331,332) 및 연결 케이블(333)을 고정하는 사출 구조물(323)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내부 홀더(322)는 외부 홀더(321) 내에 결합될 수 있다. 내부 홀더(322)는 외부 홀더(321)에 밀착될 수 있다. 내부 홀더(322)는 제1,2충전 콘넥터(331,332)가 안착되는 제1,2안착부(3221,3222)가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제1,2충전 콘넥터(331,332)는 제1,2안착부(3221,3222)에 각각 안착되어서, 서로 대면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제1,2안착부(3221,3222)에서 각각 독립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 제1안착부(3221)는 제1충전 콘넥터(331)의 외관과 대응하는 형상의 수용 사출 구조를 구비할 수 있고, 제2안착부(3222)는 제2충전 콘넥터(332)의 외관과 대응하는 형상의 수용 사출 구조를 구비할 수 있다. 각각의 제1,2충전 콘넥터(331,332)가 제1,2안착부(3221,3222)에 각각 안착되면, 제1,2충전 콘넥터(331,332)는 홀더(320)와 같이 이동할 수 있다. 내부 홀더(322)의 일단부는 제1,2충전 콘넥터(331,332) 및 연결 케이블(333)이 인입되기 위한 개방단(opened end)일 수 있고, 타단부는 인입된 연결 케이블(333)을 인출할 수 있는 개방단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외부 홀더(321)는 내부 홀더(322)를 감싸는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고, 내부 홀더(322)와 결합되어서 일체형으로 이동할 수 있다. 예컨대, 외부 홀더(321)는 내부 홀더(322)에 일체형으로 결합되거나, 결합된 상태에서 분리될 수 있다. 외부 홀더(321)의 일단부는 내부 홀더(322)가 인입되기 위한 개방단(opened end)일 수 있고, 타단부는 인입된 연결 케이블을(333) 인출할 수 있는 개방단일 수 있다.
내부 홀더(322)와 외부 홀더(321)가 결합된 상태에서, 인출된 연결 케이블(333)을 잡아 당기면, 내부 홀더(322)와 외부 홀더(321)는 서로 더 타이트하게 밀착할 수 있고,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연결 케이블(333)은 제1,2충전 콘넥터(331,332)의 안착 구조에 의해 홀더(320)로부터 이탈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인출된 연결 케이블(333)은 보조 배터리(300)의 스트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보조 배터리(300)의 배터리 몸체(310)는 내부에 접속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접속 구조는 제1,2충전 콘넥터(331,332)가 배터리 몸체(3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한 구조로서, 제1접속부(311)와 제2접속부(3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접속부(311)는 제1충전 콘넥터(331)가 배터리 몸체(310)에 접속되기 위한 전기적 연결 콘넥터, 예컨대 접속 단자 또는 접속 콘넥터일 수 있고, 제2접속부(312)는 제2충전 콘넥터(332)가 배터리 몸체(310)에 접속되기 위한 전기적 연결 콘넥터, 예컨대 접속 단자 또는 접속 콘넥터일 수 있다.
도 6a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홀더가 배터리 몸체에 결합된 상태의 내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 로커의 배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c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텐션부와 슬라이딩 가이드 회전축이 연동하여 이동 로커에 힘을 가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d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홀더가 슬라이딩하여 회전가능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e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텐션부와 슬라이딩 가이드 회전축의 결합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a 내지 도 6e를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보조 배터리(400)의 홀더(42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홀더(120)와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홀더(420)는 배터리 몸체에 닫힌 상태인 경우(도 1과 같은 상태의 홀더120), 홀더(420)는 배터리 몸체에서 이탈되지 않게 하는 로킹 구조가 필요하고, 외부 홀더(421)를 제1거리만큼 이동시켜서 상기 로킹 구조를 해제한 후에 내부 홀더(422)와 외부 홀더(421)가 같이 슬라이딩 이동한 후에 회전할 수 있어야 한다. 즉, 보조 배터리는 홀더를 배터리 몸체에 고정시키는 로킹 구조와, 이러한 홀더의 로킹 상태를 해제할 수 있는 구조할 필요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홀더(420)는 배터리 몸체에 고정시키는 제1로킹 장치와, 홀더(420)의 로킹 해제 후, 내부 홀더(422)와 외부 홀더(422)를 로킹시키는 제2로킹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보조 배터리(400)는 외부 홀더(421)를 제1거리만큼 이동시켜서 홀더(420)의 로킹 상태를 해제하고, 제2거리만큼 홀더(420)를 이동시킨 후 제1충전 콘넥터(431)와 제2충전 콘넥터(432)를 개구를 통해 노출시키고, 이어서 홀더를 회전시켜서, 제1충전 콘넥터(431)나 제2충전 콘넥터(432)를 배터리 몸체 외부로 인출할 있고, 제1충전 콘넥터(431)나 제2충전 콘넥터(432)를 배터리 몸체의 제1접속부(예 ; 도 5a의 제1접속부)나 제2접속부(예 ; 도 5a의 제2접속부)에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홀더(420)는 배터리 몸체의 개구에서 슬라이딩 후에 회전하기 위한 슬라이딩 가이드 회전 샤프트(4222)(이하 샤프트라 지칭하기로 한다)를 포함할 수 있다. 샤프트(4222)는 홀더(420)의 슬라이딩 이동 시에 가이드 역할을 수행하고, 슬라이딩 이동 후에 회전축(rotational axis)을 제공하는 힌지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로킹 장치는 닫힌 상태에서 홀더(420)가 배터리 몸체에서 이탈되지 않게 하는 고정 장치이고, 홀더의 제1거리 슬라이딩에 따라서 홀더의 고정 상태를 해제할 수 있는 장치일 수 있다. 로킹 장치는 배터리 몸체와 홀더 사이에 배치되되, 이동가능한 로커(424)를 구비하여서, 이동 로커(424)의 이동여부에 따라서 홀더(420)의 로킹 상태 또는 로킹 해제상태가 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로킹 장치는 로커(424)와 텐션부(4210,4212) 및 슬라이딩 가이드 회전 샤프트(4222)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로커(424)는 배터리 몸체(410)와 외부 홀더(421)를 일몸체로 결합시키는 기능을 담당하고, 텐션부(4210,4212)는 로커(424)가 외부 홀더(421)로 이동하는 힘을 제공하는 기능을 담당할 수 있다. 이런 힘은 후술하는 슬라이딩 가이드 회전 샤프트가 테션부와 연동하여서 발생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로킹 장치는 배터리 몸체(410)에 형성되어, 로커(424)가 제1방향이나 제2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가이드하는 이동 개구(4221)와, 상기 외부 홀더(421)에 형성되어, 상기 로커(424)의 적어도 일부가 결합되는 로킹 홈(4211)과, 상기 외부 홀더(421)에 형성되어서, 상기 로커(424)를 로킹 홈(4211)에 결합시키는 힘을 제공하는 텐션부(4210)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로커(424)는 텐션부(4210)에 의해 로킹 홈(4211)으로 이동하도록 힘을 받지만, 텐션부(4210)의 힘이 제공되지 않을 경우, 로커(424)는 자중에 의해 제2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예컨대, 로커(424)의 외주면에 걸림 돌기(4240)가 형성되어서, 제한적인 이동을 할 수 있다. 로커(424)의 상단부는 로킹 홈(4211)에 삽입될 수 있는 부분일 수 있고, 로커(424)의 하단부는 텐션부(4210)와 접해서, 텐션부(4210)와 연동할 수 있는 부분일 수 있다. 예컨대, 로커(424)는 금속 재질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단부는 곡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로킹 장치는 상기 샤프트(4222)와, 한 쌍의 텐션부(4210,4212)를 포함할 수 있다. 텐션부는 외부 홀더(421) 양측면에 각각 배치되고, 각각의 텐션부는 제1,2텐션 돌기(4210,4212)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1,2텐션 돌기(4210,4212)는 서로 마주보게 외부 홀더(421)에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배터리 몸체(410)쪽으로 각각 돌출된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텐션 돌기(4210)는 단부에 샤프트(4222)와 결합되기 위한 제1결합부(4214)가 형성될 수 있고, 제2텐션 돌기(4212)는 단부에 샤프트(4222)와 결합되기 위한 제2결합부(4216)가 형성될 수 있다. 제1결합부(4214)은 대략적으로 단면이 반원형으로 구성되고, 제2결합 부(4216)는 대략적으로 단면에 반원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2텐션 돌기(4210,4212)는 샤프트(4222)와의 연동에 의해서,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고, 이러한 상태가 상기 로커(424)를 로킹 홈(4211)으로 이동시키는 힘으로 전환될 수 있다. 반면 제1,2텐션 돌기(4210,4212)는 샤프트(4222)의 이동에 의해 서로 가까워지려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고, 이러한 이동 후 상기 샤프트(4222)를 감싸는 형상으로 잡아줄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외부 홀더(421)를 내부 홀더(422)에서 제2거리만큼 이동시키면, 제1,2텐션 돌기(4210,4212)는 보유한 탄성력에 의해서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서, 샤프트(4222)와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샤프트(4222)와 제1,2텐션 돌기(4210,4212)의 결합 상태(도 6e)를 내외부 홀더(421,422)의 로킹 상태로 지칭할 수 있다. 제1,2결합부(4214,4216)는 같이 샤프트(4222)의 외주면을 감싸는 형상으로 잡아줌으로서, 텐션부는 샤프트와 홀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런 홀딩 상태에서, 내부 홀더(422)와 외부 홀더(421)는 일체형으로 슬라이딩 이동 후에 같이 회전 운동을 할 수 있는 상태가 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홀더(420)는 배터리 몸체(41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제1거리 슬라이딩하여 홀더(420)의 로킹 상태를 해제하고, 상기 배터리 몸체(410)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제2거리 슬라이딩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충전 콘넥터가 개구를 통해 노출되게 하며, 상기 제2거리 슬라이딩 이동 후에 회전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충전 콘넥터가 배터리 몸체(710) 외부로 인출가능한 상태가 되게 할 수 있다.
도 7a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1,2충전 콘넥터가 외부 홀더에 결합된 상태의 일부를 절개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1,2충전 콘넥터가 외부 홀더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a, 도 7b를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보조 배터리의 홀더(52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보조 배터리의 홀더(120)와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홀더(520)는 제1,2충전 콘넥터(531,532)를 외부 홀더(521)에 고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합 구조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예컨대, 제1충전 콘넥터(531)와 외부 홀더(521) 사이에는 제1결합 구조가 더 구비되고, 상기 제2 충전 콘넥터(532)와 외부 홀더(521) 사이에는 제2결합 구조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1결합 구조는 제1충전 콘넥터(531)에 구비된 제1결합 홈(5312a)과, 외부 홀더(521)의 제1부분에 형성되되, 상기 제1결합 홈(531a)에 삽입되어 상기 제1충전 콘넥터(531)를 외부 홀더(521)에 고정시키는 제1결합 돌기(521a)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2결합 구조는 제2충전 콘넥터(532)에 구비된 제2결합 홈(532a)과, 외부 홀더(521)의 제2부분에 형성되되, 상기 제2결합 홈(532a)에 삽입되어 상기 제2충전 콘넥터(532)를 외부 홀더(521)에 고정시키는 제2결합 돌기(521b)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제1,2결합 홈(531a,532a)은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각각 리세스되고, 상기 각각의 제1,2결합 돌기(521a,521b)는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각각 돌출될 수 있다.
홀더(520)에서 제1충전 콘넥터(521)나 제2충전 콘넥터(522)를 분리하려면, 먼저 홀더(520)를 잡고, 시계 방향이나 시계 반대방향으로 약간 회전하면, 제1,2충전 콘넥터(531,532) 중 하나의 충전 콘넥터의 결합 돌기는 결합 홈으로부터 이탈되는 방향으로 힘을 받게 되어서, 하나의 충전 콘넥터를 홀더(520)에서 빼낼 수 있다. 한편, 반대편의 충전 콘넥터는 결합 돌기에서 결합 홈이 더욱 결합되는 방향으로 힘을 받게 되어서, 홀더(520)에 고정된 상태일 수 있다. 이어서, 결합 홈에 결합 돌기가 이탈된 충전 콘넥터를 홀더(520)에서 용이하게 빼낼 수 있다. 반대편의 충전 콘넥터는 결합 돌기가 결합 홈에 견고하게 결합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홀더가 배터리 몸체에 고정된 보조 배터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홀더가 배터리 몸체에 고정된 보조 배터리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 도 9를 참조하면, 다양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조 배터리(600)는 배터리 몸체(610)와, 홀더(620) 및 충전 콘넥터 케이블(63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보조 배터리(100)는 홀더(120)가 배터리 몸체(110)에서 슬라이딩 및 회전 이동을 하는 구성이지만, 도 8에 도시된 보조 배터리(600)는 홀더(620)가 배터리 몸체(610)에 고정되는 타입으로 구성될 수 있다. 충전 콘넥터 케이블(630)은 도 4에 도시된 충전 콘넥터 케이블(430)과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몸체(610)는 홀더(620)에 장착된 제1,2충전 콘넥터(631,632)가 배터리 몸체(6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한 제1,2접속부(611,6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접속부(611)는 제1충전 콘넥터(631)가 배터리 몸체(610)에 접속되기 위한 전기적 연결 콘넥터이고, 제2접속부(612)는 제2충전 콘넥터(632)가 배터리 몸체(610)에 접속되기 위한 전기적 연결 콘넥터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몸체(610)는 제1방향으로 개방된 제1개구(613)를 가지는 제1면(610a)과, 제1방향의 반대 방향인 제2방향으로 개방된 제2개구(614)를 가지는 제2면(610b)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2개구(613,614)는 서로 대면할 수 있다. 제1개구(613)는 제1충전 콘넥터(631)를 배터리 몸체(610)에서 인출하기 위한 구멍일 수 있고, 제2개구(614)는 제2충전 콘넥터(632)를 배터리 몸체(610)에서 인출하기 위해 필요한 구멍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홀더(620)는 배터리 몸체(610)에 착탈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고, 충전 콘넥터 케이블(630)이 지지되는 구조체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홀더(620)는 제1,2충전 콘넥터(631,632)가 착탈가능하게 지지 구조물에 고정될 수 있고, 충전 콘넥터 케이블(630)은 홀더의 인출용 개구에서 인출되어서, 보조 배터리(600)의 스트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보조 배터리(600)는 제1개구(613)를 통해서 제1충전 콘넥터(631)를 제1접속부(611)에 접속할 수 있고, 제2개구(614)를 통해서 제2충전 콘넥터(632)를 제2접속부(612)에 접속할 수 있다. 한편, 배터리 몸체)610)를 잡고, 홀더(610)에서 인출된 연결 케이블(633)을 잡아 당기면, 각각 접속된 상태의 제1,2충전 콘넥터(631,632)는 제1,2접속부(611,612)에서 분리되어, 홀더(610)의 지지 구조물에 안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보조 배터리(600)는 제1개구(613)를 통해 제1충전 콘넥터(631)를 배터리 몸체(610)에서 인출한 후 제1장치, 예컨대 전자 장치에 접속하고, 제2충전 콘넥터(631)는 제2접속부(612)에 접속시킴으로서, 전자 장치를 충전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보조 배터리(600)는 제2개구(614)를 통해 제2충전 콘넥터(632)를 배터리 몸체(610)에서 인출한 후 제2장치, 예컨대 전원부에 접속하고, 제1충전 콘넥터(631)는 제1접속부(611)에 접속시킴으로서, 보조 배터리(600)를 전원부로부터 충전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1충전 콘넥터가 배터리 몸체에서 인출되는 과정을 단계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a)는 제1,2충전 콘넥터가 홀더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고, (b)는 제1충전 콘넥터가 배터리 몸체에서 인출된 상태를 나타내고, (c)는 제1충전 콘넥터가 배터리 몸체에서 인출되어 미도시된 전자 장치에 충전하기 이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a 내지 도 11c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2충전 콘넥터가 배터리 몸체에 접속되는 과정을 단계적으로 각각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도 11a는 제1,2충전 콘넥터가 홀더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고, 도 11b는 제2충전 콘넥터가 배터리 몸체에 접속된 상태를 나타내고, 도 11c는 제2충전 콘넥터가 배터리 몸체에 접속되고, 제1충전 콘넥터는 배터리 몸체에서 인출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 내지 도 11c를 참조하면, 배터리 몸체(610)에서 제1충전 콘넥터(631)를 인출하고, 제2충전 콘넥터(632)를 배터리 몸체(610)에 접속시키는 일예가 도시되었다. 제1충전 콘넥터(631)는 제1개구(613)를 통해 배터리 몸체(610) 외부로 인출한 후에 전자 장치에 접속할 수 있고, 제2충전 콘넥터(632)는 제2접속부에 접속시킴으로서, 전자 장치를 충전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홀더가 배터리 몸체에 고정된 보조 배터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홀더가 배터리 몸체로부터 분리된 보조 배터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 도 13을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보조 배터리(70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보조 배터리(100)의 홀더(120)가 배터리 몸체(110)에서 슬라이딩 및 회전 이동을 하는 구성이지만, 도 12, 도 13에 도시된 보조 배터리(700)는 배터리 몸체(710)에서 착탈되는 타입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충전 콘넥터 케이블(7400은 도 4에 도시된 충전 콘넥터 케이블(430)과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홀더(720)는 배터리 몸체(710)에 착탈 구조에 의해 일몸체로 결합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 홀더(720)를 배터리 몸체(710)에서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 후에 배터리 몸체(710)에서 분리할 수 있고, 홀더(720)를 배터리 몸체(710)에서 시계 반대방향으로 약간 회전 시키면, 홀더(720)는 배터리 몸체(710)에 고정된 상태일 수 있다. 이러한 홀더(720)의 착탈 동작은 도 14에 도시되었다.
예컨대 착탈 구조는 로킹 돌기(723,724)와, 로킹 홈(713,714)을 구성될 수 있다. 로킹 돌기(723,724)는 홀더(720)의 홀딩 몸체(722)에 한 쌍으로 형성되고, 로킹 홈(713,714)은 배터리 몸체(710)의 상단면(710a)에 한 쌍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로킹 돌기(723,724)가 한 쌍의 로킹 홈(713,714)에서 각각 제한적인 회전이동을 하여, 홀더(720)를 배터리 몸체(710)에 로킹시키거나, 로킹 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몸체(710)는 홀더(720)에 장착된 제1,2충전 콘넥터(731,732)가 배터리 몸체(7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한 제1,2접속부(711,7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접속부(711)는 제1충전 콘넥터(731)가 배터리 몸체(710)에 접속되기 위한 전기적 연결 콘넥터이고, 제2접속부(712)는 제2충전 콘넥터(732)가 배터리 몸체(710)에 접속되기 위한 전기적 연결 콘넥터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홀더(720)는 배터리 몸체(710)에 착탈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고, 충전 콘넥터 케이블(730)이 지지되는 구조체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홀더(720)는 제1,2충전 콘넥터(731,732)가 착탈가능하게 홀딩 몸체(710)에 고정되는 구조일 수 있고, 충전 콘넥터 케이블(730)은 홀더(720)의 인출용 개구에서 인출되어서, 보조 배터리(700)의 스트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보조 배터리(700)는 배터리 몸체의 개구를 통해서 제1충전 콘넥터(731)를 제1접속부(711)에 접속할 수 있고, 배터리 몸체(710)의 개구를 통해서 제2충전 콘넥터(732)를 제2접속부(712)에 접속할 수 있다. 한편, 배터리 몸체(710)를 잡고, 홀더(720)에서 인출된 연결 케이블(733)을 잡아 당기면, 각각 접속된 상태의 제1,2충전 콘넥터(731,732)는 제1,2접속부(711,712)에서 분리되어, 홀더(720)의 지지 구조물에 안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보조 배터리(700)는 개구를 통해 홀더(720)를 분리한 후, 제1충전 콘넥터(731)를 홀더(720)에서 인출한 후 제1장치, 예컨대 전자 장치에 접속하고, 제2충전 콘넥터(732)는 홀더(720)에서 인출한 후 제2접속부(712)에 접속시킴으로서, 전자 장치를 충전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보조 배터리(700)는 개구를 통해 제2충전 콘넥터(732)를 홀더(720)에서 인출한 후 제2장치, 예컨대 전원부(미도시)에 접속하고, 제1충전 콘넥터(731)는 홀더(720)에서 인출한 후 제1접속부(712)에 접속시킴으로서, 보조 배터리(700)를 전원부로부터 충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보조 배터리는 USB-C 콘넥터 및 USB 콘넥터의 연결 상황에 따라서 충전부의 회로를 관리할 수 있다. 즉, 보조 배터리는 USB-C 콘넥터 및 USB 콘넥터의 3가지 연결 상황을 가질 수 있다.
첫번째 상태로서, 보조 배터리의 휴대 시나 보관 시에 USB-C 콘넥터 및 USB 콘넥터는 비 사용시로서, 닫힌 상태일 수 있다. 이런 경우, 내장 배터리에서 연결 단자로 전류가 흐르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두번째 상태로서, 전자 장치를 충전하는 상태로서, USB-C 콘넥터가 열리고, USB 콘넥터가 닫힌 상태일 수 있다. 이런 경우, 출력 단자의 전압을 체크하여 전자 장치를 확인한 후 적절한 전압에 맞게 충전을 시작한다. 단, USB 단자로 전류가 흐르지 않도록 차단한다.
세번째 상태로서, 보조 배터리를 충전하는 상황으로서, USB-C 콘넥터가 닫히고, USB 콘넥터가 열린 상태일 수 있다. 이런 경우, 보조 배터리와 연결된 충전기의 전압을 체크하여 충전을 시작한다.
이러한 3가지 콘넥터의 연결 상황을 관리함으로써, 케이블을 통해 소모되어 버리는 전류를 차단하여 배터리의 충전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몸체의 전면에 가입 버튼이 배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보조 배터리(800)는 배터리 몸체(810)의 전면(810a)에 제1가압 버튼(840)이 구비되어서, 제1충전 콘넥터(예 ; 도 5a의 331, 도 6a의 431)를 배터리 몸체(810)에서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예컨대, 제1가압 버튼(840)을 누르면, 제1가압 돌기(840)의 압력에 의해 제1충전 콘넥터는 압력을 받아서 제2충전 콘넥터(예 ; 도 5a의 332, 도 6a의 432)쪽으로 약간 이동하게 되고, 제1충전 콘넥터는 분리가능한 상태가 될 수 있다. 반대로, 제1가압 버튼(840)의 누름에 따라서, 제2충전 콘넥터는 외부 홀더와 더욱 강하게 결합되는 상태가 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는 제1충전 콘넥터와 스트랩(833)을 당겨서, 홀더(820)를 이동시킨 후에 제1충전 콘넥터를 배터리 몸체(810)에서 분리할 수 있다. 예컨대, 제1가압 버튼(840)은 홀더(820)의 로킹 상태를 해제하는 기능을 담당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몸체의 후면에 가입 버튼이 배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보조 배터리(800)는 배터리 몸체(810)의 후면(810a)에 제2가압 버튼(842)이 구비되어서, 제2충전 콘넥터(예 ; 도 5a의 332, 도 6a의 432)를 배터리 몸체(810)에서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예컨대, 제2가압 버튼(842)을 누르면, 제2가압 버튼의 압력에 의해 제2충전 콘넥터는 압력을 받아서 제1충전 콘넥터(예 ; 도 5a의 331, 도 6a의 431)쪽으로 약간 이동하게 되고, 제2충전 콘넥터와 홀더(820)는 분리가능한 상태가 될 수 있다. 반대로, 제2가압 버튼(842)의 누름에 따라서, 제1충전 콘넥터는 홀더(820)와 더욱 강하게 결합되는 상태가 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는 제2충전 콘넥터와 스트랩(833)을 당겨서, 제2충전 콘넥터를 배터리 몸체(810)에서 분리할 수 있다. 예컨대, 제2가압 버튼(842)은 홀더(820)의 로킹 상태를 해제하는 기능을 담당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은 예를 들면,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 (firmware)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하는 단위 (unit)를 의미할 수 있다. "모듈"은, 예를 들면, 유닛 (unit), 로직 (logic), 논리 블록 (logical block), 부품 (component), 또는 회로 (circuit) 등의 용어와 바꾸어 사용 (interchangeably use)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의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모듈"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도 있다. 은 기계적으로 또는 전자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모듈"은, 알려졌거나 앞으로 개발될, 어떤 동작들을 수행하는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칩, FPGAs(field-programmable gate arrays) 또는 프로그램 가능 논리 장치(programmable-logic devic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본 개시에 따른 장치(예: 모듈들 또는 그 기능들) 또는 방법(예: 동작들)의 적어도 일부는, 예컨대, 프로그래밍 모듈의 형태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computer-readable storage media)에 저장된 명령어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명령어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예: 상기 프로세서 210)에 의해 실행될 경우,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가 상기 명령어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는, 예를 들면, 상기 메모리 220가 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래밍 모듈의 적어도 일부는, 예를 들면, 프로세서에 의해 구현(implement)(예:실행)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래밍 모듈의 적어도 일부는 하나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예를 들면, 모듈, 프로그램, 루틴, 명령어 세트(sets of instructions) 또는 프로세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는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마그네틱 매체(Magnetic Media)와, CD-ROM(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DVD(Digital Versatile Disc)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와,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와, 그리고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예: 프로그래밍 모듈)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프로그램 명령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개시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다.
본 개시에 따른 모듈 또는 프로그래밍 모듈은 전술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거나, 일부가 생략되거나, 또는 추가적인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모듈, 프로그래밍 모듈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 병렬적, 반복적 또는 휴리스틱(heuristic)한 방법으로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동작은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동작이 추가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본 개시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개시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개시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개시의 범위는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개시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21)

  1. 보조 배터리에 있어서,
    제1방향으로 향하는 제1면과, 제1방향의 반대 방향인 제2방향으로 향하는 제2면을 가지며, 상기 제1,2면 사이의 적어도 일부분에 형성된 개구를 포함하는 배터리 몸체;
    충전 콘넥터 케이블이 착탈가능하게 고정된, 상기 개구에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는 홀더; 및
    상기 홀더와 배터리 몸체 사이에 장착되어서, 닫힌 상태에서 상기 홀더를 배터리 몸체에 고정시키고, 상기 홀더의 제1거리 이동에 따라 홀더의 고정 상태를 해제시키는 로킹 장치를 포함하는 보조 배터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내부 홀더; 및
    상기 내부 홀더를 감싸되, 상기 내부 홀더에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배터리 몸체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제1거리의 슬라이딩 이동하는 외부 홀더를 포함하는 보조 배터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 장치는
    상기 배터리 몸체에 배치되어, 상기 닫힌 상태에서 상기 외부 홀더로 이동하여 상기 외부 홀더를 배터리 몸체에 결합시키는 이동 로커;
    상기 외부 홀더에 구비되어, 상기 이동 로커를 외부 홀더쪽으로 밀어서, 상기 배터리 몸체와 외부 홀더를 결합되게 하는 힘을 제공하는 텐션부; 및
    상기 내부 홀더에 형성되며, 상기 텐션부와 연동되어 상기 텐션부를 이동 로커쪽으로 가압하거나, 상기 외부 홀더의 제1거리의 슬라이딩 이동에 따라서 텐션부로부터 분리되어 텐션부를 복귀시키는 슬라이딩 가이드 회전 샤프트를 포함하는 보조 배터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홀더는 상기 이동 로커의 일부가 결합되는 고정 홈을 구비하는 보조 배터리.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텐션부는
    상기 외부 홀더의 양측면에 각각 형성되고,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제1,2텐션 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1,2텐션 돌기는 외부 홀더의 제1거리의 슬라이딩 이동 후에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 회전 샤프트의 일부와 결합되는 보조 배터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제1,2텐션 돌기는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 회전 샤프트의 외주면을 잡아주는 제1,2결합부를 각각 구비하는 보조 배터리.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홀더는 상기 내부 홀더에서 배터리 몸체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제1거리 슬라이딩하여 홀더의 로킹 상태를 해제하고,
    상기 배터리 몸체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제2거리 슬라이딩 이동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충전 콘넥터가 개구를 통해 노출되게 하며,
    상기 제2거리 슬라이딩 이동 후에 회전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충전 콘넥터가 배터리 몸체 외부로 인출가능한 상태가 되게 하는 보조 배터리.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콘넥터 케이블은
    일단에 구비되되, 내부 홀더에 결합되는 제1충전 콘넥터;
    타단에 구비되되, 내부 홀더에 결합되며, 제1충전 콘넥터와 마주보게 배치되는 제2충전 콘넥터; 및
    상기 내부 홀더에서 외부로 인출가능하되, 상기 제1,2충전 콘넥터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 케이블을 포함하는 보조 배터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충전 콘넥터는 USB-C 콘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2충전 콘넥터는 USB 콘넥터를 포함하는 보조 배터리.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가 상기 개구에 닫힌 상태에서, 상기 연결 케이블이 외부로 인출되기 위하여 관통하는 케이블 관통 개구가 존재하는 보조 배터리.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몸체에서 인출된 제1충전 콘넥터는 제1장치에 접속하고, 인출안된 제2충전 콘넥터는 배터리 몸체에 접속되어서, 상기 제1장치를 충전하거나,
    상기 배터리 몸체에서 인출된 제2충전 콘넥터는 제2장치에 접속하고, 인출안된 제1콘넥터는 배터리 몸체에 접속되어서 상기 배터리 몸체를 충전하는 보조 배터리.
  12.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충전 콘넥터와 외부 홀더 사이에는 제1결합 구조가 더 구비되고, 상기 제2충전 콘넥터와 외부 홀더 사이에는 제2결합 구조가 더 구비되는 보조 배터리.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 구조는
    상기 제1충전 콘넥터에 구비된 제1결합 홈; 및
    상기 외부 홀더의 제1부분에 형성되되, 상기 제1결합 홈에 삽입되어 상기 제1콘넥터를 외부 홀더에 고정시키는 제1결합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2결합 구조는
    상기 제2충전 콘넥터에 구비된 제2결합 홈; 및
    상기 외부 홀더의 제2부분에 형성되되, 상기 제2결합 홈에 삽입되어 상기 제2콘넥터를 외부 홀더에 고정시키는 제2결합 돌기를 포함하는 보조 배터리.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제1,2결합 홈은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각각 리세스되고, 상기 각각의 제1,2결합 돌기는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각각 돌출되는 보조 배터리.
  1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홀더는 상기 제1충전 콘넥터와 제2충전 콘넥터가 서로 대면한 상태로 배치되게 하고, 각각 착탈가능하게 지지하며, 상기 연결 케이블을 홀더 외부로 인출하는 개구를 가지는 보조 배터리.
  16.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에서 인출된 연결 케이블의 일부는 배터리 몸체의 스트랩으로 활용되는 보조 배터리.
  17. 보조 배터리에 있어서,
    개구를 포함하는 배터리 몸체; 및
    충전 콘넥터 케이블이 착탈가능한 지지 구조물을 가지며, 상기 개구로부터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되, 상기 배터리 몸체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제1거리 슬라이딩하여 홀더의 로킹 상태를 해제하고, 상기 배터리 몸체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제2거리 슬라이딩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충전 콘넥터가 개구를 통해 노출되게 하며, 상기 제2거리 슬라이딩 이동 후에 회전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충전 콘넥터가 배터리 몸체 외부로 인출가능한 상태가 되게 하는 홀더를 포함하는 보조 배터리.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내부 홀더; 및
    상기 내부 홀더에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배터리 몸체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제1거리 슬라이딩하여 홀더의 로킹 상태를 해제하는 외부 홀더를 포함하는 보조 배터리.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몸체에 홀더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개구의 일부가 존재하여, 상기 개구의 일부를 통해서 충전 콘넥터 케이블의 케이블이 배터리 몸체 외부로 인출될 수 있는 보조 배터리.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콘넥터 케이블은
    상기 홀더에서 외부로 인출되어 보조 배터리의 스트랩으로 활용되는 연결 케이블;
    상기 연결 케이블 일단에 구비되되, 상기 홀더에서 착탈되는 USB-C 콘넥터; 및
    상기 연결 케이블 타단에 구비되되, 상기 홀더에서 착탈되는 USB 콘넥터를 포함하는 보조 배터리.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몸체에서 인출된 USB-C 콘넥터는 제1장치에 접속하고, 인출안된 USB 콘넥터는 배터리 몸체에 접속하여, 상기 제1장치를 충전하거나,
    상기 배터리 몸체에서 인출된 USB 콘넥터는 제2장치에 접속하고, 인출안된 USB-C 콘넥터는 배터리 몸체에 접속하여 상기 배터리 몸체를 충전하는 보조 배터리.
KR1020170175318A 2017-12-19 2017-12-19 보조 배터리 KR1024916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5318A KR102491648B1 (ko) 2017-12-19 2017-12-19 보조 배터리
US16/215,146 US11159026B2 (en) 2017-12-19 2018-12-10 Sub battery
EP18212774.6A EP3503248B1 (en) 2017-12-19 2018-12-14 Batter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5318A KR102491648B1 (ko) 2017-12-19 2017-12-19 보조 배터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3998A true KR20190073998A (ko) 2019-06-27
KR102491648B1 KR102491648B1 (ko) 2023-01-26

Family

ID=646657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5318A KR102491648B1 (ko) 2017-12-19 2017-12-19 보조 배터리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159026B2 (ko)
EP (1) EP3503248B1 (ko)
KR (1) KR10249164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89856B2 (en) 2015-11-19 2023-06-27 The Lovesac Company Electronic furniture systems with integrated induction charger
US11832039B2 (en) 2021-04-12 2023-11-28 The Lovesac Company Tuning calibration technology for systems and methods for acoustically correcting sound loss through fabric
US10212519B2 (en) 2015-11-19 2019-02-19 The Lovesac Company Electronic furniture systems with integrated internal speakers
USD991236S1 (en) * 2021-02-03 2023-07-04 Ambit Microsystems (Shanghai) Ltd. USB modem
US11647840B2 (en) 2021-06-16 2023-05-16 The Lovesac Company Furniture console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043826A1 (en) * 2010-02-26 2013-02-21 Goal Zero Llc Modular and portable battery pack power system
KR20160026557A (ko) * 2014-09-01 2016-03-09 삼성전자주식회사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70511A (en) 1972-04-25 1973-11-06 Gen Motors Corp Storage battery having integral cables extending the battery{40 s terminals
US10753598B2 (en) * 2010-11-19 2020-08-25 Tseng-Lu Chien Light device has charging functions
JP4962555B2 (ja) * 2009-12-15 2012-06-2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充電ケーブル収容装置および車両
US11746047B2 (en) * 2010-11-19 2023-09-05 Aaron Chien Wired and detachable charging-unit of electric product
DE102011082092B4 (de) * 2011-09-02 2023-11-09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Vorrichtung zur automatisierten Herstellung und Trennung einer Ladeverbindung bei einem Plug-in-Fahrzeug sowi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Ladeverbindung
JP5877108B2 (ja) * 2011-11-09 2016-03-02 中央発條株式会社 ケーブル収容装置
JP6418022B2 (ja) * 2015-03-19 2018-11-07 住友電装株式会社 電気接続箱
JP2016182200A (ja) 2015-03-25 2016-10-20 英樹 恩田 通信ケーブル収納用ストラップ
US9852098B2 (en) 2016-02-26 2017-12-26 Essential Products, Inc. Systems and techniques for intelligently switching between multiple sources of universal serial bus signals
CN206478480U (zh) 2017-01-19 2017-09-08 深圳市阿尔金贸易有限公司 一种usb手绳便携手电筒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043826A1 (en) * 2010-02-26 2013-02-21 Goal Zero Llc Modular and portable battery pack power system
KR20160026557A (ko) * 2014-09-01 2016-03-09 삼성전자주식회사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503248B1 (en) 2024-03-06
EP3503248A1 (en) 2019-06-26
KR102491648B1 (ko) 2023-01-26
US20190190292A1 (en) 2019-06-20
US11159026B2 (en) 2021-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73998A (ko) 보조 배터리
US10530913B2 (en) Flexible electronic device
US9721125B2 (en) Electronic device enclosure
JP5650159B2 (ja) ロックメカニズム付きコネクタ
KR20240023570A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전자 장치
CN107666040B (zh) 头戴式设备
US10203728B2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coupling structure
KR20140142639A (ko) 전자 기기의 보조 배터리 장치
KR20180073270A (ko) 전력 관리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102350063B1 (ko) 신체 착용형 전자 장치
KR20150142388A (ko) 액세서리 장치
KR200474200Y1 (ko) 휴대 전자기기용 거치장치
US20160357250A1 (en) Wearable device having control panel
KR102570003B1 (ko) 휴대용 키 조작 장치
KR102483702B1 (ko) 멀티 수용부를 갖는 커넥터 장치
US20150126250A1 (en) Electronic device having socket device
CN109582085A (zh) 可携式电子装置
TW201242363A (en) Projector with docking system for handheld electronic devices
KR20190078958A (ko) 이축 힌지 장치를 구비한 컨버터블 타입 전자 장치
KR102090756B1 (ko) 웨어러블 기기용 무선충전장치
KR102371856B1 (ko) 기구물과 결합된 분리 가능한 커넥터 구조
US8782869B2 (en) Unlocking tool for male connector
US10133308B2 (en) Method and system for smart media hub
CN207801514U (zh) 一种具有手机支架功能的充电宝
JP3169098U (ja) ドッキングステーショ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