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72961A - V2x 통신 제어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V2x 통신 제어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72961A
KR20190072961A KR1020170174151A KR20170174151A KR20190072961A KR 20190072961 A KR20190072961 A KR 20190072961A KR 1020170174151 A KR1020170174151 A KR 1020170174151A KR 20170174151 A KR20170174151 A KR 20170174151A KR 20190072961 A KR20190072961 A KR 201900729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antenna
interval
determined
satisfi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41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95307B1 (ko
Inventor
노학렬
성수련
이태준
박종록
류초롱
노동규
황대성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741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5307B1/ko
Publication of KR201900729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29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53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53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86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89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simultaneous transmission using different transmission schemes, at least one of them being a diversity transmission sche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the mobile station comprising multiple antennas, e.g. to provide uplink divers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V2X 통신 제어 장치는 V2I 통신용 또는 V2V 통신용으로 운용되는 제1안테나와, V2V 통신용으로 운용되는 제2안테나 및 상기 제1안테나의 컨트롤 채널 인터벌 구간 및 서비스 채널 인터벌 구간을 모니터링하여 상기 제1안테나의 V2V통신 전환가능 조건을 만족하는지 판단하고, 상기 V2V통신 전환가능 조건을 만족하면 상기 제1안테나를 V2I 통신용으로부터 V2V 통신용으로 전환하고 운용하여 V2V 통신 거리를 확장하고, 통신이 원활하지 않은 환경에서도 통신 성능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V2X 통신 제어 장치 및 방법{APPARTUS AND METHOD FOR CONTRILLING THE VEHICLE TO ANYTHING COMMUNICATION}
본 발명은 V2X 통신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V2I 정보 환경에 따라 선택적으로 V2V 다이버시티를 구현하는 V2X 통신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주행 차량의 교통사고를 사전에 예방하고 교통 흐름의 효율화를 도모하는 등의 차량 운행 보조 시스템(Advanced Driver Assistance System, ADAS)이 개발되고 있다. 이때, 차량 운행 보조 시스템은 WAVE(Wireless Access in Vehicular Environments) 및 CALM(Continuous Air Interface for Long and Medium Range) 기반의 차량 대 차량(Vehicle to Vehicle, V2V) 통신과, 차량 대 노변 기지국(Vehicle to Infrastructure, V2I) 통신을 이용한다.
V2V 및 V2I(통칭, V2X) 통신을 통해 차량 운행 보조 시스템을 지원하는 차량은 V2X 통신을 지원하는 다른 차량(주변차량) 간에 전방 사고 발생 유무나 충돌 경고를 서로 보내줄 수 있다. 노변 기지국과 같은 노변 기지국은 실시간 교통 상황을 차량에 알려주거나 신호 대기 시간을 제어하여 교통 흐름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차량 운행 보조 시스템은 우회로를 설정하여 차량 운전자에게 우회 도로로 진입하도록 유도함으로써, 차량 집중에 따른 도로 정체 현상을 해소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V2I 통신기술은 차량(Vehicle)과 노변 기지국(Road Side Unit; RSU)간의 통신을 제공하여 ITS 서비스 또는 인터넷 서비스를 지원하는 기술이다. 특히, 최대 200Km/h의 속도로 달리는 차량에 대하여 최대 54Mbps까지 지원할 수 있는 무선 전송 기술로 차량 네트워크의 특성을 고려하여 도입된 WAVE기반의 V2I에서는 제어채널(Control Channel; CCH)과 서비스채널(Service Channel;SCH)을 이용하여 노변 기지국(RSU)에서 차량으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또한, V2X 통신 기술은 차량과 차량, 차량과 노변 기지국 간의 통신을 제공하여 ITS 서비스 또는 인터넷 서비스를 지원하는 기술이다. 5.9GHz 대역의 V2X 통신채널은 V2V 전용채널 1개와 V2I 채널 6개로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V2X는 기본 프로토콜로서 WSMP(Wave Short Message Protocol) 기반의 전송방식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언제 메세지를 수신하는지 알 수 없다.
따라서, V2X 통신을 지원하는 차량이 일반적으로 V2I 메세지를 수신하는 방법은 2개의 베이스밴드 모뎀을 기반으로 V2V/V2I 각 채널을 두개의 안테나로 사용하거나, V2V 1개 채널을 다이버시티 안테나(두개의 안테나 중 수신율이 좋은 안테나로 사용하는 것)로 사용하는 방법이 있다.
일반적으로 V2X 차량이 V2I 메세지를 수신하는 방법은 10Hz를 주기로 컨트롤 채널(CCH : Control Channel), 서비스 채널(SCH : Service Channel)을 교대로 수신하는 것이다. 노변 기지국(V2I인프라)은 컨트롤 채널을 통해 WAVE service announcement를 송신하는데, GPS 절대시각을 기준으로 50msec 내에서 전송한다. 차량의 V2X 제어기는 이를 수신한 후, 관련된 V2I 서비스 채널로 채널 스위칭을 하여 필요정보(신호관련 SPaT 메세지 등)을 수신한다.
종래 기술에 따르면, IEEE 1609.2 표준을 기준으로 V2V 하나의 채널을 연속으로 수신하는 모드로 사용하거나, V2I의 컨트롤 채널과 서비스 채널을 교대로 수신하는 모드로 사용함으로써, V2X 서비스가 가능하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는 V2V는 항상 하나의 채널만을 사용하기 때문에 도심지역(NLOS(Non Line of Sight)지역)) 등 통신이 원활하지 않은 환경에서는 V2V 유효통신 성능이 저하되는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 V2I 통신 기능을 유지하면서, V2I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V2V 다이버시티 안테나 기능을 활용하는 V2X 통신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V2X 통신 제어 장치는 V2I 통신용 또는 V2V 통신용으로 운용되는 제1안테나와, V2V 통신용으로 운용되는 제2안테나 및 상기 제1안테나의 컨트롤 채널 인터벌 구간 및 서비스 채널 인터벌 구간을 모니터링하여 상기 제1안테나의 V2V통신 전환가능 조건을 만족하는지 판단하고, 상기 V2V통신 전환가능 조건을 만족하면 상기 제1안테나를 V2I 통신용으로부터 V2V 통신용으로 전환하여 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컨트롤 채널 인터벌 구간에서 V2I 제어신호를 수신받지 못할 경우 상기 제1안테나의 V2V통신 전환가능 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서비스 채널 인터벌 구간에서 상기 제1안테나를 V2I통신용으로부터 V2V통신용으로 전환하고 운용하여, 상기 제1안테나 및 상기 제2안테나가 V2V 다이버시티 안테나로 동작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컨트롤 채널 인터벌 구간에서 수신된 V2I 제어신호가 유효한 WSA(WAVE Service Advertisement)가 아니라고 판단한 경우 상기 제1안테나의 V2V통신 전환가능 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서비스 채널 인터벌 구간에서 상기 제1안테나를 V2I통신용으로부터 V2V통신용으로 전환하고 운용하여, 상기 제1안테나 및 상기 제2안테나가 V2V 다이버시티 안테나로 동작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서비스 채널 인터벌 구간에서 현재 수신한 V2I 데이터가 기 수신된 V2I 데이터와 중복하여 수신되는 경우 상기 제1안테나의 V2V통신 전환가능 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소정시간 동안 상기 제1안테나를 V2I통신용으로부터 V2V통신용으로 전환하고 운용하여, 상기 제1안테나 및 상기 제2안테나를 V2V 다이버시티 안테나로 동작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소정시간은 상기 컨트롤 채널 인터벌 구간 및 서비스 채널 인터벌 구간을 포함하는 동기 인터벌 구간이 복수번 반복되어 경과되는 시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소정시간이 경과된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제1안테나를 상기 V2V통신용으로부터 V2I통신용으로 전환하고 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서비스 채널 인터벌 구간에서 현재 수신한 V2I 데이터가 기 수신된 V2I 데이터와 중복하여 수신되는 경우 상기 제1안테나의 V2V통신 전환가능 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소정거리 동안 상기 제1안테나를 V2I통신용으로부터 V2V통신용으로 전환하고 운용하여, 상기 제1안테나 및 상기 제2안테나를 V2V 다이버시티 안테나로 동작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소정거리는 상기 컨트롤 채널 인터벌 구간 및 서비스 채널 인터벌 구간을 포함하는 동기 인터벌 구간이 복수번 반복되어 경과되는 시간동안 차량이 이동한 거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소정거리가 경과된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제1안테나를 상기 V2V통신용으로부터 V2I통신용으로 전환하고 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차량 네비게이션으로부터 파악된 노변 기지국의 위치를 기반으로 상기 차량이 상기 노변 기지국으로부터 소정거리 이내에 위치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V2I 데이터가 수신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제1안테나의 V2V통신 전환가능 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제1안테나 및 상기 제2안테나가 V2V 다이버시티 안테나로 동작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V2X 통신 제어 방법은 제1안테나를 V2I 통신용 또는 V2V 통신용으로 운용하고, 제2안테나를 V2V 통신용으로 운용하는 V2X 통신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안테나의 컨트롤 채널 인터벌 구간 및 서비스 채널 인터벌 구간을 모니터링하여, 상기 제1안테나의 V2V통신 전환가능 조건을 만족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V2V통신 전환가능 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제1안테나를 V2I 통신용으로부터 V2V 통신용으로 전환하여 운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V2V통신 전환가능 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제1안테나를 V2I 통신용으로부터 V2V 통신용으로 전환하여 운용하는 단계는 상기 컨트롤 채널 인터벌 구간에서 V2I 제어신호를 수신받지 못할 경우 상기 제1안테나의 V2V통신 전환가능 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서비스 채널 인터벌 구간에서 상기 제1안테나를 V2I통신용으로부터 V2V통신용으로 전환하고 운용하여, 상기 제1안테나 및 상기 제2안테나가 V2V 다이버시티 안테나로 동작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V2V통신 전환가능 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제1안테나를 V2I 통신용으로부터 V2V 통신용으로 전환하여 운용하는 단계는 상기 컨트롤 채널 인터벌 구간에서 수신된 V2I 제어신호가 유효한 WSA(WAVE Service Advertisement)가 아니라고 판단한 경우 상기 제1안테나의 V2V통신 전환가능 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서비스 채널 인터벌 구간에서 상기 제1안테나를 V2I통신용으로부터 V2V통신용으로 전환하고 운용하여, 상기 제1안테나 및 상기 제2안테나가 V2V 다이버시티 안테나로 동작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V2V통신 전환가능 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제1안테나를 V2I 통신용으로부터 V2V 통신용으로 전환하여 운용하는 단계는 상기 서비스 채널 인터벌 구간에서 현재 수신한 V2I 데이터가 기 수신된 V2I 데이터와 중복하여 수신되는 경우 상기 제1안테나의 V2V통신 전환가능 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소정시간 동안 상기 제1안테나를 V2I통신용으로부터 V2V통신용으로 전환하고 운용하여, 상기 제1안테나 및 상기 제2안테나를 V2V 다이버시티 안테나로 동작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소정시간은 상기 컨트롤 채널 인터벌 구간 및 서비스 채널 인터벌 구간을 포함하는 동기 인터벌 구간이 복수번 반복되어 경과되는 시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V2V통신 전환가능 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제1안테나를 V2I 통신용으로부터 V2V 통신용으로 전환하여 운용하는 단계 이후 상기 소정시간이 경과된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제1안테나를 상기 V2V통신용으로부터 V2I통신용으로 전환하고 운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V2V통신 전환가능 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제1안테나를 V2I 통신용으로부터 V2V 통신용으로 전환하여 운용하는 단계는 상기 서비스 채널 인터벌 구간에서 현재 수신한 V2I 데이터가 기 수신된 V2I 데이터와 중복하여 수신되는 경우 상기 제1안테나의 V2V통신 전환가능 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소정거리 동안 상기 제1안테나를 V2I통신용으로부터 V2V통신용으로 전환하고 운용하여, 상기 제1안테나 및 상기 제2안테나를 V2V 다이버시티 안테나로 동작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소정거리는 상기 컨트롤 채널 인터벌 구간 및 서비스 채널 인터벌 구간을 포함하는 동기 인터벌 구간이 복수번 반복되어 경과되는 시간동안 차량이 이동한 거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V2V통신 전환가능 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제1안테나를 V2I 통신용으로부터 V2V 통신용으로 전환하여 운용하는 단계 이후, 상기 소정거리가 경과된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제1안테나를 상기 V2V통신용으로부터 V2I통신용으로 전환하고 운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V2V통신 전환가능 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제1안테나를 V2I 통신용으로부터 V2V 통신용으로 전환하여 운용하는 단계는 차량 네비게이션으로부터 파악된 노변 기지국의 위치를 기반으로 상기 차량이 상기 노변 기지국으로부터 소정거리 이내에 위치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V2I 데이터가 수신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제1안테나의 V2V통신 전환가능 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제1안테나 및 상기 제2안테나가 V2V 다이버시티 안테나로 동작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V2X 통신 제어 장치 및 방법은 V2V 통신 거리를 확장하고, 통신이 원활하지 않은 환경에서도 통신 성능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V2X 통신 제어 장치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 내지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1안테나 및 제2안테나의 운용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V2X 통신 제어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V2X 통신 제어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V2X 통신 제어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V2X 통신 제어 장치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V2X 통신 제어 장치는 제1안테나(10), 제2안테나(20) 및 제어부(30)를 포함할 수 있다.
종래 기술의 실시예에 따라 V2X 통신 제어 장치가 제1안테나(10)를 V2I통신용으로만 사용하고, 제2안테나(20)를 V2V통신용으로만 사용하였다면, 본 발명에서는 제어부(30)의 판단, V2V통신용으로 전환가능한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만족하는 경우 제1안테나(10)를 V2I통신용에서 V2V통신용으로 선택적으로 전환하여 운용하도록 하고, 제2안테나(20)는 V2V통신용으로 운용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V2V통신용으로 전환가능한 조건은 V2I 제어신호 및 V2I 데이터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제1실시예), 수신된 V2I 데이터가 중복된 데이터인 경우(제2실시예), V2I 서비스 지역이 아닌 경우(제3실시예)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V2I 제어신호는 컨트롤 채널 인터벌 구간에서 컨트롤 채널을 통해 송수신되는 신호를 포함할 수 있으며, WSA(WAVE Service Advertisement)를 포함할 수 있다. V2I 데이터는 서비스 채널 인터벌 구간에서 서비스 채널을 통해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들면 사고정보, 날씨정보 및 신호정보 관련 메세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실시예에 따라 제1안테나(10)가 V2I통신용으로 운용되는 것을 설명하였지만, 제1안테나가 V2V 통신용으로도 사용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제2안테나가 V2I통신용으로 운용되고, 제어부(30)의 판단에 따라 제2안테나(20)가 V2V통신용으로 전환되어 운용될 수도 있다.
제어부(30)는 제1안테나(10) 및 제2안테나(20)를 통해 독립된 채널의 운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RF 직접회로(31) 및 베이스 밴드 모뎀(32)을 포함하고, 차량 내 각종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하는 ECU(33)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30)는 V2I 통신모드를 기본으로 설정하여 제1안테나(10)를 통하여 V2I 제어신호 및 V2I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하고, 제2안테나(20)를 통하여 V2V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1안테나(10)는 컨트롤 채널(CCH : Control Channel), 서비스 채널(SCH : Service Channel)을 형성하여 컨트롤 채널과 서비스 채널을 교대로 하여 V2I 제어신호 및 V2I 데이터를 교대로 수신하도록 하고, 제2안테나(20)를 통하여 단일 채널을 형성하여 V2V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할 수 있다. 제1안테나(10)가 컨트롤 채널을 통하여 V2I 제어신호를 수신하지 않는 경우 제1안테나(10)가 V2V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전환하여 제1안테나(10) 및 제2안테나(20)가 모두 V2V 데이터를 수신하는 V2V 다이버시티 안테나로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30)는 제1안테나(10)에서 형성된 컨트롤 채널을 통하여 V2I 제어신호를 경우, 제1안테나(10)가 V2I통신용으로 운용되도록 하고, 제2안테나(20)가 V2V통신용으로 운용되도록 할 수 있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도 2를 참조한다.
도 2는 V2I 통신모드에서 운용되는 타임 인터벌을 참조하여 제1안테나(10) 및 제2안테나(20)의 운용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제어부(30)는 컨트롤 채널 인터벌 구간에서 제1안테나(10)에서 형성된 컨트롤 채널을 통하여 V2I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제1안테나 영역에서 V2I통신이 수행되도록 하고, 제2안테나 영역에서 V2V통신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0)는 제1안테나(10)에서 형성된 서비스 채널을 통하여 V2I 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 제1안테나(10)를 V2I통신용으로 운용되도록 하고, 제2안테나(20)가 V2V통신용으로 운용하도록 할 수 있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도 3을 참조한다.
도 3은 V2I 통신모드에서 운용되는 타임 인터벌을 참조하여 제1안테나(10) 및 제2안테나(20)의 운용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어부(30)는 서비스 채널 인터벌 구간에서 제1안테나(10)에서 형성된 서비스 채널을 통하여 V2I 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 제1안테나 영역에서 V2I통신이 수행되도록 하고, 제2안테나 영역에서 V2V통신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30)는 제1안테나(10)에서 형성된 컨트롤 채널을 통하여 데이터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제1안테나(10)를 V2V통신용으로 운용되도록 하고, 제2안테나(20)도 V2V통신용으로 운용하도록 할 수 있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도 4를 참조한다.
도 4는 V2I 통신모드에서 운용되는 타임 인터벌을 참조하여 제1안테나(10) 및 제2안테나(20)의 운용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어부(30)는 컨트롤 채널 인터벌 구간에서 제1안테나(10)에서 형성된 컨트롤 채널을 통하여 V2I 제어신호가 수신되지 않거나, V2I 제어신호가 수신되더라도 유효한 WSA(WAVE Service Advertisement)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서비스 채널 인터벌 구간에서 제1안테나 영역이 V2V통신이 수행되도록 하고, 제2안테나 영역이 V2V통신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제어부(30)가 제1안테나(10)에서 형성된 컨트롤 채널을 통한 데이터의 수신 여부를 판단하여 V2I 제어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종래와 같이 적어도 100ms 이후 다음의 컨트롤 채널 인터벌이 도래할 때까지 대기하는 것이 아니라 서비스 채널 인터벌 구간에서 제1안테나(10)를 통하여 V2V 통신을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제1안테나(10)와 제2안테나(20)가 모두 V2V통신용으로 운용되도록 하는 다이버시티 안테나로 동작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30)는 제1안테나(10)에서 형성된 서비스 채널을 통하여 현재 수신된 V2I 데이터 예를들면, 공사정보, 날씨정보 등의 정보를 포함한 메세지가 기 수신된 V2I 데이터와 중복된 데이터인지 판단하고, 중복된 데이터가 수신된 것으로 판단되면 V2I 메세지를 더이상 수신할 필요가 없으므로 중복된 메세지가 수신되지 않을 때 까지 즉, 소정시간이 경과하거나 소정거리를 이동할 때 까지 중복된 메세지를 수신하는 것이 아니라, 제1안테나(10) 및 제2안테나(20)가 모두 V2V통신하는 다이버시티 안테나로 동작하도록 한다. 여기서 소정시간은 컨트롤 채널 인터벌 구간 및 서비스 채널 인터벌 구간을 포함하는 동기 인터벌 구간이 복수번 반복되어 경과되는 시간을 의미할 수 있고, 소정거리는 상술한 소정시간동안 차량의 이동 거리를 의미할 수 있다.
제어부(30)는 제1안테나(10)에서 형성된 서비스 채널을 통하여 V2I 데이터를 수신하는 하는 경우, 제1안테나(10)를 V2I통신용으로 운용하고, 제2안테나(20)를 V2V통신용으로 운용하도록 할 수 있다. 이는 실시예에 따른 것으로, 제1안테나(10)를 V2V통신용으로 운용하고, 제2안테나(20)를 V2I통신용으로 운용하도록 할 수 있다.
보다 자세하게는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V2I 통신모드에서 운용되는 타임 인터벌을 참조하여 제1안테나(10) 및 제2안테나(20)의 운용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30)는 컨트롤 채널 인터벌 구간 및 서비스 채널 인터벌 구간에서 V2I 데이터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다음 컨트롤 채널 인터벌구간 및 서비스 채널 인터벌 구간까지 수신을 대기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다음 컨트롤 채널 인터벌 구간에서 제1안테나(10)에서 형성된 컨트롤 채널을 통하여 유효 WSA를 수신하고, 다음 서비스 채널 인터벌 구간에서 제1안테나(10)에서 형성된 서비스 채널을 통하여 V2I 데이터가 수신된 경우, 제1안테나(10)는 V2I통신용으로 운용하고, 제2안테나(20)를 V2V통신용으로 운용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30)가 서비스 채널을 통하여 현재 수신된 V2I 데이터가 기 수신된 데이터와 중복된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제1안테나(10)는 V2I통신용으로부터 V2V통신용으로 전환하여 운용하고, 제2안테나(20)는 그대로 V2V통신용으로 운용할 수 있다.
만약, 제1안테나(10)를 V2I통신용으로 계속 운용한다면, 노변 기지국으로부터 1Hz의 주기로 메세지가 송신되기 때문에 불필요하게 중복된 메세지를 반복하여 수신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수신된 메세지의 정보가 중복된 것으로 판단한 시점(현재 V2I를 수신한 시점)부터 소정시간 동안 또는 소정거리를 이동하는 동안 중복된 정보의 데이터를 수신하지 않도록 제어부(30)는 제1안테나(10)를 V2I통신용에서 V2V통신용으로 전환하여 V2V 다이버시티 안테나로 동작하도록 한다.
제어부(30)가 서비스 채널을 통하여 수신된 메세지가 중복된 메세지인 것으로 판단한 시점부터 소정시간이 경과하거나, 소정거리가 이동된 것으로 판단하면, 더이상 중복된 메세지가 수신되지 않는다고 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1안테나(10)는 V2V통신용으로부터 다시 V2I통신용으로 복귀하여 운용하고, 제2안테나(20)는 V2V통신용으로 운용한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30)는 제1안테나(10) 및 제2안테나(20)가 모두 V2V 데이터를 수신하는 V2V 다이버시티 통신모드를 기본으로 설정하고, 텔레메틱스나 내비게이션 맵 정보를 기반으로 V2I 데이터의 수신이 가능한 영역의 위치정보를 판단하여, V2I 데이터의 수신이 가능한 영역에서만 V2I 통신이 수행되도록 제1안테나(10)를 V2I통신용으로 운용하고, 제2안테나(20)를 V2V통신용으로 운용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차량의 내비게이션 맵 정보 및 텔레메틱스 정보를 통하여 노변 기지국(V2I인프라)의 위치를 파악하고 차량이 노변 기지국으로부터 소정거리 이내에 위치한 경우에 차량이 V2I 데이터의 수신이 가능한 영역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어부(30)는 제1안테나(10)를 V2I 통신용으로 운용하고 제2안테나를 V2V통신용으로 운용하는 것을 기본으로 설정하고, 텔레메틱스나 내비게이션 맵 정보를 기반으로 V2I 데이터의 수신이 가능한 영역의 위치정보를 판단하여, V2I 데이터의 수신이 불가능한 영역에서만 V2V 통신이 수행되도록 제1안테나(10)를 V2V통신용으로 운용하고, 제2안테나(20)를 V2V통신용으로 운용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차량의 내비게이션 맵 정보 및 텔레메틱스 정보를 통하여 노변 기지국(V2I인프라)의 위치를 파악하고 차량이 노변 기지국으로부터 소정거리 이내에 위치하지 않은 경우에 차량이 V2I 데이터를 수신 불가능 영역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제어부(30)는 제1안테나가 V2I 데이터의 수신이 가능한 영역에서만 V2I 통신용으로 운용되도록 하고, V2I 데이터의 수신이 불가능한 영역에서는 V2V 통신용으로 운용되도록 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V2X 통신 제어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제1실시예에 따른 V2X 통신 제어 방법에 있어서, V2X 차량은 V2I 통신모드를 기본으로 설정하여 제1안테나를 통하여 V2I 제어신호 및 V2I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하고, 제2안테나를 통하여 V2V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1안테나는 컨트롤 채널(CCH : Control Channel), 서비스 채널(SCH : Service Channel)을 형성하여 컨트롤 채널과 서비스 채널을 교대로 하여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하고, 제2안테나를 통하여 단일 채널을 형성하여 V2V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할 수 있다. V2I 통신모드에서 운용되는 타임 인터벌은 컨트롤 채널 인터벌 구간 및 서비스 채널 인터벌 구간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컨트롤 채널 인터벌 구간에서 제1안테나가 V2I통신용으로 운용되도록 하고, 제2안테나가 V2V통신용으로 운용되도록 한다(S110).
그 다음, 컨트롤 채널 인터벌 구간에서 제1안테나에서 형성된 컨트롤 채널을 통하여 V2I 제어신호가 수신되었는지 판단한다(S120). S120에서 제1안테나에서 형성된 컨트롤 채널을 통하여 V2I 제어신호가 수신된 경우(Yes), 서비스 채널 인터벌 구간에서 제1안테나에서 형성된 서비스 채널을 통하여 데이터를 수신함으로써 제1안테나는 V2I통신용으로 운용하고, 제2안테나는 V2V통신용으로 운용한다(S130).
S120에서 제1안테나에서 형성된 컨트롤 채널을 통하여 V2I 제어신호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No), 서비스 채널 인터벌 구간에서 제1안테나를 V2V통신용으로 운용되도록 전환하고, 제2안테나는 그대로 V2V통신용으로 운용되도록 한다(S140). S130 및 S140 이후에는 다시 S110으로 돌아가 컨트롤 채널 인터벌 구간에서 V2I통신모드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제1안테나에서 형성된 컨트롤 채널을 통한 V2I 제어신호의 수신 여부를 판단하여 V2I 제어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종래와 같이 적어도 100ms 이후 다음의 컨트롤 채널 인터벌이 도래할 때까지 대기하는 것이 아니라 서비스 채널 인터벌 구간에서 제1안테나를 통하여 V2V 통신을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제1안테나와 제2안테나가 모두 V2V 통신을 수행하는 다이버시티 안테나로 동작되도록 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V2X 통신 제어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제2실시예에 따른 V2X 통신 제어 방법에 있어서, V2X 차량은 V2I 통신모드를 기본으로 설정하여 제1안테나를 통하여 V2I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하고, 제2안테나를 통하여 V2V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1안테나는 컨트롤 채널(CCH : Control Channel), 서비스 채널(SCH : Service Channel)을 형성하여 컨트롤 채널과 서비스 채널을 교대로 하여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하고, 제2안테나를 통하여 단일 채널을 형성하여 V2V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할 수 있다. V2I 통신모드에서 운용되는 타임 인터벌은 컨트롤 채널 인터벌 구간 및 서비스 채널 인터벌 구간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컨트롤 채널 인터벌 구간에서 제1안테나가 V2I통신용으로 운용되도록 하고, 제2안테나가 V2V통신용으로 운용되도록 한다(S210).
그 다음, 컨트롤 채널 인터벌 구간에서 제1안테나에서 형성된 컨트롤 채널을 통하여 WSA가 수신되었는지, 서비스 채널 인터벌 구간에서 제1안테나에서 형성된 서비스 채널을 통하여 V2I 데이터가 수신되었는지 판단한다(S220).
S220에서 컨트롤 채널 인터벌 구간에서 제1안테나에서 형성된 컨트롤 채널을 통하여 WSA가 수신되고, 서비스 채널 인터벌 구간에서 제1안테나에서 형성된 서비스 채널을 통하여 현재 V2I 데이터가 수신되었다고 판단되면(Yes), 현재 수신된 V2I 데이터가 기 수신된 V2I 데이터와 중복하여 수신되었는지 판단한다(S230).
한편, S220에서 컨트롤 채널 인터벌 구간에서 제1안테나에서 형성된 컨트롤 채널을 통하여 WSA가 수신되지 않고, 서비스 채널 인터벌 구간에서 제1안테나에서 형성된 서비스 채널을 통하여 V2I 데이터가 수신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No), 도 6의 S120에서 V2I 데이터가 수신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서비스 채널 인터벌 구간에서 제1안테나를 V2V통신용으로 운용되도록 전환하고, 제2안테나는 그대로 V2V통신용으로 운용되도록 한다(S240). S240 이후에는 다시 S210으로 돌아가 컨트롤 채널 인터벌 구간에서 V2I통신모드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S23O에서 수신된 V2I 데이터가 중복수신된 것으로 판단되면(Yes), 중복된 데이터를 수신한 시점(현재 V2I 데이터를 수신한 시점)으로부터 소정시간이 경과하거나 차량이 소정거리를 이동하였는지 판단한다(S250). S250는 중복된 데이터가 불필요하게 반복적으로 수신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수행될 수 있다.
한편, S230에서 수신된 V2I 데이터가 중복수신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No), 서비스 채널 인터벌 구간에서 제1안테나는 V2I통신용으로 운용되도록 하고, 제2안테나는 V2V통신용으로 운용되도록 한다(S270). S270은 S230에서 수신된 V2I 데이터가 중복수신되지 않는 경우에는 차량에 필요한 정보들이 수신되는 것이므로, 제1안테나를 V2V통신용으로 전환하여 운용되도록 하지 않고, S210에서 설정된 바와 같이 V2I 통신모드를 유지하도록 한다.
S250에서 중복된 데이터를 수신한 시점으로부터 소정시간이 경과하거나 차량이 소정거리를 이동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면(No), 서비스 채널 인터벌 구간에서 제1안테나를 V2V통신용으로 운용되도록 전환하고, 제2안테나는 그대로 V2V통신용으로 운용되도록 한다(S260). 노변 기지국으로부터 1Hz의 주기로 V2I 메세지가 송신되기 때문에 소정시간 동안 또는 소정거리 이내에서는 중복된 메세지를 반복적으로 수신한다고 볼 수 있어, 불필요한 중복된 V2I 메세지를 수신할 필요가 없으므로 제1안테나를 V2V통신용으로 운용하도록 전환하고, 제2안테나를 V2V통신용으로 운용되도록 하여 V2V 다이버시티 안테나로 동작하도록 한다.
한편, S250에서 중복된 데이터를 수신한 시점으로부터 소정시간이 경과하거나 차량이 소정거리를 이동한 것으로 판단하면(Yes), 서비스 채널 인터벌 구간에서 제1안테나는 V2I통신용으로 운용되도록 하고, 제2안테나는 V2V통신용으로 운용되도록 한다(S270). 즉, 소정시간이 경과하였다고 판단하고, 소정거리 이상을 이동하였다고 판단하면 더이상 중복된 V2I 데이터가 반복적으로 수신되지 않는다고 판단할 수 있으므로, V2I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하여 제1안테나를 V2I통신용으로 운용하도록 하고, 제2안테나를 V2V통신용으로 운용하도록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V2X 통신 제어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제3실시예에 따른 V2X 통신 제어 방법에 있어서, V2X 차량은 V2V 통신모드를 기본으로 설정하여 제1안테나를 통하여 V2V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하고, 제2안테나를 통하여 V2V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1안테나 및 제2안테나를 통하여 단일 채널을 형성하여 V2V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할 수 있다.
V2X 차량은 텔레메틱스나 내비게이션 맵 정보를 기반으로 V2I 데이터 수신가능 위치정보를 판단하여, 차량이 V2I 데이터의 수신이 가능한 영역에 위치하는지 판단한다(S310). S310에서는 차량의 내비게이션 맵 정보 및 텔레메틱스 정보를 통하여 노변 기지국(V2I인프라)의 위치를 파악하고 차량이 노변 기지국으로부터 소정거리 이내에 위치한 경우에 차량이 V2I 데이터의 수신이 가능한 영역에 위치한다고 판단할 수 있다.
S310에서 차량이 V2I 데이터 수신 가능한 영역에 위치한다고 판단한 경우, V제1안테나를 V2I통신용으로 전환하여 운용하고, 제2안테나를 V2V통신용으로 운용하도록 한다(S320).
한편, S310에서 차량이 V2I 데이터 수신 가능한 영역에 위치하지 않는다고 판단한 경우, 제1안테나를 V2V통신용으로 운용하고 제2안테나를 V2V통신용으로 운용하도록 한다(S330).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V2X 통신 제어 장치 및 방법은 V2X 통신을 수행하는데 있어서 V2I 제어신호가 수신되지 않거나, 수신된 V2I 데이터가 중복된 경우, 또한 차량이 V2I 데이터 수신 가능지역에 위치하지 않은 경우 선택적으로 안테나가 V2I통신용으로부터 V2V통신용으로 전환되어 운용되도록 함으로써, V2V 통신 거리를 확장하고, V2V 통신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제1안테나 10
제2안테나 20
제어부 30
RF 직접회로 31
베이스 밴드 모뎀 32
ECU 33

Claims (20)

  1. V2I 통신용 또는 V2V 통신용으로 운용되는 제1안테나;
    V2V 통신용으로 운용되는 제2안테나; 및
    상기 제1안테나의 컨트롤 채널 인터벌 구간 및 서비스 채널 인터벌 구간을 모니터링하여 상기 제1안테나의 V2V통신 전환가능 조건을 만족하는지 판단하고, 상기 V2V통신 전환가능 조건을 만족하면 상기 제1안테나를 V2I 통신용으로부터 V2V 통신용으로 전환하여 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2X 통신 제어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컨트롤 채널 인터벌 구간에서 V2I 제어신호를 수신받지 못할 경우 상기 제1안테나의 V2V통신 전환가능 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서비스 채널 인터벌 구간에서 상기 제1안테나를 V2I통신용으로부터 V2V통신용으로 전환하고 운용하여, 상기 제1안테나 및 상기 제2안테나가 V2V 다이버시티 안테나로 동작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2X 통신 제어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컨트롤 채널 인터벌 구간에서 수신된 V2I 제어신호가 유효한 WSA(WAVE Service Advertisement)가 아니라고 판단한 경우 상기 제1안테나의 V2V통신 전환가능 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서비스 채널 인터벌 구간에서 상기 제1안테나를 V2I통신용으로부터 V2V통신용으로 전환하고 운용하여, 상기 제1안테나 및 상기 제2안테나가 V2V 다이버시티 안테나로 동작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2X 통신 제어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서비스 채널 인터벌 구간에서 현재 수신한 V2I 데이터가 기 수신된 V2I 데이터와 중복하여 수신되는 경우 상기 제1안테나의 V2V통신 전환가능 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소정시간 동안 상기 제1안테나를 V2I통신용으로부터 V2V통신용으로 전환하고 운용하여, 상기 제1안테나 및 상기 제2안테나를 V2V 다이버시티 안테나로 동작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2X 통신 제어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소정시간은 상기 컨트롤 채널 인터벌 구간 및 서비스 채널 인터벌 구간을 포함하는 동기 인터벌 구간이 복수번 반복되어 경과되는 시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V2X 통신 제어 장치.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소정시간이 경과된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제1안테나를 상기 V2V통신용으로부터 V2I통신용으로 전환하고 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2X 통신 제어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서비스 채널 인터벌 구간에서 현재 수신한 V2I 데이터가 기 수신된 V2I 데이터와 중복하여 수신되는 경우 상기 제1안테나의 V2V통신 전환가능 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소정거리 동안 상기 제1안테나를 V2I통신용으로부터 V2V통신용으로 전환하고 운용하여, 상기 제1안테나 및 상기 제2안테나를 V2V 다이버시티 안테나로 동작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2X 통신 제어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소정거리는 상기 컨트롤 채널 인터벌 구간 및 서비스 채널 인터벌 구간을 포함하는 동기 인터벌 구간이 복수번 반복되어 경과되는 시간동안 차량이 이동한 거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V2X 통신 제어 장치.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소정거리가 경과된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제1안테나를 상기 V2V통신용으로부터 V2I통신용으로 전환하고 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2X 통신 제어 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차량 네비게이션으로부터 파악된 노변 기지국의 위치를 기반으로 상기 차량이 상기 노변 기지국으로부터 소정거리 이내에 위치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V2I 데이터가 수신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제1안테나의 V2V통신 전환가능 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제1안테나 및 상기 제2안테나가 V2V 다이버시티 안테나로 동작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2X 통신 제어 장치.
  11. 제1안테나를 V2I 통신용 또는 V2V 통신용으로 운용하고, 제2안테나를 V2V 통신용으로 운용하는 V2X 통신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안테나의 컨트롤 채널 인터벌 구간 및 서비스 채널 인터벌 구간을 모니터링하여, 상기 제1안테나의 V2V통신 전환가능 조건을 만족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V2V통신 전환가능 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제1안테나를 V2I 통신용으로부터 V2V 통신용으로 전환하여 운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2X 통신 제어 방법.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V2V통신 전환가능 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제1안테나를 V2I 통신용으로부터 V2V 통신용으로 전환하여 운용하는 단계는
    상기 컨트롤 채널 인터벌 구간에서 V2I 제어신호를 수신받지 못할 경우 상기 제1안테나의 V2V통신 전환가능 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서비스 채널 인터벌 구간에서 상기 제1안테나를 V2I통신용으로부터 V2V통신용으로 전환하고 운용하여, 상기 제1안테나 및 상기 제2안테나가 V2V 다이버시티 안테나로 동작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2X 통신 제어 방법.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V2V통신 전환가능 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제1안테나를 V2I 통신용으로부터 V2V 통신용으로 전환하여 운용하는 단계는
    상기 컨트롤 채널 인터벌 구간에서 수신된 V2I 제어신호가 유효한 WSA(WAVE Service Advertisement)가 아니라고 판단한 경우 상기 제1안테나의 V2V통신 전환가능 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서비스 채널 인터벌 구간에서 상기 제1안테나를 V2I통신용으로부터 V2V통신용으로 전환하고 운용하여, 상기 제1안테나 및 상기 제2안테나가 V2V 다이버시티 안테나로 동작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2X 통신 제어 방법.
  14.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V2V통신 전환가능 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제1안테나를 V2I 통신용으로부터 V2V 통신용으로 전환하여 운용하는 단계는
    상기 서비스 채널 인터벌 구간에서 현재 수신한 V2I 데이터가 기 수신된 V2I 데이터와 중복하여 수신되는 경우 상기 제1안테나의 V2V통신 전환가능 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소정시간 동안 상기 제1안테나를 V2I통신용으로부터 V2V통신용으로 전환하고 운용하여, 상기 제1안테나 및 상기 제2안테나를 V2V 다이버시티 안테나로 동작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2X 통신 제어 방법.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소정시간은
    상기 컨트롤 채널 인터벌 구간 및 서비스 채널 인터벌 구간을 포함하는 동기 인터벌 구간이 복수번 반복되어 경과되는 시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V2X 통신 제어 방법.
  16.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V2V통신 전환가능 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제1안테나를 V2I 통신용으로부터 V2V 통신용으로 전환하여 운용하는 단계 이후
    상기 소정시간이 경과된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제1안테나를 상기 V2V통신용으로부터 V2I통신용으로 전환하고 운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2X 통신 제어 방법.
  17.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V2V통신 전환가능 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제1안테나를 V2I 통신용으로부터 V2V 통신용으로 전환하여 운용하는 단계는
    상기 서비스 채널 인터벌 구간에서 현재 수신한 V2I 데이터가 기 수신된 V2I 데이터와 중복하여 수신되는 경우 상기 제1안테나의 V2V통신 전환가능 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소정거리 동안 상기 제1안테나를 V2I통신용으로부터 V2V통신용으로 전환하고 운용하여, 상기 제1안테나 및 상기 제2안테나를 V2V 다이버시티 안테나로 동작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2X 통신 제어 방법.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소정거리는 상기 컨트롤 채널 인터벌 구간 및 서비스 채널 인터벌 구간을 포함하는 동기 인터벌 구간이 복수번 반복되어 경과되는 시간동안 차량이 이동한 거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V2X 통신 제어 방법.
  19.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V2V통신 전환가능 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제1안테나를 V2I 통신용으로부터 V2V 통신용으로 전환하여 운용하는 단계 이후,
    상기 소정거리가 경과된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제1안테나를 상기 V2V통신용으로부터 V2I통신용으로 전환하고 운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2X 통신 제어 방법.
  20.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V2V통신 전환가능 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제1안테나를 V2I 통신용으로부터 V2V 통신용으로 전환하여 운용하는 단계는
    차량 네비게이션으로부터 파악된 노변 기지국의 위치를 기반으로 상기 차량이 상기 노변 기지국으로부터 소정거리 이내에 위치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V2I 데이터가 수신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제1안테나의 V2V통신 전환가능 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제1안테나 및 상기 제2안테나가 V2V 다이버시티 안테나로 동작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2X 통신 제어 방법.
KR1020170174151A 2017-12-18 2017-12-18 V2x 통신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23953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4151A KR102395307B1 (ko) 2017-12-18 2017-12-18 V2x 통신 제어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4151A KR102395307B1 (ko) 2017-12-18 2017-12-18 V2x 통신 제어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2961A true KR20190072961A (ko) 2019-06-26
KR102395307B1 KR102395307B1 (ko) 2022-05-09

Family

ID=671053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4151A KR102395307B1 (ko) 2017-12-18 2017-12-18 V2x 통신 제어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530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4001A (ko) * 2019-07-29 2021-02-08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차량 통신 지원 장치 및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75268A (ko) * 2012-12-11 2014-06-1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웨이브 통신 시스템
KR20160015937A (ko) * 2014-08-01 2016-02-15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통신단말기 및 그 통신 환경 설정 방법
KR101728328B1 (ko) * 2015-12-01 2017-04-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안테나 장치, 그를 가지는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75268A (ko) * 2012-12-11 2014-06-1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웨이브 통신 시스템
KR20160015937A (ko) * 2014-08-01 2016-02-15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통신단말기 및 그 통신 환경 설정 방법
KR101728328B1 (ko) * 2015-12-01 2017-04-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안테나 장치, 그를 가지는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Anna,'Hybrid vehicular communications based on V2V-V2I protocol switching',Int. J. Vehicl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Systems, Vol. 2, Nos. 3/4 (2011.12.31.) *
Multi-channel MAC protocol based on V2I/V2V cooperation in VANET',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15-01 Vol.40 No.01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4001A (ko) * 2019-07-29 2021-02-08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차량 통신 지원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95307B1 (ko) 2022-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96192B2 (ja) 通信装置および通信方法
JP4872705B2 (ja) 通信システム、通信方法、及びそのプログラム
DK2178064T3 (en) Procedure for optimal forwarding of messages by Car-to-x communication
Fukuhara et al. Broadcast methods for inter-vehicle communications system
CN108028710B (zh) 传输通信消息的装置和方法
US9282485B2 (en) Terminal apparatus for transferring signal containing predetermined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system
EP3354069B1 (en) Telecommunications apparatus and methods for routing of d2d traffic
JP2013125347A (ja) 歩車間通信システム、無線通信端末、および歩車間通信方法
KR102474819B1 (ko) V2i 통신을 제어하는 차량, 인프라 및 방법
JPWO2020075839A1 (ja) 交通通信システム、路側機、及び方法
KR20190072961A (ko) V2x 통신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441528B1 (ko) 차량 애드혹 네트워크에서 다중 홉 경로 설정 방법 및 장치
KR101975759B1 (ko) 차량 간 통신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
JP6064430B2 (ja) 無線装置
CN106604315A (zh) 消息传播方法及系统
JP2002150495A (ja) 情報提供システム
KR100924534B1 (ko) 차량간 에드혹 네트워크에서 네트워크 단절을 줄이기 위한브로드캐스팅방법
CN111726784A (zh) 一种基于v2x的车辆行驶安全管理方法
JP7228432B2 (ja) 基地局及びその制御方法
JP4990169B2 (ja) 通信装置および車車間通信システム
WO2013094187A1 (ja) 無線装置
Marković Application of advance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n the improvement of traffic safety
Shi et al.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COMMUNICATION MESSAGES (FR) APPAREIL ET PROCÉDÉ DE TRANSMISSION DE MESSAGES DE COMMUNICATION
JP2022163621A (ja) 無線路側機、交通通信システム、及び交通通信方法
KR20090022923A (ko) 차량의 위치기록정보를 이용한 교통위급정보 송수신 장치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