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72739A - Nfc 태그를 이용하는 텀블러 및 서비스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Nfc 태그를 이용하는 텀블러 및 서비스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72739A
KR20190072739A KR1020170173762A KR20170173762A KR20190072739A KR 20190072739 A KR20190072739 A KR 20190072739A KR 1020170173762 A KR1020170173762 A KR 1020170173762A KR 20170173762 A KR20170173762 A KR 20170173762A KR 20190072739 A KR20190072739 A KR 201900727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mbler
tag
nfc
user terminal
uniqu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37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89621B1 (ko
Inventor
윤세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벤에셀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벤에셀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벤에셀기업
Priority to KR10201701737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9621B1/ko
Publication of KR201900727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27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96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9621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2Hotels or restaura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27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for mixing drinks; Hand-held shak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0External fit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5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communications indust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NFC 태그를 이용하는 텀블러 및 텀블러 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외부 케이스(101)와 상기 외부 케이스(101) 내부에서 열전달을 차단하도록 배치되는 내부 케이스(102)와 상기 내부 케이스(102) 상측에 형성되는 텀블러 뚜껑(103)이 구비되는 텀블러(100);와 상기 텀블러(100)의 상기 외부 케이스(101) 또는 상기 텀블러 뚜껑(103)에 부착되도록 장식면(201), 접착면(203) 및 태그 고유ID(501)가 저장되는 NFC 모듈(202)로 구비되는 NFC 태그(200);와 상기 NFC 태그(200)로부터 상기 태그 고유ID(501)를 근거리 통신으로 수신하여 중계 서버(400)에 접속하도록 사용자 어플리케이션(301)이 구비되는 사용자 단말기(300);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300)로부터 상기 태그 고유ID(501)가 수신되는 경우에 상기 태그 고유ID(501)과 사전에 매핑된 접속 URL(502)에 상기 사용자 단말기(300)를 접속시키도록 구비되는 중계 서버(400); 를 제공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NFC 태그를 이용하는 텀블러 및 서비스 제공 방법 { TUMBLER AND CUSTOMER SERVICE SYSTEM USING NFC TAGS }
본 발명은 NFC 태그를 이용하는 텀블러 및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텀블러에 NFC 태그를 부착하여 사용자 단말기로 NFC 태그의 고유 ID를 읽어서 중계 서버에 전달하여 텀블러 사용자에게는 마케팅 정보를 제공하고, 텀블러 판매 제공자에게는 마케팅 수단과 재고관리 기능을 제공하도록 하는 NFC 태그를 이용하는 텀블러 및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텀블러는 물, 커피, 주스 등의 음료수를 마시는데 사용하는 밑이 편평한 잔으로 컵과 같은 원통형의 것이다. 텀블러는 용량 240㎖가 표준이며, 금속, 플라스틱, 유리, 도자기 등 다양한 재료로 만들어지고 있다.
텀블러는 등록실용신안 제20-0476831호, 등록실용신안 제20-0476913호, 등록실용신안 제20-0477940호 등 많은 특허문헌들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다. 이 특허문헌들의 텀블러는 음료수를 담을 수 있는 저장 공간을 갖는 긴 몸통과, 몸통의 개방단부를 폐쇄하기 위하여 몸통의 상단부에 결합되어 있으며 음료수의 유출을 위한 입구가 형성되어 있는 뚜껑으로 구성되어 있다. 텀블러는 일반적인 컵이나 일회용 용기에 비하여 보온성이나 휴대성이 좋아 최근 뜨거운 음료수나 차가운 음료수를 담는 용기로 많이 사용된다.
특히 최근에는 테이크아웃 커피점에서도 텀블러로 사용이 증가하고 있으며, 가정이나 사무실에서도 장시간 음료를 보관하면서 음용하기 위하여 점차 사용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이렇게 사용이 증가하는 추세에 있는 텀블러는 소비자가 직접 구매하는 경우도 많지만 특정 회사에서 대량 구매하여 소비자에게 판촉물로서 제공하는 경우도 많다.
이렇게 판촉물로 제공되는 텀블러는 정확하게 최종 소비자에게 전달 되었는지를 관리할 필요성이 있으며, 또한 소비자에게 적절한 마케팅을 실시할 중요한 단서가 될수 있다.
한편, RFID 시스템에 사용되는 태그는 기존의 바코드와는 달리 반도체 칩을 사용하여 무선으로 칩 내부에 저장된 정보를 읽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새로운 내용을 기록할 수 있다.
특히, 비접촉식 기술이고 장거리 정보 송수신이 가능하여 한 번에 많은 태그의 정보를 동시에 읽을 수 있으며, 인식속도도 매우 뛰어나서 작업 효율성 측면에서 상당한 우위를 확보할 수 있다. RFID 기술의 가장 큰 장점은 태그에 정보를 기록할 수 있는 양이 다른 매체에 비해 획기적으로 늘어났다는 점이다. 정보 저장량이 늘어나면서 상품정보나 생산정보와 같은 다양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최근, RFID기술의 일종인 NFC(Near Field Communication)가 주목받고 있다.
NFC(Near Field Communication)는 무선태그(RFID) 기술 중 하나로 13.56MHz의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비접촉식 통신 기술이다. 통신거리가 짧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보안이 우수하고 가격이 저렴해 주목받는 차세대 근거리 통신 기술이다. 데이터 읽기와 쓰기 기능을 모두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일반 RFID 사용을 위해 필요했던 리더기가 필요하지 않고, 블루투스 등 기존의 근거리 통신 기술과 비슷하지만 블루투스처럼 기기 간 설정을 하지 않아도 되는 장점이 있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75003호(2014년10월22일)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NFC 태그를 이용하여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 내지는 필요성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NFC 태그를 이용하는 텀블러 및 텀블러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하여, 판촉물로 제공되는 텀블러의 재고 관리를 정확하게 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NFC 태그에 태그 고유ID라는 최소한의 정보만을 저장하도록 하여 텀블러 판매자나 최종 소비자가 NFC 태그에 많은 정보를 저장하는 번거로움을 최소화 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중계 서버를 통하여 사용자가 NFC 태그를 통해 접속할 URL을 관리하여 접속 URL의 변경을 용이하게 하고 소비자에게 다양한 형태의 접속 환경을 제공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마케팅 기획자가 사용자의 접속 횟수, 계절 또는 시간에 따라서 접속될 URL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마케팅 기획이 용이해지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NFC 태그 안착부를 텀블러에 형성하여 텀블러와 NFC 태그의 결합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예와 관련된 NFC 태그를 이용하는 텀블러 및 텀블러 서비스 시스템은 외부 케이스(101)와 상기 외부 케이스(101) 내부에서 열전달을 차단하도록 배치되는 내부 케이스(102)와 상기 내부 케이스(102) 상측에 형성되는 텀블러 뚜껑(103)이 구비되는 텀블러(100);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텀블러(100)의 상기 외부 케이스(101) 또는 상기 텀블러 뚜껑(103)에 부착되도록 장식면(201), 접착면(203) 및 태그 고유ID(501)가 저장되는 NFC 모듈(202)로 구비되는 NFC 태그(200); 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 상기 NFC 태그(200)로부터 상기 태그 고유ID(501)를 근거리 통신으로 수신하여 중계 서버(400)에 접속하도록 사용자 어플리케이션(301)이 구비되는 사용자 단말기(300);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기(300)로부터 상기 태그 고유ID(501)가 수신되는 경우에 상기 태그 고유ID(501)과 사전에 매핑된 접속 URL(502)에 상기 사용자 단말기(300)를 접속시키도록 구비되는 중계 서버(400); 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중계 서버(400)는 상기 태그 고유ID(501)와 상기 접속 URL(502)의 매핑 정보가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부(401)와 상기 접속 URL(502)의 정상 상태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 모듈(402)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NFC 태그(200)는 상기 텀블러 뚜껑(103) 상부면 또는 상기 외부 케이스(101)의 외부면에 부착되도록 상기 장식면(201)을 상부에 형성하고, 상기 장식면(201) 하부에는 상기 NFC 모듈(202)과, 상기 NFC 모듈(202) 하부에서 상기 텀블러(100)에 접착되도록 형성되는 상기 접착면(203)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텀블러(100)는 상기 텀블러 뚜껑(103) 상부면 또는 상기 외부 케이스(101)의 외부면에 상기 NFC 태그(200)의 외부 형태 및 상기 NFC 태그(200)의 두께와 일치되도록 태그 안착부(104)를 형성하여 상기 텀블러 뚜껑(103) 상부면 또는 상기 외부 케이스(101)의 외부면의 높이가 상기 장식면(201)과 일치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NFC 태그(200)는 상기 내부 케이스(102) 상측의 상기 텀블러 뚜껑(103) 하부면에 배치되도록 상기 장식면(201) 주위에 상기 접착면(203)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NFC 태그(200)는 상기 장식면(201) 하부에 상기 NFC 모듈(202)을 배치하고 상기 NFC 모듈(202) 하부에서 상기 텀블러 뚜껑(103) 하부면에 부착되는 접착면을 더 포함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300)의 상기 사용자 어플리케이션(301)은 상기 NFC 태그(200)에 근거리 접촉시 상기 태그 고유ID(501)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300)의 전화번호와 사용자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태깅 정보를 상기 중계 서버(400)에 전송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계 서버(400)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300)로부터 상기 태깅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에 상기 태깅 정보와 수신 시각을 상기 데이터베이스부(401)에 저장하고 상기 판단 모듈(402)은 상기 태그 고유ID(501)의 유효성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태깅 정보에 포함되는 상기 태그 고유ID(501)에 매핑되는 상기 접속 URL(502)을 검색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부(401)의 정상 URL 여부 필드 정보가 정상인 경우에는 상기 접속 URL(502)로 상기 사용자 단말기(300)를 링크시키도록 하며, 비 정상인 경우에는 신규 URL 등록 화면으로 상기 사용자 단말기(300)를 링크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300)를 통해 사용자가 직접 접속 URL을 신규 등록하여 상기 중계 서버(400)의 상기 데이터베이스부(401)에 저장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중계 서버(400)는 상기 데이터베이스부(401)에 상기 태그 고유ID(501) 별로 상기 중계 서버(400)에 접속한 횟수와 상기 접속 URL(502)에 접속한 횟수를 저장하고, 상기 접속 URL(502)의 종류에 따라서 접속 URL 종류별 카운트를 저장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계 서버(400)는 상기 태그 고유ID(501)를 개별단위 입력화면 또는 블록단위 입력화면을 통하여 상기 태그 고유ID(501)를 입력받도록 구비되고,
상기 태그 고유ID(501)와 상기 접속 URL(502) 매핑이 상기 개별단위 입력화면 또는 상기 블록단위 입력화면에서 동시에 입력 처리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계 서버(400)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300)로부터 상기 태그 고유ID(501)가 포함되는 정보가 최초로 수신되는 경우에 상기 데이터베이스부(401)에 상기 태그 고유ID(501)의 상기 중계 서버(400)의 상기 데이터베이스부(401)에 접속 횟수를 1로 저장하고 상기 태그 고유ID(501)의 배포 상태를 배포 완료로 갱신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NFC 태그를 이용하는 텀블러 및 텀블러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하여,
첫째, 판촉물로 제공되는 텀블러의 재고 관리를 정확하게 할 수 있다.
둘째, NFC 태그에 태그 고유ID라는 최소한의 정보만을 저장하도록 하여 텀블러 판매자나 최종 소비자가 NFC 태그에 많은 정보를 저장하는 번거로움을 최소화 하도록 할 수 있다.
셋째, 중계 서버를 통하여 사용자가 NFC 태그를 통해 접속할 URL을 관리하여 접속 URL의 변경을 용이하게 하고 소비자에게 다양한 형태의 접속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넷째, 마케팅 기획자가 사용자의 접속 횟수, 계절 또는 시간에 따라서 접속될 URL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마케팅 기획이 용이해지도록 한다.
다섯째, NFC 태그 안착부를 텀블러에 형성하여 텀블러와 NFC 태그의 결합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NFC 태그를 이용하는 텀블러 및 텀블러 서비스 시스템의 텀블러 외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NFC 태그를 이용하는 텀블러 및 텀블러 서비스 시스템의 텀블러 뚜겅과 내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NFC 태그를 이용하는 텀블러 및 텀블러 서비스 시스템에서 텀블러에 NFC 태그가 부착된 내용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NFC 태그를 이용하는 텀블러 및 텀블러 서비스 시스템의 NFC 태그의 적층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NFC 태그를 이용하는 텀블러 및 텀블러 서비스 시스템의 텀블러에 NFC 태그 안착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NFC 태그를 이용하는 텀블러 및 텀블러 서비스 시스템의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NFC 태그를 이용하는 텀블러 및 텀블러 서비스 시스템에서 접속 URL을 연결시키는 내용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8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NFC 태그를 이용하는 텀블러 및 텀블러 서비스 시스템의 접속 URL 연결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들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들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NFC 태그를 이용하는 텀블러 및 텀블러 서비스 시스템의 텀블러 외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NFC 태그를 이용하는 텀블러 및 텀블러 서비스 시스템의 텀블러 뚜겅과 내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NFC 태그를 이용하는 텀블러 및 텀블러 서비스 시스템에서 텀블러에 NFC 태그가 부착된 내용을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4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NFC 태그를 이용하는 텀블러 및 텀블러 서비스 시스템의 NFC 태그의 적층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5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NFC 태그를 이용하는 텀블러 및 텀블러 서비스 시스템의 텀블러에 NFC 태그 안착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고, 도 6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NFC 태그를 이용하는 텀블러 및 텀블러 서비스 시스템의 시스템 구성도이고, 도 7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NFC 태그를 이용하는 텀블러 및 텀블러 서비스 시스템에서 접속 URL을 연결시키는 내용을 나타낸 순서도이며, 도 8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NFC 태그를 이용하는 텀블러 및 텀블러 서비스 시스템의 접속 URL 연결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 및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케이스(101)와 상기 외부 케이스(101) 내부에서 열전달을 차단하도록 배치되는 내부 케이스(102)와 상기 내부 케이스(102) 상측에 형성되는 텀블러 뚜껑(103)를 포함하는 텀블러(100)가 구비된다.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텀블러(100)의 상기 외부 케이스(101) 또는 상기 텀블러 뚜껑(103)에 부착되도록 장식면(201), 접착면(203) 및 태그 고유ID(501)가 저장되는 NFC 모듈(202)이 포함되는 NFC 태그(200)가 포함된다.
여기에, 상기 NFC 태그(200)로부터 상기 태그 고유ID(501)를 근거리 통신으로 수신하여 중계 서버(400)에 접속하도록 사용자 어플리케이션(301)이 구비되는 사용자 단말기(300)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300)로부터 상기 태그 고유ID(501)가 수신되는 경우에 상기 태그 고유ID(501)과 사전에 매핑된 접속 URL(502)에 상기 사용자 단말기(300)를 접속시키도록 구비되는 중계 서버(400)가 구비되는 것이다.
상기 중계 서버(400)는 상기 태그 고유ID(501)와 상기 접속 URL(502)의 매핑 정보가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부(401)와 상기 접속 URL(502)의 정상 상태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 모듈(402)이 구비된다.
상기 NFC 태그(200)는 상기 텀블러 뚜껑(103) 상부면 또는 상기 외부 케이스(101)의 외부면에 부착되도록 상기 장식면(201)을 상부에 형성하고, 상기 장식면(201) 하부에는 상기 NFC 모듈(202)과, 상기 NFC 모듈(202) 하부에서 상기 텀블러(100)에 접착되도록 형성되는 상기 접착면(203)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텀블러(100)에는 상기 텀블러 뚜껑(103) 상부면 또는 상기 외부 케이스(101)의 외부면에 상기 NFC 태그(200)의 외부 형태 및 상기 NFC 태그(200)의 두께와 일치되도록 태그 안착부(104)를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성하여 상기 텀블러 뚜껑(103) 상부면 또는 상기 외부 케이스(101)의 외부면의 높이가 상기 장식면(201)과 일치되도록 구비된다.
이렇게 태그 안착부(104)를 이용하여 상기 텀블러(100) 세척시 상기 NFC 태그(200)이 쉽게 떨어져 나가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NFC 태그(200)는 상기 내부 케이스(102) 상측의 상기 텀블러 뚜껑(103) 하부면에 배치되도록 상기 장식면(201) 주위에 상기 접착면(203)이 형성되는 것도 바람직하며, 이 경우 상기 NFC 태그(200)는 상기 장식면(201) 하부에 상기 NFC 모듈(202)을 배치하고 상기 NFC 모듈(202) 하부에서 상기 텀블러 뚜껑(103) 하부면에 부착되는 접착면을 더 포함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300)의 상기 사용자 어플리케이션(301)은 상기 NFC 태그(200)에 근거리 접촉시 상기 태그 고유ID(501)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300)의 전화번호와 사용자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태깅 정보를 상기 중계 서버(400)에 전송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중계 서버(400)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300)로부터 상기 태깅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에 상기 태깅 정보와 수신 시각을 상기 데이터베이스부(401)에 저장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판단 모듈(402)은 상기 태그 고유ID(501)의 유효성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태깅 정보에 포함되는 상기 태그 고유ID(501)에 매핑되는 상기 접속 URL(502)을 검색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부(401)의 정상 URL 여부 필드 정보가 정상인 경우에는 상기 접속 URL(502)로 상기 사용자 단말기(300)를 링크시키도록 하며, 비 정상인 경우에는 신규 URL 등록 화면으로 상기 사용자 단말기(300)를 링크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300)를 통해 사용자가 직접 접속 URL을 신규 등록하여 상기 중계 서버(400)의 상기 데이터베이스부(401)에 저장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중계 서버(400)는 상기 데이터베이스부(401)에 상기 태그 고유ID(501) 별로 상기 중계 서버(400)에 접속한 횟수와 상기 접속 URL(502)에 접속한 횟수를 저장하고, 상기 접속 URL(502)의 종류에 따라서 접속 URL 종류별 카운트를 저장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중계 서버(400)는 상기 태그 고유ID(501)를 개별단위 입력화면 또는 블록단위 입력화면을 통하여 상기 태그 고유ID(501)를 입력받도록 구비되고, 상기 태그 고유ID(501)와 상기 접속 URL(502) 매핑이 상기 개별단위 입력화면 또는 상기 블록단위 입력화면에서 동시에 입력 처리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중계 서버(400)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300)로부터 상기 태그 고유ID(501)가 포함되는 정보가 최초로 수신되는 경우에 상기 데이터베이스부(401)에 상기 태그 고유ID(501)의 상기 중계 서버(400)의 상기 데이터베이스부(401)에 접속 횟수를 1로 저장하고 상기 태그 고유ID(501)의 배포 상태를 배포 완료로 갱신하도록 구비된다.
이럴게 구비되는 상기 텀블러(100)에 부착된 상기 NFC 태그(200)에 상기 사용자 단말기(300)을 태깅하면, 상기 중계 서버(400)에 상기태그 고유ID(501), 전화번호 및 위치정보가 수신되는 것이다.
상기 중계 서버(400)는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효한 태그 고유ID 여부를 판단하여 사전에 매핑된 접속 URL로 사용자 단말기를 링크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마케팅 기획자는 사용자의 접속 횟수에 따라서 접속 URL을 다양하게 할 수도 있으며, 계절별 또는 마키팅 프로모션 목적에 따라 다양한 접속 URL을 사전에 준비하여 상기 태그 고유ID와 매핑시키고 그 접속 정보를 관라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텀블러가 고객에게 제공되어 사용자 단말기로 중계 서버에 접속하는 경우 텀블러가 고객에게까지 최종 전달 되었는지 여부를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확인할 수 있으며, 접속 시간과 연락 전화번호를 확인하여 판촉 대상 고객인지를 정확하게 판별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NFC 태그를 이용하는 텀블러 및 텀블러 서비스 시스템을 이용하여, 판촉물로 제공되는 텀블러의 재고 관리를 정확하게 할 수 있으며, NFC 태그에 태그 고유ID라는 최소한의 정보만을 저장하도록 하여 텀블러 판매자나 최종 소비자가 NFC 태그에 많은 정보를 저장하는 번거로움을 최소화 하며, 중계 서버를 통하여 사용자가 NFC 태그를 통해 접속할 URL을 관리하여 접속 URL의 변경을 용이하게 하고 소비자에게 다양한 형태의 접속 환경을 제공할 수 있으며, 마케팅 기획자가 사용자의 접속 횟수, 계절 또는 시간에 따라서 접속될 URL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마케팅 기획이 용이해지는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은 바람직한 일실시 예를 통하여 설명하였는데, 상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가 가능함은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보호범위는 특정 실시예가 아니라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도응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 되어야 될 것이다.
100 ... 텀블러
101 ... 외부 케이스
102 ... 내부 케이스
103 ... 텀블러 뚜껑
104 ... 태그 안착부
200 ... NFC 태그
201 ... 장식면
202 ... NFC 모듈
203 ... 접착면
300 ... 사용자 단말기
301 ... 어플리케이션
400 ... 중계서버
401 ... 데이터베이스부
402 ... 판단 모듈
600 ... 외부 서버
501 ... 태그 고유ID
502 ... 접속 URL

Claims (10)

  1. 외부 케이스(101)와 상기 외부 케이스(101) 내부에서 열전달을 차단하도록 배치되는 내부 케이스(102)와 상기 내부 케이스(102) 상측에 형성되는 텀블러 뚜껑(103)이 구비되는 텀블러(100);
    상기 텀블러(100)의 상기 외부 케이스(101) 또는 상기 텀블러 뚜껑(103)에 부착되도록 장식면(201), 접착면(203) 및 태그 고유ID(501)가 저장되는 NFC 모듈(202)로 구비되는 NFC 태그(200);
    상기 NFC 태그(200)로부터 상기 태그 고유ID(501)를 근거리 통신으로 수신하여 중계 서버(400)에 접속하도록 사용자 어플리케이션(301)이 구비되는 사용자 단말기(300);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300)로부터 상기 태그 고유ID(501)가 수신되는 경우에 상기 태그 고유ID(501)과 사전에 매핑된 접속 URL(502)에 상기 사용자 단말기(300)를 접속시키도록 구비되는 중계 서버(400); 를 포함하되,
    상기 중계 서버(400)는,
    상기 태그 고유ID(501)와 상기 접속 URL(502)의 매핑 정보가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부(401)와 상기 접속 URL(502)의 정상 상태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 모듈(402)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NFC 태그를 이용하는 텀블러 및 텀블러 서비스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NFC 태그(200)는,
    상기 텀블러 뚜껑(103) 상부면 또는 상기 외부 케이스(101)의 외부면에 부착되도록 상기 장식면(201)을 상부에 형성하고, 상기 장식면(201) 하부에는 상기 NFC 모듈(202)과, 상기 NFC 모듈(202) 하부에서 상기 텀블러(100)에 접착되도록 형성되는 상기 접착면(203)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NFC 태그를 이용하는 텀블러 및 텀블러 서비스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텀블러(100)는,
    상기 텀블러 뚜껑(103) 상부면 또는 상기 외부 케이스(101)의 외부면에 상기 NFC 태그(200)의 외부 형태 및 상기 NFC 태그(200)의 두께와 일치되도록 태그 안착부(104)를 형성하여 상기 텀블러 뚜껑(103) 상부면 또는 상기 외부 케이스(101)의 외부면의 높이가 상기 장식면(201)과 일치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NFC 태그를 이용하는 텀블러 및 텀블러 서비스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NFC 태그(200)는,
    상기 내부 케이스(102) 상측의 상기 텀블러 뚜껑(103) 하부면에 배치되도록 상기 장식면(201) 주위에 상기 접착면(203)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NFC 태그를 이용하는 텀블러 및 텀블러 서비스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NFC 태그(200)는,
    상기 장식면(201) 하부에 상기 NFC 모듈(202)을 배치하고 상기 NFC 모듈(202) 하부에서 상기 텀블러 뚜껑(103) 하부면에 부착되는 접착면을 더 포함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NFC 태그를 이용하는 텀블러 및 텀블러 서비스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300)의 상기 사용자 어플리케이션(301)은,
    상기 NFC 태그(200)에 근거리 접촉시 상기 태그 고유ID(501)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300)의 전화번호와 사용자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태깅 정보를 상기 중계 서버(400)에 전송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NFC 태그를 이용하는 텀블러 및 텀블러 서비스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 서버(400)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300)로부터 상기 태깅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에
    상기 태깅 정보와 수신 시각을 상기 데이터베이스부(401)에 저장하고
    상기 판단 모듈(402)은,
    상기 태그 고유ID(501)의 유효성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태깅 정보에 포함되는 상기 태그 고유ID(501)에 매핑되는 상기 접속 URL(502)을 검색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부(401)의 정상 URL 여부 필드 정보가 정상인 경우에는 상기 접속 URL(502)로 상기 사용자 단말기(300)를 링크시키도록 하며, 비 정상인 경우에는 신규 URL 등록 화면으로 상기 사용자 단말기(300)를 링크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300)를 통해 사용자가 직접 접속 URL을 신규 등록하여 상기 중계 서버(400)의 상기 데이터베이스부(401)에 저장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NFC 태그를 이용하는 텀블러 및 텀블러 서비스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 서버(400)는,
    상기 데이터베이스부(401)에 상기 태그 고유ID(501) 별로 상기 중계 서버(400)에 접속한 횟수와 상기 접속 URL(502)에 접속한 횟수를 저장하고,
    상기 접속 URL(502)의 종류에 따라서 접속 URL 종류별 카운트를 저장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NFC 태그를 이용하는 텀블러 및 텀블러 서비스 시스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 서버(400)는,
    상기 태그 고유ID(501)를 개별단위 입력화면 또는 블록단위 입력화면을 통하여 상기 태그 고유ID(501)를 입력받도록 구비되고,
    상기 태그 고유ID(501)와 상기 접속 URL(502) 매핑이 상기 개별단위 입력화면 또는 상기 블록단위 입력화면에서 동시에 입력 처리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NFC 태그를 이용하는 텀블러 및 텀블러 서비스 시스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 서버(400)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300)로부터 상기 태그 고유ID(501)가 포함되는 정보가 최초로 수신되는 경우에 상기 데이터베이스부(401)에 상기 태그 고유ID(501)의 상기 중계 서버(400)의 상기 데이터베이스부(401)에 접속 횟수를 1로 저장하고 상기 태그 고유ID(501)의 배포 상태를 배포 완료로 갱신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NFC 태그를 이용하는 텀블러 및 텀블러 서비스 시스템.



KR1020170173762A 2017-12-18 2017-12-18 Nfc 태그를 이용하는 텀블러 및 서비스 제공 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20896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3762A KR102089621B1 (ko) 2017-12-18 2017-12-18 Nfc 태그를 이용하는 텀블러 및 서비스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3762A KR102089621B1 (ko) 2017-12-18 2017-12-18 Nfc 태그를 이용하는 텀블러 및 서비스 제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2739A true KR20190072739A (ko) 2019-06-26
KR102089621B1 KR102089621B1 (ko) 2020-04-28

Family

ID=671050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3762A Expired - Fee Related KR102089621B1 (ko) 2017-12-18 2017-12-18 Nfc 태그를 이용하는 텀블러 및 서비스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9621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95230A (ko) * 2004-03-25 2005-09-29 주식회사 첫눈 사용자 방문 유알엘 로그를 이용한 정보 서비스 및 정보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0979740B1 (ko) * 2009-09-01 2010-09-02 주식회사 로그 접속 정보 생성 장치 및 방법
KR101231784B1 (ko) * 2012-04-03 2013-02-08 연광일 엔에프씨를 이용한 고객 단말기와 영업점포 단말기 간의 정보교환 방법
KR20140099389A (ko) * 2013-02-01 2014-08-12 한문정 금융 피싱 사기 문자 탐지 및 차단 시스템 및 그 금융 피싱 사기 문자 탐지 및 차단 방법
KR200475003Y1 (ko) 2013-09-10 2014-11-03 우충일 탈착식 티필터가 구비된 텀블러
KR101730565B1 (ko) * 2015-04-14 2017-04-26 주식회사 젤리코스터 스마트 텀블러 및 이를 이용한 음료수 추천 서비스 방법
JP2017134450A (ja) * 2016-01-25 2017-08-03 サーモス株式会社 容器及び情報提供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95230A (ko) * 2004-03-25 2005-09-29 주식회사 첫눈 사용자 방문 유알엘 로그를 이용한 정보 서비스 및 정보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0979740B1 (ko) * 2009-09-01 2010-09-02 주식회사 로그 접속 정보 생성 장치 및 방법
KR101231784B1 (ko) * 2012-04-03 2013-02-08 연광일 엔에프씨를 이용한 고객 단말기와 영업점포 단말기 간의 정보교환 방법
KR20140099389A (ko) * 2013-02-01 2014-08-12 한문정 금융 피싱 사기 문자 탐지 및 차단 시스템 및 그 금융 피싱 사기 문자 탐지 및 차단 방법
KR200475003Y1 (ko) 2013-09-10 2014-11-03 우충일 탈착식 티필터가 구비된 텀블러
KR101730565B1 (ko) * 2015-04-14 2017-04-26 주식회사 젤리코스터 스마트 텀블러 및 이를 이용한 음료수 추천 서비스 방법
JP2017134450A (ja) * 2016-01-25 2017-08-03 サーモス株式会社 容器及び情報提供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9621B1 (ko) 2020-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93779B2 (en) Radio transmitter device for use in method and system for monitoring, controlling and optimizing flow of products
KR101759091B1 (ko) 무인 음식점 시스템
CN102514827B (zh) 带rfid标签的金属物品
US7864053B2 (en) Visibility radio cap and network
CN102645083A (zh) 一种基于射频识别技术的智能冰箱及其工作方法
US20210038001A1 (en) Beverage Coaster, System Having a Beverage Coaster, and Method for Data Communication in a System Having a Beverage Coaster
JP2019138493A (ja) 冷蔵庫、商品発注方法及び商品発注システム
US20090146804A1 (en) Two-Tiered Networked Identification Cards
US8710990B2 (en) Visibility radio cap and network
US11763281B2 (en) Radio transmitter device for use in method and system for monitoring, controlling and optimizing flow of products
WO2018122363A1 (en) Dual uhf and nfc bottle tag
KR102089621B1 (ko) Nfc 태그를 이용하는 텀블러 및 서비스 제공 방법
JP5029138B2 (ja) 個人用容器および自動販売装置
CN104680105B (zh) 具有嵌入rfid的无线电设备
CN204423434U (zh) 一种基于物联网的物品流经地记录系统
CN118172071A (zh) 一种基于rfid标签的酒水信息标定与防伪溯源系统及装置
US20240160885A1 (en) User identification system of a beverage machine
JP2008293324A (ja) 情報交換システム
US20240086884A1 (en) Radio transmitter device for use in method and system for monitoring, controlling and optimizing flow of products
AU2024202422A1 (en) Re-usable beverage cups, food containers and lids and method, device and server for tracking possession thereof
CN212302541U (zh) 购物管理装置
US20190325425A1 (en) Reusable Cup Sleeve with Scannable Payment System
WO2022051722A1 (en) Radio transmitter device for use in method and system for monitoring, controlling and optimizing flow of products
WO2018104795A1 (en) System and method, using coolers, for reading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tags and transmitting data wirelessly
KR20220079020A (ko) 높은 신뢰성 및 스마트물류 비용절감 구현을 위한 패시브 식별센싱태그 및 이를 포함하는 신선물류 관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121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12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627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200305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31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0031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31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412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