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72731A - 방송 서비스의 반송률 측정 장치 - Google Patents

방송 서비스의 반송률 측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72731A
KR20190072731A KR1020170173750A KR20170173750A KR20190072731A KR 20190072731 A KR20190072731 A KR 20190072731A KR 1020170173750 A KR1020170173750 A KR 1020170173750A KR 20170173750 A KR20170173750 A KR 20170173750A KR 20190072731 A KR20190072731 A KR 201900727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eiver
channel
channels
threshold value
instr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37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81221B1 (ko
Inventor
백원장
Original Assignee
애니포인트미디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애니포인트미디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애니포인트미디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737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1221B1/ko
Priority to EP18891395.8A priority patent/EP3731439A4/en
Priority to JP2020533105A priority patent/JP7281823B2/ja
Priority to PCT/KR2018/014241 priority patent/WO2019124762A1/ko
Priority to CN201880081649.7A priority patent/CN111602348B/zh
Publication of KR201900727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27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12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1221B1/ko
Priority to US16/894,856 priority patent/US10911169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4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monitoring of server load, available bandwidth, upstream requests
    • H04N21/2408Monitoring of the up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e.g. client reques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28Arrangements for simultaneous broadcast of plural pieces of information
    • H04H20/33Arrangements for simultaneous broadcast of plural pieces of information by plural chan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29Arrangements for monitoring broadcast services or broadcast-related services
    • H04H60/33Arrangements for monitoring the users' behaviour or opin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58Client or end-user data management, e.g. managing client capabilities, user preferences or demographics, processing of multiple end-users preferences to derive collaborative data
    • H04N21/25866Management of end-user data
    • H04N21/25891Management of end-user data being end-user prefer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2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detecting the failure of a recording device, monitoring the downstream bandwidth,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the storage space available from the internal hard disk
    • H04N21/44204Monitoring of content usage, e.g.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copied or the amount which has been watch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2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detecting the failure of a recording device, monitoring the downstream bandwidth,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the storage space available from the internal hard disk
    • H04N21/44213Monitoring of end-user related data
    • H04N21/44222Analytics of user selections, e.g. selection of programs or purchase activ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5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client and server
    • H04N21/658Transmission by the client directed to the server
    • H04N21/6582Data stored in the client, e.g. viewing habits, hardware capabilities, credit card numb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2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advertisement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arket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하나 이상의 메모리; 및 상기 하나 이상의 메모리에 저장되며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서 실행되도록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을 포함하되,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은, 방송 서비스를 수신하여 제공하는 제1 수신기 내지 제n 수신기(단 n은 2이상의 자연수)로부터, 상기 방송 서비스의 제1 채널 내지 제m 채널(단 m은 2이상의 자연수) 중 미리 지정된 하나 이상의 채널이 상기 제1 수신기 내지 상기 제n 수신기를 통하여 제공한 내역을 적어도 포함하는 제1 서비스 제공 정보 내지 제n 서비스 제공 정보를 각각 수신하는 제1 인스트럭션; 상기 제1 서비스 제공 정보 내지 상기 제n 서비스 제공 정보를 분석하여, 미리 지정된 기간 동안 상기 하나 이상의 채널이 상기 제1 수신기 내지 상기 제n 수신기를 통하여 제1 임계값 이상의 시간 동안 제공된 회수를 기초로 제1 회수를 결정하고, 상기 미리 지정된 기간 동안 상기 하나 이상의 채널이 상기 제1 수신기 내지 상기 제n 수신기를 통하여 상기 제1 임계값 이상이고 상기 제2 임계값 이하의 시간 동안 제공된 회수를 기초로 제2 회수를 결정하는 제2 인스트럭션; 및 상기 제1 회수 및 상기 제2 회수를 기초로 상기 하나 이상의 채널에 관련된 반송률 정보를 추출하는 제3 인스트럭션을 포함하는 것인 방송 서비스의 반송률 측정 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방송 서비스의 반송률 측정 장치{APPARATUS OF MEASURING BOUNCE RATE OF BROADCASTING SERVICE}
본 발명은 방송 서비스의 반송률(bounce rate)을 측정하는 반송률 측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신 기술 및 컴퓨팅 기술의 발전에 따라서, 방송 서비스도 빠르게 발전하고 있다. 한편 방송 서비스의 효율성을 평가하기 위한 목적으로, 방송 서비스의 시청률이 측정된다. 예컨대 방송 서비스 제공자는 방송 서비스를 시청하는 시청자의 방송 서비스 만족도와 같은 품질을 파악하기 위한 기준으로서 시청률을 사용할 수 있고, 광고주는 방송 서비스에 광고를 내는 경우 광고 효과를 판단하기 위한 기준으로서 시청률을 사용할 수 있다.
시청률은 예컨대 지역, 나이, 성별 및 학력 별로 고르게 분포된 표본 집단을 선정한 뒤 표본 집단에 제공된 방송 서비스에 대한 시청 행태 정보를 수집하는 것에 의해서 측정된다.
그러나 종래의 시청률을 측정하는 방식은 표본 집단에 대해서 측정되므로, 실제 시청률과는 차이가 있다. 또한 시청률을 측정하기 위해서 복잡한 방식을 사용하므로, 표본 집단에 대한 시청률조차도 정확하게 측정되지 못하는 단점도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 예컨대 한국전자통신연구원에 의해서 2012년 8월 17일자로 출원되고 2017년 6월 22일자로 등록된 "시청행태 인식기반의 시청률 및 광고효과 분석 방법 및 시스템"이라는 명칭의 한국 등록특허 제10-1751708호(특허문헌 1)는 시청자를 촬영한 영상을 입력받고 이를 기초로 시청자 인식 정보를 생성한 후, 이를 기초로 시청 행태 정보를 생성하는 것에 의해서, 보다 정확하게 표본 집단의 시청률을 측정하는 구성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등록특허 제10-1751708호에 개시된 방식 역시 시청률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미리 시청자를 등록하는 것과 같은 복잡한 방식을 그대로 사용하고 있다.
한편 반송률은 일반적으로 웹 사이트의 접속자가 웹 사이트에 접속했으나 사이트 내에서 다른 페이지로 접속하거나 정보를 얻지 않고 그냥 이탈하는 비율을 지칭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반송률은 예컨대 웹 사이트가 시작 페이지 및 시작 페이지에 링크되는 하위 계층 페이지를 구비하는 경우, 접속자가 시작 페이지에 접속했지만 하위 계층 페이지로 접속하지 않고 이탈하는 비율을 지칭한다. 반송률이 높다는 것은 접속자가 웹 사이트를 접속하더라도 제품을 구매하는 것과 같은 행동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낮다는 것을 의미하고, 반송률이 낮다는 것은 접속자가 제품을 구매하는 것과 같은 행동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반송률은 특히 인터넷의 웹 사이트를 평가하기 위한 기준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반송률은 특히 웹 페이지와 같은 인터넷 서비스에서 적용되는 기준으로서, 방송 서비스에서는 적용되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다. 즉 방송 서비스는 웹 페이지와는 달리 컨텐츠가 연속적으로 제공되는 방식을 취하고 있으므로, 시작 페이지가 존재하지 않으며, 마찬가지로 하위 계층 페이지도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방송 서비스에서는, 인터넷 서비스에 적용되는 반송률을 그대로 적용하지 못한다.
1. 한국 등록특허 제10-1751708호.
본 발명의 목적은 시청자가 채널을 선택한 후 해당 채널로부터 이탈하는 행위를 기초로 생성된 서비스 제공 정보를 이용하여 방송 서비스의 반송률을 측정하는 반송률 측정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방송 서비스를 수신하여 제공하는 제1 수신기 내지 제n 수신기(단 n은 2이상의 자연수)로부터, 상기 방송 서비스의 제1 채널 내지 제m 채널(단 m은 2이상의 자연수) 중 미리 지정된 하나 이상의 채널이 상기 제1 수신기 내지 상기 제n 수신기를 통하여 제공한 내역을 적어도 포함하는 제1 서비스 제공 정보 내지 제n 서비스 제공 정보를 각각 수신하는 제1 인스트럭션; 상기 제1 서비스 제공 정보 내지 상기 제n 서비스 제공 정보를 분석하여, 미리 지정된 기간 동안 상기 하나 이상의 채널이 상기 제1 수신기 내지 상기 제n 수신기를 통하여 제1 임계값 이상의 시간 동안 제공된 회수를 기초로 제1 회수를 결정하고, 상기 미리 지정된 기간 동안 상기 하나 이상의 채널이 상기 제1 수신기 내지 상기 제n 수신기를 통하여 상기 제1 임계값 이상이고 상기 제2 임계값 이하의 시간 동안 제공된 회수를 기초로 제2 회수를 결정하는 제2 인스트럭션; 및 상기 제1 회수 및 상기 제2 회수를 기초로 상기 하나 이상의 채널에 관련된 반송률 정보를 추출하는 제3 인스트럭션을 포함하는 것인 방송 서비스의 반송률 측정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시청자가 채널을 선택한 후 해당 채널로부터 이탈하는 행위를 기초로 생성된 서비스 제공 정보를 이용하여 방송 서비스의 반송률을 측정하는 반송률 측정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방송 서비스의 특정 채널에 관련된 반송률을 측정하거나, 특정 수신기에 관련된 반송률을 측정하거나, 방송 서비스를 통하여 제공되는 특정 컨텐츠에 관련된 반송률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측정된 방송 서비스의 반송률들을 기초로 보다 효율적으로 방송 서비스의 품질을 평가하거나 시청자의 관심 사항을 파악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서 측정된 반송률을 기초로 기존의 방송 서비스의 시청률로는 파악하지 못하던 시청자의 반응과 같은 추가적인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서 측정된 반송률을 기초로 특정 채널, 특정 컨텐츠 또는 특정 수신기에 대한 시청자의 관심도를 추출할 수도 있다. 즉 반송률이 낮으면 관심도가 높다는 것을 의미하고 반송률이 높으면 관심도가 낮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서 측정된 반송률은 그 단독으로 또는 기존의 시청률과 조합하여, 방송 서비스의 품질을 평가하거나 시청자의 관심 사항을 파악하는 기준으로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반송률 측정 장치의 예시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반송률 측정 장치가 실행되는 시스템 환경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반송률 측정 장치에 있어서, 편성 정보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반송률 측정 장치가 저장 및 실행하는 프로그램의 예시적인 블록도.
도 5는 수신기에서 채널을 선택하고 채널을 이탈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6 내지 도 8은 도 5에 도시된 과정에 따라서 생성되는 서비스 제공 정보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서비스의 반송률 측정 장치의 실시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실제 구성 중 일부만을 도시하거나 일부를 생략하여 도시하거나 변형하여 도시하거나 또는 축척이 다르게 도시될 수 있다.
<제1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반송률 측정 장치의 예시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반송률 측정 장치(100)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10)와, 하나 이상의 메모리(130)와, 하나 이상의 메모리(130)에 저장되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10)에 의해서 실행되도록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150)을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10)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130)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150)을 판독하고 실행한다.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10)는 예컨대 x개(단 x는 자연수)로 도시되었지만, 예컨대 1개일 수도 있으며 또는 복수 개일 수도 있다. 즉 하나의 프로세서를 이용하여 반송률 측정 장치(100)의 기능을 실행할 수도 있으며, 또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가 연동하여 반송률 측정 장치(100)의 기능을 실행할 수도 있다. 예컨대 제1 프로세서가 연산 기능을 실행하고, 제2 프로세서가 통신 기능을 실행하는 방식을 이용하여 반송률 측정 장치(100)의 기능을 실행할 수도 있다.
하나 이상의 메모리(130)는 프로그램(150)을 저장한다. 하나 이상의 메모리(130)는 예컨대 기록 및 판독이 가능한 비휘발성 메모리 또는 휘발성 메모리와 같은 기록 매체이다. 하나 이상의 메모리(130)는 1개로 도시되었지만 복수 개일 수도 있다.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150)은 예컨대 y개(단 y는 자연수)로 도시되었지만, 예컨대 1개일 수도 있으며 또는 복수 개일 수도 있다. 즉 하나의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반송률 측정 장치(100)의 기능을 구현할 수도 있으며, 또는 복수 개의 프로그램이 연동하여 반송률 측정 장치(100)의 기능을 구현할 수도 있다. 예컨대 제1 프로그램이 연산 기능을 구현하고, 제2 프로그램이 통신 기능을 구현하는 방식으로 반송률 측정 장치(100)의 기능을 구현할 수도 있다.
이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10), 하나 이상의 메모리(130) 및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150)은 각각 "프로세서(110)", "메모리(130)" 및 "프로그램(150)"으로 지칭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반송률 측정 장치가 실행되는 시스템 환경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반송률 측정 장치에 있어서, 방송 서비스의 채널 및 편성 정보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반송률 측정 장치가 실행되는 시스템 환경은 반송률 측정 장치(100)와, 제1 수신기(200-1) 내지 제n 수신기(200-n)를 포함한다(단, n은 2이상의 자연수).
반송률 측정 장치(100)는 방송 서비스의 반송률을 측정하기 위한 장치이다. 반송률 측정 장치(100)는 예컨대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송 서비스 시스템의 일부일 수 있지만, 방송 서비스 시스템과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 반송률 측정 장치(100)는 제1 수신기(200-1) 내지 제n 수신기(200-n)와 방송/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신 및 수신할 수 있다.
제1 수신기(200-1) 내지 제n 수신기(200-n)는 예컨대 디지털 방송을 수신하여 제공하는 셋탑 박스, 텔레비전, 개인용 컴퓨터 및 컴퓨팅 기능을 구비한 이동 통신 단말기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본원 명세서에서 "디지털 방송"은 디지털 지상파 방송, 디지털 케이블 방송, 디지털 위성 방송, DMB 방송, IP-TV, OTT(Over The Top) 및 VOD 방송과 같은 형태의 방송 서비스를 지칭한다. 바람직하게는, 제1 수신기(200-1) 내지 제n 수신기(200-n)는, 예컨대 IP-TV와 같이 양방향 통신이 가능하여, 반송률 측정 장치(100)와 데이터를 송신 및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n은 반송률 측정 장치(100)가 반송률을 측정하기 위해 지정하는 수신기의 개수를 기초로 적절히 결정될 수 있다. 예컨대 반송률 측정 장치(100)가 방송 서비스 시스템에 가입된 전체 수신기들에 관련된 반송률을 측정하는 경우, n은 방송 서비스 시스템에 가입된 전체 수신기들의 개수일 수 있다. 또한 예컨대 반송률 측정 장치(100)가 방송 서비스 시스템에 가입된 수신기들 중에서 특정 그룹의 수신기들에 관련된 반송률을 측정하는 경우, n은 특정 그룹의 수신기들의 개수일 수 있다. 특정 그룹은 예컨대 지역, 수신기의 성능, 요금제 및 가입자의 나이와 같은 파라미터를 기초로 결정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채널 내지 제m 채널(단 m은 2이상의 자연수)에 대한 편성 정보가 예시적으로 도시된다. 편성 정보는 채널을 통하여 제공되는 컨텐츠 및 컨텐츠가 제공되는 시간을 포함한다. m은 반송률 측정 장치(100)가 반송률을 측정하기 위해 지정하는 채널의 개수를 기초로 적정히 결정될 수 있다. 예컨대 반송률 측정 장치(100)가 방송 서비스의 전체 채널들에 관련된 반송률을 측정하는 경우, m은 방송 서비스의 전체 채널들의 개수일 수 있다. 또한 예컨대 반송률 측정 장치(100)가 방송 서비스의 전체 채널들 중 특정 그룹의 채널들에 관련된 반송률을 측정하는 경우, m은 특정 그룹의 채널들의 개수일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채널(300-1)에 대한 편성 정보는 예컨대 제1 컨텐츠, 제1 광고, 제2 컨텐츠, 제2 광고 및 제3 컨텐츠를 순서대로 제공하도록 구성되고, 제2 채널(300-2)에 대한 편성 정보는 예컨대 제4 컨텐츠, 제3 광고, 제5 컨텐츠, 제4 광고 및 제1 컨텐츠를 순서대로 제공하도록 구성되고, 제m 채널(300-m)에 대한 편성 정보는 예컨대 제6 컨텐츠, 제5 광고, 제1 컨텐츠, 제6 광고 및 제7 컨텐츠를 순서대로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도 3에 예시적으로 도시되듯이, 제1 채널(300-1) 내지 제m 채널(300-m)에 대한 편성 정보는 모두 제1 컨텐츠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제1 채널(300-1) 내지 제m 채널(300-m)에 대한 편성 정보가 모두 제1 컨텐츠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경우, 후술하는 컨텐츠에 관련된 반송률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본원 명세서에서 방송 서비스의 품질을 평가하기 위한 자료로서 "반송률"을 정의하여 사용한다. 본원 명세서에서 반송률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a) 채널에 관련된 반송률
채널에 관련된 반송률은 제1 채널(300-1) 내지 제m 채널(300-m) 중의 특정한 채널, 즉 제i 채널(i는 1이상 m이하의 자연수)이 제1 수신기(200-1) 내지 제n 수신기(200-n)를 통하여 제공된 내역을 기초로 산출된다.
[식 1]
제i 채널에 관련된 반송률 = (미리 지정된 기간 동안 제i 채널이 제1 수신기(200-1) 내지 제n 수신기(200-n)에서 제1 임계값 이상이고 제2 임계값 이하의 시간 동안 제공된 회수)/(미리 지정된 기간 동안 제i 채널이 제1 수신기(200-1) 내지 제n 수신기(200-n)에서 제1 임계값 이상의 시간 동안 제공된 전체 회수)
미리 지정된 기간은 예컨대 1일, 1주일 또는 1개월과 같이 반송률을 확인하기 위한 기간이다.
제1 임계값은 제1 수신기(200-1) 내지 제n 수신기(200-n)가 제i 채널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 후 신호 처리하여 제공하기까지의 지연 시간을 고려하여 결정되는 값이다. 예컨대 제1 수신기(200-1)가 제i 채널, 예컨대 채널 11번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 후 채널 11번을 신호 처리하여 제공하기까지 소정의 시간이 소요될 수 있다. 또한 시청자가 원하는 채널을 선택하기 위해서 채널 번호가 아니라 채널 업 버튼을 누르는 것에 의해서 채널을 변경할 수도 있다. 제1 임계값은 이러한 시간을 고려하여 결정된다. 예컨대 제1 임계값은 3초일 수 있다.
제2 임계값은 제i 채널의 식별 정보를 기초로 동적으로 결정되는 값이다. 구체적으로, 제2 임계값은 복수의 임계값 중에서 제i 채널의 식별 정보를 기초로 동적으로 선택되는 값이며, 채널의 특성 또는 채널에서 방송되는 컨텐츠의 특성에 따라서 변경될 수 있다. 제2 임계값은 예컨대 제i 채널이 뉴스 채널이면 10초, 영화 채널이면 20초, 홈쇼핑 채널이면 30초와 같이 다르게 결정될 수 있다. 제2 임계값은 시청자가 제i 채널을 선택한 후 컨텐츠가 제공되면 그 내용을 확인하고 계속 시청할 지 또는 다른 채널을 시청할 지를 결정하기까지 소요되는 시간을 의미한다. 즉 제2 임계값은 채널 재핑(zapping)을 배제하면서도 시청자가 제i 채널을 시청할지를 선택하기까지 소요되는 시간을 의미한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 제i 채널에 관련된 반송률은 다음과 같이 표기한다.
BR(제i 채널의 식별 정보, 기간 시점, 기간 종점, 제1 임계값, 제2 임계값)
예컨대 BR(채널 11번, 2017년 11월 1일 00시 00분 00초, 2017년 11월 30일 23시 59분 59초, 3초, 10초)는 채널 11번에 관련된 반송률로서, 2017년 11월 1일 00시 00분 00초부터 2017년 11월 30일 23시 59분 59초의 1개월간에 제1 임계값을 3초로 하고 제2 임계값을 10초로 하여 측정된 반송률을 나타낸다.
b) 수신기의 채널에 관련된 반송률
수신기의 채널에 관련된 반송률은 제1 채널(300-1) 내지 제m 채널(300-m) 중의 특정한 채널, 즉 제i 채널(i는 1이상 m이하의 자연수)이 제1 수신기(200-1) 내지 제n 수신기(200-n) 중의 특정한 수신기, 즉 제j 수신기(단 j는 1이상 n이하의 자연수)를 통하여 제공된 내역을 기초로 산출된다.
[식 2]
제j 수신기의 제i 채널에 관련된 반송률 = (미리 지정된 기간 동안 제i 채널이 제j 수신기에서 제1 임계값 이상이고 제2 임계값 이하의 시간 동안 제공된 회수)/(미리 지정된 기간 동안 제i 채널이 제j 수신기에서 제1 임계값 이상의 시간 동안 제공된 전체 회수)
이하 본 명세서에서 제j 수신기의 제i 채널에 관련된 반송률은 다음과 같이 표기한다.
BR(제i 채널의 식별 정보, 제j 수신기의 식별 정보, 기간 시점, 기간 종점, 제1 임계값, 제2 임계값)
예컨대 BR(채널 11번, 제1 수신기의 식별 정보, 2017년 11월 1일 00시 00분 00초, 2017년 11월 30일 23시 59분 59초, 3초, 10초)는 제1 수신기(200-1)의 채널 11번에 관련된 반송률로서, 2017년 11월 1일 00시 00분 00초부터 2017년 11월 30일 23시 59분 59초의 1개월간에 제1 임계값을 3초로 하고 제2 임계값을 10초로 하여 측정된 반송률을 나타낸다.
c) 컨텐츠에 관련된 반송률
컨텐츠에 관련된 반송률은 특정한 컨텐츠가 제1 수신기(200-1) 내지 제n 수신기(200-n)를 통하여 제공된 내역을 기초로 산출된다.
[식 3]
컨텐츠에 관련된 반송률 = (미리 지정된 기간 동안 컨텐츠가 제1 수신기(200-1) 내지 제n 수신기(200-n)에서 제1 임계값 이상이고 제2 임계값 이하의 시간 동안 제공된 회수)/(미리 지정된 기간 동안 컨텐츠가 제1 수신기(200-1) 내지 제n 수신기(200-n)에서 제1 임계값 이상의 시간 동안 제공된 전체 회수)
한편 바람직하게는 컨텐츠에 관련된 반송률은 시청자가 해당 컨텐츠를 선택한 시점부터 예컨대 채널 전환을 통하여 해당 컨텐츠를 선택한 시점부터 산출될 수 있다. 즉 본원 명세서에서 반송률은 특히 시청자가 채널을 전환한 경우를 기준으로 측정되므로, 예컨대 시청자가 특정 채널로 전환하지 않은 상태에서 해당 컨텐츠를 시청하는 경우 및 특정 채널이 선택된 시점에 해당 컨텐츠가 아니라 예컨대 광고 또는 다른 컨텐츠가 방송되고 있는 경우에는, 반송률을 측정하는 경우 제외될 수 있다. 예컨대 식 4와 같이 컨텐츠에 관련된 반송률이 정의될 수 있다.
[식 4]
컨텐츠에 관련된 반송률 = (미리 지정된 기간 동안 컨텐츠가 제1 수신기(200-1) 내지 제n 수신기(200-n)의 제1 채널(300-1) 내지 제m 채널(300-m)이 선택된 시점부터 제1 채널(300-1) 내지 제m 채널(300-m)을 통하여 제1 임계값 이상이고 제2 임계값 이하의 시간 동안 제공된 회수)/(미리 지정된 기간 동안 컨텐츠가 제1 수신기(200-1) 내지 제n 수신기(200-n)의 제1 채널(300-1) 내지 제m 채널(300-m)이 선택된 시점부터 제1 채널(300-1) 내지 제m 채널(300-m)을 통하여 제1 임계값 이상의 시간 동안 제공된 전체 회수)
이하 본 명세서에서 컨텐츠에 관련된 반송률은 다음과 같이 표기한다.
BR(컨텐츠의 식별 정보, 기간 시점, 기간 종점, 제1 임계값, 제2 임계값)
예컨대 BR(제1 컨텐츠의 식별 정보, 2017년 11월 1일 00시 00분 00초, 2017년 11월 30일 23시 59분 59초, 3초, 10초)는 제1 컨텐츠에 관련된 반송률로서, 2017년 11월 1일 00시 00분 00초부터 2017년 11월 30일 23시 59분 59초의 1개월간에 제1 임계값을 3초로 하고 제2 임계값을 10초로 하여 측정된 반송률을 나타낸다.
d) 컨텐츠에 채널에 관련된 반송률
컨텐츠의 채널에 관련된 반송률은 특정한 컨텐츠가 제1 수신기(200-1) 내지 제n 수신기(200-n)에서 특정 채널, 예컨대 제i 채널을 통하여 제공된 내역을 기초로 산출된다.
[식 5]
컨텐츠의 제i 채널에 관련된 반송률 = (미리 지정된 기간 동안 컨텐츠가 제1 수신기(200-1) 내지 제n 수신기(200-n)에서 제i 채널을 통하여 제1 임계값 이상이고 제2 임계값 이하의 시간 동안 제공된 회수)/(미리 지정된 기간 동안 컨텐츠가 제1 수신기(200-1) 내지 제n 수신기(200-n)에서 제i 채널을 통하여 제1 임계값 이상의 시간 동안 제공된 전체 회수)
한편 바람직하게는 컨텐츠의 채널에 관련된 반송률은 시청자가 특정 채널로 전환하여 해당 컨텐츠를 선택한 시점부터 산출될 수 있다. 즉 본원 명세서에서 반송률은 특히 시청자가 채널을 전환한 경우를 기준으로 측정되므로, 예컨대 시청자가 특정 채널로 전환하지 않은 상태에서 해당 컨텐츠를 시청하는 경우 및 특정 채널이 선택된 시점에 해당 컨텐츠가 아니라 예컨대 광고 또는 다른 컨텐츠가 방송되고 있는 경우에는, 반송률을 측정하는 경우 제외될 수 있다. 예컨대 식 6과 같이 컨텐츠에 관련된 반송률이 정의될 수 있다.
[식 6]
컨텐츠의 제i 채널에 관련된 반송률 = (미리 지정된 기간 동안 컨텐츠가 제1 수신기(200-1) 내지 제n 수신기(200-n)에서 제i 채널이 선택된 시점부터 제i 채널을 통하여 제1 임계값 이상이고 제2 임계값 이하의 시간 동안 제공된 회수)/(미리 지정된 기간 동안 컨텐츠가 제1 수신기(200-1) 내지 제n 수신기(200-n)에서 제i 채널이 선택된 시점부터 제i 채널을 통하여 제1 임계값 이상의 시간 동안 제공된 전체 회수)
이하 본 명세서에서 컨텐츠의 제i 채널에 관련된 반송률은 다음과 같이 표기한다.
BR(컨텐츠의 식별 정보, 제i 채널의 식별 정보, 기간 시점, 기간 종점, 제1 임계값, 제2 임계값)
예컨대 BR(제1 컨텐츠의 식별 정보, 제i 채널의 식별 정보, 2017년 11월 1일 00시 00분 00초, 2017년 11월 30일 23시 59분 59초, 3초, 10초)는 제1 컨텐츠의 제i 채널에 관련된 반송률로서, 2017년 11월 1일 00시 00분 00초부터 2017년 11월 30일 23시 59분 59초의 1개월간에 제1 임계값을 3초로 하고 제2 임계값을 10초로 하여 측정된 반송률을 나타낸다.
e) 컨텐츠의 수신기에 관련된 반송률
컨텐츠의 수신기에 관련된 반송률은 특정한 컨텐츠가 제1 수신기(200-1) 내지 제n 수신기(200-n) 중의 특정한 수신기, 즉 제j 수신기(단 j는 1이상 n이하의 자연수)를 통하여 제공된 내역을 기초로 산출된다.
[식 7]
컨텐츠의 제j 수신기에 관련된 반송률 = (미리 지정된 기간 동안 컨텐츠가 제j 수신기에서 제1 임계값 이상이고 제2 임계값 이하의 시간 동안 제공된 회수)/(미리 지정된 기간 동안 컨텐츠가 제j 수신기에서 제1 임계값 이상의 시간 동안 제공된 전체 회수)
한편 바람직하게는 컨텐츠의 채널에 관련된 반송률은 시청자가 특정 채널로 전환하여 해당 컨텐츠를 선택한 시점부터 산출될 수 있다. 즉 본원 명세서에서 반송률은 특히 시청자가 채널을 전환한 경우를 기준으로 측정되므로, 예컨대 시청자가 특정 채널로 전환하지 않은 상태에서 해당 컨텐츠를 시청하는 경우 및 특정 채널이 선택된 시점에 해당 컨텐츠가 아니라 예컨대 광고 또는 다른 컨텐츠가 방송되고 있는 경우에는, 반송률을 측정하는 경우 제외될 수 있다. 예컨대 식 8과 같이 컨텐츠에 관련된 반송률이 정의될 수 있다.
[식 8]
컨텐츠의 제j 수신기에 관련된 반송률 = (미리 지정된 기간 동안 컨텐츠가 제j 수신기에서 제1 채널(300-1) 내지 제m 채널(300-m)이 선택된 시점부터 제1 채널(300-1) 내지 제m 채널(300-m)을 통하여 제1 임계값 이상이고 제2 임계값 이하의 시간 동안 제공된 회수)/(미리 지정된 기간 동안 컨텐츠가 제1 수신기(200-1) 내지 제n 수신기(200-n)에서 제1 채널(300-1) 내지 제m 채널(300-m)이 선택된 시점부터 제1 채널(300-1) 내지 제m 채널(300-m)을 통하여 제1 임계값 이상의 시간 동안 제공된 전체 회수)
이하 본 명세서에서 컨텐츠의 제j 수신기에 관련된 반송률은 다음과 같이 표기한다.
BR(컨텐츠의 식별 정보, 제j 수신기의 식별 정보, 기간 시점, 기간 종점, 제1 임계값, 제2 임계값)
예컨대 BR(제1 컨텐츠, 제1 수신기의 식별 정보, 2017년 11월 1일 00시 00분 00초, 2017년 11월 30일 23시 59분 59초, 3초, 10초)는 제1 수신기(200-1)의 제1 컨텐츠에 관련된 반송률로서, 2017년 11월 1일 00시 00분 00초부터 2017년 11월 30일 23시 59분 59초의 1개월간에 제1 임계값을 3초로 하고 제2 임계값을 10초로 하여 측정된 반송률을 나타낸다.
또한 본원 명세서에서 BR(컨텐츠의 식별 정보, 제j 수신기의 식별 정보, 기간 시점, 기간 종점, 제1 임계값, 제2 임계값)는 단순히 BR(컨텐츠의 식별 정보, 제j 수신기의 식별 정보, 제1 임계값, 제2 임계값)라고도 표기된다.
f) 컨텐츠의 수신기 및 채널에 관련된 반송률
컨텐츠의 수신기 및 채널에 관련된 반송률은 특정한 컨텐츠가 제1 수신기(200-1) 내지 제n 수신기(200-n) 중의 특정한 수신기, 즉 제j 수신기(단 j는 1이상 n이하의 자연수)에서 제1 채널(300-1) 내지 제m 채널(300-m) 중의 특정한 채널, 즉 제i 채널(i는 1이상 m이하의 자연수)을 통하여 제공된 내역을 기초로 산출된다.
[식 9]
컨텐츠의 제j 수신기 및 제i 채널에 관련된 반송률 = (미리 지정된 기간 동안 컨텐츠가 제j 수신기에서 제i 채널을 통하여 제1 임계값 이상이고 제2 임계값 이하의 시간 동안 제공된 회수)/(미리 지정된 기간 동안 컨텐츠가 제j 수신기에서 제i 채널을 통하여 제1 임계값 이상의 시간 동안 제공된 전체 회수)
한편 바람직하게는 컨텐츠의 채널에 관련된 반송률은 시청자가 특정 채널로 전환하여 해당 컨텐츠를 선택한 시점부터 산출될 수 있다. 즉 본원 명세서에서 반송률은 특히 시청자가 채널을 전환한 경우를 기준으로 측정되므로, 예컨대 시청자가 특정 채널로 전환하지 않은 상태에서 해당 컨텐츠를 시청하는 경우 및 특정 채널이 선택된 시점에 해당 컨텐츠가 아니라 예컨대 광고 또는 다른 컨텐츠가 방송되고 있는 경우에는, 반송률을 측정하는 경우 제외될 수 있다. 예컨대 식 10과 같이 컨텐츠에 관련된 반송률이 정의될 수 있다.
[식 10]
컨텐츠의 제j 수신기 및 제i 채널에 관련된 반송률 = (미리 지정된 기간 동안 컨텐츠가 제j 수신기에서 제i 채널이 선택된 시점부터 제i 채널을 통하여 제1 임계값 이상이고 제2 임계값 이하의 시간 동안 제공된 회수)/(미리 지정된 기간 동안 컨텐츠가 제j 수신기에서 제i 채널이 선택된 시점부터 제i 채널을 통하여 제1 임계값 이상의 시간 동안 제공된 전체 회수)
이하 본 명세서에서 컨텐츠의 제j 수신기 및 제i 채널에 관련된 반송률은 다음과 같이 표기한다.
BR(컨텐츠의 식별 정보, 제i 채널의 식별 정보, 제j 수신기의 식별 정보, 기간 시점, 기간 종점, 제1 임계값, 제2 임계값)
예컨대 BR(제1 컨텐츠, 채널 11번, 제1 수신기의 식별 정보, 2017년 11월 1일 00시 00분 00초, 2017년 11월 30일 23시 59분 59초, 3초, 10초)는 제1 수신기(200-1)의 제1 컨텐츠 및 채널 11번에 관련된 반송률로서, 2017년 11월 1일 00시 00분 00초부터 2017년 11월 30일 23시 59분 59초의 1개월간에 제1 임계값을 3초로 하고 제2 임계값을 10초로 하여 측정된 반송률을 나타낸다.
또한 본원 명세서에서 BR(컨텐츠의 식별 정보, 제i 채널의 식별 정보, 제j 수신기의 식별 정보, 기간 시점, 기간 종점, 제1 임계값, 제2 임계값)는 단순히 BR(컨텐츠의 식별 정보, 제i 채널의 식별 정보, 제j 수신기의 식별 정보, 제1 임계값, 제2 임계값)라고도 표기된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반송률 측정 장치(100)는 제1 수신기(200-1) 내지 제n 수신기(200-n)로 예컨대 제1 임계값 및 제2 임계값을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1 수신기(200-1) 내지 제n 수신기(200-n)는 제1 임계값 및 제2 임계값을 기초로 제1 서비스 제공 정보 내지 제n 서비스 제공 정보를 생성한 후 반송률 측정 장치(100)로 각각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반송률 측정 장치(100)는 제1 수신기(200-1) 내지 제n 수신기(200-n)로 예컨대 제i 채널의 식별 정보 또는 컨텐츠의 식별 정보를 더 전송할 수도 있다. 제1 수신기(200-1) 내지 제n 수신기(200-n)는 제i 채널의 식별 정보 또는 컨텐츠의 식별 정보와 제1 임계값 및 제2 임계값을 기초로 제1 서비스 제공 정보 내지 제n 서비스 제공 정보를 생성한 후 반송률 측정 장치(100)로 각각 전송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반송률 측정 장치(100)의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반송률 측정 장치가 저장 및 실행하는 프로그램의 예시적인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프로그램(150)은 제1 인스트럭션(150-1) 내지 제3 인스트럭션(150-3)을 포함한다. 프로그램(150)은 제4 인스트럭션(150-4) 내지 제9 인스트럭션(150-9)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인스트럭션(150-2)은 제1 서브인스트럭션(150-2-1)과 제2 서브인스트럭션(150-2-2)을 포함할 수 있다. 제4 인스트럭션(150-4)은 제3 서브인스트럭션(150-4-1)과 제4 서브인스트럭션(150-4-2)을 포함할 수 있다. 제6 인스트럭션(150-6)은 제5 서브인스트럭션(150-6-1)과 제6 서브인스트럭션(150-6-2)을 포함할 수 있다. 제8 인스트럭션(150-8)은 제7 서브인스트럭션(150-8-1)과 제8 서브인스트럭션(150-8-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인스트럭션(150-1)은 방송 서비스를 수신하여 제공하는 제1 수신기(200-1) 내지 제n 수신기(200-n)로부터, 방송 서비스의 제1 채널(300-1) 내지 제m 채널(300-m) 중 미리 지정된 하나 이상의 채널이 제1 수신기(200-1) 내지 제n 수신기(200-n)를 통하여 제공한 내역을 적어도 포함하는 제1 서비스 제공 정보 내지 제n 서비스 제공 정보를 각각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하나 이상의 채널은 예컨대 제1 채널 내지 제m 채널 중 지정된 제i 채널(단 i는 1이상 m이하의 자연수)일 수 있다. 또는 하나 이상의 채널은 예컨대 제1 채널 내지 제m 채널 중 지정된 2개 이상의 채널일 수도 있다.
이하 하나 이상의 채널이 제i 채널인 경우를 기초로 설명한다.
예컨대 제1 인스트럭션(150-1)은 제1 수신기(200-1)로부터 제1 서비스 제공 정보를 수신하고, 제n 수신기(200-n)로부터 제n 서비스 제공 정보를 수신한다.
제1 서비스 제공 정보 내지 제n 서비스 제공 정보에 대해서 이하 도 5 내지 도 8을 참조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5 내지 도 8을 참조로 예컨대 제1 수신기(200-1)에서 제i 채널로서 채널 11번이 지정된 경우, 적어도 채널 11번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들 및 채널 11번으로부터 이탈하는 사용자 입력들을 기초로 제1 서비스 제공 정보를 생성하는 과정이 설명된다. 다른 서비스 제공 정보들, 예컨대 제n 서비스 제공 정보 역시 제n 수신기(200-n)에서 제1 서비스 제공 정보와 마찬가지로 생성될 수 있으므로, 다른 서비스 제공 정보를 생성하는 과정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5는 수신기에서 채널을 선택하고 채널을 이탈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 수신기(200-1)는 시청자가 예컨대 리모컨을 통하여 채널 11번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예컨대 AM 7시 15분 5초에 수신한다(S110). 이후 제1 수신기(200-1)는 시청자가 예컨대 리모컨을 통하여 채널 9번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예컨대 AM 7시 15분 24초에 수신한다(S120). 이후 제1 수신기(200-1)는 시청자가 예컨대 리모컨을 통하여 채널 7번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예컨대 AM 7시 25분 17초에 수신한다(S130). 이후 제1 수신기(200-1)는 시청자가 예컨대 리모컨을 통하여 채널 11번을 다시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예컨대 AM 7시 50분 23초에 수신한다(S140). 이후 제1 수신기(200-1)는 시청자가 예컨대 리모컨을 통하여 채널 13번을 다시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예컨대 AM 7시 50분 25초에 수신한다(S150). 이후 제1 수신기(200-1)는 시청자가 예컨대 리모컨을 통하여 채널 11번을 다시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예컨대 AM 8시 5분 10초에 수신한다(S160). 이후 제1 수신기(200-1)는 시청자가 예컨대 리모컨을 통하여 전원을 종료하는 사용자 입력을 예컨대 AM 8시 5분 30초에 수신한다(S170).
도 6 내지 도 8은 도 5에 도시된 과정에 따라서 생성되는 서비스 제공 정보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1 서비스 제공 정보가 예시적으로 도시된다.
제1 서비스 제공 정보는, 제1 수신기(200-1)의 식별 정보("제1 수신기 ID"), 채널의 식별 정보 및 리모컨을 통하여 이벤트가 발생한 시각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서비스 제공 정보는 "채널 11번, AM 7시 15분 5초", "채널 9번, AM 7시 15분 24초", "채널 7번을, AM 7시 25분 17초", "채널 11번, AM 7시 50분 23초", "채널 13번, AM 7시 50분 25초", "채널 11번, AM 8시 5분 10초" 및 "종료, AM 8시 5분 30초"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제1 수신기(200-1)는 채널의 변경 또는 이탈에 대한 모든 사용자 입력을 기초로 제1 서비스 제공 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본 발명에 따른 반송률 측정 장치(100)로 전송하는 구성이다. 그러나 채널의 변경 또는 이탈에 대한 모든 사용자 입력을 기초로 제1 서비스 제공 정보가 생성되는 경우, 제1 서비스 제공 정보의 데이터 크기가 커진다. 따라서 제1 서비스 제공 정보를 반송률 측정 장치(100)로 전송하는 경우, 통신 부하 및 제1 수신기(200-1)의 연산 부하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반송률 측정 장치(100)에서도 채널의 변경 또는 이탈에 대한 모든 사용자 입력을 기초로 연산을 해야 하는 단점도 있다.
따라서 제1 서비스 제공 정보는 제1 수신기(200-1)의 식별 정보, 제i 채널의 식별 정보, 제1 수신기(200-1)가 제i 채널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 시각 및 제1 수신기(200-1)가 제i 채널로부터 이탈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 시각을 포함하는 것으로 단순화시킬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제i 채널로서 채널 11번이 지정된 경우, 제1 수신기(200-1)는 채널 11번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 및 채널 11번으로부터 이탈하는 사용자 입력을 기초로 제1 서비스 제공 정보를 생성한다. 채널 11번을 이탈하는 사용자 입력은 단계 S170에 도시된 전원 버튼 입력, 즉 종료의 경우를 포함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제1 서비스 제공 정보는, 제1 수신기(200-1)의 식별 정보("제1 수신기 ID"), 제i 채널의 식별 정보("채널 11번"), 제1 수신기(200-1)가 채널 11번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 시각 및 제1 수신기(200-1)가 채널 11번으로부터 이탈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 시각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채널 11번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 시각 및 제1 수신기(200-1)가 채널 11번으로부터 이탈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 시각은 도 7을 참조하면 "AM 7시15분05초, AM 7시15분24초", "AM 7시50분23초, AM 7시50분25초" 및 "AM 8시5분10초, AM 8시5분30초"로 도시된다.
한편 도 8을 참조하면, 제1 서비스 제공 정보는, 제1 수신기(200-1)의 식별 정보("제1 수신기 ID"), 제i 채널의 식별 정보("채널 11번"), 채널 11번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 시각 및 제1 수신기(200-1)가 채널 11번으로부터 이탈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 시각과 채널 11번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 시각의 차이값을 포함한다. 예컨대 채널 11번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 시각 및 차이값은 도 8을 참조하면 "AM 7시15분05초, 19초", "AM 7시50분23초, 2초" 및 "AM 8시5분10초, 20"로 도시된다. 차이값은 제1 수신기(200-1)에서 채널 11번이 제공된 시간, 즉 지속 시간을 의미한다.
한편 제1 수신기(200-1)는 제1 임계값 및 제2 임계값을 기초로 제1 서비스 제공 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다.
예컨대 제1 임계값이 3초인 경우, 제1 수신기(200-1)는 제i 채널, 예컨대 채널 11번이 제1 수신기(200-1)에서 3초 이상의 시간 동안 제공된 경우에만 제1 서비스 제공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도 8에 도시된 제1 서비스 제공 정보에서, 제1 수신기(200-1)가 제1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 시각 및 지속 시간 중 "AM 7시50분23초, 2초"는 제i 채널, 즉 채널 11번이 제1 수신기(200-1)에서 제1 임계값 미만으로 제공된 경우이다. 따라서 제1 임계값을 이용하는 경우, "AM 7시50분23초, 2초"는 제1 서비스 제공 정보에서 제외될 수 있다.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제2 인스트럭션(150-2)은 제1 인스트럭션(150-1)을 통하여 수신된 제1 서비스 제공 정보 내지 제n 서비스 제공 정보를 분석하여, 미리 지정된 기간 동안 전술한 하나 이상의 채널이 제1 수신기(200-1) 내지 제n 수신기(200-n)를 통하여 제1 임계값 이상의 시간 동안 제공된 회수를 기초로 제1 회수를 결정하고, 미리 지정된 기간 동안 전술한 하나 이상의 채널이 제1 수신기(200-1) 내지 제n 수신기(200-n)를 통하여 제1 임계값 이상이고 제2 임계값 이하의 시간 동안 제공된 회수를 기초로 제2 회수를 결정한다.
제1 회수 및 제2 회수는 후술하는 제3 인스트럭션(150-3)에서 하나 이상의 채널에 관련된 반송률 정보를 추출하기 위한 값이다.
제1 회수는 예컨대 미리 지정된 기간 동안 전술한 하나 이상의 채널이 제1 수신기(200-1) 내지 제n 수신기(200-n)를 통하여 제1 임계값 이상의 시간 동안 제공된 회수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제2 회수는 예컨대 미리 지정된 기간 동안 전술한 하나 이상의 채널이 제1 수신기(200-1) 내지 제n 수신기(200-n)를 통하여 제1 임계값 이상이고 제2 임계값 이하의 시간 동안 제공된 회수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한편 하나 이상의 채널에 관련된 반송률 정보, 예컨대 제i 채널에 관련된 반송률 정보를 추출하기 위해서 제1 회수 및 제2 회수를 결정하는 경우, 제i 채널을 통하여 광고 정보가 제공되는 경우는 배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광고 정보가 제공되는 경우, 시청자는 해당 채널을 계속 시청하지 않고 다른 채널로 변경하는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이다.
제2 인스트럭션(150-2)은 제1 서브인스트럭션(150-2-1)과 제2 서브인스트럭션(150-2-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서브인스트럭션(150-2-1)은 미리 지정된 기간 동안 전술한 하나 이상의 채널이 제1 수신기(200-1) 내지 제n 수신기(200-n)를 통하여 제1 임계값 이상의 시간 동안 제공된 회수 중에서 제1 서비스 제공 정보 내지 제n 서비스 제공 정보와 전술한 하나 이상의 채널에 대한 편성 정보를 비교하여 결정된 것인 전술한 하나 이상의 채널이 제1 수신기(200-1) 내지 제n 수신기(200-n)를 통하여 미리 지정된 기간 중 전술한 하나 이상의 채널에 광고 정보가 편성된 기간 동안에 제1 임계값 이상의 시간 동안 제공된 회수를 제외하여 제1 회수를 결정한다.
예컨대 도 6에서 제i 채널, 예컨대 채널 11번을 통하여 AM 7시 50분 23초부터 2초간 제공된 경우가 광고 정보가 제공된 것이라면, 채널 11번이 AM 7시 50분 23초부터 2초간 제공된 경우는 제1 회수를 산출할 때 제외된다. 예컨대 전술한 하나 이상의 채널이 제i 채널 이외에도 다른 채널을 포함한다면, 해당 채널에서 광고 정보가 제공된 경우는 제1 회수를 산출할 때 제외된다.
제2 서브인스트럭션(150-2-2)은 미리 지정된 기간 동안 전술한 하나 이상의 채널이 제1 수신기(200-1) 내지 제n 수신기(200-n)를 통하여 제1 임계값 이상이고 제2 임계값 이하의 시간 동안 제공된 회수 중에서 전술한 하나 이상의 채널이 제1 수신기(200-1) 내지 제n 수신기(200-n)를 통하여 미리 지정된 기간 중 전술한 하나 이상의 채널에 광고 정보가 편성된 기간 동안에 제1 임계값 이상이고 제2 임계값 이하의 시간 동안 제공된 회수를 제외하여 제2 회수를 결정할 수 있다.
제1 서브인스트럭션(150-2-1) 및 제2 서브인스트럭션(150-2-2)을 통하여, 전술한 하나 이상의 채널에 관련된 반송률 정보, 예컨대 제i 채널에 관련된 반송률 정보는 보다 정확하게 추출될 수 있다.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제3 인스트럭션(150-3)은 제2 인스트럭션(150-2)을 통하여 결정된 제1 회수 및 제2 회수를 기초로 전술한 하나 이상의 채널에 관련된 반송률 정보를 추출한다. 예컨대 전술한 하나 이상의 채널이 제i 채널이라면, 제3 인스트럭션(150-3)은 제i 채널에 관련된 반송률 정보를 추출한다.
하나 이상의 채널에 관련된 반송률 정보는 제2 회수 대 제1 회수의 비율을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채널에 관련된 반송률 정보는 제1 회수, 미리 지정된 기간에 대한 정보 및 하나 이상의 채널의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채널에 관련된 반송률 정보가 제1 회수를 포함하는 이유는 전술한 하나 이상의 채널을 시청자가 선택한 회수를 기초로 전술한 하나 이상의 채널에 대한 방문 빈도를 추출하기 위해서이다.
하나 이상의 채널에 관련된 반송률 정보가 미리 지정된 기간에 대한 정보 및 하나 이상의 채널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이유는, 예컨대 반송률 측정 장치(100)가 하나 이상의 채널에 관련된 반송률 정보를 다른 외부의 장치로 전송하는 경우 하나 이상의 채널에 관련된 반송률 정보가 추출된 기간 및 대상 채널을 식별하기 위해서이다.
예컨대 BR(채널의 식별 정보, 기간 시점, 기간 종점, 제1 임계값, 제2 임계값)은 제1 인스트럭션(150-1) 내지 제3 인스트럭션(150-3)을 통하여 추출될 수 있다.
또한 제1 임계값, 제2 임계값, 기간 시점, 기간 종점 및 채널의 식별 정보를 변경하여서, 원하는 채널에 관련된 반송률 정보를 원하는 임계값들 및 원하는 기간에 대해서 추출할 수도 있다.
제i 채널에 관련된 반송률은 예컨대 제i 채널에 대한 시청자의 충성도를 평가하는 지표로서 사용될 수 있다. 즉 제i 채널의 시청률이 낮더라도 반송률이 낮으면, 제i 채널은 시청자의 충성도가 높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반대로 제i 채널의 시청률이 높더라도 반송률이 높으면, 제i 채널은 시청자의 충성도가 낮다는 것을 의미할 수도 있다.
<제2 실시예>
전술한 제1 실시예는 제i 채널에 관련된 반송률 정보를 추출하는 것을 기초로 설명되었다. 즉 제1 수신기(200-1) 내지 제n 수신기(200-n) 전체에 대해서 제i 채널에 관련된 반송률 정보를 추출하는 예를 기초로 설명되었다.
그러나 각 수신기별로 제i 채널에 관련된 반송률 정보를 추출할 수도 있다.
도 4를 다시 참조하면, 프로그램(150)은 제4 인스트럭션(150-4) 및 제5 인스트럭션(150-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4 인스트럭션(150-4)은 제1 서비스 제공 정보 내지 제n 서비스 제공 정보 중의 제j 서비스 제공 정보(단 j는 1이상 n이하의 자연수)를 분석하여, 미리 지정된 기간 동안 전술한 하나 이상의 채널이 제1 수신기(200-1) 내지 제n 수신기(200-n) 중의 제j 수신기를 통하여 제1 임계값 이상의 시간 동안 제공된 회수를 기초로 제3 회수를 결정하고, 미리 지정된 기간 동안 전술한 하나 이상의 채널이 제1 수신기(200-1) 내지 제n 수신기(200-n)를 통하여 제1 임계값 이상이고 제2 임계값 이하의 시간 동안 제공된 회수를 기초로 제4 회수를 결정한다.
전술한 하나 이상의 채널은 예컨대 제1 채널 내지 제m 채널 중 지정된 제i 채널(단 i는 1이상 m이하의 자연수)일 수 있다. 또는 하나 이상의 채널은 예컨대 제1 채널 내지 제m 채널 중 지정된 2개 이상의 채널일 수도 있다.
제3 회수 및 제4 회수는 후술하는 제5 인스트럭션(150-5)에서 하나 이상의 채널에 관련된 반송률 정보를 추출하기 위한 값이다.
제3 회수는 예컨대 미리 지정된 기간 동안 전술한 하나 이상의 채널이 제1 수신기(200-1) 내지 제n 수신기(200-n) 중의 제j 수신기를 통하여 제1 임계값 이상의 시간 동안 제공된 회수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제4 회수는 예컨대 미리 지정된 기간 동안 전술한 하나 이상의 채널이 제1 수신기(200-1) 내지 제n 수신기(200-n)를 통하여 제1 임계값 이상이고 제2 임계값 이하의 시간 동안 제공된 회수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전술한 제1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제j 수신기의 전술한 하나 이상의 채널에 관련된 반송률 정보를 추출하기 위해서 제3 회수 및 제4 회수를 결정하는 경우, 제j 수신기에서 제i 채널을 통하여 광고 정보가 제공되는 경우는 배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광고 정보가 제공되는 경우, 시청자는 해당 채널을 계속 시청하지 않고 다른 채널로 변경하는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이다.
제4 인스트럭션(150-4)은 제3 서브인스트럭션(150-4-1)과 제4 서브인스트럭션(150-4-2)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서브인스트럭션(150-4-1)은 미리 지정된 기간 동안 전술한 하나 이상의 채널이 제j 수신기를 통하여 제1 임계값 이상의 시간 동안 제공된 회수 중에서 제j 서비스 제공 정보와 전술한 하나 이상의 채널에 대한 편성 정보를 비교하여 결정된 것인 전술한 하나 이상의 채널이 제j 수신기를 통하여 미리 지정된 기간 중 전술한 하나 이상의 채널에 광고 정보가 편성된 기간 동안에 제1 임계값 이상의 시간 동안 제공된 회수를 제외하여 제3 회수를 결정한다.
제4 서브인스트럭션(150-4-2)은 미리 지정된 기간 동안 전술한 하나 이상의 채널이 제j 수신기를 통하여 제1 임계값 이상이고 제2 임계값 이하의 시간 동안 제공된 회수 중에서 전술한 하나 이상의 채널이 제j 수신기를 통하여 미리 지정된 기간 중 전술한 하나 이상의 채널에 광고 정보가 편성된 기간 동안에 제1 임계값 이상이고 제2 임계값 이하의 시간 동안 제공된 회수를 제외하여 제4 회수를 결정한다.
제3 서브인스트럭션(150-4-1)과 제4 서브인스트럭션(150-4-2)에 대한 설명은 제1 서브인스트럭션(150-2-1) 및 제2 서브인스트럭션(150-2-2)에 대한 설명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제3 서브인스트럭션(150-4-1)과 제4 서브인스트럭션(150-4-2)을 통하여, 제j 수신기의 전술한 하나 이상의 채널에 관련된 반송률 정보, 예컨대 제j 수신기의 제i 채널에 관련된 반송률 정보는 보다 정확하게 추출될 수 있다.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제5 인스트럭션(150-5)은 제4 인스트럭션(150-4)을 통하여 결정된 제3 회수 및 제4 회수를 기초로 제j 수신기의 전술한 하나 이상의 채널에 관련된 반송률 정보를 추출한다. 예컨대 전술한 하나 이상의 채널이 제i 채널이라면, 제5 인스트럭션(150-5)은 제j 수신기의 제i 채널에 관련된 반송률 정보를 추출한다.
제j 수신기의 전술한 하나 이상의 채널에 관련된 반송률 정보는 제4 회수 대 제3 회수의 비율을 포함한다. 제j 수신기의 전술한 하나 이상의 채널에 관련된 반송률 정보는 제3 회수, 미리 지정된 기간에 대한 정보, 제j 수신기의 식별 정보 및 전술한 하나 이상의 채널의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BR(채널의 식별 정보, 수신기의 식별 정보, 기간 시점, 기간 종점, 제1 임계값, 제2 임계값)은 제1 인스트럭션(150-1), 제4 인스트럭션(150-4) 내지 제5 인스트럭션(150-5)을 통하여 추출될 수 있다.
또한 제1 임계값, 제2 임계값 및 채널의 식별 정보, 수신기의 식별 정보, 기간 시점, 기간 종점, 수신기의 식별 정보를 변경하여서, 원하는 수신기의 원하는 채널에 관련된 반송률 정보를 원하는 임계값들 및 원하는 기간에 대해서 추출할 수도 있다.
제j 수신기의 제i 채널에 관련된 반송률은 예컨대 제i 채널에 대한 제j 수신기의 시청자의 충성도를 평가하는 지표로서 사용될 수 있다. 즉 제i 채널의 시청률이 낮더라도 제j 수신기의 제i 채널에 관련된 반송률이 낮으면, 제j 수신기의 시청자는 제i 채널에 대해서 충성도가 높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반대로 제i 채널의 시청률이 높더라도 제j 수신기의 제i 채널에 관련된 반송률이 높으면, 제j 수신기의 시청자는 제i 채널에 대해서 충성도가 낮다는 것을 의미할 수도 있다.
<제3 실시예>
전술한 제1 실시예는 제i 채널에 관련된 반송률 정보를 추출하는 것을 기초로 설명되었다. 즉 제1 수신기(200-1) 내지 제n 수신기(200-n) 전체에 대해서 제i 채널에 관련된 반송률 정보를 추출하는 예를 기초로 설명되었다.
그러나 특정한 컨텐츠가 제1 수신기(200-1) 내지 제n 수신기(200-n)에서 전술한 하나 이상의 채널을 통하여 제공되는 경우의 반송률 정보를 추출할 수도 있다.
도 4를 다시 참조하면, 프로그램(150)은 제6 인스트럭션(150-6) 및 제7 인스트럭션(150-7)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6 인스트럭션(150-6)은 전술한 하나 이상의 채널에 대한 편성 정보와 제1 서비스 제공 정보 내지 제n 서비스 제공 정보를 분석하여, 미리 지정된 기간 동안 미리 지정된 컨텐츠가 전술한 하나 이상의 채널과 제1 수신기(200-1) 내지 제n 수신기(200-n)를 통하여 제1 임계값 이상의 시간 동안 제공된 회수를 기초로 제5 회수를 결정하고, 미리 지정된 기간 동안 전술한 컨텐츠가 전술한 하나 이상의 채널과 제1 수신기(200-1) 내지 제n 수신기(200-n)를 통하여 제1 임계값 이상이고 제2 임계값 이하의 시간 동안 제공된 회수를 기초로 제6 회수를 결정한다.
전술한 하나 이상의 채널은 예컨대 제1 채널 내지 제m 채널 중 지정된 제i 채널(단 i는 1이상 m이하의 자연수)일 수 있다. 또는 하나 이상의 채널은 예컨대 제1 채널 내지 제m 채널 중 지정된 2개 이상의 채널일 수도 있다.
제7 인스트럭션(150-7)은 제6 인스트럭션(150-6)을 통하여 추출한 제5 회수 및 제6 회수를 기초로 전술한 컨텐츠의 전술한 하나 이상의 채널에 관련된 반송률 정보를 추출한다. 예컨대 전술한 하나 이상의 채널이 제i 채널이라면, 제7 인스트럭션(150-7)은 전술한 컨텐츠의 제i 채널에 관련된 반송률 정보를 추출한다.
컨텐츠의 전술한 하나 이상의 채널에 관련된 반송률 정보는 제6 회수 대 제5 회수의 비율을 포함한다. 컨텐츠의 전술한 하나 이상의 채널에 관련된 반송률 정보는 제5 회수, 미리 지정된 기간에 대한 정보, 컨텐츠의 식별 정보 및 전술한 하나 이상의 채널의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바람직하게는 컨텐츠의 전술한 하나 이상의 채널에 관련된 반송률 정보는 시청자가 특정 채널로 전환하여 해당 컨텐츠를 선택한 시점부터 산출될 수 있다. 즉 본원 명세서에서 반송률은 특히 시청자가 채널을 전환한 경우를 기준으로 측정되므로, 예컨대 시청자가 특정 채널로 전환하지 않은 상태에서 해당 컨텐츠를 시청하는 경우 및 특정 채널이 선택된 시점에 해당 컨텐츠가 아니라 예컨대 광고 또는 다른 컨텐츠가 방송되고 있는 경우에는, 반송률을 측정하는 경우 제외될 수 있다.
제6 인스트럭션(150-6)은 제5 서브인스트럭션(150-6-1)과 제6 서브인스트럭션(150-6-2)을 포함할 수 있다.
제5 서브인스트럭션(150-6-1)은 미리 지정된 기간 동안 미리 지정된 컨텐츠가 제1 수신기(200-1) 내지 제n 수신기(200-n)에서 전술한 하나 이상의 채널이 선택된 시점부터 전술한 하나 이상의 채널을 통하여 제1 임계값 이상의 시간 동안 제공된 회수를 기초로 제5 회수를 결정한다.
제6 서브인스트럭션(150-6-2)은 미리 지정된 기간 동안 미리 지정된 컨텐츠가 제1 수신기(200-1) 내지 제n 수신기(200-n)에서 전술한 하나 이상의 채널이 선택된 시점부터 전술한 하나 이상의 채널을 통하여 상기 제1 임계값 이상이고 상기 제2 임계값 이하의 시간 동안 제공된 회수를 기초로 제6 회수를 결정한다.
이에 의해서, 컨텐츠의 전술한 하나 이상의 채널에 관련된 반송률 정보를 보다 정확하게 산출할 수 있다.
예컨대 BR(컨텐츠의 식별 정보, 기간 시점, 기간 종점, 제1 임계값, 제2 임계값)은 제1 인스트럭션(150-1), 제6 인스트럭션(150-6) 내지 제7 인스트럭션(150-7)을 통하여 추출될 수 있다. 즉 하나 이상의 채널이 제1 채널(300-1) 내지 제m 채널(300-m)을 모두 포함하는 경우, BR(컨텐츠의 식별 정보, 기간 시점, 기간 종점, 제1 임계값, 제2 임계값)은 제1 인스트럭션(150-1), 제6 인스트럭션(150-6) 내지 제7 인스트럭션(150-7)을 통하여 추출될 수 있다.
예컨대 BR(컨텐츠의 식별 정보, 채널의 식별 정보, 기간 시점, 기간 종점, 제1 임계값, 제2 임계값)은 제1 인스트럭션(150-1), 제6 인스트럭션(150-6) 내지 제7 인스트럭션(150-7)을 통하여 추출될 수 있다. 즉 하나 이상의 채널이 예컨대 제i 채널이라면, BR(컨텐츠의 식별 정보, 제i 채널의 식별 정보, 기간 시점, 기간 종점, 제1 임계값, 제2 임계값)은 제1 인스트럭션(150-1), 제6 인스트럭션(150-6) 내지 제7 인스트럭션(150-7)을 통하여 추출될 수 있다.
또한 제1 임계값, 제2 임계값, 컨텐츠의 식별 정보, 채널의 식별 정보, 기간 시점 및 기간 종점을 변경하여서, 원하는 컨텐츠의 원하는 채널에 관련된 반송률 정보를 원하는 임계값들 및 원하는 기간에 대해서 추출할 수도 있다.
컨텐츠의 제i 채널에 관련된 반송률은 예컨대 컨텐츠에 대한 제i 채널의 시청자의 충성도를 평가하는 지표로서 사용될 수 있다. 즉 제i 채널의 시청률이 낮더라도 컨텐츠의 제i 채널에 관련된 반송률이 낮으면, 제i 채널의 시청자는 컨텐츠에 대해서 충성도가 높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반대로 제i 채널의 시청률이 높더라도 컨텐츠의 제i 채널에 관련된 반송률이 높으면, 제i 채널의 시청자는 컨텐츠에 대해서 충성도가 낮다는 것을 의미할 수도 있다.
<제4 실시예>
전술한 제3 실시예는 특정한 컨텐츠의 전술한 하나 이상의 채널에 관련된 반송률 정보를 추출하는 것을 기초로 설명되었다. 즉 특정한 컨텐츠가 제1 수신기(200-1) 내지 제n 수신기(200-n)에서 전술한 하나 이상의 채널을 통하여 제공되는 예가 설명되었다.
그러나 특정한 컨텐츠가 제1 수신기(200-1) 내지 제n 수신기(200-n) 중의 특정한 수신기, 예컨대 제j 수신기에서 전술한 하나 이상의 채널을 통하여 제공되는 경우의 반송률 정보를 추출할 수도 있다.
도 4를 다시 참조하면, 프로그램(150)은 제8 인스트럭션(150-8) 및 제9 인스트럭션(150-9)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8 인스트럭션(150-8)은 제1 서비스 제공 정보 내지 상기 제n 서비스 제공 정보 중의 제j 서비스 제공 정보를 분석하여, 미리 지정된 기간 동안 미리 지정된 컨텐츠가 제1 수신기(200-1) 내지 제n 수신기(200-n) 중의 제j 수신기에서 전술한 하나 이상의 채널을 통하여 제1 임계값 이상의 시간 동안 제공된 회수를 기초로 제7 회수를 결정하고, 미리 지정된 기간 동안 전술한 컨텐츠가 제j 수신기에서 전술한 하나 이상의 채널을 통하여 제1 임계값 이상이고 제2 임계값 이하의 시간 동안 제공된 회수를 기초로 제8 회수를 결정한다.
제9 인스트럭션(150-9)은 제8 인스트럭션(150-8)을 통하여 결정된 제7 회수 및 제8 회수를 기초로 전술한 컨텐츠의 제j 수신기 및 전술한 하나 이상의 채널에 관련된 반송률 정보를 추출한다. 예컨대 전술한 하나 이상의 채널이 제i 채널이라면, 제9 인스트럭션(150-9)은 전술한 컨텐츠의 제j 수신기 및 제i 채널에 관련된 반송률 정보를 추출한다.
컨텐츠의 제j 수신기 및 전술한 하나 이상의 채널에 관련된 반송률 정보는 제8 회수 대 제7 회수의 비율을 포함한다. 컨텐츠의 제j 수신기 및 전술한 하나 이상의 채널에 관련된 반송률 정보는 제7 회수, 미리 지정된 기간에 대한 정보, 컨텐츠의 식별 정보, 제j 수신기의 식별 정보 및 전술한 하나 이상의 채널의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바람직하게는 컨텐츠의 제j 수신기 및 전술한 하나 이상의 채널에 관련된 반송률 정보는 시청자가 제j 수신기에서 전술한 하나 이상의 채널로 전환하여 해당 컨텐츠를 선택한 시점부터 산출될 수 있다. 즉 본원 명세서에서 반송률은 특히 시청자가 채널을 전환한 경우를 기준으로 측정되므로, 예컨대 시청자가 특정 채널로 전환하지 않은 상태에서 해당 컨텐츠를 시청하는 경우 및 특정 채널이 선택된 시점에 해당 컨텐츠가 아니라 예컨대 광고 또는 다른 컨텐츠가 방송되고 있는 경우에는, 반송률을 측정하는 경우 제외될 수 있다.
제8 인스트럭션(150-8)은 제7 서브인스트럭션(150-8-1)과 제8 서브인스트럭션(150-8-2)을 포함할 수 있다.
제7 서브인스트럭션(150-8-1)은 미리 지정된 기간 동안 미리 지정된 컨텐츠가 제1 수신기(200-1) 내지 제n 수신기(200-n) 중의 제j 수신기에서 전술한 하나 이상의 채널이 선택된 시점부터 전술한 하나 이상의 채널을 통하여 제1 임계값 이상의 시간 동안 제공된 회수를 기초로 제7 회수를 결정한다.
제8 서브인스트럭션(150-8-2)은 미리 지정된 기간 동안 미리 지정된 컨텐츠가 제j 수신기에서 전술한 하나 이상의 채널이 선택된 시점부터 전술한 하나 이상의 채널을 통하여 제1 임계값 이상이고 제2 임계값 이하의 시간 동안 제공된 회수를 기초로 제8 회수를 결정한다.
이에 의해서, 컨텐츠의 제j 수신기 및 전술한 하나 이상의 채널에 관련된 반송률 정보를 보다 정확하게 산출할 수 있다.
예컨대 BR(컨텐츠의 식별 정보, 제j 수신기의 식별 정보, 기간 시점, 기간 종점, 제1 임계값, 제2 임계값)은 제1 인스트럭션(150-1), 제8 인스트럭션(150-8) 내지 제9 인스트럭션(150-9)을 통하여 추출될 수 있다. 즉 하나 이상의 채널이 제1 채널(300-1) 내지 제m 채널(300-m)을 모두 포함하는 경우, BR(컨텐츠의 식별 정보, 제j 수신기의 식별 정보, 기간 시점, 기간 종점, 제1 임계값, 제2 임계값)은 제1 인스트럭션(150-1), 제8 인스트럭션(150-8) 내지 제9 인스트럭션(150-9)을 통하여 추출될 수 있다.
예컨대 BR(컨텐츠의 식별 정보, 제i 채널의 식별 정보, 제j 수신기의 식별 정보, 기간 시점, 기간 종점, 제1 임계값, 제2 임계값)은 제1 인스트럭션(150-1), 제8 인스트럭션(150-8) 내지 제9 인스트럭션(150-9)을 통하여 추출될 수 있다. 즉 하나 이상의 채널이 예컨대 제i 채널이라면, BR(컨텐츠의 식별 정보, 제i 채널의 식별 정보, 제j 수신기의 식별 정보, 기간 시점, 기간 종점, 제1 임계값, 제2 임계값)은 제1 인스트럭션(150-1), 제8 인스트럭션(150-8) 내지 제9 인스트럭션(150-9)을 통하여 추출될 수 있다.
또한 제1 임계값, 제2 임계값, 컨텐츠의 식별 정보, 채널의 식별 정보, 수신기의 식별 정보, 기간 시점 및 기간 종점을 변경하여서, 원하는 컨텐츠의 원하는 수신기 및 원하는 채널에 관련된 반송률 정보를 원하는 임계값들 및 원하는 기간에 대해서 추출할 수도 있다.
컨텐츠의 제j 수신기 및 제i 채널에 관련된 반송률은 예컨대 제j 수신기에서 컨텐츠에 대한 제i 채널의 시청자의 충성도를 평가하는 지표로서 사용될 수 있다. 즉 제i 채널의 시청률이 낮더라도 컨텐츠의 제j 수신기 및 제i 채널에 관련된 반송률이 낮으면, 제j 수신기에서 제i 채널의 시청자는 컨텐츠에 대해서 충성도가 높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반대로 제i 채널의 시청률이 높더라도 컨텐츠의 제j 수신기 및 제i 채널에 관련된 반송률이 높으면, 제j 수신기에서 제i 채널의 시청자는 컨텐츠에 대해서 충성도가 낮다는 것을 의미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시청자가 채널을 선택한 후 해당 채널로부터 이탈하는 행위를 기초로 생성된 서비스 제공 정보를 이용하여 방송 서비스의 반송률을 측정하는 반송률 측정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방송 서비스의 특정 채널에 관련된 반송률을 측정하거나, 특정 수신기에 관련된 반송률을 측정하거나, 방송 서비스를 통하여 제공되는 특정 컨텐츠에 관련된 반송률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측정된 방송 서비스의 반송률들을 기초로 보다 효율적으로 방송 서비스의 품질을 평가하거나 시청자의 관심 사항을 파악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서 측정된 반송률을 기초로 기존의 방송 서비스의 시청률로는 파악하지 못하던 시청자의 반응과 같은 추가적인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서 측정된 반송률을 기초로 특정 채널, 특정 컨텐츠 또는 특정 수신기에 대한 시청자의 관심도를 추출할 수도 있다. 즉 반송률이 낮으면 관심도가 높다는 것을 의미하고 반송률이 높으면 관심도가 낮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서 측정된 반송률은 그 단독으로 또는 기존의 시청률과 조합하여, 방송 서비스의 품질을 평가하거나 시청자의 관심 사항을 파악하는 기준으로 사용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의 구성이 구체적으로 설명되었지만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시청자가 채널을 선택한 후 해당 채널로부터 이탈하는 행위를 기초로 생성된 서비스 제공 정보를 이용하여 방송 서비스의 반송률을 측정하는 반송률 측정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방송 서비스의 특정 채널에 관련된 반송률을 측정하거나, 특정 수신기에 관련된 반송률을 측정하거나, 방송 서비스를 통하여 제공되는 특정 컨텐츠에 관련된 반송률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측정된 방송 서비스의 반송률들을 기초로 보다 효율적으로 방송 서비스의 품질을 평가하거나 시청자의 관심 사항을 파악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서 측정된 반송률을 기초로 기존의 방송 서비스의 시청률로는 파악하지 못하던 시청자의 반응과 같은 추가적인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서 측정된 반송률을 기초로 특정 채널, 특정 컨텐츠 또는 특정 수신기에 대한 시청자의 관심도를 추출할 수도 있다. 즉 반송률이 낮으면 관심도가 높다는 것을 의미하고 반송률이 높으면 관심도가 낮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서 측정된 반송률은 그 단독으로 또는 기존의 시청률과 조합하여, 방송 서비스의 품질을 평가하거나 시청자의 관심 사항을 파악하는 기준으로 사용될 수 있다.
100: 반송률 측정 장치 110: 프로세서
130: 메모리 150: 프로그램
200: 수신기 300: 채널

Claims (20)

  1.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하나 이상의 메모리; 및 상기 하나 이상의 메모리에 저장되며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서 실행되도록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을 포함하되,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은,
    방송 서비스를 수신하여 제공하는 제1 수신기 내지 제n 수신기(단 n은 2이상의 자연수)로부터, 상기 방송 서비스의 제1 채널 내지 제m 채널(단 m은 2이상의 자연수) 중 미리 지정된 하나 이상의 채널이 상기 제1 수신기 내지 상기 제n 수신기를 통하여 제공한 내역을 적어도 포함하는 제1 서비스 제공 정보 내지 제n 서비스 제공 정보를 각각 수신하는 제1 인스트럭션;
    상기 제1 서비스 제공 정보 내지 상기 제n 서비스 제공 정보를 분석하여, 미리 지정된 기간 동안 상기 하나 이상의 채널이 상기 제1 수신기 내지 상기 제n 수신기를 통하여 제1 임계값 이상의 시간 동안 제공된 회수를 기초로 제1 회수를 결정하고, 상기 미리 지정된 기간 동안 상기 하나 이상의 채널이 상기 제1 수신기 내지 상기 제n 수신기를 통하여 상기 제1 임계값 이상이고 제2 임계값 이하의 시간 동안 제공된 회수를 기초로 제2 회수를 결정하는 제2 인스트럭션; 및
    상기 제1 회수 및 상기 제2 회수를 기초로 상기 하나 이상의 채널에 관련된 반송률 정보를 추출하는 제3 인스트럭션
    을 포함하는 것인 방송 서비스의 반송률 측정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인스트럭션은,
    상기 미리 지정된 기간 동안 상기 하나 이상의 채널이 상기 제1 수신기 내지 상기 제n 수신기를 통하여 상기 제1 임계값 이상의 시간 동안 제공된 회수 중에서 상기 제1 서비스 제공 정보 내지 상기 제n 서비스 제공 정보와 상기 하나 이상의 채널에 대한 편성 정보를 비교하여 결정된 것인 상기 하나 이상의 채널이 상기 제1 수신기 내지 상기 제n 수신기를 통하여 상기 미리 지정된 기간 중 상기 하나 이상의 채널에 광고 정보가 편성된 기간 동안에 상기 제1 임계값 이상의 시간 동안 제공된 회수를 제외하여 상기 제1 회수를 결정하는 제1 서브인스트럭션; 및
    상기 미리 지정된 기간 동안 상기 하나 이상의 채널이 상기 제1 수신기 내지 상기 제n 수신기를 통하여 상기 제1 임계값 이상이고 상기 제2 임계값 이하의 시간 동안 제공된 회수 중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채널이 상기 제1 수신기 내지 상기 제n 수신기를 통하여 상기 미리 지정된 기간 중 상기 하나 이상의 채널에 광고 정보가 편성된 기간 동안에 상기 제1 임계값 이상이고 상기 제2 임계값 이하의 시간 동안 제공된 회수를 제외하여 상기 제2 회수를 결정하는 제2 서브인스트럭션
    을 포함하는 것인 방송 서비스의 반송률 측정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채널은 상기 제1 채널 내지 상기 제m 채널 중 지정된 제i 채널(단 i는 1이상 m이하의 자연수)인 것인 방송 서비스의 반송률 측정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채널에 관련된 반송률 정보는, 상기 제2 회수 대 상기 제1 회수의 비율을 포함하는 것인 방송 서비스의 반송률 측정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채널에 관련된 반송률 정보는 상기 제1 회수, 상기 미리 지정된 기간에 대한 정보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채널의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인 방송 서비스의 반송률 측정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은,
    상기 제1 서비스 제공 정보 내지 상기 제n 서비스 제공 정보 중의 제j 서비스 제공 정보(단 j는 1이상 n이하의 자연수)를 분석하여, 상기 미리 지정된 기간 동안 상기 하나 이상의 채널이 상기 제1 수신기 내지 상기 제n 수신기 중의 제j 수신기를 통하여 상기 제1 임계값 이상의 시간 동안 제공된 회수를 기초로 제3 회수를 결정하고, 상기 미리 지정된 기간 동안 상기 하나 이상의 채널이 상기 제j 수신기를 통하여 상기 제1 임계값 이상이고 상기 제2 임계값 이하의 시간 동안 제공된 회수를 기초로 제4 회수를 결정하는 제4 인스트럭션; 및
    상기 제3 회수 및 상기 제4 회수를 기초로 상기 제j 수신기의 상기 하나 이상의 채널에 관련된 반송률 정보를 추출하는 제5 인스트럭션
    을 더 포함하는 것인 방송 서비스의 반송률 측정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4 인스트럭션은,
    상기 미리 지정된 기간 동안 상기 하나 이상의 채널이 상기 제j 수신기를 통하여 상기 제1 임계값 이상의 시간 동안 제공된 회수 중에서 상기 제j 서비스 제공 정보와 상기 하나 이상의 채널에 대한 편성 정보를 비교하여 결정된 것인 상기 하나 이상의 채널이 상기 제j 수신기를 통하여 상기 미리 지정된 기간 중 상기 하나 이상의 채널에 광고 정보가 편성된 기간 동안에 상기 제1 임계값 이상의 시간 동안 제공된 회수를 제외하여 상기 제3 회수를 결정하는 제3 서브인스트럭션; 및
    상기 미리 지정된 기간 동안 상기 하나 이상의 채널이 상기 제j 수신기를 통하여 상기 제1 임계값 이상이고 상기 제2 임계값 이하의 시간 동안 제공된 회수 중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채널이 상기 제j 수신기를 통하여 상기 미리 지정된 기간 중 상기 하나 이상의 채널에 상기 광고 정보가 편성된 기간 동안에 상기 제1 임계값 이상이고 상기 제2 임계값 이하의 시간 동안 제공된 회수를 제외하여 상기 제4 회수를 결정하는 제4 서브인스트럭션
    을 포함하는 것인 방송 서비스의 반송률 측정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채널은 상기 제1 채널 내지 상기 제m 채널 중 지정된 제i 채널(단 i는 1이상 m이하의 자연수)인 것인 방송 서비스의 반송률 측정 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j 수신기의 상기 하나 이상의 채널에 관련된 반송률 정보는 상기 제4 회수 대 상기 제3 회수의 비율을 포함하는 것인 방송 서비스의 반송률 측정 장치.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j 수신기의 상기 하나 이상의 채널에 관련된 반송률 정보는 상기 제3 회수, 상기 미리 지정된 기간에 대한 정보, 상기 제j 수신기의 식별 정보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채널의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인 방송 서비스의 반송률 측정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은,
    상기 하나 이상의 채널에 대한 편성 정보와 상기 제1 서비스 제공 정보 내지 상기 제n 서비스 제공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미리 지정된 기간 동안 미리 지정된 컨텐츠가 상기 제1 수신기 내지 상기 제n 수신기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채널을 통하여 상기 제1 임계값 이상의 시간 동안 제공된 회수를 기초로 제5 회수를 결정하고, 상기 미리 지정된 기간 동안 상기 컨텐츠가 상기 제1 수신기 내지 상기 제n 수신기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채널을 통하여 상기 제1 임계값 이상이고 상기 제2 임계값 이하의 시간 동안 제공된 회수를 기초로 제6 회수를 결정하는 제6 인스트럭션; 및
    상기 제5 회수 및 상기 제6 회수를 기초로 상기 컨텐츠의 상기 하나 이상의 채널에 관련된 반송률 정보를 추출하는 제7 인스트럭션
    을 더 포함하는 것인 방송 서비스의 반송률 측정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채널은 상기 제1 채널 내지 상기 제m 채널 중 지정된 제i 채널(단 i는 1이상 m이하의 자연수)인 것인 방송 서비스의 반송률 측정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6 인스트럭션은,
    상기 미리 지정된 기간 동안 미리 지정된 컨텐츠가 상기 제1 수신기 내지 상기 제n 수신기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채널이 선택된 시점부터 상기 하나 이상의 채널을 통하여 상기 제1 임계값 이상의 시간 동안 제공된 회수를 기초로 상기 제5 회수를 결정하는 제5 서브인스트럭션; 및
    상기 미리 지정된 기간 동안 상기 컨텐츠가 상기 제1 수신기 내지 상기 제n 수신기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채널이 선택된 시점부터 상기 하나 이상의 채널을 통하여 상기 제1 임계값 이상이고 상기 제2 임계값 이하의 시간 동안 제공된 회수를 기초로 상기 제6 회수를 결정하는 제6 서브인스트럭션
    을 포함하는 것인 방송 서비스의 반송률 측정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의 상기 하나 이상의 채널에 관련된 반송률 정보는 상기 제6 회수 대 상기 제5 회수의 비율을 포함하는 것인 방송 서비스의 반송률 측정 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은,
    상기 제1 서비스 제공 정보 내지 상기 제n 서비스 제공 정보 중의 제j 서비스 제공 정보(단 j는 1이상 n이하의 자연수)를 분석하여, 상기 미리 지정된 기간 동안 미리 지정된 컨텐츠가 상기 제1 수신기 내지 상기 제n 수신기 중의 제j 수신기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채널을 통하여 상기 제1 임계값 이상의 시간 동안 제공된 회수를 기초로 제7 회수를 결정하고, 상기 미리 지정된 기간 동안 상기 컨텐츠가 상기 제j 수신기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채널을 통하여 상기 제1 임계값 이상이고 상기 제2 임계값 이하의 시간 동안 제공된 회수를 기초로 제8 회수를 결정하는 제8 인스트럭션; 및
    상기 제7 회수 및 상기 제8 회수를 기초로 상기 컨텐츠의 상기 제j 수신기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채널에 관련된 반송률 정보를 추출하는 제9 인스트럭션
    을 더 포함하는 것인 방송 서비스의 반송률 측정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채널은 상기 제1 채널 내지 상기 제m 채널 중 지정된 제i 채널(단 i는 1이상 m이하의 자연수)인 것인 방송 서비스의 반송률 측정 장치.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8 인스트럭션은,
    상기 미리 지정된 기간 동안 미리 지정된 컨텐츠가 상기 제1 수신기 내지 상기 제n 수신기 중의 제j 수신기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채널이 선택된 시점부터 상기 하나 이상의 채널을 통하여 상기 제1 임계값 이상의 시간 동안 제공된 회수를 기초로 상기 제7 회수를 결정하는 제7 서브인스트럭션; 및
    상기 미리 지정된 기간 동안 상기 컨텐츠가 상기 제j 수신기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채널이 선택된 시점부터 상기 하나 이상의 채널을 통하여 상기 제1 임계값 이상이고 상기 제2 임계값 이하의 시간 동안 제공된 회수를 기초로 상기 제8 회수를 결정하는 제8 서브인스트럭션
    을 포함하는 것인 방송 서비스의 반송률 측정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의 상기 제j 수신기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채널에 관련된 반송률 정보는 상기 제8 회수 대 상기 제7 회수의 비율을 포함하는 것인 방송 서비스의 반송률 측정 장치.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n은 상기 방송 서비스에 가입된 수신기들의 전체 개수 및 상기 방송 서비스에 가입된 수신기들 중 미리 지정된 수신기들의 개수 중 어느 하나이고,
    상기 n은 상기 방송 서비스의 전체 채널들의 개수 및 상기 방송 서비스의 전채 채널들 중 미리 지정된 채널들의 개수 중 어느 하나인 방송 서비스의 반송률 측정 장치.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임계값은 상기 제1 수신기 내지 상기 제n 수신기의 신호 처리 지연 시간을 고려하여 결정되는 값이고,
    상기 제2 임계값은 상기 하나 이상의 채널의 식별 정보를 기초로 동적으로 결정되는 값인 방송 서비스의 반송률 측정 장치.
KR1020170173750A 2017-12-18 2017-12-18 방송 서비스의 반송률 측정 장치 KR1020812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3750A KR102081221B1 (ko) 2017-12-18 2017-12-18 방송 서비스의 반송률 측정 장치
EP18891395.8A EP3731439A4 (en) 2017-12-18 2018-11-20 REBOUND RATE MEASUREMENT OF A BROADCASTING SERVICE
JP2020533105A JP7281823B2 (ja) 2017-12-18 2018-11-20 放送サービスの返送率測定装置
PCT/KR2018/014241 WO2019124762A1 (ko) 2017-12-18 2018-11-20 방송 서비스의 반송률 측정 장치
CN201880081649.7A CN111602348B (zh) 2017-12-18 2018-11-20 广播业务的跳出率测量装置
US16/894,856 US10911169B2 (en) 2017-12-18 2020-06-07 Bounce rate measuring apparatus for broadcasting ser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3750A KR102081221B1 (ko) 2017-12-18 2017-12-18 방송 서비스의 반송률 측정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2731A true KR20190072731A (ko) 2019-06-26
KR102081221B1 KR102081221B1 (ko) 2020-02-25

Family

ID=669936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3750A KR102081221B1 (ko) 2017-12-18 2017-12-18 방송 서비스의 반송률 측정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911169B2 (ko)
EP (1) EP3731439A4 (ko)
JP (1) JP7281823B2 (ko)
KR (1) KR102081221B1 (ko)
CN (1) CN111602348B (ko)
WO (1) WO2019124762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6465B1 (ko) * 2018-10-16 2020-01-15 애니포인트미디어 주식회사 홈쇼핑 방송 제공 장치 및 홈쇼핑 방송 제공 방법
KR102079002B1 (ko) * 2018-10-16 2020-02-19 애니포인트미디어 주식회사 홈쇼핑 방송 제공 장치 및 홈쇼핑 방송 제공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1221B1 (ko) 2017-12-18 2020-02-25 애니포인트미디어 주식회사 방송 서비스의 반송률 측정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64142A (ko) * 2007-12-15 2009-06-18 남종철 양방향 모바일방송 환경에서의 실시간 방송콘텐츠사용통계서비스 과금정산시스템 및 방법
KR101751708B1 (ko) 2012-08-17 2017-07-1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시청행태 인식기반의 시청률 및 광고효과 분석 방법 및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515174A (ja) * 2000-11-28 2004-05-20 ユナイテッド ビデオ プロパティー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調査機能を有する双方向テレビアプリケーション
US7853969B2 (en) * 2007-04-03 2010-12-14 Google Inc. Log processing to determine impression values using reliable durations
US7729940B2 (en) * 2008-04-14 2010-06-01 Tra, Inc. Analyzing return on investment of advertising campaigns by matching multiple data sources
GB2465141B (en) * 2008-10-31 2014-01-22 Media Instr Sa Simulcast resolution in content matching systems
US9071370B2 (en) * 2010-05-20 2015-06-30 CSC Holdings, LLC System and method for set top box viewing data
EP2666301A4 (en) * 2011-01-20 2014-08-06 Lg Electronics Inc DIGITAL RECEIVER AND REAL TIME EVALUATION METHOD THEREOF
US8572243B2 (en) * 2011-06-10 2013-10-29 Google Inc. Video aware paths
US8788659B1 (en) * 2012-03-29 2014-07-22 Google Inc. Playlist analytics
WO2014021915A1 (en) * 2012-08-01 2014-02-06 Whisper Innovations, Llc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and accessing multiple content feeds and supplemental content using an on-screen interactive interface
JP5764100B2 (ja) * 2012-08-21 2015-08-12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およびコンテンツ配信方法
KR20140046902A (ko) * 2012-10-11 2014-04-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 작방법
US9319290B1 (en) * 2013-01-10 2016-04-19 Google Inc. Method for calculating the subscribability of a channel on the web
KR102129138B1 (ko) * 2013-07-03 2020-07-01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선호 채널 관리 장치 및 방법
US10096040B2 (en) * 2014-01-31 2018-10-09 Walmart Apollo, Llc Management of the display of online ad content consistent with one or more performance objectives for a webpage and/or website
CN104581218B (zh) * 2014-11-10 2017-11-14 北京国双科技有限公司 网络电视收视流向监测方法和装置
US20160132900A1 (en) * 2014-11-12 2016-05-12 Adobe Systems Incorporated Informative Bounce Rate
CN104394434A (zh) * 2014-11-27 2015-03-04 北京国双科技有限公司 电视收视率统计方法及装置
US10755303B2 (en) * 2015-11-30 2020-08-25 Oath Inc. Generating actionable suggestions for improving user engagement with online advertisements
KR102102453B1 (ko) * 2016-01-08 2020-04-20 주식회사 아이플래테아 시청률 산출 서버, 시청률 산출 방법, 및 시청률 산출 리모트 장치
US9848215B1 (en) * 2016-06-21 2017-12-19 Google Inc. Methods, systems, and media for identifying and presenting users with multi-lingual media content items
US20180213290A1 (en) * 2017-01-20 2018-07-26 Essential Products, Inc. Contextual user interface based on media playback
US10685375B2 (en) * 2017-10-12 2020-06-16 Adobe Inc. Digital media environment for analysis of components of content in a digital marketing campaign
KR102081221B1 (ko) 2017-12-18 2020-02-25 애니포인트미디어 주식회사 방송 서비스의 반송률 측정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64142A (ko) * 2007-12-15 2009-06-18 남종철 양방향 모바일방송 환경에서의 실시간 방송콘텐츠사용통계서비스 과금정산시스템 및 방법
KR101751708B1 (ko) 2012-08-17 2017-07-1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시청행태 인식기반의 시청률 및 광고효과 분석 방법 및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6465B1 (ko) * 2018-10-16 2020-01-15 애니포인트미디어 주식회사 홈쇼핑 방송 제공 장치 및 홈쇼핑 방송 제공 방법
KR102079002B1 (ko) * 2018-10-16 2020-02-19 애니포인트미디어 주식회사 홈쇼핑 방송 제공 장치 및 홈쇼핑 방송 제공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911169B2 (en) 2021-02-02
JP2021507609A (ja) 2021-02-22
CN111602348A (zh) 2020-08-28
WO2019124762A1 (ko) 2019-06-27
JP7281823B2 (ja) 2023-05-26
EP3731439A1 (en) 2020-10-28
CN111602348B (zh) 2022-02-25
KR102081221B1 (ko) 2020-02-25
US20200304222A1 (en) 2020-09-24
EP3731439A4 (en) 2021-09-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53618B1 (en) System and method for set top box viewing data
JP7096464B2 (ja) オーディオ・ビジュアルコンテンツプログラムの視聴者に関する情報を決定する方法、装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システム
US10051322B2 (en) Validation of TV viewership utilizing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control logic
JP7220925B2 (ja) 個人向けホームショッピング提供装置
JP2006509399A (ja) 同様の視聴習慣を有するユーザのユーザプロファイルに基づいたビデオコンテンツの推薦
JP7281823B2 (ja) 放送サービスの返送率測定装置
JP2018531468A (ja) ユーザの注意を推定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2018531468A6 (ja) ユーザの注意を推定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11405673B2 (en) Bounce rate measuring apparatus for broadcasting service
JP7180905B2 (ja) 個人向けホームショッピング放送システム
JP2006005767A (ja) 端末装置、サーバ装置、通信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端末装置の制御方法、サーバ装置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Lee et al. Proposal of scenarios of 2 nd-screen based media commerce service
KR20000049449A (ko) 인터넷을 이용한 시청률 분석 시스템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