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64142A - 양방향 모바일방송 환경에서의 실시간 방송콘텐츠사용통계서비스 과금정산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양방향 모바일방송 환경에서의 실시간 방송콘텐츠사용통계서비스 과금정산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64142A
KR20090064142A KR1020070131715A KR20070131715A KR20090064142A KR 20090064142 A KR20090064142 A KR 20090064142A KR 1020070131715 A KR1020070131715 A KR 1020070131715A KR 20070131715 A KR20070131715 A KR 20070131715A KR 20090064142 A KR20090064142 A KR 200900641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content usage
usage statistics
broadcast
ser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17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61758B1 (ko
Inventor
남종철
Original Assignee
남종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종철 filed Critical 남종철
Priority to KR10200701317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1758B1/ko
Publication of KR200900641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41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17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17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54Management at additional data server, e.g. shopping server, rights management server
    • H04N21/2543Billing, e.g. for subscription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09Arrangements for device control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Arrangements for control of broadcast-related services
    • H04H60/14Arrangements for conditional access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related services
    • H04H60/21Billing for the use of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76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ransmission systems other than for broadcast, e.g. the Internet
    • H04H60/81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ransmission systems other than for broadcast, e.g. the Internet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system itself
    • H04H60/82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ransmission systems other than for broadcast, e.g. the Internet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system itself the transmission system being the Internet
    • H04H60/83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ransmission systems other than for broadcast, e.g. the Internet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system itself the transmission system being the Internet accessed over telephonic networks
    • H04H60/85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ransmission systems other than for broadcast, e.g. the Internet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system itself the transmission system being the Internet accessed over telephonic networks which ar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1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 H04N21/6106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 H04N21/6131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involving transmission via a mobile phone net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ultimedia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방향 모바일방송 환경에서의 실시간 방송콘텐츠 사용통계 서비스 과금정산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지상파DMB, 위성DMB, 무선인터넷 모바일TV, 휴대인터넷 모바일TV 등 이동중에 수신이 가능한 방송매체 사용자가 비디오 / 오디오 / 데이터 콘텐츠를 시청하고, 청취하며, 이용한 방송콘텐츠사용이력을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수집하여, 사용자 프로파일정보 및 콘텐츠 편성/운영 정보를 참조하여 성별 / 연령별 / 지역별 / 분단위 또는 시간대별 / 요일별 / 채널별 / 콘텐츠별 시청률, 사용률, 동시 시청자수, 동시 사용자수, 누적 시청자수, 누적 사용자수, 시청률 순위, 사용률 순위 등의 방송콘텐츠사용통계를 생성하고 서비스 제공하는 것에 대한 과금정산처리를 지원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DMB 및 휴대인터넷 기반 양방향 모바일 방송에서의 실시간 방송콘텐츠사용통계 서비스 과금처리시스템에 있어서,
실시간으로 방송콘텐츠사용 이벤트 발생 시마다 사용이력 데이터를 캡쳐하여 메모리 장치에 저장하고 저장된 방송콘텐츠사용이력데이터를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방송콘텐츠사용통계서비스수단으로 전달하고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방송콘텐츠사용통계데이터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하는 모바일단말기와;
모바일단말기로부터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방송콘텐츠사용이력데이터를 수집하고, 사용자특성별 방송콘텐츠특성별 사용통계 생성을 위해서 고객 프로파일 정 보, 방송콘텐츠 편성/운영정보, 방송콘텐츠 속성정보, 서비스채널 속성 정보를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데이터 가공을 수행하고 방송콘텐츠사용통계를 생성하며 사용자 요청 시 통계데이터를 모바일단말기로 전달하는 방송콘텐츠사용통계서비스수단과;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방송콘텐츠사용통계데이터를 수신하고 고객프로파일 정보 또는 방송콘텐츠 편성 및 운영 정보를 참조하여 통계데이터를 모바일방송 포맷에 맞도록 변환하고 송출 스케쥴에 따라서 모바일단말기로 제공하기 위해서 전송하는 모바일방송서비스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을 통해 모바일방송 사용자의 비디오 / 오디오 / 데이터 콘텐츠 사용통계 조사를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할 수 있으며, 방송콘텐츠사용통계 데이터를 방송망 또는 통신망으로 실시간 제공하여 고객의 관심과 충성도를 높일 수 있으며, 모바일방송 사용자는 수신한 방송콘텐츠사용통계를 참조하여 자신의 콘텐츠 사용 계획을 사전에 수립할 수 있으며, 모바일방송 사용자 스스로 방송콘텐츠사용이력데이터를 방송콘텐츠사용통계 생성 목적으로 전달 할 지 여부를 설정할 수 있어서 프라이버시 침해 이슈를 방지할 수 있으며 방송콘텐츠사용통계조사 참여/탈퇴 여부를 고객센터 전화통화 또는 가입동의서/탈퇴요청서를 작성할 필요가 없어서 방송콘텐츠사용통계 조사 참여/탈퇴가 용이하며, 방송콘텐츠사용이력 데이터를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제공하는 모바일방송 사용자에 대해서 과금정산 혜택을 제공하여 더욱 많은 사용자가 방송콘텐트사용통계 조사에 참여할 수 있도록 동기부여를 할 수 있어서 통계조사 표본 확대 및 통계조사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으며, 방송콘텐츠사용이력데이터 수집 및 통계 사업자는 통계데이터를 모바일방송 사용자에게 맞춤화하 여 제공하거나 모바일방송사업자에게 고객서비스 및 콘텐츠제공사 평가보상, 그리고 광고비 산정용으로 제공함에 대한 과금정산을 할 수 있어서 방송콘텐츠사용이력 수집 및 통계 산정 비용 보전뿐만 아니라 더욱 많은 투자를 할 수 있어서 더욱 정교한 방송콘텐츠사용통계 조사가 가능하며, 모바일방송서비스사업자는 방송콘텐츠사용통계를 부가적인 데이터서비스로 제공할 수 있어서 신규 수익모델 수립이 가능하며, 모바일방송 사용자에겐 자신이 선호하는 방송콘텐츠 또는 쟝르에 대한 시청률, 사용률, 동시시청자수, 동시사용자수 등과 방송콘텐츠사용통계를 실시간으로 조회할 수 있어서 모바일방송 사용의 또 다른 즐거움을 제공할 수 있으며,사전에 콘텐츠사용이력데이터 제공을 허락한 모바일단말기에 방송콘텐츠사용이력 수집 및 전송에 대한 제어명령을 이동통신 기반의 SMS 수단 외에 소켓통신, 메일, 그리고 방송망 기반의 CAS메일, 방송메일, 스트림 기반 데이터 등 다양한 수단으로 전송 할 수 있어서 방송콘텐츠사용이력데이터 수집 및 통계생성을 실시간 제어할 수 있어서 실시간 통계조사가 가능하며, 사용자의 방송콘텐츠사용이력 데이터를 통계 생성용으로 사용할 뿐이 아니라 사용자의 과금데이터로 활용할 수 있어서 모바일방송 서비스 사용자에 대한 과금을 시청시간, 사용시간, 시청횟수, 사용횟수 등에 기반하여 할 수 있어서 모바일방송사업자에겐 보다 다양한 상품패키지 기획을 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실시간 시청률, 실시간 사용률, 동시시청자수, 동시사용자수, 콘텐츠사용통계, 시청이력, 사용이력, 시청과금정산, 사용과금정산, 데이터 콘텐츠 사용자수, 데이터 콘텐츠 사용율

Description

양방향 모바일방송 환경에서의 실시간 방송콘텐츠사용통계 서비스 과금정산시스템 및 방법{COST ACCOUNT SYSTEM IN USE OF Realtime Statistics Service of Broadcasting Contents Utilization Under two-way Mobile TV}
본 발명은 양방향 모바일방송 환경에서의 실시간 방송콘텐츠 사용통계 서비스 과금정산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지상파DMB, 위성DMB, 무선인터넷 모바일TV, 휴대인터넷 모바일TV 등 이동중에 수신이 가능한 방송매체 사용자가 비디오 / 오디오 / 데이터 콘텐츠를 시청하고, 청취하며, 이용한 방송콘텐츠사용이력을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수집하여, 사용자 프로파일정보 및 콘텐츠 편성/운영 정보를 참조하여 성별 / 연령별 / 지역별 / 분단위 또는 시간대별 / 요일별 / 채널별 / 콘텐츠별 시청률, 사용률, 동시 시청자수, 동시 사용자수, 누적 시청자수, 누적 사용자수, 시청률 순위, 사용률 순위 등의 방송콘텐츠사용통계를 생성하고 서비스 제공하여 과금정산처리를 하는 것이다. 즉, 모바일방송 단말기는 실시간으로 사용자의 콘텐츠사용이력을 캡쳐하고 저장하여 모바일방송콘텐츠사용통계서비스사업자에게 전달하고, 모바일방송콘텐트사용통계서비스 사업자는 수집한 방송콘텐츠사용이력 데이터를 고객정보와 방송편성/운영정보, 콘텐츠정보를 결합하여 시청률, 사용률 등의 방송콘텐츠사용통계데이터를 생성하고, 콘텐츠 사용이력 데이터를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제공 또는 수집을 허락한 사용자에게는 과금정산혜택을 제공하고,방송콘텐츠사용통계 데이터를 가공하여 부가서비스로 고객에게 제공하고, PP(Program Provider), CP(Contents Provider) / DP(Data Provider) / AP(Application Provider) 등 콘텐츠제공사 또는 광고주에 대한 평가보상의 근거 데이터로 활용하고 방송콘텐츠사용통계데이터를 사용하는 모바일방송 사업자 대한 과금정산을 하고, 모바일방송 사용자 개개인이 필요로 하는 방송콘텐츠사용통계데이터를 제공하는 것에 대한 과금정산처리를 할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모바일 디지털방송에서는 비디오 및 오디오, 그리고 데이터 콘텐츠 전송과 더불어 단말기 수신에 필요한 네트워크 정보, 프로그램 패킷 할당 정보, 비디오와 오디오 비트열이 전송되는 패킷 정보, 서비스채널 정보, 프로그램 편성 정보(채널,프로그램이벤트아이디, 시작시간, 듀레이션등), 수신제한(CAS)정보, 시청연령등급정보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세 및 서비스정보가 같이 전송된다. 이러한 정보를 참조하여 방송프로그램가이드인 EPG를 구성하기도 하고 채널 전환이나 시청예약을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채널전환, 프로그램 시청, 데이터콘텐츠 사용 등의 시청 및 사용 행태를 캡쳐하여 로그를 생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모바일방송 콘텐츠 시청 및 사용 행태 이력 정보를 활용하여 전통적인 TV시청률과 같은 통계자료를 생성하여 모바일방송사들이 다른 모바일방송사와 비교하여 자사 프로그램 콘텐츠에 대한 시청자 또는 사용자의 수용실태를 분석하고 방송의 제작과 편성에 필요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모바일 방송광고 영업에 있어서 광고주를 설득하기 위한 객관적인 자료로 시청률 또는 사용률 자료를 사용할 수도 있다.
전통적인 TV방송에서는 비디오 프로그램 시청률 조사를 하며, 조사방법으로는 이력데이터를 어떻게 수집하느냐에 따라 일기식 조사(Diaries), 인터뷰 조사, 미터를 이용한 조사(Meters)등으로 구분된다. 일기식조사는 작은 책자를 시청자들에게 배포해 그들의 미디어 노출기록을 작성하도록 하는 것으로, 다른 조사 방법에 비해 저렴하지만 사람의 기억력에 의존한다는 한계가 상존한다. 미터를 이용한 조사는 미디어 이용행태를 사람의 기억이 아니라 기계가 자동으로 기록해주는 방법으로 처음에 등장한 미터는 오디미터(audimeter)로, 시청행위를 자동으로 기록하고 기록자료를 전화선을 통해 시청률조사기관으로 전송해 준다. 이렇게 전송된 자료는 다음날 본부의 컴퓨터에 의해 시청률 산출에 이용되는데 이러한 오디미터의 단점은 개인시청률이 기록되지 않은 것인데, 이를 보완해 피플미터(People Meter)가 도입되었다. 피플미터는 텔레비젼에 부착된 전자장치를 이용해 누가, 언제, 어떤 방송을 시청했는지를 자동 기록, 송신하게 돼 있어 시청패턴은 물론 시청자의 인구통계학적인 자료를 동시에 얻을 수 있지만, 이 방법은 미터기 설치가 복잡하고 비용이 많이 들고, 응답자의 절대적인 협조가 요구된다는 점 등이 단점이 있다.
현재 모바일디지털방송은 지상파, 위성등 방송전용망과, 2G, 3G 등 이동통신망을 사용하여 서비스되고 있다. 대표적인 방송전용망 기반 모바일방송 서비스로는 지상파DMB, 위성DMB등이 있으며, 이동통신망인 2G 또는 3G 기반 모바일방송 서비스로는 SKTV, KTF-Fimm등이 있다. 모바일방송을 수신하는 단말기로는 휴대폰겸용단말기, 전용단말기, 차량용 네비게이션 결합 단말기 등으로 구분되나, 이동전화 / 무 선인터넷 / 카메라 / 방송수신 기능 등을 하나의 단말에서 이용할 수 있는 복합결합 단말기에 대한 사용자의 니즈로 휴대폰겸용단말기가 주류를 이루고 있다. 그러나, 최근에 차량용 네비게이션이 동적으로 빠른 길 안내를 할 수 있도록 모바일방송망을 활용한 TPEG(Transport Protocol Expert Group)기반 실시간교통정보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어서, 기존 정적인 차량용 네비게이션 장치에 위성DMB 또는 지상파DMB 수신 기능이 통합되는 경향이 뚜렷하여 모바일방송 수신이 가능한 차량용네비게이션결합단말기도 보급이 점차 확산 되고 있다.
그리고, 2.3GHz대역을 사용하여 이동하면서 초고속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는 휴대인터넷인 와이브로(Wibro)는 비록 일부 지역이지만 상용화 되었으며,3세대 이동통신 국제표준으로 채택된데 이어 그 주파수 대역이 4G 세계공통 주파수로 선정되면서 세계모바일표준규격으로 채택 되었다. 와이브로는 모바일 데이터 통신용으로 개발되었지만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기술을 이용할 경우 음성통화도 가능하며, IP멀티캐스팅 또는/및 유니캐스팅 등의 콘텐츠 딜리버리(Delivery) 기술을 활용할 경우 디지털방송 또한 가능하므로 또 하나의 모바일방송매체로써 휴대인터넷 기반 모바일IPTV 시대 또한 멀지 않았다.
모바일 디지털방송기술은 비디오, 오디오 제공 뿐이 아니라 데이터 서비스도 가능하다는 것이 특징이다. 즉, 스포츠 경기를 시청하면서 선수의 프로파일 정보, 날씨, 뉴스, 증권정보 등을 동시에 조회/검색할 수도 있고 우승팀 맞추기 게임에 참여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채널에서는 TPEG 기반 실시간교통정보를 수신하여 네비게이션으로 빠른길 안내를 받거나, One-to-many의 방송 특성을 이용하여 다음이나 네이버, 야후와 같은 인터넷 포탈과 유사한 데이터서비스를 모바일방송 특정 채널 또는 프로그램 가이드인 EPG(Electronic Program Guide)에서 제공받을 수 있다.
디지털 모바일방송은 방송망 기반 또는 통신망 기반 구분없이 방송서비스와 데이터통신 서비스가 빠르게 결합 되고 있으며, 비디오 / 오디오 프로그램 외에 뉴스, 날씨정보, 증권정보, 게임, 실시간교통정보 서비스를 이용하는 고객이 꾸준히 증가되고 있으며, 예전에는 방송 하나의 채널에 하나의 프로그램만 시청했으나, 모바일디지털방송은 하나의 채널에서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콘텐츠를 시청할 수도 있고 이용할 수 있다. 모바일방송 콘텐츠에 대한 시청자 또는 사용자의 수용실태를 분석하고 방송의 제작과 편성에 필요한 정보를 얻기 위한 기술 개선 및 진화가 필요하다.
현재 모바일방송 시청률 측정은 방송수신과 이동통신이 가능한 복합단말기 대상으로 조사되고 있다. 시청률 조사에 대해서 사전 동의한 고객에 대해서 단말기에 표시되지도 않고 도착 알림을 발생시키지 않는 특수한 SMS(Short Messaging Service)를 전송하여 시청이력 저장 시작과 종료 및 전송 시작과 종료를 제어하고, SMS에 포함된 전송 콜백(Call Back) URL주소 및/또는 네트워크정보로 전송서버를 지정한다. 시청이력은 시청채널, 시청프로그램명, 시청시작시간, 시청종료시간으로 구분되어 파일 형태로 메모리에 저장되며, 이렇게 저장된 시청이력파일은 전송 시작시간에 맞추어 전송 URL주소로 스마트카드아이디와 함께 전송되고, 수신된 또는 수집한 시청이력파일은 고객센터의 가입자정보를 참조하여 성별,연령별,채널별, 프로그램별 시청률 통계를 생성하여 PP(Program Provider) 정산 및 광고비 산정의 기초자료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모바일 시청률 측정 시스템 및 방법은 시청이력 수집을 위해서는 사전에 SMS를 전송해야함으로 시청이력데이터 수집 및 통계 생성까지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정보의 적시성이 떨어지고, SMS 수신 시점 또는 시청이력전송 시점에 단말기 전원이 OFF되어 있을 경우에는 일정시간 또는 기간 동안 축적된 소중한 시청이력데이터 수집 자체가 불가능하며, 고객으로부터 시청이력 수집 동의를 얻기 위해서는 사전에 일일이 신청서를 받아야 하고, 시청이력조사 탈퇴를 원하는 고객은 변경신청서를 작성하거나 고객센터에 전화를 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많아서 시청이력 조사 대상자 변경 또는 확대에 어려움이 많다. 그리고, 수집한 시청이력데이터를 프로그램별 시청률등의 통계 데이터로 변환하기 위해서 프로그램 편성정보를 참조하여 시청이력데이터의 시청채널, 프로그램 코드, 시청시작시간, 시청종료시간 등과 비교 매칭하여 통계산정을 하고 있으나 통상적으로 프로그램 편성정보와 운영정보가 상이한 경우가 많은 방송환경에서는 편성정보와 운영정보를 참조해야 보다 정확한 시청률 산정이 가능하다. 그리고, 시청률 조사 참여 고객에 대한 차별적인 과금정산 혜택을 부여할 수 있는 시스템이나 방법이 없음으로 인하여, 고객들이 시청률 조사 참여를 기피하게 되어 보편 타당한 시청률 조사 집단을 구성하는데 어려움이 있으며, 실시간으로 시청률 통계를 산정하여 고객에게 제공할 수 있는 방법이 없음으로 인하여 고객이 선호하는 쟝르의 프로그램 시청률 정보를 얻기 위해서 인터넷이나 신문기사를 일일이 검색해야 하며, 많은 비용을 투자하여 조사된 시청률 데이터를 부가서비스로 제공할 수 있는 방법이 없음으로 보다 정확하고 공정한 시청률 조사를 위한 투자를 늘리기가 어려운 악순환이 이어지고 있다. 더군다나, 디지털방송의 특징인 데이터방송(통상적으로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또는/및 복수의 모듈로 구성되며 비디오연동, 오디오연동, 전용데이터방송으로 분류)에 대한 시청률 또는 사용률을 측정할 방법은 없다. 현재 방식으로는 비디오연동 또는 오디오연동 데이터방송에 대한 시청률 측정이 불가능하며, 전용데이터방송채널에 대해서는 시청시작시간과 시청종료시간으로 채널 시청률을 측정할 수는 있지만, 비디오나 오디오프로그램에 비해서 시청률의 의미가 다르기 때문에 측정된 데이터방송 시청률은 모바일방송사업자와 광고주, 그리고 고객 모두에게 혼란을 줄수 밖에 없으며, 데이터콘텐츠제공사(DP Data Provider, AP Application Provider) 평가 및 정산, 데이터 광고비 산정의 기초 자료로 사용하기에는 사실상 불가능하다.
그리고, 다른 모바일방송 시청률조사 방법은 방송센터 서버에서 방송신호에 시청률 조사 내용을 포함하여 송신하면 단말기가 방송신호와 시청률조사내용을 수신하여 시청자에게 표시하여 시청자 스스로 시청률 조사 참여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는 특징은 있으나, 이러한 방법은 강제적인 시청률조사내용 표시 또는 노출로 시청자의 비디오 시청을 방해할 수 있고 특정 프로그램에 대한 시청률 조사에 한정되기 때문에 보편 타당한 시청률 통계로 인정받기에는 단점이 많다.
그리고, 또 다른 모바일방송 시청율조사 방법은 시청이력데이터 수집의 구체적인 방법이 기술되어 있지 않으며, 시청이력 데이터를 최대 80byte로 제약되는 SMS로 전송하고 수신한다는 것 또한 현실적으로 기술 대안이 될 수 없다는 것과 성별, 연령별 시청률 통계 생성을 위해서는 고객센터의 고객정보를 참조해야 하는데, 고객정보를 참조하기 위한 식별 키에 대한 기술적인 대안이 없다는 단점이 있다.
종래기술의 문헌정보
[문헌 1] 대한민국 공개 특허 제2005-0029936
[문헌 2] 대한민국 공개 특허 제2006-0106402
[문헌 3] 대한민국 공개 특허 제2007-0074153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모바일디지털방송 사용자의 비디오콘텐츠 시청이력, 오디오콘텐츠 청취이력, 비디오프로그램 연동 데이터콘텐츠 사용 이력, 오디오프로그램 데이터콘텐츠 사용이력, 독립형 데이터콘텐츠 사용이력, EPG 또는 전용EPG 또는 개인화EPG사용 이력 등을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수집하여 고객특성 및/또는 콘텐츠 속성별 시청률, 청취율, 사용률, 동시시청자수, 동시청취자수, 동시사용자수 등의 모바일방송 콘텐츠사용통계를 생성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방송콘텐츠사용통계를 실시간으로 모바일단말기에 제공하여 현재 시청 중인 또는 청취 중인 또는 사용 중인 방송콘텐츠에 대한 전반적인 모바일방송 사용자의 현재 사용정보(시청률, 청취율, 사용률, 동시 시청자수, 동시 사용자수, 각각 정보의 변화추이 등)를 제공하여 모바일방송 서비스의 색다른 재미와 즐거움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모바일사용자 또는 광고주 각각이 필요로 하는 방송콘텐츠사용통계를 실시간으로 조회할 수 있도록 하여 모바일방송콘텐츠별 선호도 또는 수용도를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분석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시청률, 사용률, 동시시청자수, 동시사용자수 등의 모바일방송콘텐츠사용통계 데이터를 부가서비스로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과금 할 수 있도록 하여 모바일방송서비스사업자의 새로운 수익모델이 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모바일방송콘텐츠사용이력을 수집하고 통계를 생성하는 방송콘텐츠사용통계서비스사업자가 모바일사용자 또는 광고주 각자의 선호 정보를 제공하거나 모바일방송사업자에게 방송콘텐츠사용통계를 제공하는 것에 대한 과금정산을 할 수 있도록 하여, 수익모델에 따른 방송콘텐츠사용통계를 더욱 정교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콘텐츠사용통계서비스사업자가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방송콘텐츠사용이력데이터를 제공 또는 수집을 허락하는 모바일 사용자에게 과금정산 혜택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자발적인 모바일방송콘텐츠사용통계 조사 참여 독려 및 방송콘텐츠사용통계조사 표본 수를 늘릴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모바일방송 사용자 스스로 자신의 콘텐츠사용이력데이터를 콘텐츠사용통계 조사 목적으로 제공할지 여부와 제공방법(실시간 제공, 주기적인 제공, 제공종료시간 등)을 실시간으로 모바일 단말기에 설정할 수 있도록 하여 자발적인 콘텐츠사용통계 조사 참여 및 보다 객관적인 콘텐츠사용통계 조사, 그리고 프라이버시 침해 이슈 발생을 방지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모바일방송서비스사업자가 방송콘텐츠사용통계데이터를 활용하여 PP(Program Provider), DP(Data Provider), AP(Application Provider) 등 콘텐츠 제공사 및/또는 광고주에 대한 콘텐츠 선호도 또는 수용도를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평가하고, 과금정산처리를 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방송콘텐츠사용통계서비스 사업자가 통상적인 데이터 전송 수단인 통신망 기반 SMS, MMS, 소켓통신, 통신메일 수단과 방송망 기반 방송 스트림 데이터, CAS메일, 방송메일등의 수단을 활용하여 사전에 방송콘텐츠사용이력데이터 제공을 허락한 모바일단말기에 대해서 방송콘텐츠사용이력데이터 생성 및 저장, 그리고 제공 시기와 방법 등의 제어명령을 실시간으로 설정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모바일단말기 사용자에 대해서 기존의 월정액 또는 VoD건당 또는 패킷단위 과금 방식 이외에 시청시간, 사용시간, 시청횟수, 사용횟수 등 시청량 또는 사용량에 기반하여 과금정산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모바일방송 사용자가 콘텐츠 이용 전에 실시간방송콘텐츠사용통계를 조회/검색할 수 있도록 하여 콘텐츠 이용 계획을 사전에 수립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양방향 모바일방송 환경에서의 실시간 방송콘텐츠 사용통계 서비스 과금정산시스템은,
DMB 및 휴대인터넷 기반 양방향 모바일 방송에서의 실시간 방송콘텐츠사용통계 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
실시간으로 방송콘텐츠사용 이벤트 발생 시마다 사용이력 데이터를 캡쳐하여 메모리 장치에 저장하고 저장된 방송콘텐츠사용이력데이터를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 로 방송콘텐츠사용통계서비스수단으로 전달하고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방송콘텐츠사용통계데이터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하는 모바일단말기와;
모바일단말기로부터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방송콘텐츠사용이력데이터를 수집하고, 사용자특성별 방송콘텐츠특성별 사용통계 생성을 위해서 고객 프로파일 정보, 방송콘텐츠 편성/운영정보, 방송콘텐츠 속성정보, 서비스채널 속성 정보를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데이터 가공을 수행하고 방송콘텐츠사용통계를 생성하며 사용자 요청 시 통계데이터를 모바일단말기로 전달하는 방송콘텐츠사용통계서비스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모바일단말기는,
사용자가 방송콘텐츠사용이벤트 발생 시킬 때 마다 적어도 채널아이디, 메인 콘텐츠 아이디, 서브 콘텐츠 아이디, 사용시작시간, 사용종료시간, 듀레이션, 콘텐츠사용이벤트유형코드, 사용경로코드, 사용종료코드를 하나 이상 추출하여 콘텐츠사용이력데이터를 생성하는 콘텐츠사용데이터캡처부와,
캡처 된 콘텐츠사용이력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정해진 데이터포맷에 맞추어 메모리장치에 임시로 저장하는 콘텐츠사용데이터저장부와,
메모리장치에 저장된 콘텐츠사용이력데이터를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방송콘텐츠사용통계서비스 수단으로 전송 시 사용자인식코드로서 적어도 USIM카드아이디,스마트카드아이디, 휴대전화번호, CAS아이디, IP어드레스, 사용자아이디, 단말기일련번호를 하나 이상 포함하여 전송하는 실시간콘텐츠사용데이터전송부와,
상기 각 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반적인 제어를 담당하는 모바일단말기 서비스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부가적인 양상에 따라 상기 모바일단말기는,
모바일단말기 사용자가 방송콘텐츠사용통계데이터 조회를 위해 사용자인식코드 및 적어도 요일, 시간대, 채널아이디, 채널명, 메인 콘텐츠아이디, 메인 콘텐츠명, 콘텐츠쟝르아이디, 콘텐츠쟝르명, 통계조회기간, 통계지표아이디, 통계지표명을 포함하여 하나 이상의 검색조건으로 하여 방송콘텐츠사용통계서비스수단으로 통계데이터를 요청하는 콘텐츠사용통계데이터요청부와,
방송콘텐츠사용통계서비스수단으로부터 조회 결과인 콘텐츠사용통계데이터를 수신하는 콘텐츠사용통계데이터수신부와,
수신된 콘텐츠사용통계데이터를 사용자에게 EPG 어플리케이션 또는 데이터 어플리케이션 또는 기타 콘텐츠UI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하는 콘텐츠사용통계데이터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부가적인 양상에 따라 상기 모바일단말기는,
모바일단말기 사용자 스스로 콘텐츠사용이력 수집 및 전송을 실시간으로 제어 할 수 있도록 적어도 방송콘텐츠사용이력데이터 캡처 여부, 저장 여부, 실시간전송 여부, 전송주기, 전송 URL주소 또는 IP주소 또는 서버명을 포함하여 하나 이상 설정할 수 있는 환경설정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부가적인 양상에 따라 상기 모바일단말기는,
방송콘텐츠사용통계서비스수단으로 부터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적어도 방송콘텐츠사용이력캡쳐유형, 실시간 전송여부, 전송주기, 전송시작시간, 전송오류 시 재시도 주기 및 횟수, 전송종료시간, 전송URL 또는 전송IP주소 또는 전송서버명을 하나 이상 포함한 콘텐츠사용이력정보 캡쳐 및 전송제어명령을 방송망 또는 통신망으로 수신하고 처리하는 콘텐츠사용이력데이터수집 및 전송트리거수신처리제어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방송콘텐츠사용통계서비스수단은,
모바일단말기로부터 적어도 USIM카드아이디,스마트카드아이디, 휴대전화번호, CAS아이디, IP어드레스, 사용자아이디, 단말기일련번호를 하나 이상 포함한 사용자인식코드와 콘텐츠사용이력데이터를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수신하는 콘텐츠사용이력데이터수신부와,
정확한 통계데이터 생성을 위해서 수신된 각각의 콘텐츠사용이력데이터의 오류 유무를 확인하고 분류하며, 콘텐츠사용이력데이터에 포함된 사용자인식코드로 고객관리DB를 검색하여 적어도 사용자 연령, 남녀구분, 지역구분, 직업정보, 상품패키지정보, 단말기모델정보, 가입일, 고객등급 정보를 하나 이상 추출하고, 적어도 채널아이디, 메인 콘텐츠 아이디, 서브 콘텐츠 아이디, 사용시작시간, 사용종료시간, 듀레이션, 오브젝트 아이디, 어플리케이션 아이디, 메뉴아이디를 하나 이상의 검색 조건으로 하여 방송콘텐츠관리DB를 참조하여 적어도 채널명, 콘텐츠명, 콘텐츠유형(비디오, 오디오, 데이터, 비디오 연동 데이터, 오디오 연동 데이터, 데이터의 데이터, 주문형 비디오, 주문형 오디오, 주문형 데이터), 쟝르구분, 본방/재방구분, 주문형 콘텐츠 여부를 하나 이상 포함하여 정보를 추출하고 결합하여 가공하는 콘텐츠사용이력데이터가공부와,
적어도 일별 또는 요일별 또는 채널별 또는 콘텐츠별 또는 시간대별 또는 분단위별 또는 성별 또는 연령별을 하나이상의 통계생성 기준으로 하여 적어도 통계대상자수, 시청자수, 사용자수, 동시 시청자수, 동시 사용자수, 시청률, 사용률, 시청률 순위, 사용률 순위 통계를 하나 이상 생성하고 DB로 관리하는 콘텐츠사용통계생성관리부와,
상기 각 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반적인 제어를 담당하는 방송콘텐츠사용통계서비스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부가적인 양상에 따라 상기 방송콘텐츠사용통계서비스수단은,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적어도 일별 또는 요일별 또는 채널별 또는 콘텐츠별 또는 시간대별 또는 분단위별 또는 성별 또는 연령별을 하나이상의 통계기준으로 하여 적어도 시청률, 사용률, 동시 시청자수, 동시 사용자수, 시청률 순위, 사용률 순위, 시청률 상위 콘텐츠 리스트, 사용률 상위 콘텐츠 리스트를 하나 이상 포함한 방송콘텐츠사용통계데이터를 모바일단말기로 전송하는 콘텐츠사용통계데이터전송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부가적인 양상에 따라 상기 방송콘텐츠사용통계서비스수단은,
모바일단말기로부터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전송된 또는 수집한 방송콘텐츠사용이력데이터와 수신시간, 그리고 사용자인식코드로서 적어도 USIM카드아이디,스마트카드아이디, 휴대전화번호, CAS아이디, IP어드레스, 사용자아이디, 단말기일련번호를 하나이상 포함하며 이력 관리하는 과금정산데이터관리부와,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방송콘텐츠사용이력데이터를 캡처하여 전송하는 모 바일단말기 사용자에 대해서 수신료 감면 또는/및 유료 콘텐츠 감면 또는/및 포인트 또는 마일리지 적립, 부가서비스 무료, 할인쿠폰 또는 선물교환권등의 과금정산혜택을 제공하기 위해서 과금정산데이터를 참조하여 방송콘텐츠사용데이터 제공 모바일 사용자에 대한 과금정산을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수행하는 과금정산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부가적인 양상에 따라 상기 방송콘텐츠사용통계서비스수단은,
모바일단말기로부터 방송콘텐츠사용통계데이터 조회/검색 요청을 접수하고 부합되는 실시간방송콘텐츠사용통계 데이터를 제공하는 콘텐츠사용통계데이터요청접수 및 처리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부가적인 양상에 따라 상기 방송콘텐츠사용통계서비스수단은,
모바일단말기로 하여금 방송콘텐츠사용이력데이터를 캡쳐하고 저장하여 전송하라는 제어 명령을 방송망 또는 통신망으로 전달하는 콘텐트사용이력데이터수집및전송트리거전송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부가적인 양상에 따라 상기 방송콘텐츠사용통계서비스수단은,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전송된 방송콘텐츠사용이력데이터를 수신시간과 적어도 USIM카드아이디, 스마트카드아이디, 휴대전화번호, CAS아이디, IP어드레스, 사용자아이디, 단말기일련번호를 하나이상 포함한 사용자인식코드로 관리하는 과금정산데이터관리부와,
과금정산데이터를 참조하여 사용자별 방송콘텐츠 사용시간 또는/및 사용횟수를 산정하여 모바일 사용자에 과금정산을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수행하는 과금정산부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모바일방송 환경에서의 실시간 방송콘텐츠 사용통계 서비스 과금정산시스템은,
DMB 및 휴대인터넷 기반 양방향 모바일 방송에서의 실시간 방송콘텐츠사용통계 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
모바일단말기로부터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방송콘텐츠사용이력데이터를 수집하고, 사용자특성별 방송콘텐츠특성별 사용통계 생성을 위해서 고객 프로파일 정보, 방송콘텐츠 편성/운영정보, 방송콘텐츠 속성정보, 서비스채널 속성 정보를 결합하여 데이터 가공을 수행하고 방송콘텐츠사용통계를 생성하며 생성된 통계데이터를 모바일방송서비스수단으로 전달하는 방송콘텐츠사용통계서비스수단과;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방송콘텐츠사용통계데이터를 수신하고 고객프로파일 정보 또는 방송콘텐츠 편성 및 운영 정보를 참조하여 통계데이터를 모바일방송 포맷에 맞도록 변환하고 송출 스케쥴에 따라서 모바일단말기로 제공하기 위해서 전송하는 모바일방송서비스수단과;
실시간으로 방송 콘텐츠 사용 데이터를 수신하고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하는 모바일단말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방송콘텐츠사용통계서비스수단은,
모바일단말기로부터 적어도 USIM카드아이디,스마트카드아이디, 휴대전화번호, CAS아이디, IP어드레스, 사용자아이디, 단말기일련번호를 하나 이상 포함한 사용자인식코드와 콘텐츠사용이력데이터를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수신하 는 콘텐츠사용이력데이터수신부와,
정확한 통계데이터 생성을 위해서 수신된 각각의 콘텐츠사용이력데이터의 오류 유무를 확인하고 분류하며, 콘텐츠사용이력데이터에 포함된 사용자인식코드로 고객관리DB를 검색하여 적어도 사용자 연령, 남녀구분, 지역구분, 직업정보, 상품패키지정보, 단말기모델정보, 가입일, 고객등급 정보를 하나 이상 추출하고, 적어도 채널아이디, 메인 콘텐츠 아이디, 서브 콘텐츠 아이디, 사용시작시간, 사용종료시간, 듀레이션, 오브젝트 아이디, 어플리케이션 아이디, 메뉴아이디를 하나 이상의 검색 조건으로 하여 방송콘텐츠관리DB를 참조하여 적어도 채널명, 콘텐츠명, 콘텐츠유형(비디오, 오디오, 데이터, 비디오 연동 데이터, 오디오 연동 데이터, 데이터의 데이터, 주문형 비디오, 주문형 오디오, 주문형 데이터), 쟝르구분, 본방/재방구분, 주문형 콘텐츠 여부를 하나 이상 포함하여 정보를 추출하고 결합하여 가공하는 콘텐츠사용이력데이터가공부와,
적어도 일별 또는 요일별 또는 채널별 또는 콘텐츠별 또는 시간대별 또는 분단위별을 하나이상의 통계생성 기준으로 하여 적어도 통계대상자수, 시청자수, 사용자수, 동시 시청자수, 동시 사용자수, 시청률, 사용률, 시청률 순위, 사용률 순위 통계를 하나 이상 생성하고 DB로 관리하는 콘텐츠사용통계생성관리부와,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일별 또는 요일별 또는 채널별 또는 콘텐츠별 또는 시간별 또는 분단위별 적어도 시청률, 사용률, 동시 시청자수, 동시 사용자수, 시청률 순위, 사용률 순위, 시청률 상위 콘텐츠 리스트, 사용률 상위 콘텐츠 리스트를 하나 이상 포함되어 있는 방송콘텐츠사용통계를 모바일방송서비스수단으로 전송 하는 콘텐츠사용통계데이터전송부와,
상기 각 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반적인 제어를 담당하는 실시간방송콘텐츠사용통계서비스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부가적인 양상에 따라 상기 모바일방송서비스수단은,
방송콘텐츠사용통계분석수단으로부터 콘텐츠사용통계데이터를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수신하는 콘텐츠사용통계데이터수신부와,
수신된 콘텐츠사용통계데이터를 모바일방송망으로 전송하기 위해서 방송콘텐츠관리DB의 편성/운영정보를 참조하여 적어도 전송 서비스채널, 전송 시작시간, 전송 듀레이션, 전송횟수, 전송종료시간, 수신 어플리케이션 아이디, 수신 어플리케이션 모듈 아이디을 하나 이상 결정하고 방송서비스 규격에 맞도록 데이터 포맷팅을 하는 콘텐츠사용통계데이터변환부와,
방송에 적합하도록 변환된 콘텐츠사용통계데이터를 편성/운영 스케쥴에 따라서 모바일 방송망 또는 통신망으로 전송하는 콘텐츠사용통계데이터전송부와,
상기 각 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반적인 제어를 담당하는 모바일방송서비스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다른 부가적인 양상에 따라 상기 모바일방송서비스수단은,
모바일단말기 사용자가 방송콘텐츠사용통계데이터를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제공 받는 것에 대한 과금을 위한 콘텐츠사용통계데이터부가서비스과금정산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또 다른 부가적인 양상에 따라 상기 모바일방송서비스수단은,
방송콘텐츠사용통계서비스수단으로부터 방송콘텐츠사용통계데이터를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제공받고 서비스에 이용하는 것에 대한 과금정산을 위해서 수신이력데이터를 관리하는 모바일방송서비스과금정산데이터관리부와,
과금정산데이터에 기반하여 방송콘텐츠사용통계서비스수단과의 과금정산을 수행하는 콘텐츠사용통계데이터수신과금정산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또 다른 부가적인 양상에 따라 상기 모바일방송서비스수단은,
콘텐츠사용통계를 참조하여 PP(Program Provider),CP(Contents Provider), DP(Data Provider), AP(Application Provider) 등의 콘텐츠 제공사 또는 광고주에 대한 과금정산을 수행하는 방송콘텐츠제공사과금정산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모바일단말기는,
모바일방송서비스수단으로부터 전송된 방송콘텐츠사용통계데이터를 수신하는 콘텐츠사용통계데이터수신부와,
수신된 콘텐츠사용통계데이터를 EPG 또는 데이터어플리케이션 또는 기타 콘텐츠UI로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콘텐츠사용통계데이터디스플레이부와,
상기 각 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반적인 제어를 담당하는 모바일단말기서비스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부가적인 양상에 따라 상기 모바일단말기는,
수신한 방송콘텐츠사용통계데이터에 대해서 모바일단말기 사용자가 선호하는 정보필터링 및 디스플레이 방식을 사용자 스스로 설정할 수 있는 환경설정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또 다른 부가적인 양상에 따라 상기 방송콘텐츠사용통계서비스수단은,
USIM카드아이디,스마트카드아이디, CAS아이디, 휴대전화번호, 사용자아이디, 단말기일련번호 등 모바일단말기 사용자인식코드와 사용자의 연령, 성별, 지역, 가입패키지, 단말기모델, 단말기유형, 고객등급 등의 사용자 프로파일 정보를 지속적으로 기록 관리하는 고객관리데이터베이스와,
방송콘텐츠의 콘텐츠 아이디, 콘텐츠명, 콘텐츠 유형, 쟝르코드, 사용연령등급 등 콘텐츠속성정보와 콘텐츠의 서비스채널, 서비스시작시간, 서비스듀레이션, 서비스종료시간, 본방/재방/삼방구분, 채널속성 등 편성 및 운영정보를 지속적으로 기록 관리하는 방송콘텐츠관리데이터베이스와 연계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또 다른 부가적인 양상에 따라 상기 모바일단말기의 콘텐츠사용이력데이터캡쳐부는,
콘텐츠사용이벤트 발생 유형 및/또는 캡쳐 또는 추출내역은 적어도 도8의 S600, S610, S620, S630, S640, S650, S660, S670, S680을 하나 이상 포함하고 따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또 다른 부가적인 양상에 따라 상기 모바일단말기의 콘텐츠사용데이터저장부 또는/및 콘텐츠사용데이터전송부는,
실시간일 경우는 도9의 S700 데이터구조로 저장되고 도9의 S701을 추가하여 전송되며, 주기적일 경우는 도10의 S800 또는 S802 또는 S803 또는 S804 또는 S805 와 같은 데이터구조로 저장되고 도10의 S801을 추가하여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또 다른 부가적인 양상에 따라 상기 모바일단말기의 방송콘텐츠사용이벤트는,
사용자가 모바일 방송 서비스 사용을 위해서 단말기 전원 ON, 전원 OFF, EPG 시작, EPG 종료, 채널진입, 채널전환, 채널이탈, VoD 요청, 비디오 시청, 오디오 청취, 비디오 시청 또는 오디오 청취 중 데이터콘텐츠 요청 또는 사용, TPEG실시간교통정보 수신, 데이터채널의 특정 데이터콘텐츠 선택 및 세부연관 데이터콘텐츠 요청, 광고 시청 중 카타로그 또는 쿠폰 요청, 데이터 콘텐츠 메뉴 또는 오브젝트 또는 어플리케이션 리스트 선택 및 콘텐츠 요청, 데이터콘텐츠 사용종료, 방송콘텐츠 사용 중 SMS / 채팅 / 음성통화와 같은 다른 모바일서비스 사용 등을 위해서 확인, 이전메뉴, 취소, 종료 등과 같은 버튼 또는 메뉴를 조작할 경우 방송 서비스 및 콘텐츠 수신 환경 정보를 참조하여 캡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양방향 모바일방송 환경에서의 실시간 방송콘텐츠 사용통계 서비스 과금정산 방법은,
양방향 모바일방송 서비스에서의 과금처리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방송콘텐츠사용이벤트 발생 시마다 적어도 채널아이디, 메인 콘텐츠 아이디, 서브 콘텐츠 아이디, 사용시작시간, 사용종료시간, 듀레이션, 방송콘텐츠사용이벤트유형코드, 사용경로코드, 사용종료코드를 하나 이상 추출하여 콘텐츠 사용이력데이터를 생성하는 콘텐츠사용이력데이터캡처단계와;
캡처 된 콘텐츠사용이력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정해진 데이터포맷에 맞추어 메모리장치에 임시로 저장하는 콘텐츠사용이력데이터저장단계와,
메모리장치에 저장된 콘텐츠사용이력데이터를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방송콘텐츠사용통계서비스 수단으로 전송 시 적어도 USIM카드아이디,스마트카드아이디, 휴대전화번호, CAS아이디, IP어드레스, 사용자아이디, 단말기일련번호를 하나 이상 포함한 사용자인식코드와 같이 전송하는 콘텐츠사용이력데이터전송단계와;
모바일단말기로부터 사용자인식코드로서 적어도 USIM카드아이디,스마트카드아이디, 휴대전화번호, CAS아이디, IP어드레스, 사용자아이디, 단말기일련번호를 하나 이상 포함되어 있는 콘텐츠사용이력데이터를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수신하는 콘텐츠사용이력데이터수집단계와;
모바일단말기로부터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전송된 또는 수집한 방송콘텐츠사용이력데이터와 수신시간, 그리고 사용자인식코드로서 적어도 USIM카드아이디,스마트카드아이디, 휴대전화번호, CAS아이디, IP어드레스, 사용자아이디, 단말기일련번호를 하나이상 포함하며 이력 관리하는 과금정산데이터관리단계와;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방송콘텐츠사용이력데이터를 캡처하여 전송하는 모바일단말기 사용자에 대해서 수신료 감면 또는/및 유료 콘텐츠 감면 또는/및 포인트 또는 마일리지 적립, 부가서비스 무료, 할인쿠폰 또는 선물교환권등의 과금정산혜택을 제공하기 위해서 과금정산데이터를 참조하여 방송콘텐츠사용데이터 제공 모바일 사용자에 대한 과금정산을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수행하는 과금정산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정확한 통계데이터 생성을 위해서 수신된 각각의 콘텐츠사용이력데이터의 오류 유무를 확인하고 분류하며, 콘텐츠사용이력데이터에 포함된 사용자인식코드로 고객관리DB를 검색하여 적어도 사용자 연령, 남녀구분, 지역구분, 직업정보, 상품패키지정보, 단말기모델정보, 가입일, 고객등급 정보를 하나 이상 생성하고, 적어도 채널아이디, 메인 콘텐츠 아이디, 서브 콘텐츠 아이디, 사용시작시간, 사용종료시간, 듀레이션, 오브젝트 아이디, 어플리케이션 아이디, 메뉴아이디를 하나 이상의 검색 조건으로 하여 방송콘텐츠관리DB를 참조하여 적어도 채널명, 콘텐츠명, 콘텐츠유형(비디오, 오디오, 데이터, 비디오 연동 데이터, 오디오 연동 데이터, 데이터의 데이터, 주문형 비디오, 주문형 오디오, 주문형 데이터), 쟝르구분, 본방/재방구분, 주문형 콘텐츠 여부를 하나 이상 포함하여 정보를 추출하고 결합하여 가공하는 콘텐츠사용이력데이터가공단계와,
적어도 채널별, 콘텐츠별, 시간대별 또는 분단위별을 하나이상의 통계산정 기준으로 하여 적어도 통계대상자수, 시청자수, 사용자수, 동시 시청자수, 동시 사용자수, 시청률, 사용률, 시청률 순위, 사용률 순위 통계를 하나 이상 생성하고 DB로 관리하는 콘텐츠사용통계생성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모바일단말기로 하여금 방송콘텐츠사용이력데이터를 캡쳐하고 저장하여 전송하라는 적어도 콘텐츠사용이력 캡쳐여부, 저장여부, 실시간전송여부, 전송주기, 전송시작시간, 전송오류 시 재시도 주기 및 횟수, 전송종료시간, 전송URL주 소 또는 IP주소 또는 서버명이 하나이상 포함된 제어 명령을 방송망 또는 통신망으로 적어도 SMS, 소켓통신명령, IP멀티캐스팅 스트림, IP유니캐스팅 스트림, 방송 스트림, 방송 메일, CAS 메일 수단을 하나 이상 사용하여 전달하는 콘텐트사용이력데이터수집및전송트리거 전송단계와,
적어도 USIM카드아이디,스마트카드아이디, 휴대전화번호, CAS아이디, IP어드레스, 사용자아이디, 단말기일련번호를 하나 이상 포함한 사용자인식코드와 전송제어명령을 방송망 또는 통신망으로 수신하고 처리하는 콘텐츠사용이력데이터수집 및 전송트리거 수신처리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모바일단말기 사용자 스스로 콘텐츠사용이력 수집 및 전송제어를 할 수 있도록 적어도 방송콘텐츠사용이력데이터 캡처 여부, 저장 여부, 실시간전송 여부, 전송시작시간, 전송종료시간, 전송주기, 전송오류 시 재시도 횟수, 전송 URL주소 또는 IP주소 또는 서버명을 포함하여 하나 이상 설정할 수 있는 환경설정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모바일방송 환경에서의 실시간 방송콘텐츠 사용통계 서비스 과금정산 방법은,
양방향 모바일방송 서비스에서의 과금처리방법에 있어서,
모바일단말기 사용자가 방송콘텐츠사용통계데이터 조회요청을 방송콘텐츠사용통계서비스사업자에게 할 경우 사용자인식코드와 적어도 요일, 시간대, 채널아이디, 채널명, 메인 콘텐츠아이디, 메인 콘텐츠명, 콘텐츠쟝르아이디, 콘텐츠쟝르명, 통계조회기간, 통계지표아이디, 통계지표명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조회요청하는 콘 텐츠사용통계데이터요청단계와,
모바일단말기로부터 방송콘텐츠사용통계데이터 조회요청을 접수하고 부합되는 실시간방송콘텐츠사용통계 데이터를 검색하여 제공하는 콘텐츠사용통계데이터요청접수 및 처리단계와;
모바일단말기로부터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전송된 방송콘텐츠사용통계 데이터 요청 이력을 수신시간과 적어도 USIM카드아이디,스마트카드아이디, 휴대전화번호, CAS아이디, IP어드레스, 사용자아이디, 단말기일련번호를 하나이상 포함한 사용자인식코드를 이력 관리하는 과금정산데이터관리단계와;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적어도 시청률, 사용률, 동시 시청자수, 동시 사용자수, 시청률 순위, 사용률 순위, 시청률 상위 콘텐츠 리스트, 사용률 상위 콘텐츠 리스트를 하나 이상 포함한 콘텐츠사용통계를 모바일단말기로 전송하는 콘텐츠사용통계데이터전송단계와;
모바일단말기에서 방송콘텐츠사용통계서비스 사업자로 부터 전송된 콘텐츠사용통계데이터를 수신하는 콘텐츠사용통계데이터수신단계와;,
모바일단말기에서 수신된 콘텐츠사용통계데이터를 사용자에게 EPG 어플리케이션 또는 데이터 어플리케이션 또는 기타 콘텐츠UI로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하는 콘텐츠사용통계데이터디스플레이단계와;
모바일단말기 사용자에 대해서 방송콘텐츠사용통계 데이터 조회 요청 접수 및 제공에 대한 과금정산데이터를 참조하여 모바일단말기 사용자에 대한 과금정산을 수행하는 콘텐츠통계데이터제공과금정산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 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모바일방송 환경에서의 실시간 방송콘텐츠 사용통계 서비스 과금정산 방법은,
양방향 모바일방송 서비스에서의 과금처리방법에 있어서,
모바일방송사용자에게 실시간으로 콘텐츠사용통계를 제공하기 위해서 방송콘텐츠사용통계서비스분석수단으로부터 방송콘텐츠사용통계데이터를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수신하는 콘텐츠사용통계데이터수신 단계와;
콘텐츠사용통계데이터를 제공받고 서비스에 이용하는 것에 대한 콘텐츠사용통계서비스수단과의 과금정산을 위해서 수신시간, 데이터파일, 정상수신여부 등 콘텐츠사용통계 수신이력을 관리하는 과금정산 데이터관리단계와;
주기적으로 과금정산데이터을 참조하여 방송콘텐츠사용통계수단과의 과금정산을 수행하는 방송콘텐츠사용통계데이터 수신 과금정산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방송콘텐츠사용통계서비스 수단으로 부터 제공 받은 방송콘텐츠사용통계를 방송 서비스에 적합하도록 편성/운영정보 및 방송송출규격 또는 서비스규격을 참조하여 방송콘텐츠사용통계를 변형하여 모바일 방송망 또는 통신망으로 제공할 경우 이러한 방송콘텐츠사용통계를 수신하는 모바일방송서비스사용자에 대해서 과금정산을 수행하는 방송콘텐츠사용통계 데이터 서비스 과금정산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모바일방송 환경에서의 실시 간 방송콘텐츠 사용통계 서비스 과금정산 방법은,
양방향 모바일방송 서비스에서의 과금처리방법에 있어서,
모바일방송사용자에게 실시간으로 콘텐츠사용통계를 제공하기 위해서 방송콘텐츠사용통계서비스분석수단으로부터 방송콘텐츠사용통계데이터를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수신하는 방송콘텐츠사용통계데이터수신 단계와;
방송콘텐츠사용통계 데이터를 분단위, 시간단위, 일단위, 월단위, 콘텐츠제공사별, 콘텐츠별로 방송콘텐츠사용통계를 정렬하고 요약값을 산정하는 방송콘텐츠사용통계데이터 분석단계와;
콘텐츠제공사별로 분석된 콘텐츠사용통계와 가입비, 수신료, 광고비 등의 매출통계를 참조하여 콘텐츠제공사와 과금정산을 수행하는 방송콘텐츠제공사 과금정산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본 발명의 양방향 모바일방송 환경에서의 실시간 방송콘텐츠 사용통계 서비스 과금정산시스템 및 방법은,
모바일방송 사용자의 비디오 / 오디오 / 데이터 콘텐츠 사용통계 조사를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할 수 있으며, 방송콘텐츠사용통계 데이터를 방송망 또는 통신망으로 실시간 제공하여 고객의 관심과 충성도를 높일 수 있으며, 모바일방송 사용자는 수신한 방송콘텐츠사용통계를 참조하여 자신의 콘텐츠 사용 계획을 사전에 수립할 수 있으며, 모바일방송 사용자 스스로 방송콘텐츠사용이력데이터를 방송콘 텐츠사용통계 생성 목적으로 전달 할 지 여부를 설정할 수 있어서 프라이버시 침해 이슈를 방지할 수 있으며 방송콘텐츠사용통계조사 참여/탈퇴 여부를 고객센터 전화통화 또는 가입동의서/탈퇴요청서를 작성할 필요가 없어서 방송콘텐츠사용통계 조사 참여/탈퇴가 용이하며, 방송콘텐츠사용이력 데이터를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제공하는 모바일방송 사용자에 대해서 과금정산 혜택을 제공하여 더욱 많은 사용자가 방송콘텐트사용통계 조사에 참여할 수 있도록 동기부여를 할 수 있어서 통계조사 표본 확대 및 통계조사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으며, 방송콘텐츠사용이력데이터 수집 및 통계 사업자는 통계데이터를 모바일방송 사용자에게 맞춤화하여 제공하거나 모바일방송사업자에게 고객서비스 및 콘텐츠제공사 평가보상, 그리고 광고비 산정용으로 제공함에 대한 과금정산을 할 수 있어서 방송콘텐츠사용이력 수집 및 통계 산정 비용 보전뿐만 아니라 더욱 많은 투자를 할 수 있어서 더욱 정교한 방송콘텐츠사용통계 조사가 가능하며, 모바일방송서비스사업자는 방송콘텐츠사용통계를 부가적인 데이터서비스로 제공할 수 있어서 신규 수익모델 수립이 가능하며, 모바일방송 사용자에겐 자신이 선호하는 방송콘텐츠 또는 쟝르에 대한 시청률, 사용률, 동시시청자수, 동시사용자수 등과 방송콘텐츠사용통계를 실시간으로 조회할 수 있어서 모바일방송 사용의 또 다른 즐거움을 제공할 수 있으며,사전에 콘텐츠사용이력데이터 제공을 허락한 모바일단말기에 방송콘텐츠사용이력 수집 및 전송에 대한 제어명령을 이동통신 기반의 SMS 수단 외에 소켓통신, 메일, 그리고 방송망 기반의 CAS메일, 방송메일, 스트림 기반 데이터 등 다양한 수단으로 전송 할 수 있어서 방송콘텐츠사용이력데이터 수집 및 통계생성을 실시간 제어할 수 있어서 실시간 통계 조사가 가능하며, 사용자의 방송콘텐츠사용이력 데이터를 통계 생성용으로 사용할 뿐이 아니라 사용자의 과금데이터로 활용할 수 있어서 모바일방송 서비스 사용자에 대한 과금을 시청시간, 사용시간, 시청횟수, 사용횟수 등에 기반하여 할 수 있어서 모바일방송사업자에겐 보다 다양한 상품패키지 기획을 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인 양방향 모바일방송 환경에서의 실시간 방송콘텐츠 사용통계 서비스 과금정산시스템 및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모바일방송 환경에서의 실시간 방송콘텐츠 사용통계 서비스 과금정산시스템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양방향 모바일방송 환경에서의 실시간 방송콘텐츠 사용통계 서비스 과금정산시스템은,
DMB 및 휴대인터넷 기반 양방향 모바일 방송에서의 실시간 방송콘텐츠사용통계 서비스 과금처리시스템에 있어서,
실시간으로 방송콘텐츠사용 이벤트 발생 시마다 사용이력 데이터를 캡쳐하여 메모리 장치에 저장하고 저장된 방송콘텐츠사용이력데이터를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방송콘텐츠사용통계서비스수단으로 전달하고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방송콘텐츠사용통계데이터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하는 모바일단말기(100)와;
모바일단말기로부터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방송콘텐츠사용이력데이터를 수집하고, 사용자특성별 방송콘텐츠특성별 사용통계 생성을 위해서 고객 프로파일 정보, 방송콘텐츠 편성/운영정보, 방송콘텐츠 속성정보, 서비스채널 속성 정보를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데이터 가공을 수행하고 방송콘텐츠사용통계를 생성하며 사용자 요청 시 통계데이터를 모바일단말기로 전달하는 방송콘텐츠사용통계서비스수단(200)과;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방송콘텐츠사용통계데이터를 수신하고 고객프로파일 정보 또는 방송콘텐츠 편성 및 운영 정보를 참조하여 통계데이터를 모바일방송 포맷에 맞도록 변환하고 송출 스케쥴에 따라서 모바일단말기로 제공하기 위해서 전송하는 모바일방송서비스수단(300);과 연계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방송콘텐츠사용통계서비스수단(200)은,
USIM카드아이디,스마트카드아이디, CAS아이디, 휴대전화번호, 사용자아이디, 단말기일련번호 등 모바일단말기 사용자인식코드와 사용자의 연령, 성별, 지역, 가입패키지, 단말기모델, 단말기유형, 고객등급 등의 사용자 프로파일 정보를 지속적으로 기록 관리하는 고객관리데이터베이스(400)와;
방송콘텐츠의 콘텐츠 아이디, 콘텐츠명, 콘텐츠 유형, 쟝르코드, 사용연령등급 등 콘텐츠속성정보와 콘텐츠의 서비스채널, 서비스시작시간, 서비스듀레이션, 서비스종료시간, 본방/재방/삼방구분, 채널속성 등 편성 및 운영정보를 지속적으로 기록 관리하는 방송콘텐츠관리데이터베이스(500);와 연계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모바일단말기(100)와 방송콘텐츠사용통계서비스수단(200)은 휴대 및 무선인터넷, 근거리통신망으로 구성되며, 모바일단말기(100)와 모바일방송서비스수단(300)은 위성 혹은 지상파DMB와 휴대 및 무선인터넷으로 구성되며, 방송콘텐츠사용통계서비스수단(200)과 모바일방송서비스수단(300)과 고객관리데이터베이스(400)와 방송콘텐츠관리데이터베이스(500)은 인터넷망 혹은 전용망으로 구성되게 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모바일단말기(100)는 사용자의 방송콘텐츠 사용 시 마다 방송콘텐츠사용이벤트 발생 시간, 이벤트 유형, 콘텐츠이용채널, 콘텐츠 아이디 등의 방송콘텐츠사용이력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켭쳐하고 저장하며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방송콘텐츠사용이력 데이터를 사용자인식코드와 더불어 방송콘텐츠사용통계서비스수단(200)으로 전달하게 되며, 방송콘텐츠사용통계서비스수단(200)은 다양한 모바일단말기로 부터 수집한 방송콘텐츠사용이력데이터를 고객관리데이터베이스(400) 및 방송콘텐츠관리데이터베이스(500)를 참조하여 동시 시청자수, 동시 사용자수, 분당 시청률, 콘텐츠별 시청률, 분당 사용률, 콘텐츠별 사용률 등의 통계 데이터를 생성하며, 이렇게 생성된 방송콘텐츠사용통계데이터는 모바일 단말기로 부터 조회요청이 있을 경우 사용자 요구에 맞춤화하여 통계데이터를 제공하며, 또한, 방송콘텐츠사용통계 데이터를 모바일방송서비스수단(300)으로 전달하여 모바일방송서비스수단(300)이 방송에 적합하도록 데이터 변환을 한 후 모바일단말기로 전송하여 서비스한다. 이때, 사용자 각각이 방송콘텐츠사용이력 데이터 캡쳐 및 제공에 대해서 방송콘텐츠사용통계서비스수단(200)은 수신료 감면 또는/및 유료 콘텐츠 감면 또는/및 포인트 또는 마일리지 적립, 부가서비스 무료, 할인쿠폰 또는 선물교환권 등의 과금정산 혜택을 제공할 수 있으며, 모바일방송 사용자의 특정 방송콘텐츠사용통계 데이터 조회요청에 대해서 데이터를 제공할 경우에 조회건당 또는 일정 조회건당 또는 조회서비스 사용 일정기간에 대해서 과금정산을 할 수도 있다. 모바일방송서비스 사업자(300)는 방송콘텐츠사용통계서비스수단(200)으로 부터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방송콘텐츠사용통계데이터를 수집하여 방송서비스로 제공할 경우 방송콘텐츠사용통계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 받는 사용자로 부터 부가서비스 차원에서 과금을 할 수 있으며, 또한 수집한 방송콘텐츠사용통계를 분석하여 PP(Program Provdier)/CP(Contents Provider)/DP(Data Provider)/AP(Application Provider)등의 방송콘텐츠제공사를 평가하여 인센티브 또는 페널티 정책을 이용하여 과금을 할 수도 있고 광고주와의 광고비 산정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한편, 방송콘텐츠통계서비스수단(200)과 모바일방송서비스수단(300) 각각이 별도 독립적으로 서로 다른 유형의 과금처리 및 정산처리를 수행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이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모바일방송서비스수단(300)에서 모든 과금처리 및 정산처리에 필요한 데이터를 방송콘텐츠사용통계서비스수단(200)으로부터 전달 받아서 과금처리 및 정산처리를 할수도 있으므로, 과금 정산에 대한 처리는 사업자의 설정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모바일단말기(100)의 방송콘텐츠사용이력 데이터 캡쳐 및 저장, 전달은 모바일단말기 환경설정에서 ON/OFF할 수도 있으며, 방송콘텐츠사용통계서비스수단(200)에서 방송콘텐츠사용이력 데이터 캡쳐 및 저장, 전달에 대해서 시작과 종료시간, 오류 시 재시도 횟수, 실시간 또는 일정주기 등에 대한 제어명령을 통신망 으로 직접 전달 할 수도 있으며, 모바일방송서비스수단(300)을 경유 하여 방송망으로 전달할 수도 있어서, 이 또한 사업자의 설정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서술하는 방송콘텐츠사용이력데이터는 사용자가 방송콘텐츠 사용을 위해서 단말기의 방송수신기능 ON/OFF, 디폴트 채널 진입, 채널전환, 콘텐츠사용 중 다른 통신기능 사용, 방송콘텐츠사용 정상적인 종료 또는 배터리 부족에 따른 비정상 종료 여부, 비디오 시청 중 연동형 데이터콘텐츠 사용, 오디오 청취 중 연동형 데이터콘텐츠 사용, 독립 데이터방송 채널 내 또 다른 종속 데이터콘텐츠 사용, 실시간교통정보서비스 이용 중 다른 광고/쿠폰 등의 데이터콘텐츠 사용 등 모바일방송 콘텐츠 사용과 연관된 사용자의 모든 사용행태를 의미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통해 비디오프로그램 / 오디오프로그램 뿐이 아니라 데이터 콘텐츠를 포함한 모바일방송 서비스 시청률, 이용율, 동시 시청자수, 동시 사용자수 등의 방송콘텐츠사용통계를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생성할 수 있어서, 사업자입장에서는 방송콘텐츠 사용통계를 실시간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어서 사용자의 서비스 충성도 및 만족도를 높일 수 있으며, 방송콘텐츠사용통계 자체를 또 하나의 부가서비스로 제공할 수 있고 과금을 할 수 있으며, 방송콘텐츠사용통계를 기반으로 콘텐츠제공사를 평가하고 인센티브 정책을 기획할 수 있어서 방송콘텐츠 경쟁력확보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으며, 모바일방송사용자 입장에서는 자신이 선호하는 방송프로그램 또는 콘텐츠 선택 시 시청률, 사용률 등의 통계 데이터에 기반하여 결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신의 방송콘텐츠사용이력데이터 제공에 대해서 요금 감면등의 과금혜택을 받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모바일방송 환경에서의 실시간 방송콘텐츠 사용통계 서비스 과금정산시스템의 모바일단말기를 상세하게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바일단말기(100)는,
사용자가 방송콘텐츠사용이벤트 발생 시킬 때 마다 적어도 채널아이디, 메인 콘텐츠 아이디, 서브 콘텐츠 아이디, 사용시작시간, 사용종료시간, 듀레이션, 콘텐츠사용이벤트유형코드, 사용경로코드, 사용종료코드를 하나 이상 추출하여 콘텐츠사용이력데이터를 생성하는 콘텐츠사용이력데이터캡처부(110)와,
캡처 된 콘텐츠사용이력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정해진 데이터포맷에 맞추어 메모리장치에 임시로 저장하는 콘텐츠사용이력데이터저장부(120)와,
메모리장치에 저장된 콘텐츠사용이력데이터를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방송콘텐츠사용통계서비스 수단으로 전송 시 사용자인식코드로서 적어도 USIM카드아이디,스마트카드아이디, 휴대전화번호, CAS아이디, IP어드레스, 사용자아이디, 단말기일련번호를 하나 이상 포함하여 전송하는 콘텐츠사용이력데이터전송부(130)와,
상기 각 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반적인 제어를 담당하는 모바일단말기서비스제어부(19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라 상기 모바일단말기(100)는,
모바일단말기 사용자가 방송콘텐츠사용통계데이터 조회를 위해 사용자인식코 드 및 적어도 요일, 시간대, 채널아이디, 채널명, 메인 콘텐츠아이디, 메인 콘텐츠명, 콘텐츠쟝르아이디, 콘텐츠쟝르명, 통계조회기간, 통계지표아이디, 통계지표명을 포함하여 하나 이상의 검색조건으로 하여 방송콘텐츠사용통계서비스수단으로 통계데이터를 요청하는 콘텐츠사용통계데이터요청부(160)와,
방송콘텐츠사용통계서비스수단으로부터 조회 결과인 콘텐츠사용통계데이터를 수신하는 콘텐츠사용통계데이터수신부(140)와,
수신된 콘텐츠사용통계데이터를 사용자에게 EPG 어플리케이션 또는 데이터 어플리케이션 또는 기타 콘텐츠UI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하는 콘텐츠사용통계데이터디스플레이부(15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부가적인 양상에 따라 상기 모바일단말기(100)는,
모바일단말기 사용자 스스로 콘텐츠사용이력 수집 및 전송을 실시간으로 제어 할 수 있도록 적어도 방송콘텐츠사용이력데이터 캡처 여부, 저장 여부, 실시간전송 여부, 전송주기, 전송 URL주소 또는 IP주소 또는 서버명을 포함하여 하나 이상 설정할 수 있는 환경설정부(17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부가적인 양상에 따라 상기 모바일단말기(100)는,
방송콘텐츠사용통계서비스수단으로 부터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적어도 방송콘텐츠사용이력캡쳐유형, 실시간 전송여부, 전송주기, 전송시작시간, 전송오류 시 재시도 주기 및 횟수, 전송종료시간, 전송URL 또는 전송IP주소 또는 전송서버명을 하나 이상 포함한 콘텐츠사용이력정보 캡쳐 및 전송제어명령을 방송망 또는 통신망으로 수신하고 처리하는 콘텐츠사용이력데이터수집 및 전송트리거수신처리제어 부(18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부가적인 양상에 따라 상기 모바일단말기(100)는,
모바일방송서비스수단으로부터 전송된 방송콘텐츠사용통계데이터를 수신하는 콘텐츠사용통계데이터수신부(140)와,
수신된 콘텐츠사용통계데이터를 EPG 또는 데이터어플리케이션 또는 기타 콘텐츠UI로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콘텐츠사용통계데이터디스플레이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부가적인 양상에 따라 상기 모바일단말기(100)는,
수신한 방송콘텐츠사용통계데이터에 대해서 모바일단말기 사용자가 선호하는 정보필터링 및 디스플레이 방식을 사용자 스스로 설정할 수 있는 환경설정부(17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콘텐츠사용통계요청부(160)는 사용자가 선호하는 방송콘텐츠에 대한 시청률, 사용률등의 통계 데이터를 조회요청하는 기능을 담당하는데 예를 들어, 매주 월요일과 화요일 밤 10시 시간대에 MBC와 SBS에서 각각 방송되는 '이산'과 '왕과나' 라는 사극 중 어느 프로그램을 시청할 지를 결정하지 못한 모바일방송사용자가 이전 시청률이 궁금할 경우 방송콘텐츠사용통계서비스수단(200)으로 각각의 이전 시청률을 요청할 수 있으며, 또한 특정 프로그램인 '이산' 시청 중에 현재 몇명이 동시에 시청하는지 궁금할 경우 이 또한 조회 요청을 통해서 방송을 시청하면서 실시간 동시 시청자수를 조회할 수 있어서 방송을 즐기면서 방송과 연관된 시청통계를 보면서 또 다른 즐거움을 느낄 수 있다.
상기 콘텐츠사용통계데이터디스플레이부(150)는 방송망 또는 통신망으로 수신한 방송콘텐츠통계데이터를 고객에게 제공하는 기능으로, 모바일단말기(100) EPG 또는 방송콘텐츠사용통계 데이터를 제공하는 데이터 어플리케이션으로 모바일방송 사용자가 보편적으로 선호하는 비디오 프로그램 시청률 및 상위 순위 리스트, 오디오 프로그램 청취율 및 상위 순위 리스트, 데이터방송 사용률 및 상위 순위 리스트, 최다 동시시청 프로그램 및 동시시청자수, 최다 동시 이용 데이터방송 콘텐츠 및 동시이용자수, 최다 동시 모바일방송 사용 시간대 및 사용자수 등의 통계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모바일방송 환경에서의 실시간 방송콘텐츠 사용통계 서비스 과금정산시스템의 방송콘텐츠사용통계서비스수단을 상세하게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방송콘텐츠사용통계서비스수단은(200),
모바일단말기로부터 적어도 USIM카드아이디,스마트카드아이디, 휴대전화번호, CAS아이디, IP어드레스, 사용자아이디, 단말기일련번호를 하나 이상 포함한 사용자인식코드와 콘텐츠사용이력데이터를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수신하는 콘텐츠사용이력데이터수신부(210)와,
정확한 통계데이터 생성을 위해서 수신된 각각의 콘텐츠사용이력데이터의 오류 유무를 확인하고 분류하며, 콘텐츠사용이력데이터에 포함된 사용자인식코드로 고객관리DB를 검색하여 적어도 사용자 연령, 남녀구분, 지역구분, 직업정보, 상품패키지정보, 단말기모델정보, 가입일, 고객등급 정보를 하나 이상 추출하고, 적어 도 채널아이디, 메인 콘텐츠 아이디, 서브 콘텐츠 아이디, 사용시작시간, 사용종료시간, 듀레이션, 오브젝트 아이디, 어플리케이션 아이디, 메뉴아이디를 하나 이상의 검색 조건으로 하여 방송콘텐츠관리DB를 참조하여 적어도 채널명, 콘텐츠명, 콘텐츠유형(비디오, 오디오, 데이터, 비디오 연동 데이터, 오디오 연동 데이터, 데이터의 데이터, 주문형 비디오, 주문형 오디오, 주문형 데이터), 쟝르구분, 본방/재방구분, 주문형 콘텐츠 여부를 하나 이상 포함하여 정보를 추출하고 결합하여 가공하는 콘텐츠사용이력데이터가공부(220)와,
적어도 일별 또는 요일별 또는 채널별 또는 콘텐츠별 또는 시간대별 또는 분단위별 또는 성별 또는 연령별을 하나이상의 통계생성 기준으로 하여 적어도 통계대상자수, 시청자수, 사용자수, 동시 시청자수, 동시 사용자수, 시청률, 사용률, 시청률 순위, 사용률 순위 통계를 하나 이상 생성하고 DB로 관리하는 콘텐츠사용통계생성관리부(230)와,
상기 각 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반적인 제어를 담당하는 방송콘텐츠사용통계서비스제어부(29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라 상기 방송콘텐츠사용통계서비스수단(200)은,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적어도 일별 또는 요일별 또는 채널별 또는 콘텐츠별 또는 시간대별 또는 분단위별 또는 성별 또는 연령별을 하나이상의 통계기준으로 하여 적어도 시청률, 사용률, 동시 시청자수, 동시 사용자수, 시청률 순위, 사용률 순위, 시청률 상위 콘텐츠 리스트, 사용률 상위 콘텐츠 리스트를 하나 이상 포함한 방송콘텐츠사용통계데이터를 모바일단말기로 전송하는 콘텐츠사용통계데이터전송부(24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부가적인 양상에 따라 상기 방송콘텐츠사용통계서비스수단(200)은,
모바일단말기로부터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전송된 또는 수집한 방송콘텐츠사용이력데이터와 수신시간, 그리고 사용자인식코드로서 적어도 USIM카드아이디,스마트카드아이디, 휴대전화번호, CAS아이디, IP어드레스, 사용자아이디, 단말기일련번호를 하나이상 포함하며 이력 관리하는 과금정산데이터관리부(250)와,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방송콘텐츠사용이력데이터를 캡처하여 전송하는 모바일단말기 사용자에 대해서 수신료 감면 또는/및 유료 콘텐츠 감면 또는/및 포인트 또는 마일리지 적립, 부가서비스 무료, 할인쿠폰 또는 선물교환권등의 과금정산혜택을 제공하기 위해서 과금정산데이터를 참조하여 방송콘텐츠사용데이터 제공 모바일 사용자에 대한 과금정산을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수행하는 과금정산부(26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부가적인 양상에 따라 상기 방송콘텐츠사용통계서비스수단(200)은,
모바일단말기로부터 방송콘텐츠사용통계데이터 조회/검색 요청을 접수하고 부합되는 실시간방송콘텐츠사용통계 데이터를 제공하는 콘텐츠사용통계데이터요청접수 및 처리부(27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부가적인 양상에 따라 상기 방송콘텐츠사용통계서 비스수단(200)은,
모바일단말기로 하여금 방송콘텐츠사용이력데이터를 캡쳐하고 저장하여 전송하라는 제어 명령을 방송망 또는 통신망으로 전달하는 콘텐트사용이력데이터수집및전송트리거전송부(28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부가적인 양상에 따라 상기 방송콘텐츠사용통계서비스수단(200)은,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전송된 방송콘텐츠사용이력데이터를 수신시간과 적어도 USIM카드아이디, 스마트카드아이디, 휴대전화번호, CAS아이디, IP어드레스, 사용자아이디, 단말기일련번호를 하나이상 포함한 사용자인식코드로 관리하는 과금정산데이터관리부(250)와,
과금정산데이터를 참조하여 사용자별 방송콘텐츠 사용시간 또는/및 사용횟수를 산정하여 모바일 사용자에 과금정산을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수행하는 과금정산부(26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과금정산부(260)는 모바일단말기(100)의 방송콘텐츠사용이력 데이터 제공 내역에 기반하여 수신료 감면 또는/및 유료 콘텐츠 감면 또는/및 포인트 또는 마일리지 적립, 부가서비스 무료, 할인쿠폰 또는 선물교환권등의 과금정산혜택을 산정하여 모바일방송서비스 이용료의 과금,청구,수납하는 기능을 실행하기도 하며, 방송콘텐츠사용이력 내역에 기반하여 보편적인 모바일방송 콘텐츠 사용에 대해서 월정액 과금이 아닌 사용량을 산정하여 모바일방송서비스 이용료의 과금, 청구, 수납을 실행하기도 한다.
상기한 과금정산을 위한 수단 및 처리 절차는 이미 당업자들에게 널리 알려진 기술로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하겠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모바일방송 환경에서의 실시간 방송콘텐츠 사용통계 서비스 과금정산시스템의 모바일방송서비스수단을 상세하게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바일방송서비스수단(300)은,
방송콘텐츠사용통계분석수단으로부터 콘텐츠사용통계데이터를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수신하는 콘텐츠사용통계데이터수신부(310)와,
수신된 콘텐츠사용통계데이터를 모바일방송망으로 전송하기 위해서 방송콘텐츠관리DB의 편성/운영정보를 참조하여 적어도 전송 서비스채널, 전송 시작시간, 전송 듀레이션, 전송횟수, 전송종료시간, 수신 어플리케이션 아이디, 수신 어플리케이션 모듈 아이디을 하나 이상 결정하고 방송서비스 규격에 맞도록 데이터 포맷팅을 하는 콘텐츠사용통계데이터변환부(320)와,
방송에 적합하도록 변환된 콘텐츠사용통계데이터를 편성/운영 스케쥴에 따라서 모바일 방송망 또는 통신망으로 전송하는 콘텐츠사용통계데이터전송부(330)와,
상기 각 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반적인 제어를 담당하는 모바일방송 서비스제어부(38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라 상기 모바일방송서비스수단(300)은,
모바일단말기 사용자가 방송콘텐츠사용통계데이터를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제공 받는 것에 대한 과금을 위한 콘텐츠사용통계데이터부가서비스과금정산부(360)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부가적인 양상에 따라 상기 모바일방송서비스수단은,
방송콘텐츠사용통계서비스수단으로부터 방송콘텐츠사용통계데이터를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제공받고 서비스에 이용하는 것에 대한 과금정산을 위해서 수신이력데이터를 관리하는 모바일방송서비스과금정산데이터관리부(340)와,
과금정산데이터에 기반하여 방송콘텐츠사용통계서비스수단과의 과금정산을 수행하는 콘텐츠사용통계데이터수신과금정산부(35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부가적인 양상에 따라 상기 모바일방송서비스수단은,
콘텐츠사용통계를 참조하여 PP(Program Provider),CP(Contents Provider), DP(Data Provider), AP(Application Provider) 등의 콘텐츠 제공사 또는 광고주에 대한 과금정산을 수행하는 방송콘텐츠제공사과금정산부(37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콘텐츠사용통계데이터전송부(330)는 콘텐츠사용통계를 방송망을 활용하여 모바일단말기(100)로 전달하는 기능으로, 모바일방송 사용자가 보편적으로 선호하는 비디오 프로그램 시청률 및 상위 순위 리스트, 오디오 프로그램 청취율 및 상위 순위 리스트, 데이터방송 사용률 및 상위 순위 리스트, 최다 동시시청 프로그램 및 동시시청자수, 최다 동시 이용 데이터방송 콘텐츠 및 동시이용자수, 최다 동시 모바일방송 사용 시간대 및 사용자수 등의 통계 데이터를 모바일단말기 EPG 또는 방송콘텐츠사용통계 데이터를 제공하는 데이터 어플리케이션으로 전송하는 특징이 있다.
상기한 과금정산을 위한 수단 및 처리 절차는 이미 당업자들에게 널리 알려진 기술로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하겠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모바일방송 환경에서의 실시간 방송콘텐츠 사용통계 서비스 과금정산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방향 모바일방송 환경에서의 실시간 방송콘텐츠 사용통계 서비스 과금정산 방법은,
양방향 모바일방송 서비스에서의 과금처리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방송콘텐츠사용이벤트 발생 시마다 적어도 채널아이디, 메인 콘텐츠 아이디, 서브 콘텐츠 아이디, 사용시작시간, 사용종료시간, 듀레이션, 방송콘텐츠사용이벤트유형코드, 사용경로코드, 사용종료코드를 하나 이상 추출하여 콘텐츠사용이력데이터를 생성하는 방송콘텐츠사용이력데이터캡처단계(S130)와;
캡처 된 콘텐츠사용이력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정해진 데이터포맷에 맞추어 메모리장치에 임시로 저장하는 방송콘텐츠사용이력데이터저장단계(S140)와,
메모리장치에 저장된 콘텐츠사용이력데이터를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방송콘텐츠사용통계서비스 수단으로 전송 시 적어도 USIM카드아이디,스마트카드아이디, 휴대전화번호, CAS아이디, IP어드레스, 사용자아이디, 단말기일련번호를 하나 이상 포함한 사용자인식코드와 같이 전송하는 방송콘텐츠사용이력데이터전송단계(S150)와;
모바일단말기로부터 사용자인식코드로서 적어도 USIM카드아이디,스마트카드아이디, 휴대전화번호, CAS아이디, IP어드레스, 사용자아이디, 단말기일련번호를 하나 이상 포함되어 있는 콘텐츠사용이력데이터를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수신하는 방송콘텐츠사용이력데이터수집단계(S160)와;
모바일단말기로부터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전송된 또는 수집한 방송콘텐츠사용이력데이터와 수신시간, 그리고 사용자인식코드로서 적어도 USIM카드아이디,스마트카드아이디, 휴대전화번호, CAS아이디, IP어드레스, 사용자아이디, 단말기일련번호를 하나이상 포함하며 이력 관리하는 과금정산데이터관리단계(S170)와;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방송콘텐츠사용이력데이터를 캡처하여 전송하는 모바일단말기 사용자에 대해서 수신료 감면 또는/및 유료 콘텐츠 감면 또는/및 포인트 또는 마일리지 적립, 부가서비스 무료, 할인쿠폰 또는 선물교환권등의 과금정산혜택을 제공하기 위해서 과금정산데이터를 참조하여 방송콘텐츠사용데이터 제공 모바일 사용자에 대한 과금정산을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수행하는 과금정산단계(S18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라 상기 실시간 방송콘텐츠 사용통계 서비스 과금정산 방법은,
정확한 통계데이터 생성을 위해서 수신된 각각의 콘텐츠사용이력데이터의 오류 유무를 확인하고 분류하며, 콘텐츠사용이력데이터에 포함된 사용자인식코드로 고객관리DB를 검색하여 적어도 사용자 연령, 남녀구분, 지역구분, 직업정보, 상품패키지정보, 단말기모델정보, 가입일, 고객등급 정보를 하나 이상 생성하고, 적어 도 채널아이디, 메인 콘텐츠 아이디, 서브 콘텐츠 아이디, 사용시작시간, 사용종료시간, 듀레이션, 오브젝트 아이디, 어플리케이션 아이디, 메뉴아이디를 하나 이상의 검색 조건으로 하여 방송콘텐츠관리DB를 참조하여 적어도 채널명, 콘텐츠명, 콘텐츠유형(비디오, 오디오, 데이터, 비디오 연동 데이터, 오디오 연동 데이터, 데이터의 데이터, 주문형 비디오, 주문형 오디오, 주문형 데이터), 쟝르구분, 본방/재방구분, 주문형 콘텐츠 여부를 하나 이상 포함하여 정보를 추출하고 결합하여 가공하는 방송콘텐츠사용이력데이터가공단계(S190)와,
적어도 채널별, 콘텐츠별, 시간대별 또는 분단위별을 하나이상의 통계산정 기준으로 하여 적어도 통계대상자수, 시청자수, 사용자수, 동시 시청자수, 동시 사용자수, 시청률, 사용률, 시청률 순위, 사용률 순위 통계를 하나 이상 생성하고 DB로 관리하는 방송콘텐츠사용통계생성단계(S2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부가적인 양상에 따라 상기 실시간 방송콘텐츠 사용통계 서비스 과금정산 방법은,
모바일단말기로 하여금 방송콘텐츠사용이력데이터를 캡쳐하고 저장하여 전송하라는 적어도 콘텐츠사용이력 캡쳐여부, 저장여부, 실시간전송여부, 전송주기, 전송시작시간, 전송오류 시 재시도 주기 및 횟수, 전송종료시간, 전송URL주소 또는 IP주소 또는 서버명이 하나이상 포함된 제어 명령을 방송망 또는 통신망으로 적어도 SMS, 소켓통신명령, IP멀티캐스팅 스트림, IP유니캐스팅 스트림, 방송 스트림, 방송 메일, CAS 메일 수단을 하나 이상 사용하여 전달하는 방송콘텐트사용이력데이 터수집및전송트리거 전송단계(S110)와,
적어도 USIM카드아이디,스마트카드아이디, 휴대전화번호, CAS아이디, IP어드레스, 사용자아이디, 단말기일련번호를 하나 이상 포함한 사용자인식코드와 전송제어명령을 방송망 또는 통신망으로 수신하고 처리하는 방송콘텐츠사용이력데이터수집 및 전송트리거 수신처리단계(S12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부가적인 양상에 따라 상기 실시간 방송콘텐츠 사용통계 서비스 과금정산 방법은,
모바일단말기 사용자 스스로 콘텐츠사용이력 수집 및 전송제어를 할 수 있도록 적어도 방송콘텐츠사용이력데이터 캡처 여부, 저장 여부, 실시간전송 여부, 전송시작시간, 전송종료시간, 전송주기, 전송오류 시 재시도 횟수, 전송 URL주소 또는 IP주소 또는 서버명을 포함하여 하나 이상 설정할 수 있는 환경설정 단계(S1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6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모바일방송 환경에서의 실시간 방송콘텐츠 사용통계 서비스 과금정산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방향 모바일방송 환경에서의 실시간 방송콘텐츠 사용통계 서비스 과금정산 방법은,
양방향 모바일방송 서비스에서의 과금처리방법에 있어서,
모바일단말기 사용자가 방송콘텐츠사용통계데이터 조회요청을 방송콘텐츠사용통계서비스사업자에게 할 경우 사용자인식코드와 적어도 요일, 시간대, 채널아이 디, 채널명, 메인 콘텐츠아이디, 메인 콘텐츠명, 콘텐츠쟝르아이디, 콘텐츠쟝르명, 통계조회기간, 통계지표아이디, 통계지표명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조회요청하는 방송콘텐츠사용통계데이터요청단계(S300)와;
모바일단말기로부터 방송콘텐츠사용통계데이터 조회요청을 접수하고 부합되는 실시간방송콘텐츠사용통계 데이터를 검색하여 제공하는 방송콘텐츠사용통계데이터요청접수 및 처리단계(S310)와;
모바일단말기로부터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전송된 방송콘텐츠사용통계 데이터 요청 이력을 수신시간과 적어도 USIM카드아이디,스마트카드아이디, 휴대전화번호, CAS아이디, IP어드레스, 사용자아이디, 단말기일련번호를 하나이상 포함한 사용자인식코드를 이력 관리하는 과금정산데이터관리단계(S320)와;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적어도 시청률, 사용률, 동시 시청자수, 동시 사용자수, 시청률 순위, 사용률 순위, 시청률 상위 콘텐츠 리스트, 사용률 상위 콘텐츠 리스트를 하나 이상 포함한 콘텐츠사용통계를 모바일단말기로 전송하는 방송콘텐츠사용통계데이터전송단계(S330)와;
모바일단말기에서 방송콘텐츠사용통계서비스 사업자로 부터 전송된 콘텐츠사용통계데이터를 수신하는 방송콘텐츠사용통계데이터수신단계(S340)와;,
모바일단말기에서 수신된 콘텐츠사용통계데이터를 사용자에게 EPG 어플리케이션 또는 데이터 어플리케이션 또는 기타 콘텐츠UI로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하는 방송콘텐츠사용통계데이터디스플레이단계(S350)와;
모바일단말기 사용자에 대해서 방송콘텐츠사용통계 데이터 조회 요청 접수 및 제공에 대한 과금정산데이터를 참조하여 모바일단말기 사용자에 대한 과금정산을 수행하는 방송콘텐츠 사용통계 데이터서비스과금정산단계(S3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모바일방송 환경에서의 실시간 방송콘텐츠 사용통계 서비스 과금정산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방향 모바일방송 환경에서의 실시간 방송콘텐츠 사용통계 서비스 과금정산 방법은,
양방향 모바일방송 서비스에서의 과금처리방법에 있어서,
모바일방송사용자에게 실시간으로 콘텐츠사용통계를 제공하기 위해서 방송콘텐츠사용통계서비스분석수단으로부터 방송콘텐츠사용통계데이터를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수신하는 방송콘텐츠사용통계데이터수신 단계(S500)와;
콘텐츠사용통계데이터를 제공받고 서비스에 이용하는 것에 대한 콘텐츠사용통계서비스수단과의 과금정산을 위해서 수신시간, 데이터파일, 정상수신여부 등 콘텐츠사용통계 수신이력을 관리하는 과금정산 데이터관리단계(S510)와;
주기적으로 과금정산데이터을 참조하여 방송콘텐츠사용통계수단과의 과금정산을 수행하는 방송콘텐츠사용통계데이터 수신 과금정산단계(S5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라 상기 실시간 방송콘텐츠 사용통계 서비스 과금정산 방법은,
방송콘텐츠사용통계서비스 수단으로 부터 제공 받은 방송콘텐츠사용통계를 방송 서비스에 적합하도록 편성/운영정보 및 방송송출규격 또는 서비스규격을 참조하여 방송콘텐츠사용통계를 변형하여 모바일 방송망 또는 통신망으로 제공할 경우 이러한 방송콘텐츠사용통계를 수신하는 모바일방송서비스사용자에 대해서 과금정산을 수행하는 방송콘텐츠 사용통계 데이터서비스 과금정산단계(S53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모바일방송 환경에서의 실시간 방송콘텐츠 사용통계 서비스 과금정산 방법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부가적인 양상에 따라 상기 실시간 방송콘텐츠 사용통계 서비스 과금정산 방법은,
양방향 모바일방송 서비스에서의 과금처리방법에 있어서,
모바일방송사용자에게 실시간으로 콘텐츠사용통계를 제공하기 위해서 방송콘텐츠사용통계서비스분석수단으로부터 방송콘텐츠사용통계데이터를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수신하는 방송콘텐츠사용통계데이터수신 단계(S500)와;
방송콘텐츠사용통계 데이터를 분단위, 시간단위, 일단위, 월단위, 콘텐츠제공사별, 콘텐츠별로 방송콘텐츠사용통계를 정렬하고 요약값을 산정하는 콘텐츠제공사별 방송콘텐츠사용통계데이터 분석단계(S540)와;
콘텐츠제공사별로 분석된 콘텐츠사용통계와 가입비, 수신료, 광고비 등의 매출통계를 참조하여 콘텐츠제공사와 과금정산을 수행하는 방송콘텐츠제공사 과금정산단계(S55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모바일방송 환경에서의 실시간 방송콘텐츠 사용통계 서비스 과금정산 시스템의 모바일단말기 사용자의 방송이용 행 태에 따른 콘텐츠사용이벤트 유형별 콘텐츠사용이력데이터 실시간 캡쳐 내역을 나타낸 도표이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방향 모바일방송 환경에서의 실시간 방송콘텐츠 사용통계 서비스 과금정산 시스템의 모바일단말기 사용자의 방송이용 행태에 따른 콘텐츠사용이벤트 유형별 콘텐츠사용이력데이터 실시간 캡쳐 내역은,
사용자가 모바일 방송 서비스 사용을 위해서 단말기 방송수신기능 ON시에는 시간과 ON구분코드(S600)가 캡쳐되며, 단말기 수신기능 ON 시 디폴트로 OFF이전사용채널 진입 시에는 채널아이디, 콘텐츠아이디, 사용시작시간(S610)이 캡쳐되며, 방송서비스 이용 중 다른 채널 전환(튜닝) 시에는 전환이전(현재 사용중인) 채널아이디, 콘텐츠아이디, 종료시간이 캡쳐되고 전환이후 채널아이디, 콘텐츠 아이디, 시작시간(S620)이 캡쳐되며, 비디오 시청 또는 오디오 청취 중 연동형 데이터방송을 이용할 경우에는 채널아이디, 비디오/오디오 콘텐츠 아이디, 데이터콘텐츠(어플리케이션, 모듈 등) 아이디, 시작시간(S630)이 캡쳐되며, 독립형 데이터방송 채널을 이용할 경우에는 채널아이디, 메인콘텐츠(어플리케이션, 모듈등) 아이디, 시작시간(S640)이 캡쳐되며, 독립형 데이터방송 채널 내 종속 데이터 콘텐츠 이용 시에는 채널아이디, 메인콘텐츠아이디, 종속데이터콘텐츠아이디 또는 메뉴아이디 또는 오브젝트아이디, 시작시간(S650)이 캡쳐되며, 독립형 데이터방송 채널 내 종속 데이터 콘텐츠의 종속 데이터콘텐츠 이용 시에는 채널아이디, 메인콘텐츠아이디, 종속 데이터 콘텐츠 아이디 또는 메뉴 아이디 또는 오브젝트 아이디, 종속 데이터콘텐츠아이디 또는 메뉴아이디 또는 오브젝트아이디, 시작시간(S660)이 캡쳐되며, EPG 실행 및 메뉴 네비게이션 시에는 상기 S640, S650, S660의 캡쳐내용과 동일(S670)하며, 이때 EPG어플리케이션 아이디는 콘텐츠아이디로 처리되고 EPG메뉴 아이디 또는 모듈아이디는 종속데이터콘텐츠아이디와 동일하게 캡쳐되며, 단말기 방송수신기능 OFF시에는 시간, OFF구분코드(S680)가 캡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모바일방송 환경에서의 실시간 방송콘텐츠 사용통계 서비스 과금정산 시스템의 모바일단말기 방송콘텐츠사용이력을 실시간으로 방송콘텐츠사용통계서비스수단으로 전송하는 데이터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도시한 바와 같이, 양방향 모바일방송 환경에서의 실시간 방송콘텐츠 사용통계 서비스 과금정산 시스템의 모바일단말기 방송콘텐츠사용이력을 실시간으로 방송콘텐츠사용통계서비스수단으로 전송하는 데이터 구조는,
도 8의 S600, S610, S620, S630, S640, S650, S660, S670, S680과 같은 이벤트유형코드와 일련의 캡쳐데이터가 S700과 같이 하나의 레코드로 구성되며, 실시간으로 방송콘텐츠사용통계서비스수단(200)으로 전송될 때, S701과 같이 적어도 USIM카드아이디,스마트카드아이디, 휴대전화번호, CAS아이디, IP어드레스, 사용자아이디, 단말기일련번호를 하나 이상 포함한 사용자인식코드와 같이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모바일방송 환경에서의 실시간 방송콘텐츠 사용통계 서비스 과금정산 시스템의 모바일단말기 방송콘텐츠사용이력을 일정시간/기간 주기로 방송콘텐츠사용통계서비스수단으로 전송하기 위한 단말기 콘텐츠이력데이터 관리포맷을 나타낸 데이터 구조 도면이다.
도 10은 도시한 바와 같이, 양방향 모바일방송 환경에서의 실시간 방송콘텐츠 사용통계 서비스 과금정산 시스템의 모바일단말기 방송콘텐츠사용이력을 일정시간/기간 주기로 방송콘텐츠사용통계서비스수단으로 전송하기 위한 단말기 콘텐츠이력데이터 관리포맷을 나타낸 데이터 구조는,
사용자가 도 8의 S600, S610, S620, S630, S640, S650, S660, S670, S680과 같은 방송콘텐츠사용이벤트 발생 시 콘텐츠사용이력데이터를 캡쳐하여 메모리에 임시로 저장해서 동일 채널, 동일 콘텐츠, 동일 종속콘텐츠에 대한 사용시작과 사용종료 또는 사용 듀레이션을 산정하여 S800 또는 S802 또는 S803 또는 S804 또는 S805와 같이 하나의 레코드로 구성하여 임시파일 형태로 메모리 장치에 누적 관리하고, 콘텐츠사용이력데이터를 콘텐츠사용통계서비스수단(200)으로 전송해야 되는 일정시간/기간이 되었을 때 S801과 같이 적어도 USIM카드아이디,스마트카드아이디, 휴대전화번호, CAS아이디, IP어드레스, 사용자아이디, 단말기일련번호를 하나 이상 포함한 사용자인식코드와 같이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사용경로코드는 선택사항으로 콘텐츠사용시작이 EPG에서 진입이 되었는지, 추천 콘텐츠를 안내하는 SMS(Short Message Service) 또는 MMS(Multimedia Message Service), 이메일에서 진입이 되었는지, 사용자가 이전/다음 채널 메뉴를 통해서 진입을 했는지, 사용자가 직접 채널번호를 입력하여 진입이 되었는지등을 방송콘텐츠사용이벤트발생 시 추가적으로 캡쳐하여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방송콘텐츠사용통계사업자(200) 또는 모바일방송서비스사업자(300)가 보다 정교하게 방송콘 텐츠 사용 행태 분석이 가능하도록 하여 방송콘텐츠 기획 및 소싱, 편성/운영, 고객관리의 참고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종료사유코드는 선택사항으로 콘텐츠사용종료가 채널전환으로 종료가 되었는지, 단말기방송시청기능 OFF로 종료되었는지, 전화 또는 문자, 무선/휴대인터넷 접속 등 모바일단말기(100)의 이동통신 기능 사용으로 방송콘텐츠 사용이 종료되었는지, 단말기 배터리 부족으로 종료가 되었는지, 기타 단말기 오동작으로 종료가 되었는지를 방송콘텐츠사용이벤트발생 시 추가적으로 캡쳐하여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사용자가 어떤 상황에서 방송콘텐츠 종료를 하는 지에 대한 분석이 가능하도록 하여 이동통신서비스와 모바일방송서비스를 결합한 상품패키지 개발에 참고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은 내용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된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모바일방송 환경에서의 실시간 방송콘텐츠 사용통계 서비스 과금정산시스템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모바일방송 환경에서의 실시간 방송콘텐츠 사용통계 서비스 과금정산시스템의 모바일단말기를 상세하게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모바일방송 환경에서의 실시간 방송콘텐츠 사용통계 서비스 과금정산시스템의 방송콘텐츠사용통계서비스수단을 상세하게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모바일방송 환경에서의 실시간 방송콘텐츠 사용통계 서비스 과금정산시스템의 모바일방송서비스수단을 상세하게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모바일방송 환경에서의 실시간 방송콘텐츠 사용통계 서비스 과금정산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모바일방송 환경에서의 실시간 방송콘텐츠 사용통계 서비스 과금정산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모바일방송 환경에서의 실시간 방송콘텐츠 사용통계 서비스 과금정산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모바일방송 환경에서의 실시간 방송콘텐츠 사용통계 서비스 과금정산 시스템의 모바일단말기 사용자의 방송이용 행 태에 따른 콘텐츠사용이벤트 유형별 콘텐츠사용이력데이터 실시간 캡쳐 내역을 나타낸 도표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모바일방송 환경에서의 실시간 방송콘텐츠 사용통계 서비스 과금정산 시스템의 모바일단말기 방송콘텐츠사용이력을 실시간으로 방송콘텐츠사용통계서비스수단으로 전송하는 데이터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모바일방송 환경에서의 실시간 방송콘텐츠 사용통계 서비스 과금정산 시스템의 모바일단말기 방송콘텐츠사용이력을 일정시간/기간 주기로 방송콘텐츠사용통계서비스수단으로 전송하기 위한 단말기 콘텐츠이력데이터 관리포맷을 나타낸 데이터 구조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모바일단말기 110 : 콘텐츠 사용이력데이터 캡쳐부
120 : 콘텐츠 사용이력데이터 저장부 130 : 콘텐츠 사용이력데이터 전송부
140 : 콘텐츠 사용통계데이터 수신부
150 : 콘텐츠 사용통계데이터 디스플레이부
160 : 콘텐츠 사용통계데이터 요청부 170 : 환경설정부
180 : 콘텐츠 사용이력데이터 수집 및 전송트리거 수신처리 제어부
190 : 모바일 단말기 서비스 제어부 200 : 방송콘텐츠사용통계서비스수단
210 : 콘텐츠 사용이력데이터 수집부 220 : 콘텐츠 사용이력데이터 가공부
230 : 콘텐츠 사용통계 생성 관리부 240 : 콘텐츠 사용통계 데이터 전송부
250 : 과금정산 데이터 관리부 260 : 과금정산부
270 : 콘텐츠 사용통계 데이터 요청 접수 및 처리부
280 : 콘텐츠 사용이력데이터 수집 및 전송 트리거 전송부
290 : 방송콘텐츠 사용통계 서비스 제어부 300 : 모바일방송 서비스 수단
310 : 콘텐츠 사용통계 데이터 수신부 320 : 콘텐츠 사용통계 데이터 변환부
330 : 콘텐츠 사용 통계데이터 전송부
340 : 모바일 방송 서비스 과금정산 데이터 관리부
350 : 콘텐츠 사용통계 데이터수신 과금정산부
360 : 콘텐츠사용통계 데이터 부가서비스 과금정산부
370 : 방송콘텐츠 제공사 과금정산부 380 : 모바일 방송 서비스 제어부
400 : 고객관리 데이터베이스 500 : 방송콘텐츠관리 데이터베이스

Claims (32)

  1. DMB 및 휴대인터넷 기반 양방향 모바일 방송에서의 실시간 방송콘텐츠사용통계 서비스 과금처리시스템에 있어서,
    실시간으로 방송콘텐츠사용 이벤트 발생 시마다 사용이력 데이터를 캡쳐하여 메모리 장치에 저장하고 저장된 방송콘텐츠사용이력데이터를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방송콘텐츠사용통계서비스수단으로 전달하고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방송콘텐츠사용통계데이터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하는 모바일단말기와;
    모바일단말기로부터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방송콘텐츠사용이력데이터를 수집하고, 사용자특성별 방송콘텐츠특성별 사용통계 생성을 위해서 고객 프로파일 정보, 방송콘텐츠 편성/운영정보, 방송콘텐츠 속성정보, 서비스채널 속성 정보를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데이터 가공을 수행하고 방송콘텐츠사용통계를 생성하며 사용자 요청 시 통계데이터를 모바일단말기로 전달하는 방송콘텐츠사용통계서비스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모바일방송 환경에서의 실시간 방송콘텐츠 사용통계 서비스 과금정산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단말기는,
    사용자가 방송콘텐츠사용이벤트 발생 시킬 때 마다 적어도 채널아이디, 메인 콘텐츠 아이디, 서브 콘텐츠 아이디, 사용시작시간, 사용종료시간, 듀레이션, 콘텐츠사용이벤트유형코드, 사용경로코드, 사용종료코드를 하나 이상 추출하여 콘텐츠사용이력데이터를 생성하는 콘텐츠사용이력데이터캡처부와,
    캡처 된 콘텐츠사용이력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정해진 데이터포맷에 맞추어 메모리장치에 임시로 저장하는 콘텐츠사용이력데이터저장부와,
    메모리장치에 저장된 콘텐츠사용이력데이터를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방송콘텐츠사용통계서비스 수단으로 전송 시 사용자인식코드로서 적어도 USIM카드아이디,스마트카드아이디, 휴대전화번호, CAS아이디, IP어드레스, 사용자아이디, 단말기일련번호를 하나 이상 포함하여 전송하는 콘텐츠사용이력데이터전송부와,
    상기 각 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반적인 제어를 담당하는 모바일단말기서비스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모바일방송 환경에서의 실시간 방송콘텐츠 사용통계 서비스 과금정산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단말기는,
    모바일단말기 사용자가 방송콘텐츠사용통계데이터 조회를 위해 사용자인식코드 및 적어도 요일, 시간대, 채널아이디, 채널명, 메인 콘텐츠아이디, 메인 콘텐츠명, 콘텐츠쟝르아이디, 콘텐츠쟝르명, 통계조회기간, 통계지표아이디, 통계지표명을 포함하여 하나 이상의 검색조건으로 하여 방송콘텐츠사용통계서비스수단으로 통 계데이터를 요청하는 콘텐츠사용통계데이터요청부와,
    방송콘텐츠사용통계서비스수단으로부터 조회 결과인 콘텐츠사용통계데이터를 수신하는 콘텐츠사용통계데이터수신부와,
    수신된 콘텐츠사용통계데이터를 사용자에게 EPG 어플리케이션 또는 데이터 어플리케이션 또는 기타 콘텐츠UI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하는 콘텐츠사용통계데이터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모바일방송 환경에서의 실시간 방송콘텐츠 사용통계 서비스 과금정산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단말기는,
    모바일단말기 사용자 스스로 콘텐츠사용이력 수집 및 전송을 실시간으로 제어 할 수 있도록 적어도 방송콘텐츠사용이력데이터 캡처 여부, 저장 여부, 실시간전송 여부, 전송주기, 전송 URL주소 또는 IP주소 또는 서버명을 포함하여 하나 이상 설정할 수 있는 환경설정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모바일방송 환경에서의 실시간 방송콘텐츠 사용통계 서비스 과금정산시스템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단말기는,
    방송콘텐츠사용통계서비스수단으로 부터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적어도 방송콘텐츠사용이력캡쳐유형, 실시간 전송여부, 전송주기, 전송시작시간, 전송오류 시 재시도 주기 및 횟수, 전송종료시간, 전송URL 또는 전송IP주소 또는 전송서버명을 하나 이상 포함한 콘텐츠사용이력정보 캡쳐 및 전송제어명령을 방송망 또는 통신망으로 수신하고 처리하는 콘텐츠사용이력데이터수집 및 전송트리거수신처리제어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모바일방송 환경에서의 실시간 방송콘텐츠 사용통계 서비스 과금정산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콘텐츠사용통계서비스수단은,
    모바일단말기로부터 적어도 USIM카드아이디,스마트카드아이디, 휴대전화번호, CAS아이디, IP어드레스, 사용자아이디, 단말기일련번호를 하나 이상 포함한 사용자인식코드와 콘텐츠사용이력데이터를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수신하는 콘텐츠사용이력데이터수신부와,
    정확한 통계데이터 생성을 위해서 수신된 각각의 콘텐츠사용이력데이터의 오류 유무를 확인하고 분류하며, 콘텐츠사용이력데이터에 포함된 사용자인식코드로 고객관리DB를 검색하여 적어도 사용자 연령, 남녀구분, 지역구분, 직업정보, 상품패키지정보, 단말기모델정보, 가입일, 고객등급 정보를 하나 이상 추출하고, 적어도 채널아이디, 메인 콘텐츠 아이디, 서브 콘텐츠 아이디, 사용시작시간, 사용종료 시간, 듀레이션, 오브젝트 아이디, 어플리케이션 아이디, 메뉴아이디를 하나 이상의 검색 조건으로 하여 방송콘텐츠관리DB를 참조하여 적어도 채널명, 콘텐츠명, 콘텐츠유형(비디오, 오디오, 데이터, 비디오 연동 데이터, 오디오 연동 데이터, 데이터의 데이터, 주문형 비디오, 주문형 오디오, 주문형 데이터), 쟝르구분, 본방/재방구분, 주문형 콘텐츠 여부를 하나 이상 포함하여 정보를 추출하고 결합하여 가공하는 콘텐츠사용이력데이터가공부와,
    적어도 일별 또는 요일별 또는 채널별 또는 콘텐츠별 또는 시간대별 또는 분단위별 또는 성별 또는 연령별을 하나이상의 통계생성 기준으로 하여 적어도 통계대상자수, 시청자수, 사용자수, 동시 시청자수, 동시 사용자수, 시청률, 사용률, 시청률 순위, 사용률 순위 통계를 하나 이상 생성하고 DB로 관리하는 콘텐츠사용통계생성관리부와,
    상기 각 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반적인 제어를 담당하는 방송콘텐츠사용통계서비스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모바일방송 환경에서의 실시간 방송콘텐츠 사용통계 서비스 과금정산시스템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콘텐츠사용통계서비스수단은,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적어도 일별 또는 요일별 또는 채널별 또는 콘텐츠별 또는 시간대별 또는 분단위별 또는 성별 또는 연령별을 하나이상의 통계기준으 로 하여 적어도 시청률, 사용률, 동시 시청자수, 동시 사용자수, 시청률 순위, 사용률 순위, 시청률 상위 콘텐츠 리스트, 사용률 상위 콘텐츠 리스트를 하나 이상 포함한 방송콘텐츠사용통계데이터를 모바일단말기로 전송하는 콘텐츠사용통계데이터전송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모바일방송 환경에서의 실시간 방송콘텐츠 사용통계 서비스 과금정산시스템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콘텐츠사용통계서비스수단은,
    모바일단말기로부터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전송된 또는 수집한 방송콘텐츠사용이력데이터와 수신시간, 그리고 사용자인식코드로서 적어도 USIM카드아이디,스마트카드아이디, 휴대전화번호, CAS아이디, IP어드레스, 사용자아이디, 단말기일련번호를 하나이상 포함하며 이력 관리하는 과금정산데이터관리부와,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방송콘텐츠사용이력데이터를 캡처하여 전송하는 모바일단말기 사용자에 대해서 수신료 감면 또는/및 유료 콘텐츠 감면 또는/및 포인트 또는 마일리지 적립, 부가서비스 무료, 할인쿠폰 또는 선물교환권등의 과금정산혜택을 제공하기 위해서 과금정산데이터를 참조하여 방송콘텐츠사용데이터 제공 모바일 사용자에 대한 과금정산을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수행하는 과금정산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모바일방송 환경에서의 실시간 방송콘텐츠 사용통계 서비스 과금정산시스템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콘텐츠사용통계서비스수단은,
    모바일단말기로부터 방송콘텐츠사용통계데이터 조회/검색 요청을 접수하고 부합되는 실시간방송콘텐츠사용통계 데이터를 제공하는 콘텐츠사용통계데이터요청접수 및 처리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모바일방송 환경에서의 실시간 방송콘텐츠 사용통계 서비스 과금정산시스템
  10.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콘텐츠사용통계서비스수단은,
    모바일단말기로 하여금 방송콘텐츠사용이력데이터를 캡쳐하고 저장하여 전송하라는 제어 명령을 방송망 또는 통신망으로 전달하는 콘텐트사용이력데이터수집및전송트리거전송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모바일방송 환경에서의 실시간 방송콘텐츠 사용통계 서비스 과금정산시스템
  11.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콘텐츠사용통계서비스수단은,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전송된 방송콘텐츠사용이력데이터를 수신시간과 적어도 USIM카드아이디, 스마트카드아이디, 휴대전화번호, CAS아이디, IP어드레스, 사용자아이디, 단말기일련번호를 하나이상 포함한 사용자인식코드로 관리하는 과금정산데이터관리부와,
    과금정산데이터를 참조하여 사용자별 방송콘텐츠 사용시간 또는/및 사용횟수를 산정하여 모바일 사용자에 과금정산을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수행하는 과금정산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모바일방송 환경에서의 실시간 방송콘텐츠 사용통계 서비스 과금정산시스템
  12. DMB 및 휴대인터넷 기반 양방향 모바일 방송에서의 실시간 방송콘텐츠사용통계 서비스 과금처리시스템에 있어서,
    모바일단말기로부터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방송콘텐츠사용이력데이터를 수집하고, 사용자특성별 방송콘텐츠특성별 사용통계 생성을 위해서 고객 프로파일 정보, 방송콘텐츠 편성/운영정보, 방송콘텐츠 속성정보, 서비스채널 속성 정보를 결합하여 데이터 가공을 수행하고 방송콘텐츠사용통계를 생성하며 생성된 통계데이터를 모바일방송서비스수단으로 전달하는 방송콘텐츠사용통계서비스수단과;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방송콘텐츠사용통계데이터를 수신하고 고객프로파일 정보 또는 방송콘텐츠 편성 및 운영 정보를 참조하여 통계데이터를 모바일방송 포맷에 맞도록 변환하고 송출 스케쥴에 따라서 모바일단말기로 제공하기 위해서 전 송하는 모바일방송서비스수단과;
    실시간으로 방송 콘텐츠 사용 데이터를 수신하고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하는 모바일단말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모바일방송 환경에서의 실시간 방송콘텐츠 사용통계 서비스 과금정산시스템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콘텐츠사용통계서비스수단은,
    모바일단말기로부터 적어도 USIM카드아이디,스마트카드아이디, 휴대전화번호, CAS아이디, IP어드레스, 사용자아이디, 단말기일련번호를 하나 이상 포함한 사용자인식코드와 콘텐츠사용이력데이터를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수신하는 콘텐츠사용이력데이터수신부와,
    정확한 통계데이터 생성을 위해서 수신된 각각의 콘텐츠사용이력데이터의 오류 유무를 확인하고 분류하며, 콘텐츠사용이력데이터에 포함된 사용자인식코드로 고객관리DB를 검색하여 적어도 사용자 연령, 남녀구분, 지역구분, 직업정보, 상품패키지정보, 단말기모델정보, 가입일, 고객등급 정보를 하나 이상 추출하고, 적어도 채널아이디, 메인 콘텐츠 아이디, 서브 콘텐츠 아이디, 사용시작시간, 사용종료시간, 듀레이션, 오브젝트 아이디, 어플리케이션 아이디, 메뉴아이디를 하나 이상의 검색 조건으로 하여 방송콘텐츠관리DB를 참조하여 적어도 채널명, 콘텐츠명, 콘텐츠유형(비디오, 오디오, 데이터, 비디오 연동 데이터, 오디오 연동 데이터, 데이 터의 데이터, 주문형 비디오, 주문형 오디오, 주문형 데이터), 쟝르구분, 본방/재방구분, 주문형 콘텐츠 여부를 하나 이상 포함하여 정보를 추출하고 결합하여 가공하는 콘텐츠사용이력데이터가공부와,
    적어도 일별 또는 요일별 또는 채널별 또는 콘텐츠별 또는 시간대별 또는 분단위별을 하나이상의 통계생성 기준으로 하여 적어도 통계대상자수, 시청자수, 사용자수, 동시 시청자수, 동시 사용자수, 누적시청자수, 누적사용자수, 시청률, 사용률, 시청률 순위, 사용률 순위 통계를 하나 이상 생성하고 DB로 관리하는 콘텐츠사용통계생성관리부와,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일별 또는 요일별 또는 채널별 또는 콘텐츠별 또는 시간대별 또는 분단위별 적어도 시청률, 사용률, 동시 시청자수, 동시 사용자수, 누적시청자수, 누적사용자수, 시청률 순위, 사용률 순위, 시청률 상위 콘텐츠 리스트, 사용률 상위 콘텐츠 리스트를 하나 이상 포함되어 있는 방송콘텐츠사용통계를 모바일방송서비스수단으로 전송하는 콘텐츠사용통계데이터전송부와,
    상기 각 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반적인 제어를 담당하는 방송콘텐츠사용통계서비스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모바일방송 환경에서의 실시간 방송콘텐츠 사용통계 서비스 과금정산시스템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방송서비스수단은,
    방송콘텐츠사용통계분석수단으로부터 콘텐츠사용통계데이터를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수신하는 콘텐츠사용통계데이터수신부와,
    수신된 콘텐츠사용통계데이터를 모바일방송망으로 전송하기 위해서 방송콘텐츠관리DB의 편성/운영정보를 참조하여 적어도 전송 서비스채널, 전송 시작시간, 전송 듀레이션, 전송횟수, 전송종료시간, 수신 어플리케이션 아이디, 수신 어플리케이션 모듈 아이디을 하나 이상 결정하고 방송서비스 규격에 맞도록 데이터 포맷팅을 하는 콘텐츠사용통계데이터변환부와,
    방송에 적합하도록 변환된 콘텐츠사용통계데이터를 편성/운영 스케쥴에 따라서 모바일 방송망 또는 통신망으로 전송하는 콘텐츠사용통계데이터전송부와,
    상기 각 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반적인 제어를 담당하는 모바일방송서비스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모바일방송 환경에서의 실시간 방송콘텐츠 사용통계 서비스 과금정산시스템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방송서비스수단은,
    모바일단말기 사용자가 방송콘텐츠사용통계데이터를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제공 받는 것에 대한 과금을 위한 콘텐츠사용통계데이터부가서비스과금정산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모바일방송 환경에서의 실시간 방송콘텐츠 사용통계 서비스 과금정산시스템
  16.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방송서비스수단은,
    방송콘텐츠사용통계서비스수단으로부터 방송콘텐츠사용통계데이터를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제공받고 서비스에 이용하는 것에 대한 과금정산을 위해서 수신이력데이터를 관리하는 모바일방송서비스과금정산데이터관리부와,
    과금정산데이터에 기반하여 방송콘텐츠사용통계서비스수단과의 과금정산을 수행하는 콘텐츠사용통계데이터수신과금정산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모바일방송 환경에서의 실시간 방송콘텐츠 사용통계 서비스 과금정산시스템
  17.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방송서비스수단은,
    콘텐츠사용통계를 참조하여 PP(Program Provider),CP(Contents Provider), DP(Data Provider), AP(Application Provider) 등의 콘텐츠 제공사 또는 광고주에 대한 과금정산을 수행하는 방송콘텐츠제공사과금정산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모바일방송 환경에서의 실시간 방송콘텐츠 사용통계 서비스 과금정산시스템
  18.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단말기는,
    모바일방송서비스수단으로부터 전송된 방송콘텐츠사용통계데이터를 수신하는 콘텐츠사용통계데이터수신부와,
    수신된 콘텐츠사용통계데이터를 EPG 또는 데이터어플리케이션 또는 기타 콘텐츠UI로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콘텐츠사용통계데이터디스플레이부와,
    상기 각 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반적인 제어를 담당하는 모바일단말기서비스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모바일방송 환경에서의 실시간 방송콘텐츠 사용통계 서비스 과금정산시스템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단말기는,
    수신한 방송콘텐츠사용통계데이터에 대해서 모바일단말기 사용자가 선호하는 정보필터링 및 디스플레이 방식을 사용자 스스로 설정할 수 있는 환경설정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모바일방송 환경에서의 실시간 방송콘텐츠 사용통계 서비스 과금정산시스템
  20. 제 1항 또는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콘텐츠사용통계서비스수단은 USIM카드아이디,스마트카드아이디, CAS아이디, 휴대전화번호, 사용자아이디, 단말기일련번호 등 모바일단말기 사용자인식코드와 사용자의 연령, 성별, 지역, 가입패키지, 단말기모델, 단말기유형, 고객등급 등의 사용자 프로파일 정보를 지속적으로 기록 관리하는 고객관리데이터베이스와,
    방송콘텐츠의 콘텐츠 아이디, 콘텐츠명, 콘텐츠 유형, 쟝르코드, 사용연령등급 등 콘텐츠속성정보와 콘텐츠의 서비스채널, 서비스시작시간, 서비스듀레이션, 서비스종료시간, 본방/재방/삼방구분, 채널속성 등 편성 및 운영정보를 지속적으로 기록 관리하는 방송콘텐츠관리데이터베이스와 연계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모바일방송 환경에서의 실시간 방송콘텐츠 사용통계 서비스 과금정산시스템
  21.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단말기의
    콘텐츠사용이벤트 발생 유형 및/또는 캡쳐 또는 추출 내역은 적어도 도8의 S600, S610, S620, S630, S640, S650, S660, S670, S680을 하나 이상 포함 하고 따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모바일방송 환경에서의 실시간 방송콘텐츠 사용통계 서비스 과금정산시스템
  22.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단말기의
    콘텐츠사용데이터저장부 또는/및 콘텐츠사용데이터전송부는 실시간일 경우는 도9의 S700 데이터구조로 저장되고 도9의 S701을 추가하여 전송되며, 주기적일 경우는 도10의 S800 또는 S802 또는 S803 또는 S804 또는 S805 데이터구조로 저장되고 도10의 S801을 추가하여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모바일방송 환경에서의 실시간 방송콘텐츠 사용통계 서비스 과금정산시스템
  2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콘텐츠사용이벤트는
    사용자가 모바일 방송 서비스 사용을 위해서 단말기 전원 ON, 전원 OFF, EPG 시작, EPG 종료, 채널진입, 채널전환, 채널이탈, VoD 요청, 비디오 시청, 오디오 청취, 비디오 시청 또는 오디오 청취 중 데이터콘텐츠 요청 또는 사용, TPEG실시간교통정보 수신, 데이터채널의 특정 데이터콘텐츠 선택 및 세부연관 데이터콘텐츠 요청, 광고 시청 중 카타로그 또는 쿠폰 요청, 데이터 콘텐츠 메뉴 또는 오브젝트 또는 어플리케이션 리스트 선택 및 콘텐츠 요청, 데이터콘텐츠 사용종료, 방송콘텐츠 사용 중 SMS / 채팅 / 음성통화와 같은 다른 모바일서비스 사용 등을 위해서 확인, 이전메뉴, 취소, 종료 등과 같은 버튼 또는 메뉴를 조작할 경우 방송 서비스 및 콘텐츠 수신 환경 정보를 참조하여 캡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모바일방송 환경에서의 실시간 방송콘텐츠 사용통계 서비스 과금정산시스템
  24. 양방향 모바일방송 서비스에서의 과금처리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방송콘텐츠사용이벤트 발생 시마다 적어도 채널아이디, 메인 콘텐츠 아이디, 서브 콘텐츠 아이디, 사용시작시간, 사용종료시간, 듀레이션, 방송콘텐츠사용이벤트유형코드, 사용경로코드, 사용종료코드를 하나 이상 추출하여 콘텐츠사용이력데이터를 생성하는 방송콘텐츠사용이력데이터캡처단계와;
    캡처 된 콘텐츠사용이력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정해진 데이터포맷에 맞추어 메모리장치에 임시로 저장하는 방송콘텐츠사용이력데이터저장단계와,
    메모리장치에 저장된 콘텐츠사용이력데이터를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방송콘텐츠사용통계서비스 수단으로 전송 시 적어도 USIM카드아이디,스마트카드아이디, 휴대전화번호, CAS아이디, IP어드레스, 사용자아이디, 단말기일련번호를 하나 이상 포함한 사용자인식코드와 같이 전송하는 방송콘텐츠사용이력데이터전송단계와;
    모바일단말기로부터 사용자인식코드로서 적어도 USIM카드아이디,스마트카드아이디, 휴대전화번호, CAS아이디, IP어드레스, 사용자아이디, 단말기일련번호를 하나 이상 포함되어 있는 콘텐츠사용이력데이터를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수신하는 방송콘텐츠사용이력데이터수집단계와;
    모바일단말기로부터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전송된 또는 수집한 방송콘텐츠사용이력데이터와 수신시간, 그리고 사용자인식코드로서 적어도 USIM카드아이디,스마트카드아이디, 휴대전화번호, CAS아이디, IP어드레스, 사용자아이디, 단말기일련 번호를 하나이상 포함하며 이력 관리하는 과금정산데이터관리단계와;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방송콘텐츠사용이력데이터를 캡처하여 전송하는 모바일단말기 사용자에 대해서 수신료 감면 또는/및 유료 콘텐츠 감면 또는/및 포인트 또는 마일리지 적립, 부가서비스 무료, 할인쿠폰 또는 선물교환권등의 과금정산혜택을 제공하기 위해서 과금정산데이터를 참조하여 방송콘텐츠사용데이터 제공 모바일 사용자에 대한 과금정산을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수행하는 과금정산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모바일방송 환경에서의 실시간 방송 콘텐츠 사용통계 서비스 과금정산 방법
  25.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양방향 모바일방송 서비스에서의 과금처리방법은,
    정확한 통계데이터 생성을 위해서 수신된 각각의 콘텐츠사용이력데이터의 오류 유무를 확인하고 분류하며, 콘텐츠사용이력데이터에 포함된 사용자인식코드로 고객관리DB를 검색하여 적어도 사용자 연령, 남녀구분, 지역구분, 직업정보, 상품패키지정보, 단말기모델정보, 가입일, 고객등급 정보를 하나 이상 생성하고, 적어도 채널아이디, 메인 콘텐츠 아이디, 서브 콘텐츠 아이디, 사용시작시간, 사용종료시간, 듀레이션, 오브젝트 아이디, 어플리케이션 아이디, 메뉴아이디를 하나 이상의 검색 조건으로 하여 방송콘텐츠관리DB를 참조하여 적어도 채널명, 콘텐츠명, 콘텐츠유형(비디오, 오디오, 데이터, 비디오 연동 데이터, 오디오 연동 데이터, 데이 터의 데이터, 주문형 비디오, 주문형 오디오, 주문형 데이터), 쟝르구분, 본방/재방구분, 주문형 콘텐츠 여부를 하나 이상 포함하여 정보를 추출하고 결합하여 가공하는 방송콘텐츠사용이력데이터가공단계와,
    적어도 채널별, 콘텐츠별, 시간대별 또는 분단위별을 하나이상의 통계산정 기준으로 하여 적어도 통계대상자수, 시청자수, 사용자수, 동시 시청자수, 동시 사용자수, 시청률, 사용률, 시청률 순위, 사용률 순위 통계를 하나 이상 생성하고 DB로 관리하는 방송콘텐츠사용통계생성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모바일방송 환경에서의 실시간 방송 콘텐츠 사용통계 서비스 과금정산 방법
  26.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양방향 모바일방송 서비스에서의 과금처리방법은,
    모바일단말기로 하여금 방송콘텐츠사용이력데이터를 캡쳐하고 저장하여 전송하라는 적어도 콘텐츠사용이력 캡쳐여부, 저장여부, 실시간전송여부, 전송주기, 전송시작시간, 전송오류 시 재시도 주기 및 횟수, 전송종료시간, 전송URL주소 또는 IP주소 또는 서버명이 하나이상 포함된 제어 명령을 방송망 또는 통신망으로 적어도 SMS, 소켓통신명령, IP멀티캐스팅 스트림, IP유니캐스팅 스트림, 방송 스트림, 방송 메일, CAS 메일 수단을 하나 이상 사용하여 전달하는 방송콘텐트사용이력데이터수집및전송트리거 전송단계와;
    적어도 USIM카드아이디,스마트카드아이디, 휴대전화번호, CAS아이디, IP어드레스, 사용자아이디, 단말기일련번호를 하나 이상 포함한 사용자인식코드와 전송제어명령을 방송망 또는 통신망으로 수신하고 처리하는 방송콘텐츠사용이력데이터수집 및 전송트리거 수신처리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모바일방송 환경에서의 실시간 방송 콘텐츠 사용통계 서비스 과금정산 방법
  27.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양방향 모바일방송 서비스에서의 과금처리방법은,
    모바일단말기 사용자 스스로 콘텐츠사용이력 수집 및 전송제어를 할 수 있도록 적어도 방송콘텐츠사용이력데이터 캡처 여부, 저장 여부, 실시간전송 여부, 전송시작시간, 전송종료시간, 전송주기, 전송오류 시 재시도 횟수, 전송 URL주소 또는 IP주소 또는 서버명을 포함하여 하나 이상 설정할 수 있는 환경설정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모바일방송 환경에서의 실시간 방송 콘텐츠 사용통계 서비스 과금정산 방법
  28. 양방향 모바일방송 서비스에서의 과금처리방법에 있어서,
    모바일단말기 사용자가 방송콘텐츠사용통계데이터 조회요청을 방송콘텐츠사용통계서비스사업자에게 할 경우 사용자인식코드와 적어도 요일, 시간대, 채널아이 디, 채널명, 메인 콘텐츠아이디, 메인 콘텐츠명, 콘텐츠쟝르아이디, 콘텐츠쟝르명, 통계조회기간, 통계지표아이디, 통계지표명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조회요청하는 방송콘텐츠사용통계데이터요청단계와;
    모바일단말기로부터 방송콘텐츠사용통계데이터 조회요청을 접수하고 부합되는 실시간방송콘텐츠사용통계 데이터를 검색하여 제공하는 방송콘텐츠사용통계데이터요청접수 및 처리단계와;
    모바일단말기로부터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전송된 방송콘텐츠사용통계 데이터 요청 이력을 수신시간과 적어도 USIM카드아이디,스마트카드아이디, 휴대전화번호, CAS아이디, IP어드레스, 사용자아이디, 단말기일련번호를 하나이상 포함한 사용자인식코드를 이력 관리하는 과금정산데이터관리단계와;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적어도 시청률, 사용률, 동시 시청자수, 동시 사용자수, 시청률 순위, 사용률 순위, 시청률 상위 콘텐츠 리스트, 사용률 상위 콘텐츠 리스트를 하나 이상 포함한 콘텐츠사용통계를 모바일단말기로 전송하는 방송콘텐츠사용통계데이터전송단계와;
    모바일단말기에서 방송콘텐츠사용통계서비스 사업자로 부터 전송된 콘텐츠사용통계데이터를 수신하는 방송콘텐츠사용통계데이터수신단계와;,
    모바일단말기에서 수신된 콘텐츠사용통계데이터를 사용자에게 EPG 어플리케이션 또는 데이터 어플리케이션 또는 기타 콘텐츠UI로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하는 방송콘텐츠사용통계데이터디스플레이단계와;
    모바일단말기 사용자에 대해서 방송콘텐츠사용통계 데이터 조회 요청 접수 및 제공에 대한 과금정산데이터를 참조하여 모바일단말기 사용자에 대한 과금정산을 수행하는 방송콘텐츠 사용통계 데이터서비스 과금정산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모바일방송 환경에서의 실시간 방송 콘텐츠 사용통계 서비스 과금정산 방법
  29. 양방향 모바일방송 서비스에서의 과금처리방법에 있어서,
    모바일방송사용자에게 실시간으로 콘텐츠사용통계를 제공하기 위해서 방송콘텐츠사용통계서비스분석수단으로부터 방송콘텐츠사용통계데이터를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수신하는 방송콘텐츠사용통계데이터수신 단계와;
    콘텐츠사용통계데이터를 제공받고 서비스에 이용하는 것에 대한 콘텐츠사용통계서비스수단과의 과금정산을 위해서 수신시간, 데이터파일, 정상수신여부 등 콘텐츠사용통계 수신이력을 관리하는 과금정산 데이터관리단계와;
    주기적으로 과금정산데이터을 참조하여 방송콘텐츠사용통계수단과의 과금정산을 수행하는 방송콘텐츠사용통계데이터 수신 과금정산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모바일방송 환경에서의 실시간 방송 콘텐츠 사용통계 서비스 과금정산 방법
  30. 제 29항에 있어서,
    상기 양방향 모바일방송 서비스에서의 과금처리방법은,
    방송콘텐츠사용통계서비스 수단으로 부터 제공 받은 방송콘텐츠사용통계를 방송 서비스에 적합하도록 편성/운영정보 및 방송송출규격 또는 서비스규격을 참조하여 방송콘텐츠사용통계를 변형하여 모바일 방송망 또는 통신망으로 제공할 경우 이러한 방송콘텐츠사용통계를 수신하는 모바일방송서비스사용자에 대해서 과금정산을 수행하는 방송콘텐츠사용통계 데이터서비스 과금정산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모바일방송 환경에서의 실시간 방송콘텐츠 사용통계 서비스 과금정산 방법
  31. 양방향 모바일방송 서비스에서의 과금처리방법에 있어서,
    모바일방송사용자에게 실시간으로 콘텐츠사용통계를 제공하기 위해서 방송콘텐츠사용통계서비스분석수단으로부터 방송콘텐츠사용통계데이터를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수신하는 방송콘텐츠사용통계데이터수신 단계와;
    방송콘텐츠사용통계 데이터를 콘텐츠제공사별로 분단위, 시간단위, 일단위, 월단위, 콘텐츠별로 방송콘텐츠사용통계를 정렬하고 요약값을 산정하는 콘텐츠제공사별 방송콘텐츠사용통계데이터 분석단계와;
    콘텐츠제공사별로 분석된 콘텐츠사용통계와 가입비, 수신료, 광고비 등의 매출통계를 참조하여 콘텐츠제공사와 과금정산을 수행하는 방송콘텐츠제공사 과금정산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모바일방송 환경에서의 실시간 방송 콘텐츠 사용통계 서비스 과금정산 방법
  32. 제 2항에 있어서,
    사용경로코드는 선택사항으로 콘텐츠사용시작이 EPG에서 진입이 되었는지, 추천 콘텐츠를 안내하는 SMS(Short Message Service) 또는 MMS(Multimedia Message Service), 이메일에서 진입이 되었는지, 사용자가 이전/다음 채널 메뉴를 통해서 진입을 했는지, 사용자가 직접 채널번호를 입력하여 진입이 되었는지 등을 방송콘텐츠사용이벤트발생 시 추가적으로 캡쳐하여 관리하며, 종료사유코드는 선택사항으로 콘텐츠사용종료가 채널전환으로 종료가 되었는지, 단말기방송시청기능 OFF로 종료되었는지, 전화 또는 문자, 무선/휴대인터넷 접속 등 모바일단말기(100)의 이동통신 기능 사용으로 방송콘텐츠 사용이 종료되었는지, 단말기 배터리 부족으로 종료가 되었는지, 기타 단말기 오동작으로 종료가 되었는지를 방송콘텐츠사용이벤트발생 시 추가적으로 캡쳐하여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모바일방송 환경에서의 실시간 방송콘텐츠 사용통계 서비스 과금정산시스템
KR1020070131715A 2007-12-15 2007-12-15 양방향 모바일방송 환경에서의 실시간 방송콘텐츠사용통계를 이용한 과금정산시스템 및 과금정산방법 KR1009617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1715A KR100961758B1 (ko) 2007-12-15 2007-12-15 양방향 모바일방송 환경에서의 실시간 방송콘텐츠사용통계를 이용한 과금정산시스템 및 과금정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1715A KR100961758B1 (ko) 2007-12-15 2007-12-15 양방향 모바일방송 환경에서의 실시간 방송콘텐츠사용통계를 이용한 과금정산시스템 및 과금정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4142A true KR20090064142A (ko) 2009-06-18
KR100961758B1 KR100961758B1 (ko) 2010-06-08

Family

ID=409929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1715A KR100961758B1 (ko) 2007-12-15 2007-12-15 양방향 모바일방송 환경에서의 실시간 방송콘텐츠사용통계를 이용한 과금정산시스템 및 과금정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1758B1 (ko)

Cited B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37659A (ko) * 2009-06-23 2010-12-31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컨텐츠 사용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034382B1 (ko) * 2010-03-04 2011-05-16 (주)퓨쳐스트림네트웍스 이동 단말기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광고 제공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웹서버
KR101273165B1 (ko) * 2011-08-09 2013-06-17 주식회사 캐스트이즈 추가 가용 주문형 비디오 광고 인벤토리 판정 장치 및 방법
WO2014137414A1 (en) * 2013-03-07 2014-09-12 The Nielsen Company (Us), Llc Methods and apparatus to monitor media presentations
KR101508270B1 (ko) * 2013-04-22 2015-04-08 주식회사 인프라웨어테크놀러지 광고 제공방법 및 제공장치
KR20160125287A (ko) * 2015-04-20 2016-10-3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시스템 및 전자 시스템의 동작 방법
WO2019088686A1 (ko) * 2017-11-01 2019-05-09 (주)알티캐스트 블록체인기술을 이용한 컨텐츠 유통 관리 시스템 및 방법
WO2019088688A1 (ko) * 2017-11-01 2019-05-09 (주)알티캐스트 블록체인기술을 이용한 컨텐츠 유통 관리 시스템 및 방법
WO2019088687A1 (ko) * 2017-11-01 2019-05-09 (주)알티캐스트 블록체인기술을 이용한 컨텐츠 유통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90072731A (ko) * 2017-12-18 2019-06-26 애니포인트미디어 주식회사 방송 서비스의 반송률 측정 장치
KR20190072730A (ko) * 2017-12-18 2019-06-26 애니포인트미디어 주식회사 방송 서비스의 반송률 측정 장치
KR20200022997A (ko) * 2018-08-24 2020-03-04 주식회사 달소프트 블록체인 기반의 콘텐츠 관리 시스템
WO2020131960A1 (en) * 2018-12-21 2020-06-25 The Nielsen Company (Us), Llc Methods and apparatus to determine media exposure of a panelist
US11233664B2 (en) 2012-11-07 2022-01-25 The Nielsen Company (Us), Llc Methods and apparatus to identify media
KR102487633B1 (ko) * 2022-03-04 2023-01-11 주식회사 트라움미디어 인공지능 기반 광고 콘텐츠 모니터링 자동화 방법, 장치 및 시스템
US12010384B2 (en) 2022-12-16 2024-06-11 The Nielsen Company (Us), Llc Methods and apparatus to monitor media presentation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5603B1 (ko) * 2014-01-23 2014-05-16 (주)한동알앤씨 데이터의 실시간 전달 및 접속 상황을 분석 처리 가능한 시스템 및 방법
KR20160099924A (ko) 2015-02-13 2016-08-23 주식회사 네이블커뮤니케이션즈 콘텐츠 다운로드 비용 지급 방법, 이를 수행하는 컴퓨팅 장치 및 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

Cited B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37659A (ko) * 2009-06-23 2010-12-31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컨텐츠 사용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034382B1 (ko) * 2010-03-04 2011-05-16 (주)퓨쳐스트림네트웍스 이동 단말기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광고 제공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웹서버
KR101273165B1 (ko) * 2011-08-09 2013-06-17 주식회사 캐스트이즈 추가 가용 주문형 비디오 광고 인벤토리 판정 장치 및 방법
US11233664B2 (en) 2012-11-07 2022-01-25 The Nielsen Company (Us), Llc Methods and apparatus to identify media
US10356475B2 (en) 2013-03-07 2019-07-16 The Nielsen Company (Us), Llc Methods and apparatus to monitor media presentations
US9510049B2 (en) 2013-03-07 2016-11-29 The Nielsen Company (Us), Llc Methods and apparatus to monitor media presentations
US11546662B2 (en) 2013-03-07 2023-01-03 The Nielsen Company (Us), Llc Methods and apparatus to monitor media presentations
WO2014137414A1 (en) * 2013-03-07 2014-09-12 The Nielsen Company (Us), Llc Methods and apparatus to monitor media presentations
US10904621B2 (en) 2013-03-07 2021-01-26 The Nielsen Company (Us), Llc Methods and apparatus to monitor media presentations
KR101508270B1 (ko) * 2013-04-22 2015-04-08 주식회사 인프라웨어테크놀러지 광고 제공방법 및 제공장치
KR20160125287A (ko) * 2015-04-20 2016-10-3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시스템 및 전자 시스템의 동작 방법
WO2019088686A1 (ko) * 2017-11-01 2019-05-09 (주)알티캐스트 블록체인기술을 이용한 컨텐츠 유통 관리 시스템 및 방법
WO2019088688A1 (ko) * 2017-11-01 2019-05-09 (주)알티캐스트 블록체인기술을 이용한 컨텐츠 유통 관리 시스템 및 방법
WO2019088687A1 (ko) * 2017-11-01 2019-05-09 (주)알티캐스트 블록체인기술을 이용한 컨텐츠 유통 관리 시스템 및 방법
US11734661B2 (en) 2017-11-01 2023-08-22 Altimedia Corporation Content distribution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ing blockchain technology
CN111602348A (zh) * 2017-12-18 2020-08-28 万向媒体有限公司 广播业务的跳出率测量装置
CN111602348B (zh) * 2017-12-18 2022-02-25 万向媒体有限公司 广播业务的跳出率测量装置
KR20190072731A (ko) * 2017-12-18 2019-06-26 애니포인트미디어 주식회사 방송 서비스의 반송률 측정 장치
WO2019124762A1 (ko) * 2017-12-18 2019-06-27 애니포인트미디어 주식회사 방송 서비스의 반송률 측정 장치
US10911169B2 (en) 2017-12-18 2021-02-02 Anypoint Media Co., Ltd. Bounce rate measuring apparatus for broadcasting service
KR20190072730A (ko) * 2017-12-18 2019-06-26 애니포인트미디어 주식회사 방송 서비스의 반송률 측정 장치
WO2019124761A1 (ko) * 2017-12-18 2019-06-27 애니포인트미디어 주식회사 방송 서비스의 반송률 측정 장치
US11405673B2 (en) 2017-12-18 2022-08-02 Anypoint Media Co., Ltd. Bounce rate measuring apparatus for broadcasting service
KR20200022997A (ko) * 2018-08-24 2020-03-04 주식회사 달소프트 블록체인 기반의 콘텐츠 관리 시스템
WO2020131960A1 (en) * 2018-12-21 2020-06-25 The Nielsen Company (Us), Llc Methods and apparatus to determine media exposure of a panelist
US11019380B2 (en) 2018-12-21 2021-05-25 The Nielsen Company (Us), Llc Methods and apparatus to determine media exposure of a panelist
US11758208B2 (en) 2018-12-21 2023-09-12 The Nielsen Company (Us), Llc Methods and apparatus to determine media exposure of a panelist
KR102487633B1 (ko) * 2022-03-04 2023-01-11 주식회사 트라움미디어 인공지능 기반 광고 콘텐츠 모니터링 자동화 방법, 장치 및 시스템
US12010384B2 (en) 2022-12-16 2024-06-11 The Nielsen Company (Us), Llc Methods and apparatus to monitor media presentatio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61758B1 (ko) 2010-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61758B1 (ko) 양방향 모바일방송 환경에서의 실시간 방송콘텐츠사용통계를 이용한 과금정산시스템 및 과금정산방법
US11570406B2 (en) Request for information related to broadcast network content
JP5121729B2 (ja) ネットワーク広告送出装置及び方法
US7587323B2 (en) System and method for developing tailored content
CN102271282B (zh) 一种用于向多媒体设备分配广告和/或内容的方法及设备
JP5059507B2 (ja) 広告提示方法、広告提示装置
JP5395055B2 (ja) テレビジョン広告の広告主請求を生成する方法およびシステム
US8046787B2 (en) Method and system for the storage, viewing management, and delivery of targeted advertising
US20090171780A1 (en) Methods and system for a targeted advertisement management interface
US20020019769A1 (en) System and method for establishing incentives for promoting the exchange of personal information and targeted advertising
US20080263578A1 (en) Forecasting TV Impressions
US20080216107A1 (en) Verifying and encouraging asset consumption in a communications network
US20060053049A1 (en) Process for delivering a menu of media and computer options potentially at no cost to consumers in exchange for viewing interactive advertisements
US839226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llecting television viewing data and television interactivity
JP2006503458A (ja) Tv番組予告システム及び方法
WO2008127762A1 (en) Targeting content based on location
US20020069403A1 (en) Receiving device and transmission device
KR100836214B1 (ko) 양방향 dmb환경에서 전용epg를 이용하여 특정 사업자고객 대상에게 특화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과금정산시스템 및 방법
JPWO2008107968A1 (ja) 情報受信装置、情報配信装置、及び広告視聴プログラム
US20130132994A1 (en) Media content aggregator and content rating system
KR20090002204A (ko) 모바일방송 광고쿠폰 발행시스템
JP2012164297A (ja) 広告配信システム
JP2008252536A (ja) 視聴者情報収集システム、視聴者情報収集装置、視聴者情報収集方法、視聴者情報収集プログラム及び通信装置
KR20000063733A (ko) 인터넷을 통해 멀티미디어 시청시 적립금 지급 방법 및시스템
EP1176529A1 (en) Accounting processing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