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72604A - 이식물 전달 장치 - Google Patents

이식물 전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72604A
KR20190072604A KR1020197014517A KR20197014517A KR20190072604A KR 20190072604 A KR20190072604 A KR 20190072604A KR 1020197014517 A KR1020197014517 A KR 1020197014517A KR 20197014517 A KR20197014517 A KR 20197014517A KR 20190072604 A KR20190072604 A KR 201900726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ner tube
drive member
air discharge
lumen
tube dr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145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60740B1 (ko
Inventor
지슈 하
바오쮸 구이
유 리
Original Assignee
상하이 마이크로포트 카디오플로우 메디테크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상하이 마이크로포트 카디오플로우 메디테크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상하이 마이크로포트 카디오플로우 메디테크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900726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26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07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07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24Heart valves ; Vascular valves, e.g. venous valves; Heart implants, e.g. passive devices for improving the function of the native valve or the heart muscle; Transmyocardial revascularisation [TMR] devices; Valves implantable in the body
    • A61F2/2427Devices for manipulating or deploying heart valves during implant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24Heart valves ; Vascular valves, e.g. venous valves; Heart implants, e.g. passive devices for improving the function of the native valve or the heart muscle; Transmyocardial revascularisation [TMR] devices; Valves implantable in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68Trocars; Puncturing needles for implanting or removing devices, e.g. prostheses, implants, seeds, wi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023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24Heart valves ; Vascular valves, e.g. venous valves; Heart implants, e.g. passive devices for improving the function of the native valve or the heart muscle; Transmyocardial revascularisation [TMR] devices; Valves implantable in the body
    • A61F2/2427Devices for manipulating or deploying heart valves during implantation
    • A61F2/2436Deployment by retracting a shea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023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61B2017/00238Type of minimally invasive operation
    • A61B2017/00243Type of minimally invasive operation cardia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969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used for transplant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17Details of tips or shafts, e.g. grooves, expandable, bendable; Multiple coaxial sliding cannulas, e.g. for dilating
    • A61B17/3421Cannulas
    • A61B17/3423Access ports, e.g. toroid shape introducers for instruments or hands
    • A61B2017/3425Access ports, e.g. toroid shape introducers for instruments or hands for internal organs, e.g. heart por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2017/347Locking means, e.g. for locking instrument in cannul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95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placement or removal of stents or stent-grafts
    • A61F2/9517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placement or removal of stents or stent-grafts handle assemblies theref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ard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athology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이식물 전달 장치(100)는, 케이싱(110); 및 각각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케이싱에 수용되는, 내부관 구동 부재(150), 외부관 구동 부재(160), 내부관(120), 중간관(130), 외부관(140), 그리고 공기 배출 잠금 어셈블리(170)를 포함한다. 상기 세 개의 관은 서로 순차적으로 배치되고, 제 1, 2, 3 공간은 이수하는 관들 사이에 형성된다. 상기 내부관 구동 부재(150)는 상기 내부관(120)의 전단에 밀봉 고정되는 전단을 가지고, 상기 외부관 구동 부재(160)는 상기 외부관(140)의 전단에 밀봉 고정되고, 상기 중간관(130)은 상기 내부관 구동 부재(150)에 밀봉 고정되는 전단을 가지고, 상기 중간관은 상기 외부관 구동 부재(160)를 통해 연장되고 상기 외부관 구동 부재(160)에 밀봉 연결되며, 상기 공기 배출 잠금 어셈블리(170)는 상기 내부관 구동 부재(150)에 착탈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내부관 구동 부재(150)와 상기 공기 배출 잠금 어셈블리(170)는 제 1 공기 배출 채널과 제 2 공기 배출 채널(A, B)을 각각 구비한다. 상기 공기 배출 잠금 어셈블리(170)가 상기 내부관 구동 부재(150)에 연결될 때, 제 2 공기 배출 채널(B)는 제 1 공기 배출 채널(A)과 제 1 공간을 통해 제 2 공간 및 제 3 공간과 연통된다. 상기 내부관 구동 부재(150)는 공기 배출 잠금 어셈블리(170)에 의해 상기 케이싱(110)에 연결된다. 공기 배출 잠금 어셈블리(170)가 내부관 구동 부재(150)에서 분리될 때, 내부관 구동 부재(150)는 케이싱(110)과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된 채 있다.

Description

이식물 전달 장치
본 발명은 의료 장비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이식물 전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심장 판막 질환은 중국에서 가장 빈번하게 진단되는 심장 질환이며, 대부분 류마티스성 열에 의해 심장 판막이 손상되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최근, 지속적인 노화 인구의 증가로, (석회화, 점액 변성 등을 포함한)판상 변성(valvular degeneration)과 대사 장애에 기인한 판막 손상의 발병률이 증가하였다. 종래 심장 판막 치환술(heart valve replacement surgery)은 전신 마취하에 이루어지는 개심 수술 방식(open-hear surgery)으로서, 수술시 환자의 흉골을 따라 절개(소위 "흉골 절개술(steronotomy))"를 한 후, 심장이 정지하고 혈류는 "심폐" 우회 기계("체외 순환 기계"라고도 함)를 통해 가이드된다. 따라서, 이러한 종래의 개심 수술 방식은 위험성이 높고, 색전증으로 일어날 수 있는 일시적 교란과 심폐 기계의 사용으로 인한 기타 다른 문제들뿐만 아니라 심각한 트라우마를 환자에게 야기한다. 트라우마에서 완전히 회복되려면 일반적으로 몇 달이 걸린다. 특히 노인과 같은 특정 인구 그룹에서는 트라우마를 견디기 어려울 수 있으며 회복에 시간이 더 걸리고, 때로는 회복이 불가능할 수도 있다. 따라서, 심장 판막 질환이 있는 환자에게는 최소 침습 수술(minimally invasive interventional therapy)이 더 희망적임이 확실하다.
최소 침습 수술은 흉골 절개술이 필요 없고, 트라우마를 최소화하며, 환자의 회복이 빠른 점 등 다양한 이점이 있으며 최근에 집중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특히, 최근 10년간 최소 침습 수술의 실시로 볼 때, 최소 침습 수술은 전통적인 의료 및 외과 시술로 치유할 수 있는 모든 질병뿐만 아니라 전통적인 접근 방식으로는 다룰 수 없었던 일부 질병까지 대처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임상에서 최소 침습 수술이 광범위하게 이용됨으로 이 분야에 대한 보다 심층적인 연구가 바람직하다.
심장 판막 치환을 위한 최소 침습 수술은 전달 장치를 이용하여 환자의 몸에 인공 심장 판막을 이식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그러나, 이러한 인공 심장 판막을 위한 기존 전달 장치의 동작이 복잡하여 담당 의사에게 고도의 기술을 요하기 때문에, 작동 문제가 빈번히 발생한다. 예를 들면, 인공 심장 판막이 타겟 위치에 전달되어 배치된 후에, 기존 전달 장치를 환자의 몸에서 회수하는 과정에서 환자에게 이차 손상을 야기하는 경우가 흔하다. 또한, 기존의 전달 장치는 외부관과 내부관 사이의 공간에서 외부 장치로 연결된 호스를 구비하도록 설계되어, 시스템에서 공기를 배출하기 위해 호스에 유체를 주입하여 상기 공간을 통해 유체를 흐르도록 한다. 그러나 이러한 과정은 상기 침습 수술에 방해가 될 수 있다. 그러나, 전달 장치의 패키징 및 수송시, 전달 장치에 추가적으로, 호스도 고정되어야 한다. 고정시킬 때, 호스가 으스러지거나 구부러질 가능성이 높다. 또한, 핸들의 루멘(lumen)에서 호스가 따라 움직일 수 있는 고정 레일이 없기 때문에, 수술 중 전달 장치를 전진 또는 후진할 때 외부관이나 내부관의 이동으로 호스가 구부러져 공기 배출이 어려울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 설명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들 중 하나 이상을 해결하기 위한 이식물 전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이식물 전달 장치를 제공하고, 상기 이식물 전달 장치는 케이싱; 및 각각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케이싱에 수용되는, 내부관 구동 부재, 외부관 구동 부재, 내부관, 중간관, 외부관, 그리고 공기 배출 잠금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상기 내부관, 중간관 및 외부관은 내측에서 외측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된다. 상기 내부관과 중간관은 상호간에 제 1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중간관과 외부관은 상호간에 제 2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내부관과 외부관은 상호간에 제 3 공간을 형성한다.
상기 내부관 구동 부재는 상기 내부관의 전단에 밀봉 고정되는 전단을 가지고, 상기 외부관 구동 부재 상기 외부관의 전단에 밀봉 고정된다. 상기 중간관은 상기 내부관 구동 부재에 밀봉 고정되는 전단을 가지고, 상기 중간관은 상기 외부관 구동 부재를 통해 연장되고 상기 외부관 구동 부재에 밀봉 연결된다. 상기 공기 배출 잠금 어셈블리는 상기 내부관 구동 부재에 착탈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내부관 구동 부재는 제 1 공기 배출 채널을 구비하고, 상기 공기 배출 잠금 어셈블리는 제 2 공기 배출 채널을 구비한다. 상기 제 2 공기 배출 채널은 제 1 단에서 상기 케이싱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공기 배출 잠금 어셈블리가 상기 내부관 구동 부재에 연결될 때, 제 2 단에서 상기 제 1 공기 배출 채널과 상기 제 1 공간을 통해 상기 제 2 공간 및 제 3 공간과 연통된다. 상기 내부관 구동 부재는 상기 공기 배출 잠금 어셈블리를 통해 상기 케이싱에 대해 축방향으로 고정가능하며, 상기 공기 배출 잠금 어셈블리가 상기 내부관 구동 부재에서 분리될 때, 상기 내부관 구동 부재는 상기 케이싱을 따라 축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다.
바람직하게, 상기 공기 배출 잠금 어셈블리는, 상기 내부관 구동 부재에 착탈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 2 공기 배출 채널을 형성하도록 상기 잠금 부재를 통해 연장되는 루멘을 구비하는 잠금 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잠금 부재는 상기 내부관 구동 부재에 착탈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는 스토퍼부와 상기 스토퍼부가 이동하도록 구동하기 위한 제어부를 구비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케이싱 외부에 위치하는 제 1 단을 가지고 상기 제어부를 통해 연장되는 제 1 루멘을 구비하며, 상기 스토퍼부는 상기 스터퍼부를 통해 연장되는 제 2 루멘을 구비하며, 상기 제 1 루멘과 제 2 루멘은 상기 제 2 공기 배출 채널을 형성하기 위해 서로 연통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이식물 전달 장치는 상기 케이싱 내에 구비되는 가이드 부재를 더 구비하되, 상기 가이드 부재는 자신을 통해 연장되는 가이드 채널을 구비하고, 상기 스토퍼부는 상기 가이드 채널의 연장 방향을 따라 상기 내부관 구동 부재에 대해 이동 가능하다.
바람직하게, 상기 내부관 구동 부재는 제 3 루멘과 제 4 루멘을 구비하되, 상기 제 3 루멘은 상기 내부관 구동 부재를 통해 축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 3 루멘은 상기 중간관의 전단과 일치하는 후단을 가지고 상기 내부관의 전단과 일치하는 전단을 가지며, 상기 제 4 루멘은 상기 제 1 공기 배출 채널을 구성하고 상기 제 1 공간과 연통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외부관 구동 부재는 자신을 통해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5 루멘을 구비하되, 상기 제 5 루멘에서 상기 외부관의 전단이 위치하고, 상기 중간관은 상기 내부관 구동 부재로부터 상기 제 5 루멘을 통해 연장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공기 배출 잠금 어셈블리는 상기 내부관 구동 부재에 착탈가능하게 연결되는 잠금 부재와 상기 잠금 부재에 고정 연결되는 유체 부재를 구비하되, 상기 잠금 부재는 상기 케이싱 외부에 위치하는 일부를 가지고 상기 제 1 공기 누출 채널과 연통되는 제 6 루멘을 구비하며, 상기 유체 부재는 자신을 통해 연장되는 제 7 루멘을 구비하고, 상기 제 6 루멘과 상기 제 7 루멘은 상기 제 2 공기 누출 채널을 형성하기 위해 상호 연통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잠금 부재는 상기 내부관 구동 부재에 착탈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는 스토퍼부와 상기 스토퍼부가 이동하도록 구동하기 위한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케이싱 외부에 위치하는 제 1 단을 가지고, 상기 스토퍼부는 상기 제 6 루멘을 구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스토퍼부는 상기 내부관 구동 부재에 착탈가능하게 연결되는 스토퍼 바디와 상기 스토퍼 바디에 연결되는 탄성 구조를 구비하되, 상기 스토퍼부는 상기 탄성 구조를 통해 상기 내부관 구동 부재에 연결되고, 상기 탄성 구조가 응력을 받으면, 상기 스토퍼부가 상기 내부관 구동 부재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공기 배출 잠금 어셈블리는 공기 배출 매체의 흐름 방향을 제어하기 위한 흐름 제어 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흐름 제어 부재는 상기 제 2 공기 배출 채널에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흐름 제어 부재는 편도 체크 밸브나 제어 잠금 밸브를 구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중간관은 후단에 상기 제 1 공간이 상기 제 2 공간과 연통하는 공기 배출 개구를 구비하되, 상기 공기 배출 잠금 어셈블리가 상기 내부관 구동 부재에 연결될 때, 상기 제 2 공기 배출 채널의 제 2 단은 상기 제 1 공기 배출 채널, 제 1 공간, 그리고 공기 배출 개구를 통해 상기 제 2 공간 및 제 3 공간과 연통하게 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중간관은 상기 중간관의 원주 둘레에 균일하게 분포하는 복수 개의 공기 배출 개구를 구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중간관의 후단은 상기 내부관에 고정되지만 밀봉되지는 않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이식물 전달 장치는 이동 제어 부재와 이동 가이드 트랙을 더 구비하되, 상기 이동 가이드 트랙은 상기 케이싱 상에 배치되고, 상기 이동 제어 부재는 상기 이동 가이드 트랙상에 배치되고 상기 외부관 구동 부재에 연결될 수 있다.
요약하면, 본 발명의 이식물 전달 장치의 내부관은, 실제 필요에 따라, 내부관 구동 부재와 공기 배출 잠금 어셈블리간의 결합이나 분리에 의해 케이싱에 연결되거나 케이싱에 대해 이동가능하게 될 수 있다. 이로써, 전달 장치가 이식물 전달 후 회수될 때, 외부관은 정지 상태로 유지되고, 내부관이 케이싱 내에서 이동하고 외부관으로 접근하여 인접하게 되어 급기야 외부관을 폐쇄하도록 내부관 구동 부재는 공기 배출 잠금 어셈블리에서 해제되고, 이후 전달 장치가 환자의 몸에서 회수된다. 구체적으로, 외부관의 후단에 배치된 시스는 이식물을 크림핑 구성으로 구속해야 하기 때문에, 시스는 상대적으로 강성일 필요가 있다. 이러한 이유로, 종래에는, 이식물 배치 후 폐쇄를 위해 내부관과 외부관이 서로 인접하도록 구동하게 되면 시스에 의해 환자의 몸에 이차 손상을 입히게 된다. 반대로, 본 발명에 따르면, 내부관은 크기가 더 작고, 굽힘성과 유연성이 더 큰 물질로 형성되며, 변위를 통해 후단이 외부관의 후단에 인접하게 되어 외부관을 폐쇄하게 된다. 이로 인해, 회수시 환자의 몸에 이차 손상을 입히는 위험을 낮출 수 있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의 이식물 전달 장치에서, 공기 배출 잠금 어셈블리에 배치된 제 2 공기 배출 채널은, 내부관 구동 부재에 있는 제 1 공기 배출 채널 및 중간관과 내부관 사이의 제 1 공간을 통해 중간관과 외부관 사이의 제 2 공간 및 외부관과 내부관 사이의 제 3 공간과 연통되어, 내부관과 외부관 사이로부터 공기를 배출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디자인은 공기 배출 호스 대신에 공기 배출 잠금 어셈블리를 사용함으로써, 공기 배출 호스의 사용으로 인해 공기 배출 경로가 변형되거나 막혀 시스템에서 공기 배출을 불가능하게 되는 문제를 해결한다. 또한, 이러한 공기 배출과 잠금 통합 디자인은 공기 배출과 잠금 기능을 통합함으로써, 요구되는 구성 요소의 수를 줄이고 동작 과정을 단순화시킨다. 결과적으로, 상기 전달 장치는 증가된 성능 강성을 가지고 더 편리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이식물 전달 장치를 케이싱이 없는 상태로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이식물 전달 장치에서 내부관 구동 부재에 연결된 공기 배출 잠금 어셈블리(air-evacuation locking assembly)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3은 도 2의 이식물 전달 장치의 부분 M을 도시하는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이식물 전달 장치에서 내부관 구동 부재에서 분리된 공기 배출 잠금 어셈블리를 도시하는 부분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중간관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6은 도 5의 라인 H-H을 따라 절개한 중간관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일 예에 따른 편도 체크 밸브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바람직한 예에 따른 다른 편도 체크 밸브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이식물 전달 장치를 케이싱이 없는 상태로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이식물 전달 장치에서 내부관 구동 부재에 연결된 공기 배출 잠금 어셈블리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이식물 전달 장치에서 내부관 구동 부재에서 분리된 공기 배출 잠금 어셈블리를 도시하는 부분 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장점 및 특징이 명확하도록, 도 1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식물 전달 장치를 하기에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은 상당히 단순화하여 비례에 따르지 않고 도시되었으며, 이는 오로지 실시예에 대한 쉽고 명확한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함임을 유의해야 한다.
본문 및 첨부된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인 "또는"은 문맥상 명확히 달리 지시하지 않으면 "및/또는"을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 "후단(distal end)"이라는 용어는 상기 장치를 조작하는 사람으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는 일단을 의미하고, "전단(proximal end)"이라는 용어는 상기 조작하는 사람에 가까운 일단을 의미한다.
도면 전반에 걸쳐, 동일 참조 번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시한다. 본 발명의 이식물 전달 장치는 인체의 타겟 위치(target site)로 이식물(예를 들면, 인공 심장 판막)을 전달하여 상기 타겟 위치에 이식물을 배치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실시예 1>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는 바,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이식물 전달 장치를 도시하는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이식물 전달 장치에서 내부관 구동 부재에 연결된 공기 배출 잠금 어셈블리를 도시하는 개략도이고, 도 3은 도 2의 이식물 전달 장치의 부분 M을 도시하는 확대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이식물 전달 장치에서 내부관 구동 부재에서 분리된 공기 배출 잠금 어셈블리를 도시하는 부분 개략도이다. 상기 이식물 전달 장치의 내부 구조에 대한 더 명확한 이해를 위해, 도 1에서 케이싱(110)은 도시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이식물 전달 장치(100)는 케이싱(110)과, 각각 상기 케이싱(110)에 일부 수용되는 내부관(120), 중간관(130), 외부관(140), 내부관 구동 부재(150), 외부관 구동 부재(160) 및 공기 배출 잠금 어셈블리(170)를 포함한다. 내부관(120), 중간관(130) 및 외부관(140)은 내측에서 외측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된다. 내부관(120)과 중간관(130)은 이들 사이에 제 1 공간을 형성한다. 중간관(130)과 외부관(140)은 이들 사이에 제 2 공간을 형성하고 내부관(120)과 외부관(140)은 이들 사이에 제 3 공간을 형성한다.
내부관 구동 부재(150)는 후단이 내부관(120)의 후단에 밀봉 고정되고, 케이싱(110)을 따라 축방향 이동하도록 내부관(120)을 구동할 수 있다. 외부관 구동 부재(160)는 외부관(140)의 후단에 밀봉 고정되고, 케이싱(110)을 따라 축방향 이동하도록 외부관(140)을 구동할 수 있다. 중간관(130)은 전단이 내부관 구동 부재(150)에 밀봉 고정된다. 추가적으로, 중간관(130)은 외부관 구동 부재(160)를 통해 연장되어 외부관 구동 부재(160)에 밀봉 연결된다. 공기 배출 잠금 어셈블리(170)는 내부관 구동 부재(150)에 착탈가능하게 연결된다.
내부관 구동 부재(150)는 (바람직하게는 방사 방향으로 연장되는)제 1 공기 배출 채널(A)을 구비하고, 공기 배출 잠금 어셈블리(170)는 외부 공기 배출 매체를 수신하기 위해 일 단이 케이싱(110)의 외부에 위치하는 제 2 공기 배출 채널(B)을 구비한다. 공기 배출 잠금 어셈블리(170)가 내부관 구동 부재(150)에 연결되면, 제 2 공기 배출 채널(B)의 타단은 제 1 공기 배출 채널(A)과 제 1 공간을 통해 제 2 공간 및 제 3 공간과 연통되어, 외부 공기 배출 매체가 제 2 공간과 제 3 공간에 유입되어 이들로부터 공기를 배출할 수 있다. 더욱이, 공기 배출 잠금 어셈블리(170)가 내부관 구동 부재(150)에 연결되면, 내부관 구동 부재(150)는 공기 배출 잠금 어셈블리(170)를 통해 케이싱(110)에 연결되어, 내부관(120)과 케이싱(110)간의 간접적인 연결을 가능케 한다. 다른 한편으로, 공기 배출 잠금 어셈블리(170)가 내부관 구동 부재(150)에서 분리되면, 내부관 구동 부재(150)는 케이싱(11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된다. 즉, 내부관 구동 부재(150)는 케이싱(110) 내에서 케이싱(110)을 따라 축방향 이동할 수 있다. 공기 배출 매체가 제 2 공기 배출 채널(B)에 유입되도록, 공기 배출 잠금 어셈블리(170)를 공기 배출 매체를 공급하는 외부 장치에 연결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바람직하게, 중간관(130)은 제 1 공간과 제 2 공간이 상호 연통하도록 하는 공기 배출 개구(131)를 형성할 수 있다(도 5 및 도 6에 더 명확히 도시되는 바와 같이, 공기 배출 개구(131)은 중간관(130)의 벽을 통해 연장될 수 있음이 분명하다). 공기 배출 잠금 어셈블리(170)가 내부관 구동 부재(150)에 연결되면, 제 2 공기 배출 채널(B)의 타단은 제 1 공기 배출 채널(A), 제 1 공간 및 공기 배출 개구(131)을 통해 제 2 공간 및 제 3 공간과 연통하게 될 것이다.
제 1 실시예의 이식물 전달 장치(100)를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하기에서 더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 공기 배출 잠금 어셈블리(170)는 내부관 구동 부재(150)에 착탈가능하게 연결되는 잠금 부재(171)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잠금 부재(171)를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잠금 부재(171)의 일부는 케이싱(110)의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 특히, 제 2 공기 배출 채널(B)을 형성하기 위해, 잠금 부재(171)는 자신을 통해 연장되는 루멘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잠금 부재(171)는 제어부(1711)와 스토퍼부(17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711)는 케이싱(110) 외부에 위치하여 일단은 외부 장치에 연결되고, 스토퍼부(1712)를 구동하여 스토퍼부(1712)가 내부관 구동 부재(150)에 대해 이동하도록, 타단은 스토퍼부(1712)에 연결될 수 있다. 스토퍼부(1712)는 케이싱(110) 내에 수용되어 제어부(1711)의 구동하에 내부관 구동 부재(150)와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11)와 스토퍼부(1712) 각각은 속이 비어있을 수 있다(즉, 이들 각각이 관통 루멘을 형성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1711)의 루멘은 "제 1 루멘"으로, 스토퍼부(1712)의 루멘은 "제 2 루멘"으로 부를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 1 루멘과 제 2 루멘은 서로 직접적으로 연통하여 제 2 공기 배출 채널(B)을 구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어부(1711)는 스토퍼부(1712)와 일체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잠금 부재(171)는 공기 배출 매체를 전달할 뿐만 아니라 내부관 구동 부재(150)를 잠글 수 있어 결과적으로 내부관 구동 부재(150)가 케이싱(110)과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물론, 잠금 부재(171)가 내부관 구동 부재(150)에서 분리되면, 내부관 구동 부재(150)는 케이싱(110)에 대해 이동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잠금 부재(171)는 내부관 구동 부재(150)에 착탈가능하게 연결되고, 잠금 부재(171)가 내부관 구동 부재(150)를 잠그면, 잠금 부재(171)는 케이싱(110)의 축방향을 따라 케이싱(1)에 대해 고정되어, 내부관 구동 부재(150)가 케이싱(110)을 따라 축방향 이동할 수 없게 한다. 잠금 부재(171)에 의한 내부관 구동 부재(150)의 잠금이 해제되면, 잠금 부재(171)는 내부관 구동 부재(150)로부터 분리되어, 내부관 구동 부재(150)가 케이싱(110)에 대해 그리고 케이싱(110)을 따라 축방향 이동하도록 한다.
내부관 구동 부재(150)는 스토퍼부(1712)에 상보적인 리셉터클(receptacle)(미도시)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리셉터클은 내부관 구동 부재(150)의 축방향 변위를 제한하기 위해 스토퍼부(1712)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할 수 있다. 더욱이, 제 1 공기 배출 채널(A)은 상기 리셉터클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즉, 스토퍼부(1712)가 리셉터클에 수용되면, 제 2 공기 배출 채널(B)은 제 1 공기 배출 채널(A)에 연결될 것이다. 대안으로, 스토퍼부(1712)가 리셉터클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서 내부관 구동 부재(150)는 스토퍼부(1712)에 상보적인 돌기를 구비한다. 이 경우, 스토퍼부(1712)와 내부관 구동 부재(150)를 결합하여 제 2 공기 배출 채널(B)과 제 1 공기 배출 채널(A)을 유사하게 연결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 실시예에서, 리셉터클을 향하는 스토퍼부(1712)의 일단부는 내부관 구동 부재(150)의 리셉터클과 결합할 수 있는 테이퍼드(tapered, 끝이 가늘어지는) 돌기의 형태를 띨 수 있다. 이는 스토퍼부(1712)와 리셉터클의 원활한 결합을 가능케하는 단순한 구조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서, 가이드 부재(180)는 케이싱(110) 내에 제공되어 고정된다. 가이드 부재(180)는 스루-아웃(through-out) 가이드 채널(미도시)을 형성할 수 있고, 스토퍼부(1712)의 폭에 상응하는 폭을 가질 수 있다. 추가적으로, 가이드 채널은 내부관 구동 부재(150)의 리셉터클에 의해 형성되는 제 1 공기 배출 채널(A)과 정렬되어, 스토퍼부(1712)가 제어부(1711)의 구동하에 가이드 채널이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게 되고 이로써 내부관 구동 부재(150)를 잠글 수 있다.
바람직하게, 스토퍼부(1712)는 나사 연결(threaded connection)에 의해 가이드 체널과 결합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제어부(1711)가 회전하면, 스토퍼부(1712)는 가이드 채널과 나사 결합할 것이다. 결과적으로, 스터퍼부(1712)는 내부관 구동 부재(150)에 대해 잠겨서 케이싱(110)에 고정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잠금 부재(171)는 제 2 공기 배출 채널(B) 내부에 배치되고 공기 배출 매체의 흐름 방향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흐름 제어 부재(17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흐름 제어 부재(1713)는 편도 체크 밸브나 제어 잠금 밸브(controllable lock valve)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편도 체크 밸브를 도시하는 개략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또 다른 편도 체크 밸브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7의 편도 체크 밸브는 I 형태의 체크 오리피스(1714)를 구비하고, 도 8의 편도 체크 밸브는 Y 형태의 체크 오리피스(1715)를 구비한다. 물론, 본 발명은 도 7과 도 8의 편도 체크 밸브에 한정되지 않으며, 단방향 체크가 가능한 다른 밸브도 적절히 사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 잠금 밸브도 대안으로 사용될 수 있다. 제어 잠금 밸브는, 공기 배출 매체의 흐름 방향을 제어하기 위해 사용자가 열거나 닫을 수 있는 체크 오리피스를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외부 공기 배출 매체는 적어도 제 2 공기 배출 채널(B), 제 1 공기 배출 채널(A) 및 제 1 공간을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제 2 공간 및 제 3 공간으로 흘러갈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공기 배출 매체의 일부는 제 2 공기 배출 채널(B), 제 1 공기 배출 채널(A), 제 1 공간, 및 공기 배출 개구(131)를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제 2 공간, 그 다음으로 제 3 공간으로 흘러갈 수 있고, 상기 공기 배출 매체의 나머지는 제 2 공기 배출 채널(B), 제 1 공기 배출 채널(A), 및 제 1 공간을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제 3 공간으로 바로 흘러 들어 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공기 배출 개구(131)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방형이 바람직하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 예를 들면, 세 개의 공기 배출 개구(131)가 형성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 상기 복수 개의 공기 배출 개구(131)는 중간관(130)의 원주를 따라 고르게 분포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중간관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도, 도 6은 도 5의 중간관을 라인 H-H을 따라 절개하여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또한, 내부관(120)의 후단이 중간관(130)으로부터 돌출하여 외부관(140)과 더불어 제 3 공간을 형성하고, 중간관(130)의 전단은 외부관(140)으로부터 연장되어 내부관 구동 부재에 연결됨을 이해해야 한다. 더욱이, 외부관 구동 부재(160)가 구동되어 케이싱(110)의 후단으로 이동하는 경우, 중간관(130)의 일부는 여전히 외부관(140)에 의해 둘러싸이도록, 중간관(130)이 충분히 길어야 한다. 또한, 중간관(130)이 공기 배출 개구(131)를 형성하는 경우, 공기 배출 개구(131) 역시 외부관(140)에 의해 둘러싸이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공기 배출 개구(131)는 중간관(130)의 후단에 형성됨이 바람직할 수 있다.
도 2를 계속 참조하면, 내부관 구동 부재(150)는 케이싱(110)의 전단에 배치되고, 제 3 루멘과 제 4 루멘을 구비할 수 있다. 제 3 루멘은 내부관 구동 부재(150)를 통해 축방향으로 연장된다. 제 4 루멘은 제 1 공기 배출 채널(A)을 구성하고 제 1 공간과 연통된다. 바람직하게, 제 3 루멘의 중심축은 제 4 루멘의 중심축에 수직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내부관(120)의 전단은 제 3 루멘에 삽입되어 내부관 구동 부재(150)의 전단에 고정, 밀봉(예를 들면, 용접, 본딩, 리베팅, 또는 다른 방식으로 고정, 밀봉)될 수 있다. 제 3 루멘의 전단은 내부관(120)의 전단과 일치할 수 있다. 따라서, 중간관(130)은 전단이 제 4 루멘에 인접한 제 3 루멘의 전단에 일치된 상태로 제 3 루멘에 삽입될 수 있다. 이로써, 공기 배출 매체가 제 1 공기 배출 채널(A)에서 나오면 내부관(120)과 중간관(130) 사이의 제 1 공간에 바로 들어갈 것이다.
선택적으로, 중간관(130)은 전단에서 용접, 리베팅, 본딩, 밀봉 링 등에 의해 내부관 구동 부재(150)에 고정, 밀봉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공기 배출 매체가 제 2 공간을 통해 누출되지 않도록, 중간관(130)은 내부관 구동 부재(150)로부터 후단 쪽으로 연장되어 외부관 구동 부재(160)를 통과하여 외부관 구동 부재(160)에 밀봉 연결될 수 있다. 공기 배출 개구(131)를 형성하는 중간관(130)의 경우, 상기 중간관(130)은 공기 배출 개구(131)의 전단에서 외부관 구동 부재(160)에 밀봉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내부관 구동 부재(150)의 축방향 연장부는 케이싱(110)에서 돌출되어, 사용자가 내부관(120)을 축방향으로 전,후진하기 위해 조작할 수 있다. 또한, 공기 배출 매체가 내부관(120)에 유입되어 시스템으로부터 공기를 배출시키도록, 내부관(120)은 루어 테이퍼 연결(luer taper connection)에 의해 외부 장치의 전단에 연결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외부 장치는 내부관(120)의 전단에 연결된 공기 배출 유입관을 구비할 수 있다. 역류 방지를 위해, 공기 배출 매체의 단방향 흐름이 보장되도록, 또 다른 흐름 제어 부재(미도시)가 공기 배출 유입관과 내부관(1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흐름 제어 부재는, 예를 들면, 편도 체크 밸브나 제어 잠금 밸브로 구현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계속 참조하면, 외부관 구동 부재(160)는 케이싱(110) 내에서 내부관 구동 부재(150)로부터 후단 쪽으로 배치되고, 자신을 통해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5 루멘을 구비할 수 있다. 인공 심장 판막의 적재 및 배치가 가능하도록, 외부관 구동 부재(160)는 외부관을 구동하여 케이싱(110)을 따라 축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외부관(140)은 전단에서 제 5 루멘에 삽입되어 외부관 구동 부재(160)에 밀봉 고정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외부관(140)은 용접, 리베팅, 본딩, 밀봉 링 등에 의해 외부관 구동 부재(160)에 밀봉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중간관(130)의 후단이 항상 외부관(140)에 의해 둘러싸이도록, 중간관(130)은 내부관 구동 부재(150)로부터 제 5 루멘을 통해 연장될 수 있다. 또한, 공기 배출 개구(131)를 형성하는 중간관(130)의 경우, 상기 공기 배출 개구(131)도 항상 외부관(140)에 의해 둘러싸이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내부관 구동 부재(150)에 밀봉 고정되는 중간관(130)의 전단의 경우, 중간관(130)의 후단은 내부관(120)에 고정되지만 밀봉되지는 않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중간관(130)의 후단은 공기 배출 개구(131)의 우측(즉, 중간관(130)의 전단에서 멀리 떨어진 일측)에 대해 내부관(120)에 고정되지만 밀봉되지는 않을 수 있다. 내부관(120)과 중간관(130) 사이의 제 1 공간의 일부가 공기 배출 개구(131)의 우측에 위치함에 따라, 공기 배출 매체가 공기 배출 개구(131)와 제 2 공간을 통해서 진입하는 것뿐만 아니라, 상기 제 1 공간의 일부를 통해서도 내부관(120)과 외부관(140) 사이의 제 3 공간에 바로 진입할 수 있다. 이러한 배치로 중간관(130)과 내부관(120)의 동심도를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중간관(130)이 캔틸레버 보(cantilever beam) 역할을 하여 불균일 응력을 유발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는 또한 공기 배출 매체가 중간관(130)과 내부관(120) 사이의 제 1 공간에서 내부관(120)과 외부관(140) 사이의 제 3 공간으로 흘러가도록 함으로써 공기 배출 매체의 유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선택적으로, 중간관(130)은 리베팅, 용접, 본딩 등에 의해 내부관(120)에 고정된다.
본 발명은 케이싱에서 돌출되는, 내부관과 외부관의 후단부의 특정 구조나 구성에 한정되지 않으며, 관련 분야의 보통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이식물, 타겟 위치 등의 유형에 따라 적절한 구조를 선정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내부관(120)의 후단부는 앵커(121), 앵커(121)에 연결되는 내부관 후방부(distal section)(122), 및 내부관 후방부(122)의 후단에 배치되는 원뿔형 말단(123)을 포함할 수 있다. 앵커(121)는 이식물이 적재될 수 있는 홈(recess)을 형성할 수 있다. 외부관(140)의 후단에는 크림핑 구성(crimped configuration)으로 이식물을 구속하기 위한 시스(sheath)(141)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시스(141)는 내부관 후방부(122)의 길이에 상응하는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이식물 전달 장치(100)의 동작 과정을 상기 기재된 세부 구조와 관련하여 하기에 설명한다.
공기 배출: 외부관(140)과 내부관(120)의 후단부들은 공기 배출 매체(예를 들면, 물. 따라서 상기 후단부들은 이를테면 수성 환경(aqueous environment)에 놓이게 된다)에 침지된다(immersed). 이후 공기 배출 매체는, 외부관(140)과 내부관(120) 사이의 공기를 시스템에서 배출하기 위해 공기 배출 잠금 어셈블리(170)에 의해 제 2 공간 및 제 3 공간으로 유입된다. 공기 배출 매체는 내부관(120)의 루멘의 공기를 배출하기 위해 루어 테이퍼를 통해 상기 루멘에도 유입된다.
이식물 적재: 이식물의 잠금 러그(locking lugs)가 먼저 내부관(120)의 앵커(121)에 걸리고, 이후 외부관(140)은 이식물 전달 장치(100)의 후단 쪽으로 이동됨으로써, 시스(141)가 내부관 후방부(122)와 내부관 후방부(122) 상의 이식물을 수용한다. 결과적으로, 이식물은 외부관(140)과 내부관(120) 사이에 크림핑되어 구속된다.
이식물의 전달 및 배치: 이식물의 적재 후, 내부관(120)이 외부관(140)에 대해 고정된 상태로 상기 이식물이 환자의 몸에 전달된다. 이식물을 타겟 위치로 전진시킨 후, 외부관(140)은 이식물 전달 장치(100)의 전단 쪽으로 이동하도록 조작되어, 시스(141)는 이식물에서 슬라이딩하여 나온다. 시스(141)의 구속 응력에서 해제된 이식물은 자가 팽창되어 병소(lesion) 위치에 안정적으로 유지될 것이다.
전달 장치의 회수: 이식물이 병소 위치에 배치된 후, 내부관 구동 부재(150)는 공기 배출 잠금 어셈블리(170)에서 해제되어 내부관(120)이 이식물 전달 장치(100)의 전단을 향해 이동하도록 동작한다. 결과적으로, 원뿔형 말단(123)의 전단은 외부관(140)의 후단에 인접하여, 내부관(120)과 외부관(140)의 후단들을 폐쇄하고, 이후 전달 장치가 환자의 몸에서 회수된다.
상기에 설명한 실시예들에서, 케이싱(110)은, 예를 들면 핸들로 구현되고, 이식물 전달 장치(100)의 다양한 구성 요소가 실장되거나 부착되는 베이스 역할을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내부관 구동 부재(150)와 외부관 구동 부재(160)는 케이싱(110)을 따라 그리고 케이싱(110)에 대해 축방향 이동할 수 있도록 케이싱(110)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내부관(120)은 전단에서 내부관 구동 부재(150)와 연결되고 후단은 케이싱(110)의 후단에서 돌출될 수 있다. 공기 배출 잠금 어셈블리(170)는 케이싱(110) 내에 부분적으로 수용되어 케이싱(110)에 대해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케이싱(110)의 특정 물질, 형태 또는 크기에 한정되지 않으며, 사용자가 잡고 조작하기 적절하고 내부관(120) 일부, 중간관(130), 외부관(140) 일부 및 그 외 다른 구성 요소들을 수용할 수 있는 기존 구조나 앞으로 개발될 구조 어느 것이든 본 발명의 이식물 전달 장치(100)의 케이싱(110)으로서 적절히 사용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 이식물 전달 장치(100)는 케이싱(110) 상에 배치되는 이동 제어 부재 및 이동 가이드 트랙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 제어 부재는 이동 가이드 트랙 상에 이동가능하게 배치되어 외부관 구동 부재(160)에 연결될 수 있다. 이동 제어 부재가 이동 가이드 트랙을 따라 이동하여 외부관 구동 부재(160)와 외부관(140)이 동시에 움직이게 하도록, 사용자는 이동 제어 부재를 조작할 수 있다.
상기에 설명한 실시예들에서, 중간관(130)은 고분자 물질이나 금속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금속 물질은 스테인레스 스틸, 티타늄, 또는 금과 같은 금속이나 니켈-티타늄이나 코발트-니켈과 같은 합금일 수 있다. 상기 고분자 물질은 폴리카보네이트, 폴리프로필렌, 폴리아미드, 폴리이미드, 아크로나이트릴-부타디엔-스틸렌 공중합체(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copolymer) 중 하나 혹은 그 이상일 수 있다. 물론, 관련 분야의 당업자라면 중간관(130) 역시 향후 개발되어 이식 과정의 환경적 요건에 기반하여 선택될 수 있는 적절한 물질 어느 것으로도 형성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외부관(140)과 내부관(120) 각각은 다중 편조층(multiple braided layers)으로 구성되거나 금속, 고분자 물질, 또는 의료용으로 적합한 다른 화학 물질로 제조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외부관(140)과 내부관(120) 둘 다 높은 광방향 스트레치 저항값과 축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일정 정도의 굽힘성(bendability)을 가져야 한다.
<실시예 2>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이식물 전달 장치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이식물 전달 장치에서 내부관 구동 부재에 연결된 공기 배출 잠금 어셈블리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이식물 전달 장치에서 내부관 구동 부재에서 분리된 공기 배출 잠금 어셈블리를 도시하는 부분 개략도이다. 도 9에는 케이싱(110), 외부관(140), 그리고 외부관 구동 부재(160)는 도시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는 제 1 실시예와 공기 배출 잠금 어셈블리에서 본질적으로 차이가 있으며, 유사한 구조적 세부 사항은 제 1 실시예를 참조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이식물 전달 장치(200)에서, 공기 배출 잠금 어셈블리(210)는 잠금 부재(211)와 유체 부재(212)를 포함한다. 잠금 부재(211)는 내부관 구동 부재(220)에 착탈가능하게 연결되고 유체 부재(212)와 상호 연결된다.
제 1 실시예와는 달리, 공기 배출 잠금 어셈블리(210)는 잠금 부재(211)와 유체 부재(212)를 포함한다. 유체 부재(212)는 일부가 케이싱(110) 외부에 위치하고 공기 배출 매체를 유입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잠금 부재(211) 역시 일부가 케이싱(11) 외부에 위치하여 사용자가 잠금 부재(211)를 쉽게 조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 1 실시예와는 달리, 잠금 부재(211)는 제 6 루멘을 가지고, 상기 제 6 루멘은 잠금 부재(211)가 내부관 구동 부재(220)에 연결될 경우 제 1 공기 배출 채널(A)과 연통된다. 유체 부재(212)는 자신을 통해 연장되는 제 7 루멘을 구비할 수 있다. 제 6 루멘과 제 7 루멘은 서로 연통하여 제 2 공기 배출 채널(B)을 형성할 수 있다.
추가로, 제 1 실시예와 유사하게, 잠금 부재(211)는 제어부(2111)와 스토퍼부(2112)를 포함할 수 있다. 스토퍼부(2112)는 내부관 구동 부재(220)와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제어부(2111)는 스토퍼부(2112)를 구동하여 이동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사용자의 조작이 용이하도록, 제어부(2111)의 일단은 케이싱(110)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그러나, 제 1 실시예와는 다르게, 제 6 루멘은 스토퍼부(2112)에 의해서만 제공된다. 스토퍼부(2112)가 내부관 구동 부재(220)과 결합되면, 제 6 루멘은 제 1 공기 배출 채널(A)과 연통된다.
또한, 스토퍼부(2112)는 자신을 관통하여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8 루멘을 더 구비할 수 있고, 제 8 루멘은 잠금 부재(211)가 내부관 구동 부재(220) 상에 슬리브(sleeve)하도록 한다. 제 8 루멘은 제 6 루멘과 연통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 제 8 루멘의 중심축이 제 6 루멘의 중심축에 수직일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스토퍼부(2112)는 스토퍼 바디(2113)와 탄성 구조(2114)를 포함할 수 있다. 스토퍼 바디(2113)는 내부관 구동 부재(220)와 결합하도록 구성된다. 스토퍼 바디(2113)는 제 6 루멘을 구비한다. 탄성 구조(2114)는 스토퍼 바디(2113)에 연결된다. 스터퍼부(2112)는 탄성 구조(2114)를 통해 내부관 구동 부재(220)와 연결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탄성 구조(2114)가 응력을 받으면, 스토퍼부(220)는 탄성 구조(2114)를 통해 내부관 구동 부재(220)로부터 분리된다.
또한, 제 1 실시예와 유사하게, 내부관 구동 부재(220)는 제 3 루멘, 제 4 루멘 및 리셉터클을 형성할 수 있다. 제 3 루멘은 내부관 구동 부재(220)를 관통하여 축방향으로 연장된다. 제 4 루멘은 제 3 루멘과 연통된다. 축방향으로, 스토퍼 바디(2113)는 리셉터클의 폭에 상응하는 폭을 가질 수 있다. 제 4 루멘은 제 1 공기 배출 채널(A)의 역할을 할 수 있고 리셉터클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예를 들면, 리셉터클은, 수직부가 제 1 공기 배출 채널(A)을 구성하고 수평부는 스토퍼 바디(2113)에 결합되는 T 형태의 구조를 구비할 수 있다). 스토퍼 바디(2113)가 내부관 구동 부재(220)와 결합되면, 제 1 공기 배출 채널(A)은 제 2 공기 배출 채널(B)와 연통됨으로써, 외부 공기 배출 매체가 제 2 공기 배출 채널(B), 제 1 공기 배출 채널(A) 및 제 1 공간을 통해 (중간관(130)과 외부관(140) 사이의) 제 2 공간으로, 그 다음에는 (내부관(120)과 외부관(140) 사이의) 제 3 공간으로 흘러들어 가도록 할 것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2에 나타난 실시예와는 다르게, 중간관(130)의 공기 배출 개구(131)는 외부관(140)에 의해 둘러싸이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공기 배출 매체의 일부는 제 2 공기 배출 채널(B), 제 1 공기 배출 채널(A), 제 1 공간, 그리고 공기 배출 개구(131)를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중간관(130)과 외부관 구동 부재(160) 사이의 틈으로 흘러들어 갈 것이다. 중간관(130)과 외부관(140) 둘 다 외부관 구동 부재(160)에 밀봉 연결되므로, 한정된 공간이 형성되고, 중간관(130)과 외부관 구동 부재(160) 사이의 틈으로 흘러 들어간 공기 배출 매체는 중간관(130)과 외부관(140) 사이의 제 2 공간, 그 다음에는 제 3 공간으로 계속 흘러들어 갈 것이다. 다른 한편으로, 나머지 공기 배출 매체는 제 2 공기 배출 채널(B), 제 1 공기 배출 채널(A) 및 제 1 공간을 통해 바로 제 3 공간으로 흘러들어 갈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탄성 구조(2114)는 탄성 물질로 형성된 탄성 핑거(finger)를 포함할 수 있다. 탄성 핑거의 일단은 스토퍼 바디(2113)에 연결되고, 탄성 핑거의 타단은, 케이싱(110) 내 배치되어 케이싱(110)에 고정되는 지지 부재(230)와 접촉할 수 있다. 대안으로, 탄성 구조(2114)는 일단이 스토퍼 바디(2113)에 연결되고 타단이 지지 부재(230)와 접촉되는 스프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스프링은 스토퍼 바디(2113)와 내부관 구동 부재(220)가 결합할 수 있는 바이어스력(biasing force)을 제공할 수 있다. 요약하면, 스토퍼 바디(2113)는 탄성 구조(2114)에 의해 내부관 구동 부재(220)와 결합된다. 탄성 구조(2114)가 제공하는 바이어스력이 제어부(2111)에 의해 해소되면, 스토퍼부(2112)가 구동되어 하강함으로써, 스토퍼 바디(2113)는 내부관 구동 부재(220)의 리셉터클로부터 분리될 것이다. 결과적으로, 내부관 구동 부재(220)는 케이싱(110)을 따라 축방향 이동하게 될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유체 부재(212)는 유체 부재 바디(2121)와 연결관(2122)를 포함할 수 있다. 유체 부재 바디(2121)는 자신을 관통해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루멘을 형성한다. 연결관(2122)은 일단이 유체 부재 바디(2121)에 연결되고 타단이 스토퍼부(2112)에 연결된다. 유체 부재 바디(2121)의 루멘은 연결관(2122)의 내부와 연통되고, 연결관의 내부와 더불어 제 7 루멘을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제 7 루멘과 제 6 루멘은 함께 제 2 공기 배출 채널(B)을 구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유체 부재 바디(2121)는 케이싱(110)에 구속되고, 이의 일부는 공기 배출 매체를 받기 위해 케이싱(110) 외부로 돌출되어 외부 장치에 연결될 수 있다.
유체 부재(212)는, 공기 배출 매체의 흐름 방향을 제한하고 제어하기 위해, 유체 부재 바디(2121) 상에 배치되는 흐름 제어 부재(212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흐름 제어 부재(2123)는 편도 체크 밸브나 제어 잠금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흐름 제어 부재(2123)는 유체 부재 바디(2121)와 일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기에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의 범위에 한정되지 않는다. 관련 분야의 당업자라면 잠금 부재와 내부관 구동 부재간의 결합과 분리를 가능케 하는 다른 접근 방식도 여기에 참조 반영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관련 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에 따른 내부관과 외부관은 직경과 길이가 서로 상응하며, 실제 구현 절차 환경에 기반하여 이와 관련된 결정을 내려야함을 이해할 것이다.
상기에 개시된 실시예들에서, 두 개의 구성 요소가 상호 "밀봉 연결되어 있다"고 설명되는 경우, 이는 이들 구성 요소가 상호에 대해 이동 가능하면서 서로 밀봉됨을 의미한다. 두 개의 구성 요소가 상호 "밀봉 고정되어 있다"고 설명되는 경우, 이는 이들 구성 요소가 서로에 대해 밀봉되어 있어서 서로에 대해 이동할 수 없음을 의미한다.
종래 기술에 비해, 본 발명의 이식물 전달 장치의 내부관은, 실제 필요에 따라, 내부관 구동 부재와 공기 배출 잠금 어셈블리간의 결합이나 분리에 의해 케이싱에 연결되거나 케이싱에 대해 이동가능하게 될 수 있다. 이로써, 전달 장치가 이식물 전달 후 회수될 때, 외부관은 정지 상태로 유지되고, 내부관이 케이싱 내에서 이동하고 외부관으로 접근하여 인접하게 되어 급기야 외부관을 폐쇄하도록 내부관 구동 부재는 공기 배출 잠금 어셈블리에서 해제되고, 이후 전달 장치가 환자의 몸에서 회수된다. 구체적으로, 외부관의 후단에 배치된 시스는 이식물을 크림핑 구성으로 구속해야 하기 때문에, 시스는 상대적으로 강성일 필요가 있다. 이러한 이유로, 종래에는, 이식물 배치 후 폐쇄를 위해 내부관과 외부관이 서로 인접하도록 구동하게 되면 시스에 의해 환자의 몸에 이차 손상을 입히게 된다. 반대로, 본 발명에 따르면, 내부관은 크기가 더 작고, 굽힘성과 유연성이 더 큰 물질로 형성되며, 변위를 통해 후단이 외부관의 후단에 인접하게 되어 외부관을 폐쇄하게 된다. 이로 인해, 회수시 환자의 몸에 이차 손상을 입히는 위험을 낮출 수 있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의 이식물 전달 장치에서, 공기 배출 잠금 어셈블리에 배치된 제 2 공기 배출 채널은, 내부관 구동 부재에 있는 제 1 공기 배출 채널 및 중간관과 내부관 사이의 제 1 공간을 통해 중간관과 외부관 사이의 제 2 공간 및 외부관과 내부관 사이의 제 3 공간과 연통되어, 내부관과 외부관 사이로부터 공기를 배출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디자인은 공기 배출 호스 대신에 공기 배출 잠금 어셈블리를 사용함으로써, 공기 배출 호스의 사용으로 인해 공기 배출 경로가 변형되거나 막혀 시스템에서 공기 배출을 불가능하게 되는 문제를 해결한다. 또한, 이러한 공기 배출과 잠금 통합 디자인은 공기 배출과 잠금 기능을 통합함으로써, 요구되는 구성 요소의 수를 줄이고 동작 과정을 단순화시킨다. 결과적으로, 상기 전달 장치는 증가된 성능 강성을 가지고 더 편리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설명은 본 발명의 일부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것일 뿐,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설명에 근거하여 당업자가 실시하는 모든 변경이나 수정은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정의하는 범위에 속한다.
100, 200: 이식물 전달 장치 110: 케이싱
120: 내부관 121: 앵커
122: 내부관의 후방부 123: 원뿔형 후단
130: 중간관 131: 공기 배출 개구
140: 외부관 141: 시스(sheath)
150, 220: 내부관 구동 부재 160: 외부관 구동 부재
170, 210: 공기 배출 잠금 어셈블리 171, 211: 잠금 부재
1711, 2111: 제어부 1712, 2112: 스토퍼부
1713, 2123: 흐름 제어 부재 2113: 스토퍼 바디
2114: 탄성 구조 212: 유체 부재(fluidic member)
2121: 유체 부재 바디 2122: 연결관
1714, 1715: 체크 오리피스(check orifice)
180: 가이드 부재 190: 밀봉링
230: 지지 부재 A: 제 1 공기 배출 채널
B: 제 2 공기 배출 채널

Claims (15)

  1. 이식물 전달 장치에 있어서,
    케이싱; 및
    각각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케이싱에 수용되는, 내부관 구동 부재, 외부관 구동 부재, 내부관, 중간관, 외부관, 그리고 공기 배출 잠금 어셈블리를 포함하되,
    상기 내부관, 중간관 및 외부관은 내측에서 외측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되고, 상기 내부관과 중간관은 상호간에 제 1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중간관과 외부관은 상호간에 제 2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내부관과 외부관은 상호간에 제 3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내부관 구동 부재는 상기 내부관의 전단에 밀봉 고정되는 전단을 가지고, 상기 외부관 구동 부재 상기 외부관의 전단에 밀봉 고정되고, 상기 중간관은 상기 내부관 구동 부재에 밀봉 고정되는 전단을 가지고, 상기 중간관은 상기 외부관 구동 부재를 통해 연장되고 상기 외부관 구동 부재에 밀봉 연결되며, 상기 공기 배출 잠금 어셈블리는 상기 내부관 구동 부재에 착탈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내부관 구동 부재는 제 1 공기 배출 채널을 구비하고, 상기 공기 배출 잠금 어셈블리는 제 2 공기 배출 채널을 구비하고, 상기 제 2 공기 배출 채널은 제 1 단에서 상기 케이싱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공기 배출 잠금 어셈블리가 상기 내부관 구동 부재에 연결될 때, 제 2 단에서 상기 제 1 공기 배출 채널과 상기 제 1 공간을 통해 상기 제 2 공간 및 제 3 공간과 연통되며, 상기 내부관 구동 부재는 상기 공기 배출 잠금 어셈블리를 통해 상기 케이싱에 대해 축방향으로 고정가능하며, 상기 공기 배출 잠금 어셈블리가 상기 내부관 구동 부재에서 분리될 때, 상기 내부관 구동 부재는 상기 케이싱을 따라 축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식물 전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배출 잠금 어셈블리는 상기 내부관 구동 부재에 착탈가능하게 연결되는 잠금 부재를 구비하되, 상기 잠금 부재는 상기 제 2 공기 배출 채널을 형성하도록 상기 잠금 부재를 통해 연장되는 루멘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식물 전달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부재는 상기 내부관 구동 부재에 착탈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는 스토퍼부와 상기 스토퍼부가 이동하도록 구동하기 위한 제어부를 구비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케이싱 외부에 위치하는 제 1 단을 가지고 상기 제어부를 통해 연장되는 제 1 루멘을 구비하며, 상기 스토퍼부는 상기 스터퍼부를 통해 연장되는 제 2 루멘을 구비하며, 상기 제 1 루멘과 제 2 루멘은 상기 제 2 공기 배출 채널을 형성하기 위해 서로 연통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식물 전달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 내에 구비되는 가이드 부재를 더 구비하되, 상기 가이드 부재는 자신을 통해 연장되는 가이드 채널을 구비하고, 상기 스토퍼부는 상기 가이드 채널의 연장 방향을 따라 상기 내부관 구동 부재에 대해 이동 가능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식물 전달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관 구동 부재는 제 3 루멘과 제 4 루멘을 구비하되, 상기 제 3 루멘은 상기 내부관 구동 부재를 통해 축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 3 루멘은 상기 중간관의 전단과 일치하는 후단을 가지고 상기 내부관의 전단과 일치하는 전단을 가지며, 상기 제 4 루멘은 상기 제 1 공기 배출 채널을 구성하고 상기 제 1 공간과 연통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식물 전달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관 구동 부재는 자신을 통해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5 루멘을 구비하되, 상기 제 5 루멘에서 상기 외부관의 전단이 위치하고, 상기 중간관은 상기 내부관 구동 부재로부터 상기 제 5 루멘을 통해 연장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식물 전달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배출 잠금 어셈블리는 상기 내부관 구동 부재에 착탈가능하게 연결되는 잠금 부재와 상기 잠금 부재에 고정 연결되는 유체 부재를 구비하되, 상기 잠금 부재는 상기 케이싱 외부에 위치하는 일부를 가지고 상기 제 1 공기 누출 채널과 연통되는 제 6 루멘을 구비하며, 상기 유체 부재는 자신을 통해 연장되는 제 7 루멘을 구비하고, 상기 제 6 루멘과 상기 제 7 루멘은 상기 제 2 공기 누출 채널을 형성하기 위해 상호 연통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식물 전달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부재는 상기 내부관 구동 부재에 착탈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는 스토퍼부와 상기 스토퍼부가 이동하도록 구동하기 위한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케이싱 외부에 위치하는 제 1 단을 가지고, 상기 스토퍼부는 상기 제 6 루멘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식물 전달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부는 상기 내부관 구동 부재에 착탈가능하게 연결되는 스토퍼 바디와 상기 스토퍼 바디에 연결되는 탄성 구조를 구비하되, 상기 스토퍼부는 상기 탄성 구조를 통해 상기 내부관 구동 부재에 연결되고, 상기 탄성 구조가 응력을 받으면, 상기 스토퍼부가 상기 내부관 구동 부재로부터 분리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식물 전달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배출 잠금 어셈블리는 공기 배출 매체의 흐름 방향을 제어하기 위한 흐름 제어 부재를 구비하되, 상기 흐름 제어 부재는 상기 제 2 공기 배출 채널에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식물 전달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흐름 제어 부재는 편도 체크 밸브나 제어 잠금 밸브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식물 전달 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관은 후단에 상기 제 1 공간이 상기 제 2 공간과 연통하는 공기 배출 개구를 구비하되, 상기 공기 배출 잠금 어셈블리가 상기 내부관 구동 부재에 연결될 때, 상기 제 2 공기 배출 채널의 제 2 단은 상기 제 1 공기 배출 채널, 제 1 공간, 그리고 공기 배출 개구를 통해 상기 제 2 공간 및 제 3 공간과 연통하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식물 전달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관은 상기 중간관의 원주 둘레에 균일하게 분포하는 복수 개의 공기 배출 개구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식물 전달 장치.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관의 후단은 상기 내부관에 고정되지만 밀봉되지는 않음을 특징으로 하는, 이식물 전달 장치.
  15. 제 1 항에 있어서,
    이동 제어 부재와 이동 가이드 트랙을 더 구비하되, 상기 이동 가이드 트랙은 상기 케이싱 상에 배치되고, 상기 이동 제어 부재는 상기 이동 가이드 트랙상에 배치되고 상기 외부관 구동 부재에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식물 전달 장치.
KR1020197014517A 2016-10-20 2017-09-22 이식물 전달 장치 KR10226074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610916660.3 2016-10-20
CN201610916660.3A CN107374782B (zh) 2016-10-20 2016-10-20 植入体输送装置
PCT/CN2017/102959 WO2018072595A1 (zh) 2016-10-20 2017-09-22 植入体输送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2604A true KR20190072604A (ko) 2019-06-25
KR102260740B1 KR102260740B1 (ko) 2021-06-03

Family

ID=603388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4517A KR102260740B1 (ko) 2016-10-20 2017-09-22 이식물 전달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966755B2 (ko)
EP (1) EP3530236B1 (ko)
JP (1) JP6757850B2 (ko)
KR (1) KR102260740B1 (ko)
CN (1) CN107374782B (ko)
ES (1) ES2849439T3 (ko)
WO (1) WO201807259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79964B2 (en) 2010-05-05 2013-11-12 Neovasc Inc. Transcatheter mitral valve prosthesis
US9308087B2 (en) 2011-04-28 2016-04-12 Neovasc Tiara Inc. Sequentially deployed transcatheter mitral valve prosthesis
US9554897B2 (en) 2011-04-28 2017-01-31 Neovasc Tiara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engaging a valve prosthesis with tissue
US9345573B2 (en) 2012-05-30 2016-05-24 Neovasc Tiara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loading a prosthesis onto a delivery system
US9572665B2 (en) 2013-04-04 2017-02-21 Neovasc Tiara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delivering a prosthetic valve to a beating heart
CN108882981B (zh) 2016-01-29 2021-08-10 内奥瓦斯克迪亚拉公司 用于防止流出阻塞的假体瓣膜
CN109996581B (zh) 2016-11-21 2021-10-15 内奥瓦斯克迪亚拉公司 用于快速收回经导管心脏瓣膜递送系统的方法和系统
CA3073834A1 (en) 2017-08-25 2019-02-28 Neovasc Tiara Inc. Sequentially deployed transcatheter mitral valve prosthesis
AU2019374743B2 (en) 2018-11-08 2022-03-03 Neovasc Tiara Inc. Ventricular deployment of a transcatheter mitral valve prosthesis
US11998447B2 (en) 2019-03-08 2024-06-04 Neovasc Tiara Inc. Retrievable prosthesis delivery system
CA3135753C (en) 2019-04-01 2023-10-24 Neovasc Tiara Inc. Controllably deployable prosthetic valve
CA3136334A1 (en) 2019-04-10 2020-10-15 Neovasc Tiara Inc. Prosthetic valve with natural blood flow
EP3972673A4 (en) 2019-05-20 2023-06-07 Neovasc Tiara Inc. INTRODUCER DEVICE WITH HEMOSTASIS MECHANISM
CA3143344A1 (en) 2019-06-20 2020-12-24 Neovasc Tiara Inc. Low profile prosthetic mitral valv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236A (en) 1976-06-23 1978-01-05 Toshiba Corp Apparatus for vanish coating
US5700269A (en) * 1995-06-06 1997-12-23 Corvita Corporation Endoluminal prosthesis deployment device for use with prostheses of variable length and having retraction ability
US20050090890A1 (en) * 2003-09-12 2005-04-28 Wu Patrick P. Delivery system for medical devices
US20110264199A1 (en) * 2010-04-21 2011-10-27 Medtronic, Inc. Transcatheter Prosthetic Heart Valve Delivery System with Flush Report
US20130274870A1 (en) * 2010-09-24 2013-10-17 Symetis Sa Stent Valve, Delivery Apparatus and Method Therefor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153875A1 (en) * 2002-02-14 2003-08-14 Ishay Ostfeld Indwelling device
WO2007054014A1 (en) * 2005-11-09 2007-05-18 Ning Wen Delivery device for delivering a self-expanding stent
CA2976839C (en) * 2006-09-08 2020-04-28 Edwards Lifesciences Corporation Integrated heart valve delivery system
US8668668B2 (en) * 2008-05-14 2014-03-11 Onset Medical Corporation Expandable iliac sheath and method of use
EP3572117B1 (en) 2009-07-14 2020-12-09 Edwards Lifesciences Corporation Transapical delivery system for heart valves
EP2773298B1 (en) * 2011-10-31 2017-03-15 Merit Medical Systems, Inc. Delivery systems for sheathing and deploying an implantable device
CN102764165B (zh) * 2012-08-13 2015-01-07 宁波健世生物科技有限公司 经皮主动脉或主动脉瓣膜支架输送系统
US9566087B2 (en) * 2013-03-15 2017-02-14 Access Scientific, Llc Vascular access device
CN204600795U (zh) * 2015-04-20 2015-09-02 上海纽脉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介入式人工心脏瓣膜的输送装置
CN204709078U (zh) * 2015-04-20 2015-10-21 上海纽脉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介入式人工心脏瓣膜输送系统
CN104758092B (zh) * 2015-04-20 2018-09-18 上海纽脉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介入式人工心脏瓣膜输送系统
CN206499552U (zh) * 2016-10-20 2017-09-19 上海微创心通医疗科技有限公司 植入体输送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236A (en) 1976-06-23 1978-01-05 Toshiba Corp Apparatus for vanish coating
US5700269A (en) * 1995-06-06 1997-12-23 Corvita Corporation Endoluminal prosthesis deployment device for use with prostheses of variable length and having retraction ability
US20050090890A1 (en) * 2003-09-12 2005-04-28 Wu Patrick P. Delivery system for medical devices
US20110264199A1 (en) * 2010-04-21 2011-10-27 Medtronic, Inc. Transcatheter Prosthetic Heart Valve Delivery System with Flush Report
US20130274870A1 (en) * 2010-09-24 2013-10-17 Symetis Sa Stent Valve, Delivery Apparatus and Method Theref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757850B2 (ja) 2020-09-23
WO2018072595A1 (zh) 2018-04-26
ES2849439T3 (es) 2021-08-18
US20200046406A1 (en) 2020-02-13
EP3530236A4 (en) 2019-10-09
CN107374782B (zh) 2023-04-18
CN107374782A (zh) 2017-11-24
KR102260740B1 (ko) 2021-06-03
US10966755B2 (en) 2021-04-06
EP3530236A1 (en) 2019-08-28
JP2019531156A (ja) 2019-10-31
EP3530236B1 (en) 2020-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72604A (ko) 이식물 전달 장치
US10722357B2 (en) Flushable loading base
US10010411B2 (en) Devices and methods for preparing a transcatheter heart valve system
JP2023171498A (ja) カテーテル挿入方法および装置
US9883942B2 (en) Transapical introducer
US9889029B2 (en) Implant delivery system
US8740976B2 (en) Transcatheter prosthetic heart valve delivery system with flush report
US10123892B2 (en) System for loading a collapsible heart valve having a leaflet restraining member
JP5926265B2 (ja) ステント弁、送達装置、および送達方法
ES2834469T3 (es) Dispositivo de llenado de jeringa de gas y métodos de fabricación y utilización de este
US10583021B2 (en) Methods of repositioning a transcatheter heart valve after full deployment
CN206499552U (zh) 植入体输送装置
US20230125281A1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the delivery and unsheathing of prosthetic heart valves
US10765797B2 (en) Device for controlling fluid deliver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