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72290A - 화장료용 꽃향유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꽃향유 추출물 함유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화장료용 꽃향유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꽃향유 추출물 함유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90072290A KR20190072290A KR1020170173535A KR20170173535A KR20190072290A KR 20190072290 A KR20190072290 A KR 20190072290A KR 1020170173535 A KR1020170173535 A KR 1020170173535A KR 20170173535 A KR20170173535 A KR 20170173535A KR 20190072290 A KR20190072290 A KR 2019007229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xtract
- oil
- flower
- fragrance
- phas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3/00—Formulations or additives for perfume prepar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꽃향유 꽃, 줄기 및 잎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혼합하는 단계, 상기 혼합물을 1차 증류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혼합물을 2차 증류추출한 후 꽃향유 오일 및 하이드로졸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장료용 꽃향유 추출물의 제조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꽃향유 오일은 살균력이 높고 인체에 무해하며 피부개선에 도움이 되므로 다른 화합물과 함께 혼합하여 사용하거나, 천연 그대로의 향을 이용하여 아로마 테라피 등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꽃향유 하이드로졸은 수용성 물질이면서 좋은 향과 피부진균 억제작용, 피부개선 효과등이 있으므로, 화장수, 음료, 천연염색 등 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화장료용 꽃향유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꽃향유 추출물 함유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대한 것이다.
꽃향유는 향유의 일종으로 잎에 기름샘이 있는 것이 특징이다. 향이 강해 관상용으로 많이 재배되고 꿀벌을 위한 밀원식물로도 유용하다. 향유보다 꽃이 훨씬 더 짙은 색을 띠어서 꽃향유라고 부른다. 우리나라 중부 이남에 자생하는 여러해살이풀로, 양지 혹은 습기가 많은 반그늘의 풀숲에서 자라며, 키는 약 50㎝이다. 줄기는 뭉쳐나고 네모지며 가지를 많이 치고 흰 털이 많다. 잎은 달걀 모양으로 가장자리에 이 모양의 둔한 톱니가 있으며, 길이는 8~12㎝ 정도이다. 잎 양면에 털이 드문드문 나 있고, 잎 뒷면에 기름샘이 있다. 9~10월에 분홍빛이 나는 자주색 꽃이 줄기의 한쪽 방향으로만 빽빽하게 뭉쳐서 피며, 길이는 6~15㎝이다. 열매는 11월에 맺는데, 꽃이 진 자리에 작고 많은 씨가 달린다. 꿀풀과에 속하며 붉은향유라고도 한다. 관상용으로 사용되고, 꽃을 포함한 전초는 약용으로 쓰인다. 또 어린잎은 식용하기도 한다. 꽃향유은 밀원식물로 이용되기도 하며, 한약재로 이용되기도 한다. 한약재명으로는 석향 또는 향여라고 불리기도 하며, 해열, 발한작용, 피부진균 억제작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꽃향유의 알려진 주요 성분으로는 elsholtzidiol, elsholtzia ketone, naginataketone, α-pinene, cineole, p-cymene, isovaleric acid, isobutyl-isovalerate, α-β-naginatene, octanol-3,1-octen-3-ol, linalool, camphor, geraniol, n-caproic acid, isocaproic acid, oleic acid, linoic acid, linoleic acid, α-Terpineol, beta-Bisabolene, (+)-beta-pinene, Carvacrol, gamma-Terpinene, Terpinene-4-ol, Thymol 및 trans-alpha-bergamotene 등이 있다.
약초에 들어 있는 성분중 오일을 추출하는 기술은 주로 유럽에서 서양 HERB를 이용하여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 있으나 국내에는 자생약초를 이용하여 이를 산업화하는 곳이 없는 실정이다. 이에, 꽃향유 오일 및 하이드로졸의 추출방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며, 본 발명자들은 꽃향유의 추출방법을 연구하던 중, 고온에서 변온과정을 거치며 꽃향유를 증류추출할 경우 꽃향유 오일 및 하이드로졸의 향 수치가 더 높게 나오는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화장료용 꽃향유 추출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화장료용 꽃향유 추출물을 제공한다.
나아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꽃향유 추출물 함유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측면은 꽃향유 꽃, 줄기 및 잎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혼합하는 단계, 상기 혼합물을 1차 증류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혼합물을 2차 증류추출한 후 꽃향유 오일 및 하이드로졸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장료용 꽃향유 추출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1차 증류추출은 190 내지 210℃의 온도에서 20 내지 30분 동안 수행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2차 증류추출은 130 내지 150℃의 온도에서 45 내지 55분 동안 수행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1차 증류추출 및 2차 증류추출은 150 내지 170℃의 외부온도에서 수행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은 상기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화장료용 꽃향유 추출물을 제공한다.
나아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은 꽃향유 오일을 유상에 혼합하는 단계, 꽃향유 하이드로졸을 수상에 혼합하는 단계 및 상기 유상 및 수상을 유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꽃향유 추출물 함유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꽃향유 추출물 함유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병풀 추출물 및 마치현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유상에 혼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꽃향유 오일은 살균력이 높고 인체에 무해하며 피부개선에 도움이 되므로 다른 화합물과 함께 혼합하여 사용하거나, 천연 그대로의 향을 이용하여 아로마 테라피 등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꽃향유 하이드로졸은 수용성 물질이면서 좋은 향과 피부진균 억제작용, 피부개선 효과등이 있으므로, 화장수, 음료, 천연염색 등 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a)는 꽃향유 꽃의 추출전 사진이고, 도 1(b)는 꽃향유 꽃의 추출후 사진이다.
도 2는 실시예 1에서 제조된 꽃향유 오일 및 하이드로졸의 사진이다.
도 3(a)는 꽃향유 줄기 및 잎의 추출전 사진이고, 도 3(b)는 꽃향유 줄기 및 잎의 추출후 사진이다.
도 4는 실시예 2에서 제조된 꽃향유 오일 및 하이드로졸의 사진이다.
도 2는 실시예 1에서 제조된 꽃향유 오일 및 하이드로졸의 사진이다.
도 3(a)는 꽃향유 줄기 및 잎의 추출전 사진이고, 도 3(b)는 꽃향유 줄기 및 잎의 추출후 사진이다.
도 4는 실시예 2에서 제조된 꽃향유 오일 및 하이드로졸의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은 후술할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덧붙여,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꽃향유 꽃, 줄기 및 잎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혼합하는 단계, 상기 혼합물을 1차 증류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혼합물을 2차 증류추출한 후 꽃향유 오일 및 하이드로졸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장료용 꽃향유 추출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상기 화장료용 꽃향유 추출물의 제조방법을 각 단계별로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상기 꽃향유 꽃, 줄기 및 잎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혼합하는 단계는 추출대상이 되는 꽃향유의 꽃, 줄기 및 잎 중에서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혼합하는 단계이다.
상기 꽃향유란 꿀풀과(Labiatae family)에 속하는 식물로서 아시아와 북동 지역에서 서식하는 야생화를 의미한다. 원료로 사용되는 상기 꽃향유는 시장에서 판매되는 제품을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직접 채취한 것을 세척 후 바로 사용하거나, 건조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꽃향유 꽃, 줄기 및 잎을 세절하여 혼합할 수 있으며, 세절하지 않고 꽃향유 그대로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혼합물을 1차 증류추출하는 단계는 혼합된 꽃향유 재료를 증류 추출하여 꽃향유 오일 및 하이드로졸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상기 증류추출은 물 증류추출, 수증기 증류추출 또는 수분 확산 증류추출 방법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수증기 증류 추출이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사용하는 증류 추출 장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통상의 증류 추출 공정에서 사용하는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일례로, 꽃향유 꽃, 줄기 및 잎과 추출 용매가 저장되고 가열되는 플라스크와, 증기가 이동하는 통로와, 증기를 응축시키는 환류 냉각기와, 응축된 증류 추출물을 수집하기 위한 저장 용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사용 가능한 추출 용매로는 물, 탄소수 1 내지 6의 저급 글라이콜,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코올, 에틸아세테이트, 글리세린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등이 사용 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물을 사용할 수 있다. 사용되는 추출용매의 바람직한 양은 꽃향유 재료 중량의 1 내지 100배(부피)일 수 있다.
이때, 상기 1차 증류추출은 180 내지 220℃의 온도에서 수행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85 내지 215℃의 온도에서 수행될 수 있고, 더 바람직하게는 190 내지 210℃의 온도에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화장료용 꽃향유 추출물의 제조방법은 180℃ 이상의 고온에서 증류추출함으로써 추출되는 꽃향유 오일 및 하이드로졸의 향을 더 높일 수 있다.
따라서, 추출 온도가 180℃ 미만일 경우 너무 낮은 온도로 인해 추출하고자하는 오일 및 하이드로졸의 향 강도가 약하고 추출량이 낮아질 수 있다. 반면, 추출 온도가 220℃ 초과일 경우 너무 높은 온도로 인해 유효성분 이외의 부산물들이 추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1차 증류추출은 10 내지 40분 동안 수행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35분 동안 수행될 수 있고, 더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30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추출 시간이 10분 미만일 경우 너무 짧은 추출 시간으로 인해 추출되는 오일 및 하이드로졸의 양이 미비할 수 있고, 추출 시간이 40분 초과일 경우, 너무 긴 추출 시간으로 인해 추출하고자 하는 오일 및 하이드로졸 이외의 부산물들이 함께 추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1차 증류추출은 150 내지 170℃의 외부온도에서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지막으로, 상기 혼합물을 2차 증류추출한 후 꽃향유 오일 및 하이드로졸을 수득하는 단계는 1차 증류추출 후에 추출 시스템의 내부온도를 변온하여 꽃향유 오일 및 하이드로졸을 추출하는 단계이다.
이때, 상기 2차 증류추출은 120 내지 160℃의 온도에서 수행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25 내지 155℃의 온도에서 수행될 수 있고, 더 바람직하게는 130 내지 150℃의 온도에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2차 증류추출은 35 내지 65분 동안 수행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60분 동안 수행될 수 있고, 더 바람직하게는 45 내지 55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상기 2차 증류추출은 150 내지 170℃의 외부온도에서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꽃향유 오일 및 하이드로졸을 수득하는 단계 이후에 꽃향유 오일 및 하이드로졸을 분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꽃향유 오일 및 하이드로졸 분리방법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오일 및 물 분리방법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비중차를 이용하여 분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은 상기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화장료용 꽃향유 추출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라 제조된 화장료용 꽃향유 추출물은 꽃향유 오일 뿐만 아니라 꽃향유 하이드로졸 또한 향 강도가 우수하므로, 오일 성분의 화장료 조성물 뿐만 아니라 수용성 화장료 조성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은 꽃향유 오일을 유상에 혼합하는 단계, 꽃향유 하이드로졸을 수상에 혼합하는 단계 및 상기 유상 및 수상을 유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꽃향유 추출물 함유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상기 꽃향유 추출물 함유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각 단계별로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상기 꽃향유 오일을 유상에 혼합하는 단계는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라 제조된 꽃향유 오일을 화장품 제조를 위한 유성 혼합물과 혼합하는 단계이다.
이때, 사용될 수 있는 유성 혼합물로는 Bees Wax, ButyrospermumParkii(Shea)Butter, Cetyl Alcohol, Olivoyl Hydrolyzed Wheat Protein, CetearylAlcohol, GlycerylOleate, GlycerylStearate, PotassiumHydroxide, SodiumBenzoate, PotassiumSorbate, Prunus Amygdalus Dulcis (Sweet Almond) Oil, Caprylic/Capric TriGlycerides, Octyldodecanol, Dicaprylyl cabonate, Stearyl Alcohol, BehenylAlcohol, CetearylAlcohol, Cetyl Palmitate, Dimethicone, Chlorphenesin, Bis-Ethoxydiglycol, Succinate, PhenoxyehtanolSodium Hyaluronate, Biosaccharide Gum-1, PolyglutamicAcid, Centella Asiatica Extract, Elsholtzia Splendens Oil, Portulaca Oleracea Extract 또는 Beta-Glucan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화합물 이외에도 제조하고자 하는 화장품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유성 혼합물을 함께 혼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혼합물을 꽃향유 오일과 분리하여 따로 혼합한 뒤 나중에 다시 혼합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도 있으며, 혼합하는 순서에 특별한 제한은 없다.
다음으로, 꽃향유 하이드로졸을 수상에 혼합하는 단계는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라 제조된 꽃향유 하이드로졸을 화장품 제조를 위한 수성 혼합물과 혼합하는 단계이다.
이때, 상기 수성 혼합물로는 Allantoin, Trehalose, Glycerin, Elsholtzia Splendens Extract, Cabomer, Arginine, betain, Cabomer, Polyacrylamide 또는 C13-14Isoparaffin,Laureth-7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화합물 이외에도 제조하고자 하는 화장품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수성 혼합물을 함께 혼합할수 있다.
또한, 상기 혼합물을 꽃향유 하이드로졸과 분리하여 따로 혼합한 뒤 나중에 다시 혼합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도 있으며, 혼합하는 순서에 특별한 제한은 없다.
마지막으로, 상기 유상 및 수상을 유화시키는 단계는 꽃향유 오일이 혼합된 유상 혼합물과 꽃향유 하이드로졸이 혼합된 수상 혼합물을 유화시켜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상기 유화에 사용되는 유화제로는 PEG 실리콘 유화제, 비이온성 W/O 유화제, 폴리솔베이트60, 라놀린, 올리브 유화왁스(sorbitan oilvate), 카르나우바 왁스(Carnauba wax), 올리브 리퀴드, 레시틴, 스테아르산, 붕사, 세토스, 솔루빌라이저, 세틸알콜, 폴리솔베이트 80(Polysorbate 80), 솔비탄 스테아레이트(Sorbitan Stearate), 폴리옥시에틸렌 피토스테롤(Polyoxyetylene Phytosterol) 또는 하이드로제네이티드 소이빈 포스포리피드(Hydrogenated Soybean Phospholipid)등이 사용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꽃향유 추출물 함유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병풀 추출물 및 마치현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유상에 혼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꽃향유 추출물 함유 화장료 조성물은 병풀 추출물을 더 포함함으로써 상처 치유 효과, 소염 효과, 피부 진정작용 효과, 항산화 작용 효과 및 피부색소침착 방지 효과 등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상기 꽃향유 추출물 함유 화장료 조성물은 마치현 추출물을 더 포함함으로써, 피부 흉터 치유 효과, 소염 효과, 피부 진정작용 효과, 아토피 치료 효과 등을 나타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예 1: 꽃향유 추출물의 제조 1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용 꽃향유 추출물의 제조방법을 사용하여 꽃향유 추출 오일 및 하이드로졸을 제조하였다.
먼저, 꽃향유 꽃 700g을 증류수 4L에 혼합한 후, 내부온도 200℃ 및 외부온도 160℃로 25분 동안 증류추출 하였다. 다음으로, 내부온도를 140℃로 변온한 후, 50분 동안 증류추출 하였다. 마지막으로, 증류추출을 종료한 후, 수득된 꽃향유 오일 및 하이드로졸을 분리하여 꽃향유 오일 10ml 및 꽃향유 하이드로졸 3.7L를 수득하였다.
도 1(a)는 꽃향유 꽃의 추출전 사진이고, 도 1(b)는 꽃향유 꽃의 추출후 사진이며, 도 2는 실시예 1에서 제조된 꽃향유 오일 및 하이드로졸의 사진이다. 도 1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추출법을 사용할 경우 꽃향유 꽃이 완전히 탈색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2: 꽃향유 추출물의 제조 2
꽃향유 꽃 700g을 사용하는 대신 꽃향유 줄기 및 잎 1200g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꽃향유 추출 오일 및 하이드로졸을 제조하였다. 수득 결과, 꽃향유 오일 1.5ml 및 꽃향유 하이드로졸 3.9L를 수득하였다.
도 3(a)는 꽃향유 줄기 및 잎의 추출전 사진이고, 도 3(b)는 꽃향유 줄기 및 잎의 추출후 사진이며, 도 4는 실시예 2에서 제조된 꽃향유 오일 및 하이드로졸의 사진이다. 도 3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추출법을 사용할 경우 꽃향유 줄기 및 잎이 완전히 탈색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3: 꽃향유 추출물 함유 모이스쳐라이져의 제조
본 발명에 따른 꽃향유 추출물 함유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사용하여 꽃향유 추출물 함유 모이스쳐라이져를 제조하였다.
먼저, A상을 순서대로 투입하고 80℃에서 교반하였다. 다음으로, B상을 별도의 용해조에 투입한 다음 80℃에서 완전 용해시킨 후 A상에 넣고 유화하였다. 다음으로, C상을 별도의 용해조에 투입한 다음 50℃에서 완전 용해시킨 후 A상에 넣고 교반하였다. 마지막으로 A상에 D상을 차례대로 투입한 후 40℃에서 교반하여 꽃향유 추출물 함유 모이스쳐라이져를 제조하였다.
상기 A상, B상, C상 및 D상의 원료명, INCI 및 함량을 하기 표 1에 정리하여 나타내었다.
순서 | 원료명 | INCI | 함량(wt%) |
A-1 | Di-Water | - | 57.380 |
A-2 | Allantoin | Allantoin | 0.400 |
A-3 | Trehalose | Trehalose | 0.600 |
A-4 | Glycerin Natural | Glycerin | 7.000 |
A-5 | 꽃향유워터 | Elsholtzia Splendens Extract | 1.000 |
A-6 | 2%Carbopol 980 | Cabomer | 10.000 |
B-1 | Tocopheryl Acetate | Tocopheryl Acetate | 0.300 |
B-2 | Bees Wax | Bees Wax | 0.100 |
B-3 | Shea Butter | ButyrospermumParkii(Shea)Butter | 1.500 |
B-4 | Lanette 16 | Cetyl Alcohol | 0.050 |
B-5 | Oilvoil Emulskfier FOKSNaB | OlivoylHydrolyzedWheatProtein,CetearylAlcohol,GlycerylOleate,GlycerylStearate,PotassiumHydroxide,SodiumBenzoate,PotassiumSorbate | 1.200 |
B-6 | Sweet Almond Oil | Prunus Amygdalus Dulcis (Sweet Almond) Oil | 1.500 |
B-7 | MCT Oil | Caprylic/Capric TriGlycerides | 1.000 |
B-8 | Euthanol G | Octyldodecanol | 0.400 |
B-9 | Cetiol CC | Dicaprylyl cabonate | 0.400 |
B-10 | Lanette 18 | Stearyl Alcohol | 0.400 |
B-11 | Lanette 22 | BehenylAlcohol | 0.400 |
B-12 | Lanette O | CetearylAlcohol | 0.200 |
B-13 | Cutina CP | Cetyl Palmitate | 0.200 |
B-14 | DC 200F 100CS | Dimethicone | 1.000 |
B-15 | Chlorphenesin | Chlorphenesin | 0.200 |
B-16 | Haiaqueouster DCS | Bis-Ethoxydiglycol Succinate | 2.000 |
B-17 | Phenoxyehtanol | Phenoxyehtanol | 0.120 |
C-1 | Di-Water | - | 2.500 |
C-2 | Sodium L-Algininie | Arginine | 0.300 |
D-1 | 1% HA-Na | Sodium Hyaluronate | 3.500 |
D-2 | Fucogel 1000P | Biosaccharide Gum-1 | 1.200 |
D-3 | 1% PGA | PolyglutamicAcid | 0.800 |
D-4 | 병풀추출물 | Centella Asiatica Extract | 1.000 |
D-5 | 꽃향유오일 | Elsholtzia Splendens Oil | 0.050 |
D-6 | 마치현 추출물 | Portulaca Oleracea Extract | 1.000 |
D-7 | Beta-Glucan | Beta-Glucan | 2.300 |
실시예 4: 꽃향유 추출물 함유 에센스의 제조
본 발명에 따른 꽃향유 추출물 함유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사용하여 꽃향유 추출물 함유 미백기능성 에센스를 제조하였다.
먼저, A상을 순서대로 투입하고 40 내지 45℃에서 교반하였다. 다음으로, B상을 별도의 용해조에 투입한 다음 40 내지45℃에서 완전 용해시킨 후 A상에 넣고 유화시켰다. 다음으로, C상을 별도의 용해조에 투입한 다음 40 내지 45℃에서 완전 용해시킨 후 A상에 넣고 교반하였다. 다음으로, D상을 A상에 순서대로 투입한 후 교반하였다. 다음으로, E상을 A상에 순서대로 투입한 후 교반하였다. 마지막으로 F상을 별도의 용해조에 투입한 다음 40 내지 45℃에서 완전 용해시키고 A상에 넣어 교반하여 꽃향유 추출물 함유 미백기능성 에센스를 제조하였다
상기 A상, B상, C상, D상, E상 및 F상의 원료명, INCI 및 함량을 하기 표 2에 정리하여 나타내었다.
순서 | 원료명 | INCI | 함량(wt%) |
A-1 | Di-Water | - | 55.780 |
A-2 | Glycerin Natural | Glycerin | 1.800 |
A-3 | Allantoin | Allantoin | 0.300 |
A-4 | Aminocoat | betain | 0.200 |
A-5 | 꽃향유워터 | Elsholtzia Splendens Extract | 10.000 |
A-6 | 2%Carbopol 980 | Cabomer | 16.000 |
A-7 | 1.3 BG | Butylene Glycol | 3.000 |
B-1 | Chlorphenesin | Chlorphenesin | 0.200 |
B-2 | Emalex HC60 | PEG-60HydrogenatedCastorOil | 0.150 |
B-3 | 꽃향유오일 | Elsholtzia Splendens Oil | 0.050 |
B-4 | Phenoxyehtanol | Phenoxyehtanol | 0.120 |
C-1 | Sodium L-Algininie | Arginine | 0.300 |
D-1 | 병풀추출물 | Centella Asiatica Extract | 0.500 |
D-2 | 1% HA-Na | Sodium Hyaluronate | 2.500 |
D-3 | AloeEXT | Aloe Barbadensis Leaf Extract | 0.200 |
D-4 | Fucogel 1000P | Biosaccharide Gum-1 | 1.500 |
E-1 | 1% PGA | PolyglutamicAcid | 1.800 |
E-2 | Beta-Glucan | Beta-Glucan | 3.500 |
E-3 | DL-Panthenol 50L | Panthenol | 0.100 |
E-4 | Haiaqueouster DCS | Bis-Ethoxydiglycol Succinate | 2.000 |
(* 발명자료상에 기재된 F상이 표에 나와있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는 바, F상이 어떤 것인지 알려주시기 바랍니다.)
실시예 5: 꽃향유 추출물 함유 부스팅 크림의 제조
본 발명에 따른 꽃향유 추출물 함유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사용하여 꽃향유 추출물 함유 건성피부용 부스팅 크림을 제조하였다.
먼저, A상을 순서대로 투입한 후, 40 내지 45℃에서 교반하였다. 다음으로 B상을 별도의 용해조에 투입한 뒤 40 내지 45℃에서 완전 용해시킨 후 A상에 넣고 교반하였다. 다음으로, C상을 별도의 용해조에 투입한 다음 40 내지 45℃에서 완전 용해시킨 후 A상에 넣고 교반하였다. 다음으로, D상을 별도의 용해조에 투입한 뒤, 40 내지 45℃에서 완전 용해시킨 후 A상에 넣고 교반하였다. 마지막으로 A상에 E상을 순서대로 첨가한 뒤 교반하여 꽃향유 추출물 함유 건성피부용 부스팅 크림을 제조하였다.
상기 A상, B상, C상, D상 및 E상의 원료명, INCI 및 함량을 하기 표 3에 정리하여 나타내었다.
순서 | 원료명 | INCI | 함량(%) |
A-1 | Di-Water | - | 56.880 |
A-2 | Allantoin | Allantoin | 0.100 |
A-3 | Trehalose | Trehalose | 1.000 |
A-4 | Glycerin Natural | Glycerin | 5.000 |
A-5 | 2%Carbopol 980 | Cabomer | 5.000 |
A-6 | 꽃향유워터 | Elsholtzia Splendens Extract | 5.000 |
B-1 | BHT | BHT | 0.030 |
B-2 | Tocopheryl Acetate | Tocopheryl Acetate | 0.100 |
B-3 | DC 200F 100CS | Dimethicone | 0.500 |
B-4 | Stearic Acid | Stearic Acid | 0.500 |
B-5 | Bees Wax | Bees Wax | 1.000 |
B-6 | Shea Butter | ButyrospermumParkii(Shea)Butter | 5.000 |
B-7 | Lanette 16 | Cetyl Alcohol | 1.500 |
B-8 | Cutina CP | CetylPalmitate | 0.500 |
B-9 | Oilvoil Emulskfier FOKSNaB | OlivoylHydrolyzedWheatProtein,CetearylAlcohol,GlycerylOleate,GlycerylStearate,PotassiumHydroxide,SodiumBenzoate,PotassiumSorbate | 3.500 |
B-10 | Sweet Almond Oil | Prunus Amygdalus Dulcis (Sweet Almond) Oil | 1.000 |
B-11 | MCT Oil | Caprylic/Capric TriGlycerides | 1.000 |
B-12 | Lexfeel 350 | Dipentaerythrityl Hexa C5-9 Acid Esters | 1.000 |
B-13 | Euthanol G | Octyldodecanol | 1.000 |
B-14 | Cetiol CC | Dicaprylyl cabonate | 0.500 |
B-15 | Lanette 18 | Stearyl Alcohol | 0.500 |
B-16 | Chlorphenesin | Chlorphenesin | 0.200 |
B-17 | Phenoxyehtanol | Phenoxyehtanol | 0.140 |
C-1 | Sepigel 305 | Polyacrylamide,C13-14Isoparaffin,Laureth-7 | 0.700 |
D-1 | Di-Water | - | 2.000 |
D-2 | Sodium L-Algininie | Arginine | 0.250 |
E-1 | 1% HA-Na | Sodium Hyaluronate | 1.000 |
E-2 | Aloe EXT | Aloe Barbadensis Leaf Extract | 0.500 |
E-3 | DL-Panthenol 50L | Panthenol | 0.500 |
E-4 | Fucogel 1000P | Biosaccharide Gum-1 | 1.000 |
E-5 | 꽃향유오일 | Elsholtzia Splendens Oil | 0.100 |
E-6 | 1% PGA | PolyglutamicAcid | 1.000 |
E-7 | Real-Glucan | Beta-Glucan | 2.000 |
실험예 1: 꽃향유 추출물 향 분석 실험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꽃향유 추출물의 향 분석 실험을 수행하였다.
e-nose를 이용하여 실시예 1 및 실시예 2에서 수득한 꽃향유 하이드로졸의 향을 3회 반복 측정하고 이를 통계처리 하였다.
먼저, 멸균처리된 비닐봉지에 순수공기를 주입하고 주사기를 이용하여 실시에 1 및 실시예 2에서 제조된 하이드로졸 10㎖를 첨가하고 주변은 테이프로 봉하여 공기가 나가는 것을 방지하였다. 상기 주입된 하이드로 졸을 흔들어 향이 고루 봉지 안에 퍼지게 한 후 e-nose로 분석하였다. 각 단계마다 e-nose를 순수 산소로 10분간 완전히 청소하여 잔향이 남은 것을 모두 제거한 후 다음 시료를 넣고 분석하였다.
실시예 1에서 각 시간대별로 추출된 하이드로졸 및 실시예 2에서 각 시간대별로 추출된 하이드로졸의 향의 강,경,질 및 강도를 측정하여 향의 변화를 살폈다. 각각의 하이드로졸 향 분석 결과를 하기 표 4에 정리하여 나타내었다.
부위 | 시간(분) | 강 | 경 | 질 | 강도 |
실시예 1 (꽃) |
10 | 3421 | 3255 | 43 | 4722 |
20 | 3402 | 3083 | 42 | 4591 | |
30 | 3349 | 2628 | 38 | 4258 | |
40 | 3293 | 2277 | 34 | 4004 | |
50 | 3203 | 1997 | 31 | 3774 | |
60 | 3183 | 1971 | 31 | 3774 | |
90 | 3101 | 1979 | 32 | 3679 | |
120 | 2939 | 1637 | 29 | 3364 | |
180 | 2807 | 1396 | 26 | 3135 | |
합산물 | 3353 | 2780 | 39 | 4355 | |
실시예 2 (줄기,잎) |
10 | 3090 | 2143 | 34 | 3760 |
20 | 3074 | 2094 | 34 | 3720 | |
30 | 2966 | 1886 | 32 | 3515 | |
40 | 2942 | 1966 | 33 | 3539 | |
50 | 2766 | 1606 | 30 | 3199 | |
60 | 2762 | 1606 | 30 | 3195 |
상기 표 4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추출을 시작한지 10 내지 20분 정도 소요된 후 받은 하이드로 졸에서는 향 값이 높게 나타났고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향의 농도가 낮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처음 10 내지 20분 간은 휘발성이 강한 향이 빨리 추출되지만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먼저 날아간 휘발성이 강한 물질의 잔량만이 남아 있기 때문이며, 본 발명에 따른 꽃향유 추출물 제조방법이 꽃향유 향이 최대로 나타날 수 있는 추출 시간을 적용함으로써 추출액의 향을 높이는 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다.
Claims (7)
- 꽃향유 꽃, 줄기 및 잎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혼합하는 단계;
상기 혼합물을 1차 증류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혼합물을 2차 증류추출한 후 꽃향유 오일 및 하이드로졸을 수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화장료용 꽃향유 추출물의 제조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차 증류추출은 190 내지 210℃의 온도에서 20 내지 30분 동안 수행되는 것인 화장료용 꽃향유 추출물의 제조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차 증류추출은 130 내지 150℃의 온도에서 45 내지 55분 동안 수행되는 것인 화장료용 꽃향유 추출물의 제조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차 증류추출 및 2차 증류추출은 150 내지 170℃의 외부온도에서 수행되는 것인 화장료용 꽃향유 추출물의 제조방법.
(* 발명자료상에서 제시하여주신 내부온도 및 외부온도가 구체적으로 어떤 영역의 온도를 의미하는 것인지 알려주시기 바랍니다.)
- 제1항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화장료용 꽃향유 추출물.
- 꽃향유 오일을 유상에 혼합하는 단계;
꽃향유 하이드로졸을 수상에 혼합하는 단계;
상기 유상 및 수상을 유화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꽃향유 추출물 함유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 제6항에 있어서,
병풀 추출물 및 마치현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유상에 혼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꽃향유 추출물 함유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73535A KR102114646B1 (ko) | 2017-12-15 | 2017-12-15 | 화장료용 꽃향유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꽃향유 추출물 함유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73535A KR102114646B1 (ko) | 2017-12-15 | 2017-12-15 | 화장료용 꽃향유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꽃향유 추출물 함유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72290A true KR20190072290A (ko) | 2019-06-25 |
KR102114646B1 KR102114646B1 (ko) | 2020-05-25 |
Family
ID=670655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73535A KR102114646B1 (ko) | 2017-12-15 | 2017-12-15 | 화장료용 꽃향유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꽃향유 추출물 함유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14646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27751B1 (ko) * | 2020-05-29 | 2021-03-15 | 주식회사 하이솔 | 오미자, 백리향 및 꽃향유의 추출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천연 방부대체제 및 이의 용도 |
KR20220166127A (ko) * | 2021-06-09 | 2022-12-16 | 주식회사 뉴셀팜 | 한라꽃향유 추출물을 이용한 피부 주름 개선 및 피부 미백용 조성물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50081564A (ko) * | 2004-02-14 | 2005-08-19 | 이경록 | 천연 향유 및 하이드로졸을 함유하는 여드름 화장료 조성물 |
KR20070042246A (ko) * | 2005-10-18 | 2007-04-23 | 고운맘 | 수증기 증류법에 의한 쑥 정유 제조방법 |
-
2017
- 2017-12-15 KR KR1020170173535A patent/KR102114646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50081564A (ko) * | 2004-02-14 | 2005-08-19 | 이경록 | 천연 향유 및 하이드로졸을 함유하는 여드름 화장료 조성물 |
KR20070042246A (ko) * | 2005-10-18 | 2007-04-23 | 고운맘 | 수증기 증류법에 의한 쑥 정유 제조방법 |
Non-Patent Citations (1)
Title |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Vol. 13, No. 5, pp. 623-628 (2006)* *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27751B1 (ko) * | 2020-05-29 | 2021-03-15 | 주식회사 하이솔 | 오미자, 백리향 및 꽃향유의 추출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천연 방부대체제 및 이의 용도 |
KR20220166127A (ko) * | 2021-06-09 | 2022-12-16 | 주식회사 뉴셀팜 | 한라꽃향유 추출물을 이용한 피부 주름 개선 및 피부 미백용 조성물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114646B1 (ko) | 2020-05-2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584742B1 (ko) | 피부노화개선용 화장료조성물 | |
US20050158264A1 (en) | Sympathetic nerve-stimulating fragrant compositions | |
KR100955389B1 (ko) | 천연물을 함유한 모공 축소 및 피지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 |
KR20080002279A (ko) | 아토피 증상 개선의 효과가 있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 |
KR20160034707A (ko) | 천연 정유 및 천연 하이드로졸을 함유하는 아로마테라피 효과가 있는 바디오일 조성물 | |
JP3583108B2 (ja) | 皮膚外用剤 | |
KR20120076005A (ko) | 항균 기능을 갖는 약초비누 | |
KR101498609B1 (ko) | 한방약초농축액을 이용한 천연 한방 바디로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천연 한방 바디로션 조성물 | |
KR102114646B1 (ko) | 화장료용 꽃향유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꽃향유 추출물 함유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 |
CN109010173A (zh) | 一种多功能的护肤喷雾及其制备方法 | |
KR102273806B1 (ko) | 천연정유와 종자오일 추출 부산물을 함유한 아로마 스크럽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
JP2002265977A (ja) | 交感神経活性化香料組成物 | |
KR102078508B1 (ko) | 허브 에센셜 오일 추출물 제조방법 및 허브 에센셜 오일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 |
KR102011837B1 (ko) | 히팅크 추출방법 및 저온숙성을 이용한 인진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 |
KR100816265B1 (ko) | 대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자극 완화용화장료 조성물 | |
KR102027681B1 (ko) | 매실증류추출액을 이용한 화장품 원료와, 이의 제조방법 | |
KR20210030164A (ko) | 아로마 천연정유와 종자오일을 함유한 기능성 페이스오일 및 이의 제조방법 | |
KR102503191B1 (ko) |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 |
JP2008031049A (ja) | 抗アクネ菌組成物 | |
KR101871577B1 (ko) | 고산지역에서 자란 로즈마리 오일 유래 성분을 함유하는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 | |
CN109966201A (zh) | 一种植物止痒精油及复配提取工艺 | |
KR100628649B1 (ko) | 피부자극 완화 효과의 녹두 추출물 개발 및 이를 응용한화장료 조성물 | |
KR20140086520A (ko) | 피부 홍반 감소용 화장료 조성물 | |
KR102309551B1 (ko) | 천연정유와 종자오일 추출 부산물을 함유한 아로마 바디스크럽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
KR102533237B1 (ko) | 한방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탈모방지 또는 두피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AMND | Amendment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AMND | Amendment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