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71500A - 퍼퍼 방식 가스 차단장치 - Google Patents

퍼퍼 방식 가스 차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71500A
KR20190071500A KR1020170172593A KR20170172593A KR20190071500A KR 20190071500 A KR20190071500 A KR 20190071500A KR 1020170172593 A KR1020170172593 A KR 1020170172593A KR 20170172593 A KR20170172593 A KR 20170172593A KR 20190071500 A KR20190071500 A KR 201900715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ression chamber
fluid
cylinder
piston
part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25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민철
정호중
김경회
황동익
김명후
최병화
Original Assignee
일진전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일진전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일진전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725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71500A/ko
Priority to PCT/KR2018/015759 priority patent/WO2019117618A1/ko
Publication of KR201900715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150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70Switches with separate means for directing, obtaining, or increasing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 H01H33/7015Switches with separate means for directing, obtaining, or increasing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characterised by flow directing elements associated with contacts
    • H01H33/7023Switches with separate means for directing, obtaining, or increasing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characterised by flow directing elements associated with contacts characterised by an insulating tubular gas flow enhancing nozz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70Switches with separate means for directing, obtaining, or increasing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70Switches with separate means for directing, obtaining, or increasing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 H01H33/80Switches with separate means for directing, obtaining, or increasing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from a pressure source being controlled by a valv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70Switches with separate means for directing, obtaining, or increasing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 H01H33/88Switches with separate means for directing, obtaining, or increasing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the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being produced or increased by movement of pistons or other pressure-producing parts
    • H01H33/90Switches with separate means for directing, obtaining, or increasing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the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being produced or increased by movement of pistons or other pressure-producing parts this movement being effected by or in conjunction with the contact-operating mechanis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70Switches with separate means for directing, obtaining, or increasing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 H01H33/88Switches with separate means for directing, obtaining, or increasing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the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being produced or increased by movement of pistons or other pressure-producing parts
    • H01H33/90Switches with separate means for directing, obtaining, or increasing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the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being produced or increased by movement of pistons or other pressure-producing parts this movement being effected by or in conjunction with the contact-operating mechanism
    • H01H33/91Switches with separate means for directing, obtaining, or increasing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the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being produced or increased by movement of pistons or other pressure-producing parts this movement being effected by or in conjunction with the contact-operating mechanism the arc-extinguishing fluid being air or g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70Switches with separate means for directing, obtaining, or increasing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 H01H33/88Switches with separate means for directing, obtaining, or increasing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the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being produced or increased by movement of pistons or other pressure-producing parts
    • H01H33/90Switches with separate means for directing, obtaining, or increasing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the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being produced or increased by movement of pistons or other pressure-producing parts this movement being effected by or in conjunction with the contact-operating mechanism
    • H01H2033/908Switches with separate means for directing, obtaining, or increasing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the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being produced or increased by movement of pistons or other pressure-producing parts this movement being effected by or in conjunction with the contact-operating mechanism using valves for regulating communication between, e.g. arc space, hot volume, compression volume, surrounding volume

Landscapes

  • Circuit Breakers (AREA)

Abstract

퍼퍼 방식 가스 차단장치에 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퍼퍼 방식 가스 차단장치는 제1압축실과 제2압축실이 구비되는 실린더부와, 실린더부에 설치되고, 제1압축실과 제2압축실을 구획하는 구획부와, 구획부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되고, 제1압축실에서 제2압축실로의 유체의 흐름을 조절하는 유체조절부와, 실린더부의 내측에 배치되는 피스톤부를 포함하고, 실린더부에는 구획부를 기준으로 제1압축실과 제2압축실이 병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퍼퍼 방식 가스 차단장치{PUFFER TYPE GAS CIRCUIT BREAKER}
본 발명은 퍼퍼 방식 가스 차단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아크 소호 성능이 향상될 수 있는 퍼퍼 방식 가스 차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스 차단기(GAS CIRCUIT BREAKER) 혹은 가스 절연 개폐장치(GAS INSULATED SWICHGEAR)는 전력 계통의 전원측과 부하측간의 회로 사이에 설치되어 정상적인 전류 상태에서 인위적으로 회로를 개폐하거나 회로상에 지락이나 단락 등 이상 전류가 발생하였을 때 전류를 안전하게 차단하여 전력 계통 및 부하 기기를 보호하는 전기 기기이다.
가스 차단기는 외부에 연결되는 조작기에서 동력을 전달받아 전극을 분리하고 이때 접점 사이에서 발생하는 아크(ARC)는 SF6 등의 절연 가스를 분사하여 차단 및 소호를 하게 된다. 가스 차단기는 초고전압 차단기에서 아크를 소호하는 방식에 따라 퍼퍼 방식(PUFFER TYPE)과 복합 소호 방식(SELF-BLAST TYPE)으로 나뉜다.
특히 퍼퍼 방식 가스 차단기는 압축된 열가스에 의해 아크를 소호하는 방식으로 정상 상태에서는 고정 아크 접점과 가동 아크 접점이 접속 상태로 있다가 고장이 발생되면 이격된다.
이때 퍼퍼(PUFFER)실의 체적이 감소되면서 압축 가스가 발생되고, 노즐부 사이를 통해 분출되면서 고정 아크 접점과 가동 아크 접점 사이에서 발생되는 아크를 소호시킨다.
종래 압축실이 단일의 챔버로 형성되고, 압축실 내부의 유체가 아크가 발생되는 간극으로 유입되기 전에 실린더부의 내부 압력이 저하되고, 압축실에서 고압의 유체를 유입 시 아크 소호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10839호(2009.07.29 등록, 발명의 명칭: 퍼퍼형 가스차단기)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제1압축실이 압축되는 동안 제2압축실의 압력이 유지 또는 상승됨으로 인하여 아크 소호 성능이 향상될 수 있는 퍼퍼 방식 가스 차단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퍼퍼 방식 가스 차단장치는: 제1압축실과 제2압축실이 구비되는 실린더부; 상기 실린더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1압축실과 상기 제2압축실을 구획하는 구획부; 상기 구획부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1압축실에서 상기 제2압축실로의 유체의 흐름을 조절하는 유체조절부; 상기 실린더부의 내측에 배치되는 피스톤부;를 포함하고, 상기 실린더부에는 상기 구획부를 기준으로 상기 제1압축실과 상기 제2압축실이 병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구획부는 상기 피스톤부에 관통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유체조절부는 유체가 상기 제1압축실에서 상기 제2압축실 측 방향으로만 유동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유체조절부는 상기 실린더부의 이동 후 소정 시점에 도달되면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실린더부에는, 상기 제2압축실과 연통되는 배기유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퍼 방식 가스 차단장치.
본 발명에서, 상기 실린더부에는 상기 제2압축실과 상기 배기유로부가 연통되도록 연통홀부가 형성되고, 상기 연통홀부는 상기 피스톤부와 접촉되는 상기 실린더부의 일면 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퍼퍼 방식 가스 차단장치는, 제1압축실에서 유체조절부를 통해 고압의 유체가 제2압축실로 유입되기까지 실린더부의 내부 압력을 유지 또는 상승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구획부로 인하여 제1압축실과 제2압축실이 구획되고, 피스톤부가 제1압축실과 제2압축실을 동시에 가압하며 제1압축실에서 제2압축실로 유체가 유입되기 전까지 실린더부, 구체적으로 제2압축실의 내부 압력을 유지 또는 상승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구획부가 피스톤부에 관통 결합됨으로 인하여 피스톤부가 구획부에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고, 제1압축실과 제2압축실을 동시에 가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배기유로부가 제2압축실과 연통되며 실린더부에 형성됨으로 인하여 제2압축실 내부의 유체의 압력 상승을 보조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연통홀부가 피스톤부와 접촉되는 실린더부의 일면 상에 형성됨으로 인하여 피스톤부가 연통홀부를 지나치는 소정 시점 이후에는 배기유로부를 통해 유동되는 유체가 실린더부의 외측으로 배출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퍼퍼 방식 가스 차단장치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조절부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압축실의 유체가 제2압축실로 유입 완료된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퍼퍼 방식 가스 차단장치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체조절부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압축실의 유체가 제2압축실로 유입 완료된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퍼퍼 방식 가스 차단장치의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퍼퍼 방식 가스 차단장치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조절부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압축실의 유체가 제2압축실로 유입 완료된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퍼퍼 방식 가스 차단장치(1)는 X축을 회전 중심축으로 하여 대칭구조를 이루며, X축을 기준으로 일측(도 1 기준 하측)의 구성은 X축을 기준으로 타측(도 1 기준 상측)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이와 중복되는 범위에서 도면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퍼퍼 방식 가스 차단장치(1)는 실린더부(100), 구획부(200), 유체조절부(300), 피스톤부(400)를 포함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린더부(100)에는 제1압축실(110), 제2압축실(150)이 형성된다. 실린더부(100)의 내측면에는 뒤에 설명할 구획부(200)의 일단부가 위치 고정되며 결합된다.
구획부(200)의 일단부가 실린더부(100)의 내측면, 구체적으로 제1압축실(110)이 형성되는 실린더부(100)의 내측면에 위치 고정됨으로 인하여 뒤에 설명할 피스톤부(400)와 함께 제1압축실(110)과 제2압축실(150)을 구획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린더부(100)의 내부에는 뒤에 설명할 피스톤부(400)가 배치된다. 피스톤부(400)는 위치가 고정되고, 실린더부(100)는 피스톤부(400)에 대해 전, 후방(도 1 기준 좌우 방향)으로 상대 이동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린더부(100)가 이동됨으로 인하여 피스톤부(400)가 제1압축실(110), 제2압축실(150)을 가압하여 유체(G)의 압력을 상승시키는 효과가 있다.
즉 피스톤부(400)와 분리벽부(200)의 거리가 가까워지면 제1압축실(110)의 내부에 있는 유체(G), 구체적으로 절연 가스의 압력이 상승되고, 설정 압력 값을 초과하거나 또는 기계적 장치에 의해 실린더부(100)의 이동 후 소정 시점에 도달되면 유체(G)가 제1압축실(110)에서 유체조절부(300)를 통해 제2압축실(150)로 유동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압축실(110)은 구획부(200)를 기준으로 뒤에 설명할 제2압축실(150)과 마주보며 형성된다. 제1압축실(110)의 내부에는 유체(G)가 채워지며, 구체적으로 유체(G)는 절연 가스로서 SF6 가스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동 아크 접점(20)은 실린더부(100)에 결합되고, 선단(도 1 기준 우측) 측을 통해 고정 아크 접점(10)의 선단(도 1 기준 좌측) 측과 연결된다.
본 명세서에서는 고정 아크 접점(10)의 후단 측 연결 및 지지구조, 실린더부(100)의 이동 구조 및 이동 방식 등은 종래의 가스 차단장치와 동일하므로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압축실(150)에는 제1압축실(110)에서 유체조절부(300)를 통해 고압 상태의 유체(G), 절연 가스가 유입된다.
제2압축실(150)을 통해 고압의 유체(G)가 유동되고, 극간, 구체적으로 고정 아크 접점(10), 가동 아크 접점(20) 사이로 유동되어 극간에서 발생되는 아크(ARC)를 소호시킨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압축실(150)은 뒤에 설명할 구획부(200)를 기준으로 제1압축실(110)과 마주보며 형성된다.
제2압축실(150)은 제1압축실(110)과 병렬 배치되고, 피스톤부(400)에 의해 제1압축실(110)과 제2압축실(150)이 가압되며, 제1압축실(110)의 유체(G)와 제2압축실(150)의 유체(G)의 압력이 상승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획부(200)는, 실린더부(100)에 설치되는 것으로, 제1압축실(110)과 제2압축실(150)을 구획한다.
구획부(200)는 실린더부(100)의 마주보는 내벽부를 연결하는 것은 아니고, 일단부(도 1 기준 상단부)가 실린더부(100)의 일 내벽부와 결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는 구획부(200)의 일단부가 실린더부(100)의 외측(도 1 기준 상측) 내벽부와 결합되고, 피스톤부(400), 구획부(200)에 의해 제1압축실(110)이 구비되며, 제2압축실(150)의 외측(도 1 기준 상측)에 제1압축실(110)이 배치된다.
그러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구획부(200)의 일단부가 실린더부(100)의 내측(도 1 기준 하측) 내벽부와 결합되고, 피스톤부(400), 구획부(200)에 의해 제1압축실(110)이 구비되며, 제2압축실(150)의 내측(도 1 기준 하측)에 제1압축실(110)이 배치되는 등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획부(200)는 실린더부(100)에 설치되는 것으로, 제1압축실(110)과 제2압축실(150)을 구획한다. 구획부(200)는 실린더부(100)의 내측에 설치된다.
도 1을 참조하면, 구획부(200)는 일단부가 실린더부(100)에 결합되고, 이에대향되는 타단부는 노즐부(30)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획부(200)는 피스톤부(400)에 관통 결합되며, 이로 인하여 위치 고정되는 피스톤부(400)를 따라 실린더부(100), 가동 아크 접점(20), 노즐부(30) 등이 이동되도록 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조절부(300)는 구획부(200)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제1압축실(110)에서 제2압축실(150) 로의 유체(G)의 흐름을 조절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조절부(300)는 유체(G)가 제1압축실(110)에서 제2압축실(150) 측 방향(도 2 기준 좌측에서 우측)으로만 유동되도록 유체(G)의 유동을 제어한다.
이로 인하여 제1압축실(110) 내부의 유체(G)의 압력이 제2압축실(150) 내부의 유체(G)의 압력보다 커지는 등 압력이 설정 값에 도달하거나 또는 실린더부(100)의 이동 후 소정 시점에 도달되면, 유체조절부(300)가 개방되어 제1압축실(110)에서 제2압축실(150) 측으로 유체(G)가 유동된다.
이에 더하여 제1압축실(110) 내부의 유체(G) 압력이 제2압축실(150) 내부의 유체(G) 압력보다 크게 형성되므로 제2압축실(150)에서 제1압축실(110)로 유체(G)가 유동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조절부(300)는 밸브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유체조절부(300)는 감압 밸브, 릴리프 밸브로 형성될 수 있다.
스프링 등 탄성 부재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설정 압력 값 또는 소정 시점에 도달 시 유체조절부(300)가 개폐되는 구성은 일반적인 릴리프 밸브의 구동 방식인 것으로 이와 관련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스톤부(400)는 실린더부(100)의 내측에 배치된다. 피스톤부(400)는 실린더부(100)의 일측(도 1 기준 좌측)에 위치 고정된다.
이로 인하여 실린더부(100)의 내부에 형성되는 제1압축실(110)은 실린더부(100), 실린더부(100)의 내벽부에 위치 고정되는 구획부(200), 피스톤부(400)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퍼퍼 방식 가스 차단장치(1)의 작동원리 및 효과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도 2를 참조하면, 전력 계통에 고장이 발생되면 실린더부(100)에 연결된 조작기(도면 미 도시)에 의해 고정 아크 접점(10)과 피스톤부(400)를 제외한 가동 아크 접점(20), 실린더부(100)가 피스톤부(400) 측(도 1 기준 우측에서 좌측)으로 이동된다.
실린더부(100)가 이동됨에 따라 제1압축실(110), 제2압축실(150)의 내부에 있는 유체(G)는 피스톤부(400)에 의해 압축된다.
이에 더하여 고정 아크 접점(10)과 가동 아크 접점(20)이 분리되고, 이와 동시에 고정 아크 접점(10), 가동 아크 접점(20) 사이에서 아크가 발생된다.
이 경우 제1압축실(110)의 유체(G)의 압력이 제2압축실(150)의 유체(G)의 압력보다 높으면 구획부(200)에 결합되는 유체조절부(300)가 개방되고, 절연 가스 등 유체(G)는 유체조절부(300)를 통과하여 제2압축실(150), 노즐부(30)를 통해 고정 아크 접점(10)과 가동 아크 접점(20) 사이로 분사된다.
이에 따라 고정 아크 접점(10), 가동 아크 접점(20) 사이에서 발생되는 아크가 제1압축실(110)에서 압축된 유체(G)에 의해 소호되면서 고장 전류가 차단되는 효과가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실린더부(100)가 피스톤부(400) 측(도 2 기준 우측에서 좌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제1압축실(110) 내부의 유체(G)의 압력이 증가되고, 설정된 압력 값에 도달되거나 또는 실린더부(100)의 이동 후 소정 시점에 도달되면 유체조절부(300)가 개방된다.
유체조절부(300)가 제1압축실(110)에서 제2압축실(150) 측 방향으로만 유체(G)가 유동되도록 제어함으로 인하여 제1압축실(110) 내부의 고압의 유체(G)가 제2압축실(150), 노즐부(30)를 통과하여 고정 아크 접점(10)과 가동 아크 접점(20) 사이에서 발생되는 아크를 소호시킬 수 있도록 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제2압축실(150)은 구획부(200)를 기준으로 제1압축실(110)과 마주보며 형성되고, 제1압축실(110)과 제2압축실(150)이 병렬 배치된다.
이로 인하여 전력 계통에 고장 발생 시 피스톤부(400)가 제1압축실(110)과 제2압축실(150) 내부의 유체(G)를 동시에 가압하고, 유체(G) 압력이 상승되는 효과가 있다.
구체적으로 피스톤부(400)에 의해 제1압축실(110)의 유체(G) 압력이 상승되고, 제1압축실(110)의 유체(G) 압력이 설정 값에 도달하기 전까지 피스톤부(400)는 제2압축실(150)을 계속하여 가압한다.
이로 인하여 제2압축실(150)에서 유체(G)의 압력이 상승된 상태에서 제1압축실(110)의 유체(G) 압력이 설정 값에 도달하면 유체조절부(300)를 통해 고압의 유체(G)가 제1압축실(110)에서 제2압축실(150)로 유동되고, 제1압축실(110)과 제2압축실(150)에서 압력이 상승되는 유체(G)에 의해 아크 소호 성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구획부(200)가 제1압축실(110)과 제2압축실(150)을 구획함으로 인하여, 구획부(200)가 없이 제1압축실(110)만으로 형성되는 것에 비하여 제1압축실(110)에서 압축되는 유체(G)의 압력이 설정 값에 도달되어 유체조절부(300)를 통해 제2압축실(150)로 유입되기 전까지 제2압축실(150) 내부의 유체(G) 압력을 유지 또는 상승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구획부(200)가 피스톤부(400)에 관통 결합됩으로 인하여, 피스톤부(400)가 병렬 배치되는 제1압축실(110)과 제2압축실(150)을 동시에 가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퍼퍼 방식 가스 차단장치(1)의 구성, 작동원리 및 효과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퍼퍼 방식 가스 차단장치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체조절부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압축실의 유체가 제2압축실로 유입 완료된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퍼퍼 방식 가스 차단장치(1)는 X축을 회전 중심축으로 하여 대칭구조를 이루며, X축을 기준으로 일측(도 4 기준 하측)의 구성은 X축을 기준으로 타측(도 4 기준 상측)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이와 중복되는 범위에서 도면을 생략한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실린더부(100)에는 배기유로부(170)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기유로부(170)는 제2압축실(150)과 연통된다. 이로 인하여 고정 아크 접점(10)과 가동 아크 접점(20) 사이의 극간에서 발생하는 아크에 의해 발생되는 유체(G)가 배기유로부(170)를 통해 제2압축실(150)에 유입된다.
고압의 유체(G)가 제2압축실(150)에 유입됨으로 인하여 피스톤부(400)에 의해 제2압축실(150)의 내부에 있는 유체(G)의 압력이 상승하는 것을 보조하는 효과가 있다.
배기유로부(170)를 통해 제2압축실(150)에 유입되는 유체(G)는 제2압축실(150)에서 압축되고, 노즐부(30)를 통과하여 고정 아크 접점(10)과 가동 아크 접점(20) 사이로 유동되어 고정 아크 접점(10)과 가동 아크 접점(20) 사이에서 발생되는 아크를 소호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실린더부(100)에는 제2압축실(150)과 배기유로부(170)가 연통되도록 연통홀부(101)가 형성되고, 연통홀부(101)는 피스톤부(400)와 접촉되는 실린더부(100)의 일면(도 4 기준 하면) 상에 형성된다.
도 4, 도 5를 참조하면, 연통홀부(101)는 피스톤부(400)의 전방 측(도 4 기준 우측)에 형성되고, 피스톤부(400), 고정 아크 접점(10)을 제외한 실린더부(100), 구획부(200) 등이 피스톤부(400) 측(도 4 기준 우측에서 좌측)으로 이동 시 연통홀부(101)가 피스톤부(400)와 접촉되기 전까지는 제2압축실(150)로 유체(G)가 유입된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통홀부(101)가 피스톤부(400)를 지나 피스톤부(400)의 후방 측(도 4 기준 좌측)에 위치됨으로 인하여 배기유로부(170)를 통해 유체(G)가 실린더부(100)의 외측으로 배출되도록 한다.
이에 더하여 피스톤부(400)에 의해 유체(G)가 과도하게 압축되며 과압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퍼퍼 방식 가스 차단장치(1)는, 배기유로부(170), 연통홀부(101)의 구성을 제외하고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퍼퍼 방식 가스 차단장치(1)와 동일하므로 이와 중복되는 범위에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퍼퍼 방식 가스 차단장치 G: 유체
10: 고정 아크 접점 20: 가동 아크 접점
30: 노즐부 100: 실린더부
101: 연통홀부 110: 제1압축실
150: 제2압축실 170: 배기유로부
200: 구획부 300: 유체조절부
400: 피스톤부

Claims (6)

  1. 제1압축실과 제2압축실이 구비되는 실린더부;
    상기 실린더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1압축실과 상기 제2압축실을 구획하는 구획부;
    상기 구획부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1압축실에서 상기 제2압축실로의 유체의 흐름을 조절하는 유체조절부;
    상기 실린더부의 내측에 배치되는 피스톤부;를 포함하고,
    상기 실린더부에는 상기 구획부를 기준으로 상기 제1압축실과 상기 제2압축실이 병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퍼 방식 가스 차단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부는 상기 피스톤부에 관통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퍼 방식 가스 차단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조절부는 유체가 상기 제1압축실에서 상기 제2압축실 측 방향으로만 유동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퍼 방식 가스 차단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조절부는 상기 실린더부의 이동 후 소정 시점에 도달되면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퍼 방식 가스 차단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부에는, 상기 제2압축실과 연통되는 배기유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퍼 방식 가스 차단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부에는 상기 제2압축실과 상기 배기유로부가 연통되도록 연통홀부가 형성되고,
    상기 연통홀부는 상기 피스톤부와 접촉되는 상기 실린더부의 일면 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퍼 방식 가스 차단장치.
KR1020170172593A 2017-12-14 2017-12-14 퍼퍼 방식 가스 차단장치 KR20190071500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2593A KR20190071500A (ko) 2017-12-14 2017-12-14 퍼퍼 방식 가스 차단장치
PCT/KR2018/015759 WO2019117618A1 (ko) 2017-12-14 2018-12-12 퍼퍼 방식 가스 차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2593A KR20190071500A (ko) 2017-12-14 2017-12-14 퍼퍼 방식 가스 차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1500A true KR20190071500A (ko) 2019-06-24

Family

ID=668208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2593A KR20190071500A (ko) 2017-12-14 2017-12-14 퍼퍼 방식 가스 차단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90071500A (ko)
WO (1) WO2019117618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74094B2 (ja) * 1998-01-29 2008-10-29 株式会社東芝 ガス遮断器
JP4377551B2 (ja) * 2001-02-26 2009-12-02 株式会社東芝 ガス遮断器
KR101200252B1 (ko) * 2011-07-21 2012-11-09 한국전기연구원 다중 압축실형 가스 차단기
JP2014072170A (ja) * 2012-10-02 2014-04-21 Toshiba Corp ガス遮断器
KR20140141205A (ko) * 2013-05-31 2014-12-10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배출되는 고압력의 열 가스를 구동력으로 이용하는 가스절연차단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117618A1 (ko) 2019-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37887B1 (ko) 퍼퍼형 가스 차단기
US2933575A (en) Circuit interrupters
KR20150117364A (ko) 아크열을 재이용하는 복합소호형 차단기
KR20130011181A (ko) 가스 절연 차단기
KR20120002779A (ko) 가스절연개폐장치용 복합 소호형 가스차단기
KR950011981B1 (ko) 가스회로 차단기
EP2822017B1 (en) High voltage gas circuit breaker
KR20160031643A (ko) 가스절연 차단기
KR101919125B1 (ko) 고압 배전기의 가스절연 개폐장치
KR20190071500A (ko) 퍼퍼 방식 가스 차단장치
KR20120097856A (ko) 가스 차단기의 소호부
KR101501636B1 (ko) 체크밸브를 가지는 복합소호방식 가스 차단기
US2592079A (en) Compressed gas operated circuit breaker
JP2577116B2 (ja) 高圧又は中電圧の遮断器
KR101793375B1 (ko) 가스절연 차단기
KR101983622B1 (ko) 복합 소호 방식 가스 차단장치
JP2001155595A (ja) パッファ型ガス遮断器
KR101983621B1 (ko) 가스 차단장치
KR102466938B1 (ko) 가스절연 개폐장치용 가스 차단기
JP2016173900A (ja) パッファ形ガス遮断器
JP2016173899A (ja) パッファ形ガス遮断器
KR101158656B1 (ko) 가스 절연 차단기의 소호부
KR102021865B1 (ko) 가스절연 개폐장치용 가스 차단기
US6078485A (en) Medium- and high-voltage gas-insulated circuit breaker with arc quenching means
WO2021059588A1 (ja) ガス遮断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