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70061A - 재난 현장 통신 시스템의 전송 신호 제어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재난 현장 통신 시스템의 전송 신호 제어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70061A
KR20190070061A KR1020170170532A KR20170170532A KR20190070061A KR 20190070061 A KR20190070061 A KR 20190070061A KR 1020170170532 A KR1020170170532 A KR 1020170170532A KR 20170170532 A KR20170170532 A KR 20170170532A KR 20190070061 A KR20190070061 A KR 201900700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sage
transmission power
transmission
mobile terminal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05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14473B1 (ko
Inventor
손교훈
배명남
이강복
이혜선
정민기
홍상기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701705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4473B1/ko
Priority to US15/856,296 priority patent/US10225723B1/en
Publication of KR201900700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00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44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44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3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mutual or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location based services [LBS] targets or of distance threshol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user profile, e.g. mobile speed, priority or network state, e.g. standby, idle or non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90Services for handling of emergency or hazardous situations, e.g. earthquake and tsunami warning systems [ETW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user profile, e.g. mobile speed, priority or network state, e.g. standby, idle or non transmission
    • H04W52/281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user profile, e.g. mobile speed, priority or network state, e.g. standby, idle or non transmission taking into account user or data type prior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8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 H04W52/48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during retransmission after error or non-acknowledg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52TPC using AGC [Automatic Gain Control] circuits or amplif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4/00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 H04W64/006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with additional information processing, e.g. for direction or speed determin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6Selective distribution of broadcast services, e.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MS]; Services to user groups; One-way selective calling services
    • H04W4/08User group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user profile, e.g. mobile speed, priority or network state, e.g. standby, idle or non transmission
    • H04W52/283Power depending on the position of the mobile

Abstract

재난 현장 통신 시스템의 전송 신호 제어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된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재난 현장 통신 시스템의 전송 신호 제어 방법은 재난 현장 통신 시스템에 구비된 관제 단말이 이동 단말로 전송하는 전송 메시지의 종류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전송 메시지의 종류에 대응하는 중요도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이동 단말의 초기 위치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관제 단말과 상기 이동 단말 사이의 초기 이격 거리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전송 메시지의 종류에 대응하는 중요도와, 상기 이동 단말의 초기 이격 거리를 고려하여 초기 송출 전력을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초기 송출 전력을 기준으로 상시 송출 전력을 제어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재난 현장 통신 시스템의 전송 신호 제어 방법 및 장치{METHOD FOR CONTROLLING TRANSMISSION SIGNAL OF COMMUNICATION SYSTEM ON DISASTER SITE AND APPARATUS FOR THE SAME}
본 개시는 공공 서비스 처리에 관한 것이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재난 관제 시스템에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 지역에는 자연재해나 화재 등과 같은 재난이 발생할 때, 이에 즉시 대응하기 위한 재난 대응 기관이 있다. 재난 대응 기관으로는 예를 들어, 경찰서, 군부대, 소방서, 봉사단체 및 각종 유관기관 등을 들 수 있다.
재난 발생 지역 내에 있는 재난 대응 기관에 재난 발생 신고가 접수되면, 해당 재난 대응 기관은 재난 대응 장비를 갖춘 재난 대응 요원들을 재난 현장에 파견한다. 재난 대응 요원들이 재난에 효율적으로 대응하도록 하기 위해, 재난 현장의 지휘자가 재난 대응 요원들에게 업무를 지시한다. 재난 대응 요원들은 지휘자의 지시에 따라 재난 현장에서 인명을 구조하고 현장을 수습한다.
하지만, 종래에는 재난 현장 지휘자가 자신의 육감과 기억에 의존하여, 재난 대응 요원들의 활동을 지휘 및 통제하였으므로, 재난 현장 투입시간의 초과로 인한 현장 투입 요원의 부상, 조난, 또는 순직과 같은 안전 사고가 발생하는 사례가 빈발하였다. 이처럼 현장 투입 요원의 관리체계 미비로 인하여 재난 상황이 종료될 때까지도 해당 요원의 순직 사실이 파악되지 않는 사례가 발생되고 있다. 따라서 재난 대응 요원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방안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나아가, 재난 현장은 실내 또는 실외 등 다양한 영역에서 발생될 수 있으며, 재난 대응 장비는 무선 통신 장비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환경에서, 재난 현장이 실내에서 발생될 경우, 다양한 통신 방해 요소들로 인하여 전송 중에 무선 신호가 크게 감쇄되는 특징이 있고 이로 인하여 통신 가능 거리가 현저히 줄어들고, 데이터 수신 성공률도 크게 낮아지게 된다. 따라서, 재난 대응 요원들이 재난 대응 장비를 장착하더라도, 재난 대응 요원들의 활동을 지휘 및 통제하는데 어려움이 발생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재난 대응 장비에 전송되는 무선 신호의 송출 전력을 증폭시킬 수 있다. 그러나, 단순히 송출 전력을 증폭시키게 되면, 다양한 위치에 분산되어 있는 재난 대응 장비에 전송하는 신호에 간섭이 발생될 수 있으며, 재난 대응 장비의 송수신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실내 재난 환경에서 재난 대응 장비 사이의 신뢰성 있는 무선 통신을 실현할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된다.
본 개시의 기술적 과제는 재난 대응 장비에서 송수신되는 무선 신호의 송출 전력을 제어하여, 재난 대응 장비 사이에서 신뢰성 있는 통신환경을 구축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개시의 다른 기술적 과제는 재난 현장 환경에서도 다양한 통신 방해 요소를 극복할 수 있으며 충분한 통신 가능 거리와 신뢰성 있는 무선 통신 성능을 확보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개시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개시의 일 양상에 따르면 재난 현장 통신 시스템의 전송 신호 제어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재난 현장 통신 시스템에 구비된 관제 단말이 이동 단말로 전송하는 전송 메시지의 종류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전송 메시지의 종류에 대응하는 중요도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이동 단말의 초기 위치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관제 단말과 상기 이동 단말 사이의 초기 이격 거리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전송 메시지의 종류에 대응하는 중요도와, 상기 이동 단말의 초기 이격 거리를 고려하여 초기 송출 전력을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초기 송출 전력을 기준으로 상시 송출 전력을 제어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양상에 따르면 재난 현장 통신 시스템의 전송 신호 제어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재난 현장 통신 시스템에 구비된 이동 단말이 관제 단말로 전송하는 전송 메시지의 종류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전송 메시지의 종류에 대응하는 중요도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이동 단말의 초기 위치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관제 단말과 상기 이동 단말 사이의 초기 이격 거리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전송 메시지의 종류에 대응하는 중요도와, 상기 이동 단말의 초기 이격 거리를 고려하여 초기 송출 전력을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초기 송출 전력을 사용하여 상기 전송 메시지의 송출 전력을 제어하는 과정과, 상기 이동 단말에 대응되는 상시 송출 전력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송출전력 정보 메시지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상시 송출 전력을 사용하여 상기 전송 메시지의 송출 전력을 제어하는 과정을 포함함 수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관제 단말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장치는 재난 현장 통신 시스템에 구비된 이동 단말로 전송하는 전송 메시지의 종류를 설정하고, 상기 메시지 종류를 포함하는 전송 메시지를 생성하는 메시지 생성부와, 상기 전송 메시지의 종류에 대응되는 중요도를 확인하는 메시지 전송 제어부와, 상기 전송 메시지를 변조한 변조 신호를 출력하는 변조부와, 상기 전송 메시지의 중요도와, 상기 이동 단말의 초기 이격 거리를 고려하여 초기 송출 전력을 설정하고, 상기 초기 송출 전력을 기준으로 상시 송출 전력을 제어하는 송출전력 제어부와, 상기 송출 전력값에 대응되는 증폭값으로 상기 변조 신호를 증폭하는 가변 증폭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이동 단말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장치는 재난 현장 통신 시스템에 구비된 관제 단말로 전송하는 전송 메시지의 생성을 제어하고 상기 관제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수신 메시지에 수록된 정보를 검출하는 제어부와, 재난 현장 통신 시스템에 구비된 관제 단말로 전송하는 전송 메시지의 종류를 설정하고, 상기 메시지 종류를 포함하는 전송 메시지를 생성하는 메시지 생성부와, 상기 전송 메시지를 변조한 변조 신호를 출력하는 변조부와, 상기 전송 메시지의 종류에 대응되는 중요도와, 상기 이동 단말의 초기 이격 거리를 고려하여 초기 송출 전력을 설정하고, 상기 관제 단말로부터 수신된 송출전력 정보 메시지에 구비된 상시 송출 전력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상시 송출 전력을 제어하는 송출전력 제어부와, 상기 송출 전력값에 대응되는 증폭값으로 상기 변조 신호를 증폭하는 가변 증폭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대하여 위에서 간략하게 요약된 특징들은 후술하는 본 개시의 상세한 설명의 예시적인 양상일 뿐이며, 본 개시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에 따르면, 재난 대응 장비에서 송수신되는 무선 신호의 송출 전력을 제어하여, 재난 대응 장비 사이에서 신뢰성 있는 통신 환경을 구축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에 따르면, 재난 현장 환경에서도 다양한 통신 방해 요소를 극복할 수 있으며 충분한 통신 가능 거리와 신뢰성 있는 무선 통신 성능을 확보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방 관제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제 단말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제 단말 장치에 의해 생성되는 메시지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제 단말 장치가 송출전력을 결정하는 동작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 장치에 의해 생성되는 메시지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향링크 송출전력 제어 방법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향링크 송출전력 제어 방법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출전력 제어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를 실행하는 컴퓨팅 시스템을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개시는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개시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개시에 대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개시에 있어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인 연결관계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는 간접적인 연결관계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또는 "가진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라 또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개시에 있어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되며, 특별히 언급되지 않는 한 구성요소들간의 순서 또는 중요도 등을 한정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개시의 범위 내에서 일 실시 예에서의 제1 구성요소는 다른 실시 예에서 제2 구성요소라고 칭할 수도 있고, 마찬가지로 일 실시 예에서의 제2 구성요소를 다른 실시 예에서 제1 구성요소라고 칭할 수도 있다.
본 개시에 있어서, 서로 구별되는 구성요소들은 각각의 특징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함이며, 구성요소들이 반드시 분리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즉, 복수의 구성요소가 통합되어 하나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단위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하나의 구성요소가 분산되어 복수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단위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따라서, 별도로 언급하지 않더라도 이와 같이 통합된 또는 분산된 실시 예도 본 개시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개시에 있어서, 다양한 실시 예에서 설명하는 구성요소들이 반드시 필수적인 구성요소들은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일부는 선택적인 구성요소일 수 있다. 따라서, 일 실시 예에서 설명하는 구성요소들의 부분집합으로 구성되는 실시 예도 본 개시의 범위에 포함된다. 또한, 다양한 실시 예에서 설명하는 구성요소들에 추가적으로 다른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실시 예도 본 개시의 범위에 포함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 예들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방 관제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방 관제 시스템(1)은 적어도 하나의 이동 단말(10), 관제 단말(20), 및 지도 데이터 서버(30)를 구비할 수 있다.
이동 단말(10)은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로부터 획득되는 센서 데이터를 표시하거나, 관제 단말(2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는 온도 센서, 이동 단말(10)의 사용자(예, 소방관)에 부착된 장비의 상태(예, 산소통의 산소 잔량 등)을 확인할 수 있는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이동 단말(10)은 센서 데이터를 사용하여 상태 정보를 구성할 수 있으며, 구성된 상태 정보를 기반으로 위험을 알리는 경고를 알릴 수 있는 알림 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알림 수단은 스피커, 디스플레이, 램프, 진동 모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10)은 상태 정보를 관제 단말(20)로 전송할 수도 있다.
이동 단말(10)은 단말의 위치를 확인한 수 있는 위치 확인 센서, 단말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는 움직임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위치 확인 센서 또는 움직임 센서를 사용하여, 단말의 실시간 위치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이동 단말(10)은 확인되는 위치정보를 미리 정해진 시간 단위마다 관제 단말(2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10)은 지도 데이터 서버(30)와 연결되어 지도 데이터 서버가 제공하는 지도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으며, 특히 상기 이동 단말(10)의 위치에 대응되는 영역의 지도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이동 단말(10)은 수신된 지도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으며, 단말 자체의 위치정보와 이웃한 이동 단말(10)의 위치정보를 포함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동 단말(10)은 마이크 또는 카메라를 구비할 수 있으며, 마이크 또는 카메라(예, IR 카메라)에서 획득되는 데이터(예, 음성 데이터, 영상 데이터 등)를 실시간으로 관제 단말(20)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10)은 관제 단말(20)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터(예, 음성 데이터, 영상 데이터 등)를 출력할 수 있다. 특히, 이동 단말(10)은 관제 단말(20)로부터 귀환 명령을 지시하는 신호(예, 귀환 명령)를 수신할 수 있으며, 귀환 명령를 알림 수단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이동 단말(10)은 귀환 명령의 수신에 대응하여, 현재 위치로부터 귀환 지점(예, 관제 단말이 위치한 지점)까지의 경로(예, 귀환 경로)를 생성할 수 있으며, 상기 귀환 경로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이러한 이동 단말(10)은 소방관이 착용하는 소방 헬멧 또는 전자식 고글 장치 등에 구현될 수 있으며, 전술한 센서 데이터, 상태 정보, 지도 데이터, 위치정보, 귀환 경로 등을 표시할 수 있는 투명 디스플레이나, 프로젝션 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
관제 단말(20)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지도 데이터 서버(30)가 제공하는 지도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으며, 특히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동 단말(10)의 위치에 대응되는 영역의 지도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관제 단말(20)은 이동 단말(10)로부터 수신한 위치정보를 반영하여, 각각의 이동 단말(10)의 위치정보를 포함하여 표시할 수 있다.
관제 단말(20)은 적어도 하나의 이동 단말(10)과 연결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이동 단말(10)이 제공하는 센서 데이터 또는 상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관제 단말(20)은 적어도 하나의 이동 단말(10)의 마이크 또는 카메라에서 획득되는 데이터(예, 음성 데이터, 영상 데이터 등)를 수신할 수 있으며, 수신되는 데이터(예, 음성 데이터, 영상 데이터 등)를 스피커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실시간으로 출력 및 저장할 수 있다.
관제 단말(20)은 적어도 하나의 입력 장치를 구비할 수 있으며, 특히, 귀환 명령을 지시하는 신호(예, 귀환 명령)를 생성할 수 있는 입력 장치(예, 귀환 지시 버튼)를 구비할 수 있다. 관제 단말(20)은 상기 귀환 지시 버튼의 입력에 대응하여, 귀환 명령을 지시하는 신호(예, 귀환 명령)를 생성하고, 적어도 하나의 이동 단말(10)과 처리되는 모든 동작보다 우선하여 적어도 하나의 이동 단말(10)로 귀환 명령를 전송하는 동작을 처리한다.
지도 데이터 서버(30)는 지도 데이터를 저장하고, 이동 단말(10) 또는 관제 단말(20)로부터 요청되는 영역의 지도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서 지도 데이터 서버(30)에 저장되는 지도 데이터는 정밀 실외 지도 데이터 및 정밀 실내 지도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지도 데이터 서버(30)는 이동 단말(10)에 연결되는 휴대용 단말(예, 이동 통신 단말 등)을 통해 이동 단말(10)로 지도 데이터를 제공하고, 이더넷 통신망을 통해 관제 단말(20)에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서, 이동 단말(10) 또는 관제 단말(20)은 지도 데이터 서버(30)로부터 상기 지도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본 개시가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예로서, 이동 단말(10) 또는 관제 단말(20)은 상기 지도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도 가능하다.
관제 단말(20)과 적어도 하나의 이동 단말(10)은 무선 통신망(50)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방 관제 시스템(1)은 화재 현장과 같은 특수한 환경에서 사용하기 위해 구현되는 시스템으로서, 관제 단말(20)과 적어도 하나의 이동 단말(10) 사이의 통신 연결의 안정성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따라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서 무선 통신망(10)은 관제 단말(20)과 적어도 하나의 이동 단말(10) 사이의 통신 연결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통신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무선 통신망(50)에 사용되는 통신 채널은 전송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1GHz 이하 주파수 대역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소방 활동이 주로 일어나는 건물 안은 많은 방해물들로 인해 무선 통신에 제약이 따른다. 따라서, 관제 단말(20)과 적어도 하나의 이동 단말(10) 사이의 통신 네트워크 토폴로지는 스타형을 기본으로 부분적 릴레이 기능을 포함한 네트워크 토폴로지를 구성할 수 있다.
특히, 환경적 특성을 고려하여, 관제 단말(20)은 적어도 하나의 이동 단말(10)로 전송하는 메시지를 반드시 적어도 하나의 이동 단말(10)로 전송해야하는 상황이 발생될 수 있다. 예컨대, 관제 단말(20)은 적어도 하나의 이동 단말(10)이 제공하는 센서 데이터 또는 상태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센서 데이터 또는 상태 정보를 바탕으로 적어도 하나의 이동 단말(10)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상황 또는 주변 상황을 파악할 수 있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이동 단말(10)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상황 또는 주변 상황을 고려하여, 귀환 명령을 지시하는 메시지(예, 귀환 명령 메세지)를 생성하여 적어도 하나의 이동 단말(10)에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귀환 명령을 지시하는 메시지(예, 귀환 명령 메세지)는 적어도 하나의 이동 단말(10)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안전을 위해 반드시 적어도 하나의 이동 단말(10)에 전달될 필요가 있다.
그런데, 적어도 하나의 이동 단말(10)이 건물 내부로 진입한 경우, 이격 거리나, 복잡한 구조물 등의 각종 방해물들로 인해, 관제 단말(20)과 적어도 하나의 이동 단말(10) 사이에서 송수신되는 신호의 감쇄가 발생될 수 있으며, 데이터 송수신 성공률이 급격히 떨어지게 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또한, 관제 단말(20)이 적어도 하나의 이동 단말(10)로 귀환 명령 메시지 등을 안정적으로 전송하기 위새서는 신호 감쇄를 고려하여 송신 신호의 출력을 높일 수 있으나, 단순하게 송신 신호의 출력을 증가시킬 경우, 관제 단말(20)과 근접한 영역에 위치한 다른 무선 통신망에 신호의 간섭원으로 작용하여 수신 성능을 나쁘게 하는 원인이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소방 관제 시스템(1)에서 관제 단말(20)과 적어도 하나의 이동 단말(10) 사이의 신뢰성 있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된다.
이를 위해, 관제 단말(20)은 이동 단말로 전송하는 전송 메시지의 종류를 확인하고, 전송 메시지의 종류에 대응하는 중요도에 따라, 송출 전력값을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관제 단말(20)은 설정된 송출 전력값을 사용하여 상기 전송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때, 관제 단말(20)은 전송 메시지의 종류를 고려하여, 응답 메시지의 수신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전송 메시지를 재전송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관제 단말(20)은 상기 전송 메시지의 종류에 대응하는 중요도가, 높은 중요도를 나타낼 경우, 상기 응답 메시지가 수신되지 않음에 대응하여, 이전 전송 전력값에 강제 증가값을 가산하고, 상기 이전 전력값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송출 전력값을 설정할 수 있다. 송출 전력값의 설정시, 관제 단말(20)은 상기 전송 메시지의 재전송 횟수와 상기 강제 증가값을 곱셈 연산한 값을 이전 전송 전력값에 가산하여, 상기 이전 전력값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송출 전력값을 설정할 수 있다.
한편, 관제 단말(20)은 응답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에는, 이전 전송 전력값과 동일하게 상기 송출 전력값을 설정할 수 있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제 단말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관제 단말 장치는 제어부(21), 메시지 생성부(22), 메시지 전송 제어부(23), 변조부(24), 송출전력 제어부(25), 및 가변 증폭기(26)를 포함할 수 있다.
우선, 관제 단말 장치는 이동 단말(10)의 등록을 처리하는 동작, 이동 단말(10)의 그룹을 설정하는 동작, 이동 단말(10)로부터 검출되는 상태 정보를 수신하고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동작, 이동 단말(10)로부터 검출되는 위치정보를 수신하고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동작, 이동 단말(10)로 경고 알림을 전송하는 동작, 적어도 하나의 이동 단말(10)로 귀한 명령을 전송하는 동작, 적어도 하나의 이동 단말(10)로부터 메시지의 수신에 대한 응답을 전송하는 동작 등을 처리할 수 있는 환경(입/출력 장치, 제어장치 등)을 구비할 수 있다. 특히, 제어부(21)는 전술한 관제 단말 장치에 구비되는 입력 장치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검출하고, 검출된 신호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1)는 전술한 관제 단말 장치의 동작시 발생되는 정보 또는 데이터를 디스플레이나 알림 장치(스피커, 표시 등)와 같은 출력장치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메시지 생성부(22)는 관제 단말 장치의 미리 정해진 동작에 기초하여, 소정의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10)의 등록이 요청됨에 따라, 제어부(21)는 메시지 생성부(22)로 시간정보 메시지, 그룹정보 메세지, 초기 위치정보 메시지 등의 생성을 요청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메시지 생성부(22)는 시간정보 메시지, 그룹정보 메시지, 초기 위치정보 메시지 등을 생성하여 메시지 전송 제어부(23)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10)로 경고 알림 전송이 요청됨에 따라, 제어부(21)는 메시지 생성부(22)로 경고 알림 메시지의 생성을 요청하고, 메시지 생성부(22)는 경고 알림 메시지를 생성하여 메시지 전송 제어부(23)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10)로 귀한 명령 전송이 요청됨에 따라, 제어부(21)는 메시지 생성부(22)로 귀한 명령 메시지의 생성을 요청하고, 메시지 생성부(22)는 귀한 명령 메시지를 생성하여 메시지 전송 제어부(23)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1)는 이동 단말(10)로부터 메시지가 수신될 경우, 메시지 생성부(22)로 메시지 수신에 대응되는 수신 확인 메시지의 생성을 요청하고, 메시지 생성부(22)는 수신 확인 메시지를 생성하여 메시지 전송 제어부(23)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1)는 미리 정해진 시간 단위마다, 적어도 하나의 이동 단말(10)에 대응되는 송신 전력 정보을 확인하고, 메시지 생성부(22)로 송신 전력 정보 메시지의 생성을 요청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메시지 생성부(22)는 송신 전력 정보 메시지를 생성하여 메시지 전송 제어부(23)에 전달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동작에 의해 메시지 생성부(22)가 생성하는 메시지는 도 3과 같이 예시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전송 메시지(30)는 프레임 해더(31) 및 프레임 페이로드(35)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 해더(31)에서, 프레임 종류 식별자(Frame Type ID)는 메시지의 종류를 나타내는 식별자를 포함하고, 전송 식별자(Tx ID)는 메시지의 전송 시퀀스 식별자를 포함하고, 관제국 식별자(Base Station ID)는 관제 단말 장치의 식별자를 포함하고, 팀 식별자(Team ID)는 관제 단말 장치를 사용하는 팀의 식별자를 포함하고, 이동단말 식별자(device ID)는 관제 단말 장치에 연결되는 이동 단말의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다.
메시지 전송 제어부(23)는 상기 전송 메시지의 종류를 고려하여, 송출전력의 제어에 필요한 정보를 송출전력 제어부(25)에 제공하거나, 상기 전송 메시지의 재전송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메시지 전송 제어부(23)는 상기 전송 메시지의 종류를 확인하고, 상기 전송 메시지의 종류에 따른 메시지의 중요도를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메시지 전송 제어부(23)는 결정된 중요도를 송출전력 제어부(25)에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시지 전송 제어부(23)는 프레임 종류 식별자(Frame Type ID)의 값을 확인하고, 프레임 종류 식별자(Frame Type ID)의 값이 귀한 명령 메시지, 경고 알림 메시지를 나타낼 경우 메시지 전송 제어부(23)는 중요도를 "높음"으로 결정하고, 프레임 종류 식별자(Frame Type ID)의 값이 시간정보 메시지, 그룹정보 메시지, 초기 위치정보 메시지 등을 나타낼 경우 메시지 전송 제어부(23)는 중요도를 "중간"으로 결정하고, 프레임 종류 식별자(Frame Type ID)의 값이 수신 확인 메시지를 나타낼 경우 메시지 전송 제어부(23)는 중요도를 "낮음"으로 결정할 수 있다.
나아가, 메시지 전송 제어부(23)는 상기 전송 메시지의 종류를 고려하여, 응답 메시지의 수신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전송 메시지를 재전송을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프레임 종류 식별자(Frame Type ID)의 값이 귀환 명령 메시지를 나타내는 값일 경우, 메시지 전송 제어부(23)는 수신장치, 즉, 적어도 하나의 이동 단말(10)로부터 응답 메시지를 수신할 때까지 상기 전송 메시지를 재전송할 수 있다. 이때, 메시지 전송 제어부(23)는 재전송되는 횟수를 카운트하여 송출전력 제어부(25)에 제공할 수 있다.
변조부(24)는 미리 정해진 변조 방식에 따라, 상기 전송 메시지를 변조할 수 있다. 상기 변조 방식은 다양한 방식이 사용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이동 단말(10)과 서로 약속된 방식이면 충분하다.
송출전력 제어부(25)는 메시지 전송 제어부(23)로부터 제공받은 중요도 값을 고려하여 전송할 메시지의 송출 전력값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귀환 명령 메시지, 경고 알림 메시지 등은 위험 상황에서 발생되는 메시지로써 중요도는 높다. 따라서 귀환 명령 메시지, 경고 알림 메시지 등와 같은 메시지는 중요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처음부터 높은 송출 전력으로 설정하여 수신 성공률을 높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송출전력 제어부(25)는 전송 메시지의 중요도에 따라 초기 출력 레벨을 차등적으로 적용하여 해당 전송 메시지의 송출 전력값을 설정할 수 있다.
한편, 재난 상황에서 상황을 통제하는 통제관이나 선임 소방관은 관제 단말 장치(20)를 운용할 수 있으며, 재난 상황에 직접 투입되는 후임 소방관은 이동 단말(10)을 착용하여 투입될 수 있다. 이러한 환경에서, 통제관이나 선임 소방관은 상황을 관리하기 위하여 후임 소방관의 초기 위치를 직접 지시하고, 후임 소방관이 지시된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전술한 바를 고려하여, 통제관이나 선임 소방관은 관제 단말 장치(20)를 통해 후임 소방관에 착용된 이동 단말(10)의 초기 위치를 입력하여 설정할 수 있으며, 이에 대응하여 제어부(21)는 이동 단말(10)의 초기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이동 단말(10)의 초기 위치 설정은 소정의 그룹 단위로 진행될 수도 있다.
따라서, 제어부(21)는 이동 단말(10)의 초기 위치를 송출전력 제어부(25)에 제공할 수 있으며, 송출전력 제어부(25)는 이동 단말(10)의 초기 위치를 고려하여 초기에 이동 단말(10)로 전송되는 메시지의 송출 전력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송출전력 제어부(25)는 관제 단말 장치(20)로부터 상대적으로 먼 거리로 지정되는 이동 단말(10)은 상대적으로 가까운 거리의 이동 단말(10)보다 상대적으로 큰 초기 송출 전력을 할당할 수 있다.
나아가, 송출전력 제어부(25)는 메시지 전송 제어부(23)로부터 제공받은 중요도 값과, 이동 단말(10)의 위치정보를 고려하여 전송할 메시지의 초기 송출 전력값을 설정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송출전력 제어부(25)는 이동 단말(10)의 위치정보를 고려하여 관제 단말 장치(20)과 이동 단말(10) 사이의 거리를 확인할 수 있으며, 확인된 거리를 고려하여 이격 거리 그룹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제 단말 장치(20)과 이동 단말(10) 사이의 거리가 제1거리를 초과할 경우 송출전력 제어부(25)는 이동 단말(10)의 이격 거리 그룹을 제1이격 거리 그룹(401)으로 설정할 수 있으며, 관제 단말 장치(20)과 이동 단말(10) 사이의 거리가 제1거리 미만이고 제2거리를 초과할 경우 송출전력 제어부(25)는 이동 단말(10)의 이격 거리 그룹을 제2이격 거리 그룹(402)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송출전력 제어부(25)는 메시지 전송 제어부(23)로부터 제공받은 중요도 값을 확인하고, 전술한 동작에서 확인된 이격 거리 그룹 내에서, 중요도 값에 대응되는 크기로 전송할 메시지의 초기 송출 전력값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또한, 전술한 동작에서 확인된 이격 거리 그룹이 제1그룹(410)이고, 메시지 전송 제어부(23)로부터 제공받은 중요도 값이 높음으로 설정될 경우, 송출전력 제어부(25)는 전송할 메시지의 초기 송출 전력값을 제15크기의 전력값(P15)으로 설정할 수 있다. 동일한 방식으로, 전술한 동작에서 확인된 이격 거리 그룹이 제1그룹(410)이고, 메시지 전송 제어부(23)로부터 제공받은 중요도 값이 중간으로 설정될 경우, 송출전력 제어부(25)는 전송할 메시지의 초기 송출 전력값을 제14크기의 전력값(P14)으로 설정하고, 메시지 전송 제어부(23)로부터 제공받은 중요도 값이 낮음으로 설정될 경우, 송출전력 제어부(25)는 전송할 메시지의 초기 송출 전력값을 제13크기의 전력값(P13)으로 설정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동작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초기 송출 전력값이 설정된 후, 송출전력 제어부(25)는 이동 단말(10)로부터의 응답 메시지 수신 여부를 반영하여 전송 메시지의 송출 전력값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송출전력 제어부(25)는 메시지 전송 제어부(23)로부터 응답 메시지의 수신 여부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송출전력 제어부(25)는 상기 응답 메시지가 수신되지 않음에 대응하여, 이전 전송 전력값에 강제 증가값을 가산하고, 상기 이전 전력값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송출 전력값을 설정할 수 있다.
나아가, 송출전력 제어부(25)는 메시지 전송 제어부(23)로부터 전송 메시지의 재전송 횟수를 제공받을 수 있으며, 강제 증가값에 재전송 횟수를 반영하여 송출 전력값을 설정할 수도 있다.
다른 예로서, 송출전력 제어부(25)는 상기 전송 메시지의 종류에 대응하는 송출 전력 레벨 제어 방식을 확인하고, 상기 송출 전력 레벨 제어 방식에 따라, 송출 전력값을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송출 전력 레벨 제어 방식은 강제 레벨 증가 방식, 적응적 레벨 제어 방식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송출전력 제어부(25)는 귀환 명령 메시지에 대응되는 송출 전력 레벨 제어 방식으로서 강제 레벨 증가 방식을 확인할 수 있고 상황 안내 메지시에 대응되는 송출 전력 레벨 제어 방식으로서, 적응적 레벨 제어 방식을 확인할 수 있다.
강제 레벨 증가 방식에서, 송출전력 제어부(25)는 메시지 전송 제어부(23)로부터 응답 메시지의 수신 여부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송출전력 제어부(25)는 상기 응답 메시지가 수신되지 않음에 대응하여, 이전 전송 전력값에 강제 증가값을 가산하고, 상기 이전 전력값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송출 전력값을 설정할 수 있다.
나아가, 송출전력 제어부(25)는 메시지 전송 제어부(23)로부터 전송 메시지가 재전송되는 횟수를 제공받고, 전송 메시지가 재전송되는 횟수를 반영하여 송출 전력값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송출전력 제어부(25)는 상기 전송 메시지의 재전송 횟수와 상기 강제 증가값을 곱셈 연산한 값을 이전 전송 전력값에 가산하여, 상기 이전 전력값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송출 전력값을 설정할 수 있다.
반면, 강제 레벨 증가 방식에서, 송출전력 제어부(25)는 상기 응답 메시지가 수신됨에 대응하여, 이전 전송 전력값과 동일하게 상기 송출 전력값을 설정할 수 있다.
한편, 적응적 레벨 제어 방식에서, 송출전력 제어부(25)는 메시지 전송 제어부(23)로부터 응답 메시지의 수신 여부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송출전력 제어부(25)는 상기 응답 메시지가 수신되지 않음에 대응하여, 이전 전송 전력값에 강제 증가값을 가산하고, 상기 이전 전력값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송출 전력값을 설정할 수 있다.
반면, 적응적 레벨 제어 방식에서, 송출전력 제어부(25)는 상기 응답 메시지가 수신됨에 대응하여, 메시지 전송 제어부(23)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이동 단말(10)로부터 수신한 응답 메시지에 수록된 수신신호 감쇄값을 전달받고, 상기 이전 전력값에 상기 수신신호 감쇄값을 가산하여 상기 송출 전력값을 설정할 수 있다.
가변 증폭기(26)는 송출전력 제어부(25)에서 제공하는 송출 전력값에 맞게 상기 전송 메시지의 송출전력을 설정하고, 상기 변조부(24)에서 제공되는 전송 신호를 설정된 송출전력으로 증폭하여 출력할 수 있다. 가변 증폭기(26)를 통해 증폭된 신호는 안테나 등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이동 단말(10)로 제공될 수 있다.
나아가, 관제 단말 장치(20)는 메시지 수신부(27) 및 복조부(2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메시지 수신부(27)는 적어도 하나의 이동 단말(10)로부터 전송되는 메시지(즉, 수신 메시지)를 복조부(27)에 제공하고, 복조부(27)는 적어도 하나의 이동 단말(10)로부터 수신된 메시지를 복조하여 제어부(21)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메시지 수신부(27)는 수신 메시지의 신호 세기를 확인할 수 있으며 확인된 신호 세기를 송출전력 제어부(25)에 제공할 수 있다. 송출전력 제어부(25)는 수신 메시지의 신호 세기를 이용하여 신호 감쇄값을 확인하고, 신호 감쇄값을 반영하여 송출전력을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21)는 복조된 수신 메시지로부터 프레임 종류 식별자를 확인하고, 해당 메시지의 종류를 식별할 수 있다. 수신 메시지가 응답 메시지일 경우, 제어부(21)는 응답 메시지 또는 응답 메시지의 수신을 지시하는 정보를 메시지 전송 제어부(23)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1)는 수신 메시지의 종류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신 메시지가 상태정보 메시지일 경우, 제어부(21)는 상태정보 메시지에 수록된 상태 정보를 확인하고, 이를 디스플레이 등의 출력 장치를 통해 표시하는 동작을 처리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수신 메시지가 위치정보 메시지일 경우, 제어부(21)는 위치정보 메시지에 수록된 위치정보를 확인하고, 이를 디스플레이 등의 출력 장치를 통해 표시하는 동작을 처리할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 장치(50)는 제어부(51), 메시지 생성부(52), 변조부(53), 가변 증폭기(54), 메시지 수신부(55), 및 복조부(56)를 포함할 수 있다.
우선, 이동 단말 장치는 장치에 구비되는 센서로부터 상태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정보를 디스플레이 등의 출력 장치를 통해 제공하는 하는 동작, 위치정보를 확인하고 디스플레이 등의 출력 장치를 통해 표시하는 동작, 경고 알림을 출력하는 동작, 귀한 명령을 출력하는 동작, 관제 단말 장치로부터 메시지의 수신에 대한 응답을 전송하는 동작 등을 처리할 수 있다.
제어부(51)는 전술한 이동 단말 장치(50)에 구비되는 입력 장치나 센서 장치 등으로부터 입력되는 신호 또는 정보를 검출하고, 검출된 신호 또는 정보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51)는 전술한 이동 단말 장치(50)의 동작시 발생되는 정보 또는 데이터를 디스플레이나 알림 장치(스피커, 표시 등)와 같은 출력장치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특히, 제어부(51)는 메시지 수신부(55)와 복조부(56)를 통해 수신 및 제공되는 수신 메시지를 확인할 수 있으며, 수신 메시지에 수록된 정보를 확인하고 출력 장치 등을 통해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제 단말 장치와의 연결이 요청됨에 따라, 제어부(51)는 관제 단말 장치와의 연결을 위한 메시지, 예컨대, 시간정보 메시지, 그룹정보 메세지, 초기 위치정보 메시지 등의 수신을 대기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51)는 시간정보 메시지를 수신함에 따라 시간정보 메시지에 수록된 시간 정보를 사용하여 관제 단말 장치와의 동기화를 처리할 수 있으며, 그룹정보 메세지에 수록된 그룹 정보에 기초하여 그룹 내에 포함된 다른 이동 단말과의 연경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51)는 초기 위치정보 메시지를 수신함에 따라, 초기 위치정보를 디스플레이 등의 출력 장치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51)는 수신 메시지가 귀한 명령 메시지임을 확인하고, 디스플레이나 알림 장치(스피커, 표시 등)와 같은 출력장치를 통해 귀한 명령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유사하게, 제어부(51)는 수신 메시지가 경고 알림 메시지임을 확인하고, 디스플레이나 알림 장치(스피커, 표시 등)와 같은 출력장치를 통해 경고 알림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51)는 수신 메시지의 종류를 확인하고, 응답 메시지가 요구되는 메시지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즉, 수신 메시지가 응답 메시지의 발송이 요구되는 메시지(예, 귀한 명령 메시지, 경고 알림 메시지)일 경우, 제어부(51)는 메시지 생성부(52)로 응답 메시지 생성을 요청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51)는 수신 메시지에 수록된 송출전력 값을 확인할 수 있으며, 확인된 송출전력 값을 사용하여 가변 증폭기(54)의 증폭값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송출전력 값은 귀한 명령 메시지나, 경고 알림 메시지에 수록되거나, 별도의 송출전력 값을 전송하는 별도의 메시지(예, 송출전력 전송 메시지)에 수록될 수 있다.
한편, 메시지 생성부(52)는 이동 단말 장치(50)의 미리 정해진 동작에 기초하여, 소정의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51)는 수신 메시지의 종류를 확인하고, 응답 메시지가 요구되는 메시지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즉, 수신 메시지가 응답 메시지의 발송이 요구되는 메시지(예, 귀한 명령 메시지, 경고 알림 메시지)일 경우, 제어부(51)는 메시지 생성부(52)로 응답 메시지 생성을 요청하고, 메시지 생성부(52)는 응답 메시지를 생성하여 변조부(53)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51)는 미리 정해진 시간 단위마다 상태정보를 메시지 생성부(52)에 제공하고 상태정보 메시지 생성을 요청할 수 있으며, 이에 대응하여 메시지 생성부(52)는 상태정보 메시지를 생성하여 변조부(53)에 전달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제어부(51)는 미리 정해진 시간 단위마다 위치정보를 메시지 생성부(52)에 제공하고 위치정보 메시지 생성을 요청할 수 있으며, 이에 대응하여 메시지 생성부(52)는 위치정보 메시지를 생성하여 변조부(53)에 전달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동작에 의해 메시지 생성부(52)가 생성하는 메시지는 도 6과 같이 예시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전송 메시지(60)는 프레임 해더(61) 및 프레임 페이로드(65)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 해더(61)에서, 프레임 종류 식별자(Frame Type ID)는 메시지의 종류를 나타내는 식별자를 포함하고, 전송 식별자(Tx ID)는 메시지의 전송 시퀀스 식별자를 포함하고, 관제국 식별자(Base Station ID)는 관제 단말 장치의 식별자를 포함하고, 팀 식별자(Team ID)는 관제 단말 장치를 사용하는 팀의 식별자를 포함하고, 이동단말 식별자(device ID)는 관제 단말 장치에 연결되는 이동 단말의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제어부(51)가 수신 메시지에 수록된 송출전력 값을 확인하고, 확인된 송출전력 값을 사용하여 가변 증폭기(54)의 증폭값을 제어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본 개시가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예로서, 나아가, 이동 단말 장치(50)는 메시지 전송 제어부(57)와 송출전력 제어부(58)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메시지 전송 제어부(57)와 송출전력 제어부(58)에 의해 가변 증폭기(54)의 증폭값을 제어할 수도 있다.
메시지 전송 제어부(57)는 상기 전송 메시지의 종류를 고려하여, 송출전력의 제어에 필요한 정보를 송출전력 제어부(58)에 제공하거나, 상기 전송 메시지의 재전송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메시지 전송 제어부(57)는 상기 전송 메시지의 종류를 확인하고, 상기 전송 메시지의 종류에 따른 메시지의 중요도를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메시지 전송 제어부(57)는 결정된 중요도를 송출전력 제어부(58)에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51)는 수신 메시지가 귀한 명령 메시지, 경고 알림 메시지를 나타낼 경우, 메시지 생성부(52)로 응답 메시지의 생성을 요청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메시지 생성부(52)는 귀한 명령 메시지, 경고 알림 메시지 등과 같은 중요도가 높은 메시지의 수신에 대응하여, 응답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메시지 전송 제어부(57)는 귀한 명령 메시지, 경고 알림 메시지 등에 대응되는 응답 메시지의 중요도를 상대적으로 높게 설정할 수 있다.
송출전력 제어부(58)는 메시지의 전송하는 송출전력을 제어할 수 있는데, 특히, 중요도가 상대적으로 높게 설정된 메시지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송출전력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송출전력 제어부(58)는 귀한 명령 메시지, 경고 알림 메시지 등에 대응되는 응답 메시지에 대해, 이전 전송 전력값에 강제 증가값을 가산하고, 상기 이전 전력값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송출 전력값을 설정할 수 있다. 송출 전력값의 설정시, 송출전력 제어부(58)는 상기 전송 메시지의 재전송 횟수와 상기 강제 증가값을 곱셈 연산한 값을 이전 전송 전력값에 가산하여, 상기 이전 전력값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송출 전력값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메시지 전송 제어부(23)는 응답 메시지가 재전송되는 횟수를 카운트하여 송출전력 제어부(25)에 제공할 수 있으며, 송출전력 제어부(25)는 재전송되는 횟수를 반영하여 송출 전력값을 설정할 수 있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향링크 송출전력 제어 방법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향링크는 관제 단말 장치로부터 이동 단말 장치로의 전송을 나타내며, 하향링크 송출전력 제어 방법은 전술한 관제 단말 장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S701 단계에서, 관제 단말 장치는 전송 메시지 종류를 고려한 초기 전력값을 설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관제 단말 장치는 전송 메시지의 종류를 확인하고, 상기 전송 메시지의 종류에 따른 메시지의 중요도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제 단말 장치는 프레임 종류 식별자(Frame Type ID)의 값을 확인하고, 프레임 종류 식별자(Frame Type ID)의 값이 귀한 명령 메시지, 경고 알림 메시지를 나타낼 경우 관제 단말 장치는 중요도를 "높음"으로 결정하고, 프레임 종류 식별자(Frame Type ID)의 값이 시간정보 메시지, 그룹정보 메시지, 초기 위치정보 메시지 등을 나타낼 경우 관제 단말 장치는 중요도를 "중간"으로 결정하고, 프레임 종류 식별자(Frame Type ID)의 값이 수신 확인 메시지를 나타낼 경우 관제 단말 장치는 중요도를 "낮음"으로 결정할 수 있다.
관제 단말 장치는 전송 메시지의 중요도 값을 고려하여 전송할 메시지의 송출 전력값을 설정할 수 있다. 즉, 귀환 명령 메시지, 경고 알림 메시지 등은 위험 상황에서 발생되는 메시지로써 중요도는 높다. 따라서 귀환 명령 메시지, 경고 알림 메시지 등와 같은 메시지는 중요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처음부터 높은 송출 전력으로 설정하여 수신 성공률을 높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관제 단말 장치는 전송 메시지의 중요도에 따라 초기 출력 레벨을 차등적으로 적용하여 해당 전송 메시지의 송출 전력값을 설정할 수 있다.
한편, 재난 상황에서 상황을 통제하는 통제관이나 선임 소방관은 관제 단말 장치를 운용할 수 있으며, 재난 상황에 직접 투입되는 후임 소방관은 이동 단말을 착용하여 투입될 수 있다. 이러한 환경에서, 통제관이나 선임 소방관은 상황을 관리하기 위하여 후임 소방관의 초기 위치를 직접 지시하고, 후임 소방관이 지시된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전술한 바를 고려하여, 통제관이나 선임 소방관은 관제 단말 장치를 통해 후임 소방관에 착용된 이동 단말의 초기 위치를 입력하여 설정할 수 있으며, 이에 대응하여 관제 단말 장치는 이동 단말의 초기 위치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이동 단말의 초기 위치정보 설정은 소정의 그룹 단위로 진행될 수도 있다.
전술한 바를 고려하여, 관제 단말 장치는 이동 단말의 초기 위치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으며, 초기 위치정보를 고려하여 초기에 이동 단말로 전송되는 메시지의 송출 전력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제 단말 장치는 관제 단말 장치로부터 상대적으로 먼 거리로 지정되는 이동 단말은 상대적으로 가까운 거리의 이동 단말보다 상대적으로 큰 초기 송출 전력을 할당할 수 있다.
나아가, 관제 단말 장치는 전송 메시지의 중요도 값과, 이동 단말의 위치정보를 고려하여 초기 송출 전력값을 설정할 수 있다.
예컨대, 도 4를 참조하면, 관제 단말 장치는 이동 단말의 위치정보를 고려하여 관제 단말 장치와 이동 단말 사이의 거리를 확인할 수 있으며, 확인된 거리를 고려하여 이격 거리 그룹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제 단말 장치와 이동 단말 사이의 거리가 제1거리를 초과할 경우 관제 단말 장치는 이동 단말의 이격 거리 그룹을 제1이격 거리 그룹(401)으로 설정할 수 있으며, 관제 단말 장치와 이동 단말 사이의 거리가 제1거리 미만이고 제2거리를 초과할 경우 관제 단말 장치는 이동 단말의 이격 거리 그룹을 제2이격 거리 그룹(402)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관제 단말 장치는 전송 메시지의 중요도 값을 확인하고, 전술한 동작에서 확인된 이격 거리 그룹 내에서, 중요도 값에 대응되는 크기로 전송할 메시지의 초기 송출 전력값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또한, 전술한 동작에서 확인된 이격 거리 그룹이 제1그룹(410)이고, 중요도 값이 높음으로 설정될 경우, 관제 단말 장치는 전송할 메시지의 초기 송출 전력값을 제15크기의 전력값(P15)으로 설정할 수 있다. 동일한 방식으로, 전술한 동작에서 확인된 이격 거리 그룹이 제1그룹(410)이고, 중요도 값이 중간으로 설정될 경우, 관제 단말 장치는 전송할 메시지의 초기 송출 전력값을 제14크기의 전력값(P14)으로 설정하고, 중요도 값이 낮음으로 설정될 경우, 관제 단말 장치는 전송할 메시지의 초기 송출 전력값을 제13크기의 전력값(P13)으로 설정할 수 있다.
한편, S702 단계에서, 관제 단말 장치는 이동 단말로부터 위치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S703 단계에서, 관제 단말 장치는 이동 단말의 위치정보를 사용하여 관제 단말 장치와 이동 단말 사이의 이격 거리를 확인하고, 이격 거리에 비례하도록, 송출 전력값을 설정할 수 있다. 예컨대, 관제 단말 장치는 미리 정해진 크기 단위의 송출 전력값(P1 ~P15, 도 4참조)을 설정할 수 있으며, 이격 거리가 가장 큰 이동 단말 또는 이동 단말 그룹에 가장 큰 송출 전력값을 할당하고, 거리 순서에 따라 차등적으로 송출 전력을 할당할 수 있다.
S704 단계에서, 관제 단말 장치는 전술한 동작(S703)을 통해 설정된 송출 전력값을 사용하여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한편, 하향링크의 경우, 모든 전송 메시지는 간헐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발생하면서 중요도가 상대적으로 높게 설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관제 단말 장치는 전송 메시지 송신 후 응답 메시지의 수신을 대기하고, 응답 메시지가 수신되면(S705-예) 전송 메시지의 송신을 종료하고, 응답 메시지가 수신되지 않으면(S705-아니오) 송출 전력을 증가시켜서 전송 메시지를 재전송할 수 있다(S706).
구체적으로, S706 단계에서, 관제 단말 장치는 이전 전송 전력값(Ptx)에 강제 증가값을 가산하고, 상기 이전 전력값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송출 전력값을 설정할 수 있다.
나아가, S706 단계에서, 관제 단말 장치는 전송 메시지의 재전송 횟수를 확인할 수 있으며, 강제 증가값에 재전송 횟수를 반영하여 송출 전력값을 설정할 수도 있다.
전술한, S702 내지 S706 단계는 관제 단말 장치의 동작이 종료될 때까지 반복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S707).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향링크 송출전력 제어 방법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향링크는 이동 단말 장치로부터 관제 단말 장치로의 전송을 나타내며, 상향링크 송출전력 제어 방법은 전술한 이동 단말 장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S801 단계에서, 이동 단말 장치는 전송 메시지 종류를 고려한 초기 전력값을 설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동 단말 장치는 전송 메시지의 종류를 확인하고, 상기 전송 메시지의 종류에 따른 메시지의 중요도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 장치는 프레임 종류 식별자(Frame Type ID)의 값을 확인하고, 프레임 종류 식별자(Frame Type ID)의 값이 상태정보 메시지, 위치정보 알림 메시지를 나타낼 경우 이동 단말 장치는 중요도를 "높음"으로 결정할 수 있다.
한편, 재난 상황에서 상황을 통제하는 통제관이나 선임 소방관은 관제 단말 장치를 운용할 수 있으며, 재난 상황에 직접 투입되는 후임 소방관은 이동 단말을 착용하여 투입될 수 있다. 이러한 환경에서, 통제관이나 선임 소방관은 상황을 관리하기 위하여 후임 소방관의 초기 위치를 직접 지시하고, 후임 소방관이 지시된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전술한 바를 고려하여, 통제관이나 선임 소방관은 관제 단말 장치를 통해 후임 소방관에 착용된 이동 단말의 초기 위치를 입력하여 설정할 수 있으며, 이에 대응하여 관제 단말 장치는 이동 단말 장치로 초기 위치정보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으며, 이동 단말 장치는 초기 위치정보 메시지를 수신하고, 이동 단말 장치는 초기 위치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전술한 바를 고려하여, 이동 단말 장치는 초기 위치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초기 위치정보를 고려하여 이동 단말로 전송되는 메시지의 송출 전력을 제어할 수 있다.
다음으로, S802 단계에서, 이동 단말 장치는 관제 단말 장치로부터 송출전력정보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으며, 송출전력정보 메시지에 포함된 송출전력정보를 사용하여 이동 단말 장치의 송출전력을 설정할 수 있다(S803).
S804 단계에서, 이동 단말 장치는 전술한 동작(S803)을 통해 설정된 송출 전력값을 사용하여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S805 단계에서, 이동 단말 장치는 전송 메시지의 종류를 확인할 수 있다. 즉, 전송 메시지가 응답 메시지의 수신 확인이 요구되는 메시지(예, 경고 알림 메시지)일 경우(S805-예), 이동 단말 장치는 S806 단계를 진행하여 응답 메시지의 수신 여부를 확인한다. 반면, 전송 메시지가 응답 메시지의 수신 확인이 요구되지 않는 메시지(예, 상태정보 메시지, 위치정보 메시지 등)일 경우(S805-아니오), 이동 단말 장치는 해당 전송 메시지의 발송을 종료하고, 이동 단말 장치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S806 단계에서, 이동 단말 장치는 전송 메시지에 대응되는 응답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S806-예), 해당 전송 메시지의 발송을 종료하고, 이동 단말 장치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반면, 이동 단말 장치는 전송 메시지에 대응되는 응답 메시지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S806-아니오), S807 단계를 진행할 수 있다.
S807 단계에서, 이동 단말 장치는 이전 전송 전력값에 강제 증가값을 가산하고, 상기 이전 전력값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송출 전력값을 재설정할 수 있다.
나아가, 송출 전력값의 재설정시, 이동 단말 장치는 상기 전송 메시지의 재전송 횟수와 상기 강제 증가값을 곱셈 연산한 값을 이전 전송 전력값에 가산하여, 상기 이전 전력값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송출 전력값을 설정할 수도 있다.
전술한, S802 내지 S807 단계는 이동 단말 장치의 동작이 종료될 때까지 반복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S808).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출전력 제어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를 실행하는 컴퓨팅 시스템을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컴퓨팅 시스템(1000)은 버스(1200)를 통해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100), 메모리(1300), 사용자 인터페이스 입력 장치(1400), 사용자 인터페이스 출력 장치(1500), 스토리지(1600),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70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0)는 중앙 처리 장치(CPU) 또는 메모리(1300) 및/또는 스토리지(1600)에 저장된 명령어들에 대한 처리를 실행하는 반도체 장치일 수 있다. 메모리(1300) 및 스토리지(1600)는 다양한 종류의 휘발성 또는 불휘발성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1300)는 ROM(Read Only Memory) 및 RAM(Random Access Memory)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는 프로세서(1100)에 의해 실행되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그 2 개의 결합으로 직접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ROM 메모리, EPROM 메모리, EEPROM 메모리, 레지스터,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CD-ROM과 같은 저장 매체(즉, 메모리(1300) 및/또는 스토리지(1600))에 상주할 수도 있다. 예시적인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1100)에 커플링되며, 그 프로세서(1100)는 저장 매체로부터 정보를 판독할 수 있고 저장 매체에 정보를 기입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1100)와 일체형일 수도 있다.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주문형 집적회로(ASIC) 내에 상주할 수도 있다. ASIC는 사용자 단말기 내에 상주할 수도 있다. 다른 방법으로,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사용자 단말기 내에 개별 컴포넌트로서 상주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예시적인 방법들은 설명의 명확성을 위해서 동작의 시리즈로 표현되어 있지만, 이는 단계가 수행되는 순서를 제한하기 위한 것은 아니며, 필요한 경우에는 각각의 단계가 동시에 또는 상이한 순서로 수행될 수도 있다. 본 개시에 따른 방법을 구현하기 위해서, 예시하는 단계에 추가적으로 다른 단계를 포함하거나, 일부의 단계를 제외하고 나머지 단계를 포함하거나, 또는 일부의 단계를 제외하고 추가적인 다른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는 모든 가능한 조합을 나열한 것이 아니고 본 개시의 대표적인 양상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다양한 실시 예에서 설명하는 사항들은 독립적으로 적용되거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으로 적용될 수도 있다.
또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는 하드웨어, 펌웨어(firmware), 소프트웨어, 또는 그들의 결합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범용 프로세서(general processor), 컨트롤러, 마이크로 컨트롤러,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범위는 다양한 실시 예의 방법에 따른 동작이 장치 또는 컴퓨터 상에서 실행되도록 하는 소프트웨어 또는 머신-실행가능한 명령들(예를 들어, 운영체제, 애플리케이션, 펌웨어(firmware), 프로그램 등), 및 이러한 소프트웨어 또는 명령 등이 저장되어 장치 또는 컴퓨터 상에서 실행 가능한 비-일시적 컴퓨터-판독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um)를 포함한다.

Claims (20)

  1. 재난 현장 통신 시스템에 구비된 관제 단말이 이동 단말로 전송하는 전송 메시지의 종류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전송 메시지의 종류에 대응하는 중요도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이동 단말의 초기 위치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관제 단말과 상기 이동 단말 사이의 초기 이격 거리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전송 메시지의 종류에 대응하는 중요도와, 상기 이동 단말의 초기 이격 거리를 고려하여 초기 송출 전력을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초기 송출 전력을 기준으로 상시 송출 전력을 제어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 현장 통신 시스템의 전송 신호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시 송출 전력을 제어하는 과정은,
    상기 전송 메시지의 종류에 대응하는 중요도를 반영하여 상기 상시 송출 전력을 제어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 현장 통신 시스템의 전송 신호 제어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시 송출 전력을 제어하는 과정은,
    미리 정해진 시간단위 마다 상기 이동 단말의 위치정보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이동 단말의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관제 단말과 상기 이동 단말 사이의 이격 거리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관제 단말과 상기 이동 단말 사이의 이격 거리를 반영하여 상기 상시 송출 전력을 제어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 현장 통신 시스템의 전송 신호 제어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시 송출 전력값을 제어하는 과정은,
    응답 메시지가 수신되지 않음에 대응하여, 이전 전송 전력값에 강제 증가값을 가산한 상기 상시 송출 전력값을 설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 현장 통신 시스템의 전송 신호 제어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시 송출 전력값을 설정하는 과정은,
    상기 전송 메시지의 재전송 횟수와 강제 증가값을 곱셈 연산한 값을 이전 전송 전력값에 가산한 상기 상시 송출 전력값을 설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 현장 통신 시스템의 전송 신호 제어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시 송출 전력값을 설정하는 과정은,
    응답 메시지가 수신됨에 대응하여, 이전 전송 전력값과 동일하게 상기 상시 송출 전력값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 현장 통신 시스템의 전송 신호 제어 방법.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 각각에 대한 상기 상시 송출 전력을 설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되, 상기 관제 단말과 상기 이동 단말 사이의 이격 거리순서에 비례하여 상시 송출 전력의 크기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 현장 통신 시스템의 전송 신호 제어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 각각에 대한 상기 상시 송출 전력을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이동 단말 각각에 대한 상기 상시 송출 전력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송출전력 정보 메시지를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상시 송출 전력을 사용하여 상기 송출전력 정보 메시지를 상기 이동 단말 각각에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 현장 통신 시스템의 전송 신호 제어 방법.
  9. 재난 현장 통신 시스템에 구비된 이동 단말이 관제 단말로 전송하는 전송 메시지의 종류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전송 메시지의 종류에 대응하는 중요도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이동 단말의 초기 위치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관제 단말과 상기 이동 단말 사이의 초기 이격 거리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전송 메시지의 종류에 대응하는 중요도와, 상기 이동 단말의 초기 이격 거리를 고려하여 초기 송출 전력을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초기 송출 전력을 사용하여 상기 전송 메시지의 송출 전력을 제어하는 과정과,
    상기 이동 단말에 대응되는 상시 송출 전력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송출전력 정보 메시지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상시 송출 전력을 사용하여 상기 전송 메시지의 송출 전력을 제어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 현장 통신 시스템의 전송 신호 제어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상시 송출 전력을 사용하여 상기 전송 메시지의 송출 전력을 제어하는 과정은,
    상기 전송 메시지가 응답 메시지를 필요로하는 메시지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응답 메시지가 수신되지 않음에 대응하여, 이전 전송 전력값에 강제 증가값을 가산하여 상시 송출 전력을 제어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 현장 통신 시스템의 전송 신호 제어 방법.
  11. 재난 현장 통신 시스템에 구비된 이동 단말로 전송하는 전송 메시지의 종류를 설정하고, 상기 메시지 종류를 포함하는 전송 메시지를 생성하는 메시지 생성부와,
    상기 전송 메시지의 종류에 대응되는 중요도를 확인하는 메시지 전송 제어부와,
    상기 전송 메시지를 변조한 변조 신호를 출력하는 변조부와,
    상기 전송 메시지의 중요도와, 상기 이동 단말의 초기 이격 거리를 고려하여 초기 송출 전력을 설정하고, 상기 초기 송출 전력을 기준으로 상시 송출 전력을 제어하는 송출전력 제어부와,
    상기 송출 전력값에 대응되는 증폭값으로 상기 변조 신호를 증폭하는 가변 증폭기를 포함하는 관제 단말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송출전력 제어부는,
    상기 전송 메시지의 종류에 대응하는 중요도를 반영하여 상기 상시 송출 전력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제 단말 장치.
  13.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송출전력 제어부는,
    미리 정해진 시간단위 마다 확인되는 상기 이동 단말의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관제 단말과 상기 이동 단말 사이의 이격 거리를 확인하고,
    상기 관제 단말과 상기 이동 단말 사이의 이격 거리를 반영하여 상기 상시 송출 전력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제 단말 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전송 제어부는,
    상기 전송 메시지의 종류를 고려하여, 응답 메시지의 수신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전송 메시지의 재전송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제 단말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송출전력 제어부는,
    상기 메시지 전송 제어부로부터 상기 전송 메시지의 종류를 고려한 응답 메시지의 수신 여부를 제공받고,
    응답 메시지가 수신되지 않음에 대응하여, 이전 전송 전력값에 강제 증가값을 가산한 상기 상시 송출 전력값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제 단말 장치.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송출전력 제어부는,
    상기 메시지 전송 제어부로부터 상기 전송 메시지의 재전송 횟수를 제공받고,
    상기 전송 메시지의 재전송 횟수와 강제 증가값을 곱셈 연산한 값을 이전 전송 전력값에 가산한 상기 상시 송출 전력값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제 단말 장치.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송출전력 제어부는,
    상기 메시지 전송 제어부로부터 상기 전송 메시지의 종류를 고려한 응답 메시지의 수신 여부를 제공받고,
    응답 메시지가 수신됨에 대응하여, 이전 전송 전력값과 동일하게 상기 상시 송출 전력값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제 단말 장치.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송출전력 제어부는,
    상기 이동 단말 각각에 대한 상기 상시 송출 전력을 설정하되, 상기 관제 단말과 상기 이동 단말 사이의 이격 거리순서에 비례하여 상시 송출 전력의 크기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제 단말 장치.
  19. 재난 현장 통신 시스템에 구비된 관제 단말로 전송하는 전송 메시지의 생성을 제어하고 상기 관제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수신 메시지에 수록된 정보를 검출하는 제어부와,
    재난 현장 통신 시스템에 구비된 관제 단말로 전송하는 전송 메시지의 종류를 설정하고, 상기 메시지 종류를 포함하는 전송 메시지를 생성하는 메시지 생성부와,
    상기 전송 메시지를 변조한 변조 신호를 출력하는 변조부와,
    상기 전송 메시지의 종류에 대응되는 중요도와, 상기 이동 단말의 초기 이격 거리를 고려하여 초기 송출 전력을 설정하고, 상기 관제 단말로부터 수신된 송출전력 정보 메시지에 구비된 상시 송출 전력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상시 송출 전력을 제어하는 송출전력 제어부와,
    상기 송출 전력값에 대응되는 증폭값으로 상기 변조 신호를 증폭하는 가변 증폭기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송출전력 제어부는,
    상기 전송 메시지의 종류에 대응되는 중요도에 기초하여, 상기 전송 메시지가 응답 메시지를 필요로하는 메시지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응답 메시지가 수신되지 않음에 대응하여, 이전 전송 전력값에 강제 증가값을 가산하여 상시 송출 전력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 장치.
KR1020170170532A 2017-12-12 2017-12-12 재난 현장 통신 시스템의 전송 신호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23144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0532A KR102314473B1 (ko) 2017-12-12 2017-12-12 재난 현장 통신 시스템의 전송 신호 제어 방법 및 장치
US15/856,296 US10225723B1 (en) 2017-12-12 2017-12-28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ransmission signal for disaster scene communicat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0532A KR102314473B1 (ko) 2017-12-12 2017-12-12 재난 현장 통신 시스템의 전송 신호 제어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0061A true KR20190070061A (ko) 2019-06-20
KR102314473B1 KR102314473B1 (ko) 2021-10-19

Family

ID=654960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0532A KR102314473B1 (ko) 2017-12-12 2017-12-12 재난 현장 통신 시스템의 전송 신호 제어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225723B1 (ko)
KR (1) KR10231447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3846B1 (ko) * 2019-10-02 2020-04-23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차세대 함정의 표적 정보 처리 장치
KR20230116593A (ko) * 2022-01-28 2023-08-04 주식회사 코아칩스 저전력 무선 센서 통합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57882B1 (en) * 2018-04-03 2021-07-06 T-Mobile Innovation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dynamically setting frame configuration in a wireless network
US11729597B2 (en) 2020-11-24 2023-08-15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Digital twin disaster management system customized for underground public area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27388A (ko) * 2010-05-19 2011-11-25 한국과학기술원 재난 구조용 애드혹 그물형 무선 네트워크 형성 시스템 및 그 방법과, 상기 애드혹 그물형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하는 재난 구조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60076755A (ko) * 2014-12-23 2016-07-0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재난 상황에서의 긴급통신 시스템의 구축 및 운용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369800B2 (en) * 2006-09-15 2013-02-05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related to power control and/or interference management in a mixed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KR100833513B1 (ko) 2006-12-08 2008-05-2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센서 노드에 있어서의 임피던스 정합장치 및 그 방법
KR101336253B1 (ko) 2007-06-29 2013-12-06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전력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100133573A (ko) * 2009-06-12 2010-12-22 삼성전자주식회사 방송망 기반의 재난 정보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EP2938010B1 (en) 2012-12-20 2021-04-07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device for performing group communication using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terminal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1807814B1 (ko) 2014-12-19 2017-12-1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동통신시스템에서 기지국의 무선자원 관리 장치 및 그의 관리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27388A (ko) * 2010-05-19 2011-11-25 한국과학기술원 재난 구조용 애드혹 그물형 무선 네트워크 형성 시스템 및 그 방법과, 상기 애드혹 그물형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하는 재난 구조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60076755A (ko) * 2014-12-23 2016-07-0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재난 상황에서의 긴급통신 시스템의 구축 및 운용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3846B1 (ko) * 2019-10-02 2020-04-23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차세대 함정의 표적 정보 처리 장치
KR20230116593A (ko) * 2022-01-28 2023-08-04 주식회사 코아칩스 저전력 무선 센서 통합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225723B1 (en) 2019-03-05
KR102314473B1 (ko) 2021-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70061A (ko) 재난 현장 통신 시스템의 전송 신호 제어 방법 및 장치
US9942414B2 (en) Digital smart security network system, method and program
KR101498985B1 (ko) Ip cctv를 이용한 gps 위치정보 기반의 비상상황 발생 현장 촬영 및 모니터링 시스템 그리고 이를 이용한 비상상황 발생 현장의 촬영 및 모니터링 방법
US10741056B2 (en) Terminal device and notification method
KR101935693B1 (ko) Iot 모듈 및 led를 이용한 지진 재난 안전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
US11080990B2 (en) Portable 360-degree video-based fire and smoke detector and wireless alerting system
KR101635429B1 (ko) 무선 비상벨 장치를 이용한 범죄 예방 시스템
KR20150033241A (ko) 무인 항공기를 이용한 재난 구조 시스템
JP2011107964A (ja) 無線通信システム
KR20090027391A (ko) 원격 방재 관리 시스템
US9761120B2 (en) Digital security system, method and program
KR101562870B1 (ko) CCTV 감시카메라 방범·방재 그룹핑 Wi-Fi Direct 서비스 제공 ARGOS 타워 및 ARGOS 시스템
US10742793B2 (en) Base station device, terminal device, and communication system
KR20180045443A (ko) 인터넷 프로토콜망을 이용한 유무선 마을방송 시스템
KR102403328B1 (ko) Sms 팝업 알림 서비스를 이용한 범죄 징후 차단 및 구조 신호 통보 시스템
US20190132043A1 (en) Wireless signal enhancement device, method, system, and storage medium
KR20200004599A (ko) 경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210064552A (ko) 대피경로 안내시스템
KR101444915B1 (ko) 화재 발생 경보 시스템
WO2018127153A1 (zh) 报警方法、报警装置及终端
KR20210026128A (ko) 소화전 기반 IoT 원격 화재 알림 시스템
KR20200114659A (ko) 오작동 저감 자동화재속보설비 시스템
KR100926237B1 (ko) Rssi와 시간차 알고리즘을 이용한 무선 호출 방법 및장치
KR20180127689A (ko) 소방 관제 방법 및 장치
KR20170024263A (ko) 블루투스의 근거리 무선 패킷 통신 기술을 이용한 건물 내 긴급 상황 통지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