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69776A - 공사장 안전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공사장 안전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69776A
KR20190069776A KR1020170170037A KR20170170037A KR20190069776A KR 20190069776 A KR20190069776 A KR 20190069776A KR 1020170170037 A KR1020170170037 A KR 1020170170037A KR 20170170037 A KR20170170037 A KR 20170170037A KR 20190069776 A KR20190069776 A KR 201900697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safety device
worker
construction site
safe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00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왕한호
강태훈
Original Assignee
왕한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왕한호 filed Critical 왕한호
Priority to KR10201701700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69776A/ko
Publication of KR201900697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977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5Risk analysis of enterprise or organisation activit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G06Q50/30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3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mutual or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location based services [LBS] targets or of distance threshold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Alarm System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사장 안전관리 시스템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홀 센서와 압력 센서을 이용한 안전장치 착용 여부 확인하여 근로자들의 안전을 책임지고, 근로자들의 실시간 위치 파악, 안전장치 착용 여부, 도면 관리 게시판과 현재 위치의 날씨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공사장 안전 관리 시스템{SYSTEM FOR MANAGING CONSTRUCTION SITE SAFETY}
본 발명은 공사장 안전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홀 센서와 압력 센서을 이용한 근로자들의 실시간 위치 파악, 안전장치 착용 여부, 도면 관리 게시판과 현재 위치의 날씨를 제공하여 근로자의 안전과 편의를 보장할 수 있다.
우리나라 사람들의 건설업에 대한 생각은 주로 ‘위험하다’‘힘들다’라는 생각이 대부분이다.
왜 그러는지 조사해봤을 때, 산업별 산업재해 사망자가 건설업에서 1위를 기록하고 있었다. 현장 내에서도 철근, 톱, 크레인 등 위험한 장비를 주로 사용하고, 위치가 높은 곳에서 작업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건설업에서의 산업재해를 분류 시 높은 곳에서 추락으로 인한 부상이 47%가량으로 1위였고, 2위는 낙하물에 의한 부상이었다.
관리자가 시스템을 통해 근로자의 안전장치 착용 여부와 실시간 위치 확인과 공지사항, 도면게시판 확인, 현재 위치의 날씨를 제공하여 근로자의 안전과 편의를 제공하는 공사장 안전 관리시스템이 필요하다.
한국등록특허 제10-2006-0115034호, “를 이용한 작업장 안전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한국등록특허 제10-2015-0185638호, “임베디드 시스템을 기반으로 하는 산업, 재해 현장의 안전관리 단말과, 이를 이용한 안전관리시스템” 한국등록특허 제10-2012-0061966호, “안전관리 통합 시스템”
본 발명은 아두이노와 센서를 통해 근로자의 안전장치 착용 여부를 관리자가 실시간으로 확인하여 근로자의 최소한의 안전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GPS와 Google Map을 통해 관리자가 근로자의 실시간 위치 파악을 하여 근무지 이탈여부를 확인하며, 전화와 메시지가 가능하도록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HTML과 MySQL서버를 통해 작업에 필요한 지시사항, 도면사진 업로드를 가능하도록 하여 업무의 효율성을 높이도록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오픈 날씨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과 스마트폰의 GPS센서를 통해 날씨에 따른 폭염, 폭우, 한파 등에 대비를 효율적으로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공사장 안전 관리 시스템은 근로자의 안전장치 착용 여부 정보를 감지하는 안전장치 착용 여부 감지부; 상기 안전장치 착용 여부 감지부에서 얻은 상기 안전장치 착용 여부 정보를 저장부로 넘겨주고 근로자의 위치와 날씨 정보, 게시판을 출력하는 애플리케이션; 및 상기 애플리케이션과 연동하여 안전장치 착용 여부 정보와 근로자의 위치 정보, 게시판의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근로자의 안전장치의 착용 여부를 확인하여 공사장 현장에서의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근로자의 현장 이탈 여부 확인과 메시지, 전화기능을 통해 관리자가 효율적으로 근로자를 관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지시사항, 도면 사진 업로드를 하는 게시판을 이용하여 업무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근로자의 위치를 파악, 날씨 정보를 활용하여 날씨에 따른 폭염, 폭우, 한파 등에 대비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사장 안전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사장 안전관리 시스템의 안전장치 착용 여부 감지부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사장 안전관리 시스템의 애플리케이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사장 안전관리 시스템의 저장부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들 및 첨부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실시예”“예”“측면”“예시”등은 기술된 임의의 양상(aspect) 또는 설계가 다른 양상 또는 설계들보다 양호하다거나, 이점이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또는' 이라는 용어는 배타적 논리합 'exclusive or' 이기보다는 포함적인 논리합 'inclusive or' 를 의미한다. 즉,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또는 문맥으로부터 명확하지 않는 한, 'x가 a 또는 b를 이용한다' 라는 표현은 포함적인 자연 순열들(natural inclusive permutations) 중 어느 하나를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 및 청구항들에서 사용되는 단수 표현("a" 또는 "an")은, 달리 언급하지 않는 한 또는 단수 형태에 관한 것이라고 문맥으로부터 명확하지 않는 한, 일반적으로 "하나 이상"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 및 청구항들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한편,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terminology)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사장 안전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사장 안전관리 시스템은 근로자의 안전장치 착용 여부를 감지하고, 근로자의 위치, 날씨 정보, 도면 게시판을 출력하고 모든 정보를 확인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사장 안전 관리 시스템은 안전장치 착용 여부 감지부(10), 애플리케이션(20), 및 저장부(30)를 포함한다.
안전장치 착용 여부 감지부(10)는 근로자의 안전장치 착용 여부 정보를 감지한다.
상기 안전장치 착용 여부 정보는 근로자의 안전모 착용 여부 정보, 안전 고리 사용 여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안전모의 착용 여부 정보는 모자에 압력센서를 부착해 모자를 착용했을 때 가해지는 압력의 값으로 착용 유무를 판단하여 착용 여부 정보를 얻고 착용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안전 고리 사용 여부 정보는 고리 부분에 홀센서와 자석을 부착해 고리가 체결되어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20)은 안전장치 착용 여부 감지부(10)에서 얻은 안전장치 착용 여부 정보를 저장부(30)으로 보내고 날씨 정보, 근로자의 위치, 도면 게시판을 출력한다.
저장부(30)은 애플리케이션(20)과 연동하여 안전장치 착용 여부 정보와 날씨 정보, 근로자의 위치, 도면 게시판의 정보를 저장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사장 안전관리 시스템의 안전장치 착용 여부 감지부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사장 안전관리 시스템의 안전장치 착용 여부 감지부(10)는 근로자의 안전장치 착용 여부를 감지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사장 안전관리 시스템의 안전장치 착용 여부 감지부(10)는 압력 센서(12) 및 홀 센서(14)를 포함한다.
압력 센서(12)는 상기 안전장치 착용 여부 정보에서 압력 센서를 통해 안전모의 착용 여부 정보를 감지한다. 안전모의 압력 값 정보는 모자에 압력 센서를 부착해 모자를 착용했을 때 가해지는 압력의 값 정보를 얻어 착용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압력의 값이 없을 때는 데이터를 0으로 출력되게 하여 3초 이상 0값이 들어오면 올바르지 못한 착용 상태라고 판단한다.
홀 센서(14)는 상기 안전장치 착용 여부 정보에서 홀 센서를 통해 안전 고리의 착용 여부 정보를 감지한다. 안전 고리의 착용 여부 값 정보는 고리부분에 홀센서와 자석을 부착해 홀 센서와 자석간의 거리를 통해 고리가 체결되어 있는지 확인한다. 거리 값이 클 때는 데이터를 0으로 출력되게 하여 3초 이상 0값이 들어오면 올바르지 못한 체결 상태라고 판단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사장 안전관리 시스템의 애플리케이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사장 안전관리 시스템의 애플리케이션(20)는 착용 여부 정보를 저장부로 보내고 근로자의 위치, 날씨 정보, 도면 게시판을 출력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사장 안전관리 시스템의 애플리케이션(20)은 모드 설정(32), 날씨 정보(34), 근로자의 위치(36), 게시판(38)을 포함한다.
모드 설정(32)는 로그인 시, 관리자 모드와 근로자 모드로 나누어 각 모드의 상황에 맞는 기능을 제공한다. 관리자 모드는 근로자의 위치와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근로자 모드는 날씨 정보를 확인하며, 안전장치 미착용 시 경고 알림이 출력된다.
날씨 정보(34)는 스마트폰의 GPS센서를 이용해 위도, 경도 정보 값을 사용하여 날씨 API를 통해 해당 위치의 날씨 정보를 출력한다.
근로자의 위치(36)는 스마트폰의 GPS센서를 이용해 위도, 경도 정보 값을 사용해 근로자의 위치를 출력한다.
게시판(38)은 HTML과 저장부의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해 작업지시 게시판, 도면 게시판을 제공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사장 안전관리 시스템의 저장부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사장 안전관리 시스템의 저장부(30)는 상기 애플리케이션과 연동하여 모든 정보를 확인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간예에 따른 공사장 안전관리 시스템의 제어부(30)는 데이터베이스(32)를 포함한다.
데이터베이스(32)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에서 안전장치 착용 여부 정보와 해당 근로자의 위치 정보, 날씨 정보, 게시판 정보를 저장한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A(field programmabl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0 : 안전장치 착용 여부 감지부 20: 저장부
30 : 애플리케이션

Claims (4)

  1. 근로자의 안전장치 착용 여부 정보를 감지하는 안전장치 착용 여부 감지부; 상기 안전장치 착용 여부 감지부에서 얻은 상기 안전장치 착용 여부 정보를 저장부로 넘겨주고 근로자의 위치와 날씨 정보, 게시판을 출력하는 애플리케이션; 및
    상기 애플리케이션과 연동하여 안전장치 착용 여부 정보와 근로자의 위치 정보, 게시판의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를 포함하는 공사장 안전관리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장치 착용 여부 감지부는
    상기 안전장치 착용 여부 정보에서 압력 센서를 통해 안전모의 착용 여부 정보를 감지하기 위한 압력 센서; 및
    상기 안전장치 착용 여부 정보에서 홀 센서를 통해 안전 고리의 착용 여부 정보를 감지하기 위한 홀 센서
    를 포함하는 공사장 안전관리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로그인 시, 관리자 모드와 근로자 모드로 나누어 각 모드의 상황에 맞는 기능을 제공하는 모드 설정; 및
    스마트폰의 GPS센서를 이용해 위도, 경도 정보 값을 사용하여 날씨 API를 통해 해당 위치의 날씨 정보를 출력하는 날씨 정보; 및
    스마트폰의 GPS센서를 이용해 위도, 경도 정보 값을 사용해 근로자의 위치를 출력하는 근로자 위치; 및
    HTML과 저장부의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해 작업지시 게시판, 도면 게시판을 제공하는 게시판
    을 포함하는 공사장 안전관리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안전장치 착용 여부 정보와 해당 근로자의 위치 정보, 날씨 정보, 게시판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를 포함하는 공사장 안전관리 시스템.
KR1020170170037A 2017-12-12 2017-12-12 공사장 안전 관리 시스템 KR2019006977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0037A KR20190069776A (ko) 2017-12-12 2017-12-12 공사장 안전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0037A KR20190069776A (ko) 2017-12-12 2017-12-12 공사장 안전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9776A true KR20190069776A (ko) 2019-06-20

Family

ID=671035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0037A KR20190069776A (ko) 2017-12-12 2017-12-12 공사장 안전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69776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15034A (ko) 2005-05-03 2006-11-08 안건형 창호의 자동록킹 장치
KR20120061966A (ko) 2009-10-14 2012-06-13 닛뽕소다 가부시키가이샤 폴리부타디엔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15034A (ko) 2005-05-03 2006-11-08 안건형 창호의 자동록킹 장치
KR20120061966A (ko) 2009-10-14 2012-06-13 닛뽕소다 가부시키가이샤 폴리부타디엔의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3736B1 (ko) 건설현장 재해방지시스템 및 방법
CN108885820B (zh) 气体检测器设备及更新其上的位置信息的方法
WO2006052545A3 (en) Line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US20190088069A1 (en) Device for real time equipment tracking at a construction site
Karakhan et al. Technology alternatives for workplace safety risk mitigation in construction: Exploratory study
JP2007299228A (ja) 監視制御システム、監視制御装置及びその現場操作端末、同システムの監視方法
KR20200001938A (ko) 건설 현장의 안전 관리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서버
CN110259514B (zh) 危险区域人员预警方法、存储介质、电子设备和预警系统
WO2017015130A1 (en) Providing font security
KR20180122246A (ko) 물류 창고 내 이상 상황 판단 장치 및 방법
JP2019067207A (ja) 作業判定プログラム、作業判定方法および作業判定装置
KR20190069776A (ko) 공사장 안전 관리 시스템
KR101583545B1 (ko) 상호 디버깅 감시를 이용한 모바일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의 보안을 향상시키는 보안 제공 방법
CN105590060A (zh) 一种目标应用程序的保护方法及装置
JP2020135532A (ja) アラート出力システム、アラート出力方法、及びプログラム
AU2016213790B2 (en) Gas detectors safety compliance advertisement via low-power wireless radio
KR20190069792A (ko) 건설업 안전 장비
CN109240811B (zh) 一种任务执行方法和装置
JP6226859B2 (ja) 作業監視システム
AU2018278971A1 (en) Gas-measuring device
KR20180055599A (ko) 작업자를 위한 안전 관리 시스템
JP7394530B2 (ja) アラート出力システム、アラート出力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15099259A (zh) 人防物资的数据识别方法、装置及电子设备
JPWO2019229985A1 (ja) 表示システム及び表示端末
KR101957982B1 (ko) 비콘태그를 이용한 안전활동 스마트 tbm 시스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