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69732A - 간편 조절 팔걸이 - Google Patents

간편 조절 팔걸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69732A
KR20190069732A KR1020170169938A KR20170169938A KR20190069732A KR 20190069732 A KR20190069732 A KR 20190069732A KR 1020170169938 A KR1020170169938 A KR 1020170169938A KR 20170169938 A KR20170169938 A KR 20170169938A KR 20190069732 A KR20190069732 A KR 201900697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d
moving
engaging
fix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99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47770B1 (ko
Inventor
김창연
김태록
박성민
Original Assignee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699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7770B1/ko
Publication of KR201900697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97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77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77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11/00Passenger or crew accommodation; Flight-deck install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D11/06Arrangements of seats, or adaptation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aircraft seats
    • B64D11/0639Arrangements of seats, or adaptation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aircraft seats with features for adjustment or converting of seats
    • B64D11/0644Adjustable arm res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75Arm-rests
    • B60N2/753Arm-rests movable to an inoperative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75Arm-rests
    • B60N2/763Arm-rests adjustable
    • B60N2/77Height adjust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한손으로 팔걸이의 높낮이를 변경할 수 있는 한손 조절이 가능한 항공기 시트용 팔걸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패드부를 지지하는 이동부, 이동부에 형성되는 걸림턱과 맞물려 이동부의 위치를 고정하는 고정부가 구비되는 지지부를 통해 패드부의 상승이 자유롭고, 고정부의 간단한 조작으로 패드부의 하강이 가능한 간편 조절 팔걸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간편 조절 팔걸이{Simply adjustable armrest}
본 발명은 한손으로 팔걸이의 높낮이를 변경할 수 있는 간편 조절 팔걸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패드부를 지지하는 이동부, 이동부에 형성되는 걸림턱과 맞물려 이동부의 위치를 고정하는 고정부가 구비되는 지지부를 통해 패드부의 상승이 자유롭고, 고정부의 간단한 조작으로 패드부의 하강이 가능한 간편 조절 팔걸이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의자는 단순히 사람이 앉는 수단이라는 개념을 넘어서, 다양한 기능 및 디자인을 갖도록 설계되고 있다. 특히, 안락감과 관련하여 최근의 의자는 좌판의 각도 조절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다양한 신체 구조 및 상황에 맞도록 팔걸이 부분의 높이 조절도 가능한 의자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팔걸이 높이 조절을 구현하는 수단은 다양한 형태로 구현되고 있으며, 통상 소정의 걸림수단을 통해 팔걸이의 높이를 고정하되, 소정의 스위치 부재를 조작하여 상기 걸림수단의 걸림을 해제하고 팔걸이의 높이를 조절하는 팔걸이 높이 조절 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팔걸이 의자에 있어서 팔걸이의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한 높이 조절 수단은 다양한 형태로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그 실시예는 다음과 같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39158호를 참조하면,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의자 양측에 결합되고 상단으로 팔걸이부(10)가 형성된 통상의 의자 팔걸이에 있어서, 일측이 의자의 좌판 저면에 고정 결합되는 것으로 외주면 일측으로 걸림턱(111)을 형성하고 일측에 고정홈(112)이 천공되어 있는 삽입바(110)가 타측에 형성된 고정부(100)와 측면 양측에 서로 대응되는 걸림홀(211) 및 가이드홀(212)을 갖는 장공(210)이 천공되어 있고 측면 하단부에 제1안착홈(220)이 형성되어 있으며, 내주면 일측으로 가이드공(231)이 천공되고 제1고정턱(232)과 제2고정턱(233)및 체결돌기(234)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일측면으로 지지부재(235)가 삽입되는 삽입홀(230)이 하단부에 천공되어 상기 고정부(100)의 삽입바(110) 외측에 회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회동프레임(200)과 상기 고정부(100)의 삽입바(110)를 중심으로 회동하는 상기 회동프레임(200)의 회동을 제어하는 회동제어부재(300)와 상단 일측으로 상기 팔걸이부(10)가 체결되고 내측으로 수용부(410)를 형성하여 상기 회동프레임(200)의 외측에 상하 유동 되게 체결되는 것으로, 측면 일측에 제2안착홈(420)이 구비되어 있는 이송프레임(400)과 상기 이송프레임(400)이 회동프레임(200)의 외측에 삽입되어 상하 유동하는 데 있어 그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부재(500)로 구성된다. 상기한 구성을 통해, 종래의 팔걸이 의자는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걸림홈에서 이탈되는 물림부 및 연결바를 구비하여 간단한 버튼 동작만으로 팔걸이부의
높이를 조절함에 있어 그 구조를 간단하게 하면서 안전성을 함께 도모하여 사용자가 팔걸이부이 높이를 조절하는데 보다 편리하고 장시간 사용에도 정적으로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의자용 팔걸이의 높이 조절 구조를 제공한다.
그러나, 종래의 의자용 팔걸이의 높이 조절 구조는 높이를 조절하는 한손으로는 높이조절부재를 조작하고, 다른 한손으로는 팔걸이부를 잡고 상하 이동을 해야 하므로, 차량의 운전자 또는 비행기 조종사가 핸들 잡고있는 상태로는 팔걸이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39158호 (등록일자 2008.03.18.)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패드부와 연결된 연결부와 연결부의 외주면에 형성된 걸림턱과 걸림턱에 맞물려 연결부의 상하 이동을 고정하고, 고정을 해제하는 고정부와 고정부가 내부에 구비된 지지대 구성을 통해 고정부의 조작을 통해 패드부의 상하 이동을 한손으로 조절 할 수 있는 간편 조절 팔걸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간편 조절 팔걸이는, 사용자의 팔이 안착되고, 사용자의 팔을 지지하는 패드부;, 일정 길이를 가지며, 일측에 형성된 패드 연결부가 상기 패드부와 연결되고, 외주면에 다수의 걸림턱이 형성된 이동부;, 상기 이동부 방향으로 향하여 상기 걸림턱과 맞물려 상기 이동부의 상하 이동을 고정하고, 상기 이동부 반대 방향으로 향하여 상기 이동부의 이동을 고정 해제하는 고정부; 및 내부에 상기 고정부를 구비하고, 일측이 상기 이동부의 외주면을 감싸고, 일측 마주보는 한쌍의 외면에 동일 형상으로 관통되어 상기 고정부의 이동을 제한하는 가이드부와 상기 고정부의 이탈을 방지하는 고정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지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패드부는 사용자의 팔이 안착되는 패드 및 상기 패드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패드를 지지하는 패드 받침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패드 받침부는 상기 패드 받침부에 형성되고, 상기 이동부의 일측에 형성된 상기 패드 연결부와 연결되어 상기 패드부의 회전을 가능하게 하는 회전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부는 상기 이동부의 일측 외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이동부가 일정 길이 이상 하강하지 않도록 방지하는 제1 돌출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부는 상기 이동부의 타측 외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이동부가 일정 길이 이상 상승하지 않도록 방지하는 제2 돌출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는 상기 걸림턱에 물리는 물림부, 상기 물림부와 상기 물림부의 길이 방향에 수직하게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부를 따라 움직임이 가능한 고정핀 및 일측이 상기 물림부에 수납되는 길이부와 타측이 상기 고정단에 고정되는 머리부로 구성된 탄성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부는 일측 끝단이 상기 물림부의 외면에 맞닿고, 타측이 상기 머리부의 일측면에 맞닿아, 상기 길이부의 외주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스프링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간편 조절 팔걸이는, 패드부가 연결된 연결부의 상하 이동을 고정하고, 고정을 해제 할 수 있는 고정부의 단순 조작으로 한손으로도 의자의 팔걸이의 높이 조절이 가능하여, 자동차 운전자 또는 비행기 조종사가 자동차 또는 비행기를 조종하는 중에도 팔걸이의 높이 조절이 가능하여 보다 안정적인 자세로 조종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동부의 과다 상승 및 하강을 방지하는 제1 및 제2 돌출부를 통하여, 이동부를 일정 범위 내에서 움직일 수 있어, 이동부의 과한 움직임을 방지할 수 있고, 이동부가 지지부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의자용 팔걸이 높이 조절 장치 분해도
도 2는 본 발명의 간편 조절 팔걸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간편 조절 팔걸이 고정부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간편 조절 팔걸이 고정부 작동도
도 5는 본 발명의 간편 조절 팔걸이의 상승에 따른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간편 조절 팔걸이의 상승에 따른 고정부 후진 확대도
도 7은 본 발명의 간편 조절 팔걸이의 상승에 따른 고정부 전진 확대도
도 8은 본 발명의 간편 조절 팔걸이의 하강에 따른 고정부 후진 확대도
도 9는 본 발명의 간편 조절 팔걸이의 하강에 따른 고정부 끼움 확대도
도 10은 본 발명의 간편 조절 팔걸이의 하강에 따른 정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간편 조절 팔걸이 패드부 회전도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사용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사용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일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첨부된 도면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 및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간편 조절 팔걸이(100)는, 사용자의 팔이 안착되고, 사용자의 팔을 지지하는 패드부(200), 일정 길이를 가지며, 일측에 형성된 패드 연결부(320)가 상기 패드부(200)와 연결되고, 외주면에 다수의 걸림턱(310)이 형성된 이동부(300), 상기 이동부(300) 방향으로 향하여 상기 걸림턱(310)과 맞물려 상기 이동부(300)의 상하 이동을 고정하고, 상기 이동부(300) 반대 방향으로 향하여 상기 이동부(300)의 이동을 고정 해제하는 고정부(500) 및 내부에 상기 고정부(500)를 구비하고, 일측이 상기 이동부(300)의 외주면을 감싸고, 일측 마주보는 한쌍의 외면에 동일 형상으로 관통되어 상기 고정부(500)의 이동을 제한하는 가이드부(410)와 상기 고정부(500)의 이탈을 방지하는 고정단(42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지지부(400)를 포함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패드부(200)는 사용자의 팔이 안착되는 곳으로, 사용자의 팔이 닿는 상면이 솜이나 스펀지, 용수철을 넣어 탄력을 갖는 쿠션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패드부(200)는 사용자의 팔이 안착되는 패드(210) 및 상기 패드(210)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패드(210)를 지지하는 패드 받침부(2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이동부(300)는 일측에 형성된 패드 연결부(320)를 통해 상기 패드부(200)와 연결된다. 상기 패드 연결부(320)와 상기 패드부(200)는 상기 패드부(200)의 하면에 삽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패드 연결부(320)가 상기 패드부(200)의 하면에 형성된 삽입홀에 대응되어 끼워질 수 있는 돌출 형상으로 이루어져 끼움 연결될 수도 있고, 상기 패드부(200)와 상기 패드 연결부(320)가 힌지 결합되어 상기 패드부(200)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도 있다. 상기 패드부(200)와 상기 이동부(300)의 추가적인 연결 방법에 대해서는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이동부(300)는 상기 패드부(200)와 연결이 될 때, 상기 패드부(200)의 길이방향과 상기 이동부(300)의 길이방향이 이루는 사이각은 90도보다 더 크게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이동부(300)의 외주면에는 상기 걸림턱(310)이 형성된다. 상기 걸림턱(310)은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다수의 삼각 형상의 홈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이동부(300)는 상기 이동부(300)의 일측 외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이동부(300)가 일정 길이 이상 하강하지 않도록 방지하는 제1 돌출부(33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돌출부(330)는 상기 이동부(300)의 일측 외주면에 형성되며, 상기 이동부(300)의 일측에서 가장 패드부(200)와 가까이에 있는 상기 걸림턱(310) 보다 상기 패드부(200)와 더 가까이에 위치되어 형성되며, 상기 이동부(300)를 감싸는 상기 지지부(400)의 일측보다 상기 패드부(200)와 더 가까운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이동부(300)는 상기 이동부(300)의 타측 외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이동부(300)가 일정 길이 이상 상승하지 않도록 방지하는 제2 돌출부(34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2 돌출부(340)는 상기 이동부(300)의 타측 외주면에 형성되며, 상기 이동부(300)의 타측에서 가장 패드부(200)와 멀리 있는 상기 걸림턱(310) 보다 상기 패드부(200)와 더 멀리 위치되어 형성되며, 상기 이동부(300)를 감싸는 상기 지지부(400)의 일측보다 상기 패드부(200)와 먼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돌출부(330) 및 상기 제2 돌출부(340)는 상기 이동부(300)에 탈부착이 가능하게 형성되어, 조립에 어려움이 없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부(400)는 일측이 상기 이동부(300)의 외주면을 감싸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이동부(300)의 상하 이동이 상기 지지부(400)의 일측 내부에서 일어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지지부(400)의 일측 마주보는 한쌍의 외면이 동일 관통되어 형성되는 가이드부(410)가 형성되어 상기 지지부(400)의 내부에 형성되는 고정부(500)의 움직임을 외부에서 조작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400)의 타측은 외부에 연결되어 상기 지지부(400)를 고정시킨다. 상기 지지부(400)의 타측은 의자 또는 시트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지면이나 벽면에 고정될 수도 있다,
상기 고정부(500)는 상기 지지부(400)의 내부에 형성된 빈 공간에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부(410)를 따라 움직일 수 있다. 상기 고정부(500)는 상기 이동부(300) 방향으로 향하여 상기 걸림턱(310)과 맞물려 상기 이동부(300)의 상하 이동을 고정하고, 상기 이동부(300) 반대 방향으로 향하여 상기 이동부(300)의 상하 이동 고정을 해제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상기 패드부(200)와 상기 이동부(300)의 추가적인 연결 방법에 대해 설명하면, 상기 패드 받침부(220)는 상기 패드 받침부(220)에 형성되고, 상기 이동부(300)의 일측에 형성된 상기 패드 연결부(320)와 연결되어 상기 패드부(200)의 회전을 가능하게 하는 회전부(23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회전부(230)는 상기 이동부(300)의 일측에 형성된 상기 패드 연결부(320)와 일축 연결되어, 상기 패드(210)의 상면 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할 수 있다. 상기 회전부(230)와 상기 패드 연결부(320)의 연결은 상기 패드부(200)가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패드(210)의 상면 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할 수 있는 결합 구조면 어떠한 결합 구조도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회전부(230)와 상기 패드 연결부(320)는 상기 패드부(200)의 양 측면 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도 있다.
도4를 참조하여, 상기 고정부(500)의 구조에 대해 설명하면, 상기 걸림턱(310)에 물리는 물림부(510), 상기 물림부(510)와 상기 물림부(510)의 길이 방향에 수직하게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부(410)를 따라 움직임이 가능한 고정핀(520) 및 일측이 상기 물림부(510)에 수납되는 길이부(532)와 타측이 상기 고정단(420)에 고정되는 머리부(531)로 구성된 탄성부(5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물림부(510)의 일측은 상기 이동부(300)의 상기 걸림턱(310)에 맞물리는 형상으로 형성되나, 상기 걸림턱(310)과 최초로 닿는 일측 끝단이 완전히 상기 걸림턱(310)의 골에 닿지 않도록 형성되어, 상기 이동부(300)가 상승할 때, 상기 걸림턱(310)이 상기 물림부(510)를 더 원활하게 빗겨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고정핀(520)은 상기 물림부(510)의 중심부를 관통하여 삽입되어 결합되어, 상기 고정핀(520)과 상기 물림부(510)는 교차되어 결합된다. 상기 고정핀(520)의 일측은 상기 가이드부(410)의 일측에 돌출되고, 상기 고정핀(520)의 타측은 상기 가이드부(410)의 일측에 대응되는 면에 형성되는 타측에 돌출된다.
상기 탄성부(530)는 상기 물림부(510)의 타측에 위치하며, 상기 물림부(510) 타측의 중심과 동일한 중심을 가지며 상기 물림부(510)의 타측 방향에 연장되어는 형상으로 형성되나, 상기 탄성부(530)는 상기 물림부(510)에 고정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물림부(510)의 타측에는 상기 길이부(532)가 수납될 수 있도록 상기 길이부(532)의 지름보다 더 크거나 같은 지름을 갖는 홀이 일정 길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길이부(532)의 일측 끝단면이 상기 물림부(510)에 닿지 않아, 상기 길이부(532)의 일측 끝단면과 상기 물림부(510)의 타측에 형성된 상기 길이부(532)의 지름보다 더 크거나 같은 지름을 갖는 일정 길이의 홀 내부면 사이에 틈이 있어, 상기 길이부(532)가 상기 물림부(510)의 타측에 형성된 상기 길이부(532)의 지름보다 더 크거나 같은 지름을 갖는 일정 길이의 홀 내부에서 상기 길이부(532)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이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길이부(532)의 일측 끝단면과 상기 물림부(510)의 타측에 형성된 상기 길이부(532)의 지름보다 더 크거나 같은 지름을 갖는 일정 길이의 홀 사이에 스프링(540) 또는 고무와 같은 탄성 재질의 구성이 추가되어 상기 물림부(510)의 이동에 탄성을 줄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부(530)의 타측은 상기 고정단(420)에 고정되는 머리부(531)을 포함한다. 상기 머리부(531)은 상기 고정단(420)의 외부 또는 내부 면에 닿아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단(420)은 상기 고정부(500)가 상기 지지부(400)의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고정부(500)가 상기 지지부(400)의 길이 방향의 일정 선상의 일정 범위 내에서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머리부(531)을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탄성부(530)는 일측 끝단이 상기 물림부(510)의 외면에 맞닿고, 타측이 상기 머리부(531)의 일측면에 맞닿아, 상기 길이부(532)의 외주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스프링(540)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스프링(540)을 통해 상기 물림부(510)와 상기 길이부(532) 사이에 탄성력이 발생시켜, 상기 물림부(510)가 길이 방향으로 움직일 때, 탄성이 작용하여 상기 물림부(510)가 상기 이동부(300) 반대 방향으로 이동되었다가 다시 상기 이동부(300) 방향으로 복귀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도 5를 참조하여, 상기 가이드부(410) 상에서의 상기 고정부(500)의 움직임을 설명하면, 상기 가이드부(410)는 시계방향으로 90도 회전한 ‘T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핀(520)이 상기 이동부(300) 방향과 상기 이동부(300) 반대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고, 상기 고정핀(520)이 상기 지지부(400)의 길이 방향에 수직된 방향으로도 움직여, 상기 고정부(500)가 상기 지지부(400)에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부(400) 외면에 관통되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부(410)는 상기 지지부(400)의 한쌍의 외면에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에서는 상기 고정핀(520)의 일측면을 확인 할 수 있는 상기 가이드부(410)의 일측면을 확대하여 도시하였다.
도 5a를 참조하면, 상기 고정부(500)는 상기 이동부(300)의 걸림턱(310)에 맞물려 있는 상태로, 이때 상기 이동부(300)의 이동은 일어나지 않고 상기 이동부(300)의 고정으로 인하여 상기 패드부(200)의 높이가 고정된 상태로 유지된다.
도 5b를 참조하면, 상기 고정부(500)는 상기 이동부(300)의 상기 걸림턱(310)에 맞물려있지 않고 상기 이동부(300)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한 상태로, 상기 고정부(500)를 조작하지 않고, 상기 패드부(200)를 상기 패드(210)의 상면 방향으로 잡아 올리면, 상기 이동부(300)가 상기 패드(210)의 상면 방향으로 올라가는데 이때, 상기 고정부(500)가 상기 이동부(300)의 반대 방향으로 움직이게 되는 상태이다.
도 5c를 참조하면, 상기 고정부(500)는 사용자에 의해 상기 지지부(400)의 길이 방향에 수직된 방향의 상기 가이드부(410)에 고정된 상태로, 이때에 상기 이동부(300)는 상기 패드부(200)가 상기 패드(210)의 상면 반대 방향으로 하강하게 된다.
도 6 내지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이동부(300)가 상기 패드(210)의 상면 방향으로 올라가는 과정을 자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도 6과 같이 사용자가 상기 패드부(200)를 상기 패드(210) 상면 방향으로 올리면, 상기 이동부(300)에 형성된 상기 걸림턱(310)에 물려있는 상기 물림부(510)가 미끄러지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걸림턱(310)의 골과 골 사이 가장 높은 부분이 상기 물림부(510)를 상기 이동부(300)의 반대 방향으로 밀어내게 된다.
도 7은 상기 이동부(300)의 상승에 과정에서 상기 물림부(510)가 상기 이동부(300)의 반대방향으로 이동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물림부(510)가 상기 이동부(300)의 반대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상기 스프링(540)이 상기 물림부(510)와 상기 머리부(531) 사이에서 압축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8은 상기 탄성부(530)가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물림부(510)를 상기 이동부(300) 방향으로 밀어내어, 상기 물림부(510)가 상기 걸림턱(310)의 물려진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사용자가 계속해서 상기 패드부(200)를 상기 패드(210) 상면 방향으로 올리면 상기 도 6 내지 8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물림부(510)는 상기 이동부(300)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이동부(300)의 상승 고정을 해제하고, 상기 탄성부(530)의 탄성력에 의해 복귀되어 상기 이동부(300) 방향으로 돌아가 상기 이동부(300)의 움직임을 고정시키는 단계를 반복한다.
사용자가 상기 패드부(200)를 상기 패드(210) 상면 방향으로 올리는 단계는 상기 이동부(300)의 타측 외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이동부(300)가 일정 길이 이상 상승하지 않도록 방지하는 상기 제2 돌출부(340)가 상기 지지대에 닿을 때 까지 계속될 수 있다.
도 9 내지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이동부(300)가 상기 패드(210)의 상면 반대 방향으로 내려가는 과정을 자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도 9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상기 패드부(200)를 상기 패드(210)의 상면 반대 방향으로 내리기 위해서, 상기 고정핀(520)을 상기 이동부(300)의 반대 방향으로 밀어 상기 물림부(510)를 상기 걸림턱(310)에서 물림을 해제시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상기 스프링(540)은 상기 물림부(510)와 상기 머리부(531) 사이에서 압축된다.
도 10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상기 물림부(510)의 해지를 연속하기 위해서, 상기 고정핀(520)을 상기 이동부(300)의 반대 방향으로 민 상태에서, 상기 지지부(400)의 길이 방향의 수직된 방향 중 상기 패드부(200)의 상기 패드(210)의 상면 반대 방향의 상기 가이드부(410)에 상기 고정핀(520)을 고정시킨 것을 알 수 있다. 이로인해, 상기 물림부(510)는 상기 스프링(540)이 상기 물림부(510)와 상기 머리부(531) 사이에서 압축된 채로, 상기 이동부(300)의 반대 방향에 머무르게 된다. 이때, 상기 길이부(532)는 상기 물림부(510)의 회전에 의해 회전 될 수도 있으나, 상기 물림부(510)의 회전에 간섭받지 않을 수도 있다.
도 11은 상기 고정핀(520)의 고정으로, 상기 고정부(500)가 상기 이동부(300)에 형성된 상기 걸림턱(310)에서 물림이 해제되어, 상기 이동부(300)의 하강이 자유로운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사용자가 상기 고정핀(520)의 고정을 해제 할 때까지 상기 이동부(300)의 하강을 계속되며, 상기 이동부(300)의 일측 외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이동부(300)가 일정 길이 이상 하강하지 않도록 방지하는 상기 제1 돌출부(330)가 상기 지지대에 닿을 때 까지 상기 이동부(300)의 하강은 계속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0 : 간편 조절 팔걸이
200 : 패드부 210 : 패드
220 : 패드 받침부 230 : 회전부
300 : 이동부 310 : 걸림턱
320 : 패드 연결부 330 : 제1 돌출부
340 : 제2 돌출부
400 : 지지부 410 : 가이드부
420 : 고정단
500 : 고정부 510 : 물림부
520 : 고정핀 530 : 탄성부
531 : 머리부 532 : 길이부
540 : 스프링

Claims (7)

  1. 사용자의 팔이 안착되고, 사용자의 팔을 지지하는 패드부;
    일정 길이를 가지며, 일측에 형성된 패드 연결부가 상기 패드부와 연결되고, 외주면에 다수의 걸림턱이 형성된 이동부;
    상기 이동부 방향으로 향하여 상기 걸림턱과 맞물려 상기 이동부의 상하 이동을 고정하고, 상기 이동부 반대 방향으로 향하여 상기 이동부의 이동을 고정 해제하는 고정부; 및
    내부에 상기 고정부를 구비하고, 일측이 상기 이동부의 외주면을 감싸고, 일측 마주보는 한쌍의 외면에 동일 형상으로 관통되어 상기 고정부의 이동을 제한하는 가이드부와 상기 고정부의 이탈을 방지하는 고정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지지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손 조절이 가능한 항공기 시트용 팔걸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부는,
    사용자의 팔이 안착되는 패드; 및
    상기 패드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패드를 지지하는 패드 받침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손 조절이 가능한 항공기 시트용 팔걸이.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 받침부는,
    상기 패드 받침부에 형성되고, 상기 이동부의 일측에 형성된 상기 패드 연결부와 연결되어 상기 패드부의 회전을 가능하게 하는 회전부;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손 조절이 가능한 항공기 시트용 팔걸이.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는,
    상기 이동부의 일측 외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이동부가 일정 길이 이상 하강하지 않도록 방지하는 제1 돌출부;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손 조절이 가능한 항공기 시트용 팔걸이.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는,
    상기 이동부의 타측 외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이동부가 일정 길이 이상 상승하지 않도록 방지하는 제2 돌출부;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손 조절이 가능한 항공기 시트용 팔걸이.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걸림턱에 물리는 물림부;
    상기 물림부와 상기 물림부의 길이 방향에 수직하게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부를 따라 움직임이 가능한 고정핀; 및
    일측이 상기 물림부에 수납되는 길이부와 타측이 상기 고정단에 고정되는 머리부로 구성된 탄성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손 조절이 가능한 항공기 시트용 팔걸이.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는,
    일측 끝단이 상기 물림부의 외면에 맞닿고, 타측이 상기 머리부의 일측면에 맞닿아, 상기 길이부의 외주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스프링;
    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손 조절이 가능한 항공기 시트용 팔걸이.
KR1020170169938A 2017-12-12 2017-12-12 간편 조절 팔걸이 KR1020477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9938A KR102047770B1 (ko) 2017-12-12 2017-12-12 간편 조절 팔걸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9938A KR102047770B1 (ko) 2017-12-12 2017-12-12 간편 조절 팔걸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9732A true KR20190069732A (ko) 2019-06-20
KR102047770B1 KR102047770B1 (ko) 2019-11-25

Family

ID=671039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9938A KR102047770B1 (ko) 2017-12-12 2017-12-12 간편 조절 팔걸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777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974317A1 (en) * 2020-09-24 2022-03-30 AMI Industries, Inc. Deployable armrest with pawl and ratchet height adjustment mechanism
WO2023055318A1 (en) * 2021-09-28 2023-04-06 Tusas- Turk Havacilik Ve Uzay Sanayii Anonim Sirketi An armrest mechanism
EP4169837A1 (en) * 2021-10-25 2023-04-26 AMI Industries, Inc. A translation locking apparatus and an armrest comprising such a translation locking apparatu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25766B1 (en) * 2019-09-19 2023-11-28 Bad Boy Mowers, Llc Zero-turn-radius riding mower adjustable arm support system
CN111347952B (zh) * 2020-03-27 2021-05-18 沈阳金杯安道拓汽车部件有限公司 汽车单人模块化座椅扶手平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3755Y1 (ko) * 1994-12-31 1998-09-15 전성원 높이 조절이 가능한 자동차용 팔걸이
KR20020015604A (ko) * 2000-08-22 2002-02-28 이계안 자동차의 리어 암레스트 높낮이 조절장치
KR200439158Y1 (ko) 2007-02-15 2008-03-25 박찬석 의자용 팔걸이의 높이 및 회동조절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3755Y1 (ko) * 1994-12-31 1998-09-15 전성원 높이 조절이 가능한 자동차용 팔걸이
KR20020015604A (ko) * 2000-08-22 2002-02-28 이계안 자동차의 리어 암레스트 높낮이 조절장치
KR200439158Y1 (ko) 2007-02-15 2008-03-25 박찬석 의자용 팔걸이의 높이 및 회동조절구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974317A1 (en) * 2020-09-24 2022-03-30 AMI Industries, Inc. Deployable armrest with pawl and ratchet height adjustment mechanism
US11524786B2 (en) 2020-09-24 2022-12-13 Ami Industries, Inc. Deployable armrest with pawl and ratchet height adjustment mechanism
WO2023055318A1 (en) * 2021-09-28 2023-04-06 Tusas- Turk Havacilik Ve Uzay Sanayii Anonim Sirketi An armrest mechanism
EP4169837A1 (en) * 2021-10-25 2023-04-26 AMI Industries, Inc. A translation locking apparatus and an armrest comprising such a translation locking apparatus
US11912183B2 (en) 2021-10-25 2024-02-27 Ami Industries, Inc. Shaft locking method using a gear rack and toothed locking lev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7770B1 (ko) 2019-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69732A (ko) 간편 조절 팔걸이
KR101635485B1 (ko) 높이 및 각도 조절 가능한 헤드레스트를 구비한 의자
KR101967201B1 (ko) 요추받이부 굴곡조절모듈이 구비된 의자
KR20120134233A (ko) 의자의 팔걸이 조절장치
KR101949296B1 (ko) 컴퓨터 데스크
KR101902770B1 (ko) 의자용 어셈블리 및 그를 구비한 의자
KR102267905B1 (ko) IoT 기반의 식탁 의자
US20220192363A1 (en) Desk lift mechanism and variable height desk including the same
KR101733981B1 (ko) 위치 조절이 가능한 헤드레스트가 구비된 의자
KR102521635B1 (ko) 각도와 높이조절 기능을 갖는 의자용 헤드레스트
JPH0748124Y2 (ja) 幼児用椅子の高さ調節機構
CN212815352U (zh) 靠背椅调节结构
KR101802491B1 (ko) 의자
JP2537647Y2 (ja) 幼児用椅子における脚杆の高さ調節構造
KR200426287Y1 (ko) 의자용 헤드레스트
KR100340292B1 (ko) 의자용 바퀴
CN112806776B (zh) 扶手调整机构及具有该扶手调整机构的婴儿床
CN212325912U (zh) 椅子及其摇摆椅脚
KR101397613B1 (ko) 분리형 베드유닛을 구비한 리클라이닝 샤워캐리어
CN212325913U (zh) 一种椅子及其摇摆椅脚
CN212325914U (zh) 一种椅子及其椅脚
CN209750437U (zh) 可调节头枕装置
JP7023071B2 (ja) 肘掛け装置
KR200342094Y1 (ko) 학생용 책걸상의 높이조절장치
CN221188241U (zh) 一种儿童安全座椅的档位调节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