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9158Y1 - 의자용 팔걸이의 높이 및 회동조절구조 - Google Patents

의자용 팔걸이의 높이 및 회동조절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9158Y1
KR200439158Y1 KR2020070002766U KR20070002766U KR200439158Y1 KR 200439158 Y1 KR200439158 Y1 KR 200439158Y1 KR 2020070002766 U KR2020070002766 U KR 2020070002766U KR 20070002766 U KR20070002766 U KR 20070002766U KR 200439158 Y1 KR200439158 Y1 KR 20043915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rotation
height
armrest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276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찬석
Original Assignee
박찬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찬석 filed Critical 박찬석
Priority to KR202007000276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915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915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915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54Supports for the arm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2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3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arm-res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airs Characterized By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의자의 양측에 고정되어 상단으로 팔걸이부가 형성된 통상의 의자용 팔걸이의 높이 및 회동조절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일측이 의자의 좌판 저면에 고정 결합되는 것으로 외주면 일측으로 걸림턱을 형성하고 일측에 고정홈이 천공되어 있는 삽입바가 타측에 형성된 고정부와; 측면 양측에 서로 대응되는 걸림홀및 가이드홀을 갖는 장공이 천공되어 있고 측면 하단부에 제1안착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내주면 일측으로 가이드공이 천공되고 제1고정턱과 제2고정턱및 체결돌기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일측면으로 지지부재가 삽입되는 삽입홀이 하단부에 천공되어 상기 고정부의 삽입바 외측에 회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회동프레임과; 상기 고정부의 삽입바를 중심으로 회동하는 상기 회동프레임의 회동 유무를 결정하는 회동제어부재와; 상단 일측으로 상기 팔걸이부가 체결되고 내측으로 수용부를 형성하여 상기 회동프레임의 외측에 상하 유동 되게 체결되는 것으로 측면 일측에 제2안착홈이 구비되어 있는 이송프레임과; 상기 이송프레임이 회동프레임의 외측에 삽입되어 상하 유동하는 데 있어 그 높이를 조절하고 고정하는 높이조절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본 고안은 이송프레임 외측에 안착 되는 승강버튼부재를 눌러 이송프레임이 회동프레임으로부터 이탈되어 자유롭게 유동할 수 있어 팔걸이부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고, 회동프레임의 일측에 안착된 회동버튼부재를 눌러 회동프레임이 의자의 좌판에 고정된 고정부로부터 자유롭게 회동이 가능하게 되어 간단한 버튼 동작만으로 팔걸이부의 높이 및 회동을 조절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가 자신의 신체에 맞게 팔걸이부의 높이를 조절하여 편안한 자세로 작업을 할 수 있어 장시간 의자에 앉아서 작업하게 되더라고 편안함을 느낄 수 있음은 물론, 팔걸이부가 회동 됨에 따라 의자 간에 적층이 용이하여 다수의 의자를 보관하거나 운반하는데 용이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의자용 팔걸이의 높이 및 회동조절구조에 관한 것이다.
의자, 팔걸이부, 높이조절, 회동제어

Description

의자용 팔걸이의 높이 및 회동조절구조{The chair armrest of height and turning adjustment composition}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의자용 팔걸이이 높이 및 회동조절구조의 전체적인 결합 사시도 이며,
도 2는 본 고안이 전체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 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회동제어부재의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높이조절부재의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높이조절부재가 회동부재의 일측에 체결된 상태를 나타낸 요부 단면 사시도 이며,
도 6a는 본 고안에 따른 회동제어부재가 회동프레임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요부 단면도 이고,
도 6b는 본 고안에 따른 회동제어부재가 작동하는 관계를 나타낸 사용상태 단면도 이며,
도 7a는 본 고안에 따른 높이조절부재가 이송프레임 및 회동프레임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이고,
도 7b는 본 고안에 따른 높이조절부재가 작동하는 관계를 나타낸 사용상태 단면도 이며,
도 8a는 본 고안에 따른 고정부와 회동프레임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이고,
도 8b는 본 고안에 따른 회동프레임이 고정부를 중심으로 회동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 단면도 이며,
도 8c는 본 고안에 따른 고정부와 회동프레임이 결합하는데 있어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이다.
※ 도면 중 주요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10; 팔걸이부 20; 마개 100; 고정부
110; 삽입바 111; 걸림턱 112; 고정홈
200; 회동프레임 210; 장공 211; 걸림홀
212; 가이드홀 220; 제1안착홈 230; 삽입홀
231; 가이드공 232; 제1고정턱 233; 제2고정턱
234; 체결돌기 235; 지지부재 235a; 체결홈
300; 회동제어부재 310; 회동버튼부재 311; 푸쉬판
312; 절곡핀 312a; 제1절곡면 312b; 제2절곡면
320; 이송부재 321; 삽입공 321a; 제1경사면
321b; 제2경사면 400; 이송프레임 410; 수용부
420; 제2안착홈 500; 높이조절부재 510; 승강버튼부재
511; 버튼판 512; 가이드부 513; 걸림부
514; 연결핀 520; 안착링 521; 통공
530; 마감부재 531; 커버판 532; 연결바
532a; 안착공 N; 볼트 S; 스프링
본 고안은 간단한 버튼 동작만으로 팔걸이부의 높이 및 회동을 조절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가 자신의 신체에 맞게 팔걸이부의 높이를 조절하여 편안한 자세로 작업을 할 수 있어 장시간 의자에 앉아서 작업하게 되더라고 편안함을 느낄 수 있음은 물론, 팔걸이부가 회동 됨에 따라 의자 간에 적층이 용이하여 다수의 의자를 보관하거나 운반하는데 용이한 의자용 팔걸이의 높이 및 회동조절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자는 그 사용장소에 다양한 형태로 제공되고 있으며, 특히 사무실 및 컴퓨터용일 경우에는 팔걸이부가 필수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이는 신체의 일부분인 팔을 최대한 편하게 함으로서 팔에 스트레스 발생을 줄여 작업 능률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최근에는 안착부와 상기 안착부에 결합되는 등받이부 및 팔걸이부로 구성되어 있는 의자의 구조를 부분 변경하여 최대한의 편의를 제공하는 기능성의자가 선풍적인 인기를 얻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팔걸이 의자에 있어서 팔걸이의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한 높이 조절 수단은 다양한 형태로 개발되어 사용되어 지고 있는바 그 일 실시예는 다음과 같다.
파이프 형태의 지지대에 다수의 구멍을 형성하고, 상하 이동체의 측벽을 관통하여 버튼을 설치하며, 상기 버튼에 상기 구멍에 걸리는 걸림돌기가 형성하여 구성되어 있으며, 이렇게 구성된 높이 조절 수단은 걸림돌기가 걸리는 구멍의 높이를 달리함으로서 팔걸이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하지만, 상기한 종래 기술은 파이프형태의 지지대를 관통하여 형성된 구멍과 걸림돌기와 면접 되는 부분이 극히 좁아 즉, 면접 되는 부분이 파이프의 두께에 불과하여 걸림돌기가 구멍의 내주 단부에 의해 절단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버튼은 그 주단의 힌지부를 중심으로 양단이 서로 반대로 회동 됨에 의해 걸림돌기가 구멍으로부터 벗어나거나 구멍에 끼워져 상하 이동체의 높이가 고정되며, 이렇게 걸림돌기를 구멍에 끼워진 상태가 되게 하는 수단으로 스프링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스프링은 그 일측 단부는 버튼에 고정되나 타측 단부는 지지대의 외주면에 면접된 상태가 되어 버튼의 일측을 탄성적으로 지지하고 있다. 이와 같이 버 튼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의 일측 단부가 면접된 지지대의 외면에는 상기한 구멍이 형성되어 있어 스프링이 상기 구멍에 걸려 굽혀지거나 탄성이 변형되
는 문제가 있었다.
즉, 종래의 팔걸이 높이 조절 수단을 갖는 의자는 걸림돌기가 쉽게 파손되거나, 스프링이 변형되어 높이 조절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상술한 기술 이외에 다양한 형태로 의자의 팔걸이부 높이를 조절하는 구조가 개발되어 사용되어 지고 있지만 그 구조가 복잡하고 견고하지 못해 장시간 사용할 시 문제점이 발생하는게 사실이다.
한편, 상기와 같은 의자는 일반적으로 대량으로 생산하여 보관하거나 운반하는 것이 일반적인데, 이럴 경우 형상이 복잡한 의자를 보관하는 데 있어 의자의 팔걸이부가 서로 맞물리게 되어 다수의 의자를 적층 하지 못하고 보관 및 운반을 해야 하기 때문에 상당한 공간과 시간이 필요한 문제점 등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근본적인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걸림홈에서 이탈되는 걸림부 및 연결바를 구비하여 간단한 버튼 동작만으로 팔걸이부의 높이를 조절함에 있어 그 구조를 간단하게 하 면서 안전성을 함께 도모하여 사용자가 팔걸이부이 높이를 조절하는데 보다 편리하고 장시간 사용에도 안정적으로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의자용 팔걸이의 높이 및 회동조절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팔걸이의 회동을 가능하게 하여 대량의 의자를 보관 및 운반하는 데 있어 팔걸이를 회동시켜 의자를 적층 시켜 쌓아 올리는데 용이하도록 하여 대량의 의자를 보관하거나 운반하는데 용이한 의자용 팔걸이의 높이 및 회동조절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인 의자용 팔걸이의 높이 및 회동조절구조의 구체적인 해결적 수단은,
의자 양측에 결합되고 상단으로 팔걸이부(10)가 형성된 통상의 의자 팔걸이에 있어서,
일측이 의자의 좌판 저면에 고정 결합되는 것으로 외주면 일측으로 걸림턱(111)을 형성하고 일측에 고정홈(112)이 천공되어 있는 삽입바(110)가 타측에 형성된 고정부(100)와;
측면 양측에 서로 대응되는 걸림홀(211) 및 가이드홀(212)을 갖는 장공(210)이 천공되어 있고 측면 하단부에 제1안착홈(220)이 형성되어 있으며, 내주면 일측으로 가이드공(231)이 천공되고 제1고정턱(232)과 제2고정턱(233)및 체결돌기(234)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일측면으로 지지부재(235)가 삽입되는 삽입홀(230)이 하단부에 천공되어 상기 고정부(100)의 삽입바(110) 외측에 회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회동프레임(200)과;
상기 고정부(100)의 삽입바(110)를 중심으로 회동하는 상기 회동프레임(200)의 회동 유무를 결정하는 회동제어부재(300)와;
상단 일측으로 상기 팔걸이부(10)가 체결되고 내측으로 수용부(410)를 형성하여 상기 회동프레임(200)의 외측에 상하 유동 되게 체결되는 것으로 측면 일측에 제2안착홈(420)이 구비되어 있는 이송프레임(400)과;
상기 이송프레임(400)이 회동프레임(200)의 외측에 삽입되어 상하 유동하는 데 있어 그 높이를 조절하고 고정하는 높이조절부재(50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여 상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는바,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의자용 팔걸이이 높이 및 회동조절구조의 전체적인 결합 사시도 이며, 도 2는 본 고안이 전체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 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회동제어부재의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높이조절부재의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높이조절부재가 회동부재의 일측에 체결된 상태를 나타낸 요부 단면 사시도 이며, 도 6a는 본 고안에 따른 회동제어부재가 회동프레임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요부 단면도 이고, 도 6b는 본 고안에 따른 회동제어부재가 작동하는 관계를 나타낸 사용상태 단면도 이며, 도 7a는 본 고안에 따른 높이조절부재가 이송프 레임 및 회동프레임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이고, 도 7b는 본 고안에 따른 높이조절부재가 작동하는 관계를 나타낸 사용상태 단면도 이며, 도 8a는 본 고안에 따른 고정부와 회동프레임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이고, 도 8b는 본 고안에 따른 회동프레임이 고정부를 중심으로 회동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 단면도 이며, 도 8c는 본 고안에 따른 고정부와 회동프레임이 결합하는 데 있어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고안은 첨부한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의자의 좌판 저면에 고정되는 고정부(100) 일측에 회동제어부재(300)에 의해 회동이 제어되는 회동프레임(200)이 체결되고, 상기 회동프레임(200) 상측으로 상하 유동 되는 이송프레임(400)이 삽입되되 상기 이송프레임(400)의 상하 유동을 조절하는 높이조절부재(50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부(100)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측이 의자의 좌판 저면에 고정 결합되기 위해 다수의 체결공이 형성되어 있고 외주면 일측으로 걸림턱(111)을 형성하고 일측에 고정홈(112)이 천공되어 있는 삽입바(110)를 타측에 구비하여 후술하는 회동프레임(200)의 삽입홀(230)에 삽입되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동프레임(200)은 첨부한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100)의 삽입바(110)에 회동가능하게 체결되는 것으로, 측면 양측에 서로 대응되는 걸림 홀(211) 및 가이드홀(212)을 갖는 장공(210)을 천공하여 후술하는 높이조절부재(500)의 일부분이 이탈가능하게 체결되어 가이드 되는 역할을 하며, 측면 하단부에 제1안착홈(220)이 형성되어 있고, 내주면 일측으로 가이드공(231)이 천공되고 제1고정턱(232)과 제2고정턱(233)및 체결돌기(234)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일측면으로 지지부재(235)가 삽입되는 삽입홀(230)이 하단부에 천공되고 상기 삽입홀(230)의 일측이 마개(20)에 의해 커버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삽입홀(230)의 일측에 삽입되는 지지부재(235)는 일측으로 체결홈(235a)을 형성하여 상기 체결돌기(234)에 삽입되어 삽입홀(230)의 내측에 체결되는 것으로 상기 회동프레임(200)이 고정부(100)의 삽입바(110)를 중심으로 회동하는 데 있어 그 회동반경을 제안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이는 도 8a 내지 도 8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회동프레임(200)이 회동을 하지 않고 고정된 상태에서는 상기 고정부(100)의 삽입바(110) 외측에 형성된 걸림턱(111)의 일측이 삽입홀(230) 내측에 형성된 제1고정턱(232)에 접하게 되고, 회동프레임(200)이 회동하게 되면 걸림턱(111)의 타측이 삽입홀(230) 내측에 삽입된 지지부재(235)의 타측과 접하게 되어 더이상 회동이 되지 않고 일정 각을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지지부재(235)는 삽입홀(230) 내측에 형성된 제2고정턱(233)에 타측이 접한 상태에서 회동프레임(200)이 회동하게 되면 삽입바(110)의 걸림턱(111)에 타측이 접하게 되는 것이다.
물론 상기 지지부재(235)의 원주 길이는 원하는 길이만큼 조절이 가능하여 회동프레임(200)의 회동반경을 작게 하기를 원한 경우 지지부재(235)의 원주 길이를 크게 하여 회동프레임(200)이 적은 회동을 하더라고 지지부재(235)의 타측이 삽입바(110)의 걸림턱(111)에 접하게 되어 회동 반경이 작아 지는 것이고,
반면, 회동 반경을 더욱 늘리기 위해서는 상기 지지부재(235)를 제거하여 회동프레임(200)이 회동을 하게 되면 삽입홀(230) 내측에 형성된 제2고정턱(233)이 삽입바(110)의 걸림턱(111)에 타측이 접하게 되어 회동 반경을 크게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도 8c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지지부재(235)를 이용하여 회동프레임(200)이 회동하지 못하고 항상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하는 것 또한 가능하며, 이는 상기 지지부재(235)의 일측은 고정부(100)의 삽입바(110) 일측에 형성된 걸림턱(111)에 접하게 되고 타측은 회동프레임(200)의 삽입홀(230) 내측에 형성된 제2고정턱(233)에 접하게 되어 회동프레임(200)이 회동하지 않고 고정된 형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회동제어부재(300)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스프링(S)의 탄성 작용에 의해 작동하는 회동버튼부재(310)에 의해 상하 유동 되는 이송부재(320)로 이루어져 상기 회동프레임(200)의 회동 여부를 결정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기 회동버튼부재(310)는 상기 회동프레임(200)의 측면에 형성된 제1안착홈(220)에 안착 되는 푸쉬판(311)의 저면으로 스프링(S)이 삽입되는 절곡핀(312)이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절곡핀(312)은 절곡된 형상으로 제1절곡면(312a)과 제2절곡 면(312b)이 일측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이송부재(320)는 일측이 상기 회동프레임(200)의 삽입홀(230) 내측에 형성된 가이드공(231)에 가이드 되어 상기 고정부(100)의 삽입바(110) 일측에 형성된 고정홈(112)에 삽입되는 것으로, 일측으로 상기 회동버튼부재(310)의 절곡핀(312)이 삽입되는 삽입공(321)을 형성하되, 상기 삽입공(321) 내측으로 제1경사면(321a)과 제2경사면(321b)이 구비되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송프레임(400)은 첨부된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측으로 팔걸이부(10)가 결합되고 일측면으로 제2안착홈(420)을 구비하며 내측으로 수용부(410)를 형성하여 상기 회동프레임(200)의 외측에 삽입되어 상하 유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높이조절부재(500)는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스프링(S)의 탄성작용에 의해 작동하는 승강버튼부재(510)의 타측과 볼트(B)에 의해 나사 결합하는 마감부재(530) 사이에 안착링(520)이 구비되어 상기 이송프레임(400)이 상하 유동 되는 것을 제어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기 승강버튼부재(510)는 상기 이송프레임(400)의 측면에 형성된 제2안착홈(420)에 체결되는 버튼판(511) 저면으로 가이드부(512)와 걸림부(513) 및 연결핀(514)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가이드부(512)는 상기 회동프레임(200)의 일측에 천공된 가이드홀(212)에 가이드 되어 상하 유동하고 상기 걸 림부(513)는 상기 회동프레임(200)의 일측에 천공된 걸림홀(211)에 이탈이 가능하도록 체결되는 것이며,
상기 마감부재(530)는 상기 승강버튼부재(510)의 연결핀(514) 타측이 안착되는 안착공(532a)을 갖는 연결바(532)의 일측으로 커버판(531)이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연결바(532)가 상기 회동프레임(200)의 장공(210) 일측에 형성된 걸림홀(211)에 체결되는 것이며,
상기 안착링(520)은 상기 회동프레임(200)의 일측에 형성된 장공(210)의 내측에 위치하여 타측으로 스프링(S)이 안착 되고 중앙으로 통공(521)을 형성하여 상기 승강버튼부재(510)의 연결핀(514)이 통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의자용 팔길이의 높이 및 회동조절구조의 작동 과정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상기 회동프레임(200)이 고정부(100)로 부터 회동 되는 관계를 도 6a 및 도 6b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상기 이송부재(320)의 일측이 상기 회동프레임(200)의 삽입홀(230)내측에 천공된 가이드공(231)을 통과하여 상기 고정부(100)의 삽입바(110) 일측에 형성된 고정홈(112)에 삽입되어 지면 상기 회동프레임(200)은 회동하지 않고 고정부(100)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상기 회동프레임(200)의 회동을 필요로 할 때는 상기 회동버튼부재(310)의 푸쉬판(311)을 눌러 상기 이송부재(320)의 삽입공(321)에 삽입되어 있는 절곡핀(312)이 하단으로 이송하게 되면, 절곡핀(312)의 일측에 형성된 제1절곡면(312a)이 상기 이송부재(320)의 삽입공(321) 내측에 형성된 제1경사면(321a)을 밀면서 경사면을 따라 하단으로 이송하게 되어 이송부재(320)가 상단으로 이송하게 되면, 삽입바(110)의 고정홈(112)에 삽입되어 있는 이송부재(320)의 일측이 이탈되어 상기 회동프레임(200)이 고정부(100)로 부터 자유롭게 회동이 가능해 진다.
아울러, 상기 이송부재(320)를 다시 고정홈(112)에 삽입하기 위한 과정은 푸수판(311)에 가하는 압력을 해지하면 스프링(S)의 탄성력에 의해 회동버튼부재(310)가 상측으로 이송하게 되면서 상기 절곡핀(312)에 형성된 제2절곡면(312b)이 상기 이송부재(320)의 삽입공(321) 내측에 형성된 제2경사면(321b)을 밀면서 경사면을 따라 상단으로 이송하게 되면, 이송부재(320)가 하단으로 이송하게 되어 삽입바(110)의 고정홈(112)에 삽입되어 지면서 상기 회동프레임(200)이 고정부(100)에 고정되어 지는 것이다.
한편, 상기 이송프레임(400)이 회동프레임(200)의 외측에 삽입되어 상하 이송하는 관계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이송프레임(400)이 회동프레임(200)의 외측에 삽입되어 높이조절부재(500)에 의해 상하 이송하지 않고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관계는 도 7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이송프레임(400) 일측에 형성된 제2안착홈(420)에 안착 되는 승강버튼부재(510)의 버튼판(511) 저면에 일체로 형성된 걸림부(513)가 상기 회동 프레임(300)의 일측에 천공된 걸림홀(211)에 체결되고, 상기 마감부재(530)의 일측에 형성된 연결바(532)가 상기 회동프레임(200)의 타측면에 형성된 장공(210)의 걸림홀(211) 부분에 체결되어 이송프레임(400)이 상하 이송하지 않고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사용자가 팔을 올려놓고 사용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걸림부(513) 및 연결바(532)는 스프링(S)의 탄성에 의해 외부의 힘이 가해지지 않을경우 걸림홀(211)에 항상 위치하게 되어 평상시 높이조절부재(500)가 이송프레임(400)을 지지하게 된다.
또한, 이송프레임(400)이 상하 이송하는 관계는 도 7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높이조절부재(500)의 버튼판(511)에 힘을 가해 밀게 되면 상기 회동프레임(200)의 장공(210)에 형성된 걸림홀(211)에 체결된 승강버튼부재(510)의 걸림부(513)가 하단으로 이송하게 되면서 걸림홀(211)에서 이탈하게 되어 승강버튼부재(510)의 가이드부(512)가 상기 걸림홀(211)에 위치하게 되고, 상기 승강버튼부재(510)가 힘에 의해 이송하게 되면 승강버튼부재(510)와 볼트(B)에 의해 나사 결합된 마감부재(530) 또한 함께 이송하게 되어 마감부재(530)의 일측에 형성된 연결바(532)가 회동프레임(200)의 장공(210)에 형성된 걸림홀(211)에서 이탈하게 되면서 상대적으로 폭이 적은 승강버튼부재(510) 가이드부(211)가 회동프레임(200)의 장공(210)에 형성된 가이드홀(212)을 따라 가이드 되면서 상하 이송하게 되어 상기 이송프레임(400)이 자유롭게 상하 이송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승강버튼부재(510)의 버튼판(511)에 가해진 힘을 해지하면 스프링(S)의 탄성에 의해 승강버튼부재(510)및 마감부재(530)가 이송하면서 상기 승강버튼부재(510)에 형성된 걸림부(513)과 마감부재(530)에 형성된 연결바(532)가 각각 회동프레임(200)의 양측에 형성된 장공(210)의 걸림홀(211) 부분에 위치하게 되면서 이송프레임(400)을 고정하게 되어 사용자가 팔을 올려놓고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면,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걸림홈에서 이탈되는 걸림부 및 연결바를 구비하여 간단한 버튼 동작만으로 팔걸이부의 높이를 조절함에 있어 그 구조를 간단하게 하면서 안전성을 함께 도모하여 사용자가 팔걸이부이 높이를 조절하는데 보다 편리하고 장시간 사용에도 안정적으로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회동프레임을 고정부에 회동가능하게 체결하고 이를 제어하는 회동제어부재를 구성하여 필요에 따라 팔걸이를 회동시켜 절첩 시킴으로 해서 의자를 적층 시켜 쌓아 올리는데 용이하도록 하여 대량의 의자를 보관하거나 운반하는데 용이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Claims (4)

  1. 의자 양측에 결합되고 상단으로 팔걸이부(10)가 형성된 통상의 의자 팔걸이에 있어서,
    일측이 의자의 좌판 저면에 고정 결합되는 것으로 외주면 일측으로 걸림턱(111)을 형성하고 일측에 고정홈(112)이 천공되어 있는 삽입바(110)가 타측에 형성된 고정부(100)와;
    측면 양측에 서로 대응되는 걸림홀(211) 및 가이드홀(212)을 갖는 장공(210)이 천공되어 있고 측면 하단부에 제1안착홈(220)이 형성되어 있으며, 내주면 일측으로 가이드공(231)이 천공되고 제1고정턱(232)과 제2고정턱(233)및 체결돌기(234)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일측면으로 지지부재(235)가 삽입되는 삽입홀(230)이 하단부에 천공되어 상기 고정부(100)의 삽입바(110) 외측에 회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회동프레임(200)과;
    상기 고정부(100)의 삽입바(110)를 중심으로 회동하는 상기 회동프레임(200)의 회동을 제어하는 회동제어부재(300)와;
    상단 일측으로 상기 팔걸이부(10)가 체결되고 내측으로 수용부(410)를 형성하여 상기 회동프레임(200)의 외측에 상하 유동 되게 체결되는 것으로, 측면 일측에 제2안착홈(420)이 구비되어 있는 이송프레임(400)과;
    상기 이송프레임(400)이 회동프레임(200)의 외측에 삽입되어 상하 유동하는 데 있어 그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부재(50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 자용 팔걸이의 높이 및 회동조절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제어부재(300)는 상기 회동프레임(200)의 제1안착홈(220)에 안착 되는 푸쉬판(311) 저면으로 제1절곡면(312a)과 제2절곡면(312b)이 형성된 절곡핀(312)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회동버튼부재(310)와;
    상기 회동버튼부재(310)의 절곡핀(312)에 삽입되는 스프링(S)과;
    일측이 상기 회동프레임(200)의 삽입홀(230) 내측에 천공된 가이드공(231)에 가이드 되어 상기 고정부(100)의 삽입바(110) 일측에 형성된 고정홈(112)에 삽입되는 것으로, 제1경사면(321a)과 제2경사면(321b)을 갖는 삽입공(321)을 일측에 형성하여 상기 회동버튼부재(310)의 절곡핀(312)이 삽입되는 이송부재(32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용 팔걸이의 높이 및 회동조절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부재(500)는 상기 이송프레임(400)의 제2안착홈(420)에 안착 되는 버튼판(511) 저면으로 상기 회동프레임(200)의 장공(210)에 슬라이딩 및 이탈가능하게 삽입되는 가이드부(512)와 걸림부(513)가 일체로 구비되며 그 저면으로 연결핀(514)을 갖는 승강버튼부재(510)와;
    상기 승강버튼부재(510)의 연결핀(514)에 삽입되는 스프링(S)과;
    상기 회동프레임(200)에 형성된 장공(210)의 내측 일측면에 위치하는 것으로 중앙에 통공(521)을 형성하여 상기 승강버튼부재(510)의 연결핀(514)이 통과하는 안착링(520)과;
    상기 승강버튼부재(510)의 연결핀(514) 타측이 삽입되는 안착공(532a)이 구비된 연결바(532) 상측으로 커버판(531)이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승강버튼부재(510)와 볼트(B)에 의해 나사 결합하는 마감부재(53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용 팔걸이의 높이 및 회동조절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235)는 일측으로 체결홈(235a)을 형성하여 상기 회동프레임(200)의 삽입홀(230) 내측에 형성된 체결돌기(234)에 체결되는 것으로, 상기 회동프레임(200)이 회동하게 되면 상기 고정부(100)의 삽입바(110) 외주면에 형성된 걸림턱(111)에 일측이 접하게 되어 회동프레임(200)의 회동 반경을 제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용 팔걸이의 높이 및 회동조절구조.
KR2020070002766U 2007-02-15 2007-02-15 의자용 팔걸이의 높이 및 회동조절구조 KR20043915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2766U KR200439158Y1 (ko) 2007-02-15 2007-02-15 의자용 팔걸이의 높이 및 회동조절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2766U KR200439158Y1 (ko) 2007-02-15 2007-02-15 의자용 팔걸이의 높이 및 회동조절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9158Y1 true KR200439158Y1 (ko) 2008-03-25

Family

ID=416407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2766U KR200439158Y1 (ko) 2007-02-15 2007-02-15 의자용 팔걸이의 높이 및 회동조절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9158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6956B1 (ko) * 2012-11-21 2014-12-03 주식회사 디비케이 의자의 암레스트 높낮이 조절 장치
WO2016153314A1 (ko) * 2015-03-26 2016-09-29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침대 형태로 이루어진 온열치료기용 리모콘 거치대
KR20190069732A (ko) 2017-12-12 2019-06-20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간편 조절 팔걸이
CN112890503A (zh) * 2021-03-30 2021-06-04 佛山市科智美家具有限公司 一种能自由调节的扶手组件
KR102302192B1 (ko) * 2021-04-23 2021-09-13 김형선 교체형 반사밴드를 포함하는 중앙분리대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6956B1 (ko) * 2012-11-21 2014-12-03 주식회사 디비케이 의자의 암레스트 높낮이 조절 장치
WO2016153314A1 (ko) * 2015-03-26 2016-09-29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침대 형태로 이루어진 온열치료기용 리모콘 거치대
KR20160115279A (ko) * 2015-03-26 2016-10-06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침대 형태로 이루어진 온열치료기용 리모콘 거치대
KR101695537B1 (ko) 2015-03-26 2017-01-11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침대 형태로 이루어진 온열치료기용 리모콘 거치대
KR20190069732A (ko) 2017-12-12 2019-06-20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간편 조절 팔걸이
CN112890503A (zh) * 2021-03-30 2021-06-04 佛山市科智美家具有限公司 一种能自由调节的扶手组件
CN112890503B (zh) * 2021-03-30 2024-02-20 佛山市科智美家具有限公司 一种能自由调节的扶手组件
KR102302192B1 (ko) * 2021-04-23 2021-09-13 김형선 교체형 반사밴드를 포함하는 중앙분리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39158Y1 (ko) 의자용 팔걸이의 높이 및 회동조절구조
US7185948B2 (en) Collapsible reclining chair
USD566975S1 (en) Chair
USD599604S1 (en) Seat cushion
CN110313743A (zh) 椅子椅座的向前倾斜组件
USD943718S1 (en) Toilet seat
US11191360B2 (en) Armrest structure with adjustable lifting function
US20080250568A1 (en) Inflatable pad assembly
US7334842B1 (en) Chair with movable seat
USD566411S1 (en) Chair
USD545075S1 (en) Chaise lounge
US9585483B2 (en) Adjustable head support apparatus
KR200250514Y1 (ko) 절첩식 좌의자
KR200472055Y1 (ko) 낚시용 의자의 다리구조
KR101379690B1 (ko) 의자 일체형 테이블의 의자 결합구조
JP5858487B2 (ja) 可搬便器
CN206213630U (zh) 一种可伸缩式折叠椅
US10499748B2 (en) Baby dining chair
CN2905543Y (zh) 儿童座椅底座调整机构
CN208096482U (zh) 一种多功能排椅
KR100913380B1 (ko) 책,걸상용 받침다리의 높낮이 조절구
KR20070029226A (ko) 개량형 수강 의자
US20050264070A1 (en) Electric erecting chair
CN216416550U (zh) 一种简易折叠便携椅
CN220308732U (zh) 一种折叠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