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69729A - 고전압 커넥터용 쉴드쉘 - Google Patents

고전압 커넥터용 쉴드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69729A
KR20190069729A KR1020170169931A KR20170169931A KR20190069729A KR 20190069729 A KR20190069729 A KR 20190069729A KR 1020170169931 A KR1020170169931 A KR 1020170169931A KR 20170169931 A KR20170169931 A KR 20170169931A KR 20190069729 A KR20190069729 A KR 201900697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hook
lance
connector
rear e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99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17170B1 (ko
Inventor
이용주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699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7170B1/ko
Publication of KR201900697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97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71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71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81Shield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쉴드쉘과 커버 사이의 틈새를 최소화함으로써 해당 부분을 통해 차폐 손실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고전압 커넥터용 쉴드쉘에 관한 것으로, 커넥터의 결합방향으로 연장되고 양 단부가 개방된 중공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후단부 일측에서 연장되며 상기 몸체의 개방된 후단부를 폐쇄하도록 벤딩된 커버와, 상기 몸체의 후단부 타측에 형성되고 상기 몸체의 내부로 돌출된 엠보와, 상기 커버의 타측에서 연장되며 상기 몸체의 내부로 삽입되도록 벤딩된 후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고전압 커넥터용 쉴드쉘{SHIELD SHELL FOR HIGH VOLTAGE CONNECTOR}
본 발명은 고전압 커넥터용 쉴드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전자파 및 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하여 차량용 고전압 커넥터에 마련된 쉴드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자동차에 사용되는 전장 부품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이를 연결하기 위한 와이어 하네스의 비중도 증가하였다. 전장 부품의 용도 및 기능에 따라 저전압에서 고전압까지 다양한 전압이 공급되며, 이에 전장 부품에 사용되는 커넥터 또한 저전압용과 고전압용으로 구분되어 사용되고 있다.
상술한 커넥터 중 고전압 커넥터에는 고전류가 흐르는 케이블이 연결되는데, 고전류로 인하여 케이블 주변에는 전자파, 노이즈 등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전자파, 노이즈 등을 차단하기 위하여 고전압 커넥터의 내부에는 쉴드쉘이 마련된다.
대한민국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3-0002432호(2013.04.24.)에는 전자파 및 노이즈 제거를 위한 쉴드쉘이 구비된 커넥터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커넥터는, 커넥터의 외관을 형성하는 외부 하우징과, 상기 외부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는 내부 하우징과, 상기 외부 하우징과 상기 내부 하우징 사이에 설치되어 전자파 및 노이즈를 차단하는 쉴드쉘을 포함한다.
쉴드쉘은 전자파 및 노이즈를 차단할 수 있도록 도전성 금속으로 제작된다. 즉, 두께가 얇은 금속판을 말아 양단이 서로 접하도록 벤딩하여 전후방향으로 개방된 중공의 파이프 형상으로 제작된다.
쉴드쉘의 둘레에는 외부 하우징과의 결합을 위한 외부 랜스, 내부 하우징과의 결합을 위한 내부 랜스 및 쉴드쉘의 오조립 방지를 위한 랜스 등이 마련된다. 또한, 쉴드쉘의 일단에는 중공의 내부 공간을 폐쇄하는 커버가 설치되는데, 커버는 쉴드쉘의 개방된 일단을 덮을 수 있도록 쉴드쉘에서 연장 및 벤딩된 형태를 갖는다.
그런데 종래의 쉴드쉘은 둘레에 마련된 랜스, 일단에 형성된 커버로 인해 차폐 손실이 발생하게 된다. 다시 말해, 하우징과의 결합 및 오조립 방지를 위해 랜스를 형성할 경우 해당 부분이 개방되어 차폐 손실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커버의 경우 별도의 고정수단이 마련되어 있지 않아 쉴드쉘와 이격되므로 그 사이로 차폐 손실이 발생하게 된다.
대한민국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3-0002432호(2013.04.24.)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쉴드쉘과 커버 사이의 틈새를 최소화함으로써 해당 부분을 통해 차폐 손실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고전압 커넥터용 쉴드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커넥터 하우징과의 결합 및 오조립 방지를 위한 랜스를 통한 차폐 손실을 방지할 수 있는 고전압 커넥터용 쉴드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고전압 커넥터용 쉴드쉘은, 커넥터의 외부 하우징과 내부 하우징 사이에 개재되어 전자파 및 노이즈를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그 구성을 살펴보면, 상기 커넥터의 결합방향으로 연장되고 양 단부가 개방된 중공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후단부 일측에서 연장되며 상기 몸체의 개방된 후단부를 폐쇄하도록 벤딩된 커버와, 상기 몸체의 후단부 타측에 형성되고 상기 몸체의 내부로 돌출된 엠보와, 상기 커버의 타측에서 연장되며 상기 몸체의 내부로 삽입되도록 벤딩된 후크를 포함한다.
상술한 구성에 따르면, 상기 커버를 이용하여 상기 몸체의 개방된 후단부를 폐쇄할 경우 상기 후크가 상기 엠보에 걸림으로써 상기 커버가 상기 몸체에 고정된다.
한편, 상기 엠보는 상기 커넥터의 결합방향과 직각인 방향으로 이격된 한 쌍으로 구성되고, 상기 후크는 상기 엠보에 대응되는 T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엠보는 상기 몸체의 전방으로 갈수록 깊게 돌출되는 삼각뿔 형상이고, 상기 엠보의 전단에는 상기 후크가 걸릴 수 있도록 걸림턱이 형성될 수 있다.
다른 한편, 상기 몸체에는, 상기 외부 하우징과의 결합을 위해 상기 몸체의 외부로 돌출되게 연장된 외부 랜스와, 상기 내부 하우징과의 결합을 위해 상기 몸체의 내부로 돌출되게 연장된 내부 랜스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후크는 상기 랜스에 의해 형성된 절개부를 덮을 수 있도록 상기 랜스까지 연장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엠보와 후크를 이용하여 커버를 몸체에 고정함으로써 몸체와 커버 사이의 틈새를 최소화할 수 있고, 몸체와 커버 사이로 차폐 손실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커버에 마련된 후크가 랜스까지 연장됨으로써 커넥터 하우징과의 결합을 위해 마련된 랜스의 절개부를 통한 차폐 손실을 추가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쉴드쉘이 설치된 고전압 커넥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쉴드쉘이 설치된 고전압 커넥터의 단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전압 커넥터용 쉴드쉘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전압 커넥터용 쉴드쉘의 커버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3의 A-A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전압 커넥터용 쉴드쉘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전압 커넥터용 쉴드쉘의 분해사시도.
도 8은 도 6의 B-B 단면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그리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부가하였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전압 커넥터(1)는, 커넥터(1)의 외관을 형성하는 외부 하우징(100)과, 전류 및 신호 전달을 위한 터미널(미도시)이 수납되는 내부 하우징(200)과, 외부 하우징(100)과 내부 하우징(200) 사이에 설치되어 전자파 및 노이즈를 차단하는 쉴드쉘(300)과, 터미널(미도시)에 기계 및 전기적으로 연결된 케이블(500)과, 터미널(미도시)의 이탈을 방지하고 케이블(500)을 고정하며 수분 등의 이물질 유입을 방지하는 리어 홀더(6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외부 하우징(100)은 커넥터(1)의 결합방향으로 연장된 사각형 단면의 파이프 형상이다. 본 실시예의 커넥터(1)는 상대 커넥터(미도시)가 삽입, 체결되는 리셉터클 커넥터로서, 외부 하우징(100)의 내부에는 상대 커넥터(미도시)가 삽입될 수 있도록 장착공간(110)이 형성된다. 또한, 장착공간(110)의 양측에는 도면상 전후방향으로 안내홈(120)이 형성되는데, 상기 안내홈(120)은 상대 커넥터(미도시)의 삽입방향으로 안내하기 위한 수단이다.
내부 하우징(200)은 외부 하우징(100)의 내부, 즉 장착공간(110)에 형성된다. 내부 하우징(200)은 커넥터(1)의 결합방향으로 연장된 육면체 블록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대 커넥터(미도시)가 삽입되는 전단은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된다. 내부 하우징(200)의 전단에는 4개의 체결돌기(210)가 형성되고, 체결돌기(210)의 내부에는 전류 및 신호 전달을 위한 터미널(미도시)이 수납된다. 또한, 내부 하우징(200)의 상면에는 상대 커넥터(미도시)외의 체결을 위한 잠금수단(220)이 마련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쉴드쉘(300)은 외부 하우징(100)과 내부 하우징(200) 사이에 개재되되, 내부 하우징(200)의 외벽에 밀착되게 설치된다. 그리고 쉴드쉘(300)의 외측 둘레에는 상대 커넥터(미도시)와의 체결 시 밀봉을 위한 씰링부재(400)가 설치되며, 내부 하우징(200)의 후단에는 터미널(미도시)의 이탈을 방지하고 케이블(500)을 고정하며 수분 등의 이물질 유입을 방지하는 리어 홀더(600)가 조립된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고전압 커넥터용 쉴드쉘(300)에 대해 상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이때, 도 3 내지 도 5에서는 쉴드쉘(300)의 구조를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쉴드쉘(300)이 후단이 전방에 위치되도록 도시하였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쉴드쉘(300)은, 커넥터(도 1의 1)의 결합방향으로 연장된 몸체(310)와, 몸체(310)의 후단부(도면상 전단)에 마련된 커버(3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몸체(310)는 내부 하우징(도 2의 200)의 외벽에 밀착될 수 있도록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사각형 단면의 파이프 형상이다. 좀 더 상세하게는, 4개의 모서리가 곡면으로 라운드 진 사각형 단면의 파이프 형상이다.
몸체(310)의 양 측면에는 외부 하우징(도 2의 100)과의 결합을 위한 외부 랜스(312)가 마련되고, 상면 및 하면에는 내부 하우징(도 2의 200)과의 결합을 위한 내부 랜스(314)가 마련된다. 즉, 외부 랜스(312)는 몸체(310)의 측면을 ㄷ자 형상으로 절개한 후 그 내부가 몸체(310)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벤딩하여 제작한다. 반면, 내부 랜스(314)는 몸체(310)의 상면(또는 하면)을 ㄷ자 형상으로 절개한 후 그 내부가 몸체(310)의 내측으로 돌출되게 벤딩하여 제작한다. 이때, 외부 랜스(312)는 몸체(310)의 전단(도면상 후방)을 향해 연장되고 내부 랜스(314)는 몸체(310)의 후단(도면상 전방)을 향해 연장되는데, 이와 같이 외부 랜스(312)와 내부 랜스(314)를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할 경우 쉴드쉘(300)에 의한 하우징(도 2의 100,200)의 체결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몸체(110)의 상면과 하면에는 후술할 커버(320)를 고정하기 위한 엠보(316)가 마련된다. 엠보(316)는 상술한 랜스(312)보다 몸체(310)의 후단부(도면상 전단) 측에 위치되고, 몸체(310)의 양측으로 이격된 한 쌍으로 구성된다. 이때, 엠보(316)는 몸체(310)의 내부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다시 말해, 엠보(316)는 몸체(310)의 전방으로 갈수록 깊게 돌출되는 삼각뿔 형상으로 형성되고, 엠보(316)의 전단에는 후술할 후크(324)가 걸릴 수 있도록 걸림턱(318)이 형성된다.
커버(320)는 몸체(310)의 개방된 후단부를 폐쇄하는 사각형 판재로, 몸체(310)의 후단부 하면에서 연장되어 벤딩된다. 커버(320)에는 터미널(미도시)에 기계 및 전기적으로 연결된 케이블(도 2의 500)이 관통되는 관통공(322)이 형성된다. 또한, 커버(320)에는 벤딩된 커버(320)를 몸체(310)에 고정하기 위한 후크(324)가 마련된다.
후크(324)는 커버(320)의 상단에서 연장되며 몸체(310)의 내부로 삽입되도록 벤딩된다. 후크(324)는 한 쌍의 엠보(316)에 걸려 고정될 수 있도록 T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쉴드쉘(300)은 커버(320)를 통해 몸체(310)의 개방된 후단부를 폐쇄할 수 있으며, 특히 엠보(316)와 후크(324)를 이용하여 커버(320)를 몸체(310)에 고정함으로써, 몸체(310)와 커버(320) 사이의 틈새를 최소화하여 차폐 손실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후크(324)는 내부 랜스(314)를 위해 형성된 절개부(319)를 덮을 수 있도록 내부 랜스(314)까지 연장될 수 있는데, 이처럼 후크(324)를 내부 랜스(314)까지 연장할 경우 절개부(319)를 통한 차폐 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전압 커넥터용 쉴드쉘(700)을 도시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쉴드쉘(700)은, 커넥터(도 1의 1)의 결합방향으로 연장된 몸체(710)와, 몸체(710)의 후단부(도면상 전단)를 폐쇄하도록 결합되는 커버(7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몸체(710)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되고 4개의 모서리가 곡면으로 라운드 진 사각형 단면의 파이프 형상이다. 몸체(710)의 양 측면에는 외부 하우징(도 2의 100)과의 결합을 위해 몸체(710)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벤딩된 외부 랜스(712)가 마련된다. 또한, 몸체(710)의 상면 및 하면에는 내부 하우징(도 2의 200)과의 결합을 위해 몸체(710)의 내측으로 돌출되게 벤딩된 내부 랜스(714)가 마련된다. 이때, 외부 랜스(712)와 내부 랜스(714)는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몸체(710)의 상면, 하면 및 양 측면에는 커버(720)를 고정하기 위한 엠보(716)가 마련된다. 엠보(716)는 상술한 랜스(712,714)보다 몸체(710)의 후단부(도면상 전단) 측에 위치되고, 커넥터(도 2의 1)의 체결방향에 대해 직각인 방향으로 이격되는 한 쌍으로 구성된다.
상술한 엠보(716)는 일 실시예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엠보(716)는 몸체(310)의 내부로 돌출되게 형성되되 몸체(710)의 전방으로 갈수록 깊게 돌출되는 삼각뿔 형상으로 형성되고, 엠보(716)의 전단에는 후술할 후크(724)가 걸릴 수 있도록 걸림턱(718)이 형성된다.
커버(720)는 몸체(710)의 개방된 후단부를 폐쇄하는 사각형 판재로, 몸체(310)의 후단부 하면에서 연장되어 벤딩된다. 커버(720)에는 터미널(미도시)에 기계 및 전기적으로 연결된 케이블(도 2의 500)이 관통되는 관통공(722)이 형성된다. 또한, 커버(320)의 상단, 하단, 양 측단에는 몸체(310)에 고정하기 위한 후크(724)가 마련된다.
후크(724)는 커버(720)의 상단에서 연장되며 몸체(710)의 내부로 삽입되도록 벤딩된다. 후크(724)는 한 쌍의 엠보(316)에 걸려 고정될 수 있도록 T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때, 후크(724)는 랜스(712,714)를 위해 형성된 절개부(719)를 덮을 수 있도록 연장되는데, 이처럼 후크(724)를 랜스(712,7114)까지 연장할 경우 절개부(719)를 통한 차폐 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쉴드쉘(700)은 커버(720)를 통해 몸체(710)의 개방된 후단부를 폐쇄할 수 있으며, 특히 엠보(716)와 후크(724)를 이용하여 커버(720)를 몸체(710)에 고정함으로써, 몸체(710)와 커버(720) 사이의 틈새를 최소화하여 차폐 손실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하였는데,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가 가능함은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특정 실시예가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고전압 커넥터 100: 외부 하우징
200: 내부 하우징 300: 쉴드쉘
310: 몸체 320: 커버
400: 씰링부재 500: 케이블
600: 리어 홀더

Claims (10)

  1. 커넥터의 외부 하우징과 내부 하우징 사이에 개재되어 전자파 및 노이즈를 차단하는 쉴드쉘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의 결합방향으로 연장되고 양 단부가 개방된 중공의 몸체;
    상기 몸체의 후단부 일측에서 연장되며 상기 몸체의 개방된 후단부를 폐쇄하도록 벤딩된 커버;
    상기 몸체의 후단부 타측에 형성되고 상기 몸체의 내부로 돌출된 엠보; 및
    상기 커버의 타측에서 연장되며 상기 몸체의 내부로 삽입되도록 벤딩된 후크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를 이용하여 상기 몸체의 개방된 후단부를 폐쇄할 경우 상기 후크가 상기 엠보에 걸림으로써 상기 커버가 상기 몸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 커넥터용 쉴드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엠보는 상기 커넥터의 결합방향과 직각인 방향으로 이격된 한 쌍으로 구성되고, 상기 후크는 상기 엠보에 대응되는 T자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 커넥터용 쉴드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엠보는 상기 몸체의 전방으로 갈수록 깊게 돌출되는 삼각뿔 형상이고, 상기 엠보의 전단에는 상기 후크가 걸릴 수 있도록 걸림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 커넥터용 쉴드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몸체에는, 상기 외부 하우징과의 결합을 위해 상기 몸체의 외부로 돌출되게 연장된 외부 랜스와, 상기 내부 하우징과의 결합을 위해 상기 몸체의 내부로 돌출되게 연장된 내부 랜스가 마련되고,
    상기 외부 랜스와 상기 내부 랜스는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 커넥터용 쉴드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후크는 상기 랜스에 의해 형성된 절개부를 덮을 수 있도록 상기 랜스까지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 커넥터용 쉴드쉘.
  6. 커넥터의 외부 하우징과 내부 하우징 사이에 개재되어 전자파 및 노이즈를 차단하는 쉴드쉘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의 결합방향으로 연장되고 양 단부가 개방된 중공의 몸체;
    상기 몸체의 후단부를 폐쇄하도록 결합되는 커버;
    상기 몸체의 후단부 둘레를 따라 방사상으로 배치되고 상기 몸체의 내부로 돌출된 엠보; 및
    상기 커버의 둘레를 따라 방사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몸체의 내부로 삽입되도록 벤딩된 후크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를 이용하여 상기 몸체의 개방된 후단부를 폐쇄할 경우 상기 후크가 상기 엠보에 걸림으로써 상기 커버가 상기 몸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 커넥터용 쉴드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엠보는 상기 커넥터의 결합방향과 직각인 방향으로 이격된 한 쌍으로 구성되고, 상기 후크는 상기 엠보에 대응되는 T자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 커넥터용 쉴드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엠보는 상기 몸체의 전방으로 갈수록 깊게 돌출되는 삼각뿔 형상이고, 상기 엠보의 전단에는 상기 후크가 걸릴 수 있도록 걸림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 커넥터용 쉴드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몸체에는, 상기 외부 하우징과의 결합을 위해 상기 몸체의 외부로 돌출되게 연장된 외부 랜스와, 상기 내부 하우징과의 결합을 위해 상기 몸체의 내부로 돌출되게 연장된 내부 랜스가 마련되고,
    상기 외부 랜스와 상기 내부 랜스는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 커넥터용 쉴드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후크는 상기 랜스에 의해 형성된 절개부를 덮을 수 있도록 상기 랜스까지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 커넥터용 쉴드쉘.
KR1020170169931A 2017-12-12 2017-12-12 고전압 커넥터용 쉴드쉘 KR1025171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9931A KR102517170B1 (ko) 2017-12-12 2017-12-12 고전압 커넥터용 쉴드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9931A KR102517170B1 (ko) 2017-12-12 2017-12-12 고전압 커넥터용 쉴드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9729A true KR20190069729A (ko) 2019-06-20
KR102517170B1 KR102517170B1 (ko) 2023-04-04

Family

ID=671038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9931A KR102517170B1 (ko) 2017-12-12 2017-12-12 고전압 커넥터용 쉴드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717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601625A (en) * 2020-10-30 2022-06-08 Tyco Electronics Shanghai Co Ltd High-voltage connector and electromagnetic shielding shell for high-voltage connecto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97647A (ja) * 1995-10-02 1997-04-08 Hosiden Corp 低背型コネクタソケット
KR20130002432A (ko) 2011-06-29 2013-01-08 현대제철 주식회사 슬라브 사이즈 측정 시스템
KR20130002432U (ko) * 2011-10-14 2013-04-24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커넥터
KR101783853B1 (ko) * 2015-12-21 2017-10-10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고전압 커넥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97647A (ja) * 1995-10-02 1997-04-08 Hosiden Corp 低背型コネクタソケット
KR20130002432A (ko) 2011-06-29 2013-01-08 현대제철 주식회사 슬라브 사이즈 측정 시스템
KR20130002432U (ko) * 2011-10-14 2013-04-24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커넥터
KR101783853B1 (ko) * 2015-12-21 2017-10-10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고전압 커넥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601625A (en) * 2020-10-30 2022-06-08 Tyco Electronics Shanghai Co Ltd High-voltage connector and electromagnetic shielding shell for high-voltage connector
US11901674B2 (en) 2020-10-30 2024-02-13 Tyco Electronics (Shanghai) Co., Ltd. High-voltage connector and electromagnetic shielding shell for high-voltage conne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17170B1 (ko) 2023-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8932B1 (ko) 전기 커넥터
US9385516B2 (en) Connector
JP5333632B2 (ja) シールドコネクタ
US9570899B2 (en) Connector with rubber plug, retainer for retaining rubber plug and a guide formed on a rear part of the retainer for accommodating bending of wires
JP2012128966A (ja) 防水コネクタ
CN101997239A (zh) 屏蔽连接器安装结构和屏蔽连接器
US10530094B2 (en) Electrical connector
JP3827650B2 (ja) シールド接続構造
WO2018110228A1 (ja) コネクタ
KR20170079581A (ko) 고접압 커넥터
KR101958672B1 (ko) 커넥터
JP2012003882A (ja) コネクタ
KR20190069729A (ko) 고전압 커넥터용 쉴드쉘
JP5229580B2 (ja) シールドコネクタ
US20210399499A1 (en) Terminal module and connector
JP5048580B2 (ja) シールドコネクタ
KR101862154B1 (ko) 고전압 커넥터
KR200479351Y1 (ko) 커넥터
JP3947092B2 (ja) 機器用コネクタ
JP7191488B2 (ja) コネクタ
CN211958130U (zh) 一种抗干扰的射频连接器
KR20170072756A (ko) 커넥터
JP3947094B2 (ja) 機器用シールドコネクタ
CN218828255U (zh) 用于连接器的屏蔽壳、屏蔽壳组件和连接器组件
US20230261422A1 (en) Shield conn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