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68061A - 누유 검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누유 검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68061A
KR20190068061A KR1020170168071A KR20170168071A KR20190068061A KR 20190068061 A KR20190068061 A KR 20190068061A KR 1020170168071 A KR1020170168071 A KR 1020170168071A KR 20170168071 A KR20170168071 A KR 20170168071A KR 20190068061 A KR20190068061 A KR 201900680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period
leak
data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80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93058B1 (ko
Inventor
정순호
김진석
오진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대한송유관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대한송유관공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대한송유관공사
Priority to KR10201701680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3058B1/ko
Publication of KR201900680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80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30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30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26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 G01M3/28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for pipes, cables or tubes; for pipe joints or seals; for valves ; for welds
    • G01M3/2807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for pipes, cables or tubes; for pipe joints or seals; for valves ; for welds for pipes
    • G01M3/2815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for pipes, cables or tubes; for pipe joints or seals; for valves ; for welds for pipes using pressure measure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1/00Measuring arrangements giving results other than momentary value of variable, of general application
    • G01D1/12Measuring arrangements giving results other than momentary value of variable, of general application giving a maximum or minimum of a valu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1/00Measuring arrangements giving results other than momentary value of variable, of general application
    • G01D1/18Measuring arrangements giving results other than momentary value of variable, of general application with arrangements for signalling that a predetermined value of an unspecified parameter has been exceede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04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 G01M3/16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using electric detection means
    • G01M3/18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using electric detection means for pipes, cables or tubes; for pipe joints or seals; for valves; for welds; for containers, e.g. radia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xamining Or Testing Airtightness (AREA)

Abstract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구현되는 제1 주기 동안 전달되는 압력 데이터를 이용하여 배관에 대한 평균 압력 및 잡음신호(noise) 레벨을 계산하는 계산부 및 상기 제1 주기 이후의 제2 주기 동안 전달되는 압력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배관에 대한 3차 피팅(fitting)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3차 피팅 데이터의 극대점 및 극소점의 압력 차이와 상기 잡음신호 레벨의 비율에 따라 누유 의심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를 포함하는 누유 검출 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누유 검출 장치 및 방법{DETEC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OIL LEAK}
이하의 실시예들은 누유 검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송유관은 수십 km 또는 수백 km 내의 구간에서 원유, 휘발유, 등유, 경유, 항공유 및 석유 등을 수송하는 배관을 나타낸다. 송유관은 배관이 부식되어 누출되는 경우, 지진 등과 같은 지각 변동에 의해 배관이 손상되어 누출되는 경우, 외부 공사현장의 진동에 의해 배관이 손상되는 경우, 배관이 매설된 인근지역에서 기름을 사용하기 위해 악의적으로 배관을 훼손하는 경우 등의 사유로 배관에 누설(leak)이 발생할 수 있다.
송유관 등과 같은 배관의 누설이 발생한 경우에는 손실된 기름 자체에 의한 경제적 손실뿐만 아니라, 주변 토양, 하천, 바다 등에 흘러 들어간 기름에 의한 2차적 환경적 손실이 존재하기 때문에 배관의 누설을 탐지하고, 누설 위치를 정확하게 판단하는 기술의 중요성이 존재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72383호는 실시간 관망 해석 및 누수 탐지 장치, 방법 및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대상특허는 물이 분기되는 노드 등을 포함하는 유입 지점과 소정 지역 내에 설치된 센서로부터 실시간 측정값을 수신하는 통신부와 실시간 유입 수량의 변동을 반영하여 각 노드에서의 평균 소비 수량을 보정하는 실시간 보정부의 구성을 포함하고 있다.
일측에 따르면, 누유 검출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누유 검출 장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구현되는 제1 주기 동안 전달되는 압력 데이터를 이용하여 배관에 대한 평균 압력 및 잡음신호(noise) 레벨을 계산하는 계산부 및 상기 제1 주기 이후의 제2 주기 동안 전달되는 압력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배관에 대한 3차 피팅(fitting)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3차 피팅 데이터의 극대점 및 극소점의 압력 차이와 상기 잡음신호 레벨의 비율에 따라 누유 의심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판단부는 상기 3차 피팅 데이터의 3차 계수값이 0보다 큰 경우에 누유 의심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3차 계수값이 0 또는 0보다 작은 경우에 새로운 압력 데이터를 이용하여 새로운 3차 피팅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3차 피팅 데이터의 3차 계수값이 0보다 크고 상기 제2 주기 동안 상기 3차 피팅 데이터에서 기울기가 0이 되는 서로 다른 두 점이 존재하는 경우에, 상기 판단부는 상기 서로 다른 두 점의 압력 차이를 극대점 및 극소점의 압력 차이로 계산할 수 있다.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3차 피팅 데이터의 3차 계수값이 0보다 크고, 상기 제2 주기 동안 상기 3차 피팅 데이터에서 기울기가 0이 되는 점이 존재하지 않거나 중근인 경우에, 상기 판단부는 새로운 압력 데이터를 이용하여 새로운 3차 피팅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판단부는 상기 배관의 식별값에 따라 누유 의심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상기 잡음신호 레벨의 비율을 설정하고, 상기 3차 피팅 데이터의 극대점 및 극소점의 압력 차이가 기설정된 상기 잡음신호 레벨의 비율을 초과하는 경우에 누유 의심을 판단할 수 있다.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누유 검출 장치는 상기 판단부에 의해 판단된 제1 누유 의심 시점과 지정된 다른 기기로부터 판단된 제2 누유 의심 시점의 시간 차이와 상기 누유 검출 장치 및 상기 지정된 다른 기기의 거리 차이에 따라 상기 배관의 누유를 검출하는 검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검출부는 수학식 1을 이용하여 계산된 상기 배관의 누유 검출 파라미터의 크기에 따라 상기 배관의 누유를 검출할 수 있다. 상기 수학식 1은
Figure pat00001
이고, ΔT는 상기 제2 누유 의심 시점과 상기 제1 누유 의심 시점의 시간 차이이고, L은 상기 지정된 다른 기기와 상기 누유 검출 장치의 거리 차이이고, VF는 상기 누유 검출 장치에서 상기 지정된 다른 기기로 압력파가 진행하는 속도이고, VR은 상기 지정된 다른 기기에서 상기 누유 검출 장치로 압력파가 진행하는 속도이고, La는 상기 배관의 누유 검출 위치일 수 있다.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검출부는 상기 누유 검출 위치 La가 0보다 크고 L보다 작은 경우에 상기 배관의 누유를 검출할 수 있다.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계산부는 상기 배관의 식별값에 따라 상기 제1 주기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제1 주기 동안의 압력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평균 압력 및 상기 잡음신호 레벨을 계산할 수 있다.
다른 일측에 따르면, 접촉된 배관으로부터 실시간 압력 데이터를 획득하는 센서부, 제1 주기 동안 획득되는 압력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배관에 대한 평균 압력 및 잡음신호(noise) 레벨을 계산하는 계산부, 상기 제1 주기 이후의 제2 주기 동안 획득되는 압력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배관에 대한 3차 피팅(fitting)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3차 피팅 데이터의 극대점 및 극소점의 압력 차이와 상기 잡음신호 레벨의 비율에 따라 누유 의심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 및 상기 누유 의심 여부에 대한 판단 결과를 지정된 클라이언트 서버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센싱 장치가 제공된다.
또 다른 일측에 따르면, 배관의 누유를 검출하는 프로그램을 수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제공된다. 상기 프로그램은 제1 주기 동안 전달되는 압력 데이터를 이용하여 배관에 대한 평균 압력 및 잡음신호(noise) 레벨을 계산하는 명령어 세트, 상기 제1 주기 이후의 제2 주기 동안 전달되는 압력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배관에 대한 3차 피팅(fitting) 데이터를 생성하는 명령어 세트 및 상기 3차 피팅 데이터의 극대점 및 극소점의 압력 차이와 상기 잡음신호 레벨의 비율에 따라 누유 의심 여부를 판단하는 명령어 세트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누유 검출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도 1의 누유 검출 장치가 각각의 주기에 따른 동작 과정을 설명하는 예시도이다.
도 3은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누유 검출 장치가 3차 피팅 데이터를 이용하여 누유 의심을 판단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도 3의 누유 검출 장치가 다른 기기로부터 전달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배관의 누유 지점을 검출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예시도이다.
도 5는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센싱 장치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실시예들에 대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예시를 위한 목적으로 개시된 것으로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들은 특정한 개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명세서의 범위는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으로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누유 검출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누유 검출 장치(100)는 계산부(110), 판단부(120) 및 검출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누유 검출 장치(100)는 지정된 압력 센서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여 실시간 압력 데이터를 수신하는 서버(server) 또는 클라이언트(client) 서버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누유 검출 장치(100)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구현되는 계산부(110), 판단부(120) 및 검출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누유 검출 장치(100)는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복수의 압력 센서와 통신할 수 있다.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는 WLAN(Wireless LAN), WiFi(Wireless Fidelity) Direct,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의 무선 인터넷 인터페이스와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의 근거리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통신 인터페이스는 외부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모든 인터페이스(예를 들어, 유선 인터페이스)를 나타낼 수 있다.
누유 검출 장치(100)와 통신하는 각각의 압력 센서들은 지정된 배관 구간에 접촉되며, 배관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그러나 한정되지 않게 압력 센서 각각은 대한민국 내 호서 구간, 울산-대구 구간, 대전-천안 구간 등과 같은 각각의 지역을 커버하는 송유관에 설치되며, 압력 센서 각각을 나타내는 식별값과 함께 실시간으로 측정된 압력 데이터를 누유 검출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계산부(110)는 제1 주기 동안 전달되는 압력 데이터를 이용하여 배관에 대한 평균 압력 및 잡음신호(noise) 레벨을 계산할 수 있다. 상기 제1 주기는 각각의 배관 구간에 대응하여 미리 지정된 시간 길이를 나타낼 수 있다. 예시적으로, 그러나 한정되지 않게 상기 제1 주기는 40초(sec)로 설정될 수 있다. 계산부(110)는 제1 주기 동안의 압력 데이터들의 평균값을 계산하여 평균 압력을 획득할 수 있다. 또한, 계산부(110)는 제1 주기 동안의 평균 압력을 기준으로 최대 압력값 및 최소 압력값을 계산하고, 상기 최대 압력값과 상기 최소 압력값의 차이를 잡음신호 레벨로 계산할 수 있다.
판단부(120)는 상기 제1 주기 이후의 제2 주기 동안 전달되는 압력 데이터를 이용하여 배관에 대한 3차 피팅(fitting)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3차 피팅 데이터는 지정된 구간 동안 배관으로부터 전달되는 압력 데이터를 플로팅(plotting)한 결과값으로서 생성되는 3차 함수식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3차 함수식의 X 값은 시간(sec)을 나타내고, Y 축은 압력(kgf/cm2)을 나타낼 수 있다. 판단부(120)는 생성된 3차 피팅 데이터의 극대점 및 극소점의 압력 차이와 잡음신호 레벨의 비율을 비교하여, 상기 배관에 대한 누유 의심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판단부(120)가 3차 피팅 데이터를 생성하여 누유 의심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추가될 도면과 함께 보다 자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검출부(130)는 판단부(120)에 의해 판단된 제1 누유 의심 시점과 다른 기기로부터 전달된 제2 누유 의심 시점의 시간 차이와 누유 검출 장치(100)가 설치된 위치 및 상기 다른 기기가 설정된 위치의 거리 차이를 이용하여 배관의 누유를 검출할 수 있다. 또한, 검출부(130)는 상기 제1 누유 의심 시점 및 상기 제2 누유 의심 시점의 시간 차이와 누유 검출 장치(100)가 설치된 위치 및 상기 다른 기기가 설정된 위치의 거리 차이를 이용하여 배관 상의 존재하는 누유 검출 지점의 위치값을 계산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검출부(130)의 동작 과정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추가될 도면과 함께 보다 자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 2a 및 도 2b는 도 1의 누유 검출 장치가 각각의 주기에 따른 동작 과정을 설명하는 예시도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제1 주기 동안 누유 검출 장치(100)의 계산부(110)로 전달되는 압력 데이터가 도시된다. 예시적으로, 그러나 한정되지 않게 상기 압력 데이터의 X 축은 시간(sec)을 나타내고, Y 축은 압력(kgf/cm2)을 나타낼 수 있다.
계산부(110)는 미리 지정된 제1 주기의 압력 데이터를 이용하여 특정 배관에 대한 평균 압력(210), 잡음신호 최대 레벨(221) 및 잡음신호 최소 레벨(222)을 계산할 수 있다. 계산부(110)는 배관에 지정된 식별값에 따라 제1 주기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계산부(110)는 결정된 제1 주기 동안의 압력 데이터를 이용하여 평균 압력(210) 및 잡음신호 레벨(221, 222)를 계산할 수 있다.
누유 검출 장치(100)는 각각의 배관 구간이 나타내는 특성값에 따라 제1 주기의 길이를 미리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배관이 배설된 위치의 고도, 배관 관경, 배관 재질, 유종, 압력 등에 따라 배관을 통해 흐르는 압력파의 파형 및 주기가 상이할 수 있다. 누유 검출 장치(100)는 위와 같은 배관의 특성값에 따라 결정된 제1 주기의 길이를 배관의 식별값과 매칭하여 저장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그러나 한정되지 않게 호서 구간의 제1 배관에는 제1 주기로서 40초가 설정되고, 울산-대구 구간의 제2 배관에는 제1 주기로서 60초가 설정되고, 대전-천안 구간의 제3 배관에는 제1 주기로서 30초가 설정되는 것과 같이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구체적으로, 계산부(110)는 제1 주기 동안 입력되는 압력 데이터의 평균값으로서 평균 압력(210)을 계산할 수 있다. 또한, 계산부(110)는 평균 압력(210)을 기준으로 압력 데이터의 최대 압력값을 나타내는 지점을 잡음신호 최대 레벨(221)로 계산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계산부(110)는 평균 압력(210)을 기준으로 압력 데이터의 최소 압력값을 나타내는 지점을 잡음신호 최소 레벨(222)로 계산할 수 있다.
도 2b를 참조하면, 제2 주기 동안 누유 검출 장치(100)로 전달되는 압력 데이터가 도시된다. 도 2a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압력 데이터의 X 축은 시간(sec)을 나타내고, Y 축은 압력(kgf/cm2)을 나타낼 수 있다. 판단부(120)는 제2 주기 동안 전달되는 압력 데이터를 이용하여 배관에 대한 3차 피팅 데이터(230)를 생성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그러나 한정되지 않게 판단부(120)는 제2 주기 동안 전달되는 압력 데이터를 3차 함수식으로 플로팅(plotting)하고, 플로팅된 3차 함수식을 상기 3차 피팅 데이터(230)로서 생성할 수 있다. 데이터 플로팅 기법은 기술 분야의 전문가에게는 straight forward한 내용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판단부(120)는 배관의 식별값에 따라 누유 의심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잡음신호 레벨의 비율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판단부(120)는 3차 피팅 데이터(230)의 극대점 및 극소점의 압력 차이(242)를 계산할 수 있다. 판단부(120)는 계산된 잡음신호 레벨(241)에 대한 극대점 및 극소점의 압력 차이(242)의 비율을 비교하여, 배관의 누유 의심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판단부(120)는 3차 피팅 데이터(230)의 극대점 및 극소점의 압력 차이(242)가 기설정된 잡음신호 레벨(241)의 비율을 초과하는 경우에 지정된 배관에 대한 누유 의심을 판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그러나 한정되지 않게 판단부(120)는 계산된 잡음신호 레벨(241)에 대해 극대점 및 극소점의 압력 차이(242)가 4배 이상인 경우에, 해당 배관을 누유 의심 배관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4배의 수치는 이해를 돕기 위한 예시적 기재일 뿐, 다른 실시예를 한정하거나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이를테면, 상기 비율은 3배, 3.5배 또는 5배와 같이 다양한 수치적 변형이 가능한 값이다.
도 3은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누유 검출 장치가 3차 피팅 데이터를 이용하여 누유 의심을 판단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누유 검출 장치가 3차 피팅 데이터를 이용하여 누유 의심을 판단하는 방법은 지정된 시간 동안의 압력 데이터를 이용하여 배관에 대한 3차 피팅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310), 상기 3차 피팅 데이터의 3차 계수값이 0보다 큰 지 여부를 비교하는 단계(320), 지정된 시간 구간 내의 상기 3차 피팅 데이터에 기울기가 0이 되는 서로 다른 두 점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330) 및 상기 서로 다른 두 점의 압력 차이와 기설정된 잡음신호 레벨을 비교하여 누유 의심을 판단하는 단계(340)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310)에서 누유 검출 장치는 미리 지정된 시간 동안의 압력 데이터를 이용하여 3차 피팅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압력 데이터로부터 3차 피팅 데이터가 생성되는 과정에 대해서는 도 2b와 함께 기재된 설명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어,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단계(320)에서 누유 검출 장치는 상기 3차 피팅 데이터의 3차 계수값이 0보다 큰 지 여부를 비교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누유 검출 장치의 판단부는 3차 피팅 데이터의 3차 계수값이 0보다 큰 경우에 누유 의심 여부를 계속적으로 판단하고, 단계(330)를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3차 계수값이 0 또는 0보다 작은 경우, 누유 검출 장치는 단계(310)를 수행하고, 새로운 압력 데이터를 이용하여 새로운 3차 피팅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누유 검출 장치는 누유가 시작되는 지점에서 발생하는 압력 강하를 보다 정확하게 검출하기 위해 3차 피팅 데이터의 3차 계수값이 0보다 큰 경우에만 누유 지점 검출을 수행하여 누유 검출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다.
단계(320)에서 3차 피팅 데이터의 3차 계수값이 0보다 큰 것으로 판단된 경우, 단계(330)가 수행될 수 있다. 단계(330)에서 누유 검출 장치는 지정된 시간 구간 내의 3차 피팅 데이터에 기울기가 0이 되는 서로 다른 두 점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단계(330)에서, 지정된 시간 구간 내의 3차 피팅 데이터에 기울기가 0이 되는 서로 다른 두 점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누유 검출 장치는 단계(340)를 수행할 수 있다. 반면에, 단계(330)에서 지정된 시간 구간 내의 3차 피팅 데이터에 기울기가 0이 되는 점이 존재하지 않거나 0이 되는 점이 중근인 경우, 누유 검출 장치의 판단부는 단계(310)를 다시 실행하며 새로운 압력 데이터를 이용하여 새로운 3차 피팅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단계(340)에서 누유 검출 장치는 기울기가 0이 되는 서로 다른 두 점의 압력 차이를 극대점 및 극소점의 압력 차이로서 계산할 수 있다. 또한, 누유 검출 장치는 3차 피팅 데이터의 극대점 및 극소점의 압력 차이가 기설정된 잡음신호 레벨의 비율을 초과하는 경우에 누유 의심을 판단할 수 있다. 누유 검출 장치로 전달되는 압력 데이터 내에는 실측 압력값과 대비되는 잡음신호(noise)에 의한 오버슈팅(overshooting)이 존재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누유 검출 장치는 일정 구간의 압력 데이터를 3차 피팅 데이터로 변환하고, 변환된 데이터의 극대점 및 극소점을 비교함으로써 오버슈팅된 잡음신호를 제거하여 보다 정확하게 누유 검출 여부를 판단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4는 도 3의 누유 검출 장치가 다른 기기로부터 전달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배관의 누유 지점을 검출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예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복수의 센서 장치(421, 422)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누유 검출 장치(410)가 도시된다. 본 실시예의 누유 검출 장치(410)는 지정된 구역에 설치된 복수의 센서 장치(421, 422)로부터 실시간 압력 데이터를 수집하고, 배관을 모니터링하여 이상 상태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를 중앙 서버로 보고하는 클라이언트 서버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도 4에는 두 센싱 장치(421, 422) 사이에 존재하는 누유 검출 위치(430)가 도시된다.
누유 검출 장치(410)는 복수의 센싱 장치로부터 수집된 압력 데이터 각각을 이용하여 복수의 누유 의심 시점을 계산해낼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누유 의심 시점은 3차 피팅 데이터 내에서 기울기가 0이 되는 두 시점의 압력 차이가 잡음신호 레벨의 설정 비율을 초과하는 시점을 나타낸다. 누유 의심 시점은 각각의 센싱 장치(421, 422) 및 누유 검출 장치(410)가 이용하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시간을 기준으로 그 계산 시점이 결정될 수 있다.
또한, 누유 검출 장치(410)는 각각의 센싱 장치(421, 422)에 의해 검출된 누유 의심 시점의 시간 차이와 실제 센싱 장치(421, 422)들의 거리 차이를 비교하는 것으로 계산된 누유 의심 시점이 오버슈팅과 같은 오류(error)에 기인한 것인지, 실제 누유 발생에 관한 것인지 판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누유 검출 장치(410)는 제1 센싱 장치(421)로부터 획득된 압력 데이터를 이용하여 판단된 제1 누유 의심 시점과 다른 제2 센싱 장치(422)로부터 획득된 압력 데이터를 이용하여 판단된 제2 누유 의심 시점을 비교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누유 검출 장치(410)가 각각의 센싱 장치(421, 422)로부터 압력 데이터를 획득하고, 각각의 센싱 장치(421, 422, 423)에 대응하는 누유 의심 시점을 직접 계산하는 실시예가 설명되나, 각각의 센싱 장치(421, 422) 자체에서 누유 의심 시점을 계산하고, 계산된 누유 의심 시점을 누유 검출 장치(410)로 전송하는 실시예 또한 본원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누유 검출 장치(410)는 제1 센싱 장치(421)에 대응하는 제1 누유 의심 시점과 제2 센싱 장치(422)에 대응하는 제2 누유 의심 시점의 시간 차이를 계산할 수 있다. 또한, 누유 검출 장치(410)는 제1 센싱 장치(421)와 제2 센싱 장치(422) 사이의 거리를 계산하여 배관의 누유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누유 검출 장치(410)는 아래의 수학식 1을 이용하여 제1 센싱 장치(421)를 기준으로 한 배관의 누유 검출 위치(Leak Spot)(430) La를 계산할 수 있다.
Figure pat00002
상기 수학식 1에서, ΔT는 제1 센싱 장치(421)에 대응하는 제1 누유 의심 시점과 제2 센싱 장치(422)에 대응하는 제2 누유 의심 시점의 시간 차이를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ΔT는 제1 센싱 장치(421)가 3차 피팅 데이터를 이용하여 누유 의심을 검출한 제1 누유 의심 시점 t1 및 제2 센싱 장치(422)가 3차 피팅 데이터를 이용하여 누유 의심을 검출한 제2 누유 의심 시점 t2의 시간 차이인 t2-t1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수학식 1에서 L은 두 센싱 장치(421, 422) 사이의 거리를 나타내고, VF는 제1 센싱 장치(421)에서 제2 센싱 장치(422)로 압력파가 진행하는 속도(forward pressure wave propagation velocity)를 나타내고, VR은 제2 센싱 장치(422)에서 제1 센싱 장치(421)로 압력파가 진행하는 속도(reverse pressure wave propagation velocity)를 나타내고, La는 제1 센싱 장치(421)가 제2 센싱 장치(422) 방향으로 검출한 누유 검출 위치(430)를 나타낸다.
또한, 누유 검출 장치(410)는 제1 센싱 장치(421)를 기준으로 계산된 누유 검출 위치 La가 0보다 크고, L보다 작은 경우에 제1 센싱 장치(421) 및 제2 센싱 장치(422) 사이에 존재하는 배관의 누유를 검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누유 검출 장치(411)는 제1 센싱 장치(421)를 기준으로 제2 센싱 장치(422) 방향으로 La 거리만큼 떨어진 위치를 누유 검출 위치로 검출할 수 있다. 또한, 누유 검출 장치(410)는 제1 센싱 장치(421)를 기준으로 계산된 누유 검출 위치 La가 0보다 작거나, L보다 큰 경우에 정상 범위를 벗어난 경우(out of range)로 판정하고, 해당 누유 검출을 오버슈팅에 의한 오류로 처리할 수 있다.
도 5는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센싱 장치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센싱 장치(500)는 센서부(510), 계산부(520), 판단부(530) 및 통신부(54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센싱 장치(500)는 특정 배관 내의 지정된 위치에 설치되며, 고유의 식별값(ID: identification)을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센싱 장치(500)는 획득된 센싱 데이터뿐만 아니라 누유 의심 여부에 대한 판단 결과를 지정된 클라이언트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클라이언트 서버는 복수의 센싱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누유 의심 여부와 누유 의심 시점의 시간 차이를 비교하는 것만으로 누유가 실제로 발생했는지 판단할 수 있어, 누유 검출의 정확도와 신속성을 높이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센서부(510)는 접촉된 배관으로부터 실시간 압력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센서부(510)는 압력 센서를 포함하여, 배관 내의 압력 데이터를 측정할 수 있다.
계산부(520)는 센서부(510)로부터 제1 주기 동안 획득되는 압력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배관에 대한 평균 압력 및 잡음신호(noise) 레벨을 계산할 수 있다. 제1 주기는 센싱 장치(500)의 고유 식별값에 따라 결정되는 변수이며, 클라이언트 서버는 센싱 장치(500)의 위치에 따라 제1 주기를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판단부(530)는 상기 제1 주기 이후의 제2 주기 동안 획득되는 압력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배관에 대한 3차 피팅(fitting)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판단부(530)는 상기 3차 피팅 데이터의 극대점 및 극소점의 압력 차이와 상기 잡음신호 레벨의 비율에 따라 누유 의심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센싱 장치(500)의 판단부의 동작에 대해서는 도 1의 누유 검출 장치의 판단부에 관한 설명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어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통신부(540)는 상기 누유 의심 여부에 대한 판단 결과를 지정된 클라이언트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 서버는 센싱 장치(500)로부터 수신된 누유 의심 시점과 다른 센싱 장치로부터 수신된 누유 의심 시점의 시간 차이 및 센싱 장치들의 거리 차이를 비교하여, 양 단의 센싱 장치의 판단값을 통해 누유 발생의 정확도를 검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클라이언트 서버는 앞서 기재된 수학식 1과 같은 누유 검출 위치를 계산하여 누유 발생 여부를 검증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센싱 장치(500)는 스마트 센서로서 단순히 압력 데이터를 측정하는 것뿐만 아니라, 본원 발명이 제안하는 누유 의심 판단을 지원하는 알고리즘을 수행하여 누유 의심 여부를 클라이언트 서버 또는 중앙 서버로 보고하여 보다 신속하고 정확한 누유 검출이 가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방법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를 기초로 다양한 기술적 수정 및 변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Claims (11)

  1.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구현되는:
    제1 주기 동안 전달되는 압력 데이터를 이용하여 배관에 대한 평균 압력 및 잡음신호(noise) 레벨을 계산하는 계산부; 및
    상기 제1 주기 이후의 제2 주기 동안 전달되는 압력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배관에 대한 3차 피팅(fitting)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3차 피팅 데이터의 극대점 및 극소점의 압력 차이와 상기 잡음신호 레벨의 비율에 따라 누유 의심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
    를 포함하는 누유 검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상기 3차 피팅 데이터의 3차 계수값이 0보다 큰 경우에 누유 의심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3차 계수값이 0 또는 0보다 작은 경우에 새로운 압력 데이터를 이용하여 새로운 3차 피팅 데이터를 생성하는 누유 검출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3차 피팅 데이터의 3차 계수값이 0보다 크고 상기 제2 주기 동안 상기 3차 피팅 데이터에서 기울기가 0이 되는 서로 다른 두 점이 존재하는 경우에, 상기 판단부는 상기 서로 다른 두 점의 압력 차이를 극대점 및 극소점의 압력 차이로 계산하는 누유 검출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3차 피팅 데이터의 3차 계수값이 0보다 크고, 상기 제2 주기 동안 상기 3차 피팅 데이터에서 기울기가 0이 되는 점이 존재하지 않거나 중근인 경우에, 상기 판단부는 새로운 압력 데이터를 이용하여 새로운 3차 피팅 데이터를 생성하는 누유 검출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상기 배관의 식별값에 따라 누유 의심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상기 잡음신호 레벨의 비율을 설정하고, 상기 3차 피팅 데이터의 극대점 및 극소점의 압력 차이가 기설정된 상기 잡음신호 레벨의 비율을 초과하는 경우에 누유 의심을 판단하는 누유 검출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에 의해 판단된 제1 누유 의심 시점과 지정된 다른 기기로부터 판단된 제2 누유 의심 시점의 시간 차이와 상기 누유 검출 장치 및 상기 지정된 다른 기기의 거리 차이에 따라 상기 배관의 누유를 검출하는 검출부
    를 더 포함하는 누유 검출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는 수학식 1을 이용하여 계산된 상기 배관의 누유 검출 위치에 따라 상기 배관의 누유를 검출하고,
    상기 수학식 1은
    Figure pat00003
    이고, ΔT는 상기 제2 누유 의심 시점과 상기 제1 누유 의심 시점의 시간 차이이고, L은 상기 지정된 다른 기기와 상기 누유 검출 장치의 거리 차이이고, VF는 상기 누유 검출 장치에서 상기 지정된 다른 기기로 압력파가 진행하는 속도이고, VR은 상기 지정된 다른 기기에서 상기 누유 검출 장치로 압력파가 진행하는 속도이고, La는 상기 배관의 누유 검출 위치인 누유 검출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는 상기 누유 검출 위치 La가 0보다 크고 L보다 작은 경우에 상기 배관의 누유를 검출하는 누유 검출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산부는 상기 배관의 식별값에 따라 상기 제1 주기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제1 주기 동안의 압력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평균 압력 및 상기 잡음신호 레벨을 계산하는 누유 검출 장치.
  10. 접촉된 배관으로부터 실시간 압력 데이터를 획득하는 센서부;
    제1 주기 동안 획득되는 압력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배관에 대한 평균 압력 및 잡음신호(noise) 레벨을 계산하는 계산부;
    상기 제1 주기 이후의 제2 주기 동안 획득되는 압력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배관에 대한 3차 피팅(fitting)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3차 피팅 데이터의 극대점 및 극소점의 압력 차이와 상기 잡음신호 레벨의 비율에 따라 누유 의심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 및
    상기 누유 의심 여부에 대한 판단 결과를 지정된 클라이언트 서버로 전송하는 통신부
    를 포함하는 센싱 장치.
  11. 배관의 누유를 검출하는 프로그램을 수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은:
    제1 주기 동안 전달되는 압력 데이터를 이용하여 배관에 대한 평균 압력 및 잡음신호(noise) 레벨을 계산하는 명령어 세트;
    상기 제1 주기 이후의 제2 주기 동안 전달되는 압력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배관에 대한 3차 피팅(fitting) 데이터를 생성하는 명령어 세트; 및
    상기 3차 피팅 데이터의 극대점 및 극소점의 압력 차이와 상기 잡음신호 레벨의 비율에 따라 누유 의심 여부를 판단하는 명령어 세트
    를 포함하는 누유 검출 방법.
KR1020170168071A 2017-12-08 2017-12-08 누유 검출 장치 및 방법 KR1019930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8071A KR101993058B1 (ko) 2017-12-08 2017-12-08 누유 검출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8071A KR101993058B1 (ko) 2017-12-08 2017-12-08 누유 검출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8061A true KR20190068061A (ko) 2019-06-18
KR101993058B1 KR101993058B1 (ko) 2019-06-25

Family

ID=670654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8071A KR101993058B1 (ko) 2017-12-08 2017-12-08 누유 검출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305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6937B1 (ko) * 2008-12-30 2009-07-10 주식회사대한송유관공사 4개지점에서 측정된 압력값으로부터 누유위치를 추정하는 방법 및 장치
WO2014050923A1 (ja) * 2012-09-28 2014-04-03 日本電気株式会社 漏洩判定方法、漏洩判定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WO2015146082A1 (ja) * 2014-03-26 2015-10-01 日本電気株式会社 漏洩検知装置、漏洩検知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を格納する記録媒体
KR101672383B1 (ko) 2016-05-03 2016-11-03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실시간 관망 해석 및 누수 탐지 장치, 방법 및 프로그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6937B1 (ko) * 2008-12-30 2009-07-10 주식회사대한송유관공사 4개지점에서 측정된 압력값으로부터 누유위치를 추정하는 방법 및 장치
WO2014050923A1 (ja) * 2012-09-28 2014-04-03 日本電気株式会社 漏洩判定方法、漏洩判定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WO2015146082A1 (ja) * 2014-03-26 2015-10-01 日本電気株式会社 漏洩検知装置、漏洩検知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を格納する記録媒体
KR101672383B1 (ko) 2016-05-03 2016-11-03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실시간 관망 해석 및 누수 탐지 장치, 방법 및 프로그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3058B1 (ko) 2019-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94002B2 (en) Conduit monitoring
US9846103B2 (en) Oilfield conduit leakage detection system
Liu et al. Fast leak detection and location of gas pipelines based on an adaptive particle filter
KR102003169B1 (ko) 유량 데이터를 이용한 누유 감지 방법 및 장치, 그리고 누유 위치 추정 장치 및 방법
US10656041B2 (en) Detection of leaks from a pipeline using a distributed temperature sensor
US10481036B2 (en) Pipeline leak detection system
US10458878B2 (en) Position determination device, leak detection system, position determination method,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US10036684B2 (en) Leakage determination system and leakage determination method
US20170219454A1 (en) Leak identification in a mass transport network
KR101666773B1 (ko) 이동식의 무선 배관 누설 탐지 장치
JP2022552498A (ja) 漏洩検出方法
GB2547383A (en) Position estimation device, position estimation system, position estimation method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Aziz et al. A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based remote pipeline monitoring system
Islam et al. Leak detection and location pinpointing in water pipeline systems using a wireless sensor network
KR101173636B1 (ko) 압력 파형을 이용한 송유관의 누유 탐지 시스템 및 방법
Shama et al. Review of leakage detection methods for subsea pipeline
KR101993058B1 (ko) 누유 검출 장치 및 방법
GB2506838A (en) A method of identifying leaks in a fluid carrying conduit using a pig
WO2017188074A1 (ja) 漏洩箇所分析システム、漏洩箇所分析方法、漏洩箇所分析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KR101965690B1 (ko) 상수관로 모니터링 시스템
JP6428073B2 (ja) 分析装置、分析システム、分析方法及びプログラム
Lina et al. Summary of detection and location for oil and gas pipeline leak
KR101395311B1 (ko) 누수현황 산출시스템 및 그 방법
WO2015146109A1 (ja) 欠陥分析装置、欠陥分析方法および記憶媒体
Li et al. A study of multi-method based subsea pipeline leak detec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