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2383B1 - 실시간 관망 해석 및 누수 탐지 장치, 방법 및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실시간 관망 해석 및 누수 탐지 장치, 방법 및 프로그램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72383B1 KR101672383B1 KR1020160054525A KR20160054525A KR101672383B1 KR 101672383 B1 KR101672383 B1 KR 101672383B1 KR 1020160054525 A KR1020160054525 A KR 1020160054525A KR 20160054525 A KR20160054525 A KR 20160054525A KR 101672383 B1 KR101672383 B1 KR 10167238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node
- real
- time
- hydraulic pressure
- wat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nergy or water supply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26—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 G01M3/28—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for pipes, cables or tubes; for pipe joints or seals; for valves ; for weld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200/00—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Public Health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xamining Or Testing Airtightness (AREA)
- Pipeline System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배수지와 물을 필요로 하는 복수의 지역이 상수도관을 통해 연결된 형태와, 물이 유입되는 유입 지점마다 유량 센서가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물이 공급되는 유입 지점과 연결된 소정 지역의 관망 해석을 위해 소정 지역이 복수의 구획 구간으로 분할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관망 해석 및 누수 탐지 방법의 순서를 나타낸 도면이다.
110: 통신부
120: 실시간 보정부
130: 관망 해석부
104: 누수 탐지부
200: 배수지
201: 유량 센서
202: 상수도관
203: 가구
204: 노드
205a, 205b, 205c: 수압 센서
206: 구획 구간
Claims (16)
- 물이 공급되는 유입 지점과 연결되며, 복수의 구획 구간을 갖는 소정 지역을 실시간 관망 해석하여 누수를 탐지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구획 구간은 각각 물이 분기되는 노드가 존재하며,
상기 장치는,
상기 유입 지점 및 상기 소정 지역 내에 설치된 센서로부터 실시간 측정값을 수신하는 통신부와,
상기 유입 지점에서의 실시간 유입 수량의 변동을 반영하여 상기 실시간 유입 수량의 변동에 비례하도록 각 노드에서의 평균 소비 수량을 보정하는 실시간 보정부와,
상기 각 노드에서의 보정된 소비 수량, 각 노드에서의 누수량, 상기 유입 지점 및 상기 각 노드에서의 지반고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통해 각 노드에서의 수압을 예측하는 관망 해석부와,
상기 일부 노드에서 예측된 수압과 상기 일부 노드에서의 실측 수압의 차이가 소정 범위 이상인 경우, 모든 노드에 대해서 각 노드 별로, 기 설정된 범위의 누수량을 순차적으로 대입하여 상기 관망 해석부를 통해 수압을 예측한 복수의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복수의 데이터 중 상기 일부 노드에서의 예측된 수압과 상기 일부 노드에서의 실측 수압의 차이가 가장 작은 데이터를 선정하여, 상기 선정된 데이터를 생성할 때 대입된 누수량을 실제 누수량으로 판단하고, 상기 누수량이 대입된 노드를 누수 발생 노드로 탐지하는 누수 노드 탐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통신부는 모든 노드 중 수압 센서가 설치된 일부 노드에서의 실측 수압을 수신하는,
실시간 관망 해석 및 누수 탐지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유량 센서 및 수압 센서를 포함하는
실시간 관망 해석 및 누수 탐지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 구간은,
소정의 구간이 노드를 하나씩 포함하면서 다른 노드를 포함하는 소정의 구간과 겹치지 않도록 나뉜
실시간 관망 해석 및 누수 탐지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노드에서의 평균 소비 수량은,
상기 노드를 포함하는 구획 구간 내에 포함된 가구에서 일정 기간 동안 소비된 수량을 합하여 단위 시간으로 나눈
실시간 관망 해석 및 누수 탐지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시간 보정부는,
상기 유입 지점에서의 특정 시간당 유입 수량에 상기 소정 지역에서의 특정 단위 시간당 평균 소비 수량을 나눈 보정 계수를 상기 각 노드에서의 평균 소비 수량에 곱하여 보정하는
실시간 관망 해석 및 누수 탐지 장치.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이는,
상기 일부 노드에서의 예측된 수압과 상기 일부 노드에서의 실측 수압의 RMSE(Root Mean Square Error) 값을 통해 판단하는
실시간 관망 해석 및 누수 탐지 장치.
- 물이 공급되는 유입 지점과 연결되며, 복수의 구획 구간을 갖는 소정 지역을 실시간 관망 해석 및 누수 탐지 장치가 실시간 관망 해석하여 누수를 탐지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구획 구간은 각각 물이 분기되는 노드가 존재하며,
상기 방법은,
상기 유입 지점 및 상기 소정 지역 내에 설치된 센서로부터 실시간 측정값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유입 지점에서의 실시간 유입 수량의 변동을 반영하여 상기 실시간 유입 수량의 변동에 비례하도록 각 노드에서의 평균 소비 수량을 보정하는 단계와,
상기 각 노드에서의 보정된 소비 수량, 상기 유입 지점 및 상기 각 노드에서의 지반고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통해 각 노드에서의 수압을 예측하는 단계와,
상기 일부 노드에서 예측된 수압과 상기 일부 노드에서의 실측 수압의 차이가 소정 범위 이상인 경우, 모든 노드에 대해서 각 노드 별로, 기 설정된 범위의 누수량을 순차적으로 대입하여 새롭게 수압을 예측하여 복수의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복수의 데이터 중 상기 일부 노드에서의 예측된 수압과 상기 일부 노드에서의 실측 수압의 차이가 가장 작은 데이터를 선정하는 단계와,
상기 선정된 데이터를 생성할 때 대입된 누수량을 실제 누수량으로 판단하고, 상기 누수량이 대입된 노드를 누수 발생 노드로 탐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실시간 측정값을 수신하는 단계는,
모든 노드 중 수압 센서가 설치된 일부 노드에서의 실측 수압을 수신하는,
실시간 관망 해석 및 누수 탐지 방법.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유량 센서 및 수압 센서를 포함하는
실시간 관망 해석 및 누수 탐지 방법.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 구간은,
소정의 구간이 노드를 하나씩 포함하면서 다른 노드를 포함하는 소정의 구간과 겹치지 않도록 나뉜
실시간 관망 해석 및 누수 탐지 방법.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각 노드에서의 평균 소비 수량은,
상기 노드를 포함하는 구획 구간 내에 포함된 가구에서 일정 기간 동안 소비된 수량을 합하여 단위 시간으로 나눈
실시간 관망 해석 및 누수 탐지 방법.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평균 소비 수량을 보정하는 단계는,
상기 유입 지점에서의 특정 시간당 유입 수량에 상기 소정 지역에서의 특정 단위 시간당 평균 소비 수량을 나눈 보정 계수를 상기 각 노드에서의 평균 소비 수량에 곱하여 보정하는
실시간 관망 해석 및 누수 탐지 방법.
- 삭제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차이는,
상기 일부 노드에서의 예측된 수압과 상기 일부 노드에서의 실측 수압의 RMSE(Root Mean Square Error) 값을 통해 판단하는
실시간 관망 해석 및 누수 탐지 방법.
- 물이 공급되는 유입 지점과 연결되며, 복수의 구획 구간을 갖는 소정 지역을 실시간 관망 해석 및 누수 탐지 장치가 실시간 관망 해석하여 누수를 탐지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구획 구간은 각각 물이 분기되는 노드가 존재하며,
상기 방법은,
상기 유입 지점 및 상기 소정 지역 내에 설치된 센서로부터 실시간 측정값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유입 지점에서의 실시간 유입 수량의 변동을 반영하여 상기 실시간 유입 수량의 변동에 비례하도록 각 노드에서의 평균 소비 수량을 보정하는 단계와,
상기 각 노드에서의 보정된 소비 수량, 상기 유입 지점 및 상기 각 노드에서의 지반고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통해 각 노드에서의 수압을 예측하는 단계와,
상기 일부 노드에서 예측된 수압과 상기 일부 노드에서의 실측 수압의 차이가 소정 범위 이상인 경우, 모든 노드에 대해서 각 노드 별로, 기 설정된 범위의 누수량을 순차적으로 대입하여 새롭게 수압을 예측하여 복수의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복수의 데이터 중 상기 일부 노드에서의 예측된 수압과 상기 일부 노드에서의 실측 수압의 차이가 가장 작은 데이터를 선정하는 단계와,
상기 선정된 데이터를 생성할 때 대입된 누수량을 실제 누수량으로 판단하고, 상기 누수량이 대입된 노드를 누수 발생 노드로 탐지하는 단계를 수행하되,
실시간 측정값을 수신하는 단계는,
모든 노드 중 수압 센서가 설치된 일부 노드에서의 실측 수압을 수신하는,
컴퓨터 판독 기능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
- 물이 공급되는 유입 지점과 연결되며, 복수의 구획 구간을 갖는 소정 지역을 실시간 관망 해석 및 누수 탐지 장치가 실시간 관망 해석하여 누수를 탐지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구획 구간은 각각 물이 분기되는 노드가 존재하며,
상기 방법은,
상기 유입 지점 및 상기 소정 지역 내에 설치된 센서로부터 실시간 측정값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유입 지점에서의 실시간 유입 수량의 변동을 반영하여 상기 실시간 유입 수량의 변동에 비례하도록 각 노드에서의 평균 소비 수량을 보정하는 단계와,
상기 각 노드에서의 보정된 소비 수량, 상기 유입 지점 및 상기 각 노드에서의 지반고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통해 각 노드에서의 수압을 예측하는 단계와,
상기 일부 노드에서 예측된 수압과 상기 일부 노드에서의 실측 수압의 차이가 소정 범위 이상인 경우, 모든 노드에 대해서 각 노드 별로, 기 설정된 범위의 누수량을 순차적으로 대입하여 새롭게 수압을 예측하여 복수의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복수의 데이터 중 상기 일부 노드에서의 예측된 수압과 상기 일부 노드에서의 실측 수압의 차이가 가장 작은 데이터를 선정하는 단계와,
상기 선정된 데이터를 생성할 때 대입된 누수량을 실제 누수량으로 판단하고, 상기 누수량이 대입된 노드를 누수 발생 노드로 탐지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명령어를 포함하되,
실시간 측정값을 수신하는 단계는,
모든 노드 중 수압 센서가 설치된 일부 노드에서의 실측 수압을 수신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54525A KR101672383B1 (ko) | 2016-05-03 | 2016-05-03 | 실시간 관망 해석 및 누수 탐지 장치, 방법 및 프로그램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54525A KR101672383B1 (ko) | 2016-05-03 | 2016-05-03 | 실시간 관망 해석 및 누수 탐지 장치, 방법 및 프로그램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672383B1 true KR101672383B1 (ko) | 2016-11-03 |
Family
ID=575712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54525A Active KR101672383B1 (ko) | 2016-05-03 | 2016-05-03 | 실시간 관망 해석 및 누수 탐지 장치, 방법 및 프로그램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72383B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77537B1 (ko) | 2018-05-09 | 2019-05-10 | 주식회사대한송유관공사 | 누유 검출 장치 및 방법 |
KR20190068061A (ko) | 2017-12-08 | 2019-06-18 | 주식회사대한송유관공사 | 누유 검출 장치 및 방법 |
CN110728679A (zh) * | 2019-10-23 | 2020-01-24 | 合肥盛东信息科技有限公司 | 一种管接头漏水智能监测方法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9217900A (ja) * | 1995-12-06 | 1997-08-19 | Hitachi Ltd | 流体輸送管網制御システム及び方法 |
KR100973662B1 (ko) * | 2010-01-20 | 2010-08-03 | 주식회사 유앤유소프트 | 실증적방법과 수학적방법을 융합하는 하이브리드 기법에 의한 상수도관망에서의 누수탐지시스템 |
KR20140145637A (ko) | 2010-03-04 | 2014-12-24 | 타카두 엘티디. | 상수도 네트워크의 자원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
-
2016
- 2016-05-03 KR KR1020160054525A patent/KR101672383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9217900A (ja) * | 1995-12-06 | 1997-08-19 | Hitachi Ltd | 流体輸送管網制御システム及び方法 |
KR100973662B1 (ko) * | 2010-01-20 | 2010-08-03 | 주식회사 유앤유소프트 | 실증적방법과 수학적방법을 융합하는 하이브리드 기법에 의한 상수도관망에서의 누수탐지시스템 |
KR20140145637A (ko) | 2010-03-04 | 2014-12-24 | 타카두 엘티디. | 상수도 네트워크의 자원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68061A (ko) | 2017-12-08 | 2019-06-18 | 주식회사대한송유관공사 | 누유 검출 장치 및 방법 |
KR101977537B1 (ko) | 2018-05-09 | 2019-05-10 | 주식회사대한송유관공사 | 누유 검출 장치 및 방법 |
CN110728679A (zh) * | 2019-10-23 | 2020-01-24 | 合肥盛东信息科技有限公司 | 一种管接头漏水智能监测方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401250B2 (en) | Leakage detection and leakage location in supply networks | |
EP3568681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model-based leak detection of a pipe network | |
Meseguer et al. | A decision support system for on-line leakage localization | |
Jung et al. | Water distribution system burst detection using a nonlinear Kalman filter | |
Casillas Ponce et al. | Model-based leak detection and location in water distribution networks considering an extended-horizon analysis of pressure sensitivities | |
Wu et al. | Water loss detection via genetic algorithm optimization-based model calibration | |
US20180087721A1 (en) | Determining fluid leakage volume in pipelines | |
CN109215295B (zh) | 燃气泄漏的判断方法、装置及电子设备 | |
KR101105192B1 (ko) | 관망해석에 의한 상수도 누수혐의구간 선정방법 및 그 기능을 탑재한 상수도 통합관리운영시스템 | |
Sarrate et al. | Sensor placement for fault diagnosis performance maximization in distribution networks | |
Moser et al. | Leak detection of water supply networks using error-domain model falsification | |
CA3047532A1 (en) | Systems and methods for subnetwork hydraulic modeling | |
KR101672383B1 (ko) | 실시간 관망 해석 및 누수 탐지 장치, 방법 및 프로그램 | |
JPWO2018034187A1 (ja) | 配管ネットワーク漏れ検知システム、及びそれに用いる漏れ検知装置、漏れ検知方法 | |
US20220196512A1 (en) | Detection of a leakage in a supply grid | |
KR100879399B1 (ko) | 누수, 누출 탐지방법 | |
Vrachimis et al. | Real-time hydraulic interval state estimation for water transport networks: A case study | |
JP2017002554A (ja) | 管路異常検知装置および方法 | |
KR100804203B1 (ko) | 불명확한 물의 발생 및 분포 추정장치, 방법, 및 기록매체 | |
Okeya et al. | Locating pipe bursts in a district metered area via online hydraulic modelling | |
WO2018097746A1 (en) | Method for detecting abnormal state of a fluid supply network based on pressure pattern analysis | |
WO2016174958A1 (ja) | 漏水発生位置推定装置、システムおよび方法 | |
WO2018106140A1 (en) | Method for determining of a fluid supply network state | |
KR102407676B1 (ko) | 동수두 분석에 근거한 누수 탐지 시스템 및 방법 | |
Boracchi et al. | A hierarchy of change-point methods for estimating the time instant of leakages in water distribution network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503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60503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5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831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10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6103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100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100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100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100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101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1002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