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67112A - Reinforcing member for printed wiring board - Google Patents
Reinforcing member for printed wiring board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90067112A KR20190067112A KR1020180155765A KR20180155765A KR20190067112A KR 20190067112 A KR20190067112 A KR 20190067112A KR 1020180155765 A KR1020180155765 A KR 1020180155765A KR 20180155765 A KR20180155765 A KR 20180155765A KR 20190067112 A KR20190067112 A KR 2019006711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einforcing plate
- wiring board
- main body
- conductive adhesive
- connection resistanc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213—Electrical arrang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1/0216—Reduction of cross-talk, noise or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 H05K1/0218—Reduction of cross-talk, noise or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by printed shielding conductors, ground planes or power plane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213—Electrical arrang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1/0215—Grounding of printed circuits by connection to external grounding mean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7—Electric details
- H05K2201/0707—Shielding
- H05K2201/0715—Shielding provided by an outer layer of PCB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20—Details of printed circuits not provided for in H05K2201/01 - H05K2201/10
- H05K2201/2009—Reinforced areas, e.g. for a specific part of a flexible printed circu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Structure Of Printed Boards (AREA)
- Shielding Devices Or Components To Electric Or Magnetic Field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개시는, 배선 기판용 보강판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disclosure relates to a reinforcing plate for a wiring board.
전자 기기의 소형화가 진행함에 따라, 가요성의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 기판(FPC)의 이용이 확산되고 있다. FPC는, 얇고 굴곡성이 높으므로, 실장(實裝)에 필요한 강도를 확보하기 위해 스테인레스 등의 박판(薄板)을 가지는 배선 기판용 보강판을 접착하는 것이 행해지고 있다.2.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As miniaturization of electronic devices has progressed, the use of flexible flexible printed wiring boards (FPCs) has spread. Since the FPC is thin and has high flexibility, a reinforcing plate for a wiring board having a thin plate made of stainless steel or the like is bonded to secure the strength required for mounting.
한편, 전자 기기는 전자파의 영향을 받기 쉽게 되어 있어, 전자파의 차폐가 중요한 과제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배선 기판용 보강판의 접착에 도전성 접착제를 사용하고, 배선 기판용 보강판과 FPC의 그라운드 회로나 하우징 등의 접지 전위 등을 도통(導通)시킴으로써, 배선 기판용 보강판을 전자파의 차폐 등으로서 사용하는 것이 시도되고 있다. 이와 같은 배선 기판용 보강판으로서는, 스테인레스 등의 금속판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스테인레스 등의 금속판의 표면에는 부통태 피막이 생겨, FPC와 보강판의 접속 안정성을 손상하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표면에 Ni 도금이나 Au 도금을 실시한 배선 기판용 보강판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을 참조).On the other hand, electronic devices are susceptible to electromagnetic waves, and shielding of electromagnetic waves is an important issue. For this reason, by using a conductive adhesive for bonding the wiring board reinforcing plate and conducting a ground potential or the like of the reinforcing plate for the wiring board and the ground circuit or the housing of the FPC, And so on. As such a reinforcing plate for a wiring board, a metal plate such as stainless steel is used. However, on the surface of a metal plate made of stainless steel or the like, there is a case where a barrier film is formed and the connection stability between the FPC and the reinforcing plate is impaired. 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a reinforcing plate for a wiring board in which Ni plating or Au plating is applied to the surface is known (see, for example, Patent Document 1).
그러나, 배선 기판용 보강판의 표면에 도금을 행하면, 비용을 상승시키는 원인이 된다. 한편, 비용을 억제하기 위하여, 도금 처리를 실시하지 않고 표면에 부통태 피막을 가지는 배선 기판용 보강판을 FPC의 그라운드 회로와 접속하고자 하면, 리플로우 후에 접속 저항값이 상승하게 되어, 전자파 차폐 효과나 접지 전위와의 접속 안정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생긴다.However, if plating is performed on the surface of the reinforcing plate for a wiring board, the cost is increased. 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suppress the cost, if a reinforcing plate for a wiring board having a sidewall coating film on its surface without being subjected to a plating treatment is to be connected to a ground circuit of the FPC, the connection resistance value is raised after reflow, And the connection stability with the ground potential is lowered.
이와 같은 문제는, 스테인레스에 한정되지 않고, 부동태 피막이 생기는 금속판을 배선 기판용 보강판에 사용하는 경우에 있어서 생길 수 있다.Such a problem is not limited to stainless steel, but may occur when a metal plate having a passive film is used for a wiring board reinforcing plate.
본 개시의 과제는, 도금 처리 등을 실시하지 않아도 리플로우 후의 접속 저항의 상승을 억제한 배선 기판용 보강판을 실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alize a reinforcing plate for a wiring board in which an increase in connection resistance after reflow is suppressed without performing a plating treatment or the like.
본 개시의 배선 기판용 보강판의 일태양은, 보강판 본체와, 보강판 본체의 제1 면에 설치된 제1 도전성 접착제층을 구비하고, 보강판 본체의 제1 면에서의 표면 성상(性狀)의 어스펙트비는, 0.5 이상이다.One aspect of the reinforcing plate for a wiring board of the present disclosure includes a reinforcing plate main body and a first conductive adhesive layer provided on the first surface of the reinforcing plate main body and has a surface property on the first surface of the reinforcing plate main body, Is 0.5 or more.
배선 기판용 보강판의 일태양에 있어서, 보강판 본체의 제1 면에서의 산술 평균 높이는, 0.10㎛ 이상으로 할 수 있다.In one aspect of the reinforcing plate for a wiring board, the arithmetic average height on the first surface of the reinforcing plate body may be 0.10 占 퐉 or more.
보강판 본체는,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로 할 수 있다.The reinforcing plate main body may be made of an austenitic stainless steel.
배선 기판용 보강판의 일태양에 있어서, 제1 도전성 접착제층은, 보강판 본체의 제1 면에 직접 접하고 있어도 된다.In one embodiment of the reinforcing plate for a wiring board, the first conductive adhesive layer may be in direct contact with the first surface of the reinforcing plate main body.
배선 기판용 보강판의 일태양은, 도전성 접착제층과, 보강판 본체의 사이에 설치된 도금층을 더욱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One aspect of the reinforcing plate for a wiring board may further comprise a conductive adhesive layer and a plating layer provided between the reinforcing plate main body.
이 경우에 있어서, 도금층은, 니켈-인 도금층으로 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plating layer may be a nickel-phosphorus plating layer.
배선 기판용 보강판의 일태양은, 보강판 본체의 제2 면에 설치된 제2 도전성 접착제층을 더욱 구비하고, 보강판 본체의 제2 면에서의 표면 성상의 어스펙트비는, 0.5 이상으로 할 수 있다.One aspect of the reinforcing plate for a wiring board further includes a second conductive adhesive layer provided on the second surface of the reinforcing plate body and the aspect ratio of the surface property on the second surface of the reinforcing plate body is set to 0.5 or more .
본 개시의 보강 배선 기판의 일태양은, 그라운드 회로를 가지는 배선 기판과, 그라운드 회로와 금속판이 도통하도록, 배선 기판에 접착된 본 개시의 배선 기판용 보강판을 구비하고 있다.One aspect of the reinforcement wiring board of the present disclosure includes a wiring board having a ground circuit and a reinforcing plate for wiring boards of the present disclosure attached to the wiring board so that the ground circuit and the metal plate are made conductive.
본 개시의 배선 기판용 보강판에 의하면, 도금 처리 등을 실시하지 않아도 리플로우 후의 접속 저항의 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reinforcing plate for a wiring board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increase in connection resistance after reflow can be suppressed without performing a plating treatment or the like.
도 1은 일실시형태에 따른 배선 기판용 보강판을 사용한 보강 배선 기판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배선 기판용 보강판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배선 기판용 보강판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배선 기판용 보강판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BRIEF DESCRIPTION OF DRAWINGS FIG. 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reinforced wiring board using a reinforcing plate for a wiring board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modified example of a reinforcing plate for a wiring board.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modified example of a reinforcing plate for a wiring board.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modified example of a reinforcing plate for a wiring board.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배선 기판용 보강판(100)은, 배선 기판(200)에 고정되고, 보강 배선 기판(300)을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배선 기판용 보강판(100)은, 스테인레스 등으로 이루어지는 보강판 본체(101)와 보강판 본체(101)의 제1 면(101A)에 설치된 도전성 접착제층(102)을 가지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배선 기판(200)은,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 기판(FPC)이며, 베이스 부재(201)와, 베이스 부재(201) 상에 접착제층(202)에 의해 접착된 절연 필름(203)을 가지고 있다. 절연 필름(203)에는 그라운드 회로(205)를 노출하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 1, the
도전성 접착제층(102)은, 절연 필름(203)의 개구부에 충전되고 그라운드 회로(205)와 접속되므로, 그라운드 회로(205)와 보강판 본체(101)는, 도전성 접착제층(102)을 통하여 도통한다.Since the conductive
보강판 본체(101)는, 도전성 접착제층(102)과 접하는 제1 면(101A)에서의 표면 성상의 어스펙트비(Str)가 0.5 이상이다. 제1 면(101A)의 Str을 0.5 이상으로 함으로써, 도금 처리 등이 실시되어 있지 않은, 표면에 부통태 피막이 존재하는 금속판을 보강판 본체(101)로서 사용해도, 접속 저항을 낮게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The reinforcing plate
Str은, 표면 성상의 방향 의존성을 나타내는 파라미터이며, 0∼1의 값을 취한다. 값이 1에 근접함에 따라, 표면 성상의 방향 의존성이 작아진다. 헤어라인 가공과 같이 일방향으로 선형의 요철을 설치한 경우에는, 산술 평균 높이(Sa)가 큰 표면이라도, Str은 거의 0이 된다. Str의 값이 작은 경우에는, 리플로우 전의 접속 저항이 낮아도, 리플로우 후에 접속 저항이 크게 상승한다. 한편, Str의 값이 0.5 이상, 바람직하게는 0.6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7 이상인 경우에는, 리플로우 전의 접속 저항을 낮게 할 수 있고, 리플로우 후에 있어서도 낮은 접속 저항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을 본 발명자는 발견하였다. Str의 값은 큰 것이 바람직하고, 1.0에 가까운 것이 접속 저항을 보다 안정시킬 수 있으며, Str의 값은 1.0 이하로 하면 되지만, 배선 기판용 보강판의 생산성의 관점에서 최대값은 1.0 미만이며, 바람직하게는 0.99 이하이다. 그리고, Str은, 실시예에 있어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ISO25178에 준거하여 측정할 수 있다.Str is a parameter indicating the direction dependence of the surface property and takes a value of 0 to 1. As the value approaches 1, the direction dependence of the surface property becomes smaller. In the case where linear unevenness is provided in one direction as in hairline processing, Str is almost zero even on a surface having a large arithmetic average height Sa. If the value of Str is small, the connection resistance increases greatly after reflow even if the connection resistance before reflow is low. On the other hand, when the value of Str is 0.5 or more, preferably 0.6 or more, and more preferably 0.7 or more, the connection resistance before reflow can be made low and the connection resistance can be maintained even after reflowing. Respectively. The value of Str is preferably large, and a value close to 1.0 can stabilize the connection resistance, and the value of Str may be set to 1.0 or less. However, the maximum value from the viewpoint of productivity of the wiring board reinforcing plate is less than 1.0, Is less than 0.99. The Str can be measured in accordance with ISO 25178 as described in the embodiment.
리플로우 후의 접속 저항은, 그라운드 회로와 접속하기 위한 개구부의 크기 등에 의해 변화하지만, 개구부의 직경이 1.0mm인 경우, 바람직하게는 0.5Ω/1구멍(穴)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3Ω/1구멍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2Ω/1구멍 이하이다. 그리고, 접속 저항은, 실시예에 있어서 설명하는 방법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The connection resistance after the reflow changes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opening for connection with the ground circuit and the like. When the diameter of the opening is 1.0 mm, the connection resistance is preferably 0.5 Ω / 1 hole or less, more preferably 0.3 Ω / 1 hole or less, more preferably 0.2? / 1 hole or less. The connection resistance can be measured by the method described in the embodiment.
Str이 소정값보다 크면 Sa의 값은 상관없지만, Sa의 값을 바람직하게는 0.1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15㎛ 이상으로 함으로써, 접속 저항을 보다 안정시킬 수 있다. 그리고, Sa는, 실시예에 있어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ISO25178에 준거하여 측정할 수 있다.If Str is larger than the predetermined value, the value of Sa is irrelevant, but by setting the value of Sa to 0.10 탆 or more, more preferably 0.15 탆 or more, the connection resistance can be more stabilized. Sa can be measured in accordance with ISO 25178 as described in the embodiment.
보강판 본체(101)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금속판(101a)의 표면에 도금층(105)을 설치한 것으로 해도 된다. 도금층(105)을 설치함으로써, 접속 저항을 보다 안정시킬 수 있다. 이 경우에, 도금층(105)을 설치한 후의 보강판 본체(101)의 표면에 있어서 Str의 값이 소정 범위가 되도록 하면 된다. 또한, 도금층(105)은, 금속판(101a)을 도금욕에 침지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에,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금속판(101a)의 양면에 도금층(105)이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다만, 레지스트막 등을 사용하여 금속판(101a)의 한쪽 면에만 도금층(105a)을 설치할 수도 있다.As shown in Fig. 2, the reinforcing plate
또한, 도전성 보강판(101)으로서 금속판의 표면에, 표면 저항 저감 처리를 행한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표면 저항 저감 처리를 행함으로써, 접속 저항을 보다 저감할 수 있다. 표면 저항 저감 처리로서, 예를 들면, 리튬 이온 등의 캐리어(carrier)가 되는 이온을 부동태 피막 중에 함유시키는 처리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처리로서, 일본금속(日本金屬) 주식회사의 루코어(L·Core) 처리 등이 있다. 접속 저항의 관점에서는, 도금층의 형성이나, 표면 저항 저감 처리를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비용의 관점에서는 이 처리가 행해지고 있지 않은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표면 저항 저감 처리를 행하는 경우에는, 표면 저항 저감 처리 등을 행한 후의 보강판 본체(101)의 표면에 있어서 Str의 값이 소정 범위가 되도록 하면 된다. 또한, 표면 저항 저감 처리는, 금속판(101a)의 양면에 행해지고 있어도 되고, 한쪽 면에만 행해지고 있어도 된다.As the
보강판 본체(101)에 사용하는 금속판은, 표면에 부통태 피막이 형성되는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Str의 값을 소정값보다 크게 함으로써, 표면으로 부동태 피막이 형성되는 재료를 사용한 경우에도, 낮은 접속 저항을 유지할 수 있다. 표면에 부통태 피막이 형성되는 재료로서는, 예를 들면, 스테인레스, 니켈, 동, 은, 주석, 금, 팔라듐, 알루미늄, 크롬, 티탄, 및 아연 등을 포함하는 도전성의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As the metal plate used for the reinforcing plate
보강판 본체(101)에 사용하는 금속판(101)으로서, 비자성(非磁性)의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비자성의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 등을 사용한 보강판 본체(101)는, 배선 기판용 보강판(100)에 의한 모터에 대한 영향을 작게 할 수 있다. 카메라의 렌즈 제어, 스마트폰 등의 바이브레이션 기능, 디스크드라이브의 픽업 제어 등, 전자 기기에는 다양한 모터가 사용되고 있다. 전자 기기의 소형화에 의해 모터와 제어 회로는 근접하여 배치되므로, 자성을 띤 보강판에 의해 모터가 오동작하는 문제가 생긴다.As the
금속판(101)을 비자성의 오스테나이트계의 스테인레스로 함으로써, 금속판(101) 자체는 자기를 띠기 어렵게 할 수 있다. 그러나, 접속 저항을 작게 하기 위하여, 금속판(101)의 표면에 니켈 등의 자성체로 이루어지는 도금층(105)을 설치하면, 도금층(105)에 의해 배선 기판용 보강판(100)이 자기를 띠게 된다.When the
표면의 Str의 값이 큰 오스테나이트계의 스테인레스판을 금속판(101)으로서 사용함으로써, 도금층(105)을 형성하지 않아도, 낮은 접속 저항을 유지할 수 있으므로, 자기가 문제가 되는 부분에 있어서 사용할 수 있는 배선 기판용 보강판(100)을 실현할 수 있다.By using an austenitic stainless steel plate having a large Str value on the surface as the
다만, 자기가 문제가 되는 용도에 있어서는, 비자성체로 이루어지는 도금층(105)을 형성할 수 있다. 비자성체로 이루어지는 도금층(105)으로서는, 예를 들면, 니켈-인(Ni-P)계의 도금층 및 귀금속계의 도금층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표면 저항 저감 처리를 행하는 것도 가능하다.However, in applications in which magnetism is a problem, a
오스테나이트계의 스테인레스로서는, 투자율(透磁率)이 1.02 이하인 SUS304 및 SUS316, SUS316L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자성의 관점에서는 가공 시에 투자율이 상승하기 어려운 SUS316이 바람직하고, 탄소 함유량이 낮은 SUS316L이 보다 바람직하다.As the austenitic stainless steel, SUS304, SUS316, SUS316L, etc. having permeability of 1.02 or less can be used. From the viewpoint of magnetism, SUS316 which is difficult to increase the permeability at the time of processing is preferable, and SUS316L having a low carbon content is more preferable.
금속판(101)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보강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0.05mm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1mm 이상, 바람직하게는 1.0mm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6mm 이하이다.The thickness of the
금속판(101)의 Str은, 적어도 2방향의 표면 조면화(粗面化) 처리를 행함으로써 조정할 수 있다. 통상 행해지는 롤 투 롤의 헤어라인 가공의 경우에는, 일방향의 조면화로서 Sa를 크게 할 수 있어도, Str을 크게 하는 것은 곤란하다. 한편, 예를 들면,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요철이 설치된 롤과,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요철이 설치된 롤의 양쪽을 사용하여 가공함으로써 Str을 크게 할 수 있다.Str of the
도전성 접착제층(102)은, 바인더 수지 및 도전성 필러를 포함하고 있으면 된다. 바인더 수지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도전성 접착제에 사용되는 각종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수지로서, 예를 들면, 폴리스티렌계, 아세트산 비닐계,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에틸렌계, 폴리프로필렌계, 폴리아미드계, 고무계, 아크릴계 등의 열가소성 수지나, 페놀계, 에폭시계, 우레탄계, 멜라민계, 알키드계 등의 열경화성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The conductive
바인더 수지는, 임의 성분으로서 소포제, 산화 방지제, 점도 조정제, 희석제, 침강 방지제, 레벨링제, 커플링제, 착색제, 및 난연제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The binder resin may contain, as optional components, a defoaming agent, an antioxidant, a viscosity adjusting agent, a diluent, an anti-settling agent, a leveling agent, a coupling agent, a colorant, and a flame retardant.
본 실시형태의 도전성 접착제는, 박리 필름 등의 기층(基層) 위에 도포하여 도전성 접착제층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용제를 포함하는 도전성 접착제를 조제하고, 이것을 도포한 후, 가열 건조하여 용제를 제거할 수도 있다. 용제는, 예를 들면, 톨루엔,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및 디메틸포름아미드 등으로 할 수 있다. 도전성 접착제 중에서의 용제의 비율은, 도전성 접착제층의 두께 등에 따라 적절하게 설정하면 된다.The conductive adhesive of the present embodiment can be applied to a base layer (base layer) such as a release film to form a conductive adhesive layer. Further, it is also possible to prepare a conductive adhesive containing a solvent, apply it, and heat dry it to remove the solvent. The solvent may be, for example, toluene, acetone, methyl ethyl ketone, methanol, ethanol, propanol, and dimethylformamide. The ratio of the solvent in the conductive adhesive may be appropriately set depending on the thickness of the conductive adhesive layer and the like.
도전성 필러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금속 필러, 금속 피복 수지 필러, 카본 필러 및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금속 필러로서는, 동분(銅粉), 은분, 니켈분, 은 코팅 동분, 금 코팅 동분, 은 코팅 니켈분, 및 금 코팅 니켈분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이들 금속분(金屬粉)은, 전해법, 아토마이즈법, 또는 환원법 등에 의해 제작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은분, 은 코팅 동분 및 동분 중 어느 하나가 바람직하다.The conductive fill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for example, a metal filler, a metal-coated resin filler, a carbon filler, and a mixture thereof can be used. Examples of the metal filler include copper powder, silver powder, nickel powder, silver coated copper powder, gold coated copper powder, silver-coated nickel powder, and gold-coated nickel powder. These metal powders can be produced by an electrolytic method, an atomization method, a reduction method, or the like. Among them, any one of silver powder, silver-coated copper powder and copper powder is preferable.
도전성 필러는, 필러끼리의 접촉의 관점에서, 평균 입자 직경이 바람직하게는 1㎛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3㎛ 이상, 바람직하게는 5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이하이다. 도전성 필러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구형, 플레이크형, 수지(덴드라이트)형 또는 섬유형 등으로 할 수 있다. 보강판 본체(101)와의 접속 저항을 저감하는 관점에서, 덴드라이트형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conductive filler has an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preferably 1 mu m or more, more preferably 3 mu m or more, preferably 50 mu m or less, and more preferably 40 mu m or less, from the viewpoint of contact between the fillers. The shape of the conductive fill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a spherical shape, a flake shape, a resin (dendrite) shape, a fiber shape, or the like. From the viewpoint of reducing the connection resistance with the reinforcing plate
도전성 필러의 함유량은, 용도에 따라서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지만, 전체 고형분 중에서 바람직하게는 5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0질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95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90질량% 이하이다. 매립성의 관점에서는, 바람직하게는 70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60질량% 이하이다. 또한, 이방 도전성을 실현하는 경우에는, 바람직하게는 40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5질량% 이하이다.The content of the conductive filler is preferably 5% by mass or more, more preferably 10% by mass or more, preferably 95% by mass or less, further preferably 90% by mass or less, Or less. From the viewpoint of the filling property, it is preferably not more than 70% by mass, more preferably not more than 60% by mass. In the case of realizing anisotropic conductivity, it is preferably 40 mass% or less, more preferably 35 mass% or less.
배선 기판용 보강판(100)은, 예를 들면 이하와 같이 하여 제조할 수 있다. 먼저 박리 기재(基材)(세퍼레이트 필름) 위에 도전성 접착제를 코팅하고, 도전성 접착제층(102)을 형성한다. 다음으로, 도전성 접착제층(102)과 금속판(101)을 프레스하여 밀착시킨다. 박리 기재는, 사용 전에 박리하면 된다.The reinforcing
박리 기재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등의 베이스 필름 상에, 실리콘계 또는 비실리콘계의 이형제를, 도전성 접착제층(102)이 형성되는 측의 표면에 도포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박리 기재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적절하게, 사용의 편리성을 고려하여 결정할 수 있다.As the release substrate, a silicone or non-silicone release agent coated on the surface of the side where the conductive
도전성 접착제층(102)의 두께는, 15㎛∼100㎛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5㎛ 이상으로 함으로써, 충분한 매립성을 실현하고, 그라운드 회로와의 충분한 접속이 얻어진다. 또한, 100㎛ 이하로 함으로써, 박막화의 요구에 응할 수 있고, 비용면에서도 유리하게 된다.The thickness of the conductive
배선 기판(200)의 베이스 부재(201)는, 예를 들면, 수지 필름 등으로 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폴리프로필렌, 가교 폴리에틸렌, 폴리에스테르, 폴리벤즈이미다졸, 폴리이미드, 폴리이미드아미드, 폴리에테르이미드, 또는 폴리페닐렌술피드 등의 수지로 이루어지는 필름으로 할 수 있다.The
절연 필름(203)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프로필렌, 가교 폴리에틸렌, 폴리에스테르, 폴리벤즈이미다졸, 폴리이미드, 폴리이미드아미드, 폴리에테르이미드, 폴리페닐렌술피드 등의 수지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절연 필름(203)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10㎛∼30㎛ 정도로 할 수 있다.Although the insulating
그라운드 회로(205)를 포함하는 프린트 회로는, 예를 들면, 베이스 부재(201) 위에 형성된 동 배선 패턴 등으로 할 수 있다. 그라운드 회로(205)의 표면에는, 필요에 따라 표면층을 설치할 수 있다. 표면층은, 예를 들면, 금, 동, 니켈, 은, 및 주석 등으로 이루어지는 도금층으로 할 수 있다. 자기가 문제가 되는 용도에 있어서는, 표면층을 비자성의 재료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printed circuit including the
배선 기판(200)으로의 배선 기판용 보강판(100)의 접합은, 예를 들면, 이하와 같이 하여 행할 수 있다. 먼저, 도전성 접착제층(102)이 개구부 위에 위치하도록, 배선 기판용 보강판(100)을 배선 기판(200) 상에 배치한다. 그리고, 소정의 온도(예를 들면, 120℃)로 가열한 2장의 가열판에 의해, 배선 기판용 보강판(100)과 배선 기판(200)을, 상하 방향으로부터 협지하여 소정의 압력(예를 들면, 0.5MPa)으로 단시간(예를 들면, 5초간) 압압(押壓)한다. 이로써, 배선 기판용 보강판(100)은 배선 기판(200)에 가고정된다.The bonding of the wiring
계속해서, 2장의 가열판의 온도를, 상기 가고정 시보다 고온의 소정의 온도(예를 들면, 170℃)로 하고, 소정의 압력(예를 들면, 3MPa)으로 소정 시간(예를 들면, 30분) 가압한다. 이로써, 개구부 내에 도전성 접착제층(102)을 충전시킨 상태에서, 배선 기판용 보강판(100)이 배선 기판(200)에 고정되고 보강 배선 기판(300)이 형성된다.Subsequently, the temperature of the two heating plates is set to a predetermined temperature (for example, 170 占 폚) higher than the fixed period of time and a predetermined time (for example, 30 Min). The reinforcing
그 후, 부품 실장을 위한 땜납 리플로우 공정이 행해진다. 리플로우 공정에 있어서, 배선 기판용 보강판(100)을 고정한 배선 기판(200)은 260℃ 정도의 고온에 노출된다. 리플로우 공정은, 부품의 실장 형태에 따라 다르지만 통상은 2∼3 회 행해진다. 본 실시형태의 배선 기판용 보강판(100)은, 리플로우 공정 전후에서의 접속 저항의 변화가 작고, 안정되어 낮은 접속 저항을 유지할 수 있다. 실장되는 부품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커넥터나 집적 회로 외에, 저항기, 콘덴서 등의 칩 부품 등을 예로 들 수 있다.Thereafter, a solder reflow process for component mounting is performed. In the reflow process, the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보강판 본체(101)의 한쪽 면에 도전성 접착제층(102)이 설치되어 있는 예를 나타냈지만,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강판 본체(101)의 양쪽의 면에 도전성 접착제층(102)을 설치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보강판 본체(101)의 양쪽의 면에 있어서, Str을 0.5 이상, 바람직하게는 0.6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7 이상으로 하면 된다. 양면에 도전성 접착제층(102)을 설치함으로써, 예를 들면, 한쪽의 도전성 접착제층(102)을 배선 기판과 접착하고, 다른 쪽의 도전성 접착제층(102)을 하우징과 접착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nductive
[실시예][Example]
이하에, 본 개시의 배선 기판용 보강판에 대하여 실시예를 사용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예는 예시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the reinforcing plate for a wiring board of the present disclosure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examples. The following examples are illustrative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배선 기판용 보강판의 형성>≪ Formation of reinforcing plate for wiring board >
유성(遊星)식 교반·탈포(脫泡) 장치를 사용하여 혼합 교반하여, 페이스트상의 도전성 접착제 조성물을 제작했다. 그 후, 제작한 도전성 접착제 조성물을, 이형(離型) 처리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세퍼레이트 필름) 상에, 판형의 주걱(닥터 브레이드)을 사용하여 핸드 코팅하고, 100℃×3분의 건조를 행함으로써, 도전성 접착제층을 제작했다.Followed by mixing and stirring using a star-type stirring / defoaming device to prepare a paste-like conductive adhesive composition. Thereafter, the conductive adhesive composition thus prepared was hand-coated on a polyethylene terephthalate film (separate film) subjected to releasing treatment using a plate-type applicator (doctor blade) and dried at 100 ° C for 3 minutes To prepare a conductive adhesive layer.
바인더 수지에는, 산가 2mgKOH/g의 폴리우레탄폴리우레아 수지 35질량부와 산가 26mgKOH/g의 폴리우레탄폴리우레아 수지 45질량부, 페녹시 타입 에폭시 수지(미쓰비시화학(주) 제조, 상품명: jER4275) 20질량부, 페놀 노볼락형 에폭시 수지(미쓰비시화학(주) 제조, 상품명: jER152) 20질량부, 고무 변성 에폭시 수지(아사히전화(旭電化)(주) 제조, 상품명: ERP-4030) 5질량부를 사용했다. 또한, 블록 이소시아네이트 경화제로서, 듀라네이트 17B-60PX(아사히화성(旭化成)케미컬(주) 제조)를 사용하고, 이미다졸계 경화 촉진제로서, 2MA-OK(시코쿠화성(四國化成)(주) 제조)를 사용했다. 도전성 필러에는 수지상의 은 코팅 동분(평균 입자 직경 15㎛) 사용하였다. 도전성 필러의 함유량은, 바인더 수지 100질량부에 대하여, 150질량부로 했다.35 parts by mass of a polyurethane polyurea resin having an acid value of 2 mg KOH / g, 45 parts by mass of a polyurethane polyurea resin having an acid value of 26 mgKOH / g, 20 parts by mass of a phenoxy type epoxy resin (trade name: jER4275, manufactured by Mitsubishi Chemical Corporation) , 20 parts by mass of a phenol novolac epoxy resin (trade name: jER152, manufactured by Mitsubishi Chemical Corporation) and 5 parts by mass of a rubber-modified epoxy resin (trade name: ERP-4030 available from Asahi Denka Co., Ltd.) Used. As the block isocyanate curing agent, Duranate 17B-60PX (manufactured by Asahi Kasei Chemical Co., Ltd.) was used, and as the imidazole-based curing accelerator, 2MA-OK (manufactured by Shikoku Kasei Co., ) Were used. As the conductive filler, a dendritic silver-coated copper alloy (average particle diameter: 15 mu m) was used. The content of the conductive filler was set to 150 parts by mass with respect to 100 parts by mass of the binder resin.
다음으로, 얻어진 도전성 접착제층을 소정의 금속판의 표면으로 배치하고, 프레스기를 사용하여 온도: 120℃, 시간: 5초, 압력: 0.5MPa의 조건에서 가열 가압하여, 배선 기판용 보강판을 제작했다.Next, the obtained conductive adhesive layer was disposed on the surface of a predetermined metal plate and heated and pressed under the conditions of a temperature of 120 DEG C, a time of 5 seconds and a pressure of 0.5 MPa using a press machine to produce a reinforcing plate for a wiring board .
<보강 배선 기판의 형성>≪ Formation of reinforced wiring board >
도전성 접착 필름상의 세퍼레이트 필름을 박리한 후, 배선 기판용 보강판을, 온도: 120℃, 시간: 5초, 압력: 0.5MPa의 조건에서 배선 기판에 열압착했다. 그 후, 또한 프레스기로 온도: 170℃, 시간: 3분, 압력: 2∼3 MPa의 조건에서 접착하여, 보강 배선 기판을 제작했다.After separating the separable film on the conductive adhesive film, the reinforcing plate for the wiring board was hot-pressed onto the wiring board under the conditions of a temperature of 120 DEG C, a time of 5 seconds, and a pressure of 0.5 MPa. Thereafter, a reinforced wiring board was prepared by adhering under the conditions of a temperature of 170 DEG C, a time of 3 minutes and a pressure of 2 to 3 MPa in a press machine.
배선 기판으로서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폴리이미드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베이스 부재(201) 위에, 그라운드 회로를 유사시킨 동박(銅箔) 패턴(205)이 형성되고, 그 위에 절연성의 접착제층(202) 및 폴리이미드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커버레이(절연 필름)(203)가 형성된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 기판을 사용했다. 동박 패턴(205)의 표면에는 표면층으로서 도금층을 설치하였다. 그리고, 커버 레이(203)에는, 직경 0.5mm의 그라운드 접속부를 모의(模擬)한 개구부를 형성했다.1, a
<표면 성상의 측정>≪ Measurement of surface property &
금속판 표면의 Str 및 Sa는, 공초점 현미경(Lasertec사 제조, OPTELICS HYBRID)을 사용하여 측정한후, 데이터 해석 소프트웨어(LMeye7)를 사용하여 표면의 경사 보정을 행하고, ISO 25178-6:2010에 준거하여 Str 및 Sa를 구했다. 그리고, 측정값은, 전자파 차폐 필름의 절연층 표면의 임의의 3개소에 대하여 행하고, 그 평균을 구했다.Str and Sa on the surface of the metal plate were measured using a confocal microscope (OPTELICS HYBRID, manufactured by Lasertec), and then subjected to surface inclination correction using data analysis software (LMeye7) Str and Sa were obtained. The measurement was carried out at arbitrary three points on the surface of the insulating layer of the electromagnetic wave shielding film and the average thereof was determined.
<접속 저항의 측정>≪ Measurement of connection resistance >
작성한 보강 배선 기판에 대하여, 동박 패턴(205)과 금속판(101)의 사이의 전기 저항값을 저항계에 의해 측정하여, 초기 접속 저항(리플로우 전의 접속 저항)으로 했다.The electrical resistance value between the
다음으로, 제작한 보강 배선 기판을 열풍 리플로우 장치에 3회 통과시킨 후, 전술한 방법에 의해, 리플로우 후의 접속 저항을 측정했다. 리플로우의 조건은, 무연 솔더(Pb free solder)를 상정(想定)하여, 보강 배선 기판에서의 커버레이가 265℃에 5초간 노출되는 온도 프로파일을 설정했다.Next, after the produced reinforcing wiring board was passed through the hot air reflow apparatus three times, the connection resistance after the reflow was measured by the above-described method. The conditions of the reflow were set by assuming a lead free solder (Pb free solder) so that the coverlay on the reinforced wiring board was exposed to 265 ° C for 5 seconds.
(실시예 1)(Example 1)
금속판으로서, 두께가 0.2mm인 표면 조면화 처리된 SUS304판을 사용했다. Str은 0.79, Sa는 1.83㎛였다.As the metal plate, a surface roughened SUS 304 plate having a thickness of 0.2 mm was used. Str was 0.79 and Sa was 1.83 mu m.
리플로우 전의 초기 접속 저항은 0.08Ω/1구멍이며, 3회 리플로우 후의 접속 저항은 0.21Ω/1구멍이었다.The initial connection resistance before reflow was 0.08? / 1, and the connection resistance after three reflows was 0.21? / 1.
(실시예 2)(Example 2)
금속판으로서, 두께가 0.3mm인 표면 조면화 처리된 SUS304판을 사용했다. Str은 0.83, Sa는 0.88㎛였다.As the metal plate, a surface roughing-treated SUS304 plate having a thickness of 0.3 mm was used. Str was 0.83, and Sa was 0.88 탆.
리플로우 전의 초기 접속 저항은 0.07Ω/1구멍이며, 3회 리플로우 후의 접속 저항은 0.18Ω/1구멍이었다.The initial connection resistance before reflow was 0.07? / 1, and the connection resistance after three reflows was 0.18? / 1.
(실시예 3)(Example 3)
금속판으로서, 두께가 0.3mm인 표면 조면화 처리된 SUS304판을 사용했다. Str은 0.78, Sa는 0.41㎛였다.As the metal plate, a surface roughing-treated SUS304 plate having a thickness of 0.3 mm was used. Str was 0.78, and Sa was 0.41 mu m.
리플로우 전의 초기 접속 저항은 0.05Ω/1구멍이며, 3회 리플로우 후의 접속 저항은 0.08Ω/1구멍이었다.The initial connection resistance before reflow was 0.05 Ω / hole, and the connection resistance after three reflow was 0.08 Ω / hole.
(실시예 4)(Example 4)
금속판으로서, 두께가 0.2mm인 표면 조면화 처리된 SUS304판을 사용했다. Str은 0.70, Sa는 0.96㎛였다.As the metal plate, a surface roughened SUS 304 plate having a thickness of 0.2 mm was used. Str was 0.70, and Sa was 0.96 mu m.
리플로우 전의 초기 접속 저항은 0.04Ω/1구멍이며, 3회 리플로우 후의 접속 저항은 0.07Ω/1구멍이었다.The initial connection resistance before reflow was 0.04? / 1, and the connection resistance after three reflows was 0.07? / 1.
(실시예 5)(Example 5)
금속판으로서, 두께가 0.5mm인 표면 조면화 처리된 SUS304판을 사용했다. Str은 0.82, Sa는 0.12㎛였다.As the metal plate, a surface roughened SUS 304 plate having a thickness of 0.5 mm was used. Str was 0.82, and Sa was 0.12 占 퐉.
리플로우 전의 초기 접속 저항은 0.11Ω/1구멍이며, 3회 리플로우 후의 접속 저항은 0.20Ω/1구멍이었다.The initial connection resistance before reflow was 0.11? / 1, and the connection resistance after 3 reflows was 0.20? / 1.
(실시예 6)(Example 6)
금속판으로서, 두께가 0.4mm인 표면 조면화 처리된 SUS304판을 사용하였다. Str은 0.86, Sa는 0.14㎛였다.As the metal plate, a surface roughened SUS304 plate having a thickness of 0.4 mm was used. Str was 0.86, and Sa was 0.14 mu m.
리플로우 전의 초기 접속 저항은 0.10Ω/1구멍이며, 3회 리플로우 후의 접속 저항은 0.14Ω/1구멍이었다.The initial connection resistance before reflow was 0.10? / 1, and the connection resistance after three reflows was 0.14? / 1.
(실시예 7)(Example 7)
금속판으로서, 두께가 0.2mm인 표면 조면화 처리된 SUS304판에 리튬 이온에 의한 표면 저항 저감 처리를 한 것을 사용했다. Str은 0.82, Sa는 2.02㎛였다.As the metal plate, a surface roughing treatment SUS304 plate having a thickness of 0.2 mm was subjected to surface resistance reduction treatment by lithium ion. Str was 0.82, and Sa was 2.02 mu m.
리플로우 전의 초기 접속 저항은 0.06Ω/1구멍이며, 3회 리플로우 후의 접속 저항은 0.06Ω/1구멍이었다.The initial connection resistance before reflow was 0.06? / 1, and the connection resistance after three reflows was 0.06? / 1.
(실시예 8)(Example 8)
금속판으로서, 두께가 0.1mm인 표면 조면화 처리된 SUS304판에 대기(大氣) 소둔(燒鈍) 및 산으로 세정 처리를 행한 후, 리튬 이온에 의한 표면 저항 저감 처리를 한 것을 사용했다. Str은 0.72, Sa는 1.33㎛였다.As the metal plate, a SUS304 plate having a surface roughness of 0.1 mm was subjected to atmospheric annealing and rinsing with acid, and then subjected to surface resistance reduction treatment with lithium ions. Str was 0.72, and Sa was 1.33 占 퐉.
리플로우 전의 초기 접속 저항은 0.05Ω/1구멍이며, 3회 리플로우 후의 접속 저항은 0.08Ω/1구멍이었다.The initial connection resistance before reflow was 0.05 Ω / hole, and the connection resistance after three reflow was 0.08 Ω / hole.
(실시예 9)(Example 9)
금속판으로서, 두께가 0.1mm인 표면 조면화 처리된 SUS304판에 리튬 이온에 의한 표면 저항 저감 처리를 한 것을 사용했다. Str은 0.89, Sa는 0.65㎛였다.As the metal plate, a SUS304 plate having a surface roughness of 0.1 mm and subjected to a surface resistance reduction treatment by lithium ion was used. Str was 0.89, and Sa was 0.65 占 퐉.
리플로우 전의 초기 접속 저항은 0.06Ω/1구멍이며, 3회 리플로우 후의 접속 저항은 0.13Ω/1구멍이었다.The initial connection resistance before reflow was 0.06? / 1, and the connection resistance after three reflows was 0.13? / 1.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금속판으로서, 두께가 0.3mm인 표면 조면화 처리된 SUS304판을 사용했다. Str은 0.42, Sa는 0.03㎛였다.As the metal plate, a surface roughing-treated SUS304 plate having a thickness of 0.3 mm was used. Str was 0.42, and Sa was 0.03 mu m.
리플로우 전의 초기 접속 저항은 0.23Ω/1구멍이며, 3회 리플로우 후의 접속 저항은 0.77Ω/1구멍이었다.The initial connection resistance before reflow was 0.23? / 1, and the connection resistance after reflow three times was 0.77? / 1.
(비교예 2)(Comparative Example 2)
금속판으로서, 두께가 0.3mm인 표면 조면화 처리된 SUS304판을 사용했다. Str은 0.48, Sa는 0.14㎛였다.As the metal plate, a surface roughing-treated SUS304 plate having a thickness of 0.3 mm was used. Str was 0.48, and Sa was 0.14 mu m.
리플로우 전의 초기 접속 저항은 0.32Ω/1구멍이며, 3회 리플로우 후의 접속 저항은 1.0Ω/1구멍이었다.The initial connection resistance before reflow was 0.32? / 1, and the connection resistance after three reflows was 1.0? / 1.
각 실시예 및 비교예에 대하여, 특성 및 측정값을 표 1에 정리하여 나타내었다.For each of the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the characteristics and measured values are summarized in Table 1.
[표 1][Table 1]
본 개시의 배선 기판용 보강판은, 리플로우 후의 접속 저항의 상승을 억제할 수 있으며,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 기판 등의 보강 및 차폐로서 유용하다.The reinforcing plate for a wiring board of the present disclosure can suppress an increase in connection resistance after reflow and is useful as a reinforcing and shielding of a flexible printed wiring board or the like.
100: 배선 기판용 보강판
101: 금속판
101A: 제1 면
102: 도전성 접착제층
105: 도금층
200: 배선 기판
201: 베이스 부재
202: 접착제층
203: 절연 필름
205: 그라운드 회로
210: 저항계
300: 보강 배선 기판100: reinforcing plate for wiring board
101: metal plate
101A: first side
102: Conductive adhesive layer
105: Plating layer
200: wiring board
201: base member
202: adhesive layer
203: insulating film
205: Ground circuit
210: Resistance meter
300: reinforced wiring board
Claims (8)
상기 보강판 본체의 제1 면에 설치된 제1 도전성 접착제층을 포함하고,
상기 보강판 본체의 상기 제1 면에서의 표면 성상(性狀)의 어스펙트비는 0.5 이상인, 배선 기판용 보강판.The reinforcing plate main body and
And a first conductive adhesive layer provided on a first surface of the reinforcing plate body,
Wherein an aspect ratio of a surface property of the reinforcing plate main body on the first surface is 0.5 or more.
상기 보강판 본체는, 상기 제1 면에서의 산술 평균 높이가 0.10㎛ 이상인, 배선 기판용 보강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einforcing plate main body has an arithmetic average height on the first surface of 0.10 탆 or more.
상기 보강판 본체는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로 이루어지는, 배선 기판용 보강판.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reinforcing plate main body is made of austenitic stainless steel.
상기 제1 도전성 접착제층은 상기 보강판 본체의 상기 제1 면에 직접 접하고 있는, 배선 기판용 보강판.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first conductive adhesive layer is in direct contact with the first surface of the reinforcing plate main body.
상기 제1 도전성 접착제층과 상기 보강판 본체의 사이에 설치된 도금층을 더 포함하고 있는, 배선 기판용 보강판.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And a plating layer provided between the first conductive adhesive layer and the reinforcing plate main body.
상기 도금층은 니켈-인 도금층인, 배선 기판용 보강판.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plating layer is a nickel-phosphorus plating layer.
상기 보강판 본체의 제2 면에 설치된 제2 도전성 접착제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보강판 본체의 상기 제2 면에서의 표면 성상의 어스펙트비는 0.5 이상인, 배선 기판용 보강판.7.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And a second conductive adhesive layer provided on a second surface of the reinforcing plate main body,
And the aspect ratio of the surface property of the reinforcing plate main body on the second surface is 0.5 or more.
상기 그라운드 회로와 상기 보강판 본체가 도통(導通)하도록, 상기 배선 기판에 접착된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배선 기판용 보강판을 포함하고 있는, 보강 배선 기판.A wiring board having a ground circuit and
The reinforced wiring boar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7, which is bonded to the wiring board so that the ground circuit and the reinforcing plate body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17-234186 | 2017-12-06 | ||
JP2017234186A JP6371460B1 (en) | 2017-12-06 | 2017-12-06 | Reinforcing board for wiring board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67112A true KR20190067112A (en) | 2019-06-14 |
KR102419510B1 KR102419510B1 (en) | 2022-07-08 |
Family
ID=631044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155765A KR102419510B1 (en) | 2017-12-06 | 2018-12-06 | Reinforcing member for printed wiring board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JP (1) | JP6371460B1 (en) |
KR (1) | KR102419510B1 (en) |
CN (1) | CN109890125B (en) |
TW (1) | TWI732143B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2065987A1 (en) * | 2020-09-28 | 2022-03-31 |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 Camera module |
KR102543707B1 (en) * | 2023-02-08 | 2023-06-14 | 서은보 | Single-sided Plating Method Using SUS Material and Electronic Parts Thereby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4867215A (en) * | 2022-06-20 | 2022-08-05 | 深圳市腾鑫精密电子芯材科技有限公司 | Cold-pasting die-cutting process for PI (polyimide) reinforcing sheet of integrated circuit board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4132951A1 (en) | 2013-02-26 | 2014-09-04 | タツタ電線株式会社 | Reinforcing member for flexible printed wiring substrate, flexible printed wiring substrate, and shield printed wiring substrate |
JP2016521302A (en) * | 2013-04-09 | 2016-07-21 | ソルティア・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 Embossed polymer sheet |
JP2016225532A (en) * | 2015-06-02 | 2016-12-28 | タツタ電線株式会社 | Printed wiring board, reinforcement member for printed wiring board, and printed board |
JP2017025284A (en) * | 2015-07-16 | 2017-02-02 | 東洋インキSc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 Conductive adhesive layer, conductive adhesive sheet, and printed wiring board |
JP2017220641A (en) * | 2016-06-10 | 2017-12-14 | 東洋インキSc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 Printed wiring board and electronic apparatus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5976112B2 (en) * | 2012-07-11 | 2016-08-23 | タツタ電線株式会社 | Curable conductive adhesive composition, electromagnetic wave shielding film, conductive adhesive film, adhesion method and circuit board |
CN103342037B (en) * | 2013-07-17 | 2015-07-22 | 广东生益科技股份有限公司 | Production method for improving roughness of one surface of reinforcement plate |
TWI627249B (en) * | 2014-06-30 | 2018-06-21 | Tatsuta Electric Wire & Cable Co Ltd | Conductive adhesive composition |
JP5659379B1 (en) * | 2014-09-04 | 2015-01-28 | 東洋インキSc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 Printed wiring board |
JP6135815B1 (en) * | 2016-09-29 | 2017-05-31 | 東洋インキSc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 Printed wiring boards and electronic devices |
-
2017
- 2017-12-06 JP JP2017234186A patent/JP6371460B1/en active Active
-
2018
- 2018-10-23 TW TW107137344A patent/TWI732143B/en active
- 2018-11-14 CN CN201811352993.3A patent/CN109890125B/en active Active
- 2018-12-06 KR KR1020180155765A patent/KR102419510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4132951A1 (en) | 2013-02-26 | 2014-09-04 | タツタ電線株式会社 | Reinforcing member for flexible printed wiring substrate, flexible printed wiring substrate, and shield printed wiring substrate |
JP2016521302A (en) * | 2013-04-09 | 2016-07-21 | ソルティア・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 Embossed polymer sheet |
JP2016225532A (en) * | 2015-06-02 | 2016-12-28 | タツタ電線株式会社 | Printed wiring board, reinforcement member for printed wiring board, and printed board |
JP2017025284A (en) * | 2015-07-16 | 2017-02-02 | 東洋インキSc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 Conductive adhesive layer, conductive adhesive sheet, and printed wiring board |
JP2017220641A (en) * | 2016-06-10 | 2017-12-14 | 東洋インキSc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 Printed wiring board and electronic apparatus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2065987A1 (en) * | 2020-09-28 | 2022-03-31 |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 Camera module |
KR102543707B1 (en) * | 2023-02-08 | 2023-06-14 | 서은보 | Single-sided Plating Method Using SUS Material and Electronic Parts Thereby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2019102720A (en) | 2019-06-24 |
TWI732143B (en) | 2021-07-01 |
CN109890125B (en) | 2022-04-01 |
TW201927096A (en) | 2019-07-01 |
KR102419510B1 (en) | 2022-07-08 |
CN109890125A (en) | 2019-06-14 |
JP6371460B1 (en) | 2018-08-0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561132B1 (en) | Shield film for printed wiring board, and printed wiring board | |
JP6435540B2 (en) | Electromagnetic wave shielding film, flexible printed wiring board with electromagnetic wave shielding film,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KR101776711B1 (en) | Shield printed circuit board | |
KR20150038074A (en) | Shield film and shield printed wiring board | |
KR20190067112A (en) | Reinforcing member for printed wiring board | |
JP2015109449A (en) | Shield film, shield print circuit board, and shield film manufacturing method | |
US8766437B2 (en) | Electrode structure, wiring body, adhesive connection structur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same | |
CN110612783B (en) | Printed wiring board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 |
JP5659379B1 (en) | Printed wiring board | |
CN107889339B (en) | Printed wiring board and electronic apparatus | |
KR20090122872A (en) | Wiring board modu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wiring board module | |
WO2020090727A1 (en) | Electromagnetic wave shielding film, method of manufacturing shielded printed wiring board, and shielded printed wiring board | |
KR20160013126A (en) | Shape-retaining film, and shape-retaining-type flexible circuit board provided with same shape-retaining film | |
CN114830843B (en) | Conductive adhesive | |
JP2007173477A (en) | Flexible printed wiring board | |
JP2017220641A (en) | Printed wiring board and electronic apparatus | |
CN112586103B (en) | Electromagnetic wave shielding film, method for manufacturing shielding printed wiring board, and shielding printed wiring board | |
JP2023120233A (en) | Electromagnetic shield film and shield printed wiring board | |
US20240182759A1 (en) | Electroconductive adhesive layer | |
KR20200071104A (en) | Conductive adhesive | |
JP5324322B2 (en) | Connection method, connection structure, and electronic device | |
JP2022021641A (en) | Electromagnetic wave shield film and electromagnetic wave shield film-attached printed wiring board | |
JP2008124082A (en) | Connection structure and connection method of wiring board | |
JP2020064927A (en) | Electromagnetic wave shield film,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and printed wiring board with electromagnetic wave shield film | |
KR20190088385A (en) | Electroconductive adhesive film and electromagnetic wave shield film using sam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