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65778A - 태양광 구조물에 설치된 충돌방지부재 - Google Patents

태양광 구조물에 설치된 충돌방지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65778A
KR20190065778A KR1020170165285A KR20170165285A KR20190065778A KR 20190065778 A KR20190065778 A KR 20190065778A KR 1020170165285 A KR1020170165285 A KR 1020170165285A KR 20170165285 A KR20170165285 A KR 20170165285A KR 20190065778 A KR20190065778 A KR 201900657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ignal
approach
output
colli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52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하영
Original Assignee
한국남동발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남동발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남동발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652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65778A/ko
Publication of KR201900657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577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14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specially adapted for local protection, e.g. for bridge piers, for traffic islands
    • E01F15/141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specially adapted for local protection, e.g. for bridge piers, for traffic islands for column or post prote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14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specially adapted for local protection, e.g. for bridge piers, for traffic islands
    • E01F15/145Means for vehicle stopping using impact energy absorbers
    • E01F15/146Means for vehicle stopping using impact energy absorbers fixed arrangemen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30/00Structural details of PV modules other than those related to light convers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태양광 구조물에 설치된 충돌방지부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태양광 구조물에 설치된 충돌방지부재는 지면으로부터 수직선상으로 설치되어 태양광 패널을 지지하는 지지프레임의 외면에 설치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어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부 및 농기계로부터 접근하는 것을 감지하는 근접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에서 센싱된 신호를 상기 출력부에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어 농기계가 상기 지지프레임에 접근하는 것을 감지하는 접근감지부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태양광 구조물에 설치된 충돌방지부재는 태양광 구조물에 충돌방지부를 설치하여 농기계가 구조물에 일정거리 이내로 접근하는 것을 방지하여 농기계가 구조물과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태양광 구조물에 설치된 충돌방지부재 {Collision preventing member installed in a solar photovoltaic structure}
본 발명은 태양광 구조물에 설치된 충돌방지부재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태양광 구조물에 농기계가 일정거리 이내로 접근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된 충돌방지부재에 관한 것이다.
대체 에너지를 얻기 위해, 넓은 농지에 태양광 패널을 지지하는 구조체를 종 또는 횡으로 배열설치되고, 상기 구조체의 상단에 태양광 패널을 설치하여 농지에서 태양광 발전을 실시하고 있다.
농지에 태양광 패널을 설치하게 되면, 한정된 공간 내에서 식량 및 전력생산을 동시에 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국내 뿐만 아니라 일본, 유럽, 미국 등 다양한 국가에서 농지에서 태양광 발전을 동시에 할 수 있는 방법을 다양하게 연구개발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농지에 태양광 패널을 설치하게 되면, 농지에 설치된 태양광 패널이 태양광으로부터 조사되어 식물이 식생하는 지면에 태양광 패널의 음영(그림자)이 형성됨으로써 음영에 식생하는 식물은 고르게 성장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견되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태양광 패널의 사이에 일정한 공간이 형성되도록 종 또는 횡으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여 설치하여 상기 공간에 태양광이 조사되거나, 또는 태양광 패널의 각도를 회동시켜 태양광 패널로 인해 형성되는 음영을 최소화시키는 (특허문헌 1)이 출원되었으며, (특허문헌 1)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특허문헌 1)은 태양광발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에 따르면, 소정의 간격을 가져서 동서방향으로 배치된 1장의 태양 전지 주패널과 복수의 태양 전지 종 패널로 이루어지는 패널 유닛과, 상기 패널 유닛의 각각 태양 전지 패널을 동서방향으로 회동 자유(자재)로 연결하는 패널 회동 수단과, 상기 각각의 태양 전지 패널의 남북방향의 각 도를 조정하는 경사 조정 수단과, 상기 패널 유닛을 정해진 높이에 유지하는 프레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프레임이 농작물경작지위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발전장치를 청구하고 있다.
그러나, 전술한 (특허문헌 1)은 대규모의 농경지에 태양광발전장치를 설치한 이후, 농경지에 식생하는 식물을 관리하는 농기계를 구동을 할 경우, 상기 농기계가 상기 프레임에 접촉되어 프레임이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어 농기계를 소극적으로 구동시켜야하는 단점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17-079578호
본 발명의 목적은 태양광 구조물에 충돌방지부를 설치하여 농기계가 구조물에 일정거리 이내로 접근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태양광 구조물에 설치된 충돌방지부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태양광 구조물에 설치된 충돌방지부재는 태양광 패널을 지지하는 지지프레임의 외면에 설치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부에 위치되고, 농기계가 상기 지지프레임에 접근하는 것을 감지하여 신호를 출력하는 접근감지부; 및
상기 접근감지부로부터 출력된 상기 신호에 응답하여 외부로 표시하는 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접근감지부는
상기 농기계의 접근을 감지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의 센싱신호에 따라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태양광 구조물에 설치된 충돌방지부재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상기 신호를 외부에 시각으로 표시하는 시각출력부; 및
상기 신호를 외부에 청각으로 표시하는 청각출력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태양광 구조물에 설치된 충돌방지부재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상기 케이스의 외부에 설치되는 태양광 구조물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태양광 구조물에 설치된 충돌방지부재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근접센서 및 광 센서 중 하나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태양광 구조물에 설치된 충돌방지부재에 있어서, 완충소재로 형성되고, 내부공간에 상기 케이스를 수용하는 완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태양광 구조물에 설치된 충돌방지부재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는 서로 분리되는 2개의 하우징; 및 상기 2개의 하우징의 상호 접합되는 지점에 구비하여 상기 2개의 하우징을 탈부착 시키는 탈부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태양광 구조물에 설치된 충돌방지부재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는 일면에 홀이 형성되어 센서부를 노출시키는 제1 홀; 및
상기 일면에 형성되어 상기 출력부를 노출시키는 제2 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태양광 구조물에 설치된 충돌방지부재에 있어서, 상기 접근감지부 및 출력부는 상기 태양광 패널로부터 발전되는 전력 또는 외부전력을 공급 받아 동작될 수 있다.
이러한 해결 수단은 첨부된 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르면, 태양광 구조물에 충돌방지부를 설치하여 농기계가 구조물에 일정거리 이내로 접근하는 것을 방지하여 농기계가 구조물과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태양광 구조물에 설치된 충돌방지부재의 충돌방지부재가 태양광 구조물에 설치된 것을 나타내 보인 전체사시도.
도 2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태양광 구조물에 설치된 충돌방지부재의 충돌방지부재가 태양광 구조물에 설치된 것을 나타내 보인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태양광 구조물에 설치된 충돌방지부재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태양광 구조물에 설치된 충돌방지부재의 접근감지부 및 출력부의 구성을 각각 나타내 보인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태양광 구조물에 설치된 충돌방지부재의 출력부의 사용상태를 나타내 보인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태양광 구조물에 설치된 충돌방지부재의 완충부를 사용상태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태양광 구조물에 설치된 충돌방지부재의 완충부를 나타내 보인 분해사시도.
본 발명의 특이한 관점, 특정한 기술적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는 이하의 구체적인 내용과 일실시 예로부터 더욱 명백해 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태양광 구조물(10)에 설치된 충돌방지부재(50)는 지면으로부터 수직선상으로 설치되어 태양광 패널(30)을 지지하는 지지프레임(20)의 외면에 설치되어 농기계(100)가 지지프레임(20)에 접근하는 것을 감지하는 충돌방지부재(50)를 포함한다.
태양광 구조물(10)은 지면으로부터 수직선상으로 지지프레임(20)이 설치되고, 지지프레임(20)의 상부에 태양광 발전을 실시하는 태양광 패널(30)이 배열설치되며, 태양광 패널(30) 및 지지프레임(20)의 사이에 고정수단(40)을 설치하여 태양광 패널(30) 및 지지프레임(20)이 상호 견고하게 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태양광 패널(30)에 조사되는 태양광을 통해 태양광 발전을 실시하는 발전설비이다.
여기서, 고정수단(40)은 태양광 패널(30)이 회동할 수 있는 회동수단(41)이 설치되어 태양광 패널(30)의 각도를 조절하며, 태양광이 태양광 패널(30)에 조사되면서 형성되는 음영(그림자)의 크기를 조절하거나 또는 태양광의 발전하는 양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지지프레임(20)은 외면에 충돌방지부재(50)가 설치되어 농기계(100)로부터 접근을 감지할 수 있다.
도 2 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프레임(20)의 외면에 충돌방지부재(50)가 설치된다.
충돌방지부재(50)는 농기계(100)로부터 접근하는 것을 감지하고 이를 알람하는 장치이며, 케이스(51), 접근감지부(52), 출력부(55)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51)는 충돌방지부재(50)를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통상적인 케이스로 규정한다.
도 3 및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근감지부(52)는 케이스(51)의 내부에 위치되어 농기계(100)가 접근하는 것을 감지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일정한 범위를 감지하는 센서부(53) 및 센서부(53)에서 센싱된 신호를 출력부(55)로 전송하는 제어부(54)를 포함한다.
제어부(54)는 센서부(53)에서 센싱된 신호를 출력부(55)로 전송하는 기능 이외에 충돌방지부재(50)의 전반적인 제어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54)는 별도의 무선통신기를 구비되어 출력부(55)와 무선통신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여기서, 본 발명에서의 센서부(53)는 농기계(100)가 일정반경 이내로 접근을 센싱하는 근접센서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광선을 출력시켜 농기계(100)와의 거리간격을 감지하는 광센서일 수 있다.
여기서, 센서부(53)가 광 센서 일 경우, 케이스(51)에는 홀(미도시)이 추가로 형성되고, 홀을 통해 센서부(53)에서 출력되는 광이 접근감지부(52)의 외부로 송출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력부(55)는 접근감지부(52)로부터 감지되는 신호를 전송받아 신호를 출력시키는 장치이고, 시각으로 표시되는 시각출력부(55a) 또는 청각으로 표시되는 청각출력부(55b)를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55)의 시각출력부(55a)는 사이렌으로 구성될 수 있고, 출력부(55)의 청각출력부(55b)는 스피커로 구성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출력부(55)는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실시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력부(55)는 충돌방지부재(50)의 외부에 설치될 수도 있다. 출력부(55)는 지지프레임(20)에서 출동방지부재(50)와 수직선상으로 이격된 위치에 설치되거나, 농기계(100)의 내부에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출력부(55)는 농지를 관리하는 관리자가 손쉽게 들고 나릴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의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출력부(55)가 농기계(100)의 내부에 설치될 경우, 출력부(55)와 충돌방지부재(50)의 제어부(54)간의 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는 별도의 통신기가 추가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출력부(55)는 농기계100)에 설치된 별도의 동력장치로부터 전원을 공급 받아 구동될 수 있다.
또한, 출력부(55)가 휴대용 단말기로 구성될 경우, 별도의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여 충돌방지부재(50)를 실시간으로 감시 또는 관리할 수 있다.
아울러,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돌방지부재(50)의 외면에 완충부(56)가 설치되어 농기계(100)와 충돌되어도 충돌방지부재(5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완충부(56)는 농기계(100)가 지지프레임(20)에 설치된 충돌방지부재(50)에 접촉됨으로써 가해지는 물리력의 일부를 완충시켜 충돌방지부재(50)를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스펀지, 라텍스 및 고무의 소재와 같은 완충력이 구비된 소재로 형성된다.
이러한 완충부(56)는 내부에 충돌방지부재(50)가 수용할 수 있는 내부공간(56a)이 형성되며, 완충부(56)의 일면 예컨대 정면에는 제1 홀(56b) 및 제2 홀(56c)가 형성된다.
제1 홀(56b)은 충돌방지부재(50)의 센서부(53)가 완충부(56)의 외부를 센싱할 수 있도록 형성된 홀이며, 센서부(53)와 동일한 형상 예컨대 도면상 원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홀(56b)은 충돌방지부재(50)의 출력부(55)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용이하게 완충부(56)의 외부로 방출할 수 있도록 형성된 홀이며, 출력부(55)와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제1 홀(56b) 및 제2 홀(56c)의 형상은 다양한 실시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아울러, 완충부(56)는 예컨대 'ㄷ'자 형상의 두개의 하우징이 상호 결합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두 개의 하우징이 상호 밀착되는 지점에 탈부착부(57)가 구비되어 케이스(51)와 탈부착이 이루어질 수 있다.
탈부착부(57)는 벨크로 테잎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완충부(56)가 두 개의 하우징으로 분리된 형태를 갖는 경우에, 농기계(100)가 완충부(56)와 충돌되어 완충부(56)가 파손되어도 이를 손쉽게 교체할 수 있어 충돌방지부재(50)의 내구성을 보존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지지프레임(20)에 설치된 충돌방지부재(50)는 태양광 구조물(10)로부터 발전되는 전력을 공급받아 구동되거나, 또는 별도의 외부전력 예컨대 충돌방지부재(50)에 내장된 배터리로부터 공급받아 구동될 수 있다.
또한, 충돌방지부재(50)는 외부에 전력을 On/Off를 할 수 있는 전원제어부(미도시)를 설치하여 농기계(100)가 구동할 경우에만 운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이상 본 발명을 일실시 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구조물에 설치된 충돌방지부재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또한,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일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일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태양광 구조물 20 - 지지프레임
30 - 태양광 패널 40 - 고정수단
41 - 회동수단 50 - 충돌방지부재
51 - 케이스 52 - 접근감지부
53 - 센서부 54 - 제어부
55 - 출력부 55a - 시각출력부
55b - 청각출력부 56 - 완충부
56a - 내부공간 56b - 제1 홀
56c - 제2 홀 57 - 탈부착부
100 - 농기계

Claims (8)

  1. 태양광 패널을 지지하는 지지프레임의 외면에 설치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부에 위치되고, 농기계가 상기 지지프레임에 접근하는 것을 감지하여 신호를 출력하는 접근감지부; 및
    상기 접근감지부로부터 출력된 상기 신호에 응답하여 외부로 표시하는 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접근감지부는
    상기 농기계의 접근을 감지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의 센싱신호에 따라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태양광 구조물에 설치된 충돌방지부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상기 신호를 외부에 시각으로 표시하는 시각출력부; 및
    상기 신호를 외부에 청각으로 표시하는 청각출력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태양광 구조물에 설치된 충돌방지부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상기 케이스의 외부에 설치되는 태양광 구조물에 설치된 충돌방지부재.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근접센서 및 광 센서 중 하나인 태양광 구조물에 설치된 충돌방지부재.
  5. 청구항 1에 있어서,
    완충소재로 형성되고, 내부공간에 상기 케이스를 수용하는 완충부를 더 포함하는 태양광 구조물에 설치된 충돌방지부재.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는 서로 분리되는 2개의 하우징; 및
    상기 2개의 하우징의 상호 접합되는 지점에 구비하여 상기 2개의 하우징을 탈부착 시키는 탈부착부를 포함하는 태양광 구조물에 설치된 충돌방지부재.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는 일면에 홀이 형성되어 센서부를 노출시키는 제1 홀; 및
    상기 일면에 형성되어 상기 출력부를 노출시키는 제2 홀을 더 포함하는 태양광 구조물에 설치된 충돌방지부재.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접근감지부 및 출력부는 상기 태양광 패널로부터 발전되는 전력 또는 외부전력을 공급 받아 동작되는 태양광 구조물에 설치된 충돌방지부재.
KR1020170165285A 2017-12-04 2017-12-04 태양광 구조물에 설치된 충돌방지부재 KR2019006577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5285A KR20190065778A (ko) 2017-12-04 2017-12-04 태양광 구조물에 설치된 충돌방지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5285A KR20190065778A (ko) 2017-12-04 2017-12-04 태양광 구조물에 설치된 충돌방지부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5778A true KR20190065778A (ko) 2019-06-12

Family

ID=668461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5285A KR20190065778A (ko) 2017-12-04 2017-12-04 태양광 구조물에 설치된 충돌방지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65778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6422A (ko) * 2019-11-28 2021-06-07 이재진 태양광 추종 기능과 휴식 공간 기능을 제공하는 태양광 트랙커
KR102524986B1 (ko) * 2022-07-11 2023-05-08 주식회사 넷에이블 영농형 수직가변식 태양광발전시스템
KR102543649B1 (ko) * 2022-07-19 2023-07-06 주식회사 넷에이블 태양광 구조물 및 농기계를 이용한 영농 자동화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079578A (ja) 2015-10-21 2017-04-27 伊藤電工株式会社 太陽光発電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079578A (ja) 2015-10-21 2017-04-27 伊藤電工株式会社 太陽光発電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6422A (ko) * 2019-11-28 2021-06-07 이재진 태양광 추종 기능과 휴식 공간 기능을 제공하는 태양광 트랙커
KR102524986B1 (ko) * 2022-07-11 2023-05-08 주식회사 넷에이블 영농형 수직가변식 태양광발전시스템
KR102543649B1 (ko) * 2022-07-19 2023-07-06 주식회사 넷에이블 태양광 구조물 및 농기계를 이용한 영농 자동화 시스템
WO2024019462A1 (ko) * 2022-07-19 2024-01-25 주식회사 넷에이블 태양광 구조물 및 농기계를 이용한 영농 자동화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65778A (ko) 태양광 구조물에 설치된 충돌방지부재
US8119962B2 (en) Control signal generation of a solar panel orientation system with interference reduction using an infrared filter
KR20150118526A (ko) 야생동물 퇴치 시스템
US6087938A (en) Outdoor intrusion detector
CN103026144A (zh) 用于太阳跟踪组件的风响应操作的系统、方法和设备
US11309723B2 (en)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powering a mesh network using a portable power case
KR20190079951A (ko) 폴딩형 태양광 발전장치
JP6684640B2 (ja) 圃場用電動アクチュエータ
CN106225921A (zh) 一种户外双玻双面发电组件正反面辐照度监测装置
KR20190065784A (ko) 태양광 구조물에 설치된 완충장치
KR102379278B1 (ko) 스마트 벤치
KR20210068736A (ko) 동작감지센서를 이용한 조류퇴치장치
KR101959810B1 (ko) Lpwan을 이용한 야생 동물 피해 예방 시스템
CN207940282U (zh) 一种输电线路杆塔智能驱鸟装置
KR101851763B1 (ko) 태양광과 풍력을 이용한 중계기
WO2010039919A1 (en) Control signal generation of a solar panel orientation system with interference reduction using an infrared filter
US9135830B2 (en) Airport travel surface edge lighting and foreign object detection system and method
US20190145592A1 (en) Solar powered recycling and waste station
KR101985268B1 (ko) 재난사태 대비용 태양광 발전장치
CN210442936U (zh) 一种无线被动红外移动探测器
CN209645373U (zh) 一种智能导盲拐杖
JP4299706B2 (ja) 盗難監視装置及び盗難監視装置の制御方法
KR102109859B1 (ko) 조립이 용이한 태양광 구조물
JP3160423U (ja) 太陽光で発光する充電装置
CN212354408U (zh) 一种用于无人机的防撞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