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79951A - 폴딩형 태양광 발전장치 - Google Patents

폴딩형 태양광 발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79951A
KR20190079951A KR1020170182071A KR20170182071A KR20190079951A KR 20190079951 A KR20190079951 A KR 20190079951A KR 1020170182071 A KR1020170182071 A KR 1020170182071A KR 20170182071 A KR20170182071 A KR 20170182071A KR 20190079951 A KR20190079951 A KR 201900799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solar panel
power generation
photovoltaic power
adjusting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820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02547B1 (ko
Inventor
박하영
Original Assignee
한국남동발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남동발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남동발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820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2547B1/ko
Publication of KR201900799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99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25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25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30/00Structural details of PV modules other than those related to light conversion
    • H02S30/20Collapsible or foldable PV modu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H02S20/10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the ground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H02S20/30Supporting structures being movable or adjustable, e.g. for angle adjustme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30/00Structural details of PV modules other than those related to light conversion
    • H02S30/10Frame structur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딩형 태양광 발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폴딩형 태양광 발전장치는 일면이 서로 밀착되게 설치하되, 밀착되는 지점에 각도가 형성되도록 설치되며, 태양광 발전을 실시하는 태양광 패널과, 상기 태양광 패널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태양광 패널을 지지하는 와이어와, 상기 와이어의 양단에 설치되어 상기 와이어 및 태양광 패널을 지지하는 프레임과, 상기 태양광 패널의 밀착지점에 배열설치되어 태양광 패널을 고정 및 회동하는 회동수단 및 상기 태양광 패널의 모서리 및 와이어에 설치되며, 상기 태양광 패널이 와이어를 통해 이동하여 태양광이 상기 태양광 패널에 조사되는 양을 조절하는 조절수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폴딩형 태양광 발전장치{Folding Photovoltaic Device}
본 발명은 폴딩형 태양광 발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일렬로 배열설치된 태양광 모듈을 개폐시키기 위한 폴딩형 태양광 발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대체 에너지를 얻기 위해, 넓은 농지에 태양광 패널을 지지하는 구조체를 종 또는 횡으로 배열설치되고, 상기 구조체의 상단에 태양광 패널을 설치하여 농지에서 태양광 발전을 실시하고 있다.
농지에 태양광 패널을 설치하게 되면, 한정된 공간 내에서 식량 및 전력생산을 동시에 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국내 뿐만 아니라 일본, 유럽, 미국 등 다양한 국가에서 농지에서 태양광 발전을 동시에 할 수 있는 방법을 다양하게 연구개발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농지에 태양광 패널을 설치하게 되면, 농지에 설치된 태양광 패널이 태양광으로부터 조사되어 식물이 식생하는 지면에 태양광 패널의 음영(그림자)이 형성됨으로써 음영에 식생하는 식물은 고르게 성장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견되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태양광 패널의 사이에 일정한 공간이 형성되도록 종 또는 횡으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여 설치하여 상기 공간에 태양광이 조사되거나, 또는 태양광 패널의 각도를 회동시켜 태양광 패널로 인해 형성되는 음영을 최소화시키는 (특허문헌 1)이 출원되었으며, (특허문헌 1)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특허문헌 1)은 태양광발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에 따르면, 소정의 간격을 가져서 동서방향으로 배치된 1장의 태양 전지 주패널과 복수의 태양 전지 종 패널로 이루어지는 패널 유닛과, 상기 패널 유닛의 각각 태양 전지 패널을 동서방향으로 회동 자유(자재)로 연결하는 패널 회동 수단과, 상기 각각의 태양 전지 패널의 남북방향의 각 도를 조정하는 경사 조정 수단과, 상기 패널 유닛을 정해진 높이에 유지하는 프레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프레임이 농작물경작지위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발전장치를 청구하고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은 경작지에 경작되는 농작물에 상기 패널 유닛의 음영(그림자)가 형성되어 농작물이 고르게 성장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일본 등록특허공보 제2017-079578호
본 발명의 목적은 와이어에 태양광 모듈을 설치하여 상황에 따라 태양광 모듈을 개폐하기 위한 폴딩형 태양광 발전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폴딩형 태양광 발전장치는 일면이 서로 밀착되게 설치하되, 밀착되는 지점에 각도가 형성되도록 설치되며, 태양광 발전을 실시하는 태양광 패널;
상기 태양광 패널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태양광 패널을 지지하는 와이어;
상기 와이어의 양단에 설치되어 상기 와이어 및 태양광 패널을 지지하는 프레임;
상기 태양광 패널의 밀착지점에 배열설치되어 태양광 패널을 고정 및 회동하는 회동수단; 및
상기 태양광 패널의 모서리 및 와이어에 설치되며, 상기 태양광 패널이 와이어를 통해 이동하여 태양광이 상기 태양광 패널에 조사되는 양을 조절하는 조절수단;
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폴딩형 태양광 발전장치에 있어서, 상기 태양광 패널의 일면 모서리에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조절수단에 삽입되는 돌출부;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폴딩형 태양광 발전장치에 있어서, 상기 조절수단의 일면에 형성되고, 상기 태양광 패널의 일면 모서리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돌출부가 삽입되며, 상기 태양광 패널과 체결되는 삽입홈;
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폴딩형 태양광 발전장치에 있어서, 상기 조절수단은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일면에 형성되어 상기 와이어가 삽입되는 내부공간; 및
상기 내부공간의 내면에 설치되어 상기 와이어를 지지하고, 상기 와이어를 통해 이동시키는 롤러;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폴딩형 태양광 발전장치에 있어서, 상기 조절수단은 상기 내부공간이 형성된 면과 반대선상에 형성된 홀; 및
상기 홀에 관통되게 체결되어 상기 와이어를 조임으로써 상기 조절수단의 이동여부를 조절하는 제1 고정부재;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폴딩형 태양광 발전장치에 있어서, 상기 조절수단의 인근에 설치되어 상기 조절수단이 와이어를 따라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제2 고정부재;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폴딩형 태양광 발전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2 고정부재는 일면에 형성되어 상기 와이어의 측부가 삽입되는 고정홈; 및
상기 고정홈의 내주면에 형성하되, 상기 제2 고정부재의 일면의 경계선상에 형성되며, 상기 와이어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지지부;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폴딩형 태양광 발전장치에 있어서, 상기 태양광 패널의 일면에 서로 밀착되게 설치하되, 상기 태양광 패널의 밀착된 일면과 각도가 형성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태양광 패널을 지지하는 지지패널;
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폴딩형 태양광 발전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지패널은 투명재질로 이루어져 태양광을 투과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폴딩형 태양광 발전장치에 있어서, 상기 태양광 패널은 상기 와이어의 상부 또는 하부 중 어느 한 지점에 배열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폴딩형 태양광 발전장치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대신에 상기 프레임으로 대체될 수 있다.
이러한 해결 수단은 첨부된 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르면, 프레임의 사이에 와이어가 설치되고, 와이어에 조절수단 및 태양광 패널이 설치되어 조절수단을 통해 태양광 패널을 개폐함으로써 상황에 따라 태양광 발전 또는 농작물의 경작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폴딩형 태양광 발전장치를 나타내 보인 전체 사시도.
도 2 또는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폴딩형 태양광 발전장치의 조절수단 및 태양광 패널의 조립상태를 나타내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폴딩형 태양광 발전장치의 와이어 및 제1 고정부재의 설치상태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폴딩형 태양광 발전장치의 제1 고정부재를 나타내 보인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폴딩형 태양광 발전장치의 제1 고정부재의 사용상태를 나타내 보인 사용예시도.
도 7a 및 7b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폴딩형 태양광 발전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 보인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실시 예에 따른 폴딩형 태양광 발전장치의 사용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실시 예에 따른 폴딩형 태양광 발전장치의 사용 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실시 예에 따른 폴딩형 태양광 발전장치의 사용 예시도.
본 발명의 특이한 관점, 특정한 기술적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는 이하의 구체적인 내용과 일실시 예로부터 더욱 명백해 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폴딩형 태양광 발전장치(10)는 일면이 서로 밀착되게 설치하되, 밀착되는 지점에 각도가 형성되도록 설치되며, 태양광 발전을 실시하는 태양광 패널(40)과, 태양광 패널(40)의 일측에 구비되어 태양광 패널(40)을 지지하는 와이어(30)와, 와이어(30)의 양단에 설치되어 와이어(30) 및 태양광 패널(40)을 지지하는 프레임(20)과, 태양광 패널(40)의 밀착지점에 배열설치되어 태양광 패널(40)을 고정 및 회동하는 회동수단(50) 및 태양광 패널(40)의 모서리 및 와이어(30)에 설치되며, 태양광 패널(40)이 와이어(30)를 통해 이동하여 태양광이 태양광 패널(40)에 조사되는 양을 조절하는 조절수단(60)을 포함한다.
프레임(20)은 일체로 형성되고, 지면으로부터 수직되게 배열설치되며, 양단에 와이어(30)가 설치되어 배열 설치된 프레임(20)의 사이를 연결한다.
태양광 패널(40)은 다각 예컨대 도면상 사각의 형상으로 이루어져 일렬로 배치되고, 배치된 태양광 패널(40)의 일면이 서로 밀착되게 구비되어 밀착된 지점에 각도가 형성된 예컨대 삼각의 형상으로 구비되며, 외면에서 태양광 발전을 실시한다.
또한, 태양광 패널(40)은 서로 밀착된 지점에 회동수단(50)이 배열설치되어 서로 밀착된 태양광 패널(40)이 서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 및 밀착된 태양광 패널(40)의 각도를 조정하여 태양광 패널(40)의 개방 또는 폐쇄를 할 수 있다.
이러한, 태양광 패널(40)은 일면 모서리 예컨대 도면상 하단 양측에 조절수단(60)이 설치되어 태양광 패널(40)이 와이어(30)를 통해 이동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절수단(60)은 태양광 패널(40)의 일면 모서리에 설치되어 태양광 패널(40)이 와이어(30)의 길이안에서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조절수단(60)은 케이스(61)와, 케이스(61)의 일면에 마련되어 와이어(30)가 삽입되는 내부공간(62)과, 내부공간(62)의 내벽에 설치되어 케이스(61)를 이동시키는 롤러(63) 및 일면에 형성되는 삽입홈(64)을 포함한다.
케이스(61)는 통상적인 케이스를 지칭하며, 내구성이 견고한 소재 예컨대 스테인레스 강의 소재로 이루어지며, 일면 예컨대 도면상 하부에 내부공간(62)이 마련된다.
내부공간(62)은 케이스(61)의 일면 예컨대 하부에 구비되고, 와이어(30)의 외면에 안착할 수 있는 공간이며, 내부공간(62)의 내벽에 롤러(63)가 설치된다.
롤러(63)는 내부공간(62)의 내벽에 설치되어 와이어(30)의 외면과 밀착되고, 와이어(30)의 외면에 안착되어 조절수단(60)이 와이어(30)를 통해 이동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롤러(63)는 내부공간(62)의 내벽 예컨대 도면상 3면에 각각 설치되고, 와이어(30)에 밀착되게 안착됨으로써 조절수단(60)이 일정한 방향으로 힘을 가하면 힘을 가한 방향으로 이동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즉, 조절수단(60)은 케이스(61)의 내부공간(62)에 롤러(63)가 설치되어 이 롤러(63)가 와이어(30)에 안착되고, 롤러(63)가 와이어(30)를 따라 회전하게 되면 조절수단(60)이 이동한다.
한편, 조절수단(60)의 일면 예컨대 일측면에 삽입홈(64)이 형성된다.
삽입홈(64)은 조절수단(60)의 일면에 형성되어 태양광 패널(40)의 일면 모서리에 형성된 돌출부(41)가 삽입됨으로써 태양광 패널(40) 및 조절수단(60)이 상호 체결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된 홈이다.
여기서, 돌출부(41)는 태양광 패널(40)의 일면 모서리에 외부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내구성이 견고한 소재 예컨대 강철 소재로 이루어져 장시간동안 태양광 패널(40)을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태양광 패널(40)은 일면 모서리에 돌출부(41)가 구비되고, 이 돌출부(41)가 조절수단(60)의 삽입홈(64)에 삽입됨으로써 태양광 패널(40) 및 조절수단(60)이 상호 체결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절수단(60)의 일면 예컨대 도면상 상면에 관통홀(66)이 형성되고, 관통홀(66)에 제1 고정부재(65)가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조절수단(60)은 상부에서 내부공간(62)까지 관통되게 관통홀(66)이 형성되고, 관통홀(66)의 내주면이 나사산이 형성되어 제1 고정부재(65)가 용이하게 나사체결방식으로 체결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제1 고정부재(65)는 관통홀(66)에 삽입한 이후, 나사체결방식으로 상호체결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사용자가 용이하게 일정한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머리부(65a)가 구비된다.
또한, 제1 고정부재(65)는 머리부(65a)를 통해 회전시켜 와이어(30)를 밀착시킴으로써 조절수단(60)이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이는 제1 고정부재(65)를 통해 조절수단(60)을 와이어(30)에 고정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절수단(60)은 관통홀(66) 및 제1 고정부재(65)를 사용하지 않고 제2 고정부재(70)를 사용하여 조절수단(60)을 와이어(30)에 고정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고정부재(70)는 와이어의 양단에 설치되어 배열설치된 태양광 패널(40)이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제2 고정부재(70)는 일면에 형성되어 와이어(30)의 일 측에 삽입되는 고정홈(71)과, 고정홈(71)의 내주면에 형성하되, 제2 고정부재(70)의 일면의 경계선상에 형성되며, 와이어(30)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지지부(72)를 포함한다.
고정홈(71)은 와이어(30)가 제2 고정부재(70)의 내부에 삽입되는 홈이며, 와이어(30)와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되어 와이어(30)가 삽입 체결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고정홈(71)의 내주면 및 제2 고정부재(70)의 일면의 경계선상에 지지부(72)를 설치하며, 와이어(30)의 외면에 지지부(72)를 걸림으로써 고정홈(71)에 설치된 와이어(30)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제2 고정부재(70)는 배열설치된 태양광 패널(40)의 양 측에 설치된 조절수단(60)에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6을 기준으로 설명하면, 와이어(30)의 양 측에 설치된 태양광 패널(40)에 설치된 조절수단(60)의 인근에 설치되며, 더욱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좌측단에 설치된 조절수단(60)의 좌측에 제2 고정부재(70)를 설치하고, 우측단에 설치된 조절수단(60)의 좌측에 제2 고정부재(70)를 설치하여 태양광 패널(40)이 조절수단(60)을 통해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2 고정부재(70)는 양 측단의 조절수단(60)에 설치하는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각 조절수단(60)의 인근에 배열설치될 수도 있다.
아울러, 제2 고정부재(70)는 와이어(30)로부터 탈부착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와이어(30)로부터 자유롭게 탈부착할 수 있다.
한편, 와이어(30)는 프레임(20)을 대체되어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면으로부터 수직되게 배열설치된 프레임(20)의 상단에 수직되게 또 다른 프레임(20)을 설치하고, 새로 설치된 프레임(20)에 조절수단(60) 및 태양광 패널(40)을 설치하여 이동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새로 설치된 프레임(20)은 레일형으로 구비되어 조절수단(60)이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7a 또는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폴딩형 태양광 발전장치(10)는 와이어(30)에 조절수단(60)이 배열설치되고, 조절수단(60)의 일측에 태양광 패널(40)이 설치되며, 조절수단(60)이 와이어(30)를 따라 좌우로 이동하여 태양광 패널(40)의 위치 및 태양광을 조사할 수 있는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태양광 패널(40)은 태양광 발전을 실시하지 않고 지면에서 경작중인 농작물에 태양광을 조사시킬 경우, 조절수단(60)을 통해 일측방향으로 이동시켜 태양광 패널(40)의 음영(그림자)이 생성되는 면적을 최소화 시킬 수 있어 상황에 따라 태양광 발전 및 농작물의 경작을 실시할 수 있다.
즉, 태양광 패널(40)은 태양광 발전을 실시할 경우, 조절수단(60)이 일 측 예컨대 도면상 좌측으로 이동함으로써 태양광 패널(40)이 태양광을 조사받을 수 있도록 구비되며, 농작물의 경작을 목적으로 할 경우, 조절수단(60)이 타 측 예컨대 도면상 우측으로 이동함으로써 농작물의 경작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실시 예에 따른 폴딩형 태양광 발전장치(10)는 태양광 패널(40)의 사이에 지지패널(42)이 더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태양광 패널(40) 및 지지패널(42)의 일면이 서로 밀착되게 구비되고, 밀착되는 지점에 회동수단(50)이 배열설치되어 태양광 패널(40) 및 지지패널(42)이 상호 회동할 수 있도록 구비되며, 태양광 패널(40) 및 지지패널(42)의 일면 예컨대 도면상 하부의 양측 모서리에 조절수단(60)이 설치된다.
이러한 태양광 패널(40)은 동일한 방향에서 태양광을 조사받아 태양광 발전을 실시할 수 있다.
여기서, 지지패널(42)은 통상적인 패널로 이루어질 수 있고, 또는 투명소재로 이루어져 태양광을 투과시킴으로써 경작지에 경작하는 농작물에 지지패널(42)의 음영이 생성되는 것을 최소화 하는 효과 및 농작물을 고르게 경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실시 예에 따른 폴딩형 태양광 발전장치(10)는 태양광 패널(40)이 와이어(30)의 하부에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태양광 패널(40)은 와이어(30)의 하부에 설치되고, 태양광 패널(40)의 일면 양측 모서리에 조절수단(60)을 설치하여 조절수단(60)을 통해 태양광 패널(40)을 이동시킬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또한, 태양광 패널(40)을 와이어(30)의 하부에 설치하게 되면, 관리자가 용이하게 태양광 패널(40)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고, 태양광 패널(40)을 일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여기서, 태양광 패널(40)은 서로 밀착되는 지점에 회동수단(50)을 설치하고, 서로의 태양광 패널(40)이 마주보는 면 예컨대 도면상 내측에 태양광 발전을 실시할 수 있는 발전수단이 구비되며,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실시 예에 따른 폴딩형 태양광 발전장치(10)는 태양광 패널(40)이 와이어(30)의 하부에 설치되고, 태양광 패널(40)의 사이에 지지패널(42)이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태양광 패널(40) 및 지지패널(42)의 일면이 서로 밀착되게 구비되고, 밀착되는 지점에 회동수단(50)이 배열설치되어 태양광 패널(40) 및 지지패널(42)이 상호 회동할 수 있도록 구비되며, 태양광 패널(40) 및 지지패널(42)의 일면 예컨대 도면상 하부의 양측 모서리에 조절수단(60)이 설치된다.
또한, 태양광 패널(40)은 와이어(30)의 하부에 설치되고, 태양광 패널(40)의 일면 양측 모서리에 조절수단(60)을 설치하여 조절수단(60)을 통해 태양광 패널(40)을 이동시킬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지지패널(42)은 통상적인 패널로 이루어질 수 있고, 또는 투명소재로 이루어져 태양광을 투과시킴으로써 경작지에 경작하는 농작물에 지지패널(42)의 음영이 생성되는 것을 최소화 하는 효과 및 농작물을 고르게 경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태양광 패널(40)을 와이어(30)의 하부에 설치하게 되면, 관리자가 용이하게 태양광 패널(40)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고, 태양광 패널(40)을 일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 본 발명을 일실시 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폴딩형 태양광 발전장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또한,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일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일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태양광 발전장치 20 - 프레임
30 - 와이어 40 - 태양광 패널
41 - 돌출부 42 - 지지패널
50 - 회동수단 60 - 조절수단
61 - 케이스 62 - 내부공간
63 - 롤러 64 - 삽입홈
65 - 제1 고정부재 65a - 머리부
66 - 관통홀 70 - 제2 고정부재
71 - 고정홈 72 - 지지부

Claims (11)

  1. 일면이 서로 밀착되게 설치하되, 밀착되는 지점에 각도가 형성되도록 설치되며, 태양광 발전을 실시하는 태양광 패널;
    상기 태양광 패널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태양광 패널을 지지하는 와이어;
    상기 와이어의 양단에 설치되어 상기 와이어 및 태양광 패널을 지지하는 프레임;
    상기 태양광 패널의 밀착지점에 배열설치되어 태양광 패널을 고정 및 회동하는 회동수단; 및
    상기 태양광 패널의 모서리 및 와이어에 설치되며, 상기 태양광 패널이 와이어를 통해 이동하여 태양광이 상기 태양광 패널에 조사되는 양을 조절하는 조절수단;
    을 포함하는 폴딩형 태양광 발전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태양광 패널의 일면 모서리에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조절수단에 삽입되는 돌출부;
    를 더 포함하는 폴딩형 태양광 발전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절수단의 일면에 형성되고, 상기 태양광 패널의 일면 모서리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돌출부가 삽입되며, 상기 태양광 패널과 체결되는 삽입홈;
    을 더 포함하는 폴딩형 태양광 발전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절수단은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일면에 형성되어 상기 와이어가 삽입되는 내부공간; 및
    상기 내부공간의 내면에 설치되어 상기 와이어를 지지하고, 상기 와이어를 통해 이동시키는 롤러;
    를 더 포함하는 폴딩형 태양광 발전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절수단은 상기 내부공간이 형성된 면과 반대선상에 형성된 홀; 및
    상기 홀에 관통되게 체결되어 상기 와이어를 조임으로써 상기 조절수단의 이동여부를 조절하는 제1 고정부재;
    를 더 포함하는 폴딩형 태양광 발전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절수단의 인근에 설치되어 상기 조절수단이 와이어를 따라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제2 고정부재;
    를 더 포함하는 폴딩형 태양광 발전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2 고정부재는 일면에 형성되어 상기 와이어의 측부가 삽입되는 고정홈; 및
    상기 고정홈의 내주면에 형성하되, 상기 제2 고정부재의 일면의 경계선상에 형성되며, 상기 와이어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지지부;
    를 더 포함하는 폴딩형 태양광 발전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태양광 패널의 일면에 서로 밀착되게 설치하되, 상기 태양광 패널의 밀착된 일면과 각도가 형성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태양광 패널을 지지하는 지지패널;
    을 더 포함하는 폴딩형 태양광 발전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지지패널은 투명재질로 이루어져 태양광을 투과하는 폴딩형 태양광 발전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태양광 패널은 상기 와이어의 상부 또는 하부 중 어느 한 지점에 배열설치되는 폴딩형 태양광 발전장치.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대신에 상기 프레임으로 대체되는 폴딩형 태양광 발전장치.
KR1020170182071A 2017-12-28 2017-12-28 폴딩형 태양광 발전장치 KR1020025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2071A KR102002547B1 (ko) 2017-12-28 2017-12-28 폴딩형 태양광 발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2071A KR102002547B1 (ko) 2017-12-28 2017-12-28 폴딩형 태양광 발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9951A true KR20190079951A (ko) 2019-07-08
KR102002547B1 KR102002547B1 (ko) 2019-10-01

Family

ID=672560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82071A KR102002547B1 (ko) 2017-12-28 2017-12-28 폴딩형 태양광 발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254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2223B1 (ko) * 2020-09-03 2021-03-25 주식회사 썬랩 지면활용이 가능한 태양광장치
WO2021085754A1 (ko) * 2019-10-31 2021-05-06 주식회사 나노밸리 태양전지 모듈
KR102310429B1 (ko) * 2021-03-26 2021-10-08 (주)유에너지 텐션 조절형 개폐형 태양광 발전장치
KR102320611B1 (ko) * 2021-06-11 2021-11-02 다우시스템 주식회사 돔 구조물과 태양광 패널이 서로 접합되어 밀폐기능을 유지하면서 태양광 발전을 지원하는 덮개 구조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18034A (ko) 2021-07-29 2023-02-07 주식회사 대양기업 솔라 패널의 폴딩형 지지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18430A (ja) * 2002-04-22 2003-11-07 Fuji Electric Co Ltd 太陽電池モジュールとその設置方法
JP2017079578A (ja) 2015-10-21 2017-04-27 伊藤電工株式会社 太陽光発電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18430A (ja) * 2002-04-22 2003-11-07 Fuji Electric Co Ltd 太陽電池モジュールとその設置方法
JP2017079578A (ja) 2015-10-21 2017-04-27 伊藤電工株式会社 太陽光発電装置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85754A1 (ko) * 2019-10-31 2021-05-06 주식회사 나노밸리 태양전지 모듈
KR20210052755A (ko) * 2019-10-31 2021-05-11 (주)나노밸리 태양전지 모듈
KR102232223B1 (ko) * 2020-09-03 2021-03-25 주식회사 썬랩 지면활용이 가능한 태양광장치
KR102310429B1 (ko) * 2021-03-26 2021-10-08 (주)유에너지 텐션 조절형 개폐형 태양광 발전장치
KR102320611B1 (ko) * 2021-06-11 2021-11-02 다우시스템 주식회사 돔 구조물과 태양광 패널이 서로 접합되어 밀폐기능을 유지하면서 태양광 발전을 지원하는 덮개 구조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2547B1 (ko) 2019-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79951A (ko) 폴딩형 태양광 발전장치
KR102148697B1 (ko) 영농형 태양광 발전장치
KR101185807B1 (ko) 평 지붕 각도조절식 태양광 발전장치
CN202697389U (zh) 用于农业种植的可调式遮光装置
JP6304596B2 (ja) 太陽光発電装置
KR100858916B1 (ko) 경사 가변형 태양광 트랙커
KR100900209B1 (ko) 단축식 태양광 트랙커
KR100857548B1 (ko) 각도 조절형 태양광 트랙커
KR100760043B1 (ko) 경사각도 조정형 태양광 발전장치
KR102322801B1 (ko) 영농형 태양광 발전장치
KR101326719B1 (ko) 태양광모듈의 경사각도 조절이 가능한 태양광 발전장치
KR20190013187A (ko) 태양광 반사판을 이용한 태양광 발전 온실
KR20200031793A (ko) 영농형 태양광 발전설비
KR101204421B1 (ko) 건물장착형 태양전지 창호의 지지프레임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건물장착형 태양전지 창호
KR101974006B1 (ko) 태양광 구조물에 구비된 집수장치
KR20190066387A (ko) 태양광 구조물의 가변형 앵커
KR101267153B1 (ko) 태양광 전지판 지지대
KR20150142155A (ko) 태양 전지 모듈을 갖는 온실
KR20160103334A (ko) 태양광 발전 기능을 구비한 인삼재배용 차광장치
KR200445230Y1 (ko) 태양광 에너지 수집 판넬 수동 회전장치
CN213153144U (zh) 一种光伏大棚
KR100900211B1 (ko) 높이 조절형 태양광 트랙커
KR102141669B1 (ko) 상하이동형 태양광 구조체의 고정장치
KR20130096814A (ko) 병풍형 태양광 프레임장치와 반사판을 이용한 효율적인 발전방법
CN208094497U (zh) 一种智能光伏大棚光伏固定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