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65497A - 태양광발전시스템의 정션박스용 스트링데이터 수집장치 - Google Patents

태양광발전시스템의 정션박스용 스트링데이터 수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65497A
KR20190065497A KR1020170163999A KR20170163999A KR20190065497A KR 20190065497 A KR20190065497 A KR 20190065497A KR 1020170163999 A KR1020170163999 A KR 1020170163999A KR 20170163999 A KR20170163999 A KR 20170163999A KR 20190065497 A KR20190065497 A KR 201900654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ing
power
junction box
main body
displa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39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회걸
양홍석
강신영
박이수
김영대
이충남
Original Assignee
(주)탑인프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탑인프라 filed Critical (주)탑인프라
Priority to KR10201701639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65497A/ko
Publication of KR201900654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549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50/00Monitoring or testing of PV systems, e.g. load balancing or fault identification
    • H02S50/10Testing of PV devices, e.g. of PV modules or single PV cel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2/00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 G01R22/06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by electronic method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H01L31/042PV modules or arrays of single PV cel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30Electrical components
    • H02S40/34Electrical components comprising specially adapted electrical connection means to be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PV module, e.g. junction box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Abstract

본 발명은 태양광발전시스템의 정션박스용 스트링데이터 수집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정션박스 내 스트링단자대의 복수의 스트링라인과 각각 연결되어 각 스트링라인에서 입력되는 전류/전압을 측정할 수 있는 전류/전압센서가 포함되어 본체의 일측면에 일정간격으로 구성되는 복수개의 스트링 접속단; 상기 정션박스 내부에서 상기 본체가 스트링단자대의 일측으로 위치되어 고정 설치되도록 본체의 좌우 양단부에 구비되는 고정단; 상기 정션박스의 내부에 구비되는 서지보호장치(SPD:Surge Protective Device)와 연결되어 서지보호장치의 이상여부를 감시하면서 이상시에 이상신호를 표출하거나 알람신호를 발생하도록 본체의 일측면에 구비되는 SPD 이상표시부; 상기 복수의 스트링 접속단으로 인입되는 복수의 PV모듈에 대한 각 스트링의 개별전력 및 전체 스트링의 합산 전력을 표시하도록 상기 SPD 이상표시부의 일측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복수의 스트링접속단으로 인입되는 각 스티링의 개별전력을 설정된 프로그램에 의해 각각 측정한 측정치 및 전체 합산한 측정치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도록 하는 마이컴;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태양광발전시스템의 정션박스용 스트링데이터 수집장치{String data collecting device in junction box for photovoltaic system}
본 발명은 태양광발전시스템의 정션박스용 스트링데이터 수집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태양광발전소에 설치되는 다수개의 태양광발전 모듈에서 생산된 전기가 수집되는 정션박스내에 설치되어 각 스트링별 생산되는 전력량의 수집과 데이터 가공을 통해 각 스트링별 전력생산 관리가 용이하도록 구성되는 태양광발전시스템의 정션박스용 스트링데이터 수집장치에 관한 것이다.
신재생에너지 분야 중 태양광발전 분야가 그중 가방 활발하게 기술개발 및 상용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태양광발전기술은 태양광으로부터 전기를 생산하는 무한·청정기술로서 세계 각국에서 가장 활발하게 대체에너지의 수단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
태양광발전시스템은 태양광을 수광하여 화학적인 변화를 통해 전기를 생산하는 태양전지와, 상기 태양전지에서 생성된 직류전기를 상용전력인 교류로 변환시키는 인버터와, 생산된 전기를 저장하는 축전지와, 상기 태양전지를 태양광의 수광이 용이하도록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에 고정 설치하는 고정구조물과, 상기 태양전지에서 생산된 전기의 축전, 배전, 공급을 제어하는 제어반과, 원격지에서 태양광발전설비를 관리, 유지하기 위해 원격으로 상기 제어반을 관리하는 관리서버 등이 기본적으로 구비된다.
이와 같은 태양광발전시스템은 상업용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주변에 높은 건물이 없으면서 계절에 관계없이 태양광의 수광이 용이한 나대지나, 주변에 키가 큰 나무 등이 없어 그늘이 생기지 않는 개간된 밭이나 임야 등에 대규모로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업용 태양광발전 설비는 발전된 전력을 매전(賣電)하여 수익을 올리는 구조이므로, 전기의 발전량 증대가 사업성을 좌우하는 매우 중요한 요소가 되므로, 일반 상업용 태양광발전소는 발전설비를 최적의 상태로 유지, 관리하여 고장발생율을 억제하고, 고장 발생시 신속하게 대응하여 고장발생으로 인한 발전 정지시간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할 것이다.
따라서, 태양광발전시스템은 그 시공도 중요하지만 시공 후 유지관리도 매우 중요한 요건인데, 시공은 대부분 전문 시공업체에서 시행되고 있어서 시공에는 큰 문제가 없으나, 시공 후 이를 관리하는 부분에서는 발전사업자가 직접 할 경우 전문적 기술이나 지식이 없어서 사후관리에 애로사항이 많이 발생하게 된다.
물론, 태양광발전시스템의 시공업체가 사후 관리를 해주거나 별도의 유지관리업체가 대행해주고 있는 경우도 있으나, 늘어나는 태양광발전소의 수량에 비해 그 관리는 효율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즉, 태양광발전소는 세계적으로 매년 증가율을 보이고 있으며, 국내 태양광발전소도 지속적인 성장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태양광발전소 시공 후 이를 유지관리업체는 매우 영세한 경우가 대부분이어서 태양광발전소 설비를 유지관리업체에 위탁하여더라도 체계적인 관리가 이루어지지 못하는 실정이고, 특히 전력을 생산하는 태양광모듈에 고장이 발생되어 전력생산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비전문가들은 이의 고장 유무를 쉽게 알 수 없고, 이럴 경우 정상적인 전력생산이 이루어지지 못함으로 인해 많은 경제적 비용손실을 감수해야만 하였다.
태양광발전소의 경우 적절한 유지관리가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에 발전량에 큰 영향을 끼치게 되고, 사소한 고장이 큰 고장으로 이어질 경우 시공시보다 더 많은 유지 관리비용이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에 태양광발전소의 효율적인 사후 관리가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증가하고 있는 태양광발전소, 특히 대단위 형태로 시공되는 태양광발전소의 태양광모듈에 대한 효율적인 관리와 이의 유지관리는 전력생산량에 미치는 효과가 매우 커서 많은 태양광모듈에서 어느 하나가 고장이 발생되더라도 이를 신속하게 파악하고, 고장난 태양광모듈을 손쉽게 찾아 고장난 부품을 교체하거나 수리 하는 등의 후속조치가 신속하게 이루어져야 전력생산량에 차질이 발생되지 않고 전력매전비용의 손실을 줄일 수 있게 된다.
이러한 태양광발전소의 전력생산에 따른 여러가지 문제, 특히 가장 중요한 전력생산량이 정상기준에 미치지 못할 경우 이를 신속하게 파악, 관리자에게 통보할 수 있도록 하여 고장난 문제점을 신속하게 해결할 수 있도록 태양광발전시스템을 감시, 관리하는 유지관리 시스템을 갖추는 것이 태양광발전시스템에서 매우 중요하게 인식되면서 이에 대한 다양한 형태의 기술이 개발, 실제 현장에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태양광발전시스템의 고장감시 및 유지관리를 위해 종래에 안출된 일례를 살펴보면, 한국 특허등록 제10-1279554호는 고장 및 불량모듈을 바이패스할 수 있는 태양광 발전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으로, 태양전지 모듈 중에서 조도량 또는 전압 등을 감지하여 이들이 기준치 보다 작으면 고장 및 불량모듈로 판정하여 바이패스하도록 하고, 각 태양전지 모듈 내에는 발생 전력에 의하여 모듈 내부의 온도가 올라가거나 아크 방전 등이 발생될 수 있는데, 높은 온도나 아크 방전 등에 의하여 PV 모듈 내의 절연물들이 열화되거나 부식되는 경우 특정 PV 모듈에서 이상 고온이나 방전이 발생되어 이들 PV 모듈을 고장 및 불량 모듈로 판정하여 바이패스 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태양광 발전은 일조량에 따라 발생 전력에 큰 차이가 나고, 특히 계절, 시간대, 구름과 같은 대기의 상태에 따라 태양광의 일조량이 급속하게 변동되는 상황이 연출되고, 이와 같이 일조량이 변동되는 상황에서 기준치를 고정적으로설정하면 너무 과도하게 또는 너무 적게 태양전지 모듈을 고장 및 불량으로 검출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종래 실시예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또 다른 종래의 실시예로 한국 특허등록 제10-1743908호가 안출된 바 있다.
상기 종래의 특허는 각 PV 모듈의 출력 전력, 발열 온도, 아크방전에 의한 과도접지전압(TEV)을 검출하고, 이들 검출값에 의한 각 모듈의 편차가 다른 모듈의 편차와의 상대적인 차이를 판단하여 고장 및 불량모듈임을 판정하는, 태양광 발전장치의 PV 고장 및 불량모듈 바이패스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각 PV모듈에 바이패스회로를 구성하고, 과도접지전압을 검출, 이에 대한 확률분포를 구하여 각 PV모듈의 고장이나 불량모듈의 바이패스 시스템을 구성하는 것은 설계상 매우 복잡하게 되어 많은 비용부담을 감수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었다.
- 한국 특허등록 제10-1743908호(등록일: 2017.05.31, 발명의 명칭: 태양광 발전장치의 PV 고장 및 불량모듈 바이패스 시스템) - 한국특허등록 제10-1376910호(등록일: 2014.03.14, 발명의 명칭: 태양전지모듈의 고장검출 방법 및 그 장치) - 한국 특허공개 제10-2016-64688호(공개일: 2016.06.08, 발명의 명칭: 통신기능을 갖는 태양광 전지 모듈으 정션박스)
본 발명은 종래의 태양광발전시스템에서 고장난 태양광모듈의 정보수집이 어려운 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복수개의 태양광발전모듈에서 생산된 전기가 스트링별로 인입되는 정션박스 내부에 각 스트링별 전력생산 데이터를 수집하는 장치를 설치하여 각 스트링별 생산된 전력의 상대비교를 통해 고장발생이나 이상이 있는 태양광모듈을 간편하게 검출할 수 있도록 하는 태양광발전시스템의 정션박스용 스트링데이터 수집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태양광발전시스템을 구성하는 장치의 구성을 복잡하게 하지 않고, 종래의 장치에 간단하게 부착 사용되도록 구성되어 각 스트링 라인의 고장여부를 판별할 수 있도록 하여 태양광모듈의 고장 감시와 그 시스템을 구축하는데 큰 비용이 소요되지 않도록 하여 발전사업자의 경제적 비용부담을 줄일 수 있는 태양광발전시스템의 정션박스용 스트링데이터 수집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발전시스템의 정션박스용 스트링데이터 수집장치는 정션박스 내 스트링단자대의 복수의 스트링라인과 각각 연결되어 각 스트링라인에서 입력되는 전류/전압을 측정할 수 있는 전류/전압센서가 포함되어 본체의 일측면에 일정간격으로 구성되는 복수개의 스트링 접속단; 상기 정션박스 내부에서 상기 본체가 스트링단자대의 일측으로 위치되어 고정 설치되도록 본체의 좌우 양단부에 구비되는 고정단; 상기 정션박스의 내부에 구비되는 서지보호장치(SPD:Surge Protective Device)와 연결되어 서지보호장치의 이상여부를 감시하면서 이상시에 이상신호를 표출하거나 알람신호를 발생하도록 본체의 일측면에 구비되는 SPD 이상표시부; 상기 복수의 스트링 접속단으로 인입되는 복수의 PV모듈에 대한 각 스트링의 개별전력 및 전체 스트링의 합산 전력을 표시하도록 상기 SPD 이상표시부의 일측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복수의 스트링 접속단으로 인입되는 각 스티링의 개별전력을 설정된 프로그램에 의해 각각 측정한 전력량 및 전체 합산한 전력량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도록 하는 마이컴;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특히, 상기 본체의 일측면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각 스트링으로 인입되는 전력이나 전체 합산된 전력 및 프로그램에 의해 계산된 전력생산효율 등을 측정한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디스플레이 선택기능스위치가 구비되고, 상기 마이컴에 수집되어 계측된 각 스트링의 현재 전력 생산량이나 전체 스트링의 전력량 합산치를 원격지의 관리자 또는 관리서버로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통신모듈이 구비되고, 상기 정션박스 내부 또는 상기 본체의 내부에는 내측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센서가 설치되고, 상기 온도감지센서에서 센싱된 내측 온도가 설정된 기준치를 벗어날 경우 알람신호를 발생하도록 하는 알람신호발생/표시부가 상기 본체의 내부에 구비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발전시스템의 정션박스용 스트링데이터 수집장치는 설치되는 접속반의 구조를 단순하게 구성할 수 있고, 각 스트링에 대한 전력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어서 관리자가 정션박스 내에 설치되느 스트링데이터 수집장치를 통해 각 스트링의 전력생산 상태와 고장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태양광발전시스템의 관리가 더욱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본체의 일측에 구비된 디스플레이선택기능스위치의 조작에 따라 각 스트링의 현재 전력생산치, 총 발전량 등을 간단히 파악할 수 있고, 각 스트링의 평균 발전량을 백분율로 표시하여 발전효율을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저전력 소비와 넓은 범위의 전압, 높은 정밀도 측정을 통해 태양광발전시스템의 각 PV모듈에서 생산되는 전력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발전시스템의 정션박스용 스트링데이터 수집장치의 외관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트링데이터 수집장치가 정션박스 내부에 설치된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트링데이터 수집장치에 구비되는 마이컴의 주요 구성 블럭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발전시스템의 정션박스용 스트링데이터 수집장치(이하, ‘스트링데이터 수집장치’라 약칭함)는 다수의 PV모듈에서 생산된 전력이 인입되는 정션박스에 설치되어 각 PV모듈에서 생산된 개별적 전력과, 전체 PV모듈에서 생산되어 합산된 전력 및 발전시간이나 각 PV모듈의 발전효율 등을 계측하고 표시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관리자 태양광발전시스템의 효율적관리와 편리한 점검 및 유지활동을 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정션박스내로 인입되는 각 스트링라인에 맞도록 하나의 본체에 복수개의 스트링접속단이 일체로 형성되어 복수개 스트링단에 인입되는 각각의 전력, 즉 전류와 전압을 계측하여 표시하도록 구성될 뿐만 아니라 전체 스트링단으로 인입되는 전체 전력량을 마이컴에 내장된 프로그램에 의해 자동으로 계산하여 사용자의 디스플레이 선택기능스위치 조작에 의해 순서대로 표출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태양광발전시스템의 관리자가 필요한 내용을 간편하게 선택하여 살펴볼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스트링데이터 수집장치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당업자들이 공지된 기술을 통해 용이하게 안출할 수 있는 통상적인 기술구성에 대해서는 그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트링데이터 수집장치(20)의 외관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트링데이터 수집장치(20)가 정션박스(10)의 내부에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트링데이터 수집장치(20)는 협소한 정션박스(10) 내부에 그 설치가 용이하도록 전후 폭에 비해 좌우 길이가 긴 장방형의 본체(21)를 구성한다.
즉, 상기 본체(21)는 사각기둥 형태로 이루어져 정션박스(10) 내부의 스트링단자대(16)의 일측으로 고정 설치되도록 좌우 양단에 고정단(28)이 구비되어 있고, 스트링단자대(16)를 향하는 일 측면 또는 양 측면에는 복수의 PV모듈에서 인입되는 스트링 갯수와 일치되는 복수개의 스트링접속단(22)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복수개의 스트링접속단(22)에는 스트링단자대의 각 스트링과 1:1로 연결되어 각 스트링으로 인입되는 전력량(전류,전압)을 내부에 내장된 센서를 이용하여 간단하게 계측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정션박스(10)의 내부에는 서지보호장치(15, SPD:Surge Protective Device, )가 구비되는데, 상기 서지보호장치(15)와 연결되어 서지보호장치(15)의 고장 또는 이상여부를 감시하면서 고장 또는 이상시에는 알람신호를 발생하도록 본체(21)의 일측면에 SPD 이상표시부(25)가 구비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복수의 스트링 접속단(22)으로 인입되는 복수의 PV모듈에 대한 각 스트링의 개별전력 및 전체 스트링의 합산 전력이 내장된 프로그램에 의해 자동 계산되어 표시하도록 상기 SPD 이상표시부(25)의 일측으로 LCD창으로 구성된 디스플레이부(23)가 구비된다.
그리고, 디스플레이부(23)의 일측으로는 상기 디스플레이부(23)에 각 스트링에서 인입되는 전력량이나 전체 스트링의 인입전력을 합산한 전체 전력량, 현재까지 누적된 총 전력량, 각 스트링에서 생산되는 전력량의 백분율 등 PV모듈에서 생산되어 정션박스로 인입되는 전력량에 대한 각종 데이터 및 가공된 데이터를 관리자의 조작에 의해 순서대로 표시되도록 하는 디스플레이 선택기능스위(26)가 더 구비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디스플레이 선택기능스위(26)는 푸시버튼식으로 구성되어 한번 누르면 개별적인 스트링전력량이 표시되고, 두번 누르면 전체 스트링으로 인입된 전체 전력량이 표시되고, 세번 누르면 특정 스트링의 전력생산효율이 표시되는 것처럼 프로그램에 의해 각 스트링에서 수집된 데이터의 현재상태, 적산상태, 전력 생산효율 등 다양한 형태의 스트링 전력량이 표시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선택기능스위(26)를 눌러 각 스트링별 전력량이 디스플레이부(23)에 표시될 때, 디스플레이부 일측에는 해탕 스트링의 번호가 표시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도 3에는 상술한 본체(21)의 내부에 구비되어 각 스트링단자대으로 인입되는 전력생산량에 대한 계측, 적산, 백분율 등의 전력량에 대한 각종 필요한 데이터를 산출하거나 가공하여 디스플레이부(23)에 표시되도록 하는 전력량 관리프로그램이 내장된 마이컴(30)의 주요 구성을 블럭도로 간략하게 도시하고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마이컴(30)에는 각 스트링별 전력량 산출, 전체 스트링에 대한 전력량 산출, 전체 생산된 전력량에 대한 각 스트링별 전력량의 백분율 산출 등을 수행하는 전력량 관리프로그램과 각종 계측데이터가 저장되는 메모리부(34)와, 각 스트링별 생산된 전력을 비교하고 필요한 데이터 산출을 위한 연산을 수행하는 비교연산부(36)와, 각 스트링으로 인입되는 전력을 센싱하기 위해 각 스트링의 인입단측에 구비되는 전류/전압 감지센서로 구성되는 스트링 인입전력 감지부(38)와, 상기 메모리부(34)와 비교연산부(36) 및 스트링 인입전력 감지부(38)의 종합적인 관리와 제어를 통제하는 중앙제어부(32)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마이컴(30)에서 수행된 각종 데이터의 처리 결과는 본체(21)의 상면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부(23)로 표시되고, 디스플레이부(23)에 표시되는 전력 데이터는 디스플레이 선택기능스위치(26)의 누름조작에 의해 다양한 데이터가 순서대로 표시되어 관리자가 필요한 데이테를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마이컴(30)은 정션박스 내부 일측에 구비된 서지보호장치에 연결되어 서지보호장치의 회로가 단락되는 등 이상이나 고장 발생시에 이를 본체의 표면에 구비된 SPD 이상표시부(25)에 표시되도록 하여 관리자가 정션박스를 열고 확인할 때 육안으로 쉽게 서지보호장치(SPD)의 고정여부를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체 본체의 내부에는 상기 마이컴과 연결되어 각 스티링에서 수집된 전력량 데이터를 원격의 관리자 또는 관리서버로 전송하여 원격지에서 정션박스 내의 스트링전력에 대한 이상여부, 즉 PV모듈의 이상여부를 파악할 수 있도록 소정의 통신모듈(27)이 더 구비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10 : 정션박스(MJB) 12 : PV퓨즈
14 : 퓨즈홀더 15 : 서지보호장치(SPD)
16 : 스트링단자대
20 : 스트링데이터 수집장치
21 : 본체 22 : 스트링접속단
23 : 디스플레이부 24 : 알람신호발생 및 표시부
25 : SPD 이상표시부 26 : 디스플레이선택기능스위치
27 : 통신모듈 28 : 고정단
30 : 마이컴
32 : 중앙제어부 34 : 메모리부
36 : 비교연산부 38 : 스트링 인입전력 감지부
40 : 온도감지센서

Claims (2)

  1. 정션박스 내 스트링단자대의 복수의 스트링라인과 각각 연결되어 각 스트링라인에서 입력되는 전류/전압을 측정할 수 있는 전류/전압센서가 포함되어 본체의 일측면에 일정간격으로 구성되는 복수개의 스트링 접속단;
    상기 정션박스 내부에서 상기 본체가 스트링단자대의 일측으로 위치되어 고정 설치되도록 본체의 좌우 양단부에 구비되는 고정단;
    상기 정션박스의 내부에 구비되는 서지보호장치(SPD:Surge Protective Device)와 연결되어 서지보호장치의 이상여부를 감시하면서 이상시에 이상신호를 표출하거나 알람신호를 발생하도록 본체의 일측면에 구비되는 SPD 이상표시부;
    상기 복수의 스트링 접속단으로 인입되는 복수의 PV모듈에 대한 각 스트링의 개별전력 및 전체 스트링의 합산 전력을 표시하도록 상기 SPD 이상표시부의 일측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복수의 스트링 접속단으로 인입되는 각 스티링의 개별전력을 설정된 프로그램에 의해 각각 측정한 전력량 및 전체 합산한 전력량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도록 하는 마이컴;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발전시스템의 정션박스용 스트링데이터 수집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일측면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각 스트링으로 인입되는 전력이나 전체 합산된 전력 및 프로그램에 의해 계산된 전력생산효율 등을 측정한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디스플레이 선택기능스위치가 구비되고,
    상기 마이컴에 수집되어 계측된 각 스트링의 현재 전력 생산량이나 전체 스트링의 전력량 합산치를 원격지의 관리자 또는 관리서버로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통신모듈이 구비되고,
    상기 정션박스 내부 또는 상기 본체의 내부에는 내측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센서가 설치되고, 상기 온도감지센서에서 센싱된 내측 온도가 설정된 기준치를 벗어날 경우 알람신호를 발생하도록 하는 알람신호발생/표시부가 상기 본체의 내부에 구비된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발전시스템의 정션박스용 스트링데이터 수집장치.
KR1020170163999A 2017-12-01 2017-12-01 태양광발전시스템의 정션박스용 스트링데이터 수집장치 KR2019006549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3999A KR20190065497A (ko) 2017-12-01 2017-12-01 태양광발전시스템의 정션박스용 스트링데이터 수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3999A KR20190065497A (ko) 2017-12-01 2017-12-01 태양광발전시스템의 정션박스용 스트링데이터 수집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5497A true KR20190065497A (ko) 2019-06-12

Family

ID=668456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3999A KR20190065497A (ko) 2017-12-01 2017-12-01 태양광발전시스템의 정션박스용 스트링데이터 수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65497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6910B1 (ko) 2013-03-28 2014-03-26 울산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태양전지모듈의 고장검출 방법 및 그 장치
KR20160064688A (ko) 2014-11-28 2016-06-08 주식회사 하이솔루션 통신 기능을 갖는 태양광 전지 모듈의 정션 박스
KR101743908B1 (ko) 2016-12-21 2017-06-07 주식회사 베스텍 태양광 발전장치의 pv 고장 및 불량모듈 바이패스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6910B1 (ko) 2013-03-28 2014-03-26 울산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태양전지모듈의 고장검출 방법 및 그 장치
KR20160064688A (ko) 2014-11-28 2016-06-08 주식회사 하이솔루션 통신 기능을 갖는 태양광 전지 모듈의 정션 박스
KR101743908B1 (ko) 2016-12-21 2017-06-07 주식회사 베스텍 태양광 발전장치의 pv 고장 및 불량모듈 바이패스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56294B2 (ja) 太陽光発電監視方法及びその方法に用いられる太陽光発電監視システム
CN106688176B (zh) 具有故障诊断装置的光伏发电系统及其故障诊断方法
KR101390405B1 (ko) 태양광 발전 설비 관리를 위한 모니터링 및 제어 시스템
KR101066064B1 (ko) 태양광 모듈의 원격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KR101295529B1 (ko) 태양전지판의 고장진단 원격감시 시스템
KR101266346B1 (ko) 개별 태양전지모듈의 발전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고장 상태를 판단하는 방법.
JP2011216811A (ja) 太陽電池異常診断システム、太陽電池異常診断装置および太陽電池異常診断方法
KR101743908B1 (ko) 태양광 발전장치의 pv 고장 및 불량모듈 바이패스 시스템
JP6087200B2 (ja) 太陽光発電システムの異常検出装置、異常検出方法、及び太陽光発電システム
KR100983236B1 (ko) 태양광발전의 지락 및 누전 등의 이상 검출 및 보호 기능을 갖는 지능관리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
JP5557820B2 (ja) 太陽光発電設備
KR101456241B1 (ko) 태양전지 모듈 이상상태 감지장치
JP5295996B2 (ja) 太陽光発電システム
JP2011077477A (ja) 監視装置
KR101297078B1 (ko) 태양광 전지모듈별 고장 진단 가능한 태양광 발전 모니터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고장진단 방법
KR102182820B1 (ko) 태양광 모듈의 고장 및 열화 상태 진단 기능을 갖는 태양광 발전장치 및 그 발전 관리방법
US20180366979A1 (en) Defect detection in power distribution system
JP2015198485A (ja) 異常検出装置、異常検出システム、及び異常検出方法
JP2015136233A (ja) 太陽光発電システム
KR101578675B1 (ko)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발전 랭킹 산출 장치
KR101618299B1 (ko) 태양광발전시스템의 모니터링 방법 및 장치
JPH0864653A (ja) 太陽電池診断システム
JP2011119579A (ja) 太陽光発電システム
KR101870300B1 (ko) 태양광발전시스템 및 태양광발전시스템의 고장진단방법
KR101745419B1 (ko) Pv 불량모듈 우회 회로를 구비한 태양광 발전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