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64499A - 적어도 하나의 수직 슬롯을 갖는 카테터 고정 장치 - Google Patents

적어도 하나의 수직 슬롯을 갖는 카테터 고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64499A
KR20190064499A KR1020180150560A KR20180150560A KR20190064499A KR 20190064499 A KR20190064499 A KR 20190064499A KR 1020180150560 A KR1020180150560 A KR 1020180150560A KR 20180150560 A KR20180150560 A KR 20180150560A KR 20190064499 A KR20190064499 A KR 201900644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rtical slit
catheter
tube
fixation device
bas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05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서 파크허스트
Original Assignee
타이디 프로덕츠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타이디 프로덕츠 엘엘씨 filed Critical 타이디 프로덕츠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1900644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449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2Holding devices, e.g. on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2Holding devices, e.g. on the body
    • A61M2025/0246Holding devices, e.g. on the body fixed on the skin having a cover for covering the hold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2Holding devices, e.g. on the body
    • A61M2025/0253Holding devices, e.g. on the body where the catheter is attached by straps, bands or the like secured by adhes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2Holding devices, e.g. on the body
    • A61M2025/0253Holding devices, e.g. on the body where the catheter is attached by straps, bands or the like secured by adhesives
    • A61M2025/026Holding devices, e.g. on the body where the catheter is attached by straps, bands or the like secured by adhesives where the straps are releasably secured, e.g. by hook and loop-type fasten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2Holding devices, e.g. on the body
    • A61M2025/0266Holding devices, e.g. on the body using pads, patches, tapes or the like
    • A61M2025/0273Holding devices, e.g. on the body using pads, patches, tapes or the like having slits to place the pad around a catheter puncturing site

Abstract

허브 및 적어도 하나의 튜브 부재를 포함하는 카테터를 고정하도록 환자의 피부에 장착되는 카테터 고정 장치. 상기 카테터 고정 장치는 가요성의 얇은 시트형 베이스 부재 및 탈착가능한 가요성의 얇은 시트 형상 보유 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보유 부재는 원위 에지로부터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수직 슬릿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튜브 부재는 상기 수직 슬릿을 통해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직 슬릿에서 상기 원위 에지와 근위 에지 사이에는 구멍이 위치될 수 있다. 추가적인 수직 슬롯은 추가적인 튜브 부재를 수용하도록 보유 부재 둘레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슬롯은 튜브 부재가 보유 부재의 원위 에지와 근위 에지 사이의 실질적으로 중간에서 보유 부재로부터 연장되게 하여, 카테터에 대한 힘이 베이스 부재의 중간에 전달되게 한다.

Description

적어도 하나의 수직 슬롯을 갖는 카테터 고정 장치{CATHETER SECUREMENT DEVICE WITH AT LEAST ONE VERTICAL SLIT}
본 출원은 적어도 하나의 수직 슬릿을 갖는 카테터 고정 장치라는 명칭으로 2017년 11월 30일자에 출원된 미국 가출원 62/592,710호의 우선권을 청구하며, 그 전체 내용은 본원에 참고로 편입된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카테터 고정 장치(catheter securement devices)"로 지칭되는 의료 장치 분야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은 우수한 유지력을 갖는 카테터 고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적어도 하나의 수직 슬릿을 갖는 카테터 고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카테터 고정 장치가 카테터 및 관련 구성요소에 상당한 부하를 가하더라도 환자의 피부에 고정 된 상태로 유지되게 한다.
다양한 카테터 고정 장치가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있다. 예를 들어, 많은 유형의 카테터 고정 장치는 환자의 피부에 고정되는 가요성 붕대형 물질로 제조된다. 종종, 이들 장치는 피부에 고정되는 베이스 부재와, 베이스 부재에 탈착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는 보유 부재를 갖는다. 그 결과, 보유 부재는 카테터 및 관련 구성요소의 조정을 허용하도록 반복적으로 개폐될 수 있다. 예로서, 다수의 카테터 고정 장치가 미국특허 D608,887호; D616,091호; D616,983호; D625,002호; D715,927호; D715,928호; D780,914호; 8,251,957호; 8,500,698호; 및 9,248,259호에 기재되어 있으며, 이들 모두는 본원에 참고로 편입된다. 이들 특허에 도시된 카테터 고정 장치가 카테터를 소정 위치에 성공적으로 고정하지만, 고장 전에 더 큰 힘을 견딜 수 있는 변형된 카테터 고정 장치가 바람직하다.
종래의 카테터 고정 장치와 비교하여 고장 전에 더 큰 힘을 견딜 수 있는 하나의 변형된 카테터 고정 장치가 미국특허 9,358,366호 및 미국특허출원 2016/0331934호에 기재되어 있으며, 이들 모두는 본원에 참고로 편입된다. 이들 문헌의 카테터 고정 장치는 베이스 부재보다 작은 보유 부재를 구비하여, 베이스 부재의 원위 에지와 보유 부재 사이의 오프셋을 초래한다. 이러한 오프셋의 결과로, 카테터와 관련된 튜브에 가해지는 임의의 힘은 베이스 부재의 중간을 통해 아래로 분배될 것이다. 대조적으로, 많은 종래 기술의 카테터 고정 장치는 베이스 부재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크기의 보유 부재를 갖는다. 이는 베이스 부재의 원위 에지가 보유 부재의 원위 에지와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이 되도록 한다. 따라서, 카테터와 관련된 튜브에 힘이 가해지면, 베이스 부재의 원위 에지가 때로는 다소 쉽게 벗겨질 수 있다. 종래의 카테터 고정 장치로 발생하는 베이스 부재의 에지 대신에 개선된 장치의 베이스 부재의 중간을 통해 힘이 아래로 분배되기 때문에, 이와 같이 개선된 카테터 고정 장치는 고장 전에 더 큰 힘을 견딜 수 있다. 그러나, 고장 이전에 상당한 힘을 견딜 수 있는 추가적인 대안 설계가 여전히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고장 이전에 카테터 및 관련 장치에 가해지는 힘을 견디도록 특별히 구성된 다른 카테터 고정 장치가 필요하다.
요약하면, 본 발명은 허브 및 튜브 부재를 포함하는 카테터를 고정하도록 환자의 피부에 장착되는 카테터 고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관점에 따르면, 카테터 고정 장치는 가요성의 얇은 시트형 베이스 부재와, 탈착가능한 가요 성의 얇은 시트형 보유 부재를 포함한다. 베이스 부재는 근위 에지, 근위 에지에 대향하는 원위 에지, 제1 단부, 제1 단부에 대향하는 제2 단부, 상측부 및 하측부를 가질 수 있다. 또한, 해제 라이너는 베이스 부재의 하측부에 탈착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보유 부재는 제1 단부, 제1 단부에 대향하는 제2 단부, 원위 에지, 원위 에지에 대향하는 베이스 에지, 상측부, 하측부, 및 원위 에지로부터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수직 슬릿을 가질 수 있다. 추가로, 제1 단부 및 제2 단부 중 하나는 고정된 단부일 수 있고, 제1 단부 및 제2 단부 중 다른 하나는 탈착가능한 단부일 수 있다. 사용시, 허브는 고정 부재 아래에 고정된다. 추가로, 튜브 부재는 제1 단부와 제2 단부 사이의 실질적으로 중간에 위치될 수 있는 제1 수직 슬릿을 통해 연장될 수 있다. 또한, 보유 부재는 원위 에지와 근위 에지 사이에 위치된 구멍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구멍은 보유 부재가 복수의 튜브 부재를 갖는 카테터를 수용하게 한다. 예를 들어, 제1 슬릿은 구멍에서 종단될 수 있다. 추가로, 보유 부재는 제2 수직 슬릿 및 제3 수직 슬릿을 가질 수 있다. 이들 슬릿은 모두 제2 튜브 부재 및 제3 튜브 부재와 같은 추가 튜브 부재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따르면, 카테터 고정 장치는 카테터와 관련된 튜브 부재 중 하나에 가해지는 힘으로 인한 집중 영역을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집중 영역은 원위 에지와 베이스 에지 사이의 실질적으로 중간에 위치된다. 이러한 집중 영역은 튜브 부재에 가해지는 상측 방향력 또는 튜브 부재에 가해지는 측부 방향력으로부터 초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관점에 따르면, 보유 부재를 베이스 부재에 탈착가능하게 부착하기 위해 후크-앤-루프 패스너가 사용된다. 예를 들어, 후크-앤-루프 패스너 중 하나는 베이스 부재의 상측부에 장착될 수 있고, 후크-앤-루프 패스너 중 다른 하나는 보유 부재의 하측부에 장착될 수 있다. 후크-앤-루프 패스너 중 모두 또는 어느 하나는 강화된 그립핑 특성을 위해 접착제로 함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관점에 따르면, 카테터 고정 장치를 이용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우선, 본원에 기재된 카테터 고정 장치가 제공된다. 다음으로, 베이스 부재의 하측부로부터 해제 라이너가 제거되어 접착제를 노출시킨다. 그 다음, 베이스 부재의 하측부는 환자의 피부에 부착된다. 다음으로, 카테터 및 적어도 하나의 튜브와 관련된 허브는 베이스 부재의 상측부에 직접 인접하여 위치한다. 그 후, 보유 부재는 베이스 부재의 상측부에 탈착가능하게 부착되어 허브 및 카테터를 소정 위치에 고정시킨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튜브가 적어도 하나의 수직 슬릿을 통해 위치될 수 있다. 또한, 허브는 구멍 아래에 위치될 수 있고, 다수의 튜브가 구멍을 통해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유사하게, 추가적인 튜브는 예를 들어 제1, 제2 및 제3 슬릿을 나사 결합되는 제1, 제2 및 제3 튜브와 같은 추가적인 수직 슬릿을 통해 나사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들 및 다른 관점 및 목적은 하기의 설명 및 첨부한 도면과 함께 고려될 때 더 잘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하기의 설명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내지만, 예시를 위한 것이지 한정하기 위해 제공된 것이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많은 변경 및 수정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이러한 모든 수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을 구성하는 이점 및 특징, 및 본 발명이 제공하는 전형적인 메커니즘들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한 명확한 개념은 본 명세서의 일부를 이루며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비제한적인 예시적인 실시예를 참조함으로써 더욱 명백해질 것이며, 동일한 참조부호는 여러 도면에서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보유 부재에 형성된 단일의 수직 슬릿 및 구멍을 갖는 본 발명의 카테터 고정 장치를 도시한다.
도 2는 도 1의 본 발명의 카테터 고정 장치를 도시하며, 카테터가 카테터 고정 장치 상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 3은 도 1 및 도 2의 본 발명의 카테터 고정 장치를 도시하며, 적어도 하나의 튜브 부재가 당겨진다.
도 4는 도 1-3의 본 발명의 카테터 고정 장치를 도시하며, 적어도 하나의 튜브 부재가 상측방향으로 당겨진다.
도 5는 도 1-4의 본 발명의 카테터 고정 장치를 도시하며, 적어도 하나의 튜브 부재가 상측방향으로 더욱 당겨진다.
도 6은 3개의 수직 슬릿 및 보유 부재에 형성된 구멍을 갖는 본 발명의 카테터 고정 장치를 도시한다.
도 7은 보유 부재에 형성된 3개의 수직 슬릿을 갖는 본 발명의 카테터 고정 장치를 도시한다.
도 8은 도 2-5의 장치의 종단면도를 도시하며, 적어도 하나의 튜브가 상측방향으로 당겨진다.
도 9는 도 6의 장치의 종단면도를 도시하며, 적어도 하나의 튜브가 상측방향으로 당겨진다.
도 10은 도 1-5의 본 발명의 카테터 고정 장치를 도시하며, 보유 부재가 개방 위치에 있다.
도 11은 도 1-5 및 10의 본 발명의 카테터 고정 장치를 도시하며, 카테터와 허브는 베이스 부재에 대해 위치된다.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명료성을 위해 특정 용어가 사용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그렇게 선택된 특정 용어에 한정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으며, 각각의 특정 용어는 유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유사한 방식으로 작동하는 모든 기술적 등가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연결된 단어, 첨부된 단어 또는 이와 유사한 용어가 종종 사용된다. 이들은 직접 연결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그러한 연결이 당업자에 의해 동등한 것으로 인식되는 다른 요소들을 통한 연결을 포함한다.
본 발명 및 그 다양한 특징들 및 유리한 세부 사항들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서 상세히 기술되는 비제한적인 실시예를 참조하여 더욱 완전하게 설명된다.
1. 시스템 개요
본 발명의 카테터 고정 장치는 카테터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라인 또는 튜브 부재를 수용하도록 설계된 적어도 하나의 수직 슬릿을 구비한다. 상기 장치는 붕대와 같이 연질의 물질로 제조된 하부를 가질 수 있다. 추가로, 수직 슬릿은 다중-루멘 허브를 갖는 폴리 카테터(Foley catheter)에 이용될 수 있는 구멍에서 종단할 수 있다. 카테터 고정 장치는 추가적인 루멘을 위한 추가적인 수직 슬릿 및/또는 구멍을 가질 수 있다. 슬릿(들) 및/또는 구멍(들)의 결과로서, 루멘에 가해지는 힘은 허브가 카테터 고정 장치의 에지를 당기는 결과를 초래하지 않아, 장치가 더 쉽게 파손될 수 있다. 이러한 배치는 다수의 상이한 크기의 허브를 고정할 수 있는 카테터 고정 장치를 허용한다. 또한, 접착제 스트립은 카테터 고정 장치를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변형적으로, 후크-앤-루프 패스너가 이용될 수 있다.
2.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
일반적으로, 본 발명은 경막외 카테터(26) 또는 이와 유사한 작은 가요성 튜브 부재가 경피적으로 삽입된 환자의 피부(22)에 부착되는 카테터 고정 장치(20)이다. 고정 장치(20)는 카테터 튜브(26) 또는 하우징을 고정 및 구속하여 삽입 부위 부근에서의 운동 또는 카테터(26)의 우발적인 이탈을 방지하거나 감소시킨다. 일반적으로, 고정 장치(20)는 환자의 피부(22)에 부착할 수 있는 가요성의 얇은 시트형 베이스 부재(32)와, 카테터(26)를 베이스 부재(32)에 고정시키는 탈착가능한 가요성의 얇은 시트형 보유 부재(34)를 포함한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카테터(catheter)"는 튜브 부재 단독 또는 카테터 허브(28) 또는 하우징 부재와 조합된 다수의 튜브를 구비해야 한다. 용어 "근위(proximal)"는 카테터 고정 장치(20)로부터 카테터 삽입 부위를 향하는 방향을 지칭하고, 용어 "원위(distal)"는 삽입 부위의 반대쪽의 카테터 고정 장치(2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지칭한다. 용어 "근위 튜브(proximal tube)"는 삽입 부위와 고정 부위 사이에서 연장되는 튜브를 지칭하며, 용어 "원위 튜브(distal tube)"는 삽입 부위의 반대측에서 고정 장치(20)로부터 연장되는 튜브를 지칭한다. 용어 "근위 에지(proximal edge)"는 삽입 부위를 향해 대면하는 카테터 고정 장치(20)의 측부를 지칭하고, 용어 "원위 에지(distal edge)"는 삽입 부위로부터 멀어지게 대면하는 고정 장치(20)의 측부를 지칭한다. 장치(20)가 사용될 때 고정 장치(20)에 대한 카테터(26)의 위치는 일반적으로 카테터(26)의 "축" 또는 "축방향"을 정의해야 하며, 용어 "횡방향(transverse)"은 축방향, 즉 장치(20)의 폭에 대체로 평행한 방향을 정의하고, 용어 "종방향(longitudinal)"은 횡방향에 수직인 방향을 정의한다. 용어 "횡방향 중간선(transverse midline)"은 장치(20)가 사용될 때 카테터 축에 대체로 평행하게 그리고 거의 수직으로 정렬된 선을 정의해야 하며, 이는 바람직하게 베이스 부재(32) 및 보유 부재(34)의 실제 치수적으로 중심설정된 중간선에 위치된다. 용어 "중간부(midportion)" 및 내부(interior)"는 베이스 부재(32)의 외측 에지로부터 멀어지는 위치를 지칭해야 한다. 용어 "부상 집중 영역(uplift focus area)"은 원위 튜브를 환자의 피부(22)에 수직이 되는 방향, 즉 수직방향으로 당기는 부상력(58)이 초기에 카테터 고정 장치(20)의 베이스 부재(32)에 집중되거나 또는 전달되는 지점 또는 작은 영역을 지칭해야 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카테터 고정 장치(20)는 베이스 부재(32) 및 보유 부재(34)를 구비한다. 베이스 부재(32)는 가요의 얇은 시트형이며, 해제층에 의해 덮인 하측부(64) 상에 접착제 백킹(adhesive backing)을 갖는다. 해제층이 접착제 백킹을 노출하도록 제거되기만 하면, 베이스 부재(32)는 환자의 피부(22)에 직접 부착할 수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 부재(32)는 대체로 신장되고, 바람직하게는 근위 에지(82) 및 원위 에지(80)(그 양자는 오목함)를 갖는 "도그 본(dog bone)" 구성으로 된다. 추가로, 베이스 부재(32)는 모두 만곡된 제1 단부(76) 및 제2 단부(78)를 갖는다. 횡방향 중간선(84)은 제1 단부(76)와 제2 단부(78) 사이의 중간에서 근위 에지(82)로부터 원위 에지(80)까지 연장된다. 베이스 부재(32)는 또한 상측부를 갖는다.
유사하게, 보유 부재(34)는 가요성의 얇은 시트형일 수 있다. 또한, 보유 부재(34)는 대체로 신장되며, 바람직하게 근위 에지(42) 및 원위 에지(40)(그 모두는 오목함)를 갖는 "도그 본" 구성일 수 있다. 또한, 보유 부재(34)는 만곡된 제1 단부(36) 및 제2 단부(38)를 갖는다. 또한, 보유 부재(34)는 상측부(66) 및 상측부(66)에 대향하는 하측부(68)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단부(36)는 고정 단부(70)일 수 있고, 제2 단부(38)는 탈착가능한 자유 단부(72)이다. 대안적으로, 양단부(36, 38)는 분리가능할 수 있다. 추가로, 횡방향 중간선(86)은 제1 단부(36)와 제2 단부(38) 사이의 중간에서 보유 부재(34)를 가로질러 베이스 에지 (42)로부터 원위 에지(40)까지 연장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보유 부재(34)는 베이스 부재(32)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크기이지만, 보유 부재(34)는 베이스 부재(32)보다 작을 수도 있다.
보유 부재(34)는 예를 들어 후크-앤-루프 패스너, 감압 접착제 등을 포함하는 임의 개수의 고정 기구(60)를 이용하여 베이스 부재(32)에 탈착가능하게 부착 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보유 부재(34)가 바람직하지 않은 운동으로부터 카테터(26) 또는 허브(28)를 배제하기 위해 카테터(26) 및 허브(28)를 가로질러 팽팽하게 당겨질 때 고정 기구(60)는 베이스 부재(32) 상에 고정 부재(34)를 안정되게 보유한다. 이것이 발생하면, 보유 부재(34)가 카테터(26) 및 허브(28) 위로 폐쇄될 때 횡방향 중간선(84, 86)은 대체로 수직으로 정렬되도록 중첩한다. 유사하게, 후크-앤-루프 패스너의 고정 기구(60)는 후크-앤-루프 패스너들 간의 전체 연결 강도를 개선하도록 접착제로 함침될 수도 있다. 또한, 후크-앤-루프 패스너는 사용자가 베이스 부재(32)에 대해 카테터(26) 및/또는 허브(28)를 위치시키는 것을 돕기 위한 특정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기구(60)는 베이스 부재(32)의 상측부(62) 및 보유 부재(34)의 하측부(68) 상에 위치된 후크-앤-루프 패스너일 수 있으며, 베이스 부재(32)의 후크-앤-루프 패스너는 허브(28)의 윤곽을 경면하는 절결부(63)를 갖는다. 이러한 방식으로, 일단 베이스 부재(32)가 환자의 피부(22)에 고정되기만 하면, 허브(28)는 절결부와 정렬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허브(28)와 카테터(15)는 카테터 고정 장치(20)의 횡방향 중간선과 정렬한다.
보유 부재(34)는 카테터(26) 및 관련된 허브(28)를 수용하기 위해 다수의 슬릿, 개구 등을 가질 수 있다. 이들 슬릿, 개구 등은 카테터 고정 장치(20)가 카테터(26), 허브(28) 또는 이와 관련된 다른 부재에 가해지는 상당한 부하에도 불구하고 환자의 피부(22)에 부착 유지되게 한다. 특정 실시예가 후술될 것이지만, 당업자에 의해 인식되는 바와 같이, 보유 부재(34)에 추가적인 슬릿 및 개구가 형성될 수 있음에 주목해야 한다.
본 발명의 카테터 고정 장치(20)의 제1 실시예는 도 1-5에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실시예는 보유 부재(34)에 형성된 단일의 수직 슬릿(44)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슬릿(44)이 종단되는 위치에 구멍(46) 또는 개구가 위치된다. 카테터 고정 장치(20)는 카테터(26) 및 관련된 허브(28)가 베이스 부재(32)와 보유 부재(34) 사이에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더 구체적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허브는 카테터 고정 장치(20)의 하반부를 따라 베이스 부재(32)와 보유 부재(34) 사이에 위치된다. 슬릿(44)은 적어도 하나의 튜브 부재(30)가 보유 부재(34)를 통해 나사 결합되게 한다. 허브(28)의 원위 에지는 구멍(46)을 약간 지나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허브(28)는 베이스 부재(32) 및 환자의 피부에 대해 소정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도 1-5의 카테터 고정 장치(20)의 사용을 기술한다. 우선, 카테터 고정 장치(20)는 환자의 피부(22)에 장착된다. 이는 카테터 고정 장치(20)를 환자의 피부(22)에 고정시킬 수 있는 접착제를 노출시키도록 해제 라이너를 제거함으로써 발생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보유 부재(34)의 단부(36, 38) 중 적어도 하나는 도 10 및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 부재(32)로부터 개방 위치로 멀어지게 이동된다. 변형적으로, 보유 부재(34)가 2개의 탈착가능한 단부를 갖는 경우, 베이스 부재(32)는 환자의 피부(22)에 간단히 설치된다. 그 후, 카테터(26) 및 허브(28)는 베이스 부재(32)에 인접하게 위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베이스 부재(32)는 허브(28)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치수의 절결부(63)를 갖는 후크-앤-루프 패스너와 같은 고정 기구(60)를 가질 수 있다. 이는 적절한 위치에 허브(28)를 신속하게 배치하게 한다. 대안적으로, 허브(28)는 초기에 허브(28)를 소정 위치에 고정시키는 베이스 부재(32)의 접착제 또는 후크-앤-루프 패스너와 같은 패스너에 대해 가압 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허브(28)는 보유 부재(34)가 베이스 부재(32)에 고정될 때까지 베이스 부재(32) 상에 단순히 놓일 수 있다. 그 다음, 보유 부재(34)는 도 1-5에 도시된 폐쇄 위치로 이동되며, 보유 부재(34)는 베이스 부재(32)에 고정되고, 도 2-5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카테터(26) 및 허브(28)가 그 사이에 고정된다. 그 후, 적어도 하나의 튜브(30)는 슬릿(44)을 통해 나사 결합된다.
튜브(30)가 카테터 고정 장치(20)의 중간으로부터 연장하기 때문에, 부상(uplift), 측방향 및 임의의 다른 힘을 포함하는 튜브(30)를 이동시키는 임의의 힘이 카테터 고정 장치(20)의 중간으로 전달되어 베이스 부재(32)의 중간까지 전달된다. 이는도 8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보유 부재(34)에 형성된 구멍(46)에서 또는 그 근방에서 발생하는 부상 집중 영역(56)을 초래한다. 따라서, 도면에 도시된 카테터 고정 장치(20)는 종래 기술에서 일반적이던 바와 같이, 베이스 부재가 원위 에지에서 다시 벗겨지고 더 적은 힘으로 고장나게 할 수 있는 베이스 부재의 원위 에지에서 부상 집중 영역이 발생하는 경우보다 현저히 큰 힘을 수용할 수 있다.
도 6 및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카테터 고정 장치(20)의 제2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카테터 고정 장치는 추가적인 수직 슬릿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카테터 고정 장치(20)는 보유 부재(34)에 형성된 제1 수직 슬릿(44), 제2 수직 슬릿(48) 및 제3 수직 슬릿(50)을 구비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유 부재(34)는 제1 슬릿(44)이 종단하는 위치에 위치한 구멍(46)을 구비할 수도 있다. 이러한 실시예는 다수의 슬릿(44, 48, 50) 둘레에 다수의 튜브 부재(30, 52)를 갖는 카테터(26) 및 허브(28)를 고정시킬 수 있다. 다시, 카테터 고정 장치(20)는 카테터(26) 및 관련 허브(28)가 베이스 부재(32)와 보유 부재(34) 사이에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더 구체적으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허브(28)는 카테터 고정 장치(20)의 하반부를 따라 베이스 부재(32)와 보유 부재(34) 사이에 위치된다. 슬릿(44, 48, 50)은 튜브 부재 (30, 52)가 보유 부재(34)를 통해 나사 결합되게 한다. 허브(28)의 원위 에지는 구멍(46)을 약간 지나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허브(28)는 소정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도 6 및 7의 카테터 고정 장치(20)에 대한 사용을 기술한다. 우선, 카테터 고정 장치(20)는 환자의 피부(22)에 장착된다. 다시, 이는 카테터 고정 장치(20)를 환자의 피부(22)에 유지시킬 수 있는 접착제를 노출시키도록 해제 라이너를 제거함으로써 발생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보유 부재(34)의 단부(36, 38) 중 적어도 하나는 도 10 및 11에 도시된 바와 유사하게 베이스 부재(32)로부터 개방 위치로 멀어지게 이동된다. 그 후, 카테터(26) 및 허브(28)는 베이스 부재(32)에 인접하게 위치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베이스 부재(32)는 허브(28)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치수의 절결부를 갖는 후크-앤-루프 패스너를 가질 수 있다. 이는 허브(28)를 적절한 위치에 신속하게 배치할 수 있게 한다. 대안적으로, 허브(28)는 초기에 허브(28)를 소정 위치에 고정시키는 베이스 부재(32)의 접착제 또는 후크-앤-루프 패스너와 같은 패스너에 대해 가압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허브(28)는 보유 부재(34)가 베이스 부재(32)에 고정될 때까지 베이스 부재(32) 상에 단순히 놓일 수 있다. 그 다음, 보유 부재(34)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폐쇄 위치로 이동되며, 보유 부재(34)가 베이스 부재(32)에 고정되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테터(26) 및 허브(28)가 그 사이에 고정된다. 보유 부재(34)가 폐쇄 위치로 이동되는 동안, 튜브 부재 (30, 52) 각각은 임의의 슬릿(44, 48, 50)을 통해 나사 결합된다.
튜브(30, 52)가 카테터 고정 장치(20)의 중간으로부터 연장되기 때문에, 부상, 측방향 및 임의의 다른 힘을 포함하는 튜브(30)를 이동시키는 임의의 힘이 카테터 고정 장치(20)의 중간으로 전달되고, 이로써 베이스 부재(32)의 중간으로 전달될 것이다. 이는 보유 부재(34)에 형성된 구멍(46)에서 발생하거나 또는 그에 인접한 부상 집중 영역(56)을 초래한다. 이에 따라, 도면에 도시된 카테터 고정 장치(20)는 종래 기술에서 일반적이던 바와 같이, 베이스 부재가 원위 에지에서 다시 벗겨지고 더 적은 힘으로 고장나게 할 수 있는 베이스 부재의 원위 에지에서 부상 집중 영역이 종종 발생하는 경우보다 튜브(30, 52)에 다수의 방향으로 현저히 큰 힘을 수용할 수 있다.
보유 부재(34)에 형성된 슬릿(들)(44, 48, 50) 및/또는 구멍(46)을 가짐으로써, 카테터(26), 허브(28) 또는 관련 구성요소에 힘이 가해질 때 발생하는 부상 집중 영역(56)은 도 8 및 9에서 가장 잘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베이스 부재(32)의 내부의 중간부로 이동된다. 이로써, 그 힘은 베이스 부재(32)의 전체 풋프린트를 가로질러 분산되어, 베이스 부재(32) 및 하부 피부(22)에 텐팅(tenting) 또는 코닝(coning) 효과를 초래한다. 이는 베이스 부재(32)의 분리의 가능성을 감소시키는데, 그 이유는 원위 에지(80)에서 피부로부터 베이스 부재(32)를 벗기는데 요구되는 힘에 비해 베이스 부재(32)를 피부(22)로부터 멀어지게 분리하는데 훨씬 더 큰 힘이 요구되기 때문이다.
개시된 모든 실시예는 카테터, 허브, 터브 및 의료 절차 동안에 환자에 대해 고정될 필요가 있는 다른 장치, 또는 환자의 피부에 가깝게 제품이 고정될 필요가 있는 임의의 다른 상황에서의 고정과 관련하여 유용하다. 본 발명에 실질적으로 무수한 용도가 있으며, 이들 모두는 여기에서 상세히 설명할 필요는 없다. 개시된 모든 실시예들은 과도한 실험 없이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을 실시하는 발명자가 고안한 최선의 형태가 상술되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사상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본 발명의 특징의 다양한 부가, 수정 및 재배치가 이루어질 수 있음이 명백할 것이다.
또한, 개개의 구성요소는 개시된 재료로 제조될 필요는 없지만 사실상 임의의 적합한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유사하게, 베이스 부재와 보유 부재를 함께 포함하는 다양한 구성요소를 고정하기 위해 각종 상이한 부착 재료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개개의 구성요소는 개시된 형상으로 형성될 필요는 없으며, 개시된 구성으로 조립될 필요는 없지만 사실상 임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고 사실상 임의의 구성으로 조립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의 모든 개시된 특징은 그러한 특징이 상호 배타적인 경우를 제외하고는 모든 다른 개시된 실시예의 개시된 특징과 결합되거나 대체될 수 있다.
첨부된 청구범위는 이러한 모든 추가, 수정 및 재배치를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 구별된다.

Claims (20)

  1. 허브 및 튜브 부재를 포함하는 카테터를 고정하도록 환자의 피부에 장착되는 카테터 고정 장치에 있어서,
    가요성의 얇은 시트형 베이스 부재; 및
    제1 단부, 제2 단부, 원위 에지, 근위 에지 및 상기 원위 에지로부터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수직 슬릿을 갖는 탈착가능한 가요성의 얇은 시트 형상 보유 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허브는 상기 보유 부재 아래에 고정되고,
    상기 튜브 부재는 제1 수직 슬릿을 통해 연장되는,
    카테터 고정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위 에지와 상기 근위 에지 사이에 위치된 구멍을 더 포함하는,
    카테터 고정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슬릿은 구멍에서 종단되고,
    상기 구멍은 상기 보유 부재가 복수의 튜브 부재를 갖는 카테터를 수용하게 하는,
    카테터 고정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직 슬릿은 제1 수직 슬릿 및 제2 수직 슬릿을 포함하는,
    카테터 고정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직 슬릿은 제1 튜브 부재를 수용하고, 상기 제2 수직 슬릿은 제2 튜브 부재를 수용하는,
    카테터 고정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직 슬릿은 제1 수직 슬릿, 제2 수직 슬릿 및 제3 수직 슬릿을 포함하는,
    카테터 고정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직 슬릿은 제1 튜브 부재를 수용하고, 상기 제2 수직 슬릿은 제2 튜브 부재를 수용하고, 상기 제3 수직 슬릿은 제3 튜브 부재를 수용하는,
    카테터 고정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튜브 부재, 상기 제2 튜브 부재 및 상기 제3 튜브 부재 중 하나에 가해지는 힘으로 인한 부상 집중 영역(uplift focus area)은 상기 원위 에지와 상기 근위 에지 사이의 실질적으로 중간에 위치되는,
    카테터 고정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부상 집중 영역은 상기 제1 튜브 부재, 상기 제2 튜브 부재 및 상기 제3 튜브 부재 중 하나에 가해지는 상측 방향력으로부터 발생하는,
    카테터 고정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부상 집중 영역은 상기 제1 튜브 부재, 상기 제2 튜브 부재 및 상기 제3 튜브 부재 중 하나에 가해지는 측부 방향력으로부터 발생하는,
    카테터 고정 장치.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직 슬릿은 상기 제1 단부와 상기 제2 단부 사이의 실질적으로 중간에 있는,
    카테터 고정 장치.
  12.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원위 에지와 상기 베이스 에지 사이에 위치된 구멍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수직 슬릿은 상기 구멍에서 종단되는,
    카테터 고정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재의 상측에 장착된 후크-앤드-루프(hook-and-loop) 패스너 중 하나와, 상기 보유 부재의 하측부에 장착된 후크-앤드-루프 패스너 중 다른 하나를 더 포함하는,
    카테터 고정 부재.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앤드-루프 패스너에는 접착제가 함침되는,
    카테터 고정 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유 부재는 고정 단부 및 탈착가능한 단부를 더 포함하는,
    카테터 고정 장치.
  16. 카테터 고정 장치를 이용하는 방법에 있어서,
    카테터 고정 장치를 제공하는 단계로서, 상기 카테터 고정 장치는,
    하측부 및 상측부를 갖는 가요성의 얇은 시트형 베이스 부재;
    제1 단부, 제2 단부, 원위 에지, 근위 에지 및 상기 원위 에지로부터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수직 슬릿을 갖는 탈착가능한 가요성의 얇은 시트 형상 보유 부재; 및
    상기 베이스 부재의 하측부에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해제 라이너를 구비하는, 상기 카테터 고정 장치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베이스 부재의 하측부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해제 라이너를 제거하는 단계;
    상기 베이스 부재의 하측부를 환자의 피부에 부착하는 단계;
    카테터 및 상기 상측부에 직접 인접한 적어도 하나의 튜브와 관련된 허브를 위치시키는 단계; 및
    상기 허브 및 카테터를 소정 위치에 고정하도록 상기 보유 부재를 상기 베이스 부재의 상측부에 탈착가능하게 부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직 슬릿을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튜브를 위치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보유 부재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직 슬릿의 단부에 위치한 구멍을 더 포함하고,
    상기 구멍 아래에 상기 허브를 위치시키는 단계; 및
    상기 구멍을 통해 다수의 튜브를 나사 결합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보유 부재는 제1 수직 슬릿, 제2 수직 슬릿 및 제3 수직 슬릿을 가지며,
    상기 보유 부재 아래에 상기 허브를 위치시키는 단계로서, 상기 허브는 그로부터 연장되는 제1 튜브, 제2 튜브 및 제3 튜브를 갖는, 상기 허브를 위치시키는 단계;
    상기 제1 수직 슬릿을 통해 상기 제1 튜브를 나사 결합시키는 단계;
    상기 제2 수직 슬릿을 통해 상기 제2 튜브를 나사 결합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3 수직 슬릿을 통해 상기 제3 튜브를 나사 결합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20. 허브 및 튜브 부재를 포함하는 카테터를 고정하도록 환자의 피부에 장착되는 카테터 고정 장치에 있어서,
    근위 에지, 상기 근위 에지에 대향하는 원위 에지, 제1 단부, 상기 제1 단부에 대향하는 제2 단부, 상측부 및 하측부를 갖는 가요성의 얇은 시트형 베이스 부재;
    근위 에지, 상기 근위 에지에 대향하는 원위 에지, 제1 단부, 상기 제1 단부에 대향하는 제2 단부, 상측부, 하측부, 상기 원위 에지로부터 상기 근위 에지를 향해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되는 제1 수직 슬릿, 상기 원위 에지로부터 상기 근위 에지를 향해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되는 제2 수직 슬릿, 상기 원위 에지로부터 상기 근위 에지를 향해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되는 제3 수직 슬릿, 및 상기 제1 수직 슬릿이 종단하는 위치에 위치된 구멍을 갖는 탈착가능한 가요성의 얇은 시트 형상 보유 부재;
    상기 베이스 부재의 상측부에 장착된 접착제로 함침된 제1의 후크-앤드-루프 패스너;
    상기 베이스 부재의 하측부에 장착된 접착제로 함침된 제2의 후크-앤드-루프 패스너; 및
    상기 베이스 부재의 하측부에 탈착가능하게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해제 라이너
    를 포함하고,
    상기 허브는 상기 보유 부재 아래에 고정되고,
    상기 제1 수직 슬릿을 통해 제1 튜브 부재가 연장되고, 상기 제2 수직 슬릿을 통해 제2 튜브 부재가 연장되고, 상기 제3 수직 슬릿을 통해 제3 튜브 부재가 연장되는,
    카테터 고정 장치.
KR1020180150560A 2017-11-30 2018-11-29 적어도 하나의 수직 슬롯을 갖는 카테터 고정 장치 KR2019006449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762592710P 2017-11-30 2017-11-30
US62/592,710 2017-11-3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4499A true KR20190064499A (ko) 2019-06-10

Family

ID=645567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0560A KR20190064499A (ko) 2017-11-30 2018-11-29 적어도 하나의 수직 슬롯을 갖는 카테터 고정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90160260A1 (ko)
EP (1) EP3492134A1 (ko)
JP (1) JP2019098181A (ko)
KR (1) KR20190064499A (ko)
CN (1) CN109847171A (ko)
CA (1) CA3026111A1 (ko)
MX (1) MX2018014825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25845A1 (en) 2016-12-27 2018-07-05 Vasonics, Llc Catheter housing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37397A (en) * 1985-05-03 1991-08-06 Medical Distributors, Inc. Universal clamp
US5656351A (en) * 1996-01-16 1997-08-12 Velcro Industries B.V. Hook and loop fastener including an epoxy binder
DE29808821U1 (de) * 1998-05-17 1999-09-23 Gip Medizin Technik Gmbh Verband mit einem flachen Verbandsteil für die Aufnahme eines Kanülen-, Sonden- oder Katheterhalters
US8500698B2 (en) 2006-09-08 2013-08-06 Zefon International, Inc. Catheter anchor
US20110021997A1 (en) * 2009-07-21 2011-01-27 Kurt Kyvik Catheter securement device
USD616983S1 (en) 2009-08-18 2010-06-01 Kurt Kyvik Catheter anchor pad with release layer
USD608887S1 (en) 2009-08-18 2010-01-26 Kurt Kyvik Catheter anchor pad with release layer
USD616091S1 (en) 2009-12-07 2010-05-18 Kurt Kyvik Catheter anchor pad with release layer
USD625002S1 (en) 2010-04-30 2010-10-05 Zefon International, Inc. Catheter anchor pad with release layer
US8251957B2 (en) 2010-10-05 2012-08-28 Zefon International, Inc. Catheter securement device
WO2014005140A1 (en) * 2012-06-29 2014-01-03 Centurion Medical Products Corporation Multi-layer medical dressings
USD715927S1 (en) 2013-08-14 2014-10-21 Tidi Securement Products, Llc Double notched catheter securement device
US9248259B2 (en) 2013-08-14 2016-02-02 Tidi Securement Products, Llc Double notched catheter securement assembly
USD715928S1 (en) 2013-10-28 2014-10-21 Tidi Securement Products, Llc Catheter anchor pad with release layer
US9358366B2 (en) 2014-03-13 2016-06-07 Tidi Securement Products, Llc Offset catheter securement device
USD780914S1 (en) 2014-09-05 2017-03-07 Tidi Products, Llc Catheter adhesive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90160260A1 (en) 2019-05-30
JP2019098181A (ja) 2019-06-24
EP3492134A1 (en) 2019-06-05
CA3026111A1 (en) 2019-05-30
MX2018014825A (es) 2019-07-10
CN109847171A (zh) 2019-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02922B1 (ko) 오프셋 카테터 고정장치
US9867969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fixation of a line to a subject
US20090299294A1 (en) Support devices for catheters
KR20080076975A (ko) 기관 삽관 튜브 장착 시스템
JP7373546B2 (ja) ガイドノーズを含むカテーテル固定装置
US20050171404A1 (en) Surgical retractor having suture control features
KR20190064499A (ko) 적어도 하나의 수직 슬롯을 갖는 카테터 고정 장치
GB2472268A (en) Support for a catheter or drain tube
JP2002523153A (ja) カテーテルなどの固定システム
GB2115290A (en) Medical cannula location device
US20050232398A1 (en) Device fittable to the therapy head of an x-ray guided lithotripsy system to allow adjustment of the focus thereof
JPH04244170A (ja) 排液管用保持装置
EP3479864A1 (en) Offset catheter securement device with removable retention member
US10576251B2 (en) Offset catheter securement device with removable retention member
KR20210084770A (ko) 배액관 고정 패치.
GB2313315A (en) Surgical devices
KR102354859B1 (ko) 피부 봉합 유지장치
GB2456325A (en) Apparatus for supporting a drain tube
WO2023191677A1 (en) Holder for fastening a tube-like object to the skin of a user
KR20230117838A (ko) 수술용 상처 보호 클립 유닛
JPS6343659A (ja) スプリント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