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64485A - 연화된 천연식물체를 포함하는 화장품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연화된 천연식물체를 포함하는 화장품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64485A
KR20190064485A KR1020180148998A KR20180148998A KR20190064485A KR 20190064485 A KR20190064485 A KR 20190064485A KR 1020180148998 A KR1020180148998 A KR 1020180148998A KR 20180148998 A KR20180148998 A KR 20180148998A KR 20190064485 A KR20190064485 A KR 201900644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atural plant
acid
softened
softening
cosme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89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47972B1 (ko
Inventor
이범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라피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라피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라피끄
Publication of KR201900644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44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79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79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61K8/362Poly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연 식물체를 포함하는 화장품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화장품은 연화된 천연 식물체 및 정제수를 포함하는 천연 식물체 화장료 조성물을 포함하며, 상기 연화된 천연 식물체의 점착력(Adhesiveness)이 -0.2 g.sec 내지 -1.2 g.sec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연화된 천연식물체를 포함하는 화장품 및 이의 제조방법{COSMETIC CONTAINING SOFTENED NATURAL PLANTS AND PREPARING METHOD FOR THE COSMETIC}
본 발명은 연화된 천연식물체를 포함하는 화장품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화장품은 인체를 청결, 미화하는 제품으로 관련 산업에서 유행이나 트렌드에 민감하다. 최근 경제가 발전하고 소비수준이 높아지면서 화장품은 더 많은 제품군으로 세분화 되었으며, 사용하는 원료들도 보다 안전하고, 더 높은 효능을 가진 원료를 선택하여 사용하는 추세이다.
화장품은 기본적으로 가져야 하는 보습력, 탄력 등 본연의 기능들이 있으나, 최근에는 화장품의 기본적인 효능뿐만 아니라 향취, 사용감, 성상 등 부수적인 기능들을 갖출 것이 요구되어 있다.
또한, 최근 화장품에 사용되는 소재나 원료는 인체에 보다 안전하고 자연친화적인 소재와 미지의 천연소재를 찾는 것이 업계의 주류로 잡혀가는 경향이 있으며, 특히 식물소재에서 그러한 경향이 더욱 강하다. 식물소재에서는 유기농, 무농약, 아마존, 아프리카, 남극, 해저 등 보다 안전하고 사람의 손에 닿지 않는 지역의 소재를 찾는 연구가 계속되고 있다.
한편, 최근의 경향에 맞게 식물체의 유효성분을 추출하여 추출물로서 화장품의 소재로 사용하는 경우가 있는데, 식물체의 유효성분을 추출하는 과정에서 유효성분 대부분이 소실되어, 그 효과가 매우 적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식물 등의 소재를 사용하면서도 그 형상을 최대한으로 유지하고, 그 유효 성분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연구가 요구되고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6-0137466호(공개일자 2016.11.30.)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천연식물체의 형상이 화장품 내에 유지되면서, 그 유효성분을 최대한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화장품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천연 식물체가 완전히 분해되지 않고, 화장품 내에 존재하면서, 유효성분의 활용을 극대화할 수 있는 화장품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상술한 내용에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과제는 본 명세서의 내용 전반으로부터 이해될 수 있을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본 발명의 부가적인 과제를 이해하는데 아무런 어려움이 없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은 연화된 천연 식물체 및 정제수를 포함하는 천연 식물체 화장료 조성물을 포함하며, 상기 연화된 천연 식물체의 점착력(Adhesiveness)이 -0.2 g.sec 내지 -1.2 g.sec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화된 천연 식물체의 상기 점착력(Adhesiveness)은 Texture Analyser(Model TAXT Express) 장비에 의해 측정되며, 측정 속도 1㎜/sec, Texture Analyzer의 프로브(probe)와 시료간의 거리 5㎜를 유지한 상태에서 5sec의 시간 동안 프로브 NO. P/2 θ2㎜ 봉을 사용함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점착력(Adhesiveness)의 범위는 상기 연화된 천연 식물체를 10회 이상 측정하여 나온 결과물의 평균값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화된 천연 식물체는 연화전 천연 식물체를 산(acid)과 정제수를 포함하는 수용액에 함침하고, 상기 수용액을 40℃이상 내지 95℃이하 범위의 온도에서 30분 이상 내지 240분 이하의 시간 동안 연화함에 의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화된 천연 식물체의 점착력(Adhesiveness)은 -0.3 g.sec 내지 -1.0 g.sec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상기 화장품은 보습제, 점증제,및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상기 첨가제는 방부제, 가용화제, pH 조절제, 향료 및 착색제 중 적어도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상기 화장품은 상기 천연 식물체 화장료 조성물을 1 내지 40중량%, 상기 보습제를 0.1 내지 70중량%, 상기 점증제를 0.001 내지 10중량%, 및 상기 첨가제를 0.1 내지 30중량% 포함할 수 있다.
또한,상기 천연 식물체 화장료 조성물 중 상기 연화된 천연 식물체와 상기 정제수의 혼합비율은 1:1 내지 1:10의 중량비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제조방법은 건조된 천연 식물체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건조된 천연 식물체를 산(acid)과 정제수를 포함하는 수용액에 함침하는 단계, 상기 수용액을 40℃ 내지 95℃ 범위의 온도에서 30분 내지 240분의 시간 동안 연화하는 단계, 및 정제수를 이용하여 상기 연화하는 단계에 의해 연화된 천연 식물체를 세척하는 단계에 의해 연화되며, 점착력(Adhesiveness)이 -0.2 g.sec 내지 -1.2 g.sec의 범위가 되도록 연화된 천연 식물체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연화된 천연 식물체에 정제수를 혼합하여 연화된 천연 식물체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보습제를 제 1반응조에서 용해하는 단계, 점증제를 상기 제 1반응조에 투입하는 단계, 정제수와 pH 조절제를 혼합하고 용해하여 상기 제 1반응조에 투입하는 단계, 방부제, 가용화제, 향료 또는 착색제를 포함하는 첨가제를 혼합하여 상기 제 1반응조에 투입하는 단계, 및상기 연화된 천연 식물체 화장료 조성물을 상기 제 1반응조에 투입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산은 시트릭산, 타르타르산, 락틱산, 글리콜릭산, 포름산, 말산, 옥살산, 살리실릭산, 아스코르빅산, 구연산 및 글루코노델타락톤 중 적어도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유기산, 또는 염산, 황산, 질산, 인산 및 탄산 중 적어도 1종 이상을 포함하는 무기산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화된 천연 식물체 화장료 조성물은 전체 화장품 중 1중량% 내지 20중량%의 범위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건조된 천연 식물체는 장미, 해바라기, 국화, 카렌듈라, 수레국화, 카모마일, 나팔꽃, 채송화, 봉숭아, 벚나무, 녹차, 히비스커스, 페퍼민트, 병풀, 마치현, 쑥, 여바산타, 민들레, 질경이, 어성초, 알로에, 천년초, 화이트윌로우 또는 백년초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품에 의하면 천연 식물체가 화장품 내에서 그 형상을 유지하고 있으면서, 사용자가 화장품을 사용할 시 천연 식물체를 피부에 문지를 경우 피부로 녹아들게 하여 천연 식물체에 존재하는 유효 성분의 활용을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품 제조방법에 의하면 위와 같이 화장품 제조과정에서 유효성분의 이탈을 최소화하고, 천연 식물체의 형상이 파괴되지 않고, 보존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연화된 천연 식물체를 함유하는 화장품의 사진이다.
도 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화장품을 사용자가 사용하는 것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3는 도 2와 같이 사용자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화장품을 사용한 후 연화된 꽃잎이 피부상에서 녹는 효과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4 내지 6은 연화된 천연 식물체의 각각의 물성을 측정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 내지 18은 실시예 및 비교예들의 결과물의 사진이다.
도 19내지 25는 실험예 50 내지 56의 결과물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천연 식물체가 화장품 내에서 그 형상을 유지하면서, 사용자가 사용시에만 피부의 표피상에서 녹아내려 피부 내측으로 천연 식물체의 성분들이 스며들게 하기 위한 제조방법을 찾기 위해 오랜 연구를 거듭한 결과,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는 "연화"라는 용어를 사용하나, 다른 예시로서 상기 연화는 물러지다, 부드러워지다, 적절히 조직이 분해되다 등의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편의상 본 명세서에서는 연화라는 용어를 사용하기로 하나, 위와 같은 의미들을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은 연화된 천연 식물체 및 정제수를 포함하는 천연 식물체 화장료 조성물을 포함하며, 상기 연화된 천연 식물체의 점착력(Adhesiveness)은 -0.2 g.sec 내지 -1.2 g.sec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화된 상기 천연 식물체의 점착력(Adhesiveness)이 -0.3 g.sec 내지 -1.0 g.sec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연화된 천연 식물체가 보다 유효적절하게 연화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연화된 천연 식물체의 점착력(Adhesiveness) 범위를 만족하는 연화된 천연 식물체는 사용자가 화장품 내의 연화된 천연 식물체를 사용하기 전에는 그 형체(또는 형상)를 유지하고 있으면서도 사용자가 피부에 연화된 천연 식물체를 올려놓고, 적절한 힘으로 문지를 경우 완전히 분해되어 사용자의 피부 속으로 천연 식물체의 유효성분 대부분이 침투할 수 있다. 따라서, 천연 식물체 본래의 유효성분의 유실을 방지하여 대부부의 유효성분을 사용자의 피부에 녹아들게 하면서도, 사용전에는 화장품 내에 그 형상을 유지함으로써, 매우 우수한 시각적 효과를 가지면서 매우 우수한 상품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연화된 천연 식물체의 상기 점착력(Adhesiveness)은 Texture Analyser(Model TAXT Express: 프랑스 Lamy rheology 社) 장비에 의해 측정되며, 측정 속도 1㎜/sec, Texture Analyzer의 프로브(probe)와 시료간의 거리 5㎜를 유지한 상태에서 5sec의 시간 동안 프로브 NO. P/2 θ(지름)2㎜ 봉을 사용함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에서 설명한 중력단위의 범위는 상기 천연 식물체를 10회 이상 측정하여 나온 결과물의 평균값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는 측정 오차를 줄이기 위한 것으로, 보다 정밀하게 본 발명에서 원하는 점착력(Adhesiveness)을 측정하여 오차를 줄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점착력은 다른 용어로 부착성이라 정의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측정장치에서 측정하는 천연 식물체의 샘플과 프로브가 떨어지는데 까지 필요한 힘이라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연화된 천연 식물체의 함수율은 초기 건조된 천연 식물체 대비 120% 내지 600%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함수율은 중량측정법에 의하여 저울을 사용하여 건조 상태의 천연 식물체 대비 증가된 연화된 식물체의 중량측정을 통하여 측정할 수 있다.
상기 함수율 범위를 만족함으로써, 천연 식물체가 연화되고, 형체를 유지한 상태로 화장품 내에 존재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화장품 사용자들에게 시각적으로 우수한 효과를 느끼도록 할 수 있다. 즉, 소비자들이 실제 화장품 내에 천연 식물체가 존재한다는 것을 시각적으로 느낄 수 있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기존의 경우에는 천연 식물체를 화장품의 소재로 사용한다 하더라도 추출물로서 사용하여 그 형상을 살펴보기 힘들거나, 형체를 알아볼 수 없도록 잘게 분쇄하여 사용하고 있었으나, 위와 같은 함수율 변화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에는 천연 식물체가 연화되어 화장품 내에 존재하면서 시각적으로 그 형상이 어떠한 천연 식물체인지관찰이 가능한 정도로 형상을 유지하고 있으면서도 사용자가 사용할 경우에는 피부에 녹아들어 유효성분을 대부분 활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연화된 천연 식물체의 인장강도는 초기 건조된 천연 식물체 대비 25% 내지 80%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인장강도는 표준화된 인장강도 측정법에 의해 수행될 수 있으며, 시편을 준비하여 인장강도측정기에서 측정할 수 있다. 한편, 초기 인장강도는 사용되는 천연 식물체의 종류에 따라 일부 상이할 수 있으나, 연화된 이후의 인장강도는 초기 천연 식물체의 인장강도에 대비하여 25% 내지 80%를 만족함으로써, 본 발명에서 원하는 효과를 낼 수 있다. 즉, 상기 인장강도 변화 범위를 만족함으로써, 초기에는 연화된 천연 식물체가 그 형체를 유지하면서, 사용시에 쉽게 분해되도록 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인장강도 범위를 만족함으로써, 천연 식물체가 연화되고 그 형체를 유지한 상태로 화장품 내에 존재하면서, 사용자들이 화장품 내의 연화된 천연 식물체를 피부상에 문지를 경우에는 쉽게 분해되도록 하여 우수한 시각적 효과를 가지면서도 유효성분 대부분을 단지 문지르는 등의 행위만으로 쉽게 이용할 수 있다. 즉, 소비자들이 실제 화장품 내에 천연 식물체가 존재한다는 것을 시각적으로 느끼면서도, 그 유효성분을 대부분 쉽게 활용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화장품은 보습제, 점증제, 및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습제는 피부의 건조를 막기 위한 것으로 피부에 수분을 공급하고 외부로의 수분 손실을 방지할 수 있고, 피부의 유연성과 탄력성을 높여주는 효과가 있다. 상기 보습제는 글리세린, 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메칠프로판디올, 자일리톨, 베타인 또는 올리고폴리사카라이드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점증제는 화장품에 어느 정도 점성을 부여하기 위한 것으로, 잔탄검, 하이드록시에칠셀룰로오스, 카보머, 아크릴레이트/C10-30알킬아크릴레이트 크로스폴리머,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 또는 아크릴레이트코폴리머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품은 일부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첨가제는 방부제, 가용화제, pH 조절제, 향료 및 착색제 중 적어도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부제는 메틸파라벤, 프로필파라벤, 페녹시에탄올, 소듐벤조에이트, 포타슘소르베이트 또는 클로로페네신을 포함할 수 있으며, 화장품의 성분이 부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용화제는 제조과정에서 수용액 상에 지방 성분이 함유된 성분을 용해하기 위한 것일 수 있으며, 폴리소르베이트20, 폴리소르베이트60, 피이지-40하이드로제네이티드 캐스터오일 또는 피이지-6 카프릴릭/카프릭 글리세라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pH 조절제는 화장품을 인체에 유해하지 않은 수준의 pH로 조절하기 위한 것일 수 있으며, 시트릭애씨드, 락틱애씨드, 글라이콜릭애씨드 또는 소듐시트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향료 및 착색제는 사용자의 후각 또는 시각적인 효과를 위한 것이며, 향료, 에센셜 오일, 유기색소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상기 화장품은 상기 천연 식물체 화장료 조성물을 1 내지 40중량%, 상기 보습제를 0.1 내지 70중량%, 상기 점증제를 0.001 내지 10중량%, 및 상기 첨가제를 0.1 내지 30중량%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천연 식물체 화장료 조성물 범위를 만족함으로써, 본 발명에서 원하는 연화된 천연 식물체에 의한 효과를 누릴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습제 범위를 만족함으로써, 피부에 수분을 공급하고 외부로의 수분 손실을 방지하고, 피부의 유연성과 탄력성을 높여주는 효과를 누리면서도, 본 발명에서 원하는 연화된 천연 식물체의 효과 및 적절한 점성 등의 효과를 낼 수 있다. 또한, 상기 점증제 범위를 만족함으로써, 사용자가 사용하기 편한 수준으로 점도를 조절할 수 있으면서 다른 성분과의 적절한 혼합이 가능하다.
상기 천연 식물체 화장료 조성물 중 상기 연화된 천연 식물체와 상기 정제수의 혼합비율은 1:1 내지 1:10의 중량비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상기 조성물 범위에서 연화된 천연 식물체가 후술할 화장품 제조과정 중 화장품 조성물에 첨가되는 과정에서의 과도한 분해가 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정제수를 제거하는 과정에서의 분해와 보관 중 연화된 천연 식물체가 건조되어 다시 딱딱해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화장품을 제조하기 위한 화장품 제조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제조방법은 건조된 천연 식물체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건조된 천연 식물체를 산(acid)과 정제수를 포함하는 수용액에 함침하는 단계, 상기 수용액을 40℃ 내지 95℃ 범위의 온도에서 30분 내지 240분의 시간 동안 연화하는 단계, 및 정제수를 이용하여 상기 연화하는 단계에 의해 연화된 천연 식물체를 세척하는 단계에 의해 연화되며, 점착력(Adhesiveness)이 -0.2 g.sec 내지 -1.2 g.sec의 범위가 되도록 연화된 천연 식물체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연화된 천연 식물체에 정제수를 혼합하여 연화된 천연 식물체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보습제를 제 1반응조에서 용해하는 단계, 점증제를 상기 제 1반응조에 투입하는 단계, 정제수와 pH 조절제를 혼합하고 용해하여 상기 제 1반응조에 투입하는 단계, 방부제, 가용화제, 향료 또는 착색제를 포함하는 첨가제를 혼합하여 상기 제 1반응조에 투입하는 단계, 및상기 연화된 천연 식물체 화장료 조성물을 상기 제 1반응조에 투입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연화된 천연 식물체를 준비하는 단계는 건조된 천연 식물체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건조된 천연 식물체를 산(acid)과 정제수를 포함하는 수용액에 함침하는 단계, 상기 수용액을 40℃ 내지 95℃ 범위의 온도에서 30분 내지 240분의 시간 동안 연화하는 단계, 및 정제수를 이용하여 상기 연화하는 단계에 의해 연화된 천연 식물체를 세척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건조된 천연 식물체는 자연 상에 존재하는 어떠한 천연 식물체 일 수 있으나, 예를 들어, 장미, 해바라기, 국화, 카렌듈라, 수레국화, 카모마일, 나팔꽃, 채송화, 봉숭아, 벚나무, 녹차, 히비스커스, 페퍼민트, 병풀, 마치현, 쑥, 여바산타, 민들레, 질경이, 어성초, 알로에, 천년초, 화이트윌로우 또는 백년초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장미 꽃잎은 항산화 효과가 우수한 폴리페놀 및 그 유도체들이 다량 포함되어 있고, 에센셜 오일 성분이 다량 포함되어 있어 사람의 피부에 사용할 경우 피부의 탄력을 유지하고 건강함을 유지하는 데에 그 효과가 매우 우수하다. 또한, 본 발명의 경우 위와 같은 유효 성분들이 장미 꽃잎 내부에 대부분 보존되면서 그 형체를 유지한 상태로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에 존재하기 때문에 시각적 효과가 우수할 뿐만 아니라, 유효성분의 활용을 극대화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건조된 천연 식물체를 산(acid)과 정제수를 포함하는 수용액에 함침하는 단계를 거친다. 비제한적인 예로, 상기 산과 정제수를 포함하는 수용액에 상기 건조된 천연 식물체가 완전히 적시도록 함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산(acid)은 카르복실기(carboxyl group) 또는 설폰산(Sulfonic acid)의 작용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산은 예를 들어, 유기산 또는 무기산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 상기 산은 상기 산은 시트릭산, 타르타르산, 락틱산, 글리콜릭산, 포름산, 말산, 옥살산, 살리실릭산, 아스코르빅산, 구연산 및 글루코노델타락톤 중 적어도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유기산, 또는 염산, 황산, 질산, 인산 및 탄산 중 적어도 1종 이상을 포함하는 무기산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산(acid)은 상기 산 속에 포함된 카르복실기(carboxyl group) 또는 설폰산(Sulfonic acid) 등의 산성을 띠는 작용기에 의해 천연 식물체에 존재하는 셀룰로오스간의 결합을 일부 절단함으로써, 천연 식물체를 연화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천연 식물체는 그 형상을 유지하면서 연화되고, 사용자가 화장품을 사용할 시 손가락으로 문지르는 힘만으로 셀룰로오스를 와해시키도록 할 수 있다. 결국, 천연 식물체는 연화된 상태로 형상을 유지하면서도 사용자가 사용할 경우에는 적은 힘만으로 완전히 와해되고, 천연 식물체의 유효성분들 대부분이 사용자의 피부속으로 스며들게 할 수 있다.
기존의 천연 식물체를 이용하는 화장품들의 경우에는 식물체를 가열,압착,증류 또는 추출하여 사용하는 방식이거나, 화장품 내부에 단지 천연 식물체를 미세하게 분쇄하여 함유하도록 하는 방식이었는데, 첫번째 방식의 경우는 필요한 유효 성분이 극소량으로만 추출되고 단순히 추출액의 형태로만 사용되는 문제가 있었으며, 두번째 방식의 경우는 천연 식물체를 함유함에도 불구하고 첨가하였다는 것 이외에 별도의 시각적 효과나 식물체가 함유하고 있는 유효성분의 이용은 불가능한 문제가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제조방법에 따르면, 최종품인 화장품에서도 천연 식물체가 그 형상을 유지하고 있어 시각적인 효과가 우수할 뿐만 아니라, 형상이 남아있는 천연 식물체를 사용자가 자신의 피부에 두고 약간의 힘만을 가하면 완전히 와해되어 버리므로 천연 식물체에 잔류하는 유효성분 대부분이 사용자의 피부에 흡수되도록 할 수 있어 그 효능이 매우 우수하다.
다음으로, 상기 천연 식물체가 정제수와 산에 함침된 수용액을 40℃이상 내지 95℃이하 범위의 온도에서 30분이상 내지 240분 이하의 시간 동안 연화하는 단계를 거친다. 상기 연화하는 단계는 비제한적인 예로, 미리 상기 온도범위를 만족하도록 준비된 정제수와 산이 섞인 수용액에 천연 식물체를 함침한 후 상기 시간만큼 연화하는 단계를 거치거나, 수용액에 천연 식물체를 함침한 후 상기 온도 범위로 승온한 후 상기 시간 동안 연화하는 단계를 거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는 "연화"라는 용어를 사용하나, 다른 예시로서 상기 연화는 물러지다, 부드러워지다, 적절히 조직이 분해되다 등의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편의상 본 명세서에서는 연화라는 용어를 사용하기로 하나, 위와 같은 의미들을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한다.
상기 수용액의 온도가 40℃ 미만일 경우 연화되는 과정의 효과가 미미하여, 연화도가 줄어들 수 있고, 이에 의해 사용자가 사용하는 과정에서 완전한 분해가 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용액의 온도가 95℃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천연 식물체가 완전히 분해되어 그 형상이 남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온도범위에서 30분 미만으로 연화하는 단계가 수행될 경우, 연화되는 정도가 미미하여 사용자가 사용할 때, 천연 식물체가 완전히 분해 내지 와해되지 않을 수 있으며, 240분 초과로 연화되는 과정을 거칠 경우, 상기 천연 식물체가 완전히 분해되어 그 형상이 남지 않을 수 있다.
바람직한 예로, 상기 수용액을 연화하는 단계는 70℃이상 내지 90℃이하 범위의 온도에서 60분 이상 내지180분 이하의 시간 동안 연화되도록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연화된 천연 식물체가 와해되거나 분해되지 않도록 할 수 있고, 사용자가 연화된 천연식물체를 사용할 경우 쉽게 분해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용액을 연화하는 단계는 90℃초과 내지 95℃이하 범위의 온도에서 30분 이상 내지 150분 이하의 시간 동안 연화되도록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연화된 천연 식물체가 와해되거나 분해되지 않도록 할 수 있고, 사용자가 연화된 천연식물체를 사용할 경우 쉽게 분해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온도 범위와 상기 연화하는 시간을 넘어서는 경우, 본 발명에서 얻고자 하는 연화된 천연 식물체의 형상 유지, 사용자가 사용할 때 천연 식물체가 완전히 분해되어 그 유효성분이 사용자의 피부로 스며드는 효과를 얻지 못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연화하는 단계 이후 상기 천연 식물체가 원하는 바에 따라, 연화되었는지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연화되었는지 확인하는 단계는 비제한적인 예로, 상기 연화하는 단계를 거친 후 연화된 천연 식물체를 꺼내어 손등에 올려놓고 일정 힘을 가해 문지르며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비제한적인 예로, 상기 확인하는 단계에서 연화가 덜 이루어졌을 경우 15분 이상 내지 45분 이하 범위의 시간 동안 상기 연화하는 단계를 반복하여 수행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연화가 덜 되었을 경우, 다시 연화하는 단계를 반복하여 수행할 수 있다.
연화되었는지 확인하는 단계는 비제한적인 예로, 상기 연화하는 단계를 거친 후 연화된 천연 식물체를 꺼내어 손등에 올려놓고 일정 힘을 가해 문지르며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인장강도 측정기를 활용하여 건조된 천연 식물체의 인장강도와 비교하여 확인할 수 있다. 비제한적인 예로, 상기 인장강도는 사용되는 천연 식물체의 종류에 따라 상이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 연화된 천연 식물체의 인장강도는 초기 건조된 천연 식물체 대비 25% 내지 80%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천연 식물체가 연화되었는지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연화하는 단계를 거친 천연 식물체의 경도(Hardness), 점착력(Adhesiveness), 탄성력(Springiness), 응집력(Cohesiveness), 껌성(Gumminess), 씹힘성(Chewiness) 및 회복력(Resilience)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측정함으로써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천연 식물체가 연화되었는지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연화하는 단계를 거친 천연 식물체의 점착력(Adhesiveness), 경도(Hardness), 탄성력(Springiness), 응집력(Cohesiveness), 껌성(Gumminess), 씹힘성(Chewiness) 및 회복력(Resilience)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측정함으로써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점착력(Adhesiveness)은 상기에서 설명한 범위가 되었는지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점착력(Adhesiveness)이 -0.2 g.sec 내지 -1.2 g.sec의 범위가 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점착력(Adhesiveness)이 -0.3 g.sec 내지 -1.0 g.sec의 범위가 되었는지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연화된 천연 식물체가 보다 유효적절하게 연화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경도 범위가 중력단위로 10g 내지 100g의 범위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중력단위로 15g 내지 70g의 범위가 되었는지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한편 여기서 상기 중력단위의 1g라 함은 9.8m/s2 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탄성력(Springiness)은 0.03 내지 0.22 의 범위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0.04 내지 0.11 의 범위가 되었는지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응집력(Cohesiveness)은 0.2 내지 0.5의 범위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0.35 내지 0.45 의 범위가 되었는지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껌성(Gumminess)은 1 내지 100의 범위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5 내지 40 의 범위가 되었는지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씹힘성(Gumminess)은 0.1 내지 4의 범위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0.5 내지 2.5 의 범위가 되었는지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복력(Resilience)은 0.1 내지 1.8의 범위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0.3 내지 1 의 범위가 되었는지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하였다시피, 점착력(Adhesiveness), 경도(Hardness), 탄성력(Springiness), 응집력(Cohesiveness), 껌성(Gumminess), 씹힘성(Chewiness) 및 회복력(Resilience)의 측정은 Texture Analyser(Model TAXT Express: 프랑스 Lamy rheology 社) 장비에 의해 측정되며, 측정 속도 1㎜/sec, Texture Analyzer의 프로브(probe)와 시료간의 거리 5㎜를 유지한 상태에서 5sec의 시간 동안 프로브 NO. P/2 θ2㎜ 봉을 사용함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력단위의 범위는 상기 천연 식물체를 10회 이상 측정하여 나온 결과물의 평균값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한편, 비제한적인 예로, 상기 확인하는 단계에서 연화가 덜 이루어졌을 경우 15분 이상 내지 45분 이하 범위의 시간 동안 상기 연화하는 단계를 반복하여 수행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연화가 덜 되었을 경우, 다시 연화하는 단계를 반복하여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연화하는 단계를 반복하여 수행하는 것은 이전의 연화하는 단계의 온도 대비하여 5℃이상 내지 10℃이하 범위의 온도로 더 가온하면서 수행할 수 있으며, 비제한적으로, 반복수행 할수록 5분 이상 내지 10분 이하의 범위에서 시간을 줄이면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보다 정교하게 천연 식물체의 연화되는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정제수를 이용하여 상기 연화하는 단계에 의해 연화된 천연 식물체를 세척하는 단계를 거친다. 상시 세척하는 단계는 연화과정을 마친 후 잔류하는 산을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 잔류하는 산에 의해 천연 식물체가 계속 연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한편, 비제한적인 예로, 상기 세척하는 단계는 상기 정제수를 이용하여 3회 내지 6회 가량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는 연화된 천연 식물체의 원하는 pH를 얻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세척하는 단계에 의해 세정을 마친 정제수의 pH를 2.5이상 내지 4.5이하의 범위가 되도록 상기 세척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즉, 이는 천연 식물체에 남아있는 산을 제거하는 것으로, 어느 정도 제거가 되면 세정을 마친 정제수에는 연화된 천연 식물체에 일부 잔류하는 산이 섞이게 되고, 정제수의 pH 범위가 상기 pH범위를 만족한다면, 상기 연화된 천연 식물체의 pH도 정제수의 pH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연화된 천연 식물체의 pH가 2.5이상 내지 4.5이하, 즉, 세정을 마친 정제수의 PH를 2.5이상 내지 4.5이하의 범위가 된다면, 세척하는 단계를 마칠 수 있다.
한편, 비제한적인 예로, 상기 건조된 천연 식물체를 준비하는 단계는 천연 식물체를 50㎛ 이상 내지 10,000㎛ 이하의 크기로 분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상기 제조과정을 통해 제조되는 화장품에서 천연 식물체가 본 발명에서 적절하게 원하는 수준으로 연화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연화된 천연 식물체에 정제수를 혼합하여 연화된 천연 식물체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거친다. 상기 연화된 천연 식물체와 상기 정제수의 혼합비율은 1:1 내지 1:10의 중량비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상기에서도 언급하였듯이 상기 조성물 범위에서 연화된 천연 식물체가 후술할 화장품 제조과정 중 화장품 조성물에 첨가되는 과정에서의 과도한 분해가 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정제수를 제거하는 과정에서의 분해와 보관 중 연화된 천연 식물체가 건조되어 다시 딱딱해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화장품 제조방법은 보습제를 제 1반응조에서 용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보습제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 가마에 투입하고 완전히 용해되도록 충분히 저어줄 수 있다. 상기 보습제는 글리세린, 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메칠프로판디올, 자일리톨, 베타인 및 올리고폴리사카라이드 중 1종 이상 내지 여러 보습제를 혼합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점증제를 상기 제 1반응조에 투입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점증제는 화장품에 어느 정도 점성을 부여하기 위한 것으로 잔탄검, 하이드록시에칠셀룰로오스, 카보머, 아크릴레이트/C10-30알킬아크릴레이트 크로스폴리머,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 또는 아크릴레이트코폴리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점증제를 상기 제 1반응조에 투입한 후 완전히 분산되도록 충분히 저어줄 수 있다.
다음으로, 정제수와 pH 조절제를 혼합하고 용해하여 상기 제 1반응조에 투입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정제수와 pH조절제는 별도의 반응조에서 서로 혼합되어 용해될 수 있으며, 이렇게 용해된 정제수와 pH조절제를 제 1반응조에 투입하고 중화되도록 충분히 저어줄 수 있다.
다음으로, 방부제, 가용화제, 향료 또는 착색제를 포함하는 첨가제를 혼합하여 상기 제 1반응조에 투입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첨가제는 별도의 반응조에서 혼합 및 용해되어 상기 제 1반응조로 투입한 후 이들을 완전히 분산되도록 저어줄 수 있다. 상기 첨가제는 상기 본 발명의 화장품에 대해 설명하면서 이미 설명하였는바,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비제한적인 예로, 제 1반응조의 반응이 완료된 이후 반응물 내에 잔류하는 기포를 제거하는 단계를 거칠 수 있고, 이에 대해서는 당해 기술분야에 널리 알려져 있는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연화된 천연 식물체 화장료 조성물은 전체 화장품 중 0.1중량% 내지 20중량%의 범위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범위를 만족함으로써 천연 식물체 화장료 조성물이 0.1중량% 미만으로 첨가되었을 경우 나머지 화장료의 함량에 비해 첨가량이 극히 미미하여 천연 식물체를 함유하는 의미가 없어지고 심한 경우 이를 천연 식물체가 아닌 이물질로 오인할 수도 있다. 천연 식물체 화장료 조성물이 20중량%이상으로 첨가되었을 경우 나머지 화장료의 함량에 비해 너무 많은 천연 식물체가 함유되어 있어 사용감이 극히 불량해지고 천연 식물체의 셀룰로오스가 전체 화장품의 사용감과 안정성에 영향을 미치게 되는 효과가 발생할 수 있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 예는 상기 명세서의 이해를 돕고자 함이며 하기의 내용이 본 발명의 내용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연화된 천연 식물체 준비
건조된 천연 식물체로 장미꽃잎을 평균 2000㎛의 크기로 준비하고, 정제수와 산성성분을 혼합한 수용액을 준비하여 장미꽃잎을 상기 수용액 상에 완전히 함침하였다. 상기 장미꽃잎이 함침된 수용액 중 상기 정제수는 98중량%, 상기 산성성분은 1중량%, 장미꽃잎은 1중량%가 되도록 조절하였다 상기 산성성분은 카르복실기 작용기를 포함하는 시트릭산을 준비하였다. 천연 식물체를 함침한 후 완전히 함침될 수 있도록 잘 저어주었다. 이후 건조된 천연 식물체가 완전히 함침된 수용액을 80℃에서 2시간 동안 가온하였다.연화가 완료된 후 산성성분이 함유된 수용액을 거름망을 이용하여 여과하고, 별도의 정제수를 이용하여 3회 내지 6회 세척 및 여과하였고, 이후 pH를 측정하였다. 첨가하고자 하는 화장품 제형에 맞추어 측정한 세척수가 pH 2.5 내지 4.5 범위에서 세척을 종료하였다.
화장품 제조
상기 준비된 연화된 천연 식물체에 정제수를 혼합하여 10중량%로 조절하고, 보습제로, 글리세린 10중량%, 1,3-부틸렌글리콜 5중량%, 글리세레스-26 3중량%, 베타인 3중량% 및 장미추출물 5중량%를 제조가마에 투입하고, 완전히 용해되도록 충분히 저어주었다. 이후 점증제로 아크릴레이트/C10-30알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 1중량% 및 카보머 0.5중량%를 제조가마에 투입하고 완전히 분산되도록 충분히 저어주었다. 한편, 별도의 반응조에서 정제수 3중량%와 중화제인 트로메타민 0.8중량%를 투입하여 완전히 용해하여 이를 위 제조가마에 투입하고, 중화가 이루어지도록 충분히 저어주었다. 다음으로, 별도의 반응조에서 첨가제로 용제인 에탄올 5중량%, 가용화제인 피이지-60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오일 2중량%, 방부제로 페녹시에탄올 0.4중량%와 향료 0.2중량%를 투입하여 완전히 용해한 후 이를 위 제조가마에 투입하여 충분히 저어주었다. 다음으로, 상기에서 비한 연화된 천연식물체와 정제수 혼합물 10중량%를 위 제조가마에 투입하고 충분히 저어준 후 반응을 종료하고 기포를 제거하였다. 이에 의해 맛사지젤 화장품을 제조하였다.
도 1에는 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연화된 천연 식물체를 함유하는 화장품의 사진이 나타나있다. 도 1과 같이, 화장품 내에는 연화된 천연 식물체가 그 형체를 유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의 경우, 화장품 내에서 연화된 천연 식물체가 그 형체를 유지하고 있어, 사용자들에게 시각적으로 우수한 효과를 낼 수 있다.
도 2에는 위 화장품을 사용자가 직접 사용자의 손등에 사용하는 것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2의 사용도는 화장품 내의 연화된 천연 식물체를 다른 제형과 함께 취출하여 사용자의 손등에 올려놓은 상태이다. 손등에 연화된 천연 식물체를 올려 놓은 상태에서도 그 형체를 유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3에는 도 2와 같이 사용자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화장품을 사용한 후 연화된 꽃잎이 피부상에서 녹는 효과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손등 상의 연화된 꽃잎을 올려놓은 상태에서 사용자의 손가락으로 적절한 수준의 힘으로 문질렀으며, 최종적으로는 연화된 꽃잎이 모두 분해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꽃잎의 주요 성분들이 대부분 소실되지 않고, 사용자의 피부속으로 녹아들게 하여 유효성분의 대부분을 활용할 수 있다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2 내지 37, 비교예 1 내지 12, 및 실험예 1 내지 48
연화된 천연 식물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라 화장품의 재료로 사용되는 연화된 천연 식물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하기에서는 각각의 실시예의 조건들과 각각의 비교예의 조건들 그리고 각각의 실험예들의 조건과 결과에 대한 고찰을 정리한 내용을 하기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예 2 내지 13
카렌듈라 꽃잎을 준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같이 구연산을 함유하는 수용액에 함침하고, 50℃의 온도로 가온하고 이를 특정 시간동안 연화한 뒤 연화과정을 마쳤다. 실시예 2 내지 13에 대한 구체적인 조건은 하기 표 1과 같다.
온도(℃) 연화시간(min) 산의 농도(중량%)
실시예 2 50 30 0.5
실시예 3 50 30 1.0
실시예 4 50 30 2.0
실시예 5 50 60 0.5
실시예 6 50 60 1.0
실시예 7 50 60 2.0
실시예 8 50 90 0.5
실시예 9 50 90 1.0
실시예 10 50 90 2.0
실시예 11 50 120 0.5
실시예 12 50 120 1.0
실시예 13 50 120 2.0
비교예 1 내지 4
실시예 2 내지 13과 동일한 온도조건, 연화시간을 설정하면서 산을 포함하지 않은 상태로 카렌듈라를 연화하였고, 그 구체적인 조건은 하기 표 2와 같다.
온도(℃) 연화시간(min) 산의 농도(중량%)
비교예 1 50 30 0.0
비교예 2 50 60 0.0
비교예 3 50 90 0.0
비교예 4 50 120 0.0
상기 실시예 2 내지 13의 결과물과 상기 비교예 1 내지 4에 대한 결과물은 하기 도 7 내지 10의 사진에 나타나 있으며, 각 실시예와 비교예들에 대한 조건은 사진과 같이 표기되어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실시예들과 비교예들의 결과를 온도와 시간을 고정한 후 각각의 사진들에서 가장 좌측은 비교예의 결과물을 배치하고 우측으로 갈수록 산의 농도가 높아지는 결과물을 배치하였다. 즉, 도 7에서는 좌측에서 우측으로 갈수록 비교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순으로 배치하고, 도 8에서는 좌측에서 우측으로 갈수록 비교예 2, 실시예 5, 실시예 6, 실시예 7을, 도 9에서는 좌측에서 우측으로 갈수록 비교예 3, 실시예 8, 실시예 9, 실시예 10을, 도 10에서는 좌측에서 우측으로 갈수록 비교예 4, 실시예 11, 실시예 12, 실시예 13 순으로 배치하였다.
도 7 내지 10에서 볼 수 있듯이, 산을 포함시키지 않은 경우에 비해 산을 포함하면서 본 발명의 온도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산이 카렌듈라 꽃잎 내부에 침투하여 내부 조직을 변화시키고, 일정부분 카렌듈라 꽃잎의 비중을 변화시켰음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1 내지 16
한편, 상기 실시예 2 내지 13의 결과물과 상기 비교예 1 내지 4의 결과물인 카렌듈라 꽃잎의 연화도를 측정하기 위해 카렌듈라 꽃잎을 손등에 올려놓은 상태에서 사용자의 손가락으로 적절한 수준의 힘으로 문질렀으며, 꽃잎이 연화되는지 여부를 관찰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표기하였다.
구분 연화된 정도
실시예 2
실시예 3 △△
실시예 4 △△
실시예 5
실시예 6 △△
실시예 7 △△
실시예 8 △△
실시예 9
실시예 10
실시예 11 △△
실시예 12 △△
실시예 13 △△
비교예 1 X
비교예 2 X
비교예 3 X
비교예 4 X
X: 연화되지 않고, 손등에서 잔류물이 계속 남아 있음.△: 연화가 되었으나, 장시간 문지르거나 상대적으로 다소 많은 힘을 주었을 때 잔류물이 손등에 남지 않고 사라짐.
△△: 연화가 되었고, △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은 힘을 주어도 잔류물이 손등에 남지 않고 사라짐.
○: 연화가 되었고, △△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은 힘을 주어도 잔류물이 손등에 남지 않고 사라짐.
◎: 연화가 매우 잘되었고, ○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은 힘을 주어도 잔류물이 손등에 남지 않고 사라짐.
상기 표 3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경우 연화도에 차이는 있었으나, 카렌듈라 꽃잎이 연화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반면에 비교예의 경우에는 전혀 연화가 되지 않거나, 단지 카렌듈라 꽃잎이 물러지기만 하였을 뿐, 강한 힘으로 오랜시간 문질러도 잔류물이 남아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14 내지 25
카렌듈라 꽃잎을 준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같이 구연산을 함유하는 수용액에 함침하고, 70℃의 온도로 가온하고 이를 특정 시간동안 연화한 뒤 연화과정을 마쳤다. 실시예 16 내지 27에 대한 구체적인 조건은 하기 표 4와 같다.
온도(℃) 연화시간(min) 산의 농도(중량%)
실시예 14 70 30 0.5
실시예 15 70 30 1.0
실시예 16 70 30 2.0
실시예 17 70 60 0.5
실시예 18 70 60 1.0
실시예 19 70 60 2.0
실시예 20 70 90 0.5
실시예 21 70 90 1.0
실시예 22 70 90 2.0
실시예 23 70 120 0.5
실시예 24 70 120 1.0
실시예 25 70 120 2.0
비교예 5 내지 8
실시예 14 내지 25와 동일한 온도조건, 연화시간을 설정하면서 산을 포함하지 않은 상태로 카렌듈라를 연화하였고, 그 구체적인 조건은 하기 표 5와 같다.
온도(℃) 연화시간(min) 산의 농도(중량%)
비교예 5 70 30 0.0
비교예 6 70 60 0.0
비교예 7 70 90 0.0
비교예 8 70 120 0.0
상기 실시예 14 내지 25의 결과물과 상기 비교예 5 내지 8에 대한 결과물은 하기 도 11 내지 14의 사진에 나타나 있으며, 각 실시예와 비교예들에 대한 조건은 사진과 같이 표기되어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실시예들과 비교예들의 결과를 온도와 시간을 고정한 후 각각의 사진들에서 가장 좌측은 비교예의 결과물을 배치하고 우측으로 갈수록 산의 농도가 높아지는 결과물을 배치하였다. 즉, 도 11에서는 좌측에서 우측으로 갈수록 비교예 5, 실시예 14, 실시예 15, 실시예 16 순으로 배치하고, 도 12에서는 좌측에서 우측으로 갈수록 비교예 6, 실시예 17, 실시예 18, 실시예 19를, 도 13에서는 좌측에서 우측으로 갈수록 비교예 7, 실시예 20, 실시예 21, 실시예 22를, 도 14에서는 좌측에서 우측으로 갈수록 비교예 8, 실시예 23, 실시예 24, 실시예 25 순으로 배치하였다.
도 11 내지 14에서 볼 수 있듯이, 산을 포함시키지 않은 경우에 비해 산을 포함하면서 본 발명의 온도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산이 카렌듈라 꽃잎 내부에 침투하여 내부 조직을 변화시키고, 일정부분 카렌듈라 꽃잎의 비중을 변화시켰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도 7 내지 10과 유사하다고 볼 수 있다.
실험예 17 내지 32
한편, 상기 실시예 14 내지 25의 결과물과 상기 비교예 5 내지 8의 결과물인 카렌듈라 꽃잎의 연화도를 측정하기 위해 카렌듈라 꽃잎을 손등에 올려놓은 상태에서 사용자의 손가락으로 적절한 수준의 힘으로 문질렀으며, 꽃잎이 연화되는지 여부를 관찰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6에 표기하였다.
구분 연화된 정도
실시예 14
실시예 15
실시예 16 △△
실시예 17
실시예 18 △△
실시예 19 △△
실시예 20
실시예 21
실시예 22
실시예 23 △△
실시예 24 △△
실시예 25 △△
비교예 5 X
비교예 6 X
비교예 7 X
비교예 8 X
X: 연화되지 않고, 손등에서 잔류물이 계속 남아 있음.△: 연화가 되었으나, 장시간 문지르거나 상대적으로 다소 많은 힘을 주었을 때 잔류물이 손등에 남지 않고 사라짐.
△△: 연화가 되었고, △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은 힘을 주어도 잔류물이 손등에 남지 않고 사라짐.
○: 연화가 되었고, △△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은 힘을 주어도 잔류물이 손등에 남지 않고 사라짐.
◎: 연화가 매우 잘되었고, ○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은 힘을 주어도 잔류물이 손등에 남지 않고 사라짐.
상기 표 6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경우 연화도에 차이는 있었으나, 카렌듈라 꽃잎이 연화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반면에 비교예의 경우에는 전혀 연화가 되지 않거나, 단지 카렌듈라 꽃잎이 물러지기만 하였을 뿐, 강한 힘으로 오랜시간 문질러도 잔류물이 남아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26 내지 37
카렌듈라 꽃잎을 준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같이 구연산을 함유하는 수용액에 함침하고, 90℃의 온도로 가온하고 이를 특정 시간동안 연화한 뒤 연화과정을 마쳤다. 실시예 28 내지 39에 대한 구체적인 조건은 하기 표 7과 같다.
온도(℃) 연화시간(min) 산의 농도(중량%)
실시예 26 90 30 0.5
실시예 27 90 30 1.0
실시예 28 90 30 2.0
실시예 29 90 60 0.5
실시예 30 90 60 1.0
실시예 31 90 60 2.0
실시예 32 90 90 0.5
실시예 33 90 90 1.0
실시예 34 90 90 2.0
실시예 35 90 120 0.5
실시예 36 90 120 1.0
실시예 37 90 120 2.0
비교예 9 내지 12
실시예 26 내지 37과 동일한 온도조건, 연화시간을 설정하면서 산을 포함하지 않은 상태로 카렌듈라를 연화하였고, 그 구체적인 조건은 하기 표 8과 같다.
온도(℃) 연화시간(min) 산의 농도(중량%)
비교예 9 90 30 0.0
비교예 10 90 60 0.0
비교예 11 90 90 0.0
비교예 12 90 120 0.0
상기 실시예 26 내지 37의 결과물과 상기 비교예 9 내지 12에 대한 결과물은 하기 도 15 내지 18의 사진에 나타나 있으며, 각 실시예와 비교예들에 대한 조건은 사진과 같이 표기되어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실시예들과 비교예들의 결과를 온도와 시간을 고정한 후 각각의 사진들에서 가장 좌측은 비교예의 결과물을 배치하고 우측으로 갈수록 산의 농도가 높아지는 결과물을 배치하였다. 즉, 도 15에서는 좌측에서 우측으로 갈수록 비교예 9, 실시예 26, 실시예 27, 실시예 28 순으로 배치하고, 도 16에서는 좌측에서 우측으로 갈수록 비교예 10, 실시예 29, 실시예 30, 실시예 31을, 도 17에서는 좌측에서 우측으로 갈수록 비교예 11, 실시예 32, 실시예 33, 실시예 34를, 도 18에서는 좌측에서 우측으로 갈수록 비교예 12, 실시예 35, 실시예 36, 실시예 37 순으로 배치하였다.
도 15 내지 18에서 볼 수 있듯이, 산을 포함시키지 않은 경우에 비해 산을 포함하면서 본 발명의 온도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산이 카렌듈라 꽃잎 내부에 침투하여 내부 조직을 변화시키고, 일정부분 카렌듈라 꽃잎의 비중을 변화시켰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도 7 내지 14와 유사하다고 볼 수 있다.
실험예 33 내지 48
한편, 상기 실시예 26 내지 37의 결과물과 상기 비교예 9 내지 12의 결과물인 카렌듈라 꽃잎의 연화도를 측정하기 위해 카렌듈라 꽃잎을 손등에 올려놓은 상태에서 사용자의 손가락으로 적절한 수준의 힘으로 문질렀으며, 꽃잎이 연화되는지 여부를 관찰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9에 표기하였다.
구분 연화된 정도
실시예 26 △△
실시예 27
실시예 28
실시예 29
실시예 30 △△
실시예 31
실시예 32 △△
실시예 33
실시예 34
실시예 35 △△
실시예 36
실시예 37
비교예 9 X
비교예 10 X
비교예 11 X
비교예 12 X
X: 연화되지 않고, 손등에서 잔류물이 계속 남아 있음.△: 연화가 되었으나, 장시간 문지르거나 상대적으로 다소 많은 힘을 주었을 때 잔류물이 손등에 남지 않고 사라짐.
△△: 연화가 되었고, △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은 힘을 주어도 잔류물이 손등에 남지 않고 사라짐.
○: 연화가 되었고, △△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은 힘을 주어도 잔류물이 손등에 남지 않고 사라짐.
◎: 연화가 매우 잘되었고, ○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은 힘을 주어도 잔류물이 손등에 남지 않고 사라짐.
상기 표 9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경우 연화도에 차이는 있었으나, 카렌듈라 꽃잎이 연화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반면에 비교예의 경우에는 전혀 연화가 되지 않거나, 단지 카렌듈라 꽃잎이 물러지기만 하였을 뿐, 강한 힘으로 오랜시간 문질러도 잔류물이 남아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38 내지 73
하기에서 설명할 실험예들의 결과물인 경도(Hardness), 점착력(Adhesiveness), 탄성력(Springiness), 응집력(Cohesiveness), 껌성(Gumminess), 씹힘성(Chewiness) 및 회복력(Resilience)을 측정하기 위해 각각의 온도 조건, 연화시간, 산의 농도를 달리하여 본 발명의 화장품 내에 함유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는 카렌듈라 꽃잎을 준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같이 구연산을 함유하는 수용액에 함침하고, 각각 70℃, 80℃ 및 90℃의 온도로 가온하고 이를 특정 시간동안 연화한 뒤 연화과정을 마쳤다. 실시예 38 내지 73에 대한 구체적인 조건은 하기 표 10과 같다.
온도(℃) 연화시간(min) 산의 농도(중량%)
실시예 38 70 30 0.5
실시예 39 70 30 1.0
실시예 40 70 30 2.0
실시예 41 70 60 0.5
실시예 42 70 60 1.0
실시예 43 70 60 2.0
실시예 44 70 90 0.5
실시예 45 70 90 1.0
실시예 46 70 90 2.0
실시예 47 70 120 0.5
실시예 48 70 120 1.0
실시예 49 70 120 2.0
실시예 50 80 30 0.5
실시예 51 80 30 1.0
실시예 52 80 30 2.0
실시예 53 80 60 0.5
실시예 54 80 60 1.0
실시예 55 80 60 2.0
실시예 56 80 90 0.5
실시예 57 80 90 1.0
실시예 58 80 90 2.0
실시예 59 80 120 0.5
실시예 60 80 120 1.0
실시예 61 80 120 2.0
실시예 62 90 30 0.5
실시예 63 90 30 1.0
실시예 64 90 30 2.0
실시예 65 90 60 0.5
실시예 66 90 60 1.0
실시예 67 90 60 2.0
실시예 68 90 90 0.5
실시예 69 90 90 1.0
실시예 70 90 90 2.0
실시예 71 90 120 0.5
실시예 72 90 120 1.0
실시예 73 90 120 2.0
비교예 13 내지 24
실시예 38 내지 73과 동일한 온도조건, 연화시간을 설정하면서 산을 포함하지 않은 상태로 카렌듈라를 연화하였고, 그 구체적인 조건은 하기 표 11과 같다.
온도(℃) 연화시간(min) 산의 농도(중량%)
비교예 13 70 30 0.0
비교예 14 70 60 0.0
비교예 15 70 90 0.0
비교예 16 70 120 0.0
비교예 17 80 30 0.0
비교예 18 80 60 0.0
비교예 19 80 90 0.0
비교예 20 80 120 0.0
비교예 21 90 30 0.0
비교예 22 90 60 0.0
비교예 23 90 90 0.0
비교예 24 90 120 0.0
실험예 49
상기 실시예 38 내지 73의 결과물과 비교예 13 내지 24 중 일부는 이미 상기에서 연화도를 측정하였고, 80℃에서의 결과물을 측정하지 않았으므로, 이에 대한 결과물에 대해서만 연화도를 측정하였다. 상기 실시예 50 내지 61과 비교예 17 내지 20의 결과물인 카렌듈라 꽃잎의 연화도를 측정하기 위해 카렌듈라 꽃잎을 손등에 올려놓은 상태에서 사용자의 손가락으로 적절한 수준의 힘으로 문질렀으며, 꽃잎이 연화되는지 여부를 관찰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12에 표기하였다.
구분 연화된 정도
실시예 50
실시예 51
실시예 52 △△
실시예 53 △△
실시예 54 △△
실시예 55 △△
실시예 56
실시예 57
실시예 58
실시예 59
실시예 60
실시예 61
비교예 17 X
비교예 18 X
비교예 19 X
비교예 20 X
X: 연화되지 않고, 손등에서 잔류물이 계속 남아 있음.△: 연화가 되었으나, 장시간 문지르거나 상대적으로 다소 많은 힘을 주었을 때 잔류물이 손등에 남지 않고 사라짐.
△△: 연화가 되었고, △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은 힘을 주어도 잔류물이 손등에 남지 않고 사라짐.
○: 연화가 되었고, △△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은 힘을 주어도 잔류물이 손등에 남지 않고 사라짐.
◎: 연화가 매우 잘되었고, ○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은 힘을 주어도 잔류물이 손등에 남지 않고 사라짐.
상기 표 12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경우 다소 연화도에 차이는 있었으나, 카렌듈라 꽃잎이 연화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반면에 비교예의 경우에는 전혀 연화가 되지 않거나, 단지 카렌듈라 꽃잎이 물러지기만 하였을 뿐, 강한 힘으로 오랜시간 문질러도 잔류물이 남아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50 내지 56
상기 실시예 41 내지 49, 실시예 53 내지 61, 실시예 65 내지 73의 결과물인 연화된 카렌듈라 꽃잎과 별도로 산을 넣지 않는 비교예 14 내지 16, 비교예 18 내지 20, 비교예 22 내지 24의 결과물인 카렌듈라 꽃잎을 꺼내어 각각 경도(Hardness), 점착력(Adhesiveness), 탄성력(Springiness), 응집력(Cohesiveness), 껌성(Gumminess), 씹힘성(Chewiness) 및 회복력(Resilience)을 측정하여 하기 도 19 내지 25에 순차적으로 나타내었다.
상기 측정은 Texture Analyzer(Model TAXT Express: 프랑스 Lamy rheology 社) 장비에 의해 측정하였으며, 측정 속도 1㎜/sec, Texture Analyzer의 프로브(probe)와 시료간의 거리 5㎜를 유지한 상태에서 5sec의 시간 동안 프로브 NO. P/2 θ2㎜ 봉을 사용함에 의해 수행되었다. 상기 측정은 오차를 줄이고, 보다 정확한 정보를 얻기 위해 각각의 실시예와 비교예들에서 얻은 결과물인 카렌듈라 꽃잎을 이용하여 각각 10회씩 측정하였다. 한편, 측정을 진행하면서 지나치게 오차범위가 상당히 큰 샘플이 간혹 존재하는 경우가 있었으나, 이는 재료 자체의 문제, 측정방식의 문제, 측정장비의 일무 오차라 판단하여 데이터에서 제외하였다.
실험예 50 내지 56의 과정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우선, 각각 실시예들과 비교예들의 과정을 거친 카렌듈라 꽃잎을 핀셋으로 한잎씩 10개 이상을 꺼내어 도 4와 같은 금속 사각 쟁반에 서로 겹치지 않게 옮기고 나열한다. 이때, 시료를 측정하는 갯수가 많아 다른 시료를 측정하는 시간동안 상온에서 건조에 의해 시료의 오차가 발생할 수 있어, 이렇게 상온건조에 의한 오차를 줄이기 위해 금속 사각 쟁반에 꽃잎 시료를 모두 옮긴 후 시료가 건조되지 않도록 도 5와 같이 호일을 덮어두었다. 다음으로, 도 6과 같이, Texture Analyzer의 프로브(probe)가 꽃잎의 중간에 위치하도록 하여 꽃잎 1장씩 측정하였고, 이때, 프로브(probe)는 꽃잎 시료의 중간에 위치하도록 하여 측정하였다.
한편, 도 19 내지 25의 그래프에서 비교예들의 경우는 비교예의 각각의 수치들에 대한 모든 결과물의 평균값을 입력하였고, 실시예들의 경우는 각각의 조건에 해당하는 꽃잎 시료들의 10회 측정한 결과물을 평균하여 입력하였다. 도면 19 내지 25의 그래프에서 가로축의 가장 좌측은 비교예를 입력하였고, 나머지는 각각의 조건을 아래에서 위 방향으로 온도, 시간, 산의 농도를 입력하였다. 예를 들어, 70.60.2CA라 기재된 경우는 70℃의 조건에서 60분동안 연화를 진행하였고, 산의 농도는 2중량%라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세로축은 각 도면들마다 순차적으로 경도(Hardness), 점착력(Adhesiveness), 탄성력(Springiness), 응집력(Cohesiveness), 껌성(Gumminess), 씹힘성(Chewiness) 및 회복력(Resilience)의 수치를 입력하였다.
그 단위는 경도(Hardness)는 중력 단위로 g를 의미하고, 점착력(Adhesiveness)은 g.sec 를 의미하고, 탄성력(Springiness)은 본 발명의 측정장치에서 두번째 그래프의 절편에서 peak 까지의 시간을 첫번째 그래프의 원점에서 peak까지의 시간으로 나눈 값이고, 이에 대한 단위는 무차원 단위라 할 수 있고, 응집력(Cohesiveness)은 물체가 있는 그대로를 유지하는 힘으로 본 발명의 측정장비에 의해 첫번째 bite(프로브를 이용하여 첫번째로 눌렀을 경우)에 의해 생성되는 면적을 Area 1이라 하고, 두번째 bite(프로브를 이용하여 두번째로 눌렀을 경우)에 의해 생성되는 면적을 Area 2라 할때, Area 2/Area 1으로 계산되는 수치를 의미하며, 그 단위는 무차원 단위라 할 수 있고, 껌성(Gumminess)은 반고체 상태의 샘플을 삼킬 수 있는 상태로 만드는 성질을 의미하는 것으로 그 단위는 무차원 단위라 할 수 있고, 씹힘성(Chewiness)은 고체 상태의 샘플을 삼킬 수 있는 상태로 만드는 성질을 의미하는 것으로 그 단위는 무차원 단위라 할 수 있으며, 회복력(Resilience)의 단위는 무차원 단위라 할 수 있다.
상기 실험예 51의 결과와 같이, 화장품 내에 포함되는 화장료 조성물 내의 연화된 꽃잎의 경우는 점착력(Adhesiveness)이 -0.2 g.sec 내지 -1.2 g.sec의 범위를 만족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바람직하게는 점착력(Adhesiveness)이 -0.3 g.sec 내지 -1.0 g.sec의 범위를 만족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Claims (13)

  1. 연화된 천연 식물체 및 정제수를 포함하는 천연 식물체 화장료 조성물을 포함하며,
    상기 연화된 천연 식물체의 점착력(Adhesiveness)이 -0.2 g.sec 내지 -1.2 g.sec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화된 천연 식물체의 상기 점착력(Adhesiveness)은 Texture Analyser(Model TAXT Express) 장비에 의해 측정되며, 측정 속도 1㎜/sec, Texture Analyzer의 프로브(probe)와 시료간의 거리 5㎜를 유지한 상태에서 5sec의 시간 동안 프로브 NO. P/2 θ2㎜ 봉을 사용함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력(Adhesiveness)의 범위는 상기 연화된 천연 식물체를 10회 이상 측정하여 나온 결과물의 평균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화된 천연 식물체는 연화전 천연 식물체를 산(acid)과 정제수를 포함하는 수용액에 함침하고, 상기 수용액을 40℃이상 내지 95℃이하 범위의 온도에서 30분 이상 내지 240분 이하의 시간 동안 연화함에 의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화된 천연 식물체의 점착력(Adhesiveness)은 -0.3 g.sec 내지 -1.0 g.sec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품은 보습제; 점증제; 및 첨가제를 포함하는 화장품.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첨가제는 방부제, 가용화제, pH 조절제, 향료 및 착색제 중 적어도 1종 이상을 포함하는 화장품.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품은
    상기 천연 식물체 화장료 조성물을 1 내지 40중량%;
    상기 보습제를 0.1 내지 70중량%;
    상기 점증제를 0.001 내지 10중량%; 및
    상기 첨가제를 0.1 내지 30중량%; 포함하는 화장품.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천연 식물체 화장료 조성물 중 상기 연화된 천연 식물체와 상기 정제수의 혼합비율은 1:1 내지 1:10의 중량비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10. 건조된 천연 식물체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건조된 천연 식물체를 산(acid)과 정제수를 포함하는 수용액에 함침하는 단계, 상기 수용액을 40℃ 내지 95℃ 범위의 온도에서 30분 내지 240분의 시간 동안 연화하는 단계, 및 정제수를 이용하여 상기 연화하는 단계에 의해 연화된 천연 식물체를 세척하는 단계에 의해 연화되며, 점착력(Adhesiveness)이 -0.2 g.sec 내지 -1.2 g.sec의 범위가 되도록 연화된 천연 식물체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연화된 천연 식물체에 정제수를 혼합하여 연화된 천연 식물체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보습제를 제 1반응조에서 용해하는 단계;
    점증제를 상기 제 1반응조에 투입하는 단계;
    정제수와 pH 조절제를 혼합하고 용해하여 상기 제 1반응조에 투입하는 단계;
    방부제, 가용화제, 향료 또는 착색제를 포함하는 첨가제를 혼합하여 상기 제 1반응조에 투입하는 단계; 및
    상기 연화된 천연 식물체 화장료 조성물을 상기 제 1반응조에 투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장품 제조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산은 시트릭산, 타르타르산, 락틱산, 글리콜릭산, 포름산, 말산, 옥살산, 살리실릭산, 아스코르빅산, 구연산 및 글루코노델타락톤 중 적어도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유기산, 또는 염산,황산,질산,인산 및 탄산 중 적어도 1종 이상을 포함하는 무기산을 포함하는 화장품 제조방법.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연화된 천연 식물체 화장료 조성물은 전체 화장품 중 1중량% 내지 20중량%의 범위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제조방법.
  13.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된 천연 식물체는 장미, 해바라기, 국화, 카렌듈라, 수레국화, 카모마일, 나팔꽃, 채송화, 봉숭아, 벚나무, 녹차, 히비스커스, 페퍼민트, 병풀, 마치현, 쑥, 여바산타, 민들레, 질경이, 어성초, 알로에, 천년초, 화이트윌로우 또는 백년초를 포함하는 화장품 제조방법.
KR1020180148998A 2017-11-30 2018-11-27 연화된 천연식물체를 포함하는 화장품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4797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3817 2017-11-30
KR20170163817 2017-11-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4485A true KR20190064485A (ko) 2019-06-10
KR102247972B1 KR102247972B1 (ko) 2021-05-04

Family

ID=66847956

Famil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9005A KR102247990B1 (ko) 2017-11-30 2018-11-27 연화된 천연식물체를 포함하는 화장품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180148998A KR102247972B1 (ko) 2017-11-30 2018-11-27 연화된 천연식물체를 포함하는 화장품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180149019A KR102247580B1 (ko) 2017-11-30 2018-11-27 연화된 천연식물체를 포함하는 화장품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180148081A KR102247962B1 (ko) 2017-11-30 2018-11-27 연화된 천연식물체를 포함하는 화장품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180149029A KR102247585B1 (ko) 2017-11-30 2018-11-27 연화된 천연식물체를 포함하는 화장품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180149009A KR102247569B1 (ko) 2017-11-30 2018-11-27 연화된 천연식물체를 포함하는 화장품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180149033A KR102247997B1 (ko) 2017-11-30 2018-11-27 연화된 천연식물체를 포함하는 화장품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9005A KR102247990B1 (ko) 2017-11-30 2018-11-27 연화된 천연식물체를 포함하는 화장품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5)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9019A KR102247580B1 (ko) 2017-11-30 2018-11-27 연화된 천연식물체를 포함하는 화장품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180148081A KR102247962B1 (ko) 2017-11-30 2018-11-27 연화된 천연식물체를 포함하는 화장품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180149029A KR102247585B1 (ko) 2017-11-30 2018-11-27 연화된 천연식물체를 포함하는 화장품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180149009A KR102247569B1 (ko) 2017-11-30 2018-11-27 연화된 천연식물체를 포함하는 화장품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180149033A KR102247997B1 (ko) 2017-11-30 2018-11-27 연화된 천연식물체를 포함하는 화장품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7) KR10224799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0594B1 (ko) * 2021-11-04 2024-01-03 주식회사 에스디알생명공학 구연산을 이용한 화장료용 꽃잎의 연화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02718A (ko) * 2005-06-30 2007-01-05 (주)아모레퍼시픽 천연 연화 꽃잎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60034483A (ko) * 2014-09-19 2016-03-30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식물연화용 나노 리포좀 및 이를 이용하여 연화된 식물을 제조하는 방법
KR20160137466A (ko) 2016-11-11 2016-11-30 조성민 미백과 주름개선에 효과가 있는 천연식물 추출물 함유하는 화장품 조성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02718A (ko) * 2005-06-30 2007-01-05 (주)아모레퍼시픽 천연 연화 꽃잎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60034483A (ko) * 2014-09-19 2016-03-30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식물연화용 나노 리포좀 및 이를 이용하여 연화된 식물을 제조하는 방법
KR20160137466A (ko) 2016-11-11 2016-11-30 조성민 미백과 주름개선에 효과가 있는 천연식물 추출물 함유하는 화장품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7997B1 (ko) 2021-05-04
KR20190064487A (ko) 2019-06-10
KR20190064486A (ko) 2019-06-10
KR102247972B1 (ko) 2021-05-04
KR102247585B1 (ko) 2021-05-03
KR20190064488A (ko) 2019-06-10
KR102247569B1 (ko) 2021-05-03
KR102247990B1 (ko) 2021-05-04
KR20190064489A (ko) 2019-06-10
KR102247580B1 (ko) 2021-05-03
KR20190064471A (ko) 2019-06-10
KR102247962B1 (ko) 2021-05-04
KR20190064490A (ko) 2019-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47457B1 (ko) 껌성 측정을 이용한 연화된 천연 식물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이에 의해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
KR101687599B1 (ko) 보습력이 우수한 저자극성의 세정용 화장료 조성물
CN109106621A (zh) 卸妆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2233442B1 (ko) 신속 수용성 미용 팩용 조성물과 그 혼합방법 및 이를 이용한 미용 팩
KR101069759B1 (ko) 폴리사카라이드를 담체로 이용한 울금 추출물과 탄닌을 포함하는 주름 개선용 비누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90064485A (ko) 연화된 천연식물체를 포함하는 화장품 및 이의 제조방법
CN107375017B (zh) 卸妆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1770556B1 (ko) 사용 시 유화기능이 부여되는 마스크 팩 조성물
Prima et al. Techniques of additional Kappaphycus alvarezii on seaweed face mask production
KR20230133483A (ko)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 및 화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품
KR100645987B1 (ko) 저온공법을 이용한 스크럽제 제조방법
EP3417046B1 (en) Natural soap composition with controlled zeta potential and manufacturing process
KR101069757B1 (ko) 강황 추출물과 폴리사카라이드를 포함하는 약산성 비누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200014537A (ko) 페이셜 마스크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
CN107087395A (zh) 乳霜状化妆料用水包油型乳化组合物和化妆料
KR20180062830A (ko) 보습 화장료 조성물
KR20140021205A (ko) 흑모유발 및 모발생장촉진을 위한 콜로이드상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50097282A (ko) 코코넛오일을 주 기제로 한 선택세정 및 고보습 화장비누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