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64221A - 경로 안내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경로 안내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64221A
KR20190064221A KR1020170163622A KR20170163622A KR20190064221A KR 20190064221 A KR20190064221 A KR 20190064221A KR 1020170163622 A KR1020170163622 A KR 1020170163622A KR 20170163622 A KR20170163622 A KR 20170163622A KR 20190064221 A KR20190064221 A KR 201900642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ute
road
map
link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36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주원
정현도
Original Assignee
현대엠엔소프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엠엔소프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엠엔소프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636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64221A/ko
Publication of KR201900642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422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407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1C21/3415Dynamic re-routing, e.g. recalculating the route when the user deviates from calculated route or after detecting real-time traffic data or accid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64Details of the user input interface, e.g. buttons, knobs or sliders, including those provided on a touch screen; remote controllers; input using gestur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67Display of a road map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67Display of a road map
    • G01C21/3676Overview of the route on the road map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91Retrieval, searching and output of information related to real-time traffic, weather, or environmental condi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tmospheric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Navigation (AREA)
  •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경로 안내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경로 안내 장치는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안내하고 사용자로부터 터치 방식으로 사용자 입력을 입력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한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출력하는 과정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지도상에서의 터치 입력에 따라 출발지점을 설정하여 서비스 서버에 경로 재탐색을 요청하고, 서비스 서버로부터 새로운 경로를 제공받아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경로 안내 장치 및 방법{APPARATUS FOR GUIDING ROUTE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경로 안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에게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탐색하여 안내하는 경로 안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내비게이션 시스템은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위성을 통해서 수신받은 경로탐색 장치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도로 데이터베이스에서 현재 위치의 데이터를 읽어 화면에 차량의 위치와 함께 표시함으로써, 운전자가 현재 주행하는 도로의 위치를 식별하거나 초행 도로에서 주행할 때 목적지를 쉽게 찾을 수 있도록 도와주는 장치이다.
최근에는 사용자의 니즈를 충족시키기 위해서 운전자가 목적지를 설정하면 출발지에서 목적지까지의 예상 도착 시간을 안내하거나 목적지까지의 도로 상황에 따른 우회 도로를 제안하는 등의 선진화된 기술들이 경로탐색 장치에 접목되어 운전자에게 보다 정확한 경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이와 같이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안내하는 기술에 있어서 사용자의 니즈 충족을 위한 기술이 고도화되고 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1-0116320호(2011.10.26.)의 '터치드래그식 네비게이션 장치 및 그의 경로 탐색방법'에 개시되어 있다.
종래에는 사용자에게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안내하는 경우 사용자가 경로 재탐색을 요청하더라도 사용자가 원하는 경로로 생성된다는 보장이 없고, 경로 재탐색을 요청하기까지 여러 번의 버튼입력이 필요로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목적은 화면에 표출되는 지도상에 이루어지는 터치 입력에 따라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생성하여 안내하는 경로 안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경로 안내 장치는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안내하고 사용자로부터 터치 방식으로 사용자 입력을 입력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출력하는 과정에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한 지도상에서의 터치 입력에 따라 출발지점을 설정하여 서비스 서버에 경로 재탐색을 요청하고,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새로운 경로를 제공받아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제어부는 지도상에서 도로가 터치되면 터치된 도로의 링크를 출발지점으로 하는 경로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제어부는 지도상에서 도로가 롱키 입력되면 롱키 입력된 도로의 링크를 출발지점으로 하는 경로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제어부는 지도상에서 현재 경로의 경로 안내선이 터치된 후 드래그되어 새로운 도로에 매칭되면, 새롭게 매칭된 도로의 링크를 출발지점으로 하는 경로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새롭게 탐색된 경로를 제공받으면 현재 경로와 새롭게 탐색된 경로를 모두 출력하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현재 경로와 새롭게 탐색된 경로 중 어느 하나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경로 안내 장치는 지도를 저장하는 지도정보 저장부; 상기 지도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지도를 토대로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탐색하는 경로 탐색부; 현재 안내 중인 현재 경로에 대한 교통정체 정보를 수집하는 정체 정보 수집부; 및 상기 경로 탐색부를 통해 경로를 탐색하여 내비게이션 단말에 경로를 안내하는 중에, 상기 내비게이션 단말의 지도상에서의 터치 입력에 따라 경로 재탐색을 요청받으면, 상기 경로 탐색부를 통해 경로를 재탐색하여 상기 내비게이션 단말에 제공하고, 상기 정체 정보 수집부를 통해 현재 경로에 대한 교통정체 정보를 수집하는 제어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경로 탐색부는 상기 터치 입력에 따른 도로의 링크를 출발지점으로 하여 상기 경로 탐색부를 통해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재탐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경로 탐색부는 지도상에서 도로가 터치되면 터치된 도로의 링크를 출발지점으로 하는 경로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경로 탐색부는 지도상에서 도로가 롱키 입력되면 롱키 입력된 도로의 링크를 출발지점으로 하는 경로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경로 탐색부는 지도상에서 현재 경로의 경로 안내선이 터치된 후 드래그되어 새로운 도로에 매칭되면, 새롭게 매칭된 도로의 링크를 출발지점으로 하는 경로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경로 안내 방법은 제어부가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한 사용자로부터의 터치 입력에 따라 출발지점을 설정하여 서비스 서버에 경로 재탐색을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새로운 경로를 제공받아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제어부는 지도상에서 도로가 터치되면 터치된 도로의 링크를 출발지점으로 하는 경로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제어부는 지도상에서 도로가 롱키 입력되면 롱키 입력된 도로의 링크를 출발지점으로 하는 경로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제어부는 지도상에서 현재 경로의 경로 안내선이 터치된 후 드래그되어 새로운 도로에 매칭되면, 새롭게 매칭된 도로의 링크를 출발지점으로 하는 경로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새롭게 탐색된 경로를 제공받으면 현재 경로와 새롭게 탐색된 경로를 모두 출력하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현재 경로와 새롭게 탐색된 경로 중 어느 하나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경로 안내 방법은 제어 서버가 내비게이션 단말로부터 화면의 지도상에서의 터치 입력에 따라 경로 재탐색을 요청받으면, 경로 탐색부를 통해 경로를 재탐색하는 단계; 상기 제어 서버가 상기 경로 탐색부를 통해 재탐색된 새로운 경로를 상기 내비게이션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 서버가 정체 정보 수집부를 통해 현재 안내 중인 경로에 대한 교통정체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경로 탐색부는 상기 터치 입력에 따른 도로의 링크를 출발지점으로 하여 상기 경로 탐색부를 통해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재탐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경로 탐색부는 지도상에서 도로가 터치되면 터치된 도로의 링크를 출발지점으로 하는 경로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경로 탐색부는 지도상에서 도로가 롱키 입력되면 롱키 입력된 도로의 링크를 출발지점으로 하는 경로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경로 탐색부는 지도상에서 현재 경로의 경로 안내선이 터치된 후 드래그되어 새로운 도로에 매칭되면, 새롭게 매칭된 도로의 링크를 출발지점으로 하는 경로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경로 안내 장치 및 방법은 화면에 표출되는 지도상에 이루어지는 터치 입력에 따라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생성하여 안내함으로써, 운전자가 편리하게 경로 재탐색을 요청하고, 경로 안내를 받을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경로 안내 장치 및 방법은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따라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재탐색할 경우, 사용자가 회피하고자 하는 현재 경로에 대한 교통정체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하여 실제 상황이 반영된 양질의 교통정체 정보를 획득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로 안내 장치의 블럭 구성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비게이션 단말의 블럭 구성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면에 표출되는 경로안내선을 따라 이루어지는 터치 입력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서버의 블럭 구성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로 안내 방법의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로 안내 장치 및 방법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이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로 안내 장치의 블럭 구성도이다.
도 1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로 안내 장치는 내비게이션 단말(10) 및 서비스 서버(20)를 포함한다.
내비게이션 단말(10)과 서비스 서버(20)는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어 서로 간에 각종 정보를 송수신한다.
내비게이션 단말(10)은 서비스 서버(20)에 경로 탐색을 요청하고 서비스 서버(20)로부터 제공받은 경로를 사용자에게 안내한다.
서비스 서버(20)는 내비게이션 단말(10)로부터의 경로 탐색 요청에 따라 경로를 탐색하고 탐색된 경로를 내비게이션 단말(10)에 제공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내비게이션 단말(10)이 경로를 안내하는 과정에서, 내비게이션 단말(10)은 사용자로부터의 터치 입력이 있으면, 이러한 터치 입력에 따라 출발지점을 설정하여 서비스 서버(20)에 경로 재탐색을 요청한다.
서비스 서버(20)는 해당 출발지점으로부터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재탐색하고, 탐색된 경로를 내비게이션 단말(10)에 제공한다.
이 경우, 내비게이션 단말(10)은 현재 안내 중인 경로와 새롭게 탐색된 경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선택된 경로를 안내받을 수 있다.
한편, 서비스 서버(20)는 현재 경로, 즉 새로운 경로를 탐색하기 전의 경로에 대한 교통정체 정보를 수집함으로써, 사용자가 회피하려고 하는 도로에 대한 교통정체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할 수 있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비게이션 단말의 블럭 구성도이며,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면에 표출되는 경로안내선을 따라 이루어지는 터치 입력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서버의 블럭 구성도이다.
도 2 를 참조하면, 내비게이션 단말(10)은 사용자로부터 터치 입력으로 각종 제어명령을 입력받고, 서비스 서버(20)에 의해 탐색된 경로를 사용자에게 안내한다.
내비게이션 단말(10)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 및 제어부(12)를 포함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는 서비스 서버(20)에 의해 탐색된 경로를 안내한다.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는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안내하고 사용자로부터 터치 방식으로 사용자 입력을 입력받는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는 터치 스크린이 채용될 수 있으며, 사용자로부터 목적지 정보 및 탐색 요청을 터치 방식으로 입력받는다.
제어부(12)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로부터 경로 탐색 요청이 입력되면, 서비스 서버(20)에 경로 탐색을 요청한다. 이후 제어부(12)는 서비스 서버(20)로부터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제공받아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를 통해 출력한다.
이와 같이, 서비스 서버(20)로부터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제공받아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를 통해 출력하는 과정에서, 제어부(12)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를 통해 터치 입력이 있으면 이 터치 입력에 따라 출발지점을 설정하여 서비스 서버(20)에 경로 재탐색을 요청한다.
즉, 제어부(12)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를 통한 터치 입력으로 새로운 경로에 대한 탐색을 요청받는데, 터치 입력으로는 지도상에서 도로가 직접 터치되는 경우, 도로에 직접 롱키가 입력되는 경우, 및 현재 경로의 경로 안내선이 터치 후 드래그되어 새로운 도로에 매칭되는 경우가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가 터치 입력을 통해 새로운 경로에 대한 탐색을 요청하는 경우로는, 현재 안내중인 도로가 정체되어 사용자가 해당 도로를 회피하고자하는 경우가 해당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를 통해 자신이 확인하고자 하는 경로의 도로를 터치하거나, 해당 도로를 길게 롱키 입력하거나, 또는 경로 안내선을 터치한 후 드래그하여 해당 도로에 매칭시키면, 제어부(12)는 해당 도로를 출발지점으로 하는 새로운 경로 재탐색을 서비스 서버(20)에 요청한다.
도 3 에는 사용자가 경로 안내선을 드래그하여 새로운 도로에 매칭시키는 예가 도시되었다.
현재 안내 중인 ①의 경로는 도로 교통정보가 정체(빨간색)로 표시되고 있다. 이때 사용자는 ①의 경로가 아닌 새로운 도로인 ② 경로로 주행하고 싶을 것이며, 이에 경로 안내선을 해당 도로로 드래그하면 해당 도로를 포함하는 경로 탐색이 새롭게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새로운 도로는 터치 또는 롱키 입력을 통해서도 선택될 수 있다.
이후, 제어부(12)는 서비스 서버(20)로부터 새롭게 탐색된 경로를 제공받아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를 통해 출력한다.
이때, 제어부(12)는 현재 안내 중인 경로와 새롭게 탐색된 경로를 표시함과 더불어 이들 2개의 경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도록 하고, 이때 사용자로부터 이들 경로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선택된 경로를 출력한다.
즉, 사용자는 새롭게 탐색된 경로가 자신이 원하는 경로이면 새롭게 탐색된 경로를 선택할 수 있고, 반면에 새롭게 탐색된 경로가 자신이 원하는 경로가 아니면 현재 경로를 선택할 수 있다.
도 4 를 참조하면, 서비스 서버(20)는 내비게이션 단말(10)로부터 화면의 지도상에서의 터치 입력에 따라 경로 재탐색을 요청받으면, 경로를 재탐색하여 재탐색된 새로운 경로를 내비게이션 단말(10)에 제공하며, 새로운 경로를 탐색하기 전 현재 경로에 대한 교통정체 정보를 수집함으로써, 실제 상황이 반영된 양질의 교통정체 정보를 획득한다.
서비스 서버(20)는 지도정보 저장부(21), 경로 탐색부(22), 정체정보 수집부(23), 및 제어 서버(24)를 포함한다.
지도정보 저장부(21)는 지도를 저장한다.
경로 탐색부(22)는 지도정보 저장부(21)에 저장된 지도를 토대로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탐색한다. 즉, 경로 탐색부(22)는 사용자의 현재 위치 또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따라 설정된 출발지점을 토대로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탐색한다.
정체정보 수집부(23)는 내비게이션 단말(10)에 현재 안내 중인 현재 경로에 대한 교통정체 정보를 수집한다. 교통정체 정보에는 정체 구간, 정체 시간, 및 교통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즉, 정체정보 수집부(23)는 내비게이션 단말(10)에 현재 안내 중인 현재 경로 도로에 설치되어 있는 노변 기지국, 및 해당 도로를 운행 중인 프로브 차량 등을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교통정보를 수집한다. 교통정보에는 해당 도로의 도로 구간별 차량의 평균이동속도 및 이동시간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어 정체정보 수집부(23)는 상기한 교통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도로의 정체구간을 추출한다. 예를 들어, 정체정보 수집부(23)는 도로의 구간별 평균이동속도 또는 이동시간을 이용하여 정체구간을 추출한다.
정체정보 수집부(23)가 교통정체 정보를 수집하는 방식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교통정체 정보를 수집하는 다양한 방식을 모두 포함한다.
제어 서버(24)는 내비게이션 단말(10)의 터치 입력에 따라 내비게이션 단말(10)로부터 경로 재탐색을 요청받으면, 경로 탐색부(22)를 통해 새로운 경로를 재탐색하여 내비게이션 단말(10)에 제공하고, 정체정보 수집부(23)를 통해 현재 경로에 대한 교통정체 정보를 수집한다.
즉, 제어 서버(24)는 내비게이션 단말(10)로부터의 경로 탐색을 요청받으면, 경로 탐색부(22)를 제어하여 경로를 탐색하고 탐색된 경로를 내비게이션 단말(10)에 제공한다.
이 과정에서, 사용자가 내비게이션 단말(10)을 터치 입력하면(예를 들어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를 통해 자신이 확인하고자 하는 도로를 터치하거나, 해당 도로를 길게 롱키 입력하거나, 또는 경로 안내선을 터치한 후 드래그하여 해당 도로에 매칭시키면) 내비게이션 단말(10)의 제어부(12)는 해당 터치 입력에 따른 도로를 출발지점을 설정하고 제어 서버(24)에 새로운 경로 탐색을 요청한다.
제어 서버(24)는 내비게이션 단말(10)로부터의 경로 재탐색 요청에 따라 경로 탐색부(22)를 제어하여 해당 도로의 링크를 출발지점으로 하는 경로를 재탐색하고, 재탐색된 경로를 내비게이션 단말(10)에 제공한다.
이 경우, 내비게이션 단말(10)은 현재 안내 중인 경로와 새롭게 탐색된 경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선택된 경로를 안내받을 수 있다.
한편, 제어 서버(24)는 정체정보 수집부(23)를 제어하여 현재 경로, 즉 새로운 경로를 탐색하기 전의 경로에 대한 교통정체 정보를 수집함으로써, 사용자가 회피하려고 하는 도로에 대한 교통정체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로 안내 방법을 도 5 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로 안내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5 를 참조하면, 서비스 서버(20)는 내비게이션 단말(10)로부터의 경로 탐색 요청에 따라 경로를 탐색하고(S10), 탐색된 경로를 내비게이션 단말(10)에 제공한다(S12).
내비게이션 단말(10)은 서비스 서버(20)로부터 제공받은 경로를 제공받음에 따라 해당 경로를 출력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안내한다(S14).
이 과정에서, 내비게이션 단말(10)은 사용자로부터 터치 입력, 예를 들어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를 통해 자신이 확인하고자 하는 도로를 터치하거나, 해당 도로를 길게 롱키 입력하거나, 또는 경로 안내선을 터치한 후 드래그하여 해당 도로에 매칭시키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6). 판단 결과 상기한 터치 입력이 있으면, 내비게이션 단말(10)은 해당 터치 입력에 따른 도로를 출발지점을 설정하고 서비스 서버(20)에 새로운 경로에 대한 경로 재탐색 탐색을 요청한다(S18,S20).
내비게이션 단말(10)로부터의 경로 재탐색 요청에 따라, 서비스 서버(20)는 해당 도로의 링크를 출발지점으로 하는 새로운 경로를 재탐색하고, 재탐색된 경로를 내비게이션 단말(10)에 제공한다(S22,S24).
이어, 서비스 서버(20)는 현재 경로, 즉 새로운 경로를 탐색하기 전의 경로에 대한 교통정체 정보를 수집(S32)함으로써, 실제 상황이 반영된 양질의 교통 정체정보를 획득한다.
한편, 내비게이션 단말(10)은 상기한 바와 같이 새롭게 재탐색된 경로를 제공받음에 따라, 현재 안내 중인 경로와 새롭게 탐색된 경로를 출력하고(S26), 이들 2개의 경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도록 하고(S28), 이때 사용자로부터 이들 경로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선택된 경로를 출력한다(S30).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로 안내 장치 및 방법은 화면에 표출되는 지도상에 이루어지는 터치 입력에 따라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생성하여 안내함으로써, 운전자가 편리하게 경로 재탐색을 요청하고, 경로 안내를 받을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로 안내 장치 및 방법은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따라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재탐색할 경우, 사용자가 회피하고자 하는 현재 경로에 대한 교통정체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하여 실제 상황이 반영된 양질의 교통정체 정보를 획득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할 것이다.
10: 내비게이션 단말
11: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12: 제어부
20: 서비스 서버
21: 지도정보 저장부
22: 경로 탐색부
23: 정체정보 수집부
24: 제어 서버

Claims (20)

  1.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안내하고 사용자로부터 터치 방식으로 사용자 입력을 입력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출력하는 과정에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한 지도상에서의 터치 입력에 따라 출발지점을 설정하여 서비스 서버에 경로 재탐색을 요청하고,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새로운 경로를 제공받아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경로 안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지도상에서 도로가 터치되면 터치된 도로의 링크를 출발지점으로 하는 경로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 안내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지도상에서 도로가 롱키 입력되면 롱키 입력된 도로의 링크를 출발지점으로 하는 경로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 안내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지도상에서 현재 경로의 경로 안내선이 터치된 후 드래그되어 새로운 도로에 매칭되면, 새롭게 매칭된 도로의 링크를 출발지점으로 하는 경로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 안내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새롭게 탐색된 경로를 제공받으면 현재 경로와 새롭게 탐색된 경로를 모두 출력하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현재 경로와 새롭게 탐색된 경로 중 어느 하나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 안내 장치.
  6. 지도를 저장하는 지도정보 저장부;
    상기 지도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지도를 토대로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탐색하는 경로 탐색부;
    현재 안내 중인 현재 경로에 대한 교통정체 정보를 수집하는 정체 정보 수집부; 및
    상기 경로 탐색부를 통해 경로를 탐색하여 내비게이션 단말에 경로를 안내하는 중에, 상기 내비게이션 단말의 지도상에서의 터치 입력에 따라 경로 재탐색을 요청받으면, 상기 경로 탐색부를 통해 경로를 재탐색하여 상기 내비게이션 단말에 제공하고, 상기 정체 정보 수집부를 통해 현재 경로에 대한 교통정체 정보를 수집하는 제어 서버를 포함하는 경로 안내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 탐색부는 상기 터치 입력에 따른 도로의 링크를 출발지점으로 하여 상기 경로 탐색부를 통해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재탐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 안내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 탐색부는 지도상에서 도로가 터치되면 터치된 도로의 링크를 출발지점으로 하는 경로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 안내 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 탐색부는 지도상에서 도로가 롱키 입력되면 롱키 입력된 도로의 링크를 출발지점으로 하는 경로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 안내 장치.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 탐색부는 지도상에서 현재 경로의 경로 안내선이 터치된 후 드래그되어 새로운 도로에 매칭되면, 새롭게 매칭된 도로의 링크를 출발지점으로 하는 경로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 안내 장치.
  11. 제어부가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한 사용자로부터의 터치 입력에 따라 출발지점을 설정하여 서비스 서버에 경로 재탐색을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새로운 경로를 제공받아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경로 안내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지도상에서 도로가 터치되면 터치된 도로의 링크를 출발지점으로 하는 경로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 안내 방법.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지도상에서 도로가 롱키 입력되면 롱키 입력된 도로의 링크를 출발지점으로 하는 경로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 안내 방법.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지도상에서 현재 경로의 경로 안내선이 터치된 후 드래그되어 새로운 도로에 매칭되면, 새롭게 매칭된 도로의 링크를 출발지점으로 하는 경로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 안내 방법.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새롭게 탐색된 경로를 제공받으면 현재 경로와 새롭게 탐색된 경로를 모두 출력하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현재 경로와 새롭게 탐색된 경로 중 어느 하나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 안내 방법.
  16. 제어 서버가 내비게이션 단말로부터 화면의 지도상에서의 터치 입력에 따라 경로 재탐색을 요청받으면, 경로 탐색부를 통해 경로를 재탐색하는 단계;
    상기 제어 서버가 상기 경로 탐색부를 통해 재탐색된 새로운 경로를 상기 내비게이션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 서버가 정체 정보 수집부를 통해 현재 안내 중인 경로에 대한 교통정체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경로 안내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 탐색부는 상기 터치 입력에 따른 도로의 링크를 출발지점으로 하여 상기 경로 탐색부를 통해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재탐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 안내 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 탐색부는 지도상에서 도로가 터치되면 터치된 도로의 링크를 출발지점으로 하는 경로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 안내 방법.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 탐색부는 지도상에서 도로가 롱키 입력되면 롱키 입력된 도로의 링크를 출발지점으로 하는 경로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 안내 방법.
  20.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 탐색부는 지도상에서 현재 경로의 경로 안내선이 터치된 후 드래그되어 새로운 도로에 매칭되면, 새롭게 매칭된 도로의 링크를 출발지점으로 하는 경로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 안내 방법.
KR1020170163622A 2017-11-30 2017-11-30 경로 안내 장치 및 방법 KR2019006422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3622A KR20190064221A (ko) 2017-11-30 2017-11-30 경로 안내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3622A KR20190064221A (ko) 2017-11-30 2017-11-30 경로 안내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4221A true KR20190064221A (ko) 2019-06-10

Family

ID=668487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3622A KR20190064221A (ko) 2017-11-30 2017-11-30 경로 안내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6422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26895B2 (en) Methods and systems of providing information using a navigation apparatus
CN107003141B (zh) 替代路线
US20140229101A1 (en) System, components and methodologies for navigation route planning
US20130080046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guiding driving route to destination
JP2006317173A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
JP2017106736A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およびナビゲーション方法
JP4836265B2 (ja) 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端末装置およびナビゲーション方法
JP2004294091A (ja) 車載用ナビゲーション装置
KR20190064221A (ko) 경로 안내 장치 및 방법
JP2018059940A (ja) 情報提供装置、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KR20130021995A (ko) 경로 재설정 기능을 갖는 내비게이션 장치와 경로 설정 및 재설정 방법
KR20140021164A (ko) Poi 정보 제공 시스템과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와 단말기
KR20130068816A (ko) 복수 경로 제공 내비게이션 장치 및 방법
KR20070099727A (ko)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다중 경로 탐색 및 안내방법
KR20160000074U (ko) 차량의 전환방향을 우선 안내하는 내비게이션 시스템
KR20180061899A (ko) 내비게이션의 경로 탐색 장치 및 방법
KR101947824B1 (ko) 네비게이션 장치 및 이의 경로 제공 방법
KR102015052B1 (ko) Poi 정보 제공 시스템과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와 단말기
KR20190064227A (ko) 내비게이션 장치, 내비게이션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7078559B2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ナビゲーション方法及びナビゲーションプログラム
KR20170001116A (ko) 차량용 경로 안내 방법
JP2003269978A (ja) 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ナビゲーション装置及びサーバ装置
JPWO2008146378A1 (ja) 経路探索装置、経路探索方法、経路探索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2008267944A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及び施設案内方法
KR20160111645A (ko) 자동 목적지 설정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내비게이션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