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64041A - 회로기판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회로기판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64041A
KR20190064041A KR1020170163297A KR20170163297A KR20190064041A KR 20190064041 A KR20190064041 A KR 20190064041A KR 1020170163297 A KR1020170163297 A KR 1020170163297A KR 20170163297 A KR20170163297 A KR 20170163297A KR 20190064041 A KR20190064041 A KR 201900640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d
printed circuit
pads
circuit board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32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55728B1 (ko
Inventor
조대명
황광희
한상수
김재혁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632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5728B1/ko
Publication of KR201900640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40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57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57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14Structural association of two or more printed circuits
    • H05K1/147Structural association of two or more printed circuits at least one of the printed circuits being bent or folded, e.g. by using a flexible printed circui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11Printed elements for providing electric connections to or between printed circuits
    • H05K1/111Pads for surface mounting, e.g. lay-ou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Structural and physical details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21Structural details of the set of electrodes
    • G09G2300/0426Layout of electrodes and conn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Combinations Of Printed Boa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둘 이상의 인쇄회로기판, 및 상기 둘 이상의 인쇄회로기판을 상호 연결하는 케이블을 포함하는 회로기판모듈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둘 이상의 인쇄회로기판 중 제 1 방향으로 상호 나란하게 배열되는 제 1 및 제 2 인쇄회로기판 사이에 배치되는 케이블은 연결필름, 상기 연결필름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인쇄회로기판 사이의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신호배선, 상기 연결필름 중 상기 신호배선의 어느 일단에 대응되는 제 1 패드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인쇄회로기판에 본딩되는 제 1 패드, 및 상기 연결필름 중 상기 신호배선의 다른 일단에 대응되는 제 2 패드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인쇄회로기판에 본딩되는 제 2 패드를 포함한다. 이러한 회로기판모듈에 있어서, 케이블과 인쇄회로기판 간의 연결 구조가 단순화될 수 있다.

Description

회로기판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CIRCUIT BOARD MODULE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표시패널을 구동하는 구동부를 구현하는 회로기판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표시장치(Display Device)는 TV, 스마트폰, 노트북 및 태블릿 등과 같은 다양한 전자기기에 적용된다. 이에 표시장치의 박형화, 경량화 및 저소비전력화 등을 개발시키기 위한 연구가 계속되고 있다.
표시장치의 대표적인 예로는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LCD), 플라즈마표시장치(Plasma Display Panel device: PDP), 전계방출표시장치(Field Emission Display device: FED), 전기발광표시장치(Electro Luminescence Display device: ELD), 전기습윤표시장치(Electro-Wetting Display device: EWD) 및 유기발광표시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OLED)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표시장치는 표시영역에 영상이 표시되는 표시패널과, 표시패널을 구동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구동부는 표시패널을 구동하기 위한 타이밍제어신호 및 전원신호 등을 공급한다. 이러한 구동부는 적어도 하나의 부품이 실장되는 인쇄회로기판 및 인쇄회로기판과 표시패널 사이를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필름을 포함하는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장치의 간소화를 위하여, 구동부는 표시패널의 일측 가장자리에 나란하게 배치되는 한 개의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표시장치의 대형화 및 고해상도화로 인하여, 표시패널의 일측 가장자리의 길이가 길어짐에 따라, 구동부가 한 개의 인쇄회로기판만을 포함하는 구조로 구현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구동부는 표시패널의 일측 가장자리에 나란하게 배치되는 둘 이상의 인쇄회로기판과, 둘 이상의 인쇄회로기판 사이의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케이블을 포함한 회로기판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런데, 둘 이상의 인쇄회로기판 사이의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케이블은 인쇄회로기판에 실장된 소켓에 삽입되는 커넥터를 포함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로 인해, 장치의 간소화에 한계가 있는 문제점, 및 표시장치가 대형화 또는 고해상도화될수록 장치의 제조비용이 급증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장치의 간소화 및 제조비용의 감소에 유리해질 수 있는 회로기판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예시는 둘 이상의 인쇄회로기판, 및 상기 둘 이상의 인쇄회로기판을 상호 연결하는 케이블을 포함하는 회로기판모듈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둘 이상의 인쇄회로기판 중 제 1 방향으로 상호 나란하게 배열되는 제 1 및 제 2 인쇄회로기판 사이에 배치되는 케이블은 연결필름, 상기 연결필름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인쇄회로기판 사이의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신호배선, 상기 연결필름 중 상기 신호배선의 어느 일단에 대응되는 제 1 패드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인쇄회로기판에 본딩되는 제 1 패드, 및 상기 연결필름 중 상기 신호배선의 다른 일단에 대응되는 제 2 패드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인쇄회로기판에 본딩되는 제 2 패드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및 제 2 패드영역은 상기 제 1 방향으로 상호 대향하며 상호 합동인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 1 및 제 2 패드영역은 상기 제 1 방향으로 상호 대향하는 상기 연결필름의 양측 모서리에 인접하고 나란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 1 패드영역에서 복수의 상기 제 1 패드는 상호 이격하고 상기 제 1 방향에 교차하는 제 2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열되며, 상기 제 2 패드영역에서 복수의 상기 제 2 패드는 상호 이격하고 상기 제 2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열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 1 및 제 2 패드영역은 상기 제 1 방향에 교차하는 제 2 방향으로 상호 대향하는 상기 연결필름의 양측 모서리 중 적어도 하나에 인접하고 나란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 1 패드영역에서 복수의 상기 제 1 패드는 상호 이격하고 상기 제 1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열되며, 상기 제 2 패드영역에서 복수의 상기 제 2 패드는 상호 이격하고 상기 제 1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열될 수 있다.
상기 제 1 및 제 2 패드영역 각각은 상호 대향하고 호(arc) 형태로 이루어진 제 1 및 제 2 모서리와, 상기 제 1 및 제 2 모서리 사이를 연결하는 제 3 및 제 4 모서리를 포함하며, 상기 제 3 및 제 4 모서리는 상호 선대칭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방향에 비스듬한 사선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제 1 패드영역에 배치된 복수의 제 1 패드 중 상기 제 1 패드영역의 중앙에 배치되는 일부는 상기 제 1 및 제 2 방향 중 어느 하나에 나란한 형태이고 나머지 일부는 상기 제 1 및 제 2 방향에 기울어진 형태이며, 상기 제 2 패드영역에 배치된 복수의 제 2 패드 중 상기 제 2 패드영역의 중앙에 배치되는 일부는 상기 제 1 및 제 2 방향 중 어느 하나에 나란한 형태이고 나머지 일부는 상기 제 1 및 제 2 방향에 기울어진 형태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예시는 표시영역에 정의되는 복수의 화소영역을 포함하는 표시패널, 일단이 상기 표시패널에 연결되고 집적회로칩이 실장되는 칩온필름, 및 상기 표시패널의 일측 모서리에 나란하게 배치되고, 상기 칩온필름의 다른 일단에 연결되며, 케이블을 통해 상호 연결되는 둘 이상의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한 회로기판모듈을 포함하는 표시장치를 더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회로기판모듈의 상기 둘 이상의 인쇄회로기판 중 제 1 및 제 2 인쇄회로기판 사이에 배치되는 케이블은 연결필름, 상기 연결필름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인쇄회로기판 사이의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신호배선, 상기 연결필름 중 상기 신호배선의 어느 일단에 대응되는 제 1 패드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인쇄회로기판에 본딩되는 제 1 패드, 및 상기 연결필름 중 상기 신호배선의 다른 일단에 대응되는 제 2 패드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인쇄회로기판에 본딩되는 제 2 패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회로기판모듈은 각 인쇄회로기판에 직접 본딩되는 패드를 포함하는 케이블을 포함한다. 이로써, 소켓과 커넥터를 이용한 기존의 연결구조에 비해, 케이블과 인쇄회로기판 간의 연결구조가 단순해질 수 있으므로, 장치의 간소화에 유리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소켓과 커넥터를 이용한 기존의 연결구조에 비해, 회로기판모듈에 구비되는 부품이 감소될 수 있으므로, 회로기판모듈의 제조비용이 감소될 수 있다. 그로 인해, 표시장치가 대형화 또는 고해상도화되더라도 장치의 제조비용이 급증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회로기판모듈을 포함한 표시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케이블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A-A'에 대한 일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회로기판모듈을 포함한 표시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케이블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및 제 2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의 패드와 인쇄회로기판의 패드 사이의 정렬이 정상인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정렬이 불량인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회로기판모듈의 케이블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회로기판모듈의 케이블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제 3 및 제 4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의 패드에 대한 일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도 11의 케이블에 대응하는 인쇄회로기판의 패드에 대한 일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제 3 및 제 4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의 패드와 인쇄회로기판의 패드 간의 정렬에 대한 일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회로기판모듈을 포함한 표시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이하,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회로기판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회로기판모듈 및 이를 포함한 표시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회로기판모듈을 포함한 표시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케이블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A-A'에 대한 일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표시패널(10), 적어도 하나의 칩온필름(20) 및 회로기판모듈(30)을 포함한다.
표시패널(10)은 실질적으로 영상이 표시되는 표시영역(AA)에 정의된 복수의 화소영역(PXL)을 포함한다.
표시패널(10)은 복수의 화소영역(PXL) 중 제 1 방향(X; 도 1의 수평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열되는 화소영역들로 이루어진 각 수평라인에 대응한 스캔라인(11), 및 복수의 화소영역(PXL) 중 제 1 방향에 교차하는 제 2 방향(Y; 도 1의 수직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열되는 화소영역들로 이루어진 각 수직라인에 대응한 데이터라인(12)을 포함한다.
여기서, 복수의 화소영역(PXL)은 스캔라인(11)과 데이터라인(12)의 교차에 의해 정의됨으로써, 표시영역(AA)에 매트릭스 배열될 수 있다.
스캔라인(11)은 각 수평기간 동안 각 수평라인의 화소영역(PXL)에 스캔신호(SCAN)를 공급한다.
데이터라인(12)은 각 수평기간 동안 각 화소영역(PXL)에 데이터신호(VDATA)를 공급한다.
표시장치는 표시패널(10)의 스캔라인(11)을 구동하는 게이트구동부, 표시패널(10)의 데이터라인(12)을 구동하는 데이터구동부, 및 게이트구동부와 데이터구동부 각각의 구동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한 타이밍 콘트롤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게이트구동부는 각 수평라인의 스캔신호(SCAN)를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게이트구동부는 표시패널(10)의 표시영역(AA) 외곽인 비표시영역에 배치된 회로(13)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예로, 게이트구동부는 비표시영역 중 표시영역(AA)의 수평방향(X)의 적어도 일측에 접하는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또는, 별도로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게이트구동부는 표시패널(10)의 수평방향(X)의 양단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된 칩온필름(미도시)에 실장되는 집적회로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데이터구동부는 각 데이터라인(12)에 데이터신호(VDATA)를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데이터구동부는 표시패널(10)의 수직방향(Y)의 양단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칩온필름(20)에 실장되는 집적회로칩(21)으로 구현될 수 있다.
타이밍 컨트롤러는 적어도 하나의 칩온필름(20)을 통해 표시패널(10)에 연결된 회로기판모듈(30)의 인쇄회로기판(111, 112) 중 적어도 하나에 실장되는 집적회로칩(130)과 그에 연결된 회로로 구현될 수 있다.
회로기판모듈(30)은 적어도 하나의 칩온필름(20)을 통해 표시패널(10)에 연결된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칩온필름(20)은 데이터라인(12)에 대응하는 표시패널(10)의 수직방향(Y)의 양단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된다. 그러므로, 회로기판모듈(30)은 표시패널(10)의 수직방향(Y)의 양단 중 적어도 하나인 일측 모서리에 나란하게 배치된다.
회로기판모듈(30)은 둘 이상의 인쇄회로기판(111, 112)과, 둘 이상의 인쇄회로기판(111, 112)을 상호 연결하는 케이블(120)을 포함한다.
둘 이상의 인쇄회로기판 중 제 1 및 제 2 인쇄회로기판(111, 112)은 표시패널(10)의 일측 모서리에 나란하게 배치되며, 이를 위해 제 1 방향(즉, 수평방향(X))으로 나란하게 배열된다.
제 1 및 제 2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한 둘 이상의 인쇄회로기판(111, 112) 중 적어도 하나에는 타이밍 컨트롤러에 대응하는 집적회로칩(130) 및 전원공급을 위한 집적회로칩(130)이 실장될 수 있다.
또한, 둘 이상의 인쇄회로기판(111, 112) 중 적어도 하나에는 각종 신호의 생성과 안정화를 위한 부품들이 실장될 수 있다. 여기서, 각종 부품은 각종 부품(11)은 능동소자 및 수동소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블(120)은 둘 이상의 인쇄회로기판 중 제 1 방향(X)으로 상호 나란하게 배열되는 제 1 및 제 2 인쇄회로기판(111, 112) 사이에 배치되고, 제 1 및 제 2 인쇄회로기판(111, 112) 사이에 송수신되는 신호 경로를 제공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블(120)은 연결필름(121), 연결필름(121)에 배치되고 제 1 및 제 2 인쇄회로기판(111, 112) 사이의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신호배선(122), 연결필름(121) 중 신호배선(122)의 일단에 대응되는 제 1 패드영역(211A)에 배치되고 제 1 인쇄회로기판(111)에 본딩되는 제 1 패드(211), 및 연결필름(121) 중 신호배선(122)의 다른 일단에 대응되는 제 2 패드영역(212A)에 배치되고 제 2 인쇄회로기판(112)에 본딩되는 제 2 패드(212)를 포함한다.
이러한 케이블(120)은 제 1 및 제 2 인쇄회로기판(111, 112) 사이에 복수의 각종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경로를 제공하기 위하여, 복수의 신호배선(122)을 포함한다. 이에, 제 1 및 제 2 패드영역(211A, 212A)에는 복수의 신호배선(122)에 대응한 복수의 제 1 및 제 2 패드(211, 212)가 배치된다.
제 1 및 제 2 패드영역(211A, 212A)은 복수의 신호배선(122)의 양단에 대응된다. 여기서, 제 1 및 제 2 인쇄회로기판(111, 112)은 제 1 방향(X)으로 나란하게 배열되므로, 제 1 및 제 2 인쇄회로기판(111, 112) 사이의 신호 송수신을 위한 복수의 신호배선(122) 또한 제 1 방향(X)을 따라 연장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에, 제 1 및 제 2 패드영역(211A, 212A)은 각 신호배선(122)에 대응한 제 1 방향(X)으로 상호 대향하고 상호 합동인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제 1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및 제 2 패드영역(211A, 212A)은 제 1 방향(X)으로 상호 대향하는 연결필름(121)의 양측 모서리에 각각 인접하고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즉, 제 1 패드영역(211A)은 제 1 방향(X)으로 상호 대향하는 연결필름(121)의 양측 모서리 중 어느 하나(도 2의 연결필름(121) 중 좌측 모서리)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제 2 패드영역(212A)은 제 1 방향(X)으로 상호 대향하는 연결필름(121)의 양측 모서리 중 다른 나머지 하나(도 2의 연결필름(121) 중 우측 모서리)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제 1 패드(211)는 제 1 패드영역(211A)에서 상호 이격하고 제 1 방향(X)에 교차하는 제 2 방향(도 1 및 도 2의 Y)으로 나란하게 배열된다.
그리고, 복수의 제 2 패드(212)는 제 2 패드영역(212A)에서 상호 이격하고 제 2 방향(도 1 및 도 2의 Y)으로 나란하게 배열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블(120)의 제 1 및 제 2 패드(211, 212)는 본딩물질층(140)을 통해 제 1 및 제 2 인쇄회로기판(111, 112)의 패드(1112, 1122)에 전기적으로 연결 및 고정된다.
구체적으로, 제 1 인쇄회로기판(111)은 소정의 회로패턴(미도시)이 배치되고 각종 부품(도 1의 130)이 실장되는 기판(1111) 및 기판(1111) 상에 회로패턴과 함께 배치되는 패드(1112)를 포함한다.
제 2 인쇄회로기판(112)은 제 1 방향(도 1의 X)으로 제 1 인쇄회로기판(111)으로부터 소정 간격으로 이격된다.
제 1 인쇄회로기판(111)과 마찬가지로, 제 2 인쇄회로기판(112)은 소정의 회로기판(미도시)이 배치되고 각종 부품(도 1의 130)이 실장되는 기판(1121) 및 기판(1111) 상에 회로패턴과 함께 배치되는 패드(1112)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제 1 인쇄회로기판(111)과 달리 제 2 인쇄회로기판(112)의 기판(1121)에는 각종 부품(130)이 배치되지 않을 수도 있다.
케이블(120)은 연성재료로 이루어진 연결필름(121), 연결필름(121) 상에 배치되는 신호배선(122), 신호배선(122)의 양단에 대응하는 제 1 및 제 2 패드(211, 212) 및 신호배선(122)을 덮는 절연막(123)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패드(211)는 제 1 인쇄회로기판(111)의 패드(1112)에 대응하는 제 1 패드영역(도 2의 211A)에 배치되고, 본딩물질층(140)을 통해 제 1 인쇄회로기판(111)의 패드(1112)에 직접 본딩된다.
제 2 패드(212)는 제 2 인쇄회로기판(112)의 패드(1122)에 대응하는 제 2 패드영역(도 2의 212A)에 배치되고, 본딩물질층(140)을 통해 제 2 인쇄회로기판(112)의 패드(1122)에 직접 본딩된다.
여기서, 본딩물질층(140)은 소정의 열에 의해 점착성을 갖는 연성상태가 되고 상온에서 고체상태로 유지될 수 있는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패널(10) 또는 데이터구동회로에 대응하는 칩온필름(20)에 각종 신호를 공급하는 회로기판모듈(30)이 둘 이상의 인쇄회로기판(111, 112)과 이들 사이에 배치되는 케이블(120)을 포함하고, 케이블(120)은 각 인쇄회로기판(111, 112)에 직접 본딩되는 패드(211, 212)를 포함한다. 이로써, 케이블(120)과 각 인쇄회로기판(111, 112) 간의 연결구조가 더욱 단순화될 수 있으므로, 회로기판모듈(30)이 간소화될 수 있다.
그로 인해, 대형화 및 고해상도화에 따라, 회로기판모듈(30)에 구비되는 인쇄회로기판(111, 112)의 개수 및 케이블(120)의 개수가 증가하더라도, 회로기판모듈(30)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의 제조비용이 급증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 1의 도시와 같이, 케이블(120)은 제 1 및 제 2 인쇄회로기판(111, 112)에 본딩된다. 이를 위해, 제 2 방향(Y)을 기준으로, 제 1 및 제 2 인쇄회로기판(111, 112)의 너비(W1)는 케이블(120)의 너비(W2)보다 커야 한다.
그리고, 도 2의 도시와 같이, 케이블(120)이 제 1 방향(X)으로 상호 대향하는 제 1 및 제 2 패드영역(211A, 212A)을 포함하는 경우, 케이블(120)의 연결필름(121)의 너비(W2)는, 각 패드영역(211A, 212A)에서 복수의 패드(211, 212)가 제 2 방향(Y)으로 배열될 수 있을 정도의 너비 이상으로 한정된다.
또한, 연결필름(121)의 너비(W2)는 연결필름(121)을 마련하기 위한 필름재단공정의 용이성에 의해 한정될 수도 있다. 예시적으로, 제 2 너비(W2)는 28.40mm일 수 있다.
더불어, 케이블(120)은 제 1 및 제 2 인쇄회로기판(111, 112) 사이에 배치되고 제 1 및 제 2 인쇄회로기판(111, 112) 각각에 본딩된다. 이에 따라, 제 2 방향(Y)에서 제 1 및 제 2 인쇄회로기판(111, 112)의 너비(W1)는 케이블(120)의 너비(W2)를 초과해야 한다.
그러나, 설계 상의 이유로, 둘 이상의 인쇄회로기판이 도 2에 도시된 케이블(120)의 너비(W2)보다 작은 너비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제 2 방향(Y)으로 배열된 복수의 제 1 및 제 2 패드(211, 212)를 포함하는 케이블(120)이 둘 이상의 인쇄회로기판을 상호 연결하는 데에 용이하게 적용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는 다음과 같은 회로기판모듈을 제공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회로기판모듈을 포함한 표시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케이블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회로기판모듈(30')은 둘 이상의 인쇄회로기판(111', 112')의 너비(W3)가 도 1의 케이블(120)의 너비(도 1의 W2)보다 작은 것과, 케이블(120')의 제 1 및 제 2 패드영역(221A, 222A)이 제 2 방향(Y)으로 상호 대향하는 연결필름(121)의 양측 모서리 중 적어도 하나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것과, 케이블(120')의 제 1 및 제 2 패드영역(221A, 222A)에서 복수의 제 1 및 제 2 패드(221, 222)가 제 2 방향(Y)이 아닌 제 1 방향(X)으로 배열되는 것을 제외하면,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하에서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2 실시예에 따른 회로기판모듈(30')에 있어서, 둘 이상의 인쇄회로기판(111', 112') 각각의 제 2 방향(Y)의 너비(W3)는 복수의 제 1 및 제 2 패드(211, 212)가 제 1 및 제 2 패드영역(211A, 212A)에 제 2 방향(Y)으로 배열되는 구조의 케이블(120)의 너비(도 1의 W2)보다 작다. 그러므로, 복수의 제 1 및 제 2 패드(211, 212)가 제 2 방향(Y)으로 배열되는 구조의 케이블(120)은 둘 이상의 인쇄회로기판(111', 112') 사이에 배치될 수 없다.
이에, 제 2 실시예에 따른 회로기판모듈(30')은 제 2 방향(Y)을 기준으로 둘 이상의 인쇄회로기판(111', 112')의 너비(W3)보다 작은 너비(W4)를 갖는 케이블(120')을 포함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2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120')은 연결필름(121'), 연결필름(121') 상에 배치되는 복수의 신호배선(122), 연결필름(121') 중 복수의 신호배선(122)의 일단에 대응되는 제 1 패드영역(221A)에 배치되고 제 1 인쇄회로기판(111')에 본딩되는 제 1 패드(221), 및 연결필름(121') 중 복수의 신호배선(122)의 다른 일단에 대응되는 제 2 패드영역(222A)에 배치되고 제 2 인쇄회로기판(112')에 본딩되는 제 2 패드(222)를 포함한다.
제 1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제 2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120')의 제 1 및 제 2 패드영역(221A, 222A)은 각 신호배선(122)에 대응한 제 1 방향(X)으로 상호 대향하고 상호 합동인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제 2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및 제 2 패드영역(221A, 222A)은 제 2 방향(Y)으로 상호 대향하는 연결필름(121')의 양측 모서리 중 적어도 하나에 인접하고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제 1 및 제 2 패드영역(221A, 222A)은 제 2 방향(Y)으로 상호 대향하는 연결필름(121')의 양측 모서리 중 어느 하나(도 5의 연결필름(121') 중 하측 모서리)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즉, 도 5의 도시와 같이, 제 1 및 제 2 패드영역(221A, 222A)은 제 1 방향(X)으로 상호 대향하고 상호 이격하도록, 연결필름(121')의 하측 모서리 중 제 1 방향(X)의 양단(도 5의 좌단, 우단)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또는, 별도로 도시하고 있지 않으나, 제 1 및 제 2 패드영역(221A, 222A)은 제 2 방향(Y)으로 상호 대향하는 연결필름(121')의 양측 모서리 중 다른 나머지 하나(도 5의 연결필름(121') 중 상측 모서리)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는, 별도로 도시하고 있지 않으나, 제 1 및 제 2 패드영역(221A, 222A)은 제 2 방향(Y)으로 상호 대향하는 연결필름(121')의 양측 모서리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일 예로, 제 1 패드영역(221A)은 연결필름(121')의 좌측 하단 모서리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제 2 패드영역(222A)은 연결필름(121')의 우측 상단 모서리에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제 1 패드(221)는 제 1 패드영역(221A)에서 상호 이격하고 제 1 방향(X)으로 나란하게 배열된다.
그리고, 복수의 제 2 패드(222)는 제 2 패드영역(222A)에서 상호 이격하고 제 1 방향(X)으로 나란하게 배열된다.
이와 같이, 복수의 제 1 및 제 2 패드(221, 222)가 각각 제 1 방향(X)으로 배열됨에 따라, 연결필름(121')의 제 2 방향(Y)의 너비(W3)는 복수의 제 1 및 제 2 패드(221, 222)에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즉, 연결필름(121')의 제 2 방향(Y)의 너비(W3)는 각 패드(221, 222)의 제 2 방향(Y)의 너비와 복수의 신호배선(122)에 대응하는 너비를 합한 값 이상으로 한정될 뿐이며, 복수의 패드(221, 222)을 배열하는 것에는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제 2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120')은 임계(도 1의 W2) 이하의 너비(W3)를 갖는 둘 이상의 인쇄회로기판(111', 112') 사이에 배치될 수 있으므로, 적용범위가 증가될 수 있다. 이러한 케이블(120')을 포함하는 회로기판모듈(30')은 호환성이 향상될 수 있는 장점 및 장치의 슬림화에 유리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 1 및 제 2 실시예에 따르면, 케이블(120, 120')의 패드들(211, 212, 221, 222)은 제 1 방향(X) 및 제 2 방향(Y) 중 어느 하나의 방향에 나란한 장축 모서리를 포함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케이블(120, 120')의 패드들(211, 212, 221, 222)은 제 1 방향(X) 및 제 2 방향(Y) 중 다른 나머지 하나의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열된다. 그리고, 케이블(120, 120')의 패드들(211, 212, 221, 222)은 연결필름(121, 121') 상에 배치된다.
그런데, 케이블(120, 120')의 패드들(211, 212, 221, 222)을 인쇄회로기판(111, 112, 111', 112')에 본딩하는 공정은 열을 이용한다. 이에 따라, 본딩 공정 시의 열에 의해 연결필름(121, 121')이 팽창함으로써, 연결필름(121, 121') 상에 배치된 패드들(211, 212, 221, 222) 간의 이격거리가 본딩 공정 이전의 초기간격과 상이하게 변동된다.
더불어, 본딩 공정 시의 열에 의해 인쇄회로기판(111, 112, 111', 112')의 기판(도 3의 1111, 1112) 또한 팽창함으로써, 인쇄회로기판(111, 112, 111', 112')의 패드들(도 3의 1112, 1122) 간의 이격거리 또한 본딩 공정 이전의 초기간격과 상이하게 변동된다.
그러므로, 케이블(120, 120')의 패드들(211, 212, 221, 222) 간의 이격거리는 케이블(120, 120')의 연결필름(121, 121')의 열팽창계수에 대응되고, 인쇄회로기판(111, 112, 111', 112')의 패드들(도 3의 1112, 1122) 간의 이격거리는 인쇄회로기판(111, 112, 111', 112')의 기판(도 3의 1111, 1112)의 열팽창계수에 대응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및 제 2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의 패드와 인쇄회로기판의 패드 사이의 정렬이 정상인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정렬이 불량인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블(120, 120')이 인쇄회로기판(111, 112, 111', 112')에 본딩된 상태에서, 케이블(120, 120')의 패드들(221c, 221r) 중 중앙에 배치된 패드(221c, 이하 "케이블중앙패드"라 함)를 제외한 나머지 패드(221r, 이하 "케이블주변패드"라 함)는 케이블중앙패드(221c)로부터 각각의 이격거리(d1, d2, d3)로 이격된다.
여기서, 케이블주변패드(221r) 각각과 케이블중앙패드(221c) 간의 이격거리(d1, d2, d3)는 연결필름(121, 121')의 열팽창계수에 대응한다. 즉, 케이블주변패드(221r) 각각과 케이블중앙패드(221c) 간의 이격거리(d1, d2, d3)는 케이블패드(221c, 221r) 간의 초기간격(미도시) 및 연결필름(121, 121')의 열팽창계수에 따른 변동간격(미도시)에 기초한다.
마찬가지로, 인쇄회로기판(111, 112, 111', 112')의 패드들(1112c, 1112r) 중 중앙에 배치된 패드(1112c, 이하 "기판중앙패드"라 함)를 제외한 나머지 패드(1112r, 이하 "기판주변패드"라 함)는 기판중앙패드(1112c)로부터 각각의 이격거리(d1, d2, d3)로 이격된다.
여기서, 기판주변패드(1112r) 각각과 기판중앙패드(1112c) 간의 이격거리(d1, d2, d3)는 기판패드(1112c, 1112r) 간의 초기간격(미도시) 및 기판(1111, 1112)의 열팽창계수에 따른 변동간격(미도시)에 기초한다.
이와 같이, 케이블주변패드(221r) 각각과 케이블중앙패드(221c) 간의 이격거리(d1, d2, d3)는 연결필름(121, 121')의 열팽창계수에 대응하고, 기판주변패드(1112r) 각각과 기판중앙패드(1112c) 간의 이격거리(d1, d2, d3)는 기판(1111, 1112)의 열팽창계수에 대응한다.
그러므로, 케이블(120, 120')의 패드들(221c, 221r)과 인쇄회로기판(111, 112, 111', 112')의 패드들(1112c, 1112r) 간의 정렬이 오차범위 이내의 정상 상태가 되기 위해서는, 케이블(120, 120')의 패드들(221c, 221r)의 초기간격 및 인쇄회로기판(111, 112, 111', 112')의 패드들(1112c, 1112r)의 초기간격이 연결필름(121, 121') 및 기판(1111, 1112) 각각의 열팽창계수에 기초하여 산정될 필요가 있다.
달리 설명하면, 케이블(120, 120')의 패드들(221c, 221r) 및 인쇄회로기판(111, 112, 111', 112')의 패드들(1112c, 1112r) 각각은 케이블(120, 120')의 연결필름(121, 121')의 열팽창계수 및 인쇄회로기판(111, 112, 111', 112')의 기판(1111, 1121)의 열팽창계수에 기초한 초기간격으로 배열된다. 이로써, 케이블주변패드(221r) 각각과 케이블중앙패드(221c) 간의 이격거리(d1, d2, d3)는 기판주변패드(1112r) 각각과 기판중앙패드(1112c) 간의 이격거리(d1, d2, d3)와 오차범위 이내로 유사해질 수 있다. 즉, 케이블(120, 120')과 인쇄회로기판(111, 112, 111', 112') 간의 패드 정렬이 정상 상태가 될 수 있다.
반면,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블(120, 120')의 패드들(221c, 221r) 및 인쇄회로기판(111, 112, 111', 112')의 패드들(1112c, 1112r)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케이블(120, 120')의 연결필름(121, 121')의 열팽창계수 및 인쇄회로기판(111, 112, 111', 112')의 기판(1111, 1121)의 열팽창계수에 기초한 초기간격으로 배열되지 않은 경우, 케이블(120, 120')과 인쇄회로기판(111, 112, 111', 112') 간의 패드 정렬이 불량 상태가 될 수 있다. 이 경우, 케이블(120, 120')의 패드들(221c, 221r) 및 인쇄회로기판(111, 112, 111', 112')의 패드들(1112c, 1112r) 간의 단락 불량 또는 쇼트 불량이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케이블(120, 120')과 인쇄회로기판(111, 112, 111', 112') 간의 정렬이 정상 상태가 되기 위해서는, 케이블(120, 120')이 인쇄회로기판(111, 112, 111', 112')의 기판(1111, 1121)의 열팽창계수 및 패드(1112c, 1112r) 간 초기간격에 대응하는 것으로 마련될 필요가 있다. 그러므로, 케이블(120, 120')의 호환성이 낮은 문제점과, 그로 인해 수율 향상에 한계가 있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제 3 및 제 4 실시예에 따른 회로기판모듈을 다음과 같이 제공한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회로기판모듈의 케이블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회로기판모듈의 케이블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제 3 및 제 4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의 패드에 대한 일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도 11의 케이블에 대응하는 인쇄회로기판의 패드에 대한 일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제 3 및 제 4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의 패드와 인쇄회로기판의 패드 간의 정렬에 대한 일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회로기판모듈의 케이블(120T)은 제 1 및 제 2 패드영역(231A, 232A)이 호(arc) 형태의 제 1 및 제 2 모서리(E1, E2)와, 제 1 및 제 2 모서리(E1, E2) 사이를 연결하는 제 3 및 제 4 모서리(E3, E4)를 포함하는 점을 제외하면,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제 1 실시예의 케이블(120)과 동일하므로 이하에서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케이블(120T)은 복수의 신호배선(122)의 양단에 대응한 제 1 방향(X)으로 상호 대향하고, 상호 합동인 형태의 제 1 및 제 2 패드영역(231A, 232A)을 포함한다.
제 3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및 제 2 패드영역(231A, 232A) 각각은 제 1 방향(X)으로 상호 대향하고 호(arc) 형태로 이루어진 제 1 및 제 2 모서리(E1, E2)와, 제 1 및 제 2 모서리(E1, E2) 사이를 연결하는 제 3 및 제 4 모서리(E3, E4)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 1 및 제 2 모서리(E1, E2)는 상호 동일한 소정의 중심각(2θ) 및 서로 다른 크기의 반지름에 대응하는 호(arc) 형태일 수 있다.
그리고, 제 3 및 제 4 모서리(E3, E4)는 상호 선대칭하고 제 1 및 제 2 방향(X, Y)에 비스듬한 사선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로써, 제 1 및 제 2 패드영역(231A, 232A) 각각은 제 1 및 제 2 모서리(E1, E2) 중 더 큰 크기의 반지름에 대응하는 어느 하나(E2)를 포함한 부채꼴에서 다른 나머지 하나(E1)를 포함하는 부채꼴을 제외시킨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 1 및 제 2 패드영역(231A, 232A)에 배치되는 복수의 패드(231, 232)는 상호 이격하고 제 2 방향(Y)에 대응하는 제 1 및 제 2 모서리(E1, E2)를 따라 나란하게 배열된다.
제 1 및 제 2 패드영역(231A, 232A)에 배치되는 복수의 패드(231, 232) 중 중앙에 배치되는 일부(231c, 232c)는 패드들(231, 232)이 배열되는 제 2 방향(Y)에 교차하는 제 1 방향(X)에 나란한 장축 모서리를 포함하는 형태이다. 그리고, 제 1 및 제 2 패드영역(231A, 232A)에 배치되는 복수의 패드(231, 232) 중 중앙에 배치되는 일부(231c, 232c)를 제외한 나머지 일부(231r, 232r)는 제 1 및 제 2 방향(X, Y)에 비스듬하게 기울어진 장축 모서리를 포함하는 형태이다.
즉, 제 1 패드영역(231A)에 배치되는 복수의 제 1 패드(231) 중 제 1 패드영역(231A)의 중앙에 배치되는 일부(231c)는 제 1 방향(X)에 나란한 형태이고, 나머지 일부(231r)는 제 1 및 제 2 방향(X, Y)에 비스듬하게 기울어진 형태이다.
제 2 패드영역(232A)에 배치되는 복수의 제 2 패드(232) 중 제 2 패드영역(232A)의 중앙에 배치되는 일부(232c)는 제 1 방향(X)에 나란한 형태이고, 나머지 일부(232r)는 제 1 및 제 2 방향(X, Y)에 비스듬하게 기울어진 형태이다.
제 1 및 제 2 패드영역(231A, 232A)에 배치되는 복수의 패드(231, 232) 중 제 1 및 제 2 패드영역(231A, 232A)의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패드가 제 1 방향(X)에 대해 기울어진 각도(θ)는 제 1 및 제 2 모서리(E1, E2)에 대응한 중심각(2θ)의 절반에 해당될 수 있다.
더불어, 도 8에 상세히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 1 및 제 2 패드영역(231A, 232A)에 배치되는 복수의 패드(231, 232) 중 중앙에 배치되는 일부(231c, 232c)를 제외한 나머지 일부(231r, 232r)는 제 1 및 제 2 패드영역(231A, 232A)의 가장자리에 인접하게 배치될수록 점차 더 큰 각도로 기울어진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 1 및 제 2 패드영역(231A, 232A)은 제 1 방향(X)의 양측(도 8의 좌측, 우측) 중 동일한 어느 일측을 향해 볼록한 형태일 수 있다.
즉, 도 8의 도시와 같이, 제 1 및 제 2 패드영역(231A, 232A)은 연결필름(121)의 우측 모서리를 향해 볼록한 형태일 수 있다. 이 경우, 제 1 및 제 2 패드영역(231A, 232A)의 제 1 및 제 2 모서리(E1, E2)에 대응한 중심점(O)은 연결필름(121)의 좌측에 배치된 가상 지점이다.
또는, 도 9의 도시와 같이, 제 1 및 제 2 패드영역(231A', 232A')은 연결필름(121)의 좌측 모서리를 향해 볼록한 형태일 수 있다. 이 경우, 제 1 및 제 2 패드영역(231A', 232A')의 제 1 및 제 2 모서리(E1, E2)에 대응한 중심점(O')은 연결필름(121)의 우측에 배치된 가상 지점이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120T')은 제 1 및 제 2 패드영역(241A, 242A)이 호(arc) 형태의 제 1 및 제 2 모서리(E1, E2)와, 제 1 및 제 2 모서리(E1, E2) 사이를 연결하는 제 3 및 제 4 모서리(E3, E4)를 포함하는 점을 제외하면,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제 2 실시예의 케이블(120')과 동일하므로 이하에서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케이블(120T')은 복수의 신호배선(122)의 양단에 대응한 제 1 방향(X)으로 상호 대향하고, 상호 합동인 형태의 제 1 및 제 2 패드영역(241A, 242A)을 포함한다.
제 3 실시예의 케이블(120T)와 마찬가지로, 제 4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120T')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패드영역(241A, 242A) 각각은 제 2 방향(Y)으로 상호 대향하고 호(arc) 형태로 이루어진 제 1 및 제 2 모서리(E1', E2')와, 제 1 및 제 2 모서리(E1', E2') 사이를 연결하는 제 3 및 제 4 모서리(E3, E4)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 1 및 제 2 모서리(E1', E2')는 상호 동일한 소정의 중심각(2θ) 및 서로 다른 크기의 반지름에 대응하는 호(arc) 형태일 수 있다.
그리고, 제 3 및 제 4 모서리(E3, E4)는 상호 선대칭하고 제 1 및 제 2 방향(X, Y)에 비스듬한 사선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로써, 제 1 및 제 2 패드영역(241A, 242A) 각각은 제 1 및 제 2 모서리(E1', E2') 중 더 큰 크기의 반지름에 대응하는 어느 하나(E1')를 포함한 부채꼴에서 다른 나머지 하나(E2')를 포함하는 부채꼴을 제외시킨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 1 및 제 2 패드영역(241A, 242A)에 배치되는 복수의 패드(241, 242)는 상호 이격하고 제 1 방향(X)에 대응하는 제 1 및 제 2 모서리(E1', E2')를 따라 나란하게 배열된다.
제 1 및 제 2 패드영역(241A, 242A)에 배치되는 복수의 패드(241, 242) 중 중앙에 배치되는 일부(241c, 242c)는 패드들(241, 242)이 배열되는 제 1 방향(X)에 교차하는 제 2 방향(Y)에 나란한 장축 모서리를 포함하는 형태이다. 그리고, 제 1 및 제 2 패드영역(241A, 242A)에 배치되는 복수의 패드(241, 242) 중 중앙에 배치되는 일부(241c, 242c)를 제외한 나머지 일부(241r, 242r)는 제 1 및 제 2 방향(X, Y)에 비스듬하게 기울어진 장축 모서리를 포함하는 형태이다.
즉, 제 1 패드영역(241A)에 배치되는 복수의 제 1 패드(241) 중 제 1 패드영역(241A)의 중앙에 배치되는 일부(241c)는 제 2 방향(Y)에 나란한 형태이고, 나머지 일부(241r)는 제 1 및 제 2 방향(X, Y)에 비스듬하게 기울어진 형태이다.
제 2 패드영역(242A)에 배치되는 복수의 제 2 패드(242) 중 제 2 패드영역(242A)의 중앙에 배치되는 일부(242c)는 제 2 방향(Y)에 나란한 형태이고, 나머지 일부(242r)는 제 1 및 제 2 방향(X, Y)에 비스듬하게 기울어진 형태이다.
또한, 제 1 및 제 2 패드영역(241A, 242A)은 제 2 방향(Y)의 양측(도 10의 상측, 하측) 중 동일한 어느 일측을 향해 볼록한 형태일 수 있다.
즉, 도 10의 도시와 같이, 제 1 및 제 2 패드영역(241A, 242A)은 연결필름(121')의 하측 모서리를 향해 볼록한 형태일 수 있다.
또는, 별도로 도시하고 있지 않으나, 제 1 및 제 2 패드영역(241A, 242A)은 연결필름(121')의 상측 모서리를 향해 볼록한 형태일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제 3 및 제 4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및 제 2 패드영역(231A, 232A, 241A, 242A)에서 복수의 패드(231, 232, 241, 242)가 호(arc) 형태의 제 1 및 제 2 모서리(E1, E2, E1', E2')를 따라 배열된다. 이로써, 복수의 패드(231, 232, 241, 242) 사이의 간격이 제 1 및 제 2 방향(X, Y) 중 어느 하나를 따라 가변한다. 이러한 복수의 패드(231, 232, 241, 242)를 포함하는 케이블(120T, 120T')은 다양한 재료의 기판에 용이하게 적용될 수 있으므로, 호환성이 향상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3 및 제 4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120T, 120T')에 있어서, 어느 하나의 패드영역(예를 들면, 241A)에 대응한 복수의 패드(241c, 241r)는 부채살 형태로 배열된다.
복수의 패드(241c, 241r) 중 패드영역의 중앙에 배치되는 케이블중앙패드(241c)는 제 1 및 제 2 방향(X, Y) 중 어느 하나에 나란한 장축 모서리를 포함하는 형태이고, 케이블중앙패드(241c)를 제외한 나머지 케이블주변패드(241r)는 제 1 및 제 2 방향(X, Y)에 비스듬하게 기울어진 장축 모서리를 포함하는 형태이다.
이에 따라, 케이블주변패드(241r) 각각과 케이블중앙패드(241c) 사이의 이격거리는 고정값이 아니라 가변값이 된다.
즉, 케이블중앙패드(241c)의 장축 모서리에 대응하는 방향(도 11의 상하방향)을 따라서, 케이블주변패드(241r) 각각과 케이블중앙패드(241c) 사이의 이격거리는 가변한다.
그리고, 케이블중앙패드(241c)의 장축 모서리에 대응하는 방향(도 11의 상하방향)의 어느 일측(도 11의 하측)에서, 케이블주변패드(241r) 각각과 케이블중앙패드(241c) 사이는 최소 이격거리(d11, d12, d13)로 상호 이격된다.
또한, 케이블중앙패드(241c)의 장축 모서리에 대응하는 방향(도 11의 상하방향)의 나머지 다른 일측(도 11의 상측)에서, 케이블주변패드(241r) 각각과 케이블중앙패드(241c) 사이는 최대 이격거리(d21, d22, d23)로 상호 이격된다.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3 및 제 4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120T, 120T')의 패드에 대응한 인쇄회로기판의 패드(1112c, 1112r)는 케이블(120T, 120T')의 패드와 마찬가지로 부채살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즉, 인쇄회로기판의 패드(1112c, 1112r) 중 중앙에 배치되는 기판중앙패드(1112c)는 제 1 및 제 2 방향(X, Y) 중 어느 하나에 나란한 장축 모서리를 포함하는 형태이고, 기판중앙패드(1112c)를 제외한 나머지 기판주변패드(1112r)는 제 1 및 제 2 방향(X, Y)에 비스듬하게 기울어진 장축 모서리를 포함하는 형태이다.
이에 따라, 기판중앙패드(1112c)의 장축 모서리에 대응하는 방향(도 12의 상하방향)을 따라서, 기판주변패드(1112r) 각각과 기판중앙패드(1112c) 사이의 이격거리는 가변한다. 여기서, 기판중앙패드(1112c)의 장축 모서리에 대응하는 방향(도 12의 상하방향)의 어느 일측(도 12의 상측)에서, 기판주변패드(1112r) 각각과 기판중앙패드(1112c) 사이는 최대 이격거리(d31, d32, d33)로 상호 이격된다.
그리고,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쇄회로기판의 패드(1112)와 케이블의 패드(241) 중 어느 하나를 제 1 및 제 2 방향(X, Y)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도 13의 화살표)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인쇄회로기판의 패드(1112)와 케이블의 패드(241) 간의 정렬이 정상 상태로 용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즉, 케이블(120T, 120T')의 연결필름(121)의 열팽창계수 및 패드(141) 간의 초기 간격, 그리고 케이블(120T, 120T')에 본딩되는 인쇄회로기판(111, 112, 111', 112')의 기판(1111, 1121)의 열팽창계수 및 패드(1112, 1122) 간의 초기 간격에 관계없이, 인쇄회로기판의 패드(1112)와 케이블의 패드(241)에 대한 쇼트불량 또는 단락불량이 용이하게 방지될 수 있다.
이로써, 케이블(120T, 120T')의 호환성이 향상될 수 있고, 그로 인해 수율이 향상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 1 내지 도 13에서는, 제 1 내지 제 4 실시예에 따른 회로기판모듈(30, 30')이 표시패널(10)의 일측에 나란하게 배치된 두 개의 인쇄회로기판(111, 112, 111', 112')을 포함하는 것을 예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각 실시예는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회로기판모듈을 포함한 표시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5 실시예에 따른 회로기판모듈(30")은 셋 이상의 인쇄회로기판(111, 112, 113, 114)을 포함하고, 셋 이상의 인쇄회로기판(111, 112, 113, 114) 중 일부(111, 112)는 표시패널(10)의 일측에 나란하게 배치되며, 나머지 일부(113, 114)는 표시패널(10)의 일측으로부터 멀리 이격되는 점을 제외하면, 앞서 설명한 제 1 내지 제 4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하에서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즉, 제 5 실시예에 따른 회로기판모듈(30")은 표시패널(10)의 일측에 나란하게 배치된 둘 이상의 인접 인쇄회로기판(111, 112)과, 이를 사이에 두고 표시패널(10)의 일측으로부터 이격되는 둘 이상의 이격 인쇄회로기판(113, 114)과, 인쇄회로기판들(111, 112, 113, 114) 중 제 1 및 제 2 방향(X, Y) 중 어느 하나를 따라 인접한 두 개의 인쇄회로기판 사이를 연결하는 둘 이상의 케이블(120)을 포함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종래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0: 표시패널
20: 칩온필름
30, 30', 30": 회로기판모듈
111, 112, 111', 112', 113, 114: 인쇄회로기판
120, 120', 120T, 120T': 케이블
121: 연결필름
122: 신호배선
211, 212, 221, 222, 231, 232, 241, 242: 패드
211A, 212A, 221A, 222A, 231A, 232A, 241A, 242A: 패드영역

Claims (11)

  1. 둘 이상의 인쇄회로기판; 및
    상기 둘 이상의 인쇄회로기판을 상호 연결하는 케이블을 포함하고,
    상기 둘 이상의 인쇄회로기판 중 제 1 방향으로 상호 나란하게 배열되는 제 1 및 제 2 인쇄회로기판 사이에 배치되는 케이블은
    연결필름;
    상기 연결필름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인쇄회로기판 사이의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신호배선;
    상기 연결필름 중 상기 신호배선의 어느 일단에 대응되는 제 1 패드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인쇄회로기판에 본딩되는 제 1 패드; 및
    상기 연결필름 중 상기 신호배선의 다른 일단에 대응되는 제 2 패드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인쇄회로기판에 본딩되는 제 2 패드를 포함하는 회로기판모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패드영역은 상기 제 1 방향으로 상호 대향하며 상호 합동인 형태로 이루어지는 회로기판모듈.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패드영역은 상기 제 1 방향으로 상호 대향하는 상기 연결필름의 양측 모서리에 각각 인접하고 나란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 1 패드영역에서 복수의 상기 제 1 패드는 상호 이격하고 상기 제 1 방향에 교차하는 제 2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열되며,
    상기 제 2 패드영역에서 복수의 상기 제 2 패드는 상호 이격하고 상기 제 2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열되는 회로기판모듈.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패드영역은 상기 제 1 방향에 교차하는 제 2 방향으로 상호 대향하는 상기 연결필름의 양측 모서리 중 적어도 하나에 인접하고 나란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 1 패드영역에서 복수의 상기 제 1 패드는 상호 이격하고 상기 제 1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열되며,
    상기 제 2 패드영역에서 복수의 상기 제 2 패드는 상호 이격하고 상기 제 1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열되는 회로기판모듈.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패드영역 각각은 상호 대향하고 호(arc) 형태로 이루어진 제 1 및 제 2 모서리와, 상기 제 1 및 제 2 모서리 사이를 연결하는 제 3 및 제 4 모서리를 포함하며,
    상기 제 3 및 제 4 모서리는 상호 선대칭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방향에 비스듬한 사선 형태로 이루어지는 회로기판모듈.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패드영역에 배치된 복수의 제 1 패드 중 상기 제 1 패드영역의 중앙에 배치되는 일부는 상기 제 1 및 제 2 방향 중 어느 하나에 나란한 형태이고 나머지 일부는 상기 제 1 및 제 2 방향에 기울어진 형태이며,
    상기 제 2 패드영역에 배치된 복수의 제 2 패드 중 상기 제 2 패드영역의 중앙에 배치되는 일부는 상기 제 1 및 제 2 방향 중 어느 하나에 나란한 형태이고 나머지 일부는 상기 제 1 및 제 2 방향에 기울어진 형태인 회로기판모듈.
  7. 표시영역에 정의되는 복수의 화소영역을 포함하는 표시패널;
    일단이 상기 표시패널에 연결되고 집적회로칩이 실장되는 칩온필름; 및
    상기 표시패널의 일측 모서리에 나란하게 배치되고, 상기 칩온필름의 다른 일단에 연결되며, 케이블을 통해 상호 연결되는 둘 이상의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한 회로기판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회로기판모듈의 상기 둘 이상의 인쇄회로기판 중 제 1 및 제 2 인쇄회로기판 사이에 배치되는 케이블은
    연결필름;
    상기 연결필름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인쇄회로기판 사이의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신호배선;
    상기 연결필름 중 상기 신호배선의 어느 일단에 대응되는 제 1 패드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인쇄회로기판에 본딩되는 제 1 패드; 및
    상기 연결필름 중 상기 신호배선의 다른 일단에 대응되는 제 2 패드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인쇄회로기판에 본딩되는 제 2 패드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표시패널의 일측 모서리에 나란하게 배치되고 제 1 방향으로 상호 나란하게 배열되며,
    상기 제 1 및 제 2 패드영역은 상기 제 1 방향으로 상호 대향하고 상호 합동인 형태이며,
    상기 제 1 및 제 2 패드영역은 상기 제 1 방향으로 상호 대향하는 상기 연결필름의 양측 모서리에 각각 인접하고 나란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 1 패드영역에서 복수의 상기 제 1 패드는 상호 이격하고 상기 제 1 방향에 교차하는 제 2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열되며,
    상기 제 2 패드영역에서 복수의 상기 제 2 패드는 상호 이격하고 상기 제 2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열되는 표시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표시패널의 일측 모서리에 대응한 제 1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열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패드영역은 상기 제 1 방향으로 상호 대향하며 상호 합동인 형태이고,
    상기 제 1 및 제 2 패드영역은 상기 제 1 방향에 교차하는 제 2 방향으로 상호 대향하는 상기 연결필름의 양측 모서리 중 적어도 하나에 인접하고 나란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 1 패드영역에서 복수의 상기 제 1 패드는 상호 이격하고 상기 제 1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열되며,
    상기 제 2 패드영역에서 복수의 상기 제 2 패드는 상호 이격하고 상기 제 1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열되는 표시장치.
  10.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패드영역 각각은 상호 대향하고 호(arc) 형태로 이루어진 제 1 및 제 2 모서리와, 상기 제 1 및 제 2 모서리 사이를 연결하는 제 3 및 제 4 모서리를 포함하며,
    상기 제 3 및 제 4 모서리는 상호 선대칭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방향에 비스듬한 사선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1 패드영역에 배치된 복수의 제 1 패드 중 상기 제 1 패드영역의 중앙에 배치되는 일부는 상기 제 1 및 제 2 방향 중 어느 하나에 나란한 형태이며 나머지 일부는 기울어진 형태이고,
    상기 제 2 패드영역에 배치된 복수의 제 2 패드 중 상기 제 2 패드영역의 중앙에 배치되는 일부는 상기 제 1 및 제 2 방향 중 어느 하나에 나란한 형태이며 나머지 일부는 기울어진 형태인 표시장치.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패널은
    표시영역에 정의되는 복수의 화소영역;
    상기 복수의 화소영역 중 수평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열되는 화소영역들로 이루어진 각 수평라인에 대응한 스캔라인;
    상기 복수의 화소영역 중 수직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열되는 화소영역들로 이루어진 각 수직라인에 대응한 데이터라인을 포함하는 표시장치.
KR1020170163297A 2017-11-30 2017-11-30 회로기판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KR1024557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3297A KR102455728B1 (ko) 2017-11-30 2017-11-30 회로기판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3297A KR102455728B1 (ko) 2017-11-30 2017-11-30 회로기판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4041A true KR20190064041A (ko) 2019-06-10
KR102455728B1 KR102455728B1 (ko) 2022-10-17

Family

ID=668482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3297A KR102455728B1 (ko) 2017-11-30 2017-11-30 회로기판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572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828408A (zh) * 2022-04-02 2022-07-29 Tcl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印刷电路板和背光模组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0313A (ko) * 2000-07-29 2002-02-04 윤종용 액정표시장치
KR20150085668A (ko) * 2014-01-16 2015-07-2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20160114234A (ko) * 2015-03-23 2016-10-0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인쇄회로기판 어셈블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0313A (ko) * 2000-07-29 2002-02-04 윤종용 액정표시장치
KR20150085668A (ko) * 2014-01-16 2015-07-2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20160114234A (ko) * 2015-03-23 2016-10-0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인쇄회로기판 어셈블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828408A (zh) * 2022-04-02 2022-07-29 Tcl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印刷电路板和背光模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5728B1 (ko) 2022-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60761B2 (en) Curved display
EP3261142A1 (en) Display device having a bending region
US9520088B2 (en) Display device having flexible film cable
US7683471B2 (en) Display driver integrated circuit device, film, and module
KR20160110861A (ko) 연성 회로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330882B1 (ko) 표시 장치
US9078300B2 (en) Display-driving structure and signal transmission method thereof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20110235286A1 (en) Display panel module and display apparatus
US20160351155A1 (en) Chip on film package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US10917970B2 (en) Display panel and display
US11069641B2 (en) Integrated circuit package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JP2022501629A (ja) フレキシブルマイクロ発光ダイオード表示パネル及びマイクロ発光ダイオード表示装置
KR20160118416A (ko) 표시 장치
US8305541B2 (en) Tape carrier packag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KR20190064041A (ko) 회로기판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US11189207B2 (en) Chip-on-film and display including the same
KR20180073774A (ko) 플렉서블 표시장치
KR102559170B1 (ko) 인쇄회로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KR20150078724A (ko) 칩 온 필름 패키지
US11829210B2 (en) Circuit board assembly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WO2021235114A1 (ja) 表示モジュール、表示装置、およびセンサモジュール
KR102631153B1 (ko) 표시 장치
JP2024001832A (ja) ディスプレイモジュール及びディスプレイモジュールを含むディスプレイ装置
KR20160046602A (ko) 평판표시장치
WO2022198793A1 (zh) 显示面板及显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