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63751A - 건설 현장 안전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건설 현장 안전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63751A
KR20190063751A KR1020170162761A KR20170162761A KR20190063751A KR 20190063751 A KR20190063751 A KR 20190063751A KR 1020170162761 A KR1020170162761 A KR 1020170162761A KR 20170162761 A KR20170162761 A KR 20170162761A KR 20190063751 A KR20190063751 A KR 201900637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pmis
construction site
sensor information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27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04206B1 (ko
Inventor
문병욱
길용식
Original Assignee
현대건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건설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건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627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4206B1/ko
Publication of KR201900637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37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42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42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실시예는 건설 현장에 설치되어 있는 복수의 센서로부터 센서 정보를 수득하고, PMIS DB로부터 PMIS 정보를 수득하고, 상기 센서 정보와 상기 PMIS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건설 현장에 발생하는 위험 원인을 파악하고, 대책을 생성하는 계측 모니터링 서버, 그리고 상기 계측 모니터링 서버로부터 상기 건설 현장에 발생하는 위험에 대한 경고를 수득하고, 상기 위험 원인 및 대책을 표시하는 적어도 하나의 관리자 단말을 포함하는 건설 현장 위험 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따라서, PMIS(project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정보를 건설 현장의 센서 정보와 함께 연동하여 현장의 위험 원인을 파악할 수 있어 현장의 센서로부터 임계값 이상의 이상 정보를 수득 시 원인 파악 및 대책 수립을 위한 시간 및 노력을 줄일 수 있다. 따라서, 적합한 대책을 신속하게 적용할 수 있어 발생할 수 있는 큰 위험을 미리 방지할 수 있으며 발생한 위험을 빨리 제거할 수 있다.

Description

건설 현장 안전 관리 시스템{The system for safety managing on construction site}
본 발명은 건설 현장 안전 관리 시스템에 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PMIS 정보 기반 건설 현장 안전 관리 시스템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설업은 수많은 작업 인력이 투입되어 동시에 여러 작업이 진행되는 노동집약적인 산업으로서, 투입되는 인력에 대한 체계적이며 효과적인 안전관리가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그러나 종래의 건설현장에서는 현장 자체에 내재되어 있는 다양한 환경으로 인한 위험성과 작업자의 사소한 부주의로 인해 안전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게 됨에 따라, 귀중한 인적자원이 손실되는 치명적인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다.
이를 위하여 건설 현장에서는 현장의 안전을 도모하기 위하여 계측모니터링을 수행하여 시공 중 발생 할 수 있는 위험상황을 대비하여 안전사고 예상 지역 또는 위험한 포인트에 계측 센서를 설치하여 이상 거동 및 미세한 움직임을 실시간으로 파악하여 위험을 즉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시스템이 있다.
하지만 현재 시스템은 센서의 이상신호(데이터)만 감지하여 위험을 확인 하기 때문에 이상신호의 원인 파악에 시간과 노력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PMIS 정보를 이용한 건설 현장 안전 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실시예는 건설 현장에 설치되어 있는 복수의 센서로부터 센서 정보를 수득하고, PMIS DB로부터 PMIS 정보를 수득하고, 상기 센서 정보와 상기 PMIS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건설 현장에 발생하는 위험 원인을 파악하고, 대책을 생성하는 계측 모니터링 서버, 그리고 상기 계측 모니터링 서버로부터 상기 건설 현장에 발생하는 위험에 대한 경고를 수득하고, 상기 위험 원인 및 대책을 표시하는 적어도 하나의 관리자 단말을 포함하는 건설 현장 위험 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계측 모니터링 서버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복수의 센서로부터 상기 센서 정보를 주기적으로 수신하는 센서 정보 수신부, 상기 PMIS DB로부터 상기 PMIS 정보를 읽어들여 시간에 따라 저장하는 PMIS 정보 수신부, 상기 센서 정보 및 상기 PMIS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건설 현장 위험에 대한 매뉴얼을 저장하고 있는 계측 모니터링 DB, 그리고 상기 센서 정보를 수신하고, 각 센서 정보에 대한 임계값과 상기 센서 정보를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PMIS 정보를 읽어들여 위험 발생의 원인을 분석하고, 상기 매뉴얼에 따라 대책을 상기 관리자 서버에 제공하는 계측 모니터링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센서는 온도계, 변형률계, 가속도계, 풍향풍속계, 경사계, 압전센서, 누수측정계, 압전센서, 균열계, 내공변위측정계, 강우량계, 전압계 및 지진계를 포함하는 그룹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 정보는 상기 복수의 센서로부터 수신된 감지 신호의 RAW DATA일 수 있다.
상기 계측 모니터링 서버는 상기 센서 정보가 상기 임계값을 초과하면 상기 센서정보를 계측 이상 신호로 정의하고, 상기 PMIS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PMIS 정보와 상기 계측 이상 신호 사이의 상관 관계를 분석할 수 있다.
상기 계측 모니터링 서버는 상기 상관 관계에 따라 상기 계측 이상 신호의 원인이 상기 PMIS 이벤트에 따라 예측가능하게 발생한 것인 경우 이상 없음으로 판단하고, 상기 계측 이상 신호가 상기 PMIS 이벤트에 따라 예측가능하게 발행한 것이 아닌 경우, 외부 원인에 의해 발행한 것인지 판단할 수 있다.
상기 계측 모니터링 서버는 외부 원인에 의해 상기 계측 이상 신호가 발행했는지 판단하는 경우, 상기 센서에 설치되어 있는 CCTV를 통한 영상 신호를 함께 분석할 수 있다.
실시예는 PMIS(project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정보를 건설 현장의 센서 정보와 함께 연동하여 현장의 위험 원인을 파악할 수 있어 현장의 센서로부터 임계값 이상의 이상 정보를 수득 시 원인 파악 및 대책 수립을 위한 시간 및 노력을 줄일 수 있다. 따라서, 적합한 대책을 신속하게 적용할 수 있어 발생할 수 있는 큰 위험을 미리 방지할 수 있으며 발생한 위험을 빨리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시스템을 이용하여 센서 정보 및 PMIS 정보를 연동하여 발생할수 있는 위험을 미리 파악하고 원인을 미리 제거하여 경제적, 신체적 손해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설 현장 위험 관리 시스템을 도시한 전체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계측 모니터링 서버의 상세 블록도이다.
도 3a, 도 3b 및 도 3c는 관리자 단말의 화면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4는 건설 현장 위험 관리 시스템의 기본 순서도를 나타낸다.
도 5a 내지 도 5b는 도 4의 순서도에 따른 영상을 나타낸다.
도 6은 도 4의 관리 단계의 구체적인 순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설 현장 위험 관리 시스템을 도시한 전체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계측 모니터링 서버의 상세 블록도이며, 도 3a, 도 3b 및 도 3c는 관리자 단말의 화면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설 현장 위험 관리 시스템(100)은 계측 모니터링 서버(150) 및 관리자 단말(110)을 포함한다.
이러한 건설 현장 위험 관리 시스템은 건설 현장의 각 시설물마다 설치되는 복수개의 센서(200)들과 연동하며, 외부의 PMIS DB(300)로부터 PMIS 정보를 수신하여 각 건설 현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위험 및 발생한 위험에 대한 경고 및 대책을 생성하여 상기 관리자 단말(110)을 통해 관리자에게 제공한다.
계측 모니터링 서버(150)는 건설 현장의 각 시설물마다 설치되는 복수개의 센서(200)들로부터 실시간 계측 데이터를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할 수 있다.
건설 현장의 각 시설물마다 설치되는 복수개의 센서(200)들은 서로 다른 종류의 센서(200)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각 시설물은 건물, 공항, 하천제방, 철도교량, 철도사면, 철도터널, 지하철, 도로교량, 도로사면, 도로터널 등의 시설물뿐만 아니라, 건설 현장 내 각종 스팟일 수 있다.
각 시설물에 설치되는 센서(200)들은 온도계, 변형률계, 가속도계, 풍향풍속계, 경사계, 압전센서, 수위계, 또는 누수측정계일 수 있다.
온도계는 구조물의 내외부 거동 분석을 위한 온도변화를 측정하는 센서이며, 변형률계는 활하중, 온도변화, 풍하중 등에 따른 종방향 및 횡방향 변형률을 측정하여 기둥/가로보의 동력변화를 감지하는 센서이며, 경사계는 외부하중에 의한 지간 길이가 가장 큰 가로보의 처짐 및 변위를 측정하는 센서이다. 가속도계는 상부구조물의 동적거동특성 파악을 위한 진동 가속도를 측정하는 센서이며, 상기 풍향계는 구조물의 바람거동특성 파악을 위한 풍향 및 풍속 측정 센서이다.
또한, 구조물의 임피던스를 측정하기 위해 압전센서가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구조물이 터널인 경우, 균열계 및/또는 내공변위측정계가 더 설치될 수 있으며, 균열계는 터널 구조물의 안전성을 판단하기 위하여 콘크리트 라이닝에 발생된 균열의 진행 상태를 측정하는 센서이며, 내공변위측정계는 터널구조물의 안전성을 판단하기 위하여 외부 하중으로 콘크리트 라이닝의 변위량을 측정하는 센서이다.
또한, 강우 거동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단위 시간의 강우량을 측정하기 위한 강우량계를 포함할 수 있으며, 배터리의 전압을 측정하는 전압계 센서나, 지진상황을 측정하기 위한 지진계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 시설물 CCTV를 부착하여 센서 주변부의 상황을 촬영하여 실시간 동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센서(200)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계측 모니터링 서버(150)에 센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센서 정보는 각각의 감지 신호인 물리량이 아닌 상기 물리량을 전자신호인 전압, 전류 또는 주파수(mV, Ma, Hz)로 변환된 rawdata 일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센서(200)는 주기적으로 단위 시간마다 센서 정보를 계측 모니터링 서버(150)에 전송하고, 계측 모니터링 서버(150)는 이러한 센서 정보와 PMIS DB(300)로부터의 PMIS 정보를 종합하여 분석하여 위험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이에 대한 대책을 생성하여 관리자 단말(110)에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고하여 계측 모니터링 서버(150)를 상세히 설명한다.
계측 모니터링 서버(150)는 센서 정보 수신부(151), 센서 정보 처리부(152), 계측 모니터링부(155), 계측 모니터링 DB(156), PMIS 정보 수신부(153), PMIS 정보 처리부(154)를 포함한다.
이러한 계측 모니터링 서버(150)는 관리자 단말(110)의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으나, 복수의 건설 현장에 대한 위험 관리를 동시에 진행하는 경우, 별도의 메인 서버(150)가 계측 모니터링 서버(150)로 기능하며, 복수의 관리자 서버(150)에 위험 관리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센서 정보 수신부(151)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복수의 센서(200)로부터 센서 정보를 수신하고, 이러한 무선 네트워크에 의해 수신되는 신호를 디코딩하여 센서 정보를 추출한다.
센서 정보 처리부(152)는 상기 센서 정보를 각 센서(200)에 대한 임계값과 비교하고, 상기 센서 정보 및 비교값에 대한 정보를 계측 모니터링 DB(156)에 저장한다.
또한, 상기 비교값에 대한 정보를 계측 모니터링부(155)로 전송한다.
이때, 상기 센서 정보 처리부(152)는 CCTV로부터의 영상 정보를 상기 계측 모니터링 DB(156)에 전송하여 비교값에 맞추어 저장시킨다.
PMIS 정보 수신부(153)는 외부의 PMIS(project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DB로부터 해당 건설 현장에 대한 현재 공정 정보를 수신한다.
이때, PMIS 정보 수신부(153)는 관리자가 수동으로 상기 외부의 PMIS DB(300)에 접속하여 특정 정보를 찾아 수신할 수 있다.
PMIS 처리부(154)는 공정정보 업로드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수신된 PMIS 정보를 관리자가 확인 후 계측 모니터링 DB(156)에 저장하도록 한다.
이때, PMIS 처리부(154)는 PMIS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시간/작업 내역/WBS(work breakdown structure) 코드를 계측 모니터링 DB(156)에 PMIS 정보로서 저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계측 모니터링 DB(156)에는 주기적으로 저장되는 각종 센서 정보, 영상 정보 및 PMIS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한편, 계측 모니터링부(155)는 센서 정보 처리부(152)로부터 센서 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각 센서 정보에 대한 임계값과 비교하여 임계값 이상의 센서 정보가 있는 경우, 해당 시간 및 WBS에 대한 PMIS 정보를 읽어들여 공사 작업과 임계값 이상인 센서 정보인 계측 이상 신호 사이의 상관 관계를 분석하여 원인을 파악하고, 그에 대한 대책을 생성한다.
또한, 계측 모니터링부(155)는 센서 정보 처리부(152)로부터 센서 정보를 수신하고, 센서 정보의 변화를 분석하여 발생할 수 있는 위험을 예측하고, 이에 대한 대책을 생성한다.
이러한 계측 모니터링부(155)는 분석 결과 및 대책에 대하여 계측 모니터링 DB(156)에 저장하고, 관리자 단말(110)에 제공한다.
관리자 단말(110)은 계측 모니터링 서버(150)로부터 건설 현장 위험 관리 프로그램을 설치하고, 계측 모니터링 서버(150)와 상기 프로그램을 통해 연동하며, 상기 건설 현장에서 발생하는 위험에 대한 모니터링을 수행한다.
상기 관리자 단말(110)은 관리자 개인 PC 또는 사무실 PC일 수 있으며, 상기 관리자의 모바일 단말, 예를 들어 스마트폰일 수 있다.
이러한 관리자 단말(110)은 도 3a 내지 도 3b와 같은 화면을 관리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3a를 참고하면, 관리자 단말(110)은 관리자가 상기 건설 현장 위험 관리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건설 현장의 종합 상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화면을 제공한다.
즉, 도 3a와 같이 종합 상태, 전경, 대표 도면, 일반 정도, 상세 상태 정보, 이상 센서(200) 리스트 등의 정보 아이콘을 제공할 수 있으며, 주요 이슈 이벤트의 사신들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도 3b와 같이, 특정 계측 데이터 조회가 구체적으로 조회가능하고, 해당 기간에 대한 PMIS 정보 또한 함께 검색 가능하다.
또한, 도 3c와 같이 PMIS 정보만 단독으로 조회 가능하며, 관리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프로그램을 통해 위험 발생 및 대책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도 5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건설 현장 위험 관리 시스템의 전체 동작을 설명한다.
도 4는 건설 현장 위험 관리 시스템의 기본 순서도를 나타내고, 도 5a 내지 도 5b는 도 4의 순서도에 따른 영상을 나타낸다.
도 4를 참고하면, 먼저 계측 모니터링 서버(150)는 도 5a와 같이 특정 건설 현장에 대하여, 주변 주요 민원 지역(A)을 파악한다(S10).
즉, 건설 현장 주변에서 소음, 분진 또는 진동 등에 따른 민원이 빈번하게 발생하거나 발생할 우려가 있는 지역을 주요 민원 지역(A)로 분류하고 도 5a와 같이 별도로 관리한다.
다음으로 도 5b와 같이, 공사 종류 별로 주요 민원 지역에 대한 피해 영향을 확인한다(S20).
즉, 특정 건설 현장에서 어떤 민원이 주로 발행하는지 민원의 수요 조사 및 피해 확인 과정을 통해 영향을 확인하고 분석한다.
다음으로 도 5c와 같이 상기 피해 영향에 대한 예측 결과 기반의 소음 진동 등에 대한 모니터링 계획을 수립한다(S30).
이러한 계측 모니터링 계획은 특정 건설 현장에 어떤 센서(200)를 어떤 지역에 부착할지, 해당 센서 정보에 대한 임계값을 어떤 값으로 결정할지, 해당 센서 정보가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각각에 해당하는 대책을 매뉴얼로서 수립할 수 있다.
상기 계측 모니터링 서버(150)는 도 5d와 같이 해당 매뉴얼에 따라 주기적으로 센서 정보를 수득하고 이와 임계값을 비교하고, 센서 정보의 변화 추이를 분석하여 변화 추이가 임계값에 가까워지는 경우, 이에 대한 예방 대책을 상기 관리자 서버(150)에 제공하고, 임계값 초과 시에 상기 관리자 서버(150)에 경고 및 알림을 수행하고, 이에 대한 대책을 제공할 수 있다(S40).
도 6은 도 4의 관리 단계(S40)의 구체적인 순서도이다.
도 6을 참고하면, 상기 계측 모니터링 서버(150)는 상기 건설 현장 위험 관리 프로그램에서 해당 건설 현장에 관련된 필요한 센서(200)를 분류한다(S41).
일 예로, 터널 공사 등인 경우, 온도계, 변형률계, 가속도계, 경사계, 압전센서(200), 또는 누수측정계 등을 선택하여 필요한 센서 정보를 관리자가 선택적으로 수득할 수 있다.
다음으로, 계측 모니터링 서버(150)는 해당 WBS에 대한 센서 정보를 주기적으로 수신하고 계측 모니터링 DB(156)에 저장한다(S42).
한편, 계측 모니터링 서버(150)는 PMIS DB(300)로부터 PMIS 정보를 읽어들일 수 있는데, 해당 WBS에 대하여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S43), 해당 이벤트에 대한 시간/ 작업내역/ WBS 코드를 읽어들여(S44) 해당 WBS에 대한 PMIS 정보로서 계측 모니터링 DB(156)에 저장한다(S45).
따라서 계측 모니터링 DB(156)에는 시간에 대하여 주기적으로 수신되는 각 센서(200)의 센서 정보 및 특정 WBS에 대한 PMIS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다음으로, 계측 모니터링 서버(150)는 상기 수득된 센서 정보에 대하여 각각의 센서 정보를 그의 임계값과 비교한다(S46).
상기 센서 정보가 임계값을 초과하지 않으면, 상기 계측 모니터링 서버(150)는 다음 주기에 복수의 센서 정보를 수득하고 동작을 반복한다.
한편, 상기 센서 정보가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이러한 센서 정보를 계측 이상 신호로 정의하고 관리자 단말(110)에 먼저 알람을 하여 관리자가 해당 사실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S47).
다음으로 해당 건설 현장에 대한 PMIS 정보를 계측 모니터링 DB(156)로부터 읽어들여 상기 PMIS 정보를 이벤트 시간별로 표시한다(S48).
다음으로, 해당 PMIS 정보와 계측 이상 신호 사이의 상관관계를 분석한다(S49).
이러한 분석은 미리 저장하고 있는 매뉴얼로부터 추출할 수 있으며, PMIS 정보 및 센서 정보 사이의 시간 별 관계 분석 프로그램을 구동하여 특정 상관 관계를 분석할 수 있다.
이러한 상관 관계 분석이 종료되면, 상기 계측 이상 신호가 공사 작업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일시적이고 예측되는 이상이고, 외부의 원인이 아닌 경우, 관리자 단말(110)에 해당 사실을 알림하고 이상 없는 것으로 간주한다(S50).
한편, 해당 PMIS 정보와 계측 이상 신호 사이에 예측되지 않은 이상으로 판단되는 경우 CCTV 영상 등을 통해 외부 원인을 파악하고, 관리자 단말(110)에 원인 파악을 위한 행동 및 예상되는 원인을 제공할 수 있다(S50).
또한, 예상되는 원인에 대한 대책을 매뉴얼에 따라 제공할 수 있다.
관리자 단말(110)을 통해 이러한 정보를 수득한 관리자는 해당 건설 현장에 대하여 외부 원인을 제거할 수 있도록 대책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관리자 단말(110)로부터 건설 현장 위험에 대한 외부 원인 및 예상되는 원인에 대한 대책 정보를 수득하고 관리자는 직접 건설 현장에 상기 대책 정보를 적용할 수 있는지 판단하고, 실행함으로써 상기 위험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건설 현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위험에 대하여 복수의 센서(200)로부터 센서 정보를 주기적으로 수득하는 한편, 공사 진행에 대한 PMIS 정보를 수득하여 두 개의 정보를 함께 분석함으로써 공사 이벤트에 따른 일시적인 이상 계측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관리자가 세밀하게 건설 현장을 관리할 수 있다.
이상,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이다.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건설 현장 위험 관리 시스템
110: 관리자 단말
150: 계측 모니터링 서버
200: 센서

Claims (7)

  1. 건설 현장에 설치되어 있는 복수의 센서로부터 센서 정보를 수득하고, PMIS DB로부터 PMIS 정보를 수득하고, 상기 센서 정보와 상기 PMIS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건설 현장에 발생하는 위험 원인을 파악하고, 대책을 생성하는 계측 모니터링 서버, 그리고
    상기 계측 모니터링 서버로부터 상기 건설 현장에 발생하는 위험에 대한 경고를 수득하고, 상기 위험 원인 및 대책을 표시하는 적어도 하나의 관리자 단말
    를 포함하는
    건설 현장 위험 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측 모니터링 서버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복수의 센서로부터 상기 센서 정보를 주기적으로 수신하는 센서 정보 수신부,
    상기 PMIS DB로부터 상기 PMIS 정보를 읽어 시간에 따라 저장시키는 PMIS 정보 수신부,
    상기 센서 정보 및 상기 PMIS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건설 현장 위험에 대한 매뉴얼을 저장하고 있는 계측 모니터링 DB, 그리고
    상기 센서 정보를 수신하고, 각 센서 정보에 대한 임계값과 상기 센서 정보를 비교하고, 비교 결과 및 상기 PMIS 정보에 따라 위험 발생의 원인을 분석하고, 상기 매뉴얼에 따라 대책을 상기 관리자 서버에 제공하는 계측 모니터링부
    를 포함하는
    건설 현장 위험 관리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센서는
    온도계, 변형률계, 가속도계, 풍향풍속계, 경사계, 압전센서, 누수측정계, 압전센서, 균열계, 내공변위측정계, 강우량계, 전압계 및 지진계를 포함하는 그룹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건설 현장 위험 관리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정보는 상기 복수의 센서로부터 수신된 감지 신호의 RAW DATA인 건설 현장 위험 관리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계측 모니터링 서버는 상기 센서 정보가 상기 임계값을 초과하면 상기 센서정보를 계측 이상 신호로 정의하고, 상기 PMIS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PMIS 정보와 상기 계측 이상 신호 사이의 상관 관계를 분석하는 건설 현장 위험 관리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계측 모니터링 서버는 상기 상관 관계에 따라 상기 계측 이상 신호의 원인이 상기 PMIS 이벤트에 따라 예측가능하게 발생한 것인 경우 이상 없음으로 판단하고, 상기 계측 이상 신호가 상기 PMIS 이벤트에 따라 예측가능하게 발행한 것이 아닌 경우, 외부 원인에 의해 발행한 것인지 판단하는 건설 현장 위험 관리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계측 모니터링 서버는 외부 원인에 의해 상기 계측 이상 신호가 발행했는지 판단하는 경우, 상기 센서에 설치되어 있는 CCTV를 통한 영상 신호를 함께 분석하는 건설 현장 위험 관리 시스템.
KR1020170162761A 2017-11-30 2017-11-30 건설 현장 안전 관리 시스템 KR1020042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2761A KR102004206B1 (ko) 2017-11-30 2017-11-30 건설 현장 안전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2761A KR102004206B1 (ko) 2017-11-30 2017-11-30 건설 현장 안전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3751A true KR20190063751A (ko) 2019-06-10
KR102004206B1 KR102004206B1 (ko) 2019-10-01

Family

ID=668481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2761A KR102004206B1 (ko) 2017-11-30 2017-11-30 건설 현장 안전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4206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5435B1 (ko) * 2019-08-14 2020-01-13 주식회사 심플비트 사회기반시설물 건전성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CN113205269A (zh) * 2021-05-12 2021-08-03 湖北新悦成智能科技有限公司 基于人工智能的工程监理方法、智能终端和存储介质
KR20210139059A (ko) * 2020-05-13 2021-11-22 한국전력공사 공사현장 시공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공사현장 관리 방법
CN116342326A (zh) * 2023-04-11 2023-06-27 重庆市市政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公路及桥隧工程测控终端
CN116579748A (zh) * 2023-07-13 2023-08-11 厦门美契信息技术有限公司 基于无线通讯技术的安全生产管理系统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6545B1 (ko) 2019-11-13 2020-08-20 (주)이노가드 이동통신단말 기반 전문건설업체에서의 현장 정보 관리 시스템
KR102188096B1 (ko) * 2020-05-06 2020-12-08 주식회사 크리에이티브솔루션 건설 구조물의 센서의 이벤트 분석방법
KR102188095B1 (ko) * 2020-05-06 2020-12-08 주식회사 크리에이티브솔루션 건설 구조물의 센서의 이벤트 원인 분석방법
KR20230031038A (ko) * 2021-08-26 2023-03-07 (주)서울로보틱스 3차원 공간의 관심 영역을 모니터링하는 방법 및 센싱 장치
KR102532723B1 (ko) 2022-06-22 2023-05-12 이건희 건설현장의 시공별 업무 관리를 적용한 현장 관리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5603B1 (ko) * 2007-07-04 2008-04-03 서울특별시(건설안전본부장) 통합건설정보 통보시스템에서의 건설공사현황 알림방법
KR20160042687A (ko) 2014-10-10 2016-04-20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건설현장 재해방지시스템 및 방법
KR20170056852A (ko) * 2015-11-16 2017-05-24 주식회사 서신엔지니어링 통합계측 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5603B1 (ko) * 2007-07-04 2008-04-03 서울특별시(건설안전본부장) 통합건설정보 통보시스템에서의 건설공사현황 알림방법
KR20160042687A (ko) 2014-10-10 2016-04-20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건설현장 재해방지시스템 및 방법
KR20170056852A (ko) * 2015-11-16 2017-05-24 주식회사 서신엔지니어링 통합계측 관리 시스템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5435B1 (ko) * 2019-08-14 2020-01-13 주식회사 심플비트 사회기반시설물 건전성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KR20210139059A (ko) * 2020-05-13 2021-11-22 한국전력공사 공사현장 시공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공사현장 관리 방법
CN113205269A (zh) * 2021-05-12 2021-08-03 湖北新悦成智能科技有限公司 基于人工智能的工程监理方法、智能终端和存储介质
CN113205269B (zh) * 2021-05-12 2022-04-05 广东重工建设监理有限公司 基于人工智能的工程监理方法、智能终端和存储介质
CN116342326A (zh) * 2023-04-11 2023-06-27 重庆市市政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公路及桥隧工程测控终端
CN116342326B (zh) * 2023-04-11 2023-12-15 重庆市市政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公路及桥隧工程测控终端
CN116579748A (zh) * 2023-07-13 2023-08-11 厦门美契信息技术有限公司 基于无线通讯技术的安全生产管理系统
CN116579748B (zh) * 2023-07-13 2023-09-26 厦门美契信息技术有限公司 基于无线通讯技术的安全生产管理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4206B1 (ko) 2019-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4206B1 (ko) 건설 현장 안전 관리 시스템
EP3479239B1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the risk of failure of a structure
JP7244794B2 (ja) Sar画像解析システム
Ni et al. Integrating bridge structural health monitoring and condition-based maintenance management
US11935143B2 (en) Structure repair method selection system, structure repair method selection method, and structure repair method selection server
Wah et al. A regression-based damage detection method for structures subjected to changing environmental and operational conditions
Vardanega et al. Bridge monitoring
Cavalagli et al. Detecting earthquake-induced damage in historic masonry towers using continuously monitored dynamic response-only data
KR102468888B1 (ko) IoT 기반 건물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
KR102345859B1 (ko) 빅데이터 기반 지능형 문화재 안전관리 시스템
Guéguen et al. Consideration of the effects of air temperature on structural health monitoring through traffic light-based decision-making tools
KR101129815B1 (ko) 룰 엔진을 통한 이종 시설물의 센서 데이터 분석 방법
Naeim Real-time damage detection and performance evaluation for buildings
Pham‐Bao et al. Energy dissipation‐based material deterioration assessment using random decrement technique and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A case study of Saigon bridge in Ho Chi Minh City, Vietnam
KR102233374B1 (ko) 흙막이 가시설 및 인접 구조물 통합 안전성 평가시스템
Wenzel et al. Damage detection and bridge classification by ambient vibration monitoring-application of Brimos at Two stay cable bridges in China
EP4075114A1 (en) Method for real-time monitoring of structural changes
Crews et al. Testing and assessment procedures to facilitate the management of timber bridge assets
Guéguen et al. Condition-based decision using traffic-light concept applied to civil engineering buildings
Bień et al. Monitoring in management of roadway bridges
JP6981525B2 (ja) 設備状態分析装置、設備状態分析方法、及び、設備状態分析プログラム
KR102244515B1 (ko) 흙막이 시설물 관리서버
KR102397419B1 (ko) 균열 센서 기반의 콘크리트 구조물 임계시점 감지 시스템 및 방법
Sellathamby et al. Increased Productivity by Condition-Based Maintenance Using Wireless Strain Measurement System
RU2742081C1 (ru) Способ мониторинга технического состояния производственных зданий с оценкой рисков авари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