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63485A - 구강 관리 장치 및 치과용 의자 - Google Patents
구강 관리 장치 및 치과용 의자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90063485A KR20190063485A KR1020170157918A KR20170157918A KR20190063485A KR 20190063485 A KR20190063485 A KR 20190063485A KR 1020170157918 A KR1020170157918 A KR 1020170157918A KR 20170157918 A KR20170157918 A KR 20170157918A KR 20190063485 A KR20190063485 A KR 2019006348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iquid
- unit
- space
- fluid
- liquid supply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C17/02—Rinsing or air-blowing devices, e.g. using fluid jets or comprising liquid medication
- A61C17/0208—Rinsing or air-blowing devices, e.g. using fluid jets or comprising liquid medication combined with means providing suction
-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2—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 A46B9/04—Arranged like in or for toothbrushes
- A46B9/045—Arranged like in or for toothbrushes specially adapted for cleaning a plurality of tooth surfaces simultaneously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C17/02—Rinsing or air-blowing devices, e.g. using fluid jets or comprising liquid medication
- A61C17/0211—Rinsing or air-blowing devices, e.g. using fluid jets or comprising liquid medication specially adapted for rinsing the teeth of at least one jaw simultaneously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C17/06—Saliva removers; Accessories therefor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C17/06—Saliva removers; Accessories therefor
- A61C17/08—Aspiration nozzl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4—Measur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5/00—Operating chairs; Dental chairs;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work stan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 혹은 관리자에게 구강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액체 공급부; 상기 액체 공급부에 연결되며, 구강 내에 삽입시 상측 혹은 하측 중 적어도 어느 한 측의 치아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부가 형성된 마우스피스; 상기 마우스피스에 연결되며 상기 액체 공급부로부터 액체를 흡입하여 상기 공간부로 도입하며, 상기 공간부의 유체를 흡인하는 펌프; 상기 펌프에 연결되며, 상기 공간부에서 흡인된 유체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저장부에 연결되며, 저장된 유체의 상태를 측정하는 측정부을 포함하며, 상기 액체 공급부의 액체는 펌프의 흡인력에 의해서만 상기 공간부로 도입되는 구강 관리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구강 정보의 획득이 가능한 구강 관리 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치과 의자에 대한 것이다.
치아나 구강에 존재하는 음식물 찌꺼기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부패하여 역한 입냄새를 발생시키거나 충치, 잇몸병과 같은 각종 구강질환의 원인이 된다. 건강한 치아와 구강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자주 칫솔질을 하고 구강세정제로 입안을 헹구는 등 구강을 늘 청결하게 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치아를 세정할 때는 칫솔과 치실을 사용하는데, 칫솔과 치실을 이용하는 방법만으로는 치아 사이에 낀 음식물 찌꺼기를 완전히 제거하기 어렵고, 이들의 무리한 사용은 잇몸이나 치주 손상을 야기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세정수를 분사하여 구강을 세척할 수 있는 구강 세정장치가 다양한 구조로 제안되고 있다. 종래의 구강 세정장치는 물이나 살균성 세정액을 고압으로 분사하여 구강이나 치아 사이에 낀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구성된 장치로서, 세정액을 수용하는 용기, 분사노즐, 용기의 세정액을 분사노즐로 공급하는 펌프를 포함하는 형태로 제공된다.
그러나 종래 구강 세정장치는 분사노즐을 통하여 세정액을 분사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세정액이 구강 외부로 튀어 욕실 등과 같은 제한된 장소에서만 사용이 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이에 특허문헌 1 과 같이, 마우스 피스 구조에 액체를 공급하고 이를 배출시킴으로써, 세정액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억제하는 구강을 세정, 특히 구강 내 치아를 세정하는 장치 및 방법이 개발된 바 있다.
특허문헌 1과 같은 장치의 경우에 액체를 치아에 고르게 분산하여 공급하기 위하여 마우스 피스가 2중 구조를 취하여 유입된 액체를 분산시키는 챔버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하지만, 이러한 구조의 경우에 마우스 피스가 2중 구조를 취해야 하기 때문에 제조가 곤란할 뿐만 아니라, 챔버를 거친 후 액체가 치아로 공급되기 때문에 액체 제어에 불리하다.
또한, 충분한 액체 공급 속도를 확보하기 위하여 액체를 가압하여 마우스 피스로 공급하는 경우에 액체가 치아로 분사되는 반작용으로 마우스 피스와 치아 및 잇몸 사이에 간극이 발생하게 되며, 이와 같은 경우에 잇몸과 마우스 피스 사이로 액체가 누출될 수 있으며, 이는 흡입 펌프를 통하여 마우스 피스로부터 액체를 빨아내는 경우에도 동일하다.
통상의 사용자의 경우에 액체가 일부 누출된다고 하더라도 액체를 다시 체외로 배출하는 것에 어려움이 없으나, 유아 혹은 환자의 경우에는 누출된 액체가 목구멍으로 넘어갈 우려가 있다.
특히, 의식 없는 환자의 경우에 일부의 액체가 누출되더라도 이를 배출하지 못하므로, 세정액을 분사하는 장치를 사용할 수 없어 장기간의 입원 동안 구강 관리를 못 한다는 문제가 있다.
(특허문헌 1) KR10-1449724 B
본 발명은 구강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구강 관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치과 의자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구강 관리 장치 및 치과 의자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일실시예로 액체 공급부; 상기 액체 공급부에 연결되며, 구강 내에 삽입시 상측 혹은 하측 중 적어도 어느 한 측의 치아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부가 형성된 마우스피스; 상기 마우스피스에 연결되며 상기 액체 공급부로부터 액체를 흡입하여 상기 공간부로 도입하며, 상기 공간부의 유체를 흡인하는 펌프; 상기 펌프에 연결되며, 상기 공간부에서 흡인된 유체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저장부에 연결되며, 저장된 유체의 상태를 측정하는 측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액체 공급부의 액체는 펌프의 흡인력에 의해서만 상기 공간부로 도입되는 구강 관리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로 액체 공급부; 상기 액체 공급부에 연결되며, 구강 내에 삽입시 상측 혹은 하측 중 적어도 어느 한 측의 치아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부가 형성된 마우스피스; 상기 마우스피스에 연결되며 상기 액체 공급부로부터 액체를 흡입하여 상기 공간부로 도입하며, 상기 공간부의 유체를 흡인하는 펌프; 상기 펌프에 연결되며, 상기 공간부에서 흡인된 유체가 배출되는 배출부; 및 상기 배출부에 연결되며, 배출되는 유체의 상태를 측정하는 측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액체 공급부의 액체는 펌프의 흡인력에 의해서만 상기 공간부로 도입되는 구강 관리 장치를 제공할 수도 있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구강 관리 장치는 상기 측정부에 연결되며, 유선 혹은 무선의 데이터 전송기구를 포함하여 상기 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정보값 혹은 상기 정보값에 기초한 처리값을 외부로 전송하는 전송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구강 관리 장치는 상기 측정부에 연결되며, 화면을 통하여 상기 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정보값 혹은 상기 정보값에 기초한 처리값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를 포함하는 구강 관리 장치에서 상기 저장부은 배수통이며, 상기 측정부는 배수통의 일측에 장착된 센서일 수 있다. .
상기 배출부를 포함하는 구강 관리 장치에서 상기 배출부은 배출 배관이며, 상기 측정부는 배수 배관의 일부분에 장착된 센서일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센서는 오염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오염도 센서는 TDS(Total Dissolved Solid) 센서 혹은 탁도 센서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센서는 pH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일실시예의 치과용 의자로서, 치과 치료시 발생되는 유체를 흡입하기 위하여 석션 수단에 연결된 석션 라인 및 구강 관리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구강 관리 장치는 액체 공급부; 상기 액체 공급부에 연결되며, 구강 내에 삽입시 상측 혹은 하측 중 적어도 어느 한 측의 치아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부가 형성된 마우스피스; 상기 석션 라인에 연결되며, 상기 공간부에서 흡인된 유체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저장부에 연결되며, 저장된 유체의 상태를 측정하는 측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액체 공급부의 액체는 석션 라인을 통한 흡인력에 의해서만 상기 공간부로 도입되는 치과용 의자를 제공한다.
다르게, 본 발명은 일실시예로, 치과용 의자로서, 치과 치료시 발생되는 유체를 흡입하기 위하여 석션 수단에 연결된 석션 라인 및 구강 관리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구강 관리 장치는 액체 공급부; 상기 액체 공급부에 연결되며, 구강 내에 삽입시 상측 혹은 하측 중 적어도 어느 한 측의 치아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부가 형성된 마우스피스; 상기 석션 라인에 연결되며, 상기 공간부에서 흡인된 유체가 배출되는 배출부; 및 상기 배출부에 연결되며, 배출되는 유체의 상태를 측정하는 측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액체 공급부의 액체는 석션 라인을 통한 흡인력에 의해서만 상기 공간부로 도입되는 치과용 의자를 제공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구성을 통하여 구강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구강 관리 장치 및 치과용 의자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구강 관리 장치의 일실시예의 개략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구강 관리 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개략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구강 관리 장치의 관리 수단의 사시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구강 관리 장치의 관리 수단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5 는 도 3 및 도 4 의 관리 수단이 구강 내에 안착된 후 동작에 따른 단면을 보이는 수직 단면도이다.
도 6 은 도 3 및 도 4 의 관리 수단이 구강 내에 안착된 후 동작에 따른 단면을 보이는 수평 단면도이다.
도 7 및 도 8 은 도 3 및 도 4 의 관리 수단의 장착 위치에 따른 수직 단면도이다.
도 9 는 구강 관리 장치의 관리 수단의 다른 실시예이다.
도 10 은 구강 관리 장치의 관리 수단의 유체 입구와 유체 출구 배치의 일실시예를 보이는 사시도이다.
도 11 은 구강 관리 장치의 관리 수단의 유체 입구와 유체 출구 배치의 다른 실시예를 보이는 사시도이다.
도 12 는 본 발명의 구강 관리 장치의 관리 수단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이다.
도 13 은 본 발명의 구강 관리 장치의 관리 수단의 또 다른 실시예의 장착 수직 단면도이다.
도 14 는 도 13 의 관리 장치의 장착 수평 단면도이다.
도 15 는 도 13 및 14 의 실시예에서 맞춤혐 관리 수단을 제작하는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16 은 도 15 의 순서도의 유로 형성 부재 부착 단계의 개략도이다.
도 17 은 도 15 의 순서도의 외벽 형성 단계의 개략도이다.
도 18 은 본 발명의 관리 수단의 또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로, 도 18a 는 축소 변형된 모습을, 도 18b는 변형되지 않은 모습을 도 18c는 확대 변형된 모습을 보이는 사시도이다.
도 19 는 도 18 의 관리 수단의 평면도로, 도 19a 는 내측으로 모아진 모습을, 도 19b 는 외측으로 벌어진 모습을, 도 19c 는 변형되지 않은 모습을 보이는 평면도이다.
도 20 내지 25 는 각각 본 발명의 관리 수단의 또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26 은 본 발명의 관리 수단의 다른 실시예의 평면도로, 도 26a 는 변형되지 않은 모습을, 도 26b 는 내측으로 모아진 모습을, 도 26c 는 외측으로 벌어진 모습을 보이는 평면도이다.
도 27 은 본 발명의 구강 관리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의 개략도이다.
도 28 은 본 발명의 구강 관리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의 개략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구강 관리 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개략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구강 관리 장치의 관리 수단의 사시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구강 관리 장치의 관리 수단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5 는 도 3 및 도 4 의 관리 수단이 구강 내에 안착된 후 동작에 따른 단면을 보이는 수직 단면도이다.
도 6 은 도 3 및 도 4 의 관리 수단이 구강 내에 안착된 후 동작에 따른 단면을 보이는 수평 단면도이다.
도 7 및 도 8 은 도 3 및 도 4 의 관리 수단의 장착 위치에 따른 수직 단면도이다.
도 9 는 구강 관리 장치의 관리 수단의 다른 실시예이다.
도 10 은 구강 관리 장치의 관리 수단의 유체 입구와 유체 출구 배치의 일실시예를 보이는 사시도이다.
도 11 은 구강 관리 장치의 관리 수단의 유체 입구와 유체 출구 배치의 다른 실시예를 보이는 사시도이다.
도 12 는 본 발명의 구강 관리 장치의 관리 수단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이다.
도 13 은 본 발명의 구강 관리 장치의 관리 수단의 또 다른 실시예의 장착 수직 단면도이다.
도 14 는 도 13 의 관리 장치의 장착 수평 단면도이다.
도 15 는 도 13 및 14 의 실시예에서 맞춤혐 관리 수단을 제작하는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16 은 도 15 의 순서도의 유로 형성 부재 부착 단계의 개략도이다.
도 17 은 도 15 의 순서도의 외벽 형성 단계의 개략도이다.
도 18 은 본 발명의 관리 수단의 또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로, 도 18a 는 축소 변형된 모습을, 도 18b는 변형되지 않은 모습을 도 18c는 확대 변형된 모습을 보이는 사시도이다.
도 19 는 도 18 의 관리 수단의 평면도로, 도 19a 는 내측으로 모아진 모습을, 도 19b 는 외측으로 벌어진 모습을, 도 19c 는 변형되지 않은 모습을 보이는 평면도이다.
도 20 내지 25 는 각각 본 발명의 관리 수단의 또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26 은 본 발명의 관리 수단의 다른 실시예의 평면도로, 도 26a 는 변형되지 않은 모습을, 도 26b 는 내측으로 모아진 모습을, 도 26c 는 외측으로 벌어진 모습을 보이는 평면도이다.
도 27 은 본 발명의 구강 관리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의 개략도이다.
도 28 은 본 발명의 구강 관리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의 개략도이다.
본 발명에서 유체는 액체와 기체를 포함하는 것을 의미하며, 흡인 수단은 액체 혹은 기체 중 어느 하나 혹은 모두를 빨아드릴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구강은 인체를 포함한 포유류의 입안을 의미하며, 치아가 포함된 혹은 포함되지 않은 잇몸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밀봉은 실질적으로 액체가 유출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즉, 관리 수단의 외부로 액체가 유출되어 사용자의 기도나, 식도로 혹은 구강 내의 특정 영역을 자극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는 유체를 가압하여 구강으로 공급하는 것은 포함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는 유체를 흡인하는 흡인 수단을 통하여 형성된 부압을 통하여 액체 공급부의 액체가 구강을 통과한 후 배출 수단으로 배출되는 것을 포함하며, 액체 공급부에서 다른 가압수단을 통하여 구강으로 액체를 공급하는 것은 이 발명에 포함되지 않는다. 이때, 흡인 압력은 100~600mmHg정도가 될 수 있으며, 흡인 수단이 관리 수단의 공간부의 공기를 흡인하여 관리 수단이 사용자의 잇몸에 밀착된 후에 액체 공급부의 액체가 구강으로 유입되게 된다.
본 발명에서 액체는 치아를 세정하거나, 치아 혹은 잇몸에 유익한 효과를 줄 수 있는 액체를 포함한다. 액체는 연마제나 백화제와 같은 입자를 포함하는 것도 포함한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알코올 혹은 에탄올을 함유하는 항균 조성물을 포함할 수 있다.
액체의 다른 실시 형태로 항균제와 프로판올 및 비히클을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용될 수 있는 대표적인 항균제로서는 비한정적으로 정유, 염화세틸피리디늄(CPC), 클로르헥시딘, 헤키세치진, 키토산, 트리클로산, 불화 제1 주석, 가용성 피롤린산염, 산화아연을 들 수 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 산화금속, 페퍼민트유, 세이지유(sage oil), 알로에, 폴리올, 프로테아제, 리파제, 아밀라제 및 구연산 아연 등을 들 수 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 금속염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은 치구의 형성, 음식 미립자, 바이오필름 등의 제거 또는 분해 등 세정에 의해 구강의 입안 위생을 일반적으로 개선하는 것에 가세하고, 본 발명은 구강 내의 유해한 상태를 개선해, 구강의 미적 외관을 개선하는 것에 유용하다. 유해한 상태로서는 비한정적으로 충치, 치은염, 염증, 치주병과 관련된 증상, 구취, 치아의 감도 및 균 감염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은 가정에서 사용할 수도 있으나, 환자 특히 의식이 없는 중환자를 위하여 병원에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며, 치아 관리를 위한 치과에서 치과 치료 중 혹은 치과 치료 전/후에 치아 세정 혹은 유리한 효과를 부여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액체/유체/공기를 제어하는 수단으로는 솔레노이드 밸브를 사용할 수도 있으나, 다른 전자 기계식 수단을 사용할 수도 있으며, 이들을 제어함에 있어서는 전자 제어가 바람직하므로, 전기로 제어 가능한 수단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관리 장치는 평균 신체 구조 사이즈에 따른 장치를 사용할 수도 있으나, 필요에 따라서는 관리 장치를 사용자의 구강 구조에 맞춤형으로 제작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에 대하여는 도 15 내지 17 을 참고하여 다시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관리 장치는 가변형 마우스피스로 달성될 수 있으며, 일정 범위에서 구강 구조에 맞게 가변 가능한 구조의 마우스피스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에 대하여는 도 18 내지 26을 참고하여 다시 설명하도록 한다.
가변형 마우스피스는 사용자가 구강 내에 삽입할 때 변형됨으로써, 관리 장치의 사용 전에 변형 가능한 구조를 의미한다. 관리 장치의 흡인력에 의해서 변형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중심으로 본 발명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및 2 에는 본 발명의 구강 관리 장치의 일실시예의 개략도와 본 발명의 구강 관리 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개략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구강 관리 장치(1)는 사용자의 구강 내에 삽입되어 구강 내의 치아 혹은 잇몸에 유리한 효과를 제공하는 관리 수단(100)과 상기 관리 수단(100)에 연결되어, 상기 관리 수단(100)으로 액체/기체를 공급 혹은 배출하도록 상기 관리 수단(100)에 연결된 본체로 구성된다.
도 1 에서 구강 관리 장치(1)는 액체 공급부(20); 상기 액체 공급부에 연결되며, 구강 내에 삽입시 상측 혹은 하측 중 적어도 어느 한 측의 치아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부(140; 도 4 참고)가 형성된 관리 수단(100); 상기 관리 수단(100)에 연결되며 상기 액체 공급부(20)로부터 액체를 흡입하여 상기 공간부(140)로 도입하며, 상기 공간부(140)의 액체를 흡인하는 흡인 수단(15); 상기 흡인 수단에 연결되며, 상기 공간부에서 흡인된 액체를 저장 혹은 배출하는 배출 수단(10); 및 상기 관리 수단(100)과 외부를 연통시키는 외부 연결 통로(30);을 포함한다.
상기 액체 공급부(20) 및 외부 연결 통로(30)에는 각각 액체 제어 수단(25)과 공기 제어 수단(35)이 연결되어 있어서, 상기 관리 수단(100)으로 흡인 수단(15)의 흡입력이 작용할 때, 관리 수단(100) 내로 도입되는 액체 혹은 기체를 조절한다. 이때, 액체 제어 수단(25)와 공기 제어 수단(35)은 별도의 솔레노이드 밸브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액체 제어 수단(25)과 공기 제어 수단(35)이 단일 부재로 형성되고, 해당 구성에서 액체 제어와 공기 제어가 가능한 것도 가능하다.
상기 구강 관리 장치(1)에서 상기 흡인 수단(15), 액체 제어 수단(25) 및 공기 제어 수단(35)은 제어부(90)에 연결될 수 있으며, 제어부(90)는 도시되지 않은 사용자의 입력 장치에 따라서, 상기 흡인 수단(15), 액체 제어 수단(25) 및 공기 제어 수단(35)을 조절하여, 관리 장치로 액체를 경유, 혹은 공기를 경유시키거나, 액체와 공기를 혼합하여 경유시켜 관리 수단(100)에 음압을 걸리게 하여, 관리 수단(100)이 변형되게 할 수 있다.
도 2 에 도시된 구강 관리 장치(1)의 다른 실시예에서 구강 관리 장치(1)는 액체 공급부(20); 상기 액체 공급부에 연결되며, 구강 내에 삽입시 상측 혹은 하측 중 적어도 어느 한 측의 치아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부(140; 도 4 참고)가 형성된 관리 수단(100); 상기 관리 수단(100)에 연결되며 상기 액체 공급부(20)로부터 액체를 흡입하여 상기 공간부(140)로 도입하며, 상기 공간부(140)의 액체를 흡인하는 흡인 수단(15); 상기 흡인 수단에 연결되며, 상기 공간부에서 흡인된 액체를 저장 혹은 배출하는 배출 수단(10); 상기 관리 수단(100)과 외부를 연통시키는 외부 연결 통로(30);와 상기 액체 공급부(20)의 액체와는 다른 성분를 공급하는 추가 성분 공급부(40)를 포함한다.
상기 액체 공급부(20), 외부 연결 통로(30) 및 추가 성분 공급부(40)에는 각각 액체 제어 수단(25), 공기 제어 수단(35) 및 추가 성분 제어 수단(45)이 연결되어 있어서, 상기 관리 수단(100)으로 흡인 수단(15)의 흡입력이 작용할 때, 관리 수단(100) 내로 도입되는 액체, 추가 성분 혹은 기체를 조절한다.
상기 구강 관리 장치(1)에서 상기 흡인 수단(15), 액체 제어 수단(25) 공기 제어 수단(35), 및 추가 성분 제어 수단(45)은 제어부(90)에 연결될 수 있으며, 제어부(90)는 도시되지 않은 사용자의 입력 장치에 따라서, 상기 흡인 수단(15), 액체 제어 수단(25), 공기 제어 수단(35) 및 추가 성분 제어 수단(45)을 조절하여, 관리 장치로 액체/추가 성분을 경유, 혹은 공기를 경유시키거나, 액체와 공기를 혼합하여 경유시켜 관리 장치에 음압을 걸리게 하여 관리 장치(100)가 변형되게 할 수 있다.
액체와 추가 성분은 서로 다른 종류로 사용될 수 있는데, 액체나 추가 성분 중 어느 하나는 세정을 위한 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다른 하나는 치아나 잇몸에 유리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예를 들면 항균 조성물을 사용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 액체 혹은 추가 성분에 부가입자를 추가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 관리 수단(100)은 흡인 수단(15)에 연결되며, 흡인 수단(15)에 의해서만 액체 공급부(20) 혹은 추가 성분 공급부(40)의 성분이나 외부 연결 통로(30)의 유체가 흡인된다. 따라서, 관리 수단(100)으로 액체가 공급되기 위하여는 관리 수단(100)이 구강 내에 안착하여 밀봉이 이루어져야, 흡인 수단(15)의 흡인력이 액체 공급부(20) 혹은 추가 성분 공급부(40)로부터 액체 혹은 추가 성분을 빨아드릴 수 있다. 특히, 관리 수단(100)에 흡인력이 계속적으로 적용됨으로써, 중립 구역 이론에 따른 밀봉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액체가 관리 수단(100)에서 누출되지 않을 수 있어 영유아나, 환자와 같이 본인의 신체 제어가 서툴거나 곤란한 사람들에게도 본 발명을 활용하여 치아 혹은 잇몸에 유리한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배출 수단(10)은 빈 통 혹은 연속 배출할 수 있는 배출구가 포함된 구조를 활용할 수 있는데, 배출 수단(10)에 관리 수단(100)을 통과한 액체를 수집하는 경우에, 관리 수단(100)을 통과하면서 상기 액체와 함께 딸려온 물질을 수집할 수 있으며, 이를 분석하여 구강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거나, 치과 질환을 판단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본 발명의 구강 관리 수단은 치아에 유리한 효과를 부여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치아나 구강 내 상태를 파악하여 어떠한 유리한 효과를 부여하여야 하는 지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장치로 활용될 수도 있다.
도 3 및 4 에는 도 1 및 2 의 구강 관리 장치(1)의 관리 수단(100)의 실시예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5 및 6 과 도 7 및 8 에는 관리 수단이 장착된 상태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3 및 4 에서 보이듯이, 관리 수단(100)은 액체나 공기(기체)가 유입될 수 있는 유체 입구(110)와 유체 입구(110)로 유입된 유체가 공간부(140)를 통과하여 빠져나갈 수 있는 유체 출구(120)가 형성되며, 공간부(140)를 형성하는 외벽(101)과 상기 외벽(101)에 연결되며 장착시 잇몸과 함께 공간부(140)를 밀봉하는 실링부(130) 및 상기 실링부(130)와 외벽부(101)를 연결하는 연결부(160)를 포함한다.
수직 단면상에서 실링부(130)는 연결부 측단부나 개구측 단부에 비하여 좁은 간격을 가지는 중간이 잘록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예로 단면상에서 반원형을 가질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삽입이 용이하며, 내부 공간부에 다수의 돌기부(150)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연결부(160)는 관리 수단(100)의 형태 유지 및 강도 확보를 위하여 외벽(101)이나 실링부(130) 보다 두꺼운 두께 혹은 강성이 높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동일 재질에 강성을 위한 프레임 구조가 추가되는 것도 가능하다.
연결부(160)는 관리 수단(100)의 후방을 제외하고는 관리 수단(100)의 외면을 따라서 형성되나, 관리 수단(100)의 후방은 통과하지 않으며, 대신에 후방에 도달하기 전에 관리 수단(100)의 상면을 지나면서 내측 연결부와 외측 연결부가 연결된다. 상악과 하악은 관리 수단(100)의 후방에서 차이가 커서, 강성을 제공하는 연결부(160)는 관리 수단(100)의 후방에는 연결부가 배치되지 않고, 실링부(130)만 배치되는 것이 밀봉에 유리하다.
전체적으로 관리 수단(100)은 마우스 피스 형상을 가지며, 외벽(101)은 치아가 삽입될 수 있도록 일측이 개방되게 구성된다. 즉, 외벽(101)은 단면이 전체적으로 'ㄷ'자 형상을 가지게 된다. 외벽(101)의 내측면에는 다수의 돌기부(150)가 형성된다. 돌기부(150)는 외벽(101)과 동일한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다른 재질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외벽(101)과 돌기부(150)는 기본적으로 가용성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인체에 거부감이 없도록 소프트한 재질 예를 들면 실리콘, 실리콘 고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돌기부(150)로 솔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실링부(130)는 외벽(101)에 연결되며 돌기부(150)가 형성되지 않기 때문에, 잇몸과 맞닿는 영역인 외벽(101)의 개방면 측 단부나, 외벽(101) 말단부(구강 최내측 잇몸에 맞닿는 부분)에 형성되며, 상기 외벽(101)보다 얇은 두께 혹은 부드러운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실링부(130)는 원활한 실링 및 상악 및 하악에 공용적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절개부가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절개부는 관리 수단(100)의 전방(입술 측) 내측 및 외측과 후방(구강 최내측)에 소대부 절개선과 구치부 후방 절개선을 포함할 수 있으며, 다양한 치열 형상에 맞춰 실링부(130)가 원활하게 변형될 수 있도록 절개부가 관리 수단(100)의 둘레를 따라서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절개부는 실링부의 자유단으로부터 연결부 방향으로 연결부에 직교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자유단 측으로 갈수록 절개폭이 커지게 형성될 수 있다.
돌기부(150)는 치아에 맞닿는 부분에 주로 돌출 형성되며, 다수 개가 외벽(101) 내측에 분산배치될 수 있다. 돌기부(150)에는 도 4 와 같이 요철부(155)가 형성될 수 있다. 요철부(155)는 돌기부(150)에 나사산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나, 다른 형태로 돌기부가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5 및 6 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구강 관리 장치(1)의 동작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구강 관리 장치(1)는 흡인 수단(15)의 흡입력을 통해서만 유체(액체/기체)가 이동되기 때문에 마우스 피스형의 관리 수단(100)의 공간부(140)에 치아 및 잇몸을 위치시킨 후 제어부(90)가 흡인 수단(15)을 동작시키면, 관리 수단(100)의 공간부(140)에 흡입력이 작동하면서 공간부(140)의 공기가 흡인 수단(15)으로 이동하면서 실링부(130)가 잇몸(Q)에 밀착하여 공간부(140)가 밀봉된다.
공간부(140)가 밀봉되고, 액체 제어 수단(25)이 개방된 상태에서 공간부(140)에 걸린 흡입력은 액체 공급부(20)의 액체를 공간부(140)로 빨아드려, 공간부(140)에 액체가 유입된다. 그 후 액체 제어 수단(25)이 액체의 유입을 차단하고, 공기 제어 수단(35) 역시 공기의 유입을 차단하면, 흡입 수단(15)에 의해서 공간부(140)에는 음압이 걸리게 되며, 외부와 내부의 압력 차에 의해서 외벽(101)은 치아(T)를 에 밀착하는 방식으로 변형되게 된다(도 5(b), 도 6(b) 참고; 음압 형성 단계).
이때, 외벽(101)에 형성된 돌기부(150)는 치아(T)의 표면을 따라서 이동하면서, 치아에 부착된 이물질 및 세균을 물리적으로 긁어내게 된다.
그 후에 공기 제어 수단(35)이 외부 연결 통로(30)를 개방하게 되면, 공간부(140)의 압력은 외부 대기압과 같아지게 되며, 그로 인하여 공간부(140)에 음압에 의해서 변형됐던 외벽(101)은 원래의 형상으로 복귀하며(도 5(a), 도 6(a)참고, 음압 복귀 단계), 이때에도 외벽(101)에 형성된 돌기부(150)는 치아(T)의 표면을 따라서 이동하면서, 치아에 부착된 이물질 및 세균을 물리적으로 긁어내게 된다.
흡인 수단(15)을 계속적으로 동작시킨 상태에서, 공기 제어 수단(35)을 개방/폐쇄를 반복적으로 수행하게 되면, 공간부(140)에는 음압의 형성/해제가 반복되게 되며, 그에 따라서, 외벽(101)이 움직이게 된다. 따라서, 외벽(101)에 형성된 돌기부(150)는 치아(T)의 표면을 따라서 반복 이동할 수 있어서, 치아(T)의 표면을 닦아낼 수 있다. 또한, 액체제어수단(25)과 공기제어수단(35)을 번갈아가며 차단해도 외벽(101)이 반복 변형 되면서 돌기부(150가 치아(T)의 표면을 따라 이동하면서 닦을 수 있다.
도 2 와 같이 추가 성분 공급부(40)가 있는 경우에, 액체와 추가 성분 중 물이 아닌 성분을 공간부(140)에 공급한 후 상술한 공기 제어 수단(35)의 제어를 수행하며, 공기 제어 수단(35)의 개방/폐쇄는 수차례 수행한 후 다시 액체 혹은 추가 성분을 공급하고, 다시 공기 제어 수단(35)의 개방/폐쇄를 수행하는 단계를 반복적으로 수행한다. 일련의 과정이 종료된 후 마지막에는 물을 공급하고 흡인하여 종료한다.
상기 액체의 공급 및 공기 제어 수단(35)의 개방/폐쇄 반복은 치아(T)를 칫솔질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수행하게 되며, 단순히 물을 흘리는 것보다 개선된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7 및 8 에는 본 발명의 구강 관리 장치가 설치된 모습을 보이고 있으며, 도 7 이나 도 8 에서 보이듯이, 앞니나, 어금니에 상관없이 실링부(130)가 잇몸(Q)에 밀착하여 공간부(140)를 밀봉하며, 외벽(101)에 형성된 돌기부(150)가 치아의 표면을 긁어내면서 향상된 치아 세정을 제공하게 된다.
필요한 경우에 잇몸(Q)을 향하여 돌기부(150)가 돌출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돌기부(150)는 잇몸을 마사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9 에는 관리 수단(100)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9 에서 보이듯이, 관리 수단(100)의 외벽(101) 중 상부 외면(101a)은 도 7 이나 8 과 동일한 구조를 가지나, 측부 외벽(101b)은 주름구조와 같이 절곡부(102)가 형성된다. 절곡부(102)는 이 실시예에서는 측부 외벽(101b)에 형성되어 있으나, 상부 외면(101a)에도 형성될 수 있다.
이 실시예와 같이 절곡부(102)가 외벽(101)에 형성되면, 음압 형성 시에 외벽(101)이 절곡부(102)를 중심으로 변형됨으로써, 치아(T)에 밀착되는 형상을 일정한 방향으로 제어할 수 있으며, 이는 외벽(101)의 변형에 의해서 돌기부(150)가 치아(T)를 특정방향으로 긁어낼 수 있게 한다.
통상 치아(T)에서 양치가 부족해도 볼과 입술의 점막과 혀의 마찰에 의해 자가세정이 되어 충치가 잘 발생하지 않는 부분과 이물질이 끼는 부분 및 충치가 잘 발생하는 부분이 정해져 있다는 점을 고려할 때, 절곡부(102)는 치아와 치아 사이 혹은 치아 상면의 홈을 중심으로 외벽이 변형될 수 있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르게, 절곡부(102)가 아닌, 다른 외벽(101)보다 두께가 얇은 홈이 형성되어, 변형을 유도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0 내지 12 에는 본 발명의 관리 장치(100)의 다른 실시예들이 도시되어 있다.
도 10 에서는 상기 관리 수단(100)은 마우스 피스 형태로 형성되며, 유체 입구(110)는 마우스 피스형의 관리 수단(100)의 후방(구강의 최내측)에 나눠서 배치되며, 그로 인하여 유체 흐름(F)은 구강 내측에서 외측(입술 측)으로 흐르게 된다. 이때, 유체 입구(110)는 양 후측에 각각 배치되므로 2개의 입구를 가지며, 이에 반하여 유체 출구(120)는 가운데 하나만 배치된다. 이 때 유체의 입구와 출구는 바뀔 수 있으며, 유체 흐름은 구강 외측에서 내측으로 흐르게 된다.
도 11 에서는 다른 실시예가 게시되어 있는데, 유체 입구(110)는 관리 수단(100)의 후방의 일측에 배치되고, 유체 출구(120)는 관리 수단(100)의 후방 타측에 배치된다. 그로 인하여 유체 흐름(F)은 후방 일측에서 외측을 지나서 후방 타측으로 흐르게 되면서 전체 치아 영역을 통과하게 된다.
도 12 에서는 상측 치아와 하측 치아를 동시에 관리할 수 있도록 관리 수단(100')이 상하 방향으로 대칭되게 배치된다. 이때, 유체 입구 및 유체 출구는 외벽(101)의 상부 외벽(101a)이 아닌 측부 외벽(101b)에 연결되게 된다. 이 실시예의 경우에 양측을 동시에 관리할 수 있기 때문에 관리 시간 면에서 유리하다. 본 실시예는 상,하악의 구치부(후방부) 측면에 유체 입구 및 출구를 형성하고 전치부에서 상,하악 공간부(140)를 개통한 형상이나, 그 반대로 상,하악 전치부(전방부)에 유체입구 및 출구를 각각 형성하고 구치부에서 상,하악 공간부(140)를 개통한 형상도 가능하다.
도 12에서는 상하의 대칭된 모습을 도시하고 있으나 상측에서 유체가 유입되고 하측에서는 유체가 유출되는 혹은 하측에서 유체가 유입되고 상측에서능 유체가 유출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2 에서 관리 수단(100')은 도 11과 같은 관리 수단(100)을 결합 또는 부착하여 형성되나, 일체형으로 제작하는 것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3 및 14 에는 본 발명의 관리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앞서 말한 바와 같이, 치아에서 모든 영역에 이물질이 끼는 것이 아니라, 특정 영역에 집중적으로 낄 수밖에 없으며, 이물질이 끼는 영역은 주로 오목부나 홈이다.
도 13 및 14 의 실시예에서는 공간부(140)를 치아(T)에 대응되게 형성하되, 상기 이물질이 끼는 영역을 중심으로 유체가 흐를 수 있도록, 외벽(101)이 치아 및 잇몸과 접하는 접촉 영역(C)과 상기 접촉 영역(C)으로부터 외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되어 상기 액체가 통과하는 비접촉 영역(N)을 포함한다. 외벽(101)은 잇몸 영역까지 밀착 연장하여, 유체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13 및 14 의 실시예에서 돌기부(150; 도 4 참고)는 형성되지 않았으나, 상기 비접촉 영역(N)에만 선택적으로 돌기부(150)가 형성될 수 있다.
유체의 흐름 속도는 외벽(101)과 치아나 잇몸 사이의 공간에 따라서 변화하게 되는데, 사이 공간이 크면 유체 흐름 속도가 감소하며, 외벽(101)과 치아나 잇몸 사이의 공간이 작으면 유체 흐름 속도가 증대된다. 유체 흐름 속도가 빠르면 이물 제거 효과가 크게 된다.
도 13 및 14 의 실시예에서는 액체가 통과하는 비접촉 영역(N)을 이물이 자주 끼는 부분으로 형성하고, 이물이 끼지 않는 부분은 치아나 잇몸과 접촉하는 접촉 영역(C)이 되게 외벽(101)을 형성하여, 액체가 통과하는 영역을 제한하여 빠른 흐름으로 필요한 영역만 지나가게 하는 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세정에 필요한 세정액의 양을 줄이고, 액체공급부(20)의 크기를 줄여 전체적인 장치의 크기를 줄일 수 있다.
이러한 도 13 및 14 의 실시예의 경우에 접촉 영역(C) 및 비접촉 영역(N)을 정확하게 형성하기 위하여는 사용자별 구강 구조와 일치하는 것이 필요하므로, 관리 수단(100)은 맞춤형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5 에는 도 13 및 14 의 실시예에서 맞춤형 관리 수단을 제작하는 방법의 순서도가 도시되어 있다.
맞춤형 관리 수단은 사용자의 치아 형상을 얻어내는 복제 형상 준비 단계(S100); 상기 복제 형상에 유로 형성 부재를 부착하는 유로 형성 부재 부착 단계(S110); 유로 형성 부재가 부착된 복제 형상에서 유로 형성 부재을 경화시키는 유로 형성 부재 경화 단계(S120); 유로 형성 부재가 부착된 복제 형상에 수지재를 도포하여 외벽을 형성하는 외벽 형성 단계(S130); 복제 형상에 부착된 수지재를 경화시키는 외벽 경화 단계(S140); 및 형성된 외벽을 분리하는 외벽 분리 단계(S130)를 포함하며, 외벽 분리 단계(S150)와 동시에 혹은 그 전에 유체 입구나 유체 출구와 같은 연결 포트를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복제 형상 준비 단계(S100)는 종래의 치과에서 사용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사용자의 치아 형상과 동일한 형상을 준비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치아 형상이란 치아만의 형상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치아와 치아와 연결된 잇몸부분의 형상을 포함한다. 복제 형상을 준비하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복제 형상 준비 없이 사용자의 치아에 직접 후속 단계를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는 사람(사용자)을 대상으로 하는 것을 중심으로 설명하나, 앞서 말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포유류, 예를 들면 개, 고양이를 대상으로 한다.
유로 형성 부재 부착 단계(S110)에서는 준비된 복제 형상에 이물이 잘 끼기 쉬운 부분을 중심으로 반죽 상태의 광중합(light-cure) 레진인 유로 형성 부재를 부착한다. 도 16 에서 보이듯이, 유로 형성 부재(190)는 후에 관리 수단(100)의 유로를 형성하게 되므로, 전 치아(T') 전역에 걸쳐서 형성하되 구강 내 점막이나 혀에 의한 자가세정작용에 의해 이물이 잘 부착되지 않는 부분을 제외하고 부착한다. 예를 들어 잇몸(Q1)과 치아(T') 경계부위, 치아와 치아 사이 혹은 치아 교합면의 홈을 중심으로 형성한다.
유로 형성 부재 경화 단계(S120)에서는 유로 형성 부재(190)가 부착된 복제 형상을 광중합기에 넣고 광을 조사함으로써, 유로 형성 부재(190)를 경화시킨다. 이때, 경화된 유로 형성 부재에 유체 입구나 유체 출구를 형성하기 위한 포트를 부착하는 것도 가능하나, 포트 부착은 위에 외벽을 형성한 후에 부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실시예에서는 유로 형성 단계를 유로 형성 부재 부착 단계(S110)와 유로 형성 부재 경화 단계(S120)으로 나눠서 설명하였으나, 다른 실시예에서는 별도의 경화 단계 없이 유로 형성 부재로 유로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자가 중합 소재를 사용하여 별도의 경화 단계 없이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며, 열가소성 수지를 사용하여 유로를 형성한 후 경화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외벽 형성 단계(S130)에서는 유로 형성 부재(190)가 부착된 복제 형상에 경화 전의 실리콘 재료를 압착한 후 경화하거나 연화된 수지재를 압착 가공하여 일정 두께를 가지는 외벽을 형성한다. 실리콘 압착경화는 경화 전 상태의 실리콘 재료를 유로 형성 부재(190)가 부착된 복제형상에 압착한 후 통상적인 실리콘 경화방법을 이용하여 경화시킨다. 수지재 압착가공을 위해서는 진공 성형기에 열가소성 시트를 올린 후, 열을 가하여 녹인 후 진공을 걸어 유로 형성 부재(190)가 부착된 복제 형상에 수지재를 밀착시킨다(도 17 참고).
외벽 경화 단계(S140)는 밀착된 수지재를 냉각하여 경화시키는 단계로, 별도의 냉각 혹은 자연 냉각을 통하여 경화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앞의 유로 형성 단계와 마찬가지로, 외벽의 형성은 이 실시예에서는 외벽 형성 단계(S130)와 외벽 경화 단계(S140)로 나눠서 수행되나, 사용되는 소재에 따라서 별도의 경화 단계 없이 단일 단계로 수행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형성된 외벽은 외벽 분리 단계(S150)에서 복제 형상으로부터 분리시킨다. 분리된 외벽에 유체 입구나 유체 출구를 위한 포트를 형성한다. 이외, 포트는 상기 유로형성부재 부착 및 경화단계에서 포트 내부의 유로를 형성하고 외벽형성 및 경화단계에서 포트 외벽을 형성할 수 있다.
도 15 내지 17 과 같이 제작된 맞춤형 관리 수단(100)은 사용자의 치아와 상응하는 형상을 가지면서 이물이 주로 끼는 부분에 빠른 유체 흐름을 제공하고 세정에 필요한 물의 양이 적으므로 치아의 관리에 용이하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유체를 가압 수단에 의해서 분사하지 않으면서도 빠른 유체 흐름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5 내지 17 은 실제 물건(치아 혹은 복제 형상)을 대상으로 유로가 형성되는 맞춤형 마우스피스의 구조 및 제작방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에서 맞춤형 관리 수단(마우스피스)는 컴퓨터를 통하여 설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복제 형상 준비 단계(S100)는 치과에서 사용되는 구강(치아) 스캐너를 통하여 사용대상 치아 정보를 얻는 정보 획득 단계로 대체될 수 있으며, 유로 형성 부재 부착 단계(S110)는 상기 정보 획득 단계에서 얻어진 치아 정보에 유로 형성 구조 정보를 추가하는 유로 추가 단계가 될 수 있다. 즉, 컴퓨터의 치아 정보에 유로 형성 구조 정보를 추가하여 복제 형상에 유로 형성 부재를 부착한 것과 동일한 형상의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이렇게 얻어진 정보를 가지고 3D 프린터와 같은 장치를 통하여 사용대상 치아의 복제 형상을 제작할 수 있으며, 상기 복제 형상에 상기 외벽 형성 단계(S130) 내지 외벽 분리 단계(S150)를 수행하여 맞춤형 관리 수단을 얻는다.
다르게, 컴퓨터를 통하여 유로 형성 구조 정보가 추가된 정보(데이터)로부터 외벽 구조 정보를 얻는 것도 가능하며, 복제 형상의 제작 없이 바로 외벽 구조 정보를 가지고 외벽을 제작할 수도 있다.
도 18, 19 에는 본 발명의 관리 수단의 또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로, 도 18a 는 축소 변형된 모습을, 도 18b는 변형되지 않은 모습을 도 18c는 확대 변형된 모습을 보이는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19a ~ c 에는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8 내지 도 26 에서 설명되는 관리 수단의 실시예들은 관리 수단이 흡인력에 의해서 변형되는 것에 더하여 구강 구조에 맞게 변형 가능한 구조이므로, 이하에서는 '가변형 마우스피스'라고도 부를 수 있다.
도 18a ~ 18c 에서 보이듯이, 관리 수단(100)인 가변형 마우스피스는 액체나 공기(기체)가 유입될 수 있는 유체 입구(110)와 유체 입구(110)로 유입된 유체가 공간부(140; 도 4 참고)를 통과하여 빠져나갈 수 있는 유체 출구(120)가 외벽(101)에 형성된다. 공간부(140)를 형성하는 외벽(101)과 상기 외벽(101)에 연결되며 장착시 잇몸과 함께 공간부(140)를 밀봉하는 실링부(130) 및 상기 실링부(130)와 외벽부(101)를 연결하는 연결부(160)를 포함한다.
도 18a ~ c의 실시예에서 유체 입구(110)는 구강 내측(Y 방향에서 안쪽)에서 관리 수단(100)의 양 단부에 인접하여 각각 형성되며, 유체 출구(120)는 구강 외측에서 관리수단(100)의 중앙부에 형성되나, 도 3 이나 도 11 과 같이 변경될 수도 있다.
또한, 연결부(160)는 관리 수단(100)의 형태 유지 및 강도 확보를 위하여 외벽(101)이나 실링부(130) 보다 두꺼운 두께 혹은 강성이 높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동일 재질에 강성을 위한 프레임 구조가 추가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8a ~ c의 실시예에서 관리 수단(100)의 길이 방향(L; 도 19 참고) 양단부는 실링부만 형성된다.
도 18, 19 의 실시예는 도 3 의 실시예와 동일하게 전체적으로 관리 수단(100)은 마우스 피스 형상을 가지며, 외벽(101)은 치아가 삽입될 수 있도록 일측이 개방되게 구성된다. 즉, 외벽(101)은 단면이 전체적으로 'ㄷ'자 형상을 가지게 된다. 외벽(101)의 내측면에는 다수의 돌기부(150)가 형성된다.
도 18, 19 의 실시예에서는 도 3 의 실시예에 추가로 관리 수단(100)의 외벽(101)에서 관리 수단(100)의 길이 방향(L)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외벽(101) 및 실링부(130)를 통과하며 가변부(170)가 형성되어 있다.
외벽(101)의 'ㄷ'자 단면 상에서 중앙에 위치하는 면을 제1면, 상기 제1면의 양측으로 연장되는 면을 제2면이라 할 때, 가변부(170)는 중앙의 상기 제1면에서 연장된 부분과 상기 제2면에서 연장된 부분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변형되도록 구성되는 가변 유도부(171~175)를 포함한다.
가변 유도부(171~175)는 외벽(101)보다 두께가 얇은 면(171, 175)과 상기 면들이 쉽게 접힐 수 있도록 미리 형성되어 있는 접힘부(172, 173, 174)를 포함한다. 제1면에서의 접힘부(172)는 외벽(101)에서 공간부(140; 도 4 참고) 방향으로 접히도록 미리 접혀 있으며, 제2면에서의 접힘부(174)는 외벽(101)에서 공간부(140)의 반대방향으로 접히도록 미리 접혀 있다. 접힘부(173)은 상기 제1면과 제2면에서 서로 반대 방향으로 면(171, 175)이 접힐 수 있게 한다.
가변부(170)는 관리 수단(100)의 길이 방향(L) 양 단부로부터 상기 관리 수단의 길이의 1/2미만 내지 1/4이상만큼 이격된 지점에 각각 배치된다. 가변부(170)가 1/4 보다 작은 거리로 길이 방향 양 단부로부터 이격된 지점에 배치되는 경우에는 구강 내외측 방향(도 18, 19 에서 Y 방향)으로의 변형만 가능하나, 상기 범위에 가변부(170)가 위치되면 도 19 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구강의 폭 방향(도 18, 19 에서 X방향)으로도 변형이 가능하여, 다양한 구강 형상에 적용이 가능하다.
즉, 도 19a와 같이 내측 가변부(170a)가 축소 변형되고, 외측 가변부(170b)가 확장 변형되는 경우에 관리 수단(100)의 양 단부는 모이게 되며, 도 19c 와 같이 내측 가변부(170a)가 확장 변형되고, 외측 가변부(170b)가 축소 변형되는 경우에 관리 수단(100)의 양 단부는 벌어지게 된다.
통상 치아는 송곳니를 중심으로 전방에는 반원형으로 앞니가 배치되고, 후방에는 거의 직선형으로 어금니가 배치된다. 따라서, 송곳니의 위치에 가변부(170)를 위치시킴으로써, 공간부(140)의 중앙부에 치아가 배치될 수 있다. 도 19를 참고하면, 단부로부터 가변부(170)까지의 거리(L1, L3)가 가변부(170) 사이의 거리(L2)와 동일하거나 0.8~1.2배 사이일때, 송곳니의 위치에 가변부(170)가 위치하게 된다.
이렇게 가변부(170)가 송곳니의 위치에 배치되는 경우, 공간부(140)의 중앙부에 치아가 배치되며, 흡인 수단(15)에 의해서 외벽(101)이 치아에 밀착/떨어짐이 반복되는 동작으로 인한 돌기부(150)와 치아의 마찰이 치아 내외측에 고르게 발생하여 치아 관리에 유리함을 제공할 수 있게 한다.
가변부(170)는 외벽(101)과 동일한 유연한 재질로 형성되되, 외벽(101)에 비하여 두께가 얇게 형성되어 쉽게 변형될 수 있게 하거나, 외벽(101)과 동일한 두께를 가지더라도 더 유연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8 및 도 19 의 실시예에서는 가변부(170)가 상기 제1면, 제2면에 따라서 다른 방향으로 변형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도 20 이나 21 의 실시예에서는 가변부(170)가 한 방향으로만 변형되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도 20 의 경우에 다른 구성은 도 18 및 19 의 실시예와 동일하다. 다만, 도 20 에서는 관리 수단(100)의 외벽(101)에서 관리 수단(100)의 길이 방향(L)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외벽(101) 및 실링부(130)를 통과하는 가변부(170)가 공간부(140; 도 4 참고)의 반대 방향으로만 변형되도록 볼록하게 형성된다.
또한, 도 20의 실시예에서, 관리 수단(100)의 길이 방향 중앙의 외측에는 실링부의 폭이 좁아지거나, 실링부가 없는 홈부(131)가 구비된다. 이 홈부(131)는 상순 소대(labial frenum)나 설측 소대(lingual frenum)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여 상순 소대나 설측 소대로 인하여 실링부(130)가 들려 실링이 형성되지 않는 것을 예방할 수 있고, 음압이 형성될 때 관리 수단(100)이 수축함에 따라 상순소대와 설측소대가 자극되어 통증을 유발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도 21 의 실시예에서는 도 20 과 유사하되, 가변부(170)는 외벽(101)에만 형성되고, 상기 가변부(170)에 대응되는 위치의 실링부(130)에는 절개부(133)가 형성된다. 절개부(133)는 실링부(130)의 외벽 방향을 따라서 가변부(170) 형성 폭만큼 절개되는 상부 절개부(133b)와, 상기 상부 절개부(133b)로부터 외측으로 연장하며, 길이 방향에 대략 수직하게 형성되는 측면 절개부(133a)를 포함하여 대략 'ㄱ'자 또는 'T'자 형태로 형성된다.
절개부(133)는 자유단을 가져서, 가변부(170)의 변형에 따라서 상기 자유단이 실링부(130)와 겹쳐질 수 있어, 실링부(130)가 변형될 필요가 없으므로 안정적으로 밀봉이 가능하다.
가변부(170)가 공간부(140) 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도 22 내지 도 25 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이 개시되어 있다.
도 22 의 경우에 기본 구성은 도 3 이나 도 18의 구성과 동일하다. 즉, 관리 수단(100)은 외벽(101), 유체 입구(110), 유체 출구(120), 실링부(130), 공간부(140; 도 4 참고), 연결부(160)를 포함한다. 그러나, 도 22 의 관리 수단(100)은 도 3 이나 도 18 과는 다르게 외벽(101)에서 관리 수단의 길이 방향(L)을 따라서 연장하는 가변부(180)를 포함한다.
가변부(180)는 외벽(101)의 길이 방향을 따르는 중앙선을 기준으로 외측에 배치되는 외측 가변부(180a)와 중앙선을 기준으로 반대측에 배치되는 내측 가변부(180b)를 포함한다.
외측 및 내측 가변부(180a, 180b)는 모두 공간부(140; 도 4 참고) 방향으로 접혀지도록 접힘부(181)가 형성되어 있다. 접힙부(181)는 외벽(101)의 길이방향 단부의 연결부(160)에 연결되어 있으며, 관리 수단(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연장된다.
도 22a, b의 실시예의 경우에 관리 수단(100)의 길이 방향(도 22 의 Y방향)으로는 가변은 불가능하지만, 외벽(101)의 외면을 따라서 변형가능하므로, 폭 방향과 높이 방향에서 변형이 가능하다.
관리 수단(100)은 인체의 입안으로 들어가는 구조이며, 입안은 약하고 민감한 조직이기에 딱딱한 물체가 삽입되는 경우에 사용자가 느끼는 불쾌감이 커서, 관리 수단이 딱딱하면 사용을 기피하거나 심하면 사용을 거부할 수 있다. 그렇다고 너무 유연한 재질로 관리 수단(100)을 형성하는 경우에 치아와의 마찰로 인한 이물제거를 위한 힘이 돌기부(150)로 전달되지 못하여 실질적으로 구강 관리가 어려울 수 있다.
가변부(180)의 경우에 돌기부(150)로 힘 전달은 가능하되 사용자가 구강 내에서 느끼는 불쾌감을 최소화하며, 상하 방향으로 공간이 작은 구강에도 관리 수단(100)이 용이하게 들어갈 수 있도록 관리 수단(100)의 변형을 제공할 수 있다.
가변부(180)의 경우에 관리 수단(100)의 길이 방향(L), 즉, 유체의 흐름(F)을 따라서 형성되기 때문에 공간부(140)로 접혀져도 유체 흐름에 영향을 주지 않으므로, 도 22a와 같이 내측으로 접히게 형성될 수 있으나, 도 22b 와 같이 외측으로 접히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23 의 실시예의 경우에, 도 22a, b와 같이 가변부(180)가 형성된다는 점은 동일하다. 하지만, 도 22a, b 와는 달리 도 23 의 실시예에서 가변부(180)는 단부에서 연결부(160)과 연결되는 것이 아니라, 실링부(130)에 바로 연결된다. 즉, 연결부(160)는 가변부(180)와 실링부(130)의 연결 부분에서 절개된 절개부(162)를 포함하게 된다.
도 24 의 실시예는 도 22a의 실시예와 기본적으로 동일하며, 추가의 가변부(170)를 더 포함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추가 가변부(170)는 도 18 및 19 에서 설명한 가변부(170)와 동일하며, 따라서, 도 24 의 실시예는 외벽(101)에서 관리 수단의 길이 방향(L)을 따라서 연장하는 가변부(180)와 적어도 상기 외벽(101)에서 관리 수단의 길이 방향(L)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가변부(170)를 모두 포함한다.
도 24 의 실시예의 관리 수단(100)의 경우에 구강 내외 방향(Y 방향), 구강 폭방향(X 방향), 높이 방향(Z 방향)에 대하여 변형이 가능하여, 사용자의 구강 사이즈에 맞는 관리 수단(100)으로 변형될 수 있다.
도 25 의 실시예의 관리 수단(100)은 도 24 의 관리 수단(100)과 기본적으로 동일하며,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절개부(170)를 두고 길이 방향 양측에 배치되어 가변부(170)의 변형을 제한하는 길이 조절수단(210)을 더 포함한다.
길이 조절수단(210)은 절개부(170)를 중심으로 길이 방향 단부측에서 외벽(101)에 연결된 밴드 연결부(211a), 상기 밴드 연결부(211a)로부터 1단부에서 일정 간격을 두고 돌출 형성된 조절 돌기부(212)와 상기 절개부(170)를 중심으로 길이 방향 중앙측에서 외벽에 연결 형성되며 상기 밴드(211)와 밴드의 조절 돌기부(212)가 들어갈 수 있는 고리부(213)를 포함한다.
고리부(213)는 고리부(213)나 조절 돌기부(212)가 탄성 변형하여 밴드(211)의 조절 돌기부(212)가 통과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고리부(213)에 조절 돌기부(212)가 걸림으로써, 절개부(170)를 변형을 제한하여 관리 수단(100)의 길이를 조절한다. 밴드(211)는 가변부(170)보다 변형이 어렵게 구성(더 두꺼운 동일 재질 및/또는 같은 두께지만 변형이 어려운 재질)된다.
도 26a 내지 26c 에서 관리 수단(100)의 또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26 의 관리 수단은 기본적으로는 도 18 의 관리 수단(100)과 동일하나, 길이 방향(L)의 중앙부분에서 내측 방향으로 외벽(101) 및 실링부(130)에 가변부(200)가 형성된다. 가변부(200)는 공간부(140; 도 4 참고)의 반대 방향 또는 공간부 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며, 가변부(200)의 변형에 따라서, 관리 수단(100)의 폭이 좁아지거나 넓어질 수 있다.
도 27 에는 본 발명의 구강 관리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의 개략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구강 관리 장치(1)는 사용자의 구강 내에 삽입되어 구강 내의 치아 혹은 잇몸에 유리한 효과를 제공하는 관리 수단(100)과 상기 관리 수단(100)에 연결되어, 상기 관리 수단(100)으로 액체/기체를 공급 혹은 배출하도록 상기 관리 수단(100)에 연결된 본체로 구성된다.
도 27 에서 구강 관리 장치(1)는 액체 공급부(20); 상술한 관리 수단(100), 예를 들면 마우스피스, 상기 관리 수단(100)에 연결되며 상기 액체 공급부(20)로부터 액체를 흡입하여 상기 공간부로 도입하며, 상기 공간부의 유체를 흡인하는 흡인 수단(15), 예를 들면 펌프, 상기 흡인 수단(15)에 연결되며 상기 관리 수단의 공간부에서 흡인된 유체를 저장하는 배출 수단(10), 예를 들면, 저장 탱크 및 상기 배출 수단(10)에 연결되며, 저장된 유체의 상태를 측정하는 측정부(5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액체 공급부의 액체는 상기 흡인 수단의 흡인력에 의해서만 상기 공간부로 도입되며, 상기 관리 수단(100)은 외부를 연통시키는 외부 연결 통로(30);와도 연결되어 있다.
액체 공급부(20), 액체 제어 수단(25), 외부 연결 통로(30) 및 공기 제어 수단(35)과 흡인 수단(15)는 앞서 도 1 에 대한 설명 등 다른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 실시예에서는 차이점인 측정부(50) 및 상기 측정부에 연결된 전송부(55)를 중심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배출 수단(10)의 일측에 측정부(50)가 장착되며, 상기 측정부(50)는 배출 수단에 저장된 유체의 상태를 측정하게 되므로, 배출 수단의 하부에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용도와 목적에 따라 배출수단(10)내부 특정위치에 장착될 수 있다.
배출 수단(10)에 저장되는 유체는 관리 수단(100)을 통하여 구강 내부를 통과한 유체이기 때문에 구강 내부의 정보를 상기 유체로부터 얻어낼 수 있으며, 측정부(50)는 이러한 정보를 얻을 수 있는 센서를 포함한다.
구강 정보를 얻을 수 있는 센서로 TDS(Total Dissolved Solid)를 측정하는 TDS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TDS 센서로는 Xiaomi 의 TDS 미터 테스터를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TDS 센서에 의하면, 용액 내에 포함되어 있는 물질의 양을 측정하는 것이 가능하며, 배출 수단(10)에 저장된 유체 내의 물질을 측정하게 되면, 구강 내에서의 이물질(치태)의 양을 측정할 수 있으며, 이는 구강 내에 정보를 간접적으로 알려주게 된다.
또한, 측정부(50)는 pH 센서를 포함할 수도 있다. pH 센서의 경우에 전극을 통하여 용액의 산도를 측정하는 방식의 센서와, 산도 지시약(예를 들면, BTB 용액)을 사용하여 산도를 측정하는 방식의 센서 중 어느 것을 적용할 수도 있다. 구강 상태에 따라서 산도가 변경되게 된다. 즉, pH 값이 낮을수록 구강의 위생 상태가 불량하다. 따라서, 배출 수단(10)에 저장된 유체는 구강 내를 통과한 유체이므로 저장되 유체의 산도를 측정함으로써, 구강 내의 산도를 유추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구강 내의 위생 상태를 알 수 있다.
다르게, 측정부(50)는 광원 및 광센서를 통하여 배출 수단(10)에 저장된 유체의 탁도를 측정하는 탁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탁도 센서의 경우에 유체에 용해되지 않는 이물이 많아지는 경우에 탁도가 높아지며, 위생 상태가 좋지 않은 경우에 용해되지 않는 이물 역시 증가하므로, 탁도를 측정함으로써 구강 상태를 측정할 수 있다.
나아가, 구강을 통과하는 유체는 자연스럽게 구강 내에서의 균/세포들이 섞여 나오게 되므로, 유전 정보를 활용한 질병 측정 센서나, 다른 센서가 적용될 수 있음을 물론이다.
상기 측정부(50)에서는 단일의 센서만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정확한 구강의 상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복수의 센서가 장착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렇게 측정부(50)에서 측정된 측정값은 이 실시예에서 전송부(55)를 통하여 구강 관리 장치(1)의 외부로 전달될 수 있다. 전송부(55)는 측정된 측정값을 바로 외부로 전달하거나, 제어부(90) 나 다른 연산 수단에 의해 측정값에 기초하여 얻어진 값을 외부로 전달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외부는 외부의 연산 장치, 즉, 개인 컴퓨터, 개인 스마트폰 혹은 서버를 의미한다. 외부의 연산장치는 보내진 측정값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구강 상태를 진단하게 되며, 이를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다.
전송부(55)는 외부 연산 장치와 유선 혹은 무선 방식을 통하여 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으며, 데이터 전송기구는 종래에 알려진 방식, 예를 들면 블루투스, NFC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한편, 배출 수단(10)은 유체를 저장하는 저장부로 될 수도 있으나, 유체를 저장하지 않고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부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때, 측정부(50)는 배출부에 장착되어, 통과하는 유체의 상태를 측정하는 것으로 적용될 수도 있다. 측정부(50)는 저장부에 장착되는 센서와 동일한 센서가 활용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통과하는 유체의 샘플로부터 유체 상태를 측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실시예>
[표 1]은 도 27 의 구강 관리 장치(1)에서 TDS 센서를 포함하는 측정부(50)를 통하여 배출 수단(10)에 저장된 액체를 측정한 결과와 통상의 물을 측정하여 대비한 결과를 보여준다.
대상 | TDS 측정값 |
비교예 1 | 78ppm |
비교예 2 | 81ppm |
발명예 1 | 160ppm |
발명예 2 | 176ppm |
발명예 3 | 165ppm |
비교예 1 은 정수기물을 측정한 값이며, 비교예 2 는 수돗물을 측정한 값이다.
발명예 1 의 경우 정수기물을 액체 공급부(20)에 공급하고 제어부(90)를 통하여 흡인 수단(15)를 동작시켜 10 초간 관리 수단(100)을 통과한 액체가 배출 두단(10)에 저장되었을 때의 측정값이며, 발명예 2 의 경우 수돗물을 액체 공급부(20)에 공급하고 제어부(90)를 통하여 흡인 수단(15)를 동작시켜 10 초간 관리 수단(100)을 통과한 액체가 배출 두단(10)에 저장되었을 때의 측정값이다.
발명예 3 의 경우에 수돗물을 액체 공급부(20)에 공급하고 제어부(90)를 통하여 흡인 수단(15)를 동작시켜 15 초간 관리 수단(100)을 통과한 액체가 배출 두단(10)에 저장되었을 때의 측정값이다.
상기 표 1에서 볼 수 있듯이, 관리 수단(100)을 통과한 액체는 구강 내의 이물(치태)를 포함하기 때문에 측정값이 높아지며 관리 수단(100)을 통과하기 전의 물의 상태 및 사용 시간에 따라서 값이 변화된다. 즉, 초기에는 같은 양의 물이 관리 수단(100)을 통과했을 때 많은 이물이 포함되게 되지만, 이물이 어느 정도 빠져나간 후에는 초기보다 적은 이물이 포함되게 되므로, 측정되는 값은 동작 시간에 따라서 변화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측정부(50)가 한번만 값을 측정하기 보다는 일정 시간 간격으로 계속적으로 측정하여 구강 상태를 유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8 에는 본 발명의 구강 관리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의 개략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8 에서 구강 관리 장치(1)는 액체 공급부(20); 상술한 관리 수단(100), 예를 들면 마우스피스, 상기 관리 수단(100)에 연결되며 상기 액체 공급부(20)로부터 액체를 흡입하여 상기 공간부로 도입하며, 상기 공간부의 유체를 흡인하는 흡인 수단(15), 예를 들면 펌프, 상기 흡인 수단(15)에 연결되며 상기 관리 수단의 공간부에서 흡인된 유체를 저장하는 배출 수단(10), 예를 들면, 저장 탱크 및 상기 배출 수단(10)에 연결되며, 저장된 유체의 상태를 측정하는 측정부(50)와 상기 측정부에 연결되며, 상기 측정부의 측정값을 받아 처리하거나 전달하는 연산부(60)와 상기 연산부에 연결되어 화면 혹은 다이얼을 통하여 처리값 혹은 측정값을 표시하는 표시부(65)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액체 공급부의 액체는 상기 흡인 수단의 흡인력에 의해서만 상기 공간부로 도입되며, 상기 관리 수단(100)은 외부를 연통시키는 외부 연결 통로(30);와도 연결되어 있다.
액체 공급부(20), 액체 제어 수단(25), 외부 연결 통로(30), 공기 제어 수단(35), 흡인 수단(15) 및 측정부(50)는 앞서 도 27 에 대한 설명과 동일하므로, 이 실시예에서는 차이점인 연산부(60) 및 상기 연산부(60)에 연결된 표시부(65)를 중심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연산부(60)는 측정부(50)의 측정값을 받아서 기준값과 비교하거나, 기측정된 측정값, 예를 들어 지난 번 측정된 측정값과 비교하여 측정값으로부터 사용자의 구강 상태에 대한 판단을 한다. 연산부(60)는 연산 처리를 수행할 수 있는 칩으로 구성될 수 있다.
표시부(65)는 상기 연산부(60)에서 데이터를 받아서 표시하는 것으로 액정 표시 장치로 구성될 수 있으나, 아날로그 방식, 예를 들면 계기판과 같은 방식으로 상태를 표시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한편, 도 27 및 28 의 실시예는 치과 의자에 적용될 수도 있다. 측정부(50)의 경우에 간단한 측정은 개인용 관리 장치에 적용될 수 있지만, 유전자 정보나, 균을 검사하는 센서의 경우에 장치의 비용이나 크기 때문에 치과와 같은 전문 기관에만 구비될 수 있다.
치과 의자의 경우에 치과 치료를 위하여 급수, 배수 및 석션라인과 연결되어 있다. 석션 라인은 병원 내부의 기계실의 펌프 혹은 치과 의자에 구비된 펌프에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강 관리 장치의 경우에 별도의 분사 없이 흡인력으로 관리하게 되므로, 치과 의자에 연결되어 있는 석션라인을 통하여 구강 관리 장치가 흡인력을 제공받고 나머지 구성을 치과 의자에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흡인력 형성을 위한 기구를 중복적으로 구비할 필요가 없으며, 치과 의자에 연결된 석션라인을 활용한다는 점에서 충분한 흡입력의 제공도 가능하다.
또한, 치과 의자의 경우에 개인 장비와 달리 공간적으로 여유가 있으며 다수의 환자가 사용한다는 점에서 센서도 다양하게 구비할 수 있어서, 관리 수단을 통하여 얻어진 유체로 다양한 구강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관리 수단에 식별용 칩을 매립하여, 개인정보와 식별용 칩을 연계시키고, 저장된 유체의 정보를 상기 개인 정보와 연동시킴으로써, 다수의 사용자가 구강 관리 장치를 사용하더라도 각 사용자별로 정보를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정보는 구강 관리 장치에 연결된 컴퓨터에 저장되거나 온라인으로 연결된 서버에 저장될 수 있으며, 저장된 서버에 각 사용자가 단말기(예를 들면 스마트폰)를 통하여 접속하여 개인 정보를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저장된 정보는 빅데이터로 활용하여 성별, 연령별, 지역별, 개인별 통계자료로 활용할 수도 있다.
1: 구강 관리 장치
10: 배출 수단
15: 흡인 수단 20: 액체 공급부
25: 액체 제어 수단 30: 외부 연결 통로
35: 공기 제어 수단 40: 추가 액체 공급부
45: 추가 액체 제어 수단 50: 측정부
55: 전송부 60: 연산부
65: 표시부 100: 관리 수단
101: 외벽 110: 유체 입구
120: 유체 출구 130: 실링부
150: 돌기부 155: 요철부
160: 연결부 190: 유로 형성 부재
170, 180, 200: 가변부 210: 길이 조절수단
15: 흡인 수단 20: 액체 공급부
25: 액체 제어 수단 30: 외부 연결 통로
35: 공기 제어 수단 40: 추가 액체 공급부
45: 추가 액체 제어 수단 50: 측정부
55: 전송부 60: 연산부
65: 표시부 100: 관리 수단
101: 외벽 110: 유체 입구
120: 유체 출구 130: 실링부
150: 돌기부 155: 요철부
160: 연결부 190: 유로 형성 부재
170, 180, 200: 가변부 210: 길이 조절수단
Claims (11)
- 액체 공급부;
상기 액체 공급부에 연결되며, 구강 내에 삽입시 상측 혹은 하측 중 적어도 어느 한 측의 치아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부가 형성된 마우스피스;
상기 마우스피스에 연결되며 상기 액체 공급부로부터 액체를 흡입하여 상기 공간부로 도입하며, 상기 공간부의 유체를 흡인하는 펌프;
상기 펌프에 연결되며, 상기 공간부에서 흡인된 유체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저장부에 연결되며, 저장된 유체의 상태를 측정하는 측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액체 공급부의 액체는 펌프의 흡인력에 의해서만 상기 공간부로 도입되는 구강 관리 장치.
- 액체 공급부;
상기 액체 공급부에 연결되며, 구강 내에 삽입시 상측 혹은 하측 중 적어도 어느 한 측의 치아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부가 형성된 마우스피스;
상기 마우스피스에 연결되며 상기 액체 공급부로부터 액체를 흡입하여 상기 공간부로 도입하며, 상기 공간부의 유체를 흡인하는 펌프;
상기 펌프에 연결되며, 상기 공간부에서 흡인된 유체가 배출되는 배출부; 및
상기 배출부에 연결되며, 배출되는 유체의 상태를 측정하는 측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액체 공급부의 액체는 펌프의 흡인력에 의해서만 상기 공간부로 도입되는 구강 관리 장치.
- 제 1 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부에 연결되며, 유선 혹은 무선의 데이터 전송기구를 포함하여 상기 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정보값 혹은 상기 정보값에 기초한 처리값을 외부로 전송하는 전송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관리 장치.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부에 연결되며, 화면을 통하여 상기 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정보값 혹은 상기 정보값에 기초한 처리값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관리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은 배수통이며,
상기 측정부는 배수통의 일측에 장착된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관리 장치.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은 배출 배관이며,
상기 측정부는 배수 배관의 일부분에 장착된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관리 장치.
-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오염도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관리 장치.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오염도 센서는 TDS(Total Dissolved Solid) 센서 혹은 탁도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관리 장치.
-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pH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관리 장치.
- 치과용 의자로서,
치과 치료시 발생되는 유체를 흡입하기 위하여 석션 수단에 연결된 석션 라인 및 구강 관리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구강 관리 장치는
액체 공급부; 상기 액체 공급부에 연결되며, 구강 내에 삽입시 상측 혹은 하측 중 적어도 어느 한 측의 치아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부가 형성된 마우스피스; 상기 석션 라인에 연결되며, 상기 공간부에서 흡인된 유체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저장부에 연결되며, 저장된 유체의 상태를 측정하는 측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액체 공급부의 액체는 석션 라인을 통한 흡인력에 의해서만 상기 공간부로 도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의자.
- 치과용 의자로서,
치과 치료시 발생되는 유체를 흡입하기 위하여 석션 수단에 연결된 석션 라인 및 구강 관리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구강 관리 장치는
액체 공급부; 상기 액체 공급부에 연결되며, 구강 내에 삽입시 상측 혹은 하측 중 적어도 어느 한 측의 치아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부가 형성된 마우스피스; 상기 석션 라인에 연결되며, 상기 공간부에서 흡인된 유체가 배출되는 배출부; 및 상기 배출부에 연결되며, 배출되는 유체의 상태를 측정하는 측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액체 공급부의 액체는 석션 라인을 통한 흡인력에 의해서만 상기 공간부로 도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의자.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57918A KR101999236B1 (ko) | 2017-11-24 | 2017-11-24 | 구강 관리 장치 및 치과용 의자 |
US15/871,367 US10716651B2 (en) | 2017-06-27 | 2018-01-15 | Oral care device and oral care method |
JP2018006390A JP6473834B2 (ja) | 2017-06-27 | 2018-01-18 | 口腔ケア装置及び口腔ケア方法 |
CN201880013011.XA CN110325145A (zh) | 2017-06-27 | 2018-06-27 | 口腔护理装置和口腔护理方法 |
EP18822582.5A EP3646815A4 (en) | 2017-06-27 | 2018-06-27 | ORAL CARE DEVICE AND ORAL CARE PROCEDURE |
PCT/KR2018/007274 WO2019004720A1 (ko) | 2017-06-27 | 2018-06-27 | 구강 관리 장치 및 구강 관리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57918A KR101999236B1 (ko) | 2017-11-24 | 2017-11-24 | 구강 관리 장치 및 치과용 의자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63485A true KR20190063485A (ko) | 2019-06-10 |
KR101999236B1 KR101999236B1 (ko) | 2019-07-11 |
Family
ID=668485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57918A KR101999236B1 (ko) | 2017-06-27 | 2017-11-24 | 구강 관리 장치 및 치과용 의자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99236B1 (ko)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253582A (ja) * | 2001-02-27 | 2002-09-10 | J Morita Tokyo Mfg Corp | 歯科用チェアユニットの排水処理装置 |
JP2005058486A (ja) * | 2003-08-13 | 2005-03-10 | Yoshitaka Inoue | 歯科用器具及び歯科用器具の製造方法 |
KR20080001544U (ko) * | 2008-04-16 | 2008-06-03 | 이창용 | 급수 및 배수 일체형 구강세척기 |
KR100959672B1 (ko) * | 2007-05-14 | 2010-05-26 | 주식회사바텍 | 치과용 정수처리 장치 |
KR101449724B1 (ko) * | 2014-02-21 | 2014-10-15 | 현기봉 | 구강세정장치 |
-
2017
- 2017-11-24 KR KR1020170157918A patent/KR101999236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253582A (ja) * | 2001-02-27 | 2002-09-10 | J Morita Tokyo Mfg Corp | 歯科用チェアユニットの排水処理装置 |
JP2005058486A (ja) * | 2003-08-13 | 2005-03-10 | Yoshitaka Inoue | 歯科用器具及び歯科用器具の製造方法 |
KR100959672B1 (ko) * | 2007-05-14 | 2010-05-26 | 주식회사바텍 | 치과용 정수처리 장치 |
KR20080001544U (ko) * | 2008-04-16 | 2008-06-03 | 이창용 | 급수 및 배수 일체형 구강세척기 |
KR101449724B1 (ko) * | 2014-02-21 | 2014-10-15 | 현기봉 | 구강세정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999236B1 (ko) | 2019-07-1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6473834B2 (ja) | 口腔ケア装置及び口腔ケア方法 | |
CN114007542B (zh) | 用于个性化口腔护理的系统和方法 | |
RU2534902C2 (ru) | Системы для ухода за полостью рта | |
RU2571327C2 (ru) |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ы отбора и анализа образцов текучей среды из полости рта | |
JP3871666B2 (ja) | 歯科用器具及び歯科用器具の製造方法 | |
JP7439093B2 (ja) | 口腔から唾液サンプルを収集するためのデバイス及び方法 | |
KR101954603B1 (ko) | 마우스피스 및 구강 관리 장치 | |
US20070204867A1 (en) | Mouth moisturizing appliance | |
Goiato et al. | Insertion and follow-up of complete dentures: a literature review. | |
US20100291503A1 (en) | Tongue block | |
CN105193516A (zh) | 口腔护理器 | |
KR101967914B1 (ko) | 구강 관리 장치 및 구강 관리 방법 | |
KR101999236B1 (ko) | 구강 관리 장치 및 치과용 의자 | |
KR101954604B1 (ko) | 마우스피스 제작 방법 | |
EP0988834A2 (en) | Devices for use in disinfection treatments and method for cleansing dental implantological elements | |
KR101651599B1 (ko) | 구강 세척기를 이용한 잇몸 마사지 기구 | |
RU144680U1 (ru) | Стоматологический массажер | |
JP2003305061A (ja) | 口腔ケア用清掃器具 | |
RU134051U1 (ru) | Стоматологический массажер | |
Deepashree | Patient's Perception to Complete Dentures Fabricated Using Conventional Technique and Neutral Zone Technique: A Randomized Control Trial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AMND | Amendment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