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63046A - Method and apparatus for creating virtual reality contents for virtual reality-based interior consulting service - Google Patents

Method and apparatus for creating virtual reality contents for virtual reality-based interior consulting ser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63046A
KR20190063046A KR1020170161827A KR20170161827A KR20190063046A KR 20190063046 A KR20190063046 A KR 20190063046A KR 1020170161827 A KR1020170161827 A KR 1020170161827A KR 20170161827 A KR20170161827 A KR 20170161827A KR 20190063046 A KR20190063046 A KR 201900630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mensional
virtual reality
drawing file
dimensional drawing
gener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182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003481B1 (en
Inventor
강필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필굿하우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필굿하우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필굿하우징
Priority to KR10201701618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3481B1/en
Publication of KR201900630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304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34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348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20Editing of 3D images, e.g. changing shapes or colours, aligning objects or positioning par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21Item configuration or customiz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41Shopping interfaces
    • G06Q30/0643Graphical representation of items or shopp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3Navigation within 3D models or imag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A method for generating virtual reality content for a virtual reality-based interior consulting service is disclosed. The method for generating virtual reality content comprises the steps of: determining whether a two-dimensional drawing file satisfies a three-dimensional conversion condition; converting the two-dimensional drawing file satisfying the three-dimensional conversion condition into a three-dimensional asset; and generating virtual reality content based on the three-dimensional asset. The two-dimensional drawing file includes at least one interior object among a wall, a window, a door, and a void.

Description

가상 현실 기반 인테리어 컨설팅 서비스를 위한 가상 현실 콘텐츠 생성 방법 및 장치 {METHOD AND APPARATUS FOR CREATING VIRTUAL REALITY CONTENTS FOR VIRTUAL REALITY-BASED INTERIOR CONSULTING SERVICE}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virtual reality contents for a virtual reality-based interior consulting service,

본 발명은, 가상 현실 기반 인테리어 컨설팅 서비스를 위한 가상 현실 콘텐츠 생성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인테리어 객체를 포함하는 2차원 도면을 3차원 모델을 거쳐 가상 현실 콘텐츠로 생성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n apparatus for generating a virtual reality content for a virtual reality-based interior consulting ser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for generating a virtual reality content via a three- .

인테리어 공사는 복잡하고, 다양한 추가요소와, 변경사항이 있어 시공 계약을 체결한 후 시공을 진행하였을지라도 시공이 완료된 인테리어가 고객이 예상했던 인테리어와 다를 수 있다. 또한 국부적인 인테리어 자재에 따라 고객이 느끼는 전체 인테리어 디자인이 달라 보일 수 있다.Although the interior construction is complex and various additional factors and changes have been made, after the construction contract is concluded, the completed interior may be different from the interior that the customer expected. Also, depending on the local interior material, the overall interior design that the customer feels may be different.

이러한 인테리어 공사의 시공 리스크를 감소시키기 위해서, 고객은 인테리어 시공 계약을 체결하기 전에 자신의 취향에 따라 인테리어 자재를 인테리어 대상이 되는 가상 공간에 배치하여 가상으로 인테리어 시공이 완료된 공간을 현장감 있게 확인할 필요가 있다.In order to reduce the construction risk of the interior construction, the customer needs to visually confirm the space where the interior construction is completed by arranging the interior material in the virtual space to be the interior object according to his / her taste before concluding the interior construction contract have.

상기한 고객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가상 현실 기반 인테리어 서비스가 등장하고 있다. 가상 현실 기반 인테리어 서비스는 고객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고객에게 가상으로 인테리어 공사가 완료된 공간을 현장감 있게 제공하고 이와 관련된 인테리어 견적을 즉시 제공하는 서비스이다.In order to meet the needs of the above customers, a virtual reality-based interior service is emerging. VIRTUAL REAL-TIME INTERIOR SERVICE is a service that provides customers with a space that has been completed by interior design and provides interior quotes related to them.

상기한 가상현실 기반 인테리어 서비스에서 가상 공간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3차원(3D)으로 모델링된 벽체를 생성할 필요가 있다.In order to realize a virtual space in the virtual reality-based interior service, it is necessary to create a wall modeled in three dimensions (3D).

가상 공간을 구현하기 위한 3D 벽체를 생성하기 위하여 오토캐드(AutoCAD)와 같은 CAD 프로그램에서 주로 사용되는 2D DWG 파일과 같은 2D 도면을 유니티 3D(Unity 3D)와 같은 3차원 인터렉티브 콘텐츠를 제작하기 위한 통합 저작도구에서 사용하려면 CAD 프로그램 내에서 3D 모델링을 완성시키고 별도의 FBX(Filmbox) 컨버터를 이용하여 파일을 변환시켜 불러오기를 해야 한다. 이는 호환성이 떨어져 오류 발생률이 높고 인테리어 분야에서 주로 사용하는 3D MAX 프로그램과의 괴리가 발생한다.In order to create a 3D wall for realizing the virtual space, a 2D drawing such as a 2D DWG file mainly used in a CAD program such as AutoCAD is integrated into a 3D interactive content such as Unity 3D To use it in the authoring tool, 3D modeling must be completed within the CAD program and the file must be converted and loaded using a separate FBX (Filmbox) converter. This causes incompatibility and high error rate, which causes a gap with the 3D MAX program, which is mainly used in the interior field.

이에 따라 2차원 도면 파일에 기반하여 간편하게 자동으로 가상 공간을 구성하기 위한 3차원 벽체를 생성하는 방법이 요구된다.Accordingly, there is a need for a method of easily creating a three-dimensional wall for constructing a virtual space based on a two-dimensional drawing file.

본 발명은 가상 현실 기반 인테리어 컨설팅 서비스를 위한 가상 현실 콘텐츠를 생성함에 있어 2차원 도면에 기초하여 3차원 모델을 자동으로 생성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aims at automatically generating a three-dimensional model based on a two-dimensional drawing in creating a virtual reality content for a virtual reality-based interior consulting service.

또한, 본 발명은 2차원 도면을 3차원 모델로 자동 변환 시, 3차원 변환 조건을 체크하고 이에 따라 사용자에게 피드백을 줌으로써 자동 변환의 오류 발생률을 감소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reduce an error occurrence rate of an automatic conversion by automatically checking a three-dimensional conversion condition when a two-dimensional drawing is automatically converted into a three-dimensional model and providing feedback to the user.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가상 현실 콘텐츠 생성 방법은 2차원 도면 파일에 대해 3차원 변환 조건의 만족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3차원 변환 조건을 만족하는 2차원 도면 파일을 3차원 애셋(asset)으로 변환하는 단계; 및 3차원 애셋에 기초하여 가상 현실 콘텐츠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2차원 도면 파일은 벽, 창문, 문 및 보이드 중 적어도 하나의 인테리어 객체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for generating a virtual reality content includes: determining whether a three-dimensional conversion condition is satisfied for a two-dimensional drawing file; Transforming a two-dimensional drawing file satisfying a three-dimensional transformation condition into a three-dimensional asset; And creating virtual reality content based on the three-dimensional asset; Wherein the two-dimensional drawing file may include at least one interior object of a wall, a window, a door, and a void.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가상 현실 콘텐츠 생성 장치는 가상 현실 콘텐츠 생성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메모리; 및 프로그램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프로세서는, 프로그램의 실행에 의해, 2차원 도면 파일에 대해 3차원 변환 조건의 만족 여부를 판단하고, 3차원 변환 조건을 만족하는 2차원 도면 파일을 3차원 애셋(asset)으로 변환하고, 3차원 애셋에 기초하여 가상 현실 콘텐츠를 생성하고, 2차원 도면 파일은 벽, 창문, 문 및 보이드 중 적어도 하나의 인테리어 객체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evice for generating a virtual reality content, comprising: a memory in which a program for performing a method of generating a virtual reality content is recorded; And a processor for executing the program, wherein the processor determines whether the three-dimensional conversion condition is satisfied with respect to the two-dimensional drawing file by executing the program, and when the two-dimensional drawing file satisfying the three- Dimensional asset, creating a virtual reality content based on the three-dimensional asset, and the two-dimensional drawing file can include at least one interior object of a wall, a window, a door, and a void.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가상 현실 기반 인테리어 컨설팅 서비스 시스템은 2차원 도면 파일에 대해 3차원 변환 조건의 만족 여부를 판단하고, 3차원 변환 조건을 만족하는 2차원 도면 파일을 3차원 애셋(asset)으로 변환하고, 3차원 애셋에 기초하여 가상 현실 콘텐츠를 생성하는 가상 현실 콘텐츠 생성 장치; 및 가상 현실 콘텐츠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가상 현실 단말;을 포함하되, 2차원 도면 파일은 벽, 창문, 문 및 보이드 중 적어도 하나의 인테리어 객체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virtual reality-based interior consulting service system determines whether a three-dimensional conversion condition is satisfied with respect to a two-dimensional drawing file, and determines a two-dimensional drawing file satisfying the three- a virtual reality content generation device for generating virtual reality content based on the three-dimensional asset; And a virtual reality terminal for providing a virtual reality content to a user, wherein the two-dimensional drawing file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n interior object of a wall, a window, a door, and a void.

본 발명에 따르면, 가상 현실 기반 인테리어 컨설팅 서비스를 위한 가상 현실 콘텐츠를 생성함에 있어 2차원 도면에 기초하여 3차원 모델을 자동으로 생성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generating a virtual reality content for a virtual reality-based interior consulting service, a three-dimensional model can be automatically generated based on a two-dimensional drawing.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2차원 도면을 3차원 모델로 자동 변환 시, 3차원 변환 조건을 체크하고 이에 따라 사용자에게 피드백을 줌으로써 자동 변환의 오류 발생률을 감소시킬 수 있다.Also,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two-dimensional drawing is automatically converted into the three-dimensional model, the error rate of the automatic conversion can be reduced by checking the three-dimensional conversion condition and providing feedback to the user.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가상 현실 콘텐츠 생성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가상 현실 콘텐츠 생성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가상 현실 콘텐츠 생성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3차원 변환 조건의 만족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른 2차원 도면 파일을 3차원 애셋으로 변환하는 단계를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6은 일실시예에 따른 입면도를 이용하여 벽체 높이 값을 설정하는 단계를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7은 일실시예에 따른 3차원 애셋에 기초하여 가상 현실 콘텐츠를 생성하는 단계를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8은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2차원 도면을 가상 현실 콘텐츠로 변환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view for explaining a virtual reality contents gener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n apparatus for generating a virtual reality conten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generating a virtual reality conten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operational flowchart illustrating a step of determining whether a three-dimensional conversion condition is satisfied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FIG. 5 is an operational flowchart illustrating a step of converting a two-dimensional drawing fil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into a three-dimensional asset.
6 is an operational flowchart illustrating a step of setting a wall height value using an elev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7 is an operational flow diagram illustrating a step of generating virtual reality content based on a three-dimensional asse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converting a two-dimensional drawing into a virtual reality conten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In the following,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Like reference symbols in the drawings denote like elements.

아래 설명하는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다. 아래 설명하는 실시예들은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이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embodiments, but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to them.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실시예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e examples are used only to illustrat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embodiments.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specification, the terms "comprises" or "having" and the like refer to the presence of stated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embodiment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are to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 of the related art and are to be interpreted as either ideal or overly formal in the sense of the present application Do not.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compon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gardless of the reference numerals, and redundant explana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a detailed description of related arts will be omitte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gist of the embodiments may be unnecessarily blurred.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가상 현실 콘텐츠 생성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 is a view for explaining a virtual reality contents gener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현실 콘텐츠 생성 시스템(1)은 가상 현실 콘텐츠 생성 장치(100) 및 가상 현실 단말(200)을 포함한다. 또한, 가상 현실 콘텐츠 생성 장치(100)와 가상 현실 단말(200)을 상호 연결하는 통신망(300)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a virtual reality content generation system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virtual reality content generation apparatus 100 and a virtual reality terminal 200. And a communication network 300 for connecting the virtual reality contents generation apparatus 100 and the virtual reality terminal 200 to each oth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현실 콘텐츠 생성 장치(100)는 2차원 도면을 기초로 가상 현실 콘텐츠를 생성하여 가상 현실 단말(200)에 해당 가상 현실 콘텐츠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apparatus for generating virtual reality content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generates virtual reality contents based on a two-dimensional drawing and provides the virtual reality contents to the virtual reality terminal 200. [

가상 현실 단말(200)은 가상 현실 콘텐츠 생성 장치(100)로부터 제공받은 가상 현실 콘텐츠를 사용자에게 표시할 수 있다. 가상 현실 단말(200)은 가상 현실 콘텐츠를 사용자에게 실감나게 표시해주기 위한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Head Mounted Display; HMD) 디바이스일 수 있다.The virtual reality terminal 200 may display the virtual reality contents provided from the virtual reality content generation apparatus 100 to the user. The virtual reality terminal 200 may be a head mounted display (HMD) device for displaying the virtual reality contents realistically to the user.

선택적 실시예로서, 가상 현실 단말(200)은 유무선 통신 환경에서 단말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할 수 있는 통신 단말기를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가상 현실 단말(200)은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기일 수 있다. 이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가상 현실 단말(200)은 핸드헬드 컴퓨팅 디바이스(예를 들면, PDA, 이메일 클라이언트 등), 핸드폰의 임의의 형태 또는 다른 종류의 컴퓨팅 또는 커뮤니케이션 플랫폼의 임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As an alternative embodiment, the virtual reality terminal 200 may refer to a communication terminal that can use a terminal application in a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environment. Here, the virtual reality terminal 200 may be a portable terminal of a user. More specifically, the virtual reality terminal 200 may include any type of handheld computing device (e.g., PDA, email client, etc.), any form of mobile phone or any other type of computing or communication platform However,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이 경우, 가상 현실 단말(200)은 단말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가상 현실 콘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단말 어플리케이션은 가상 현실 콘텐츠 재생 전용 어플리케이션으로서, 가상 현실 단말(200)의 디스플레이를 좌우분할 하여 사용자의 양안 각각에 대응되도록 시차 정보를 포함하는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다.In this case, the virtual reality terminal 200 can display the virtual reality contents through the terminal application. The terminal application is a virtual reality content reproduction-only application, and may be an application for dividing the display of the virtual reality terminal 200 horizontally and displaying an image including parallax information so as to correspond to each of the user's eyes.

여기서, 단말 어플리케이션은 가상 현실 단말(200)에 내장된 어플리케이션이거나, 어플리케이션 배포 서버로부터 다운로드되어 가상 현실 단말(20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다.The terminal application may be an application embedded in the virtual reality terminal 200 or an application downloaded from the application distribution server and installed in the virtual reality terminal 200.

한편, 통신망(300)은 가상 현실 콘텐츠 생성 장치(100)와 가상 현실 단말(200)을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통신망(300)은 가상 현실 단말(200)이 가상 현실 콘텐츠 생성 장치(100)에 접속한 후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접속 경로를 제공하는 통신망을 의미한다. 통신망(300)은 예컨대 LANs(Local Area Networks), WANs(Wide Area Networks), MANs(Metropolitan Area Networks), ISDNs(Integrated Service Digital Networks) 등의 유선 네트워크나, 무선 LANs, CDMA, 블루투스, 위성 통신 등의 무선 네트워크를 망라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Meanwhile, the communication network 300 connects the virtual reality content generation apparatus 100 and the virtual reality terminal 200. That is, the communication network 300 refers to a communication network that provides a connection path so that the virtual reality terminal 200 can access the virtual reality contents generation apparatus 100 and then transmit and receive data. The communication network 300 may be a wired network such as LANs (Local Area Networks), WANs (Wide Area Networks), MANs (Metropolitan Area Networks), ISDNs (Integrated Service Digital Networks), wireless LANs, CDMA, Bluetooth, Bu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가상 현실 콘텐츠 생성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n apparatus for generating a virtual reality conten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일실시예에 따른 가상 현실 콘텐츠 생성 장치(100)는 통신 모듈(110), 메모리(120), 프로세서(130) 및 데이터베이스(14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2, an apparatus 100 for generating a virtual reality conten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includes a communication module 110, a memory 120, a processor 130, and a database 140.

상세히, 통신 모듈(110)은 통신망(300)과 연동하여 가상 현실 콘텐츠 생성 장치(100)와 가상 현실 단말(200) 간의 송수신 신호를 패킷 데이터 형태로 제공하는 데 필요한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나아가, 통신 모듈(110)은 가상 현실 단말(200)에 가상 현실 콘텐츠를 송신하고, 가상 현실 콘텐츠 생성 장치(100)로부터 가상 현실 단말(200)의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In detail, the communication module 110 provides a communication interface necessary for providing the transmission / reception signals between the virtual reality contents generation apparatus 100 and the virtual reality terminal 200 in the form of packet data in cooperation with the communication network 300. The communication module 110 may transmit the virtual reality content to the virtual reality terminal 200 and receive the control signal of the virtual reality terminal 200 from the virtual reality content generation apparatus 100. [

여기서, 통신 모듈(110)은 다른 네트워크 장치와 유무선 연결을 통해 제어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와 같은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해 필요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는 장치일 수 있다.Here, the communication module 110 may be a device including hardware and software necessary to transmit / receive a signal such as a control signal or a data signal through a wired / wireless connection with another network device.

메모리(120)는 가상 현실 콘텐츠 생성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다. 또한, 프로세서(130)가 처리하는 데이터를 일시적 또는 영구적으로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메모리(120)는 자기 저장 매체(magnetic storage media) 또는 플래시 저장 매체(flash storage media)를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memory 120 stores a program for performing a method of generating a virtual reality content. In addition, the processor 130 performs a function of temporarily or permanently storing data to be processed. Here, the memory 120 may include magnetic storage media or flash storage media, bu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프로세서(130)는 일종의 중앙처리장치로서 가상 현실 콘텐츠 생성 장치(100)가 동작하는 전체 과정을 제어한다. 프로세서(130)가 수행하는 각 단계에 대해서는 도 3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The processor 130 controls the entire process of operating the virtual reality content generation apparatus 100 as a kind of central processing unit. Each step performed by the processor 130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여기서, 프로세서(130)는 프로세서(processor)와 같이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processor)'는, 예를 들어 프로그램 내에 포함된 코드 또는 명령으로 표현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물리적으로 구조화된 회로를 갖는, 하드웨어에 내장된 데이터 처리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드웨어에 내장된 데이터 처리 장치의 일 예로써,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프로세서 코어(processor core), 멀티프로세서(multiprocessor),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등의 처리 장치를 망라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 the processor 130 may include any kind of device capable of processing data, such as a processor. Herein, the term " processor " may refer to a data processing apparatus embedded in hardware, for example, having a circuit physically structured to perform a function represented by a code or an instruction contained in the program. As an example of the data processing apparatus built in hardware, a microprocessor,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a processor core, a multiprocessor, an 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circuit, and a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FPGA), bu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데이터베이스(140)는 가상 현실 콘텐츠 생성 장치(100)가 가상 현실 콘텐츠를 생성하는데 있어 사용되는 데이터들을 미리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The database 140 plays a role of previously storing data used by the virtual reality contents generation apparatus 100 in generating virtual reality contents.

예컨대, 데이터베이스(140)는 2차원 도면을 3차원 애셋(asset)으로 변환하는 과정에서 체크하는 3차원 변환 조건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database 140 may include information about a three-dimensional transformation condition that is checked in the process of converting a two-dimensional drawing into a three-dimensional asset.

또한, 데이터베이스(140)는 건물 종류에 따른 일반적인 벽체 높이 값, 창문, 문 및 보이드의 크기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atabase 140 may include information on a general wall height value according to a building type, a window, a door, and a size of a void.

비록 도 2에는 도시하지 아니하였으나, 상술한 정보 중 일부는 데이터베이스(140)와 물리적 또는 개념적으로 분리된 데이터베이스(미도시)에 저장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in FIG. 2, some of the above-described information may be stored in a database (not shown) that is physically or conceptually separated from the database 140.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가상 현실 콘텐츠 생성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generating a virtual reality conten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일실시예에 따른 가상 현실 콘텐츠 생성 방법은 먼저, 가상 현실 콘텐츠 생성 장치(100)가 2차원 도면 파일에 대해 3차원 변환 조건의 만족 여부를 판단한다(S310).Referring to FIG. 3, a method for generating a virtual reality conten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rst determines whether a three-dimensional conversion condition is satisfied for a two-dimensional drawing file (S310).

여기서, 2차원 도면 파일은 벽, 창문, 문 및 보이드 중 적어도 하나의 인테리어 객체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two-dimensional drawing file may include at least one interior object of a wall, a window, a door, and a void.

여기서, 3차원 변환 조건은 폴리라인(polyline) 객체가 중간에 끊어지지 않는 경우 만족되는 제 1 조건, 각 라인(line)들이 중복되지 않는 경우 만족되는 제 2 조건, 폴리라인 객체에 겹치는 부분이 없는 경우 만족되는 제 3 조건, 독립적인 라인은 폴리라인으로 만들어지는 경우 만족되는 제 4 조건, 및 폴리라인 객체가 닫힌 단일 객체인 경우 만족되는 제 5 조건을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three-dimensional conversion condition includes a first condition that is satisfied when a polyline object is not interrupted, a second condition that is satisfied when each line is not overlapped, The third condition satisfied, the independent line may include a fourth condition that is satisfied when the polyline is created, and a fifth condition that is satisfied when the polyline object is a single closed object.

다음으로, 일실시예에 따른 가상 현실 콘텐츠 생성 방법은 가상 현실 콘텐츠 생성 장치(100)가 3차원 변환 조건을 만족하는 2차원 도면 파일을 3차원 애셋(asset)으로 변환한다(S320).Next, in a method of generating a virtual reality conten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the virtual reality content generation apparatus 100 converts a two-dimensional drawing file satisfying a three-dimensional conversion condition into a three-dimensional asset (S320).

다음으로, 일실시예에 따른 가상 현실 콘텐츠 생성 방법은 가상 현실 콘텐츠 생성 장치(100)가 3차원 애셋에 기초하여 가상 현실 콘텐츠를 생성한다(S330).Next, in a method of generating a virtual reality conten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the virtual reality content generation apparatus 100 generates a virtual reality content based on the three-dimensional asset (S330).

도 3의 단계들 각각에 대한 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Details of each of the steps of FIG. 3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4 to FIG.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3차원 변환 조건의 만족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310)를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S310 of determining whether a three-dimensional conversion condition is satisfied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도 4를 참조하면, 일실시예에 따른 3차원 변환 조건의 만족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310)에서 가상 현실 콘텐츠 생성 장치(100)는 2차원 도면 파일에 포함된 인테리어 객체들 각각에 대해 3차원 변환 조건의 만족 여부를 판단한다(S410).Referring to FIG. 4, in step S310 of determining whether the three-dimensional conversion condition is satisfied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the virtual reality contents generation apparatus 100 generates three-dimensional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conversion condition is satisfied (S410).

3차원 변환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인테리어 객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단계(S320)로 진행할 수 있다.If there is no interior object that does not satisfy the three-dimensional conversion condition, the process may proceed to step S320.

3차원 변환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인테리어 객체가 존재하는 경우, 가상 현실 콘텐츠 생성 장치(100)는 해당 인테리어 객체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S420).If there is an interior object that does not satisfy the three-dimensional conversion condition, the virtual reality content generation apparatus 100 provides information about the interior object to the user (S420).

단계(S420)에서, 가상 현실 콘텐츠 생성 장치(100)는 3차원 변환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인테리어 객체를 2차원 도면 상에서 3차원 변환 조건을 만족하는 다른 인테리어 객체들과 구별되도록 표시할 수 있다.In step S420, the virtual reality-contents generating apparatus 100 may display an interior object that does not satisfy the three-dimensional conversion condition so as to be distinguished from other interior objects satisfying the three-dimensional conversion condition on the two-dimensional drawing.

예컨대, 3차원 변환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인테리어 객체를 2차원 도면 상에서 하이라이트(highlight) 시켜서 다른 객체들과 구별되도록 표시하고, 해당 객체가 어떠한 조건을 불만족하고 있는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For example, an interior object that does not satisfy the three-dimensional conversion condition may be highlighted on a two-dimensional drawing to be distinguished from other objects, and information on what condition the object is unsatisfied may be provided.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른 2차원 도면 파일을 3차원 애셋으로 변환하는 단계(S320)를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S320 of transforming a two-dimensional drawing file into a three-dimensional asse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일실시예에 따른 2차원 도면 파일을 3차원 애셋으로 변환하는 단계(S320)에서 먼저, 가상 현실 콘텐츠 생성 장치(100)는 2차원 도면 파일의 파일 구조를 변경한다(미도시).Referring to FIG. 5, in step S320 of converting a 2D drawing file into a 3D ass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virtual reality contents generating apparatus 100 changes the file structure of the 2D drawing file city).

여기서, 2차원 도면 파일의 파일 구조를 변경하는 단계는 3차원 모델링 프로그램을 통해 상기 2차원 도면 파일을 임포트(import)하는 것일 수 있다.Here, the step of changing the file structure of the 2D drawing file may be to import the 2D drawing file through the 3D modeling program.

여기서, 2차원 도면 파일은 오토캐드(AutoCAD)와 같은 CAD 프로그램에서 주로 사용되는 2D dwg 파일일 수 있다.Here, the 2D drawing file may be a 2D dwg file mainly used in a CAD program such as AutoCAD.

또한, 3차원 애셋은 필름박스(filmfox; FBX) 파일일 수 있으며, 모델링 프로그램은 3D MAX와 같이 해당 3D fbx 파일을 사용하는 프로그램일 수 있다.Also, the 3D asset may be a filmfox (FBX) file, and the modeling program may be a program that uses the corresponding 3D fbx file, such as 3D MAX.

다음으로, 콘텐츠 생성 장치(100)는 2차원 도면에 입면도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510).Next, the content generation apparatus 100 determines whether an elevation is present in the two-dimensional drawing (S510).

단계(S510)에서 입면도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의 진행 과정은 도 6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The process in the case where it is determined in step S510 that the elevation is present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단계(S510)에서 입면도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가상 현실 콘텐츠 생성 장치(100)는 2차원 도면이 아파트 또는 일반주택에 해당하는 도면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520).If it is determined in step S510 that the elevation does not exist, the virtual reality contents generation apparatus 100 determines whether the two-dimensional drawing corresponds to an apartment or a general house (S520).

단계(S520)에서 가상 현실 콘텐츠 생성 장치(100)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2차원 도면의 건물 종류를 판단할 수 있다.In step S520, the virtual reality-contents generating apparatus 100 may determine the type of building of the two-dimensional drawing based on the user input.

단계(S520)의 판단 결과, 2차원 도면이 아파트 또는 일반주택인 경우, 가상 현실 콘텐츠 생성 장치(100)는 아파트 또는 일반주택에 대해 미리 설정된 기준 높이 값을 기초로 벽체 높이 값을 설정할 수 있다(S530).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S520, when the two-dimensional drawing is an apartment or a general house, the virtual reality contents generation apparatus 100 may set the wall height value based on a preset reference height value for an apartment or a general house ( S530).

예컨대, 일반주택의 층고는 일반적으로 2.3 내지 2.5m이므로 단계(S530)에서 가상 현실 콘텐츠 생성 장치(100)는 2차원 도면의 벽체 높이 값이 2.4m로 미리 설정된 경우, 해당 값을 높이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For example, since the floor height of the general house is generally 2.3 to 2.5 m, when the wall height value of the two-dimensional drawing is preset to 2.4 m in step S530, the virtual reality contents generating apparatus 100 sets the corresponding value as a height value .

단계(S520)의 판단 결과, 2차원 도면이 아파트 또는 일반주택이 아닌 경우, 가상 현실 콘텐츠 생성 장치(100)는 사용자 입력 값에 기초하여 벽체 높이 값을 설정할 수 있다(S531).If it is determined in step S520 that the two-dimensional drawing is not an apartment or a general house, the virtual reality contents generation apparatus 100 may set the wall height value based on the user input value (S531).

다음으로, 가상 현실 콘텐츠 생성 장치(100)는 2차원 도면에 창문, 문 또는 보이드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540).Next, the virtual reality-contents creating apparatus 100 determines whether a window, a door, or a void exists in the two-dimensional drawing (S540).

단계(S540)의 판단 결과, 2차원 도면에 창문, 문 또는 보이드가 존재하는 경우, 가상 현실 콘텐츠 생성 장치(100)는 창문, 문 또는 보이드 각각에 설정된 기준 비율에 기초하여 벽체 높이 값을 설정할 수 있다(S541).As a result of the judgment in the step S540, when there is a window, a door or a void in the two-dimensional drawing, the virtual reality contents generating apparatus 100 can set the wall height value based on the reference ratio set for each window, door or void (S541).

단계(S541)에서, 가상 현실 콘텐츠 생성 장치(100)는 층고를 기준으로 하고 해당 창문, 문 또는 보이드 각각에 설정된 기준 비율에 기초하여 벽체 높이 값을 설정할 수 있다.In step S541, the virtual reality-contents generating apparatus 100 can set the wall height value based on the floor height and based on the reference ratio set for each of the windows, doors, or voids.

여기서, 벽체에 귀속되는 외부창, 내부창, 실내문 및 실외문 등은 벽체의 성격에 따라 미리 설정된 기준 값이 적용될 수 있다.Here,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may be applied to an external window, an inner window, an indoor door, an outdoor door, and the like attributed to the wall depending on the nature of the wall.

다음으로, 가상 현실 콘텐츠 생성 장치(100)는 2차원 도면에 포함된 인테리어 객체 및 벽체 높이 값에 기초하여 벽체를 생성한다(S550).Next, the virtual reality contents generation apparatus 100 creates a wall based on the interior object and the wall height value included in the two-dimensional drawing (S550).

다음으로, 가상 현실 콘텐츠 생성 장치(100)는 인테리어 객체 및 벽체에 기초하여 창문, 문 및 보이드를 배치한다(S560).Next, the virtual reality contents generation apparatus 100 arranges windows, doors, and voids based on the interior objects and the walls (S560).

단계(S560)에서 가상 현실 콘텐츠 생성 장치(100)는 2차원 도면에 창문, 문 또는 보이드가 존재하는 경우, 대응되는 위치에 창문, 문 또는 보이드를 배치하고, 2차원 도면에 별도의 창문, 문 또는 보이드가 없더라도, 벽체를 제외한 공간에 적절한 객체를 생성하여 배치할 수 있다.In step S560, when a window, a door, or a void exists in a two-dimensional drawing, the virtual reality-contents generating apparatus 100 arranges a window, a door, or a void in a corresponding position, Alternatively, even if there is no void, an appropriate object can be created and placed in a space other than the wall.

도 6은 일실시예에 따른 입면도를 이용하여 벽체 높이 값을 설정하는 단계를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6 is an operational flowchart illustrating a step of setting a wall height value using an elev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6을 참조하면, 먼저, 가상 현실 콘텐츠 생성 장치(100)는 도 5에 도시된 단계(S510)에서 입면도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가상 현실 콘텐츠 생성 장치(100)는 2차원 도면 파일에 포함된 평면도 및 입면도에 기초하여 벽체 높이 값을 설정한다.6,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elevation is present in the step S510 shown in FIG. 5, the apparatus 100 for generating a virtual reality content generates a 2D drawing file The wall height value is set based on the included floor plan and elevation.

보다 구체적으로, 먼저 가상 현실 콘텐츠 생성 장치(100)는 방향 별 입면도를 지정한다(S610).More specifically, the virtual reality contents generation apparatus 100 designates an elevation for each direction (S610).

다음으로, 가상 현실 콘텐츠 생성 장치(100)는 평면도와 방향 별 입면도에 기초하여 창문, 문 또는 보이드에 해당하는 공간 값을 추출한다(S620).Next, the virtual reality-contents generating apparatus 100 extracts a space value corresponding to the window, the door, or the void based on the plan view and the elevation per direction (S620).

다음으로, 가상 현실 콘텐츠 생성 장치(100)는 창문, 문 또는 보이드에 해당하는 공간 값에 기초하여 벽체 높이 값을 설정한다(S630).Next, the virtual reality contents generation apparatus 100 sets a wall height value based on a space value corresponding to a window, a door, or a void (S630).

단계(S630) 뒤, 가상 현실 콘텐츠 생성 장치(100)는 도 5에 도시된 단계(S550)로 진행할 수 있다.After the step S630, the virtual reality-contents generating apparatus 100 may proceed to the step S550 shown in Fig.

도 7은 일실시예에 따른 3차원 애셋에 기초하여 가상 현실 콘텐츠를 생성하는 단계(S330)를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7 is an operational flow diagram illustrating a step S330 of creating virtual reality content based on a three-dimensional ass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7을 참조하면, 일실시예에 따른 3차원 애셋에 기초하여 가상 현실 콘텐츠를 생성하는 단계(S330)는 먼저, 가상 현실 콘텐츠 생성 장치(100)가 3차원 애셋의 파일 구조를 변경한다(S710).Referring to FIG. 7, in step S330 of generating a virtual reality content based on a three-dimensional ass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virtual reality content generation apparatus 100 first changes the file structure of the three-dimensional asset (S710 ).

여기서 단계(S710)는 가상 현실 콘텐츠 제작 프로그램을 통해 3차원 애셋을 임포트하는 것일 수 있다.Here, step S710 may be to import the three-dimensional asset through the virtual reality content production program.

여기서, 가상 현실 콘텐츠 제작 프로그램은 prefab 파일을 사용하는 유니티(Unity)와 같은 프로그램일 수 있다.Here, the virtual reality contents production program may be a program such as Unity using a prefab file.

다음으로, 가상 현실 콘텐츠 생성 장치(100)가 파일 구조 변경된 3차원 애셋에 포함된 트랜스폼(transform)의 포지션(position) 값을 리셋한다(S720).Next, the virtual reality contents generation apparatus 100 resets the position value of the transform included in the three-dimensional asset having the file structure changed (S720).

다음으로, 가상 현실 콘텐츠 생성 장치(100)가 메인 광원을 디렉셔널(directional) 타입으로 변경한다(S730).Next, the virtual reality-contents generating apparatus 100 changes the main light source to a directional type (S730).

다음으로, 가상 현실 콘텐츠 생성 장치(100)가 벽, 바닥 및 천장을 게임 객체로 그룹핑 한다(S740).Next, the virtual reality contents generation apparatus 100 groups walls, floors, and ceilings into game objects (S740).

도 8은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2차원 도면을 가상 현실 콘텐츠로 변환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converting a two-dimensional drawing into a virtual reality conten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도 8을 참조하면,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먼저, 가상 현실 콘텐츠 생성 장치(100)가 2차원 도면이 3차원 애셋으로 변환 가능한지 3차원 변환 조건 만족 여부를 판단하고(도 8(a)), 가상 현실 콘텐츠 생성 장치(100)가 3차원 변환 조건을 만족하는 2차원 도면을 3차원 애셋으로 변환하고(도 8(b)), 사용자 선택 입력에 따라, 3차원 애셋 파일(.fbx)을 생성하고, 3차원 애셋 파일을 가상 현실 콘텐츠 파일(prefab)로 변경하고, 메인 광원을 디렉셔널(directional) 타입으로 변경하고, 벽, 문 및 보이드(void 혹은 ceiling)를 게임 객체로 그룹핑하는(도 8(c)) 과정을 통해 2차원 도면이 가상 현실 콘텐츠로 변환됨을 알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first, the apparatus for generating virtual reality contents 100 determines whether a two-dimensional drawing can be converted into a three-dimensional asset or not, The virtual reality contents generation apparatus 100 converts the two-dimensional drawing satisfying the three-dimensional conversion condition into a three-dimensional asset (Fig. 8 (b)) and generates a three-dimensional asset file (.fbx) , Changes the three-dimensional asset file to a virtual reality content file (prefab), changes the main light source to a directional type, and groups walls, doors, and voids into game objects (c)), the two-dimensional drawing is converted into the virtual reality contents.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A(field programmabl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The apparatus described above may be implemented as a hardware component, a software component, and /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components and software components. For example, the apparatus and components described in the embodiments may be implemented within a computer system, such as, for example, a processor, a controller, an arithmetic logic unit (ALU), a digital signal processor, a microcomputer, a field programmable array (FPA) A programmable logic unit (PLU), a microprocessor, or any other device capable of executing and responding to instructions. The processing device may execute an operating system (OS) and one or more software applications running on the operating system. The processing device may also access, store, manipulate, process, and generate data in response to execution of the software. For ease of understanding, the processing apparatus may be described as being used singly, but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recognize that the processing apparatus may have a plurality of processing elements and / As shown in FIG. For example, the processing device may comprise a plurality of processors or one processor and one controller. Other processing configurations are also possible, such as a parallel processor.

또한, 이상에서 설명된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Furthermore, the above-described methods may also be embodied in the form of a recording medium including instructions executable by a computer, such as program modules, being executed by a computer. Computer readable media can be any available media that can be accessed by a computer and includes both volatile and nonvolatile media, removable and non-removable media.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also include computer storage media. Computer storage media includes both volatile and nonvolatile, removable and non-removable media implemented in any method or technology for storage of information such as computer readable instructions, data structures, program modules or other data.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For example,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techniques described may be performed in a different order than the described methods, and / or that components of the described systems, structures, devices, circuits, Lt; / RTI > or equivalents, even if it is replaced or replaced.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Therefore, other implementations, other embodiments, and equivalents to the claims are also within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1: 가상 현실 기반 인테리어 컨설팅 시스템
100: 가상 현실 콘텐츠 생성 장치 110: 통신 모듈
120: 메모리 130: 프로세서
140: 데이터베이스 200: 가상 현실 단말
300: 통신망
1: Virtual reality based interior consulting system
100: Virtual Reality Content Generation Device 110: Communication Module
120: memory 130: processor
140: Database 200: Virtual Reality Terminal
300: Network

Claims (10)

가상 현실 기반 인테리어 컨설팅 서비스를 위한 가상 현실 콘텐츠 생성 방법에 있어서,
2차원 도면 파일에 대해 3차원 변환 조건의 만족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3차원 변환 조건을 만족하는 상기 2차원 도면 파일을 3차원 애셋(asset)으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3차원 애셋에 기초하여 가상 현실 콘텐츠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2차원 도면 파일은
벽, 창문, 문 및 보이드 중 적어도 하나의 인테리어 객체를 포함하는 것인, 가상 현실 콘텐츠 생성 방법.
A method for generating a virtual reality content for a virtual reality based interior consulting service,
Determining whether the three-dimensional conversion condition is satisfied with respect to the two-dimensional drawing file;
Transforming the two-dimensional drawing file satisfying the three-dimensional transformation condition into a three-dimensional asset; And
Generating virtual reality content based on the three-dimensional asset;
, ≪ / RTI &
The two-dimensional drawing file
A wall, a window, a door, and a voi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3차원 변환 조건의 만족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2차원 도면 파일에 포함된 인테리어 객체들 각각에 대해 상기 3차원 변환 조건의 만족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3차원 변환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인테리어 객체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인, 가상 현실 콘텐츠 생성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three-dimensional conversion condition is satisfied
Determining whether the three-dimensional conversion condition is satisfied for each of the interior objects included in the two-dimensional drawing file; And
Providing information on an interior object that does not satisfy the three-dimensional conversion condition to a user;
And generating a virtual reality content.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3차원 변환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인테리어 객체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3차원 변환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인테리어 객체를 상기 2차원 도면 상에서 상기 3차원 변환 조건을 만족하는 다른 인테리어 객체들과 구별되도록 표시하는 것인, 가상 현실 콘텐츠 생성 방법.
3. The method of claim 2,
The step of providing the user with information on the interior object that does not satisfy the three-dimensional conversion condition
Wherein the interior object which does not satisfy the three-dimensional conversion condition is displayed on the two-dimensional drawing so as to be distinguished from other interior objects satisfying the three-dimensional conversion condi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3차원 변환 조건은
폴리라인(polyline) 객체가 중간에 끊어지지 않는 경우 만족되는 제 1 조건,
각 라인(line)들이 중복되지 않는 경우 만족되는 제 2 조건,
폴리라인 객체에 겹치는 부분이 없는 경우 만족되는 제 3 조건,
독립적인 라인은 폴리라인으로 만들어지는 경우 만족되는 제 4 조건, 및
폴리라인 객체가 닫힌 단일 객체인 경우 만족되는 제 5 조건,
을 포함하는 것인, 가상 현실 콘텐츠 생성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three-dimensional transformation condition is
A first condition that is satisfied when the polyline object is not interrupted,
A second condition satisfied when each line is not overlapped,
A third condition satisfied when there is no overlapping part of the polyline object,
The independent line is a fourth condition that is satisfied when made of a polyline, and
A fifth condition that is satisfied when the polyline object is a single closed object,
And generating a virtual reality conten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2차원 도면 파일을 3차원 애셋으로 변환하는 단계는
상기 2차원 도면 파일의 파일 구조를 변경하는 단계;
상기 2차원 도면이 아파트 또는 일반주택에 해당하는 도면인지 여부 및 창문, 문 또는 보이드의 존재 여부에 기초하여 벽체 높이 값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인테리어 객체 및 상기 벽체 높이 값에 기초하여 벽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인테리어 객체 및 상기 벽체에 기초하여 창문, 문 및 보이드를 배치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인, 가상 현실 콘텐츠 생성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tep of transforming the two-dimensional drawing file into a three-
Changing a file structure of the two-dimensional drawing file;
Setting a wall height value based on whether the two-dimensional drawing corresponds to an apartment or a general house and whether or not a window, a door, or a void is present;
Creating a wall based on the interior object and the wall height value; And
Placing windows, doors and voids based on the interior object and the wall;
And generating a virtual reality conten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2차원 도면 파일을 3차원 애셋으로 변환하는 단계는
상기 2차원 도면 파일의 파일 구조를 변경하는 단계;
상기 2차원 도면 파일에 포함된 평면도 및 입면도에 기초하여 벽체 높이 값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인테리어 객체 및 상기 벽체 높이 값에 기초하여 벽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인테리어 객체 및 상기 벽체에 기초하여 창문, 문 및 보이드를 배치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2차원 도면 파일을 파일 구조를 변경하는 단계는
3차원 모델링 프로그램을 통해 상기 2차원 도면 파일을 임포트(import)하는 것인, 가상 현실 콘텐츠 생성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tep of transforming the two-dimensional drawing file into a three-
Changing a file structure of the two-dimensional drawing file;
Setting a wall height value based on a top view and an elevation view included in the two-dimensional drawing file;
Creating a wall based on the interior object and the wall height value; And
Placing windows, doors and voids based on the interior object and the wall;
, ≪ / RTI &
The step of changing the file structure of the 2D drawing file
And importing the two-dimensional drawing file through a three-dimensional modeling program.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3차원 애셋에 기초하여 가상 현실 콘텐츠를 생성하는 단계는
3차원 애셋의 파일 구조를 변경하는 단계;
파일 구조 변경된 3차원 애셋에 포함된 트랜스폼(transform)의 포지션(position) 값을 리셋하는 단계;
메인 광원을 디렉셔널(directional) 타입으로 변경하는 단계; 및
벽, 바닥 및 천장을 게임 객체로 그룹핑 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3차원 애셋의 파일 구조를 변경하는 단계는
가상 현실 콘텐츠 제작 프로그램을 통해 상기 3차원 애셋을 임포트하는 것인, 가상 현실 콘텐츠 생성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tep of generating the virtual reality content based on the three-
Changing a file structure of the three-dimensional asset;
Resetting a position value of a transform included in the modified three-dimensional asset;
Changing a main light source to a directional type; And
Grouping walls, floors and ceilings into game objects;
, ≪ / RTI &
Wherein changing the file structure of the three-dimensional asset comprises:
And importing the three-dimensional asset through a virtual reality content production program.
가상 현실 콘텐츠 생성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메모리; 및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프로그램의 실행에 의해,
2차원 도면 파일에 대해 3차원 변환 조건의 만족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3차원 변환 조건을 만족하는 상기 2차원 도면 파일을 3차원 애셋(asset)으로 변환하고, 상기 3차원 애셋에 기초하여 가상 현실 콘텐츠를 생성하고,
상기 2차원 도면 파일은
벽, 창문, 문 및 보이드 중 적어도 하나의 인테리어 객체를 포함하는 것인, 가상 현실 콘텐츠 생성 장치.
A memory in which a program for performing a method of generating a virtual reality content is recorded; And
And a processor for executing the program,
The processor, by executing the program,
Dimensional drawing file; determining whether the two-dimensional drawing file satisfies the three-dimensional conversion condition; converting the two-dimensional drawing file satisfying the three-dimensional conversion condition into a three-dimensional asset; Create content,
The two-dimensional drawing file
A wall, a window, a door, and a void.
2차원 도면 파일에 대해 3차원 변환 조건의 만족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3차원 변환 조건을 만족하는 상기 2차원 도면 파일을 3차원 애셋(asset)으로 변환하고, 상기 3차원 애셋에 기초하여 가상 현실 콘텐츠를 생성하는 가상 현실 콘텐츠 생성 장치; 및
상기 가상 현실 콘텐츠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가상 현실 단말;
을 포함하되,
상기 2차원 도면 파일은
벽, 창문, 문 및 보이드 중 적어도 하나의 인테리어 객체를 포함하는 것인, 가상 현실 기반 인테리어 컨설팅 서비스 시스템.
Dimensional drawing file; determining whether the two-dimensional drawing file satisfies the three-dimensional conversion condition; converting the two-dimensional drawing file satisfying the three-dimensional conversion condition into a three-dimensional asset; A virtual reality content generation device for generating a content; And
A virtual reality terminal for providing the virtual reality contents to a user;
≪ / RTI >
The two-dimensional drawing file
Wherein the at least one interior object includes at least one of a wall, a window, a door, and a void.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가상 현실 콘텐츠 생성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having recorded thereon a program for performing a method of generating a virtual reality content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7.
KR1020170161827A 2017-11-29 2017-11-29 Method and apparatus for creating virtual reality contents for virtual reality-based interior consulting service KR10200348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1827A KR102003481B1 (en) 2017-11-29 2017-11-29 Method and apparatus for creating virtual reality contents for virtual reality-based interior consulting ser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1827A KR102003481B1 (en) 2017-11-29 2017-11-29 Method and apparatus for creating virtual reality contents for virtual reality-based interior consulting ser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3046A true KR20190063046A (en) 2019-06-07
KR102003481B1 KR102003481B1 (en) 2019-08-28

Family

ID=668500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1827A KR102003481B1 (en) 2017-11-29 2017-11-29 Method and apparatus for creating virtual reality contents for virtual reality-based interior consulting ser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3481B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45201A (en) 2019-06-21 2020-12-30 김영천 A psychological fusion type online interior transit system based on virtual reality and three-dimensional modeling
KR20210131828A (en) * 2020-04-26 2021-11-03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Method and terminal for controlling 3d virtual reality contents during presentation lecture
KR20220030799A (en) * 2020-09-03 2022-03-11 주식회사 그룹샵 Appartus and method for modeling 3-dimension structure by 2-dimension floor plan in interior platform system
KR20220066531A (en) * 2020-11-16 2022-05-24 최세현 Virtual reality space comparison method and system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9118A (en) * 2002-02-19 2002-03-09 장호현 3 dimensional graphics real-time display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therefor
JP2002358334A (en) * 2001-06-04 2002-12-13 A I Soft Inc Printing system for three-dimensional image
JP2014089697A (en) * 2012-10-05 2014-05-15 Fine Co Ltd Architectural image display device, architectural image display method, and computer program
KR20160064784A (en) * 2014-11-28 2016-06-08 주식회사 어반베이스 Method and program for modeling 3-dimension structure by 2-dimension floor plan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58334A (en) * 2001-06-04 2002-12-13 A I Soft Inc Printing system for three-dimensional image
KR20020019118A (en) * 2002-02-19 2002-03-09 장호현 3 dimensional graphics real-time display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therefor
JP2014089697A (en) * 2012-10-05 2014-05-15 Fine Co Ltd Architectural image display device, architectural image display method, and computer program
KR20160064784A (en) * 2014-11-28 2016-06-08 주식회사 어반베이스 Method and program for modeling 3-dimension structure by 2-dimension floor pla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45201A (en) 2019-06-21 2020-12-30 김영천 A psychological fusion type online interior transit system based on virtual reality and three-dimensional modeling
KR20210131828A (en) * 2020-04-26 2021-11-03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Method and terminal for controlling 3d virtual reality contents during presentation lecture
KR20220030799A (en) * 2020-09-03 2022-03-11 주식회사 그룹샵 Appartus and method for modeling 3-dimension structure by 2-dimension floor plan in interior platform system
KR20220066531A (en) * 2020-11-16 2022-05-24 최세현 Virtual reality space comparison method and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3481B1 (en) 2019-08-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6304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reating virtual reality contents for virtual reality-based interior consulting service
Meža et al. Component based engineering of a mobile BIM-based augmented reality system
CN107393017A (en) Image processing method, device, electronic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US10249052B2 (en) Stereo correspondence model fitting
US20180085927A1 (en) Optimizing a layout of objects in a space
US10096085B2 (en) Method for generating images for multi-projection theater and image management apparatus using the same
US20230020885A1 (en) Automatic conversion of 2d schematics to 3d models
US10824992B1 (en) Method and system for analyzing and optimizing shipping of sheathing materials for floors
KR20140145217A (en) 3d virtual modeling system using spatial information and method thereof
US11816397B2 (en) Generating designs for multi-family housing projects using rigid body simulations
KR20190118939A (en) Mr telescope and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US9710131B2 (en) Computer-implemented method for manipulating three-dimensional modeled objects of an assembly in a three-dimensional scene
US11580270B2 (en) Method and system for optimizing shipping methodology for 2-directional wall panels
CN114511668A (en) Method, device and equipment for acquiring three-dimensional decoration image and storage medium
US10956649B2 (en) Semiconductor package metal shadowing checks
CN113011677B (en) Parking space arrangement optimization method based on garage and related products
KR102551914B1 (en)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interactive object viewer
CN111046467B (en) House type parametric modeling method and related equipment
RU2637903C2 (en) Method and computer device for creating simplified borders of graphic objects
US20210141949A1 (en) Method and system for identifying conflicts within floor joists of a structure
US20210217121A1 (en) Method and system for optimizing shipping methodology for cold formed steel studs
CN113872798A (en) Method and device for constructing space network topological graph, storage medium and electronic equipment
CN111599018B (en) Target tracking method and system, electronic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CN112199757A (en) Structural floor generation method and device, nonvolatile storage medium and processor
EP3547266A1 (en) Importation and transformation tool for utilizing computer-aided design files in a web browser or customized client interfa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