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63030A - 중앙분리대용 윈드 디플렉터 - Google Patents

중앙분리대용 윈드 디플렉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63030A
KR20190063030A KR1020170161789A KR20170161789A KR20190063030A KR 20190063030 A KR20190063030 A KR 20190063030A KR 1020170161789 A KR1020170161789 A KR 1020170161789A KR 20170161789 A KR20170161789 A KR 20170161789A KR 20190063030 A KR20190063030 A KR 201900630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parator
median
center
wind
wind defl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17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종화
Original Assignee
우종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종화 filed Critical 우종화
Priority to KR10201701617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63030A/ko
Publication of KR201900630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303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7/00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now, sand drifts, side-wind effects, snowslides, avalanches or falling rocks; Anti-dazzle arrangements ; Sight-screens for roads, e.g. to mask accident site
    • E01F7/02Snow fences or similar devices, e.g. 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and drifts or side-wind effects
    • E01F7/025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otecting against wind, e.g. screens, deflectors or attenuators at tunnel or lock entranc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E01F15/08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essentially made of walls or wall-like elements ; Cable-linked blo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ind Mo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로상에 설치되는 중앙분리대에 적용되어 차량 주행에 방해를 주는 바람의 영향의 줄여줄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하단에서 상단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는 형상의 중앙분리대에 설치되는 중앙분리대용 윈드 디플렉터로서, 상기 중앙분리대의 상측 좌우측면에 하나씩 설치되되, 상기 중앙분리대의 외면과 이격거리를 이루도록 형성됨으로써 공기가 상승 유동될 수 있는 유로를 형성하는 유도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중앙분리대용 윈드 디플렉터{Wind deflector for a road partition}
본 발명은 도로상에 설치되는 중앙분리대에 적용되어 차량 주행에 방해를 주는 바람의 영향의 줄여줄 수 있도록 하는 중앙분리대용 윈드 디플렉터에 관한 기술이다.
고속도로를 비롯한 주요도로 상에는 안전을 위해 중앙분리대가 설치되며, 주로 콘크리트 구조물을 연이어 설치하는 경우가 많다.
중앙분리대는 고속 주행 차량이 반대편 차선으로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여 대형 인명사고를 방지하는데 도움을 준다.
하지만, 중앙분리대로 인해 바람이 심하게 부는 날에는 중앙분리대에 부딪힌 바람이 오히려 차량의 주행에 방해를 주는 경우도 발생한다.
따라서 차량 및 탑승자의 안전을 위해서는 중앙분리대에 바람의 영향을 줄여줄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이 요구된다.
본 발명과 관련한 종래기술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09473호의 "와류전환형 방풍도로"가 알려져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와류전환형 방풍도로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며, 도시된 바와 같이 노면 가장자리에 주행방향과 나란하게 벽체가 구축된 도로에서, 상기 벽체 상단이 도로 밖의 위쪽을 향하여 사선으로 뻗도록 절곡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류전환형 방풍도로를 제공한다. 이때, 절곡된 벽체 상단 외측면에 도로 주행방향과 나란하게 리브가 돌출되도록 형성되거나, 상기 벽체 외측면이 도로 주행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요철이 형성되는 절판구조로 이루어지도록 하거나, 또는 벽체 표면에 통공이 다수개 형성되도록 하면 방풍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벽체를 그 하단이 도로 노면과 이격되도록 하면, 겨울철 더욱 향상된 방설 및 제설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교통안전을 생각할 때 반대 방향 차선과 구분되도록 설치되는 중앙분리대에서 발생되는 바람의 영향을 줄여줄 수 있도록 할 필요성이 있으나, 종래기술로는 이를 달성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09473호
이에 본 발명에서는 중앙분리대에 장착되어 차량의 주행에 방해가 될 수 있는 바람을 효과적으로 상방으로 유도할 수 있도록 하는 중앙분리대용 윈드 디플렉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기 생산이 가능한 풍력모듈이 구비되게 함으로써 친환경적인 발전기능을 갖는 중앙분리대용 윈드 디플렉터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제시한 바와 같은 과제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의 중앙분리대용 윈드 디플렉터는, 하단에서 상단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는 형상의 중앙분리대; 상기 중앙분리대의 상측 좌우측면에 하나씩 설치되되, 상기 중앙분리대의 외면과 이격거리를 이루도록 형성됨으로써 공기가 상승 유동될 수 있는 유로를 형성하는 유도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유도플레이트는, 상기 중앙분리대의 외면과 동일한 경사각을 갖는 제1유도부; 상기 제1유도부의 하단에서 외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제1유도부와 상기 중앙분리대의 외면간 이격거리보다 먼 이격거리를 형성하는 제2유도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유도플레이트는, 상기 중앙분리대의 좌우측면을 따라 대칭적으로 마련되되, 상기 중앙분리대의 상단에 고정되는 브라켓에 연결되어 고정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유도플레이트는 복수의 지지편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지지편은 상기 중앙분리대의 외면과 연결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브라켓의 좌우 양단으로 돌출된 단부에 지지편이 결합되고, 상기 지지편에 상기 유도플레이트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유도플레이트에는 풍력모듈이 설치되어 전기 생산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중앙분리대용 윈드 디플렉터는 비교적 간단한 구조와 시공으로 차량의 안전한 주행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중앙분리대용 윈드 디플렉터는 풍력모듈이 추가 설치될 수 있어 안전을 위한 조명용 전기공급이 가능하다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와류전환형 방풍도로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중앙분리대용 윈드 디플렉터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중앙분리대용 윈드 디플렉터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중앙분리대용 윈드 디플렉터의 사시도.
도 5는 제2실시예에 의한 중앙분리대용 윈드 디플렉터의 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중앙분리대용 윈드 디플렉터에 대해 보다 상세한 설명을 하도록 하며,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는 것으로 한다. 단, 제시되는 도면 및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하나의 실시 가능한 예를 설명하는 것인 바,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의한 중앙분리대용 윈드 디플렉터는 도로 상에 설치되는 중앙분리대에 설치될 수 있는 것으로서, 일반적으로는 고속도로나 일반 국도의 양방향 도로 중앙에 설치되어 사용될 수 있을 것이나, 도로의 가장자리에 설치되어 사용될 수도 있는 것이다.
첨부되는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중앙분리대용 윈드 디플렉터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중앙분리대용 윈드 디플렉터의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중앙분리대용 윈드 디플렉터의 사시도이며, 도 5는 제2실시예에 의한 중앙분리대용 윈드 디플렉터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중앙분리대용 윈드 디플렉터는 도로에 설치된 중앙분리대(10)에 장착되는 것으로서, 일반적인 중앙분리대(10)는 좌우 대칭을 이루며, 하단에서 상단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는 형상을 이루고 있다.
이러한 중앙분리대(10)는 소정길이를 갖도록 규격화되어 제작되며, 연속적으로 중앙분리대를 연결하여 설치하게 된다.
중앙분리대(10)로 향하는 바람을 상방으로 유도하기 위한 유도플레이트(100)가 마련되는데, 유도플레이트(100)는 중앙분리대(10)의 상측 좌우측면으로 하나씩 설치되되, 중앙분리대(10)의 외면과 소정의 이격거리를 이루도록 장착됨으로써 공기가 상승 유동될 수 있는 유로를 형성하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유도플레이트(100)는 중앙분리대(10)의 좌우로 대칭을 이루면서 하나씩 설치되는데, 각 유도플레이트(100)는 제1유도부(110)와 제2유도부(120)를 갖추고 있다.
유도플레이트(100)는 금속소재를 절곡 성형하여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측파트가 제1유도부(110)가 되고 하측 파트는 제2유도부(120)가 되고, 제1유도부(110)와 제2유도부(120)는 일체로 연결된다.
제1유도부(110)는 중앙분리대(10)의 외면과 동일한 경사각을 갖도록 하며, 제1유도부(110)는 중앙분리대(10)의 외면과 소정의 이격거리를 갖게 되고, 동일한 경사각을 이루기 때문에 제1유도부(110)는 전체적으로 중앙분리대(10)의 외면과 동일한 이격거리를 이루도록 설치된다.
절곡에 의해 제1유도부(110)의 하단에서 제2유도부(120)가 연이어 형성되는데, 제2유도부(120)는 보다 외측으로 절곡됨으로써 제1유도부(110)와 중앙분리대(10)의 외면간 이격거리 보다 먼 이격거리를 형성하게 된다.
한편, 제2유도부(120)의 하단에서 절곡되는 제3유도부(130)가 더 형성될 수도 있다. 제3유도부(130)는 상대적으로 짧게 형성되어 불어오는 바람이 제2유도부(120)로 원활히 진입될 수 있도록 한다.
중앙분리대(10)에 장착되는 유도플레이트(100)로 인해 바람이 유입되어 상방으로 이동될 수 있는 유로가 형성되며, 제3유도부(130), 제2유도부(120), 제1유도부(110)를 따라 공기가 상승되고, 유로가 점차 좁아지는 형태가 되므로 유입되는 공기는 빠른 속도로 상승 배출된다.
중앙분리대(10)와 연결되는 유도플레이트(100)는 연결수단이 필요하게 되는데, 본 실시예의 경우 중앙분리대(10)의 상단에 고정되는 브라켓(200)을 통해 고정 설치되도록 한다.
브라켓(200)은 중앙분리대(10) 상단에 고정되되, 좌우로 돌출되는 아암(210)에 유도플레이트(100)가 연결되는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브라켓(200)은 최소 두 개 이상이 구비되도록 하며, 중앙분리대(10)의 길이가 긴 경우와 같이 하나의 중앙분리대(10)의 길이에 따라 사용되는 브라켓(200)의 갯수는 변경될 수 있다.
한편, 브라켓(200)은 판상체이거나 봉상부재일 수도 있으며, 브라켓(200)의 중심부에서 앵커볼트를 이용하여 중앙분리대(10) 상면에 고정 연결되도록 하고, 브라켓(200)의 각 단부를 이루는 아암(210)과 유도플레이트(100) 결합은 볼팅이나 용접 등의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도 4의 본 발명의 제2실시예와 같이 유도플레이트(100)는 복수의 지지편(220)을 이용하여 중앙분리대(10)에 고정 설치되게 할 수 있는데, 지지편(220)은 판상체를 레이저 절단 등의 방식으로 절단한 것이며, 중앙분리대(10) 외면과 접촉되는 일단은 일직선으로 이루어지고, 타단은 유도플레이트(100)의 형상과 같은 외형을 갖추어 유도플레이트(100)를 안착되게 하여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한다.
즉, 지지편(220)의 상측은 제1유도부(110)와 같은 경사각을 이루게 되고, 하측은 제2유도부(120)와 같은 경사각을 갖도록 절단 성형된다.
지지편(220)은 중앙분리대(10) 외면에 고정되도록 함이 바람직하고, 지지편(220)에 플랜지를 연결하여 중앙분리대 외면과 플랜지를 결합하도록 할 수 있고, 언급한 브라켓(200)의 좌우 단부인 아암(210)이 지지편(220)이 되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즉, 중앙분리대(10) 상단면에 좌우로 돌출되는 브라켓(200)이 형성되고, 브라켓(200)의 각 단부로 돌출되는 아암이 지지편이 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중앙분리대용 윈드 디플렉터에는 풍력모듈(300)이 설치될 수 있으며, 풍력모듈(300)에 의해 생산되는 전기는 각종 조명용 전원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풍력모듈(300)은 회전되는 팬을 포함하게 되며, 유도플레이트(100)와 중앙분리대(10) 외면 사이에 장착될 수 있고, 상승하는 공기의 흐름, 즉 바람에 의해 팬이 회전되면서 전기 생산이 이루어게 한다. 즉,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풍력모듈(300)은 소형 풍력발전을 의미하게 되며, 풍력발전의 원리는 공지의 사항인 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중앙분리대용 윈드 디플렉터는 각종 도로에 설치되는 중앙분리대에 장착되는 형태로 사용되기에 적합한 기술이다.
10 : 중앙분리대
100 : 유도플레이트
110 : 제1유도부
120 : 제2유도부
130 : 제3유도부
200 : 브라켓
210 : 아암
202 : 지지편
300 : 풍력모듈

Claims (6)

  1. 하단에서 상단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는 형상의 중앙분리대에 설치되는 중앙분리대용 윈드 디플렉터로서,
    상기 중앙분리대의 상측 좌우측면에 하나씩 설치되되, 상기 중앙분리대의 외면과 이격거리를 이루도록 형성됨으로써 공기가 상승 유동될 수 있는 유로를 형성하는 유도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분리대용 윈드 디플렉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플레이트는,
    상기 중앙분리대의 외면과 동일한 경사각을 갖는 제1유도부;
    상기 제1유도부의 하단에서 외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제1유도부와 상기 중앙분리대의 외면간 이격거리보다 먼 이격거리를 형성하는 제2유도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분리대용 윈드 디플렉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플레이트는,
    상기 중앙분리대의 좌우측면을 따라 대칭적으로 마련되되, 상기 중앙분리대의 상단에 고정되는 브라켓에 연결되어 고정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분리대용 윈드 디플렉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플레이트는 복수의 지지편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지지편은 상기 중앙분리대의 외면과 연결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분리대용 윈드 디플렉터.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의 좌우 양단으로 돌출된 단부에 지지편이 결합되고, 상기 지지편에 상기 유도플레이트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분리대용 윈드 디플렉터.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플레이트에는 풍력모듈이 설치되어 전기 생산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분리대용 윈드 디플렉터.



KR1020170161789A 2017-11-29 2017-11-29 중앙분리대용 윈드 디플렉터 KR2019006303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1789A KR20190063030A (ko) 2017-11-29 2017-11-29 중앙분리대용 윈드 디플렉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1789A KR20190063030A (ko) 2017-11-29 2017-11-29 중앙분리대용 윈드 디플렉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3030A true KR20190063030A (ko) 2019-06-07

Family

ID=668500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1789A KR20190063030A (ko) 2017-11-29 2017-11-29 중앙분리대용 윈드 디플렉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6303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030790A (zh) * 2020-07-20 2020-12-04 中国科学院西北生态环境资源研究院 具有曲面阻网结构的防风阻沙装置及路基风沙防护体系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9473B1 (ko) 2006-02-06 2007-04-19 주식회사 경호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사무소 와류전환형 방풍도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9473B1 (ko) 2006-02-06 2007-04-19 주식회사 경호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사무소 와류전환형 방풍도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030790A (zh) * 2020-07-20 2020-12-04 中国科学院西北生态环境资源研究院 具有曲面阻网结构的防风阻沙装置及路基风沙防护体系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7379B1 (ko) 신호등 지지용 지주장치
KR101077246B1 (ko) 풍력발전용 중앙분리대 및 이를 이용한 풍력발전 시스템
KR101128216B1 (ko) 교량용 방풍벽
KR20190063030A (ko) 중앙분리대용 윈드 디플렉터
CN108677686A (zh) 一种用于分离式钢箱梁桥梁涡激共振的控制气动结构
AU2015389849B2 (en) Spacer for road safety barrier
US6810991B1 (en) Enfolding sound barrier
KR100662817B1 (ko) 고가 도로와 연계된 터널 출구의 횡풍 저감용 패널
EP3124699B1 (en) Structural object for road and road structure having the same
CN111851330A (zh) 一种压电发电预警的防风障
JP3663544B2 (ja) 橋梁
AU2015389793B2 (en) Spacer for road safety barrier
KR20140041186A (ko) 와류형성에 의한 방풍벽
KR101880475B1 (ko) 윈드 디플렉터
KR101184093B1 (ko) 1차로 전용 차량의 차로 변경 시스템
JP2003328325A (ja) 落下防止機能付き道路用透光型遮音壁
KR200371172Y1 (ko) 중앙분리대용 차광판
JP5822193B2 (ja) 雪庇発生防止装置
CN209224955U (zh) 一种机车车底安装式制动电阻
JP2018204342A (ja) 離間型スノーシェルター
JP5153740B2 (ja) 脱線車両の逸脱防止装置
CN211368463U (zh) 一种主动预警提示的新型减速带
JP2009174177A (ja) 安全柵
JP2002021500A (ja) トンネル圧力波低減構造、及びトンネルの圧力波低減方法
JPS5849215Y2 (ja) 防風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