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62653A - 전자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Google Patents

전자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62653A
KR20190062653A KR1020170159672A KR20170159672A KR20190062653A KR 20190062653 A KR20190062653 A KR 20190062653A KR 1020170159672 A KR1020170159672 A KR 1020170159672A KR 20170159672 A KR20170159672 A KR 20170159672A KR 20190062653 A KR20190062653 A KR 201900626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display panel
sensing
back surface
sensing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96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97438B1 (ko
Inventor
이상현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596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7438B1/ko
Priority to US16/164,747 priority patent/US11088218B2/en
Priority to EP18206920.3A priority patent/EP3490230B1/en
Priority to CN201811423334.4A priority patent/CN109840464A/zh
Publication of KR201900626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26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74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74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1L27/323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40OLEDs integrated with touch scree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2Fingerprints or palmprints
    • G06V40/13Sensors therefor
    • G06V40/1318Sensors therefor using electro-optical elements or layers, e.g. electroluminescent sensing
    • H01L27/3262
    • H01L51/5237
    • H01L51/5293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4Encapsul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1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characterised by the geometry or disposition of pixel elements
    • H10K59/1213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characterised by the geometry or disposition of pixel elements the pixel elements being TF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6Shielding, e.g. light-blocking means over the TF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60OLEDs integrated with inorganic light-sensitive elements, e.g. with inorganic solar cells or inorganic photodiod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9/873Encapsul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ometry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Image Input (AREA)

Abstract

전면 및 상기 전면에 대향되는 배면을 포함하고, 각각이 상기 전면에 광을 표시하는 복수의 발광 영역들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상기 배면에 배치되고, 광 감지 소자를 포함하는 광 감지 모듈, 및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광 센서 모듈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배면 상에서 서로 이격되어 배열된 복수의 광 투과부들을 포함하는 격자 필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자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ELECRIC PANEL AND ELECTRIC DEVICE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전자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향상된 광 감도를 가진 전자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자 장치는 영상을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하거나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하는 등 사용자와 유기적으로 소통할 수 있는 다양한 기능을 제공한다.
최근의 전자 장치들은 사용자의 지문을 감지하기 위한 기능을 함께 포함하고 있다. 지문 인식 방식으로는 전극들 사이에 형성된 커패시터의 커패시턴스 변화에 기초한 정전용량 방식, 광 센서를 이용하는 광학 방식, 압전체를 활용한 초음파 방식 등이 있다.
광학 방식에 따른 지문 인식은 광학센서에 제공되는 광량을 통해 지문을 감지하므로, 전자 장치의 지문 인식 감도는 광학센서에 도달되는 광량에 따라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이에 따라, 광학 센서에 도달되는 광량을 확보하기 위한 다양한 기술들이 제안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지문 감지에 용이한 정도의 광량을 광 감지 모듈에 안정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전자 패널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향상된 지문 감도를 가진 전자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면 및 상기 전면에 대향되는 배면을 포함하고, 각각이 상기 전면에 광을 표시하는 복수의 발광 영역들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상기 배면에 배치되고, 광 감지 소자를 포함하는 광 감지 모듈, 및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광 센서 모듈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배면 상에서 서로 이격되어 배열된 복수의 광 투과부들을 포함하는 격자 필터를 포함한다.
상기 광 감지 모듈에 입사되는 광은 상기 광 투과부들을 통해 입사될 수 있다.
상기 광 감지 모듈에 입사되는 광은 상기 표시 패널의 두께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제어된 광 경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격자 필터는 광 차단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격자 필터는 은(Ag)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은 상기 표시 패널의 배면을 커버하고 유기물을 포함하는 커버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격자 필터는 상기 커버층에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커버층은 복수의 굴곡들을 가진 배면을 포함하고, 상기 격자 필터는 상기 굴곡들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은 상기 발광 영역들 중 적어도 일부와 중첩하고, 사용자의 지문이 감지되는 지문 감지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격자 필터의 상기 광 투과부들은 평면상에서 상기 지문 감지 영역과 중첩할 수 있다.
상기 격자 필터는 상기 표시 패널의 상기 배면을 전면적으로 커버하고, 상기 광 투과부들은 상기 격자 필터에 부분적으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격자 필터는 상기 표시 패널의 상기 배면을 전면적으로 커버하고, 상기 광 투과부들은 상기 격자 필터의 전체에 정의될 수 있다.
상기 격자 필터는 상기 광 감지 모듈을 향하고 복수의 굴곡들을 포함하는 배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격자 필터는, 점착성 물질을 포함하는 점착부, 및 상기 점착부에 접촉하고 상기 광 투과부들이 정의된 격자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점착부는 상기 표시 패널 및 상기 광 감지 모듈 각각에 접촉하여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광 감지 모듈을 결합시킬 수 있다.
상기 격자부는 상기 점착부와 상기 광 감지 모듈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점착부의 일부는 상기 광 투과부를 통해 상기 광 감지 모듈에 접촉할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은, 복수의 박막 소자들을 포함하는 어레이 부, 및 상기 어레이 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각각이 상기 발광 영역들에 배치된 복수의 유기발광소자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상기 표시 패널 상에 배치되고 외부에서 인가되는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 감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 감지 소자는, 제1 전극, 상기 제1 전극과 대향되는 제2 전극, 및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 사이에 배치되고 광 반응성 반도체 물질을 포함하는 광 감지층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패널은 영상이 표시되는 표시 영역 및 상기 표시 영역에 인접한 주변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표시 영역에 배치된 복수의 유기 발광 소자들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및 상기 배면에 접촉하고 상기 배면상에서 매트릭스 형상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열된 복수의 관통부들을 포함하는 격자 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관통부들은 상기 표시 영역의 적어도 일부와 중첩한다.
상기 유기 발광 소자들에서 방출된 광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표시 패널의 상기 배면을 지나 상기 관통부들을 관통할 수 있다.
상기 격자 필터는 상기 표시 패널의 상기 배면의 전면을 커버할 수 있다.
상기 격자 필터는 유기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격자 필터의 배면은 비 평탄면일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의 상기 배면은 복수의 굴곡들을 포함하는 비 평탄면이고, 상기 격자 필터는 상기 굴곡들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자 패널은 외부에서 인가되는 입력의 표면 정보를 감지하여 이에 대응되는 광을 배면으로 방출한다. 이때 전자 패널은 배면으로 방출되는 광의 직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자 패널은 배면에 배치되는 광 감지 모듈에 광 경로가 제어된 광을 제공할 수 있어, 광 감지 모듈의 광 감지의 정확성이나 민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표시 패널의 배면의 표면 상태나 표시 패널 내부의 구성들에 의한 광 산란성이 증가되더라도 광 감지 모듈에 입사되는 광의 경로가 균일하게 유지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를 도시한 결합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전자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일부 구성의 일 부분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 감지 모듈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b는 도 4a의 일부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격자 필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b 및 도 5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격자 필터들의 사시도들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광 감지 흐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일부 구성을 간략히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일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일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b는 비교 실시예에서의 광 경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c는 도 9a에 도시된 전자 장치의 광 경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일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b 및 도 10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일부 구성들을 간략히 도시한 사시도들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일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를 도시한 결합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전자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일부 구성의 일 부분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에는 용이한 설명을 위해 일부 구성들을 생략하여 도시하였다.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전자 장치(1000)는 전기적 신호에 따라 활성화되는 장치일 수 있다. 전자 장치(1000)는 다양한 실시예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0)는 태블릿, 노트북, 컴퓨터, 스마트 텔레비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1000)는 스마트 폰인 경우를 예시적으로 도시하였다.
전자 장치(1000)는 서로 교차하는 제1 방향(DR1) 및 제2 방향(DR2)이 정의하는 평면상에서 제3 방향(DR3)에서의 두께를 가진 육면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전자 장치(1000)는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어느 하나의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전자 장치(1000)는 제1 방향(DR1) 및 제2 방향(DR2) 각각에 평행하고 제3 방향(DR3)을 향해 영상(IM)을 표시할 수 있다. 영상이 표시되는 표시면은 전자 장치(1000)의 전면과 대응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00)의 전면은 투과 영역(TA) 및 베젤 영역(BZA)으로 구분될 수 있다. 투과 영역(TA)은 영상(IM)이 표시되는 영역일 수 있다. 사용자는 투과 영역(TA)을 통해 영상(IM)을 시인한다.
베젤 영역(BZA)은 투과 영역(TA)에 인접한다. 베젤 영역(BZA)은 소정의 컬러를 가질 수 있다. 투과 영역(TA)의 형상은 실질적으로 베젤 영역(BA)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미지(IM)가 표시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각 부재들의 전면(또는 전면)과 배면(또는 하면)이 정의된다. 전면과 배면은 제3 방향(DR3)에서 서로 대향되고, 전면과 배면 각각의 법선 방향은 제3 방향(DR3)과 평행할 수 있다.
한편, 제1 내지 제3 방향들(DR1, DR3, DR3)이 지시하는 방향은 상대적인 개념으로서 다른 방향으로 변환될 수 있다. 이하, 제1 내지 제3 방향들은 제1 내지 제3 방향들(DR1, DR2, DR3)이 각각 지시하는 방향으로 동일한 도면 부호를 참조한다.
전자 장치(1000)는 외부에서 인가되는 터치(TC)를 감지할 수 있다. 터치(TC)는 전자 장치(1000)의 외부에서 제공되는 다양한 형태의 입력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TC)는 사용자 신체의 일부, 광, 열, 또는 압력 등 다양한 형태의 외부 입력들을 포함한다. 또한, 전자 장치(1000)는 전자 장치(1000)에 접촉하는 터치(TC)는 물론, 근접하거나 인접하는 터치(TC)를 감지할 수도 있다.
전자 장치(1000)는 투과 영역(TA)에 인가되는 터치(TC)를 감지하고 베젤 영역(BZA)에 인가되는 터치(TC)는 감지하지 않을 수 있다. 또는, 전자 장치(1000)는 베젤 영역(BZA)에 인가되는 터치(TC)를 감지하고 투과 영역(TA)에 인가되는 터치를 감지하지 않을 수도 있다. 또는, 전자 장치(1000)는 투과 영역(TA) 및 베젤 영역(BZA)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1000)의 전면에 인가되는 터치(TC)를 감지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0)는 내부 구성 설계에 따라 다양한 영역에 인가되는 터치(TC)를 감지할 수 있으며, 어느 하나의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에서 터치(TC)는 사용자의 신체의 일부인 손인 경우를 예시적으로 도시하였다. 다만, 이는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다양한 형태의 터치를 감지할 수 있으며, 어느 하나의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0)는 터치(TC)의 표면(FNG)을 감지할 수 있다. 터치(TC)의 표면(FNG)은 터치(TC)의 표면 상태, 예를 들어 표면 균일도나 표면 굴곡 형상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TC)가 사용자의 손인 경우, 터치(TC)의 표면(FNG)은 지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터치(TC)의 표면(FNG)은 무체물의 표면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터치(TC)에 대한 정보는 터치(TC)가 제공되는 위치 및 터치(TC)의 세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TC)의 표면(FNG, 이하 지문)에 대한 정보는 전자 장치(1000)에 접하는 터치(TC)의 표면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터치(TC)에 대한 정보와 지문(FNG)에 대한 정보는 서로 독립적으로 감지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00)는 전면에 지문(FNG)을 감지하는 지문 감지 영역(FRA)을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지문 감지 영역(FRA)은 투과 영역(TA)에 제공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00)는 지문 감지 영역(FRA)에 인가되는 터치(TC)의 표면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서 지문 감지 영역(FRA)은 표시 영역(DA)의 일부 영역에 제공된 것으로 도시되었다. 다만, 이는 예시적으로 도시된 것이고, 지문 감지 영역(FRA)은 표시 영역(DA)과 비 중첩하도록 제공되거나, 표시 영역(DA)의 전체에 중첩하도록 제공될 수도 있다.
전자 장치(1000)는 표시 패널(100), 윈도우 부재(200), 광 감지 모듈(300), 격자 필터(400), 및 하우징 부재(500)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 부재(500), 광 감지 모듈(300), 격자 필터(400), 표시 패널(100), 및 윈도우 부재(200)는 제3 방향(DR3)을 따라 적층되어 조립될 수 있다.
한편, 도 2에는 용이한 설명을 위해 일부 구성들을 선택적으로 도시하였다. 전자 장치(1000)는 표시 패널(100), 윈도우 부재(200), 광 감지 모듈(300), 격자 필터(400), 및 하우징 부재(500) 외에 전원 공급 모듈, 광학 부재, 보호 부재, 방열 부재, 전자 소자들을 포함하는 전자 모듈 등 다양한 구성들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도 2에서 다른 구성들에 대해서는 생략하여 도시되었다.
표시 패널(100)은 평면상에서 표시 영역(DA) 및 주변 영역(NDA)으로 구분될 수 있다. 표시 영역(DA)은 이미지(IM)가 표시되는 영역일 수 있다. 표시 영역(DA)은 이미지(IM)를 생성하는 광들이 표시되는 복수의 발광 영역들(PXA)을 포함한다. 발광 영역들(PXA)은 표시 영역(DA) 상에서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열된다.
도 3에는 일 발광 영역(PXA)을 예시적으로 도시하였다. 한편, 도 3에는 지문 감지 영역(FRA)의 일 부분을 도시하였다. 지문 감지 영역(FRA)은 적어도 하나의 발광 영역(PXA)을 포함한다. 즉, 지문 감지 영역(FRA)은 표시 영역(DA)과 중첩하는 영역에 제공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표시 패널(100)은 베이스 기판(110), 어레이부(120), 표시 소자부(130), 및 터치 감지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기판(110)은 절연성을 가질 수 있다. 베이스 기판(110)은 어레이부(120), 표시 소자부(130), 및 터치 감지부(140)가 형성되는 기저층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베이스 기판(110)은 투명성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베이스 기판(110)은 유리 기판, 플라스틱 기판, 절연 필름,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어레이부(120)는 베이스 기판(110) 상에 배치된다. 어레이부(120)는 박막 소자(TEM) 및 복수의 절연층들을 포함한다. 절연층들 각각은 무기물 및/또는 유기물을 포함할 수 있다. 절연층들은 제3 방향(DR3)을 따라 순차적으로 적층된 제1 절연층(121), 제2 절연층(122), 및 제3 절연층(123)을 포함할 수 있다.
박막 소자(TEM)는 박막 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박막 소자(TEM)는 반도체 패턴(SM), 제어 전극(CE), 입력 전극(IE), 및 출력 전극(OE)을 포함한다. 박막 소자(TEM)는 제어 전극(CE)을 통해 반도체 패턴(SM)에서의 전하 이동을 제어하여 입력 전극(IE)으로부터 입력되는 전기적 신호를 출력 전극(OE)을 통해 출력한다.
제1 절연층(121)은 반도체 패턴(SL)과 제어 전극(CE)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어 전극(CE)은 반도체 패턴(SL) 상에 배치된 것으로 도시되었다. 다만, 이는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박막 소자(TEM)는 제어 전극(CE) 상에 배치되는 반도체 패턴(SL)을 포함할 수도 있으며, 어느 하나의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제2 절연층(122)은 제어 전극(CE)과 입력 전극(IE) 및 출력 전극(OE)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입력 전극(IE)과 출력 전극(OE)은 제2 절연층(122) 상에 배치된다. 입력 전극(IE)과 출력 전극(OE)은 제1 절연층(121) 및 제2 절연층(122)을 관통하여 반도체 패턴(SM)에 각각 접속된다. 다만, 이는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입력 전극(IE) 및 출력 전극(OE)은 반도체 패턴(SM)에 직접 접속될 수도 있다.
제3 절연층(123)은 제2 절연층(122) 상에 배치된다. 제3 절연층(123)은 박막 소자(TEM)를 커버할 수 있다. 제3 절연층(122)은 박막 소자(TEM)와 표시 소자층(130)을 전기적으로 절연시킨다.
다만, 이는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박막 소자(TEM)는 커패시터(capacitor)일 수 있다. 이때, 박막 소자(TEM)는 제1 내지 제3 절연층(121, 122, 123)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절연층을 사이에 두고 제3 방향(DR3)에서 서로 이격된 두 전극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시되지 않았으나, 어레이부(120)는 박막 소자(TEM)에 전기적 신호를 제공하는 복수의 신호 라인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레이부(120)는 다양한 박막 소자들 및 신호 라인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어느 하나의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표시 소자부(130)는 표시 소자(DEM) 및 복수의 절연층들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표시 소자(DEM)는 전기적 신호에 따라 광을 표시하는 다양한 전자 소자들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소자(DEM)는 박막 소자(TEM)에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표시 소자(DEM)는 유기발광소자(Organic light emitting diode)인 경우를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절연층들은 제4 절연층(131) 및 제5 절연층(132)을 포함할 수 있다. 제4 절연층(131)은 제3 절연층(123) 상에 배치된다. 제4 절연층(131)에는 복수의 광 투과부들이 정의될 수 있다. 광 투과부들 각각에는 표시 소자(DEM)가 제공될 수 있다. 발광 영역들(PXA)은 실질적으로 광 투과부들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4 절연층(131)은 화소 정의막(Pixel definition layer)과 대응될 수 있다.
표시 소자(DEM)는 제1 전극(ED1), 제2 전극(ED2), 및 발광 패턴(EML)을 포함한다. 표시 소자(DEM)는 제1 전극(ED1)과 제2 전극(ED2) 사이의 전위차를 통해 발광 패턴(EML)을 여기(excitation)시켜 광을 생성할 수 있다.
제1 전극(ED1)은 박막 소자층(120) 상에 배치된다. 제1 전극(ED1)은 제3 절연층(123)을 관통하여 박막 소자(TEM)에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제1 전극(ED1)은 복수로 제공될 수 있다. 복수의 제1 전극들 각각의 적어도 일부들은 광 투과부들 각각에 의해 노출될 수 있다.
제2 전극(ED2)은 제1 전극(ED1) 상에 배치된다. 제2 전극(ED2)은 복수의 제1 전극들 및 제4 절연층(131)에 중첩하는 일체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표시 소자(DEM)가 복수로 제공될 때 제2 전극(ED2)은 표시소자들마다 동일한 전압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전극(ED2)을 형성하기 위해 별도의 패터닝 공정이 생략될 수 있다. 한편, 이는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제2 전극(ED2)은 광 투과부들 각각에 대응되도록 복수로 제공될 수도 있다.
발광 패턴(EML)은 제1 전극(ED1)과 제2 전극(ED2) 사이에 배치된다. 발광 패턴(EML)은 복수로 제공되어 광 투과부들 각각에 배치될 수 있다. 표시 소자(DEM)는 제1 전극(ED1) 및 제2 전극(ED2) 사이의 전위차에 따라 발광 패턴(EML)을 활성화시켜 광(OL)을 생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전극(ED1)은 반사성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극(ED1)은 반사율이 높은 금속을 포함할 수 있고, 전면에 반사층이 코팅된 도전 패턴일 수 있다.
이와 달리, 제2 전극(ED2)은 광학적으로 투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전극(ED2)은 투명 전도성 산화물(Transparent conductive oxide, TCO)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소자(DEM)는 반사성을 가진 제1 전극(ED1) 및 투명성을 가진 제2 전극(ED2)을 포함함으로써, 전면 발광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표시 소자(DEM)에서 생성된 광(OL)은 제2 전극(ED2)을 지나 전면을 향해 제공될 수 있다. 표시 소자(DEM)에서 생성된 광(OL)은 영상(IM)을 구성한다. 또한, 표시 소자(DEM)에서 생성된 광(OL)은 지문(FNG)을 감지하기 위한 광원으로 이용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도시되지 않았으나, 표시 소자(DEM)는 적어도 하나의 유기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유기층은 제1 전극(ED1)과 발광 패턴(EML) 사이 및 제2 전극(ED2)과 발광 패턴(EML) 사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배치될 수 있다. 유기층은 발광 패턴(EML)에서 광을 발생시키는 전하들의 이동을 제어하여 표시 소자(DEM)의 발광 효율 및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5 절연층(132)은 제4 절연층(131) 상에 배치되어 표시 소자(DEM)를 커버한다. 제5 절연층(132)은 절연성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5 절연층(132)은 적어도 하나의 유기막 및/또는 무기막을 포함할 수 있다. 제5 절연층(132)은 표시 소자(DEM)의 상부를 평탄화시키고, 외부의 수분, 오염, 또는 충격 등이 표시 소자(DEM)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하여 표시 소자(DEM)를 보호한다.
터치 감지부(140)는 표시 소자부(130) 상에 배치된다. 다만, 이는 예시적으로 도시된 것이고, 터치 감지부(140)는 표시 소자부(130) 하측에 배치될 수도 있다. 터치 감지부(140)는 다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으며 어느 하나의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터치 감지부(140)는 도 1에 도시된 터치(TC)를 감지한다. 전자 장치(1000)는 터치 감지부(140)를 통해 터치(TC)가 제공된 위치나 세기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터치 감지부(140)는 제1 감지층(TL1), 절연층(ILD), 제2 감지층(TL2), 및 커버층(CVL)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감지층(TL1)은 절연층(ILD)을 사이에 두고 제2 감지층(TL2)과 절연 교차할 수 있다. 터치 감지부(140)는 제1 감지층(TL1)과 제 감지층(TL2) 사이에 형성된 전계가 터치(TC)에 의해 변화되는 것을 통해 터치(TC)에 대한 정보를 감지한다.
제1 감지층(TL1) 및 제2 감지층(TL2) 각각은 복수의 메쉬선들을 포함할 수 있다. 메쉬선들 각각은 발광 영역(PXA)에 비 중첩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메쉬선들이 불투명한 금속을 포함하더라도 발광영역(PXA)에 표시되는 광(OL)에 미치는 영향을 방지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메쉬선들 중 일부는 발광 영역(PXA)에 중첩하여 배치될 수도 있다.
한편, 제1 감지층(TL1) 및 제2 감지층(TL2)은 동일한 층상에 배치될 수도 있다. 이때, 제1 감지층(TL1) 및 제2 감지층(TL2)은 평면상에서 서로 이격된 복수의 센서 전극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제1 감지층(TL1) 및 제2 감지층(TL2)은 투명한 도전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감지층(TL1) 및 제2 감지층(TL2)은 발광 영역(PXA)에 중첩하여 배치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감지부(140)는 다양한 형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어느 하나의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커버층(CVL)은 제2 감지층(TL2)상에 배치되어 제2 감지층(TL2)을 보호한다. 커버층(CVL)은 적어도 하나의 절연막을 포함할 수 있다. 커버층(CVL)은 유기막 및/또는 무기막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감지부(140)에 있어서, 커버층(CVL)은 생략될 수도 있다. 이때, 커버층(CVL)은 윈도우 부재(200)에 의해 대체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100)에 있어서, 터치 감지부(140)는 생략될 수도 있다. 또는, 터치 감지부(140)는 별도로 제공되는 점착층을 통해 표시 소자층(130) 상에 결합될 수도 있다.
다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윈도우 부재(200)는 표시 패널(100)의 전면에 배치된다. 윈도우 부재(200)는 전자 장치(1000)의 전면을 제공하고, 표시 패널(100)을 보호한다. 예를 들어, 윈도우 부재(200)는 유리 기판, 사파이어 기판, 또는 플라스틱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윈도우 부재(200)는 다층 또는 단층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윈도우 부재(200)는 접착제로 결합된 복수 개의 플라스틱 필름의 적층 구조를 가지거나, 접착제로 결합된 유리 기판과 플라스틱 필름의 적층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윈도우 부재(200)는 전자 장치(1000)의 전면을 정의한다. 투과 영역(TA) 및 베젤 영역(BZA)은 윈도우 부재(2000)에 포함될 수 있다. 투과 영역(TA)은 광학적으로 투명한 영역일 수 있다. 투과 영역(TA)은 표시 영역(DA)과 대응되는 영역을 투과시킨다. 예를 들어, 투과 영역(TA)은 표시 영역(DA)의 전면 또는 적어도 일부와 중첩한다. 표시 패널(100)의 표시 영역(DA)에 표시되는 이미지(IM)는 투과 영역(TA)을 통해 외부에서 시인될 수 있다.
베젤 영역(BZA)은 투과 영역(TA)의 형상을 정의한다. 베젤 영역(BZA)은 투과 영역(TA)에 인접하며, 투과 영역(TA)을 에워쌀 수 있다. 베젤 영역(BZA)은 소정의 컬러를 가질 수 있다. 베젤 영역(BZA)은 표시 패널(100)의 주변 영역(NDA)을 커버하여 주변 영역(NDA)이 외부에서 시인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한편, 이는 예시적으로 도시된 것이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부재(200)에 있어서, 베젤 영역(BZA)은 생략될 수도 있다.
광 감지 모듈(300)은 표시 패널(100)의 배면에 배치될 수 있다. 광 감지 모듈(300)은 평면상에서 지문 감지 영역(FNG)과 중첩하는 영역에 배치된다.
광 감지 모듈(300)은 입사되는 광을 감지하여 전기적 신호를 생성한다. 광 감지 모듈(300)에 입사되는 광은 표시 소자(DEM)로부터 생성된 광(OL)이 지문(FNG)으로부터 반사되어 표시 패널(100)을 지나 방출된 광일 수 있다.
전기적 신호는 광 감지 모듈(300)에 입사되는 광량 및 광의 세기에 대응될 수 있다. 광 감지 모듈(300)은 입사되는 광을 통해 사용자의 지문 정보를 포함하는 전기적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격자 필터(400)는 표시 패널(200)과 광 감지 모듈(300) 사이에 배치된다. 격자 필터(400)는 복수의 광 투과부들(TOP)을 정의하는 격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광 투과부들(TOP) 각각은 제3 방향(DR3)을 따라 격자 필터(400)를 관통한다.
격자 필터(400)는 광 차단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격자 필터(400)는 광 차단 컬러를 가진 유기물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격자 필터(400)는 광 반사율이 높은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격자 필터(400)는 반사율이 높은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격자 필터(400)는 표시 패널(200)에서 광 감지 모듈(300)로 입사되는 광을 필터링(filtering)할 수 있다. 격자 필터(400)를 통과한 광은 제3 방향(DR3)과 나란한 방향의 광 경로를 가지며 격자 필터(400)로부터 출사될 수 있다. 광 감지 모듈(300)은 제3 방향(DR3)에 평행하도록 제어된 광 경로를 가지며 균일한 광 경로를 가진 광을 제공받을 수 있다. 이에 따라 광 감지 모듈(300)의 광 감도의 균일성이나 정확도가 향상될 수 있다. 이하,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하우징 부재(500)는 표시 패널(100)의 배면에 배치된다. 하우징 부재(500)는 윈도우 부재(200)와 결합되어 전자 장치(1000)의 배면을 제공할 수 있다. 하우징 부재(500)는 윈도우 부재(200)와 결합되어 내부 공간을 정의하고, 내부 공간에 표시 패널(100) 및 광 감지 모듈(300)를 수용한다.
미 도시되었으나, 전자 장치(1000)는 적어도 하나의 회로 기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 모듈, 내부 구성들을 보호하는 완충 부재, 광 효율 향상을 위한 광학 부재 등의 추가 구성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추가 구성들은 하우징 부재(500)에 수용될 수 있다.
하우징 부재(500)는 상대적으로 높은 강성을 가진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우징 부재(500)는 글라스, 플라스틱, 메탈로 구성된 복수 개의 프레임 및/또는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 부재(500)는 내부 공간에 수용된 전자 장치(1000)의 구성들을 외부 충격으로부터 안정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0)는 격자 필터(400)를 더 포함함으로써, 광 감지 모듈(300)을 통한 지문(FNG) 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 감지 모듈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b는 도 4a의 일부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b에는 도 4a에 도시된 구성 중 일 광 감지 소자(PS)가 배치된 영역을 예시적으로 도시하였다. 한편, 도시되지 않았으나, 광 감지 모듈(300)은 회로부(CL)에 연결된 전원 공급 모듈이나 회로부(CL)에 연결된 회로 기판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여 광 감지 모듈(300)에 대해 설명한다. 도 4a에 도시된 것과 같이, 광 감지 모듈(300)은 베이스 부(BS), 회로부(CL), 복수의 광 감지 소자들(PS), 봉지부(EC), 및 렌즈부(LS)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기판(BS)은 절연 기판일 수 있다. 회로부(CL) 및 광 감지 소자들(PS)은 베이스 기판(BS) 상에 실장된다. 예를 들어, 베이스 기판(BS)은 실리콘 기판, 유리 기판, 또는 플라스틱 기판일 수 있다.
회로부(CL)은 광 감지 소자들(PS)과 미 도시된 외부 전자 소자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회로부(CL)는 광 감지 소자들(PS)에 외부 전원을 공급하거나, 광 감지 소자들(PS)의 동작을 제어하거나, 광 감지 소자들(PS)에 의해 생성된 전기적 신호를 외부에 제공할 수 있다.
회로부(CL)는 박막 트랜지스터(TR) 및 복수의 절연층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절연층들은 순차적으로 적층된 제1 절연층(IL1), 제2 절연층(IL2), 및 제3 절연층(IL3)을 포함한다. 한편, 도시되지 않았으나, 회로부(CL)는 박막 트랜지스터(TR) 및 광 감지 소자들(PS)에 연결된 복수의 신호 배선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박막 트랜지스터(TR)는 광 감지 소자(PS)에 연결되어 광 감지 소자(PS)에 전기적 신호를 제공한다. 박막 트랜지스터(TR)는 광 감지 소자(PS)의 동작을 제어한다.
박막 트랜지스터(TR)는 베이스 층(BSL) 상에 배치된 반도체 패턴(AL), 제1 절연층(L1)을 사이에 두고 반도체 패턴(AL)과 중첩하고 이격된 제어 전극(CE), 제2 절연층(L2)과 제3 절연층(L3) 사이에 배치되고 서로 이격된 입력 전극(IE) 및 출력 전극(OE)을 포함한다. 박막 트랜지스터(TR)는 제어 전극(CE)을 통해 반도체 패턴(SM)에서의 전하 이동을 제어하여 입력 전극(IE)으로부터 입력되는 전기적 신호를 출력 전극(OE)을 통해 출력한다.
박막 트랜지스터(TR)는 도 3에 도시된 박막 소자(TEM)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가진 구성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박막 트랜지스터(TR)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광 감지 소자(PS)는 박막 트랜지스터(TR)에 연결된다. 광 감지 소자(PS)는 광 감지층(PSL)을 포함하는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광 감지 소자(PS)는 광 감지층(PSL) 및 광 감지층(PSL)을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 제1 광 감지 전극(E1)과 제2 광 감지 전극(E2)을 포함한다.
제1 광 감지 전극(E1)은 박막 트랜지스터(TR)의 출력 전극(OE)에 접속될 수 있다. 제1 광 감지 전극(E1)은 박막 트랜지스터(TR)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인가 받을 수 있다.
제2 광 감지 전극(E2)은 도전성을 가지며 투명성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광 감지 전극(E2)은 투명 전도성 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광 감지 모듈(300)에 수신된 광은 제2 광 감지 전극(E2)을 투과하여 광 감지층(PSL)에 제공될 수 있다.
제1 광 감지 전극(E1)은 제1 광 감지 전극(E1)과 상이한 전기적 신호를 인가 받을 수 있다. 제1 광 감지 전극(E1) 및 제2 광 감지 전극(E2)은 광 감지층(PSL)을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므로, 제1 광 감지 전극(E1) 및 제2 광 감지 전극(E2) 사이에는 소정의 전계가 형성될 수 있다.
광 감지층(PSL)은 입사되는 광에 의해 전기적 신호를 생성한다. 광 감지층(PSL)은 입사되는 광의 에너지를 흡수하여 전하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 감지층(PSL)은 광 민감성 반도체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광 감지층(PSL)에 생성된 전하는 제1 광 감지 전극(E1) 및 제2 광 감지 전극(E2) 사이의 전계를 변화시킨다. 광 감지 소자(PS)에 광이 입사되는 지 여부, 광 감지 소자(PS)에 입사되는 광의 양, 및 세기에 따라 광 감지층(PSL)에 생성되는 전하의 양이 달라진다. 이에 따라, 제1 광 감지 전극(E1) 및 제2 광 감지 전극(E2) 사이에 형성된 전계가 달라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광 감지 소자(PS)는 제1 광 감지 전극(E1) 및 제2 광 감지 전극(E2) 사이의 전계의 변화를 통해 사용자의 지문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광 감지 소자(PS)는 광 감지층(PSL)을 활성층으로 하는 박막 트랜지스터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때, 광 감지 소자(PS)는 박막 트랜지스터에 흐르는 전류량을 감지하여 지문(FNG)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 감지 소자(PS)는 광량의 변화에 대응하여 전기적 신호를 생성할 수 있는 다양한 구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어느 하나의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봉지부(EC)는 광 감지 소자(PS) 상에 배치되어 광 감지 소자(PS)를 커버한다. 봉지부(EC)는 절연성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봉지부(EC)는 적어도 하나의 유기막 및/또는 무기막을 포함할 수 있다. 봉지부(EC)는 외부의 수분, 오염, 또는 충격 등이 광 감지 소자(PS)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하여 광 감지 소자(PS)를 보호한다. 한편, 이는 예시적으로 기재한 것이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 감지 모듈(300)에 있어서, 봉지부(EC)는 생략될 수도 있다.
렌즈부(LS)는 광 감지 소자(PS) 상에 배치된다. 렌즈부(LS)는 광 감지 모듈(300)에 입사되는 광의 집광성을 향상시킨다. 렌즈부(LS)는 단일의 렌즈로 제공되거나 복수의 집광 패턴들을 포함하는 시트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렌즈부(LS)는 렌티큘러 시트(lenticular sheet) 또는 프리즘 시트(prism sheet)와 같은 집광 시트 또는 집광 렌즈(condensing lens)를 포함할 수 있다.
렌즈부(LS)는 광 감지 모듈(300)에 입사되는 광에 대한 광 감지 소자(PS)에 입사되는 광의 비율을 증가시킨다. 광 감지 모듈(300)은 렌즈부(LS)를 더 포함함으로써, 향상된 광 감도를 가질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 감지 모듈(300)에 있어서, 렌즈부(LS)는 생략될 수도 있다.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격자 필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b 및 도 5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격자 필터들의 사시도들이다. 도 5b 및 도 5c에는 각각 도 5a에 도시된 격자 필터(400)와 동일한 평면도를 가질 수 있는 격자 필터들(400_A, 400_B)의 일 실시예들을 도시하였다. 이하, 도 5a 내지 도 5c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격자 필터(400)에 대해 설명한다.
도 5a에 도시된 것과 같이, 격자 필터(400)는 제1 방향(DR1) 및 제2 방향(DR2)을 따라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열된 복수의 광 투과부들(TOP)을 포함할 수 있다. 광 투과부들(TOP)은 복수의 라인 패턴들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라인 패턴들은 복수의 제1 라인 패턴들(R1) 및 복수의 제2 라인 패턴들(R2)을 포함한다.
제1 라인 패턴들(R1)은 제2 방향(DR2) 방향을 따라 배열된 패턴들일 수 있다. 제1 라인 패턴들(R1) 각각은 제1 방향(DR1)을 따라 연장된 직선 형상을 가진다.
제2 라인 패턴들(R2)은 제1 방향(DR1)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열된 패턴들일 수 있다. 제2 라인 패턴들(R2) 각각은 제2 방향(DR2)을 따라 연장된 직선 형상을 가진다.
제1 라인 패턴들(R1)과 제2 라인 패턴들(R2)은 서로 교차되어 연결된다. 1 라인 패턴들(R1)과 제2 라인 패턴들(R2)은 다양한 방식으로 연결되어 광 투과부들(TOP)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라인 패턴들(R1)과 제2 라인 패턴들(R2)은 동일 층을 이루며 연결되어 일체의 형상을 가진 격자 필터(400_A)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격자 필터(400_A)의 두께는 제1 라인 패턴들(R1)과 제2 라인 패턴들(R2)의 두께 중 가장 큰 두께와 대응될 수 있고, 제1 라인 패턴들(R1), 제2 라인 패턴들(R2), 및 광 투과부들(TOP)은 모두 동일한 층 상에 정의될 수 있다.
또는, 예를 들어, 도 5c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라인 패턴들(R1)과 제2 라인 패턴들(R2)은 다른 층을 이루며 연결되어 일체의 형상을 가진 격자 필터(400_B)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광 투과부들(TOP)은 제1 라인 패턴들(R1)과 제2 라인 패턴들(R2) 각각이 투영되어 정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격자 필터(400_A)의 두께는 제1 라인 패턴들(R1)과 제2 라인 패턴들(R2)의 두께들의 합과 대응될 수 있고, 광 투과부들(TOP)은 제1 라인 패턴들(R1) 및 제2 라인 패턴들(R2)과 다른 층상에 정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광 투과부들(TOP)은 제3 방향(DR3)과 나란한 방향으로 격자 필터(400)를 관통하여 정의된다. 따라서, 격자 필터(400)는 입사되는 광을 제3 방향(DR3)과 나란한 방향의 광 경로를 가진 광으로 필터링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광 투과부들(TOP)은 각각 사각 형상을 가진 것으로 도시되었다. 다만, 이는 예시적으로 도시된 것이고, 광 투과부들(TOP)은 각각 원형, 타원형, 다각형 등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제1 라인 패턴들(R1) 및 제2 라인 패턴들(R2) 각각의 연장 방향이나 형상은 다양하게 설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격자 필터(400)는 광 투과부들(TOP)을 정의할 수 있다면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격자 필터(400)는 광 투과부들(TOP)을 통과하는 광을 선택적으로 투과시킴으로써, 균일한 광 경로를 가진 광을 광 감지 모듈(300: 도 2 참조)에 제공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광 감지 흐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일부 구성을 간략히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에는 도 6에 도시된 일부 구성에서의 광의 이동을 도시하였고, 도 6 및 도 7에는 용이한 설명을 위해 일부 전자 장치의 일부 구성들을 선택적 및 개략적으로 도시하였다. 이하,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한편, 도 1 내지 도 5에서 설명한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지문 감지 영역(FRA)에 지문(FNG)이 제공되면 표시 소자(DEM)는 감지광(OL)을 지문 감지 영역(FRA)에 제공한다. 감지광(OL)은 실질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발광 영역(PXA: 도 3 참조)에서 방출되는 광일 수 있다.
감지광(OL)은 영상(IM)을 표시하기 위해 표시 소자(DEM)에서 생성된 광이거나 지문(FNG)을 감지하기 위해 표시 소자(DEM)에서 별도로 생성된 광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0)는 표시 소자(DEM)를 지문 감지를 위한 광원으로 이용할 수 있으므로, 영상(IM)을 표시하지 않거나 영상(IM)을 표시하고 있는 동안에도 사용자의 지문을 용이하게 감지할 수 있다.
감지광(OL)이 지문(FRG)에 입사된 후 소정의 산란광(SL)이 형성될 수 있다. 산란광(SL)은 지문(FNG)으로부터 반사되어 지문(FRG)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산란광(SL)은 표시 패널(100: 도 2 참조)를 구성하는 다양한 구성들로부터 산란된 광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감지광(OL)은 표시 소자부(130) 외측에 제공되는 터치(TC)에 입사된다. 감지광(OL)은 터치(TC)에 입사된 후, 터치(TC)의 표면인 지문(FNG)의 각 지점으로부터 반사되어 제1 산란광(SL1)이 형성한다. 지문(FNG)은 굴곡면을 가진다. 감지광(OL)의 지문(FNG)의 굴곡면에 대한 입사 지점에 따라 다양한 경로로 반사 및 산란된 광들이 생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산란광(SL1)은 지문(FNG)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후, 제1 산란광(SL1)은 표시 소자부(130)를 지난다. 이때, 표시 소자부(130)로부터 방출되는 제2 산란광(SL2)이 생성될 수 있다. 제1 산란광(SL1)은 표시 소자부(130)를 지나면서 표시 소자부(130)를 구성하는 다른 표시 소자(DEM)나 미 도시된 절연층들, 또는 미 도시된 도전 패턴들에 의해 반사 또는 굴절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산란광(SL2)은 표시 소자부(130)에 의해 제1 산란광(SL1)으로부터 변형된 경로나 세기를 가진 광일 수 있다.
이후, 제2 산란광(SL2)은 어레이 부(120)를 지난다. 이때, 어레이 부(120)로부터 방출되는 제3 산란광(SL3)이 생성될 수 있다. 제2 산란광(SL2)은 어레이 부(120)를 지나면서 어레이 부(120)를 구성하는 미 도시된 박막 소자들, 절연층들, 또는 신호 라인들에 의해 반사 또는 굴절될 수 있다. 따라서, 제3 산란광(SL3)은 어레이 부(120)에 의해 제2 산란광(SL2)으로부터 변형된 경로나 세기를 가진 광일 수 있다.
이후, 제3 산란광(SL3)은 미 도시된 베이스 기판을 지나 표시 패널(100: 도 2 참조) 외부로 방출되어 광 감지 모듈(300)에 제공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3 산란광(SL3)은 베이스 기판을 지나면서 일부 산란될 수도 있다. 다만, 이에 대해서는 중복된 설명이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이때, 제3 산란광(SL3)은 광 감지 모듈(300)에 도달하기 전 격자 필터(400)에 입사될 수 있다. 격자 필터(400)는 제3 산란광(SL3)을 필터링하여 제어된 광(L-RF)을 광 감지 모듈(300)에 제공한다. 제어된 광(L-RF)은 광 감지 모듈(300)의 전면으로 입사되는 광일 수 있고, 제3 방향(DR3)에 나란한 방향의 광 경로를 가진 광일 수 있다.
격자 필터(400)는 제3 산란광(SL3) 중 광 투과부(TOP)를 통과한 광을 선택적으로 방출한다. 이에 따라, 제어된 광(L-RF)은 제3 산란광(SL3) 중 제3 방향(DR3)과 나란한 방향의 광 경로를 가진 광 및/또는 광 투과부(TOP)를 통과하여 제3 방향(DR3)과 나란한 방향의 광 경로를 갖도록 변경된 광 경로를 가진 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격자 필터(400)를 더 포함함으로써, 광 감지 모듈(300)에 입사되는 광의 직진성을 향상시킨다. 광 감지 모듈(300)은 제3 방향(DR3)을 따라 직진성을 가진 광을 제공받음으로써, 광 센서(PS: 도 4 참조)에 입사되는 광량이 증가될 수 있다. 또한, 제어된 광(L-RF)이 렌즈부(LS: 도 4 참조)를 향해 균일하고 직진성을 가지며 입사되므로, 렌즈부(LS)의 집광 효율도 향상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격자 필터(400)는 광 감지 모듈(300)의 광 입사면의 바로 상측에 배치된다. 이에 따라, 지문(FNG) 정보를 가진 광이 광 감지 모듈(300)에 입사되기 전에 다양한 구성들에 의해 반사 또는 굴절되어 산란되더라도, 지문(FNG) 정보를 가진 광은 격자 필터(400)에 의해 직진성 및 균일한 광 경로를 가진 제어된 광(L-RF)으로서 광 감지 모듈(300)에 입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광 감지 모듈(300)이 표시 패널(100)과 별도로 제공되어 표시 패널(100)의 배면에 배치되더라도 지문(FNG) 정보를 용이하게 감지할 수 있어 향상된 지문 감도를 가진 전자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일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에는 용이한 설명을 위해 표시 패널(100) 및 격자 필터(400-1)를 포함하는 전자 패널(EP) 단면을 간략히 도시하였다. 이하,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한편, 도 1 내지 도 7에서 설명한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보호층(PL)은 표시 패널(100)의 배면에 배치되어 표시 패널(100)을 보호한다. 보호층(PL)은 표시 패널(100)의 배면을 전면적으로 커버할 수 있다. 보호층(PL)은 도 2에 도시된 베이스 기판(110: 도 2 참조)의 배면에 배치된다.
보호층(PL)은 유기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보호층(PL)은 표시 패널(100)의 배면에 직접 접촉하거나 미 도시된 점착층을 통해 표시 패널(100)에 결합될 수 있다.
보호층(PL)은 투명한 절연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지문 정보를 포함하는 광은 표시 패널(100) 및 보호층(PL)을 지나 전자 패널(EP)의 외부로 방출될 수 있다.
격자 필터(400-1)는 보호층(PL)에 결합될 수 있다. 격자 필터(400-1)는 보호층(PL)의 배면에 직접 형성될 수 있다. 격자 필터(400-1)는 보호층(PL)에 밀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표시 패널(100)과 격자 필름(400-1) 사이의 틈새 공간 등을 통해 광의 일부가 유출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어 광 감지 센서의 광 감도가 향상될 수 있다.
도 9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일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b는 비교 실시예에서의 광 경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9c는 도 9a에 도시된 전자 장치의 광 경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a에는 도 8과 대응되는 부분을 도시하였고, 도 9c에는 도 9a에 광 경로를 추가하여 도시하였다. 도 9b 및 도 9c에 도시된 광 경로에 있어서, 지문(FNG: 도 1 참조) 정보를 포함하는 광은 비교적 두꺼운 화살표로 표시되었고, 보호층들(PL-C, PL-1)의 표면으로부터 산란된 광은 비교적 얇은 실선 화살표로 도시되었다.
도 9b에 도시된 비교 실시예(EP-C)는 격자 필터(400-2)가 생략된 것을 제외하고 본 발명과 동일한 구성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었다. 즉, 비교 실시예(EP-C)의 표시 패널(100-C) 및 보호층(PL-C)은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100) 및 보호층(PL-1)에 각각 대응될 수 있다. 이하, 도 9a 내지 도 9c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한다.
도 9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전자 장치는 전자 패널(EP-1)은 비 평탄한 배면(PL_S)을 가진 보호층(PL-1)을 포함할 수 있다. 배면(PL_S)은 복수의 굴곡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배면(PL_S)은 도 8에 도시된 보호층(PL: 도 8 참조)의 배면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표면적을 가질 수 있다.
보호층(PL-1)은 유기물을 포함한다. 보호층(PL-1)은 액상의 유기물을 패널(EP)의 배면에 인쇄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보호층(PL-1)은 스크린 프린트를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평탄하지 않은 배면(PL_S)이 형성될 수 있다.
배면(PL_S)은 비 평탄면을 형성하는 복수의 굴곡들을 가질 수 있다. 표시 패널(100)을 통해 배면(PL_S)에 입사되는 광은 굴곡들에 의해 산란될 수 있다. 배면(PL_S)은 비 평탄면을 형성함으로써, 배면(PL_S)을 통해 출사되거나 표시 패널(100)로 재 입사되는 광의 헤이즈(haze)를 높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배면(PL_S)으로부터 표시 패널(100)에 재 입사되는 광이 표시 패널(100)의 전면에서 사용자에 의해 시인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격자 필터(400-2)는 배면(PL_S)에 배치된다. 이때, 격자 필터(400-2)는 비교적 얇은 두께를 가지며 배면(PL_S)에 직접 형성될 수 있다. 격자 필터(400-2)가 배면(PL_S)을 따라 형성되더라도 격자 필터(400-2)가 비교적 얇은 두께를 가짐으로써, 광 투과부들(TOP)이 안정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격자 필터(400-2)는 고르지 않은 표면 상태를 가진 배면(PL_S)에도 안정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 9b 및 도 9c를 참조하면, 지문(FNG) 정보를 포함하는 광은 표시 패널(100)로부터 출사되어 광 감지 모듈(300)에 도달하기 전 보호층(PL-1)을 지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보호층(PL-1)의 배면(PL_S)의 평탄도는 입사되는 광의 직진성에 영향을 미친다. 이때, 지문(FNG) 정보를 포함하는 광도 배면(PL_S)의 표면 상태의 영향을 받아 산란될 수 있다.
도 9b를 참조하면, 비교 실시예는 격자 필터(400)를 포함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광 감지 모듈(300-C)은 배면(PL_S)에 의해 산란되어 높은 헤이즈(haze)를 가진 광을 제공받게 된다. 배면(PL_S)에 의해 산란된 광은 다양한 광 경로로 광 감지 모듈(300-C)로 유입되거나, 광 감지 모듈(300-C)에 입사되지 못하고 일부 유출될 수 있다. 광 감지 모듈(300-C)은 지문(FNG) 정보를 포함하는 광과 상이한 정보를 가진 전기적 신호를 생성할 수 있어, 광 감지 모듈(300-C)의 감도가 저하될 수 있다.
이와 달리, 도 9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패널(EP-1)은 격자 필터(400-2)를 포함한다. 산란광(SL-2)은 광 감지 모듈(300)에 도달하기 전 격자 필터(400-2)를 지난다. 격자 필터(400-2)는 산란광(SL-2)을 수신하여 광 경로가 제어된 광(L-RF)을 방출한다. 광 감지 모듈(300)은 상대적으로 패널(EP)로부터 출사된 광(SL-1)과 유사한 정보를 가진 광을 제공받을 수 있다. 광 경로가 제어된 광(L-PF)은 광 감지 소자(PS)에 입사될 확률이 높아지므로 광 감지 모듈(300)의 감도는 향상될 수 있다. 또한, 광 경로가 제어된 광(L-PF)은 지문 감지영역(FRA) 내에서 균일한 광 경로를 가진 상태로 광 감지 모듈(300)에 입사될 수 있다.

광 산란성(Haze)
Min. Max. Ave.
비교예 1 72.9 73.24 73.01
비교예 2 54.95 55.91 55.27
실시예 65.7 67.09 66.49
상기 표 1은 비교예 1 및 비교예 2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광 산란성을 평가한 결과이다. 비교예 1은 도 9b에 도시된 비교 실시예(EP-C)에 관한 것이고, 비교예 2는 격자 필터(400-2) 및 보호층(PL-1)이 제거된 실시예에 관한 것이고, 실시예는 도 9c에 도시된 전자 장치(EP-1)에 관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격자 필터(400-2)는 약 475㎛의 너비를 가진 라인 패턴들(R1, R2: 도 5a 참조)과 약 200㎛의 변을 가진 정사각형 형상의 광 투과부들(TOP: 도 5a 참조)을 가진 경우를 예시적으로 평가하였다. 광 산란성(Haze)은 최소값(Min.), 최대값(Max.), 및 평균값(Ave.)으로 기재되었다.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평균 73.01의 광 산란성을 가진 비교 실시예(EP-C) 대비 본 발명의 일 실시예(EP-1)의 광 산란성은 66.49로 낮은 수치를 가진다. 즉, 격자 필터(400-2)를 더 포함하는 것으로 광 산란성이 감소되는 효과를 볼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비교예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EP-1)에 비해 낮은 55.27의 광 산란성을 가진다. 이는 보호층(PL-1)이 생략됨으로써, 보호층(PL-1) 자체에 따른 광 산란성이 제거된 결과일 수 있다. 다만, 보호층(PL-1)이 생략되는 경우, 하부에 배치된 광 감지 모듈(300)이 전자 장치(EP-1)의 상면에서 시인되기 쉽다. 이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 지문 감지영역(FRA)에서 광 감지 모듈(300)이 용이하게 시인될 수 있어, 표시되는 영상의 시인성이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장치(EP-1)는 보호층(PL-1)을 포함하면서도 보호층(PL-1)에 따른 광 산란성을 저하시킬 수 있어, 광 감지 모듈(300)이 외부에서 시인되는 것을 용이하게 차단하는 것과 동시에 광 감지 모듈(300)에 입사되는 광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광 감지 모듈(300)의 감도가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격자 필터(400-2)는 비 평탄면을 가진 표시 패널(100-2)의 배면에도 용이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자 패널(EP-1)의 배면의 표면 상태에 따라 광 산란성이 높아지더라도 광 감지 모듈(300)은 광 경로가 제어된 광을 안정적으로 제공받을 수 있어, 광 감지 모듈(300)의 광 감도가 균일하게 유지될 수 있다.
도 10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일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b 및 도 10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일부 구성들을 간략히 도시한 사시도들이다.
도 10a에는 용이한 설명을 위해 도 8과 대응되는 영역을 도시하였고, 도 10b에는 도 10a에 도시된 전자 패널(EP-2)을 배면에서 바라본 사시도를 도시하였고, 도 10c에는 도 10a에 도시된 전자 패널(EP-2)과 대응되는 전자 패널(EP-2_1)을 배면에서 바라본 사시도를 도시하였다. 이하, 도 10a 내지 도 10c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한편, 도 1 내지 도 9c에서 설명한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0a 및 도 10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전자 패널(EP-2)은 격자 필터(400-3) 및 표시 패널(100)을 포함한다. 격자 필터(400-3)는 표시 패널(100)의 배면에 전면적으로 중첩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격자 필터(400-3)는 표시 패널(100)의 배면 전체를 커버한다.
격자 필터(400-3)는 유기물을 포함할 수 있다. 격자 필터(400-3)는 표시 패널(100)을 보호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격자 필터(400-3)는 도 8에 도시된 보호층(PL)과 동일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보호층(PL)을 대체할 수 있다.
한편, 도시되지 않았으나, 격자 필터(400-3)의 배면(400-S)은 비 평탄면일 수 있다. 격자 필터(400-3)의 배면(400-S)은 복수의 굴곡들을 가질 수 있다. 격자 필터(400-3)의 배면(400-S)이 비 평탄하더라도 광 투과부들(TOP)의 형상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비 평탄면을 가진 보호층을 격자 필터(400-3)로 이용함에 따라, 비 평탄면의 영향 없이 안정적으로 균일하게 제어된 광 경로를 가진 광을 광 감지 모듈에 제공할 수 있다.
격자 필터(400-3)의 광 투과부들(TOP)은 격자 필터(400-3)의 일부 영역에만 정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격자 필터(400-3)는 지문 감지 영역(FRA)과 대응되는 영역에 정의된 광 투과부들(TOP)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100)의 배면 중 지문 감지 영역(FRA) 이외의 영역은 격자 필터(400-3)에 의해 커버될 수 있다.
또는, 도 10c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전자 패널(EP-2_1)은 광 투과부들(TOP)이 전면에 정의된 격자 필터(400-3_1)를 포함할 수 있다. 격자 필터(400-3_1)는 표시 패널(100)의 배면의 전체적으로 중첩하도록 정의된 광 투과부들(TOP)을 포함할 수 있다. 광 투과부들(TOP)은 격자 필터(400-3_1)의 전체에 걸쳐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광 투과부들(TOP)은 지문 감지 영역(FRA)과 중첩하는 광 투과부들 및 지문 감지 영역(FRA)과 비 중첩하는 광 투과부들을 포함한다.
한편, 이는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전자 패널(EP-2_1)에 있어서, 지문 감지 영역(FRA)은 표시 영역(DA: 도 2 참조) 전면에 중첩하도록 정의될 수 있으며, 광 투과부들(TOP)은 표시 영역(DA) 전면을 통해 입사되는 광을 피터링하여 광 감지 모듈(300)에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광 감지 모듈에 입사되는 광을 필터링하는 것과 동시에 표시 패널(100)을 보호할 수 있는 격자 필터(400-3, 400-3_1)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격자 필터(400-3)와 보호층을 일원화할 수 있으므로, 전자 장치의 두께가 감소될 수 있고, 공정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일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1에는 용이한 설명을 위해 도 8과 대응되는 영역을 도시하였다. 이하,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한다. 한편, 도 1 내지 도 10c에서 설명한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전자 장치(1000-2)는 보호 부재(AM)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호 부재(AM)는 표시 패널(100)의 배면에 배치되어 표시 패널(100)을 보호한다. 보호 부재(AM)는 실리콘, 고무, 또는 다공성 물질을 포함하는 스펀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보호 부재(AM)에는 소정의 개구부(AM-OP)가 정의될 수 있다. 광 감지 모듈(300)은 보호 부재(AM)에 정의된 개구부(AM-OP)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광 감지 모듈(300)은 보호 부재(AM)의 영향 없이 표시 패널(100)로부터 방출되는 광을 안정적으로 제공받을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전자 장치(1000-)에 있어서, 격자 필터(400-4)는 표시 패널(100)과 광 감지 모듈(300)을 물리적으로 결합시킬 수 있다. 격자 필터(400-4)는 점착부(AL) 및 격자부(LT)를 포함할 수 있다.
점착부(AL)는 광 감지 모듈(300)과 표시 패널(100)에 각각 접촉할 수 있다. 점착부(AL)는 투명하고 점착성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점착부(AL)는 광학 투명 점착제(Optical clear adhesive, OCA), 광학 투명 레진(Optical clear resin, OCR), 광학 투명 테이프(Optical transfer tape, OTT), 및 감압 점착제(Pressure sensitive adhesive, PSA)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격자부(LT)는 점착부(AL)의 일 측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격자부(LT)는 점착부(AL)의 배면에 배치되어 광 감지 모듈(300)에 접촉하는 것으로 도시되었다. 이때, 격자부(LT)는 광 감지 모듈(300)에 가장 근접하게 위치하므로, 격자 필터(400-4)에 의해 광 경로가 제어된 광은 광 감지 모듈(300)에 즉각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격자부(LT)는 점착부(AL)의 전면에 배치되어 표시 패널(100)과 접촉할 수도 있고, 점착부(AL) 내에 삽입되어 표시 패널(100)이나 광 감지 모듈(300)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될 수도 있다. 이때, 격자 필터(400-4)와 광 감지 모듈(300)의 결합력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격자 필터(400-4)는 다양한 위치에 배치된 격자부(LT)를 포함할 수 있으며, 어느 하나의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격자부(LT)는 무기물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격자부(LT)는 광 차단성이 높은 무기물을 점착부(AL)에 증착 또는 인쇄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격자 필터(400-4)는 비교적 박막의 두께를 가진 격자부(LT)를 이용하여 광 감지 모듈(300)에 제공되는 광을 안정적으로 필터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0-)는 격자 필터(400-4)를 통해 광 경로 제어와 함께 광 감지 모듈(300)을 표시 패널(100)의 배면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0-) 제조 공정이 단순화되고 공정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1000: 전자 장치 100: 표시 패널
200: 윈도우 부재 300: 광 감지 모듈
400: 격자 필터 500: 하우징 부재
FRA: 지문 감지 영역

Claims (23)

  1. 전면 및 상기 전면에 대향되는 배면을 포함하고, 각각이 상기 전면에 광을 표시하는 복수의 발광 영역들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상기 배면에 배치되고, 광 감지 소자를 포함하는 광 감지 모듈; 및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광 센서 모듈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배면 상에서 서로 이격되어 배열된 복수의 광 투과부들을 포함하는 격자 필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광 감지 모듈에 입사되는 광은 상기 광 투과부들을 통해 입사되는 전자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광 감지 모듈에 입사되는 광은 상기 표시 패널의 두께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제어된 광 경로를 갖는 전자 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격자 필터는 광 차단 물질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격자 필터는 은(Ag)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은 상기 표시 패널의 배면을 커버하고 유기물을 포함하는 커버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격자 필터는 상기 커버층에 접촉하는 전자 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층은 복수의 굴곡들을 가진 배면을 포함하고,
    상기 격자 필터는 상기 굴곡들을 따라 배치된 전자 장치.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은 상기 발광 영역들 중 적어도 일부와 중첩하고, 사용자의 지문이 감지되는 지문 감지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격자 필터의 상기 광 투과부들은 평면상에서 상기 지문 감지 영역과 중첩하는 전자 장치.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격자 필터는 상기 표시 패널의 상기 배면을 전면적으로 커버하고,
    상기 광 투과부들은 상기 격자 필터에 부분적으로 정의되는 전자 장치.
  10.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격자 필터는 상기 표시 패널의 상기 배면을 전면적으로 커버하고,
    상기 광 투과부들은 상기 격자 필터의 전체에 정의되는 전자 장치.
  11.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격자 필터는 상기 광 감지 모듈을 향하고 복수의 굴곡들을 포함하는 배면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1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격자 필터는,
    점착성 물질을 포함하는 점착부; 및
    상기 점착부에 접촉하고 상기 광 투과부들이 정의된 격자부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부는 상기 표시 패널 및 상기 광 감지 모듈 각각에 접촉하여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광 감지 모듈을 결합시키는 전자 장치.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격자부는 상기 점착부와 상기 광 감지 모듈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점착부의 일부는 상기 광 투과부를 통해 상기 광 감지 모듈에 접촉하는 전자 장치.
  1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은,
    복수의 박막 소자들을 포함하는 어레이 부; 및
    상기 어레이 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각각이 상기 발광 영역들에 배치된 복수의 유기발광소자들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 상에 배치되고 외부에서 인가되는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 감지부를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
  1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광 감지 소자는, 제1 전극, 상기 제1 전극과 대향되는 제2 전극, 및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 사이에 배치되고 광 반응성 반도체 물질을 포함하는 광 감지층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18. 영상이 표시되는 표시 영역 및 상기 표시 영역에 인접한 주변 영역을 포함하는 전면 및 상기 전면에 대향하는 배면을 포함하고, 상기 표시 영역에 배치된 복수의 유기 발광 소자들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및
    상기 배면에 접촉하고 상기 배면 상에서 매트릭스 형상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열된 복수의 관통부들을 포함하는 격자 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관통부들은 상기 표시 영역의 적어도 일부와 중첩하는 전자 패널.
  19.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발광 소자들에서 방출된 광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표시 패널의 상기 배면을 지나 상기 관통부들을 관통하는 전자 패널.
  20.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격자 필터는 상기 표시 패널의 상기 배면의 전면을 커버하는 전자 패널.
  21. 제20 항에 있어서,
    상기 격자 필터는 유기물을 포함하는 전자 패널.
  22. 제20 항에 있어서,
    상기 격자 필터의 배면은 비 평탄면인 전자 패널.
  23.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의 상기 배면은 복수의 굴곡들을 포함하는 비 평탄면이고, 상기 격자 필터는 상기 굴곡들을 따라 배치된 전자 패널.
KR1020170159672A 2017-11-27 2017-11-27 전자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4974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9672A KR102497438B1 (ko) 2017-11-27 2017-11-27 전자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16/164,747 US11088218B2 (en) 2017-11-27 2018-10-18 Electric panel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EP18206920.3A EP3490230B1 (en) 2017-11-27 2018-11-19 Electric panel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CN201811423334.4A CN109840464A (zh) 2017-11-27 2018-11-27 电子面板和包括电子面板的电子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9672A KR102497438B1 (ko) 2017-11-27 2017-11-27 전자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2653A true KR20190062653A (ko) 2019-06-07
KR102497438B1 KR102497438B1 (ko) 2023-02-09

Family

ID=644266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9672A KR102497438B1 (ko) 2017-11-27 2017-11-27 전자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088218B2 (ko)
EP (1) EP3490230B1 (ko)
KR (1) KR102497438B1 (ko)
CN (1) CN109840464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39938A (zh) * 2018-10-11 2019-01-18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光学准直结构及其制作方法、指纹识别装置
CN111107199B (zh) * 2019-12-25 2021-05-07 惠州Tcl移动通信有限公司 光照值上报方法、装置、存储介质及移动终端
KR20220009533A (ko) * 2020-07-15 2022-01-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220015112A (ko) * 2020-07-30 2022-02-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와 이를 포함한 모바일 단말기
CN115050061B (zh) * 2021-12-29 2023-05-09 荣耀终端有限公司 电子设备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017824A1 (en) * 2015-02-02 2017-01-19 Synaptics Incorporated Low profile illumination in an optical fingerprint sensor
CN107122742A (zh) * 2017-04-27 2017-09-01 上海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显示装置及其指纹识别方法、以及电子设备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80845A (ko) 2011-01-10 2012-07-18 삼성전자주식회사 광 감지 기능을 구비한 oled 디스플레이 장치
KR20140136216A (ko) 2013-05-20 2014-11-28 한국제이씨씨(주) 스크린 프린트를 이용한 입체패턴구조를 갖는 알루미늄 집전체 표면코팅 방법
KR101376227B1 (ko) 2013-09-17 2014-03-25 실리콘 디스플레이 (주) 광학식 지문센서
KR102336492B1 (ko) 2015-05-28 2021-12-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지문센서 일체형 터치 스크린 패널
US10410037B2 (en) 2015-06-18 2019-09-10 Shenzhen GOODIX Technology Co., Ltd. Under-screen optical sensor module for on-screen fingerprint sensing implementing imaging lens, extra illumination or optical collimator array
US10437974B2 (en) * 2015-06-18 2019-10-08 Shenzhen GOODIX Technology Co., Ltd. Optical sensing performance of under-screen optical sensor module for on-screen fingerprint sensing
KR102563736B1 (ko) 2016-04-08 2023-08-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및 이를 구비하는 표시 장치
JP6651420B2 (ja) * 2016-07-11 2020-02-19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カバー部材及び表示装置
TWI658410B (zh) * 2016-09-07 2019-05-01 李美燕 可變光場的生物影像感測系統
CN106981503B (zh) 2017-04-27 2019-11-15 上海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及电子设备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017824A1 (en) * 2015-02-02 2017-01-19 Synaptics Incorporated Low profile illumination in an optical fingerprint sensor
CN107122742A (zh) * 2017-04-27 2017-09-01 上海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显示装置及其指纹识别方法、以及电子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840464A (zh) 2019-06-04
KR102497438B1 (ko) 2023-02-09
US11088218B2 (en) 2021-08-10
US20190165056A1 (en) 2019-05-30
EP3490230A1 (en) 2019-05-29
EP3490230B1 (en) 2021-1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55823B2 (en) Under-screen fingerprint identification apparatus and electronic device
KR102497438B1 (ko) 전자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20240015999A1 (en) Electronic Devices With Light Sensors And Displays
KR102440709B1 (ko) 지문 식별 장치 및 전자 기기
US11373436B2 (en) Fingerprint identification apparatus and electronic device
EP3842991B1 (en) Optical fingerprint apparatus and electronic device
EP3889828B1 (en) Fingerprint recognition apparatus and electronic device
KR102582263B1 (ko) 표시 장치와 그의 제조 방법
KR102402682B1 (ko) 표시 장치
KR20190053732A (ko) 지문 센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00121400A (ko) 전자 장치
WO2020082375A1 (zh) 复合透镜结构、指纹识别装置和电子设备
US11963426B2 (en) Display device including fingerprint recognition function
KR20210016217A (ko) 전자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N112397557A (zh) 电子面板和包括电子面板的电子设备
CN101650619A (zh) 触摸显示面板
CN211529180U (zh) 指纹检测装置和电子设备
KR20210113525A (ko)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20083915A (ko) 감지 센서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감지 센서 제조 방법
KR20210147136A (ko)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10119007A (ko) 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10042196A (ko) 압력 센서와 그를 포함한 표시 장치
CN111801685B (zh) 指纹检测装置和电子设备
US20230361141A1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 fingerprint recognition function
KR20220158162A (ko) 표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