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61794A - 조립식 벽체블록의 결속 구조 - Google Patents
조립식 벽체블록의 결속 구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90061794A KR20190061794A KR1020170160531A KR20170160531A KR20190061794A KR 20190061794 A KR20190061794 A KR 20190061794A KR 1020170160531 A KR1020170160531 A KR 1020170160531A KR 20170160531 A KR20170160531 A KR 20170160531A KR 20190061794 A KR20190061794 A KR 2019006179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inding
- bar
- coupling
- wall
- blocks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04—Walls having neither cavities between, nor in, the solid elements
- E04B2/06—Walls having neither cavities between, nor in, the solid elements using elements having specially-designed means for stabilising the position
- E04B2/08—Walls having neither cavities between, nor in, the solid elements using elements having specially-designed means for stabilising the position by interlocking of projections or inserts with indentations, e.g. of tongues, grooves, dovetail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002/0202—Details of connections
- E04B2002/0204—Non-undercut connections, e.g.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 E04B2002/0228—Non-undercut connections, e.g.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with tongues next to each other on one end surface and grooves next to each other on opposite end surface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002/0202—Details of connections
- E04B2002/0243—Separate connectors or inserts, e.g. pegs, pins or keys
- E04B2002/0247—Strips or b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식으로 시공될 수 있도록 상하에 요철부를 갖는 조립식 벽체 블록에 적용되는 결속구조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상부와 저부에 결속용 요입부와 돌출부를 구비하는 공지구조의 조립식의 벽체블록에 있어서, 상기 결속용 요입부와 돌출부에 각각 내향으로 요입되는 한 조의 삽지홈을 대향되게 구성하고 이에 끼워지는 결속용 바아를 이용하여 벽체 블록의 시공 시 상, 하의 벽체 블록이 결속용 바아를 통해 일체로 결속 지지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결속용 바아를 통해 결속된 벽체블록은 종횡으로의 유동이 완벽하게 억제되어 시공된 블록 간의 결합력을 강화시키게 되고 이로 인해 벽체에 가해지는 종횡 압력에 대한 지지강도를 크게 증가시킬 수 있어 건축물 전체의 강도 및 내진성을 증진시킬 수 있게 됨은 물론 결속용 바아를 통해 블록 간에 빈틈없이 정밀하게 조립 시공될 수 있게 됨으로써 별도의 접착용 몰탈의 적용이 불필요하게 되어 작업성의 개선이 가능하도록 한 조립식 벽체블록의 결속구조에 관한 것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상부와 저부에 결속용 요입부와 돌출부를 구비하는 공지구조의 조립식의 벽체블록에 있어서, 상기 결속용 요입부와 돌출부에 각각 내향으로 요입되는 한 조의 삽지홈을 대향되게 구성하고 이에 끼워지는 결속용 바아를 이용하여 벽체 블록의 시공 시 상, 하의 벽체 블록이 결속용 바아를 통해 일체로 결속 지지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결속용 바아를 통해 결속된 벽체블록은 종횡으로의 유동이 완벽하게 억제되어 시공된 블록 간의 결합력을 강화시키게 되고 이로 인해 벽체에 가해지는 종횡 압력에 대한 지지강도를 크게 증가시킬 수 있어 건축물 전체의 강도 및 내진성을 증진시킬 수 있게 됨은 물론 결속용 바아를 통해 블록 간에 빈틈없이 정밀하게 조립 시공될 수 있게 됨으로써 별도의 접착용 몰탈의 적용이 불필요하게 되어 작업성의 개선이 가능하도록 한 조립식 벽체블록의 결속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조립식으로 시공될 수 있도록 상하에 요철부를 갖는 조립식 벽체 블록에 적용되는 결속구조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상부와 저부에 결속용 요입부와 돌출부를 구비하는 공지구조의 조립식의 벽체블록에 있어서, 상기 결속용 요입부와 돌출부에 각각 내향으로 요입되는 한 조의 삽지홈을 대향되게 구성하고 이에 끼워지는 결속용 바아를 이용하여 벽체 블록의 시공 시 상, 하의 벽체 블록이 결속용 바아를 통해 일체로 결속 지지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결속용 바아를 통해 결속된 벽체블록은 종횡으로의 유동이 완벽하게 억제되어 시공된 블록 간의 결합력을 강화시키게 되고 이로 인해 벽체에 가해지는 종횡 압력에 대한 지지강도를 크게 증가시킬 수 있어 건축물 전체의 강도 및 내진성을 증진시킬 수 있게 됨은 물론 결속용 바아를 통해 블록 간에 빈틈없이 정밀하게 조립 시공될 수 있게 됨으로써 별도의 접착용 몰탈의 적용이 불필요하게 되어 작업성의 개선이 가능하도록 한 조립식 벽체블록의 결속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 구조물은, 외장용으로 창호부위를 제외한 외부 노출부분 및 내부 구획부분이 벽체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내부 또는 외부의 벽체는 콘크리트 블록과 시멘트 몰탈에 의해 상호 결합되어 형성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콘크리트 블록을 시멘트 몰탈에 의해 조적하여 수직벽체를 형성하는 방법은 시멘트 몰탈에 의해 숙련된 노동력을 필요로 할 뿐만 아니라 완공된 건물의 자체 하중이 높기 때문에 기초 공사를 초기부터 확실히 하여야 하며, 이에 따라 건축비가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전 세계적으로 지진에 의한 대참사로 인하여 건축물이나 구조물에 대한 내진성이 대두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의 설계기준에서도 특정 구조물에 대하여는 내진성을 요건으로 요구하고 있다.
종래의 콘크리트 블록으로 이루어진 벽체는 단순히 접착제 역할을 하는 시멘트 몰탈에 의한 상하 블록간의 평면적인 부착을 통한 조적에 의해 형성되는 것으로, 블록간의 결속력이 취약하고 벽체가 유연성을 가지지 못하여 강한 충격이나 횡압력 등에 취약하여 파손이 빈번하게 발생되고 내진성능을 구비하지 못하여 건축 구조물에 수직 및 수평 진동이 전달될 경우, 블록 간 연결이 분리되어 벽체가 쉽게 파괴되는 등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감안하여 기존에도 조립식으로 시공될 수 있도록 상하에 요철부를 갖는 조립식 건축용 벽체 블록이 알려지고 있으나 이는 단순한 요철부의 끼움 결합식을 적용하고 있게 됨으로써 작은 횡방향의 외력에는 어느 정도 대응할 수 있으나 외력이 커질 경우 결합부위의 파손이 쉽고 특히 걸림구조의 부재로 인해 상하의 종 방향으로 외력에는 전혀 효과를 갖지 못하는 구조이어서 지진 등의 다양한 방향에서의 외력에 충분히 대응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을 노출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횡으로의 유동이 완벽하게 억제되어 시공된 블록 간의 결합력을 강화시키며 벽체에 가해지는 종횡 압력에 대한 지지강도를 크게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하여 건축물 전체의 강도 및 내진성을 증진시킬 수 있게 되며,
또한 블록 간에 빈틈없이 정밀하게 조립 시공될 수 있게 됨으로써 별도의 접착용 몰탈의 적용이 불필요하게 되어 작업성의 개선이 가능하도록 한 조립식 벽체블록의 결속구조를 제시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부와 저부에 결속용 요입부와 돌출부를 구비하는 공지 구조의 조립식의 벽체블록에 있어서,
상기 결속용 요입부와 돌출부에 각각 내향으로 요입되는 한 조의 삽지홈을 대향되게 구성하고 이에 끼워지는 결속용 바아를 이용하여 벽체 블록의 시공 시 상, 하의 벽체 블록이 결속용 바아를 통해 일체로 결속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결속용 바아가 상하 벽체블록의 삽지홈에 공통적으로 맞물리도록 끼워짐으로써 시공된 벽체블록은 전후좌우 상하 어느 방향으로의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유동이 완벽하게 억제되어 시공된 블록 간의 결합력을 강화시키게 되고 이로 인해 벽체에 가해지는 종횡 압력에 대한 지지강도를 크게 증가시킬 수 있어 건축물 전체의 강도 및 내진성을 증진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결속용 바아를 통해 블록 간에 빈틈없이 정밀하게 조립 시공될 수 있고 조립시공 후 유동이 방지됨으로써 별도의 접착용 몰탈의 적용이 불필요하게 되어 작업성이 개선되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벽체블록의 구성을 보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벽체블록의 조립과정을 보이는 요부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결속용 바아의 조립과정을 보이는 측면 예시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결속용 바아의 조립과정을 보이는 요부 확대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결속용 바아의 조립과정의 이해를 돕기 위해 도립된 벽체블록과 결속용 바아의 분리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 블록을 이용한 벽체의 조적 상태를 보이는 요부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벽체블록의 조립과정을 보이는 요부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결속용 바아의 조립과정을 보이는 측면 예시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결속용 바아의 조립과정을 보이는 요부 확대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결속용 바아의 조립과정의 이해를 돕기 위해 도립된 벽체블록과 결속용 바아의 분리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 블록을 이용한 벽체의 조적 상태를 보이는 요부 사시도.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 한다.
직육면체의 몸체(2)의 상면에 결속용 요입부(3)를 구비하고 저면에는 다단 조적 시 하측에 위치하는 벽체블록의 결속용 요입부(3)에 암수 결합 형태로 끼워지는 결속용 돌출부(4)를 구비하는 공지 구조의 벽체블록(1)에 있어서,
상기 결속용 돌출부(4)의 외면에 상호 대향되는 상태로 요입 구성되며 내측 단에 바아 연결용 요구(11)를 연장 구성하는 한 조의 바아 삽지홈(10)과;
상기 결속용 요입부(3)의 내면에 상호 대향되는 상태로 요입 구성되며 내측 단에 바아 분리용 요구(21)를 연장 구성하는 한 조의 바아 연결홈(20)과;
상기 바아 삽지홈(10)과 바아 연결홈(20)내에 공통적으로 끼워져 접촉되는 상하 벽체블록(1)을 결속시켜 주는 소정의 폭(W)을 갖는 결속 바아(30)와;
상기 결속용 돌출부(4)의 단부에 구성되며 벽체블록(10)의 상하 조적 시 결속용 돌출부(4)의 단부가 결속용 요입부(3)의 바닥에서 이격되어 보강재 수용공간(50)이 마련될 수 있도록 하는 절단부(40)를 각각 포함하여서 된 것이다.
※ 도면 중 미 설명 부호
(S)는 봉상의 보강재를 보이는 것이다.
상기에서 바아 삽지홈(10)의 깊이는 결속 바아(30)의 삽지 시 결속 바아(30)가 결속용 돌출부(4)의 표면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결속 바아(30)의 폭(W)과 동일하거나 상대적으로 조금 더 깊게 구성하게 된다.
또한 상기 바아 연결홈(20)의 깊이는 결속 바아(30)의 삽입 연결 시 결속 바아(30)가 바아 연결홈(20)의 내부로 다 들어가지 않고 절반 정도의 일부가 바아 삽지홈(10)내에 남아서 결속 바아(30)가 바아 삽지홈(10)과 바아 연결홈(20)에 겸하여 맞물려 질수 있도록 결속 바아(30)의 폭(W)보다 상대적으로 얕게 구성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결속용 바아의 조립과정을 보이는 측면 예시도이고,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결속용 바아의 조립과정을 보이는 요부 확대 단면도로서 조립과정과 결속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이 적용된 벽체블록(1)은 조적될 지면으로부터 기초레벨을 잡고 그 위에 제 1열의 벽체블록(1)을 옆으로 이어가며 맞대기 시공을 하게 되는 것이며,
제 1열에 시공된 벽체블록(1)의 접촉면 상부에 제 2열의 벽체블록(1)의 중간부가 오도록 도 7에서와 같이 엊갈림 방식으로 시공하게 되며 제 1열에 시공된 벽체블록(1)의 결속용 요입부(3)에는 제 2열 벽체블록(1)의 결속용 돌출부(4)가 끼워지는 방식으로 시공됨은 일반적인 조립식 벽체블록과 동일함을 밝혀둔다.
한편 본 발명은 결속용 요입부(3)에 결속용 돌출부(4)가 끼워지는 과정에서 결속용 돌출부(4)의 단부에 구성되는 절단부(40)에 의해 결속용 요입부(3)의 저면까지 끝까지 밀착되지 못하고 도 3에서와 같이 보강재 수용공간(50)을 형성하는 이격공간이 마련되는 것으로 이에 철근과 같은 봉상의 보강재(S)를 횡으로 삽입하여 벽체를 보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결속용 요입부(3)에 결속용 돌출부(4)가 끼워지는 과정에서 결속 바아(30)를 통해 상하 벽체블록 간에 결속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조적 전 상기 벽체블록(1)의 결속용 돌출부(4)에 요입 구성되는 바아 삽지홈(10)에는 금속이나 강도가 우수한 합성수지로 구성될 수 있는 결속 바아(30)가 도 6에서와 같이 박혀 삽지되는 상태에서 하측 열의 벽체블록(1)의 결속용 요입부(3)에 끼워지게 되는 것이다.
이때 결속 바아(30)가 결속용 돌출부(4)의 외부로 돌출되지 않아 결속용 돌출부(4)와 결속용 요입부(3)는 긴밀하게 접촉되고 바아 삽지홈(10)과 바아 연결홈(20)은 도 4에서와 같이 직선 상태로 이어지는 경사진 통로를 구성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바아 삽지홈(10)의 단부에 연장 형성되는 바아 연결용 요구(11)내에 임의의 공구를 끼워 넣고 도 5에서와 같이 결속 바아(30)를 밑으로 밀어주면 결속 바아(30)가 바아 삽지홈(10)에서 미끄러져 이동하면서 바아 연결홈(20)내부로 삽입된다.
상기 결속 바아(30)가 바아 연결홈(20)의 바닥에 닿게 되면 이동이 정지되고 이때는 대략 결속 바아(30)의 폭(W)의 절반 정도가 바아 연결홈(20)의 내부로 진입된 상태로서 나머지 절반은 도 5에서와 같이 바아 삽지홈(10)내에 그대로 남아 위치하게 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윗 열의 벽체블록(1)에 적용된 결속 바아(30)를 아랫 열의 벽체블록(1)에 끼워가면서 벽체를 시공하게 되는 것으로,
이와 같이 결속 바아(30)가 바아 삽지홈(10)과 바아 연결홈(20)에 겸하여 맞물리게 되면 또한 결속 바아(30)로 결속된 상하 벽체블록(1)은 전후, 좌우, 상하, 어느 방향의 외력에도 견고한 결속력을 유지할 수 있어 내진성과 지지강도가 우수한 견고한 벽체를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결속용 바아(30)를 통해 벽체블록(1)간에 유동이 최소화되고 빈틈없이 정밀하게 조립 시공될 수 있게 됨으로써 별도의 접착용 몰탈의 적용이 불필요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벽체를 보수하거나 일부의 벽체를 제거하기 위하여 임의의 벽체블록(1)을 분리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바아 연결홈(20)에 연장 구성되는 바아 분리용 요구(21)에 임의의 공구를 집어넣어 끝까지 위로 밀어주면 결속 바아(30)는 바아 연결홈(20)에서 완전히 빠져나가면서 바아 삽지홈(10)의 내부에 초기의 위치로 몰입 수용되며 상하의 벽체블록(1)은 결속이 해제되어 손쉽게 분리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변경 및 변형한 것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당연하다.
1: 벽체블록
2: 몸체
3: 결속용 요입부
4: 결속용 돌출부
10: 바아 삽지홈
11: 바아 연결용 요구
20: 바아 연결홈
21: 바아 분리용 요구
30: 결속 바아
40: 절단부
50: 보강재 수용공간
2: 몸체
3: 결속용 요입부
4: 결속용 돌출부
10: 바아 삽지홈
11: 바아 연결용 요구
20: 바아 연결홈
21: 바아 분리용 요구
30: 결속 바아
40: 절단부
50: 보강재 수용공간
Claims (3)
- 직육면체의 몸체(2)의 상면에 결속용 요입부(3)를 구비하고 저면에는 다단 조적 시 하측에 위치하는 벽체블록의 결속용 요입부(3)에 암수 결합 형태로 끼워지는 결속용 돌출부(4)를 구비하는 공지 구조의 벽체블록(1)에 있어서,
상기 결속용 돌출부(4)의 외면에 상호 대향되는 상태로 요입 구성되며 내측 단에 바아 연결용 요구(11)를 연장 구성하는 한 조의 바아 삽지홈(10)과;
상기 결속용 요입부(3)의 내면에 상호 대향되는 상태로 요입 구성되며 내측 단에 바아 분리용 요구(21)를 연장 구성하는 한 조의 바아 연결홈(20)과;
상기 바아 삽지홈(10)과 바아 연결홈(20)내에 공통적으로 끼워져 접촉되는 상하 벽체블록(1)을 결속시켜 주는 소정의 폭(W)을 갖는 결속 바아(30)와;
상기 결속용 돌출부(4)의 단부에 구성되며 벽체블록(10)의 상하 조적 시 결속용 돌출부(4)의 단부가 결속용 요입부(3)의 바닥에서 이격되어 보강재 수용공간(50)이 마련될 수 있도록 하는 절단부(40)를 각각 포함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벽체블록의 결속 구조.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바아 삽지홈(10)은
삽지되는 결속 바아(30)의 폭(W)의 전체가 삽입이 가능한 깊이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벽체블록의 결속 구조.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바아 연결홈(20)은
상기 결속 바아(30)의 폭(W)의 일부만이 삽입이 가능한 깊이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벽체블록의 결속 구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60531A KR20190061794A (ko) | 2017-11-28 | 2017-11-28 | 조립식 벽체블록의 결속 구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60531A KR20190061794A (ko) | 2017-11-28 | 2017-11-28 | 조립식 벽체블록의 결속 구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61794A true KR20190061794A (ko) | 2019-06-05 |
Family
ID=668453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60531A KR20190061794A (ko) | 2017-11-28 | 2017-11-28 | 조립식 벽체블록의 결속 구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90061794A (ko) |
-
2017
- 2017-11-28 KR KR1020170160531A patent/KR20190061794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438912Y1 (ko) | 내진설계된 벽체를 시공하기 위한 조적용 브라켓 장치 | |
KR200438913Y1 (ko) | 보강용 브라켓과 내진용 벽돌로 이루어진 내진 벽체 시공용내진용구 | |
RU2683457C2 (ru) | Строительный блок и фасадная стена, выполненная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таких блоков | |
KR20080025107A (ko) | 개량형 벽돌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 |
KR100623581B1 (ko) | 조적용 벽돌과 브라켓을 이용한 내진설계용 조적구조 | |
KR101942316B1 (ko) | 철근콘크리트 프레임의 내진 보강용 pc 벽 패널, pc 벽 패널을 이용한 철근콘크리트 프레임 내진 보강 구조 및 그 시공방법 | |
KR20190061794A (ko) | 조립식 벽체블록의 결속 구조 | |
KR20200038829A (ko) | 조립식 벽체블록의 결속 구조 | |
KR101798345B1 (ko) | 단열구조를 갖는 건축용 벽체 블록 | |
KR20180080392A (ko) | 철근콘크리트 프레임의 내진 보강용 pc 벽 패널 및 그 제조방법 | |
KR200418414Y1 (ko) | 건축용 칸막이 패널 | |
JP3768896B2 (ja) | 建築用ブロック | |
KR200265956Y1 (ko) | 외장용벽돌 | |
CN218779701U (zh) | 一种可装配式建筑用spb墙板 | |
KR101990911B1 (ko) | 건축구조물용 마감패널의 결합구조 | |
JP4286213B2 (ja) | 型枠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構築体 | |
JP4476679B2 (ja) | 後施工耐震スリット材 | |
KR101908700B1 (ko) | 압축개방 u형 플랜지와 단부 h접합블럭으로 구성된 복합보 | |
KR200418415Y1 (ko) | 건축용 칸막이 패널 결합체 | |
JP7413634B2 (ja) | 木質水平部材接合構造 | |
KR200354388Y1 (ko) | 조립식 패널 및 이를 이용한 조립식 벽체 | |
KR20240133140A (ko) | 조립식 블록 및 이를 이용한 벽체 | |
KR101128471B1 (ko) | 데크시공용 접합철물 | |
JP7532937B2 (ja) | 柱の接合方法 | |
KR200158947Y1 (ko) | 벽돌용 연결철물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