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61507A - 커넥터 제조용 사출장치 - Google Patents

커넥터 제조용 사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61507A
KR20190061507A KR1020170159951A KR20170159951A KR20190061507A KR 20190061507 A KR20190061507 A KR 20190061507A KR 1020170159951 A KR1020170159951 A KR 1020170159951A KR 20170159951 A KR20170159951 A KR 20170159951A KR 20190061507 A KR20190061507 A KR 201900615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rier
lower mold
injection
rail
reinforc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99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77162B1 (ko
Inventor
서형진
Original Assignee
(주)산쇼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산쇼코리아 filed Critical (주)산쇼코리아
Priority to KR10201701599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7162B1/ko
Publication of KR201900615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15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71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71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639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for obtaining an insulating effect, e.g. for electrical components
    • B29C45/14655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for obtaining an insulating effect, e.g. for electrical components connected to or mounted on a carrier, e.g. lead frame
    • B29C45/1468Plant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008Inserting articles into the moul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631Coating reinforc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18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manufacturing bases or cases for contact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넥터 제조용 사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일측에 고정설치되고, 상면 일측에 리드선이 부착된 한 쌍의 리드선 캐리어가 상호 대향되게 배치되며, 그 상부에 한 쌍의 보강부가 대향되게 부착된 보강부 캐리어가 안착되는 하부금형과, 상기 본체의 일측 중 상기 하부금형 상부에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하방으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하부금형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한 쌍의 리드선 단부 및 상기 보강부 일측과 대응되는 일측에 사출공간을 형성하는 상부금형과, 상기 상부금형의 하부 중 상기 보강부 캐리어의 일측과 대응되는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상부금형이 상기 하부금형에 결합되는 경우 상기 보강부 캐리어의 일측을 가압하여 상기 리드선 캐리어와 결합되는 리벳을 형성하는 리벳형성부 및 상기 본체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사출공간 내에 사출액을 주입하는 사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제조용 사출장치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당업계, 즉 커넥터 업계에서 최초로 개발된 것으로서, 리드선의 일측에 몰딩부를 사출성형하는 과정에서 보강부의 일측이 동반 사출성형되도록 함과 동시에 보강부 캐리어의 일측을 가공하여 리드선 캐리어 일측에 결합되는 리벳을 형성함으로써 작업자의 숙련도에 상관없이 보강부의 결합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작업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리벳을 통해 보강부 캐리어와 리드선 캐리어간 유동을 방지하여 후공정 중 보강부 캐리어와 리드선 캐리어간 유동에 따른 불량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커넥터 제조용 사출장치{Injectio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connector}
본 발명은 커넥터 제조용 사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작업자의 숙련도에 상관없이 보강부의 결합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작업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리벳을 통해 보강부 캐리어와 리드선 캐리어간 유동을 방지하여 후공정 중 보강부 캐리어와 리드선 캐리어간 유동에 따른 불량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커넥터용 사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커넥터는 전선, 회로, 전기기기 등을 전기적으로 상호접속하기 위한 접속기구로서, 절연 기체인 몰딩부의 양측부로부터 각각 외측방향으로 신호전달매체인 복수개의 리드선이 연장형성되어 구성되며, 외부로 노출된 복수개의 리드선을 인쇄 회로 기판 일측에 솔더링등의 방식으로 접속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때, 커넥터와, 그 접속대상인 인쇄 회로 기판은 리드선의 접속방식에 의한 결합력을 통해 그 접속상태가 유지되는 것이나, 현대의 전자 장치는 다기능화, 고성능화의 추세에 따라 복잡한 내부 신호 흐름 구조를 가지게 되면서 소형화가 요구되고, 이에 커넥터 또한 그 사이즈가 현저하게 작아지면서 리드선의 접속방식에 의한 결합력만으로는 커넥터와 인쇄 회로 기판간 접속상태를 유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최근에는 몰딩부의 양측부에 별도의 보강부를 더 구비하고, 리드선과 더불어 보강부를 인쇄 회로 기판 일측에 결합함으로써 인쇄 회로 기판 상에 결합되는 커넥터의 결합력이 향상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보강부는 도금공정 또는 커팅공정과 같은 후공정 수행을 위해 한 쌍이 몰딩부의 양측부에 압입되어 사용될 수 있으며, 일예로, 도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출원인의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461025호에 개시된 복수개의 리드선(L)을 구비하고 있는 몰딩부(M)의 양측부에 각각 결합홈(M1)을 형성하고, 각 결합홈(M1)에 작업자가 수동으로 보강부(B)를 압입함으로써 몰딩부(M)의 양측부에 결합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커넥터 제조방법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보강부(B)를 몰딩부(M)에 결합하게 되는 바 최근 커넥터가 초소형으로 형성됨에 따라 몰딩부(M)에 보강부(B)를 결합하는 작업시간에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면서 작업효율이 현저하게 저하될 뿐 아니라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 작업효율에 편차가 크게 발생되면서 생산성 또한 크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461025호 '커넥터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커넥터 제조방법'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작업자의 숙련도에 상관없이 보강부의 결합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작업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리벳을 통해 보강부 캐리어와 리드선 캐리어간 유동을 방지하여 후공정 중 보강부 캐리어와 리드선 캐리어간 유동에 따른 불량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커넥터용 사출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한 쌍의 리드선 단부 및 한 쌍의 보강부 일측에 몰딩부를 인서트 사출하여 커넥터를 제조하기 위한 커넥터 제조용 사출장치에 있어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일측에 고정설치되고, 상면 일측에 리드선이 부착된 한 쌍의 리드선 캐리어가 상호 대향되게 배치되며, 그 상부에 한 쌍의 보강부가 대향되게 부착된 보강부 캐리어가 안착되는 하부금형과, 상기 본체의 일측 중 상기 하부금형 상부에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하방으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하부금형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한 쌍의 리드선 단부 및 상기 보강부 일측과 대응되는 일측에 사출공간을 형성하는 상부금형과, 상기 상부금형의 하부 중 상기 보강부 캐리어의 일측과 대응되는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상부금형이 상기 하부금형에 결합되는 경우 상기 보강부 캐리어의 일측을 가압하여 상기 리드선 캐리어와 결합되는 리벳을 형성하는 리벳형성부 및 상기 본체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사출공간 내에 사출액을 주입하는 사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제조용 사출장치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본체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하부금형으로 상기 보강부 캐리어를 공급하는 보강부 캐리어 공급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보강부 캐리어 공급부는 상기 본체의 일측 중 상기 하부금형 방향으로 설치되되,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면에 복수개가 연속적으로 연결된 보강부 캐리어가 안착되는 레일부와, 상기 레일부의 일측에 상기 레일부를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레일부에 안착된 상기 보강부 캐리어의 일측을 파지하며, 상기 보강부 캐리어의 일측을 파지한 상태에서 일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보강부 캐리어에 이동력을 제공하는 이송부 및 상기 레일부에 상하방향으로 이동력을 제공하는 상하이동력 제공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이송부는 상기 상부금형이 상기 하부금형에 결합된 후 상기 보 강부 캐리어의 파지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레일부는 외부 일측으로부터 상기 하부금형의 일측부 방향으로 연장형성 연장형성되는 제1 레일 및 상기 하부금형의 타측부로부터 외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제2 레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이송부는 상기 레일부의 일측에 상기 레일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외부로부터 복수개가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공급되는 상기 보강부 캐리어의 저면 일측을 지지하는 이송몸체와, 상기 이송몸체의 일측 중 상기 레일부의 상부에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하방으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보강부 캐리어의 상면 일측을 지지하는 파지부 및 상기 본체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일측이 상기 보강부 캐리어의 일측을 지지하여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이동되는 복수개의 보강부 캐리어에 장력을 제공하는 텐션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리드선의 일측에 몰딩부를 사출성형하는 과정에서 보강부의 일측이 동반 사출성형되도록 함과 동시에 보강부 캐리어의 일측을 가공하여 리드선 캐리어 일측에 결합되는 리벳을 형성함으로써 작업자의 숙련도에 상관없이 보강부의 결합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작업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리벳을 통해 보강부 캐리어와 리드선 캐리어간 유동을 방지하여 후공정 중 보강부 캐리어와 리드선 캐리어간 유동에 따른 불량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1은 종래 몰딩부에 보강부가 압입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2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드선이 구비된 리드선 캐리어를 도시한 도면,
도2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드선 캐리어 상부에 보강부가 구비된 보강부 캐리어가 배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2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드선 및 보강부 일측에 몰딩부가 형성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용 사출장치의 정면도,
도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용 사출장치의 평면도,
도5는 도3에 표시된 'A'의 단면확대도,
도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전테이블이 회전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7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강부 캐리어 공급부가 보강부 캐리어를 파지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7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강부 캐리어 공급부에 의해 보강부 캐리어가 이송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레일부가 하방으로 이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부금형이 하방으로 이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벳형성부에 의해 보강부 캐리어 일측에 리벳이 형성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출공간 내에 사출액이 주입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2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드선이 구비된 리드선 캐리어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2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드선 캐리어 상부에 보강부가 구비된 보강부 캐리어가 배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2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드선 및 보강부 일측에 몰딩부가 형성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용 사출장치(1)를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은 보강부(B)를 몰딩부(M)에 결합하는 공정이 몰딩부(M)의 사출공정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보강부(B)를 후술하는 사출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용이하게 공급할 수 있도록 보강부(B)를 보강부 캐리어(BC)에 결합한 후 이를 이송하게 된다.
보다 상술하면, 도2a에서 보는 바와 같이 리드선(L)이 구비된 리드선 캐리어(LC)를 준비하고, 준비된 리드선 캐리어(LC) 상부에 도2b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보강부(B)가 구비된 보강부 캐리어(BC)를 공급하여 배치한 후 도2c에서 보는 바와 같이 리드선(L) 및 보강부(B) 일측에 몰딩부(B)를 사출성형하여 커넥터를 제조하게 되는데,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용 사출장치(1)를 이용하여 커넥터를 제조하는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용 사출장치의 정면도이고, 도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용 사출장치의 평면도이며, 도5는 도3에 표시된 'A'의 단면확대도이다.
도3 내지 도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용 사출장치(1)는 본체(10)와, 하부금형(20)과, 보강부 캐리어 공급부(30)와, 상부금형(40)과, 리벳형성부(50) 및 사출부(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체(10)는 대략 직육면체의 프레임 형상으로 형성되고, 설치대상영역에 설치되어 후술하는 각 구성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본체(10)는 상면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테이블(11)을 포함할 수 있는데, 여기서 회전테이블(11)은 상면 중 서로 대향하는 일측에 각각 하부금형(20)이 설치되고, 180°씩 회전하면서 하부금형(20)이 외부로부터 리드선 캐리어(LC)가 공급되는 위치와, 후술하는 상부금형(40) 하부에 위치하 이동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하부금형(20)은 대략 직육면체의 블럭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면 일측에 한 쌍의 리드선 캐리어(LC) 및 보강부 캐리어(BC)가 안착되는 안착영역(21)이 형성되며, 상면 중 대향되게 배치된 한 쌍의 리드선(L) 단부 및 보강부(B)의 일측과 대응되는 일측에 몰딩부를 사출성형하기 위한 캐비티(22)가 형성된다.
이러한, 하부금형(20)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회전테이블(11)의 상면 중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각각 설치되며, 회전테이블(11)이 회전하는 경우 동반회전하여 한 쌍의 리드선 캐리어(LC)를 상부금형(40)과 대응되는 위치, 즉 몰딩부를 사출하기 위한 위치로 이송함과 아울러 몰딩부 사출시 한 쌍의 리드선 캐리어(LC) 및 보강부 캐리어(BC)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보강부 캐리어 공급부(30)는 본체(10) 일측에 설치되어 중앙에 개구가 형성되고 내주면 중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각각 보강부(B)가 형성된 보강부 캐리어(BC)를 하부금형(20)으로 공급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본체(10)의 일측 중 하부금형(20)방향으로 설치되는 레일부(31)와, 레일부(31)의 일측에 레일부(31)를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이송부(32) 및 레일부(31)의 일측에 연결되어 레일부(31)에 상하방향으로 이동력을 제공하는 상하이동력 제공수단(3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레일부(31)는 외부 일측으로부터 하부금형(20)의 일측부와 대응되는 위치까지 연장형성되는 제1 레일(31a)과, 하부금형(20)의 타측부로부터 외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제2 레일(31b)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면에 복수개가 연속적으로 연결된 보강부 캐리어(BC)가 안착되고, 보강부 캐리어(BC)가 이송부(32)에 의해 이송되는 경우 보강부 캐리어(BC)의 저면을 지지하여 보강부 캐리어(BC)가 안정적으로 이송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레일부(31)가 제1 레일(31a)과 제2 레일(31b)로 분리되어 형성되는 이유는 연속적으로 연결된 보강부 캐리어(BC)가 하부금형(20)의 상면 일측에 안정적으로 공급되도록 하면서도 몰딩부를 사출성형하기 위해 상부금형(40)이 하방으로 이동되는 경우 상부금형(40)의 이동에 간섭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이송 중인 보강부 캐리어(BC)의 일부가 곧바로 하부금형(20)에 공급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제1 레일(31a)는 중앙에 길이방향을 따라 후술하는 이송몸체(32a)의 파지돌기(32aa)가 삽입되는 홀(31aa)이 형성된다.
이송부(32)는 제1 레일(31a) 일측에 제1 레일(31a)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이송몸체(32a)와, 이송몸체(32a)의 일측 중 제1 레일(31a)의 상부에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파지부(32b) 및 제2 레일(31b) 또는 본체(10)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텐션롤러(32c)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레일부(31)의 상면에 안착된 보강부 캐리어(BC)를 하부금형(20) 방향으로 이송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보다 상술하면, 이송몸체(32a)는 대략 직육면체의 블럭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면 일측으로부터 상방으로 파지돌기(32aa)가 돌출형성되며, 제1 레일(31a)의 일측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되, 파지돌기(32aa)가 홀(31aa)에 삽입되어 제1 레일(31a) 상면에 안착된 보강부 캐리어(BC)의 저면 일측을 가압하도록 설치된다.
파지부(32b)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송몸체(32a)의 일측에 설치되되, 이송몸체(32a)의 상방으로 연장형성되어 제1 레일(31a)의 상부에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하방으로 이동되는 경우 보강부 캐리어(BC)의 상면 일측을 지지함으로써 이송몸체(32a)와 함께 보강부 캐리어(BC)의 일측을 파지하며, 이송몸체(32a)가 제1 레일(31a)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 동반이동되면서 보강부 캐리어(BC)를 하부금형(20)방향으로 이송하는 역할을 한다.
텐션롤러(32c)는 제2 레일(31b)상에 안착되어 외부로 반출되는 보강부 캐리어(BC)의 반출로 일측에 한 쌍의 롤러가 상하방향으로 설치되고, 보강부 캐리어(BC)의 상하면을 각각 지지하여 복수개가 연속적으로 연결된 보강부 캐리어(BC)의 장력을 조절하는 역할을 하는데, 이러한 텐션롤러(32c)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에게는 상용적으로 공급되는 것을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을 정도로 공지된 것임이 자명한 것으로서, 구체적인 구성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부금형(40)은 하부금형(20)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본체(10)의 일측 중 하부금형(20) 상부에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하방으로 이동되는 경우 하부금형(20)에 결합되어 한 쌍의 리드선(L) 단부 및 보강부(B)의 일측에 몰딩부를 형성하기 위한 사출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부금형(40)은 하방으로 이동되어 하부금형(20)에 결합되는 순간 후술하는 리벳형성부(50)가 보강부 캐리어(BC)의 일측을 가압하여 리벳을 형성할 수 있도록 리벳형성부(50)에 하방으로 이동력을 제공하여 리벳형성부(50)에 가압력을 부여하는 역할을 한다.
리벳형성부(50)는 보강부 캐리어(BC)와 대응되는 상부금형(40)의 저면 일측 중 사출공간 이 형성되지 않은 영역 일측으로부터 적어도 하나가 하방으로 돌출형성되어 상부금형(40)이 하방으로 이동되어 하부금형(20)에 결합되는 순간 보강부 캐리어(BC)의 일측을 가압하여 리드선 캐리어(LC)에 결합되는 리벳을 성형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별도의 추가공정없이 몰딩부를 사출성형하는 과정에서 보강부 캐리어(BC) 일측에 리벳을 성형하여 성형된 리벳이 리드선 캐리어(LC) 일측에 형성된 결합공에 삽입결합되도록 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작용효과를 도출할 수 있다.
첫째, 보강부 캐리어(BC)와 리드선 캐리어(LC)간 결합력이 향상되도록 하여 몰딩부의 사출공정시 보강부 캐리어(BC) 또는 리드선 캐리어(LC)의 유동을 방지함으로써 종래 수작업으로 이루어지던 보강부(B)의 결합작업이 사출공정으로 몰딩부의 성형공정과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하여 작업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작업자의 숙련도와 상관없이 제품 품질을 균일하게 유지하여 불량률을 크게 줄일 수 있는 특징을 갖는다.
둘째, 커팅공정 및 도금공정과 같은 후공정의 작업효율 및 이에 따른 제품의 품질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일예로, 커팅공정 과정에서 리벳을 통해 보강부 캐리어(BC) 및 리드선 캐리어(LC)가 견고하게 결합되어 유동이 방지되면서 리드선(L) 절단면의 평탄도가 우수하여 제품 품질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으며, 도금과정에서는 주로 전기도금방식이 이용되는데, 리벳을 통해 보강부 캐리어(BC)에서 리드선 캐리어(LC)로 전류를 안정적이면서도 원활하게 전달할 수 있어 도금품질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
사출부(60)는 본체(10)의 일측 중 상부금형(40)의 상부에 상하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사출유닛(61)과, 사출유닛(61)에 사출액을 공급하는 사출액 공급부(62)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사출유닛(61)이 하방으로 이동되는 경우 상부금형(40) 일측에 형성되는 사출공을 통해 상기한 사출공간 내에 사출액을 주입하여 한 쌍의 리드선(L) 단부 및 보강부(B)의 일측에 몰딩부가 형성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데, 이러한 사출부(60)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에게는 상용적으로 공급되는 것을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을 정도로 공지된 것임이 자명한 것이므로 구체적인 구성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전테이블이 회전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7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강부 캐리어 공급부가 보강부 캐리어를 파지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7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강부 캐리어 공급부에 의해 보강부 캐리어가 이송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레일부가 하방으로 이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부금형이 하방으로 이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벳형성부에 의해 보강부 캐리어 일측에 리벳이 형성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출공간 내에 사출액이 주입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제조용 사출장치(1)의 동작을 첨부된 도6 내지 도1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회전테이블(11)에 안착된 한 쌍의 하부금형(20) 중 상부금형(40) 하부에 위치하지 않은 하부금형(20), 즉 리드선 캐리어(LC) 공급위치에 위치하는 하부금형(20) 상면에 외부로부터 리드선 캐리어(LC)가 공급된다.
하부금형(20) 상면에 리드선 캐리어(LC)가 안착되면, 회전테이블(11)이 180°회전하여 리드선 캐리어(LC)가 안착된 하부금형(20)이 상부금형(40)의 하부로 이동된다.
이때, 복수개가 연속적으로 연결된 보강부 캐리어(BC)가 레일부(31) 상면에 안착되고, 이송부(32)의 파지부(32b)가 하강하여 이송몸체(32a)와 함께 보강부 캐리어(BC)의 일측을 파지한 상태에서 하부금형(20) 방향으로 이동하여 보강부 캐리어(BC)가 하부금형(20) 방향으로 동반 이동되도록 한다.
복수의 보강부 캐리어(BC) 중 몰딩부를 형성하고자 하는 보강부 캐리어(BC)가 하부금형(20)의 상면 중 대향되게 안착된 한 쌍의 리드선 캐리어(LC)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경우 상하이동력 제공수단(33)에 의해 레일부(31)가 하강하여 보강부 캐리어(BC)를 한 상의 리드선 캐리어(LC) 상면에 위치시킨다.
다음, 상부금형(40)이 하방으로 이동되어 하부금형(20)에 결합되는데, 상부금형(40)이 하부금형(20)에 결합되는 순간에 상부금형(40) 저면에 구비된 리벳형성부(50)가 보강부 캐리어(BC)의 일측 중 몰딩부가 형성되지 않은 영역 일측을 가압하여 하방으로 돌출되는 리벳을 형성하되, 돌출된 리벳이 리드선 캐리어(LC)의 일측에 형성된 결합공에 삽입결합된다.
이와 같이 리벳을 통해 보강부 캐리어(BC)와 리드선 캐리어(LC)가 일체로 결합된 상태에서 사출유닛(61)이 하방으로 이동하여 상부금형(40) 및 하부금형(20)에 의해 형성된 사출공간 내에 사출액을 주입하고, 이를 경화하여 대향되게 배치된 리드선(L)의 단부 및 보강부(B)의 일측에 몰딩부(M)를 형성하여 커넥터를 제조한다.
그리고, 파지부(32b)는 상부금형(40)이 하부금형(20)에 결합되는 경우 파지부(32b)가 상방으로 이동하여 보강부 캐리어(BC)의 파지상태를 해제하고, 초기위치로 이동한 후 다시 파지부(32b)가 하방으로 이동하여 보강부 캐리어(BC)의 이동을 미리 준비한다.
몰딩부(M)의 사출공정이 완료되면, 상부금형(40)이 상방으로 이동되고, 레일부(31)가 상하이동력제공수단에 의해 상방으로 이동되며, 이송부(32)가 보강부(B)의 일측을 파지한 상태에서 하부금형(20)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제조된 커넥터를 외부로 반출함과 아울러 다음 보강부 캐리어(BC)를 하부금형(20)으로 공급하여 상기한 방법을 반복하여 커넥터를 생산한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는 본 발명의 요지에서 속하는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10 : 본체 11 : 회전테이블
20 : 하부금형 21 : 안착영역
22 : 캐비티 30 : 보강부 캐리어 공급부
31 : 레일부 31a : 제1 레일
31aa : 홀 32 : 이송부
32a : 이송몸체 32aa : 파지돌기
32b : 파지부 32c : 텐션롤러
33 : 상하이동력 제공수단 40 : 상부금형
50 : 리벳형성부 60 : 사출부
61 : 사출유닛 62 : 사출액 공급부

Claims (5)

  1. 한 쌍의 리드선 단부 및 한 쌍의 보강부 일측에 몰딩부를 인서트 사출하여 커넥터를 제조하기 위한 커넥터 제조용 사출장치에 있어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일측에 고정설치되고, 상면 일측에 리드선이 부착된 한 쌍의 리드선 캐리어가 상호 대향되게 배치되며, 그 상부에 한 쌍의 보강부가 대향되게 부착된 보강부 캐리어가 안착되는 하부금형과;
    상기 본체의 일측 중 상기 하부금형 상부에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하방으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하부금형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한 쌍의 리드선 단부 및 상기 보강부 일측과 대응되는 일측에 사출공간을 형성하는 상부금형과;
    상기 상부금형의 하부 중 상기 보강부 캐리어의 일측과 대응되는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상부금형이 상기 하부금형에 결합되는 경우 상기 보강부 캐리어의 일측을 가압하여 상기 리드선 캐리어와 결합되는 리벳을 형성하는 리벳형성부; 및
    상기 본체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사출공간 내에 사출액을 주입하는 사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제조용 사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하부금형으로 상기 보강부 캐리어를 공급하는 보강부 캐리어 공급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보강부 캐리어 공급부는
    상기 본체의 일측 중 상기 하부금형 방향으로 설치되되,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면에 복수개가 연속적으로 연결된 보강부 캐리어가 안착되는 레일부와;
    상기 레일부의 일측에 상기 레일부를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레일부에 안착된 상기 보강부 캐리어의 일측을 파지하며, 상기 보강부 캐리어의 일측을 파지한 상태에서 일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보강부 캐리어에 이동력을 제공하는 이송부; 및
    상기 레일부에 상하방향으로 이동력을 제공하는 상하이동력 제공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제조용 사출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는 상기 상부금형이 상기 하부금형에 결합된 후 상기 보강부 캐리어의 파지상태를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제조용 사출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부는
    외부 일측으로부터 상기 하부금형의 일측부 방향으로 연장형성 연장형성되는 제1 레일; 및
    상기 하부금형의 타측부로부터 외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제2 레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제조용 사출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는
    상기 레일부의 일측에 상기 레일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외부로부터 복수개가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공급되는 상기 보강부 캐리어의 저면 일측을 지지하는 이송몸체와;
    상기 이송몸체의 일측 중 상기 레일부의 상부에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하방으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보강부 캐리어의 상면 일측을 지지하는 파지부; 및
    상기 본체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일측이 상기 보강부 캐리어의 일측을 지지하여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이동되는 복수개의 보강부 캐리어에 장력을 제공하는 텐션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제조용 사출장치.
KR1020170159951A 2017-11-28 2017-11-28 커넥터 제조용 사출장치 KR1020771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9951A KR102077162B1 (ko) 2017-11-28 2017-11-28 커넥터 제조용 사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9951A KR102077162B1 (ko) 2017-11-28 2017-11-28 커넥터 제조용 사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1507A true KR20190061507A (ko) 2019-06-05
KR102077162B1 KR102077162B1 (ko) 2020-02-13

Family

ID=668446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9951A KR102077162B1 (ko) 2017-11-28 2017-11-28 커넥터 제조용 사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716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3688B1 (ko) * 2019-12-17 2020-05-20 (주)산쇼코리아 커넥터 보강판 커팅장치
CN111884003A (zh) * 2020-07-27 2020-11-03 苏州宏亮电子有限公司 一种精密电子连接器铝壳加工用冲压设备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3987B1 (ko) * 2007-06-26 2011-11-16 가부시키 가이샤 타케우치 기쥬쯔 켄큐쇼 커넥터의 제조방법
KR20130020506A (ko) * 2011-08-17 2013-02-27 아진산업(주) 이송셔틀이 구비된 프레스 장치
JP5488896B2 (ja) * 2010-01-26 2014-05-14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回路構成体の製造方法、回路構成体、および電気接続箱
KR101461025B1 (ko) 2013-12-05 2014-11-13 (주)산쇼코리아 커넥터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커넥터 제조방법
KR101610228B1 (ko) * 2013-11-19 2016-04-20 교우세라 커넥터 프로덕츠 가부시키가이샤 리셉터클 커넥터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3987B1 (ko) * 2007-06-26 2011-11-16 가부시키 가이샤 타케우치 기쥬쯔 켄큐쇼 커넥터의 제조방법
JP5488896B2 (ja) * 2010-01-26 2014-05-14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回路構成体の製造方法、回路構成体、および電気接続箱
KR20130020506A (ko) * 2011-08-17 2013-02-27 아진산업(주) 이송셔틀이 구비된 프레스 장치
KR101610228B1 (ko) * 2013-11-19 2016-04-20 교우세라 커넥터 프로덕츠 가부시키가이샤 리셉터클 커넥터의 제조방법
KR101461025B1 (ko) 2013-12-05 2014-11-13 (주)산쇼코리아 커넥터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커넥터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3688B1 (ko) * 2019-12-17 2020-05-20 (주)산쇼코리아 커넥터 보강판 커팅장치
CN111884003A (zh) * 2020-07-27 2020-11-03 苏州宏亮电子有限公司 一种精密电子连接器铝壳加工用冲压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7162B1 (ko) 2020-0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272509A1 (en) Insert Molding Machine With an Automatic Hoop Feeder System
JP6320448B2 (ja) 樹脂封止装置および樹脂封止方法
KR20190061507A (ko) 커넥터 제조용 사출장치
EP3331338A1 (en) Component mounting machine
JPH07256694A (ja) インサート成形システム
KR20100024575A (ko) 인서트 자동이송식 사출금형
CN100463308C (zh) 用于端子排镶嵌模塑的方法和设备
CN111313204B (zh) 一种电子连接器的绝缘基座和插针组装装置
JP4392326B2 (ja) プレス型、プレス装置及びワークのプレス加工方法
CN111313203B (zh) 一种电子连接器组装设备
JP4046726B2 (ja) インサート成形装置、インサート成形用端子材およびインサート成形方法
KR101622084B1 (ko) 제조부품 싱귤레이션장치
JPH08125096A (ja) リードフレームとそ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CN208880105U (zh) 自动压合设备
KR100667260B1 (ko) 단자결착기의 전선고정구조
KR101035030B1 (ko) 베어링캡소재용 절삭기
JP6184632B1 (ja) ゲートブレーク装置及び樹脂成形システム
KR101966319B1 (ko) 프레스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기판 프레스 방법
CN208558154U (zh) 一种端子定位模具镶件
KR102113688B1 (ko) 커넥터 보강판 커팅장치
KR101988842B1 (ko) 사출 프레스 복합 성형장치
JP4772100B2 (ja) インサート成形装置及びインサート成形方法
KR20110050803A (ko) 사출금형장치 및 방법
KR200184906Y1 (ko) 안경코받침용 심재의 구멍가공기
CN113471000A (zh) 一种轻触开关底座及其制作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