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61323A - 일체형 뚜껑을 구비한 접이식 일회용 컵 - Google Patents

일체형 뚜껑을 구비한 접이식 일회용 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61323A
KR20190061323A KR1020170159585A KR20170159585A KR20190061323A KR 20190061323 A KR20190061323 A KR 20190061323A KR 1020170159585 A KR1020170159585 A KR 1020170159585A KR 20170159585 A KR20170159585 A KR 20170159585A KR 20190061323 A KR20190061323 A KR 201900613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p
lid
cup body
waste
h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95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희
Original Assignee
김태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희 filed Critical 김태희
Priority to KR10201701595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61323A/ko
Publication of KR201900613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132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bodies or peripheral walls of curved or partially-curved cross-section made by winding or bending paper without folding along defined lines
    • B65D3/0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bodies or peripheral walls of curved or partially-curved cross-section made by winding or bending paper without folding along defined lines characterised by shape
    • B65D3/06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bodies or peripheral walls of curved or partially-curved cross-section made by winding or bending paper without folding along defined lines characterised by shape essentially conical or frusto-con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22Boxes or like containers with side walls of substantial depth for enclosing contents
    • B65D1/225Collapsible box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8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86Collapsible or telescopic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64Lids
    • B65D5/66Hinged lids
    • B65D5/6602Hinged lids formed by folding one or more extensions hinged to the upper edge of a tubular container body
    • B65D5/6608Hinged lids formed by folding one or more extensions hinged to the upper edge of a tubular container body the lid being held in closed position by self-locking integral fla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체형 뚜껑을 구비한 접이식 일회용 컵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 후 손쉽게 압착하여 쓰레기통의 부피를 적게 차지함으로써 쓰레기양과 쓰레기 배출 비용을 절감하도록 함으로써 기존의 버릴 때 부피를 많이 차지하여 쓰레기통이 금방 차고, 뚜껑과 컵 몸체를 분리 시 손에 두 가지를 한 손에 들 수 없는 문제점을 해소 하도록 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일회용 종이컵에 있어서 손으로 편하게 잡을 수 있고 사용 후 압축이 쉽도록 접이홈이 새겨진 종이 재질로 된 상부 끝단이 둥글게 말린 원기둥 형태로 형성한 컵 본체, 컵 몸체에 접철식으로 부착되어 한 손으로 쥘 수 있고 컵 몸체와 밀착이 될 수 있게 단차가 형성되고 음료 배출 구멍이 있는 둥근 원판의 형태로 형성한 일체형 컵 뚜껑, 컵 뚜껑이 컵 몸체에 부착되어 뚜껑을 여닫을 수 있게 컵 뚜껑과 같은 재질로 형성한 일체형 뚜껑 경첩, 컵 몸체에 담긴 내용물이 새는 것을 막을 수 있게 컵 몸체의 밑부분에 둥근 원판 형태로 형성한 컵 밑판으로 구성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사용 후 손쉽게 압착하여 쓰레기통의 부피를 적게 차지함으로써 쓰레기양과 쓰레기 배출 비용을 절감하도록 함으로써 기존의 버릴 때 부피를 많이 차지하여 쓰레기통이 금방 차고, 뚜껑과 컵 몸체를 분리 시 손에 두 가지를 한 손에 들 수 없는 문제점을 해소하도록 한 효과를 갖는 것이다.

Description

일체형 뚜껑을 구비한 접이식 일회용 컵{Rigid lid with folding in disposable paper cups}
본 발명은 일체형 뚜껑을 구비한 접이식 일회용 컵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일회용 종이컵에 있어서,
손으로 편하게 잡을 수 있고 사용 후 압축이 쉽도록 접이홈이 새겨진 종이 재질로 된 상부 끝단이 둥글게 말린 원기둥 형태로 형성한 컵 본체, 컵 몸체에 접철식으로 부착되어 한 손으로 쥘 수 있고 컵 몸체와 밀착이 될 수 있게 단차가 형성되고 음료 배출 구멍이 있는 둥근 원판의 형태로 형성한 일체형 컵 뚜껑, 컵 뚜껑이 컵 몸체에 부착되어 뚜껑을 여닫을 수 있게 컵 뚜껑과 같은 재질로 형성한 일체형 뚜껑 경첩, 컵 몸체에 담긴 내용물이 새는 것을 막을 수 있게 컵 몸체의 밑부분에 둥근 원판 형태로 형성한 컵 밑판으로 구성 하여서,
사용 후 손쉽게 압착하여 쓰레기통의 부피를 적게 차지함으로써 쓰레기양과 쓰레기 배출 비용을 절감하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일회용 종이컵은 고체나 액체 따위를 담아서 휴대하거나 내용물을 섭취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일회용 종이컵은 컵 몸체, 뚜껑, 밑판 으로 구성된 것이다.
이상과 같은 일회용 종이컵은 컵 몸체안에 내용물을 담고 뚜껑을 닫아서 휴대하거나 뚜껑을 열고 컵 몸체를 기울여 내용물을 섭취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일회용 종이컵은 버릴 때 부피를 많이 차지하여 쓰레기통이 금방 차고, 뚜껑과 컵 몸체를 분리 시 손에 두 가지를 한 손에 들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 제 2004840720000호
이에 본 발명은 종래의 일회용 종이컵이 버릴 때 부피를 많이 차지하여 쓰레기통이 금방 차고, 뚜껑과 컵 몸체를 분리 시 손에 두 가지를 한 손에 들 수 없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손으로 편하게 잡을 수 있고 사용 후 압축이 쉽도록 접이홈이 새겨진 종이 재질로 된 상부 끝단이 둥글게 말린 원기둥 형태로 형성한 컵 본체, 컵 몸체에 접철식으로 부착되어 한 손으로 쥘 수 있고 컵 몸체와 밀착이 될 수 있게 단차가 형성되고 음료 배출 구멍이 있는 둥근 원판의 형태로 형성한 일체형 컵 뚜껑, 컵 뚜껑이 컵 몸체에 부착되어 뚜껑을 여닫을 수 있게 컵 뚜껑과 같은 재질로 형성한 일체형 뚜껑 경첩, 컵 몸체에 담긴 내용물이 새는 것을 막을 수 있게 컵 몸체의 밑부분에 둥근 원판 형태로 형성한 컵 밑판으로 구성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손으로 편하게 잡을 수 있고 사용 후 압축이 쉽도록 접이홈이 새겨진 종이 재질로 된 상부 끝단이 둥글게 말린 원기둥 형태로 형성한 컵 본체, 컵 몸체에 접철식으로 부착되어 한 손으로 쥘 수 있고 컵 몸체와 밀착이 될 수 있게 단차가 형성되고 음료 배출 구멍이 있는 둥근 원판의 형태로 형성한 일체형 컵 뚜껑, 컵 뚜껑이 컵 몸체에 부착되어 뚜껑을 여닫을 수 있게 컵 뚜껑과 같은 재질로 형성한 일체형 뚜껑 경첩, 컵 몸체에 담긴 내용물이 새는 것을 막을 수 있게 컵 몸체의 밑부분에 둥근 원판 형태로 형성한 컵 밑판으로 구성 함으로써, 사용 후 손쉽게 압착하여 쓰레기통의 부피를 적게 차지함으로써 쓰레기양과 쓰레기 배출 비용을 절감하도록 한 효과를 갖는 것이다.
도 1: 본 발명을 위에서 본 그림
도 2: 본 발명의 전개도
즉, 본 발명은 손으로 편하게 잡을 수 있고 사용 후 압축이 쉽도록 접이홈이 새겨진 종이 재질로 된 상부 끝단이 둥글게 말린 원기둥 형태로 형성한 (100)컵 본체, 컵 몸체에 접철식으로 부착되어 한 손으로 쥘 수 있고 컵 몸체와 밀착이 될 수 있게 단차가 형성되고 음료 배출 구멍이 있는 둥근 원판의 형태로 형성한 (200)일체형 컵 뚜껑, 컵 뚜껑이 컵 몸체에 부착되어 뚜껑을 여닫을 수 있게 컵 뚜껑과 같은 재질로 형성한 (300)일체형 뚜껑 경첩, 컵 몸체에 담긴 내용물이 새는 것을 막을 수 있게 컵 몸체의 밑부분에 둥근 원판 형태로 형성한 (400)컵 밑판으로 구성 된 것이다.
여기서, (100)컵 본체는 손으로 편하게 잡을 수 있고 사용 후 압축이 쉽도록 접이홈이 새겨진 종이 재질로 된 상부 끝단이 둥글게 말린 원기둥 형태로 형성한 것이다.
여기서, (300)일체형 뚜껑 경첩은 컵 뚜껑이 컵 몸체에 부착되어 뚜껑을 여닫을 수 있게 컵 뚜껑과 같은 재질로 형성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사용과정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일회용 종이컵에 있어서 손으로 편하게 잡을 수 있고 사용 후 압축이 쉽도록 접이홈이 새겨진 종이 재질로 된 상부 끝단이 둥글게 말린 원기둥 형태로 형성한 (100)컵 본체, 컵 몸체에 접철식으로 부착되어 한 손으로 쥘 수 있고 컵 몸체와 밀착이 될 수 있게 단차가 형성되고 음료 배출 구멍이 있는 둥근 원판의 형태로 형성한 (200)일체형 컵 뚜껑, 컵 뚜껑이 컵 몸체에 부착되어 뚜껑을 여닫을 수 있게 컵 뚜껑과 같은 재질로 형성한 (300)일체형 뚜껑 경첩, 컵 몸체에 담긴 내용물이 새는 것을 막을 수 있게 컵 몸체의 밑부분에 둥근 원판 형태로 형성한 (400)컵 밑판으로 구성된 본 발명을 적용하여 실시하게 되면, 버릴 때 부피를 많이 차지하여 쓰레기통이 금방 차고, 뚜껑과 컵 몸체를 분리 시 손에 두 가지를 한 손에 들 수 없는 문제점을 해소하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 접이홈이 새겨진 종이 재질로 된 상부 끝단이 둥글게 말린 원기둥 형태로 형성한 (100)컵 본체로 구성한 본 발명을 적용하여 실시하게 되면, 손으로 편하게 잡을 수 있고 사용 후 압축이 쉽도록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 컵 뚜껑과 같은 재질로 형성한 (300)일체형 뚜껑 경첩으로 구성한 본 발명을 적용하여 실시하게 되면, 컵 뚜껑이 컵 몸체에 부착되어 뚜껑을 여닫을 수 있게 될 것이다.
100: 컵 본체, 200: 일체형 컵 뚜껑, 300: 일체형 뚜껑 경첩, 400: 컵 밑판

Claims (3)

  1. 일회용 종이컵에 있어서,
    손으로 편하게 잡을 수 있고 사용 후 압축이 쉽도록 접이홈이 새겨진 종이 재질로 된 상부 끝단이 둥글게 말린 원기둥 형태로 형성한 (100)컵 본체, 컵 몸체에 접철식으로 부착되어 한 손으로 쥘 수 있고 컵 몸체와 밀착이 될 수 있게 단차가 형성되고 음료 배출 구멍이 있는 둥근 원판의 형태로 형성한 (200)일체형 컵 뚜껑, 컵 뚜껑이 컵 몸체에 부착되어 뚜껑을 여닫을 수 있게 컵 뚜껑과 같은 재질로 형성한 (300)일체형 뚜껑 경첩, 컵 몸체에 담긴 내용물이 새는 것을 막을 수 있게 컵 몸체의 밑부분에 둥근 원판 형태로 형성한 (400)컵 밑판으로 구성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뚜껑을 구비한 접이식 일회용 컵.
  2. 제 1항에 있어서,
    (100)컵 본체를 통하여 손으로 편하게 잡을 수 있고 사용 후 압축이 쉽도록 접이홈이 새겨진 종이 재질로 된 상부 끝단이 둥글게 말린 원기둥 형태로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뚜껑을 구비한 접이식 일회용 컵.
  3. 제 1항에 있어서,
    (300)일체형 뚜껑 경첩을 통하여 컵 뚜껑이 컵 몸체에 부착되어 뚜껑을 여닫을 수 있게 컵 뚜껑과 같은 재질로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뚜껑을 구비한 접이식 일회용 컵.
KR1020170159585A 2017-11-27 2017-11-27 일체형 뚜껑을 구비한 접이식 일회용 컵 KR2019006132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9585A KR20190061323A (ko) 2017-11-27 2017-11-27 일체형 뚜껑을 구비한 접이식 일회용 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9585A KR20190061323A (ko) 2017-11-27 2017-11-27 일체형 뚜껑을 구비한 접이식 일회용 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1323A true KR20190061323A (ko) 2019-06-05

Family

ID=668445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9585A KR20190061323A (ko) 2017-11-27 2017-11-27 일체형 뚜껑을 구비한 접이식 일회용 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6132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4199B1 (ko) 2020-07-29 2021-07-08 하길주 혼합 음료 용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4072Y1 (ko) 2017-02-17 2017-07-28 이승기 접이식 종이컵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4072Y1 (ko) 2017-02-17 2017-07-28 이승기 접이식 종이컵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4199B1 (ko) 2020-07-29 2021-07-08 하길주 혼합 음료 용기
KR20220014814A (ko) 2020-07-29 2022-02-07 하길주 혼합 음료 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50175337A1 (en) Device having accommodation portion open via main body for accommodating dissimilar materials
WO2010083157A3 (en) Container for selectively dispensing a material
CA2566063A1 (en) Dispensing capsule for a liquid container
NO872025L (no) Beholder med lokk som kan lukkes pulvertett.
WO2008104854A3 (en) Dispensing closure for a liquid container
BRPI0509596A (pt) espremedor com mecanismo de pedal para almofadas de esfregão planas
KR20190061323A (ko) 일체형 뚜껑을 구비한 접이식 일회용 컵
KR101424096B1 (ko) 음료 및 주류 용기
KR20100042991A (ko) 이종물질 수용장치
KR20100045288A (ko) 튜브형 용기
KR200252419Y1 (ko) 누름판을 구비한 쓰레기통
KR101569493B1 (ko) 병뚜껑
CN106494743A (zh) 包装杯
SG155881A1 (en) Container, external container for mixing and transporation, and mixing device
WO2010053952A3 (en) Container having snap-on metal lid to plastic hinge, and container including trash receptacle
KR101128081B1 (ko) 음식물 쓰레기통
KR20070065168A (ko) 이종물질을 수용한 배출장치
CN202219917U (zh) 粉料投放瓶及专用瓶盖
CN204110691U (zh) 可压缩式卫生垃圾桶
JP2009057098A (ja) 二剤混合容器
KR20070081059A (ko) 이종물질을 수용한 배출장치
KR200363309Y1 (ko) 가압판이 겸비된 휴지통뚜껑구조.
CN208054185U (zh) 全封闭式户外垃圾桶
KR20040027833A (ko) 내용물 저장공간을 갖고 있는 배출대
KR200357257Y1 (ko) 압축식 쓰레기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