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14814A - 혼합 음료 용기 - Google Patents

혼합 음료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14814A
KR20220014814A KR1020210085442A KR20210085442A KR20220014814A KR 20220014814 A KR20220014814 A KR 20220014814A KR 1020210085442 A KR1020210085442 A KR 1020210085442A KR 20210085442 A KR20210085442 A KR 20210085442A KR 20220014814 A KR20220014814 A KR 202200148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ling
lid
sealing member
side wall
beverage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54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97606B1 (ko
Inventor
하길주
Original Assignee
하길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길주 filed Critical 하길주
Priority to KR10202100854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7606B1/ko
Publication of KR202200148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48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76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76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0202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 B65D43/0225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by rotation
    • B65D43/0229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by rotation only on the inside, or a part turned to the inside, of the mouth of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bodies or peripheral walls of curved or partially-curved cross-section made by winding or bending paper without folding along defined lines
    • B65D3/26Opening arrangements or devices incorporated in, or attached to,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02Caps or cap-like covers without lines of weakness, tearing 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 B65D41/0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 B65D41/0407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with integral seal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444Contact between the container and the lid
    • B65D2543/00481Contact between the container and the lid on the inside or the outside of the container
    • B65D2543/0049Contact between the container and the lid on the inside or the outside of the container on the inside, or a part turned to the inside of the mouth of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953Seal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용물을 수용 가능하고 상하 방향으로 소정의 높이를 형성하고, 상측이 개구된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개구된 상측에 조립되어 상기 몸체부의 상측을 폐쇄하는 뚜껑부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 및 뚜껑부는 종이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몸체부는, 원판형의 바닥 플레이트; 상기 바닥 플레이트의 외측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 형성된 몸체 측벽부; 및 상기 몸체 측벽부에서 돌출 형성된 제1 씰링부;를 포함하고, 상기 뚜껑부는, 원판형의 커버 플레이트; 상기 커버 플레이트의 외측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 형성된 뚜껑 측벽부; 및 상기 뚜껑 측벽부에서 돌출 형성된 제2 씰링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씰링부는 상기 몸체 측벽부의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형성되고, 양단이 분리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2 씰링부는 상기 뚜껑 측벽부의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형성되고, 양단이 분리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1 씰링부의 양단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제2 씰링부의 양단 중 어느 하나의 삽입을 유도하는 노치부가 형성되고, 상기 노치부는 상기 제1 씰링부의 하측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테이퍼면이 배치된 혼합 음료 용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혼합 음료 용기{Mixing Beverage Contain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혼합 음료 용기에 관한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제작이 용이하고 밀폐 기밀성이 뛰어난 일회용으로 혼합 음료 용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건강한 몸매, 자기관리의 중요성이 부각됨에 따라, 피트니스 센터, 복싱 등의 생활 운동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그에 따라, 운동 보조 식품, 대표적으로 혼합 음료형의 단백질 보충제의 사용량 또한 크게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단백질 보충제의 경우, 물에 잘 혼합하여 음용해야 하는바, 종래의 스테인레스 또는 플라스틱형 쉐이커의 사용을 필수적으로 요구하였다.
하지만, 종래의 스테인레스 또는 플라스틱형 쉐이커의 경우, 최소 만원 이상의 상대적으로 고가인 반면, 완전한 세척이 매우 어렵고, 잔유물 존재시 냄새가 좋지 않은 단백질 보충제의 특성상 관리의 불편함이 존재하였고, 나아가, 위와 같은 문제점들을 이유로, 그 사용 기간이 짧고 반복해서 교체해주어야 한다는 비용 소모적 문제도 존재하였다. 아울러, 사용 목적에 따라, 하나의 쉐이커 내에 단백질 보충제뿐만 아니라, 커피, 물, 기타 음료 등 다른 종류의 음료를 수용하여 이용하기도 하는 점에서, 위생 관리가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가 존재하였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9-0061323 (2019.06.05)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혼합 음료를 음용함에 있어서 위생 관리가 매우 용이하고, 사용 후 처리가 편리한 혼합 음료 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낮은 비용으로 제조 및 구입이 가능한바, 사용자의 비용 부담을 절감할 수 있는 혼합 음료 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기밀성이 뛰어나, 혼합형 음료를 제조함에 있어서 음료의 누수 문제를 방지할 수 있는 혼합 음료 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내용물을 수용 가능하고 상하 방향으로 소정의 높이를 형성하고, 상측이 개구된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개구된 상측에 조립되어 상기 몸체부의 상측을 폐쇄하는 뚜껑부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 및 뚜껑부는 종이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몸체부는, 원판형의 바닥 플레이트; 상기 바닥 플레이트의 외측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 형성된 몸체 측벽부; 및 상기 몸체 측벽부에서 돌출 형성된 제1 씰링부;를 포함하고, 상기 뚜껑부는, 원판형의 커버 플레이트; 상기 커버 플레이트의 외측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 형성된 뚜껑 측벽부; 및 상기 뚜껑 측벽부에서 돌출 형성된 제2 씰링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씰링부는 상기 몸체 측벽부의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형성되고, 양단이 분리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2 씰링부는 상기 뚜껑 측벽부의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형성되고, 양단이 분리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1 씰링부의 양단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제2 씰링부의 양단 중 어느 하나의 삽입을 유도하는 노치부가 형성되고, 상기 노치부는 상기 제1 씰링부의 하측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테이퍼면이 배치된 혼합 음료 용기를 제공한다.
상기 제1 씰링부는, 양단이 분리된 링 형상의 제1-1 씰링부재; 및 기 제1-1 씰링부재로부터 하측으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양단이 분리된 링 형상의 제1-2 씰링부재;를 포함하고, 기 몸체부 및 상기 뚜껑부가 조립되는 경우, 상기 제2 씰링부의 양단 중 어느 하나는 상기 노치부의 테이퍼면을 통과하여 상기 제1-1 씰링부재 및 상기 제1-2 씰링부재 사이의 간극으로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제1-2 씰링부재는 상기 몸체 측벽부의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양단 중 일단이 상측에 배치되고, 타단이 상기 일단 보다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1 씰링부재 및 제1-2 씰링부재는 상기 몸체 측면부의 반경방향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2 실링부는 상기 뚜껑 몸체부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몸체부 및 상기 뚜껑부가 조립되는 경우, 상기 제2 실링부가 상기 몸체 측면부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1 씰링부재 보다 낮고 상기 제1-2 씰링부재보다 높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1 씰링부재 및 제1-2 씰링부재는 상기 몸체 측면부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2 실링부는 상기 뚜껑 몸체부의 반경방향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몸체부 및 상기 뚜껑부가 조립되는 경우, 상기 제2 실링부가 상기 몸체 측면부의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1 씰링부재 보다 낮고 상기 제1-2 씰링부재보다 높게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뚜껑부 및 몸체부 전체가 종이 재질로 형성되기 때문에, 낮은 비용으로 제조 및 구입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조립가능한 종이재질의 뚜껑부가 몸체부 상측을 개폐할 수 있기 때문에, 위생 관리가 매우 용이하고, 사용 후 처리가 편리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제1-1 씰링부재 및 제1-2 씰링부재 사이로 제2 씰링부가 삽입되어 끼워지기 때문에, 음료의 누수를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뚜껑부에 나선형으로 배치된 제2 씰링부가 몸체부의 노치부를 통해 제1 씰링부의 하측으로 삽입될 수 있기 때문에, 뚜껑부 및 몸체부의 밀폐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제1 씰링부의 하측으로 안내하는 테이퍼면이 형성되기 때문에, 제2 씰링부를 제1 씰링부의 하측으로 보다 용이하게 진입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진입된 제2 씰링부재의 일단이 제1-1 씰링부재 및 제1-2 씰링부재의 높이 사이에 배치되기 때문에, 제2 씰링부재가 상측으로 분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혼합 음료 용기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혼합 음료 용기의 몸체부 및 뚜껑부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혼합 음료 용기의 제1 씰링부 및 제2 씰링부에 대한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혼합 음료 용기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혼합 음료 용기의 제조 과정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혼합 음료 용기(10a)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혼합 음료 용기(10a)의 몸체부(100a) 및 뚜껑부(200a)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혼합 음료 용기(10a)는, 내용물을 수용 가능하고 소정 길이로 형성된 몸체부(100a) 및 상기 몸체부(100a)를 폐쇄 가능한 뚜껑부(200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몸체부(100a) 및 상기 뚜껑부(200a)는 사용자의 회전 조작에 의해 상호 체결 또는 분리될 수 있다.
이 때, 몸체부(100a)는 바닥 플레이트(110a), 몸체 측벽부(120a) 및 제1 씰링부(130a)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닥 플레이트(110a)는 소정 두께의 원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몸체 측벽부(120a)는 바닥 플레이트(110a)의 외주연으로부터 몸체부(100a)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뚜껑부(200a)는 커버 플레이트(210a), 뚜껑 측벽부(220a) 및 제2 씰링부(230a)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커버 플레이트(210a)는 소정 두께의 원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뚜껑 측벽부(220a)는 커버 플레이트(210a)의 외주연으로부터 커버 플레이트(210a)에 수직한 방향 일측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커버 플레이트(210a)의 수직한 방향이란, 커버 플레이트(210a)의 원판면에 직교하는 방향으로서, 몸체부(100a)와 뚜껑부(200a)의 체결시 상술한 몸체부(100a)의 길이 방향과 동일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제1 씰링부(130a)는 몸체 측벽부(120a)의 외면에 돌출 형성될 수 있고, 제2 씰링부(230a)는 뚜껑 측벽부(220a)의 외면에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혼합 음료 용기(10a)의 경우, 몸체부(100a)와 뚜껑부(200a)의 체결시, 뚜껑 측벽부(220a)는 몸체 측벽부(120a)에 내접할 수 있고, 뚜껑 측벽부(220a)는 몸체부(100a) 내측에 삽입된 상태로 위치될 수 있다.
몸체부(100a) 및 뚜껑부(200a)가 회전 조작되어 체결되는 경우, 제1 씰링부(130a) 및 제2 씰링부(230a)는 상호 접촉되어 상기 몸체부(100a)를 밀폐할 수 있다. 즉, 몸체부(100a) 및 뚜껑부(200a)의 체결시, 제1 씰링부(130a) 및 제2 씰링부(230a)에 의해 몸체부(100a)와 뚜껑부(200a) 사이에 밀봉 구조가 형성될 수 있고, 몸체부(100a) 내부의 내용물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때, 제1 씰링부(130a)는 몸체부(100a)의 내주면(즉, 몸체 측벽부(120a)의 반경 방향 내측 외면)에서 반경 방향 내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고, 제2 씰링부(230a)는 뚜껑부(200a)의 외주면(즉, 뚜껑 측벽부(220a)의 반경 방향 외측 외면)에서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1 씰링부(130a)는 몸체 측벽부(120a)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접착 또는 융착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고, 제2 씰링부(230a)는 뚜껑 측벽부(220a)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접착 또는 융착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술한 제1 씰링부(130a)는, 링 형상의 제1-1 씰링부재(131a), 및 제1-1 씰링부재(131a)로부터 몸체부(100a)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된 링 형상의 제1-2 씰링부재(132a)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부(100a) 및 뚜껑부(200a)가 회전 조작되어 체결되는 경우, 제2 씰링부(230a)의 적어도 일부는, 제1-1 씰링부재(131a) 및 제1-2 씰링부재(132a) 사이의 간극으로 삽입 이동될 수 있다.
이 때, 제1-1 씰링부재(131a) 및 제1-2 씰링부재(132a) 사이에 위치되는 제2 씰링부(230a)의 적어도 일부는, 제1-1 씰링부재(131a) 및 제1-2 씰링부재(132a) 중 적어도 하나와 밀착됨으로써 몸체부(100a)와 뚜껑부(200a) 사이의 밀폐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상술한 제2 씰링부(230a)는 뚜껑부(200a)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 배치된 제2-1 씰링부재(231a) 및 제2-2 씰링부재(232a)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몸체부(100a) 및 뚜껑부(200a)가 회전 조작되어 체결되는 경우, 제2-2 씰링부재(232a)는, 제1-1 씰링부재(131a) 및 제1-2 씰링부재(132a) 사이의 간극으로 삽입 이동될 수 있다.
이 때, 제2-2 씰링부재(232a)는 제1-2 씰링부재(132a)와 밀착 접촉될 수 있다. 또한, 상호 밀착된 제2-2 씰링부재(232a) 및 제1-2 씰링부재(132a)는 몸체부(100a)의 원주 방향 전체를 따라 밀착 접촉될 수 있고, 고리 형상의 씰링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2-1 씰링부재(231a)는 제1-1 씰링부재(131a)와 밀착 접촉될 수 있다. 이 때, 상호 밀착된 제2-1 씰링부재(231a) 및 제1-1 씰링부재(131a)는 몸체부(100a)의 원주 방향 전체를 따라 밀착 접촉될 수 있고, 고리 형상의 씰링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제1-2 씰링부재(132a) 및 제2-2 씰링부재(232a) 중 적어도 하나는, 원주 방향 일단에서 타단으로 이동할수록 몸체부(100a)의 길이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2 씰링부재(132a) 및 제2-2 씰링부재(232a) 모두 원주 방향을 따라 이동할수록 몸체부(100a)의 길이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제1-2 씰링부재(132a) 및 제2-2 씰링부재(232a)는, 몸체부(100a)의 원주 방향을 따라 동일한 경사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2 씰링부재(132a)의 원주 방향 일단은 바닥 플레이트(110a)에 대해 상대적으로 먼 높이로 위치될 수 있고, 제1-2 씰링부재(132a)의 원주 방향 타단은 바닥 플레이트(110a)에 대해 상대적으로 가까운 높이에 위치될 수 있다. 이 떼, 제1-2 씰링부재(132a)의 일단에서 타단으로 갈수록 바닥 플레이트(110a)에 가까워질 수 있다.
또한, 제2-2 씰링부재(232a)의 원주 방향 일단은 커버 플레이트(210a)에 대해 상대적으로 먼 거리로 위치될 수 있고, 제2-2 씰링부재(232a)의 원주 방향 타단은 커버 플레이트(210a)에 대해 상대적으로 가까운 거리로 위치될 수 있다. 이 떼, 제2-2 씰링부재(232a)의 일단에서 타단으로 갈수록 커버 플레이트(210a)에 가까워질 수 있다.
또한, 제1-1 씰링부재(131a)는 원주 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경우에도, 바닥 플레이트(110a)에 대해 동일한 높이로 형성될 수 있고, 제2-1 씰링부재(231a)는 원주 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경우에도, 바닥 플레이트(110a)에 대해 동일한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1 씰링부재(131a) 및 제2-1 씰링부재(231a) 상호 간은 바닥 플레이트(110a)와 평행한 평면에서 원주 방향을 따라 씰링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위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혼합 음료 용기(10a)는, 바닥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적어도 두 개의 씰링 구조를 형성할 수 있고, 이 때, 적어도 두 번의 씰링 구조 각각은, 뚜껑부(200a)의 원주 방향 전체를 따라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몸체부(100a)와 뚜껑부(200a)의 체결시 원주 방향 전체를 따라 형성된 씰링 구조가 몸체부(100a)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적어도 두 번 형성될 수 있고, 몸체부(100a) 내부의 내용물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용이하고 기밀하게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제1 씰링부(130a) 및 제2 씰링부(230a) 각각에 형성되는 씰링부재의 개수에 따라 몸체부(100a) 및 뚜겅부 사이에 형성되는 씰링 구조의 개수가 선택될 수 있다. 즉, 몸체부(100a)와 뚜껑부(200a) 사이의 씰링 구조는 필요에 따라 세 개 또는 네 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1 씰링부재(131a), 제1-2 씰링부재(132a), 제2-1 씰링부재(231a) 및 제2-2 씰링부재(232a) 각각은, 외면 적어도 일부가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횡단면이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제1-1 씰링부재(131a)는, 몸체 측벽부(120a)의 길이 방향 말단(뚜껑부(200a)가 체결되는 측 말단)에 형성될 수 있고, 절삭 형성되어 상기 제2 씰링부(230a)의 적어도 일부의 삽입을 안내하는 노치부(1310a)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노치부(1310a)는 제2 씰링부(230a)의 삽입을 유도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테이퍼면(1311a)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테이퍼면(1311a)은 몸체부(100a)의 지면 기립시 하측으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는 형상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고, 사용자의 회전 조작 방향(일반적으로 몸체부(100a)의 상측에서 보았을 때, 시계 방향 회전)을 따라 몸체 측벽부(120a)에서 바닥 플레이트(110a) 측으로 갈수록, 원주 방향 길이가 길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혼합 음료 용기(10a)의 커버 플레이트(210a)는, 몸체부(100a)와 뚜껑부(200a)의 체결시, 몸체부(100a) 길이 방향 일단부(특히, 뚜껑부(200a)와 결합되는 측의 단부)보다 지면에 더 가깝게 위치될 수 있다.
즉, 커버 플레이트(210a)는, 뚜껑 측벽부(220a)의 길이 방향 하단에 위치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혼합 음료 용기(10a)의 지면 안착시, 상술한 몸체부(100a) 길이 방향 일단부보다 낮은 높이에 위치될 수 있다.
한편, 커버 플레이트(210a)의 배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커버 플레이트(210a)는, 뚜껑 측벽부(220a)의 길이 방향 상단에 위치되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혼합 음료 용기(10a)의 지면 안착시, 상술한 몸체부(100a) 길이 방향 일단부보다 높은 높이에 위치될 수도 있다.
또한, 상술한 커버 플레이트(210a)는 몸체부(100a)의 내측에 삽입된 상태로 체결될 수 있고, 커버 플레이트(210a)는 몸체부(100a) 길이 방향 일측(특히, 뚜껑부(200a)와 결합되는 측)의 내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몸체부(100a)는 길이 방향을 따라 상향 이동될수록 직경이 커지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몸체부(100a)는 길이 방향 일단의 직경이 길이 방향 타단의 직경보다 큰 크기로 형성될 수 있고, 복수 개의 몸체부(100a)를 구비하는 경우, 몸체부(100a)들 상호 간을 적층 보관하기 용이할 수 있다.
몸체부(100a) 및 뚜껑부(200a) 중 적어도 하나는 소정 압축성을 구비한 종이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몸체부(100a) 및 뚜껑부(200a) 중 적어도 하나가 종이 재질로 형성됨에 따라, 몸체부(100a) 및 뚜껑부(200a)는 압축성을 구비할 수 있고, 제1 씰링부(130a) 및 제2 씰링부(230a) 중 적어도 하나가 압축성을 구비함에 따라, 몸체부(100a)와 뚜껑부(200a) 사이의 가압 기밀성은 더욱 향상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씰링부(130a) 및 제2 씰링부(230a) 중 적어도 하나가 종이 재질로 형성되는 경우, 몸체부(100a)와 뚜껑부(200a)의 체결시 제1 씰링부(130a) 및 제2 씰링부(230a)의 접촉 부위 중 적어도 일부는 가압되어 압축될 수 있고, 완전 탄성은 아니지만, 압축에 대한 일부 복원력을 구비한 종이 재질의 특성상 제1 씰링부(130a) 및 제2 씰링부(230a) 사이의 접촉면 기밀성이 향상될 수 있다.
따라서, 기존의 플라스틱 또는 스테인리스 재질로 형성된 혼합 용기는 기 형성된 씰링 구조에 변형이나 압축이 불가능 했던 반면, 본원에 개시된 혼합 음료 용기(10a)의 경우, 적어도 일부가 종이 재질로 형성됨에 따라 기밀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몸체부(100a) 및 뚜껑부(200a) 양자 모두 종이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혼합 음료 용기(10a)의 제조 비용이 크게 절감될 수 있고, 사용자는 비용 및 유지관리에 대한 부담 없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혼합 음료 용기(10a)를 폐기하고 새로운 용기를 구매하여 사용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종래의 스테인리스 또는 플라스틱 재질의 쉐이커를 사용함으로써 감수하였던 위생 문제 또는 세척 관리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혼합 음료 용기(10a)의 제1 씰링부(130a) 및 제2 씰링부(230a)에 대한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의 (a)는 변형예에서의 제1 씰링부(130a) 및 제2 씰링부(230a)가 상호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의 (b)는 변형예에서의 제1 씰링부(130a) 및 제2 씰링부(230a)가 상호 체결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의 (a) 및 도 3의 (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혼합 음료 용기(10a)의 제1 씰링부(130a) 및 제2 씰링부(230a)에 대한 변형예로서, 제1 씰링부(130a)의 제1-1 씰링부재(131a')는, 몸체 측벽부(120a)로부터 반경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 제1-1 연장부(1312a') 및 제1-1 연장부(1312a')의 말단에 형성된 제1-1 걸림부(1313a')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씰링부(130a)의 제1-2 씰링부재(132a')는, 몸체 측벽부(120a)로부터 반경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 제1-2 연장부(1322a') 및 제1-2 연장부(1322a')의 말단에 형성된 제1-2 걸림부(1323a')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제2 씰링부(230a)의 제2-1 씰링부재(231a')는, 뚜껑 측벽부(220a)로부터 반경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 제2-1 연장부(2312a') 및 제2-1 연장부(2312a')의 말단에 형성된 제2-1 걸림부(2313a')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씰링부(230a)의 제2-2 씰링부재(232a')는, 뚜껑 측벽부(220a)로부터 반경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 제2-2 연장부(2322a') 및 제2-2 연장부(2322a')의 말단에 형성된 제2-2 걸림부(2323a')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제1-1 걸림부(1313a'), 제1-2 걸림부(1323a'), 제2-1 걸림부(2313a') 및 제2-2 걸림부(2323a') 각각은, 제1-1 연장부(1312a'), 제1-2 연장부(1322a'), 제2-1 연장부(2312a') 및 제2-2 연장부(2322a') 각각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1 걸림부(1313a'), 제1-2 걸림부(1323a'), 제2-1 걸림부(2313a') 및 제2-2 걸림부(2323a') 각각은, 외면 적어도 일부가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횡단면이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몸체부(100a)와 뚜껑부(200a)가 회전 조작되어 체결되는 경우, 제2-2 씰링부재(232a')는 제1-1 씰링부재(131a')와 제1-2 씰링부재(132a') 사이의 공간으로 삽입 이동될 수 있고, 제2-2 씰링부재(232a')는 제1-2 씰링부재(132a')와 밀착 접촉됨에 따라 씰링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이 때, 제2-1 씰링부재(231a')는 제2-2 씰링부재(232a')와 밀착 접촉되어 추가적인 씰링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이 때, 제2-2 걸림부(2323a')는 제1-2 걸림부(1323a')와 몸체 측벽부(120a') 사이의 이격 공간으로 삽입될 수 있고, 사용자의 가압 회전에 따라 제2-2 걸림부(2323a')의 외면은 적어도 세 측면에서 제1-2 걸림부(1323a'), 제1-2 연장부(1322a') 및 몸체부(100a)와 밀착 접촉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몸체 측벽부(120a)의 내측면과 제1-2 걸림부(1323a')의 외면 사이의 최단 거리는, 제2-2 걸림부(2323a')의 뚜껑부(200a)의 반경 방향 폭보다 작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몸체부(100a) 및 뚜껑부(200a)는 종이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외부 압력에 대해 변형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회전 조작에 의해 제2-2 걸림부(2323a')가 제1-2 걸림부(1323a')와 몸체 측벽부(120a) 사이의 이격 공간으로 끼움 삽입되는 경우, 이 때의 이격 공간은 제2-2 걸림부(2323a')의 뚜껑부(200a)의 반경 방향 폭보다 작게 형성되는바, 제2-2 걸림부(2323a')는 가압되어 변형됨과 동시에 소정 탄성을 구비하여 제1-2 걸림부(1323a'), 제1-2 연장부(1322a') 및 몸체부(100a)와 더욱 기밀하게 밀착 접촉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몸체부(100a)와 뚜껑부(200a) 사이의 밀폐력은 더욱 향상될 수 있고, 사용자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혼합 음료 용기(10a)를 강하게 흔드는 경우에도, 내부 내용물이 외부로 누출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제2-2 걸림부(2323a')의 반경 방향 폭 및 몸체 측벽부(120a)의 내측면과 제1-2 걸림부(1323a')의 외면 사이의 최단 거리 관계는, 제2-1 걸림부(2313a')의 반경 방향 폭 및 몸체 측벽부(120a)의 내측면과 제1-1 걸림부(1313a')의 외면 사이의 최단 거리에도 적용될 수 있다.
상술한 제1 씰링부(130a) 및 제2 씰링부(230a)의 다른 변형예로서, 제1-2 씰링부재(132a') 및 제2-2 씰링부재(232a') 중 적어도 하나의 원주 방향에 직교하는 단면의 직경이, 원주 방향을 따라 점차 커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제2-2 씰링부재(232a')는, 몸체부(100a)와 뚜껑부(200a)의 회전 체결시 제2-2 씰링부재(232a') 중 제1-1 씰링부재(131a')와 제1-2 씰링부재(132a') 사이로 가장 먼저 삽입되기 시작하는 부분의 일단에서, 제2-2 씰링부재(232a')의 원주 방향 타단으로 갈수록 횡단면 직경이 점차 커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뚜껑부(200a)를 회전 조작하여 몸체부(100a)에 체결하는 경우, 뚜껑부(200a)가 회전됨에 따라 제2-2 씰링부재(232a')의 제1-2 씰링부재(132a')와의 밀착력이 점차 증가될 수 있고, 몸체부(100a)와 뚜껑부(200a)의 완전한 체결시 제2-2 씰링부재(232a')와 제1-2 씰링부재(132a')의 상호 밀착도 및 가압력이 증가될 수 있다. 즉, 몸체부(100a)와 뚜껑부(200a) 사이의 기밀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고, 내부의 내용물 누출 가능성이 차단될 수 있다.
한편, 제1 씰링부(130a) 및 제2 씰링부(230a)의 변형예 및 다른 변형예에 있어서, 제1-1 씰링부재(131a')와 제1-2 씰링부재(132a')를 포함하는 제1 씰링부(130a), 및 제2-1 씰링부재(231a')와 제2-2 씰링부재(232a')를 포함하는 제2 씰링부(230a)의 배치 구조, 그리고 몸체부(100a)와 뚜껑부(200a) 체결시의 상호 작용의 경우,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혼합 음료 용기(10a)의 제1 씰링부(130a) 및 제2 씰링부(230a)와 동일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혼합 음료 용기(10b)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혼합 음료 용기(10b)는 내용물을 수용 가능하고 소정 길이로 형성된 몸체부(100b), 및 몸체부(100b)를 폐쇄 가능한 뚜껑부(200b)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몸체부(100b)는 원판형의 바닥 플레이트(110b), 바닥 플레이트(110b)의 외주연으로부터 몸체부(100b)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 몸체 측벽부(120b) 및 몸체 측벽부(120b)의 외면에 돌출 형성된 제1 씰링부(130b)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뚜껑부(200b)는 원판형의 커버 플레이트(210b), 커버 플레이트(210b)의 외주연으로부터 커버 플레이트(210b)에 수직한 방향 일측으로 연장 형성된 뚜껑 측벽부(220b) 및 뚜껑 측벽부(220b)의 외면에 돌출 형성된 제2 씰링부(230b)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제1 씰링부(130b)는 링 형상의 제1-1 씰링부재(131b), 및 제1-1 씰링부재(131b)로부터 몸체부(100b)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된 링 형상의 제1-2 씰링부재(132b)를 포함할 수 있고, 상술한 제2 씰링부(230b)는 링 형상의 제2-1 씰링부재(231b), 및 제2-1 씰링부재(231b)로부터 뚜껑부(200b)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된 링 형상의 제2-2 씰링부재(232b)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제1-1 씰링부재(131b) 및 제1-2 씰링부재(132b)는 몸체 측벽부(120b)의 외측면(즉, 몸체부(100b)의 외주면)에서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고, 제2-1 씰링부재(231b) 및 제2-2 씰링부재(232b)는 뚜껑 측벽부(220b)의 내측면(즉, 뚜껑부(200b)의 내주면)에서 반경 방향 내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몸체부(100b)와 뚜껑부(200b)의 회전 조작에 의한 상호 체결시, 제1-1 씰링부재(131b)는 제2-1 씰링부재(231b)와 밀착 접촉하여 씰링 구조를 형성할 수 있고, 제2-1 씰링부재(231b)는 제2-2 씰링부재(232b)와 밀착 접촉하여 추가적인 씰링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커버 플레이트(210b)의 직경은 몸체부(100b)의 뚜껑부(200b) 측 일단의 직경보다 큰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뚜껑부(200b)는 몸체부(100b)의 일측의 외면을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혼합 음료 용기(10b)의 커버 플레이트(210b)는, 몸체부(100b)와 뚜껑부(200b)의 체결시, 몸체부(100b) 길이 방향 일단부(특히, 뚜껑부(200b)와 결합되는 측의 단부)보다 지면으로부터 더 멀리 위치될 수 있다.
즉, 커버 플레이트(210b)는, 뚜껑 측벽부(220b)의 길이 방향 하단에 위치될 수 있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혼합 음료 용기(10b)의 지면 안착시, 상술한 몸체부(100b) 길이 방향 일단부보다 높은 높이에 위치될 수 있다.
한편, 제1-1 씰링부재(131b) 및 제1-2 씰링부재(132b)를 포함하는 제1 씰링부(130b), 및 제2-1 씰링부재(231b) 및 제2-2 씰링부재(232b)를 포함하는 제2 씰링부(230b)의 배치 구조, 그리고 몸체부(100b)와 뚜껑부(200b) 체결시의 상호 작용의 경우,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혼합 음료 용기(10a)의 제1 씰링부(130b) 및 제2 씰링부(230b)와 동일할 수 있다.
즉, 상술한 제1-1 씰링부재(131b)는, 몸체 측벽부(120b)의 길이 방향 말단(뚜껑부(200b)가 체결되는 측 말단)에 형성될 수 있고, 절삭 형성되어 상기 제2 씰링부(230b)의 적어도 일부의 삽입을 안내하는 노치부(1310b)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노치부(1310b)는 제2 씰링부(230b)의 삽입을 유도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테이퍼면(1311b)을 포함할 수 있다. 테이퍼면(1311b)은 상술한 테이퍼면(1311a)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혼합 음료 용기(10a)의 제1 씰링부(130b) 및 제2 씰링부(230b)의 변형예 및 다른 변형예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혼합 음료 용기(10b)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씰링부(130b)가 몸체 측벽부(120b)의 외주면 상에 형성되고, 제2 씰링부(230b)가 뚜껑 측벽부(220b)의 내주면 상에 형성되는 점에서 차이가 있을 뿐, 각각의 세부 구조 및 체결 구조는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혼합 음료 용기(10a)의 제1 씰링부(130a) 및 제2 씰링부(130b)에 대한 변형예 및 다른 변형예와 동일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혼합 음료 용기(10b)의 제조 과정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혼합 음료 용기(10b)의 제조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먼저, 원판형의 바닥 플레이트(110a), 및 상기 바닥 플레이트(110a)의 외주연으로부터 상기 몸체부(100a)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 몸체 측벽부(120a)를 포함하는 제1 몸체부재(141)가 형성되고, 제1 부재를 원통형으로 말아 제2 몸체부재(142)가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제1 몸체부재(141) 및 제2 몸체부재(142)가 상호 결합되어, 몸체부(100a)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원판형의 커버 플레이트(210a), 및 커버 플레이트(210a)의 외주연으로부터 커버 플레이트(210a)에 수직한 방향 일측으로 연장 형성된 뚜껑 측벽부(220a)를 포함하는 제1 뚜껑부재(241)가 형성되고, 제2 부재를 원통형으로 말아 제2 뚜껑부재(242)가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제1 뚜껑부재(241) 및 제2 뚜껑부재(242)가 상호 결합되어, 뚜껑부(200a)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제1 몸체부재(141) 및 제2 몸체부재(142)가 상호 결합됨에 따라, 몸체부(100a)의 반경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제1 씰링부(130a)가 형성될 수 있고, 제1 뚜껑부재(241) 및 제2 뚜껑부재(242)가 상호 결합됨에 따라, 뚜껑부(200a)의 반경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제2 씰링부(230a)가 형성될 수 있다. 몸체부(100a) 및 뚜껑부(200a)가 체결되는 경우, 제1 씰링부(130a) 및 제2 씰링부(230a)는 상호 접촉되어 몸체부(100a)를 밀폐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제1 몸체부재(141)는 링 형상의 제1-1 씰링부재(131a)를 포함할 수 있고, 제2 몸체부재(142)는 링 형상의 제1-2 씰링부재(132a)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제1 몸체부재(141) 및 제2 몸체부재(142)가 결합됨에 따라, 몸체부(100a)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 배치된 상기 제1-1 씰링부재(131a) 및 제1-2 씰링부재(132a)로 구성된 제1 씰링부(130a)가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제2 뚜껑부재(242)는 링 형상의 제2-1 씰링부재(231a)를 포함할 수 있고, 제1 뚜껑부재(241)는 링 형상의 제2-2 씰링부재(232a)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제1 뚜껑부재(241) 및 제2 뚜껑부재(242)가 결합됨에 따라, 몸체부(100a)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 배치된 제2-1 씰링부재(231a) 및 제2-2 씰링부재(232a)로 구성된 제2 씰링부(230a)가 형성될 수 있다.
이 ‹š, 몸체부(100a) 및 상기 뚜껑부(200a)가 회전 조작되어 체결되는 경우, 제2-1 씰링부재(231a)는, 제1-1 씰링부재(131a) 및 제1-2 씰링부재(132a) 사이의 간극으로 이동되어 삽입될 수 있다.
한편, 제1 부재를 원통형으로 말아 제2 몸체부재(142)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부재는 평면의 종이로 형성될 수 있고, 평면의 제1 부재가 원주를 형성하도록 원통형으로 롤링(rolling)됨으로써 제2 몸체부재(142)가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평면의 상호 반대측에 위치되는 제1 부재의 일단 및 제1 부재의 타단은, 제2 몸체부재(142)의 형성시 상호 접촉 위치되어 결합될 수 있고, 이로써 원통형의 제2 몸체부재(142)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부재를 말아 제2 뭄체부재가 형성되는 과정에서, 제2 몸체부재(142)는, 원주 방향에 수직한 길이 방향을 따라 단차지도록 경사지게 롤링될 수 있다. 이 경우, 상술한 제1 부재의 일단 및 제1 부재의 타단이, 제2 몸체부재(142)의 형성시 지면에 대해 상호 다른 높이에 위치되도록 단차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술한 제2 몸체부재(142)의 길이 방향 말단에 위치되는 제1-2 씰링부재(132a) 역시 원주 방향을 따라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고, 몸체부(100a)가 지면에 안착되었을 때, 제1-2 씰링부재(132a)는 원주 방향을 따라 이동될수록 지면에 대해 상이한 높이를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제2 부재 역시, 상술한 제1 부재와 동일한 방법에 의해 가공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제2 뚜껑부재(242)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세부 내용은 제1 부재에 대한 설명과 동일한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술한 제1-2 씰링부재(132a)는, 제1 부재의 말단부가 반경 방향으로 롤링(rolling)되어 형성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제1 부재의 말단부가, 원주 방향 전체에서 반경 방향 내측으로 만곡됨에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1 씰링부재(231a)는, 제2 부재의 말단부가 반경 방향으로 롤링(rolling)되어 형성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제2 부재의 말단부가, 원주 방향 전체에서 반경 방향 외측으로 만곡됨에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위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혼합 음료 용기(10b)는, 제1 몸체부재(141), 제2 몸체부재(142), 제1 뚜껑부재(241) 및 제2 뚜껑부재(242) 모두를 롤링 공정으로 형성할 수 있고, 복잡하고 다양한 제조 공정의 구비를 필요로 하지 않은바, 제조 시간 및 비용을 단축시킬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혼합 음료 용기(10b) 역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혼합 음료 용기(10a)의 제조 과정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이 때, 제1 씰링부(130a) 및 제2 씰링부(230a)의 돌출 방향 및 위치, 그리고, 몸체부(100a) 및 뚜껑부(200a) 각각의 세부 형상만이 일부 상이할 뿐, 세부적인 제조 공법 및 순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혼합 음료 용기(10a)의 제조 과정과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변형예 및 다른 변형예에 따른 제1 실링부 및 제2 실링부를 포함하는 혼합 음료 용기(10a) 역시, 상술한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a, 10b: 혼합 음료 용기
100a, 100b: 몸체부
110a, 110b: 바닥 플레이트
120a, 120b: 몸체 측벽부
130a, 130b: 제1 씰링부
131a, 131b, 131a': 제1-1 씰링부재
1310a, 1310b: 노치부
1311a, 1311b: 테이퍼면
1312a': 제1-1 연장부
1313a': 제1-1 걸림부
132a, 132b, 132a': 제1-2 씰링부재
1322a': 제1-2 연장부
1323a': 제1-2 걸림부
141: 제1 몸체부재
142: 제2 몸체부재
200a, 200b: 뚜껑부
210a, 210b: 커버 플레이트
220a, 220b: 뚜껑 측벽부
230a, 230b: 제2 씰링부
231a, 231b, 231a': 제2-1 씰링부재
2312a': 제2-1 연장부
2313a': 제2-1 걸림부
232a, 232b, 232a': 제2-2 씰링부재
2322a': 제2-2 연장부
2323a': 제2-2 걸림부
241: 제1 뚜껑부재
242: 제2 뚜껑부재

Claims (5)

  1. 내용물을 수용 가능하고 상하 방향으로 소정의 높이를 형성하고, 상측이 개구된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개구된 상측에 조립되어 상기 몸체부의 상측을 폐쇄하는 뚜껑부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 및 뚜껑부는 종이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몸체부는,
    원판형의 바닥 플레이트; 상기 바닥 플레이트의 외측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 형성된 몸체 측벽부; 및 상기 몸체 측벽부에서 돌출 형성된 제1 씰링부;를 포함하고,
    상기 뚜껑부는,
    원판형의 커버 플레이트; 상기 커버 플레이트의 외측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 형성된 뚜껑 측벽부; 및 상기 뚜껑 측벽부에서 돌출 형성된 제2 씰링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씰링부는 상기 몸체 측벽부의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형성되고, 양단이 분리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2 씰링부는 상기 뚜껑 측벽부의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형성되고, 양단이 분리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1 씰링부의 양단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제2 씰링부의 양단 중 어느 하나의 삽입을 유도하는 노치부가 형성되고,
    상기 노치부는 상기 제1 씰링부의 하측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테이퍼면이 배치된 혼합 음료 용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씰링부는,
    양단이 분리된 링 형상의 제1-1 씰링부재; 및
    상기 제1-1 씰링부재로부터 하측으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양단이 분리된 링 형상의 제1-2 씰링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 및 상기 뚜껑부가 조립되는 경우, 상기 제2 씰링부의 양단 중 어느 하나는 상기 노치부의 테이퍼면을 통과하여 상기 제1-1 씰링부재 및 상기 제1-2 씰링부재 사이의 간극으로 삽입되는 혼합 음료 용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2 씰링부재는 상기 몸체 측벽부의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양단 중 일단이 상측에 배치되고, 타단이 상기 일단 보다 하측에 배치된 혼합 음료 용기.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1 씰링부재 및 제1-2 씰링부재는 상기 몸체 측면부의 반경방향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2 실링부는 상기 뚜껑 몸체부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몸체부 및 상기 뚜껑부가 조립되는 경우, 상기 제2 실링부가 상기 몸체 측면부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1 씰링부재 보다 낮고 상기 제1-2 씰링부재보다 높게 배치된 혼합 음료 용기.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1 씰링부재 및 제1-2 씰링부재는 상기 몸체 측면부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2 실링부는 상기 뚜껑 몸체부의 반경방향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몸체부 및 상기 뚜껑부가 조립되는 경우, 상기 제2 실링부가 상기 몸체 측면부의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1 씰링부재 보다 낮고 상기 제1-2 씰링부재보다 높게 배치된 혼합 음료 용기.
KR1020210085442A 2020-07-29 2021-06-30 혼합 음료 용기 KR1024976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5442A KR102497606B1 (ko) 2020-07-29 2021-06-30 혼합 음료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4697A KR102274199B1 (ko) 2020-07-29 2020-07-29 혼합 음료 용기
KR1020210085442A KR102497606B1 (ko) 2020-07-29 2021-06-30 혼합 음료 용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4697A Division KR102274199B1 (ko) 2020-07-29 2020-07-29 혼합 음료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4814A true KR20220014814A (ko) 2022-02-07
KR102497606B1 KR102497606B1 (ko) 2023-02-08

Family

ID=7689314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4697A KR102274199B1 (ko) 2020-07-29 2020-07-29 혼합 음료 용기
KR1020210085442A KR102497606B1 (ko) 2020-07-29 2021-06-30 혼합 음료 용기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4697A KR102274199B1 (ko) 2020-07-29 2020-07-29 혼합 음료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274199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8013U (ko) * 1996-07-25 1998-04-30 이창호 식품용기
KR20080097272A (ko) * 2007-05-01 2008-11-05 이규주 이중 입구턱을 구성시킨 항균 이중 종이컵
KR200487413Y1 (ko) * 2017-08-16 2018-09-12 김필규 나선형 결합부가 형성된 테이크아웃 용 일회용 컵
US20180305090A1 (en) * 2017-04-21 2018-10-25 Huhtamäki Oyj Paper lid for a container
KR20190061323A (ko) 2017-11-27 2019-06-05 김태희 일체형 뚜껑을 구비한 접이식 일회용 컵
KR102086068B1 (ko) * 2019-11-28 2020-03-06 황상우 내측으로 형성된 컬링부를 포함하는 종이컵 및 뚜껑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8013U (ko) * 1996-07-25 1998-04-30 이창호 식품용기
KR20080097272A (ko) * 2007-05-01 2008-11-05 이규주 이중 입구턱을 구성시킨 항균 이중 종이컵
US20180305090A1 (en) * 2017-04-21 2018-10-25 Huhtamäki Oyj Paper lid for a container
KR200487413Y1 (ko) * 2017-08-16 2018-09-12 김필규 나선형 결합부가 형성된 테이크아웃 용 일회용 컵
KR20190061323A (ko) 2017-11-27 2019-06-05 김태희 일체형 뚜껑을 구비한 접이식 일회용 컵
KR102086068B1 (ko) * 2019-11-28 2020-03-06 황상우 내측으로 형성된 컬링부를 포함하는 종이컵 및 뚜껑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4199B1 (ko) 2021-07-08
KR102497606B1 (ko) 2023-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26924B2 (en) Drink container lid assembly
KR100907742B1 (ko) 밀폐 및 잠금 기능이 있는 컵과 뚜껑
US8056745B2 (en) Bottle stopper having pushbutton and movable plug
US20060108363A1 (en) Source selecting cap and closure for multiple chamber bottles
JP4049274B2 (ja) 中間蓋を有する多段積層式容器
JP5559794B2 (ja) 容器、特に紙コップのための再密閉可能な蓋
KR100848726B1 (ko) 반복 밀폐가능한 컨테이너 마개
US9181005B2 (en) Container caps and systems
JP2017159957A (ja) 飲料容器及びその関連方法
US20040000565A1 (en) Container for storing and dispensing food items and beverages
WO2005021416A2 (en) Container cap assembly
CA2122553A1 (en) Beverage container with extendable drinking straw
US20120061409A1 (en) Drinking assembly with integral straw
US7021477B2 (en) Child-resistant closure and container package
JP2012206764A (ja) 飲料用容器の栓体
US20120175335A1 (en) Closure System for a Leakproof Baby Feeding Bottle
KR20100099660A (ko) 용기 마개
KR102274199B1 (ko) 혼합 음료 용기
JP2024038362A (ja) 容器キャップ及びそれと結合された容器
US4961515A (en) Closure for a bottle
US7127912B2 (en) Multi-chambered container with collared O-ring
WO2006055508A2 (en) Source selecting cap and closure for multiple chamber bottles
GB2460933A (en) Fluid container having two compartments
KR200457587Y1 (ko) 스트로우 투입구의 개폐가 가능한 병뚜껑
US6889876B2 (en) Center dispenser cap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