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27833A - 내용물 저장공간을 갖고 있는 배출대 - Google Patents

내용물 저장공간을 갖고 있는 배출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27833A
KR20040027833A KR1020040016675A KR20040016675A KR20040027833A KR 20040027833 A KR20040027833 A KR 20040027833A KR 1020040016675 A KR1020040016675 A KR 1020040016675A KR 20040016675 A KR20040016675 A KR 20040016675A KR 20040027833 A KR20040027833 A KR 200400278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
contents
discharge
discharge device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66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민
이성재
Original Assignee
이정민
이성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민, 이성재 filed Critical 이정민
Priority to KR10200400166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27833A/ko
Publication of KR200400278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7833A/ko
Priority to PCT/KR2005/000416 priority patent/WO2005079169A2/en
Priority to JP2006554021A priority patent/JP4839227B2/ja
Priority to EP05721855A priority patent/EP1720774B1/en
Priority to DE602005024926T priority patent/DE602005024926D1/de
Priority to US10/592,025 priority patent/US7828140B2/en
Priority to AT05721855T priority patent/ATE489303T1/de
Priority to US12/902,604 priority patent/US20110083977A1/en
Priority to US13/863,922 priority patent/US20130264229A1/en
Priority to US14/503,954 priority patent/US20150041344A1/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12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removable closures
    • B65D47/1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removable closures and closure-retaining means
    • B65D47/147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removable closures and closure-retaining means for snap-on c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8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 B65D51/2807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 B65D51/2857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the additional article or materials being released by displacing or removing an element enclosing it
    • B65D51/286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the additional article or materials being released by displacing or removing an element enclosing it the element being a plug or like element closing a passage between the auxiliary container and the main contain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1)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내용물 저장공간을 갖고 있는 배출대
(2) 발명의 목적
종래의 기술은 뚜껑(배출대)의 상하작동에 의해 이종물질이 혼합되도록 하였으나, 본 발명에서는 작동부의 터치만으로도 용이하게 이행되도록 한 것이다.
(3) 발명의 구성
용기의 조립되는 본체와 그 본체에는 내용물을 담는 공간이 있는 고정부를 형성하고, 상기한 공간에 든 내용물을 개방하는 용도의 작동부를 상기 공간이 있는 고정부를 중심으로 결합 시킨 것이다.
(4)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의 배출대를 압압하게 되면 내용물이 든 공간이 열려 용기 내부로 혼합되고, 또한 공간과 일체된 배출관을 통하여는 내용물을 배출 시킬 수 있는 큰 특징이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내용물 저장공간을 갖고 있는 배출대{omitted}
본 발명은 내용물 저장공간을 갖고 있는 배출대에 관한 것이며, 종래의 선행으로는 일본실용신안출원공고 소 50-18847호가 있다.
상기 일본 실공고 소 50-18847호는 뚜껑이 열리는 과정에 구멍이 열리고 그 구멍을 경유 내용물이 낙하되도록 구성하였으나, 그 구조상 내용물의 낙하성이 저하됨은 물론, 뚜껑을 용기에 조립하고 분해하는 것이 난이한 폐단이 있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그 사용 시 작동부의 터치만으로도 내용물이 낙하되고, 또한 그 작동부와 동일연장선상에 있는 배출관을 경유하여 용기에 희석된 내용물이 배출될 수 있도록 하여 상기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 것이다.
도1∼도4는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를 보인 것으로서,
도1은 배출대의 덮개를 열어보인 상태이고,
도2는 배출대가 조립된 상태를 보인 것이며,
도3은 배출대의 사용상태를 보인 것이며,
도4는 배출대를 사용한 후 재밀폐를 한 상태이다.
도5,도6은 다른 실시예를 보인 것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배출대 10: 본체
11: 고정부 12: 공간
13: 배출관 14: 밀폐면
20: 작동부 30: 덮개
100: 용기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에 의거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배출대(1)는 합성수지 용기나 파우치 용기 또는 종이팩 등등에 결합되거나 일체로 성형되는 것이며, 결합방식 또한 스크류 방식, 원터치 방식 또는 접착방식 등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일예로, 배출대(1)는 다양한 용기에 적용 결합되도록 본체(10)와 공간(12)을 갖고 있는 본체(10)의 고정부(11)에, 그 고정부(11)의 공간(12)저부를 개폐하는 용도의 작동부(20)를 일정 크기로 조립 시킨 것이다.
그리고, 공간(12)에는 내용물을 넣고(12)의 일부와 연통 된 배출관(13)을 형성하되, 상기한 배출관(13)은 별도의 것에 밀폐되거나 또는 덮개(30)에 의해 개폐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2 와 같은 배출대(1)가 용기(100)에 조립되고, 사용시는 덮개(30)를 벗긴 후, 작동부(20)를 압압하게 되면 고정부(11)의 공간(12)저부가 열리고, 이와 동시 공간(12)에는 내용물이 용기(100)내부로 낙하 혼합되게 되는데, 그 상태를 보인 것이 도3과 같은 것이다. 그리고 용기(100)내의 내용물을 배출시키고자 할 때는 용기(100)를 일측으로 기울이게 되면 배출관(13)을 경유 내용물이 배출되는 것이다.
또한, 용기(100)내의 내용물을 재보관 하고자 할 때는 덮개(30)를 닫으면 완벽하게 재밀폐가 되는 것이다.
다른 실 예로서(도5,도6) 공간(12)이 있는 고정부(12)의 저부를 개봉하는 방법으로 공간(12)의 저부를 연결부가 있는 밀폐면(14) 또는 알루미늄 박판 등으로 밀폐면(14)을 형성하고, 사용시는 작동부(20)를 누르게 되면 밀폐면(14)이 파괴 또는 열리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작동부를 압압하게 되면 내용물이 든 공간이 열려 용기 내부로 혼합되고, 또한 공간과 일체된 배출관을 통하여는 내용물을 배출시킬 수 있는 큰 특징이 있는 것이다.

Claims (3)

  1. 배출대는 용기에 결합 되도록(접착 등) 본체가 구성되고, 상기한 본체에는 내용물을 담는 공간이 있는 고정부가 형성되며, 상기한 공간의 재부를 밀폐시키고 사용시는 압압하여 개봉 시킬 수 있는 형태의 작동부를 상기 공간이 있는 고정부를 중심으로 조립 시키며, 상기한 작동부를 압압하면 공간에 든 내용물이 낙하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내용물 저장공간을 갖고 있는 배출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이 있는 고정부의 일측방에는 공간과 연통 된 배출관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 내용물 저장공간을 갖고 있는 배출대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관은 덮개에 의해서 개폐 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 내용물 저장공간을 갖고 있는 배출대
KR1020040016675A 2004-02-19 2004-03-08 내용물 저장공간을 갖고 있는 배출대 KR20040027833A (ko)

Priority Applications (10)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6675A KR20040027833A (ko) 2004-03-08 2004-03-08 내용물 저장공간을 갖고 있는 배출대
PCT/KR2005/000416 WO2005079169A2 (en) 2004-02-19 2005-02-16 Structure of cap having storage space
JP2006554021A JP4839227B2 (ja) 2004-02-19 2005-02-16 貯蔵空間を有するパウチ容器用キャップ
EP05721855A EP1720774B1 (en) 2004-02-19 2005-02-16 Structure of cap having storage space
DE602005024926T DE602005024926D1 (de) 2004-02-19 2005-02-16 Kappenstruktur mit lagerraum
US10/592,025 US7828140B2 (en) 2004-02-19 2005-02-16 Structure of cap having storage space
AT05721855T ATE489303T1 (de) 2004-02-19 2005-02-16 Kappenstruktur mit lagerraum
US12/902,604 US20110083977A1 (en) 2004-02-19 2010-10-12 Structure of cap having storage space
US13/863,922 US20130264229A1 (en) 2004-02-19 2013-04-16 Structure of cap having a storage space
US14/503,954 US20150041344A1 (en) 2004-02-19 2014-10-01 Structure of Cap Having Storage Spa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6675A KR20040027833A (ko) 2004-03-08 2004-03-08 내용물 저장공간을 갖고 있는 배출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7833A true KR20040027833A (ko) 2004-04-01

Family

ID=373301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6675A KR20040027833A (ko) 2004-02-19 2004-03-08 내용물 저장공간을 갖고 있는 배출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2783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9786B1 (ko) * 2007-11-06 2009-12-07 김양수 분할된 수용부를 갖는 용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9786B1 (ko) * 2007-11-06 2009-12-07 김양수 분할된 수용부를 갖는 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1290668A1 (en) Multi-compartment container and dispensing device
MX2008013335A (es) Cierre.
MXPA05007255A (es) Distribuidor de mezcla.
KR20120048758A (ko) 본체를 통해 수용부를 개방하도록 된 이종물질 수용장치
KR20040027833A (ko) 내용물 저장공간을 갖고 있는 배출대
ATE367973T1 (de) Behälter zum verpacken von flüssigkeiten, insbesondere getränken
CN113727916B (zh) 具有肩部一体型折叠顶盖的泡罩包装容器
JP3530976B2 (ja) チューブ状容器
KR20100006256A (ko) 동시 개봉구조를 갖는 이중 용기 포장체
KR20070065168A (ko) 이종물질을 수용한 배출장치
KR101161584B1 (ko) 내용물 저장공간을 갖고 있는 배출대
KR20040027834A (ko) 내용물 저장공간을 갖고 있는 배출대
KR20180014112A (ko) 접철형 이종물질 수용장치
US20180327150A1 (en) Reclosable container for dipping and squeezing
KR20070090696A (ko) 압력에 대응하는 이종물질을 수용한 용기
GB2345688A (en) Carton with air pipe
KR20190061323A (ko) 일체형 뚜껑을 구비한 접이식 일회용 컵
KR20040029334A (ko) 내용물 저장공간을 갖고 있는 배출대
KR20130115666A (ko) 배출대가 형성된 이종물질 수용장치
JP2001058673A (ja) 包装容器
KR20070090695A (ko) 압력에 대응하는 이종물질을 수용한 용기
JPH1149255A (ja) カートリッジ式押し出し容器
KR20070090691A (ko) 압력에 대응하는 이종물질을 수용한 용기
KR101070152B1 (ko) 연포장 용기에 사용되는 수용부를 갖는 배출대
KR20070065170A (ko) 이종물질을 수용한 배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91130

Effective date: 20110302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9101010966;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91130

Effective date: 201103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