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61184A - 탈취 데이터 획득 시스템 - Google Patents

탈취 데이터 획득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61184A
KR20190061184A KR1020170159278A KR20170159278A KR20190061184A KR 20190061184 A KR20190061184 A KR 20190061184A KR 1020170159278 A KR1020170159278 A KR 1020170159278A KR 20170159278 A KR20170159278 A KR 20170159278A KR 20190061184 A KR20190061184 A KR 201900611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lodor
odor
concentration
deodorization
preven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92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98601B1 (ko
Inventor
한진석
장현섭
이종민
Original Assignee
안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양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안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1592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8601B1/ko
Publication of KR201900611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11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86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86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including air-liquid contact processes
    • A61L9/14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including air-liquid contact processes air-liquid contact processes, e.g. scrubb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1Apparatus for controlling air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1Apparatus for controlling air treatment
    • A61L2209/111Sensor means, e.g. motion, brightness, scent, contaminant sensor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ublic Health (AREA)
  • Marketing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pidemiology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reating Waste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악취방지설비에서 탈취 처리시에 발생하는 탈취 처리 관련 데이터를 획득하는 탈취 데이터 획득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탈취 데이터 획득 시스템은, 환경기초시설의 악취배출공정에 설치되어 악취배출공정에서 발생되는 악취농도를 검출하는 제1 악취농도센서와; 상기 악취배출공정으로부터 악취방지설비에 유입되는 악취가스 유입 경로에 설치되어, 악취방지설비에 유입되는 악취가스 유량을 검출하는 악취가스유량센서와; 상기 악취배출공정으로부터 악취방지설비에 유입되는 악취가스 유입 경로에 설치되어, 악취방지설비에 유입되는 악취가스의 악취농도를 검출하는 제2 악취농도센서와; 상기 악취방지설비의 공기 배출구에 설치되어, 악취방지설비로부터 악취 제거되어 배출되는 공기의 악취농도를 검출하는 제3 악취농도센서와; 상기 제1 내지 제3 악취농도센서에 의해 검출되는 악취농도와 상기 악취가스유량센서에 의해 검출되는 악취가스 유량을 수집하여 서버에 인가하는 미들웨어와; 상기 악취방지설비에 대한 약품 및 순환수 투입량을 조절하여서 악취방지설비에 의해 악취를 제거하는 처리를 진행하는 중에, 약품 및 순환수 투입량 제어를 위해 제어기에 인가하는 제어명령과, 상기 미들웨어를 통해 인가되는 악취농도 및 악취가스 유량을, 탈취 처리 관련 데이터로서 수집 저장하는 서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환경기초시설에 구비되어 악취를 제거하기 위한 악취방지설비에서 탈취 처리를 진행하는 경우에 생성되는 탈취 처리 관련 데이터를 획득하여 누적함으로써 차후에 해당 탈취 처리 관련 데이터에 의거하여 악취방지설비에 대한 최적의 운영 알고리즘을 유추하여 구현 가능하게 한다.

Description

탈취 데이터 획득 시스템{Deodorization Data Acquisition System}
본 발명은 환경기초시설에 구비되어 악취를 제거하기 위한 악취방지설비에서 탈취 처리를 진행하는 경우에 생성되는 탈취 처리 관련 데이터를 획득하여 누적함으로써 차후에 해당 탈취 처리 관련 데이터에 의거하여 악취방지설비에 대한 최적의 운영 알고리즘을 구현 가능하게 하는 탈취 데이터 획득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공하수처리장, 축산분뇨처리장 및 음식폐기물처리장을 포함하는 환경기초시설에서는 관련 폐기물을 처리하는 과정에서 악취를 생성하는데, 공공하수처리장의 경우에는 슬러지 농축조, 저류조, 소화조 및 슬러지 건조시설 등과 같은 악취배출공정에서 악취를 발생하고 있고, 축산분뇨처리장의 경우에는 저류조, 고액분리, 소화조, 부숙화시설 등과 같은 악취배출공정에서 악취를 발생하고 있으며, 음식폐기물처리장의 경우에는 음식 폐기물 반입 및 저장조, 소화조, 부숙화시설, 건조시설 등과 같은 악취배출공정에서 악취를 발생하고 있다. 이와 같은 악취는 황화합물(황화수소 등), 암모니아, 알데히드류, 지방산류 등과 같은 악취물질에 기인하여 발생한다.
이처럼 환경기초시설에서 다량의 악취를 발생함에 기인하여 시민들의 악취 관련 민원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에 있다.시민들의 악취 관련 민원을 해결하여 시민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환경기초시설에 악취방지설비를 구비하여 악취를 능동적으로 제거할 필요성이 있다.
종래에는 악취방지설비에 의해 탈취하는 경우에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행하였다. 기초환경시설의 악취배출공정(10)에서 발생되는 악취가스를 악취방지설비(20)에 유입시켜 악취방지설비(20)에서 악취가스의 악취를 제거하고서 악취 제거된 공기를 대기에 방출한다. 악취방지설비(20)에서 악취가스의 악취를 제거하는 경우, 약품탱크(40)에 저장되어 있는 악취제거용 약품을 배관(P15)을 통해 악취방지설비(20)에 투입함과 아울러 저수조(30)에 저장된 순환수를 펌프(35)에 의해 가압하여 배관(P11)을 통해 악취방지설비(20)에 투입함으로써, 악취방지설비(20)에서 악취배출공정(10)으로부터 유입된 악취가스의 악취를 제거한다.
종래에는 이와 같이 악취방지설비(20)를 가동하여 악취를 제거하는 경우에 설비 운영자가 경험에 의하여 악취방지설비(20)에 약품과 순환수를 투입하여서 악취방지설비(20)에 의해 악취를 제거하였으므로, 악취배출공정(10)으로부터 유입되는 악취가스의 농도 및 유량에 관계없이 약품과 순환수를 과다 투입함에 기인하여, 약품 사용비용이 증가하고 순환수 과다 투입으로 인한 펌프(35)의 과잉 구동에 기인하여 전력소비가 증가하여서, 경제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악취방지설비(20)에 약품과 순환수의 투입을 제어하여 악취방지설비(20)의 탈취 처리를 제어하고자 하는 경우, 악취방지설비(20)를 최적으로 운영하기 위한 방안이 미비되어 있음에 기인하여 악취방지설비(20)를 경제성있게 운영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환경기초시설에 구비되어 악취를 제거하기 위한 악취방지설비에서 탈취 처리를 진행하는 경우에 생성되는 탈취 처리 관련 데이터를 획득하여 누적함으로써 차후에 해당 탈취 처리 관련 데이터에 의거하여 악취방지설비에 대한 최적의 운영 알고리즘을 구현 가능하게 하는 탈취 데이터 획득 시스템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환경기초시설의 악취배출공정에 설치되어 악취배출공정에서 발생되는 악취농도를 검출하는 제1 악취농도센서와; 상기 악취배출공정으로부터 악취방지설비에 유입되는 악취가스 유입 경로에 설치되어, 악취방지설비에 유입되는 악취가스 유량을 검출하는 악취가스유량센서와; 상기 악취배출공정으로부터 악취방지설비에 유입되는 악취가스 유입 경로에 설치되어, 악취방지설비에 유입되는 악취가스의 악취농도를 검출하는 제2 악취농도센서와; 상기 악취방지설비의 공기 배출구에 설치되어, 악취방지설비로부터 악취 제거되어 배출되는 공기의 악취농도를 검출하는 제3 악취농도센서와; 상기 제1 내지 제3 악취농도센서에 의해 검출되는 악취농도와 상기 악취가스유량센서에 의해 검출되는 악취가스 유량을 수집하여 서버에 인가하는 미들웨어와; 상기 악취방지설비에 대한 약품 및 순환수 투입량을 조절하여서 악취방지설비에 의해 악취를 제거하는 처리를 진행하는 중에, 약품 및 순환수 투입량 제어를 위해 제어기에 인가하는 제어명령과, 상기 미들웨어를 통해 인가되는 악취농도 및 악취가스 유량을, 탈취 처리 관련 데이터로서 수집 저장하는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취 데이터 획득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서버는 설정 시간 주기로 상기 탈취 처리 관련 데이터를 분석하여 악취방지설비의 배출 악취농도가 설정 농도 이하인 탈취 처리 관련 데이터를 분류 저장함으로써, 차후에 해당 분류 저장된 탈취 처리 관련 데이터를 이용하여 악취방지설비의 운영 알고리즘을 유추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서버는 악취방지설비에 유입되는 악취가스에 대응하여 설정치 이하로 악취를 저감시킬 수 있게 약품투입량과 순환수 투입량을 제어하는 제어명령을 상기 탈취 처리 관련 제이터로부터 파악하여 악취방지설비의 운영 알고리즘에 적용케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환경기초시설에 구비되어 악취를 제거하기 위한 악취방지설비에서 탈취 처리를 진행하는 경우에 생성되는 탈취 처리 관련 데이터를 획득하여 누적함으로써 차후에 해당 탈취 처리 관련 데이터에 의거하여 악취방지설비에 대한 최적의 운영 알고리즘을 구현 가능하게 한다.
도 1은 종래 환경기초시설에서 악취방지설비의 운영을 설명하기 위하여 예시한 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탈취 데이터 획득 시스템을 예시한 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탈취 데이터 획득 시스템에서의 탈취 데이터 획득 과정을 예시한 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또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는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히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 및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표현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 이를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존재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되, 이미 주어진 기술적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생략하거나 압축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탈취 데이터 획득 시스템은,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악취농도센서(S110), 악취가스유량센서(S120), 악취농도센서(S130), 악취농도센서(S140), 제어기(150), 서버(160) 및 미들웨어(16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악취농도센서(S110)는 환경기초시설의 악취배출공정(110)에 설치되어 악취배출공정(110)에서 발생되는 악취농도를 검출하여 미들웨어(165)에 인가한다. 악취가스유량센서(S120)는 악취배출공정(110)으로부터 악취방지설비(120)에 유입되는 악취가스 유입 경로에 설치되어, 악취방지설비(120)에 유입되는 악취가스 유량을 검출하여 미들웨어(165)에 인가한다. 악취농도센서(S130)는 악취배출공정(110)으로부터 악취방지설비(120)에 유입되는 악취가스 유입 경로에 설치되어, 악취방지설비(120)에 유입되는 악취가스의 악취농도를 검출하여 미들웨어(165)에 인가한다.
악취배출공정(110)으로부터 악취방지설비(120)에 유입된 악취가스는 악취방지설비(120)에서 악취 제거(탈취)되어서 탈취된 공기가 악취방지설비(120)로부터 배출되어서 대기에 배출된다.
악취방지설비(120)는 악취배출공정(110)으로부터 유입되는 악취가스에 포함된 악취를 제거하되, 약품탱크(140)로부터의 악취제거용 약품을 배관(P115)을 통해 투입받음과 아울러 저수조(130)로부터의 순환수를 배관(P111)을 통해 투입받아서 해당 악취가스의 악취를 제거한다. 이때, 서버(160)는 제어기(150)에 제어명령을 인가하여서 제어기(150)에 의해 약품펌프(145)와 순환수펌프(135)를 구동 제어함으로써 약품펌프(145)에 의해 약품 투입량을 조절함과 아울러 순환수펌프(135)에 의해 순환수 투입량을 조절한다.
이처럼 악취방지설비(120)로의 약품 및 순환수 투입량을 조절하여서 악취방지설비(120)에 의해 악취를 제거하는 처리를 진행하는 중에, 서버(160)는 제어기(150)에 인가되는 제어명령을 자체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또한, 악취농도센서(S140)는 악취방지설비(120)의 공기 배출구에 설치되어, 악취방지설비(120)로부터 악취 제거되어 배출되는 공기의 악취농도를 검출하여 미들웨어(165)에 인가한다.
미들웨어(165)는 악취농도센서(S110), 악취농도센서(S130) 및 악취농도센서(S140)로부터 인가되는 악취농도와 악취가스유량센서(S120)로부터 인가되는 악취가스 유량을 수집하여 서버(160)에 인가함으로써 서버(160)에 의해 해당 악취농도 및 악취가스 유량 데이터를 서버(160)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케 한다.
서버(160)는 악취방지설비(120)에 의해 악취 제거하는 처리를 진행하는 중에, 악취농도센서(S110), 악취농도센서(S130) 및 악취농도센서(S140)에 의해 검출된 악취농도와 악취가스유량센서(S120)에 의해 검출된 악취가스 유량을 수집함과 아울러 제어기(150)에 인가한 제어명령을 수집한다.
서버(160)는 악취농도센서(S110)에 의해 검출된 악취농도에 의거하여 악취배출공정(110)에서 발생된 악취농도를 파악하고, 악취가스유량센서(S120)에 의해 검출된 악취가스 유량에 의거하여 악취방지설비(120)에 유입되는 악취가스 유량을 파악하고, 악취농도센서(S130)에 의해 검출된 악취농도에 의거하여 악취방지설비(120)에 유입되는 악취농도를 파악하고, 제어기(150)에 인가한 제어명령에 의거하여 악취방지설비(120)에 투입된 약품량과 순환수 유량을 파악하고, 악취농도센서(S140)에 의해 검출된 악취농도에 의거하여 악취방지설치(120)로부터 배출되는 공기의 악취농도를 파악할 수 있다.
서버(160)는 악취농도센서(S140)에 의해 검출된 악취방지설비(120)로부터 배출되는 공기의 악취농도에 의거하여, 악취방지설비(120)에서 규정된 배출 악취농도 이하로 악취 제거하여 배출하는지의 여부를 파악할 수 있는데, 악취농도센서(S140)에 의해 검출된 배출 악취농도가 설정 농도 이하인지의 여부를 확인함으로써 규정된 배출 악취농도 이하로 악취 제거하였는지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서버(160)는 악취방지설비(120)의 유입 및 배출 악취농도에 대응하여 제어기(150)에 인가한 제어명령에 의거하여서, 해당 악취방지설비(120)에 대한 약품 투입량과 순환수 투입량을 파악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서버(160)는 악취방지설비(120)에 유입되는 악취에 대응하여 악취방지설비(120)에 투입한 약품량과 순환수량을 파악함과 아울러 그에 대응한 악취방지설비(120)의 배출 악취농도를 함께 파악할 수 있으므로, 악취방지설비(120)에 의해 악취 제거 처리하는 중에 수집한 탈취 처리 관련 데이터에 의거하여 악취방지설비(120)를 최적으로 제어하는 운영 알고리즘을 유추할 수 있다.
즉, 서버(160)는 악취방지설비(120)에 의한 탈취 처리중에 수집된 탈취 처리 관련 데이터에 의거하여, 악취방지설비(120)에 유입되는 어떠한 악취가스에서 악취방지설비(120)에 얼마 만큼의 약품과 순환수를 투입하면 악취방지설비(120)가 설정 농도이하의 악취를 배출하는지를 파악할 수 있으므로, 수집된 탈취 처리 관련 데이터를 이용하여 악취방지설비(120)를 최적으로 운영하는 알고리즘을 마련할 수 있다.
이처럼 악취방지설비(120)의 최적 운영 알고리즘을 마련함에 이용하기 위하여, 서버(160)는 악취방지설비(120)에 의해 탈취 처리를 진행하는 중에 발생되는 탈취 처리 관련 데이터를 미들웨어(165)를 통해 수집하여 저장하고, 설정 시간 주기로 해당 탈취 처리 관련 데이터를 분석하여 악취방지설비(120)의 배출 악취농도가 설정 농도 이하인 탈취 처리 관련 데이터를 분류 저장함으로써 차후에 해당 분류 저장된 탈취 처리 관련 데이터를 이용하여 악취방지설비(120)의 최적 운영 알고리즘을 유추할 수 있게 한다.
서버(160)에 저장되는 탈취 처리 관련 데이터는 악취농도센서(S110)에 의해 획득되는 악취배출공정(110)에서 발생된 악취농도, 악취가스유량센서(S120)에 의해 획득되는 악취방지설비(120)에 유입되는 악취가스 유량, 악취농도센서(S130)에 의해 획득되는 악취방지설비(120)에 유입되는 악취농도, 악취농도센서(S140)에 의해 획득되는 익취방지설비(120)로부터 배출되는 악취농도, 제어기(150)에 인가한 악취방지설비(120)에 대한 약품투입 및 순환수 투입을 위한 제어명령을 포함한다.
서버(160)는 악취농도센서(S110), 악취가스유량센서(S120), 악취농도센서(S130) 및 악취농도센서(S140)에 의해 획득되는 악취농도 및 악취가스 유량 데이터는 미들웨어(165)를 통해 수집하여 자체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자신이 제어기(150)에 인가한 제어명령을 자체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서버(160)는 악취방지설비(120)의 운영중에 발생되는 탈취 처리 관련 데이터를 수집하여 저장하고, 설정 시간 주기로 해당 탈취 처리 관련 데이터를 분석하여 악취방지설비(120)의 배출 악취농도가 설정치 이하인 탈취 처리 관련 데이터를 분류 저장함으로써 차후에 해당 분류 저장된 탈취 처리 관련 데이터를 이용하여 악취방지설비(120)의 최적 운영 알고리즘을 유추할 수 있게 한다. 즉, 서버(160)는 탈취 처리 관련 데이터를 수집하여 저장하고, 설정 시간 주기로 배출 악취농도가 설정치 이하인 탈취 관련 데이터를 분류 저장함으로써, 차후에 악취방지설비(120)에 유입되는 악취가스에 대응하여 설정치 이하로 악취를 저감시킬 수 있게 약품투입량과 순환수 투입량을 제어하는 제어명령을 탈취 처리 관련 제이터로부터 파악하고, 해당 제어명령으로 악취방지설비(120)에 약품과 순환수를 투입하도록 제어하여 악취방지설비(120)를 최적으로 운영케 하는 운영 알고리즘을 유추할 수 있게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기능을 구비하는 본 발명에 따른 탈취 데이터 획득 시스템은 악취방지설비(120)의 운영중에 발생하는 탈취 처리 관련 데이터를 획득하는 경우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작용한다.
서버(160)는 악취방지설비(120)의 운영중에 발생되는 탈취 처리 관련 데이터를 수집하여 저장한다(S100).
이때, 악취농도센서(S110)는 환경기초시설의 악취배출공정(110)에서 발생되는 악취농도를 검출하여 미들웨어(165)에 인가하고, 악취가스유량센서(S120)는 악취배출공정(110)으로부터 악취방지설비(120)에 유입되는 악취가스 유량을 검출하여 미들웨어(165)에 인가하고, 악취농도센서(S130)는 악취배출공정(110)으로부터 악취방지설비(120)에 유입되는 악취가스의 악취농도를 검출하여 미들웨어(165)에 인가하며, 악취농도센서(S140)는 악취방지설비(120)로부터 배출되는 악취농도를 검출하여 미들웨어(165)에 인가하며, 미들웨어(165)는 악취농도센서(S110),(S130),(S140)로부터 인가되는 악취농도와 악취가스유량센서(S120)로부터 인가되는 악취가스 유량을 수집하여 서버(160)에 인가하여 저장한다. 이와 함께, 서버(160)는 악취방지설비(120)에 대한 약품 및 순환수 투입량 제어를 위해 제어기(150)에 인가한 제어명령을 자체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함으로써, 악취 처리 관련 데이터를 수집하여 저장한다.
그리고, 서버(160)는 설정 시간이 경과되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고(S200), 설정 시간이 경과되었으면 저장된 탈취 처리 관련 데이터를 분석하여서 악취방지설비(120)의 배출 악취농도가 설정치 이하인 탈취 처리 관련 데이터를 분류 저장한다(S300). 이와 같이, 분류 저장된 탈취 처리 관련 데이터는, 차후에 악취방지설비(120)에 유입되는 악취가스에 대응하여 설정치 이하로 악취를 저감시킬 수 있게 약품투입량과 순환수 투입량을 제어하는 최적의 악취방지설비 운영 알고리즘을 구현하는데 적용할 수 있게 된다.
그 후에, 서버(160)는 운영자로부터 구동 종료 명령이 입력되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고(S400), 구동 종료 명령이 입력되지 않았으면 상술한 S100으로 귀환하여 탈취 처리 관련 데이터를 수집하는 처리를 반복 수행하고, 구동 종료 명령이 입력되었으면 구동 종료한다.
또한, 서버(160)는 상술한 S200에서 설정 시간이 경과되지 않았으면 S400으로 진행하여, 구동 종료 명령이 입력되지 않았음을 확인하면 상술한 S100으로 귀환하여 탈취 처리 관련 데이터를 수집하는 처리를 반복 수행하고, 구동 종료 명령이 입력되었으면 구동 종료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환경기초시설에 구비되어 악취를 제거하기 위한 악취방지설비에서 탈취 처리를 진행하는 경우에 생성되는 탈취 처리 관련 데이터를 획득하여 누적함으로써 차후에 해당 탈취 처리 관련 데이터에 의거하여 악취방지설비에 대한 최적의 운영 알고리즘을 유추하여 구현 가능하게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실시예에 의해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기 때문에, 본 발명이 상기의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 및 그 등가개념으로 이해되어져야 할 것이다.
110; 악취배출공정
120; 악취방지설비
130; 저수조
135; 순환수펌프
140; 악품탱크
145; 약품펌프
150; 제어기
160; 서버
165; 미들웨어
S110, S130, S140; 악취농도센서
S120; 악취가스유량센서

Claims (3)

  1. 환경기초시설의 악취배출공정에 설치되어 악취배출공정에서 발생되는 악취농도를 검출하는 제1 악취농도센서와
    상기 악취배출공정으로부터 악취방지설비에 유입되는 악취가스 유입 경로에 설치되어, 악취방지설비에 유입되는 악취가스 유량을 검출하는 악취가스유량센서와;
    상기 악취배출공정으로부터 악취방지설비에 유입되는 악취가스 유입 경로에 설치되어, 악취방지설비에 유입되는 악취가스의 악취농도를 검출하는 제2 악취농도센서와;
    상기 악취방지설비의 공기 배출구에 설치되어, 악취방지설비로부터 악취 제거되어 배출되는 공기의 악취농도를 검출하는 제3 악취농도센서와;
    상기 제1 내지 제3 악취농도센서에 의해 검출되는 악취농도와 상기 악취가스유량센서에 의해 검출되는 악취가스 유량을 수집하여 서버에 인가하는 미들웨어와;
    상기 악취방지설비에 대한 약품 및 순환수 투입량을 조절하여서 악취방지설비에 의해 악취를 제거하는 처리를 진행하는 중에, 약품 및 순환수 투입량 제어를 위해 제어기에 인가하는 제어명령과, 상기 미들웨어를 통해 인가되는 악취농도 및 악취가스 유량을, 탈취 처리 관련 데이터로서 수집 저장하는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취 데이터 획득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설정 시간 주기로 상기 탈취 처리 관련 데이터를 분석하여 악취방지설비의 배출 악취농도가 설정 농도 이하인 탈취 처리 관련 데이터를 분류 저장함으로써, 차후에 해당 분류 저장된 탈취 처리 관련 데이터를 이용하여 악취방지설비의 운영 알고리즘을 유추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취 데이터 획득 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악취방지설비에 유입되는 악취가스에 대응하여 설정치 이하로 악취를 저감시킬 수 있게 약품투입량과 순환수 투입량을 제어하는 제어명령을 상기 탈취 처리 관련 제이터로부터 파악하여 악취방지설비의 운영 알고리즘에 적용케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취 데이터 획득 시스템.
KR1020170159278A 2017-11-27 2017-11-27 탈취 데이터 획득 시스템 KR1020986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9278A KR102098601B1 (ko) 2017-11-27 2017-11-27 탈취 데이터 획득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9278A KR102098601B1 (ko) 2017-11-27 2017-11-27 탈취 데이터 획득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1184A true KR20190061184A (ko) 2019-06-05
KR102098601B1 KR102098601B1 (ko) 2020-04-09

Family

ID=668453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9278A KR102098601B1 (ko) 2017-11-27 2017-11-27 탈취 데이터 획득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860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2796A (ko) * 2019-08-20 2021-03-04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가축 분뇨 공동자원화 시설의 악취 측정 및 탈취 시스템 효율 평가 장치를 이용한 효율평가 및 탈취 시스템의 제어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71540A (ko) * 2004-12-22 2006-06-27 주식회사 포스코 실시간 모니터링을 통한 악취관리 시스템
KR20080101959A (ko) * 2007-05-17 2008-11-24 부경엔지니어링주식회사 탈취 장치
KR100959794B1 (ko) * 2009-12-09 2010-05-28 (주)테크윈시스템 수처리시설 가스 발생지역 내의 악취 및 유해가스 원방 감시제어 장치
KR101066709B1 (ko) * 2009-10-22 2011-09-21 (주)이 에이 텍 고농도 악취기체 또는 공업폐기기체의 처리방법 및 그 장치
KR20110114352A (ko) * 2010-04-13 2011-10-19 (주)에어스텍 원격제어 시스템을 갖춘 탈취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71540A (ko) * 2004-12-22 2006-06-27 주식회사 포스코 실시간 모니터링을 통한 악취관리 시스템
KR20080101959A (ko) * 2007-05-17 2008-11-24 부경엔지니어링주식회사 탈취 장치
KR101066709B1 (ko) * 2009-10-22 2011-09-21 (주)이 에이 텍 고농도 악취기체 또는 공업폐기기체의 처리방법 및 그 장치
KR100959794B1 (ko) * 2009-12-09 2010-05-28 (주)테크윈시스템 수처리시설 가스 발생지역 내의 악취 및 유해가스 원방 감시제어 장치
KR20110114352A (ko) * 2010-04-13 2011-10-19 (주)에어스텍 원격제어 시스템을 갖춘 탈취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2796A (ko) * 2019-08-20 2021-03-04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가축 분뇨 공동자원화 시설의 악취 측정 및 탈취 시스템 효율 평가 장치를 이용한 효율평가 및 탈취 시스템의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8601B1 (ko) 2020-04-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4095B1 (ko) 바이오커튼과 이온수를 이용하여 축사의 악취를 저감하는 방법
KR101133116B1 (ko) 콤팩트형 가축분뇨 악취가스 제거장치
KR20190061184A (ko) 탈취 데이터 획득 시스템
KR101935966B1 (ko) 축사용 악취 저감 장치 및 이 장치를 포함하는 축사용 축산폐수 처리 시스템
KR101303335B1 (ko) 오존과 오존수를 이용한 살균 및 악취 탈취 시설
KR101759466B1 (ko) 음식물 쓰레기 수거장치의 악취제거 시스템
KR102562516B1 (ko) 악취농도에 따라 가변 구동이 가능한 스마트 절전형 복합탈취기 및 그 제어시스템
JP4557851B2 (ja) 嫌気性水処理装置
KR102014708B1 (ko)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
KR102154849B1 (ko) 하수슬러지 처리설비
CN207919728U (zh) 带有除臭装置的一体化预制泵站
JP2003251317A (ja) 生ごみ処理システム
JP6084124B2 (ja) 固定床式生物学的脱窒方法及び装置
CN105413419A (zh) 垃圾填埋场臭气处理装置
KR101247569B1 (ko) 이동식 분뇨, 찌꺼기 및 하수 슬러지 재활용 처리 장치
KR102063555B1 (ko) 슬러리피트 배관 막힘 방지기능을 갖는 돈사 액비 순환 시스템
JPH02115019A (ja) 脱臭装置
JP2001034876A (ja) 臭気の遠隔監視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生物脱臭設備の馴致運転方法並びに生物脱臭設備の設計方法
JP2007301516A (ja) 生物脱臭装置
KR102080090B1 (ko) 하.폐수처리 공정에서의 고농도 악취 제거를 위한 공기접촉식 약액 악취 제거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악취 제거방법
KR20050014327A (ko) 음식물쓰레기 수거함의 악취제거장치 및 방법
JPH11333478A (ja) オゾンによる排水処理方法とその装置
KR200408905Y1 (ko) 탈취장치
CN216336665U (zh) 一种臭水臭气综合治理设备
JP6334959B2 (ja) 生物脱臭装置及び生物脱臭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