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60957A - 땀 조절 황토소립자 인솔신발 제작방법 - Google Patents

땀 조절 황토소립자 인솔신발 제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60957A
KR20190060957A KR1020190054576A KR20190054576A KR20190060957A KR 20190060957 A KR20190060957 A KR 20190060957A KR 1020190054576 A KR1020190054576 A KR 1020190054576A KR 20190054576 A KR20190054576 A KR 20190054576A KR 20190060957 A KR20190060957 A KR 201900609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ole
shoes
cushion
sweat
lo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45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진욱
오세호
김유수
Original Assignee
정진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진욱 filed Critical 정진욱
Priority to KR10201900545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60957A/ko
Publication of KR201900609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095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7/00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 A43B17/003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7/00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 A43B17/10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specially adapted for sweaty feet; waterproof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02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heating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40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 A43B7/141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under the foot
    • A43B7/14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under the foot situated under the heel, i.e. the calcaneus bon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40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 A43B7/141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under the foot
    • A43B7/14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under the foot situated under the toes, i.e. the phalang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40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 A43B7/145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with special properti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40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 A43B7/147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upport
    • A43B7/149Pads, e.g. protruding on the foot-facing surfac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22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fixed flat-foot insertions, metatarsal supports, ankle flaps or the like
    • A43B7/226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fixed flat-foot insertions, metatarsal supports, ankle flaps or the lik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30Protecting the ball-joint against pressure while standing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32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shock-absorb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땀 조절 황토 볼 인솔신발은 그동안 신발을 착용한 후 땀이 배이면 별도의 건조 장치를 사용하여 잠자는 동안 건조되도록 하거나 인솔을 교환하는 등의 방법으로 대응해 온 장거리용이나 등산용에 사용되어 온 신발분야의 문젯거리로 지나온 신발제조업계의 숨은 문제점으로 지나온 신발제조분야에 속한다,
본 발명은 완전한 해결은 아니나 발에 땀이 발생하는 것은 과도한 보행이나 등산으로 발생하는 신체적인 생리현상이지만 신발이 발에 맞지 아니하여 발에서 쉽게 땀이 발생하거나 피로로 인한 현상도 있으므로 발바닥 전체가 골고루 신체 무게를 분산시킨다면 땀의 발생을 어느 정도 줄일 것이라는 가정에서 연구하여 개발한 신발내부의 인솔에 관한 발명품에 대한 것이다,
본 제품이 출시된다면 발바닥에 땀이 발생하는 시간을 늦출 뿐 아니라 장시간 보행은 물론 어느 한도 내에서 좌우 한 벌의 신발 내부의 습기를 줄이면서 장시간 착용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면 장거리보행자나 등산 인들에게 큰 희소식이 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색인어]
종골, 지절간 쿠션, 종입방 쿠션, 덮개부직포, 종입방 관절, 경골, 종골 아치부위, 황토소립자, 지절간관절부,

Description

땀 조절 황토소립자 인솔신발 제작방법 {The made method of the insole shoes to control of damp with some of yellow clay particles}
본 발명의 땀 조절 황토소립자 인솔신발은 밀폐된 신발 안에서 발바닥이 닿는 신발내부 인솔이 발바닥과 일치하지 않을 뿐 아니라 땀으로 젖어 살갗이 물러지면 수포가 형성되고 보행은 어려워져 이러한 발바닥으로 장시간 견딘다는 것은 산악인이나 등산가들에게 고통을 안기는 등의 문제로 인해 발생되는 오랜 숙제이기도 한 신발제작 분야의 신발구조개선을 요구해 온 제작기술에 속한다,
이미 개발된 신발내부의 땀과 냄새를 제거하고자 열선을 배선한 발명과 인솔에 여러 형태를 개발하여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였으나 큰 관심을 갖지 못하고 방치된 상황에서 황토가 흔한 우리나라의 다양한 제품을 개발한 각종분야의 제품을 대비하며 연구한 결과 발바닥에 자극을 주지 않는 크기로 제작된 미세 볼을 골고루 배치하여 발바닥이 닿는 인솔로 제작하고 무지와 계지의 함몰부위와 뒤꿈치 내측으로 형성되는 함몰부위만 쿠션을 갖도록 별도 부위를 부착시켜 발바닥의 형성에 따른 모양으로 제조되는 신발인솔로 제작하여 부착시키는 제작기술 분야이다,
신발과 신발안창, 즉 신발인솔에 관한 개량제품은 다양하고 각종 방법을 동원하여 개발한 제품이 많은데 오랫동안 발바닥의 구조와 발바닥 중앙에 형성되는 족궁을 보호하는 제품까지 개발되었으며 심지어 발바닥에서 발생된 땀을 제거하기 위해 신발을 벗은 후 건조시키는 방법 등 다양하게 개발된 기술을 배경으로 하였다,
신발에 관한 많은 연구로 기능성 및 각종 특징을 지닌 제품은 물론 이에 관한 특허도 많은데 그 중에 발바닥을 신발 바닥이 되는 인솔에 대한 특수인솔을 발바닥 전면에 밀착시키는 신발의 인솔로는 국내 특허출원인 제10-2011-0110655호(2011.10.27.)와 이와 유사한 많은 것이 출원되어 있고 뒤꿈치를 보호하는 신발용 컵 인솔은 국내출원 제10-2006-0071248호(2006.07.29.)와 발바닥의 족궁을 지지하는 기능성 신발로서 국내출원 제10-2015-0020682호(2015.02.11.) 등을 본 발명의 배경기술로 하여 개발하게 되었다,
특히 의학계의 발바닥질환의 원인을 규명하기 위한 보행연구에서 발바닥뼈의 특성과 보행과의 관계를 연구하며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에 대한 대안으로 제시한 의료인으로 최적의 발바닥용 인솔연구 자료도 본 발명의 배경기술로 하였다.
특히 신발내부가 땀으로 젖으면 무좀은 물론 발 냄새가 심해져 습진으로 번져 발 위생에 심각한 문제를 야기하므로 이미 개발된 신발 갑피 및 인솔의 건조장치인 20-1995-005962호(1995.12.29.)도 참고하여 신발냄새와 건조방식과 발생원인제거의 어려운 점도 해결방법의 배경으로 하였다,
본 발명에서 해결해야 할 중요 포인트는 발바닥뼈의 구조가 무지로부터 계지까지 5열로 뻗으면서 마디로 연결되어 있는 전방부위와 무릎에서 정강이 뼈 아래에 연결된 뒤꿈치 뼈가 뒤쪽으로 내려온 후 내측으로 연결되는 발가락뼈마디로 이어지는 사이의 위쪽으로 연결되는 발가락뼈 밑으로 비어 있어 장시간 서 있거나 보행을 하면 피로를 주며 발바닥의 피로로 땀이 발생하고 습기로 인한 물집과 피부피로로 부푸는 원인제거에 대한 과제 등도 연구 대상으로 채택한다,
이러한 통기성부족과 습기로 인해 피부가 물러지는 이유도 있겠으나 이 보다 이로 인해 무좀이나 세균발생에 의해 악취가 나며 발바닥이 상하는 일이 없도록 방지하는 대안의 개발연구도 병행과제로 채택해야 한다,
발바닥을 형성하는 정강이뼈 밑동과 다섯 발가락을 형성하는 연결 뼈의 부위에서 형성되는 공간과 같은 흠과 엄지와 계지를 형성하는 기부 뼈의 연결공간에 하부로 형성되는 공간과 같은 흠을 메워주는 보조받침용의 말랑말랑한 재질로 제작되는 앞쪽받침이 되는 지절 골과 중족지 골 사이 공간에 지절간 쿠션과 뒤꿈치부위를 받쳐주는 종골과 종입방관절 사이의 뒤꿈치부위에 종입방 쿠션을 부착시키고 인솔 바닥 전체에 일정간격으로 소공을 만들고 상기 소공에 황토소립자를 채운 후 황토소립자가 빠지지 않도록 얇은 부직포로 덮고 발바닥에서 발생하는 땀과 습기를 흡착시켜 일정시간 습도를 배제시킬 수 있는 제품으로 개발하여 해결시킨다,
물론 족궁 아치부위도 컵 형 인솔로 받쳐주도록 동시에 보완해야 하며 신발바닥이나 신발상부도 일반 신발과 같이 튼튼하게 제작해야 하고 식생활과 주거환경변화로 서구화하여 발등도 넓어져 날씬한 신발이기 전에 발이 편할 수 있게 발등폭도 넓혀 장시간 착용해도 불편함을 느끼지 않도록 개량하는 과제로 해결시킨다,
그동안 신발의 불균형한 발바닥용 인솔의 조건에 모양이나 단순한 족궁 아치받침만 고려하며 신발을 제작하여 왔으나 등산용이나 댄스용 신발과 같이 무리한 율동이 가해지는 경우에는 발바닥에 물집 등의 이상 징후로 중단해야 하는 등의 상황에 의해 신발내부의 인솔형성에 관한 연구가 계속되면서 발가락과 발바닥 사이의 간격으로 인한 차이로 발바닥에 무리를 가한다는 연구결과로 인해 보다 과학적이고 생리적인 면으로 제작되는 신발로 인해 장시간 활동을 유지할 수 있게 되어 등산이나 댄스 등의 율동에도 발바닥 아픔을 해소시키는 효과가 기대된다,
이미 개발되어 인기를 얻은 만돌린형상의 워킹 화와 같이 본 제품도 무지 또는 게지외반 등의 기형을 유발하는 경우와 뒤꿈치이상으로 복사뼈와 아킬레스 근의 이상을 유발로 인한 발목이상으로 등산이나 댄스 등을 중단하는 일 없이 마음껏 활동할 수 있게 되는 효과도 기대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습기조절 황토소립자 인솔의 상부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황토소립자 인솔과 발바닥과의 접촉부위상세도
도 3은 본 발명의 황토소립자 인솔과 발바닥과 합체 전의 상세사시도
도 4-1은 본 발명과 관련된 발바닥뼈의 부위별 명칭에 대한 참고도
도 4-2는 본 발명과 관련된 발바닥뼈에서 관절별 명칭에 대한 참고도,
본 발명의 땀 조절 황토소립자 인솔신발을 제작하기 위해 먼저 황토로 제작되는 직경 1 내지 2mm 크기의 소립자 볼을 황토로 빚고 1,200℃의 전기로에서 굽고 냉각시켜 황토소립자로 제조한 후 미리 마련된 수지패드로 재단한 인솔상판(30)에 뒤꿈치부위에서 종골과 종입방 관절 사이를 제외한 인솔상판(30)에 적절한 간격으로 다수개의 소립자수납 공(22)을 타설하지만 인솔하판(32)은 타설하지 않는다,
인솔상판(30) 상부 면에서 종입방 쿠션(12)이 부착될 전방부위로부터 지절간 쿠션(10)이 부착될 지점의 직후 후면까지와 상기 지절간 쿠션(10)의 부착지점 전방에서 앞면까지 일정간격으로 적정하게 배열시켜 소립자수납 공(22)을 형성시킨다,
상기 소립자수납 공(22)들이 형성된 인솔상판(30)의 배면부위는 소립자수납공(22)이 형성되지 않는 인솔하판(32)을 부착하고 인솔하판(32)의 상면에 부착되는 인솔상판(30)의 배면에 개방되는 소립자수납 공(22)을 막아주므로 상기 소립자수납 공(22)에 채워질 황토소립자(20)들이 밑으로 흘러나오지 않고 보관되는 것이다,
소립자수납 공(22)에 황토소립자(20)들이 채워지면 상기 황토소립자(20)들은 밑면이 인솔하판(32)으로 막혀 아래로는 빠지지 않으나 위로는 개방되어 빠져 나올 수 있기 때문에 덮개부직포(34)를 제작하여 덮어야 하는데 덮개부직포(34)를 봉제사(36)로 1차 봉합하지만 가장자리만 봉합되므로 인솔상판(30) 상면 전체가 모두 부착될 수 있게 하려면 덮개부직포(34)를 씌울 때 인솔상판(30) 전면에 접착제로 부착시켜 부착시키면 황토소립자(20)들은 보이기는 하나 빠지지 않게 제작된다,
소립자수납 공(22)이 타설될 인솔상판(30)은 종입방 쿠션(12)이 부착될 부위는 타설하지 않고 앞쪽에 부착되는 지절간 쿠션(10)이 부착되는 지점도 소립자수납 공(22)을 만들 필요 없으나 공정상 타설되고 황토소립자(20)가 채워져도 무방하다,
인솔상판(30)의 재질은 탄성을 지닌 합성수지로 제작하는데 두께는 4mm 내지 6mm로 하고 소립자수용 공(22)의 직경도 4mm 내지 6mm로 하면 1mm 내지 2mm의 황토소립자(20)들을 수용하는데 별다른 어려움이 없을 것이다,
지절간 쿠션(10)의 재질도 합성수지로 제작하지만 아주 부드럽고 말랑해야 하며 주머니형상의 색(Sac)에 겔(gel)을 채워 착용자의 발가락마다 지골에서 척골로 이어지는 지절간관절부(52)를 따라 형성되는 작은 아치부위, 즉 함몰부위를 따라 공간 없이 채워지도록 인솔상판(30) 위로 솟구치게 부착시킨다,
우리 신체에서 발가락뼈의 구조를 보면 발톱이 달린 지골과 연결지골로 형성되는 척골부위인 전후지절골부(50)와 상기 전후지절골부(50)에 형성되는 지절간관절부(52)가 장시간 보행으로 땀과 뒤섞여 염증을 유발하지 않도록 지절간 쿠션(10)으로 하여금 다섯 발가락의 지절간관절부(52)에 쿠션으로 지탱해 주도록 받혀주면 더 많은 시간을 보행해도 무리를 가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뒤꿈치부위에서 종골(54) 앞쪽의 발바닥내부에서 아치를 이루어야 하는 것은 발바닥을 폈다가 오물다가 다시 펴는 보행행위를 원활하게 해주는 구조인데 종골(54) 바로 앞쪽에는 종골 아치부위(56)를 이루며 뼈나 근육이 없기 때문에 장시간 보행을 하면 무리가 가며 염증을 유발하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겔(Gel)로 채운 종입방 쿠션(12)을 제작하여 부착하면 염증발생을 어느 정도 막아준다,
신발내부에서 발바닥이 닿는 인솔상판(30)은 일정간격으로 배열된 소립자수납 공(22)이 타설되고, 타설된 배면에는 황토소립자(20)들이 빠지지 않도록 인솔하판(32)을 부착한다,
상기 소립자수납 공(22)에 미세한 소립으로 만들고 고온에 구워 제작된 황토소립자(20)를 채우고 덮개부직포(34)로 덮은 후 봉제사(36)로 부착하고 또 접착제로 부착하여 황토소립자(20)가 흘러나오지 않으면서 보이도록 봉합한다,
상기 인솔상판(30)을 받혀주는 상기 인솔하판(32)의 배면에는 인솔받침상판(62)과 인솔받침하판(64)을 부착하고 다시 뒤축(66)을 붙이고 신발상체(60)를 씌운 후 앞창(70)과 뒤창(72)을 채우면 비로소 땀 조절 황토 볼 인솔신발이 제작된다,
황토소립자(20)는 전문적으로 제조하며 시판되고 있어서 제조시설을 하지 않고 시중에서 구입하고 전문적으로 황토소립자(20)만을 삽입하여 인솔로 제작해 주는 업체에 의뢰하여 문수에 제약을 받지 않는 크기로 주문제작하여 원재료로 구입하고 장방형의 긴 색(Sac)에 인조젤라틴을 채운 지절간 쿠션(10)과 타원형의 색(Sac)도 역시 인조젤라틴을 채워 종입방 쿠션(12)으로 제작하였다,
합성우레탄으로 제작되는 색(Sac)은 엄지(무지)에서 계지(새끼발가락)까지 이르는 긴 폭과 전후지절골부(50)에서 중족지 관절 사이의 발바닥 앞쪽으로 디딤 역할을 하는 지절간관절부(52)에 맞닿는 위치에 알맞도록 짧은 길이로 베개형상의 색을 제작한 후 내면에 젤라틴으로 조제한 겔(Gel)을 채워 말랑말랑하고 부드러운 지절간 쿠션(10)을 제작하였다,
또한 상기와 같은 지절간 쿠션(10)과 동일한 재질로 크기는 좌우 폭을 인솔상판(30)의 뒤꿈치가 닿는 위치에서 상기 인솔상판(30)의 뒤꿈치부위와 뒤축(64)이 합체될 부위를 감안하여 신발내면에서 독립적으로 활동되도록 뒤꿈치부위의 정중앙에 위치하도록 하고 길이는 종골(54)을 포함한 종골 아치부위(56)를 수용할 수 있는 길이로 제작하여 종입방 쿠션(12)도 제작하였다,
인솔하판(32)이 부착되고 덮개부직포(34)로 덮은 인솔상판(30)을 문수에 맞는 신골에 끼우고 인솔받침상판(62)을 깔고 다시 인솔받침하판(64)도 깔고 신발상체(60)를 씌워 뒤축이 없는 불완전한 신발로 제작한 후 뒤축(66)과 앞창(70)과 뒤창(72)도 부착하여 좌측용과 우측용으로 제작하므로 한 벌의 신발이 완성되었다,
10 : 지절간 쿠션, 12 : 종입방 쿠션, 20 : 황토소립자,
22 : 소립자수납 공, 30 : 인솔상판, 32 : 인솔하판,
34 : 덮개부직포, 36 : 봉제사, 40 : 정강이,
42 : 경골(정강이 뼈), 50 : 전후지절골부, 52 : 지절간관절부,
54 : 종골, 56 : 종골 아치부위, 60 : 신발상체,
62 : 인솔받침상판, 64 : 인솔받침하판, 66 : 뒤축,
70 : 앞창, 72 : 뒤창,
가 : 황토소립자를 담기 전의 소립자수납 공의 배열 및 부품별 상부도,
나 : 황토인솔과 함께 조립 전 인솔신발의 부위별 배열사시도,

Claims (1)

  1. 발바닥 뒤꿈치부위에서 종골 아치부위(56)를 제외한 합성수지패드의 몸체에 일정간격으로 소립자수납 공(22)을 타설하고, 타설된 상기 소립자수납 공의 배면을 인솔하판(32)으로 막고, 상기 소립자수납 공의 상면으로 황토소립자(20)를 채우고, 채워진 상기 황토소립자 상면을 덮개부직포(34)로 덮어씌워 상기 황토소립자가 빠지지 않는 인솔상판(30)으로 제작하고,
    발바닥 좌우 폭과 지절간관절부(52) 길이에 맞추어 우레탄으로 장방체의 색을 만들어 인조젤라틴을 삽입하여 지절간 쿠션(10)으로 제작하고, 종골(54)을 포함한 종골 아치부위(56)에 맞추어 우레탄으로 타원체의 색을 만들어 인조젤라틴을 삽입하여 종입방 쿠션(12)으로 제작하고,
    상기덮개부직포로 씌워진 상기 인솔상판 위의 상기 지절간관절부에 상기 지절간 쿠션을 부착하고 상기 종골 및 종골 아치부위에 상기 종입방 쿠션을 부착시키고 상기 인솔하판 배면에 인솔받침상판(62)과 인솔받침하판(64)과 뒤축(66)과 앞창(70)과 뒤창(72)을 차례로 부착시키고 신발상체(60)도 합체시켜 좌우대칭으로 한 켤레 신발이 제작되는 것이 특징인 땀 조절 황토소립자 인솔신발 제작방법
KR1020190054576A 2019-05-07 2019-05-07 땀 조절 황토소립자 인솔신발 제작방법 KR2019006095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4576A KR20190060957A (ko) 2019-05-07 2019-05-07 땀 조절 황토소립자 인솔신발 제작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4576A KR20190060957A (ko) 2019-05-07 2019-05-07 땀 조절 황토소립자 인솔신발 제작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6104A Division KR20200095428A (ko) 2020-07-09 2020-07-09 땀 조절 인솔신발 제작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0957A true KR20190060957A (ko) 2019-06-04

Family

ID=668109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4576A KR20190060957A (ko) 2019-05-07 2019-05-07 땀 조절 황토소립자 인솔신발 제작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6095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51582B2 (en) Medially or laterally textured footbed
US20040103561A1 (en) Footwear with orthopedic component system
JP2015526251A (ja) バスケットボール・インソール
US20020162250A1 (en) Unitary orthotic insert and orthopedic insole
JP2009538182A5 (ko)
AU2014202890A1 (en) Modern dance shoe
US5685092A (en) Physiological motion enhancing shoe sole
KR101999344B1 (ko) 바른발 기능성 양말
EP2605675A1 (en) Footwear for modern dan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KR20190060957A (ko) 땀 조절 황토소립자 인솔신발 제작방법
JP3134601U (ja) 履物のインソール
JP3134601U7 (ko)
CN207285216U (zh) 一种缓解扁平足患者运动中足踝部疼痛的矫正分趾运动袜
KR20200095428A (ko) 땀 조절 인솔신발 제작방법
JP3200517U (ja) 踵矯正装具及び踵矯正用靴下
RU177733U1 (ru) Носки для балетной обуви
CN213722750U (zh) 矫正鞋
US11793267B1 (en) Shoe and therapy system
CN102462568A (zh) 足拇外翻矫形鞋
CN209449789U (zh) 一种负跟鞋
JP3022238B2 (ja) 履物及び中敷
JP2024006693A (ja)
TWI599323B (zh) 足弓鞋墊
RU2200515C2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ортопедического чулка
JP3098918U (ja) カップインソールを装填したヒールを有する婦人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