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60723A - 프레임 바디, 셀프레임, 셀스택 및 레독스 플로우 전지 - Google Patents

프레임 바디, 셀프레임, 셀스택 및 레독스 플로우 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60723A
KR20190060723A KR1020187006363A KR20187006363A KR20190060723A KR 20190060723 A KR20190060723 A KR 20190060723A KR 1020187006363 A KR1020187006363 A KR 1020187006363A KR 20187006363 A KR20187006363 A KR 20187006363A KR 20190060723 A KR20190060723 A KR 201900607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ll
frame
cell stack
frame body
redox f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063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야토 후지타
다카시 간노
겐지 모토이
다케시 야마나
Original Assignee
스미토모덴키고교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토모덴키고교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토모덴키고교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607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072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2Deta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86Inert electrodes with catalytic activity, e.g. for fuel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70Arrangements for stirring or circulating the electroly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2Details
    • H01M8/0202Collectors; Separators, e.g. bipolar separators; Interconne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2Details
    • H01M8/0202Collectors; Separators, e.g. bipolar separators; Interconnectors
    • H01M8/0258Collectors; Separators, e.g. bipolar separators; Interconnectors characterised by the configuration of channels, e.g. by the flow field of the reactant or coola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2Details
    • H01M8/0271Sealing or supporting means around electrodes, matrices or membranes
    • H01M8/0273Sealing or supporting means around electrodes, matrices or membranes with sealing or supporting means in the form of a fram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2Details
    • H01M8/0271Sealing or supporting means around electrodes, matrices or membranes
    • H01M8/0276Sealing mean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M8/0278O-r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8Regenerative fuel cells, e.g. redox flow batteries or secondary fuel cells
    • H01M8/184Regeneration by electrochemical means
    • H01M8/188Regeneration by electrochemical means by recharging of redox couples containing fluids; Redox flow type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24Grouping of fuel cells, e.g. stacking of fuel cells
    • H01M8/2455Grouping of fuel cells, e.g. stacking of fuel cells with liquid, solid or electrolyte-charged reacta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24Grouping of fuel cells, e.g. stacking of fuel cells
    • H01M8/2465Details of groupings of fuel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86Inert electrodes with catalytic activity, e.g. for fuel cells
    • H01M2004/8678Inert electrodes with catalytic activity, e.g. for fuel cells characterised by the polarity
    • H01M2004/8684Negative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86Inert electrodes with catalytic activity, e.g. for fuel cells
    • H01M2004/8678Inert electrodes with catalytic activity, e.g. for fuel cells characterised by the polarity
    • H01M2004/8689Positive electrod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Fuel Cell (AREA)

Abstract

레독스 플로우 전지의 셀스택에 이용되는 평면형의 셀프레임의 일부이며, 상기 셀프레임에 구비되는 쌍극판을 외주측으로부터 지지하는 프레임 바디로서,
상기 셀프레임을 복수 적층했을 때, 적층 방향으로 인접하는 다른 셀프레임의 프레임 바디에 대향하는 프레임 대향면을 구비하고, 상기 프레임 대향면의 표면 거칠기 Ra가 0.03 ㎛ 이상 3.2 ㎛ 이하인 프레임 바디.

Description

프레임 바디, 셀프레임, 셀스택 및 레독스 플로우 전지
본 발명은, 프레임 바디, 셀프레임, 셀스택 및 레독스 플로우 전지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에는, 쌍극판을 갖는 셀프레임, 정극 전극, 격막, 부극 전극 및 셀프레임을 복수 적층하고, 그 적층체를 급배판 사이에 끼워 넣은 셀스택 및 그 셀스택을 이용한 레독스 플로우 전지가 기재되어 있다. 셀프레임은, 쌍극판과, 이 쌍극판의 외주에 배치되는 프레임 바디를 구비한다. 이 구성에서는, 인접하는 각 셀프레임의 쌍극판 사이에 하나의 셀이 형성된다.
특허문헌 1 : 일본 특허 공개 제2015-79738호 공보
본 개시의 프레임 바디는,
레독스 플로우 전지의 셀스택에 이용되는 평면형의 셀프레임의 일부이며, 상기 셀프레임에 구비되는 쌍극판을 외주측으로부터 지지하는 프레임 바디로서,
상기 셀프레임을 복수 적층했을 때, 적층 방향으로 인접하는 다른 셀프레임의 프레임 바디에 대향하는 프레임 대향면을 구비하고,
상기 프레임 대향면의 표면 거칠기 Ra가 0.03 ㎛ 이상 3.2 ㎛ 이하이다.
본 개시의 셀프레임은,
본 개시의 프레임 바디와, 상기 프레임 바디에 지지되는 쌍극판을 구비한다.
본 개시의 셀스택은,
적층된 복수의 셀프레임을 구비하고, 레독스 플로우 전지에 이용되는 셀스택으로서,
상기 셀프레임은 본 개시의 셀프레임이다.
본 개시의 레독스 플로우 전지는,
셀스택과, 정극 전해액용 탱크와, 부극 전해액용 탱크를 구비하는 레독스 플로우 전지로서,
상기 셀스택이 본 개시의 셀스택이다.
도 1은 실시형태에 관한 레독스 플로우 전지의 동작 원리도이다.
도 2는 실시형태에 관한 레독스 플로우 전지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3은 실시형태에 관한 셀스택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4는 실시형태에 관한 셀프레임을 일면측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5는 실시형태에 관한 셀프레임을 타면측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6은 실시형태에 관한 셀스택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시일홈 근방의 부분 확대도이다.
[본 개시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적층하는 셀프레임의 프레임 바디의 표면이 지나치게 매끄러우면, 셀스택을 설치 장소로 운반할 때의 진동이나 충격, 셀스택의 내부에 전해액을 순환시켰을 때의 전해액의 내압 등에 의해, 인접하는 셀프레임이 크게 어긋날 우려가 있다. 인접하는 셀프레임이 크게 어긋나면, 셀스택 내를 순환하는 전해액이 외부로 샌다고 하는 문제가 생길 우려가 있다. 한편, 적층하는 셀프레임의 프레임 바디의 표면이 지나치게 거칠면, 프레임 바디 사이에 큰 간극이 생기기 쉬워, 셀스택 내를 순환하는 전해액이 외부로 샌다고 하는 문제가 생길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개시에서는, 셀스택 내를 순환하는 전해액이 외부로 새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프레임 바디 및 셀프레임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의 하나로 한다. 또한, 본 개시에서는, 셀스택 내의 전해액이 외부로 새기 어려운 셀스택 및 레독스 플로우 전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의 하나로 한다.
[본원발명의 실시형태의 설명]
처음에 본원발명의 실시형태의 내용을 열기하여 설명한다.
<1> 실시형태에 관한 프레임 바디는,
레독스 플로우 전지의 셀스택에 이용되는 평면형의 셀프레임의 일부이며, 상기 셀프레임에 구비되는 쌍극판을 외주측으로부터 지지하는 프레임 바디로서,
상기 셀프레임을 복수 적층했을 때, 적층 방향으로 인접하는 다른 셀프레임의 프레임 바디에 대향하는 프레임 대향면을 구비하고,
상기 프레임 대향면의 표면 거칠기 Ra가 0.03 ㎛ 이상 3.2 ㎛ 이하이다.
본 명세서에서의 표면 거칠기 Ra는, JIS B0601(2001년)에 규정되는 산술 평균 거칠기이다. 프레임 대향면의 표면 거칠기 Ra가 0.03 ㎛ 이상이면, 셀스택을 운반할 때나, 셀스택의 내부에 전해액을 순환시켰을 때에, 인접하는 셀프레임이 어긋나기 어려워진다. 또한, 프레임 대향면의 표면 거칠기 Ra가 3.2 ㎛ 이하이면, 인접하는 셀프레임의 프레임 바디 사이에 큰 간극이 생기기 어렵다. 그 때문에, 상기 구성을 구비하는 셀스택이면, 그 내부에 전해액을 순환시켰을 때에 전해액이 외부로 새기 어렵다.
<2> 실시형태에 관한 프레임 바디의 일형태로서, 고리형 시일 부재가 끼워지는 시일홈을 구비하고, 상기 시일홈의 내주면의 표면 거칠기 Ra가 0.03 ㎛ 이상 3.2 ㎛ 이하인 형태를 들 수 있다.
시일홈의 내주면의 표면 거칠기 Ra가 0.03 ㎛ 이상이면, 운반시의 충격이나 전해액의 내압에 의해 셀프레임의 적층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압력이 작용하더라도, 시일홈으로부터 고리형 시일 부재가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쉽다. 시일홈으로부터 고리형 시일 부재가 떨어지기 어려워지는 것은, 시일홈의 내주면과 고리형 시일 부재 사이에 적절한 마찰력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또한, 시일홈의 표면 거칠기 Ra가 3.2 ㎛ 이하이면, 한쌍의 셀프레임에 체결되어 변형된 고리형 시일 부재가 시일홈의 내주면에 간극없이 밀착되어, 고리형 시일 부재의 시일성이 향상됨과 함께, 시일홈으로부터 고리형 시일 부재가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쉽다.
<3> 실시형태에 관한 셀프레임은,
실시형태에 관한 프레임 바디와, 상기 프레임 바디에 지지되는 쌍극판을 구비한다.
셀프레임에 구비되는 프레임 바디의 프레임 대향면의 표면 거칠기 Ra가 0.03 ㎛ 이상이면, 셀스택을 운반할 때나, 셀스택의 내부에 전해액을 순환시켰을 때에, 인접하는 셀프레임이 어긋나기 어려워진다. 또한, 프레임 대향면의 표면 거칠기 Ra가 3.2 ㎛ 이하이면, 인접하는 셀프레임의 프레임 바디 사이에 큰 간극이 생기기 어렵다. 그 때문에, 상기 구성을 구비하는 셀스택이면, 그 내부에 전해액을 순환시켰을 때에 전해액이 외부로 새기 어렵다.
<4> 실시형태에 관한 셀스택은,
적층된 복수의 셀프레임을 구비하고, 레독스 플로우 전지에 이용되는 셀스택으로서,
상기 셀프레임은 실시형태에 관한 셀프레임이다.
셀프레임에 구비되는 프레임 바디의 표면 거칠기가 소정 범위인 셀스택이면, 그 내부에 전해액을 순환시켰을 때에 전해액이 외부로 새기 어렵다.
<5> 실시형태에 관한 셀스택의 일형태로서, 상기 적층 방향으로 인접하는 한쌍의 상기 셀프레임의 프레임 바디 사이에 개재되는 고리형 시일 부재를 구비하는 형태를 들 수 있다.
고리형 시일 부재를 설치함으로써, 인접하는 셀프레임 사이에서 전해액이 새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특히, 프레임 바디에 시일홈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 전해액의 누설을 보다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6> 실시형태에 관한 레독스 플로우 전지는,
셀스택과, 정극 전해액용 탱크와, 부극 전해액용 탱크를 구비하는 레독스 플로우 전지로서,
상기 셀스택이 실시형태에 관한 셀스택이다.
실시형태에 관한 레독스 플로우 전지는, 실시형태에 관한 셀스택을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운전시에 셀스택으로부터의 액누설이 생기기 어렵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상세]
이하, 실시형태에 관한 레독스 플로우 전지(RF 전지)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또, 본 발명은 실시형태에 나타내는 구성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나며, 청구범위와 균등한 의미 및 범위 내의 모든 변경이 포함되는 것을 의도한다.
<실시형태 1>
실시형태에 관한 레독스 플로우 전지(이하, RF 전지)를 도 1∼도 7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RF 전지≫
RF 전지는, 전해액 순환형의 축전지의 하나이며, 태양광 발전이나 풍력 발전과 같은 신에너지의 축전에 이용되고 있다. 도 1의 RF 전지(1)의 동작 원리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RF 전지(1)는, 정극용 전해액에 포함되는 활물질 이온의 산화 환원 전위와, 부극용 전해액에 포함되는 활물질 이온의 산화 환원 전위의 차를 이용하여 충방전을 행하는 전지이다. RF 전지(1)는, 수소 이온을 투과시키는 격막(101)에 의해 정극 셀(102)과 부극 셀(103)로 분리된 셀(100)을 구비한다.
정극 셀(102)에는 정극 전극(104)이 내장되고, 또한 정극용 전해액을 저류하는 정극 전해액용 탱크(106)가 도관(108, 110)을 통해 접속되어 있다. 도관(108)에는 펌프(112)가 설치되어 있고, 이들 부재(106, 108, 110, 112)에 의해 정극용 전해액을 순환시키는 정극용 순환 기구(100P)가 구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부극 셀(103)에는 부극 전극(105)이 내장되고, 또한 부극용 전해액을 저류하는 부극 전해액용 탱크(107)가 도관(109, 111)을 통해 접속되어 있다. 도관(109)에는 펌프(113)가 설치되어 있고, 이들 부재(107, 109, 111, 113)에 의해 부극용 전해액을 순환시키는 부극용 순환 기구(100N)가 구성되어 있다. 각 탱크(106, 107)에 저류되는 전해액은, 충방전시에 펌프(112, 113)에 의해 셀(102, 103) 내에 순환된다. 충방전을 행하지 않는 경우, 펌프(112, 113)는 정지되고, 전해액은 순환되지 않는다.
≪셀스택≫
상기 셀(100)은 통상, 도 2,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은, 셀스택(2)으로 불리는 구조체의 내부에 형성된다. 셀스택(2)은, 서브스택(200)(도 3)으로 불리는 적층 구조물을 그 양측으로부터 2장의 엔드 플레이트(210, 220) 사이에 끼워 넣고, 체결 기구(230)로 체결함으로써 구성되어 있다(도 3에 예시하는 구성에서는, 복수의 서브스택(200)을 이용하고 있다).
서브스택(200)(도 3)은, 셀프레임(3), 정극 전극(104), 격막(101) 및 부극 전극(105)을 복수 적층하고, 그 적층체를 급배판(190, 190)(도 3의 하측 도면 참조, 도 2에서는 생략) 사이에 끼워 넣은 구성을 구비한다. 셀프레임(3)은, 관통창을 갖는 프레임 바디(32)와 관통창을 막는 쌍극판(31)을 갖고 있고, 쌍극판(31)의 일면측에는 정극 전극(104)이 접촉하도록 배치되고, 쌍극판(31)의 타면측에는 부극 전극(105)이 접촉하도록 배치된다. 이 구성에서는, 인접하는 각 셀프레임(3)에 끼워진 쌍극판(31) 사이에 하나의 셀(100)이 형성되게 된다.
급배판(190, 190)을 통한 셀(100)로의 전해액의 유통은, 셀프레임(3)에 형성되는 급액용 매니폴드(33, 34)와, 배액용 매니폴드(35, 36)에 의해 행해진다. 정극용 전해액은, 급액용 매니폴드(33)로부터 셀프레임(3)의 일면측(지면 겉쪽)에 형성되는 입구 슬릿을 통해 정극 전극(104)에 공급되고, 셀프레임(3)의 상부에 형성되는 출구 슬릿을 통해 배액용 매니폴드(35)에 배출된다. 마찬가지로, 부극용 전해액은, 급액용 매니폴드(34)로부터 셀프레임(3)의 타면측(지면 안쪽)에 형성되는 입구 슬릿(파선으로 나타냄)을 통해 부극 전극(105)에 공급되고, 셀프레임(3)의 상부에 형성되는 출구 슬릿(파선으로 나타냄)을 통해 배액용 매니폴드(36)에 배출된다. 각 셀프레임(3) 사이에는, O링이나 평패킹 등의 고리형의 시일 부재(37)가 배치되어, 서브스택(200)으로부터의 전해액의 누설이 억제되어 있다.
적층하는 셀프레임의 프레임 바디의 표면이 지나치게 매끄러우면, 셀스택을 설치 장소로 운반할 때의 진동이나 충격, 셀스택의 내부에 전해액을 순환시켰을 때의 전해액의 내압 등에 의해, 인접하는 셀프레임이 크게 어긋날 우려가 있다. 인접하는 셀프레임이 크게 어긋나면, 셀스택 내를 순환하는 전해액이 외부로 샌다고 하는 문제가 생길 우려가 있다. 한편, 적층하는 셀프레임의 프레임 바디의 표면이 지나치게 거칠면, 프레임 바디 사이에 큰 간극이 생기기 쉬워, 셀스택 내를 순환하는 전해액이 외부로 샌다고 하는 문제가 생길 우려가 있다. 상기 문제점을 감안하여, 본 예의 RF 전지(1)에서는, 셀프레임(3)의 프레임 바디(32)의 일부의 표면 거칠기를 소정 범위로 하고 있다. 그 상세에 관해서는 도 4∼도 7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실시형태 1의 셀프레임(3)을 일면측에서 본 평면도, 도 5는 도 4의 셀프레임(3)을 타면측에서 본 평면도이다. 셀프레임(3)의 외주 가장자리를 따라서 형성되고, 모든 매니폴드(33∼36)를 둘러싸는 시일홈(37s)은, 도 3의 고리형 시일 부재(37)를 끼우기 위한 홈이다. 여기서, 도 4, 5에 나타내는 매니폴드(33∼36)의 형상이나 그 위치, 및 매니폴드(33∼36)로부터 쌍극판(31)을 향해 신장되는 입구 슬릿과 출구 슬릿의 형상이나 그 배치는 일례에 불과하며,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도 4,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셀프레임(3)은, 셀스택(2)(도 3)에서의 다른 셀프레임(3)에 대향하는 프레임 대향면(30f, 30b)(크로스해칭 부분을 참조)을 갖고 있다. 프레임 대향면(30f(30b))은, 셀프레임(3)의 일면측(타면측)에서의 매니폴드(33∼36), 입구 슬릿, 출구 슬릿 및 시일홈(37s)을 제외한 부분이다. 본 예에서는, 전술한 셀스택(2)으로부터 전해액이 누설되는 것의 대책으로서, 그 프레임 대향면(30f, 30b)의 표면 거칠기 Ra(JIS B0601 : 2001의 산술 평균 거칠기)를 0.03 ㎛ 이상 3.2 ㎛ 이하로 하고 있다. 표면 거칠기 Ra는, 프레임 대향면(30f, 30b)에서의 10개소 이상의 영역을 시판하는 측정기로 측정하고, 이들 측정 결과를 평균함으로써 구할 수 있다.
이러한 셀프레임(3)을 적층하여 얻어진 셀스택(2)의 부분 단면도를 도 6에 나타낸다. 도 6의 부분 단면도는, 셀스택(2)에서의 셀프레임(3)의 외주 가장자리부 근방의 종단면이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향하는 프레임 대향면(30f, 30b)의 표면 거칠기 Ra가 0.03 ㎛ 이상이면, 양 프레임 대향면(30f, 30b) 사이에 적당한 마찰력이 발생한다. 그 결과, 셀스택(2)을 운반할 때나, 셀스택(2)의 내부에 전해액을 순환시켰을 때에, 인접하는 셀프레임(3, 3)이 어긋나기 어려워진다. 또한, 프레임 대향면(30f, 30b)의 표면 거칠기 Ra가 3.2 ㎛ 이하이면, 인접하는 셀프레임(3)의 프레임 바디(32) 사이에 큰 간극이 생기기 어렵다. 그 때문에, 표면 거칠기 Ra 0.03 ㎛ 이상 3.2 ㎛ 이하의 프레임 대향면(30f, 30b)을 구비하는 셀프레임(3)을 이용하여 셀스택(2)을 제조하면, 셀스택(2)의 내부에 전해액을 순환시켰을 때에, 셀스택(2)으로부터 전해액이 새기 어려워진다. 프레임 대향면(30f, 30b)의 표면 거칠기 Ra는 0.03 ㎛ 이상 3.2 ㎛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0.05 ㎛ 이상 1.5 ㎛ 이하로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예의 셀프레임(3)에서는, 도 7의 확대 단면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일홈(37s)의 내주면의 표면 거칠기 Ra도 0.03 ㎛ 이상 3.2 ㎛ 이하로 하고 있다. 시일홈(37s)의 내주면의 표면 거칠기 Ra를 0.03 ㎛ 이상으로 함으로써, 시일홈(37s)의 내주면과 고리형 시일 부재(37) 사이에 적당한 마찰력이 발생한다. 그 결과, 인접하는 셀프레임(3)이 어긋나는 방향으로 응력이 작용하더라도, 시일홈(37s)의 고리형 시일 부재(37)가 미끄러져, 시일홈(37s)으로부터 고리형 시일 부재(37)가 떨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시일홈(37s)의 내주면의 표면 거칠기 Ra를 3.2 ㎛ 이하로 함으로써, 시일홈(37s) 내에서 압축되어 변형된 고리형 시일 부재(37)가, 시일홈(37s)의 내주면에 간극없이 밀착된다. 그 결과, 고리형 시일 부재(37)의 시일성이 향상됨과 함께, 시일홈(37s)으로부터 고리형 시일 부재(37)가 떨어지기 어려워진다. 시일홈(37s)의 표면 거칠기 Ra는 0.03 ㎛ 이상 3.2 ㎛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0.05 ㎛ 이상 1.5 ㎛ 이하로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시험예>
구성이 상이한 5개의 셀스택(시험체 A∼E)을 준비하고, 각 셀스택의 내부에 전해액을 순환시켜, 셀스택의 외부로 전해액이 새는지 아닌지를 시험한다. 시험체 A∼E의 개략 구성은 이하와 같다.
ㆍ시험체 A
시험체 A의 셀스택은, 실시형태 1에서 설명한 셀스택(2)과 동일하다. 여기서, 프레임 대향면(30f, 30b)(도 6)의 표면 거칠기 Ra는 0.03 ㎛, 시일홈(37s)(도 7)의 내주면의 표면 거칠기 Ra는 0.03 ㎛이다.
ㆍ시험체 B
시험체 B의 셀스택은, 프레임 대향면(30f, 30b)(도 6)의 표면 거칠기 Ra가 1.5 ㎛, 시일홈(37s)(도 7)의 내주면의 표면 거칠기 Ra가 1.5 ㎛인 것 외에, 시험체 A의 셀스택과 동일하다.
ㆍ시험체 C
시험체 C의 셀스택은, 프레임 대향면(30f, 30b)(도 6)의 표면 거칠기 Ra가 3.2 ㎛, 시일홈(37s)(도 7)의 내주면의 표면 거칠기 Ra가 3.2 ㎛인 것 외에, 시험체 A의 셀스택과 동일하다.
ㆍ시험체 D
시험체 D의 셀스택은, 프레임 대향면(30f, 30b)(도 6)의 표면 거칠기 Ra가 0.01 ㎛, 시일홈(37s)(도 7)의 내주면의 표면 거칠기 Ra가 0.01 ㎛인 것 외에, 시험체 A의 셀스택과 동일하다.
ㆍ시험체 E
시험체 E의 셀스택은, 프레임 대향면(30f, 30b)(도 6)의 표면 거칠기 Ra가 3.5 ㎛, 시일홈(37s)(도 7)의 내주면의 표면 거칠기 Ra가 3.5 ㎛인 것 외에, 시험체 A의 셀스택과 동일하다.
각 시험체 A∼E의 내부에 전해액을 유통시킨다. 그 때, 유통시키는 전해액의 압력을 서서히 크게 한다. 그 결과, 시험체 D에서의 인접하는 셀프레임의 일부가 어긋나고, 그 어긋난 부분으로부터 전해액이 샌다. 또한, 시험체 E에서는 인접하는 셀프레임에 어긋남은 생기지 않았지만, 전해액이 샌다. 이것에 대하여, 동일한 압력으로 전해액이 유통된 시험체 A∼C에서는, 인접하는 셀프레임의 어긋남도, 전해액의 누설도 생기지 않는다.
이 시험예의 결과로부터, 셀프레임의 프레임 대향면의 표면 거칠기를 소정 범위 내로 하는 것이, 셀스택으로부터의 전해액의 누설을 억제하는 데에 있어서 유효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1 : RF 전지(레독스 플로우 전지)
2 : 셀스택
3 : 셀프레임
30f, 30b : 프레임 대향면
31 : 쌍극판
32 : 프레임 바디
33, 34 : 급액용 매니폴드
35, 36 : 배액용 매니폴드
37 : 시일 부재
37s : 시일홈
100 : 셀
101 : 격막
102 : 정극 셀
103 : 부극 셀
100P : 정극용 순환 기구
100N : 부극용 순환 기구
104 : 정극 전극
105 : 부극 전극
106 : 정극 전해액용 탱크
107 : 부극 전해액용 탱크
108, 109, 110, 111 : 도관
112, 113 : 펌프
190 : 급배판
200 : 서브스택
210, 220 : 엔드 플레이트
230 : 체결 기구

Claims (6)

  1. 레독스 플로우 전지의 셀스택에 이용되는 평면형의 셀프레임의 일부이며, 상기 셀프레임에 구비되는 쌍극판을 외주측으로부터 지지하는 프레임 바디로서,
    상기 셀프레임을 복수 적층했을 때, 적층 방향으로 인접하는 다른 셀프레임의 프레임 바디에 대향하는 프레임 대향면을 구비하고,
    상기 프레임 대향면의 표면 거칠기 Ra가 0.03 ㎛ 이상 3.2 ㎛ 이하인 프레임 바디.
  2. 제1항에 있어서, 고리형 시일 부재가 끼워지는 시일홈을 구비하고,
    상기 시일홈의 내주면의 표면 거칠기 Ra가 0.03 ㎛ 이상 3.2 ㎛ 이하인 프레임 바디.
  3.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프레임 바디와, 상기 프레임 바디에 지지되는 쌍극판을 구비하는 셀프레임.
  4. 적층된 복수의 셀프레임을 구비하고, 레독스 플로우 전지에 이용되는 셀스택으로서,
    상기 셀프레임은 제3항에 기재된 셀프레임인 것인 셀스택.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 방향으로 인접하는 한쌍의 상기 셀프레임의 프레임 바디 사이에 개재되는 고리형 시일 부재를 구비하는 셀스택.
  6. 셀스택과, 정극 전해액용 탱크와, 부극 전해액용 탱크를 구비하는 레독스 플로우 전지로서,
    상기 셀스택은, 제4항 또는 제5항에 기재된 셀스택인 것인 레독스 플로우 전지.
KR1020187006363A 2016-10-05 2016-10-05 프레임 바디, 셀프레임, 셀스택 및 레독스 플로우 전지 KR2019006072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6/079680 WO2018066095A1 (ja) 2016-10-05 2016-10-05 枠体、セルフレーム、セルスタック、およびレドックスフロー電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0723A true KR20190060723A (ko) 2019-06-03

Family

ID=598148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06363A KR20190060723A (ko) 2016-10-05 2016-10-05 프레임 바디, 셀프레임, 셀스택 및 레독스 플로우 전지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10224563B2 (ko)
EP (1) EP3525276B1 (ko)
JP (1) JP6731168B2 (ko)
KR (1) KR20190060723A (ko)
CN (2) CN107919487B (ko)
AU (1) AU2016420289B2 (ko)
DE (1) DE202017104642U1 (ko)
TW (1) TWI732009B (ko)
WO (1) WO201806609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525276B1 (en) * 2016-10-05 2020-07-08 Sumitomo Electric Industries, Ltd. Frame body, cell frame, cell stack, and redox flow battery
CN110416584B (zh) * 2018-04-27 2021-04-16 江苏泛宇能源有限公司 用于液流电池的电堆框架
IT201900003845A1 (it) * 2019-03-15 2020-09-15 Leonardo Spa Sistema di valvole per una sorgente di alimentazione elettrochimica, in particolare per un mezzo navale subacqueo, e relativa sorgente di alimentazione elettrochimica
DE102021119029A1 (de) 2021-07-22 2023-01-26 Vitesco Technologies GmbH Metallische Bipolarplatte für eine Brennstoffzelle sowi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derartigen Bipolarplatt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79738A (ja) 2013-09-12 2015-04-23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電池用セルスタック、およびレドックスフロー電池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96820A (ja) * 1994-09-28 1996-04-12 Toyota Motor Corp 燃料電池
JPH09306439A (ja) * 1996-05-21 1997-11-28 Katayama Tokushu Kogyo Kk 電池缶形成材料、電池缶形成方法および電池缶
US6410178B1 (en) * 1998-05-08 2002-06-25 Aisin Takaoka Co., Ltd. Separator of fuel cell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JP3143613B2 (ja) 1999-03-05 2001-03-07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レドックスフロー型2次電池用セル
JP5477672B2 (ja) * 2011-03-31 2014-04-23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電解液流通型電池用セルフレーム、電解液流通型電池用セルスタック、及び電解液流通型電池
JP5615875B2 (ja) * 2012-01-16 2014-10-29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燃料電池用樹脂枠付き電解質膜・電極構造体
CN202523801U (zh) * 2012-03-05 2012-11-07 上海裕豪机电有限公司 一种氧化还原液流电池
DK2879218T3 (en) * 2012-07-27 2019-01-07 Ngk Spark Plug Co FUEL CELLS AND FUEL CELL STACK
US20150125768A1 (en) * 2013-11-07 2015-05-07 Enervault Corporation Cell and Cell Block Configurations for Redox Flow Battery Systems
JP6380911B2 (ja) * 2014-11-05 2018-08-29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電解液循環型電池
CN204271193U (zh) * 2014-12-15 2015-04-15 中国电子科技集团公司第十八研究所 一种电池用循环电解液流道分配框
EP3525276B1 (en) * 2016-10-05 2020-07-08 Sumitomo Electric Industries, Ltd. Frame body, cell frame, cell stack, and redox flow battery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79738A (ja) 2013-09-12 2015-04-23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電池用セルスタック、およびレドックスフロー電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525276A1 (en) 2019-08-14
EP3525276A4 (en) 2019-10-30
TW201817070A (zh) 2018-05-01
JP6731168B2 (ja) 2020-07-29
CN207426022U (zh) 2018-05-29
JPWO2018066095A1 (ja) 2019-07-18
CN107919487A (zh) 2018-04-17
CN107919487B (zh) 2021-03-16
AU2016420289A1 (en) 2018-04-19
US20180248215A1 (en) 2018-08-30
WO2018066095A1 (ja) 2018-04-12
EP3525276B1 (en) 2020-07-08
US10224563B2 (en) 2019-03-05
TWI732009B (zh) 2021-07-01
DE202017104642U1 (de) 2017-08-21
AU2016420289B2 (en) 2022-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05122B2 (en) Frame body, cell frame for redox flow battery, and redox flow battery
KR20190060723A (ko) 프레임 바디, 셀프레임, 셀스택 및 레독스 플로우 전지
KR20170083526A (ko) 전지 셀 및 레독스 플로우 전지
US11183702B2 (en) Cell, cell stack, redox flow battery, and redox flow battery system
JP2012099368A (ja) セルスタック、セルフレーム、レドックスフロー電池、およびセルスタックの製造方法
JPWO2018105091A1 (ja) レドックスフロー電池
TWI702749B (zh) 氧化還原液流電池
JP2014191879A (ja) 燃料電池スタック
CN108336377B (zh) 双极板、电池单元框架、电池单元堆和氧化还原液流电池
JP2019029106A (ja) セルフレーム、セルスタック、およびレドックスフロー電池
US10199664B2 (en) Frame body, cell frame, cell stack, and redox flow battery
WO2018066093A1 (ja) セルスタック、およびレドックスフロー電池
KR20140109615A (ko) 누수 억제를 위한 매니폴드, 일체형 복합전극셀 및 이를 포함하는 레독스 흐름전지
US11527770B2 (en) Cell stack and redox flow battery
US10608275B2 (en) Redox flow battery cell, redox flow battery cell stack, and redox flow battery
WO2018134927A1 (ja) 双極板、セルフレーム、セルスタック、及びレドックスフロー電池
KR20190055013A (ko) 프레임 바디, 셀프레임, 셀스택 및 레독스 플로우 전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