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60476A - 입력 필드에 입력된 데이터를 관리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입력 필드에 입력된 데이터를 관리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60476A
KR20190060476A KR1020170158718A KR20170158718A KR20190060476A KR 20190060476 A KR20190060476 A KR 20190060476A KR 1020170158718 A KR1020170158718 A KR 1020170158718A KR 20170158718 A KR20170158718 A KR 20170158718A KR 20190060476 A KR20190060476 A KR 201900604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input field
data
identifier
proces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87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26588B1 (ko
Inventor
전부남
김경태
유호성
이선호
최윤정
하태호
이창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587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6588B1/ko
Priority to US16/197,789 priority patent/US11327818B2/en
Priority to CN201880075856.1A priority patent/CN111417937A/zh
Priority to PCT/KR2018/014340 priority patent/WO2019103450A1/en
Priority to EP18208145.5A priority patent/EP3489839A1/en
Publication of KR201900604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04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65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65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6Multiprogramming arrangements
    • G06F9/54Interprogram communication
    • G06F9/543User-generated data transfer, e.g. clipboards, dynamic data exchange [DDE], object linking and embedding [O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7Browsing optimisation, e.g. caching or content distill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7Browsing optimisation, e.g. caching or content distillation
    • G06F16/9577Optimising the visualization of content, e.g. distillation of HTML docu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8Organisation or management of web site content, e.g. publishing, maintaining pages or automatic lin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2Selection of displayed objects or displayed text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20Natural language analysis
    • G06F40/274Converting codes to words; Guess-ahead of partial word inpu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75Indicating network or usage conditions on the user display

Abstract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디스플레이, 통신 회로, 상기 디스플레이 및 통신 회로와 기능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와 기능적으로 연결되고 웹 브라우저 프로그램을 저장하도록 구성된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실행 시에,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웹 브라우저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제1 포맷으로 제1 웹 페이지 표시하고, 상기 제1 웹 페이지는 제1 입력 필드 및 상기 제1 입력 필드를 나타내는 제1 마크업(markup) 언어 태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입력 필드와 연관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메모리에 상기 사용자 입력을 적어도 일시적으로 저장하고, 상기 제1 웹페이지를 표시하는 것을 중단하고, 상기 웹 브라우저를 사용하여 제2 포맷으로 제2 웹페이지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거나 외부 디스플레이가 표시하도록 하고, 상기 제2 웹 페이지는 상기 제1 웹페이지의 컨텐츠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웹 페이지는 제2 입력 필드 및 상기 제2 입력 필드를 나태는 제2 마크업 언어 태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마크업 언어 태그 및 상기 제2 마크업 언어 태그를 비교하고, 상기 비교에 적어도 일부 기반하여, 상기 저장된 사용자 입력을 상기 제2 입력 필드에 또는 상기 제2 입력 필드를 위해 제공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할 수 있다.

Description

입력 필드에 입력된 데이터를 관리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An electronic device and a method for managing input data inputted into input field}
본 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은, 전자 장치가 웹 페이지에 포함된 입력 필드에 입력된 데이터를 관리하는 기술과 관련된다.
스마트폰, 태블릿 PC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 등의 모바일 전자 장치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전자 장치는 통화, 무선 통신, 동영상 재생, 또는, 웹 검색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독립적으로 사용될 수도 있고,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예: 모니터, 또는 TV 등)에 연결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모니터 또는 TV 등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에 전자 장치의 컨텐츠(예: 이미지, 또는 텍스트 등)를 출력할 수 있다.
전자 장치가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입력 필드를 포함하는 UI를 표시하는 중에 전자 장치는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결될 수 있다. 일 예에서, 전자 장치가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결되면, 전자 장치는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을 종료 후 다시 실행하거나, 표시 되던 UI와 다른 UI를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일 예에서, 입력 필드에 데이터가 입력된 상태에서 전자 장치가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결되면, 입력된 데이터가 유실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전자 장치는 user agent가 변경되는 등의 이벤트가 발생 시, 표시되어 있던 웹 페이지가 종료되고, 다른 포맷의 웹 페이지가 표시될 수 있다. 이 경우, 입력 필드에 데이터가 입력된 데이터가 유실될 수 있다.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서는, 전자 장치가 제 1 포맷의 웹 페이지에 포함된 입력 필드에 입력되었던 데이터를 제 2 포맷의 웹 페이지에 포함된 입력 필드에 입력하기 위해 상기 데이터를 관리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디스플레이, 통신 회로, 상기 디스플레이 및 통신 회로와 기능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와 기능적으로 연결되고 웹 브라우저 프로그램을 저장하도록 구성된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실행 시에,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웹 브라우저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제1 포맷으로 제1 웹 페이지 표시하고, 상기 제1 웹 페이지는 제1 입력 필드 및 상기 제1 입력 필드를 나타내는 제1 마크업(markup) 언어 태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입력 필드와 연관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메모리에 상기 사용자 입력을 적어도 일시적으로 저장하고, 상기 제1 웹페이지를 표시하는 것을 중단하고, 상기 웹 브라우저를 사용하여 제2 포맷으로 제2 웹페이지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거나 외부 디스플레이가 표시하도록 하고, 상기 제2 웹 페이지는 상기 제1 웹페이지의 컨텐츠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웹 페이지는 제2 입력 필드 및 상기 제2 입력 필드를 나태는 제2 마크업 언어 태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마크업 언어 태그 및 상기 제2 마크업 언어 태그를 비교하고, 상기 비교에 적어도 일부 기반하여, 상기 저장된 사용자 입력을 상기 제2 입력 필드에 또는 상기 제2 입력 필드를 위해 제공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에 개시되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실행 시에, 상기 프로세서가, 제1 구동 환경에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에(on) 제1 입력 필드를 포함하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제1 UI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제1 UI는 상기 제1 입력 필드에 대응하는 제1 식별자를 가짐,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를 통해(via) 상기 제1 입력 필드에 데이터를 입력 받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환경이 상기 제1 구동 환경에서 제2 구동 환경으로 변경되는 이벤트를 감지하고, 상기 이벤트의 감지에 응답하여, 상기 제2 구동 환경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상기 제2 구동 환경에서 상기 전자 장치와 기능적으로 연결되는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에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제2 UI가 표시되도록, 상기 제2 UI와 관련된 데이터를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제2 UI는 제2 입력 필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2 UI는 상기 제2 입력 필드에 대응하는 제2 식별자를 가짐, 상기 제1 식별자와 상기 제2 식별자가 서로 동일하거나 대응되면, 상기 제1 입력 필드에 입력된 상기 데이터를 상기 제2 입력 필드에 입력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에 개시되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데이터 입력 방법은, 제1 구동 환경에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동작, 상기 제1 입력 필드를 포함하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제1 UI를 디스플레이하는 동작, 상기 제1 UI는 상기 제1 입력 필드에 대응하는 제1 식별자를 가짐, 상기 제1 입력 필드에 데이터를 입력 받는 동작,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환경이 상기 제1 구동 환경에서 제2 구동 환경으로 변경되는 이벤트를 감지하는 동작, 상기 이벤트의 감지에 응답하여, 상기 제2 구동 환경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동작, 상기 제2 구동 환경에서 상기 전자 장치와 기능적으로 연결되는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에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제2 UI가 표시되도록, 상기 제2 UI와 관련된 데이터를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는 동작, 상기 제2 UI는 제2 입력 필드 및 상기 제2 입력 필드에 대응하는 제2 식별자를 가짐, 및 상기 제1 식별자와 상기 제2 식별자가 서로 동일하거나 대응되면, 상기 제1 입력 필드에 입력된 상기 데이터를 상기 제2 입력 필드에 입력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어플리케이션이 재시작되어도 입력 필드에 입력된 데이터를 자동으로 관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자동으로 입력되지 않은 데이터를 포함하는 리스트를 표시하여 사용자가 편리하게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는 입력 필드에 적합한 순서로 데이터 리스트를 표시하여 편의성을 향상할 수 있다.
이 외에, 본 문서를 통해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파악되는 다양한 효과들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a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제1 입력 필드들을 포함하는 제1 UI를 표시하는 전자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b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제2 입력 필드들을 포함하는 제2 UI를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표시하는 전자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를 관리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a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제1 입력 필드들 중 하나에 데이터가 입력된 제1 UI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b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도 4a에 도시된 제1 UI의 HTML 코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a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제2 입력 필드들을 포함하는 제2 UI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b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도 5a에 도시된 제2 UI의 HTML 코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c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제2 입력 필드들 중 하나에 데이터가 입력된 제2 UI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a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제1 입력 필드들 중 일부에 데이터가 표시된 제1 UI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b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가 입력되는 제2 입력 필드에 대응되는 위치에 데이터 리스트가 표시된 제2 UI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c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에 대응하는 제1 입력 필드의 식별자를 더 포함하는 데이터 리스트가 표시된 제2 UI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d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제2 UI 위에 데이터 리스트가 팝업 형태로 표시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e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중 제2 입력 필드에 기 입력된 데이터를 제외한 나머지 데이터를 포함하는 데이터 리스트가 표시된 제2 UI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a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제2 입력 필드들 중 일부에 데이터가 표시된 제2 UI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b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구동 환경에서 표시되는 제1 UI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c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입력 필드에 대한 선택 입력에 따라 가상 키보드 및 데이터 리스트가 표시된 제1 UI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를 관리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9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 내의 전자 장치의 블럭도이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또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 균등물(equivalent),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110), 메모리(120), 입력 인터페이스(130), 출력 인터페이스(140) 및 프로세서(16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통신 회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110)는 어플리케이션(예: 브라우저)의 실행 화면 등을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디스플레이(110)는 터치 패널과 함께 구현(예: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touch screen display) 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가 구현된 경우,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는 소프트 입력 패널(soft input panel)을 표시하고, 소프트 입력 패널을 통해 데이터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메모리(120)는 프로세서(16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프로세서(160)에 의해 실행되는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메모리(120)는 프로세서(160)에 의해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예: 웹 브라우저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입력 인터페이스(130)는 입력 필드에 입력되는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에 입력 인터페이스(130)를 통해 키보드 또는 마우스와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출력 인터페이스(140)는 전자 장치와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를 기능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60)는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을 출력 인터페이스(140)를 통해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60)는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에 어플리케이션의 UI가 표시되도록 UI와 관련된 데이터를 출력 인터페이스(140)를 통해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통신 회로(150)는 외부 디스플레이와 전자 장치(100) 간의 통신을 가능케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50)는 통신 회로(150)를 통해 UI와 관련된 데이터를 외부 디스플레이로 전송하고, 외부 디스플레이가 UI를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프로세서(160)는 메모리(120)에 저장된 명령어들을 실행하여, 후술될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100)가 통신 회로(15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통신 회로(150)(예: 유선 통신 회로 또는 무선 통신 회로)를 통해 외부 입력 장치 또는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100)는 통신 회로(150)를 통해 외부 입력 장치와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60)는 무선으로 연결된 외부 입력 장치로부터 데이터 리스트에 포함된 데이터를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100)가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결되면, 프로세서(160)는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이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되도록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을 통신 회로를 통해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도 2a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제1 입력 필드들을 포함하는 제1 UI를 표시하는 전자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200)(예: 도 1의 전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210)(예: 도 1의 디스플레이(110)) 및 입력 인터페이스(220a)(예: 도 1의 입력 인터페이스(13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60)는 제1 구동 환경(예: 전자 장치에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가 연결되지 않은 환경)에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어플리케이션의 제1 UI(220a)를 디스플레이(210)에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UI(220a)는 하나 이상의 제1 입력 필드들(221a, 222a, 223a)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제1 입력 필드들(221a, 222a, 223a)은 텍스트 입력 타입의 입력 필드, 숫자 입력 타입의 입력 필드, 선택 입력 타입의 입력 필드 또는 그 외의 다른 타입의 입력 필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름 입력을 위한 제1 입력 필드(221a)은 텍스트 입력 타입의 입력 필드일 수 있고, 생년월일 입력을 위한 제1 입력 필드(222a)은 숫자 입력 타입의 입력 필드일 수 있다. 성별 입력을 위한 제1 입력 필드(223a)은 선택 입력 타입의 입력 필드일 수 있다.
도 2b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제2 입력 필드들을 포함하는 제2 UI를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표시하는 전자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b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200)는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300) 및 외부 입력 장치(400a, 400b)(예: 마우스 또는 키보드 등)와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200)는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300)와 출력 인터페이스(140)를 통해 유선으로 연결되거나, 무선 통신 회로를 통해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60)는 어플리케이션의 UI와 관련된 데이터를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300)로 전송하여, 어플리케이션의 UI가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300)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도 2b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은 도 2a에서 프로세서(160)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과 동일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200)는 외부 입력 장치(400a, 400b)와 입력 인터페이스(130)를 통해 유선으로 연결되거나, 무선 통신 회로를 통해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60)는 외부 입력 장치(400a, 400b)를 통해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60)는 제2 구동 환경(예: 전자 장치에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300)가 연결된 환경)에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어플리케이션의 제2 UI(220b)와 관련된 데이터를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300)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300)는 제2 UI(220b)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UI(220b)는 하나 이상의 제2 입력 필드들(221b, 222b, 223b)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제2 입력 필드들(221b, 222b, 223b)은 텍스트 입력 타입의 입력 필드, 숫자 입력 타입의 입력 필드 또는 선택 입력 타입의 입력 필드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60)는, 도 2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구동 환경에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디스플레이에 어플리케이션의 제1 UI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160)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환경이 제2 구동 환경으로 변경되면,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에 어플리케이션의 제2 UI가 표시되도록, 제2 UI와 관련된 데이터를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를 관리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1의 전자 장치(100)가 도 3의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것을 가정한다. 또 다른 예로, 도 3의 설명에서, 전자 장치(100)에 의해 수행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은 전자 장치(100)의 프로세서(160)에 의해 제어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0)에 의해 수행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은 전자 장치(100)의 프로세서(160)에 의해 수행(혹은, 실행)될 수 있는 인스트럭션(명령어)들로 구현될 수 있다. 인스트럭션들은, 예를 들어, 컴퓨터 기록 매체 또는 도 1에 도시된 전자 장치(100)의 메모리(120)에 저장될 수 있다.
동작 301에서, 프로세서(160)는 제1 구동 환경에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구동 환경은 전자 장치(100)에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가 연결되지 않은 환경일 수 있다.
동작 303에서, 프로세서(160)는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에 제1 입력 필드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제1 UI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UI는 복수의 제1 입력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UI는 제1 입력 필드에 대응하는 제1 식별자(예: ID 또는 Class 등), 제1 입력 필드의 타입(예: 텍스트 입력 타입, 숫자 입력 타입 또는 선택 입력 타입 등) 또는 제1 입력 필드에 입력될 수 있는 데이터의 타입 정보(예: 제1 입력 필드에 입력될 수 있는 데이터는 숫자 데이터라는 것을 나타내는 타입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동작 305에서, 프로세서(160)는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를 통해 제1 입력 필드에 데이터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60)는 외부 입력 장치를 통해 제1 입력 필드에 데이터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제1 입력 필드가 복수 개인 경우, 프로세서(160)는 복수 개의 제1 입력 필드 중 일부에 데이터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60)는 입력된 데이터를 메모리(120)에 적어도 일시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동작 307에서, 프로세서(160)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환경이 제1 구동 환경에서 제2 구동 환경으로 변경되는 이벤트를 감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구동 환경은 전자 장치(100)가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결되는 환경 등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60)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환경이 제1 구동 환경에서 제2 구동 환경으로 변경되는 이벤트를 감지하면, 제1 입력 필드에 입력된 데이터를 메모리(120)에 적어도 일시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동작 309에서, 프로세서(160)는 이벤트의 감지에 응답하여, 제2 구동 환경에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60)는 이벤트의 감지에 응답하여, 데이터가 입력된 적어도 하나의 제1 입력 필드가 가지는 정보 및 제1 입력 필드에 입력된 데이터를 메모리(120)에 저장할 수 있다.
동작 311에서, 프로세서(160)는 제2 UI와 관련된 데이터를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프로세서(160)는 제2 UI와 관련된 데이터를 전송함으로써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에 어플리케이션의 제2 UI가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UI는 복수의 제2 입력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UI는 제2 입력 필드에 대응하는 제2 식별자, 제2 입력 필드의 타입 또는 제2 입력 필드에 입력될 수 있는 데이터의 타입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동작 313에서, 프로세서(160)는 제1 식별자와 제2 식별자가 서로 동일하거나 대응되면, 제1 입력 필드에 입력된 데이터를 제2 입력 필드에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60)는 제1 UI에서 제1 식별자로써 “last name”이라는 ID를 갖는 제1 입력 필드에 데이터 “Lee”를 입력 받을 수 있다(동작 305). 실시 예에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환경이 제2 구동 환경으로 변경되면, 프로세서(160)는 제2 UI에서 제2 식별자로써 “last name”이라는 ID 를 갖는 제2 입력 필드에 “last name”이라는 ID를 갖는 제1 입력 필드에 입력되었던 데이터 “Lee”를 입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160)는 제1 식별자와 제2 식별자가 서로 동일하지 않거나, 대응되지 않고(예를 들어, 제1 입력 필드의 ID와 제2 입력 필드의 ID가 서로 동일하지 않거나 대응되지 않고), 제1 입력 필드의 타입과 제2 입력 필드의 타입이 동일하면, 제1 입력 필드에 입력된 데이터를 제2 입력 필드에 입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입력 필드의 ID 와 서로 동일하거나 대응되는 ID를 갖는 제2 입력 필드가 제2 UI에 없는 경우, 프로세서(160)는 제1 입력 필드에 입력된 데이터를 제1 입력 필드의 클래스(class)와 서로 동일하거나 대응되는 클래스를 갖는 제2 입력 필드에 입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입력 필드의 식별자와 서로 동일하거나 대응되는 식별자를 갖는 제2 입력 필드가 제2 UI에 없는 경우, 프로세서(160)는 숫자 입력 타입의 제1 입력 필드에 입력된 데이터를 제2 UI의 숫자 입력 타입의 제2 입력 필드에 입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160)는 제1 식별자와 제2 식별자가 서로 동일하지 않거나, 대응되지 않고, 제1 입력 필드에 입력될 수 있는 데이터의 타입 정보와 제2 입력 필드에 입력될 수 있는 데이터의 타입 정보가 동일하거나 대응되면, 제1 입력 필드에 입력된 데이터를 제2 입력 필드에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입력 필드의 제1 식별자와 서로 동일하거나 대응되는 제2 식별자를 갖는 제2 입력 필드가 제2 UI에 없는 경우, 프로세서(160)는 영문자(english character)만이 입력될 수 있는 제1 입력 필드에 입력된 데이터를 영문자만이 입력될 수 있는 제2 입력 필드에 입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입력 필드는 각 노드(node)가 식별자를 갖는 제1 트리 구조의 자식 노드에 대응하고, 제2 입력 필드는 각 노드가 식별자를 갖는 제2 트리 구조의 자식 노드에 대응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입력 필드에 대응되는 노드의 부모 노드(parent node)는 라벨(label) 노드이고, 라벨 노드의 부모 노드는 필드 셋(fieldset) 노드이고, 필드 셋 노드의 부모 노드는 디브(div) 노드이고, 디브 노드의 부모 노드는 폼(form) 노드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라벨 노드, 필드 셋 노드, 디브 노드 및 폼 노드는 모두 입력 필드에 대응되는 자식 노드의 부모 노드에 해당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식별자와 제2 식별자가 서로 동일하지 않거나, 대응되지 않고, 제1 입력 필드에 대응하는 자식 노드의 부모 노드의 식별자와 제2 입력 필드에 대응하는 자식 노드의 부모 노드의 식별자가 서로 동일하거나 대응되면, 프로세서(160)는 제1 입력 필드에 입력된 데이터를 제2 입력 필드에 입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60)는 제1 입력 필드와 제2 입력 필드가 서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지를 판단하기 위해, 부모 노드의 식별자(예: 부모 노드의 tag, id, 또는 class)를 이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a 내지 도 5c를 참조하여, 제1 입력 필드에 대응하는 자식 노드의 부모 노드의 식별자 및 제2 입력 필드에 대응하는 자식 노드의 부모 노드의 식별자를 이용하여 프로세서(160)가 제1 입력 필드에 입력된 데이터를 제2 입력 필드에 입력하는 실시 예를 설명한다.
도 4a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제1 입력 필드들 중 하나에 데이터가 입력된 제1 UI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b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도 4a에 도시된 제1 UI의 HTML 코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a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제2 입력 필드들을 포함하는 제2 UI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b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도 5a에 도시된 제2 UI의 HTML 코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c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제2 입력 필드들 중 하나에 데이터가 입력된 제2 UI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a는 도 3의 동작 305가 수행된 후의 디스플레이(110)에 표시된 제1 UI일 수 있다. 도 4a를 참조하면, 복수의 제1 입력 필드들 중 성(Last name) 입력을 위한 id로 “Lastname”을 갖는 제1 입력 필드(411)에 데이터 “Lee”가 입력되어 있다.
도 4b를 참조하면, 성 입력을 위한 제1 입력 필드(411)에 대응하는 자식 노드(421)의 부모 노드는 라벨 노드(422)이고, 라벨(label) 노드(422)의 id는 “lastname-label”일 수 있다. 라벨 노드(422)의 부모 노드는 필드 셋(fieldset) 노드(423)이고, 필드 셋 노드(423)의 id는 없을 수 있다. 필드 셋 노드(423)의 부모 노드인 디브(div) 노드(424)의 id는 “name-form-element”일 수 있다. 디브 노드(424)의 부모 노드는 폼(form) 노드(425)이고, 폼 노드(425)의 id는 “createaccount”일 수 있다.
도 5a는 도 3의 동작 307 후, 동작 309 전의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될 수 있는 제2 UI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제2 UI는 복수의 제2 입력 필드들(510)을 포함한다.
도 5b를 참조하면, 제1 입력 필드(411)의 id인 “Lastname”과 동일한 id를 갖는 노드가 없을 수 있다. 도 5b를 참조하면, 폼 노드(521)의 id는 “createaccount”이다. 디브 노드(522)의 id는 “name-form-element”일 수 있다. 필드셋 노드(523)는 id를 갖지 않을 수 있다. 라벨 노드(524)의 id는 “lastname-label”일 수 있다. 라벨 노드(524)의 자식 노드(525)의 id는 “Lastname2”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60)는 제1 입력 필드의 id인 “Lastname”과 동일한 id를 갖는 노드가 없으므로, 제1 입력 필드에 대응하는 자식 노드의 부모 노드인 라벨 노드(422)의 id인 “lastname-label”를 이용하여 데이터 “Lee”를 입력할 제2 입력 필드를 결정할 수 있다.
도 5b를 참조하면, id “lastname-label”를 갖는 라벨 노드(524)가 있으므로, 프로세서(160)는 라벨 노드(524)의 자식 노드(525)에 대응하는 제2 입력 필드에 “Lee”를 입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도 5c에 도시된 것과 같이, 프로세서(160)는 id “lastname-label”를 갖는 라벨 노드(524)의 자식 노드(525)에 대응하는 제2 입력 필드(531)에 제1 UI에서 입력된 데이터 “Lee”를 입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식별자와 제2 식별자가 서로 동일하지 않거나, 대응되지 않는 경우(예: 제1 입력 필드의 ID와 제2 입력 필드의 ID가 서로 동일하지 않거나 대응되지 않고), 프로세서(160)는 제1 입력 필드의 주변 정보 및 제2 입력 필드의 주변 정보를 이용하여 제1 입력 필드에 입력된 데이터를 제2 입력 필드에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60)는 제1 필드의 주변 정보와 동일하거나 대응되는 주변 정보와 연관된 제2 필드에 제1 입력 필드에 입력된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입력 필드의 주변 정보는 웹 페이지에서 입력 필드를 주변(예: 입력 필드의 상단)에 표시되는 텍스트일 수 있다.
도 6a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제1 입력 필드들 중 하나에 데이터가 입력된 제1 UI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b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제2 입력 필드들 중 하나에 데이터가 입력된 제2 UI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a는 도 3의 동작 305가 수행된 후의 디스플레이(110)에 표시된 제1 UI일 수 있다. 도 6a를 참조하면, 복수의 제1 입력 필드들 중 이메일 주소 입력을 위한 id로 "email"을 갖는 제1 입력 필드(611)에 데이터 "lee@samsung.com"이 입력되어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데이터가 입력된 제1 입력 필드(611)의 상단에는 "이메일 주소"라는 텍스트(612)가 표시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입력 필드(611)와 "이메일 주소"라는 텍스트(612)는 서로 연관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도 3의 동작 307 내지 동작 311 후, 동작 313에서, 프로세서(160)는 제1 입력 필드(611)의 주변 정보에 해당하는 "이메일 주소"라는 텍스트(612)와 동일하거나 대응되는 주변 정보와 연관된 제2 입력 필드에 제1 입력 필드(611)에 데이터 "lee@samsung.com"를 입력할 수 있다.
도 6b를 참조하면, 제2 UI 내에 에이메일 주소"라는 텍스트(622)가 표시되고, 주변 정보인 "이메일 주소"라는 텍스트(622) 하단에 제2 입력 필드(612)가 배치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60)는 제1 UI 내 제1 입력 필드(611)의 주변 정보인 "이메일 주소"라는 텍스트(612)에 대응하는 제2 UI 내 "이메일 주소"라는 텍스트(622)와 연관된 제2 입력 필드(621)에 "lee@samsung.com"을 입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UI는 복수의 제1 입력 필드를 포함하고, 제2 UI는 하나 이상의 제2 입력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160)는 복수의 제1 입력 필드 중 적어도 하나에 데이터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제1 입력 필드의 제1 식별자와 서로 동일하거나 대응되는 제2 식별자가 제2 UI에 없으면, 프로세서(160)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입력 필드에 입력된 데이터를 포함하는 데이터 리스트가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되도록, 데이터 리스트와 관련된 데이터를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60)는 외부 입력 장치를 통해 데이터 리스트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제1 입력 필드에 입력된 데이터를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하고, 선택된 데이터를 제2 입력 필드에 입력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7a 내지 도 7e를 참조하여, 프로세서(160)가 제1 입력 필드에 입력된 데이터를 포함하는 데이터 리스트를 표시하고, 선택된 데이터를 제2 입력 필드에 입력하는 실시 예를 설명한다.
도 7a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제1 입력 필드들 중 일부에 데이터가 표시된 제1 UI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b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가 입력되는 제2 입력 필드에 대응되는 위치에 데이터 리스트가 표시된 제2 UI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c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에 대응하는 제1 입력 필드의 식별자를 더 포함하는 데이터 리스트가 표시된 제2 UI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d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제2 UI 위에 데이터 리스트가 팝업 형태로 표시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e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중 제2 입력 필드에 기 입력된 데이터를 제외한 나머지 데이터를 포함하는 데이터 리스트가 표시된 제2 UI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a는 도 3의 동작 305가 수행된 후의 디스플레이(110)에 표시된 화면일 수 있다. 도 7a를 참조하면, 복수의 제1 입력 필드들(710) 중 성(Last name) 입력을 위한 제1 입력 필드(711)에 데이터 'Lee'가 입력되고, 이름(First name) 입력을 위한 제1 입력 필드(712)에 데이터 'Samsung'이 입력되고, 생년 입력을 위한 제1 입력 필드(713)에 데이터 '1988'이 입력되고, 생일 입력을 위한 제1 입력 필드(714)에 데이터 '18'이 입력되어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도 3의 동작 307 후, 동작 309에서, 프로세서(160)는 아래에 설명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데이터 리스트는 “Lee”, “Samsung”, “1988” 및 “18”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60)는, 도 7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선택된 데이터가 입력될 제2 입력 필드(721)에 대응되는 위치에 데이터 리스트(722)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도 7b에서 데이터가 입력되는 제2 입력 필드는 이름 입력을 위한 제2 입력 필드(721)이고, 프로세서(160)는 이름 입력을 위한 제2 입력 필드(721)의 아래에 데이터 리스트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60)는 데이터 리스트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중 하나를 선택하는 입력을 획득하고, 선택된 데이터를 제2 입력 필드(721)에 입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60)는 데이터가 입력된 시간 순서로 데이터 리스트에서 데이터가 배열되는 순서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b에 도시된 데이터 리스트에서 데이터가 입력된 시간 순서는 “Lee”(722a), “Samsung”(722b), “1988”(722c) 및 “18”(722d) 순서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도 7c에 도시된 것과 같이, 데이터 리스트는 데이터에 대응하는 제1 입력 필드의 식별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c에 도시된 것과 같이, 데이터 리스트는 “Lee”(731a)에 대응하는 제1 입력 필드의 id인 “Last name” (731b)을 더 포함하고, “Samsung” (732a)에 대응하는 제1 입력 필드의 id인 “First name” (732b)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데이터 리스트는 “1988” (733a)에 대응하는 제1 입력 필드의 id인 “Birth year” (733b)을 더 포함하고, “18” (734a)에 대응하는 제1 입력 필드의 id인 “Birth day” (734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60)는, 도 7d에 도시된 것과 같이, 데이터 리스트(741)을 팝업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프로세서(160)는 데이터 리스트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중 하나를 선택하는 입력을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60)는 선택된 데이터를 복수의 제2 입력 필드들 중 커서(742)가 위치하는 제2 입력 필드(743)에 입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데이터 리스트는 복수의 제1 입력 필드에 입력된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제2 입력 필드에 입력된 데이터를 제외한 나머지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e를 참조하면, 복수의 제1 입력 필드에 입력된 데이터인 “Lee”, “Samsung”, “1988” 및 “18” 중 “Lee”(751) 및 “18”(752)이 제2 입력 필드에 입력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60)는, 도 7e에 도시된 것과 같이, 입력된 “Lee”(751) 및 “18”(752)를 제외한 나머지 데이터인 “Samsung”(753) 및 “1988”(754)를 포함하는 데이터 리스트(755)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60)는 표시된 데이터 리스트에 포함된 데이터를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하고, 선택된 데이터를 제2 입력 필드에 입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의 디스플레이에 제1 UI가 표시되던 중에 전자 장치(100)에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가 연결되어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에 제2 UI가 표시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에 제2 입력 필드를 포함하는 제2 UI가 표시되고, 제2 입력 필드에 데이터가 입력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데이터가 입력된 제2 입력 필드를 포함하는 제2 UI가 표시되는 중에 전자 장치(100)와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의 연결이 해제될 수 있고, 프로세서(160)는 제1 입력 필드를 포함하는 제1 UI를 디스플레이(110)에 표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60)는 제2 입력 필드에 입력된 데이터를 제1 입력 필드에 입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60)는 전술된 방법을 이용하여 제2 입력 필드에 입력된 데이터를 제1 입력 필드에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60)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환경이 제2 구동 환경(예: 전자 장치(100)에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가 연결된 환경)에서 제1 구동 환경(예: 전자 장치(100)에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가 연결되지 않은 환경)으로 변경되는 이벤트를 감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160)는 이벤트의 감지에 응답하여, 제1 구동 환경에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160)는 제1 UI를 디스플레이(110)에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160)는 제2 입력 필드의 제2 식별자와 제1 입력 필드의 제1 식별자가 서로 동일하거나 대응되면, 제2 입력 필드에 입력된 데이터를 제1 입력 필드에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입력 필드의 id와 제1 입력 필드의 id가 서로 동일하거나 대응되면, 제2 입력 필드에 입력된 데이터를 제1 입력 필드에 입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제2 입력 필드의 제2 식별자와 서로 동일하거나 대응되는 제1 식별자가 제1 UI에 없으면, 프로세서(160)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입력 필드에 입력된 데이터를 포함하는 데이터 리스트를 디스플레이(110)에 표시할 수 있다.
도 8a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제2 입력 필드들 중 일부에 데이터가 표시된 제2 UI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b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구동 환경에서 표시되는 제1 UI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c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입력 필드에 대한 선택 입력에 따라 가상 키보드 및 데이터 리스트가 표시된 제1 UI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a를 참조하면, 복수의 제2 입력 필드들(810) 중 성(last name) 입력을 위한 제2 입력 필드(811)에 데이터 'Lee'가 입력되고, 이름(first name) 입력을 위한 제2 입력 필드(812)에 데이터 'Samsung'이 입력되고, 생년 입력을 위한 제2 입력 필드(813)에 데이터 '1988'이 입력되고, 생일 입력을 위한 제2 입력 필드(814)에 데이터 '18'이 입력되어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60)는 입력된 데이터 'Lee', 'Samsung', '1988' 및 '18'과 각 데이터가 입력된 제2 입력 필드의 식별자를 메모리(120)에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환경이 제2 구동 환경에서 제1 구동 환경으로 변경되면, 프로세서(160)는 도 8b와 같은 제1 UI를 디스플레이(110)에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60)는 제1 입력 필드(821)를 선택하는 터치 입력(822)을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60)는 선택된 제1 입력 필드(831)에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가상 키보드(832) 및 데이터 리스트(833)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데이터 리스트(833)는 제2 입력 필드에 입력되었던 'Lee'(833a), 'Samsung'(833b), '1988'(833c) 및 '18'(833d)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60)는 데이터 리스트(833)에 포함된 데이터 중 하나를 선택하는 터치 입력을 수신할 수 있고, 선택된 데이터를 제1 입력 필드(831)에 입력할 수 있다.
도 9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를 관리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동작 901에서, 프로세서(160)는 웹 브라우저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제1 포맷으로 제1 웹 페이지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웹 페이지는 제1 입력 필드 및 제1 입력 필드를 나타내는 제1 마크업(markup) 언어 태그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포맷은 PC와 함께 사용되기 위한 풀 포맷(full format) 또는 모바일 장치와 함께 사용되기 위한 모바일 포맷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마크업 언어 태그는 HTML(hypertext markup language) 형식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동작 901은 도 3의 동작 301 및 동작 303에 대응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동작 901의 웹 브라우저 프로그램은 동작 301 및 동작 303의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동작 901의 제1 웹 페이지는 동작 303의 제1 UI에 대응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동작 901의 제1 마크업 언어 태그는 동작 303의 제1 식별자, 제1 입력 필드의 타입 또는 제1 입력 필드에 입력될 수 있는 데이터의 타입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될 수 있다.
동작 903에서, 프로세서(160)는 제1 입력 필드와 연관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동작 903은 도 3의 동작 305에 대응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동작 903의 사용자 입력은 동작 305에서 입력되는 데이터에 대응될 수 있다.
동작 905에서, 프로세서(160)는 메모리(120)에 사용자 입력을 적어도 일시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60)는 사용자 입력을 XML 포맷으로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동작 905는 도 3의 동작 305에서 입력된 데이터가 적어도 일시적으로 저장되는 동작에 대응될 수 있다.
동작 907에서, 프로세서(160)는 제1 웹페이지를 표시하는 것을 중단하면서, 웹 브라우저를 사용하여 제2 포맷으로 제2 웹페이지를 표시하거나 외부 디스플레이가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웹 페이지는 제1 웹페이지의 컨텐츠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고, 제2 웹 페이지는 제2 입력 필드 및 제2 입력 필드를 나태는 제2 마크업 언어 태그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포맷이 풀 포맷일 때 제2 포맷은 모바일 포맷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포맷이 모바일 포맷일 때 제2 포맷은 풀 포맷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60)는 외부 디스플레이가 통신 회로를 통해 전자 장치에 연결됨을 감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60)는 연결 감지에 응답하여, 제1 웹 페이지를 표시하는 것을 중단하고 외부 디스플레이가 제2 웹 페이지를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60)는 연결 감지 전 또는 후에 제1 웹 페이지의 마크업 언어 코드의 부분을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저장되는 마크업 언어 코드의 부분은 제1 마크업 언어 태그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동작 907은 도 3의 동작 307 및 동작 311에 대응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동작 907의 외부 디스플레이가 통신 회로를 통해 전자 장치에 연결됨을 감지하는 동작은 동작 307의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환경이 제1 구동 환경에서 제2 구동 환경으로 변경되는 이벤트를 감지하는 동작에 대응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동작 907의 제2 웹 페이지는 동작 311의 제2 UI에 대응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동작 907의 제2 마크업 언어 태그는 동작 311의 제2 식별자, 제2 입력 필드의 타입 또는 제2 입력 필드에 입력될 수 있는 데이터의 타입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동작 907의 제2 웹페이지를 표시하거나 외부 디스플레이가 표시하도록 하는 동작은 동작 311의 제2 UI와 관련된 데이터를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는 동작에 대응될 수 있다.
동작 909에서, 프로세서(160)는 제1 마크업 언어 태그 및 제2 마크업 언어 태그를 비교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동작 909는 도 3의 동작 313에 대응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동작 909의 제1 마크업 언어 태그 및 제2 마크업 언어 태그를 비교하는 동작은 동작 313의 제1 식별자와 제2 식별자가 서로 동일하거나 대응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동작에 대응될 수 있다.
동작 911에서, 프로세서(160)는 제1 마크업 언어 태그 및 제2 마크업 언어 태그의 비교에 적어도 일부 기반하여, 저장된 사용자 입력을 제2 입력 필드에 또는 제2 입력 필드를 위해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60)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된 제1 입력 필드에 대응하는 제2 입력 필드에 사용자 입력을 입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60)는 저장된 사용자 입력을 표시하고, 사용자 선택에 따라 표시된 사용자 입력을 제2 입력 필드에 입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동작 911은 도 3의 동작 313에 대응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동작 911의 비교에 적어도 일부 기반하여, 저장된 사용자 입력을 제2 입력 필드에 또는 제2 입력 필드를 위해 제공하는 동작은 동작 313의 제1 식별자와 제2 식별자가 서로 동일하거나 대응되면, 제1 입력 필드에 입력된 데이터를 제2 입력 필드에 입력하는 동작에 대응될 수 있다.
도 10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1000) 내의 전자 장치(1001)의 블럭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네트워크 환경(1000)에서 전자 장치(1001)는 제 1 네트워크(1098)(예: 근거리 무선 통신)를 통하여 전자 장치(1002)와 통신하거나, 또는 제 2 네트워크(1099)(예: 원거리 무선 통신)를 통하여 전자 장치(1004) 또는 서버(1008)와 통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1)는 서버(1008)를 통하여 전자 장치(1004)와 통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1)는 프로세서(1020), 메모리(1030), 입력 장치(1050), 음향 출력 장치(1055), 표시 장치(1060), 오디오 모듈(1070), 센서 모듈(1076), 인터페이스(1077), 햅틱 모듈(1079), 카메라 모듈(1080), 전력 관리 모듈(1088), 배터리(1089), 통신 모듈(1090), 가입자 식별 모듈(1096), 및 안테나 모듈(1097)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전자 장치(1001)에는, 이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예: 표시 장치(1060) 또는 카메라 모듈(1080))가 생략되거나 다른 구성 요소가 추가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예를 들면, 표시 장치(1060)(예: 디스플레이)에 임베디드된 센서 모듈(1076)(예: 지문 센서, 홍채 센서, 또는 조도 센서)의 경우와 같이, 일부의 구성요소들이 통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1020)는, 예를 들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040))를 구동하여 프로세서(1020)에 연결된 전자 장치(1001)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예: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을 제어할 수 있고, 다양한 데이터 처리 및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1020)는 다른 구성요소(예: 센서 모듈(1076) 또는 통신 모듈(1090))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1032)에 로드하여 처리하고, 결과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1034)에 저장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020)는 메인 프로세서(1021)(예: 중앙 처리 장치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및 이와는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메인 프로세서(1021)보다 저전력을 사용하거나, 또는 지정된 기능에 특화된 보조 프로세서(1023)(예: 그래픽 처리 장치,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센서 허브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보조 프로세서(1023)는 메인 프로세서(1021)와 별개로 또는 임베디드되어 운영될 수 있다.
이런 경우, 보조 프로세서(1023)는, 예를 들면, 메인 프로세서(1021)가 인액티브(예: 슬립)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021)를 대신하여, 또는 메인 프로세서(1021)가 액티브(예: 어플리케이션 수행)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021)와 함께, 전자 장치(1001)의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표시 장치(1060), 센서 모듈(1076), 또는 통신 모듈(1090))와 관련된 기능 또는 상태들의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보조 프로세서(1023)(예: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는 기능적으로 관련 있는 다른 구성 요소(예: 카메라 모듈(1080) 또는 통신 모듈(1090))의 일부 구성 요소로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1030)는, 전자 장치(10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020) 또는 센서모듈(1076))에 의해 사용되는 다양한 데이터,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040)) 및, 이와 관련된 명령에 대한 입력 데이터 또는 출력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030)는, 휘발성 메모리(1032)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1034)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1040)은 메모리(1030)에 저장되는 소프트웨어로서, 예를 들면, 운영 체제(1042), 미들 웨어(1044) 또는 어플리케이션(1046)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장치(1050)는, 전자 장치(1001)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020))에 사용될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전자 장치(1001)의 외부(예: 사용자)로부터 수신하기 위한 장치로서, 예를 들면, 마이크, 마우스, 또는 키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음향 출력 장치(1055)는 음향 신호를 전자 장치(1001)의 외부로 출력하기 위한 장치로서, 예를 들면, 멀티미디어 재생 또는 녹음 재생과 같이 일반적인 용도로 사용되는 스피커와 전화 수신 전용으로 사용되는 리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리시버는 스피커와 일체 또는 별도로 형성될 수 있다.
표시 장치(1060)는 전자 장치(1001)의 사용자에게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장치로서,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홀로그램 장치, 또는 프로젝터 및 해당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표시 장치(1060)는 터치 회로(touch circuitry) 또는 터치에 대한 압력의 세기를 측정할 수 있는 압력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모듈(1070)은 소리와 전기 신호를 쌍방향으로 변환시킬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오디오 모듈(1070)은, 입력 장치(1050) 를 통해 소리를 획득하거나, 음향 출력 장치(1055), 또는 전자 장치(1001)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02)(예: 스피커 또는 헤드폰))를 통해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센서 모듈(1076)은 전자 장치(1001)의 내부의 작동 상태(예: 전력 또는 온도), 또는 외부의 환경 상태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 또는 데이터 값을 생성할 수 있다. 센서 모듈(1076)은, 예를 들면, 제스처 센서, 자이로 센서, 기압 센서, 마그네틱 센서, 가속도 센서, 그립 센서, 근접 센서, 컬러 센서, IR(infrared) 센서, 생체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또는 조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1077)는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02))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할 수 있는 지정된 프로토콜을 지원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인터페이스(1077)는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USB(universal serial bus) 인터페이스, SD카드 인터페이스, 또는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단자(1078)는 전자 장치(1001)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02))를 물리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는 커넥터, 예를 들면, HDMI 커넥터, USB 커넥터, SD 카드 커넥터, 또는 오디오 커넥터(예: 헤드폰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햅틱 모듈(1079)은 전기적 신호를 사용자가 촉각 또는 운동 감각을 통해서 인지할 수 있는 기계적인 자극(예: 진동 또는 움직임) 또는 전기적인 자극으로 변환할 수 있다. 햅틱 모듈(1079)은, 예를 들면, 모터, 압전 소자, 또는 전기 자극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080)은 정지 영상 및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 모듈(1080)은 하나 이상의 렌즈, 이미지 센서,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또는 플래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전력 관리 모듈(1088)은 전자 장치(1001)에 공급되는 전력을 관리하기 위한 모듈로서, 예를 들면, PMIC(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의 적어도 일부로서 구성될 수 있다.
배터리(1089)는 전자 장치(10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장치로서, 예를 들면, 재충전 불가능한 1차 전지, 재충전 가능한 2차 전지 또는 연료 전지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1090)은 전자 장치(1001)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02), 전자 장치(1004), 또는 서버(1008))간의 유선 또는 무선 통신 채널의 수립, 및 수립된 통신 채널을 통한 통신 수행을 지원할 수 있다. 통신 모듈(1090)은 프로세서(1020)(예: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 독립적으로 운영되는,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하나 이상의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모듈(1090)은 무선 통신 모듈(1092)(예: 셀룰러 통신 모듈,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또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통신 모듈) 또는 유선 통신 모듈(1094)(예: LAN(local area network) 통신 모듈, 또는 전력선 통신 모듈)을 포함하고, 그 중 해당하는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제 1 네트워크(1098)(예: 블루투스, WiFi direct 또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같은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 또는 제 2 네트워크(1099)(예: 셀룰러 네트워크, 인터넷, 또는 컴퓨터 네트워크(예: LAN 또는 WAN)와 같은 원거리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 전자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상술한 여러 종류의 통신 모듈(1090)은 하나의 칩으로 구현되거나 또는 각각 별도의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 모듈(1092)은 가입자 식별 모듈(1096)에 저장된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전자 장치(1001)를 구별 및 인증할 수 있다.
안테나 모듈(1097)은 신호 또는 전력을 외부로 송신하거나 외부로부터 수신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안테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시예에 따르면, 통신 모듈(1090)(예: 무선 통신 모듈(1092))은 통신 방식에 적합한 안테나를 통하여 신호를 외부 전자 장치로 송신하거나,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상기 구성요소들 중 일부 구성요소들은 주변 기기들간 통신 방식(예: 버스, GPIO(general purpose input/output), SPI(serial peripheral interface), 또는 MIPI(mobile industry processor interface))를 통해 서로 연결되어 신호(예: 명령 또는 데이터)를 상호간에 교환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명령 또는 데이터는 제 2 네트워크(1099)에 연결된 서버(1008)를 통해서 전자 장치(1001)와 외부의 전자 장치(1004)간에 송신 또는 수신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02, 1004) 각각은 전자 장치(1001)와 동일한 또는 다른 종류의 장치일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1)에서 실행되는 동작들의 전부 또는 일부는 다른 하나 또는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에서 실행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1)가 어떤 기능이나 서비스를 자동으로 또는 요청에 의하여 수행해야 할 경우에, 전자 장치(1001)는 기능 또는 서비스를 자체적으로 실행시키는 대신에 또는 추가적으로, 그와 연관된 적어도 일부 기능을 외부 전자 장치에게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요청을 수신한 외부 전자 장치는 요청된 기능 또는 추가 기능을 실행하고, 그 결과를 전자 장치(1001)로 전달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1)는 수신된 결과를 그대로 또는 추가적으로 처리하여 요청된 기능이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예를 들면, 클라우드 컴퓨팅, 분산 컴퓨팅, 또는 클라이언트-서버 컴퓨팅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디스플레이(110), 통신 회로(150), 상기 디스플레이(110) 및 통신 회로(150)와 기능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160), 및 상기 프로세서(160)와 기능적으로 연결되고 웹 브라우저 프로그램을 저장하도록 구성된 메모리(120),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120)는, 실행 시에, 상기 프로세서(160)가, 상기 웹 브라우저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제1 포맷으로 제1 웹 페이지 표시하고, 상기 제1 웹 페이지는 제1 입력 필드 및 상기 제1 입력 필드를 나타내는 제1 마크업(markup) 언어 태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입력 필드와 연관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메모리(120)에 상기 사용자 입력을 적어도 일시적으로 저장하고, 상기 제1 웹페이지를 표시하는 것을 중단하고, 상기 웹 브라우저를 사용하여 제2 포맷으로 제2 웹페이지를, 상기 디스플레이(110)에 표시하거나 외부 디스플레이(110)가 표시하도록 하고, 상기 제2 웹 페이지는 상기 제1 웹페이지의 컨텐츠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웹 페이지는 제2 입력 필드 및 상기 제2 입력 필드를 나태는 제2 마크업 언어 태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마크업 언어 태그 및 상기 제2 마크업 언어 태그를 비교하고, 상기 비교에 적어도 일부 기반하여, 상기 저장된 사용자 입력을 상기 제2 입력 필드에 또는 상기 제2 입력 필드를 위해 제공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포맷은 PC에서 사용되기 위한 풀 포맷(full format)이고, 상기 제2 포맷은 모바일 장치에서 사용되기 위한 모바일 포맷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2 포맷은 PC에서 사용되기 위한 풀 포맷이고, 상기 제1 포맷은 모바일 장치에서 사용되기 위한 모바일 포맷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마크업 언어 태그는 HTML(hypertext markup language) 형식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160)가 상기 사용자 입력을 XML 포맷으로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160)가,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110)가 상기 통신 회로(150)를 통해 상기 전자 장치에 연결됨을 감지하고, 및 상기 감지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웹 페이지를 표시하는 것을 중단하고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110)가 상기 제2 웹 페이지를 표시하도록 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160)가, 상기 감지 전 또는 후에 상기 제1 웹 페이지의 마크업 언어 코드의 부분을 저장하도록 하고, 상기 부분은 상기 제1 마크업 언어 태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에 개시되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110),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1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160), 및 상기 프로세서(16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메모리(120),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120)는, 실행 시에, 상기 프로세서(160)가, 제1 구동 환경에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110)에(on) 제1 입력 필드를 포함하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제1 UI를 디스플레이(110)하고, 상기 제1 UI는 상기 제1 입력 필드에 대응하는 제1 식별자를 가짐,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110)를 통해(via) 상기 제1 입력 필드에 데이터를 입력 받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환경이 상기 제1 구동 환경에서 제2 구동 환경으로 변경되는 이벤트를 감지하고, 상기 이벤트의 감지에 응답하여, 상기 제2 구동 환경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상기 제2 구동 환경에서 상기 전자 장치와 기능적으로 연결되는 외부 디스플레이(110) 장치에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제2 UI가 표시되도록, 상기 제2 UI와 관련된 데이터를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110)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제2 UI는 제2 입력 필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2 UI는 상기 제2 입력 필드에 대응하는 제2 식별자를 가짐, 상기 제1 식별자와 상기 제2 식별자가 서로 동일하거나 대응되면, 상기 제1 입력 필드에 입력된 상기 데이터를 상기 제2 입력 필드에 입력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입력 필드 및 상기 제2 입력 필드는 텍스트 입력 타입의 입력 필드, 숫자 입력 타입의 입력 필드 또는 선택 입력 타입의 입력 필드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실행 시에, 상기 프로세서(160)가, 상기 제1 식별자와 상기 제2 식별자가 서로 동일하지 않고 대응되지 않고, 상기 제1 입력 필드의 타입과 상기 제2 입력 필드의 타입이 동일하면, 상기 제1 입력 필드에 입력된 상기 데이터를 상기 제2 입력 필드에 입력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입력 필드는 상기 제1 입력 필드에 입력될 수 있는 데이터의 타입 정보를 더 가지고, 상기 제2 입력 필드는 상기 제2 입력 필드에 입력될 수 있는 데이터의 타입 정보를 더 가지고,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실행 시에, 상기 프로세서(160)가, 상기 제1 식별자와 상기 제2 식별자가 서로 동일하지 않고 대응되지 않고, 상기 제1 입력 필드에 입력될 수 있는 데이터의 타입 정보와 상기 제2 입력 필드에 입력될 수 있는 데이터의 타입 정보가 동일하거나 대응되면, 상기 제1 입력 필드에 입력된 상기 데이터를 상기 제2 입력 필드에 입력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입력 필드는 각 노드가 식별자를 갖는 제1 트리 구조의 자식 노드에 대응하고, 상기 제2 입력 필드는 각 노드가 식별자를 갖는 제2 트리 구조의 자식 노드에 대응하고,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실행 시에, 상기 프로세서(160)가, 상기 제1 식별자와 상기 제2 식별자가 서로 동일하지 않고 대응되지 않고, 상기 제1 입력 필드에 대응하는 자식 노드의 부모 노드의 식별자와 상기 제2 입력 필드에 대응하는 자식 노드의 부모 노드의 식별자가 서로 동일하거나 대응되면, 상기 제1 입력 필드에 입력된 상기 데이터를 상기 제2 입력 필드에 입력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는 외부 입력 장치와 연결되고, 상기 제1 UI는 복수의 제1 입력 필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2 UI는 하나 이상의 제2 입력 필드를 포함하고,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실행 시에, 상기 프로세서(160)가,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110)를 통해 상기 복수의 제1 입력 필드 중 적어도 하나에 데이터를 입력 받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입력 필드의 상기 제1 식별자와 서로 동일하거나 대응되는 상기 제2 식별자가 상기 제2 UI에 없으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입력 필드에 입력된 상기 데이터를 포함하는 데이터 리스트가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110) 장치에 표시되도록, 상기 데이터 리스트와 관련된 데이터를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110)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외부 입력 장치를 통해 상기 데이터 리스트에 포함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입력 필드에 입력된 상기 데이터를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선택된 데이터를 상기 제2 입력 필드에 입력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데이터 리스트는 상기 데이터가 입력된 상기 제1 입력 필드의 식별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실행 시에, 상기 프로세서(160)가, 상기 선택된 데이터가 입력되는 상기 제2 입력 필드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데이터 리스트가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데이터 리스트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입력 필드에 입력된 데이터 중 상기 하나 이상의 제2 입력 필드에 입력된 데이터를 제외한 나머지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에 개시되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데이터 입력 방법은, 제1 구동 환경에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동작, 상기 제1 입력 필드를 포함하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제1 UI를 디스플레이(110)하는 동작, 상기 제1 UI는 상기 제1 입력 필드에 대응하는 제1 식별자를 가짐, 상기 제1 입력 필드에 데이터를 입력 받는 동작,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환경이 상기 제1 구동 환경에서 제2 구동 환경으로 변경되는 이벤트를 감지하는 동작, 상기 이벤트의 감지에 응답하여, 상기 제2 구동 환경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동작, 상기 제2 구동 환경에서 상기 전자 장치와 기능적으로 연결되는 외부 디스플레이(110) 장치에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제2 UI가 표시되도록, 상기 제2 UI와 관련된 데이터를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110) 장치로 전송하는 동작, 상기 제2 UI는 제2 입력 필드 및 상기 제2 입력 필드에 대응하는 제2 식별자를 가짐, 및 상기 제1 식별자와 상기 제2 식별자가 서로 동일하거나 대응되면, 상기 제1 입력 필드에 입력된 상기 데이터를 상기 제2 입력 필드에 입력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입력 필드 및 상기 제2 입력 필드는 텍스트 입력 타입의 입력 필드, 숫자 입력 타입의 입력 필드 또는 선택 입력 타입의 입력 필드이고, 상기 제1 식별자와 상기 제2 식별자가 서로 동일하지 않고 대응되지 않고, 상기 제1 입력 필드의 타입과 상기 제2 입력 필드의 타입이 동일하면, 상기 제1 입력 필드에 입력된 상기 데이터를 상기 제2 입력 필드에 입력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UI는 복수의 제1 입력 필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2 UI는 하나 이상의 제2 입력 필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입력 필드에 데이터를 입력 받는 동작은 상기 복수의 제1 입력 필드 중 적어도 하나에 데이터를 입력 받는 동작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입력 필드의 상기 제1 식별자와 서로 동일하거나 대응되는 상기 제2 식별자가 상기 제2 UI에 없으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입력 필드에 입력된 상기 데이터를 포함하는 데이터 리스트가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110) 장치에 표시되도록, 상기 데이터 리스트와 관련된 데이터를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110) 장치로 전송하는 동작, 상기 데이터 리스트에 포함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입력 필드에 입력된 상기 데이터를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하는 동작, 및 상기 선택된 데이터를 상기 제2 입력 필드에 입력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데이터 리스트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입력 필드에 입력된 데이터 중 상기 하나 이상의 제2 입력 필드에 입력된 데이터를 제외한 나머지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다양한 형태의 장치가 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휴대용 통신 장치 (예: 스마트폰), 컴퓨터 장치,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 휴대용 의료 기기, 카메라, 웨어러블 장치, 또는 가전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및/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및/또는 B 중 적어도 하나", "A, B 또는 C" 또는 "A, B 및/또는 C 중 적어도 하나" 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제 2", "첫째" 또는 "둘째" 등의 표현들은 해당 구성요소들을, 순서 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예: 제 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예: 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성된 유닛을 포함하며, 예를 들면, 로직, 논리 블록, 부품, 또는 회로 등의 용어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모듈은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기기(machine)(예: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machine-readable storage media)(예: 내장 메모리(1036) 또는 외장 메모리(1038))에 저장된 명령어를 포함하는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040))로 구현될 수 있다. 기기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명령어를 호출하고, 호출된 명령어에 따라 동작이 가능한 장치로서, 개시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0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명령이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020))에 의해 실행될 경우, 프로세서가 직접, 또는 상기 프로세서의 제어하에 다른 구성요소들을 이용하여 상기 명령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명령은 컴파일러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생성 또는 실행되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은 저장매체가 신호(signal)를 포함하지 않으며 실재(tangible)한다는 것을 의미할 뿐 데이터가 저장매체에 반영구적 또는 임시적으로 저장됨을 구분하지 않는다.
일시예에 따르면,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의 형태로,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온라인으로 배포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구성 요소(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 각각은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전술한 해당 서브 구성 요소들 중 일부 서브 구성 요소가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서브 구성 요소가 다양한 실시예에 더 포함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일부 구성 요소들(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은 하나의 개체로 통합되어, 통합되기 이전의 각각의 해당 구성 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기능을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모듈, 프로그램 또는 다른 구성 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 병렬적, 반복적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적어도 일부 동작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동작이 추가될 수 있다.

Claims (20)

  1. 전자 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통신 회로;
    상기 디스플레이 및 통신 회로와 기능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와 기능적으로 연결되고 웹 브라우저 프로그램을 저장하도록 구성된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실행 시에,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웹 브라우저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제1 포맷으로 제1 웹 페이지 표시하고, 상기 제1 웹 페이지는 제1 입력 필드 및 상기 제1 입력 필드를 나타내는 제1 마크업(markup) 언어 태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입력 필드와 연관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메모리에 상기 사용자 입력을 적어도 일시적으로 저장하고,
    상기 제1 웹페이지를 표시하는 것을 중단하고, 상기 웹 브라우저를 사용하여 제2 포맷으로 제2 웹페이지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거나 외부 디스플레이가 표시하도록 하고, 상기 제2 웹 페이지는 상기 제1 웹페이지의 컨텐츠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웹 페이지는 제2 입력 필드 및 상기 제2 입력 필드를 나태는 제2 마크업 언어 태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마크업 언어 태그 및 상기 제2 마크업 언어 태그를 비교하고,
    상기 비교에 적어도 일부 기반하여, 상기 저장된 사용자 입력을 상기 제2 입력 필드에 또는 상기 제2 입력 필드를 위해 제공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하는, 전자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포맷은 PC에서 사용되기 위한 풀 포맷(full format)이고, 상기 제2 포맷은 모바일 장치에서 사용되기 위한 모바일 포맷인, 전자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포맷은 PC에서 사용되기 위한 풀 포맷이고, 상기 제1 포맷은 모바일 장치에서 사용되기 위한 모바일 포맷인, 전자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마크업 언어 태그는 HTML(hypertext markup language) 형식인, 전자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사용자 입력을 XML 포맷으로 저장하도록 하는, 전자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가 상기 통신 회로를 통해 상기 전자 장치에 연결됨을 감지하고, 및
    상기 감지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웹 페이지를 표시하는 것을 중단하고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가 상기 제2 웹 페이지를 표시하도록 하도록 하는, 전자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감지 전 또는 후에 상기 제1 웹 페이지의 마크업 언어 코드의 부분을 저장하도록 하고, 상기 부분은 상기 제1 마크업 언어 태그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8. 전자 장치에 있어서,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실행 시에, 상기 프로세서가,
    제1 구동 환경에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에(on) 제1 입력 필드를 포함하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제1 UI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제1 UI는 상기 제1 입력 필드에 대응하는 제1 식별자를 가짐,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를 통해(via) 상기 제1 입력 필드에 데이터를 입력 받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환경이 상기 제1 구동 환경에서 제2 구동 환경으로 변경되는 이벤트를 감지하고,
    상기 이벤트의 감지에 응답하여, 상기 제2 구동 환경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상기 제2 구동 환경에서 상기 전자 장치와 기능적으로 연결되는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에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제2 UI가 표시되도록, 상기 제2 UI와 관련된 데이터를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제2 UI는 제2 입력 필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2 UI는 상기 제2 입력 필드에 대응하는 제2 식별자를 가짐,
    상기 제1 식별자와 상기 제2 식별자가 서로 동일하거나 대응되면, 상기 제1 입력 필드에 입력된 상기 데이터를 상기 제2 입력 필드에 입력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하는, 전자 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1 입력 필드 및 상기 제2 입력 필드는 텍스트 입력 타입의 입력 필드, 숫자 입력 타입의 입력 필드 또는 선택 입력 타입의 입력 필드인, 전자 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실행 시에,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제1 식별자와 상기 제2 식별자가 서로 동일하지 않고 대응되지 않고, 상기 제1 입력 필드의 타입과 상기 제2 입력 필드의 타입이 동일하면, 상기 제1 입력 필드에 입력된 상기 데이터를 상기 제2 입력 필드에 입력하도록 하는, 전자 장치.
  11.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1 입력 필드는 상기 제1 입력 필드에 입력될 수 있는 데이터의 타입 정보를 더 가지고, 상기 제2 입력 필드는 상기 제2 입력 필드에 입력될 수 있는 데이터의 타입 정보를 더 가지고,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실행 시에,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제1 식별자와 상기 제2 식별자가 서로 동일하지 않고 대응되지 않고, 상기 제1 입력 필드에 입력될 수 있는 데이터의 타입 정보와 상기 제2 입력 필드에 입력될 수 있는 데이터의 타입 정보가 동일하거나 대응되면, 상기 제1 입력 필드에 입력된 상기 데이터를 상기 제2 입력 필드에 입력하도록 하는, 전자 장치.
  12.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1 입력 필드는 각 노드가 식별자를 갖는 제1 트리 구조의 자식 노드에 대응하고, 상기 제2 입력 필드는 각 노드가 식별자를 갖는 제2 트리 구조의 자식 노드에 대응하고,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실행 시에,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제1 식별자와 상기 제2 식별자가 서로 동일하지 않고 대응되지 않고, 상기 제1 입력 필드에 대응하는 자식 노드의 부모 노드의 식별자와 상기 제2 입력 필드에 대응하는 자식 노드의 부모 노드의 식별자가 서로 동일하거나 대응되면, 상기 제1 입력 필드에 입력된 상기 데이터를 상기 제2 입력 필드에 입력하도록 하는, 전자 장치.
  13.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는 외부 입력 장치와 연결되고,
    상기 제1 UI는 복수의 제1 입력 필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2 UI는 하나 이상의 제2 입력 필드를 포함하고,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실행 시에,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를 통해 상기 복수의 제1 입력 필드 중 적어도 하나에 데이터를 입력 받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입력 필드의 상기 제1 식별자와 서로 동일하거나 대응되는 상기 제2 식별자가 상기 제2 UI에 없으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입력 필드에 입력된 상기 데이터를 포함하는 데이터 리스트가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되도록, 상기 데이터 리스트와 관련된 데이터를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외부 입력 장치를 통해 상기 데이터 리스트에 포함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입력 필드에 입력된 상기 데이터를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선택된 데이터를 상기 제2 입력 필드에 입력하도록 하는, 전자 장치.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리스트는 상기 데이터가 입력된 상기 제1 입력 필드의 식별자를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
  15.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실행 시에,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선택된 데이터가 입력되는 상기 제2 입력 필드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데이터 리스트가 표시되도록 하는, 전자 장치.
  16.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리스트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입력 필드에 입력된 데이터 중 상기 하나 이상의 제2 입력 필드에 입력된 데이터를 제외한 나머지 데이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17. 전자 장치의 데이터 입력 방법에 있어서,
    제1 구동 환경에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동작;
    상기 제1 입력 필드를 포함하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제1 UI를 디스플레이하는 동작, 상기 제1 UI는 상기 제1 입력 필드에 대응하는 제1 식별자를 가짐;
    상기 제1 입력 필드에 데이터를 입력 받는 동작;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환경이 상기 제1 구동 환경에서 제2 구동 환경으로 변경되는 이벤트를 감지하는 동작;
    상기 이벤트의 감지에 응답하여, 상기 제2 구동 환경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동작;
    상기 제2 구동 환경에서 상기 전자 장치와 기능적으로 연결되는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에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제2 UI가 표시되도록, 상기 제2 UI와 관련된 데이터를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는 동작, 상기 제2 UI는 제2 입력 필드 및 상기 제2 입력 필드에 대응하는 제2 식별자를 가짐; 및
    상기 제1 식별자와 상기 제2 식별자가 서로 동일하거나 대응되면, 상기 제1 입력 필드에 입력된 상기 데이터를 상기 제2 입력 필드에 입력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제1 입력 필드 및 상기 제2 입력 필드는 텍스트 입력 타입의 입력 필드, 숫자 입력 타입의 입력 필드 또는 선택 입력 타입의 입력 필드이고,
    상기 제1 식별자와 상기 제2 식별자가 서로 동일하지 않고 대응되지 않고, 상기 제1 입력 필드의 타입과 상기 제2 입력 필드의 타입이 동일하면, 상기 제1 입력 필드에 입력된 상기 데이터를 상기 제2 입력 필드에 입력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방법.
  19.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제1 UI는 복수의 제1 입력 필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2 UI는 하나 이상의 제2 입력 필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입력 필드에 데이터를 입력 받는 동작은 상기 복수의 제1 입력 필드 중 적어도 하나에 데이터를 입력 받는 동작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입력 필드의 상기 제1 식별자와 서로 동일하거나 대응되는 상기 제2 식별자가 상기 제2 UI에 없으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입력 필드에 입력된 상기 데이터를 포함하는 데이터 리스트가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되도록, 상기 데이터 리스트와 관련된 데이터를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는 동작;
    상기 데이터 리스트에 포함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입력 필드에 입력된 상기 데이터를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하는 동작; 및
    상기 선택된 데이터를 상기 제2 입력 필드에 입력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방법.
  20.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리스트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입력 필드에 입력된 데이터 중 상기 하나 이상의 제2 입력 필드에 입력된 데이터를 제외한 나머지 데이터를 포함하는, 방법.
KR1020170158718A 2017-11-24 2017-11-24 입력 필드에 입력된 데이터를 관리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KR1025265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8718A KR102526588B1 (ko) 2017-11-24 2017-11-24 입력 필드에 입력된 데이터를 관리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US16/197,789 US11327818B2 (en) 2017-11-24 2018-11-21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managing data input into input field
CN201880075856.1A CN111417937A (zh) 2017-11-24 2018-11-21 用于管理对输入栏的数据输入的电子设备和方法
PCT/KR2018/014340 WO2019103450A1 (en) 2017-11-24 2018-11-21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managing data input into input field
EP18208145.5A EP3489839A1 (en) 2017-11-24 2018-11-23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managing data input into input fiel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8718A KR102526588B1 (ko) 2017-11-24 2017-11-24 입력 필드에 입력된 데이터를 관리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0476A true KR20190060476A (ko) 2019-06-03
KR102526588B1 KR102526588B1 (ko) 2023-04-28

Family

ID=645566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8718A KR102526588B1 (ko) 2017-11-24 2017-11-24 입력 필드에 입력된 데이터를 관리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327818B2 (ko)
EP (1) EP3489839A1 (ko)
KR (1) KR102526588B1 (ko)
CN (1) CN111417937A (ko)
WO (1) WO201910345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20976B1 (en) * 2021-08-11 2022-12-06 Acceltree Software Private Limited Agent-assisted digital form filling
US20230260300A1 (en) * 2022-01-21 2023-08-17 Capital One Services, Llc View augmentation using a data profiler to detect and convert content to and/or from a profile-specific forma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8522A (ko) * 2000-12-18 2002-06-24 윤종용 웹 브라우저로 제어 가능한 휴대용 무선 전화기 및 그제어방법
KR20070058669A (ko) * 2004-09-28 2007-06-08 야후! 인크. 원격 디바이스에 뷰잉용 클립을 제공하는 방법
US20090292981A1 (en) * 2008-05-22 2009-11-2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Inputting data to a web page
US20160065648A1 (en) * 2014-08-29 2016-03-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executing function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179404A1 (en) 2005-02-08 2006-08-10 Microsoft Corporation Method for a browser auto form fill
US8429551B2 (en) 2007-02-15 2013-04-23 Microsoft Corporation Application-based copy and paste operations
US8621091B1 (en) * 2011-12-15 2013-12-31 Google Inc. System and method for synchronizing settings and state information for a browser component
US9753926B2 (en) 2012-04-30 2017-09-05 Salesforce.Com, Inc. Extracting a portion of a document, such as a web page
KR102037929B1 (ko) 2013-01-22 2019-10-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US9582368B2 (en) 2013-03-26 2017-02-28 Tencent Technology (Shenzhen) Company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text input protection
JP6157965B2 (ja) 2013-07-22 2017-07-05 株式会社東芝 電子機器、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6164032B2 (ja) 2013-10-09 2017-07-19 富士通株式会社 プログラム、入力画面表示方法及び情報処理装置
KR20150095470A (ko) 2014-02-13 2015-08-21 주식회사 인프라웨어 웹 페이지 복원 방법 및 장치
KR20170006432A (ko) 2015-07-08 2017-01-18 삼성전자주식회사 웹 컨텐츠 표시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20170055227A (ko) 2015-11-11 2017-05-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US11423209B2 (en) * 2016-06-10 2022-08-23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classifying and populating fields of electronic forms
US10255019B2 (en) * 2017-03-30 2019-04-09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Display configurations based on applications
US10788934B2 (en) * 2017-05-14 2020-09-29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Input adjustment
JP7155866B2 (ja) * 2017-10-30 2022-10-19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制御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画像処理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8522A (ko) * 2000-12-18 2002-06-24 윤종용 웹 브라우저로 제어 가능한 휴대용 무선 전화기 및 그제어방법
KR20070058669A (ko) * 2004-09-28 2007-06-08 야후! 인크. 원격 디바이스에 뷰잉용 클립을 제공하는 방법
US20090292981A1 (en) * 2008-05-22 2009-11-2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Inputting data to a web page
US20160065648A1 (en) * 2014-08-29 2016-03-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executing function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489839A1 (en) 2019-05-29
KR102526588B1 (ko) 2023-04-28
WO2019103450A1 (en) 2019-05-31
US20190163341A1 (en) 2019-05-30
CN111417937A (zh) 2020-07-14
US11327818B2 (en) 2022-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66584B2 (en) Method for providing function or content associated with application, and electronic device for carrying out same
US11487558B2 (en) Electronic device and screen sharing method using same
KR20200067567A (ko) 전자 장치의 상태 정보에 기반하여 동작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KR102400580B1 (ko) 다른 전자 장치의 인증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와 이의 동작 방법
KR20200047162A (ko) 분할된 화면 상에서 실행 가능한 어플리케이션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하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US11231842B2 (en) Method for changing the size of the content displayed on display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KR20200098068A (ko) 단어 추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102526588B1 (ko) 입력 필드에 입력된 데이터를 관리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KR20200072727A (ko) 웹 콘텐츠를 ar모드에서 표시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KR20190112406A (ko) 입력 수단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으로 사용자 입력을 전달하는 모바일 전자 장치 및 방법
US20190227705A1 (en) Method for displaying user interface of application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KR102527824B1 (ko) 복수의 출력 화면 환경에서 가상 입력 인터페이스의 표시를 제어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200079081A (ko) 콘텐트 공유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102329770B1 (ko) 푸시 알림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20200061210A (ko) 상태 정보에 기반하여 식별 정보를 변경하는 전자 장치 및 상기 식별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다른 전자 장치
KR20190068844A (ko) 외부 장치에 따라 다른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KR102567368B1 (ko) 사용 이력을 표시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KR102493561B1 (ko) 전자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외부 장치의 연결을 제어하는 방법
KR102539578B1 (ko) 어플리케이션의 기능을 매핑하는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US20210027765A1 (en) Electronic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20200053752A (ko) 자동 완성 기능 지원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20190076621A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 방송 콘텐트와 관련된 서비스 정보 제공 방법
KR102443993B1 (ko) 시구간을 나타내는 콘텐츠와 연관된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2455913B1 (ko)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20200086558A (ko) 전자 장치 및 증강현실을 이용한 상품 정보 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