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60287A - Method of trasferring micro-device array - Google Patents

Method of trasferring micro-device arra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60287A
KR20190060287A KR1020170158348A KR20170158348A KR20190060287A KR 20190060287 A KR20190060287 A KR 20190060287A KR 1020170158348 A KR1020170158348 A KR 1020170158348A KR 20170158348 A KR20170158348 A KR 20170158348A KR 20190060287 A KR20190060287 A KR 201900602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conductive material
layer
micro
micro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834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012237B1 (en
Inventor
김광섭
이재학
김재현
황보윤
윤성욱
김경식
장봉균
이승모
최병익
Original Assignee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기계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to KR10201701583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2237B1/en
Publication of KR201900602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028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22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223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16/00Transfer printing apparatus
    • B41F16/0006Transfer printing apparatus for printing from an inked or preprinted foil or band
    • B41F16/0073Transfer printing apparatus for printing from an inked or preprinted foil or band with means for printing on specific materials or products
    • B41F16/008Transfer printing apparatus for printing from an inked or preprinted foil or band with means for printing on specific materials or products for printing on three-dimensional articles
    • B41F16/0086Transfer printing apparatus for printing from an inked or preprinted foil or band with means for printing on specific materials or products for printing on three-dimensional articles for printing on articles with cylindrical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22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impact or pressure on a printing material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2205/00Printing methods or features related to printing methods; Location or type of the layers
    • B41M2205/38Intermediate layers; Layers between substrate and imaging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2205/00Printing methods or features related to printing methods; Location or type of the layers
    • B41M2205/40Cover layers; Layers separated from substrate by imaging layer; Protective layers; Layers applied before imag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Connection Of Electric Components To Printed Circuits (AREA)
  • Led Device Packages (AREA)

Abstract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icro device array transfer method capable of stably separating a micro device from a source substrate and stably transferring the micro device to a target substrate to improve the yield of a process. The micro device array transfer method comprises: preparing a carrier film including a base film, an adhesive layer, and a non-conductive layer; pressing the non-conductive layer to a micro device side; separating the micro device from the source substrate and transferring the micro device to the non-conductive layer; attaching a transfer film to the micro device; removing the adhesive layer and the base film from the non-conductive layer; placing and temporarily fixing a conductive material between a first electrode provided on the micro device and a second electrode provid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target substrate; and bonding the first electrode and second electrode to the conductive material.

Description

마이크로 소자 어레이 전사방법{METHOD OF TRASFERRING MICRO-DEVICE ARRAY}METHOD OF TRASFERING MICRO-DEVICE ARRAY [0002]

본 발명은 마이크로 소자 어레이 전사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소스기판에서 마이크로 소자를 안정적으로 분리하고, 타겟기판에 마이크로 소자가 안정적으로 전사되도록 하여 공정의 수율을 개선할 수 있는 마이크로 소자 어레이 전사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transferring a micro element array, and more particularly, to a micro element array transfer method capable of stably separating a micro element from a source substrate and transferring the micro element to a target substrate in a stable manner, ≪ / RTI >

LED와 같은 마이크로 소자를 사용한 디스플레이는 기존의 디스플레이를 대체할 차세대 첨단 디스플레이로 각광받고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를 만들기 위해서는 각각의 LED 소자를 모듈화된 회로기판에 전사하는 기술이 핵심이 된다.Display using micro devices such as LED is attracting attention as a next-generation advanced display to replace conventional displays. In order to make such a display, the technology of transferring each LED element to a modular circuit board is the key.

크기가 크고 두꺼운 소자들은 진공척(vacuum chuck)을 이용하여 전사시킬 수 있으나, 마이크로/나노 크기를 갖는 얇은 소자의 경우, 진공척에서 발생하는 압력으로 인해 소자가 파손되기 때문에 수십 ㎛ 이하의 마이크로 소자에는 진공척을 사용하기 어려웠다.In the case of a thin device having a micro / nano size, since the device is broken due to the pressure generated in the vacuum chuck, the device having a large size and a large thickness can be transferred using a vacuum chuck, It was difficult to use a vacuum chuck.

다른 방법으로 정전척(electrostatic chuck) 기술을 이용하여 소자를 전사하는 방법이 있지만, 두께가 얇은 소자에 적용할 경우 정전기에 의한 소자 파손이 발생되며, 소자의 표면 오염물에 영향을 받아 전사 능력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Alternatively, there is a method of transferring an element using an electrostatic chuck technique. However, when the element is applied to a thin element, the element is damaged by static electricity, and the transfer ability is lowered .

위와 같은 이유로 두께가 매우 얇은 박막 형태의 소자는 마이크로/나노 스케일에서 작용하는 점착력을 이용하여 연속적으로 전사시키는 기술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For the above reasons, a technique of continuously transferring thin film type thin film devices using adhesive force acting on micro / nano scale is widely used.

일반적으로 점착력을 이용하여 마이크로 소자를 전사하는 방식은 소스기판에 배열된 마이크로 소자를 캐리어필름에 점착시키고, 타겟기판의 전극에 도포된 솔더에 점착시켜 마이크로 소자를 타겟기판에 전사시킨다.Generally, in a method of transferring micro devices by using adhesive force, a micro device arranged on a source substrate is adhered to a carrier film and adhered to a solder coated on an electrode of a target substrate, thereby transferring the micro device to a target substrate.

한편, 소스기판에 배열된 마이크로 소자를 캐리어필름에 점착시키기 위해서 다양한 방법이 사용되고 있으나, 소스기판에서 마이크로 소자를 안정적으로 분리하여 캐리어필름에 점착시키기가 용이하지 않은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점은 공정의 수율 저하를 야기하기 때문에, 개선이 필요하다.On the other hand, various methods have been used to adhere the micro devices arranged on the source substrate to the carrier film, but it is not easy to stably separate the micro devices from the source substrate and adhere them to the carrier film. Such a problem causes a reduction in the yield of the process, and therefore, improvement is required.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7-0011770호(2017.02.02. 공개)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17-0011770 (published Feb. 02, 2017)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소스기판에서 마이크로 소자를 안정적으로 분리하고, 타겟기판에 마이크로 소자가 안정적으로 전사되도록 하여 공정의 수율을 개선할 수 있는 마이크로 소자 어레이 전사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icro device array capable of stably isolating a micro device from a source substrate and stably transferring the micro device to a target substrate, Thereby providing a transfer method.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o the precise form disclosed. There will be.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베이스필름과, 상기 베이스필름의 상면에 마련되는 접착층과, 상기 접착층의 상면에 마련되는 비전도성층을 포함하는 캐리어필름을 마련하는 캐리어필름 마련 단계; 상기 캐리어필름을 소스기판의 상부와 마주보게 배치하고, 상기 비전도성층을 상기 소스기판의 상부에 형성되는 복수의 마이크로 소자 측으로 가압하는 비전도성층 가압 단계; 상기 마이크로 소자를 상기 소스기판으로부터 박리하여 상기 비전도성층에 전사하는 마이크로 소자 박리 단계; 상기 마이크로 소자의 하면에 전사필름을 부착하는 전사필름 부착 단계; 상기 비전도성층으로부터 상기 접착층과 함께 상기 베이스필름을 제거하는 접착층 및 베이스필름 제거 단계; 상기 비전도성층을 타겟기판의 상부와 마주보게 배치하고, 상기 마이크로 소자에 마련되는 제1전극과, 상기 타겟기판의 상면에 마련되는 제2전극 사이에 전도성 물질을 위치시켜 가고정하는 가고정 단계; 그리고 상기 비전도성층 및 상기 전도성 물질에 열을 가하여 상기 전도성 물질에 상기 제1전극 및 상기 제2전극을 접합하는 접합 단계를 포함하는 마이크로 소자 어레이 전사방법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emiconductor device comprising a base film, an adhesive layer provid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base film, and a carrier film having a carrier film including a non- Preparing step; A nonconductive layer pressing step of disposing the carrier film so as to face the upper portion of the source substrate and pressing the nonconductive layer to a plurality of micro devices formed on the source substrate; Peeling the micro device from the source substrate and transferring the micro device to the nonconductive layer; Attaching a transfer film to a lower surface of the micro device; An adhesive layer and a base film removing the base film together with the adhesive layer from the nonconductive layer; A temporary fixing step of disposing the nonconductive layer facing the top of the target substrate and positioning and fixing the conductive material between the first electrode provided on the micro device and the second electrode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arget substrate; And a bonding step of bonding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to the conductive material by applying heat to the nonconductive layer and the conductive material.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접합 단계는 상기 비전도성층에 열을 가하면서 상기 마이크로 소자를 동시에 가압하여 상기 제1전극 및 상기 제2전극에 의해 상기 전도성 물질이 압착되도록 하는 전도성 물질 압착 단계와, 상기 전도성 물질에 열을 가하여 상기 전도성 물질을 경화시키는 리플로우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onding step may include a conductive material pressing step of simultaneously pressing the microelectrode while applying heat to the nonconductive layer, thereby causing the conductive material to be pressed by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And a reflow step of applying heat to the conductive material to cure the conductive material.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접합 단계는 상기 전도성 물질 압착 단계 및 상기 리플로우 단계의 사이에, 또는 상기 리플로우 단계 이후에 상기 전사필름을 상기 마이크로 소자에서 제거하는 전사필름 제거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onding step includes a transfer film removing step for removing the transfer film from the micro device between the conductive material pressing step and the reflow step, or after the reflow step .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가고정 단계에서, 상기 전도성 물질은 상기 제1전극에 마련된 상태이거나, 상기 제2전극에 마련된 상태일 수 있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temporary fixing step, the conductive material may be provided on the first electrode, or may be provided on the second electrode.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 소자 박리 단계에서, 상기 소스기판에 형성되는 복수의 상기 마이크로 소자들 중 상기 타겟기판에 전사될 마이크로 소자만 선별하여 상기 소스기판으로부터 박리할 수 있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micro-element stripping step, only the micro-elements to be transferred to the target substrate among the plurality of micro-elements formed on the source substrate may be selectively removed from the source substrate.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필름 마련 단계에서, 상기 비전도성층은 상기 소스기판에서 박리하고자 하는 마이크로 소자에 대응되는 부분만이 마련될 수 있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arrier film forming step, the nonconductive layer may be provided only at th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micro device to be peeled off from the source substrate.

한편,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소스기판의 상부에 형성되는 복수의 마이크로 소자 측으로 비전도성층을 마련하는 비전도성층 마련 단계; 상기 비전도성층을 타겟기판의 상부와 마주보게 배치하고, 상기 마이크로 소자에 마련되는 제1전극과, 상기 타겟기판의 상면에 마련되는 제2전극 사이에 전도성 물질을 위치시키고 가고정하는 가고정 단계; 그리고 상기 비전도성층 및 상기 전도성 물질에 열을 가하여 상기 전도성 물질에 상기 제1전극 및 상기 제2전극을 접합하는 접합 단계를 포함하는 마이크로 소자 어레이 전사방법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non-conductive layer forming method comprising: forming a non-conductive layer on a plurality of micro elements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a source substrate; A temporary fixing step of disposing and fixing the conductive material between the first electrode provided on the micro device and the second electrode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arget substrate by disposing the non-conductive layer facing the top of the target substrate; And a bonding step of bonding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to the conductive material by applying heat to the nonconductive layer and the conductive material.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접합 단계는 상기 비전도성층에 열을 가하면서 상기 마이크로 소자를 동시에 가압하여 상기 제1전극 및 상기 제2전극에 의해 상기 전도성 물질이 압착되도록 하는 전도성 물질 압착 단계와, 상기 마이크로 소자를 상기 소스기판에서 박리시키는 마이크로 소자 박리 단계와, 상기 전도성 물질에 열을 가하여 상기 전도성 물질을 경화시키는 리플로우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onding step may include a conductive material pressing step of simultaneously pressing the microelectrode while applying heat to the nonconductive layer, thereby causing the conductive material to be pressed by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And a reflow step of curing the conductive material by applying heat to the conductive material. The micro-elements may be peeled off from the source substrate.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가고정 단계에서, 상기 전도성 물질은 상기 제1전극에 마련된 상태이거나, 상기 제2전극에 마련된 상태일 수 있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temporary fixing step, the conductive material may be provided on the first electrode, or may be provided on the second electrode.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비전도성층 마련 단계에서, 상기 비전도성층은 상기 소스기판에서 박리하고자 하는 마이크로 소자에 대응되는 부분만이 마련될 수 있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nonconductive layer forming step, the nonconductive layer may be provided only on the source substrate corresponding to the micro device to be peeled off.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소스기판에 배열된 마이크로 소자가 비전도성층에 전사되도록 하여 마이크로 소자와 비전도성층의 접착력이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레이저 박리 공정 중에 마이크로 소자에 가해지는 충격파로 인한 마이크로 소자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레이저 박리 공정 후에 마이크로 소자와 비전도성층의 충분한 접착력으로 인해 마이크로 소자가 소스기판에서 잘 박리될 수 있다. 또한, 마이크로 소자가 전사필름에 전사되는 공정이 추가되는 경우, 전사 공정이 진행된 후에는 접착층의 접착력이 약해지도록 함으로써 마이크로 소자에 비전도성층만이 쉽게 남도록 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micro devices arranged on the source substrate are transferred to the non-conductive layer, the adhesive force between the micro device and the non-conductive layer is maintained, It is possible to prevent breakage of the battery. In addition, the microdevice can be easily peeled off from the source substrate due to a sufficient adhesion force between the microdevice and the nonconductive layer after the laser peeling process. In addition, when a step of transferring the micro device to the transfer film is added, the adhesive force of the adhesive layer is weakened after the transfer process, so that only the non-conductive layer can easily remain in the micro devic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비전도성층은 타겟기판과 마이크로 소자 사이에서 전도성 물질을 고정시켜 마이크로 소자와 타겟기판이 전기적, 기계적으로 견고하게 접속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마이크로 소자 어레이 전사방법을 통해 제조되는 마이크로 소자 기판의 접착 신뢰성 및 제품의 내구성이 향상되도록 할 수 있다.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non-conductive layer can secure a conductive material between the target substrate and the micro-device, so that the micro-device and the target substrate are electrically and mechanically connected firmly. In addition, adhesion reliability and product durability of the micro device substrate manufactured through the micro element array transfer method can be improved.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described above, but include all effects that can be deduced from the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or the composition of the invention set forth in the claims.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소자 어레이 전사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소자 어레이 전사방법의 공정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소자 어레이 전사방법에서 선택적 전사 공정이 이루어지는 경우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소자 어레이 전사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소자 어레이 전사방법의 공정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1 and 2 are flowcharts illustrating a method of transferring a micro element array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process of a micro element array transfer method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4 and 5 are views illustrating a case where a selective transfer process is performed in the micro element array transfer method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and 7 are flowcharts illustrating a method of transferring a micro element array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process of a micro element array transfer method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In order to clearly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parts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parts are denoted by like reference character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connected, connected, coupled) with another part, it is not only the case where it is "directly connected" "Is included. Also,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 comprising ", it means that it can include other elements, not excluding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specification, the terms "comprises" or "having" and the like refer to the presence of stated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소자 어레이 전사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소자 어레이 전사방법의 공정을 나타낸 예시도이다.FIG. 1 and FIG. 2 are flowcharts showing a method of transferring a micro element array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process of a micro element array transfer method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마이크로 소자 어레이 전사방법은 캐리어필름 마련 단계(S110), 비전도성층 가압 단계(S120), 마이크로 소자 박리 단계(S130), 전사필름 부착 단계(S140), 접착층 및 베이스필름 제거 단계(S150), 가고정 단계(S160) 및 접합 단계(S170)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S. 1 to 3, the micro element array transfer method includes a carrier film forming step S110, a nonconductive layer pressing step S120, a micro element stripping step S130, a transfer film attaching step S140, And a base film removing step S150, a temporary fixing step S160, and a bonding step S170.

캐리어필름 마련 단계(S110)는 베이스필름(211)과, 베이스필름(211)의 상면에 마련되는 접착층(212)과, 접착층(212)의 상면에 마련되는 비전도성층(213)을 포함하는 캐리어필름(210)을 마련하는 단계일 수 있다.The carrier film preparation step S110 includes a base film 211, an adhesive layer 212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film 211, and a carrier layer 213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adhesive layer 212 And a step of providing a film 210.

여기서, 비전도성층(213)은 비전도성 필름(NCF: Non Conductive Film)이 접착층(212)에 접착되어 이루어질 수도 있고, 비전도성 페이스트(NCP: Non Conductive Paste)가 접착층(212)에 도포되어 이루어질 수도 있다. 비전도성 페이스트로 비전도성층(213)을 형성하는 경우, 스핀 코팅(Spin Coating), 바 코팅(Bar Coating) 등의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The non-conductive layer 213 may be formed by bonding a non-conductive film (NCF) to the adhesive layer 212 or by applying a non-conductive paste (NCP) to the adhesive layer 212 It is possible. In the case of forming the nonconductive layer 213 with a nonconductive paste, methods such as spin coating and bar coating may be used.

그리고, 비전도성층 가압 단계(S120)는 캐리어필름(210)을 소스기판(220)의 상부와 마주보게 배치하고, 비전도성층(213)을 소스기판(220)의 상부에 형성되는 복수의 마이크로 소자(230) 측으로 가압하는 단계일 수 있다. In the nonconductive layer pressurizing step S120, the carrier film 210 is disposed to face the upper portion of the source substrate 220, and the nonconductive layer 213 is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ource substrate 220, To the element 230 side.

소스기판(220)은 마이크로 소자(230)가 만들어지는 도너 기판(Donor Substrate)이거나, 사파이어 기판(Sapphire Substrate)일 수 있으며, 마이크로 소자(230)는 소스기판(220)에 복수개가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마이크로 소자(230)는 예를 들어 마이크로 LED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source substrate 220 may be a donor substrate or a sapphire substrate on which the micro devices 230 are formed and a plurality of micro devices 230 may be provided on the source substrate 220 . The micro device 230 may be, for example, a micro L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그리고, 마이크로 소자(230)는 상부에 제1전극(231)을 가질 수 있다. In addition, the micro device 230 may have a first electrode 231 at an upper portion thereof.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제1전극(231)의 상면에 전도성 물질(240)이 마련된 상태로 설명한다. 전도성 물질(240)은 솔더 페이스트, 실버 페이스트 등과 같은 전도성 페이스트가 될 수도 있고, 솔더 박막, 주석합금 박막 등과 같은 금속 박막이 될 수도 있다. 전도성 물질(240)은 스크린 프린팅, 잉크젯 프린팅 및 금속 증착 공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제1전극(231)에 도포될 수 있다. Hereinafter, for the sake of convenience, the conductive material 240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electrode 231. FIG. The conductive material 240 may be a conductive paste such as a solder paste, a silver paste or the like, or may be a metal thin film such as a solder thin film, a tin alloy thin film, or the like. The conductive material 240 may be applied to the first electrode 231 by various methods such as screen printing, inkjet printing, and metal deposition.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전도성 물질(240)이 제1전극(231)의 상면에 마련되지 않은 상태에서 S120 단계가 진행될 수도 있으며, 자세한 내용은 후술한다.Meanwhil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nductive material 240 may not be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electrode 231, and step S120 may be performed. Details will be described later.

S120 단계에서, 비전도성층(213)이 소스기판(220)의 상부에 형성되는 복수의 마이크로 소자(230) 측으로 가압되면, 전도성 물질(240)은 비전도성층(213)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다. 비전도성층(213)은 마이크로 소자(230)의 상면을 덮도록, 구체적으로는, 제1전극(231) 및 전도성 물질(240)을 덮을 수 있다. If the nonconductive layer 213 is pressed toward the plurality of microdevices 230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ource substrate 220 in step S120, the conductive material 240 may be inserted into the nonconductive layer 213 have. The nonconductive layer 213 may cover the upper surface of the micro device 230, specifically, the first electrode 231 and the conductive material 240.

그리고, 마이크로 소자 박리 단계(S130)는 마이크로 소자(230)를 소스기판(220)으로부터 박리하여 비전도성층(213)에 전사하는 단계일 수 있다.The microdevice separation step S130 may be a step of separating the microdevice 230 from the source substrate 220 and transferring the microdevice 230 to the nonconductive layer 213. [

마이크로 소자(230)가 소스기판(220)에서 박리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방법이 사용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레이저 박리 공정(LLO: Laser Lift Off)(250)이 사용될 수 있다.Various methods may be used to cause the micro element 230 to be peeled off from the source substrate 220. For example, a laser lift off (LLO) process 250 may be used.

비전도성층(213)은 마이크로 소자(230)와 결합되어 레이저 박리 공정 중에 마리크로 소자(230)에 가해지는 충격파로 인한 마이크로 소자(230)의 파손을 방지할 수있다.The nonconductive layer 213 is bonded to the microdevice 230 to prevent breakage of the microdevice 230 due to a shock wave applied to the malleable element 230 during the laser stripping process.

한편, 베이스필름(211)과 접착층(212)은 제1결합력(W1)으로, 접착층(212)과 비전도성층(213)은 제2결합력(W2)으로, 비전도성층(213)과 마이크로 소자(230)는 제3결합력(W3)으로, 그리고, 마이크로 소자(230)는 소스기판(220)과 제4결합력(W4)으로 결합된 상태일 수 있다.The base film 211 and the adhesive layer 212 have a first bonding force W1 and the adhesive layer 212 and the nonconductive layer 213 have a second bonding force W2. The second coupling member 230 may be coupled to the third coupling force W3 and the microdevice 230 may be coupled to the source substrate 220 at the fourth coupling force W4.

그런데, 레이저 박리 공정이 적용되면 마이크로 소자(230)와 소스기판(220) 간의 제4결합력(W4)은 제4a결합력(W4a)로 약해질 수 있다.However, when the laser stripping process is applied, the fourth bonding force W4 between the microdevice 230 and the source substrate 220 can be weakened to the fourth bonding force W4a.

따라서, 레이저 박리 공정(250)이 적용된 후, 베이스필름(211)과 접착층(212) 간의 제1결합력(W1)과, 접착층(212)과 비전도성층(213) 간의 제2결합력(W2)과, 비전도성층(213)과 마이크로 소자(230) 간의 제3결합력(W3)은 레이저 박리 공정이 적용되어 약해진 마이크로 소자(230)와 소스기판(220) 간의 제4a결합력(W4a)보다 클 수 있다. 이를 통해, 캐리어필름(210)과 마이크로 소자(230)가 결합된 상태로 마이크로 소자(230)는 소스기판(220)으로부터 박리될 수 있다.Therefore, after the laser stripping process 250 is applied, the first bonding force W1 between the base film 211 and the adhesive layer 212 and the second bonding force W2 between the adhesive layer 212 and the non- The third bonding force W3 between the nonconductive layer 213 and the microdevice 230 may be greater than the fourth bonding force W4a between the weakened microdevice 230 and the source substrate 220 due to the laser stripping process . Thus, the micro element 230 can be peeled off from the source substrate 220 while the carrier film 210 and the micro element 230 are coupled.

또한, S130 단계에서는 소스기판(220)에 형성되는 복수의 마이크로 소자(230) 중 타겟기판(270)에 전사될 마이크로 소자만 선별되어 소스기판(220)으로부터 박리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레이저 박리 공정은 해당되는 마이크로 소자에 한해서만 적용될 수 있는데, 자세한 내용은 후술한다.In step S130, only the micro devices to be transferred to the target substrate 270 among the plurality of micro devices 230 formed on the source substrate 220 may be selected and peeled from the source substrate 220. In this case, the laser stripping process can be applied only to the corresponding micro device,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n detail.

전사필름 부착 단계(S140)는 마이크로 소자(230)의 하면에 전사필름(260)을 부착하는 단계일 수 있다. The step of attaching the transfer film (S140) may be a step of attaching the transfer film (260) to the lower surface of the micro device (230).

전사필름(260)과 마이크로 소자(230) 간의 제5결합력(W5)은 제1결합력(W1), 제2결합력(W2) 및 제3결합력(W3)과 동일하거나 더 클 수 있다. The fifth engaging force W5 between the transfer film 260 and the micro element 230 may be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first engaging force W1, the second engaging force W2 and the third engaging force W3.

접착층 및 베이스필름 제거 단계(S150)는 비전도성층(213)으로부터 접착층(212)과 함께 베이스필름(211)을 제거하는 단계일 수 있다. The adhesive layer and the base film removing step S150 may be a step of removing the base film 211 together with the adhesive layer 212 from the nonconductive layer 213. [

S150 단계에서, 접착층(212)에는 열(251)이 가해지거나, 또는 광(252)이 조사될 수 있으며, 이러한 열 및 광에 의해 접착층(212)은 물성이 바뀌거나 변성되어 접착력이 약해질 수 있다. 이를 통해, 접착층(212)과 비전도성층(213) 간의 제2결합력(W2)은 약화되거나, 제거될 수 있다. The heat 251 may be applied to the adhesive layer 212 or the light 252 may be irradiated to the adhesive layer 212 in step S150 and the adhesiveness of the adhesive layer 212 may be changed or altered due to such heat and light, have. As a result, the second bonding force W2 between the adhesive layer 212 and the nonconductive layer 213 can be weakened or eliminated.

약화된 제2a결합력(W2a)은 제1결합력(W1), 제3결합력(W3) 및 제5결합력(W5)보다 작은 상태가 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비전도성층(213)으로부터 접착층(212)과 함께 접착층(212)의 상부에 마련되는 베이스필름(211)이 제거될 수 있다.The weakened second 2a bonding force W2a may be smaller than the first bonding force W1, the third bonding force W3 and the fifth bonding force W5, The base film 211 provided on the adhesive layer 212 may be removed.

가고정 단계(S160)는 비전도성층(213)을 타겟기판(270)의 상부와 마주보게 배치하여 정렬시키고, 마이크로 소자(230)에 마련되는 제1전극(231)과, 타겟기판(270)의 상면에 마련되는 제2전극(271) 사이에 전도성 물질(240)을 위치시켜 가고정하는 단계일 수 있다.In the temporary fixing step S160, the non-conductive layer 213 is aligned and aligned with the upper portion of the target substrate 270, and the first electrode 231 provided on the micro-device 230 and the first electrode 231 provided on the target substrate 270, The conductive material 240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second electrode 271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electrode 271 and temporarily fixed.

전술한 바와 같이 전도성 물질(240)은 마이크로 소자(230)의 제1전극(231)에 마련될 수도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2전극(271)에 마련될 수도 있다. 따라서, S160 단계에서 전도성 물질(240)은 제1전극(231)에 마련된 상태이거나, 제2전극(271)에 마련된 상태일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conductive material 240 may be provided on the first electrode 231 of the micro-device 230, but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provided on the second electrode 271. Accordingly, the conductive material 240 may be provided on the first electrode 231 or may be provided on the second electrode 271 in step S160.

그리고, 유동적인 전도성 물질(240)은 비전도성층(213)에 갇혀 움직이지 못하게 되고, 전도성 물질(240)의 모양과 두께도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Then, the fluid conductive material 240 is trapped in the non-conductive layer 213 and can not move, and the shape and thickness of the conductive material 240 can be kept constant.

S160 단계에서, 비전도성층(213)과 타겟기판(270)이 서로 분리되지 않도록 비전도성층(213)에 열을 가하여 비전도성층(213)과 타겟기판(270) 사이의 상호 접착력이 커지도록 할 수도 있다.The nonconductive layer 213 and the target substrate 270 are heated so that the nonconductive layer 213 and the target substrate 270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so that the adhesive force between the nonconductive layer 213 and the target substrate 270 increases You may.

여기서, 비전도성층(213)에 열을 가하는 방식은 히터 등에 의해 직접 가열되도록 하거나, 레이저, UV 등의 광에 의해 가열되도록 하는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Here, the method of applying heat to the non-conductive layer 213 may be a method of heating directly by a heater or the like, or by heating with light such as a laser or UV.

접합 단계(S170)는 비전도성층(213) 및 전도성 물질(240)에 열을 가하여 전도성 물질(240)에 제1전극(231) 및 제2전극(271)을 접합하는 단계일 수 있다.The bonding step S170 may be a step of bonding the first electrode 231 and the second electrode 271 to the conductive material 240 by applying heat to the nonconductive layer 213 and the conductive material 240. [

여기서, S170 단계는 전도성 물질 압착 단계(S171)와, 리플로우 단계(S172)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Here, step S170 may include a conductive material squeezing step (S171) and a reflow step (S172).

전도성 물질 압착 단계(S171)는 비전도성층(213)에 열을 가하면서 마이크로 소자(230)를 동시에 가압하여 제1전극(231) 및 제2전극(271)에 의해 전도성 물질(240)이 압착되도록 하는 단계일 수 있다.The conductive material 240 is pressed by the first electrode 231 and the second electrode 271 by simultaneously pressing the microdevice 230 while applying heat to the nonconductive layer 213, . ≪ / RTI >

S171 단계에서, 비전도성층(213)에 열(253)이 가해지면 비전도성층(213)의 점도가 낮아질 수 있다. 그리고 점도가 낮아진 상태에서 마이크로 소자(230)가 가압되면 비전도성층(213)은 압축되고, 전도성 물질(240)은 제1전극(231) 및 제2전극(271)에 의해 가압될 수 있다.In the step S171, when the heat 253 is applied to the nonconductive layer 213, the viscosity of the nonconductive layer 213 may be lowered. The nonconductive layer 213 is compressed and the conductive material 240 can be pressed by the first electrode 231 and the second electrode 271. In this case,

마이크로 소자(230)를 소스기판(220) 방향으로 가압하는 공정은 원통의 롤을 회전시켜 마이크로 소자(230)가 가압되도록 하거나, 평판의 플레이트를 이용하여 마이크로 소자(230)를 가압함으로써 실시될 수 있다.The step of pressing the microdevice 230 toward the source substrate 220 may be performed by rotating the roll of the cylinder to press the microdevice 230 or pressing the microdevice 230 using a plate have.

S171 단계에서 전도성 물질(240)은 비전도성층(213)에 갇혀 모양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기 때문에, 제1전극(231) 및 제2전극(271)은 제 위치와 모양을 유지하고 있는 전도성 물질(240)에 안정적으로 압착될 수 있다.Since the conductive material 240 is trapped in the nonconductive layer 213 and can be maintained in a constant shape in step S171, the first electrode 231 and the second electrode 271 are electrically conductive Can be stably pressed onto the material (240).

타겟기판(270)은 인쇄회로기판(PCB)이거나, 유연인쇄회로기판(FPCB)일 수 있다.The target substrate 270 may be a printed circuit board (PCB) or a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B).

그리고, 타겟기판(270)에 열을 가하는 방식은 타겟기판(270)을 히터, 표면 히터 등으로 직접 가열하거나, 레이저, UV 등의 광을 이용하여 가열할 수 있다. 또한, 마이크로 소자(230)에 초음파를 인가하여 국부적으로 열을 가할 수도 있다(도 3의 (g) 참조).The method of applying heat to the target substrate 270 can be performed by directly heating the target substrate 270 with a heater, a surface heater, or the like using light such as laser or UV. In addition, ultrasonic waves may be applied to the micro device 230 to heat locally (refer to FIG. 3 (g)).

리플로우 단계(S172)는 전도성 물질(240)에 열을 가하여 전도성 물질(240)을 경화시키는 단계일 수 있다. The reflow step S172 may be a step of applying heat to the conductive material 240 to cure the conductive material 240. [

리플로우 공정은 전도성 물질(240) 및 비전도성층(213)에 열을 가하여 마이크로 소자(230)의 제1전극(231)과 소스기판(220)의 제2전극(271)을 전도성 물질(240)에 서로 접합시키고, 비전도성층(213)을 경화시키는 공정일 수 있다.The reflow process is performed by applying heat to the conductive material 240 and the nonconductive layer 213 to electrically connect the first electrode 231 of the microdevice 230 and the second electrode 271 of the source substrate 220 to the conductive material 240 ), And curing the non-conductive layer 213. [0064]

S172단계에서는 전도성 물질(240)이 용융되어 마이크로 소자(230)의 제1전극(231)과 소스기판(220)의 제2전극(271) 사이에 확고한 전기적 접속을 형성하며, 이때 비전도성층(213)은 경화되어 마이크로 소자(230)의 제1전극(231) 이외의 표면과 소스기판(220)의 제2전극(271) 이외의 표면을 확고하게 접착시킬 수 있다.The conductive material 240 is melted to form a firm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first electrode 231 of the microdevice 230 and the second electrode 271 of the source substrate 220 in step S172, 213 may be hardened to firmly adhere the surface of the microelectronic device 230 other than the first electrode 231 to the surface of the source electrode 220 other than the second electrode 271.

리플로우 공정 시에, 제1전극(231)과 제2전극(271) 사이가 이격되어 그 사이의 도전성이 약해질 수 있으므로, 전도성 물질(240)이 용융되는 동안 마이크로 소자(230)를 미리 정해진 압력으로 가압하여 제1전극(231)과 제2전극(271) 사이의 간극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During the reflow process, the first electrode 231 and the second electrode 271 may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the conductivity therebetween may be weakened, so that during the melting of the conductive material 240, It is preferable that the gap between the first electrode 231 and the second electrode 271 is kept constant by pressurizing with a pressure.

S172 단계에서 타겟기판(270)에 열을 가하는 방식은 타겟기판(270)을 히터, 표면 히터 등으로 직접 가열하거나, 레이저, UV 등의 광을 이용하여 가열할 수 있다. In the method of applying heat to the target substrate 270 in step S172, the target substrate 270 may be directly heated by a heater, a surface heater, or the like, or may be heated using light such as laser or UV.

한편, S171 단계 및 S172 단계에서는 비전도성층(213)과 전도성 물질(240)을 가열하는 온도를 다르게 할 필요가 있다.On the other hand, in steps S171 and S172, the temperature for heating the non-conductive layer 213 and the conductive material 240 needs to be different.

S171 단계에서는 비전도성층(213)의 점도를 낮출 수 있는 온도면 충분하므로, 상대적으로 낮은 제1온도로 비전도성층(213)을 가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S172 단계에서는 전도성 물질(240)을 용융시키기 위해 상대적으로 높은 온도가 요구되므로, 전도성 물질(240)의 용융이 가능한 제1온도보다 높은 제2온도로 전도성 물질(240)과 비전도성층(213)을 가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step S171, the temperature at which the viscosity of the non-conductive layer 213 is lowered is sufficient, so that it is preferable to heat the non-conductive layer 213 to a relatively low first temperature. However, since a relatively high temperature is required to melt the conductive material 240 in step S172, the conductive material 240 and the non-conductive layer 240 may be melted at a second temperature higher than the first temperature at which the melting of the conductive material 240 is possible. 213 are preferably heated.

종래에는 전도성 물질의 유동을 억제하는 별다른 수단이 없었기 때문에, 전도성 물질(240)의 유동에 의한 기판 불량이 상대적으로 많을 수 밖에 없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전도성 물질(240)의 위치와 형태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기 때문에, 제1전극(231)과 제2전극(271)이 상호 불량하게 접합되는 것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Conventionally, since there is no means for suppressing the flow of the conductive material, the substrate defect due to the flow of the conductive material 240 has been relatively large. 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position and shape of the conductive material 240 can be kept constant, poor bonding between the first electrode 231 and the second electrode 271 can be effectively prevented.

그리고, 마이크로 소자 어레이 전사방법은 전사필름 제거 단계(S18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사필름 제거 단계(S180)는 전사필름(260)을 마이크로 소자(230)에서 제거하는 단계일 수 있다.And, the micro element array transfer method may include a transfer film removing step (S180). The transfer film removing step S180 may be a step of removing the transfer film 260 from the micro device 230.

S180 단계는 S171 단계 및 S172 단계의 사이에 진행될 수 있다. 즉, 비전도성층(213)에 열을 가하면서 마이크로 소자(230)를 가압하여 제1전극(231) 및 제2전극(271)에 의해 전도성 물질(240)이 압착되도록 한 후, 리플로우 공정이 진행되기 전에 전사필름(260)이 마이크로 소자(230)에서 제거되도록 할 수 있다.  Step S180 may be performed between steps S171 and S172. That is, after applying heat to the non-conductive layer 213, the micro-device 230 is pressed so that the conductive material 240 is pressed by the first electrode 231 and the second electrode 271, The transfer film 260 may be removed from the micro device 230 before the process proceeds.

또는, S180 단계는 S172 단계 이후에 진행될 수도 있다. 즉, 리플로우 공정이 완료된 후 전사필름(260)이 마이크로 소자(230)에서 제거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러한 공정은 전사필름(260)이 리플로우 공정에서 가해지는 열에 의해 변형되거나 손상되지 않는 소재인 경우에 진행될 수 있다.Alternatively, step S180 may be performed after step S172. That is, the transfer film 260 may be removed from the micro device 230 after the reflow process is completed. This process can be carried out when the transfer film 260 is a material which is not deformed or damaged by the heat applied in the reflow process.

더하여, 마이크로 소자 어레이 전사방법은 전도성 물질 고상화 단계(S1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micro element array transfer method may further include a conductive material solidification step (S190).

전도성 물질 고상화 단계(S190)는 S170 단계에서 용융된 전도성 물질(240)을 냉각시켜 고상화시키는 단계일 수 있다. S190 단계에서는 전도성 물질(240)이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미리 정해진 온도범위로 냉각되도록 하여 전도성 물질(240)이 고형화되도록 할 수 있다.The conductive material solidification step (S190) may be a step of cooling and solidifying the molten conductive material (240) in step S170. In step S190, the conductive material 240 may be cooled to a predetermined temperature range for a predetermined time so that the conductive material 240 is solidified.

S190 단계를 추가적으로 수행함으로써, 비전도성층(213)과 전도성 물질(240)이 딱딱하게 굳어지도록 하여 마이크로 소자(230)와 타겟기판(270)이 전기적, 기계적으로 견고하게 접속되도록 할 수 있으며, 마이크로 소자 어레이 전사방법을 통해 제조되는 마이크로 소자 기판의 접착 신뢰성 및 제품의 내구성이 향상되도록 할 수 있다.The nonconductive layer 213 and the conductive material 240 are hardened by performing the step S190 in order to firmly connect the micro device 230 and the target substrate 270 electrically and mechanically, It is possible to improve adhesion reliability and product durability of the micro device substrate manufactured through the device array transfer method.

한편, 앞에서 언급한 소스기판(220)에 형성되는 복수의 마이크로 소자(230) 중 타겟기판(270)에 전사될 마이크로 소자만 선별되어 소스기판(220)으로부터 박리되도록 하는 공정에 대해서 설명한다. A process of separating only the micro devices to be transferred to the target substrate 270 among the plurality of micro devices 230 formed on the source substrate 220 and peeling them from the source substrate 220 will be described.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소자 어레이 전사방법에서 선택적 전사 공정이 이루어지는 경우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앞에서 설명하여 중복되는 내용은 가급적 생략하며, 마이크로 소자 박리 단계(S130)와 관련된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FIGS. 4 and 5 are views illustrating a case where a selective transfer process is performed in the micro element array transfer method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the overlapped contents will be omitted as much as possible, and the description will be focused on the portion related to the micro element stripping step (S130).

먼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마이크로 소자 박리 단계(S130)에서는 전사되도록 선별된 마이크로 소자(230a)에 대해서만 레이저 박리 공정이 적용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선별된 마이크로 소자(230a) 만이 소스기판(220)에서 박리되도록 할 수 있다.4, a laser stripping process may be applied only to the microdevice 230a selected to be transferred in the microdevice removing step S130, and only the selected microdevice 230a may be removed from the source substrate 220, As shown in FIG.

레이저 박리 공정이 적용되면 베이스필름(211)과 접착층(212) 간의 제1결합력(W1)과, 접착층(212)과 비전도성층(213) 간의 제2결합력(W2)과, 비전도성층(213)과 마이크로 소자(230a) 간의 제3결합력(W3)과, 마이크로 소자(230b)와 소스기판(220) 간의 제4결합력(W4)은 레이저 박리 공정이 적용된 마이크로 소자(230a)와 소스기판(220) 간의 제4a결합력(W4a)보다 클 수 있다. 이처럼 제4결합력(W4)은 제4a결합력(W4a)보가 크므로, 레이저 박리 공정이 이루어지지 않은 마이크로 소자(230b)는 소스기판(220)에 남아 있게 된다. 그리고, 레이저 박리 공정이 적용된 마이크로 소자(230a)는 캐리어필름(210)에 결합되어 소스기판(220)으로부터 선택적으로 박리될 수 있다.The first bonding force W1 between the base film 211 and the adhesive layer 212 and the second bonding force W2 between the adhesive layer 212 and the nonconductive layer 213 and the second bonding force W2 between the adhesive layer 212 and the non- And the fourth bonding force W4 between the microdevice 230b and the source substrate 220 are the same as the bonding force W4 between the microdevice 230a and the source substrate 220 (W4a) between the fourth force (W4a). Since the fourth coupling force W4 is large in the fourth coupling force W4a, the microdevice 230b, which has not been subjected to the laser separation process, remains on the source substrate 220. [ The microdevice 230a to which the laser stripping process is applied can be selectively peeled from the source substrate 220 by being coupled to the carrier film 210. [

이에 따라, 최종적으로 타겟기판(270)에는 마이크로 소자 어레이 중에서 선별된 마이크로 소자(230a)만 전사될 수 있다. Accordingly, only the selected microdevice 230a can be transferred to the target substrate 270 from the microdevice array.

한편,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캐리어필름 마련 단계(S110)에서, 비전도성층(213)은 타겟기판(270)에 전사될 마이크로 소자(230a)에 대응되는 부분만이 접착층(212)에 마련될 수도 있다. 다시 말하면, 비전도성층(213)은 소스기판(220)에서 박리하고자 하는 마이크로 소자(230a)에 대응되는 부분만이 접착층(212)에 마련될 수도 있다.5, in the carrier film preparation step S110, the nonconductive layer 213 is formed only on the adhesive layer 212 corresponding to the micro element 230a to be transferred to the target substrate 270 . In other words, the non-conductive layer 213 may be provided on the adhesive layer 212 only in th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micro element 230a to be peeled off from the source substrate 220. [

이 경우, 비전도성층 가압 단계(S120)에서 비전도성층(213)에 가압되는 마이크로 소자(230a)는 타겟기판(270)에 전사될 마이크로 소자가 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microdevice 230a pressed to the nonconductive layer 213 in the non-conductive layer pressurizing step S120 may be a microdevice to be transferred to the target substrate 270. [

그리고, 마이크로 소자 박리 단계(S130)에서 박리되지 않은 마이크로 소자(230b)는 비전도성층 가압 단계(S120)에서 비전도성층(213)과 접촉하지 않기 때문에 초기의 깨끗한 표면을 유지할 수 있다. And, in the microdevice removing step S130, the un-peeled micro element 230b can maintain the initial clean surface since it does not contact the non-conductive layer 213 in the non-conductive layer pressing step S120.

비전도성층(213)이 타겟기판(270)에 전사될 마이크로 소자(230a)에 대응되는 부분만이 접착층(212)에 마련되면, 하나의 소스기판에서 여러 종류의 마이크로 소자가 선택적으로 박리되더라도 박리되지 않고 남아 있는 소자는 비전도성층과 접촉하지 않게 된다. 즉, 소스기판(220)의 상면에는 박리되는 마이크로 소자(230a)와 마이크로 소자(230a)에 대응되도록 마련되는 비전도성층(213)만이 접착되므로, 다른 마이크로 소자(230b)와 점착층 사이의 공간은 비어있는 상태일 수 있다. 따라서, 박리되지 않고 남아 있는 마이크로 소자(230b)는 오염되지 않고 깨끗한 표면을 유지할 수 있다. 이는 오염물에 의해 점착력이 약화되는 것을 방지하여 추후에 남아 있는 마이크로 소자를 박리하기 위해 비전도성층을 접촉했을 때 점착력이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If only the portion of the adhesive layer 212 corresponding to the micro element 230a to be transferred to the target substrate 270 is provided on the non-conductive layer 213, even if various kinds of micro elements are selectively peeled from one source substrate, And the remaining element is not in contact with the non-conductive layer. That is, only the micro element 230a to be peeled off and the nonconductive layer 213 corresponding to the micro element 230a are adher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ource substrate 220, so that the space between the other micro element 230b and the adhesive layer May be in an empty state. Thus, the microelements 230b that remain unremoved can maintain a clean surface without being contaminated. This can prevent the adhesion force from being weakened by the contaminants so that the adhesive force can be maintained when the nonconductive layer is contacted in order to peel off the remaining microelements.

또한, 비전도성층(213)이 타겟기판(270)에 전사될 마이크로 소자(230a)에 대응되는 부분만이 접착층(212)에 마련되면, 하나의 타겟기판에 여러 종류의 마이크로 소자가 선택적으로 전사되더라도 각각의 마이크로 소자 및 해당 마이크로 소자가 점착된 비전도성층은 서로 겹치거나 공간적으로 방해받지 않으면서 타겟기판에 전사될 수 있다. 즉, 타겟기판의 상면에는 선별된 마이크로 소자(230a)와 해당 마이크로 소자(230a)가 점착된 비전도성층(213)만이 전사되므로, 아직 전사되지 않은 다른 마이크로 소자와 해당 마이크로 소자가 점착된 비전도성층이 전사될 공간은 비어있는 상태일 수 있다. 따라서, 다른 마이크로 소자 및 해당 마이크로 소자가 점착된 비전도성층이 추가적으로 타겟기판 상의 빈 공간에 전사되더라도 이전에 전사된 마이크로 소자 및 비전도성층에 방해받지 않으면서 안정적으로 전사될 수 있다.When only the portion of the adhesive layer 212 corresponding to the micro element 230a to be transferred to the target substrate 270 is provided on the non-conductive layer 213, various kinds of micro elements are selectively transferred The respective micro devices and the non-conductive layers adhered to the micro devices can be transferred to the target substrate without being overlapped or spatially interfered with each other. That is, since only the non-conductive layer 213 to which the selected micro element 230a and the corresponding micro element 230a are adhered is transferred onto the upper surface of the target substrate, the non-conductive layer 213, The space in which the stratum is to be transferred may be empty. Therefore, even if the non-conductive layer to which the other micro-elements and the micro-elements are adhered is additionally transferred to the empty space on the target substrate, the micro-elements and the non-conductive layer can be stably transferred without being disturbed by the previously transferred micro-elements and the non-conductive layer.

도 4 및 도 5에서 미설명된 부호는 전술한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추가 설명은 생략한다. 4 and 5 are the same as those in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so that further explanation is omitted.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소자 어레이 전사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소자 어레이 전사방법의 공정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FIGS. 6 and 7 are flowcharts illustrating a method of transferring a microarray array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s a view illustrating a process of transferring a microarray array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 내지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마이크로 소자 어레이 전사방법은 비전도성층 마련 단계(S310), 가고정 단계(S320) 및 접합 단계(S330)를 포함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S. 6 to 8, the micro element array transfer method may include a nonconductive layer forming step S310, a temporary fixing step S320, and a bonding step S330.

비전도성층 마련 단계(S310)는 소스기판(420)의 상부에 형성되는 복수의 마이크로 소자(430) 측으로 비전도성층(413)을 마련하는 단계일 수 있다. The nonconductive layer forming step S310 may be a step of providing the nonconductive layer 413 on the side of the plurality of microdevices 430 formed on the source substrate 420. [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제1전극(431)의 상면에 전도성 물질(440)이 마련된 상태로 설명하지만 전도성 물질(440)이 제1전극(431)의 상면에 마련되지 않은 상태에서 S310 단계가 진행될 수도 있다.Although the conductive material 440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electrode 431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conductive material 440 is not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electrode 431, and the step S310 is performed It is possible.

비전도성층(413)이 소스기판(420)의 상부에 형성되는 복수의 마이크로 소자(430) 측으로 가압되면, 전도성 물질(440)은 비전도성층(413)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다. 비전도성층(413)은 마이크로 소자(430)의 상면을 덮도록, 구체적으로는, 제1전극(431) 및 전도성 물질(440)을 덮을 수 있다.The conductive material 440 can be inserted into the nonconductive layer 413 when the nonconductive layer 413 is pressed toward the plurality of microdevices 430 formed on the source substrate 420. [ The nonconductive layer 413 may cover the top surface of the microdevice 430, specifically, the first electrode 431 and the conductive material 440.

더하여, 비전도성층 마련 단계(S310)에서 비전도성층(413)은 소스기판(420)에서 박리하고자 하는 마이크로 소자에 대응되는 부분만이 마련될 수도 있다.In addition, in the non-conductive layer forming step S310, the non-conductive layer 413 may be provided only on the source substrate 420 corresponding to the micro device to be peeled off.

가고정 단계(S320)는 비전도성층(413)을 타겟기판(470)의 상부와 마주보게 배치하고, 마이크로 소자(430)에 마련되는 제1전극(431)과, 타겟기판(470)의 상면에 마련되는 제2전극(471) 사이에 전도성 물질(440)을 위치시키고 가고정하는 단계일 수 있다.In the temporary fixing step S320, the non-conductive layer 413 is disposed to face the upper portion of the target substrate 470 and the first electrode 431 provided on the micro element 430 and the second electrode 431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arget substrate 470 The conductive material 440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second electrode 471 provided on the first electrode 412 and the second electrode 471.

가고정 단계(S320)에서는 제1전극(431)이 제2전극(471)의 수직 상부에 위치되도록 마이크로 소자(430)의 위치를 정렬시키는 공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In the temporary fixing step S320, a process of aligning the position of the microdevice 430 may be performed such that the first electrode 431 is positioned vertically above the second electrode 471.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전도성 물질(440)은 마이크로 소자(430)의 제1전극(431)에 마련될 수도 있지만, 제2전극(471)에 마련될 수도 있다. 따라서, 가고정 단계(S320)에서 전도성 물질(440)은 제1전극(431)에 마련된 상태이거나, 제2전극(471)에 마련된 상태일 수 있다. Meanwhile, as described above, the conductive material 440 may be provided on the first electrode 431 of the micro device 430, but may be provided on the second electrode 471. [ Therefore, in the temporary fixing step S320, the conductive material 440 may be provided on the first electrode 431 or may be provided on the second electrode 471. [

그리고, 유동적인 전도성 물질(440)은 비전도성층(413)에 갇혀 움직이지 못하게 되고, 전도성 물질(440)의 모양과 두께도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Then, the fluid conductive material 440 is trapped in the non-conductive layer 413 and can not move, and the shape and thickness of the conductive material 440 can be kept constant.

가고정 단계(S320)에서, 비전도성층(413)과 타겟기판(470)이 서로 분리되지 않도록 타겟기판(470)에 열을 가하여 비전도성층(413)과 타겟기판(470) 사이의 상호 접착력이 커지도록 할 수도 있다.The target substrate 470 is heated so that the nonconductive layer 413 and the target substrate 470 are not separated from each other in the temporary fixing step S320 so that the mutual adhesion between the nonconductive layer 413 and the target substrate 470 May be increased.

접합 단계(S330)는 비전도성층(413) 및 전도성 물질(440)에 열을 가하여 전도성 물질(440)에 제1전극(431) 및 제2전극(471)을 접합하는 단계일 수 있다.The bonding step S330 may be a step of bonding the first electrode 431 and the second electrode 471 to the conductive material 440 by applying heat to the nonconductive layer 413 and the conductive material 440.

여기서, 접합 단계(S330)는 전도성 물질 압착 단계(S331)와, 마이크로 소자 박리 단계(S332)와, 리플로우 단계(S333)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bonding step S330 may include a conductive material pressing step S331, a micro element removing step S332, and a reflow step S333.

전도성 물질 압착 단계(S331)는 비전도성층(413)에 열을 가하면서 마이크로 소자(430)를 동시에 가압하여 제1전극(431) 및 제2전극(471)에 의해 전도성 물질(440)이 압착되도록 하는 단계일 수 있다.The conductive material 440 is pressed by the first electrode 431 and the second electrode 471 while simultaneously applying pressure to the microdevice 430 while applying heat to the nonconductive layer 413, . ≪ / RTI >

S331 단계에서, 비전도성층(413)에 열(450)이 가해지면 비전도성층(413)의 점도가 낮아질 수 있다. 그리고 점도가 낮아진 상태에서 마이크로 소자(430)가 가압되면 비전도성층(413)은 압축되고, 전도성 물질(440)은 제1전극(431) 및 제2전극(471)에 의해 가압될 수 있다.In the step S331, when the heat 450 is applied to the nonconductive layer 413, the viscosity of the nonconductive layer 413 may be lowered. When the microdevice 430 is pressed with the viscosity lowered, the nonconductive layer 413 is compressed and the conductive material 440 can be pressed by the first electrode 431 and the second electrode 471.

전도성 물질(440)은 비전도성층(413)에 갇혀 모양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기 때문에, 제1전극(431) 및 제2전극(471)은 제 위치와 모양을 유지하고 있는 전도성 물질(440)에 안정적으로 압착될 수 있다.Since the conductive material 440 is trapped in the nonconductive layer 413 and the shape thereof can be kept constant, the first electrode 431 and the second electrode 471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ductive material 440 ). ≪ / RTI >

마이크로 소자 박리 단계(S332)는 마이크로 소자(430)를 소스기판(420)에서 박리시키는 단계일 수 있다.The microdeposition step S332 may be a step of peeling the microdevice 430 from the source substrate 420. [

마이크로 소자 박리 단계(S332)에서는 레이저 박리 공정(453)을 통해 마이크로 소자(430)가 소스기판(420)에서 박리되도록 할 수 있다.In the microdevice removing step S332, the microdevice 430 may be peeled off from the source substrate 420 through the laser peeling step 453.

리플로우 단계(S333)는 전도성 물질(440)에 열을 가하여 전도성 물질(440)을 경화시키는 단계일 수 있다.  The reflow step S333 may be a step of applying heat to the conductive material 440 to cure the conductive material 440. [

S333단계에서는 전도성 물질(440)이 용융되어 마이크로 소자(430)의 제1전극(431)과 소스기판(420)의 제2전극(471) 사이에 확고한 전기적 접속을 형성하며, 이때 비전도성층(413)은 경화되어 마이크로 소자(430)의 제1전극(431) 이외의 표면과 소스기판(420)의 제2전극(471) 이외의 표면을 확고하게 접착시킬 수 있다. In step S333, the conductive material 440 is melted to form a firm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first electrode 431 of the microdevice 430 and the second electrode 471 of the source substrate 420. At this time, 413 may be hardened to firmly adhere the surface of the microdevice 430 other than the first electrode 431 to the surface of the source substrate 420 other than the second electrode 471.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forego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illustrative purposes only and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readily understand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entity may be distributed and implemented, and components described as being distributed may also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210: 캐리어필름
211: 베이스필름
212: 접착층
213,413: 비전도성층
220,420: 소스기판
230,430: 마이크로 소자
231,431: 제1전극
240,440: 전도성 물질
260: 전사필름
270,470: 타겟기판
271,471: 제2전극
210: carrier film
211: base film
212: Adhesive layer
213, 433:
220, 420: source substrate
230, 430:
231, 431:
240,440: Conductive material
260: Transfer film
270, 470: target substrate
271,471: Second electrode

Claims (10)

베이스필름과, 상기 베이스필름의 상면에 마련되는 접착층과, 상기 접착층의 상면에 마련되는 비전도성층을 포함하는 캐리어필름을 마련하는 캐리어필름 마련 단계;
상기 캐리어필름을 소스기판의 상부와 마주보게 배치하고, 상기 비전도성층을 상기 소스기판의 상부에 형성되는 복수의 마이크로 소자 측으로 가압하는 비전도성층 가압 단계;
상기 마이크로 소자를 상기 소스기판으로부터 박리하여 상기 비전도성층에 전사하는 마이크로 소자 박리 단계;
상기 마이크로 소자의 하면에 전사필름을 부착하는 전사필름 부착 단계;
상기 비전도성층으로부터 상기 접착층과 함께 상기 베이스필름을 제거하는 접착층 및 베이스필름 제거 단계;
상기 비전도성층을 타겟기판의 상부와 마주보게 배치하고, 상기 마이크로 소자에 마련되는 제1전극과, 상기 타겟기판의 상면에 마련되는 제2전극 사이에 전도성 물질을 위치시켜 가고정하는 가고정 단계; 그리고
상기 비전도성층 및 상기 전도성 물질에 열을 가하여 상기 전도성 물질에 상기 제1전극 및 상기 제2전극을 접합하는 접합 단계를 포함하는 마이크로 소자 어레이 전사방법.
A carrier film providing step of providing a carrier film including a base film, an adhesive layer provid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base film, and a nonconductive layer provid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adhesive layer;
A nonconductive layer pressing step of disposing the carrier film so as to face the upper portion of the source substrate and pressing the nonconductive layer to a plurality of micro devices formed on the source substrate;
Peeling the micro device from the source substrate and transferring the micro device to the nonconductive layer;
Attaching a transfer film to a lower surface of the micro device;
An adhesive layer and a base film removing the base film together with the adhesive layer from the nonconductive layer;
A temporary fixing step of disposing the nonconductive layer facing the top of the target substrate and positioning and fixing the conductive material between the first electrode provided on the micro device and the second electrode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arget substrate; And
And bonding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to the conductive material by applying heat to the nonconductive layer and the conductive materi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 단계는
상기 비전도성층에 열을 가하면서 상기 마이크로 소자를 동시에 가압하여 상기 제1전극 및 상기 제2전극에 의해 상기 전도성 물질이 압착되도록 하는 전도성 물질 압착 단계와,
상기 전도성 물질에 열을 가하여 상기 전도성 물질을 경화시키는 리플로우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소자 어레이 전사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bonding step
A conductive material pressing step of pressing the conductive material by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while simultaneously applying the microwaves while applying heat to the nonconductive layer;
And a reflow step of applying heat to the conductive material to cure the conductive material.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 단계는
상기 전도성 물질 압착 단계 및 상기 리플로우 단계의 사이에, 또는 상기 리플로우 단계 이후에 상기 전사필름을 상기 마이크로 소자에서 제거하는 전사필름 제거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소자 어레이 전사방법.
3. The method of claim 2,
The bonding step
And a transfer film removing step of removing the transfer film from the micro device between the conductive material pressing step and the reflow step or after the reflow step.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고정 단계에서, 상기 전도성 물질은 상기 제1전극에 마련된 상태이거나, 상기 제2전극에 마련된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소자 어레이 전사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ductive material is provided in the first electrode or in a state provided in the second electrode in the temporary fixing step.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 소자 박리 단계에서,
상기 소스기판에 형성되는 복수의 상기 마이크로 소자들 중 상기 타겟기판에 전사될 마이크로 소자만 선별하여 상기 소스기판으로부터 박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소자 어레이 전사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the microdeposition step,
Wherein only the microdevice to be transferred to the target substrate among the plurality of microdevices formed on the source substrate is selected and separated from the source substra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필름 마련 단계에서,
상기 비전도성층은 상기 소스기판에서 박리하고자 하는 마이크로 소자에 대응되는 부분만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소자 어레이 전사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the carrier film forming step,
Wherein the nonconductive layer has only a portion corresponding to a micro device to be peeled off from the source substrate.
소스기판의 상부에 형성되는 복수의 마이크로 소자 측으로 비전도성층을 마련하는 비전도성층 마련 단계;
상기 비전도성층을 타겟기판의 상부와 마주보게 배치하고, 상기 마이크로 소자에 마련되는 제1전극과, 상기 타겟기판의 상면에 마련되는 제2전극 사이에 전도성 물질을 위치시키고 가고정하는 가고정 단계; 그리고
상기 비전도성층 및 상기 전도성 물질에 열을 가하여 상기 전도성 물질에 상기 제1전극 및 상기 제2전극을 접합하는 접합 단계를 포함하는 마이크로 소자 어레이 전사방법.
A non-conductive layer providing step of providing a non-conductive layer to a plurality of micro elements side form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source substrate;
A temporary fixing step of disposing and fixing the conductive material between the first electrode provided on the micro device and the second electrode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arget substrate by disposing the non-conductive layer facing the top of the target substrate; And
And bonding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to the conductive material by applying heat to the nonconductive layer and the conductive material.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 단계는
상기 비전도성층에 열을 가하면서 상기 마이크로 소자를 동시에 가압하여 상기 제1전극 및 상기 제2전극에 의해 상기 전도성 물질이 압착되도록 하는 전도성 물질 압착 단계와,
상기 마이크로 소자를 상기 소스기판에서 박리시키는 마이크로 소자 박리 단계와,
상기 전도성 물질에 열을 가하여 상기 전도성 물질을 경화시키는 리플로우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소자 어레이 전사방법.
8. The method of claim 7,
The bonding step
A conductive material pressing step of pressing the conductive material by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while simultaneously applying the microwaves while applying heat to the nonconductive layer;
Removing the micro device from the source substrate;
And a reflow step of applying heat to the conductive material to cure the conductive material.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고정 단계에서, 상기 전도성 물질은 상기 제1전극에 마련된 상태이거나, 상기 제2전극에 마련된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소자 어레이 전사방법.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conductive material is provided in the first electrode or in a state provided in the second electrode in the temporary fixing step.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비전도성층 마련 단계에서,
상기 비전도성층은 상기 소스기판에서 박리하고자 하는 마이크로 소자에 대응되는 부분만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소자 어레이 전사방법.
8. The method of claim 7,
In the non-conductive layer preparation step,
Wherein the nonconductive layer has only a portion corresponding to a micro device to be peeled off from the source substrate.
KR1020170158348A 2017-11-24 2017-11-24 Method of trasferring micro-device array KR10201223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8348A KR102012237B1 (en) 2017-11-24 2017-11-24 Method of trasferring micro-device arra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8348A KR102012237B1 (en) 2017-11-24 2017-11-24 Method of trasferring micro-device arra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0287A true KR20190060287A (en) 2019-06-03
KR102012237B1 KR102012237B1 (en) 2019-08-21

Family

ID=668491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8348A KR102012237B1 (en) 2017-11-24 2017-11-24 Method of trasferring micro-device arra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2237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25775A1 (en) * 2019-12-18 2021-06-24 서울바이오시스주식회사 Micro-led transfer method and micro-led transfer apparatus
US11404403B2 (en) 2019-07-04 2022-08-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icro LED display modul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68321A (en) * 1998-08-26 2000-03-0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Semiconductor device and manufacture thereof
JP2005123405A (en) * 2003-10-16 2005-05-12 Seiko Epson Corp Mount substrate for electrooptic device, mount substrate for semiconductor device, method for mounting element chip, and electrooptic device and electronic component
KR20140140042A (en) * 2012-03-07 2014-12-08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semiconductor device
JP5700186B1 (en) * 2013-07-08 2015-04-15 ソニー株式会社 Curing condition determination method, circuit device manufacturing method, and circuit device
KR20170011770A (en) 2015-07-24 2017-02-02 한국기계연구원 Selective continuous transferring apparatus based on adhesion-controlled film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68321A (en) * 1998-08-26 2000-03-0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Semiconductor device and manufacture thereof
JP2005123405A (en) * 2003-10-16 2005-05-12 Seiko Epson Corp Mount substrate for electrooptic device, mount substrate for semiconductor device, method for mounting element chip, and electrooptic device and electronic component
KR20140140042A (en) * 2012-03-07 2014-12-08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semiconductor device
JP5700186B1 (en) * 2013-07-08 2015-04-15 ソニー株式会社 Curing condition determination method, circuit device manufacturing method, and circuit device
KR20170011770A (en) 2015-07-24 2017-02-02 한국기계연구원 Selective continuous transferring apparatus based on adhesion-controlled film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04403B2 (en) 2019-07-04 2022-08-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icro LED display modul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WO2021125775A1 (en) * 2019-12-18 2021-06-24 서울바이오시스주식회사 Micro-led transfer method and micro-led transfer apparatus
US11521887B2 (en) 2019-12-18 2022-12-06 Seoul Viosys Co., Ltd. Method of transferring micro LED and micro LED transferr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2237B1 (en) 2019-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190614A1 (en) Massively parallel transfer of microLED devices
JP6533838B2 (en) Method of transporting micro light emitting diode, manufacturing method, apparatus and electronic device
JP6546278B2 (en) Method of transporting micro light emitting diode, manufacturing method, apparatus and electronic device
EP3221903B1 (en) Transferring method of micro-led, and manufacturing method of micro-led device
WO2018223391A1 (en) Micro-led array transfer method, manufacturing method and display device
EP1104017B1 (en) Method of flip-chip mounting a semiconductor chip to a circuit board
WO2019013120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display device, method for transferring chip component, and transfer member
KR100702743B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JP6103055B2 (en) Manufacturing method of resin multilayer substrate
EP2750490B1 (en) Component-mounting printed circuit board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same
KR20180112197A (en) Method of transferring micro device using nonconductive adhesive thin film
CN101512742B (en) Method for manufacturing semiconductor device
JP2004071863A (en) Carrier for transfer of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and electronic component mounting method to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KR20060132708A (en) Apparatus incorporating small-feature-size and large-feature-size components and method for making same
KR102012237B1 (en) Method of trasferring micro-device array
JP5647335B2 (en) Solder transfer substrate, method for manufacturing solder transfer substrate, and solder transfer method
JP2009010302A (en) Method for forming solder paste layer
TW200824522A (en) Printed circuit board, printed circuit board assembly, electronic device, manufacturing method of printed circuit board, and warpage correcting method of printed circuit board
TW201611141A (en)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substrate adapter, a substrate adapter, and a method for purposes of providing contact with a semiconductor element
JP2007190802A (en) Composite sheet
JP2010118436A (en) Manufacturing method for module with built-in component
TWI718923B (en) Led chip structure, chip transferring system and chip transferring method
JP5849405B2 (en) Manufacturing method of semiconductor device
JP3434704B2 (en) Conductive element array sheet manufacturing equipment
JP2007027305A (en) Semiconductor devic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