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60223A - 탈착식 sos버튼 및 이를 이용한 구난 서비스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탈착식 sos버튼 및 이를 이용한 구난 서비스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60223A
KR20190060223A KR1020170158226A KR20170158226A KR20190060223A KR 20190060223 A KR20190060223 A KR 20190060223A KR 1020170158226 A KR1020170158226 A KR 1020170158226A KR 20170158226 A KR20170158226 A KR 20170158226A KR 20190060223 A KR20190060223 A KR 201900602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
sos
vehicle
emergency
detach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82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41399B1 (ko
Inventor
박준하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582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1399B1/ko
Publication of KR201900602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02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13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13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B60R16/0315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using multiplexing techniqu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2Manually actuated calamity alarm transmitting arrangements emergency non-personal manually actuated alarm, activators, e.g. details of alarm push buttons mounted on an infrastructur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7/00Alarm systems in which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from a central station to a plurality of substations
    • G08B27/001Signalling to an emergency team, e.g. fireme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26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 H01H13/28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using compression or extension of coil spring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larm Systems (AREA)
  • Transmitters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탈착식 SOS버튼 및 이를 이용한 구난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차량 내부 또는 외부에서 발생될 수 있는 범죄 상황에 대한 구난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운전자의 위급상황 발생 시 구난을 요청하는 차량 내에 설치된 탈착식 SOS버튼에 있어서, 운전자가 고정식 또는 분리식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슬라이딩 방식으로 탈착이 가능한 제1 버튼; 및 제1 버튼의 하부에 설치되어 위급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운전자에 의해 제1 버튼이 눌리면 구난을 요청하도록 트리거 기능을 하는 제2 버튼;을 포함하는 탈착식 SOS버튼을 제공한다. 또한 탈착식 SOS버튼을 이용한 구난 서비스 방법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위급상황의 범위를 확대하여 잠행 모드의 구난 서비스를 제공하고, 분리 또는 충전이 가능한 SOS버튼으로 휴대가 가능하여 범행이 이루어져 이탈되어도 위급상황을 감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탈착식 SOS버튼 및 이를 이용한 구난 서비스 제공 방법{DETACHABLE SOS BUTTON AND METHOD FOR PROVIDING RESCUE SERVIC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탈착식 SOS버튼 및 이를 이용한 구난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차량 내부 또는 외부에서 발생될 수 있는 범죄 상황에 대한 구난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차량이 널리 보급됨에 따라 차량 내부에서도 많은 위급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차량 내부에 화재 등 비상상황이 발생하거나 외부인의 침입으로 범죄가 발생하는 경우도 발생할 수 있다. 특히, 최근 들어 경제악화로 강력 범죄가 기승을 부리고 있는데 택시를 상대로 하는 범죄도 잇따르고 있는 실정이다. 예를 들어, 운전자가 택시를 운전하는 도중 강도나 도둑 기타 괴한이 칩입했을 때 또는, 취객 난동이나 요금 시비 혹은 응급 상황 발생시 응급 사항에 신속히 대처해야 하지만, 운전자는 택시 운전을 해야 하기 때문에 발생한 응급 사항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또한, 차량 탑승객의 납치나 위협을 가하는 행동도 일어날 수 있는데, 이 경우 차량탑승자의 생명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쳐 최악의 상황으로 전개되는 범죄가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관련, 종래의 한국등록특허 제10-1601393호(차량용 비상 버튼)는 차량 사고 시 혹은 위급상황 발생 시 긴급 구난을 위해 사용하는 차량용 비상 버튼을 개시하는데, 종래 기술의 발명은 유럽 법규를 만족하기 위한 오동작 방지 설계와 직관적인 휴먼-머신 인터페이스(Human-Machine Interface)를 반영한 설계 구조로서, 적절한 오동작 방지 설계를 적용하여 용이하게 버튼 동작이 가능한 차량용 비상 버튼을 제공한다.
다만, 종래 기술은 운전자가 차량에 진입한 불법 침입자에 의해 제압을 당하여 납치되거나 차량에서 이탈되는 경우 차량 컨트롤에 대한 제어권을 상실하게 되어 도움을 요청할 수 없고, 비상 버튼에 대한 접근 조차 어려운 상황이 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601393호
본 발명은 운전자가 이탈이 되어도 위급상황인 것을 관제센터에 제공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위급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범인이 인식할 수 없도록 위급상황을 알리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운전자의 위급상황 발생 시 구난을 요청하는 차량 내에 설치된 탈착식 SOS버튼에 있어서, 운전자가 고정식 또는 분리식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슬라이딩 방식으로 탈착이 가능한 제1 버튼; 및 제1 버튼의 하부에 설치되어 위급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운전자에 의해 제1 버튼이 눌리면 구난을 요청하도록 트리거 기능을 하는 제2 버튼;을 포함하는 탈착식 SOS버튼을 제공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제1 버튼 및 제2 버튼은, 충전 배터리, 전원관리부, 무선 송신부 및 송신 안테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1 버튼은, 제2 버튼과 분리식으로 운영되는 경우 운전자가 휴대가 가능하며 차량의 이콜 모듈(eCall module)과의 통신을 통해 위급상황을 텔레매틱스로 전송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1 버튼은, 차량의 이콜 모듈과의 거리 또는 엔진 이그니션 off 이후 경과 시간을 고려하여 위급상황을 텔레매틱스로 전송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슬라이딩은 제1 버튼의 누름 방향과 직각으로 형성되어 트리거의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1 버튼은 제2 버튼의 양단에 형성된 홈을 따라 슬라이딩 되어 탈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1 버튼 및 제2 버튼의 양단에는, 외부에 (+) 및 내부에 (-) 충전 접점이 형성되어 있어 제1 버튼 및 제2 버튼의 양단이 바뀌어도 충전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운전자의 위급상황 발생 시 탈착식 SOS버튼을 이용한 구난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탈착식 SOS버튼이 눌러지는 경우 차량의 차량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차량정보를 위급상황을 관제하는 SOS 센터에 전송하고 SOS 센터에서 인식하도록 SOS콜을 송신하는 단계; 및 운전자가 위급상황인 것을 확인하여 SOS콜을 구난 서비스의 제공업체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구난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탈착식 SOS버튼이 상부의 제1 버튼과 하부의 제2 버튼으로 분리되어 운영되는 경우 제1 버튼이 분리되는 단계; 제1 버튼이 눌러지는 경우 위급상황이 발생해도 탑승자가 인식할 수 없도록 운전자의 차량에 설치된 출력장치는 OFF되고 입력장치는 ON이 되어 잠행 모드로 설정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1 버튼이 분리된 후 차량의 이콜 모듈과의 거리 또는 엔진 이그니션 off 이후 경과 시간을 측정하는 단계; 및 거리 또는 경과 시간이 기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SOS 센터에서 위급상황인 것을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르면, 위급상황의 범위를 확대하여 잠행 모드의 구난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분리 또는 충전이 가능한 SOS버튼으로 휴대가 가능하여 범행이 이루어져 이탈되어도 위급상황을 감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긴급 구난을 위해 사용하는 차량용 비상 버튼의 모습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탈착식 SOS버튼을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버튼의 사시도(a) 및 측면도(b)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1 버튼과 이콜 모듈의 구성 및 이들의 통신 방식을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버튼과 제2 버튼의 내부와 양단의 충전 접점을 나타낸다.
도 6은 도 2 내지 도 5에 개시된 탈착식 SOS버튼을 이용한 구난 서비스 제공 방법의 순서도를 나타낸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이 예시적 실시 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 참조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재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는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자연스럽게 이해되거나 보다 분명해 질 수 있으며, 하기의 기재만으로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긴급 구난을 위해 사용하는 차량용 비상 버튼의 모습니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차량용 비상 버튼은 캡(12)과 문자 도형부(21)로 구성된다. 기존의 SOS콜 기능은 차량 탑승객의 긴급 지원을 위해 대표적인 위급 상황을 선정하여 아래 2가지 기능을 의무화하고 있다.
1) 자동 사고 통보 : 차량의 에어백 신호를 감지하여 차량탑승객이 의식이 없을 경우를 대비하여 자동으로 긴급구난센터에 콜 연결
2) 수동 사고 통보 : 대부분 차량탑승객이 의식이 있고 지원이 필요한 상황 여부를 본인이 판단하여 직접 버튼을 눌러 수동으로 긴급구난센터에 콜 연결
종래 기술의 경우 2)번에 해당되는 사항으로 수동으로 통보하는 시스템에 속한다.
위급상황이 발생하면, 캡(12)과 버튼부(14)가 180°완전히 돌아간 상태가 되면, 버튼부(14)의 문자 도형부(21)가 캡 상면 위로 돌출되는 동시에 밖으로 노출되어 있는 문자 도형부(21)가 발광하게 된다. 그리고, 전화연결이 되는 구조이다.
위급상황이 해제되면, 캡(12)을 반시계방향으로 180°회전시키게 되면, 캡(12)의 상승과 더불어 문자 도형부(21)가 아래로 내려가면서 돌출되어 있던 문자 도형부(21)가 속으로 들어가게 되고, 이와 동시에 사용 전 초기 상태로 돌아가게 된다.
즉, SOS버튼이기는 하나, 종래 기술은 차량에 진입한 불법 침입자에 의해 운전자가 제압을 당하여 차량 컨트롤에 대한 제어권을 상실하게 되면 비상 버튼에 대한 접근 조차 어려워 무용지물이 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탈착식 SOS버튼(1)을 나타낸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탈착식 SOS버튼(1)은, 제1 버튼(10) 및 제2 버튼(2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버튼(10)은, 운전자가 고정식 또는 분리식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슬라이딩 방식으로 탈착이 가능하다. 제2 버튼(20)은 제1 버튼(10)의 하부에 설치되어 위급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운전자에 의해 제1 버튼(10)이 눌리면 구난을 요청하도록 트리거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존의 고정식으로 정해진 위치에 고정되어 있는 SOS버튼을 탈착식으로 설계하여 차량탑승자가 직접 몸에 휴대할 수 있는 휴대용 방식을 지원한다. 차량 승하차 시 차량 주변에서 위급상황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분리된 제1 버튼(10)과 이콜 모듈(eCall module) 간의 거리, 엔진 off 이후 경과 시간을 스스로 인지하여 시동이 OFF된 상태에서도 이콜 모듈의 동작 READY 상태를 유지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기능을 사용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본 탈착식 SOS버튼(1)은 듀얼 버튼 구조를 가진다. 차량탑승자의 위치 기준으로 가까운 거리에 장착된 버튼 1은 버튼 2의 상단에 탈장착 구조로 위치하며 차량탑승자의 목적과 용도에 따라 분리 및 휴대가 가능하며, 버튼 2는 분리가 되지 않는 기존의 고정식 버튼 형태이다. 버튼 1 및 버튼 2는 트리거 구조로 Push타입이며, 일체형으로 고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단 버튼 1이 Push될 경우, 버튼 2가 Push되고 해당 기능이 트리거 되는 구조로 설계되어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버튼(10)의 사시도(a) 및 측면도(b)를 나타낸다. 도 3의 (a) 및 (b)를 참조하면, 버튼 1이 분리식으로 운영되는 모습으로 휴대용 버튼이 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1 버튼(10)과 이콜 모듈의 구성 및 이들의 통신 방식을 나타낸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 버튼(10)은 충전 배터리, 전원관리부, 무선 송신부 및 송신 안테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제1 버튼(10)과 이콜 모듈과의 통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제2 버튼(20)은 표시되지 않았지만 제2 버튼(20)도 충전 배터리, 전원관리부, 무선 송신부 및 송신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버튼(10)은 제2 버튼(20)과 분리식으로 운영되는 경우 운전자가 휴대가 가능하며 차량의 이콜 모듈(eCall module)과의 통신을 통해 위급상황을 텔레매틱스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1 버튼(10) 내 설계된 Push 타입 버튼 구조와 근거리 Wireless 통신 모듈, 내장 충전 배터리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를 이용하여 제1 버튼(10)은 차량 내 텔레매틱스 혹은 SOS유니트와 Wireless 통신을 연결하고 잠행 (Stealth) SOS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버튼(10)은, SOS버튼이 분리된 상태에서 버튼을 눌렀을 경우, 상황을 납치, 인질 혹은 유사 상황으로 인지하고, 기존의 SOS콜과 차별화된 잠행 (Stealth) 콜 연결을 하여, 차량에 진입한 불법 침입자가 잠행 (Stealth) SOS콜 기능이 진행되고 있다는 상황을 인지 못하도록 조치하는 반면, 잠행 (Stealth) SOS콜을 받은 상담원에게 납치, 인질 혹은 유사상황을 미리 녹음된 안내 방송을 통해 인지시키고, 마이크와 같은 센터로의 입력장치 연결 및 위치 추적에 필요한 정보들을 전송하여 상담원이 경찰, SWAT, 앰블런스 등 필수의 긴급 조치를 가능하도록 버튼 구조, 기능,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 제1 버튼(10)은, 차량의 이콜 모듈과의 거리 또는 엔진 이그니션 off 이후 경과 시간을 고려하여 위급상황을 아래 [표 1]과 같이 텔레매틱스로 전송할 수 있다.


구분

조건#1
(엔진 이그니션 )

조건#2
(제1 버튼~이콜 모듈 거리)

조건#3
(엔진 이그 니션 OFF 이후 경과 시간)

이콜 모듈 신호송신부 전원상태


이콜 모듈


비고















OFF


10m 초과


5분 이하





상시 ON

ON

긴급콜 Ready

5분 초과
OFF
전원 Save


10m 이하

5분 이하


상시 ON


긴급콜 Ready

5분 초과









10m 초과

5분 이하

ON

긴급콜 Ready

5분 초과

OFF

전원 Save


10m 이하

5분 이하



상시 ON


긴급콜 Ready

5분 초과
위 [표 1]을 살펴보면, 하차 시와 승차 시로 구분되어 버튼 1과 이콜 모듈과의 거리 및 엔진 이그니션 off 이후 경과 시간을 고려하여, 구난을 요청할 수 있다.
하차 시에는 10m를 초과하여 5분을 이하라면 구난 요청을 하도록 준비가 되나 5분이 초과하면 완전히 하차한 것으로 간주되어 준비는 해제되고, 10m 이하라면 차량 근처에 운전자가 있는 것으로 간주되어 준비 상태를 유지한다.
승차 시에는 10m를 이하라면 하차 시와 마찬가지로 차량 근처에 운전자가 있는 것으로 간주되어 준비 상태를 유지하고, 10m를 초과한다면 5분 이하에서는 구난 요청을 하도록 준비가 되나 5분이 초과되면 해제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버튼(10)과 제2 버튼(20)의 내부와 양단의 충전 접점을 나타낸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 버튼(10)은 제2 버튼(20)의 양단에 형성된 홈을 따라 슬라이딩 슬라이딩 방식으로 분리 또는 결합 될 수 있다. 이 때 슬라이딩은 제1 버튼(10)의 누름 방향과 직각으로 형성되어 트리거의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버튼(10) 및 제2 버튼(20)의 양단에는, 외부에 (+) 및 내부에 (-) 충전 접점이 형성되어 있어 제1 버튼(10) 및 제2 버튼(20)의 양단이 바뀌어도 충전이 가능하다. 버튼 1 (잠행 SOS 기능)이 슬라이딩 및 장착이 완료되는 시점에 버튼 2의 전원 공급부와 버튼 1의 충전배터리 충전 접점의 (+), (-) 부분이 각각 통전되면서 버튼 1에 내장되어 있는 충전 배터리에 충전이 시작된다. 완충이 되면 과전압 방지를 위해 충전 보호 회로가 충전을 중지한다.
영문 "SOS"는 180도 회전을 해도 동일한 "SOS" 텍스트를 유지하는 점에 착안하여 상단에 적용한 버튼 2의 전원 공급부를 하단에도 적용하되 (+), (-)단자 위치를 상단과 반대로 적용하여, 차량 탑승자가 장착 시 방향성 구분없이 장착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위 충전 및 슬라이딩 방식은 사용자의 편리성을 높일 수 있다.
이하, 상술한 탈착식 SOS버튼(1)을 이용하여 구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은 도 2 내지 도 5에 개시된 탈착식 SOS버튼을 이용한 구난 서비스 제공 방법의 순서도를 나타낸다. 도 6을 참조하면, 구난 서비스 제공 방법은 운전자의 위급상황 발생 시 탈착식 SOS버튼을 이용한 구난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탈착식 SOS버튼(1)이 눌러지는 경우(S101) 차량의 차량정보를 수집하는 단계(S10); 차량정보를 상기 위급상황을 관제하는 SOS 센터에 전송하고(S201) SOS 센터에서 인식하도록 SOS콜을 송신하는 단계(S20); 및 운전자가 위급상황인 것을 확인하여(S301) SOS콜을 상기 구난 서비스의 제공업체에 전송하는 단계(S30);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정보를 수집하는 단계(S103)는 구난 서비스를 제공할 대상을 검색하는 과정으로 현재 위급상황에 직면한 차량이 어떤 차량인지 차량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것이다. 차량정보에는 차량의 위치, 차량 소유주, 차량의 종류나 색깔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이에 한정되지 않고 GPS를 이용하거나 텔레매틱스에서 수집할 수 있는 모든 차량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SOS콜을 송신하는 단계(S20)는 차량에서 제1 버튼(10)이 눌러지거나 위급상황이라고 판단되어진 경우, 수집된 차량정보와 함께 SOS콜 내용을 텔레매틱스에 전송하는 과정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SOS콜의 내용은 "본 안내는 녹음이며, 차량 탑승자의 요청에 의해 연결된 잠행 SOS콜입니다. SOS센터의 소리는 차량으로 전달되지 않으며 차량의 소리만 청음 가능합니다. 잠행 SOS 서비스를 신청한 차량 탑승자는, 현재 납치, 인질 등 위험에 처한 상황일 수 있으며, 신속한 구난 지원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생략).." 와 같이 설정될 수 있다.
SOS콜을 구난 서비스의 제공업체에 전송하는 단계(S30)는, 전달된 차량정보와 제1 버튼(10)의 상황(제1 버튼(10)과 이콜 모듈과의 거리 또는 엔진 이그시션 Off 이후 경과 시간)를 또는 마이크 등의 인식장치를 통해 현재 차량에 탑승한 운전자 또는 탑승자가 위급상황임을 확인하여 경찰, 앰뷸런스 등 상황에 필요한 구난 서비스를 지원하는 구난 서비스 제공업체에 도움을 요청하는 과정이다.
탈착식 SOS버튼(1)이 상부의 제1 버튼과 하부의 제2 버튼으로 분리되어 운영되는 경우 제1 버튼이 분리되는 단계; 및 제1 버튼이 눌러지는 경우 위급상황이 발생해도 탑승자가 인식할 수 없도록 운전자의 차량에 설치된 출력장치는 OFF되고 입력장치는 ON이 되어 잠행 모드로 설정되는 단계(S10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버튼이 눌러지는 단계(S101);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버튼이 분리된 후 차량의 이콜 모듈과의 거리 또는 엔진 이그니션 off 이후 경과 시간을 측정하는 단계; 및 거리 또는 경과 시간이 기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SOS 센터에서 위급상황인 것을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차량 정보는 상술한 장치 발명에 더불어 사고 발생 시간, 위치정보, 고객명, 차종, 엔진타입, 연료타입 등도 추가될 수 있으며, 등록된 잠행 (Stealth) SOS콜 키워드를 통해, 예를 들어 기 설정된‘지갑’이라는 키워드를 마이크를 통해 SOS 센터에서 인식하는 경우 긴급상황임을 바로 알 수 있다. 본 키워드는 고객이 잠행 (Stealth) SOS콜 서비스 신청 시, 등록한 키워드이며, 차량에서 출력음성 모니터링 중, 해당 단어가 차량 탑승자로부터 언급되면 구난이 필요한 상황으로 판단하는데 참고가 될 수 있다.
대부분의 자동차 OEM이 고객들에게 제공하는 SOS콜의 형태는, 차량내로 점위를 국한하고 범위법규 만족을 위해 Emergency call 기능을 적용한다. 또한, 고객의 편의를 위해, 예를 들어 Concierge콜과 같은 텔레매틱스 서비스를 분리하거나 분리된 개념으로 제공하고 있다.
본 발명은 Emergency call 법규와 텔레매틱스 서비스의 상호 호환성을 고려하여 고객의 안전을 보다 효과적으로 지원하는 서비스로 향후 차량 주변까지 포함된 잠행 SOS콜을 업그레이드 할 있으며 상세 긴급 상황 별 서비스, 기능 업그레이드가 가능하여 타 기능과 융합하여 확장, 진화할 수 있다.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설명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와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
1 : 탈착식 SOS버튼
10 : 제1 버튼 20 : 제2 버튼

Claims (10)

  1. 운전자의 위급상황 발생 시 구난을 요청하는 차량 내에 설치된 탈착식 SOS버튼에 있어서,
    상기 운전자가 고정식 또는 분리식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슬라이딩 방식으로 탈착이 가능한 제1 버튼; 및
    상기 제1 버튼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위급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운전자에 의해 상기 제1 버튼이 눌리면 상기 구난을 요청하도록 트리거 기능을 하는 제2 버튼;을 포함하는 탈착식 SOS버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버튼 및 제2 버튼은,
    충전 배터리, 전원관리부, 무선 송신부 및 송신 안테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식 SOS버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버튼은,
    상기 제2 버튼과 분리식으로 운영되는 경우 상기 운전자가 휴대가 가능하며 상기 차량의 이콜 모듈(eCall module)과의 통신을 통해 상기 위급상황을 텔레매틱스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식 SOS버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버튼은,
    상기 차량의 이콜 모듈과의 거리 또는 엔진 이그니션 off 이후 경과 시간을 고려하여 상기 위급상황을 텔레매틱스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식 SOS버튼.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은 상기 제1 버튼의 누름 방향과 직각으로 형성되어 상기 트리거의 오동작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식 SOS버튼.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버튼은 상기 제2 버튼의 양단에 형성된 홈을 따라 슬라이딩 되어 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식 SOS버튼.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버튼 및 제2 버튼의 양단에는,
    외부에 (+) 및 내부에 (-) 충전 접점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제1 버튼 및 제2 버튼의 양단이 바뀌어도 충전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식 SOS버튼.
  8. 운전자의 위급상황 발생 시 탈착식 SOS버튼을 이용한 구난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탈착식 SOS버튼이 눌러지는 경우 차량의 차량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차량정보를 상기 위급상황을 관제하는 SOS 센터에 전송하고 상기 SOS 센터에서 인식하도록 SOS콜을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운전자가 위급상황인 것을 확인하여 상기 SOS콜을 상기 구난 서비스의 제공업체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구난 서비스 제공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탈착식 SOS버튼이 상부의 제1 버튼과 하부의 제2 버튼으로 분리되어 운영되는 경우 상기 제1 버튼이 분리되는 단계;
    상기 제1 버튼이 눌러지는 경우 상기 위급상황이 발생해도 탑승자가 인식할 수 없도록 상기 운전자의 차량에 설치된 출력장치는 OFF되고 입력장치는 ON이 되어 잠행 모드로 설정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구난 서비스 제공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버튼이 분리된 후 상기 차량의 이콜 모듈과의 거리 또는 엔진 이그니션 off 이후 경과 시간을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거리 또는 경과 시간이 기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SOS 센터에서 상기 위급상황인 것을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구난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170158226A 2017-11-24 2017-11-24 탈착식 sos버튼 및 이를 이용한 구난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4413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8226A KR102441399B1 (ko) 2017-11-24 2017-11-24 탈착식 sos버튼 및 이를 이용한 구난 서비스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8226A KR102441399B1 (ko) 2017-11-24 2017-11-24 탈착식 sos버튼 및 이를 이용한 구난 서비스 제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0223A true KR20190060223A (ko) 2019-06-03
KR102441399B1 KR102441399B1 (ko) 2022-09-07

Family

ID=668490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8226A KR102441399B1 (ko) 2017-11-24 2017-11-24 탈착식 sos버튼 및 이를 이용한 구난 서비스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139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920545A (zh) * 2019-12-04 2020-03-27 华人运通(上海)云计算科技有限公司 紧急呼叫开关故障检测电路及汽车
KR102417244B1 (ko) * 2022-02-22 2022-07-05 임형순 위치 이동 가능한 무선 비상 스위치 시스템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10222U (ko) * 1990-11-28 1992-06-17 주식회사 금성사 Vcr용 이중 보턴장치
JPH09130879A (ja) * 1995-10-31 1997-05-16 Sharp Corp 電子機器のリモコン
JP2004213480A (ja) * 2003-01-07 2004-07-29 Mitsubishi Electric Corp 緊急通報装置
KR20040108523A (ko) * 2003-06-17 2004-12-24 신 에트케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개인 구호 시스템
KR20110061283A (ko) * 2009-12-01 2011-06-09 (주)로드피아 양면 유에스비 외장메모리
KR101601393B1 (ko) 2014-02-20 2016-03-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비상 버튼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10222U (ko) * 1990-11-28 1992-06-17 주식회사 금성사 Vcr용 이중 보턴장치
JPH09130879A (ja) * 1995-10-31 1997-05-16 Sharp Corp 電子機器のリモコン
JP2004213480A (ja) * 2003-01-07 2004-07-29 Mitsubishi Electric Corp 緊急通報装置
KR20040108523A (ko) * 2003-06-17 2004-12-24 신 에트케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개인 구호 시스템
KR20110061283A (ko) * 2009-12-01 2011-06-09 (주)로드피아 양면 유에스비 외장메모리
KR101601393B1 (ko) 2014-02-20 2016-03-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비상 버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920545A (zh) * 2019-12-04 2020-03-27 华人运通(上海)云计算科技有限公司 紧急呼叫开关故障检测电路及汽车
KR102417244B1 (ko) * 2022-02-22 2022-07-05 임형순 위치 이동 가능한 무선 비상 스위치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1399B1 (ko) 2022-09-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44397B2 (en) System for providing profile information
US9290145B2 (en) Detecting a transport emergency event and directly enabling emergency services
JP3126311U (ja) 個人携帯型救援要請システム
JP3934065B2 (ja) 緊急通報端末装置およびシステム
CN102164357A (zh) 用于紧急呼叫判优的方法
US20110287733A1 (en) Methods for providing emergency services to a mobile vehicle
US20050037730A1 (en) Mobile wireless phone with impact sensor, detects vehicle accidents/thefts, transmits medical exigency-automatically notifies authorities
JP2006159939A (ja) 車室内報知対象の通知装置
JP4747125B2 (ja) 移動体搭載装置
JP4341703B2 (ja) 電波発信規制機能付き車載装置及び電波発信規制システム
JP2006347299A (ja) 車載制御装置
EP2127964B1 (en) Device installable in a vehicle for generating a rescue request and automatic sending of information on the geographical position of the vehicle
JP2013220812A (ja) 自動車載緊急呼び出し
KR20190060223A (ko) 탈착식 sos버튼 및 이를 이용한 구난 서비스 제공 방법
JP3963205B2 (ja) 移動体用無線端末
JP2007214756A (ja) 車載通信装置
CN106038101A (zh) 一种带有控制装置的轮椅车
JP2021149806A (ja) 通報装置
JPH11167689A (ja) 自動車事故無線通報システム及び救助法
CN112689246A (zh) 一种融合v2x技术的车辆紧急呼叫系统
CN112218268A (zh) 车载终端和事故报警方法
JP4240927B2 (ja) 移動体通信装置
KR100268127B1 (ko) 차량사고 자동 전송장치
JP2003242573A (ja) 緊急通報システム
CN107364420A (zh) 一种后视镜一键报警方法及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