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60056A - 웨이트 장비를 활용한 최대근력 측정 장치 - Google Patents

웨이트 장비를 활용한 최대근력 측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60056A
KR20190060056A KR1020170157846A KR20170157846A KR20190060056A KR 20190060056 A KR20190060056 A KR 20190060056A KR 1020170157846 A KR1020170157846 A KR 1020170157846A KR 20170157846 A KR20170157846 A KR 20170157846A KR 20190060056 A KR20190060056 A KR 201900600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ercise
weight
maximum
strength
muscle streng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78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호춘
이현희
이상세
김명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싸이버메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싸이버메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싸이버메딕
Priority to KR10201701578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60056A/ko
Publication of KR201900600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005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2Ergometry; Measuring muscular strength or the force of a muscular blow
    • A61B5/221Ergometry, e.g. by using bicycle type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15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telemetry system
    • A61B5/0022Monitoring a patient using a global network, e.g. telephone networks, intern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2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using visual display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ath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웨이트 장비를 활용한 최대근력 측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웨이트 장비의 무게추에 자석 형태로 부착된 9축 센서와, 상기 9축 센서와 무선통신 연결되는 테블릿과, 상기 테블릿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표시 장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무게추의 움직임은 상기 9축 센서를 통해 감지되어 운동 반복횟수에 따라 최대 근력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각 관절 목, 어께, 몸통, 팔꿈치, 힙, 무릎, 발목에 대한 최대근력을 측정하기 위한 측정센서와 최대근력 측정을 위한 프로그램을 통해 각 관절의 최대근력을 간접 방식으로 측정하여 최대근력을 기준으로 근력운동, 근비대운동, 근지구력운동, 근협응력운동, 통증운동 6가지 형태로 운동처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Description

웨이트 장비를 활용한 최대근력 측정 장치{MEASUREMENT APPARATUS OF MAXIMUM MUSCULAR STRENGTH USING WEIGHT MACHINE}
본 발명은 웨이트 장비를 활용한 최대근력 측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각 관절 목, 어께, 몸통, 팔꿈치, 힙, 무릎, 발목에 대한 최대근력을 측정하기 위한 측정센서와 최대근력 측정을 위한 프로그램을 통해 각 관절의 최대근력을 간접 방식으로 측정하여 최대근력을 기준으로 근력운동, 근비대운동, 근지구력운동, 근협응력운동, 통증운동 등을 운동처방할 수 있도록 한 웨이트 장비를 활용한 최대근력 측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0-0085333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부하 제어 장치, 특히 운동 기구는 특정 중량을 가지는 중량추를 이용한다. 상세하게는, 사용자는 복수의 중량추들을 적절히 조합하여 부하 제어 장치에 세팅한 후 일정 세트의 운동을 반복적으로 수행한다. 다만, 상기 중량추들을 조합하는 위의 방법은 중량추의 무게가 정해져 있기 때문에 다양한 중량을 제공하기 힘들었다. 따라서, 각 사용자들의 근력에 맞게 중량을 조절하기 힘들었으며, 결과적으로 사용자에게 무리를 줄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런 방식의 등장 운동에서, 사용자는 자신의 최대 근력을 알 수 없기 때문에 중량추들을 경험적으로 부하 제어 장치에 세팅하지만 때에 따라서는 이러한 세팅이 사용자에게 무리하게 설정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사용자의 무리한 운동으로 인하여 사용자는 신체에 상해를 입을 수 있다.
게다가, 사람의 근육 단련 과정, 예를 들어 근육의 이심성 수축 과정은 효율적으로 행해지기 위하여 등장 운동 뿐만 아니라 등속 운동이 필요함에도, 상기 부하 제어 장치가 등장 운동만을 제공하므로, 사용자의 근육이 충분하게 단련되지 않을 수 있었다.
더욱이, 한 종류의 부하 제어 장치에서 근육 부위를 다르게 단련시킬 수 있는 방법이 없었고, 여러 부하 제어장치들을 사용하여 각기 다른 근육 부위를 단련시켜야 했다. 즉, 다양한 근육 부위를 단련시키고자 하는 사용자에게 불편을 야기시켰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요망에 부응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각 관절 목, 어께, 몸통, 팔꿈치, 힙, 무릎, 발목에 대한 최대근력을 측정하기 위한 측정센서와 최대근력 측정을 위한 프로그램을 통해 각 관절의 최대근력을 간접 방식으로 측정하여 최대근력을 기준으로 근력운동, 근비대운동, 근지구력운동, 근협응력운동, 통증운동 6가지 형태로 운동처방할 수 있도록 한 웨이트 장비를 활용한 최대근력 측정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웨이트 장비를 활용한 최대근력 측정 장치는, 웨이트 장비의 무게추에 자석 형태로 부착된 9축 센서와, 상기 9축 센서와 무선통신 연결되는 테블릿과, 상기 테블릿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표시 장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무게추의 움직임은 상기 9축 센서를 통해 감지되어 운동 반복횟수에 따라 최대 근력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웨이트 장비를 활용한 최대근력 측정 장치에 의하면, 각 관절 목, 어께, 몸통, 팔꿈치, 힙, 무릎, 발목에 대한 최대근력을 측정하기 위한 측정센서와 최대근력 측정을 위한 프로그램을 통해 각 관절의 최대근력을 간접 방식으로 측정하여 최대근력을 기준으로 근력운동, 근비대운동, 근지구력운동, 근협응력운동, 통증운동 등을 운동처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웨이트 장비를 활용한 최대근력 측정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웨이트 장비에 부착된 최대근력 측정을 위한 센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무게추를 활용한 최대근력 측정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무게추를 활용하여 최대근력 측정하기 위한 손목 또는 발목에 부착된 센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홀튼 그래프 알고리즘을 통한 근력측정 그래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웨이트 장비를 활용한 최대근력 측정 장치의 각종 운동 처방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들에서 구성에 표기된 도면번호는 다른 도면에서도 동일한 구성을 표기할 때에 가능한 한 동일한 도면번호를 사용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의 기능 또는 공지의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도면에 제시된 어떤 특징들은 설명의 용이함을 위해 확대 또는 축소 또는 단순화된 것이고, 도면 및 그 구성요소들이 반드시 적절한 비율로 도시되어 있지는 않다. 그러나 당업자라면 이러한 상세 사항들을 쉽게 이해할 것이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 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또한, '전면', '후면', '상면', '하면' 등과 같은 도면에 보이는 것을 기준으로 기술된 상대적인 용어들은 '제1', '제2' 등과 같은 서수들로 대체될 수 있다.
'제1', '제2' 등의 서수들에 있어서 그 순서는 언급된 순서나 임의로 정해진 것으로서, 그 순서는 필요에 따라 임의로 변경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예]
본 발명은 웨이트 장비를 활용한 최대근력 측정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웨이트 장비의 무게추의 중량을 체크하고, 상기 무게추 위에 센서를 부착한 후 테블릿에 설치된 콘텐츠 구동과 블루투스 무선통신 연결하여 근력 운동을 반복하게 된다. 즉, 최대근력 측정은 웨이트 장비의 무게추의 무게, 반복회수를 통해 최대근력이 측정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최대근력 측정 장치는 무게추에 자석 형태로 부착된 9축 센서와, 상기 9축 센서와 무선통신 연결되는 테블릿과, 상기 테블릿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표시 장치로 구성된다.
상기 무게추의 움직임은 상기 9축 센서를 통해 감지되어 운동 반복횟수에 따라 최대 근력을 측정하는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령, 모래주머니와 같은 무게추로 최대근력을 측정하기 위하여 손목 또는 발목에 부착된 센서와 테블릿에 설치된 콘텐츠 구동과 블루투스 무선통신 연결을 수행한다.
최대근력 측정은 무게추의 무게, 반복횟수를 통해 최대근력이 자동 계산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최대근력 측정장치는 손목 또는 발목에 센서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밴드와, 전원버튼 및 화면표시 장치로 구성되며, 9축 센서를 통해 팔 또는 다리 움직임을 감지하여 반복횟수를 측정하는 형태이다.
도 5는, 홀튼 그래프 알고리즘을 통한 최대 근력 측정 그래프이며, 하기 표 1은, 운동 횟수에 따른 최대근력을 백분율로 나타낸 표이다.
운동횟수 최대근력(%) 운동횟수 최대근력(%) 운동횟수 최대근력(%) 운동횟수 최대근력(%)
1 100 16 75 31 60 46 47
2 95 17 74 32 59 47 46
3 93 18 73 33 58 48 45
4 90 19 72 34 57 49 45
5 88 20 71 35 56 50 44
6 86 21 70 36 55 51 43
7 85 22 69 37 54 52 43
8 84 23 68 38 53 53 42
9 83 24 67 39 53 54 41
10 82 25 65 40 52 55 41
11 80 26 64 41 51 56 40
12 79 27 63 42 50 57 40
13 78 28 62 43 50 58 39
14 77 29 61 44 49 59 39
15 76 30 60 45 48 60 38
예를 들어 24kg 무게를 16회 반복했다면 75%의 최대근력에 해당함으로 24/0.75=32kg로 계산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관절 목, 어께, 몸통, 팔꿈치, 힙, 무릎, 발목에 대한 최대 근력 운동을 측정하기 위한 장치로서 각 관절의 최대근력을 직접 방식으로 측정하여 최대근력을 기준으로 근력 운동, 근비대 운동, 근지구력 운동, 근협응력 운동, 통증완화 운동, 근협응력 운동, 근가동성 운동 등을 처방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이 당업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변형 실시될 가능성이 자명하며, 이러한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사상에 포함된다할 것이다.

Claims (2)

  1. 웨이트 장비의 무게추에 자석 형태로 부착된 9축 센서와, 상기 9축 센서와 무선통신 연결되는 테블릿과, 상기 테블릿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표시 장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이트 장비를 활용한 최대근력 측정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게추의 움직임은 상기 9축 센서를 통해 감지되어 운동 반복횟수에 따라 최대 근력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이트 장비를 활용한 최대근력 측정 장치.









KR1020170157846A 2017-11-24 2017-11-24 웨이트 장비를 활용한 최대근력 측정 장치 KR2019006005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7846A KR20190060056A (ko) 2017-11-24 2017-11-24 웨이트 장비를 활용한 최대근력 측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7846A KR20190060056A (ko) 2017-11-24 2017-11-24 웨이트 장비를 활용한 최대근력 측정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0056A true KR20190060056A (ko) 2019-06-03

Family

ID=668491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7846A KR20190060056A (ko) 2017-11-24 2017-11-24 웨이트 장비를 활용한 최대근력 측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6005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855029A (zh) * 2021-06-28 2021-12-31 四川大学华西医院 一种足踝肌力多功能集成测量装置及测量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855029A (zh) * 2021-06-28 2021-12-31 四川大学华西医院 一种足踝肌力多功能集成测量装置及测量方法
CN113855029B (zh) * 2021-06-28 2023-06-13 四川大学华西医院 一种足踝肌力多功能集成测量装置及测量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lvitigala et al. GymSoles: Improving squats and dead-lifts by visualizing the user's center of pressure
EP289243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knee flexor assessment
Frost et al. PLAD (personal lift assistive device) stiffness affects the lumbar flexion/extension moment and the posterior chain EMG during symmetrical lifting tasks
Kellis et al. Agonist versus antagonist muscle fatigue effects on thigh muscle activity and vertical ground reaction during drop landing
US20200261010A1 (en) Soft tissue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US10172541B2 (en) Motion recognition device and method
Schütz et al. Joint angles of the ankle, knee, and hip and loading conditions during split squats
US11141618B2 (en) Exercise apparatus
KR102310852B1 (ko) 자세 교정 정보를 이용한 맞춤운동 제공 알고리즘 및 자세 교정 장치
TWI716241B (zh) 運動感測方法、裝置及系統
US20180256939A1 (en) Variable weight units, computing device kit applications, and method of use
KR101545516B1 (ko) 균형성 재활운동 자세 교정 시스템
KR101989822B1 (ko) 균형훈련과 체중지지훈련을 보조하는 재활 시스템
Baum et al. Donning a novel lower-limb restrictive compression garment during training augments muscle power and strength
KR20190060056A (ko) 웨이트 장비를 활용한 최대근력 측정 장치
Summa et al. A body-machine interface for training selective pelvis movements in stroke survivors: a pilot study
KR20170067467A (ko)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재활 치료 장치 및 그 방법
Gill The impact of weight classification on safety: timing steps to adapt to external constraints
KR20160026373A (ko) 스쿼트 운동기구
KR101961127B1 (ko) 신체정보 측정용 웨어러블장치
Wezenbeek et al. The Effect of aquabag use on muscle activation in functional strength training
KR20180092558A (ko) 저작근운동기구를 이용한 인지기능 개선 진단 시스템
KR101970349B1 (ko) 스마트 저울을 이용한 스쿼트 트레이닝 시스템
Kwon et al. Effect of an on-site physical therapy on pain, posture, function and composition, and work-related health status in workers in Korea
CN210278199U (zh) 一种腿力检测和锻炼一体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