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1127B1 - 신체정보 측정용 웨어러블장치 - Google Patents

신체정보 측정용 웨어러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1127B1
KR101961127B1 KR1020170109927A KR20170109927A KR101961127B1 KR 101961127 B1 KR101961127 B1 KR 101961127B1 KR 1020170109927 A KR1020170109927 A KR 1020170109927A KR 20170109927 A KR20170109927 A KR 20170109927A KR 101961127 B1 KR101961127 B1 KR 1019611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muscle
measuring
measurement
senso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99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23734A (ko
Inventor
지동철
Original Assignee
지동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동철 filed Critical 지동철
Priority to KR10201701099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1127B1/ko
Publication of KR201900237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37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11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11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5For evaluating or diagnosing the musculoskeletal system or teeth
    • A61B5/4519Musc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15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telemetry system
    • A61B5/0022Monitoring a patient using a global network, e.g. telephone networks, intern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13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a specific body part
    • A61B5/6823Trunk, e.g., chest, back, abdomen, hi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522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신체정보 측정용 웨어러블장치는, 사용자가 착용하여 신체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의복부 및 상기 의복부에 구비되는 복수의 신체측정용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 어셈블리를 포함하며, 상기 센서 어셈블리는, 복부를 구성하는 근육의 움직임을 측정하는 복부측정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신체정보 측정용 웨어러블장치{Wearable Device for Measuring Body Information}
본 발명은 신체정보 측정용 웨어러블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의 센서를 통해 신체정보를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하고, 운동상태 등을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하는 신체정보 측정용 웨어러블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삶의 질 증가로 인해 각종 질환 중 비만과 척추 질환이 차지하는 비중이 매우 높아졌다. 그리고 이에 따라 체중관리 및 근육 강화 등 건강에 대한 관심 역시 높아지고 있으며, 특히 복부 운동을 보조하기 위한 각종 장비들이 시중에 판매되고 있다.
다만, 시중에 출시된 복부 운동 관련 기술과 상품들은 진동을 이용한 기술들이 대부분이며, 벨트형과 같이 별도의 장치를 착용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어 구입 후 몇 번의 사용 뒤 방치하는 경우가 흔하게 일어나고 있다.
그리고 최근에는 누구나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복부 운동 방법으로서, 드로인 뱃살운동 방법이 널리 전파되고 있다. 상기 드로인 뱃살운동은 배를 홀쭉하게 만든다는 느낌으로 배를 집어 넣고 그 힘을 유지하함에 따라 복근에 힘이 생겨 체형을 변화시키고 배 주변 지방이 쌓이는 것을 막아줄 수 있도록 한다.
드로인 뱃살운동은 스스로 운동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사용자가 평상 시 얼마나 운동을 하는지 알 수 있는 방법이 없으며, 또한 운동을 통한 팔과 다리의 굵기, 복부지방률 등 신체의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줄자와 체지방측정기가 필요하기 때문에 수시로 신체정보를 측정하는데 한계점과 불편함이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이 요구된다.
(특허문헌 1) KR10-2018-0043698 A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발명으로서, 의복에 센서를 부착하여 팔과 다리의 굵기, 복부비만률 등과 같은 신체정보를 측정하고, 복부의 센서를 통해 복부의 움직임을 분석하여 평소 경각심을 갖고 그에 필요한 운동을 생활화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목적을 가진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신체정보 측정용 웨어러블장치는, 사용자가 착용하여 신체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의복부 및 상기 의복부에 구비되는 복수의 신체측정용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 어셈블리를 포함하며, 상기 센서 어셈블리는, 복부를 구성하는 근육의 움직임을 측정하는 복부측정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복부측정센서는, 복직근에 대응되는 영역에 구비되는 복직근용 측정센서, 외복사근에 대응되는 영역에 구비되는 외복사근용 측정센서, 복횡근에 대응되는 영역에 구비되는 복횡근용 측정센서 및 내복사근에 대응되는 영역에 구비되는 내복사근용 측정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 어셈블리는, 측정 대상이 되는 신체 부위의 일측에 구비되는 제1센서, 상기 제1센서와 측정 대상이 되는 신체 부위를 사이에 두고 타측에 구비되는 제2센서를 포함하여, 상기 제1센서 및 상기 제2센서가 신체 부위 별로 세트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센서 어셈블리는, 신체의 상하 중심선을 기준으로 양측에 대칭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의복부에 구비되고, 별도의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된 소프트웨어와 연동 가능하도록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신체정보 측정용 웨어러블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복수의 신체측정용 센서를 통해 수시로 신체정보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복부 등 근육의 움직임을 분석하여 운동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셋째, 평상복, 운동복 등 일상 생활에서 사용 가능한 모든 의류에 적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체정보 측정용 웨어러블장치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체정보 측정용 웨어러블장치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복근의 해부 구조를 나타낸 도면;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체정보 측정용 웨어러블장치에 있어서, 복부측정센서의 배치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체정보 측정용 웨어러블장치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체정보 측정용 웨어러블장치는 사용자가 착용하여 신체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의복부(100)와, 상기 의복부(100)에 구비되는 복수의 신체측정용 센서(110a, 110b~170a, 170b)를 포함하는 센서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상기 의복부(100)는 사용자가 착용 가능한 의복이라면 어떤 것이라도 적용될 수 있으나, 측정의 정확도를 위해 신체에 밀착되는 종류의 의복이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센서 어셈블리는 다양한 종류의 신체측정용 센서(110a, 110b~170a, 170b)를 포함할 수 있다.
대표적으로 본 실시예의 센서 어셈블리는, 복부를 구성하는 근육의 움직임을 측정하는 복부측정센서(110a, 110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부측정센서(110a, 110b)의 자세한 배치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센서 어셈블리는, 측정 대상이 되는 신체 부위의 일측에 구비되는 제1센서(110a~170a), 그리고 상기 제1센서(110a~170a)와 측정 대상이 되는 신체 부위를 사이에 두고 타측에 구비되는 제2센서(110b~170b)를 포함하여, 상기 제1센서(110a~170a) 및 상기 제2센서(110b~170b)가 신체 부위 별로 세트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센서(110a~170a) 및 상기 제2센서(110b~170b)는 팔, 다리, 가슴, 배 등 다양한 신체부위를 사이에 두고 서로 반대 측에 구비되어 하나의 세트를 이룬다.
예컨대, 전술한 복부측정센서(110a, 110b) 역시 배 부분에 구비되는 제1복부측정센서(110a)와 이의 반대 측의 등 부위에 구비되는 제2복부측정센서(110b)가 세트로 구비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마찬가지로, 팔의 신체정보를 측정하기 위한 팔측정센서(130a, 130b), 가슴의 신체정보를 측정하기 위한 가슴측정센서(120a, 120b, 120c, 120d), 허리의 신체정보를 측정하기 위한 허리측정센서(140a, 140b), 엉덩이 부위의 신체정보를 측정하기 위한 엉덩이측정센서(150a, 150b), 허벅지의 신체정보를 측정하기 위한 허벅지측정센서(160a, 160b), 종아리의 신체정보를 측정하기 위한 종아리측정센서(170a 170b)는 모두 상기 제1센서(110a~170a) 및 상기 제2센서(110b~170b)가 하나의 세트를 이루어 서로 간의 이격 거리를 측정함에 따라 해당 신체 부위의 두께를 판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센서 어셈블리를 구성하는 각 센서는, 초음파센서, 적외선센서, 스트레치 센서 등 신체를 투과하거나 센서 간의 이격거리를 측정하여 제1센서(110a~170a) 및 상기 제2센서(110b~170b) 간의 연동이 가능한 다양한 종류의 센서가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결과적으로, 각 신체부위에 구비되는 상기 제1센서(110a~170a) 및 상기 제2센서(110b~170b)는 지속적으로 해당 부위의 두께 변화를 모니터링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실지간으로 현재 신체 상태를 인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특히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가슴측정센서(120a, 120b, 120c, 120d)의 경우, 가슴의 전후 두께를 측정하기 위한 전후 가슴측정센서(120a, 120b)와, 가슴의 좌우 두께를 측정하기 위한 좌우 가슴측정센서(120c, 120d)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가슴의 신체 치수를 보다 정밀하게 분석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센서 어셈블리를 구성하는 각 센서는, 신체의 상하 중심선을 기준으로 양측에 대칭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는 양측의 센서를 통한 측정 결과를 통해 신체 좌우의 밸런스를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센서 어셈블리를 통해 측정된 신체정보는 사용자가 보유한 사용자 단말기(200)에 설치된 소프트웨어를 통해 가공되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의복부(100)에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에 설치된 소프트웨어와 연동 가능하도록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와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모듈(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에 설치된 소프트웨어는 가공된 정보를 저장장치에 저장하고, 이를 기간 별로 분석하여 통계를 산출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는 해당 소프트웨어를 제공하는 사업자의 메인서버(300) 측에 해당 정보를 송신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할 수 있으며, 사업자 측에서는 해당 정보를 심화적으로 가공하여 다시 사용자 단말기(200) 측에 제공하거나 빅데이터로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복부측정센서(110a, 110b)에 대해 보다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4는, 복근의 해부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근은 크게 복직근, 외복사근, 복횡근, 내복사근을 포함하여 구성된 형태를 가진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복부측정센서(110a, 110b)를 해당 근육들에 대응되도록 배치하여 복근의 움직임을 정밀하게 분석하도록 하였다.
구체적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상기 복부측정센서(110a)는 복직근에 대응되는 영역에 구비되는 복직근용 측정센서(111)와, 외복사근에 대응되는 영역에 구비되는 외복사근용 측정센서(112)와, 복횡근에 대응되는 영역에 구비되는 복횡근용 측정센서(113)와, 내복사근에 대응되는 영역에 구비되는 내복사근용 측정센서(114)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형태를 가진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경우 드로인 뱃살운동 등 사용자가 복부 운동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복부를 구성하는 각 근육, 즉 복직근, 외복사근, 내복사근, 복횡근의 개별적 움직임을 모니터링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이를 사용자 단말기(200) 등으로 통해 육안으로 확인하여 현재 운동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또한 이로 인해 사용자에게 자신이 올바른 운동방법을 수행하고 있는지를 확인하도록 할 수 있으며, 잘못된 운동방법을 자체적으로 교정하도록 하여 운동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또는 들숨 시 또는 플랭크 운동 시 복부의 두께 변화 없이 복부에 힘을 주어 버티는 시간 등을 단말기에 설치된 소프트웨어를 통하여 사용자 또는 사용자의 운동을 담당하는 운동코치가 자신의 단말기를 통해 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0: 의복부
110a, 110b: 복부측정센서
111: 복직근용 측정센서
112: 외복사근용 측정센서
113: 복횡근용 측정센서
114: 내복사근용 측정센서
120a, 120b, 120c, 120d: 가슴측정센서
130a, 130b: 팔측정센서
140a, 140b: 허리측정센서
150a, 150b: 엉덩이측정센서
160a, 160b: 허벅지측정센서
170a 170b: 종아리측정센서

Claims (5)

  1. 사용자가 착용하여 신체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의복부; 및
    상기 의복부에 구비되는 복수의 신체측정용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 어셈블리;
    를 포함하며,
    상기 센서 어셈블리는,
    복부를 구성하는 근육의 움직임을 측정하는 복부측정센서
    를 포함하고,
    상기 복부측정센서는,
    복직근에 대응되는 영역에 구비되는 복직근용 측정센서;
    외복사근에 대응되는 영역에 구비되는 외복사근용 측정센서;
    복횡근에 대응되는 영역에 구비되는 복횡근용 측정센서; 및
    내복사근에 대응되는 영역에 구비되는 내복사근용 측정센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상기 센서 어셈블리는,
    측정 대상이 되는 신체 부위의 일측에 구비되는 제1센서;
    상기 제1센서와 측정 대상이 되는 신체 부위를 사이에 두고 타측에 구비되는 제2센서;
    를 포함하여,
    상기 제1센서 및 상기 제2센서가 신체 부위 별로 세트로 구성되고,
    상기 센서 어셈블리는,
    신체의 상하 중심선을 기준으로 양측에 대칭으로 구비되며,
    상기 의복부에 구비되고, 별도의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된 소프트웨어와 연동 가능하도록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모듈을 더 포함하는 신체정보 측정용 웨어러블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70109927A 2017-08-30 2017-08-30 신체정보 측정용 웨어러블장치 KR1019611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9927A KR101961127B1 (ko) 2017-08-30 2017-08-30 신체정보 측정용 웨어러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9927A KR101961127B1 (ko) 2017-08-30 2017-08-30 신체정보 측정용 웨어러블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3734A KR20190023734A (ko) 2019-03-08
KR101961127B1 true KR101961127B1 (ko) 2019-03-25

Family

ID=658008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9927A KR101961127B1 (ko) 2017-08-30 2017-08-30 신체정보 측정용 웨어러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112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3925B1 (ko) * 2020-09-18 2022-05-02 동서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 레깅스 시스템
KR102489896B1 (ko) * 2021-07-13 2023-01-17 건양대학교산학협력단 척추 분절의 상태를 분석할 수 있는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63595A (ko) * 2008-12-03 2010-06-1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전기전도성 섬유를 이용한 무구속 움직임 측정 장치 및 방법
KR20110010299A (ko) * 2009-07-24 2011-02-01 장명준 신체 치수 측정 장치
KR20170018366A (ko) * 2017-02-03 2017-02-17 주식회사 크레타 코어안정화운동 관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3734A (ko) 2019-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72480B2 (en) Wearable flexible sensor motion capture system
US11234653B2 (en) Determining sensor data quality based on bioimpedance information
Khuu et al. Not all single leg squats are equal: a biomechanical comparison of three variations
KR100927471B1 (ko) 가슴 부착 분리형 무선 심박 측정 장치
US10842415B1 (en)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monitoring and assessing gait, stability, and/or balance of a user
Akins et al. Postural stability and isokinetic strength do not predict knee valgus angle during single-leg drop-landing or single-leg squat in elite male rugby union players
JP7109612B2 (ja) 代償運動の原因部位を特定するための方法、システム、プログラム、及びコンピュータ装置、並びに、代償運動を解消するための方法、及びシステム
US20190046839A1 (en) Muscle stress measurement in a sensor equipped garment
Berry et al. Resisted side stepping: the effect of posture on hip abductor muscle activation
US20190046107A1 (en) Exercise application based on muscle stress measurement
US7743656B1 (en) System and method for measuring flexibility
KR101961127B1 (ko) 신체정보 측정용 웨어러블장치
JP2017538462A (ja) 軟部組織を管理する方法およびシステム
KR20170000353A (ko) 자세교정을 위한 생체신호 측정장치
KR20210157203A (ko) 근감소증 진단 플랫폼 및 이를 이용한 근감소증 분석 방법
US11527109B1 (en) Form analysis system
KR20190011864A (ko) 재활보조장치를 이용한 재활운동 관리방법
US11617527B2 (en) Muscle load monitoring
KR102369528B1 (ko) 인체생리신호를 활용한 자가 운동모니터링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의류
Stanton et al. Agreement between activPAL3c accelerometers placed at different thigh positions
JP2013085643A (ja) 活動量計及び健康管理システム
JP2020103656A (ja) 運動補助プログラムおよびこれを備える運動補助システム
CN113397530B (zh) 一种可进行膝关节功能评估的智能矫正系统和方法
US20240049989A1 (en) Gait evaluation system and gait evaluation method
US20230096206A1 (en) Method and Device for Diagnosing Anterior Cruciate Ligament Injury Susceptibili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